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73626B1 - 원격 의료 지원시스템 및 원격 의료 지원방법 - Google Patents

원격 의료 지원시스템 및 원격 의료 지원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73626B1
KR102673626B1 KR1020220179289A KR20220179289A KR102673626B1 KR 102673626 B1 KR102673626 B1 KR 102673626B1 KR 1020220179289 A KR1020220179289 A KR 1020220179289A KR 20220179289 A KR20220179289 A KR 20220179289A KR 102673626 B1 KR102673626 B1 KR 1026736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tient
image
aid
dimensional image
coordin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792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윤제
최제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심시스글로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심시스글로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심시스글로벌
Priority to KR10202201792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7362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736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736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02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 A61B5/0004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hysiological signal transmitted
    • A61B5/0013Medical image dat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30Determination of transform parameters for the alignment of images, i.e. image registration
    • G06T7/33Determination of transform parameters for the alignment of images, i.e. image registration using feature-based metho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70Determining position or orientation of objects or cameras
    • G06T7/73Determining position or orientation of objects or cameras using feature-based method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patient-specific data, e.g. for electronic patient record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80/00ICT specially adapted for facilitating communication between medical practitioners or patients, e.g. for collaborative diagnosis, therapy or health monitor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05/00Evaluating, monitoring or diagnosing in the context of a particular type of medical care
    • A61B2505/01Emergency ca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Pathology (AREA)
  • Physiolog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Biophysics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Abstract

원격 의료 지원 시스템 및 원격 의료 지원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원격 의료 지원방법은, 현장요원이 착용한 가시화 디바이스의 카메라를 이용하여 관절영역들 각각에 마커가 부착된 환자에 대한 영상을 획득하는 단계; 환자의 영상으로부터 환자의 3차원 좌표값을 획득하고 마커들의 3차원 좌표값을 획득하는 단계; 마커들의 3차원 좌표값을 각각 제1 고정좌표로 설정하는 단계; 가시화 디바이스를 통해 디스플레이된 환자의 영상에 응급처치 위치 및 응급처치법에 관한 현장요원의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응급처치 위치를 제2 고정좌표로 설정하는 단계; 제2 고정좌표에 응급처치법에 관한 3차원 이미지를 투영하여 가시화 디바이스를 통해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및 제1 고정좌표들과 상기 제2 고정좌표를 기반으로 가시화 디바이스를 통해 디스플레이된 환자의 영상에 3차원 이미지를 정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원격 의료 지원시스템 및 원격 의료 지원방법{SYSTEM AND METHOD FOR SUPPORT REMOTE MEDICAL SERVICE}
본 발명은 원격 의료 지원시스템 및 원격 의료 지원방법에 관한 것이다.
응급환자란 증세가 위급하여 응급처치를 받아야 하는 환자로 정의되고, 이러한 응급환자는 초기 응급상황이 발생된 시점부터 5분 이내의 초기 대응여부가 생존율에 막대한 영향을 끼치게 된다. 예를 들어 심장이 멈춘 후 5분 이내에 심폐소생술 등의 초기 대응을 하는 경우와, 5분 이후에 초기 대응을 하는 경우의 생존율은 현저한 차이가 나고, 전체 외상환자 중 예방 가능한 사망률이 35.2%(2010년 기준)에 이를 정도로 응급환자에 대한 초기대응은 응급환자의 생존율에 직결된다.
통상적으로 응급환자의 초기 대응은 현장요원이 현장에 도착하여야만 가능하고, 설령 현장요원이 현장에 도착하더라도 전문적인 의료지식을 갖추지 않은 구조자는 심폐소생술 등의 기본적인 초기대응은 가능하나, 전문적인 의료지식이 요현장요원은 응급상황 발생 시에는 현장요원에 의하여 인접한 병원으로 이동한 후에야 초기 대응이 가능하였고, 이와 같이 응급환자의 초기 대응이 지연됨에 따라 예방가능한 응급환자가 결국 사망하게 되는 사건이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응급환자가 위급한 상태인 경우 현장요원 및 전문 의료진의 통화를 통해 초기 응급처치를 수행할 수 있으나, 단순히 음성을 통해서만 의사가 환자의 상태를 정확하게 인지하는 것에는 한계가 있으며, 긴박한 상황에서 현장요원이 자신의 이동통신 단말기로 의사에게 콜을 보내고, 통화를 수행하는 것은 오히려 소중한 시간을 지체시키는 한계가 있어 실질적인 도움이 되지 못한다.
