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82348B1 - 폼 타입 물질 도포기 - Google Patents

폼 타입 물질 도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82348B1
KR102682348B1 KR1020220047679A KR20220047679A KR102682348B1 KR 102682348 B1 KR102682348 B1 KR 102682348B1 KR 1020220047679 A KR1020220047679 A KR 1020220047679A KR 20220047679 A KR20220047679 A KR 20220047679A KR 102682348 B1 KR102682348 B1 KR 1026823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am
type material
button
piston
guide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476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148636A (ko
Inventor
최영
Original Assignee
최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영 filed Critical 최영
Priority to KR10202200476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82348B1/ko
Priority to PCT/KR2022/019263 priority patent/WO2023204375A1/ko
Publication of KR202301486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486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823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823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5/00Devices for applying media, e.g. remedies, on the human body
    • A61M35/003Portable hand-held applicators having means for dispensing or spreading integral med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5/00Devices for applying media, e.g. remedies, on the human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10/00Anatomical parts of the body
    • A61M2210/04Ski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폼 타입 물질 도포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두피 등 도포부위 가까이에서 온도에 민감한 폼 타입 물질이 정량으로 토출되도록, 버튼의 누름에 따라 내부에 구비된 피스톤이 일정 거리만큼 전진하며 내부에 수용된 폼 타입 물질이 노즐을 통해 외부로 토출되는 도포본체;를 포함하되, 상기 도포본체는, 버튼의 누름 해제시 피스톤이 전진된 상태가 유지되어, 버튼의 누름시마다 일정 량의 폼 타입 물질이 토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폼 타입 물질 도포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폼 타입 물질 도포기{Applicator for foam type substance}
본 발명은 폼 타입 물질 도포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폼 타입 물질이 일정량 토출되도록 하여 두피 등 피부에 효과적으로 바를 수 있는 폼 타입 물질 도포기에 관한 것이다.
근래 탈모가 시작되는 연령이 낮아지면서 초기 탈모 관리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으며, 초기 탈모의 경우 생활습관 개선, 두피 클리닉을 통해 예방이 가능하지만, 탈모가 심할 경우 약물이나 치료제를 통해 치료해야 한다. 따라서, 꾸준한 탈모 관리의 중요성이 강조되는 가운데 상대적으로 저렴한 비용으로 집에서 손쉽게 사용할 수 있는 바르는 탈모치료제가 소비자들의 관심을 끌고 있다.
이러한 바르는 탈모치료제는 두피의 혈관을 확장하여 모발의 성장을 돕는 미녹시딜을 주 성분으로 하며 초기에 액상 타입으로 개발되었으나, 이후 도포 시 흘러내림 등의 문제점을 개선한 폼(거품) 타입의 미녹시딜 제품이 출시되고 있다. 폼 타입인 탈모치료제는 제형 특성상 흘러내지 않아 필요한 부위에만 적정량 도포할 수 있고 두피 흡수와 건조가 빠르다는 장점이 있다.
일반적인 폼 타입 탈모치료제를 사용시, 해당 제품의 뚜껑에 일정량의 폼을 짜낸 후 손가락으로 덜어서 두피에 발라야 하나, 손가락의 면적이 넓기 때문에 두피에 바르는 것을 시도할 때 주위 모발에도 묻는 양이 상당하므로 효율성이 떨어져 발모 효과에 대한 기대치를 충족시키지 못하게 된다. 특히 정수리나 뒷머리 등 잘 보이지 않는 두피부위를 손가락으로 바를 때 더 심해진다. 또한, 손가락의 체온에 의해 거품이 액상으로 변하는 경우 더 두피에 바르기 어렵게 된다.
