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72231B1 - 청소기 - Google Patents

청소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72231B1
KR102672231B1 KR1020220030760A KR20220030760A KR102672231B1 KR 102672231 B1 KR102672231 B1 KR 102672231B1 KR 1020220030760 A KR1020220030760 A KR 1020220030760A KR 20220030760 A KR20220030760 A KR 20220030760A KR 102672231 B1 KR102672231 B1 KR 1026722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er
cover
groove
cleaner head
clea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307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133588A (ko
Inventor
황정배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307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72231B1/ko
Priority to PCT/KR2023/002852 priority patent/WO2023171976A1/ko
Publication of KR202301335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335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722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722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09Carrying-vehicles; Arrangements of trollies or wheels; Means for avoiding mechanical obstac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40Parts or details of machin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L11/02 - A47L11/38, or not restricted to one of these groups, e.g. handles, arrangements of switches, skirts, buffers, lev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40Parts or details of machin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L11/02 - A47L11/38, or not restricted to one of these groups, e.g. handles, arrangements of switches, skirts, buffers, levers
    • A47L11/4072Arrangement of castors or whe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5/00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 A47L5/1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 A47L5/2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with rotary fans
    • A47L5/24Hand-supported suction cleaners
    • A47L5/26Hand-supported suction cleaners with driven dust-loosening too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Nozzles For Electric Vacuum Clea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청소기에 관한 것으로, 청소면 주행을 보조하는 롤러 및 롤러가 청소기 헤드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쉽게 분리될 수 있는 롤러 커버의 구성을 포함함으로써, 사용자가 청소기 헤드의 하면에 배치될 수 있는 롤러를 쉽게 교체할 수 있고, 롤러에 축적된 이물질을 쉽게 제거할 수 있고, 롤러의 주행 성능이 유지되며, 부품의 파손이 방지되고, 롤러의 유지 보수 비용 및 시간이 간소화되는 청소기 헤드를 포함하는 청소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청소기{CLEANER}
본 발명은 청소면에서 주행하며 청소를 수행하는 청소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청소 수행 중 청소면 주행을 보조하는 롤러가 분리될 수 있는 구조의 청소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청소기는 전기를 이용하여 공기를 흡입하는 방식으로 작은 쓰레기나 먼지를 빨아들여 제품 속에 있는 먼지통에 채우는 가전기기로, 진공 청소기로 불리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청소기는 사용자가 직접 청소기를 이동시키면서 청소를 수행하기 위한 수동 청소기와, 스스로 주행하면서 청소를 수행하는 자동 청소기로 구분될 수 있다. 수동 청소기는 청소기의 형태에 따라, 캐니스터형 청소기, 업라이트 청소기, 핸디형 청소기 및 스틱형 청소기 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
가정용 청소기에서는 과거 캐니스터형 청소기가 많이 사용되었지만, 최근에는 먼지통과 청소기 본체를 일체로 제공하여 사용 편의성이 좋아진 핸디형 청소기와 스틱 청소기가 많이 사용되는 추세이다.
캐니스터형 청소기는 본체와 흡입구가 고무호스나 파이프로 연결되어 있고 경우에 따라 흡입구에 솔을 끼어서 사용 가능하다.
핸디형 청소기(Hand Vacuum Cleaner)는 휴대성을 극대화시킨 것으로, 무게가 가볍지만 길이가 짧기 때문에 앉아서 청소면에 따른 제한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책상 또는 소파 위나, 자동차 안과 같이 국부적인 장소를 청소하는데 사용된다.
스틱 청소기는 서서 사용할 수 있어 허리를 숙이지 않고도 청소가 가능하다. 따라서 넓은 영역을 이동하면서 청소하는데 유리하다. 핸디형 청소기가 좁은 공간의 청소를 한다면, 스틱형은 그보다는 넓은 공간 청소를 할 수 있고 손에 닿지 않는 높은 곳의 청소를 할 수 있다. 최근에는 스틱 청소기를 모듈 타입으로 제공하여 다양한 대상에 능동적으로 청소기 타입을 변경하여 사용하기도 한다.
바닥을 청소하는 방식는 크게 건식 청소와 습식 청소로 나뉜다. 건식 청소는 먼지를 쓸어내거나 빨아들여 청소하는 방식으로, 종래의 진공청소기가 이에 해당한다. 습식 청소는 물걸레로 먼지를 닦아내 청소하는 방식이다. 이외에 습식 청소 중에는 고온의 스팀을 생성 및 분사하여 살균 및 청소를 하는 방식도 있다.
일반적으로 청소기의 하측면에는 청소면과 직접 접촉하며 청소기의 주행을 보조하는 롤러가 배치될 수 있다. 그런데 롤러 등의 부품은 청소기가 지속적으로 사용됨에 따라 오염과 마모가 발생될 수 있고, 머리카락 등의 이물질이 감겨 주행 성능이 저하되거나 소음이 발생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해당 부품이 포함된 구성을 전체 분해하여 분리 및 교체를 진행해야 했다.
또한 머리카락 등의 이물질로 인해 롤러의 주행성능이 저하된 상태에서 지속 사용하는 경우 롤러에 지나친 부하가 가해져 파손될 우려도 있었다.
또한 위와 같은 분리 및 교체는 숙련된 기술자가 필요한 경우도 있어 인건비가 발생되는 등 청소기 사용자에게 불편함을 주었다.
따라서 청소면 주행을 보조하는 롤러의 교체가 용이한 구조를 포함하는 청소기 헤드가 필요하다.
