KR19980032716A - Elevator Shuttle with Unilateral Off Shaft Loading - Google Patents

Elevator Shuttle with Unilateral Off Shaft Loading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32716A
KR19980032716A KR1019970051975A KR19970051975A KR19980032716A KR 19980032716 A KR19980032716 A KR 19980032716A KR 1019970051975 A KR1019970051975 A KR 1019970051975A KR 19970051975 A KR19970051975 A KR 19970051975A KR 19980032716 A KR19980032716 A KR 199800327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ck
elevator
cab
level
car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5197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비타죠셉
Original Assignee
로버트피.헤이터
오티스엘리베이터캄파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로버트피.헤이터, 오티스엘리베이터캄파니 filed Critical 로버트피.헤이터
Publication of KR199800327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32716A/en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02Control systems without regulation, i.e. without retroactive action
    • B66B1/06Control systems without regulation, i.e. without retroactive action electric
    • B66B1/14Control systems without regulation, i.e. without retroactive action electric with devices, e.g. push-buttons, for indirect control of movements
    • B66B1/18Control systems without regulation, i.e. without retroactive action electric with devices, e.g. push-buttons, for indirect control of movements with means for storing pulses controlling the movements of several cars or ca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9/00Kinds or type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9/003Kinds or type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for lateral transfer of car or frame, e.g. between vertical hoistways or to/from a parking 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9/00Kinds or type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9/16Mobile or transportable lifts specially adapted to be shifted from one part of a building or other structure to another part or to another building or struc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201/00Aspects of control systems of elevators
    • B66B2201/30Details of the elevator system configuration
    • B66B2201/303Express or shuttle elev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Types And Forms Of Lifts (AREA)
  • Elevator Control (AREA)
  • Cage And Drive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엘리베이터 캐브(A-K)는 2차데크 카 프레임(32-34)의 상부데크에서 3개 이상의 연속적인 중첩된 승강로(32-34)를 통하여 상향으로 이동되며, 역으로 그 하부 데크에서 상기 승강로를 통하여 하향으로 이동된다. 데크 사이를 절환하기 위하여, 캐브는 캐브를 상부데크 또는 하부 데크로부터 하부데크 또는 상부 데크로 이동시키는 셔틀의 터미널 레벨에서 승강로로부터 2차데크 보조 엘리베이터로 오프로드된다. 캐브는 승객의 오프 샤프트 언로딩 및 재로딩을 위하여 랜딩부(43, 44, 50, 51)상에서 보조 엘리베이터로 이동된다. 일실시예에서, 엘리베이터 캐브는 메인 엘리베이터 카 프레임의 하부(또는 상부) 데크로부터 보조 엘리베이터를 통하여 랜딩부내로 이동되며, 그후 보조 엘리베이터에 의해 메인 엘리베이터 카 프레임의 상부(또는 하부)데크로 이동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캐브는 메인 엘리베이터 카 프레임의 상부 데크(또는 하부 데크)로부터 캐브를 하향으로 이동시키는 보조 엘리베이터내로 이동되며, 그후 캐브는 랜딩부상으로 이동되어 랜딩부로부터 보조 엘리베이터를 통하여 메인 엘리베이터 카 프레임으로 복귀된다. 다른 실시예는 승강로를 통하여 단일의 캐브를 한번에 이동시키는 이중데크 카 프레임을 포함한다.The elevator cab AK moves upwards through three or more consecutive overlapping hoistways 32-34 in the upper deck of the secondary deck car frame 32-34, and conversely through the hoistway in its lower deck. Is moved downwards. To switch between decks, the cab is offloaded from the hoistway to the secondary deck secondary elevator at the terminal level of the shuttle that moves the cab from the upper deck or the lower deck to the lower deck or the upper deck. The cab is moved to a subsidiary elevator on landings 43, 44, 50, 51 for off shaft unloading and reloading of passengers. In one embodiment, the elevator cab is moved from the lower (or upper) deck of the main elevator car frame through the auxiliary elevator into the landing and then by the auxiliary elevator to the upper (or lower) deck of the main elevator car frame. In another embodiment, the cab is moved from the upper deck (or lower deck) of the main elevator car frame into a subsidiary elevator that moves the cab downward, after which the cab is moved onto the landing and from the landing through the subsidiary elevator to the main elevator car. Return to the frame. Another embodiment includes a double deck car frame that moves a single cab at a time through a hoistway.

Description

일방적 오프샤프트 로딩을 갖는 엘리베이터 셔틀Elevator Shuttle with Unilateral Offshaft Loading

본 발명은 3개 이상의 중첩된 연속적인 엘리베이터 축으로 구성된 엘리베이터 셔틀에 관한 것으로서, 각각의 엘리베이터 축은 이중데크 카 프레임이나 대응의 승강로(hoistway)의 단부 사이에서 이동가능한 4데크 카 프레임을 가지며, 엘리베이터 캐브는 대부분의 시간을 각각의 승강로에서 상향이나 하향으로 이동하는 하나 또는 두 개의 캐브를 갖기 위하여 다양한 카 프레임 사이로 이송되며, 각각의 터미날 레벨에서 캐브당 단지 하나의 랜딩부에 의해 하부 데크 사이에서 다른 방향으로 이동하는 캐브와 상부 데크 사이의 방향으로 이동하는 캐브를 이송되는 하나 또는 2개의 캐브를 따라 터미날 레벨에서 2개의 데크 또는 2개의 데크 보조 엘리베이터를 이용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vator shuttle consisting of three or more overlapping continuous elevator shafts, each elevator shaft having a four-deck car frame movable between a double deck car frame or an end of a corresponding hoistway, the elevator cab Is transported between the various car frames to have one or two cavities most of the time moving up or down on each hoistway, and in different directions between the lower decks by only one landing per cab at each terminal level. Two decks or two deck auxiliary elevators are used at the terminal level along one or two cabs being transferred in the direction between the cab moving in the direction and the upper deck.

건물의 상부층으로 가고자하는 모든 승객은 건물의 하부층을 통하여 상향으로 이동해야 하기 때문에, 매우 높은 빌딩에서는 엘리베이터 승강로[본 발명에서는 건물의 코어(core) 로 언급된다]의 효과적인 사용이 요구된다. 비타 등에 의해 1996년 7월 25일자로 출원되어 본 출원인에게 양도된 미국 특허출원 08/686.992 호에 따르면, 한쪽 방향으로 이동하는 모든 엘리베이터 캐브는 이중데크 카 프레임의 하부 데크상에서 이동되며, 대향 방향으로 이동하는 모든 엘리베이터는 이중데크 카 프레임의 상부 데크상에서 이동되며, 캐브는 하나의 승강로에서 카 프레임으로부터 다른 승강로의 카 프레임으로 이동될 때 서로를 통과하게 된다. 방향을 역전시키기 위하여, 보조 엘리베이터가 터미날 레벨에 제공되어 캐브를 상부 데크로부터 하부 데크로, 그리고 하부 데크로부터 상부 데크로 이송한다. 그러나, 상기 특허출원의 도 1 내지 도 10 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메인 엘리베이터 카 프레임은 상부 데크로부터 하부 데크로 바뀌기 위하여 캐브가 상승하거나 하강할 동안 또는 승객이 바꿔탈동안 기다려야만 한다. 상기 특허출원의 도 21 내지 30 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오프 샤프트 로딩 및 언로딩은 대개(waiting)을 피하기 위해 사용되지만, 각각의 메인 엘리베이터 승강로의 양측상에 한쌍의 랜딩부와 보조 엘리베이터를 가질 것이 요구된다. 엘리베이터 배출은 각각의 측부의 한쪽 로비에서 이루어지며, 엘리베이터 유입은 각각의 측부의 다른 로비에서 이루어진다. 이것은 건물의 2개의 제 1 레벨에서 건물의 코어를 상당히 소모하게 된다. 또한, 만일 승객이 셔틀로부터 스카이 로비와 같은 로컬 엘리베이터로 이동한다면, 승객의 일부는 통상의 엘리베이터 형태에서 뱅크(bank)를 형성하는 셔틀의 스트링 주위의 모든 길을 걸어야만 한다.Since all passengers wishing to go to the upper floor of the building must travel upward through the lower floor of the building, effective use of elevator hoists (referred to herein as the core of the building) in very tall buildings is required. According to US patent application Ser. No. 08 / 686.992, filed on July 25, 1996 by Vita et al., Assigned to the applicant, all elevator cabs moving in one direction are moved on the lower deck of the double deck car frame and in the opposite direction. All moving elevators are moved on the upper deck of the double deck car frame, and the cabs pass through each other when moving from the car frame to the car frame of the other hoistway in one hoistway. To reverse the direction, an auxiliary elevator is provided at the terminal level to transport the cab from the upper deck to the lower deck and from the lower deck to the upper deck. However, 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s. 1 to 10 of the patent application, the main elevator car frame must wait while the cab rises or descends or the passengers change over to change from the upper deck to the lower deck. 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S. 21-30 of this patent application, off-shaft loading and unloading are usually used to avoid waiting, but have a pair of landings and an auxiliary elevator on both sides of each main elevator hoistway. Is required. Elevator discharges occur in one lobby on each side, and elevator inflows occur in another lobby on each side. This consumes significantly the core of the building at the two first levels of the building. Also, if a passenger moves from a shuttle to a local elevator, such as a sky lobby, some of the passengers must walk all the way around the string of shuttles forming a bank in the usual elevator form.

