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75078B1 - 전기차량 충전소에서의 충전중 화재감시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전기차량 충전소에서의 충전중 화재감시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75078B1
KR102675078B1 KR1020220020073A KR20220020073A KR102675078B1 KR 102675078 B1 KR102675078 B1 KR 102675078B1 KR 1020220020073 A KR1020220020073 A KR 1020220020073A KR 20220020073 A KR20220020073 A KR 20220020073A KR 102675078 B1 KR102675078 B1 KR 1026750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re
charging
vehicle
electric vehicle
smok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200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123216A (ko
Inventor
신은수
Original Assignee
신은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은수 filed Critical 신은수
Priority to KR10202200200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75078B1/ko
Publication of KR202301232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232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750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750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08B17/06Electric actuation of the alarm, e.g. using a thermally-operated switc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60Monitoring or controlling charging st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08B17/10Actuation by presence of smoke or gases, e.g. automatic alarm devices for analysing flowing fluid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08B17/12Actuation by presence of radiation or particles, e.g. of infrared radiation or of ions
    • G08B17/125Actuation by presence of radiation or particles, e.g. of infrared radiation or of ions by using a video camera to detect fire or smok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1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wireless transmission system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20/00Supporting structures for PV modules
    • H02S20/20Supporting structures directly fixed to an immovable objec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2Electric charging st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차량 충전소에서의 충전중 화재감시 장치로서, 전기차량 충전소의 충전주차구역에 일부매립 배치되어 충전중인 차량의 화재를 초기에 검지하기 위해 불꽃감지센서, 차량화재시 소량의 연기나 가연성가스 누출 감지를 위한 연기 및 가연성가스 감지센서, 차량화재 발생지점에서의 연기나 가연성가스 유출분을 연기 및 가연성가스 감지센서쪽 방향으로 신속 유도하기 위해 흡기 작동되게 설치된 흡기팬 등이 개별적으로 포함된 다수개의 화재감지모듈들과, 충전주차구역에 배치되어서 충전중인 전기차량을 감지하는 차량감지센서와, 다수개의 화재감지모듈과 근거리 무선통신을 통해 무선 연결되며, 차량감지센서에서의 차량감지에 따라 화재감지모듈들로부터 화재감지 여부를 체크하고 화재발생을 검증하여서 전기차량 충전용 메인전력을 차량충전기로 선택적으로 공급하고, 화재발생이 검증됨에 따라 충전용 메인전력을 차단하고 화재신고 메시지를 해당 지역 소방상황실로 전송함과 함께 충전소내 인체감지시 대피안내방송을 하는 화재감시용 본체유닛을 구비한 것이다.

Description

전기차량 충전소에서의 충전중 화재감시 장치 및 방법{FIRE SECURITY APPARATUS AND METHOD WHILE CHARGING ELECTRIC VEHICLE CHARGING STATION}
본 발명은 전기차량 충전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기차량 충전시 빈번히 발생되는 화재사고를 방지하고 관리할 수 있도록 감시하는 전기차량 충전중 화재감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요즈음 친환경 차량인 전기 차량이 대세로 가고 있다. 전기차량은 배터리에 저장된 전기에너지가 제어부인 컨버터와 인버터를 거쳐 구동모터에 전달됨으로써 그 구동동력이 생긴다.
이러한 전기차량은 차량배터리 충전을 통해서 동력을 얻을 수 있다. 전기차량을 충전하는 방식에는 일반 충전방식과 급속 충전방식이 있는데, 급속충전을 하게 되면 화재와 폭발의 위험이 좀더 높아지게 된다.
일반 충전방식은 완속 충전기를 이용해서 충전하는 방식이다. 완속 충전기는 표준화되어 차량에 관계없이 호환가능하고, 220V의 교류전력을 공급하여 차량에 장착된 약 33kW의 충전기가 인가된 교류를 직류로 변환하여 충전하는 방식으로 작동한다. 예컨대 대략 33kW의 충전기를 통해 차량을 충전하는 경우 배터리 용량에 따라 4~6시간 정도가 소요될 수 있으며 약 66kW의 충전기로 일반 완속충전할 경우 약 4시간 30분 정도 소요될 수 있다.
반면 급속 충전방식은 급속충전기를 이용해 급속충전하는 방식이다. 급속충전을 할 경우, 제작사별로 각기 다른 충전방식이 있기 때문에 일부 호환가능한 충전기나 해당 충전기만 사용이 가능하다. 급속충전기와 전기차량이 제어신호를 주고받으며 100~450V의 직류를 가변적으로 공급하여 배터리를 충전하는 방식이며, 고압 및 고용량 충전으로 충전시간이 적게 소요되는 장점이 있다. 예컨대, 중형 전기차량을 기준으로 100kW 충전기 사용 시 약 30분 정도가 소요되고, 50kW충전기 사용시 기준으로는 약 40분이 소요될 수 있다.
