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25014A - Printer device - Google Patents

Printer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25014A
KR19980025014A KR1019970049017A KR19970049017A KR19980025014A KR 19980025014 A KR19980025014 A KR 19980025014A KR 1019970049017 A KR1019970049017 A KR 1019970049017A KR 19970049017 A KR19970049017 A KR 19970049017A KR 19980025014 A KR19980025014 A KR 199800250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
print
printer
scanning direction
prin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4901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도시오 나루시마
Original Assignee
이데이 노부유끼
소니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데이 노부유끼, 소니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이데이 노부유끼
Publication of KR199800250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25014A/en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525Arrangement for multi-colour printing, not covered by group B41J2/21, e.g. applicable to two or more kinds of printing or marking proc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015Ink jet characterised by the jet generation process
    • B41J2/04Ink jet characterised by the jet generation process generating single droplets or particles on demand
    • B41J2/045Ink jet characterised by the jet generation process generating single droplets or particles on demand by pressure, e.g.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 B41J2/04501Control methods or devices therefor, e.g. driver circuits, control circuits
    • B41J2/0458Control methods or devices therefor, e.g. driver circuits, control circuits controlling heads based on heating elements forming bubb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015Ink jet characterised by the jet generation process
    • B41J2/04Ink jet characterised by the jet generation process generating single droplets or particles on demand
    • B41J2/045Ink jet characterised by the jet generation process generating single droplets or particles on demand by pressure, e.g.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 B41J2/04501Control methods or devices therefor, e.g. driver circuits, control circuits
    • B41J2/04581Control methods or devices therefor, e.g. driver circuits, control circuits controlling heads based on piezoelectric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015Ink jet characterised by the jet generation process
    • B41J2/04Ink jet characterised by the jet generation process generating single droplets or particles on demand
    • B41J2/045Ink jet characterised by the jet generation process generating single droplets or particles on demand by pressure, e.g.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 B41J2/04501Control methods or devices therefor, e.g. driver circuits, control circuits

Landscapes

  • Ink Je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1종류의 프린트 헤드로 부주사(副走査) 방향에 복수의 해상도를 갖는 인화가 가능한 프린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rinter apparatus capable of printing having a plurality of resolutions in a sub-scanning direction with one type of print head.

프린트 헤드(101)는 노즐수 N, 노즐 간격 K의 비 K/N이 기약 분수로 되어 있고, 스캔1로 건너뛰어 라인 스캔 인화하고, 부주사 방향으로 K를 단위로 하여 노즐수 라인분만큼 종이를 이송하고, 이 동작을 반복함으로써, 실제의 노즐 간격보다 세밀한 부주사 방향의 해상도의 인화가 행해진다. K와 관련한 설정치를 파라메터로 하고, 이 설정치에 기초하여 인터리브 동작을 행하도록 한 것이다.In the print head 101, the number of nozzles N and the ratio K / N of the nozzle spacing K are abbreviated fractions. The print head 101 skips to scan 1 and prints the line scan, and the paper is divided by the number of nozzle lines by K in the sub-scan direction. By transporting this and repeating this operation, printing of the resolution in the sub-scanning direction finer than the actual nozzle spacing is performed. The set value related to K is a parameter, and interleaving operation is performed based on this set value.

Description

프린터 장치Printer device

본 발명은 잉크젯 프린터 등의 프린터 헤드 스캔형의 프린터 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동일한 프린터 헤드를 사용하고, 복수 종류의 인터리브 복주사(複走査)를 가능하게 하여, 복수 종류의 다른 해상도의 인쇄를 가능하게 한 프린터 장치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rinter head scan type printer device such as an inkjet printer, and more particularly, using the same print head, enabling a plurality of types of interleaved copying, and printing a plurality of different resolutions.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rinter apparatus capable of making this possible.

잉크젯 방식의 컬러 프린터는 제어 신호에 따라 잉크 방울을 노즐에서 분사하고, 이것을 종이나 필름 등의 피기록 부재(이하, 간단하게 기록지라 한다) 위에 부착시키는 프린터이며, 소형화나 저코스트화의 가능성을 갖기 위하여 최근 급속하게 보급되고 있다.An inkjet color printer is a printer in which ink droplets are ejected from a nozzle in accordance with a control signal, and are attached onto a recording member (hereinafter simply referred to as a recording sheet) such as paper or film. It is rapidly spreading in recent years.

잉크 방울을 노즐에서 분사하는 방법에는, 피에조 소자의 변위에 의해 잉크를 가압하는 방법과, 발열 소자에 의해 노즐속의 잉크를 가열 기화하여, 발생하는 거품의 압력을 이용하는 방법으로 대별된다.The method of ejecting ink droplets from a nozzle is roughly classified into a method of pressurizing ink by displacement of a piezo element, and a method of using vapor pressure generated by heating and vaporizing ink in the nozzle by a heat generating element.

한편, 오피스에 있어서는, 테스크탑 퍼블리싱이라 칭하는 컴퓨터에 의한 문서 작성이 빈번해져서, 문자나 도형뿐만 아니라 사진과 같은 컬러의 자연 화상을 인쇄하는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On the other hand, in offices, document creation by a computer called desktop publishing has become frequent, and there is an increasing demand for printing not only letters and graphics but also natural images of colors such as photographs.

또한, 이와 같은 용도에서는 1개의 프린터 장치를 이용하여 복수 종류의 다른 해상도를 갖는 인쇄가 요구된다.In addition, in such applications, printing having a plurality of different resolutions is required using one printer device.

즉, 인쇄해야 할 내용(문자, 자연 화상 등)과 인쇄하는 목적(시험 인쇄, 본 인쇄)과 기록지의 종류(보급지, 재생지, 전용지, OHP 용지 등)에 의해, 요구되는 해상도가 달라진다.That is, the required resolution varies depending on the content to be printed (characters, natural images, etc.), the purpose of printing (test print, main print), and the type of recording paper (feeding paper, recycled paper, dedicated paper, OHP paper, and the like).

그런데, 이와 같은 요청을 만족하는 방법으로서, 1종류의 프린트 헤드를 이용하여 그 프린트 헤드의 노즐 간격보다 높은 해상도의 인쇄를 하는 방법이 제안되어 있다.By the way, as a method of satisfying such a request, a method of printing at a resolution higher than the nozzle spacing of the print head by using one type of print head has been proposed.

제1 방법으로서, 1해상도 요소 간격의 이송과, 거의 1헤드 길이분의 이송과의 2종류의 부주사 이송을 행하는 방법이 알려져 있다.As a 1st method, the method of performing two types of sub-scan feeds, the feed of one resolution element space | interval, and the feed of nearly one head length is known.

또한, 제2 방법으로서, 부주사 방향으로 인터리브 제어를 하는 방법이 알려져 있다.As a second method, a method of performing interleave control in the sub-scanning direction is known.

제1 방법은 2종류의 부주사 이송을 해야만 하고, 이송 제어 및 인화 라인의 데이타 제어가 복잡하였다.The first method had to perform two kinds of sub-scan transfers, and the transfer control and data control of the printing line were complicated.

또한, 동일 노즐에 의해 연속하여 부주사 방향으로 복수 라인에 걸쳐 기록되기 때문에, 각 노즐 토출 특성의 차가 두드러져 버려, 이른바 밴딩이 발생되기 쉬워, 화질에 악영향을 끼치는 문제가 있었다.In addition, since a plurality of lines are recorded continuously in the sub-scanning direction by the same nozzle, a difference in each nozzle discharge characteristic becomes noticeable, so-called banding is likely to occur, and there is a problem of adversely affecting image quality.

제2 방법은 통상의 경우, 동일 헤드에 의해 2종류 정도의 인터리브 부주사 이송이 이루어지지만, 이 2종류 정도의 해상도에 한정되고, 각각의 해상도의 인터리브 동작 전용의 이송 제어 및 인화 라인의 데이타 제어가 각각 독립하여 행해지고 있다.In the second method, in general, about two kinds of interleaved sub-scanning are carried out by the same head. However, the second method is limited to these two kinds of resolutions, and the transfer control dedicated to the interleaving operation at each resolution and the data control of the printing line. Are independently performed.