따라서, 모발성장 기대치를 충족시키기 위해 더 많은 양을 사용하게 되며, 미녹시딜 성분을 정량(1회 1mg) 사용하였는지 확인할 수 없게 된다. 권장량 이상의 미녹시딜 성분을 사용하는 경우 과도한 혈관 확장으로 인해, 두통, 안구 압통 등과 같은 부작용이 나타날 수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08260호 '액상 내용물 정량 배출 용기'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두피 등 도포부위 가까이에서 온도에 민감한 폼 타입 물질이 정량으로 토출되도록 하는 폼 타입 물질 도포기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인 폼 타입 물질 도포기는, 버튼의 누름에 따라 내부에 구비된 피스톤이 일정 거리만큼 전진하며 내부에 수용된 폼 타입 물질이 노즐을 통해 외부로 토출되는 도포본체;를 포함하되, 상기 도포본체는, 버튼의 누름 해제시 피스톤이 전진된 상태가 유지되어, 버튼의 누름시마다 일정 량의 폼 타입 물질이 토출된다.
또한, 상기 피스톤은, 상단으로부터 하방을 향해 함입된 이동가이드홀이 형성되고, 상기 도포본체는, 이동가이드홀 내 일정 위치에 구비되면서, 버튼의 누름에 따라 이동가이드홀의 벽면과 맞닿으며 피스톤을 일정 거리만큼 전진시키고, 버튼의 누름 해제에 따라 이동가이드홀의 벽면과 이격되는 패드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패드부재는, 이동가이드홀 내 일정 위치에서 고정된 상태를 이루는 패드지지구와, 패드지지구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되고 버튼의 누름에 따라 외측을 향해 하향경사지게 이동되면서 이동가이드홀의 벽면을 밀어 피스톤을 일정 거리만큼 이동시키는 패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버튼은, 패드부재를 향하게끔 이동가이드홀 내에 구비되어 패드부재를 가압할 수 있는 가압기둥을 포함하며, 상기 도포본체는, 이동가이드홀 내에서 가압기둥을 둘러싸며 가압기둥의 이동경로를 제공하는 가이드기둥이 형성되고 피스톤이 내측에 마련되는 가이드통을 포함하되, 상기 패드지지구는 가이드기둥의 하단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포본체는, 내부에 폼 타입 물질이 수용되며 폼 타입 물질이 상변화되지 않게끔 유지시켜주는 수용통을 포함하되, 상기 노즐은, 수용통의 하단에 분리가능하게끔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두피 등 도포부위 가까이에서 폼 타입 물질을 토출시킬 수 있으므로, 기존의 손가락을 사용하여 바르는 것 대비, 온도에 민감한 폼 타입의 물질을 상변화없이 목적부위인 도포부위에 효율적으로 도포할 수 있다.
특히, 정수리 등 잘 보이지 않는 부위에 바를 때 기존에는 손가락 끝의 감에 의존하여 발랐으나, 도포기 이용 시 노즐을 가까이에 위치시켜 버튼만 누르면 되므로 보다 쉽고 간편하게 바를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손가락으로 바르는 것 대비, 좁은 면적에 일정량의 폼을 토출하므로 기존보다 넓은 부위에 뭉치지 않게 고르게 펴서 바를 수 있게 되어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목표부위인 두피에 도포되는 양이 기존대비 많아지게 되어, 모발 성장에 대한 기대효과를 충족시킬 수 있어 제품 남용/과용을 줄일 수 있게 한다.
도 1은 본 발명인 폼 타입 물질 도포기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인 폼 타입 물질 도포기를 보여주는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인 폼 타입 물질 도포기를 보여주는 절개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인 폼 타입 물질 도포기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인 폼 타입 물질 도포기에 적용되는 수용통의 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인 폼 타입 물질 도포기에 적용되는 패드부재를 보여주는 분해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인 폼 타입 물질 도포기에 적용되는 패드지지구와 가이드기둥이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인 폼 타입 물질 도포기에 적용되는 버튼이 눌러져 피스톤이 일정 거리만큼 전진하는 것을 보여주는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인 폼 타입 물질 도포기에 적용되는 버튼의 누름이 해제된 상태에서 피스톤이 전진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보여주는 단면도,
도 10은 폼 타입 물질을 손가락과 본 발명을 이용하여 도포하는 비교예를 보여주는 예시도.