건물의 가장 높은 곳에서, 건물의 코어의 최소의 충격으로 승객의 관리 용량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이중데크 엘리베이터를 이용하는 것은 공지되어 있다. 상술한 특허출원의 보조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적용, 특히 도 21 내지 도 30 의 오프 샤프트 로딩 실시예에의 적용은 2개의 더블 데크 보조 엘리베이터를 요구하는데, 그중 하나는 주축과 8개의 승객 로비의 각각의 측부상에 위치되며, 다른 하나는 빌딩의 제 1 의 4개층의 각각에서 메인 엘리베이터 샤프트의 각각의 측부상에 위치된다. 로비의 복잡한 배치는 이러한 시스템의 다양한 랜딩 로비에서 승객을 적절히 이리저리 향하도록 조종하기 위해 에스컬레이터 등의 설비에서 부가적인 코어를 박탈한다.At the highest point of the building, it is known to use a double deck elevator to increase the passenger's management capacity with minimal impact on the core of the building. The application of the patented auxiliary elevator system, in particular to the off shaft loading embodiment of FIGS. 21-30 requires two double deck auxiliary elevators, one of which is on each side of the main shaft and eight passenger lobbies. Located on the float, the other one is located on each side of the main elevator shaft in each of the first four floors of the building. The complex layout of the lobby deprives the facility of additional cores in facilities such as escalators to steer the passengers to and from the various landing lobbies of these systems.

본 발명의 목적은, 각각의 터미널 레벨에서 단일의 보조 엘리베이터를 가지며, 캐브당 단일의 랜딩부를 가지며, 복합 트랙 카 프레임상에서 3개 이상의 승강로 사이에서 서로 통과하는 엘리베이터 캐브를 갖는 엘리베이터 셔틀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이들 모두는 상기 레벨에서 메인 엘리베이터 샤프트의 단일의 측부상에 있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elevator shuttle having a single auxiliary elevator at each terminal level, a single landing per cab and elevator cabs passing between each other between three or more hoistways on a composite track car frame. They are all on a single side of the main elevator shaft at this level.

본 발명에 따르면, 한쪽 방향으로 이동하는 모든 엘리베이터 캐브가 일련의 엘리베이터 승강로에서 복합데크 카 프레임의 하부 데크상에서 이동되며, 반대방향으로 이동하는 모든 엘리베이터 캐브가 엘리베이터 카 프레임의 상부 데크상에서 이동되는 엘리베이터 셔틀 시스템에 있어서, 각각의 터미널 레벨에서의 보조 엘리베이터는 상부 데크나 하부 데크상에 캐브를 수용하고, 이러한 캐브를 로딩 및 언로딩하고 캐브를 대향 방향으로 이동하기 위한 대향의(하부 또는 상부) 데크에 분배하기 위하여 메인 엘리베이터 카 프레임만큼의 데크를 갖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엘리베이터 캐브는 메인 엘리베이터 승강로로부터 보조 엘리베이터의 데크로 이송된 후 승객의 로딩 및 언로딩을 위하여 대응의 랜딩부로 직접 이송되며, 그후 캐브는 메인 엘리베이터 카 프레임상에 재로딩을 위하여 본래의(상부 또는 하부) 데크로부터 대향의(상부 또는 하부) 데크로 수직으로 이동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엘리베이터 캐브는 보조 엘리베이터의 유사 데크(상부 또는 하부)상에 메인 엘리베이터 카 프레임의 데크로 이송되며, 보조 엘리베이터는 대향의 데크(하부 또는 상부)에 인접한 캐브의 위치로 이동된 후 승객의 언로딩 및 재로딩을 위하여 인접한 랜딩부로 이송되며, 그후 보조 엘리베이터의 동일한 데크(하부 또는 상부)로 역이송되어 메인 엘리베이터 카 프레임의 유사 데크상에 직접 이송된다. 본 발명은 하나의 캐브는 대부분의 시간을 각각의 승강로에서 이송하는 이중데크와 2개의 캐브가 대부분의 시간을 가각의 승강로에서 이동하는 2차데크에 대해 서술되었다.According to the invention, all elevator cabs moving in one direction are moved on the lower deck of the composite deck car frame in a series of elevator hoists, and all elevator cabs moving in the opposite direction are moved on the upper deck of the elevator car frame. In the system, an auxiliary elevator at each terminal level accommodates cabs on an upper deck or a lower deck, and on opposite (lower or upper) decks for loading and unloading such cabs and for moving the cabs in opposite directions. It has as many decks as the main elevator car frame for dispens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invention, the elevator cab is transported from the main elevator hoist to the deck of the subsidiary elevator and then directly to the corresponding landing for loading and unloading of the passengers, after which the cab is reloaded onto the main elevator car frame. Is moved vertically from the original (top or bottom) deck to the opposite (top or bottom) deck.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levator cab is transported to the deck of the main elevator car frame on a similar deck (top or bottom) of the subsidiary elevator, the subsidiary elevator being located in the position of the cab adjacent to the opposite deck (bottom or top). It is then transported to an adjacent landing for unloading and reloading of passengers, which are then transported back to the same deck (bottom or top) of the subsidiary elevator and directly on a similar deck of the main elevator car fram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for a double deck in which one cab travels most of the time in each hoistway and a second deck in which two cabs travel most of the time in each hoistway.

본 발명은 셔틀의 대향의 터미널 레벨의 단일의 랜딩 로비에 지속적으로 도달하기 위해 셔틀의 하나의 터미널 레벨에서 단일의 랜딩 로비에 승객을 탑승 및 도착시킨다는 장점을 갖는다. 본 발명은 각각의 터미널 레벨에서 단일의 보조 엘리베이터를 사용하므로써 오프 샤프트를 허용하며, 각각의 터미널 레벨에서 메인 엘리베이터 승강로의 단일의 측부상에 랜딩 로비의 사용을 허용하므로써 터미널 레벨에 빌딩의 코어를 보존할 수 있게 한다.The invention has the advantage of boarding and arriving passengers in a single landing lobby at one terminal level of the shuttle to continuously reach a single landing lobby at the terminal level opposite the shuttle.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off shafts by using a single auxiliary elevator at each terminal level and preserves the core of the building at the terminal level by allowing the use of a landing lobby on a single side of the main elevator hoist at each terminal level. To do it.

본 발명의 기타의 목적과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하기의 상세한 설명에 의해 보다 명백하게 인식될 것이다.Other objects,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taken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 은 그 내부에 2차데크 카 프레임과 2개의 보조 엘리베이터를 가지며, 그 각각은 각각의 상부 레벨 스카이 로비에서 하부 로비 레벨과 낮은 상승 엘리베이터와 높은 상승 엘리베이터 사이에 승객 서비스를 제공하는 2차데크 카 프레임을 갖는 3개의 메인 승강로를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셔틀의 측단면도.1 has a second deck car frame and two auxiliary elevators therein, each of which is a second deck providing passenger service between the lower lobby level and the lower and higher elevated elevators in each upper level sky lobby. Side sectional view of an elevator shuttle including three main hoistways with a car frame.

도 2 내지 도 8 은 오프 로딩 캐브가 랜딩부로 직접 이송되는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단일의 캐브 동작을 도시하며, 하나의 캐브가 거의 대부분의 시간을 각각의 승강로에서 이동하는 엘리베이터 셔틀의 최저 레벨의 측단면도.Figures 2 to 8 show a single cab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n embodiment in which the off-loading cab is transferred directly to the landing, where one cab is the lowest level of the elevator shuttle that travels most of the time in each hoistway. Side view.