따라서, 이러한 미리 정해진 해상도는 고정적이고, 그 이외의 해상도로의 변경은 가능하지 않은 문제가 있었다.Therefore, such a predetermined resolution is fixed an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change to other resolutions is not possible.

본 발명은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1종류의 프린트 헤드로 부주사 방향으로 복수의 해상도를 갖는 인화가 가능한 프린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rinter apparatus capable of printing with a plurality of resolutions in a sub-scanning direction with one type of print head.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화상 신호에 기초하여, 피기록 부재와 프린트 헤드가 설치된 지지체와의 사이에서 거의 직교하는 2개의 방향으로 주주사(主走査) 및 부주사(副走査)하면서 기록 화상을 형성하는 한편, 상기 부주사 방향으로 K 해상도 요소 간격으로 N개의 노즐군이, 상기 K 및 N의 비(比) K/N이 기약 분수가 되는 값으로 배열된 프린터 장치에 있어서, 상기 K의 값이 1 이상이고 복수 종류의 값을 취하는 정수(整數)이고, 이 K의 값과 관련된 설정치를 파라메터로 하고, 그 설정치에 기초하여 인터리브 동작을 행함으로써 인터리브 동작을 단일 처리로 행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records the main scanning and the sub scanning in two directions which are substantially orthogonal between the member to be recorded and the support on which the print head is installed, based on the image signal. A printer apparatus in which N nozzle groups are arranged at a value such that the ratio K / N of K and N is a fractional fraction at intervals of K resolution elements in the sub-scanning direction while forming an image, wherein K Is an integer that takes one or more values and takes a plurality of types of values, and sets a value related to the value of K as a parameter and performs interleaving operation based on the setting value so that the interleaving operation is performed in a single process. It features.

본 발명에서는, 1종류의 프린트 헤드로 부주사 방향으로 복수의 해상도를 갖는 인화가 가능해짐과 동시에, 인화 조건에 따라 최적의 부주사 방향으로 해상도를 선택할 수 있는 한편, 기록지의 부주사 방향 이송량을 나타내는 설정치를 설정하는 것만으로, 동일한 인터리브 처리로 통상의 프린트와 각 인터리브 동작을 실현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one type of printhead enables printing having a plurality of resolutions in the sub-scanning direction, and at the same time selects the resolution in the optimum sub-scanning direction according to the printing conditions, By setting only the set values indicated, normal printing and respective interleaving operations can be realized by the same interleaving process.

도 1은 본 발명 프린터 장치의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동작 설명도로서, a는 제1 인화(印畵)예에서의 프린트 헤드의 인자 위치를 도시한 선도, b는 제2 인화예에서의 프린트 헤드의 인자 위치를 나타내는 선도.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operation explanatory drawing which shows embodiment of the printer apparatus of this invention, a is a diagram which shows the printing position of the print head in a 1st printing example, b is a printhead of a 2nd printing example. Plot indicating the position of the argument.

도 2는 도1의 선도를 실제 프린트 헤드의 구성에 가까운 도면으로 나타내는 선도.Fig. 2 is a diagram showing the diagram of Fig. 1 in a diagram close to the configuration of an actual print head.

도 3은 프린트 헤드의 일례의 구성도.3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n example of a print head.

도 4는 도 3의 프린트 헤드의 동작 파형도.4 is an operational waveform diagram of the print head of FIG.

도 5는 본 발명의 프린터 장치를 실현하기 위한 시스템 구성을 도시한 개념도.Fig. 5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 system configuration for realizing the printer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과 관련하는 컴퓨터 장치의 신호 처리의 흐름을 나타내는 블럭 회로도.Fig. 6 is a block circuit diagram showing the flow of signal processing of a computer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의 프린터 장치의 신호 처리의 흐름을 나타내는 블럭 회로도.Fig. 7 is a block circuit diagram showing the flow of signal processing in the printer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프린트 헤드의 기구를 도시한 사시도.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mechanism of the print head;

도 9는 프린터측의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9 is a flowchart showing an operation on the printer side.

도 10은 프린터측의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10 is a flowchart showing an operation on the printer side.

도 11은 프린터측의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11 is a flowchart showing an operation on the printer side.

도 12는 프린터측의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12 is a flowchart showing an operation on the printer side.

도 13은 기록지 이송 처리 순서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13 is a flowchart showing a recording sheet conveying processing procedure.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80 : 화상 화일80: image file

90 : 컴퓨터 장치90: computer device

100 : 프린터 장치100: printer device

101 : 프린트 헤드101: print head

210 : 기록지210: recording paper

N1, N2, N3 : 노즐군N1, N2, N3: nozzle group

이하, 본 발명을 도면에 나타낸 실시 형태에 기초하여 설명한다.EMBODIMENT OF THE INVENTION Hereinafter, this invention is demonstrated based on embodiment shown in drawing.

도 1a, b는 본 발명의 프린터 장치에 사용되는 프린트 헤드의 동작 설명도로서, a는 제1 부주사 방향의 해상도를 갖는 인화시의 프린터 헤드의 인자(印字) 위치를 나타내는 선도, b는 제2 부주사 방향의 해상도를 갖는 인화시의 프린터 헤드의 인자 위치를 나타내는 선도이고, a, b 모두 동일한 프린트 헤드를 사용하고 있다.1A and B are explanatory diagrams of the operation of the print head used in the printer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a being a diagram showing the printing position of the print head at the time of printing having the resolution in the first sub-scanning direction, and b being the first It is a diagram showing the printing position of the print head at the time of printing having the resolution in the two sub-scanning directions, and both a and b use the same print head.

또, 노즐의 토출 개시 위치는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화면 우측 방향으로 치우치게 표시하였다.In addition, the discharge start position of the nozzle was shown to be biased toward the screen right side for ease of understanding.

도 1a 및 b에서 사용하는 프린트 헤드(101)는 노즐수 N = 3, 노즐 간격 ≒ 0.3387㎜(75dpi에 상당)로 한다.The print head 101 used in FIGS. 1A and 1 is assumed to have a nozzle number N = 3 and a nozzle spacing of 0.3387 mm (equivalent to 75 dpi).

도 1a에 있어서의 제1 인화예에서는, 주주사 방향 및 부주사 방향 모두 도트 간격 150dpi로 인화하고 있고, 프린트 헤드(101)는 노즐수 N = 3, 노즐 간격 K = 2(따라서, K/N = 3/2로 기약 분수가 된다)이고, 주주사 방향의 도트 간격이 150dpi로 되는 구동 타이밍으로, 스캔1 상에서 스타트한다.In the first printing example in FIG. 1A, both the main scanning direction and the sub scanning direction are printed at a dot interval of 150 dpi, and the print head 101 has a nozzle number N = 3 and a nozzle gap K = 2 (thus, K / N = 3/2, which is a fraction, and starts on Scan 1 at a driving timing at which the dot spacing in the main scanning direction is 150 dpi.

프린트 헤드(101)는 스캔1로 건너 뛴 라인(3라인)을 스캔 인화한다.The print head 101 scan prints the line (three lines) skipped to scan1.

다음에, 부주사 방향으로 K를 단위로 하여 노즐(N) × K분(3라인분)만큼 종이를 이송한다.Next, paper is conveyed by nozzle N x K minutes (for three lines) in the unit of K in the sub-scanning direction.

또, 도면에서는 보기 쉽게 하기 위해 스캔 인화의 스타트 위치를 주주사 방향에서 1도트분 어긋나게 기록하고 있지만, 실제로는 수직으로 이동한다.In addition, although the start position of a scanning print is recorded by one dot shift | deviating from the main scanning direction in the figure, in order to make it easy to see, it actually moves vertically.

이와 같이 기본적인 인터리브 동작에 의한 종이 이송은, 항상 노즐수를 나타내는 값의 라인분만큼 종이를 이송한다.In this way, the paper transfer by the basic interleave operation always transfers the paper by the line of the value indicating the number of nozzles.

이 동작을 반복함으로써, 실제의 노즐 간격보다 미세한 부주사 방향의 해상도의 인화가 가능해 진다.By repeating this operation, the printing of the resolution in the sub-scanning direction finer than the actual nozzle spacing becomes possible.

