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71071B1 - Rehabilitation training apparatus for knee joint - Google Patents

Rehabilitation training apparatus for knee join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71071B1
KR102671071B1 KR1020220033363A KR20220033363A KR102671071B1 KR 102671071 B1 KR102671071 B1 KR 102671071B1 KR 1020220033363 A KR1020220033363 A KR 1020220033363A KR 20220033363 A KR20220033363 A KR 20220033363A KR 102671071 B1 KR102671071 B1 KR 1026710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habilitation
subject
training device
exercise
kne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3336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20130619A (en
Inventor
한창수
김호준
박수현
지영훈
조정호
류병갑
박정규
최동은
안철웅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헥사휴먼케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헥사휴먼케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헥사휴먼케어
Publication of KR202201306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3061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710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7107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 A61H1/0237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for the lower limbs
    • A61H1/024Kne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 A61H1/0237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for the lower limbs
    • A61H1/0266Foo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 A61H2001/0207Nutating movement of a body part around its articul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61H2201/0119Support for the device
    • A61H2201/0138Support for the device incorporated in furniture
    • A61H2201/0149Seat or chai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61H2201/0192Specific means for adjusting dimen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6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 A61H2201/1602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kind of interface, e.g. head rest, knee support or lumbar support
    • A61H2201/1628Pelvis
    • A61H2201/1633Sea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6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 A61H2201/1602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kind of interface, e.g. head rest, knee support or lumbar support
    • A61H2201/164Feet or leg, e.g. pedal
    • A61H2201/1642Holding mean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6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 A61H2201/1602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kind of interface, e.g. head rest, knee support or lumbar support
    • A61H2201/165Wearable interfaces
    • A61H2201/1652Harnes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6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 A61H2201/1657Movement of interface, i.e. force application means
    • A61H2201/1671Movement of interface, i.e. force application means rotation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3/00Additional characteristics concerning the patient
    • A61H2203/04Position of the patient
    • A61H2203/0425Sitting on the buttock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0Devices f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10Leg
    • A61H2205/102Knee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릎 재활훈련기구는, 재활 대상자가 앉을 수 있도록 형성되고 상기 재활 대상자의 다리 상박부를 지지하는 재활훈련기구 본체, 상기 재활훈련기구 본체에 일단부가 연결되고 상기 재활 대상자의 다리 하박부를 지지하도록 타단부가 연결되며 상기 재활 대상자의 무릎 관절을 강제적으로 재활 운동시키거나 상기 재활 대상자의 재활 운동에 대한 저항으로 작용하는 재활운동기, 및 상기 재활운동기와 상기 재활훈련기구 본체의 연결 부위에 마련되고 상기 재활 대상자의 재활이 필요로 하는 좌측 다리 또는 우측 다리에 모두 대응할 수 있는 상기 재활운동기의 위치를 조정하는 위치조절기를 포함할 수 있다.A knee rehabilitation train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rehabilitation training device main body that is formed so that a rehabilitation subject can sit and supports the upper arms of the legs of the rehabilitation subject, one end of which is connected to the rehabilitation equipment main body, and a leg of the rehabilitation subject. A rehabilitation exercise machine with the other end connected to support the lower arm and forcibly performing rehabilitation exercise on the knee joint of the rehabilitation patient or acting as resistance to the rehabilitation exercise of the rehabilitation patient, and a connection portion between the rehabilitation exercise machine and the main body of the rehabilitation training device. It is provided in and may include a position adjuster for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rehabilitation exercise machine that can correspond to both the left leg or the right leg required for rehabilitation of the rehabilitation subject.

Description

무릎 재활훈련기구 {REHABILITATION TRAINING APPARATUS FOR KNEE JOINT}Knee rehabilitation training equipment {REHABILITATION TRAINING APPARATUS FOR KNEE JOINT}

본 발명은 무릎 재활훈련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재활 대상자의 무릎을 재활 운동시키기 위한 재활운동 구조물의 위치를 재활 대상자의 무릎 위치에 따라 적절하게 변경하여 무릎의 재활 운동을 더 효과적으로 실시할 수 있는 무릎 재활훈련기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knee rehabilitation training device, and more specifically, to more effectively perform knee rehabilitation exercises by appropriately changing the position of the rehabilitation exercise structure for rehabilitating the knee of the rehabilitation subject according to the knee position of the rehabilitation subject. This is about a knee rehabilitation training device that can be used.

일반적으로, 무릎 관절의 수술 이후에는 무릎 관절의 재활 운동을 통해서 무릎 관절에 대한 재활 치료를 시작한다. 대표적인 재활의 목적으로는 '근력 강화'와 '관절가동범위 회복'에 있다. Generally, after knee joint surgery, rehabilitation treatment for the knee joint begins through rehabilitation exercises for the knee joint. The typical goals of rehabilitation are ‘strengthening muscle strength’ and ‘recovering joint range of motion’.