도 11은 본 발명인 폼 타입 물질 도포기를 사용하는 것을 보여주는 예시도.
본 발명에서는 두피 등 도포부위 가까이에서 온도에 민감한 폼 타입 물질이 정량으로 토출되도록, 버튼의 누름에 따라 내부에 구비된 피스톤이 일정 거리만큼 전진하며 내부에 수용된 폼 타입 물질이 노즐을 통해 외부로 토출되는 도포본체;를 포함하되, 상기 도포본체는, 버튼의 누름 해제시 피스톤이 전진된 상태가 유지되어, 버튼의 누름시마다 일정 량의 폼 타입 물질이 토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폼 타입 물질 도포기를 제안한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하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인 폼 타입 물질 도포기는 첨부된 도 1 내지 도 11을 참고로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인 폼 타입 물질 도포기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수용된 폼 타입 물질이 일정 량씩 외부로 토출되도록 하는 도포본체(A)를 포함한다. 여기서의 폼 타입 물질은, 거품 상태를 이루는 탈모제, 영양제 등 다양한 성분의 물질일 수 있으며, 열이 가해질 시 액체 상태로 상변화되는 등 온도에 민감한 물질일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의 도포본체(A)는, 버튼(100), 피스톤(200), 노즐(300)을 포함하며, 이하에서 도포본체(A)를 설명함에 있어, 노즐(300)이 구비된 측을 하방이라 하고 그 반대측을 상방이라 정의한다. 도포본체(A)는, 버튼(100)의 누름에 따라 내부에 구비된 피스톤(200)이 일정 거리만큼 전진하며 내부에 수용된 폼 타입 물질을 가압하여 폼 타입 물질이 노즐(300)을 통해 외부로 토출되도록 구성된다. 이때, 일정 거리란, 피스톤(200)이 도포본체(A)의 내부에서 이동할 수 있는 최대 거리의 절반과 동일하거나 이보다 짧은 거리를 의미함이 바람직하다. 즉, 도포본체(A)는 내부에 수용된 폼 타입 물질이 버튼(100)을 적어도 2번 이상 눌러야 모두 외부로 토출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도포본체(A)는, 폼 타입 물질을 외부로 토출하기 위해 눌렀던 버튼(100)의 누름 해제시, 피스톤(200)이 전진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구성된다. 일 예로, 버튼(100)을 최초 1회 누를 시 피스톤(200)이 노즐(300)을 향해 0.25mm만큼 이동되면서 일정 량의 폼 타입 물질이 외부로 토출되고. 이때 버튼(100)의 누름을 해제하면, 피스톤(200)은 노즐(300)을 향해 0.25mm만큼 이동된 상태를 유지한다. 이후 버튼(100)을 다시금 1회 누르면, 피스톤(200)이 최초 전진되어 위치한 지점에서 노즐(300)을 향해 0.25mm만큼 이동되면서 일정 량의 폼 타입 물질이 토출된다. 즉, 버튼(100)을 2회 누른 후 누름을 해제하면, 피스톤(200)은 최초 위치에서 노즐(300)을 향해 0.5mm만큼 이동된 지점에 위치된다.
이처럼 피스톤(200)은 버튼(100)의 누름 해제시, 최초 위치로 복귀되지 않으므로 버튼(100)을 누를 때마다 점차 전진하게 되어 매번 폼 타입 물질이 일정 량 토출되는바, 목적한 여러 두피 부위에 일정량 고르게 펴서 바를 수 있어 기존에 한 부위에 다량의 폼을 발랐을 때 야기되는 통증 등의 부작용을 줄일 수 있게 된다.