도 8a 는 도 2 내지 도 8 의 변형을 도시한 도면.8A shows a variant of FIGS. 2 to 8;

도 9 내지 도 15 는 온 로딩 캐브가 랜딩부로 직접 이송되는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단일의 캐브 동작을 도시하며, 하나의 캐브가 거의 대부분의 시간을 각각의 승강로에서 이동하는 엘리베이터 셔틀의 최저 레벨의 측단면도.9-15 illustrate a single cab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n embodiment where the on loading cab is transferred directly to the landing, where the lowest level of the elevator shuttle moves one cab almost each time in each hoistway. Side view.

도 15a 는 도 9 내지 도 15 의 변형을 도시한 도면.FIG. 15A shows a variation of FIGS. 9-15.

도 16 내지 도 30 은 도 2 내지 도 8 의 실시예의 2차데크 버전을 이용하는, 도 1 의 엘리베이터 셔틀 시스템의 측단면도.16-30 are side cross-sectional views of the elevator shuttle system of FIG. 1, utilizing a second deck version of the embodiment of FIGS. 2-8.

도 31 내지 도 37 은 도 19 내지 도 24 에 도시된 실시예의 대안을 도시한 측단면도.31-37 are side cross-sectional views showing an alternative to the embodiment shown in FIGS. 19-24.

도 38 은 본 발명에 사용되는 카 프레임과 수평 캐브 이동 수단의 부분측단면도.Fig. 38 is a partial side cross-sectional view of a car frame and horizontal cab moving means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도 39 내지 도 45 는 다른 실시예로서, 도 1 의 실시예의 일부를 도시한 부분측단면도.39-45 are partial side cross-sectional views of a portion of the embodiment of FIG. 1 as another embodiment;

도 46 은 도 39 에 도시된 장치의 부분정단면도.FIG. 46 is a partial front cross-sectional view of the device shown in FIG. 39. FIG.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35-37 : 프레임 38, 40 : 이송 레벨35-37: Frame 38, 40: Feeding level

49 : 보조 엘리베이터 50, 51 : 랜딩부49: auxiliary elevator 50, 51: landing part

52, 53 : 로비 54 : 로컬 엘리베이터52, 53: lobby 54: local elevator

도 1 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셔틀은 저승강로(32)와, 중간 승강로(33)와, 고승강로(34)를 포함하며, 이들 각각은 2차데크 엘리베이터 카 프레임(35-37)을 포함하므로 2개의 캐브(E, F, A, B, J, K)는 언제나 각각의 승강로에서 이동될 수 있다. 이송 레벨(38, 40)에서 통과를 허용하기 위하여, 모든 캐브는 카 프레임(35, 37)의 상부 데크에서 상향으로 이동되며, 모든 캐브는 하부 데크에서 하향으로 이동된다. 하부 터미널 레벨(41)에서, 2차데크 보조 엘리베이터(42)는 하부 데크에서 하향이동 캐브를 수용하고, 이런 캐브를 에스컬레이터(47)에 의해 상호연결되는 상부 및 상부 로비 레벨(45, 46)에 인접한 상부 및 하부 랜딩부(43)에 분배하고, 상기 캐브를 상향 이동을 위하여 하부 카 프레임(35)의 상부 데크로 분배하는 것을 허용한다. 마찬가지로, 상부 터미널 레벨에서, 2차데크 보조 엘리베이터(49)는 높은 엘리베이터 카 프레임(37)의 상부 데크로부터 이송중인 카를 상향으로 수용하고, 이러한 캐브를 대응의 높은 상승 로컬 엘리베이터(54)와 낮은 상승 로컬 엘리베이터(55)에 순서대로 연결하는 대응의 로비(52, 53)에 인접한 한쌍의 랜딩부(50, 51)에 분배하고, 이러한 캐브를 하향이동을 위하여 높은 카 프레임(37)의 하부 데크로 분배하게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높은 상승 로컬 엘리베이터(54)에 도달하고자 하는 승객이 로비(45)로부터 그렇게 할 수 있고, 또한 언제나 로비(45)로 복귀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마찬가지로, 낮은 상승 엘리베이터(55)에 도달하고자 하는 승객은 로비(46)로부터 그렇게 할 수 있으며, 언제나 로비(46)로 복귀될 수 있다. 엘리베이터 뱅크에 배치된 도 1 에 도시된 것과 같은 몇개의 셔틀이 있어 빌딩내에 빌딩의 높은 단부나 또는 다른 중간 위치에서 많은 로컬 엘리베이터를 제공한다는 것을 명심해야 한다. 따라서, 로비(45, 46, 52, 53)는 복수개의 셔틀과 복수개의 로컬 엘리베이터를 서비스할 것이다.1, the elevator shutt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low hoistway 32, an intermediate hoistway 33, and a high hoistway 34, each of which has a secondary deck elevator car frame 35-37. As such, the two cabs E, F, A, B, J, K can always be moved in each hoistway. To allow passage at the feed levels 38, 40, all the cabs are moved upwards in the upper decks of the car frames 35, 37, and all the cabs are moved downwards in the lower decks. At the lower terminal level 41, the secondary deck subsidiary elevator 42 houses the downward cab at the lower deck and connects these cabs to the upper and upper lobby levels 45 and 46 interconnected by the escalator 47. It distributes to adjacent upper and lower landings 43 and permits the cab to distribute to the upper deck of the lower car frame 35 for upward movement. Similarly, at the upper terminal level, the secondary deck subsidiary elevator 49 receives the conveying car upwards from the upper deck of the high elevator car frame 37, and combines this cab with the corresponding high rising local elevator 54 and low rising. It distributes to a pair of landings 50, 51 adjacent to the corresponding lobby 52, 53, which in turn connect to the local elevator 55, and distributes these cabs to the lower deck of the high car frame 37 for downward movement. To distribute.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device in which passengers wishing to reach the high rise local elevator 54 can do so from the lobby 45 and also always return to the lobby 45. Likewise, a passenger wishing to reach the low lift elevator 55 can do so from the lobby 46 and can always return to the lobby 46. It should be borne in mind that there are several shuttles, such as those shown in FIG. 1 arranged in an elevator bank, which provide many local elevators at the high end of the building or at other intermediate locations within the building. Thus, the lobby 45, 46, 52, 53 will service a plurality of shuttles and a plurality of local elevators.

도 2 에 있어서, 본 발명의 단일의 캐브 버전은 그 내부에 배치된 이중데크 카 프레임(35a)을 갖는 낮은 승강로(32a)를 포함하며, 도 2 에 도시된 다른 승강로의 다른 것은 거의 모든 시간을 셔틀의 각각의 승강로에서 이동된다. 셔틀(41a)의 저레벨은 로비(45a)에 의해 상호연결되는 랜딩부(43a)와, 이중데크 보조 엘리베이터 카 프레임(42a)을 포함한다. 도 2 에 있어서, 캐브(A)는 우측으로 이송되었으며, 캐브(B)는 좌측으로 이송되었다. 도 3 에 있어서, 카 프레임(35a)은 그 상향 이동을 시작하며, 캐브(B)는 랜딩부(43a)상에서 좌측으로 이송되었다. 도 4 에 있어서, 랜딩부로의 승강로 도어는 개방되며, 승객은 캐브를 나와서 로비(45a)로 들어가며, 다른 승객은 화살표(56)로 도시된 바와 같이 캐브에 다시 들어갈 것이다. 캐브(B)가 언로딩되고 재로딩될 때, 보조 엘리베이터(42a)는 하향으로 이동된다. 도 5 에 있어서, 승강로 도어는 폐쇄되었으며, 도 6 에서 캐브(B)는 랜딩부(43a)로부터 보조 엘리베이터(42a)로 우측으로 이동된다. 보조 엘리베이터(42a)는 메인 엘리베이터 카 프레임(35a)이 다른 엘리베이터 캐브(C)와 함께 하부 레벨로 복귀되었을 때 도 7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로어 위로 상승한다. 도 8 에 있어서, 캐브는 교환된다(도 2 에 도시된 것과 동일한 형태로). 이러한 처리는 서술한 평태에서 캐브(C)와 함께 반복된다.In Fig. 2, the single cab vers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low hoistway 32a with a double deck car frame 35a disposed therein, the other of the other hoistways shown in Fig. 2 is nearly all the time. Each shuttle in the shuttle is moved. The low level of the shuttle 41a includes a landing portion 43a interconnected by the lobby 45a and a double deck auxiliary elevator car frame 42a. In Fig. 2, the cab A was transferred to the right side, and the cab B was transferred to the left side. In Fig. 3, the car frame 35a starts its upward movement, and the cab B is conveyed to the left on the landing portion 43a. In Fig. 4, the hoistway door to the landing is open, the passenger exits the cab and enters the lobby 45a, and the other passenger will enter the cab again as shown by arrow 56. When the cab B is unloaded and reloaded, the auxiliary elevator 42a is moved downward. In Fig. 5, the hoistway door is closed, and in Fig. 6 the cab B is moved from the landing portion 43a to the subsidiary elevator 42a to the right. The secondary elevator 42a rises above the floor as shown in FIG. 7 when the main elevator car frame 35a has returned to the lower level with the other elevator cab C. FIG. In Fig. 8, the cabs are exchanged (in the same form as shown in Fig. 2). This process is repeated with the cavities C in the described state.