이와 같이, 근접 라인이 상이한 노즐에 의해 인화되기 때문에, 노즐마다의 토출 특성의 차에 의해, 임시로 노즐에 의한 도트가 변동하여도, 복수 라인에 걸쳐 관찰하면 그 변동이 눈에 띠지 않게 되어 화질이 높아진다.In this way, since the adjacent lines are printed by different nozzles, even if dots due to the nozzles fluctuate temporarily due to the difference in discharge characteristics for each nozzle, the variation becomes inconspicuous when observed over a plurality of lines. Is higher.

도 1b에 있어서의 제2 인화예에서는, 주주사 방향 및 부주사 방향 모두 도트 간격 300dpi로 인화하고, 프린트 헤드(101)는 노즐수 N = 3, 노즐 간격 K = 4(따라서 마찬가지로 기약 분수가 된다)이고, 주주사 방향의 도트 간격이 300dpi로 되는 구동 타이밍으로 구동되어, 부주사 방향의 종이 이송은 노즐수가 3이고 K를 단위로 하여 3라인이 된다.In the second printing example in FIG. 1B, both the main scanning direction and the sub scanning direction are printed at a dot spacing of 300 dpi, and the print head 101 has a nozzle number N = 3 and a nozzle spacing K = 4 (thus a weak fraction as well). And the dot interval in the main scanning direction is driven at a driving timing of 300 dpi, so that the paper feed in the sub-scanning direction is 3 lines with the number of nozzles 3 and K units.

도 1a 및 b에서의 인화예에서는, 각각의 도트 간격(150dpi와 300dpi)으로 최적이 되는 도트 지름이 되도록, 각 노즐의 구동 방법을 제어함으로써, 잉크량이 지나치게 많아지지 않게 된다. 또한, 도시하지 않았지만, 주주사 방향 및 부주사 방향 모두 600dpi로 인화할 수도 있고, 이 때는 노즐수 N = 3, 노즐 간격 K = 8로 되어, 마찬가지로 K/N = 8/3로 기약 분수가 된다.In the printing examples in Figs. 1A and 1B, by controlling the driving method of each nozzle so that the dot diameter becomes optimal at each dot interval (150 dpi and 300 dpi), the amount of ink is not excessively increased. Although not shown, both the main scanning direction and the sub scanning direction can be printed at 600 dpi. In this case, the number of nozzles N = 3 and the nozzle spacing K = 8 are similarly similar to the fraction of K / N = 8/3.

인터리브 동작은 부주사 방향의 해상도 향상을 위한 수단이지만, 이것과 함께 주주사 방향의 인화 밀도를 높임으로써, 주주사, 부주사 모두 해상도를 높일 수 있게 된다.The interleave operation is a means for improving the resolution in the sub-scanning direction, but together with this, by increasing the print density in the main-scanning direction, the resolution of both the main scanning and the sub-scanning can be increased.

상기 도 1의 예에서는, 설명을 위하여 3노즐의 헤드로 동작을 설명하였지만, 도 2에서는 실제 프린터 장치의 헤드 구성에 가까운 예로 나타내고 있다.In the example of FIG. 1, the operation with the head of three nozzles has been described for the sake of explanation, but FIG. 2 shows an example close to the head configuration of the actual printer apparatus.

즉, 노즐수가 15개이고, 해상도는 300dpi와 600dpi의 예로 나타내고 있다.That is, the number of nozzles is 15, and the resolution is shown as an example of 300 dpi and 600 dpi.

도 2에서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각 스캔 개시 위치를 주주사 방향의 각 스캔마다 1도트씩 어긋나게 기입하는 한편, 노즐 N1의 개소를 검은 원으로 표시하고 있다.Also in FIG. 2, each scan start position is shifted by one dot for each scan in the main scanning direction, and the location of the nozzle N1 is indicated by a black circle for easy understanding.

본 예에서는, 동일 헤드를 사용하여, 300dpi와 600dpi의 부주사 방향 인터리브 동작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In this example, the same head is used to enable sub-scan direction interleaving of 300 dpi and 600 dpi.

즉, K1/N = 4/15, K2/N = 8/15으로, 모두 기약 분수가 성립한다.In other words, K1 / N = 4/15 and K2 / N = 8/15, both of which hold the contracted fraction.

스캔별 종이 이송은, 각각의 K를 단위로 하여 15라인이 되고, 스캔1의 검은 원과 스캔2의 검은 원이 좌측 도면, 우측 도면 모두 15라인 어긋나 있다.The paper feed per scan is 15 lines in units of K, and the black circle of Scan 1 and the black circle of Scan 2 are shifted by 15 lines in both the left and right drawings.

이하, 본 발명을 2액 혼합형 잉크젯 프린터(캐리어 제트)에 적용한 예를 도 3 및 도 4에 기초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an example in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a two-liquid mixed inkjet printer (carrier jet) will be described based on FIGS. 3 and 4.

본 발명자는, 먼저 희석액 또는 잉크의 한쪽을 프린트 정보에 따라서 정량하고, 다른쪽을 규정량으로 혼합한 혼합액을 사용한 중간조의 프린트를 행하는 형식(캐리어 제트 방식이라 칭한다)의 새로운 프린트 헤드를 제안하였다(일본 특원평7-254250호, 평성 7년 9월 29일 출원).The inventor first proposed a new printhead of a type (called carrier jet method) in which one of the diluting liquids or inks was quantified according to the print information, and the intermediate tank was printed using the mixed liquid in which the other was mixed in a prescribed amount. Japanese Patent Application No. 7-254250, filed on September 29, 2017.

즉, 도 3 및 도 4는 이 새로운 프린트 헤드의 구성도 및 동작 파형도를 나타내고 있다.That is, FIGS. 3 and 4 show a configuration diagram and an operation waveform diagram of this new print head.

또 도 3에 있어서, a는 전체도, b는 주요부의 확대도이다.3, a is the whole view and b is the enlarged view of a principal part.

이들 도면에서, 오리피스 플레이트(301)에는 정량측 노즐(302)과 토출측 노즐(303)이 설치된다.In these figures, the orifice plate 301 is provided with a metering side nozzle 302 and a discharge side nozzle 303.

이들 노즐(302, 303)에는 각각 잉크 도입홀(304)과 희석액 도입홀(305)이 연결되어 설치된다.Ink nozzles 304 and diluent liquid introduction holes 305 are connected to these nozzles 302 and 303, respectively.

또한 이들 도입홀(304, 305)의 배면측에는 정량측 캐비티(306)와 토츨측 캐비티(307)가 설치된다.In addition, on the back side of these introduction holes 304 and 305, the fixed quantity side cavity 306 and the torch side cavity 307 are provided.

또한, 이들 캐비티(306, 307)의 대향면측에는 진동판(308)이 설치된다.Moreover, the diaphragm 308 is provided in the opposing surface side of these cavities 306 and 307. As shown in FIG.

이 진동판(308)이 각각 정량측 전기 왜곡 소자(309)와 토출측 전기 왜곡 소자(310)에 의해 구동된다.The diaphragm 308 is driven by the fixed-side electric distortion element 309 and the discharge-side electric distortion element 310, respectively.

그리고 이 장치에 있어서, 정량측 전기 왜곡 소자(309)와 토출측 전기 왜곡 소자(310)에는 각각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은 구동 신호가 공급된다.In this apparatus, drive signals as shown in Fig. 4 are supplied to the fixed-side electric distortion element 309 and the discharge-side electric distortion element 310, respectively.

즉, 도 4의 a는 토출측 전기 왜곡 소자(310)에 공급되는 구동 신호의 예를 나태내고, a의 타이밍으로 전기 왜곡 소자(310)에 큰 변위를 부여함으로써 투출측 노즐(303)에서 희석액 도입홀(305)로 충전된 희석액이 토출된다.That is, Fig. 4A shows an example of a drive signal supplied to the discharge-side electric distortion element 310 and introduces a diluent from the discharge-side nozzle 303 by giving a large displacement to the electric distortion element 310 at the timing of a. The diluent filled in the hole 305 is discharged.