본 발명에 의한 청소기는, 전술한 종래 기술이 갖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것으로, 청소기 헤드의 하면에 배치될 수 있는 롤러를 쉽게 교체할 수 있고, 롤러에 축적된 이물질을 쉽게 제거할 수 있으며, 롤러의 주행 성능을 유지하고, 부품의 파손을 방지하며, 청소기 유지 보수를 간소화하여 비용 및 시간을 절약할 수 있는 구조의 청소기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의 청소기 헤드는, 외관을 이루고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의 공간에 배치되고, 청소면을 청소하는 청소 부재, 상기 하우징의 하측을 덮고, 하측면에 롤러 수용부가 함몰 형성되는 하부 커버, 상기 롤러 수용부 내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고,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청소면에서 구름이동하는 롤러 및 상기 롤러 수용부 및 상기 롤러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롤러의 이탈을 차단하는 평판 형상의 롤러 커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롤러 수용부는, 수직하게 함몰 형성된 커버홈을 포함하고, 상기 롤러 커버는, 상기 하부 커버와 평행하게 배치되는 커버 본체 및 상기 커버 본체와 수직하게 배치되는 커버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 결합부는, 상기 커버 본체의 일단에 배치되고, 상기 커버홈에 수직하게 인입되는 것을 특징으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롤러 수용부는, 상기 커버홈의 내벽에 수평하게 함몰 형성된 후크홈을 포함하고, 상기 커버 결합부는, 수평하게 돌출 형성되는 커버 후크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 후크는, 상기 후크홈과 마주보는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후크홈과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롤러는,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는 롤러 본체 및 상기 롤러 본체의 회전중심을 관통하여 배치되는 롤러축을 포함하고, 상기 하부 커버는, 상기 롤러 수용부의 내부에 내벽이 곡면을 이루도록 함몰 형성되어 상기 롤러 본체의 일부가 인입되는 롤러홈, 상기 롤러 수용부의 내부에, 내벽이 곡면을 이루도록 함몰 형성되어 상기 롤러축의 일부가 인입되는 하나 이상의 롤러축홈 및 상기 롤러 수용부의 내부에 수직하게 돌출 형성되어 상기 커버 본체를 지지하는 커버 지지대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롤러 커버는, 상기 커버 본체의 하측에, 내벽이 곡면을 이루도록 수직하게 함몰 형성되어 상기 롤러축의 일부가 수직하게 인입되는 축지지홈, 상기 커버 본체의 하측에 수직하게 함몰 형성되어 상기 커버 지지대가 수직하게 인입되는 커버지지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롤러축 및 상기 커버 지지대는, 상기 커버 본체의 수평 이동을 차단하되, 상기 롤러축이 상기 커버 본체의 수평 이동을 차단하는 방향과 상기 커버 지지대가 상기 커버 본체의 수평 이동을 차단하는 방향은 서로 직교하는 것을 특징으로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롤러 수용부는, 상기 커버 결합부를 기준으로 상기 롤러가 배치된 곳의 수평 방향 반대측에 함몰 형성되는 분리보조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커버 결합부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분리보조홈의 내부 공간에 노출되고, 노출된 상기 커버결합부의 일부에 수평한 방향으로 외력이 가해지면, 상기 커버 후크가 수평 이동되어 상기 후크홈에서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커버 결합부는, 상기 분리보조홈을 향하여 노출된 일부에 제1 커버홈이 함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분리보조홈은, 커버 결합부에 가까워질수록 깊이가 깊어지는 경사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커버 본체는, 하측면에 제2 커버홈이 함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한 구조는 로봇 청소기에도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로봇 청소기는, 외관을 이루고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의 공간에 배치되고, 청소면을 청소하는 청소 부재, 상기 하우징의 하측을 덮고 하측면에 롤러 수용부가 함몰 형성되는 하부 커버, 상기 롤러 수용부 내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고,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청소면에서 구름 이동하는 롤러 및 상기 롤러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롤러를 회전시키기 위해 상기 롤러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롤러 구동 모터, 상기 롤러 수용부 및 상기 롤러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롤러의 이탈을 차단하는 평판 형상의 롤러 커버, 청소 및 주행을 제어하기 위해 상기 청소 부재 및 상기 롤러 구동 모터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청소기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청소기의 청소기 헤드는 청소면 주행을 보조하는 롤러 및 롤러가 청소기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쉽게 분리될 수 있는 롤러 커버의 구성을 포함하는 바, 사용자가 청소기 헤드의 하면에 배치될 수 있는 롤러를 쉽게 교체할 수 있게 하고, 롤러에 축적된 이물질을 쉽게 제거할 수 있도록 하고, 롤러의 주행 성능을 유지하며, 부품의 파손을 방지하며, 청소기의 유지 보수 비용 및 시간을 간소화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 헤드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 헤드의 분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 헤드의 롤러 커버의 사시도이다.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 헤드의 롤러 커버를 다양한 각도에서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 헤드를 아래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 헤드에 형성된 롤러 수용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 헤드에 형성된 롤러 수용부의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 헤드에 롤러 및 롤러 커버가 결합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롤러 및 롤러 커버가 로봇 청소기에 적용된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롤러 및 롤러 커버가 습식 청소기에 적용된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의한 청소기 헤드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청소기는 사용자가 수동으로 조작하는 청소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청소기는 진공 청소기일 수 있고, 건식 및/또는 습식 청소를 수행할 수 있으며, 캐니스터형 청소기나, 업라이트형 청소기나, 핸디형 청소기나, 스틱 청소기를 의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청소기는 자동으로 청소를 수행하는 청소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청소기는 진공 청소기로서 건식 청소 및/또는 습식 청소를 수행할 수 있는 로봇 청소기를 의미할 수 있다.
청소기는 본체(미도시) 및 청소기 헤드(1)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미도시)는 내부에 흡입모터를 구비하여, 청소기 헤드(1)에 흡입력을 제공하는 구성요소이다. 청소기 헤드(1)는, 청소 부재(150)를 사용하여 청소면을 청소하는 구성요소이다.
본체는 연장관(A)과 연결될 수 있다. 본체는 연장관(A)을 통해 청소기 헤드(1)와 연결될 수 있다. 본체는 흡입모터를 통해 흡입력을 발생시키고, 연장관(A)을 통해 청소기 헤드(1)에 흡입력을 제공할 수 있다. 본체에는 청소기 헤드(1)와 연장관(A)을 통해 외부의 먼지가 유입될 수 있다.
본체는 외형을 형성하고,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어 주요 구성요소들을 수납할수 있다. 본체에는 먼지통, 먼지분리부, 흡입모터, 필터, 핸들, 조작부 및 메인배터리가 구비될 수 있다.
먼지통은 먼지를 저장하는 구성요소이다. 먼지통은 먼지 분리부와 연통되며, 먼지 분리부에서 분리된 먼지를 저장할 수 있다.