구체적인 일 예로 도포본체(A)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튼(100), 피스톤(200), 노즐(300)을 포함하면서, 패드부재(400), 가이드통(500), 수용통(600), 조인트(7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수용통(600), 노즐(300), 조인트(700)에 대하여 살펴보면, 수용통(600)은 양단이 개방되고 내부가 빈 통 형태로 형성되고 내부에 폼 타입 물질이 수용될 수 있다. 이러한 수용통(600)의 일단인 하단에는 노즐(300)이 결합되고, 수용통(600)의 타단인 상단에는 가이드통(500)과의 연결을 위한 조인트(700)가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수용통(600)은 내부에 수용된 폼 타입 물질이 상변화되지 않게끔 유지시켜주는 역할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수용통(600)의 벽면은 이중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수용통(60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수용된 폼 타입 물질이 수용되는 내부수용통(610)과, 내부수용통(610)을 둘러싸면서 내부수용통(610)과의 사이에 충전공간(630)을 형성하는 외부수용통(620)으로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내부수용통(610)은, 외부수용통(620)보다 긴 길이로 형성되어, 하단부가 외부수용통(620)보다 하방을 향해 돌출되게 마련될 수 있으며, 내부수용통(610)의 하단부에 노즐(300)이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외부수용통(620)의 하단은 내부수용통(610)과 연결되어 충전공간(630)의 하측이 막힌 구조를 이룰 수 있다. 따라서, 수용통(600)의 상단에 결합된 조인트(700)의 분리를 통해 개방될 수 있는 충전공간(630)의 상측을 통해 충전공간(630) 내로 폼 타입 물질의 상변화를 방지하는 물질을 주입할 수 있다. 여기서, 폼 타입 물질의 상변화를 방지하는 물질은, 공기, 냉각 물질 등일 수 있다.
이때, 충전공간(630) 내에 폼 타입 물질의 상변화를 방지하는 물질이 주입된 이후, 추가적인 주입이 가능하게끔 수용통(600)의 상단과 이에 결합되는 조인트(700)는 분리되게 결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추가적인 주입이 불가능하게끔 수용통(600)의 상단과 이에 결합되는 조인트(700)는 본딩 처리될 수 있다.
한편, 노즐(300)은 내부수용통(610)의 하단부와 결합되는 결합부와, 상기 결합부로부터 하방을 향해 연장형성된 토출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결합부는 수용통(600)의 하단에 분리가능하게끔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조인트(700)는 수용통(600)과 가이드통(500)을 상호 연결하면서 충전공간(630)을 밀폐시키는 역할을 한다. 일 예로, 조인트(700)는 링 형태를 이루면서 수용통(600)의 상단을 덮어 충전공간(630)을 밀폐시키는 밀폐부와, 밀폐부로부터 하방을 향해 연장형성되어 내부수용통(610)과 나사결합되는 제1 조인트부와, 밀폐부로부터 상방을 향해 연장형성되어 가이드통(500)과 나사결합되는 제2 조인트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조인트(700)를 통해 수용통(600)은 가이드통(500)과 분리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지속적인 사용으로 세척이 필요할 경우, 노즐(300)을 수용통(600)으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으며, 조인트(700)에 결합된 가이드통(500)을 분리시켜 수용통(600)과 가이드통(500) 간에 분리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폼 타입 물질이 묻는 구성인 노즐(300)과 수용통(600), 피스톤(200)을 세척한 후, 다시 조립하여 깨끗한 상태로 재활용이 가능하다.