전기차량의 충전소는 사용자의 대기시간을 아낄 필요성이 있기 때문에 거의 대부분이 급속 충전소 형태로 운영되는 바, 전기차량 충전소에서 급속 충전중인 전기차량에서 화재가 날 가능성이 일반 충전소에 비해서 상대적으로 높다.
전기차량 내 탑재된 배터리가 주로 리튬배터리인 관계로 차량배터리 사용중 충전이 이루어지면 휴대폰 통화중 휴대폰 배터리에서 열이 나듯이 열을 받게 되고 또 문제가 있을 경우 차량배터리팩에 있는 내부로부터 연기와 불이 나게 되면서 화재로 이어지고 폭발을 일으키게 된다.
그러므로 전기차량 충전시 화재 사고가 빈번히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고 관리하며 화재사고 발생되는 즉시로 추가 피해가 최소화되도록 할 수 있는 개선책이 요망된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19-0043764호 "전기자동차 충전소의 상태 확인을 위한 IoT 장치 및 방법"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전기차량 급속 충전시 빈번히 발생되는 화재사고를 방지하고 관리할 수 있도록 감시하는 전기차량 충전소에서의 충전중 화재감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급속충전방식의 전기차량 충전소에서의 충전중 화재시 초기에 발견하고 신속 조치하여 추가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전기차량 충전중 화재감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에 따른 본 발명은, 전기차량 충전소에서의 충전중 화재감시 장치에 있어서, 전기차량 충전소의 충전주차구역에 일부매립 배치되어 충전중인 차량의 화재를 초기에 감지하기 위한 다수개의 화재감지모듈들과, 충전주차구역에 배치되어서 충전중인 전기차량을 감지하는 차량감지센서와, 다수개의 화재감지모듈과 근거리 무선통신을 통해 무선 연결되며, 차량감지센서에서의 차량감지에 따라 화재감지모듈들로부터 화재감지 여부를 체크하고 화재발생을 검증하여서 전기차량 충전용 메인전력을 차량충전기로 선택적으로 공급하고, 화재발생이 검증됨에 따라 충전용 메인전력을 차단하고 화재신고 메시지를 해당 지역 소방상황실로 전송하는 화재감시용 본체유닛을 구비하되,
충전주차구역에 다수 배치된 상기 화재감지모듈들 각각은, 전기차량에서의 초기 발화지점을 감지하기 위한 불꽃감지센서와, 초기 화재발생의 신속 검지를 위해 차량화재 초기에 대응된 소량의 연기나 가연성가스 누출을 감지하기 위한 연기 및 가연성가스 감지센서와, 차량화재 발생지점에서의 연기나 가연성가스 유출분을 연기 및 가연성가스 감지센서쪽 방향으로 신속 유도하기 위해 흡기 작동되게 설치된 흡기팬과, 화재감시용 본체유닛과 무선통신을 위한 근거리무선통신부와, 화재감지모듈의 각 부를 전반적으로 제어하는 원격제어부와, 각 화재감지모듈내 능동회로소자에 구동전원을 자체공급하기 위한 태양광 충전부로 구성함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전기차량 충전소에서의 충전중 화재감시 장치에 있어, 상기 화재감지모듈은 일부 매립설치되는 수납 캔이 연기나 가스의 출입이 가능하도록 흡기공과 배기공을 가지며, 수납 캔에는 불꽃감지센서, 연기 및 가연성가스 감지센서, 흡기팬, 근거리무선통신부, 원격제어부, 태양광충전부가 포함된 구성부품들이 탑재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견지로서, 전기차량 충전기가 설치된 전기차량 충전소에서의 충전중 화재감시 방법에 있어서, 충전용 메인전력을 충전중인 전기차량에서의 화재발생 여부에 따라 차량 충전기로 단속적으로 전달하기 위해 전기차량 충전기 부근에 화재감시용 본체유닛을 설치하는 과정과, 충전주차구역에 정차해 충전중인 차량의 화재발생을 초기에 검지하기 위해 차량감지센서와 다수개의 화재감지모듈들을 전기차량 충전소의 충전주차구역에 배치하되, 각 화재감지모듈은 수납캔에 구성부품으로서 전기차량에서의 초기 발화지점을 감지하기 위한 불꽃감지센서와 초기 화재발생의 신속 검지를 위해 차량화재 초기에 대응된 소량의 연기나 가연성가스 누출을 감지하기 위한 연기 및 가연성가스 감지센서와, 차량화재 발생지점에서의 연기나 가연성가스 유출분을 연기 및 가연성가스 감지센서쪽 방향으로 신속 유도하기 위해 설치되어 흡기 구동하는 흡기팬과, 화재감시용 본체유닛과 근거리 무선통신을 위한 근거리무선통신부와, 화재감지모듈의 각 부를 전반적으로 제어하는 원격제어부와, 각 화재감지모듈내 능동회로소자에 구동전원을 자체공급하기 위한 태양광 충전부가 탑재되도록 하는 과정과, 다수개의 화재감지모듈들과 화재감시용 본체유닛이 근거리무선통신으로 무선 연결되어서 차량감지센서가 충전중인 차량을 감지후 다수의 화재감지모듈들 