먼지분리부는 연장관(A)과 연통된다. 먼지 분리부는 연장관(A)을 통해 내부로 흡입된 먼지를 공기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먼지 분리부는 먼지통과 연통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먼지분리부는 먼지통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먼지분리부에서 분리된 먼지는 먼지통에 집진되고, 공기는 먼지분리부 외부로 배출된다.
먼지 분리부는 싸이클론 유동에 의해 먼지를 분리할 수 있는 싸이클론일 수 있다.
흡입모터는 공기를 흡입시키는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구성요소이다. 흡입모터는 본체 내에 수용된다. 흡입모터는 회전에 의하여 흡입력을 발생시킨다.
필터는 유동하는 공기중에 포함된 이물질을 여과하는 구성요소이다. 필터는 프리필터 또는 헤파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
프리필터는 필터들 중 가장 상류에 배치되는 필터로, 메시 형상으로 형성되어 물리적으로 큰 먼지들을 일차로 여과한다. 프리필터는 메시의 간격보다 큰 먼지들을 물리적으로 여과하며, 다른 필터들의 수명을 향상시키는 구성요소이다.
헤파필터는 High Efficiency Particulate Air(HEPA)의 약자로, 미세먼지를 여과하는 구성요소이다. 일반적으로 헤파필터는 정전기력에 의하여 미세먼지를 여과한다. 헤파필터는 프리필터의 하류에 배치된다.
본체 핸들은 사용자에 의해 파지될 수 있다. 본체 핸들은 원기둥 형태와 유사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는, 본체 핸들은 구부러진 원기둥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조작부는 사용자로부터 명령을 입력받는 구성요소이다. 조작부는 복수개의 버튼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해당 버튼을 누르면 그에 대응되는 명령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조작부는 작동버튼 및 정지버튼을 구비할 수 있다.
본체에는 메인베터리가 배치될 수 있다. 메인배터리는 전기에너지를 저장하며, 흡입모터를 포함한 청소기의 각 구성요소들에 전력을 공급하는 구성요소이다.
메인배터리는 청소기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메인배터리는 청소기 헤드(1)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청소기 헤드(1)는 서브배터리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을 수도 있다.
연장관(A)은 청소기 헤드(1)에서 흡입한 공기를 본체로 안내하는 구성요소이다.
연장관(A)은 일단이 청소기 헤드(1)와 연통되고, 타단이 본체와 연통된다. 구체적으로, 연장관(A)의 후단은 본체에 연결되고, 연장관(A)의 전단은 청소기 헤드(1)에 연결된다.
연장관(A)은 긴 원통 형상으로 형성된다.
연장관(A)의 길이방향을 따라 롤링축이 형성된다. 롤링축은 전후방향으로 연장된 가상의 선이며, 청소기 헤드(1)는 롤링축을 중심으로 롤링운동을 할 수 있다.
설명에 앞서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방향을 정의하면 다음과 같다.
청소기가 청소를 수행할 때, 청소면이 있는 방향을 하방으로, 하방의 반대 방향을 상방으로 부를 수 있다.
청소기 헤드(1)의 중심에서 청소 부재(150)를 향하는 방향을 전방으로, 청소기 헤드(1)의 중심에서 연장관(A)을 향하는 방향을 후방으로 부를 수 있다.
청소기 헤드(1)의 중심에서 전방을 바라보는 상태를 기준으로, 좌측과 우측을 정의할 수 있다.
청소기 헤드(1) 및/또는 청소 부재(150)의 길이 방향과 동일한 방향을 수평방향으로 부를 수 있다.
다른 관점에서, 청소기가 청소를 수행할 때, 청소면과 평행한 방향을 수평 방향으로 부를 수 있다.
청소기 헤드(1) 및/또는 하부 커버(120)의 평판이 이루는 평면에 수직한 방향을 수직 방향으로 부를 수 있다.
다른 관점에서, 청소기가 청소를 수행할 때, 청소면에 수직한 방향을 수직 방향으로 부를 수 있다.
다른 관점에서, 청소기가 청소를 수행할 때, 중력과 동일한 방향을 수직 방향으로 부를 수 있다.
도 1 내지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청소기 헤드가 사용자가 수동으로 조작하는 진공 청소기에 적용된 실시예를 기준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10에 도시된 청소기 헤드(1)는 진공 청소기에 적용될 수 있는 구성으로, 건식 청소를 수행할 수 있다.
이하에서, 도 1 내지 도 10에 도시된 진공 청소기를 기준으로한 본 발명에 대한 설명은 하나의 예시에 불과하며,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습식 청소기나 로봇 청소기에도 적용될 수 있다(도 11 및 도 12 참조).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롤러(130) 및 롤러 커버(140)를 포함하는 청소기 헤드(1)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청소기 헤드(1)의 롤러(130) 및 롤러 커버(140)의 분해도이다.
청소기 헤드(1)는 외부의 공기를 흡입하거나 스팀을 발생시켜 청소면을 청소하는 구성요소이다.
청소기 헤드(1)는 본체에 연결된다. 도 1을 참조하면, 청소기 헤드(1)는 연장관(A)에 연결될 수 있으며, 연장관(A)을 통하여 본체에 간접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청소기 헤드(1)는 하우징(110)을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110)은 청소기 헤드(1)의 외형을 형성하고, 내부에 다른 구성요소들을 수납하기 위한 공간을 형성하는 구성요소이다.
하우징(110)은 본체에 연결된다. 도 1을 참조하면, 하우징(110)은 연장관(A)의 전단과 연결되고, 연장관(A)의 후단은 본체에 연결되어, 하우징(110)은 연장관(A)을 통해 본체에 간접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와 달리, 하우징(110)은 본체에 직접 연결될 수 있다.
전술한 '연결'의 의미는 여러가지로 해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우징(110)에서 본체까지 이어지는 공기유로가 형성되어, 먼지가 포함된 공기가 하우징(110)을 통하여 본체로 유동될 수 있다. 여기서 하우징(110)은, 본체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본체가 하우징(110)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하우징(110)의 하면에는 흡입구가 배치될 수 있다. 흡입구는 본체로부터 흡입력을 제공받아 바닥에 존재하는 먼지를 빨아들여 건식 청소를 수행하는 구성요소이다.
청소기 헤드(1)는 하부 커버(120)를 포함할 수 있다.
하부 커버(120)는 청소기 헤드(1)의 하면의 일부를 형성하여 청소기 헤드(1) 내부의 부품들을 보호하는 구성요소이다.