다음으로, 수용통(600) 내에 수용된 폼 타입 물질이 노즐(300)을 통해 외부로 토출되도록 가압하기 위한 구성에 대하여 살펴보며, 버튼(100), 피스톤(200), 패드부재(400), 가이드통(500)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가이드통(500)은,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에 피스톤(200)이 구비되는 통 형태로 형성되며, 상단에 버튼(100)이 구비되고, 하단에 수용통(600)과 결합된 조인트(700)가 결합될 수 있다. 가이드통(500) 내부에 형성된 공간은, 이에 구비되는 피스톤(200)이 최상측에 위치될 시 하단부가 수용통(600) 내에 위치될 수 있게끔, 그 길이가 피스톤(200)의 길이보다 짧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피스톤(200)은 버튼(100)의 누름에 따라, 가이드통(500) 및 수용통(600) 내부에 형성된 공간을 따라 이동되는바, 가이드통(500) 및 수용통(600) 내부에 형성된 공간은 동일한 직경을 가지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가이드통(500) 및 수용통(600) 내부에 형성된 공간을 따라 이동되는 피스톤(200)은, 하단부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이 가이드통(500) 및 수용통(600) 내부에 형성된 공간의 직경보다 다소 작은 직경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하단부는 가이드통(500) 및 수용통(600) 내부에 형성된 공간의 직경보다 다소 큰 직경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수용통(600)의 내벽에 밀착되면서 이동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피스톤(200)의 하단부는 과도한 마찰이 이루어지지 않으면서 가압시 이동이 이루어질 수 있게끔 수용통(600)의 내벽을 향해 요철(凹凸)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피스톤(200)은, 상단으로부터 하방을 향해 함입된 이동가이드홀(210)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동가이드홀(210)은 피스톤(200)의 하단부 부근까지 형성될 수 있으며, 그 내부에 버튼(100)과 연동되어 피스톤(200)을 전진시키는 패드부재(400)가 마련될 수 있다.
패드부재(400)는, 피스톤(200)이 이동되더라도 이동되지 않게끔 이동가이드홀(210) 내 일정 위치에 구비된다. 이러한 패드부재(400)는 버튼(100)의 누름에 따라 이동가이드홀(210)의 벽면과 맞닿으며 피스톤(200)을 일정 거리만큼 전진시키고, 버튼(100)의 누름 해제에 따라 이동가이드홀(210)의 벽면과 이격된다. 일 예로 패드부재(400)는, 도 3, 도 4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가이드홀(210) 내 일정 위치에서 고정된 상태를 이루는 패드지지구(410)와, 패드지지구(410)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되고 버튼(100)의 누름에 따라 외측을 향해 하향경사지게 이동되면서 이동가이드홀(210)의 벽면을 밀어 피스톤(200)을 일정 거리만큼 이동시키는 패드(420)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패드지지구(410)는, 이동가이드홀(210) 내 일정 위치에 고정된 상태를 이룰 수 있게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통(500)에 형성된 가이드기둥(510)의 하단과 결합될 수 있다. 가이드기둥(510)은, 양단이 개방된 봉 형태를 이루면서 가이드통(500)의 상단부 중심으로부터 하방을 향해 형성되고, 이동가이드홀(210)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가이드기둥(510)의 하단은 가이드통(500) 하부에 위치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가이드기둥(510)의 하단과 패드지지구(410)의 상단이 결합됨에 따라, 패드부재(400)는 피스톤(200)이 이동되더라도 일정 위치에 고정된 상태를 이룰 수 있다.
그리고 패드지지구(410)는, 일 예로 바닥면의 양측에 마주보게끔 측벽이 상방으로 형성되어 종단면이 'ㄷ'자 형태를 이루면서 상방을 향해 개방되게 배치될 수 있다. 패드지지구(410)의 측벽에는 패드(420)가 결합되면서 외측을 향해 하향경사지게 이동될 수 있게끔 경로를 제공하는 이동홀(411)이 사선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패드(420)는 두 개가 대칭되게 이동되도록 이동홀(411)에 핀결합될 수 있으며, 이동홀(411)의 상단에 위치될 시 이동가이드홀(210)의 벽면과 맞닿지 않는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튼(100)의 누름에 따라 하방을 향해 힘이 가해지면 패드(420)는 핀이 이동홀(411)의 상단을 벗어나 이동되면서 바깥면이 이동가이드홀(210)에 맞닿게 되고, 핀이 이동홀(411)의 하단까지 이동함으로써 바깥면이 이동가이드홀(210)을 외측을 향해 하향경사진 방향으로 밀게 된다. 이에 따라, 피스톤(200)이 하방으로 이동하게 되고, 수용통(600) 내부에 수용된 폼 타입 물질이 노즐(300)을 통해 외부로 토출된다.