또한, b 및 c의 타이밍에서는 각각 전기 왜곡 소자(310)가 토출시와는 반대의 변위를 하고, 토출측 캐비티(307)로부터 희석액이 희석액 도입홀(305)에 재충전된다.At the timings b and c, the electrical distortion elements 310 are displaced opposite to the discharge time, and the diluent is refilled into the diluent introduction hole 305 from the discharge side cavity 307.

또한, 도 4의 b는 정량측 전기 왜곡 소자(309)에 공급되는 구동 신호의 예를 나타내고, d∼e의 기간에 정량측 노즐(302)로부터 잉크가 밀어내어지고, 이 밀어내어진 잉크(311)는 토출측 노즐(303)의 전면에 체류된다.In addition, b of FIG. 4 shows an example of a drive signal supplied to the metering-side electric distortion element 309, and ink is pushed out from the metering-side nozzle 302 in the period of d to e, and the pushed-in ink ( 311 stays in front of the discharge side nozzle 303.

그리고 이 토출 노즐(303)로부터 희석액이 토출됨에 따라, 이 토출된 희석액의 물방울(312)에는 체류된 잉크(311)의 두께에 따른 잉크가 혼합된다.As the dilution liquid is discharged from the discharge nozzle 303, the ink according to the thickness of the ink 311 stayed is mixed in the droplet 312 of the discharged dilution liquid.

따라서, 이 장치에서는 토출 (a)는 예를 들면 1m초의 간격으로 행해지고, 이 때 토출 전기 왜곡 소자(310)에는 예를 들면 0∼20V의 전위 변화가 부여되고, 이 전위 변화에 의한 전기 왜곡 소자(310)의 변위에 의해 희석액이 토출된다.Therefore, in this apparatus, the discharge (a) is performed at an interval of, for example, 1 m second, and at this time, the discharge electric distortion element 310 is provided with a potential change of, for example, 0 to 20 V, and the electric distortion element due to this potential change. The dilution liquid is discharged by the displacement of 310.

한편, 타이밍 (d)에서 정량측 전기 왜곡 소자(309)에는 예를 들면 0∼10V의 전위 변화가 부여된다.On the other hand, the electric potential change of 0-10V is given to the fixed quantity side electric distortion element 309 at timing (d), for example.

따라서, 이 전위 변화에 따라 전기 왜곡 소자(309)에서는 잉크의 토출은 발생하지 않고, 노즐(302) 선단에서 잉크가 밀려나올 뿐이다.Therefore, the ejection of ink does not occur in the electric distortion element 309 in accordance with this potential change, and only ink is pushed out from the tip of the nozzle 302.

그리고 이 장치에서도, d∼e 주기의 길이와 전위 변화폭에 따라서 밀려나오는 잉크의 양이 제어된다.Also in this apparatus, the amount of ink to be pushed out is controlled in accordance with the length of the d to e periods and the potential change width.

이에 따라 토출측 노즐(303)의 전면(前面)에 체류되는 잉크(311)의 두께를 제어할 수 있어, 토출된 물방울(312)의 잉크의 액도를 임의로 제어할 수 있다.Thereby, the thickness of the ink 311 which stays on the front surface of the discharge side nozzle 303 can be controlled, and the liquid level of the ink of the discharged droplet 312 can be controlled arbitrarily.

즉, 상술한 프린트 정보에 따라서 d∼e 기간의 길이와 전위 변화폭을, 예를 들면 도시된 150μ초10V, 50μ초10V와 같이 제어함으로써, 임의의 중간조로 프린트를 행할 수 있다.That is, according to the above-mentioned print information, by controlling the length of the d-e period and the electric potential change range like 150 microseconds 10V and 50 microseconds 10V shown, printing can be performed in arbitrary halftones.

다음에 본 발명과 관련한 컴퓨터 장치의 신호 처리의 흐름을 도 5 및 도 6에 기초하여 설명한다.Next, the flow of signal processing of the computer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based on FIGS. 5 and 6.

도 5에 있어서, 참조 번호 90은 컴퓨터 장치, 80은 컴퓨터에 부수된 대용량 메모리 수단(하드 디스크, CD-ROM 등), 100은 프린터 장치, 101은 프린트 헤드를 나타내고 있다.In Fig. 5, reference numeral 90 denotes a computer device, 80 denotes a large capacity memory means (hard disk, CD-ROM, etc.) accompanying the computer, 100 denotes a printer device, and 101 denotes a print head.

도 6에서, 컴퓨터 장치(90)상에서 인화하는 화상 화일(80)로부터 프린터 장치(100)로 출력하는 데이타까지의 여러가지 신호 처리(후술한다)를 행하여, 프린터상의 헤드가 1회스캔하는데 필요한 인화 데이타를 데이타 집단으로서 프린터 장치(100)에 출력하고, 프린터 장치(100)상에서는 컴퓨터 장치(90)로부터 수취된 1스캔분의 인화 데이타를 프린트한다.In Fig. 6, various signal processes (described later) from the image file 80 printed on the computer device 90 to the data output to the printer device 100 are performed, and the print data necessary for one-time scan of the head on the printer is performed. Is outputted to the printer apparatus 100 as a data group, and on the printer apparatus 100, one scan of print data received from the computer apparatus 90 is printed.

컴퓨터 장치(90)와 프린터 장치(100)의 인터페이스(I/F)로서는, IEEE Std 1284(통칭 Bi-Centronics)나 SCSI-2 등의 패러렐 I/F, 또는 RS-232C나 RS-422A 등의 시리얼 I/F를 이용할 수 있다.Examples of the interface (I / F) of the computer device 90 and the printer device 100 include IEEE Std 1284 (commonly known as Bi-Centronics) and parallel I / F such as SCSI-2 or RS-232C or RS-422A. Serial I / F is available.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전송 데이타수가 많기 때문에 패러렐 I/F를 이용하고 있다.In this embodiment, since the number of data to be transmitted is large, parallel I / F is used.

컴퓨터 장치(90)의 디지탈 신호 처리는, 예를 들면 하드 디스크, CD-ROM 등에 있는 인쇄하고자 하는 화상 화일로부터 출력된 R, G, B의 각 비트의 화상 데이타는 색분해 처리(21)에 의해 시안(C), 마젠다(M) 및 옐로우(Y)의 YMC 데이타로 변환한다.In the digital signal processing of the computer device 90, for example, image data of each bit of R, G, and B output from an image file to be printed on a hard disk, a CD-ROM, or the like is cyan by color separation processing 21. Conversion is made into YMC data of (C), magenta (M) and yellow (Y).

하부색 제거 처리(Under Color Removal : 이하, 간단히 UCR이라 한다 : 22)는 Y, M, C 데이타로부터 블랭크 성분(Bk)을 추출하여, 새로운 Y, M, Bk 데이타를 생성한다.Under Color Removal (hereinafter, simply referred to as UCR: 22) extracts a blank component Bk from Y, M, and C data to generate new Y, M, and Bk data.

색수정·계조 수정(23)은 프린터의 인화 특성에 따라, 수정이 필요한 경우는 색수정·계조 수정을 행한다.The color correction / gradation correction 23 performs color correction / gradation correction when correction is necessary according to the printing characteristics of the printer.

샤프니스 수정(24)은 필요에 따라서 화상의 감도의 정밀화(광역 강조, MTF 보정, 흐려짐 방지) 및 노이즈 제거(평활화, 표면부의 제거) 등의 보정 처리가 행해진다.The sharpness correction 24 performs correction processing such as precision (wide emphasis, MTF correction, blur prevention) and noise removal (smoothing, removal of surface portions) of the image sensitivity as necessary.

수정된 화상 데이타는 다계조 디서 처리(25)에 있어서, 캐리어 제트 프린터의 최대 도트내 계조수에 기초하여, 재현할 수 없는 부분을 다계조 디서 처리한다(구체적으로는 다계조 오차 확산법 등).In the multi-gradation dither processing 25, the corrected image data is subjected to multi-gradation dither processing based on the maximum number of tones in dots of the carrier jet printer (specifically, the multi-gradation error diffusion method or the like).