하부 커버(120)는 하우징(110)의 하측을 덮으며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하부 커버(120)는 하우징(110)의 하면을 덮을 수 있도록 평판의 형상을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하부 커버(120)는, 하우징(110)의 하면의 일부 면적를 폐쇄하는 한편, 청소를 수행하는 구성요소가 외부로 드러날 수 있도록 일부 면적은 개방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하부 커버(120)의 일측에는 청소 부재(150) 및 공기가 흡입될 유로가 배치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우징(110)의 전방에는 청소 부재(150)가 배치될 수 있고, 하부 커버(120)는 청소 부재(150)의 후방에 소정 거리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하부 커버(120)와 청소 부재(150)가 소정 거리 이격되어 배치되면, 그 사이에는 청소면으로부터 먼지를 포함한 공기가 흡입 유동되는 공기유로가 형성될 수 있다.
다른 관점에서, 하부 커버(120)는, 청소기 헤드(1)의 하면에서 청소 부재(150)와 공기유로가 차지하는 면적을 제외하고 청소기 헤드(1)의 하면을 폐쇄하는 평판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하부 커버(120)는, 청소 부재(150)와 소정 거리 이격되는 한편, 하부 커버(120)를 이루는 평판의 일부는 청소 부재(150)를 향하여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부 커버(120)를 이루는 평판의 양측은 청소 부재(150)를 향하여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위 평판의 돌출된 면적으로 인해 하부 커버(120)는 하우징(110)에 더 넓은 면적으로 보다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위 평판의 돌출된 면적에는 롤러(130), 롤러 커버(140) 등 청소기 헤드(1)에 필요한 다양한 구성요소가 배치될 수 있다.
다른 관점에서, 하부 커버(120)는 청소 부재(150)나 공기유로 등 청소를 수행하는 데 필요한 구성이 없는 위치는 폐쇄하여 청소기 헤드(1) 내부의 구성요소들을 보호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 청소기 헤드(1)의 하부 커버(120) 형상이 될 수 있는 하나의 예시를 설명하였으나, 그 형상은 위 예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하부 커버(120)는 통상의 청소기의 헤드의 하면을 보호하는 구성으로써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롤러(130)는 하부 커버(12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고,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청소면에서 구름이동할 수 있는 구성요소이다.
롤러(130)는 청소기가 청소면을 주행하며 청소를 수행할 때, 청소면과 적정한 거리를 유지하면서 청소면을 부드럽게 주행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요소이다.
롤러(130)는 통상의 바퀴와 유사한 형상의 롤러 본체(131)와 롤러 본체(131)의 회전 중심을 관통하는 롤러축(132)을 포함할 수 있다.
롤러(130)는 롤러축(132)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다.
롤러(130)는 복수 개로 구비될 수 있으며, 청소기 헤드(1)와 청소면 사이의 마찰을 줄이고, 청소기 헤드(1)가 청소를 수행하면서 청소면 위를 주행할 수 있도록 하는 통상의 바퀴의 역할을 수행한다.
하부 커버(120)의 하면에는 롤러(130)가 인입될 수 있도록 내부에 공간이 구비된 롤러 수용부(121)가 함몰 형성될 수 있다.
롤러 수용부(121)는, 하부 커버(120)의 하면에서 상방을 향하여 함몰 형성될 수 있다.
롤러 수용부(121)는, 롤러(130)의 개수에 대응하여 복수 개로 형성될 수 있다.
롤러 수용부(121)에는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어 롤러(130)를 수용할 수 있다.
롤러 수용부(121)에는, 롤러 커버(140)를 지지하고, 롤러 커버(140)의 수평 이동을 차단하는 커버 지지대(1215)가 하나 이상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롤러 수용부(121) 내부의 상세한 형상에 관한 설명은 도 7 내지 도 10을 참조한 설명과 함께 후술하기로 한다.
롤러 커버(140)는, 롤러 수용부(121) 및 롤러(13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고, 롤러(130)가 하부 커버(120)에서 분리되지 않도록 롤러(130)의 이동을 차단하는 구성요소이다.
롤러 커버(140)는, 롤러(130)의 개수에 대응하여 복수 개로 형성될 수 있다.
롤러 커버(140)는, 평판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 예시로, 롤러 커버(140)는, 90도로 꺾인 평판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롤러 커버(140)는, 하부 커버(120)와 평행하게 배치되는 평판은 커버 본체(141a)라고 할 수 있고, 하부 커버(120)와 수직하게 배치되는 평판은 커버 결합부(141b)라고 할 수 있다.
롤러 커버(140)의 구체적인 형상은 이하에서 도 3 내지 도 7을 참조한 설명에서 더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하부 커버(120)의 롤러 수용부(121)에 배치되는 롤러(130)는 청소기의 청소기 헤드(1)가 청소를 수행함에 따라 오염 및 마모가 진행되고, 주행 성능이 저하되며 소음이 발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청소기 헤드(1)가 청소를 수행하면 청소면을 주행함에 따라 청소면에 존재하던 머리카락, 먼지 등의 이물질이 롤러축(132) 등의 구성요소에 엉킬 수 있다.
롤러(130)는 청소기 헤드(1)가 청소를 수행함에 따라 지속적으로 회전되므로, 롤러축(132) 등에 한번 엉킨 이물질은 지속적으로 롤러축(132) 등에 감기게 되고, 강하게 결합되어 제거가 용이하지 않을 수 있다.
롤러축(132) 등에 감긴 이물질이 축적되면 롤러(130)의 회전이 어려워질 수 있고, 그에 따라 청소기 헤드(1)의 주행 성능이 심각하게 저하되며, 사용자는 청소를 위해 더 많은 힘을 사용해야 하는 불편함이 발생될 수 있다.
나아가, 롤러축(132) 등에 감긴 이물질의 축적으로, 롤러(130)의 회전이 불가능한 상태에서 지속적으로 사용자가 롤러(130)를 억지로 회전시키게 되면, 롤러(130)가 청소면과의 마찰력에 의해 심하게 마모되거나 파손될 우려가 있다.
