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15421A - 함몰전극형 태양전지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함몰전극형 태양전지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15421A
KR19980015421A KR1019960034724A KR19960034724A KR19980015421A KR 19980015421 A KR19980015421 A KR 19980015421A KR 1019960034724 A KR1019960034724 A KR 1019960034724A KR 19960034724 A KR19960034724 A KR 19960034724A KR 19980015421 A KR19980015421 A KR 199800154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miconductor substrate
forming
entire surface
oxide film
fil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347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74810B1 (ko
Inventor
우도 에봉 아바시프레케
Original Assignee
김광호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호,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광호
Priority to KR10199600347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74810B1/ko
Publication of KR199800154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154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748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74810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18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thes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02Details
    • H01L31/0216Coatings
    • H01L31/02161Coatings for devices characterised by at least one potential 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 H01L31/02167Coatings for devices characterised by at least one potential 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for solar cells
    • H01L31/02168Coatings for devices characterised by at least one potential 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for solar cells the coatings being antireflective or having enhancing optical properties for the solar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02Details
    • H01L31/0224Electrodes
    • H01L31/022408Electrodes for devices characterised by at least one potential 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 H01L31/022425Electrodes for devices characterised by at least one potential 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for solar cel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hotovoltaic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a) 세정된 반도체 기판의 전면과 후면에 산화막을 형성하는 단계; (b) 반도체 기판 후면에 표면코팅막을 형성하는 단계; (c) 반도체 기판 전면의 산화막만을 선택적으로 제거하는 단계; (d) 반도체 기판 후면의 표면코팅막을 제거하는 단계; (e) 반도체 기판 전면에 n형 불순물을 확산시켜 n+ 반도체층을 형성하는 단계; (f) 반도체 기판 전면에 산화막을 형성하는 단계; (g) 반도체 기판 전면에 홈을 형성한 다음, 이 홈내로 n형 불순물을 깊게 확산시켜 n++ 반도체층을 형성하는 단계; (h) 상기 홈내에 전도성 금속을 도금하여 전면전극을 형성하는 단계; (i) 반도체 기판 전면에 표면코팅막을 형성하는 단계; (j) 반도체 기판 후면의 산화막을 제거하는 단계; (k) 반도체 기판 후면에 보론을 함유하고 있는 실리콘 글래스를 스핀코팅하고, 베이킹한 다음, 어닐링으로 p+ 반도체층을 형성하고, 이 때 형성된 산화막을 제거하는 단계; (l) 스크린 프린팅 방법을 이용하여 반도체 기판 후면에 전도성 금속으로 후면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 (m) 반도체 기판 전면의 표면코팅막을 제거하는 단계; (n) 반도체 기판 전면에 반사방지막을 형성하는 단계; (o) 에지를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함몰전극형 태양전지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저렴한 비용으로 반도체 기판 후면에서의 캐리어들의 재결합을 감소시킴으로써 변환효율이 향상된 태양전지를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함몰전극형 태양전지의 제조방법
본 발명은 함몰전극형 태양전지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기로는 반도체 기판 후면에서의 캐리어들의 재결합을 감소시킴으로써 전지의 변환효율을 향상시킨 함몰전극형 태양전지를 저렴한 비용으로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태양전지는 반도체의 광 기전력 효과를 이용한 것으로서, p형 반도체와 n형 반도체를 조합하여 만든다. p형 반도체와 n형 반도체가 접한 부분(pn 접합부)에 빛이 들어오면, 빛 에너지에 의하여 반도체 내부에서 마이너스의 전하(전자)와 플러스의 전하(정공)가 발생한다.
빛에너지에 의해 발생된 전자와 정공은 내부의 전계에 의하여 각각 n형 반도체측과 p형 반도체측으로 이동하여 양쪽의 전극부에 모아진다. 이러한 두 개의 전극을 도선으로 연결하면 전류가 흐르고 외부에서 전력으로 이용할 수 있게 된다.
태양전지는 전극의 형태에 따라 스크린 프린팅형 태양전지(Screen Printing Solar Cell: SPSC)와 함몰전극형 태양전지(Buried Contact Solar Cell: BCSC)로 구분할 수 있다.