따라서, 국민의 생활 향상 및 질병 구조의 변화로 응급환자 발생률이 지속적으로 증가함에 따라 재난현장의 응급환자의 초기 대응을 정확하고 신속하게 처리하기 위한 의료지원에 대한 연구가 시급한 실정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1-0054382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63998호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응급환자에 대한 초기 대응을 정확하고 신속하게 처리하며, 필요시에 전문 의료진의 의료 지원이 용이한 원격 의료 지원시스템 및 원격 의료 지원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현장요원이 착용한 가시화 디바이스의 카메라를 이용하여 관절영역들 각각에 마커가 부착된 환자에 대한 영상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환자의 영상으로부터 상기 환자의 3차원 좌표값을 획득하고 상기 마커들의 3차원 좌표값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마커들의 3차원 좌표값을 각각 제1 고정좌표로 설정하는 단계; 상기 가시화 디바이스를 통해 디스플레이된 상기 환자의 영상에 응급처치 위치 및 응급처치법에 관한 현장요원의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응급처치 위치를 제2 고정좌표로 설정하는 단계; 상기 제2 고정좌표에 상기 응급처치법에 관한 3차원 이미지를 투영하여 상기 가시화 디바이스를 통해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고정좌표들과 상기 제2 고정좌표를 기반으로 상기 가시화 디바이스를 통해 디스플레이된 상기 환자의 영상에 상기 3차원 이미지를 정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원격 의료 지원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3차원 이미지를 정합하는 단계는, 상기 제1 고정좌표와 상기 제2 고정좌표를 기준으로 상기 환자의 영상에 상기 3차원 이미지가 정합될 정합영역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정합영역에 대한 상기 3차원 이미지의 회전각, 크기 변화값 및 위치 변화값을 산출하는 단계; 산출된 상기 3차원 이미지의 회전각, 크기 변화값 및 위치 변화값을 이용하여 상기 3차원 이미지를 변형하는 단계; 및 상기 정합영역에 변형된 상기 3차원 이미지를 정합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환자의 팔 또는 다리가 골절된 응급상황인 경우에, 상기 정합영역은 상기 제2 고정좌표의 양측에 인접한 상기 제1 고정좌표들 사이의 영역이며, 상기 3차원 이미지는 골절에 대한 처치방법인 붕대법이며, 상기 3차원 이미지가 신체 표준에 의해 정의된 부피면을 계산하여 상기 정합영역에 중첩되어 정합될 수 있다.
상기 환자가 심정지인 응급상황인 경우에, 상기 정합영역은 상기 환자의 양쪽 어깨관절에 각각 대응되는 상기 제1 고정좌표들의 중심점인 제1 중심좌표에서 상기 환자의 양쪽 골반관절에 각각 대응되는 상기 제1 고정좌표들의 중심점인 제2 중심좌표까지 거리의 1/4인 정합위치이며, 상기 3차원 이미지는 심정지에 대한 처치방법인 심폐소생술이며, 상기 3차원 이미지는 상기 환자의 양쪽 어깨관절에 각각 대응되는 상기 제1 고정좌표들과 상기 정합위치를 꼭지점으로 갖는 삼각형에 수직방향되게 상기 정합위치에 정합될 수 있다.