밴드화(26)에 의해, 프린터 장치(100)의 헤드 스캔 동작 및 인터리브 부주사 동작을 이루기 위해, 라인 단위의 재배열을 행하여, 실제의 헤드 스캔에서 사용하는 순서로 변환한다(또, 밴드화에 대해서는 후술한다).By the banding 26, in order to achieve the head scan operation and the interleaved sub-scanning operation of the printer apparatus 100, rearrangement is performed in units of lines and converted into the order used in the actual head scan (and banding). Will be described later).

컴퓨터 장치(90)에서는 이와 같은 처리를 행함으로써, 프린트 헤드(101)의 스캔 단위의 인화 데이타를 생성함과 동시에, 프린터 장치(100)의 실제의 인자에 동기하여 프린터 장치(100)에 전송한다.By performing such a process, the computer device 90 generates print data in units of scans of the print head 101 and transmits it to the printer device 100 in synchronization with the actual printing of the printer device 100. .

프린터 장치(100)에서는 토출 제어(28)에 의해 인화 데이타를 제어하고, 이 혼합 토출 동작을 행하여 프린트 헤드(101)에서 잉크 방울을 토출한다.The printer apparatus 100 controls the print data by the ejection control 28, and performs the mixed ejection operation to eject the ink droplets from the print head 101. FIG.

상기 밴드화(26)는 프린터의 헤드 스캔 동작 및 인터리브 부주사 동작을 하기 위해, 라인 단위의 재배열을 행하여, 실제의 헤드 스캔으로 사용하는 순서로 한다.In order to perform the head scan operation and the interleaved sub-scanning operation of the printer, the banding 26 is rearranged line by line and used in the actual head scan.

본 실시 형태에서는, 인화 전에 인화 조건(사용 기록지의 종류 및 인화 화질 모드 등)에 따라, 인화할 때의 부주사 방향의 해상도가 결정된다.In this embodiment, the resolution in the sub-scanning direction at the time of printing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printing conditions (type of recording paper used and print quality mode, etc.) before printing.

구체적으로는, 150dpi(K=2), 300dpi(K=4), 600dpi(K=8) 등의 프린터가 갖고 있는 가능한 해상도 중에서 최적의 해상도 및 K의 값이 결정된다.Specifically, the optimum resolution and the value of K are determined from the possible resolutions of the printer such as 150 dpi (K = 2), 300 dpi (K = 4), and 600 dpi (K = 8).

예를 들면, 전용 기록지이고 고화질 모드라면 600dpi, K=8, 보통 용지이고 드래프트 모드라면 150dpi, K=2로 된다.For example, it is 600 dpi, K = 8 for the exclusive recording paper and the high quality mode, and 150 dpi, K = 2 for the plain paper and the draft mode.

그리고, 프린트 개시시 또는 인화 개시시에 프린터 제어 명령 또는 PDL(Page Discription Language : 페이지 기술 언어)로서 이 결정된 부주사 방향의 해상도를 나타내는 명령이 컴퓨터 장치(90)에서 프린터로 전송된다.Then, at the start of printing or at the start of printing, a command indicating the resolution in the determined sub-scanning direction as a printer control command or PDL (Page Description Language) is transmitted from the computer device 90 to the printer.

밴드화의 처리는, 이와 같이 하여 결정된 부주사 방향의 해상도로부터 결정된 인터리브 동작에 기초하여, 라인의 재배열을 행하고, 실제의 헤드 스캔으로 사용하는 순서로 하고 있다.The banding process is based on the interleaving operation determined from the resolution in the sub-scanning direction determined in this way, and the lines are rearranged and used in the actual head scan.

도 7은 본 발명을 적용한 프린터 장치의 일예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다.7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example of a printer apparatus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이 도 7에서, 호스트 컴퓨터(도시하지 않음)로부터의 프린트 데이타나, 프린트 제어 데이타는 바이센트로닉스(IEEE Std 1284), SCSI(패러렐)나, RS232C, RS422A(시리얼) 등의 데이타 입력 인터페이스(I/F : 1)을 통하여 내부의 CPU 시스템 버스(2)에 공급된다.In this Fig. 7, print data from a host computer (not shown) and print control data include data from an input interface I such as Bicentnics (IEEE Std 1284), SCSI (parallel), RS232C, RS422A (serial), or the like. / F: is supplied to the internal CPU system bus 2 via 1).

이 CPU 시스템 버스(2)에는 CPU(3), ROM(4), RAM(5) 외에 후술하는 프린트를 행하는 기구 회로가 접속되어 있다.In addition to the CPU 3, the ROM 4, and the RAM 5, a mechanism circuit for performing printing described later is connected to the CPU system bus 2.

그리고 이 장치에서, 시스템 버스(2)로부터의 프린트 정보 신호가 D/A 변환부(6)로 공급되어 임의의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되고, 이 변환된 아날로그 신호가 드라이브부(7)에 공급된다.In this apparatus, the print information signal from the system bus 2 is supplied to the D / A converter 6 to be converted into an arbitrary analog signal, and the converted analog signal is supplied to the drive 7.

그리고 이 드라이브부(7)에서, 예를 들면 상술한 도 4의 B의 d∼e 기간의 길이와 전위 변화폭을 변조한 변조 신호가 형성되고, 이 변조 신호가 프린트 헤드 변조부(8)[도 3의 전기 왜곡 소자(309)]에 인가된다.In this drive unit 7, for example, a modulated signal obtained by modulating the length of the d-e period and the potential change width of B in FIG. 4 described above is formed, and this modulated signal is generated by the printhead modulator 8 (FIG. 3 is applied to the electrical distortion element 309].

또한, 시스템 버스(2)로부터의 프린트 제어 신호가 타이밍 제어부(9)로 공급된다.The print control signal from the system bus 2 is also supplied to the timing controller 9.

그리고 이 타이밍 제어부(9)로부터의 D/A 변환 트리거 신호가 D/A 변환부(6)에 공급됨과 동시에, 예를 들면 상술한 도 4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은 토출 구동 신호가 형성되고, 이 토출 구동 신호도 드라이브부(10)를 통하여 프린트 헤드 토출부(11)[도 3의 전기 왜곡 소자(310)]에 인가된다.The D / A conversion trigger signal from the timing control unit 9 is supplied to the D / A conversion unit 6, and at the same time, a discharge drive signal as shown in FIG. 4A is formed, for example. This discharge drive signal is also applied to the print head discharge portion 11 (electrical distortion element 310 in FIG. 3) via the drive portion 10.

또, 도면은 1개 프린트 헤드의 1개의 노즐에 대해서만 도시하였지만, 복수의 프린트 헤드의 복수의 노즐의 구동을 행하는 경우에는, 그 노즐의 수만큼, 상술한 D/A 변환부(6)∼프린트 헤드 변환부(8), 및 드라이브부(10)와 프린트 헤드 토출부(11)가 설치되는 것이다.In addition, although the figure has shown only one nozzle of one printhead, when driving the some nozzle of a some printhead, the D / A conversion part 6-print mentioned above by the number of the nozzles is mentioned. The head converting section 8, the drive section 10 and the print head ejecting section 11 are provided.

또한 타이밍 제어부(9)로부터의 모터 구동 트리거 신호가 모터 제어부(12)에 공급된다.In addition, a motor drive trigger signal from the timing controller 9 is supplied to the motor controller 12.

또한 시스템 버스(2)로부터의 모터 구동 제어 신호가 모터 제어부(12)에 공급된다.The motor drive control signal from the system bus 2 is also supplied to the motor controller 12.

그리고 이 모터 제어부(12)로터의 모터 구동 신호가 모터 드라이브부(13)를 통하여 종이 이송 모터 및 헤드 이송 모터(14)에 공급된다.The motor drive signal of the rotor of the motor controller 12 is supplied to the paper feed motor and the head feed motor 14 through the motor drive unit 13.

또한, 헤드 위치 검출 센서(15)로부터의 위치 검출 신호가 타이밍 제어부(9)로 공급된다.Further, the position detection signal from the head position detection sensor 15 is supplied to the timing controller 9.

또한, 프린트 헤드의 노즐(도시하지 않음) 부근 등에 설치된 온도 센서(16)로부터의 온도 검출 신호가, 센서 인터페이스(I/F)(17)를 통하여 시스템 버스(2)로 공급된다.In addition, the temperature detection signal from the temperature sensor 16 provided in the vicinity of the nozzle (not shown) of the print head is supplied to the system bus 2 via the sensor interface (I / F) 17.