중에서부터 무선수신되는 화재감지 여부를 화재감시용 본체유닛이 체크하고 화재감지 지속여부를 통해 전기차량의 초기 화재발생을 검증하는 과정과, 전기차량의 초기 화재발생이 검증됨에 따라 화재감시용 본체유닛은 전기차량 충전기로 전송되는 충전용 메인전력을 차단하고 화재신고 메시지를 해당 지역 소방상황실로 전송하고 충전소내 인체감지시에 대피안내방송을 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전기차량 충전소에서의 충전중 화재감시 방법에 있어, 충전주차구역에 충전중인 전기차량에서의 화재감지가 있음에 따라 화재감시용 본체유닛에서는 차량 최초 화재 발화지점을 포함한 화재원인 분석자료의 제공을 위해서 웹카메라로 촬영 및 영상저장하는 과정을 더 가짐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전기차량을 충전소에서 충전시 빈번히 발생되는 화재사고를 방지하고 관리할 수 있으며, 또 전기차량 충전중 화재가 발생하더라도 초기에 발견하고 신속 조치하여 추가 피해를 최소화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량 충전중 화재감시 장치가 설치된 전기차량 충전소의 전체적인 개략 구성도,
도 2는 도 1의 화재감지모듈의 구성부품을 보여주는 분리 구성도,
도 3은 도 1 및 도 2의 화재감지모듈이 충전주차구역에 다수 배치된 정단면 및 평단면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전기차량 충전소에 설치된 전기차량 충전기와 화재감시용 본체유닛의 개략 사시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화재감시용 본체유닛의 회로블록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화재감지모듈의 회로블록 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화재감시용 본체유닛의 제어 흐름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량 충전중 화재감시 장치가 설치된 전기차량 충전소의 전체적인 개략 구성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전기차량 충전소에 설치된 전기차량 충전기(16)와 화재감시용 본체유닛(14)의 개략 사시 구성도이다.
전기차량 충전소에는 차량충전기(16)가 구비되고, 본 발명에 따른 전기차량(8)의 충전중 화재감시를 위해 화재감시용 본체유닛(14)이 도 4의 예시와 같이 차량충전기(16)의 주변에 설치된다.
차량충전기(16)에 공급되어할 메인전력(12)은 본 발명에 따른 화재감시용 본체유닛(14)을 경유해 차량충전기(16)에 제공된다. 차량충전기(16)의 충전전원은 충전케이블(17)의 충전커넥터(17a)를 통해 충전주차구역(2)에 정차중인 전기차량(8)에 공급된다.
화재감시용 본체유닛(14)에는 전기차량 충전중 화재발생시 충전전원에 의한 추가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즉 화재감시용 본체유닛(14)은 충전중인 전기차량(8)에 화재발생시에 충전용 메인전력(12)이 차량충전기(16)로 제공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해 충전기 전력스위칭부(도 5의 52)를 내장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화재감시용 본체유닛(14)의 회로블록 구성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화재감시용 본체유닛(14)의 충전기 전력스위칭부(52)는 화재감시용 본체유닛(14)내 주제어부(50)의 제어 하에 전력스위칭 작동하며, 전력스위칭부(52)의 입력단은 충전용 메인전력(12)이 입력되는 인입 전력선(13a)에 연결되고 충전기 전력스위칭부(52)의 출력단은 차량충전기(16)의 입력단에 연결된 인입 전력선(13b)에 연결된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재감시용 본체유닛(14)은, 주제어부(50)의 제어 하에 근거리통신부(56)를 이용한 근거리 무선통신을 통해 다수개의 화재감지모듈(10)과 무선 연결되며, 차량감지센서(6)에서의 차량감지에 따라 화재감지모듈(10)들로부터 화재감지 여부를 체크하고 화재발생을 검증하여서 전기차량 충전용 메인전력(12)을 충전기 전력스위칭부(52)를 이용하여 차량충전기(16)로 선택적으로 공급하되, 화재발생이 검증됨에 따라 충전용 메인전력(12)을 차단하고 유무선통신부(66)를 통해 화재신고 메시지를 해당 지역 소방상황실 단말로 전송하고 아울러 충전소내 인체가 감지되면 오디오부(62)와 스피커(SPK)를 통해 대피 안내방송을 한다.