상기 현장요원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는, 현장요원이 착용한 상기 가시화 디바이스를 통해 상기 환자의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및 상기 가시화 디바이스를 통해 디스플레이된 상기 환자의 영상에 현장요원의 제스처를 통해 상기 응급처치 위치를 지정하고 매뉴얼에서 상기 응급처치법을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환자에 대한 영상을 획득하는 단계는, 초기 환자 발견 시 원거리에서 상기 마커들이 부착된 상기 환자의 전신에 관한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상기 마커는 상기 환자의 관절영역에 관한 데이타정보를 갖는 QR코드일 수 있다.
상기 환자의 관절영역에 상기 마커를 부착할 수 없는 경우에, 상기 환자의 해당 관절영역에 인접한 바닥면에 상기 마커를 부착할 수 있다.
상기 현장요원이 원격 의료지원을 요청한 경우에, 의료진 목록에서 연결가능한 의료진을 검색하여 연결하며, 의료진이 착용한 가시화 디바이스를 통해 상기 환자의 영상을 공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응급환자에 대한 초기 대응을 정확하고 신속하게 처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환자의 관절영역들에 부착된 마커들을 이용하여 환자의 생체 객체 인식 및 정합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전문 의료진이 영상을 통해 응급환자의 상태를 보다 정확하게 인지할 수 있어 전문 의료진으로부터 정확하고 신속한 의료지원 서비스를 받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원격 의료 지원시스템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현장 운영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원격 의료 지원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4 내지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영상정합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원격 의료 지원시스템을 나타내는 개념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현장 운영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원격 의료 지원시스템은 응급환자에 대한 초기 응급처치가 신속하고 정확하게 이뤄지도록 하는 시스템이다.
원격 의료 지원시스템은 현장요원이 휴대하며 현장요원에게 의료지원 서비스를 제공하는 현장 운영장치(100)와, 현장 운영장치(100)에 통신연결되며 현장 운영장치(100)에 의료지원 서비스를 제공하는 원격 지원서버(200)와, 원격 지원서버(200)에 통신연결되어 응급현장 정보를 전문 의료진에게 제공하고 현장요원에게 전문 의료진의 의료지원 서비스를 전달하는 원격 의료 지원장치(300)를 포함한다.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현장 운영장치(100)는 현장요원(또는 구조자)가 머리에 착용하는 가시화 디바이스(110)와, 가시화 디바이스(110)에 통신연결되어 가시화 디바이스(110)를 제어하는 휴대용 컨트롤러(120)를 포함한다.
가시화 디바이스(110)는 VR(virtual reality), AR(Augmented Reality) 또는 MR(Mixed Reality)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상 현실을 현장요원에게 제공할 수 있다.
특히 혼합현실(MR)은 현실 세계에 실시간으로 부가정보를 갖는 가상 세계를 겹쳐 하나의 영상으로 보여주는 기술이다. 혼합현실 기술은 가시적인 정보를 제공하기 때문에, 의료분야에서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다. 혼합현실 기술은 응급상황, 의료처치 등에 필요한 영상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의료현장에서 혼합현실 기술이 실질적으로 이용되기 위해서는 현장요원이 응급상황에서 환자에 대한 응급처치를 하는 동안 필요한 정보를 눈으로 볼 수 있어야 한다. 이에 본 실시예에서는 구글 글래스(Google Glass)나 마이크로소프트 홀로렌즈(HoloLens)와 같은 가시화 디바이스(110)를 사용할 수 있다.
휴대용 컨트롤러(120)는 가시화 디바이스(110)에 통신연결되어 가시화 디바이스(110)를 제어한다. 휴대용 컨트롤러(120)는 영상 획득부(121)와, 영상좌표 획득부(123)와, 영상 정합부(125)와, 디스플레이부(127)를 포함한다.
영상 획득부(121)는 환자에 대한 현실의 실시간 영상을 획득하고 저장한다. 영상 획득부(121)는 가시화 디바이스(110)의 카메라를 이용하여 환자에 대한 영상을 획득한다. 이때 환자의 관절영역들 각각에 마커(M)를 부착한 후 환자에 대한 영상을 촬영한다(도 4 참조). 마커(M)들이 부착된 환자에 대한 영상을 획득하는 경우에 있어, 현장요원은 초기 환자 발견 시 원거리에서 마커(M)들이 부착된 환자의 전신에 관한 영상을 획득한다.