예로 들면, 퇴행성 관절염 재활 대상자는 통증으로 인해 수술 전부터 무릎 부위의 근력이 약화되어 있는 경우가 많고, 수술 후에는 통증과 붓기로 인해 무릎 근력은 더욱 약화되고 있다. 따라서, 무릎 관절의 수술 이후에는, 재활 치료를 통해 수술 전보다 무릎 근육을 강화하면서 통증을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무릎 관절의 움직임과 근력을 보다 빠르게 회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재활 치료를 통해 하지 순환이 촉진됨에 따라 주요 후유증 중 하나인 혈전도 예방 가능하다.For example, patients undergoing degenerative arthritis rehabilitation often have weakened knee muscles before surgery due to pain, and after surgery, knee muscles are further weakened due to pain and swelling. Therefore, after knee joint surgery, it is desirable to not only reduce pain by strengthening the knee muscles than before surgery through rehabilitation treatment, but also to recover the movement and strength of the knee joint more quickly. As the circulation of the lower extremities is promoted through the above-mentioned rehabilitation treatment, blood clots, one of the major aftereffects, can be prevented.

한편, 무릎 관절의 재활 치료는 재활운동 치료 및 비운동 물리치료로 나눠서 진행한다. 그 중에서, 재활운동 치료로는 관절의 가동 범위를 증가시키는 관절가동 범위 향상 훈련, 탄력 고무밴드 또는 슬링 등의 무릎관절 운동기구를 활용한 근력 강화 훈련, 걷기 훈련, 균형 훈련 등이 있다.Meanwhile, knee joint rehabilitation treatment is divided into rehabilitation exercise therapy and non-exercise physical therapy. Among them, rehabilitation exercise treatments include range-of-motion improvement training that increases the range of motion of joints, muscle-strengthening training using knee joint exercise devices such as elastic rubber bands or slings, walking training, and balance training.

통상적으로, 재활 대상자는 무릎 재활훈련기구를 이용하여 재활 운동을 수행하는 것이 일반적이면서 더 효과적이다. 그런데, 기존의 무릎 재활훈련기구는 다양한 관절 운동을 수행할 수 있지만, 장비가 크고 복잡하며 무겁고 고가라는 단점을 구비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기존의 무릎 재활훈련기구는 운동선수 등과 같이 육체적으로 건강한 사람들을 재활 대상자로 상정하고 설계하기 때문에 수술 환자나 노약자 및 어린이 등이 사용하기에 부적합한 경우가 많이 있다.Typically, it is common and more effective for rehabilitation subjects to perform rehabilitation exercises using a knee rehabilitation training device. However, although existing knee rehabilitation training devices can perform various joint exercises, they have the disadvantage of being large, complex, heavy, and expensive. In addition, because existing knee rehabilitation training devices are designed with the assumption that physically healthy people, such as athletes, will be the recipients of rehabilitation, they are often unsuitable for use by surgical patients, the elderly, and children.

따라서, 최근에는 전체 구조가 간단하고 제작 비용이 저렴하며 수술 환자와 노약자 및 어린이 등의 사용자 편의성도 갖고 있는 무릎 재활훈련기구가 연구 개발되고 있다. 관련 선행기술문헌으로는 한국등록특허 제10-1793812호 (발명의 명칭: 무릎 관절용 재활운동기구, 등록일: 2017.10.30), 및 한국등록특허 제10-2024636호 (발명의 명칭: 무릎 관절 재활기구, 등록일: 2019.09.18)가 있다.Therefore, recently, knee rehabilitation training devices that have a simple overall structure, low production cost, and user convenience for surgical patients, the elderly, and children have been researched and developed. Related prior art documents include Korean Patent No. 10-1793812 (Title of the invention: Rehabilitation exercise equipment for knee joints, Registration date: 2017.10.30), and Korean Patent No. 10-2024636 (Title of the invention: Knee joint rehabilitation) There is an organization, registration date: 2019.09.18).

한국등록특허 제10-1793812호 (2017.10.30 등록)Korean Patent No. 10-1793812 (registered on October 30, 2017) 한국등록특허 제10-2024636호 (2019.09.18 등록)Korean Patent No. 10-2024636 (registered on September 18, 2019)