도 5의 회로블록 구성을 도 4의 화재감시용 본체유닛(14)의 사시 구성과 함께 참조하면, 웹카메라부(64), 스피커(SPK), 인체감지센서(58), 비상해제버튼(60)이 도 4에서와 같이 화재감시용 본체유닛(14)의 지지기둥 외부측에 마련된다.
웹카메라부(64)는 차량 최초 화재 발화지점을 포함한 화재원인 분석자료의 제공을 위해서 촬영하는 수단이며, 스피커(SPK)는 충전주차구역(2)에 있는 사람에게 대피 안내방송을 송출하기 위한 수단이며, 인체감지센서(58)는 충전소 내에 있는 인체를 감지하기 위한 센싱수단이며, 비상해제버튼(60)은 화재 비상상황이 해제된 경우 사용자가 누르기 위한 해제버튼이다.
도 5에서, 미설명된 부호 "54"는 화재감시용 본체유닛(14)의 회로구성부품의 동작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부로서, 메인전력(12)의 교류전원을 직류전원으로 변환하고 각부의 동작전원을 생성한다. 그리고, "68"은 웹카메라부(64)의 촬영영상을 저장하는 영상저장부이고, "70"은 전력차단 상태에 있던 충전기 전력스위칭부(52)를 다시 스위칭 온상태로 복구시키는 복구버튼이다.
복구버튼(70)은 안전점검자가 접근할 수 있도록 본체유닛(14)의 케이스박스에 달린 관리자용 문을 열고 접근할 수 있는 박스 내부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로 되돌아 가면, 본 발명에 따른 전기차량 충전소에는 충전중 화재감지를 신속하기 수행하기 위해 차량감지센서(6)와 아울러 다수개의 화재감지모듈(10)들을 충전주차구역(2)에 구비한다.
충전주차구역(2)에 마련된 차량감지센서(6)는 충전을 위해 충전주차구역(2)에 정차된 전기차량(8)을 감지하기 위한 센싱수단으로서 충전 정차라인(4)내 심부측의 바닥에 배치된다. 차량감지센서(6)는 초음파센서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화재감지모듈(10)은 충전주차구역(2) 즉 충전 정차라인(4)내에 도 1의 예시와 같이 다수개(도 1에서는 8개)로 배치되어서 충전중인 전기차량(8)에 화재 발생시 그 초기에 화재발생을 감지케 하는 복합 센싱수단이다.
다수개의 화재감지모듈(10)들은 태양광을 이용해 자가 발전과 아울러 마스터인 화재감시용 본체유닛(14)들과는 근거리 무선통신이 가능한 구조이다. 도 1에서와 같이 화재감지모듈(10)은 다수개로 배열 배치되고 상부가 노출되도록 매립 설치되며[도 3의 (a) 참조], 각각이 화재감시용 본체유닛(14)과는 근거리 무선통신방식으로 무선통신을 수행한다.
본 발명에서는 화재감지모듈(10)과 화재감시용 본체유닛(14)간의 근거리 무선통신은 근거리 무선통신방식 중에서도 저전력 근거리 무선통신이 가능한 지그비(Zigbee) 통신방식을 채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는 도 1의 화재감지모듈(10)의 구성부품을 보여주는 분리 구성도이고, 도 3은 도 1 및 도 2의 화재감지모듈(10)이 충전주차구역(2)에 일부 매립된 정단면 및 평단면 구성도이다. 그리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화재감지모듈(10)의 회로블록 구성도이다.
급속충전방식의 전기차량 충전소의 충전주차구역(2)에 다수 개로 배치되는 수납캔 타입의 화재감지모듈(10)은 급속 충전중인 전기차량(8)에서의 화재발생을 신속하게 검지하기 위해 불꽃감지센서(22), 연기 및 가연성가스 감지센서(24)를 구비하며, 전기차량(8) 충전중 화재 발생에 따른 소량의 연기나 가스만 존재해도 초기 감지를 돕기 위해 전기차량(8)에서 야기된 소량의 연기나 가스가 연기 및 가연성가스 감지센서(24)쪽 방향으로 빠르게 향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흡기팬(26)도 구비한다.