도 2 내지 도 8 의 실시예에 있어서, 캐브는 보조 엘리베이터(42a)의 승강로를 통하여 그 인접한 메인 승강로 카 프레임(39a)의 데크로부터 랜딩부(43a)상으로 직접 이동된다. 본 발명은 캐브를 다른 루트로 이동시키므로써 실행되며, 그 결과 캐브가 재로딩되었을 때, 랜딩부로부터 보조 엘리베이터를 통하여 그 인접한 메인 엘리베이터 카 프레임의 데크상으로 직접 이동된다. 도 9 에 있어서, 캐브(B)는 좌측으로 이동되며, 캐브(A)는 우측으로 이동된다. 그러나, 이러한 경우에 있어서, 모든 캐브는 상부 데크에 있어서 하향으로 이동되며, 모든 캐브는 메인 엘리베이터 카 프레임의 하부 데크에서 상향으로 이동된다. 도 10 에 있어서, 보조 엘리베이터(42a)는 하강되며, 도 11 에 있어서 캐브(B)는 좌측으로 이동되는 랜딩부(43a)로 이송된다. 도 12 에 있어서, 도어는 승객의 교환을 허용하기 위하여 랜딩부(43a)와 로비(45a) 사이에서 개방되며, 보조 엘리베이터(42a)는 한층 위로 이동된다. 도 13 에 있어서, 도어는 폐쇄되며, 도 14 에서 캐브(B)는 랜딩부(43a)로부터 보조 엘리베이터(42a)내로 우측으로 이동된다. 이것은 다른 캐브(C)가 메인 카 프레임(35a)에서 하부 레벨로 복귀되자마자 일어난다. 도 15 에서, 캐브(B)는 메인 카 프레임(35a)내로 우측으로 이동되며, 도 9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C)는 보조 엘리베이터(42a)내로 좌측으로 이동된다. 도 9 내지 도 15 의 처리는 상술한 형태로 캐브(C)를 위하여 반복된다. 랜딩부는 도 15a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데크와 정렬된다.2 to 8, the cab is moved directly from the deck of the adjacent main hoist car frame 39a onto the landing portion 43a via the hoistway of the subsidiary elevator 42a. The invention is practiced by moving the cab to another route, so that when the cab is reloaded, it is moved directly from the landing through the auxiliary elevator onto the deck of its adjacent main elevator car frame. 9, the cab B is moved to the left and the cab A is moved to the right. In this case, however, all the cabs are moved downward in the upper deck and all the cabs are moved upward in the lower deck of the main elevator car frame. In FIG. 10, the auxiliary elevator 42a is lowered, and in FIG. 11, the cab B is conveyed to the landing part 43a which is moved to the left. In Fig. 12, the door is opened between the landing portion 43a and the lobby 45a to allow the exchange of passengers, and the auxiliary elevator 42a is moved up one level. In Fig. 13, the door is closed, and in Fig. 14, the cab B is moved from the landing portion 43a to the right into the auxiliary elevator 42a. This occurs as soon as the other cavities C return to the lower level in the main car frame 35a. In FIG. 15, the cab B is moved to the right into the main car frame 35a, and the car C is moved to the left into the auxiliary elevator 42a as shown in FIG. 9 to 15 are repeated for the cavities C in the above-described form. The landing portion is aligned with the upper deck as shown in FIG. 15A.

랜딩부로부터 보조 엘리베이터를 통하여 메인 카 프레임(도 9 내지 도 15 에 도시)상에 캐브를 직접 이동하는 형태는 도 15A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데크에서 상향으로 이동하고 하부 데크에서 하향으로 이동하는 캐브와, 상부 데크와 정렬된 랜딩부에 의해 실행된다. 마찬가지로, 도 2 내지 도 8 의 형태(메인 카 프레임으로부터 보조 엘리베이터를 통하여 랜딩부상에 직접 이동하는 형태)는 상부 데크에서는 상향으로, 하부 데크에서는 하향으로 작동되는 캐브와 도 8a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데크와 정렬된 랜딩부에 의해 실행된다.The type of direct movement of the cab on the main car frame (shown in FIGS. 9-15) from the landing via the subsidiary elevator moves upwards in the upper deck and downwards in the lower deck as shown in FIG. 15A. And landings aligned with the upper deck. Similarly, the shapes of FIGS. 2-8 (moving directly from the main car frame onto the landings via the subsidiary elevator) are operated upward on the upper deck and downward on the lower deck and the upper as shown in FIG. 8A. It is executed by the landing portion aligned with the deck.

엘리베이터가 상부 데크나 하부 데크에서 상향으로 이동하는 것과, 도 2 내지 도 8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들이 메인 엘리베이터 샤프트로부터 보조 엘리베이터를 통하여 랜딩부로 직접 이송되거나, 도 9 내지 도 1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랜딩부로부터 보조 엘리베이터를 통하여 메인 엘리베이터로 직접 이송되는 것에 대한 선택은 본 발명이 사용되는 모든 환경에 의존되는 선택의 함수이다.As the elevators move upwards on the upper or lower deck, they are transferred directly from the main elevator shaft to the landing via the auxiliary elevator, as shown in Figs. 2-8, or as shown in Figs. 9-15. The choice of transferring directly from the department to the main elevator via the auxiliary elevator is a function of the choice which depends on all the circumstances in which the invention is used.

도 16 내지 도 30 은 본 발명의 2차데크 버전에서의 캐브의 이동을 도시하고 있다(도 1 에 도시된 것과 동일). 도 17, 20, 23, 26, 29 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카 프레임(35-37)은 타임식(time-wise)이기 때문에 보이지 않으며, 카 프레임은 이러한 도면에서는 절단된 각각의 승강로부분에서 이동할 것이다. 본 발명은 전형적으로 40 내지 80 층의 승강로로 실행되며, 그중 시스템의 약 10 퍼센트만 도 16 내지 도 30 에 도시되었다.16-30 show the movement of the cab in the second deck vers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ame as that shown in FIG. 1). 17, 20, 23, 26, 29, the elevator car frames 35-37 are not visible because they are time-wise, and the car frame will move in each lift section cut in this figure. The invention is typically implemented in hoistway of 40 to 80 floors, of which only about 10 percent of the system is shown in FIGS.

도 21 은 도 1 과 동일하다. 도 16 내지 도 20 은 캐브(G, H)가 높은 카 프레임(37)에서 상부 레벨에 접근하고, 도 19 에서 보조 엘리베이터(49)의 상부 데크로 이송되고, 도 20 에서 랜딩부(50, 51)내로 이송되는 방법을 도시하고 있다. 도 22 내지 도 25 는 캐브(G, H)가 높은 카 프레임(37)의 하부 데크내로 이송되는 방법을 도시하고 있으며, 도 27, 28, 30 은 하부 레벨(41)을 향하여 작동되는 캐브(G, H)를 도시하고 있다.FIG. 21 is the same as FIG. 1. 16 to 20 approach the upper level in the car frame 37 where the cabs G and H are high, transported to the upper deck of the auxiliary elevator 49 in FIG. 19, and landings 50 and 51 in FIG. 20. Shows how it is transported into 22 to 25 show how the cabs G and H are transported into the lower deck of the high car frame 37, while FIGS. 27, 28 and 30 show the cavities G actuated towards the lower level 41. , H).