SPSC는 일반적으로 제조하기가 용이하지만 에너지 변환효율이 낮은 편이다. 이는 금속 전극에서의 반사, 후면 전류 흐름에서 기인된 저항 및 일반적으로 깊게 도핑되어 있는 이미터 영역에서의 캐리어들의 높은 재결합률 때문이다. 또한 상기와 같은 이유로 SPSC에서는 단락회로전류밀도와 블루우 리스폰스(blue response) 특성이 불량하다.
한편, BCSC에서는 금속 전극을 반도체 기판 전면내에 형성시키는데, 이 전지의 에너지 변환효율과 개방회로전압은 SPSC보다 높은 편이다. 이렇게 BCSC가 SPSC보다 에너지 변환효율과 개방회로전압이 높은 것은 반도체 기판 전면내로 깊게 도핑되어 있는 금속 전극이 전지의 활성영역과 떨어져 있어서 개방회로전압 및 전지 변환효율을 감소시키는 원인으로 작용하는 캐리어들의 재결합이 보다 감소되기 때문이다.
도 1은 통상적인 BCSC의 단면구조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이를 제조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p형 반도체 기판 (11)에 텍스처링을 실시하여 기판 전면과 후면에 피라미드 구조를 형성한다. 상기 반도체 기판 전면상에 n+ 반도체층 (12)을 형성한 다음, 산화공정을 실시하여 반도체 기판 (11) 전면에 산화막 (13)을 형성하고 그 기판 후면에도 산화막(미도시)을 형성한다. 상기 반도체 기판 (11) 전면내로 홈을 깊게 스크라이빙한 다음, 이 홈내에 전도성 금속을 도금하여 전면전극 (16)를 형성한다. 이 때 전면전극 (16)이 형성되어 있는 홈의 하부에는 n++ 반도체층 (15)을 형성시킨다.
반도체 기판 (11) 후면에는 알루미늄을 증착, 소결하여 p+ 반도체층 (17)을 형성하고, 그 상부에 전도성 금속을 도금하여 후면전극 (18)을 형성한다.
마지막으로, 상기 반도체 기판 전면에 반사방지막 (14)을 형성함으로써 함몰전극형 태양전지가 완성된다.
상기의 제조방법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BCSC에서는 확산 불순물로서 알루미늄을 증착, 소결하여 후면전계를 형성한다. 이렇게 알루미늄을 이용하여 후면전계를 형성하는 경우, 고가의 진공증발기가 반드시 필요하다. 이로 인하여 제조비용이 상승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여 후면전계 형성시 고가의 증착설비를 사용하지 않고서도 반도체 기판 후면에서의 캐리어들의 재결합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킴으로써 변환효율이 매우 향상된 함몰전극형 태양전지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통상적인 함몰전극형 태양전지의 단면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2a-e는 본 발명에 따른 함몰전극형 태양전지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21. p형 반도체 기판
12, 22. n+ 반도체층
13, 23, 24. 산화막(SiO2)
14, 30. 반사방지막(TiO2)
15, 25. n++ 반도체층
16, 26. 전면전극
17, 27. p+ 반도체층
18, 28. 후면전극
29. 표면코팅막
상기 과제를 이루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a) 세정된 반도체 기판의 전면과 후면에 산화막을 형성하는 단계; (b) 반도체 기판 후면에 표면코팅막을 형성하는 단계; (c) 반도체 기판 전면의 산화막만을 선택적으로 제거하는 단계; (d) 반도체 기판 후면의 표면코팅막을 제거하는 단계; (e) 반도체 기판 전면에 n형 불순물을 확산시켜 n+ 반도체층을 형성하는 단계; (f) 반도체 기판 전면에 산화막을 형성하는 단계; (g) 반도체 기판 전면에 홈을 형성한 다음, 이 홈내로 n형 불순물을 깊게 확산시켜 n++ 반도체층을 형성하는 단계; (h) 상기 홈내에 전도성 금속을 도금하여 전면전극을 형성하는 단계; (i) 반도체 기판 전면에 표면코팅막을 형성하는 단계; (j) 반도체 기판 후면의 산화막을 제거하는 단계; (k) 반도체 기판 후면에 보론을 함유하고 있는 실리콘 글래스를 스핀코팅하고, 베이킹한 다음, 어닐링으로 p+ 반도체층을 형성하고, 이 때 형성된 산화막을 제거하는 단계; (l) 스크린 프린팅 방법을 이용하여 반도체 기판 후면에 전도성 금속으로 후면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m) 