충전중인 전기차량(8)에서의 화재발생시 소량의 연기나 가연성가스가 제일 먼저 발생하며 조금더 지나면 불꽃이 튀는 현상이 야기되는 바, 충전주차구역(2)에 다수 배치된 화재감지모듈(10)들을 이용해서 화재발생을 초기에 신속하게 검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재감지모듈(10)은 충전주차구역(2)에 설치시에 설치 편리성 및 현장 배선 및 공사가 최소화될 수 있도록 도 3과 같은 캔타입으로 구성하며, 도 2와 같은 화재감지모듈(10)의 각 구성부품들이 도 3의 수납 캔(20)에 탑재되게 구성한다.
도 2 및 도 6을 참조하면, 충전주차구역(2)에 매립되는 화재감지모듈(10)은, 충전중인 전기차량(8)에서의 초기 발화지점을 감지하기 위한 불꽃감지센서(22)와, 초기 화재의 신속 검지를 위해 차량화재 초기에 대응된 소량의 연기나 가연성가스 누출을 감지하기 위한 연기 및 가연성가스 감지센서(24)와, 차량화재 발생지점에서의 연기나 가연성가스 유출분을 연기 및 가연성가스 감지센서(24)쪽 방향으로 신속 유도되도록 흡기 작동되게 설치된 흡기팬(26)과, 화재감시용 본체유닛(14)과 무선통신을 위한 근거리무선통신부(28)와, 각 화재감지모듈(10)내 능동회로소자에 구동전원(BATT)을 자체 공급하기 위한 태양광 충전부(30)를 구비한다. 화재감지모듈(10)의 태양광 충전부(30)는 태양광패널(32)과 충방전회로부(34) 및 배터리(36)로 구성한다.
또한 화재감지모듈(10)에는 화재감지모듈(10)의 각 부를 전반적으로 제어하는 원격제어부(40)를 구비한다.
도 2와 같은 구성의 화재감지모듈(10)은 도 3에서와 같이 충전주차구역(2)의 바닥(21)에 부분 매립되는 수납 캔(20)을 구비한다. 즉 충전주차구역(2)내에 수납 캔(20)이 들어갈 수 있는 크기의 홈을 바닥(21)에 천공 형성한 후 수납 캔(20)을 끼워 넣으면 되는 것이다.
도 3의 (a)(b)를 참조하면, 화재감지모듈(10)의 수납 캔(20)은 주차구역 바닥 상방으로 노출되는 불꽃감지센서(22)와 태양광충전부(30)의 태양광패널(32)을 구비하고, 지면 외부로 노출되면서도 주차구역 지면의 빗물 침입은 방지되는 구조로서 수납캔 지붕처마 측벽측의 흡기공(42)과 배기공(44)도 구비한다. 또한 화재감지모듈(10)의 수납 캔(20) 내실에는, 연기 및 가연성가스 감지센서(24), 흡기팬(26)을 구비하고, 내실의 몰딩부(48)에 밀봉된 회로기판부(46)에는 근거리무선통신부(도 6의 28), 화재감지모듈(10)의 전반적인 제어를 위한 원격제어부(40), 흡기팬(26)을 구동하기 위한 팬 구동부(38)를 포함하는 구성부품들이 탑재된다.
연기 및 가연성가스 감지센서(24)는 수납 캔(20)의 내실중 회로기판부(46)의 상방으로 돌출하되 몰딩부(48)의 상방으로 돌출되게 구성하며, 흡기팬(26)은 수납 캔(20)의 천장부에 설치되어서 상측의 다수 흡기공(42)들을 통해 연기나 가연성 가스를 빨아들이고 내실 하방측에 위치한 연기 및 가연성가스 감지센서(24)쪽으로 향하도록 유도한다. 또 수납 캔(20)의 내실에 들어온 연기나 가스 등은 흡기팬(26)의 기동에 따른 풍압영항으로 배기공(44)를 통해 외부로 빠져나가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화재감시용 본체유닛(14)에서의 제어 흐름도이다.
전기차량(8)이 충전주차구역(2) 즉 충전 정차라인(4)내에 위치한 후 사용자가 차량충충전기(16)에 연장된 충전케이블(17)의 충전커넥터(17a)를 전기차량(8)의 충전포트에 꽂아 충전을 하게 되면, 화재감지모듈(10)에서는 차량감지센서(6)를 통해 충전중인 전기차량(8)을 감지한 후 이를 근거리 무선통신을 통해 화재감시용 본체유닛(14)으로 무선 전송한다.