도 16 내지 도 30 의 실시예에 있어서, 본 발명은 도 2 내지 도 8 의 형태로 하부 레벨 및 상부 레벨에서 캐브를 메인 카 프레임으로부터 보조 엘리베이터를 통하여 랜딩부로 직접 이송하는 것을 도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부 레벨과 하부 레벨은 도 9 내지 도 15 의 형태로 캐브를 랜딩부로부터 보조 엘리베이터를 통하여 메인 엘리베이터 카 프레임상에 이송한다. 또는 하나의 레벨은 한 형태이며, 다른 레벨은 다른 형태이다. 이것은 도 31 내지 도 37 에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으며, 도 18 내지 도 24에서 상부 레벨로 대체될 수 있다. 환언하면, 만일 상부 레벨의 동작이 도 9 내지 도 15 에 따른 것이라면, 높은 엘리베이터 카 프레임(37)이 상부 레벨에 도달되었을 때, 도 31 에 도시된 높은 위치로 가며, 캐브는 도 3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밀하게 대체된다. 캐브는 하강될 것이며, 랜딩부상에 이동되며, 언로딩 및 재로딩되며, 도 33 내지 도 36 에서 도어는 폐쇄된다. 높은 카 프레임(37)이 도 37에서 상부 레벨(48)로 다시 복귀되었을 때, 캐브(G, H)는 도 24 에 도시된 형태와 완전히 동일한 형태로 다시한번 캐브(A, B)로 교체될 준비를 갖추게 된다. 따라서, 차이점이란 높은 메인 엘리베이터 카 프레임이 도 31 내지 도 37 의 실시예보다 2층을 더 이동한다는 것뿐이다. 여기서 중요한 점은 작동은 도 9 내지 도 15 에 따라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이 아니라, 상부 레벨과 하부 레벨은 다른 형태로 동작될 수 있다는 것이다.In the embodiment of FIGS. 16 to 30, the invention shows the transfer of the cab directly from the main car frame to the landing via the auxiliary elevator at the lower and upper levels in the form of FIGS. 2 to 8. However, the upper and lower levels convey the cab from the landing to the main elevator car frame via the auxiliary elevator in the form of FIGS. 9 to 15. Or one level is one form, and the other level is another form. This is shown schematically in FIGS. 31-37, and may be replaced by a top level in FIGS. 18-24. In other words, if the operation of the upper level is according to FIGS. 9 to 15, when the high elevator car frame 37 has reached the upper level, it goes to the high position shown in FIG. 31, and the cab is shown in FIG. 32. As precisely replaced. The cab will be lowered, moved on the landing, unloaded and reloaded, and the door is closed in FIGS. 33-36. When the high car frame 37 is returned back to the upper level 48 in FIG. 37, the cavities G and H are once again replaced by the cavities A and B in exactly the same form as shown in FIG. 24. Be prepared. Thus, the only difference is that the high main elevator car frame moves two floors more than the embodiment of FIGS. 31 to 37. The important point here is that the operation can not be done according to FIGS. 9 to 15, but the upper and lower levels can be operated in different forms.

도 16 내지 도 30 은 3개의 승강로(32-34)를 갖는 셔틀 시스템을 도시하고 있다. 상향이동 캐브는 언제나 상부 데크상에 있고 하향이동 캐브는 언제나 하부 데크상에 있기 때문에, 시스템은 4개의 승강로, 5개의 승강로에 양호하게 동일하게 작동될 것이다. 필요로 하는 것은 각각의 승강로에서 2차데크 엘리베이터 카 프레임과 각각의 승강로에 대한 한쌍의 캐브이다. 도 16 내지 도 30 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부 로비(52, 53)는 하부 로비(45, 46)와 동일한 엘리베이터 셔틀의 측에 있는 것으로 도시되었다. 그러나, 그럴 필요는 없으며, 로비의 세트는 다른 세트로부터 대향측에 위치된다. 물론, 두 로비는 도시된 측으로부터 대향측에 위치된다.16-30 show a shuttle system with three hoists 32-34. Since the upshift cab is always on the upper deck and the downshift cab is always on the lower deck, the system will work equally well on four hoists, five hoists. What is needed is a second deck elevator car frame on each hoistway and a pair of cabs for each hoistway. In the embodiment of FIGS. 16-30, the upper lobby 52, 53 is shown to be on the same elevator shuttle side as the lower lobby 45, 46. However, it does not need to be, and the set of lobbies is located on the opposite side from the other set. Of course, the two lobbies are located on opposite sides from the side shown.

도 16 내지 도 30 의 실시예의 셔틀이 승객의 오프 샤프트 언로딩 및 재로딩을 이용하기 때문에, 각각의 카 프레임(35-37)은 전체적으로 동기적으로 작동되며, 따라서 각각의 엘리베이터는 다른 엘리베이터가 도달되는 동시에 이송 플로어(38)에 도달되게 되며, 승객의 로딩 및 언로딩(특히, 랜딩부에서의 도어의 폐쇄)은 대응의 레벨로 차후 엘리베이터의 도착에 멈출 수 있게 된다. 한편, 이러한 타이밍은 필요한 바대로 적절하게 조정될 수 있다. 이 모든 것은 전체적으로 본 발명의 사용과는 관계없는 것이며, 필요에 따라 선택될 수 있다.Since the shuttles of the embodiments of FIGS. 16-30 use passenger off-shaft unloading and reloading, each car frame 35-37 is operated synchronously as a whole, so that each elevator reaches another elevator. At the same time, the transport floor 38 is reached, and the loading and unloading of passengers (particularly the closing of the door at the landing) can be stopped at the arrival of the elevator at a corresponding level. On the other hand, such timing can be adjusted as needed. All of these are independent of the use of the invention as a whole and can be selected as needed.

동작시, 각각의 엘리베이터 캐브는 1995년 11월 29일자 출원된 계류중인 미국 특허출원 08/565.658 호에 기재된 형태이거나 다른 형태인 캐브/카 프레임에 의해 상승중인 카 프레임에 로킹되는 것으로 가정하자. 카 프레임이 터미널 레벨이나 이송 레벨에 있을 때, 각각의 카 프레임은 1995년 11월 29일자 출원된 계류중인 미국 특허출원 08/565.648 호에 기재된 형태이거나 다른 형태인 카/플로어로크에 의해 빌딩에 로킹되는 것으로 가정하자. 캐브 이송기에 대한 모든 제어는 1995년 11월 29일자 출원된 계류중인 미국 특허출원 08/564.703 호와 08/564.534 호 및 08/565.606 호에 기재된 원리를 이용하여 이루어진다.In operation, assume that each elevator cab is locked to the rising car frame by a cab / car frame, which is of the type described in pending US patent application Ser. No. 08 / 565.658, filed Nov. 29, 1995 or otherwise. When the car frame is at the terminal or transport level, each car frame is locked to the building by the car / floor lock, which is of the type described in pending US patent application Ser. No. 08 / 565.648, filed November 29, 1995 or otherwise. Assume that All control of the cab conveyor is made using the principles described in pending US patent applications 08 / 564.703 and 08 / 564.534 and 08 / 565.606, filed November 29, 1995.

메인 카 프레임(35-37)과 보조 엘리베이터(42, 49) 사이에서와 마찬가지로 메인 카 프레임(35-37)중에서 캐브를 이송하기 위한 최적의 모드는 도 18 및 도 19에서 캐브(F)에 포함된 것처럼 도 38 에 대하여 개략적으로 서술된 1995년 11월 29일자 출원된 계류중인 미국 특허출원 08/564.704 호에 기재된 형태의 수평 이동 수단이다.As between the main car frame 35-37 and the subsidiary elevators 42, 49, the optimum mode for transporting the cab among the main car frame 35-37 is included in the cab F in FIGS. 18 and 19. As such, it is a horizontal vehicle of the type described in pending US patent application Ser. No. 08 / 564.704 filed November 29, 1995, which is outlined with respect to FIG.

도 38 에 있어서, 캐브(F)의 바닥은 전방으로부터 후방(도 38에서 우측에서 좌측으로)으로 연장되는 고정된 메인 래크(70)와, 도시된 바와 같이 우측으로 또는 좌측으로 외향으로 미끄러질 수 있는 미끄럼 래크(71)를 갖는다. 카 프레임(36, 37)의 각각의 하부 데크 플랫포옴(72, 73)(도 38 에 도시되지 않은 각각의 데크 플랫포옴과 마찬가지로)상에는 전부 4개의 모터구동되는 피니언이 있다. 캐브(F)를 좌측으로부터 우측으로 제거하기 위하여, 모터구동되는 보조 피니언(75)은 시계방향으로 미끄럼 보조 래크(71)를 도시된 위치내로 캐브 아래로 구동하며, 상기 위치는 래크(71)가 미끄러질 수 있는 한계점인 플랫포옴(73)상에서 모터구동되는 보조 피니언(76)과 결합될 수 있는 위치이다. 상기 보조 피니언(76)은, 메인 래크(70)의 단부(77)가 도 38 의 보조 피니언(76)을 지나자마자 위치된 모터구동되는 메인 피니언(도시않음)과 결합되는 시간까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보조 래크(71)(이제 그 한계점으로 연장된다)를 당기고, 이에 따라 도 38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sill)(74)위에서 전체 캐브(F)를 우측으로 당긴다. 상기 모터구동되는 메인 피니언은 메인 래크(70)에 의해 전체 캐브(F)를 플랫포옴(73)상에 완전히 당길 것이며, 이와 같이 되었을 때, 스프링은 미끄럼 보조 래크(71)가 캐브(F) 아래로 후퇴되게 한다. 모터구동되는 보조 피니언(79)은 캐브(F)를 카 프레임(37)에 대해 우측으로 이동시키는 것을 돕는다.In FIG. 38, the bottom of the cab F is fixed main rack 70 extending from the front to the back (from right to left in FIG. 38), which can slide outward to the right or to the left as shown. It has a sliding rack 71. On each lower deck platform 72, 73 (as with each deck platform not shown in FIG. 38) of the car frames 36, 37, there are a total of four motorized pinions. In order to remove the cab F from left to right, the motorized auxiliary pinion 75 drives the sliding auxiliary rack 71 clockwise under the cab into the position shown, where the rack 71 is It is a position that can be engaged with the auxiliary pinion 76 motorized on the platform 73 which is a slip point. The auxiliary pinion 76 is clockwise until the time when the end 77 of the main rack 70 engages with the motorized main pinion (not shown) positioned as soon as it passes the auxiliary pinion 76 of FIG. Rotation pulls the secondary rack 71 (which now extends to its limit point) and thus pulls the entire cab F to the right over the thread 74 as shown in FIG. The motor driven main pinion will pull the entire cab F completely onto the platform 73 by the main rack 70, when this occurs, the spring will have the sliding auxiliary rack 71 beneath the cab F. Let retreat. The motorized auxiliary pinion 79 helps to move the cab F to the right relative to the car frame 37.