이때, 패드(420)의 이동에 따라 피스톤(200)이 용이하게 이동될 수 있게끔, 이동가이드홀(210)의 벽면에는 일정 간격으로 주름이 형성될 수 있으며, 패드(420)의 바깥면에는 주름과 대응되는 걸림턱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튼(100)의 누름이 해제되면 패드(420)는 이동홀(411)을 따라 상방으로 이동되며, 버튼(100)의 누름 해제시 패드(420)가 탄성적으로 복귀될 수 있게끔, 패드부재(400)는 제2 스프링(430)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스프링(430)은 일단이 패드지지구(410)의 바닥면에 고정되면서 타단이 두 개의 패드(420) 저면과 맞닿게끔 구비되어, 버튼(100)의 누름시 압축된 상태를 이루다가 버튼(100)의 누름 해제시 탄성적으로 신장되면서 패드(420)를 상방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동작하는 패드(420)는, 버튼(100)을 누를 때마다 이동홀(411)을 따라 일정 거리만큼 이동하면서 피스톤(200)이 일정 거리만큼 전진되도록 하는바, 매번 정량의 폼 타입 물질이 토출될 수 있다.
그리고 버튼(100)은 누름시 패드(420)에 대하여 하방으로 힘이 작용되고, 누름 해제시 패드(420)에 대하여 힘을 가하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버튼(100)은,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에 의한 누름이 이루어지는 누름구(130)와, 누름구(130)가 탄성적으로 원위치될 수 있게끔 누름구(130) 내측에 구비되는 제1 스프링(120)과, 누름구(130)가 이탈되지 않도록 가이드통(500)의 상단과 결합되는 버튼커버(140)와, 누름구(130)로부터 연장되어 패드부재(100)를 향하게끔 형성되고 이동가이드홀(210) 내에 구비되어 패드부재(400)를 가압할 수 있는 가압기둥(110)을 포함할 수 있다.
가압기둥(110)은, 이동가이드홀(210) 내에 위치되는 가이드기둥(510)에 삽입되는바, 가이드기둥(510)은 가압기둥(110)의 이동경로를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가압기둥(110)은, 누름구(130)가 눌러지지 않았을 시 가이드기둥(510)의 하단에 결합된 패드(420)를 가압하지 않으며, 누름구(130)가 눌러졌을 시 패드(420)를 가압하게 된다.
이때, 가압기둥(110)은, 패드(420)와 맞닿는 일단이 쐐기 형태로 형성되고, 가압기둥(110)에 의해 가압되어 대칭되게 이동되는 두 개의 패드(420)는, 상면에서 쐐기 형태로 형성된 가압기둥(110)의 일단과 대응되는 경사를 가지게끔 상호 인접한 부분에 하향 경사면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가압기둥(110)은 누름구(130)가 눌러지면 그 일단이 패드(420)의 상면 경사면을 따라 파고들어가면서 패드(420)가 원활히 외측을 향해 하방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인 폼 타입 물질 도포기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가락으로 도포하는 것에 비해 두피 등 도포부위 가까이에서 폼 타입 물질을 토출시킬 수 있으므로, 손가락을 사용하지 않아 온도에 민감한 폼 타입 물질이 상변화없이 도포부위에 효과적으로 도포될 수 있으며,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수리 등 혼자 바르기 쉽지 않은 부위에도 손쉽게 폼 타입 물질을 도포할 수 있다.