화재감시용 본체유닛(14)은 충전중인 전기차량(8)의 감지가 수신되면(도 7의 S110단계), 충전주차구역(2)에 배치된 다수의 화재감지모듈(10)들에 각각에 구비된 흡기팬(26)들이 모두 구동되게 무선 제어한다(도 7의 S120단계).
그에 따라 다수의 화재감지모듈(10)들의 각 흡기팬(26)이 모두 구동을 하게 되는데, 이는 전기차량(8)의 충전중에 화재가 발생되면 초기에 소량의 연기나 가연성 가스가 흘러나오게 되는데 화재감지모듈(10)의 흡기팬(26)이 이를 강제 흡입하여서 연기 및 가연성가스 감지센서(24)에서 신속하게 감지할 수 있도록 해준다.
그리고, 화재감시용 본체유닛(14)은 다수의 화재감지모듈(10)의 불꽃감지센서(22)나 연기 및 가연성가스 감지센서(24)에 의한 화재감지가 화재감지모듈(10)로부터 무선전송되어 수신되는지 수시로 체크한다(도 7의 S130단계).
만일 화재감지 수신이 있게 되면 화재감시용 본체유닛(14)은 차량 최초 화재 발화지점을 포함한 화재원인 분석자료를 확보하기 위해서 웹카메라부(64)를 이용해 촬영하고 내부에 마련된 영상저장부(68)에 촬영영상을 저장한다(도 7의 135단계).
또 화재감시용 본체유닛(14)은 화재감지가 이루어지면 화재감지상태가 미리 설정된 지속기준시간(예컨대 10초 정도)이상 지속되는지 체크하여 초기 화재발생 여부를 검증한다(도 7의 S140단계).
화재감지가 미리 설정된 지속기준시간 이상동안 지속되면 초기 화재발생이 검증된 것으로 판단하고 화재감시용 본체유닛(14)은 충전기 전력 스위칭부(52)를 제어하여 충전용 메인전력(12)을 차단한다(도 7의 S150단계). 그래서 충전 전력으로 인한 차량화재의 진행을 초기에 저지하여 전기차량 충전에 따른 추가 피해를 최소화한다.
그리고 화재감시용 본체유닛(14)은 유무선통신부(66)를 통해 화재신고 메시지를 해당 지역 소방상황실 단말로 전송하여 화재신고가 이루어지고 하고(도 7의 S160단계), 아울러 인체감지센서(58)를 통해 충전소내 주변 사람이 있음을 감지하면 오디오부(62)와 스피커(SPK)를 통해 대피 안내방송을 하게 된다.
또한 전기차량(2) 충전중 화재발생이 중지된 후 사용자가 대피안내방송을 멈추고자 해서 비상해제버튼(60)을 누르게 되면, 화재감시용 본체유닛(14)은 이를 인지하고 대피안내방송을 중지시킨다(도 7의 S170 ~ S180단계).
한편, 충전중 화재 발생 등에 대한 신속 조치 및 그에 따른 후속조치가 잘 마무리되면, 안전점검자는 화재감시용 본체유닛(14)의 관리자용 문을 열고 내부에 구비된 복구버튼(도 5의 70)을 눌러서 차단상태에 있는 충전기 전력스위칭부(52)를 다시 스위치온 상태로 복귀시킬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 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청구범위 및 그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에 의해 정해 져야 한다.
(2)--충전주차구역 (4)-- 충전 정차라인
(6)-- 차량감지센서 (8)-- 전기차량
(10)-- 화재감지모듈 (12)-- 메인전력
(13a)(13b)-- 인입 전력선 (14)-- 화재감시용 본체유닛
(16)-- 차량충전기 (17)-- 충전케이블
(17a)-- 충전커넥터 (20)- 수납 캔
(21)-- 바닥 (22)-- 불꽃감지센서
(24)-- 연기 및 가연성가스 감지센서 (26)-- 흡기팬
(28)(56)-- 근거리 무선통신부 (30)-- 태양광 충전부
(32)-- 태양광패널 (34)-- 충방전회로부
(36)-- 배터리 (38)-- 팬구동부
(40)-- 원격제어부 (42)-- 흡기공
(44)-- 배기공 (46)-- 회로기판
(48)-- 몰딩부 (50)-- 주제어부
(52)-- 충전기 전력 스위칭부 (54)-- 전원부
(58)-- 인체감지센서 (60)-- 비상해제버튼
(62)-- 오디오부 (64)-- 웹카메라부
(66)-- 유무선통신부

Claims (4)

  1. 급속충전방식의 전기차량 충전소에서의 충전중 화재감시 장치에 있어서,
    급속충전방식의 전기차량 충전소에서의 충전주차구역중 충전 정차라인 내에 다수개로 배치되고, 수납 캔 형태로서 수납 캔 상부가 노출되게 충전주차구역 바닥홈에 매립되어서, 정차후 급속충전중인 차량의 화재를 초기에 감지하기 위한 화재감지모듈들과,
    충전주차구역에 배치되어서 충전주차구역의 전기차량을 감지하는 차량감지센서와,