그리고 이들 센서로부터의 신호에 의해 예를 들면 프린트 헤드의 왕복 장치에 있어서의 오차의 조정이나, 상술한 문헌(특원평7-254250호)에 기술된 바와 같은 온도 변화에 대한 제어 등이 행해진다.By the signals from these sensors, for example, adjustment of the error in the reciprocating device of the print head, control of the temperature change as described in the above-mentioned document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7-254250), and the like are performed.

또한 도 8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프린터 장치의 기구의 설명을 위한 구성도이다.8 is a block diagram for explaining the mechanism of the printer apparatus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이 도 8에서, 기록지(210)는 플라텐(211)의 주면에 감겨져 이송됨과 동시에, 이 플라텐(211)은 종이 이송 모터(212)에 의해, 풀리(213, 214), 벨트(215)를 통하여 회전 이동된다.In FIG. 8, the recording paper 210 is wound around the main surface of the platen 211 and conveyed, and the platen 211 is pulled 213 and 214 and the belt 215 by the paper feed motor 212. It is rotated through.

또한, 프린트 헤드(216)는 헤드 이송 기구(217)를 통하여, 플라텐(211)의 주면에 평행하게 설치된 이동 나사(218)로 취부되어 있다.In addition, the print head 216 is attached by the moving screw 218 provided in parallel with the main surface of the platen 211 via the head feed mechanism 217.

그리고 이 헤드 이송 기구(217)에 의해 플라텐(211)의 주면에 평행하게 이동된다.Then, the head feed mechanism 217 is moved in parallel with the main surface of the platen 211.

또한 이 헤드 이송 기구(217)에는 설편(舌片 : 201)이 헤드 이송 기구(217)의 이동 경로에 설치된 위치 검출 센서(202)에 의해 검출되어, 프린터 헤드(216)의 주사 위치가 검출되도록 되어 있다.In addition, tongue head 201 is detected by the position detection sensor 202 provided in the movement path of the head feed mechanism 217, and the scanning position of the printer head 216 is detected in this head feed mechanism 217. It is.

그리고 이 장치에서, 예를 들면 호스트 컴퓨터(도시하지 않음)로부터의 프린트 정보(203)가 공급되어 헤드 드라이브, 헤드 이송 제어, 종이 이송 제어 등의 제어 신호(204)가 형성된다.In this apparatus, for example, print information 203 from a host computer (not shown) is supplied to form control signals 204 such as a head drive, head feed control, paper feed control, and the like.

그리고 이들 제어 신호가 각 프린트 헤드(216), 헤드 이송 기구(217), 종이 이송 모터(212)로 공급되어, 프린트 정보에 따른 프린트와, 기록지의 이송 및 프린트 헤드의 주사가 행해진다.These control signals are supplied to each of the print heads 216, the head feed mechanism 217, and the paper feed motor 212, and the printing according to the print information, the conveyance of the recording paper, and the scanning of the print head are performed.

다음에, 프린터측의 동작을 도 9 내지 도 12에 도시한 플로우차트에 기초하여 설명한다.Next, the operation of the printer side will be described based on the flowcharts shown in FIGS. 9 to 12.

전원의 투입에 의해 동작이 스타트되면, 먼저 스텝 [111]에서 장치가 초기화 처리된다.When the operation is started by turning on the power, the device is first initialized in step [111].

다음에 스텝 [112]에서 컴퓨터로부터 프린터 처리의 기동 처리 커맨드를 수취하였는지의 여부를 판단하여, 수취되어 있지 않을 때 (N)은 스텝 [112]로 되돌아가 아이들링 상태로 된다.Next, in step [112], it is judged whether or not the start processing command of the printer processing has been received from the computer, and when it is not received, (N) returns to step [112] and enters an idling state.

기동 처리 커맨드를 수취했을 때 (Y)는, 프린트가 스타트하여, 스텝 [113]에서 컴퓨터로부터 전송되는 프린터 제어 명령 중 제 설정 커맨드에 의해, 프린터 내의 각 설정을 행한다.When the start processing command is received (Y), printing starts and each setting in the printer is performed by the first setting command among the printer control commands transmitted from the computer in step [113].

여기에서, 본 발명의 부주사 방향의 해상도를 나탄는 커맨드 처리가 행해진다.Here, command processing is performed to display the resolution in the sub-scanning dir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다음에 스텝 [114]에서 기록지(기록 매체)가 급지되고, 스텝 [115]에서 기록지가 프린트 개시 위치까지 종이 이송되어 급지가 완료되었는지의 여부가 판단되어, 완료되어 있지 않을(N)때에는 스텝 [114]로 되돌아 가고, 급지가 완료되었을 때 (Y)는 스텝 [116]으로 진행한다.Next, in step [114], the recording paper (recording medium) is fed, and in step [115], the recording paper is fed to the print start position, and it is judged whether or not the feeding is completed, and when it is not completed (N), the step [ 114], and when paper feeding is complete, (Y) advances to step [116].

스텝 [116]에서 프린트 인화 데이타를 수신하여, 수신 버퍼에 기입한다.In step [116], print print data is received and written to the reception buffer.

스텝 [117]에서, 수신 버퍼로부터 각 프린트 헤드에 대응하는 스캔 버퍼에 수신된 인화 데이타를 기입한다.In step [117], the received print data is written from the reception buffer to the scan buffer corresponding to each print head.

스텝 [118]에서 부주사 방향의 기록 개시 위치를 지시하는 커맨드를 수신하였는지의 여부를 판단하여, 수신하였을 때(Y)는 스텝 [119]로 진행하고, 부주사 방향의 기록 개시 위치까지 기록지를 이송하고, 수신되어 있지 않을 때(N)는 스텝 [120]으로 진행한다.In step [118], it is determined whether or not a command indicating a recording start position in the sub-scanning direction has been received, and when it is received (Y), the flow advances to step [119], and the recording sheet is reached to the recording start position in the sub-scanning direction. When it transfers and is not received (N), it progresses to step [120].

스텝 [120]에서는 1스캔분의 프린트 인화 데이타를 수신하여, 그것을 각 헤드의 스캔 메모리에 전부 기입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모두 기입되었을 때(Y)는 스텝 [121]로 진행하고, 기입이 완료되지 않았을 때(N)는 스텝 [116]으로 되돌아 간다.In step [120], print print data for one scan is received and it is determined whether or not all of them have been written to the scan memory of each head. When all are written (Y),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121], where writing is performed. When it is not completed (N), it returns to step [116].

스텝 [121]에서는 프린트 헤드에서 스캔 버퍼의 인화 데이타를 1스캔분 인화한다.In step [121], the printhead prints the print data in the scan buffer for one scan.

스텝 [122]에서는 프린트 헤드를 복동작시켜 원래의 위치로 돌아간다(한쪽편 스캔 인화시).In step [122], the print head is double-acted and returned to the original position (at the time of scanning printing on one side).

스텝 [123]에서는 연속 인터리브 인화 동작을 나타내는 커맨드를 수신하였는지의 여부를 판단하여, 수신되었을 때(Y)는 스텝 [124]로 진행하고, 수신되지 않았을 때(N)는 스텝 [125]로 진행한다.In step [123], it is determined whether or not a command indicating a continuous interleaving print operation has been received, and when it is received (Y) proceeds to step [124], and when not received (N) proceeds to step [125]. do.

스텝 [124]에서는 미리 설정된 부주사 방향의 해상도에 따른 거리분만큼 기록지를 보낸다(인터리브 이송 제어).In step [124], the recording sheet is sent by the distance corresponding to the resolution of the preset sub-scanning direction (interleave feed control).

스텝 [125]에서는, 다음의 스캔 인화 데이타를 수신하였는지의 여부가 판단되어, 수신했을 때(Y)는 스텝 [124]로 진행하고, 수신되지 않았을 때(N)는 스텝 [126]에서 부주사 방향의 기록지 개시 위치를 지시하는 커맨드를 수신하였는지의 여부가 판단되어, 수신했을 때(Y)는 스텝 [119]로 돌아가고, 수신되어 있지 않을 때(N)는 스텝 [128]로 진행한다.In step [125],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next scan print data has been received, and when it is received (Y),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124], and when not received (N), the sub-scanning is performed in step [126]. It is determined whether or not a command indicating the recording paper start position in the direction has been received, and when it receives (Y), the process returns to step [119], and when not received (N),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128].