본 실시예에서 마커(M)는 환자의 관절영역에 관한 데이타정보를 갖는 QR코드일 수 있다. 마커(M)는 환자의 골절영역에 관한 데이타정보, 예를들어 어깨관절, 골반관절, 팔목관절 등에 관한 정보를 구비한다. 각각의 관절영역에 해당 마커(M)를 부착한다. 한편, 환자의 관절영역에 마커(M)를 부착할 수 없는 경우에 해당 관절영역에 인접한 바닥면에 마커(M)를 부착한다.
영상좌표 획득부(123)는 환자의 영상으로부터 환자의 3차원 좌표값을 획득하고, 환자에 부착된 마커(M)들의 3차원 좌표값(J0~J16)을 획득한다(도 5 참조). 환자의 관절영역에 마커(M)를 부착할 수 없는 경우에 해당 관절영역에 인접한 바닥면에 부착된 마커(M)를 통해 3차원 좌표값을 획득한다.
영상 정합부(125)는 환자에 대한 실시간 영상에 응급처치법에 관한 3차원 이미지를 정합한다. 영상 정합부(125)는 환자의 실시간 영상과 3차원 이미지를 동일 좌표끼리 정합하여 3차원 이미지를 환자에 대한 실시간 영상에 오버레이되는 영상을 출력하도록 디스플레이부(127)를 제어한다.
그리고 영상 정합부(125)는 마커(M)들의 3차원 좌표값(J0~J16)을 각각 제1 고정좌표(anchor index)로 설정할 수 있다.
응급처치법에 관한 3차원 이미지는 현장요원이 환자의 상태를 파악하고 환자의 응급상황, 즉 골절, 심정지 등의 환자에 상태에 따라 가시화 디바이스(110)를 통해 디스플레이된 매뉴얼을 선택한 경우에 가시화 디바이스(110)에 디스플레이된 응급처치법이다.
또한 현장요원이 환자에 대한 영상에 응급처치 위치를 지정 또는 선택하면 영상 정합부(125)는 응급처치 위치를 제2 고정좌료(T)로 설정하고, 제2 고정좌표에 응급처치법에 관한 3차원 이미지를 투영하여 가시화 디바이스(110)에 디스플레이한다.
그리고 영상 정합부(125)는 제1 고정좌표(J0~J16)들과 제2 고정좌표(T)를 기반으로 가시화 디바이스(110)를 통해 디스플레이된 환자에 대한 영상에 응급처치법에 관한 3차원 이미지를 정합한다.
디스플레이부(127)는 영상 정합부(125)에 의해 환자에 대한 실시간 영상과 응급처치법에 관한 3차원 이미지가 정합된 영상을 가시화 디바이스(110)에 출력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원격 지원서버(200)는 현장 운영장치(100) 및 원격 의료 지원장치(300)와 통신연결되며, 현장 운영장치(100)에 의료지원 서비스를 제공한다. 또한 원격 지원서버(200)는 원격 의료 지원장치(300)에서 제공된 전문 의료진의 의료지원 서비스를 현장요원에게 전달한다.