종래에는 청소기 헤드(1)에서 롤러(130)가 독립적으로 분리되지 않으므로 복잡한 교체과정을 거치거나, 청소기 헤드 자체를 교체하여야 하여 문제의 해결에 비용과 시간이 지나치게 많이 요구되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청소기 사용자는, 롤러(130)를 단독으로 청소기 헤드(1)에서 분리하고, 이물질을 제거하거나, 새로운 롤러(130)를 결합하여 롤러(130) 내부에 이물질이 축적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롤러(130)가 청소기 헤드(1)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구체적인 실시예는 이하에서 다른 도면들과 함께 더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 헤드(1)의 롤러 커버(140)의 사시도이다. 도 4 내지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 헤드(1)의 롤러 커버(140)를 다양한 각도에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롤러 커버(140)의 형상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전술한 바와 같이, 롤러 커버(140)는 하부 커버(120)와 수평하게 배치되는 커버 본체(141a)와 하부 커버(120)와 수직하게 배치되는 커버 결합부(141b)를 포함할 수 있다.
커버 결합부(141b)는 커버 본체(141a)의 일단에 배치될 수 있다.
커버 결합부(141b)는, 후술할 커버홈(1213)에 수직하게 인입되어 하부 커버(120)에 롤러 커버(140)가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구성 요소이다.
커버 결합부(141b)에는, 커버 후크(142)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커버 후크(142)가 돌출된 방향은, 롤러 커버(140)가 하부 커버(120)에 결합된 상태를 기준으로 수평한 방향일 수 있다.
커버 결합부(141b)에는, 제1 커버홈(144)이 함몰 형성될 수 있다. 제1 커버홈(144)이 함몰된 방향은, 커버 후크(142)가 돌출된 방향과 마찬가지로 수평한 방향일 수 있다.
제1 커버홈(144)에 관하여는 분리보조홈(1216)에 대한 설명과 함께 이하에서 후술하기로 한다.
커버 본체(141a)는, 롤러(130)가 하부 커버(120)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롤러(130)의 이동을 차단하는 구성 요소이다.
커버 본체(141a)의 하측에는, 커버 지지대(1215)가 수직하게 인입되는 커버지지홈(143)이 함몰 형성될 수 있다.
커버지지홈(143)의 내면은, 커버 지지대(1215)와 소정거리 이격되어 배치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커버 본체(141a)에는, 청소기 헤드(1)가 청소면을 주행할 때를 기준으로, 청소면을 마주보는 면에 제2 커버홈(145)이 함몰 형성될 수 있다.
커버 본체(141a)의 하측에는, 롤러축(132)의 일부가 수직하게 인입되는 축지지홈(146)이 함몰 형성될 수 있다.
축지지홈(146)의 내부는, 롤러축(132)과 소정거리 이격되어 배치되도록 곡면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커버지지홈(143)이 함몰된 방향은 축지지홈(146)이 함몰된 방향과 직교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 헤드(1)를 아래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 헤드(1)에 형성된 롤러 수용부(121)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 헤드(1)에 형성된 롤러 수용부(121)의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 헤드(1)에 롤러(130) 및 롤러 커버(140)가 결합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롤러 수용부(121)에는, 롤러 본체(131)가 수용되기 위한 롤러홈(1211)이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롤러홈(1211)의 내벽은 곡면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롤러 본체(131)의 외주면과 소정 거리 이격될 수 있다.
롤러(130)는, 청소기 헤드(1)가 전후 이동하는 것을 보조하기 위하여 롤러(130)의 회전축이 청소기 헤드(1)의 길이 방향과 평행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배치에서, 롤러축(132) 또한 청소기 헤드(1)의 길이 방향과 평행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롤러홈(1211)은, 위와 같이 회전축이 청소기 헤드(1)의 길이 방향과 수직하도록 배치된 롤러(130)를 수용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롤러 수용부(121)에는, 롤러축(132)이 수용되기 위한 롤러축홈(1212)이 형성될 수 있다.
롤러축홈(1212)은, 내벽이 곡면을 이루고, 롤러축(132)의 외주면과 소정 거리 이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롤러축(132)은, 롤러(130)를 관통하여 롤러(130)의 양면에서 돌출되므로 롤러축홈(1212) 또한 롤러홈(1211)의 마주보는 내면에 두 개 형성될 수 있다.
즉, 롤러축홈(1212)은, 롤러축(132)이 롤러(130)를 관통하여 돌출된 위치에 대응하여 두 개 형성될 수 있다.
롤러축홈(1212)은, 롤러축(132)을 지지하며, 롤러축(132)이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롤러 수용부(121)에는, 롤러 커버(140)가 결합될 수 있도록 커버홈(1213)이 형성될 수 있다.
커버홈(1213)에는, 롤러 커버(140)의 구성요소 중 커버 결합부(141b)가 수직하게 인입될 수 있다.
커버홈(1213)은, 평판 형상의 커버 결합부(141b)가 수직으로 인입되면, 커버 결합부(141b)와 소정거리 이격되어 형성되는 내벽을 포함할 수 있다.
롤러 수용부(121)에는, 커버 후크(142)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후크홈(1214)이 함몰 형성될 수 있다.
후크홈(1214)은, 커버홈(1213)의 내벽 중 적어도 일부에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후크홈(1214)은, 커버 결합부(141b)가 커버홈(1213)에 인입된 상태에서, 커버 후크(142)가 배치되는 위치에 대응되는 내벽에 함몰 형성될 수 있다.
커버 후크(142)는 후크홈(1214)에 걸려 고정될 수 있다. 커버 후크(142)의 적어도 일부가 후크홈(1214)에 걸리면, 롤러 커버(140)의 수직 이동이 차단된다.
사용자는, 롤러 커버(140)를 조작하여 커버 후크(142)를 후크홈(1214)에 걸리게 함으로써, 롤러 커버(140)를 하부 커버(120)에 안정적으로 결합할 수 있다.
롤러 수용부(121)에는, 커버 본체(141a)를 지지하도록 커버 지지대(1215)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커버 지지대(1215)는, 롤러 수용부(121) 내부에서 롤러홈(1211)과 커버홈(1213)의 사이에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커버 지지대(1215)는, 커버 본체(141a)에 형성된 커버지지홈(143)에 인입되어 커버 본체(141a)를 지지할 수 있다.
커버 지지대(1215)가 커버 본체(141a)에 결합된 상태에서는, 하부 커버(120)의 수평 이동이 차단될 수 있다.