스텝 [128]에서는 프린트 처리 종료에 관한 처리 커맨드를 수신하였는지의 여부가 판단되어, 수신되어 있지 않을 때(N)는 스텝 [123]으로 돌아가고, 수신했을 때(Y)는 스텝 [129]로 진행한다.In step [128], it is determined whether or not a processing command relating to the end of print processing has been received, and when not received (N) returns to step [123], and when received (Y), proceeds to step [129] do.

스텝 [129]에서는 기록지를 배지하고, 스텝 [130]에서 기록지가 배출 완료되었는지의 여부가 판단되어, 배출 완료일 때(Y)는 프린트 종료 처리가 설정되어 아이들로 돌아가고, 배출 완료되지 않았을 때(N)는 스텝 [129]로 돌아간다.In step [129], the recording sheet is discharged, and in step [130], it is determined whether or not the recording sheet has been discharged. When discharge is completed (Y), when the print end processing is set, return to the idle, and when discharge is not completed (N ) Returns to step [129].

다음에, 프린터 내의 CPU에서의 인터리브 부주사 이송 제어의 동작을 도 13의 플로우차트로 설명한다.Next, the operation of the interleaved sub-scan transfer control in the CPU in the printer will be described with the flowchart of FIG.

이 도 13의 플로우차트에서는 1회의 인터리브 부주사 이송 동작을 나타내고 있다.In the flowchart of FIG. 13, one interleaved sub-scan transfer operation is shown.

인화 개시전에 상기 RAM(5)에, 예를 들면 다음과 같은 부주사 이송 단위 및 부주사 이송 파라메터를 설정하여 둔다.Before the start of printing, the following subscan transfer unit and subscan transfer parameters are set in the RAM 5, for example.

부주사 이송 단위 … 600dpiSub-scan feed unit. 600 dpi

부주사 이송 파라메터 … 1 … K=8일 때Sub-scan feed parameters. One … When K = 8

2 … K=4일 때2 … When K = 4

4 … K=2일 때4 … When K = 2

8 … K=1일 때8 … When K = 1

노즐수 … 15노즐Nozzle Number 15 nozzles

다음에, 부주사 이송 파라메터와 노즐수로부터 부주사 이송수를 구한다.Next, the sub scanning feed water is obtained from the sub scanning feed parameter and the number of nozzles.

부주사 이송수(= 부주사 이송 파라메터 × 노즐수)Sub-scan feedrate (= sub-scan feed parameter × number of nozzles)

15(= 1×15) …………………………………………… K=8일 때15 (= 1 × 15)... … … … … … … … … … … … … … … … … When K = 8

30(= 2×15) …………………………………………… K=4일 때30 (= 2 x 15). … … … … … … … … … … … … … … … … When K = 4

60(= 4×15) …………………………………………… K=2일 때60 (= 4 x 15). … … … … … … … … … … … … … … … … When K = 2

120(=8×15) …………………………………………… K=1일 때120 (= 8 x 15). … … … … … … … … … … … … … … … … When K = 1

스텝 [151]에서 인터리브 부주사 1회 이송이 스타트하고, 스텝 [152]에서 CPU 내의 부주사 이송 카운터에 부주사 이송수를 세트하고, 스텝 [153]에서 기록지 부주사 이송을 개시한다. 스텝 [154]에서는 부주사 이송 단위분 이송마다 부주사 이송 카운터를 카운트 다운한다.In step [151], one-time transfer of the interleaved sub-scan is started. In step [152], the number of sub-scan feeds is set in the sub-scan feed counter in the CPU, and in step [153], the recording paper sub-scan feed is started. In step [154], the subscan feed counter is counted down for each subscan feed unit transfer.

스텝 [155]에서는 부주사 이송 카운터의 값 ≤ 0인지의 여부를 판단하여, 긍정(Y)이면 스텝 [156]에서 부주사 이송을 종료하고, 부정(N)이면 스텝 [154]로 돌아간다.In step [155], it is determined whether or not the value of the sub-scan transfer counter is equal to 0. If affirmative (Y), the subscan transfer ends in step [156], and if it is negative (N), the flow returns to step [154].

다음에, 본 발명을 온디맨드형 잉크젯 프린터 장치에 적용한 예에 대하여 이것을 전술한 도 6 및 도 7을 다시 참조하여 설명한다.Next, an example of applying the present invention to an on-demand inkjet printer apparatu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6 and 7 described above.

온디맨드 방식의 프린터 장치에 있어서의 상위점은, 도 7의 헤드 회로부에서 잉크 토출 발생력을 피에조 소자로 대표되는 전기 왜곡 소자의 변위에 의해 발생시키는 경우, 혹은 발열 소자의 발열로 발생하는 버블에 의해 잉크 방울을 토출하는 경우에 있어서도 마찬가지로, 프린트 헤드 및 토출 드라이브부만의 차이이고, 프린트 헤드에 의해 2치의 잉크 방울을 토출하는 이외에는 동일한 동작이기 때문에, 이후의 설명은 생략한다.The difference between the on-demand printer apparatus is that the ink discharge generating force is generated by the displacement of the electric distortion element represented by the piezoelectric element in the head circuit portion of FIG. 7 or by the bubble generated by the heat generation of the heat generating element. Similarly, in the case of ejecting the ink drops, the difference is only in the print head and the ejection drive unit, and since the operation is the same except that the two ink drops are ejected by the print head, the following description is omitted.

도 6의 컴퓨터 장치의 일반적인 신호 처리의 흐름에 있어서의 본 발명과의 상이점은, 다치화 디서 처리(25)에 있어서의 다치화 디서 처리가, 2치화 디서 처리(25')로 바뀌어, 이 2치화 디서 처리(25') 이후의 처리가 1bit/1화소·1색의 데이타로 변경될 뿐이며, 그 외에는 동일해 진다.The difference from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general signal processing flow of the computer apparatus of FIG. 6 is that the multivalued dither processing in the multivalued dither processing 25 is replaced with a binary dither processing 25 '. The processing after the digitalization processing 25 'is only changed to data of 1 bit / 1 pixel and one color, and the same is otherwise applied.

이에 따라, 온디맨드 방식의 프린터에 있어서의 최적의 색처리를 행할 수 있다.As a result, optimal color processing in the on-demand printer can be performed.

또, 프린터 장치의 기록 방식으로서, 예를 들면 발열 소자에 의해 잉크를 가열 기화하여 토출하는 방식의 캐리어 제트 방식 잉크젯 프린터, 2치 방식 잉크젯 프린터, 도트 지름 변조 방식 잉크젯 프린터, 및 캐리어 제트 방식 이외의 농도 변조 방식 잉크젯 프린터 등 각종 잉크젯 프린터 장치에도 적용할 수 있다.In addition, as a recording method of the printer apparatus, for example, a carrier jet inkjet printer, a binary inkjet printer, a dot diameter modulation inkjet printer, and a carrier jet method of a method of heating and vaporizing ink by a heat generating element and discharging the ink, are used. It can also be applied to various inkjet printer apparatuses such as density modulation inkjet printers.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ollowing effects can be obtained.

(a) 1종류의 프린트 헤드로 부주사 방향으로 복수의 해상도를 갖는 인화가 가능해 진다.(a) Printing with a plurality of resolutions in the sub-scanning direction is possible with one type of print head.

(b) 인화 조건에 따라, 최적의 부주사 방향으로 해상도를 선택할 수 있다.(b) Depending on the printing conditions, the resolution can be selected in the optimum sub-scanning direction.

(c) 기록지의 부주사 방향 이송량을 나타내는 설정치를 설정하는 것만으로, 동일한 인터리브 처리로 통상의 프린트와 각 인터리브 동작을 실현할 수 있다.(c) By simply setting a set value indicating the sub-scan direction feed amount of the recording paper, it is possible to realize normal printing and each interleaving operation by the same interleaving process.