원격 지원서버(200)는 휴대용 컨트롤러(120)와 원격 의료 지원장치(300)와 데이터 통신하며, 현장요원과 전문 의료진이 응급상황 현장 및 환자에 관한 영상을 공유할 수 있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원격 의료 지원장치(300)는 현장요원이 환자의 상태를 보고 전문 의료진의 원격 의료지원을 요청한 경우에 현장요원에게 의료 서비스를 제공한다. 원격 의료 지원장치(300)는 의료진 목록에서 연결가능한 의료진을 검색하여 연결한다. 이때 원격 의료 지원장치(300)는 전문 의료진이 착용한 가시화 디바이스(310)를 통해 의료진에게 환자의 영상을 공유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의료진의 의료 서비스 등을 현장요원에게 전달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원격 의료 지원방법은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원격 의료 지원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고, 도 4 내지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영상정합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응급상황 현장에 도착한 현장요원은 가시화 디바이스(110)를 착용한 후, 착용한 가시화 디바이스(110)의 카메라를 이용하여 환자에 대한 영상을 획득한다(S100). 이때,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환자에 대한 영상을 획득하기에 앞서 환자의 관절영역들 각각에 환자의 관절영역에 관한 데이타정보를 갖는 QR코드인 마커(M)를 부착한다. 예를들어, 어깨관절, 골반관절 등 각각에 17개의 마커(M)를 부착할 수 있다. 한편, 환자의 관절영역에 마커(M)를 부착할 수 없는 경우에 해당 관절영역에 인접한 바닥면에 마커(M)를 부착할 수 있다.
환자에 대한 초기 영상은 원거리에서 마커(M)들이 부착된 환자의 전신에 관한 영상을 획득한다.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환자에 대한 영상은 영상 획득부(121)에 저장된다.
그리고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영상좌표 획득부(123)는 환자의 영상으로부터 환자의 3차원 좌표값을 획득하고, 환자에 부착된 마커(M)들의 3차원 좌표값(J0~J16)을 획득한다(S200).
그리고 현장요원은 환자의 상태를 파악하고, 환자의 상태가 매뉴얼에 따라 응급처치가 가능한 상황에 해당하는 여부를 판단한다(S300).
매뉴얼에 따른 응급처치가 가능한 경우에, 영상 정합부(125)를 통해 환자에 대한 실시간 영상에 응급처치법에 관한 3차원 이미지를 정합한다(S400). 환자의 실시간 영상에 대한 3차원 좌표값과 응급처치법에 관한 3차원 이미지를 동일 좌표끼리 정합하여 3차원 이미지를 환자에 대한 실시간 영상에 오버레이되는 영상을 디스플레이부(127)에 출력하도록 제어한다.
환자에 대한 영상과 응급처치법에 관한 3차원 이미지를 정합은 환자에 부착된 마커(M)들의 3차원 좌표값(J0~J16)을 각각 제1 고정좌표(anchor index)로 설정한다(도 6 참조).
그리고 현장요원의 입력을 수신한다. 즉, 현장요원은 가시화 디바이스(110)를 통해 디스플레이된 환자의 실시간 영상에 제스처를 통해 응급처치 위치(T)를 지정하고 매뉴얼에서 응급처치법을 선택한다.
현장요원이 환자에 대한 영상에 응급처치 위치를 지정 또는 선택하면 영상 정합부(125)는 응급처치 위치(T)를 제2 고정좌료로 설정할 수 있으며(도 7 참조), 제2 고정좌표(T)에 응급처치법에 관한 3차원 이미지가 투영되어 가시화 디바이스(110)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예를들어 환자가 심정지 상태인 경우에 제2 고정좌표(T)에 심폐소생술에 관한 3차원 이미지가 디스플레이되거나(도 8 참조), 환자가 다리 골절 상태인 경우에 제2 고정좌표(T)에 붕대법에 관한 3차원 이미지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도 9 참조).
그리고 영상 정합부(125)는 제1 고정좌표(J0~J16)들과 제2 고정좌표(T)를 기반으로 가시화 디바이스(110)를 통해 디스플레이된 환자에 대한 영상에 응급처치법에 관한 3차원 이미지를 정합한다.
환자에 대한 영상에 응급처치법에 관한 3차원 이미지 정합은, 제1 고정좌표(J0~J16)들과 제2 고정좌표(T)를 기준으로 환자의 영상에 3차원 이미지가 정합될 정합영역을 설정한다. 그리고 정합영역에 대한 3차원 이미지의 회전각, 크기 변화값 및 위치 변화값을 산출한다. 그리고 산출된 3차원 이미지의 회전각, 크기 변화값 및 위치 변화값을 이용하여 3차원 이미지를 변형한다. 그리고 정합영역에 변형된 3차원 이미지를 정합한다. 현장요원은 정합된 3차원 이미지에 따라 환자에 대한 응급처치를 수행할 수 있다.