마찬가지로, 피니언(76)과 유사한 보조 피니언(80)은 보조 카 프레임(42)으로부터와 마찬가지로 카 프레임으로부터 도 38 에 도시된 것의 좌측으로 캐브를 이동시키는 것을 돕는다. 랜딩부(43, 44, 50, 51)에 대해서도 유사한 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Similarly, an auxiliary pinion 80 similar to pinion 76 helps to move the cab from the car frame to the left side of that shown in FIG. 38 as well as from the auxiliary car frame 42. Similar devices may be used for the landing portions 43, 44, 50, 51.

우측으로부터 좌측으로의 이송은 메인 카 프레임(35, 36)의 상부 데크와 메인 카 프레임(35)과 보조 카 프레임(42) 사이의 하부 데크상에서 이루어진다. 그러나, 간단함을 위하여 여기에서는 동일한 하부 데크 사이인 것으로 기재된다. 캐브(F)를 플랫포옴(73)으로부터 플랫포옴(72)으로 복귀시키기 위하여, 보조 피니언(76)은 반시계방향으로 작동되며, 미끄럼 보조 래크(71)는 그 좌측 단부(81)가 보조 피니언(75)과 결합될 때까지 좌측 외향으로 이동된다. 그후, 보조 피니언(75)은 보조 래크(71)와 전체 캐브(F)를 메인 래크의 좌측 단부(82)가 모터구동되는 보조 피니언(75)의 아래에 위치된 모터구동되는 메인 피니언(도시않음)과 결합될 때까지 당기는데, 이것은 전체 캐브(F)를 프레임(72)상에 완전히 있을 때까지 좌측으로 당긴다.Transfer from right to left takes place on the upper deck of the main car frames 35, 36 and the lower deck between the main car frame 35 and the auxiliary car frame 42. However, for the sake of simplicity it is described here between the same lower deck. In order to return the cab F from the platform 73 to the platform 72, the auxiliary pinion 76 is operated counterclockwise, and the sliding auxiliary rack 71 has its left end 81 at the auxiliary pinion 75. Is moved outward until it is combined with Subsequently, the auxiliary pinion 75 includes a motor-driven main pinion (not shown) located below the auxiliary pinion 75 in which the auxiliary rack 71 and the entire cab F are driven by the left end 82 of the main rack. ) Until it is engaged, which pulls the entire cab F to the left until it is completely on the frame 72.

도 2 내지 도 8 의 실험은 보조 카 프레임의 하부 데크의 목적은 캐브가 메인 카 프레임으로부터 랜딩부로 이송하는 통로를 제공하는 것임을 나타내고 있다. 마찬가지로, 도 9 내지 도 15 의 실시예에서 보조 카 프레임의 하부 데크의 목적은 캐브가 랜딩부로부터 메인 카 프레임으로 이송되기 위한 통로를 제공하는 것이다. 마찬가지로, 도 24 내지 도 30 의 실험은 보조 카 프레임(49)의 상부 2개의 데크의 목적은 캐브가 메인 카 프레임(37)으로부터 랜딩부(50, 51)로 이송되기 위한 통로를 제공하는 것임을 나타내고 있다.The experiments of FIGS. 2 to 8 show that the purpose of the lower deck of the auxiliary car frame is to provide a passage through which the cab transfers from the main car frame to the landing. Likewise, the purpose of the lower deck of the auxiliary car frame in the embodiment of FIGS. 9-15 is to provide a passage for the cab to be transferred from the landing to the main car frame. Likewise, the experiments of FIGS. 24-30 show that the purpose of the upper two decks of the auxiliary car frame 49 is to provide a passage for the cab to be transported from the main car frame 37 to the landings 50, 51. have.

도 39 내지 도 45 에 있어서, 2차데크 보조 카 프레임(49)을 갖는 대신에, 본 발명은 메인 카 프레임(37)과 랜딩부(50, 51) 사이에서 캐브를 위한 통로를 제공하기 위해 한쌍의 플랫포옴(65, 66)을 이용하므로써 이중데크 보조 카 프레임(49a)으로 실행된다. 상기 플랫포옴은 보조 카 프레임(49a)의 길을 벗어나 상향으로 이동가능하며, 전형적으로 단지 1 또는 2 미터의 공간만을 필요로 한다. 따라서, 보조 카 프레임(49)에 대한 6층 승강로 대신에, 4층 승강로를 약간 넘는 승강로가 이중데크 보조 카 프레임(49a)과 플랫포옴(65, 66)을 만족시킬 것이다.39-45, instead of having a secondary deck auxiliary car frame 49,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air for providing a passage for the cab between the main car frame 37 and the landings 50, 51. By using the platforms 65 and 66, the double deck auxiliary car frame 49a is executed. The platform is movable upwards off the road of the auxiliary car frame 49a and typically requires only one or two meters of space. Thus, instead of the six-story hoistway for the auxiliary car frame 49, the hoistway slightly above the four-story hoistway will satisfy the double deck auxiliary car frame 49a and the platforms 65, 66.

도 46 에 있어서, 플랫포옴(65, 66)은 유압 작동기(67, 68)나 기타 다른 적절한 수단에 의해 하부 및 상부 위치 사이에서 각각 이동될 수 있다. 또한, 캐브를 메인 카 프레임과 랜딩부 사이로 이동시키기 위한 수단은, 보조 카 프레임의 길을 벗어나 상향으로 회전할 수 있는 승강로의 엣지를 따라 트랙을 포함하는데, 이것은 도 46 의 전방에서 승강로를 횡단하여 모든 길로 연장되지 않지만, 도 39 내지 도 45 에 도시된 것과 유사하며 완전한 통로를 제공한다. 이러한 부가적인 실시예는 도 2 내지 도 15 의 단일의 캐브 버전으로 변형되었을 때, 단지 하나의 플랫포옴이나 한 세트의 트랙만을 필요로 하게 될 것이며, 명백한 형태로 단일의 데크 보조 카 프레임의 사용을 허용할 것이다. 마찬가지로, 플랫포옴이나 트랙은 카가 메인 카 프레임으로부터 랜딩부로 이송되거나 또는 랜딩부로부터 메인 카 프레임으로 이송되든지 여부에 관계없이 각각의 경우에 레벨(41, 48)에서 보조 엘리베이터 카 프레임의 하나 또는 2개의 데크 대신에 사용될 수도 있다.46, the platforms 65, 66 can be moved between the lower and upper positions, respectively, by hydraulic actuators 67, 68 or other suitable means. In addition, the means for moving the cab between the main car frame and the landing includes a track along the edge of the hoistway that can rotate upwards off the path of the auxiliary car frame, which crosses the hoistway in front of FIG. 46. It does not extend all the way, but is similar to that shown in FIGS. 39-45 and provides a complete passageway. This additional embodiment would require only one platform or a set of tracks when modified to the single cab version of Figures 2-15, allowing for the use of a single deck auxiliary car frame in its obvious form. something to do. Similarly, the platform or track is one or two decks of auxiliary elevator car frames at levels 41 and 48 in each case, regardless of whether the car is transported from the main car frame to the landing or from the landing to the main car frame. It may be used instead.