    다수개의 화재감지모듈과 근거리 무선통신을 통해 무선 연결되며, 차량감지센서에서의 차량감지에 따라 화재감지모듈들로부터 화재감지 여부를 체크하고 화재발생을 검증하여서 전기차량 충전용 메인전력을 차량충전기로 선택적으로 공급하고, 화재발생이 검증됨에 따라 충전용 메인전력을 차단하고 화재신고 메시지를 해당 지역 소방상황실로 전송하는 화재감시용 본체유닛을 구비하되,
    상기 화재감지모듈의 구성부품이 바닥홈에 매립된 수납 캔 각각에 탑재되게 구성하고, 각 수납 캔에는 연기나 가스의 캔 내실로의 유입 및 외부 배출이 가능하도록 지면 외부로 노출되며 빗물 침입방지를 위해 수납캔 지붕처마 측벽측에 흡기공과 배기공이 구비되게 구성하며,
    각 화재감지모듈은,
    수납캔의 상방측에 위치하며 차량에서의 초기 발화지점을 감지하기 위한 불꽃감지센서와, 수납 캔의 내실에 위치하며 초기 화재발생의 신속 검지를 위해 차량화재 초기에 대응된 소량의 연기나 가연성가스 누출을 감지하기 위한 연기 및 가연성가스 감지센서와, 차량화재 발생지점에서의 연기나 가연성가스 유출분이 수납 캔의 흡기공을 통해 내실의 연기 및 가연성가스 감지센서쪽 방향으로 신속 유도하기 위해 흡기 작동하는 유도용 흡기팬과, 화재감시용 본체유닛과 무선통신을 위한 근거리무선통신부와, 화재감지모듈의 각 부를 전반적으로 제어하는 원격제어부와, 각 화재감지모듈내 능동회로소자에 구동전원을 자체공급하기 위한 태양광 충전부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차량 충전소에서의 충전중 화재감시 장치.
  2. 삭제
  3. 급속충전방식의 전기차량 충전기가 설치된 전기차량 충전소에서의 충전중 화재감시 방법에 있어서,
    충전용 메인전력을 충전중인 전기차량에서의 화재발생 여부에 따라 차량 충전기로 단속적으로 전달하기 위해 전기차량 충전기 부근에 화재감시용 본체유닛이 설치되게 구성하는 과정과,
    충전주차구역에 정차해 급속 충전중인 차량의 화재발생을 초기에 검지하기 위해 차량감지센서와 다수개의 화재감지모듈들을 전기차량 충전소의 충전주차구역에 배치하되, 각 화재감지모듈은 바닥홈에 상부가 노출되게 매립된 수납캔에 탑재되며 수납 캔에는 연기나 가스의 캔 내실로의 유입 및 외부 배출이 가능하도록 지면 외부로 노출되며 빗물 침입방지를 위해 수납캔 지붕처마 측벽측에 흡기공과 배기공이 구비되게 하고, 화재감지모듈의 구성부품으로서 수납캔 상방측에 위치하며 전기차량에서의 초기 발화지점을 감지하기 위한 불꽃감지센서와, 수납 캔의 내실에 위치하며 초기 화재발생의 신속 검지를 위해 차량화재 초기에 대응된 소량의 연기나 가연성가스 누출을 감지하기 위한 연기 및 가연성가스 감지센서와, 차량화재 발생지점에서의 연기나 가연성가스 유출분이 수납 캔의 흡기공을 통해 내실의 연기 및 가연성가스 감지센서쪽 방향으로 신속 유도되도록 하기 위해 흡기 구동하는 유도용 흡기팬과, 화재감시용 본체유닛과 근거리 무선통신을 위한 근거리무선통신부와, 화재감지모듈의 각 부를 전반적으로 제어하는 원격제어부와, 각 화재감지모듈내 능동회로소자에 구동전원을 자체공급하기 위한 태양광 충전부가 탑재되도록 구성하는 과정과,
    각기 자가발전하는 다수개의 화재감지모듈들이 화재감시용 본체유닛과 근거리무선통신으로 무선 연결되어서 급속충전중인 전기차량을 차량감지센서에 의해 감지후 다수의 화재감지모듈들 중의 하나 이상에서부터 무선수신되는 화재감지 여부를 화재감시용 본체유닛이 체크하고 화재감지 지속여부를 통해 전기차량의 초기 화재발생을 검증하는 과정과,
    전기차량의 초기 화재발생이 검증됨에 따라 화재감시용 본체유닛은 전기차량 충전기로 전송되는 충전용 메인전력을 차단하고 화재신고 메시지를 해당 지역 소방상황실로 전송하는 과정과,
    초기 화재발생이 검증후 전기차량 충전소에 인체가 감지될 시에 대피안내방송을 수행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차량 충전소에서의 충전중 화재감시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충전주차구역에 충전중인 전기차량에서의 화재감지가 있음에 따라 화재감시용 본체유닛에서는 차량 최초 화재 발화지점을 포함한 화재원인 분석자료의 제공을 위해서 웹카메라로 촬영 및 영상저장하는 과정을 더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차량 충전소에서의 충전중 화재감시 방법.