(d) 부주사 방향의 기록지 제어가 K와 관련하는 설정치의 설정만으로 동일한 처리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d) The same processing method can be used only by setting the set value associated with K for recording paper control in the sub-scanning direction.

(e) 주주사의 해상도와 부주사의 해상도를 적당한 값으로 함으로써 인화 화상의 애스펙트비가 1:1 이외의 것을 실현할 수 있으므로, 비디오 화상 신호로부터 입력된 화상 인화시에, 애스펙트비 변환 처리가 불필요하게 된다.(e) By setting the resolution of the main scan and the resolution of the subscan to an appropriate value, it is possible to realize that the aspect ratio of the printed image is other than 1: 1. Therefore, the aspect ratio converting process is unnecessary when printing the image input from the video image signal.

Claims (8)

화상 신호에 기초하여, 피기록(被記錄) 부재와 프린터 헤드가 설치된 지지체와의 사이에서 거의 직교하는 2개의 방향으로 주주사(主走査) 및 부주사(副走査)하면서 기록 화상을 형성하는 한편, 상기 부주사 방향으로 K 해상도 요소 간격으로 N개의 노즐군이, 상기 K 및 N의 비(比) K/N이 기약 분수가 되는 값으로 배열된 프린터 장치에 있어서,Based on the image signal, the recorded image is formed while the main scanning and the sub scanning are performed in two directions which are substantially orthogonal between the member to be recorded and the support provided with the printer head, In the printer apparatus in which N nozzle groups are arranged at intervals of K resolution elements in the sub-scanning direction, such that the ratio K / N of the K and N is a fractional fraction. 상기 K의 값이 1 이상이고 복수 종류의 값을 취하는 정수(整數)이며, 이 K의 값과 관련된 설정치를 파라메터로 하고, 그 설정치에 기초하여 인터리브 동작을 행함으로써 인터리브 동작을 단일 처리로 행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터 장치.The value of K is an integer greater than or equal to 1 and takes a plurality of kinds of values, and the interleaving operation is performed in a single process by setting the parameter related to the value of K as a parameter and performing the interleaving operation based on the setting value. A printer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인터리브 동작의 설정치는, 기록지의 종류와 인화 화질 모드 등의 인화 조건에 따라 결정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터 장치.And the set value of the interleave operation is determined according to printing conditions such as the type of recording paper and the print quality mode.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기록지상의 도트 사이즈가, 인접하는 도트끼리 중복하도록 토출량을 설정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터 장치.And the discharge amount is set so that the dot size on the recording sheet overlaps adjacent dots.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인터리브 동작에 따른 부주사 방향의 해상도에 맞추어 주주사 방향의 프린트 헤드 구동 속도를 제어하여, 주주사와 부주사의 양방향이 관련하는 해상도의 인화가 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터 장치.And a print head driving speed in the main scanning direction in accordance with the resolution in the sub-scanning direction according to the interleave operation, so that the bidirectional printing of the main scan and the sub-scanning results in a print of a related resolution.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프린트 헤드를 주주사 방향에 대하여 기록색이 상이한 프린트 헤드를 복수 배열하여 풀컬러(full color) 인자(印字)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터 장치.And a plurality of print heads having different recording colors in the main scanning direction so as to be able to print in full color.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프린트 헤드는, 희석액 또는 잉크의 한쪽을 프린트 정보에 따라서 정량(定量)하고, 다른쪽을 규정량으로 혼합한 혼합액을 이용하여 중간조의 프린트를 행하는 2액 혼합식 프린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터 장치.The print head is a two-liquid mixed printer which quantifies one of diluents or inks in accordance with print information, and prints a halftone using a mixture of a mixture of a prescribed amount and the other. .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프린트 헤드는 버블젯 프린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터 장치.And the print head is a bubble jet printer. 화상 신호에 기초하여, 피기록(被記錄) 부재와 프린터 헤드가 설치된 지지체와의 사이에서 거의 직교하는 2개의 방향으로 주주사(主走査) 및 부주사(副走査)하면서 기록 화상을 형성하는 한편, 상기 부주사 방향으로 K 해상도 요소 간격으로 N개의 노즐군이, 상기 K 및 N의 비(比) K/N이 기약 분수가 되는 값으로 배열되어 상기 화상 신호를 인쇄하는 프린트 방법에 있어서,Based on the image signal, the recorded image is formed while the main scanning and the sub scanning are performed in two directions which are substantially orthogonal between the member to be recorded and the support provided with the printer head, A printing method in which N nozzle groups at intervals of K resolution elements in the sub-scanning direction are arranged at a value such that the ratio K / N of K and N becomes a fractional fraction, and prints the image signal. 상기 K의 값이 1 이상이고 복수 종류의 값을 취하는 정수(整數)이며, 이 K의 값과 관련된 설정치를 파라메터로 하고, 그 설정치에 기초하여 인터리브 동작을 행함으로써 인터리브 동작을 단일 처리로 행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트 방법.The value of K is an integer greater than or equal to 1 and takes a plurality of kinds of values, and the interleaving operation is performed in a single process by setting the parameter related to the value of K as a parameter and performing the interleaving operation based on the setting value. Print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KR1019970049017A 1996-09-27 1997-09-26 Printer device KR19980025014A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8256025A JPH10100391A (en) 1996-09-27 1996-09-27 Printer
JP96-256025 1996-09-2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5014A true KR19980025014A (en) 1998-07-06

Family

ID=172868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49017A KR19980025014A (en) 1996-09-27 1997-09-26 Printer device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H10100391A (en)
KR (1) KR19980025014A (en)
TW (1) TW406050B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2643B1 (en) * 1998-08-28 2005-06-02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Image printing method and devic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3196B1 (en) 2018-12-18 2020-09-07 주식회사 포스코 High carbon boron added steel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CN113442577B (en) * 2020-03-28 2022-06-14 深圳市汉森软件有限公司 Printing method, device,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for outputting decimal ink quantity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94544A (en) * 1982-05-11 1983-11-12 Canon Inc Recording apparatus
US4540996A (en) * 1982-05-11 1985-09-10 Canon Kabushiki Kaisha Recording apparatus
JPH0345349A (en) * 1989-07-13 1991-02-2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Color printer
JPH06127032A (en) * 1992-10-15 1994-05-10 Seiko Epson Corp Recording apparatu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94544A (en) * 1982-05-11 1983-11-12 Canon Inc Recording apparatus
US4540996A (en) * 1982-05-11 1985-09-10 Canon Kabushiki Kaisha Recording apparatus
JPH0345349A (en) * 1989-07-13 1991-02-2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Color printer
JPH06127032A (en) * 1992-10-15 1994-05-10 Seiko Epson Corp Recording apparatu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2643B1 (en) * 1998-08-28 2005-06-02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Image printing method and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10100391A (en) 1998-04-21
TW406050B (en) 2000-09-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03133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enhancing image resolution using multi-level data generated by halftone processor
US7296868B2 (en) Ink jet printing system
US7278700B2 (en) Printing apparatus and printing method
KR100480948B1 (en) Ink jet printer and its head device
JP3414325B2 (en) Printing device and recording medium
US7585040B2 (en) Printing apparatus and printing method
US5847724A (en) Method for diffusing errors according to spot size in a printed liquid ink image
US7360856B2 (en) Printing apparatus and printing method
EP0869658A2 (en) Ink jet printer having multiple level grayscale printing
JP4012023B2 (en) Inkjet recording method, recording system, inkjet recording apparatus, control method, and program
US7350893B2 (en) Inkjet printing method
JPH09156127A (en) Recording apparatus and ink jet recording method
JP2000225717A (en) Printer, printing method and recording medium
US6712443B2 (en) Ink jet recording apparatus and ink jet recording method
KR100423921B1 (en) Printer device and printer head
JPH0811298A (en) Ink jet recording method and apparatus
JP3205082B2 (en) Image forming method and apparatus
JP4075241B2 (en) Printing apparatus, printing method, and recording medium
US5982993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lor replacement using an extended ink set
KR19980025014A (en) Printer device
US6293640B1 (en) Printing apparatus and printing method
JP2792579B2 (en) Recording device
US6402295B1 (en) Ink jet print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3001904B2 (en) Image recording device
JP3785993B2 (en) Multi-value dot print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