A : 도포본체
100 : 버튼 110 : 가압기둥
120 : 제1 스프링 130 : 누름구
140 : 버튼커버
200 : 피스톤 210 : 이동가이드홀
300 : 노즐
400 : 패드부재 410 : 패드지지구
411 : 이동홀 420 : 패드
430 : 제2 스프링
500 : 가이드통 510 : 가이드기둥
600 : 수용통 610 : 내부수용통
620 : 외부수용통 630 : 충전공간
700 : 조인트

Claims (5)

  1. 버튼(100)의 누름에 따라 내부에 구비된 피스톤(200)이 일정 거리만큼 전진하며 내부에 수용된 폼 타입 물질이 노즐(300)을 통해 외부로 토출되는 도포본체(A);를 포함하며,
    상기 도포본체(A)는, 버튼(100)의 누름 해제시 피스톤(200)이 전진된 상태가 유지되어, 버튼(100)의 누름시마다 일정 량의 폼 타입 물질이 토출되되,
    상기 피스톤(200)은, 상단으로부터 하방을 향해 함입된 이동가이드홀(210)이 형성되고,
    상기 도포본체(A)는, 이동가이드홀(210) 내 일정 위치에 구비되면서, 버튼(100)의 누름에 따라 이동가이드홀(210)의 측벽과 맞닿으며 피스톤(200)을 일정 거리만큼 전진시키고, 버튼(100)의 누름 해제에 따라 이동가이드홀(210)의 측벽과 이격되는 패드부재(4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폼 타입 물질 도포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드부재(400)는, 이동가이드홀(210) 내 일정 위치에서 고정된 상태를 이루는 패드지지구(410)와, 패드지지구(410)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되고 버튼(100)의 누름에 따라 이동가이드홀(210)의 측벽을 향해 하향경사지게 이동되면서 이동가이드홀(210)의 측벽을 밀어 피스톤(200)을 일정 거리만큼 이동시키는 패드(4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폼 타입 물질 도포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100)은, 패드부재(400)를 향하게끔 이동가이드홀(210) 내에 구비되어 패드부재(400)를 가압할 수 있는 가압기둥(110)을 포함하며,
    상기 도포본체(A)는, 이동가이드홀(210) 내에서 가압기둥(110)을 둘러싸며 가압기둥(110)의 이동경로를 제공하는 가이드기둥(510)이 구비되고 피스톤(200)이 내측에 마련되는 가이드통(500)을 포함하되,
    상기 패드지지구(410)는 가이드기둥(510)의 하단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폼 타입 물질 도포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도포본체(A)는, 양단이 개방되고 내부가 빈 통 형태로 형성되어, 하단에 노즐(300)이 결합되고 상단에 가이드통(500)과 연결을 위한 조인트(700)가 결합되며, 내부에 폼 타입 물질이 수용되는 수용통(600)을 더 포함하며,
    상기 수용통(600)은, 내부에 폼 타입 물질이 수용되는 내부수용통(610)과, 내부수용통(610)을 둘러싸면서 내부수용통(610)과의 사이에 충전공간(630)을 형성하는 외부수용통(620)을 포함하되,
    상기 내부수용통(610)은, 외부수용통(620)보다 긴 길이로 형성되고 하단부가 외부수용통(620)보다 하방을 향해 돌출되게 마련되어, 하단부에 노즐(300)이 분리가능하게끔 결합되며,
    상기 외부수용통(620)은, 하단이 내부수용통(610)과 연결되어 충전공간(630)의 하측이 막힌 구조를 이루고,
    상기 충전공간(630)은, 조인트(700)의 분리를 통해 개방되어 폼 타입 물질의 상변화를 방지하는 물질이 주입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폼 타입 물질 도포기.