환자가 심정지인 응급상황인 경우에, 정합영역은 환자의 양쪽 어깨관절에 각각 대응되는 제1 고정좌표들(J5,J2)의 중심점인 제1 중심좌표(A)에서 환자의 양쪽 골반관절에 각각 대응되는 제1 고정좌표들(J13,J9)의 중심점인 제2 중심좌표(B)까지 거리(d)의 1/4인 정합위치(P)이다(도 10 참조). 그리고 3차원 이미지는 심정지에 대한 처치방법인 심폐소생술이며, 3차원 이미지는 환자의 양쪽 어깨관절에 각각 대응되는 제1 고정좌표들(J5,J2)과 정합위치(P)를 꼭지점으로 갖는 삼각형에 수직되게 정합위치(P)에 정합된다(도 11 내지 도 12 참조).
그리고 환자의 팔 또는 다리가 골절된 응급상황인 경우에, 정합영역은 제2 고정좌표의 양측에 인접한 제1 고정좌표들 사이의 영역일 수 있다. 3차원 이미지는 골절에 대한 처치방법인 붕대법이며, 3차원 이미지가 신체 표준에 의해 정의된 부피면을 계산하여 정합영역에 중첩되어 정합된다. 예를들어 환자의 오른팔이 골절된 경우에 정합영역은 제2 고정좌표(T)의 양측에 인접한 제1 고정좌표들(J6,J7) 사이의 영역이다(도 13 참조). 3차원 이미지는 골절에 대한 처치방법인 붕대법이며, 3차원 이미지가 신체 표준에 의해 정의된 부피면을 계산하여 정합영역에 중첩되어 정합된다(도 14 참조).
한편, 현장요원은 환자의 상태로부터 매뉴얼에 따른 응급처치가 불가하고, 전문 의료진의 의료지원 서비스가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현장요원은 원격 의료지원 서비스를 요청한다(S500). 현장요원으로부터 원격 의료 지원 서비스를 요청받은 경우에, 원격 지원서버(200) 의료진 목록에서 연결가능한 의료진을 검색하여 연결하며, 전문 의료진이 착용한 가시화 디바이스(310)를 통해 환자의 영상을 공유한다. 그리고 전문 의료진과 통신을 통해 현장요원은 환자의 상태에 따른 응급처치를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 예 또는 변형 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0: 현장 운영장치 110: 가시화 디바이스
120: 휴대용 컨트롤러 121: 영상 획득부
123: 영상좌표 획득부 125: 영상 정합부
127: 디스플레이부 200: 원격 지원서버
300: 원격 의료 지원장치

Claims (9)

  1. (a) 현장요원이 착용한 가시화 디바이스의 카메라를 이용하여 초기 환자 발견 시 원거리에서 관절영역들 각각에 마커가 부착된 상기 환자의 전신에 대한 영상을 획득하고, 실시간으로 상기 환자에 대한 영상을 획득하는 단계;
    (b) 영상좌표 획득부를 이용하여 상기 환자의 영상으로부터 상기 환자의 3차원 좌표값을 획득하고 상기 마커들의 3차원 좌표값을 획득하는 단계;
    (c) 상기 환자의 상태가 매뉴얼에 따른 응급처치가 가능하다는 현장요원의 입력을 수신한 경우에, 현장요원에 의해 상기 환자에 대한 응급처치가 수행되도록, 영상 정합부를 이용하여 상기 마커들의 3차원 좌표값을 각각 제1 고정좌표로 설정하고, 현장요원이 착용한 가시화 디바이스를 통해 디스플레이된 상기 환자의 실시간 영상에 응급처치 위치 및 응급처치법에 관한 현장요원의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응급처치 위치를 제2 고정좌표로 설정하고, 상기 제2 고정좌표에 상기 응급처치법에 관한 3차원 이미지를 투영하여 현장요원이 착용한 가시화 디바이스를 통해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환자에 대한 실시간 영상에 상기 응급처치법에 관한 상기 3차원 이미지를 정합하는 단계; 및
    (d) 상기 환자의 상태가 상기 매뉴얼에 따른 응급처치가 불가하고 전문 의료진의 의료 지원 서비스가 필요하며 현장요원으로부터 전문 의료진의 의료 지원 서비스를 요청받은 경우에, 원격 의료 지원장치를 이용하여 의료진 목록에서 연결가능한 의료진을 검색하여 연결하며, 의료진과 통신을 통해 의료진의 의료 서비스를 제공받은 현장요원에 의해 상기 환자의 상태에 따른 응급처치가 수행되도록 의료진이 착용한 가시화 디바이스를 통해 의료진에게 상기 환자의 영상을 공유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c) 단계의 상기 환자에 대한 실시간 영상에 상기 응급처치법에 관한 상기 3차원 이미지 정합은,
    상기 제1 고정좌표들과 상기 제2 고정좌표를 기준으로 상기 환자의 실시간 영상에 상기 응급처치법에 관한 상기 3차원 이미지가 정합될 정합영역을 설정하고,