본 발명은 그 각각의 실시예가 홀수의 샤프트가 짝수 샤프트의 동일한 측에 있는 엘리베이터 샤프트의 스태거형 집단을 갖는 것으로 서술되었다. 그러나, 본 발명은 각각의 엘리베이터 샤프트에서 작동될 것이다. 본 발명은 도 1 내지 도 20에서 좌측에 랜딩부가 있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며, 하부 랜딩부는 한쪽에 있고 상부 랜딩부는 다른 쪽에 있다.상술한 모든 특허출원서는 본 발명에 참조인용되었다.The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which each embodiment has a staggered population of elevator shafts in which the odd shafts are on the same side of the even shaft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work on each elevator shaft.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with landings on the left side in FIGS. 1 to 20, with the lower landings on one side and the upper landings on the other. All of the above patent applications are incorporated herein by reference.

본 발명은 양호한 실시예를 참조로 서술되었기에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기술분야의 숙련자라면 첨부된 청구범위로부터의 일탈없이 본 발명에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해질 수 있음을 인식해야 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preferred embodiments, which is not limited thereto, and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should recognize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can be made to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appended claims.

Claims (17)

빌딩의 제 1 레벨에서의 적어도 하나의 랜딩부와 상기 제 1 레벨로부터 수직으로 이격된 빌딩의 제 2 레벨에서의 적어도 하나의 랜딩부 사이로 이송을 제공하기 위한 엘리베이터 셔틀 시스템에 있어서,An elevator shuttle system for providing transport between at least one landing at a first level of a building and at least one landing at a second level of a building vertically spaced from the first level. 적어도 3개의 엘리베이터 승강로와,At least three elevator lifts, 상기 승강로의 대응의 최하단부와 최상단부 사이에서 각각 이동가능한, 각 승강로에서의 메인 복합데크 엘리베이터 카 프레임과,A main composite deck elevator car frame in each of the hoistways, each movable between the corresponding bottom and top ends of the hoistway; 제 1 및 제 2 레벨에 위치된 보조 엘리베이터와,Auxiliary elevators located at the first and second levels, 상기 하나의 승강로에 인접한 메인 카 프레임 사이와, 최고 승강로 및 최저 승강로의 메인 카 프레임과 보조 카 프레임 사이와, 상기 보조 카 프레임과 랜딩부 사이와, 상기 메인 카 프레임과 상기 랜딩부 사이에서 이동가능한 복수개의 엘리베이터 캐브와,Movable between main car frames adjacent to the one hoistway, between the main car frame and the auxiliary car frame of the highest hoistway and the lowest hoistway, between the auxiliary car frame and the landing part, and between the main car frame and the landing part. A plurality of elevator cabs, 상기 캐브를 상기 하나의 데크와 그 인접한 데크 사이와, 상기 랜딩부중 어느 하나와 그에 인접한 데크 사이로 이동시키기 위하여 상기 카 프레임과 랜딩부에 결합된 수단을 포함하며,Means coupled to the car frame and landing portion to move the cab between the one deck and its adjacent deck and between any one of the landing portions and the deck adjacent thereto; 상기 각각의 승강로의 최하단부는 다른 승강로의 최상단부와 겹쳐지는 가장 낮은 승강로를 제외하며, 상기 각각의 승강로의 최상단부는 다른 승강로의 최하단부와 겹쳐지는 가장 높은 승강로를 제외하며, 상기 각각의 승강로는 그 겹쳐지는 다른 승강로와 연속적이며, 상기 가장 낮은 승강로의 최하단부는 상기 빌딩의 레벨중의 하나이며, 상기 가장 높은 승강로의 최상단부는 빌딩의 다른 레벨에 있으며, 상기 각각의 보조 카 프레임은 한쌍의 위치 사이에서 승강로에서 수직으로 이동가능하며, 상기 각각의 보조 엘리베이터는 보조 복합데크 엘리베이터 카 프레임을 가지며, 상기 보조 카 프레임의 데크는 상기 메인 카 프레임의 데크의 상호분리와 동일하게 상호분리되며, 상기 각각의 보조 카 프레임은 상기 위치중 한쪽 위치에서 관련의 메인 카 프레임이 그 승강로의 대응의 단부에 있을 때 관련의 메인 카 프레임의 대응의 데크에 인접한 데크를 가지며, 상기 위치중 다른쪽 위치에 있을 때의 상기 각각의 보조 카 프레임은 상기 관련의 카 프레임이 그 승강로의 대응의 단부에 있을 때 상기 관련의 메인 카 프레임의 다른쪽 데크에 인접하여 데크를 가지며, 상기 캐브의 갯수는 상기 각각의 메인 카 프레임의 2개의 데크를 위한 하나의 엘리베이터 캐브와, 상기 각각의 보조 카 프레임의 각각의 2개의 데크를 위한 하나의 엘리베이터 캐브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셔틀 시스템.The lowest end of each hoistway excludes the lowest hoistway that overlaps the top end of the other hoistway, and the top end of each hoistway excludes the highest hoistway that overlaps the lowest end of the other hoistway, and each hoistway Lost continuous with other hoistways, the lowest end of the lowest hoist is one of the building's levels, the highest end of the highest hoistway is at another level of the building, and each secondary car frame is hoisted between a pair of locations. Vertically movable in each of the subsidiary elevators has an auxiliary composite deck elevator car frame, the decks of the subcar frame being separated from each other in the same way as the decks of the main car frame The frame is associated with the main cap at one of the positions Has a deck adjacent to the corresponding deck of the associated main car frame when it is at the corresponding end of the hoistway, and wherein each of the auxiliary car frames when in the other of the positions is such that the associated car frame Having a deck adjacent to the other deck of the associated main car frame when at its corresponding end, wherein the number of the cabs is one elevator cab for the two decks of each of the main car frames, An elevator shuttle system, characterized by the same as one elevator cab for each two decks of the auxiliary car fram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단은 상기 각각의 랜딩부와 상기 대응의 메인 카 프레임의 인접한 데크 사이로 직접 이동되는 보조 카 프레임의 적어도 하나의 엑스트라 데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셔틀 시스템.2. The elevator shuttle system of claim 1, wherein the means comprises at least one extra deck of an auxiliary car frame that is moved directly between each landing portion and an adjacent deck of the corresponding main car fram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단은 상기 각각의 랜딩부와 상기 대응의 메인 카 프레임의 인접한 데크 사이로 직접 이동되는 이동가능한 구조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셔틀 시스템.2. The elevator shuttle system of claim 1 wherein the means includes a movable structure that is moved directly between each landing portion and an adjacent deck of the corresponding main car fram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레벨 및 제 2 레벨에서 랜딩부의 쌍 사이에 이송부를 제공하고, 상기 카 프레임은 모두 4개의 데크를 가지며, 캐브의 갯수는 각각의 카 프레임당 2개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셔틀 시스템.2. A vehicl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conveying portion is provided between the pair of landing portions at the first level and the second level, the car frame having all four decks, and the number of cabs is equal to two for each car frame. Elevator shuttle system.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모든 카 프레임은 2개의 데크를 가지며, 캐브의 갯수는 각각의 카 프레임당 하나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셔틀 시스템.2. The elevator shuttle system of claim 1 wherein all the car frames have two decks and the number of cabs is the same as one for each car frame. 빌딩의 제 1 레벨에서의 랜딩부와 상기 제 1 레벨로부터 수직으로 이격된 빌딩의 제 2 레벨에서의 랜딩부 사이로 이송부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A method for providing a transfer between a landing at a first level of a building and a landing at a second level of a building vertically spaced from the first level. (a)복수개의 연속적인 겹쳐진 승강로의 대응의 승강로에서 각각 이동가능한 3개 이상의 이중데크 카 프레임의 동일하게 선택된 데크에서 상기 제 1 레벨로부터 제 2 레벨로 엘리베이터 캐브를 이동시키는 단계와,(a) moving the elevator cab from said first level to a second level in the same selected deck of three or more double deck car frames each movable in a corresponding hoistway of a plurality of successive overlapping hoists; (b)상기 캐브를 제 2 레벨에서 카 프레임의 선택된 데크로부터 상기 제 2 레벨에 대응하는 랜딩부중 하나로 이동시키는 단계와,(b) moving the cab from a selected deck of car frames at a second level to one of the landings corresponding to the second level; (c)상기 캐브를 상기 랜딩부중 하나로부터 제 2 레벨에서 상기 선택된 데크를 제외한 상기 카 프레임의 데크내로 이동시키는 단계와,(c) moving the cab into a deck of the car frame excluding the selected deck at a second level from one of the landing portions, (d)상기 캐브를 제 2 레벨로부터 상기 일련의 카 프레임의 다른 데크에서 상기 제 1 레벨로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부 제공방법.(d) moving the cab from the second level to the first level in another deck of the series of car frames.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엘리베이터 캐브를 제 1 레벨에서 카 프레임의 다른 데크로부터 상기 제 1 레벨에 대응하는 제 2 랜딩부내로 이동시키는 단계와, 상기 엘리베이터 캐브를 상기 제 2 랜딩부로부터 상기 제 1 레벨에서 상기 카 프레임의 선택된 데크내로 이동시키는 단계를 부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부 제공방법.7. The method of claim 6, further comprising: moving the elevator cab at a first level from another deck of the car frame into a second landing corresponding to the first level, and moving the elevator cab from the second landing. Moving to a selected deck of the car frame at a level.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a)단계는 엘리베이터 캐브를 빌딩의 고레벨로부터 빌딩의 저레벨로 이동시키는 단계를 부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부 제공방법.7. The method of claim 6, wherein step (a) further comprises moving the elevator cab from the high level of the building to the low level of the building.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a)단계는 적어도 3개의 엘리베이터 캐브를 상기 일련의 승강로의 각각에 동시에 이동시키는 단계를 부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부 제공방법.7. The method of claim 6, wherein step (a) further comprises simultaneously moving at least three elevator cabs to each of the series of hoistways.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b)단계는 이중데크 보조 엘리베이터내의 캐브를 상기 선택된 데크에 인접한 위치로부터 상기 다른 데크에 인접한 위치로 이동시키는 단계와, 상기 캐브를 하나의 랜딩부내로 이동시키는 단계를 부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부 제공방법.7. The method of claim 6, wherein step (b) comprises moving a cab in a double deck auxiliary elevator from a position adjacent to the selected deck to a position adjacent to the other deck, and moving the cab into one landing portion. Transfer part providing method comprising an additional.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c)단계는 캐브를 하나의 랜딩부로부터 이중데크 보조 엘리베이터내로 이동시키는 단계와, 상기 보조 엘리베이터내의 캐브를 상기 선택된 데크에 인접한 위치로부터 상기 다른 데크에 인접한 위치로 이동시키는 단계를 부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부 제공방법.7. The method of claim 6, wherein step (c) comprises moving the cab from one landing into a double deck auxiliary elevator, and moving the cab in the auxiliary elevator from a position adjacent to the selected deck to a position adjacent to the other deck. Transfer unit providing method comprising the step of further comprising. 빌딩의 제 1 레벨에서의 한쌍의 랜딩부와 상기 제 1 레벨로부터 수직으로 이격된 빌딩의 제 2 레벨에서의 한쌍의 랜딩부 사이로 이송부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A method for providing a transfer between a pair of landings at a first level of a building and a pair of landings at a second level of a building vertically spaced from the first level. (a)복수개의 연속적인 겹쳐진 승강로의 대응의 승강로에서 각각 이동가능한 3개 이상의 일련의 선택된 데크 쌍에서 상기 제 1 레벨로부터 제 2 레벨로 한쌍의 엘리베이터 캐브를 이동시키는 단계와,(a) moving a pair of elevator cabs from said first level to a second level in at least three series of selected deck pairs, each movable in a corresponding hoistway of a plurality of successive overlapping hoistways, (b)상기 캐브를 제 2 레벨에서 카 프레임의 선택된 데크 쌍으로부터 상기 제 2 레벨에 대응하는 랜딩부의 쌍내로 이동시키는 단계와,(b) moving the cab from a selected deck pair of car frames at a second level into a pair of landings corresponding to the second level, (c)상기 캐브를 상기 랜딩부의 한쌍으로부터 제 2 레벨에서 상기 선택된 데크를 제외한 상기 카 프레임의 데크 쌍내로 이동시키는 단계와,(c) moving the cab into a deck pair of the car frame excluding the selected deck at a second level from the pair of landing portions; (d)상기 캐브를 제 2 레벨로부터 상기 일련의 카 프레임의 다른 데크 쌍에서 상기 제 1 레벨로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부 제공방법.(d) moving the cab from the second level to the first level in another deck pair of the series of car frames.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엘리베이터 캐브를 제 1 레벨에서 카 프레임의 다른 데크 쌍으로부터 상기 제 1 레벨에 대응하는 제 2 랜딩부 쌍내로 이동시키는 단계와, 상기 엘리베이터 캐브를 상기 제 2 랜딩부 쌍으로부터 상기 제 1 레벨에서 상기 카 프레임의 데크 쌍내로 이동시키는 단계를 부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부 제공방법.13. The method of claim 12, further comprising moving the elevator cab at a first level from another deck pair of car frames into a second landing pair corresponding to the first level, and moving the elevator cab from the second landing pair. And moving into the deck pair of car frames at the first level.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a)단계는 엘리베이터 캐브를 빌딩의 고레벨로부터 빌딩의 저레벨로 이동시키는 단계를 부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부 제공방법.13. The method of claim 12, wherein step (a) further comprises moving the elevator cab from the high level of the building to the low level of the building. 제 12 항에 있어서, 적어도 3개의 엘리베이터 캐브를 상기 일련의 승강로의 각각에 2개씩 동시에 이동시키는 단계를 부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부 제공방법.13. The method of claim 12, further comprising simultaneously moving at least three elevator cabs in each of the series of hoistways.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b)단계는 이중데크 보조 엘리베이터내의 캐브를 상기 선택된 데크에 인접한 위치로부터 상기 다른 데크에 인접한 위치로 이동시키는 단계와, 상기 캐브를 한쌍의 랜딩부내로 이동시키는 단계를 부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부 제공방법.13. The method of claim 12, wherein step (b) comprises moving a cab in a double deck subsidiary elevator from a position adjacent to the selected deck to a position adjacent to the other deck, and moving the cab into a pair of landings. Transfer part providing method comprising an additional.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c)단계는 캐브를 한쌍의 랜딩부로부터 2차데크 보조 엘리베이터내로 이동시키는 단계와, 상기 보조 엘리베이터내의 캐브를 상기 선택된 데크 쌍에 인접한 위치로부터 상기 다른 데크 쌍에 인접한 위치로 이동시키는 단계를 부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부 제공방법.13. The method of claim 12, wherein step (c) comprises moving the cab from the pair of landings into the secondary deck subsidiary elevator, and moving the cab in the subsidiary elevator from the position adjacent the selected deck pair to the other deck pair. A transfer unit providing method comprising the step of moving to a position.
KR1019970051975A 1996-10-11 1997-10-10 Elevator Shuttle with Unilateral Off Shaft Loading KR19980032716A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72988696A 1996-10-11 1996-10-11
US8/729,886 1996-10-1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2716A true KR19980032716A (en) 1998-07-25