KR1020220020073A 2022-02-16 2022-02-16 전기차량 충전소에서의 충전중 화재감시 장치 및 방법 KR1026750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0073A KR102675078B1 (ko) 2022-02-16 2022-02-16 전기차량 충전소에서의 충전중 화재감시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0073A KR102675078B1 (ko) 2022-02-16 2022-02-16 전기차량 충전소에서의 충전중 화재감시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23216A KR20230123216A (ko) 2023-08-23
KR102675078B1 true KR102675078B1 (ko) 2024-06-12

Family

ID=878491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20073A KR102675078B1 (ko) 2022-02-16 2022-02-16 전기차량 충전소에서의 충전중 화재감시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7507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72468B1 (ko) * 2023-12-20 2024-06-05 주식회사한맥아이피에스 딥러닝 알고리즘 기반 분리 회로를 활용하여 화재 감지를 수행하는 전기차 충전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200103A (ja) * 2011-03-23 2012-10-18 Panasonic Corp 充電制御装置及び充電制御システム
KR101407549B1 (ko) * 2014-03-14 2014-06-13 (주)경봉이엔지 씨씨티브이
KR102363348B1 (ko) * 2021-12-07 2022-02-15 주식회사 두루스코이브이 스토퍼형 충전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43764A (ko) 2017-10-19 2019-04-29 주식회사 하이엔시스 전기자동차 충전소의 상태 확인을 위한 IoT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200103A (ja) * 2011-03-23 2012-10-18 Panasonic Corp 充電制御装置及び充電制御システム
KR101407549B1 (ko) * 2014-03-14 2014-06-13 (주)경봉이엔지 씨씨티브이
KR102363348B1 (ko) * 2021-12-07 2022-02-15 주식회사 두루스코이브이 스토퍼형 충전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23216A (ko) 2023-08-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08670B2 (en) Warning system for monitoring a vehicle battery
JP3509349B2 (ja) ハイブリッド燃料電池
ES2454593T3 (es) Sistema de aviso para sistemas de batería
KR102675078B1 (ko) 전기차량 충전소에서의 충전중 화재감시 장치 및 방법
CN111258388B (zh) 一种爬架专用智能主控箱
CN105854205A (zh) 充电桩的配装灭火器、灭火方法及灭火***
CN113948813A (zh) 一种动力电池的防爆控制***及防爆控制方法
CN105549515A (zh) 一种电动汽车充电设备安全监控***
CN206271192U (zh) 一种车辆行驶定位报警***
CN212076076U (zh) 一种可检测轿厢进水的电梯***
CN210109972U (zh) 一种消防应急疏散报警装置
EP4234939A2 (en) Device for supplying power to jet fan disposed in tunnel and jet fan system using the same
KR102531013B1 (ko) 전기 모빌리티 배터리팩의 화재감지 및 소화방법
CN106114229B (zh) 一种电动车安全预警装置
CN115891880A (zh) 车辆中电瓶电量的控制方法、***、装置和车辆
CN210402628U (zh) 一种具有WiFi无线功能的声光警报器及报警***
KR102618911B1 (ko) 기계식 주차설비의 화재확산 방지를 위한 화재진압설비
KR20200122592A (ko) 비상 전원을 제공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20080025975A (ko) 휴대단말장치 및 그를 이용한 전원 제어방법
CN217157431U (zh) 一种物业消防安全报警装置
CN221181448U (zh) 一种充电站智能消防装置及基于该装置的充电站
CN217229852U (zh) 基于电梯轿厢内便携式电池识别监管***的智慧电梯
CN107650698A (zh) 带即停功能的充电桩
KR102623519B1 (ko) 화염을 외부로 유도하는 에너지 저장 장치
CN114801750B (zh) 电动汽车下高压的控制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