    상기 정합영역에 대한 상기 응급처치법에 관한 상기 3차원 이미지의 회전각, 크기 변화값 및 위치 변화값을 산출하고,
    산출된 상기 응급처치법에 관한 상기 3차원 이미지의 회전각, 크기 변화값 및 위치 변화값을 이용하여 상기 응급처치법에 관한 상기 3차원 이미지를 변형하고,
    상기 정합영역에 변형된 상기 응급처치법에 관한 상기 3차원 이미지를 정합하는 원격 의료 지원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환자의 팔 또는 다리가 골절된 응급상황인 경우에, 상기 정합영역은 상기 제2 고정좌표의 양측에 인접한 상기 제1 고정좌표들 사이의 영역이며, 상기 3차원 이미지는 골절에 대한 처치방법인 붕대법이며, 상기 3차원 이미지가 신체 표준에 의해 정의된 부피면을 계산하여 상기 정합영역에 중첩되어 정합되는 원격 의료 지원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환자가 심정지인 응급상황인 경우에,
    상기 정합영역은 상기 환자의 양쪽 어깨관절에 각각 대응되는 상기 제1 고정좌표들의 중심점인 제1 중심좌표에서 상기 환자의 양쪽 골반관절에 각각 대응되는 상기 제1 고정좌표들의 중심점인 제2 중심좌표까지 거리의 1/4인 정합위치이며, 상기 3차원 이미지는 심정지에 대한 처치방법인 심폐소생술이며, 상기 3차원 이미지는 상기 환자의 양쪽 어깨관절에 각각 대응되는 상기 제1 고정좌표들과 상기 정합위치를 꼭지점으로 갖는 삼각형에 수직방향되게 상기 정합위치에 정합되는 원격 의료 지원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커는 상기 환자의 관절영역에 관한 데이타정보를 갖는 QR코드인 원격 의료 지원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환자의 관절영역에 상기 마커가 부착될 수 없는 경우에, 상기 환자의 해당 관절영역에 인접한 바닥면에 상기 마커가 부착되는 원격 의료 지원방법.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KR1020220179289A 2022-12-20 2022-12-20 원격 의료 지원시스템 및 원격 의료 지원방법 KR1026736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79289A KR102673626B1 (ko) 2022-12-20 2022-12-20 원격 의료 지원시스템 및 원격 의료 지원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79289A KR102673626B1 (ko) 2022-12-20 2022-12-20 원격 의료 지원시스템 및 원격 의료 지원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73626B1 true KR102673626B1 (ko) 2024-06-12

Family

ID=914697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79289A KR102673626B1 (ko) 2022-12-20 2022-12-20 원격 의료 지원시스템 및 원격 의료 지원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73626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54382A (ko) 2009-11-17 2011-05-25 원광대학교산학협력단 유비쿼터스 네트워크를 이용한 환자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1063998B1 (ko) 2009-06-25 2011-09-08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OSGi서비스 플랫폼에 기반한 응급의료시스템
KR20180011909A (ko) * 2016-07-25 2018-02-05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머리 장착 디스플레이 장치를 이용한 원격 진료 시스템의 제어 방법
KR20190136243A (ko) * 2018-05-30 2019-12-10 호남대학교 산학협력단 환자처치실습을 위한 증강현실구현방법
KR20210104715A (ko) * 2018-11-17 2021-08-25 노바라드 코포레이션 광학 코드를 이용한 증강 현실 디스플레이