반도체 기판 전면의 표면코팅막을 제거하는 단계; (n) 반도체 기판 전면에 반사방지막을 형성하는 단계; (o) 에지를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함몰전극형 태양전지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표면코팅막의 재료로는 통상적인 반도체 소자 제조시 사용되는 표면코팅막 형성용 물질이라면 모두 사용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특히 노볼락(novolak) 및 폴리하이드록시스티렌과 같이 물에는 잘 녹지 않으면서 아세톤이나 톨루엔 등의 유기용제에 잘 녹는 물질이나 내에칭성 피막을 형성하는 감광성 수지인 포토레지스트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표면코팅막은 산화막 제거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식각액인 불산에 용해되지 않으므로 이 표면코팅막을 마스크로 사용하여 반도체 기판 후면의 산화막만을 선택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이하, 도 2a-e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함몰전극형 태양전지의 제조방법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반도체 기판 (21)을 세정한 다음, 이 반도체 기판 (21)의 전면과 후면상에 산화막 (23) 및 (24)를 각각 형성한다. 이어서 산화막 (24)가 형성되어 있는 반도체 기판 후면상에 표면코팅막 (29)을 형성한다(도 2a). 이렇게 표면코팅막 (29)을 형성함으로써 반도체 기판 (21) 전면에 형성된 산화막 (23)만을 선택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반도체 기판 (21) 전면에 형성된 산화막 (23)을 제거하고 나서, 반도체 기판 후면의 표면코팅막 (29)을 제거한다. 이 표면코팅막 (29)은 불산과 같은 식각액에 대한 내성이 우수하며 일반적인 유기용매에 잘 용해되므로 제거하기가 매우 용이하다.
반도체 기판 (21) 전면에 n형 불순물인 인을 확산시켜 n+ 반도체층 (22)을 형성한 다음, 그 상부에 산화막 (23)을 다시 형성한다(도 2b).
레이저를 이용하여 반도체 기판 (21) 전면에 홈을 스크라이빙하고 형성된 이 홈내로 n형 불순물을 깊게 확산시켜 n++반도체층 (25)을 형성한다. 이 홈위에 전도성 금속을 도금하여 전면전극 (26)을 형성한다. 여기에서 도금방법으로는 선택적 도금이 가능한 무전해도금방법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면전극 (26)이 형성된 상기 반도체 기판 (21) 전면에 표면코팅막 (29)을 형성한다. 그리고 나서 반도체 기판 후면의 산화막 (24)을 제거한다(도 2c). 그 후, 반도체 기판 (21) 후면에 보론을 함유하고 있는 실리콘 글래스를 스핀코팅하고, 120 내지 170℃에서 15∼20분동안 베이킹한다. 여기에서 보론과 실리콘 글래스의 중량비는 10:90 내지 20 :80이 바람직하며, 15:85가 가장 바람직하다. 이어서 급속 열적 어닐링기(Rapid Thermal Annealer: RTA)를 이용한 어닐링으로 p+ 반도체층 (27)을 형성한다. 그리고 이러한 후면전계 형성시 생성된 산화막(미도시)을 제거해낸다.
산화막이 제거된 반도체 기판 (21) 후면에 스크린 인쇄방법을 사용하여 전극을 인쇄한 다음, 소결하여 후면전극 (28)을 형성한다(도 2d). 이어서 반도체 기판 전면의 표면코팅막 (29)을 제거한 다음, 반도체 기판 (21) 전면에 반사방지물질을 분무하여 반사방지막 (30)을 형성한다(도 2e).
마지막으로 전지 제조공정중 외부의 불순물로 인하여 pn접합이 손상되거나 전지가 단락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에지(edge)를 분리해냄으로써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함몰전극형 태양전지가 완성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종래의 함몰전극형 태양전지의 제조방법과는 달리 후면전계 형성시 고가의 증착설비를 사용하지 않고 단지 스핀코터와 RTA를 사용한다. 따라서 종래보다 제조비용이 절감된다.