커버 지지대(1215)는, 롤러 수용부(121) 내부에 복수 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롤러 수용부(121) 내부에 롤러(130)가 인입된 후에, 롤러 커버(140)가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롤러홈(1211)에 롤러 본체(131)가 인입되고, 롤러축홈(1212)에 롤러축(132)이 인입될 수 있고, 그 후에 커버 결합부(141b)가 커버홈(1213)에 인입될 수 있다.
커버 지지대(1215)는 롤러 커버(140)의 커버지지홈(143)에 인입되고, 롤러축(132)은 축지지홈(146)에 결합될 수 있다.
롤러축(132)은 롤러축홈(1212)에 적어도 일부가 결합되므로, 롤러축(132)에서 롤러축홈(1212)에 결합되지 않은 나머지 일부가 축지지홈(146)에 결합될 수 있다.
즉, 롤러축(132)은 롤러 본체(131)를 관통하여 2 방향으로 돌출되며, 롤러축홈(1212) 및 축지지홈(146)에 의해 동시에 지지되고, 하부 커버(120)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보호될 수 있다.
한편, 롤러축(132)이 축지지홈(146)에 결합되면, 롤러 커버(140)의 수평 이동을 차단할 수 있다. 즉 롤러축(132)은, 롤러(130)의 회전축 역할을 수행함과 동시에 롤러 커버(140)의 수평 이동을 차단하는 역할도 수행할 수 있다.
다른 관점에서, 축지지홈(146)은, 롤러축(132)이 하부 커버(120)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보호함과 동시에 롤러축(132)에 의해 롤러 커버(140)의 수평 이동이 차단되도록 하는 역할도 수행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커버 지지대(1215) 또한 커버지지홈(143)에 결합되어 롤러 커버(140)의 수평 이동을 차단할 수 있다.
여기서 롤러축(132)이 롤러 커버(140)의 수평 이동을 차단하는 방향과 커버 지지대(1215)가 롤러 커버(140)의 수평 이동을 차단하는 방향은 직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축지지홈(146)이 함몰된 방향과 커버지지홈(143)이 함몰된 방향이 직교될 경우, 롤러축(132)이 롤러 커버(140)의 수평 이동을 차단하는 방향과 커버 지지대(1215)가 롤러 커버(140)의 수평 이동을 차단하는 방향이 직교될 수 있다.
다른 관점에서, 롤러축(132)의 길이방향과 커버지지홈(143)이 함몰된 방향이 직교될 경우, 롤러축(132)이 롤러 커버(140)의 수평 이동을 차단하는 방향과 커버 지지대(1215)가 롤러 커버(140)의 수평 이동을 차단하는 방향이 직교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롤러 커버(140)는 모든 수평 방향으로의 수평 이동이 차단되도록 형성됨으로써, 보다 견고하게 하부 커버(120)에 고정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커버 결합부(141b)의 커버 후크(142)가 후크홈(1214)에 체결되면, 커버 결합부(141b)의 수직 이동이 차단되고, 커버 결합부(141b)와 결합된 커버 본체(141a) 또한 수직 이동이 차단되며, 롤러 커버(140) 전체의 수직 이동이 차단된다.
이러한 구성으로, 롤러 커버(140)는 수평 방향으로의 이동이 차단되고, 수직 이동 또한 차단되어, 3차원상 모든 방향으로의 이동이 차단됨으로써 하부 커버(120)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롤러 커버(140)가 하부 커버(120)에 견고하게 고정되면, 커버 본체(141a)는 롤러(130)의 적어도 일부를 폐쇄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롤러 커버(140)는, 롤러 본체(131)가 개방되어 청소면을 구름이동하도록 배치될 수있고, 롤러축(132)은 적어도 일부를 폐쇄하도록 배치됨으로써, 롤러(130)가 이탈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롤러 수용부(121)에는, 분리보조홈(1216)이 형성될 수 있다.
분리보조홈(1216)의 위치는, 위와 같이 롤러 커버(140)가 롤러 수용부(121) 내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 상태를 기준으로 설명할 수 있다.
분리보조홈(1216)은, 커버 결합부(141b)를 기준으로, 롤러(130)가 배치된 곳의 수평방향 반대측에 함몰 형성될 수 있다.
분리보조홈(1216)이 형성되면, 커버 결합부(141b)는 적어도 일부가 분리보조홈(1216)을 향하여 노출되게 된다.
커버 결합부(141b)가 노출된 방향은, 커버 결합부(141b)에서 커버 후크(142)가 돌출된 방향과 동일할 수 있다.
이 경우, 커버 결합부(141b)를 기준으로 분리보조홈(1216)이 배치된 방향 또한 커버 결합부(141b)에서 커버 후크(142)가 돌출된 방향과 동일할 수 있다.
여기서, 커버 결합부(141b)가 분리보조홈(1216)을 향하여 노출된 면에 수평 방향으로 외력이 가해지면, 커버 결합부(141b)가 수평 방향으로 소정 거리 이동될 수 있고, 커버 후크(142) 또한 수평 방향으로 이동되어 후크홈(1214)에서 분리될 수 있다.
사용자는, 분리보조홈(1216)에 손가락 등을 삽입하고, 커버 결합부(141b)가분리보조홈(1216)을 향하여 노출된 면에 수평방향으로 가압하여 커버 후크(142)를 후크홈(1214)에서 분리시킴으로써, 롤러 커버(140)를 커버홈(1213)에서 분리하고, 이어서 롤러(130)를 롤러 수용부(121)에서 분리할 수 있다.
분리된 롤러(130)는 머리카락 등 감긴 이물질이 제거되어 이물질로 인해 저하됐던 주행 성능을 회복할 수 있고, 새로운 롤러(130)로 교체될 수도 있다.
사용자는 주행 성능을 회복하기 위하여 종래 소요됐던 시간 및 비용을 크게 절약할 수 있다.
한편 분리보조홈(1216)은, 커버 결합부(141b)에 가까워질수록 깊이가 깊어지도록 형성된 경사면을 포함할 수 있다.