KR20220098321A (ko) * 2020-11-11 2022-07-12 주식회사 유토비즈 확장현실형 응급처지 가이드 정보에 따른 응급처치자 교육형 의료 시스템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3998B1 (ko) 2009-06-25 2011-09-08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OSGi서비스 플랫폼에 기반한 응급의료시스템
KR20110054382A (ko) 2009-11-17 2011-05-25 원광대학교산학협력단 유비쿼터스 네트워크를 이용한 환자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180011909A (ko) * 2016-07-25 2018-02-05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머리 장착 디스플레이 장치를 이용한 원격 진료 시스템의 제어 방법
KR20190136243A (ko) * 2018-05-30 2019-12-10 호남대학교 산학협력단 환자처치실습을 위한 증강현실구현방법
KR20210104715A (ko) * 2018-11-17 2021-08-25 노바라드 코포레이션 광학 코드를 이용한 증강 현실 디스플레이
KR20220098321A (ko) * 2020-11-11 2022-07-12 주식회사 유토비즈 확장현실형 응급처지 가이드 정보에 따른 응급처치자 교육형 의료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1091732B (zh) 一种基于ar技术的心肺复苏指导器及指导方法
EP3903724B1 (en) Calibration method and device for dental implantology navigation surgeries
KR101268506B1 (ko) 스마트기기를 이용한 구급정보 및 응급의료 시스템
EP3369021A1 (en) Remote assistance workstation, method and system with a user interface for remote assistance with spatial placement tasks via augmented reality glasses
EP3640949A1 (en) Augmented reality with medical imaging
US11544030B2 (en) Remote work-support system
US20120256950A1 (en) Medical support apparatus, medical support method, and medical support system
JP2003270719A (ja) 投影方法、投影装置、作業支援方法及び作業支援システム
TW202135737A (zh) 手術導航系統及其成像方法
US8045685B2 (en) Movable monitoring equipment and remote monitoring and directing system
CN110638525B (zh) 整合扩增实境的手术导航***
JP6162517B2 (ja) ***決定支援装置及び医用画像診断装置
KR102673626B1 (ko) 원격 의료 지원시스템 및 원격 의료 지원방법
CN113648057A (zh) 手术导航***以及手术导航方法
KR102578334B1 (ko) 확장현실을 이용한 딥러닝 의료 처치 시스템
EP2453290A1 (en) Image presentation method and apparatus therefor
KR101258961B1 (ko) 신체증강현실용 스마트폰 결합모듈을 통한 신체증강현실 구동장치 및 방법
JP2007151686A (ja) 人体内部情報投影システム
US12009097B2 (e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for remote medical assistance
WO2012062872A1 (en) Image presentation method, and apparatus therefor
JP6027786B2 (ja)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
JP2021509298A (ja) 損傷に関連付けられたデータを取得するためのシステム及び方法
JP6843287B1 (ja) 地図作成装置、地図作成方法及び地図作成プログラム
JP6896670B2 (ja) 放射線量分布表示装置及び放射線量分布表示方法
WO2023159104A2 (en) Implant placement guides and method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