  5. 삭제
KR1020220047679A 2022-04-18 2022-04-18 폼 타입 물질 도포기 KR1026823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7679A KR102682348B1 (ko) 2022-04-18 2022-04-18 폼 타입 물질 도포기
PCT/KR2022/019263 WO2023204375A1 (ko) 2022-04-18 2022-11-30 폼 타입 물질 도포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7679A KR102682348B1 (ko) 2022-04-18 2022-04-18 폼 타입 물질 도포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48636A KR20230148636A (ko) 2023-10-25
KR102682348B1 true KR102682348B1 (ko) 2024-07-05

Family

ID=884201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47679A KR102682348B1 (ko) 2022-04-18 2022-04-18 폼 타입 물질 도포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682348B1 (ko)
WO (1) WO2023204375A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3943Y1 (ko) 2005-04-18 2005-08-30 조주은 다용도 용기
JP2007313733A (ja) * 2006-05-25 2007-12-06 Tombow Pencil Co Ltd 加圧式液体用容器
KR101409004B1 (ko) 2013-12-17 2014-06-19 주식회사 리치코스 가압 토출식 아이라이너
KR101672495B1 (ko) 2016-03-24 2016-11-03 윤일표 화장품 용기
KR101729277B1 (ko) 2016-03-15 2017-04-24 김신겸 공기 펌프식 화장품 용기
JP2022057083A (ja) 2020-09-30 2022-04-11 株式会社吉野工業所 泡吐出器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8260Y1 (ko) 2005-11-30 2006-02-07 강성일 액상 내용물 정량 배출 용기
US7850049B2 (en) * 2008-01-24 2010-12-14 Gojo Industries, Inc. Foam pump with improved piston structure
KR101048412B1 (ko) * 2009-10-21 2011-07-11 이성환 화장품 용기
KR101071101B1 (ko) * 2009-11-26 2011-10-10 이성환 화장품 용기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3943Y1 (ko) 2005-04-18 2005-08-30 조주은 다용도 용기
JP2007313733A (ja) * 2006-05-25 2007-12-06 Tombow Pencil Co Ltd 加圧式液体用容器
KR101409004B1 (ko) 2013-12-17 2014-06-19 주식회사 리치코스 가압 토출식 아이라이너
KR101729277B1 (ko) 2016-03-15 2017-04-24 김신겸 공기 펌프식 화장품 용기
KR101672495B1 (ko) 2016-03-24 2016-11-03 윤일표 화장품 용기
JP2022057083A (ja) 2020-09-30 2022-04-11 株式会社吉野工業所 泡吐出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204375A1 (ko) 2023-10-26
KR20230148636A (ko) 2023-10-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85091Y1 (ko) 내용물출구 개폐가 가능한 화장품 용기
KR101380587B1 (ko) 유동성 화장료를 위한 탄성 토출마개
US6592282B2 (en) Cosmetic applicator for fluid material
US20080101850A1 (en) Applicator
CN102078071B (zh) 有可收放施用元件的液体、固体、膏体或粉末美容品贮器
US8353636B2 (en) Support device for a cosmetic article and associated method
US11140963B2 (en) Cap for scalp care container capable of applying liquid
KR200440599Y1 (ko) 도포수단이 구비된 샤프펜슬타입의 디스펜서 용기
US20160113377A1 (en) Device for Containing, Dispensing and Applying to a Substrate Content in Liquid, Gel, Cream or Paste Form
US9986811B2 (en) Container for liquid cosmetics
JPH0298306A (ja) パウダー状又はペースト状の製品の塗布器具セット
KR102023321B1 (ko) 피부관리기구
US20050244209A1 (en) Packaging and applicator device including a member for reshaping an applicator surface thereof and a method of reshaping an applicator surface
JP2019500125A (ja) アプリケーター部を具備したポンピング式化粧品容器
KR200457811Y1 (ko) 액상 내용물을 분말상의 화장료를 향해 분무시키는 화장품 용기
KR102682348B1 (ko) 폼 타입 물질 도포기
KR102324556B1 (ko) 화장품 용기
CN215271051U (zh) 内容物容器
WO2014032866A1 (en) Device for packaging and application by means of a pipette
US20020066750A1 (en) Device for packaging and dispensing a substance, in particular for hair care
KR102136010B1 (ko) 땀띠 번짐 방지를 위한 이종물질 화장품 저장용기
JP4859552B2 (ja) エアゾール製品
KR200466894Y1 (ko) 보온 기능의 피부 도포용 캡을 구비하는 용기
KR101876759B1 (ko) 이종 화장품을 저장함과 아울러 맛사지 기능을 가지는 튜브형 화장품용기
KR20130003770U (ko) 화장액 차단부재를 구비하는 화장품 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