경사면은, 사용자가 롤러 커버(140)를 분리하기 위해 손가락이나 공구 등을 삽입할 경우 손가락이나 공구 등이 커버 결합부(141b)를 향해 인입되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커버 결합부(141b)에는, 분리보조홈(1216)을 향하여 노출된 일면에 제1 커버홈(144)이 함몰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커버홈(144)은, 일(一)자 드라이버 등이 인입될 수 있도록 단면이 긴 직사각형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단면의 형상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사용자는, 일(一)자 드라이버 등의 공구를 제1 커버홈(144)에 삽입하고, 가압하여 롤러 커버(140)를 보다 쉽게 분리할 수 있다.
한편, 커버결합부(141b)에는, 하측면에 청소면을 향하여 제2 커버홈(145)이 함몰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커버홈(145)은, 사용자의 손가락 등이 인입될 수 있도록 단면이 원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단면의 형상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사용자는, 손가락이나 공구 등을 제2 커버홈(145)에 삽입하고, 수평 방향으로 힘을 가하여 커버 후크(142)가 후크홈(1214)에서 분리되도록 하여 롤러 커버(140)를 하부 커버(120)에서 분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는, 롤러 커버(140)를 하부 커버(120)에서 분리하기 위하여 손가락이나 공구 등을 제2 커버홈(145)에 삽입하여 커버 후크(142)가 돌출된 수평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힘을 가할 수 있다.
사용자는, 전술한 제1 커버홈에 일(一)자 드라이버 등의 공구를 제1 커버홈(144)에 삽입하고 가압하는 방식 또는 제2 커버홈에 손가락 등을 삽입하여 가압하는 방식을 선택적으로 적용하거나 복합적으로 적용하여 롤러 커버(140)를 하부 커버(120)에서 쉽게 분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청소기 헤드(1)의 구조에 따르면, 롤러(130) 및 롤러 커버(140)가 하부 커버(120)에 매우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음과 동시에 사용자가 분리를 원할 경우 매우 쉽게 분리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롤러 및 롤러 커버가 로봇 청소기에 적용된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청소기 헤드(1)의 결합 구조는, 자율 주행 기능을 갖춘 로봇 청소기에도 적용될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로봇 청소기(2)에는 로봇 청소기(2)의 외관을 이루고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는 하우징(210), 하우징(210)의 하측을 덮고 내부 구성요소를 보호하는 하부 커버(220) 및 청소면을 청소하는 청소 부재(250)가 배치된다.
로봇 청소기(2)는 자율 주행이 가능한 청소기로서, 롤러(230)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고 롤러(230)를 회전시키기 위해 롤러(230)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롤러 구동 모터(미도시) 및 청소 및 주행을 제어하기 위해 청소 부재(250) 및 롤러 구동 모터를 제어하는 제어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로봇 청소기(2)의 하부 커버(220)에 본 발명에 따른 롤러(230) 및 롤러 커버(240)가 배치됨으로써, 사용자는 롤러(230)를 쉽게 교체하고, 이물질을 제거하여 로봇 청소기(2)의 주행 성능을 유지할 수 있다.
제어부는, 롤러 구동 모터의 회전 여부 및/또는 회전 속도를 제어하고, 청소 부재(250)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롤러(230) 및 롤러 커버(240)의 상세한 구조 및 결합 방식은 도 1 내지 도 10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 또는 유사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중복된 설명을 피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롤러 및 롤러 커버가 습식 청소기에 적용된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습식 청소기(3)는 회전 가능한 걸레 등이 구비되어 습식 청소를 수행하는 청소 장치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습식 청소기(3)에는 습식 청소기(3)의 외관을 이루고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는 하우징(310), 하우징(310)의 하측을 덮고 내부 구성요소를 보호하는 하부 커버(320) 및 청소면을 청소하는 청소부재(350)가 배치된다.
습식 청소기(3)의 하부 커버(320)에 본 발명에 따른 롤러(330) 및 롤러 커버(340)가 배치됨으로써, 사용자는 롤러(330)를 쉽게 교체하고, 이물질을 제거하여 습식 청소기(3)의 주행 성능을 유지할 수 있다.
롤러(230) 및 롤러 커버(240)의 상세한 구조 및 결합 방식은 도 1 내지 도 10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 또는 유사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중복된 설명을 피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적용 범위는 위 청소기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용화된 모든 청소기에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1: 청소기 헤드
110: 하우징
120: 하부 커버
121: 롤러 수용부
130: 롤러
131: 롤러 본체
132: 롤러축
140: 롤러 커버
141a: 커버 본체
141b: 커버 결합부
143: 커버 지지홈
144: 제1 커버홈
145: 제2 커버홈
146: 축지지홈
150: 청소 부재
A: 연장관
2: 로봇 청소기
210: 하우징
220: 하부 커버
230: 롤러
240: 롤러 커버
3: 습식 청소기
310: 하우징
320: 하부 커버
330: 롤러
340: 롤러 커버

Claims (11)

  1. 외관을 이루고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의 공간에 배치되고, 청소면을 청소하는 청소 부재;
    상기 하우징의 하측을 덮고, 하측면에 롤러 수용부가 형성되는 하부 커버;
    상기 롤러 수용부 내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고,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청소면에서 구름이동하는 롤러; 및
    상기 롤러 수용부 및 상기 롤러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롤러의 이탈을 차단하는 롤러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롤러 커버는,
    상기 롤러 수용부와 걸림 결합되는 커버 후크;를 포함하고,
    상기 롤러 수용부는,
    상기 롤러 커버를 지지하는 커버 지지대;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 후크에 의해 상기 롤러 커버의 이동이 차단되는 방향과 상기 커버 지지대에 의해 상기 롤러 커버의 이동이 차단되는 방향은 서로 교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헤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 수용부는,
    수직하게 함몰 형성된 커버홈;
    을 포함하고,
    상기 롤러 커버는,
    상기 하부 커버와 평행하게 배치되는 커버 본체; 및
    상기 커버 본체와 수직하게 배치되는 커버 결합부;
    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 결합부는,
    상기 커버 본체의 일단에 배치되고, 상기 커버홈에 수직하게 인입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청소기 헤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 수용부는,
    상기 커버홈의 내벽에 수평하게 함몰 형성된 후크홈;
    을 포함하고,
    상기 커버 후크는,
    상기 후크홈과 마주보는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후크홈과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청소기 헤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는,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는 롤러 본체; 및
    상기 롤러 본체의 회전중심을 관통하여 배치되는 롤러축;
    을 포함하고,
    상기 롤러 수용부는,
    내벽이 곡면을 이루도록 함몰 형성되어 상기 롤러 본체의 적어도 일부가 인입되는 롤러홈; 및
    내벽이 곡면을 이루도록 함몰 형성되어 상기 롤러축의 적어도 일부가 인입되는 하나 이상의 롤러축홈;
    을 포함하는 청소기 헤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본체는,
    내벽이 곡면을 이루도록 수직하게 함몰 형성되어 상기 롤러축의 적어도 일부가 수직하게 인입되는 축지지홈;
    상기 커버 지지대가 수직하게 인입되는 커버지지홈;
    을 더 포함하는 청소기 헤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축 및 상기 커버 지지대는,
    상기 커버 본체에 결합되어, 상기 커버 본체의 수평 이동을 차단하되,
    상기 롤러축이 상기 커버 본체의 수평 이동을 차단하는 방향과 상기 커버 지지대가 상기 커버 본체의 수평 이동을 차단하는 방향은 서로 직교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청소기 헤드.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 수용부는,
    상기 커버 결합부를 기준으로 상기 롤러가 배치된 곳의 수평 방향 반대측에 함몰 형성되는 분리보조홈;
    을 더 포함하고,
    상기 커버 결합부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분리보조홈의 내부 공간에 노출되고,
    노출된 상기 커버 결합부의 일부에 수평한 방향으로 외력이 가해지면, 상기 커버 후크가 수평 이동되어 상기 후크홈에서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헤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결합부는,
    상기 분리보조홈을 향하여 노출된 일부에 제1 커버홈이 함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헤드.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보조홈은,
    커버 결합부에 가까워질수록 깊이가 깊어지는 경사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헤드.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본체는,
    하측면에 제2 커버홈이 함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헤드.