Family

ID=249330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51975A KR19980032716A (en) 1996-10-11 1997-10-10 Elevator Shuttle with Unilateral Off Shaft Loading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H10129956A (en)
KR (1) KR19980032716A (en)
ID (1) ID18823A (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ID18823A (en) 1998-05-14
JPH10129956A (en) 1998-05-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37089B2 (en) Elevator installation with individually movable elevator cars and method for operating such an elevator installation
US7621376B2 (en) Elevator installation and method for operating a vertical elevator shafts arranged adjacent to one another
RU2283270C2 (en) System of lifts
AU735064B2 (en) Horizontal and vertical passenger transport
US5924524A (en) Integrated, multi-level elevator shuttle
EP0776851A2 (en) Synchronized off-shaft loading of elevator cabs
KR102337764B1 (en) Rotation type vertical transport system for robot
AU2002333934A1 (en) Elevator system
US5823299A (en) Shuttle elevators feeding local elevators
US5752585A (en) Elevator shuttle with auxiliary elevators at terminals
JPH09165149A (en) Elevator system
CN1076313C (en) Passenger transfer, double deck, multi-elevator shuttle system
CN112888647A (en) Elevator system with a first part of an elevator system and a second part of an elevator system
FI85576B (en) VERTICAL TRANSPORTSYSTEM I BYGGNADER.
KR19980063701A (en) Elevator shuttle system with yen cap, 2 yen landing, and 3 yen deck
KR19980032716A (en) Elevator Shuttle with Unilateral Off Shaft Loading
JP3953105B2 (en) Elevator shuttle using horizontally transported elevator car
CN112469655B (en) Multi-car elevator system and building structure
JP7249529B1 (en) movement system
KR19980063784A (en) Method and system for moving cargo with passenger shuttle elevator
CN106429732A (en) Drawer type life car vertical elevator and transportation method
CN1186766A (en) Elevator shuttle with unilateral off-shape loading
CN1162565A (en) Extra deck elevator shuttle
KR980009083A (en) Elevator shuttle with auxiliary elevator in terminal
Fortune Modern double deck elevator applications and theor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