Claims (6)

  1. (a) 세정된 반도체 기판의 전면과 후면에 산화막을 형성하는 단계;
    (b) 반도체 기판 후면에 표면코팅막을 형성하는 단계;
    (c) 반도체 기판 전면의 산화막만을 선택적으로 제거하는 단계;
    (d) 반도체 기판 후면의 표면코팅막을 제거하는 단계;
    (e) 반도체 기판 전면에 n형 불순물을 확산시켜 n+ 반도체층을 형성하는 단계;
    (f) 반도체 기판 전면에 산화막을 형성하는 단계;
    (g) 반도체 기판 전면에 홈을 형성한 다음, 이 홈내로 n형 불순물을 깊게 확산시켜 n++ 반도체층을 형성하는 단계;
    (h) 상기 홈내에 전도성 금속을 도금하여 전면전극을 형성하는 단계;
    (i) 반도체 기판 전면에 표면코팅막을 형성하는 단계;
    (j) 반도체 기판 후면의 산화막을 제거하는 단계;
    (k) 반도체 기판 후면에 보론을 함유하고 있는 실리콘 글래스를 스핀코팅하고, 베이킹한 다음, 어닐링으로 p+ 반도체층을 형성하고, 이 때 형성된 산화막을 제거하는 단계;
    (l) 스크린 프린팅 방법을 이용하여 반도체 기판 후면에 전도성 금속으로 후면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
    (m) 반도체 기판 전면의 표면코팅막을 제거하는 단계;
    (n) 반도체 기판 전면에 반사방지막을 형성하는 단계;
    (o) 에지를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함몰전극형 태양전지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코팅막이 노볼락(novolak), 폴리하이드록시스티렌 및 포토레지스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물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함몰전극형 태양전지의 제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k)단계에서 보론과 실리콘 글래스의 중량비가 10:90 내지 20:8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함몰전극형 태양전지의 제조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k)단계에서 베이킹이 120∼170℃에서 15 내지 20동안 실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함몰전극형 태양전지의 제조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산화막 식각시 불산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함몰전극형 태양전지의 제조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방지막이 산화티탄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함몰전극형 태양전지의 제조방법.
KR1019960034724A 1996-08-21 1996-08-21 함몰전극형 태양전지의 제조방법 KR1003748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34724A KR100374810B1 (ko) 1996-08-21 1996-08-21 함몰전극형 태양전지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34724A KR100374810B1 (ko) 1996-08-21 1996-08-21 함몰전극형 태양전지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15421A true KR19980015421A (ko) 1998-05-25
KR100374810B1 KR100374810B1 (ko) 2003-03-15

Family

ID=374168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34724A KR100374810B1 (ko) 1996-08-21 1996-08-21 함몰전극형 태양전지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7481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20994A (ko) * 2013-04-03 2014-10-15 엘지전자 주식회사 태양 전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20994A (ko) * 2013-04-03 2014-10-15 엘지전자 주식회사 태양 전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74810B1 (ko) 2003-03-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73764B2 (en) Solar cell with reduced base diffusion area
US8399287B1 (en) Method of manufacturing solar cell
KR101181820B1 (ko) 태양 전지의 제조 방법
US6524880B2 (en) Solar cell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KR101225978B1 (ko) 태양전지 및 그 제조방법
US9209342B2 (en) Methods of manufacturing light to current converter devices
US20040200520A1 (en) Metal contact structure for solar cell and method of manufacture
US8936949B2 (en) Solar cell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EP2538447B1 (en) Solar cell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US20100319768A1 (en) Thin-film solar cell and process for its manufacture
JPH0575149A (ja) 太陽電池素子とその製造方法
JP2004512674A (ja) 太陽電池の製造方法、及び該方法により製造される太陽電池
CN216597603U (zh) 一种提升绝缘隔离效果的背接触异质结太阳能电池
US6277667B1 (en) Method for fabricating solar cells
KR100416740B1 (ko) 후면 부분소결형 실리콘 태양전지의 제조방법
KR100374810B1 (ko) 함몰전극형 태양전지의 제조방법
WO2014137284A1 (en) Method of fabricating a solar cell
CN113380922A (zh) 制备方法及选择性发射极太阳能电池
KR100366350B1 (ko) 태양 전지 및 그 제조 방법
KR100378347B1 (ko) 함몰전극형 태양전지의 제조방법
KR100322708B1 (ko) 자체전압인가형태양전지의제조방법
KR20020059186A (ko) 실리콘 태양 전지의 제조 방법
KR100351066B1 (ko) 함몰전극형 태양전지의 제조방법
KR100416741B1 (ko) 후면 부분소결형 실리콘 태양전지
CN104241454A (zh) 一种提高太阳能电池转化效率的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116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