  11. 외관을 이루고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의 공간에 배치되고, 청소면을 청소하는 청소 부재;
    상기 하우징의 하측을 덮고 하측면에 롤러 수용부가 형성되는 하부 커버;
    상기 롤러 수용부 내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고,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청소면에서 구름 이동하는 롤러; 및
    상기 롤러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롤러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롤러 구동 모터;
    상기 롤러 수용부 및 상기 롤러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롤러의 이탈을 차단하는 롤러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롤러 커버는,
    상기 롤러 수용부와 걸림 결합되는 커버 후크;를 포함하고,
    상기 롤러 수용부는,
    상기 롤러 커버를 지지하는 커버 지지대;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 후크에 의해 상기 롤러 커버의 이동이 차단되는 방향과 상기 커버 지지대에 의해 상기 롤러 커버의 이동이 차단되는 방향은 서로 교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청소기.
KR1020220030760A 2022-03-11 2022-03-11 청소기 KR1026722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0760A KR102672231B1 (ko) 2022-03-11 2022-03-11 청소기
PCT/KR2023/002852 WO2023171976A1 (ko) 2022-03-11 2023-03-02 청소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0760A KR102672231B1 (ko) 2022-03-11 2022-03-11 청소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33588A KR20230133588A (ko) 2023-09-19
KR102672231B1 true KR102672231B1 (ko) 2024-06-05

Family

ID=879353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30760A KR102672231B1 (ko) 2022-03-11 2022-03-11 청소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672231B1 (ko)
WO (1) WO2023171976A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038826A (ja) 2010-08-05 2012-02-23 Canon Finetech Inc キャスタ保護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シート給送装置
US20140013539A1 (en) * 2012-07-10 2014-01-16 Shenzhen Silver Star Intelligent Technology Co., Ltd. Intelligent Vacuum Cleaner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66647Y1 (ko) * 1996-08-31 2000-04-01 전주범 진공청소기용 롤러 장착구조
JP2001212039A (ja) * 2000-01-31 2001-08-07 Hitachi Ltd 電気掃除機
KR100550390B1 (ko) * 2004-05-18 2006-02-09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진공청소기용 캐스터의 결합구조
KR20060057752A (ko) * 2004-11-24 2006-05-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진공청소기의 흡입노즐
KR20170025595A (ko) * 2015-08-31 2017-03-08 주요한 진공 청소기의 흡입구 밑면 이동 롤러 탈부착구조
KR102460609B1 (ko) * 2018-03-09 2022-10-31 엘지전자 주식회사 청소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038826A (ja) 2010-08-05 2012-02-23 Canon Finetech Inc キャスタ保護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シート給送装置
US20140013539A1 (en) * 2012-07-10 2014-01-16 Shenzhen Silver Star Intelligent Technology Co., Ltd. Intelligent Vacuum Clean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33588A (ko) 2023-09-19
WO2023171976A1 (ko) 2023-09-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452417B2 (en) Robot cleaner station
EP3209175B1 (en) Handheld vacuum cleaner
EP3305154B1 (en) Rod handheld two-in-one split-type vacuum cleaner having independent dust-air separation and dust storage device
US11297985B2 (en) Multi-mode cleaning apparatus with suction
EP1737326B1 (en) Surface cleaning apparatus
CN204765412U (zh) 真空吸尘器
GB2413945A (en) Robot vacuum cleaner and associated contaminant guide members
KR20120103956A (ko) 진공 청소기의 거치대
EP3868268A1 (en) Surface cleaning apparatus with damp cleaning
TWI792270B (zh) 停靠站及包含該停靠站的除塵系統
EP4298975A1 (en) Cleaner
CA3061022C (en) Cleaning apparatus with combing unit for removing debris from cleaning roller
CN116669607A (zh) 多功能清洁器具
KR102672231B1 (ko) 청소기
JP6628511B2 (ja) 電気掃除装置
CN204698451U (zh) 带独立尘气分离和储灰装置的杆式手持二合一分体吸尘器
KR101369906B1 (ko) 진공 청소기
CN216221350U (zh) 清洁设备
JP6105886B2 (ja) 吸込口体および電気掃除機
KR102359206B1 (ko) 로봇 청소기 및 이를 관리하는 관리 기기
KR20200084213A (ko) 브러쉬가 구비된 물걸레 겸용 청소기
CN112566534A (zh) 电池供电的真空吸尘器
EP4356804A1 (en) Vacuum cleaner station
KR101203390B1 (ko) 진공 청소기
KR20230127687A (ko) 청소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