본 발명의 실시예는, 재활 대상자의 무릎을 재활 운동시키기 위한 재활훈련기구를 구조가 간단하고 제작비용이 저렴하면서 수술 환자, 노약자 및 어린이 등에 대한 사용자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무릎 재활훈련기구를 제공한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knee rehabilitation training device that can improve user convenience for surgical patients, the elderly, and children while having a simple structure and low manufacturing cost for performing rehabilitation exercises on the knee of a rehabilitation subject. do.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재활 대상자의 무릎 위치에 따라 재활훈련기구의 구조를 신속하고 간편하게 변경함으로써 재활 대상자의 신체 조건이나 좌측 무릎과 우측 무릎의 재활 운동에 모두 사용할 수 있는 무릎 재활훈련기구를 제공한다.In additio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knee rehabilitation training device that can be used for both the physical condition of the rehabilitation patient and rehabilitation exercises for the left knee and the right knee by quickly and easily changing the structure of the rehabilitation training device according to the knee position of the rehabilitation patient. provides.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재활 대상자가 앉을 수 있도록 형성되고 상기 재활 대상자의 다리 상박부를 지지하는 재활훈련기구 본체, 상기 재활훈련기구 본체에 일단부가 연결되고 상기 재활 대상자의 다리 하박부를 지지하도록 타단부가 연결되며 상기 재활 대상자의 무릎 관절을 강제적으로 재활 운동시키거나 상기 재활 대상자의 재활 운동에 대한 저항으로 작용하는 재활운동기, 및 상기 재활운동기와 상기 재활훈련기구 본체의 연결 부위에 마련되고 상기 재활 대상자의 재활이 필요로 하는 좌측 다리 또는 우측 다리에 모두 대응할 수 있는 상기 재활운동기의 위치를 조정하는 위치조절기를 포함하는 무릎 재활훈련기구를 제공한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rehabilitation training device main body is formed so that a rehabilitation subject can sit and supports the upper arms of the legs of the rehabilitation subject, one end of which is connected to the rehabilitation training equipment main body and is configured to support the lower legs of the rehabilitation subject. A rehabilitation exercise machine, the other end of which is connected, forcibly performs rehabilitation exercise on the knee joint of the rehabilitation patient or acts as resistance to the rehabilitation exercise of the rehabilitation patient, and is provided at a connection portion between the rehabilitation exercise machine and the main body of the rehabilitation training device, and Provided is a knee rehabilitation training device including a position adjuster for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rehabilitation exercise machine that can correspond to both the left leg and the right leg required for rehabilitation of a rehabilitation subject.

바람직하게, 상기 위치조절기는 상기 재활운동기를 상기 재활훈련기구 본체에 좌우 방향을 따라 이동시키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재활운동기는 상기 위치조절기에 의해 좌우 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재활 대상자의 좌측 다리 또는 우측 다리를 대응하기 위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Preferably, the position controller may be provided to move the rehabilitation exerciser to the main body of the rehabilitation training device in a left and right direction. The rehabilitation exerciser can be moved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by the position controller and placed in a position to correspond to the left leg or right leg of the rehabilitation subject.

바람직하게, 상기 위치조절기는, 상기 재활훈련기구 본체에 좌우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이동 레일, 상기 재활운동기의 일단부에 연결되어 상기 이동 레일에 결합되고 상기 이동 레일을 따라 좌우 방향으로 이동되는 레일 이동체, 및 상기 레일 이동체의 위치를 고정하도록 상기 레일 이동체와 상기 재활훈련기구 본체에 형성된 위치 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Preferably, the position controller includes: a movable rail formed on the main body of the rehabilitation training device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a rail movable body connected to one end of the rehabilitation exercise machine, coupled to the movable rail, and moved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along the movable rail; And it may include a position fixing part formed on the rail movable body and the rehabilitation training device main body to fix the position of the rail movable body.

바람직하게, 상기 재활훈련기구 본체는, 상기 재활 대상자가 착석하기 위한 의자, 및 상기 다리 상박부를 지지하도록 상기 의자의 의자 시트에 형성된 상박 지지대를 포함할 수 있다. Preferably, the main body of the rehabilitation training device may include a chair for the rehabilitation subject to sit on, and an upper arm supporter formed on the chair seat of the chair to support the upper arm of the leg.

여기서, 상기 위치조절기는 상기 의자 시트의 하면부에 마련될 수 있다.Here, the position adjuster may be provid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chair seat.

그리고, 상기 상박 지지대는, 상기 재활 대상자의 좌측 다리 상박부와 우측 다리 상박부를 지지하기 위한 위치에 각각 설치되거나, 또는 상기 재활 대상자의 좌측 다리 상박부와 우측 다리 상박부를 지지하기 위한 위치 중 어느 하나의 위치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upper arm support is installed at a position for supporting the upper arm of the left leg and the upper arm of the right leg of the rehabilitation subject, respectively, or at any of the positions for supporting the upper arm of the left leg and the upper arm of the right leg of the rehabilitation subject. It can be installed detachably in a position.

바람직하게, 상기 위치 고정부는, 상기 의자의 하면부에 상기 이동 레일과 나란하게 형성된 고정 레일, 및 상기 레일 이동체에 조작 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재활 대상자의 조작에 의해 상기 레일 이동체를 상기 고정 레일에 고정시키거나 상기 레일 이동체의 고정 상태를 해제하는 위치 고정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Preferably, the position fixing part is operably disposed on a fixed rail formed in parallel with the movable rail on the lower surface of the chair and the rail movable body, and fixes the rail movable body to the fixed rail by operation of the person to be rehabilitated. It may include a position fixing member that releases the fixed state of the rail moving body.

바람직하게, 상기 재활운동기는, 상기 위치조절기를 매개로 상기 재활훈련기구 본체에 일단부가 고정되고 상기 재활 대상자의 재활운동을 위한 동력을 발생하는 동력 발생부, 상기 동력 발생부의 타단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일단부가 연결되고 상기 동력 발생부의 동력에 의해 회전 운동되는 재활 운동부, 및 상기 재활 운동부의 타단부에 연결되고 상기 재활 대상자의 다리 하박부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는 하박 지지대를 포함할 수 있다. Preferably, the rehabilitation exercise machine has one end fixed to the main body of the rehabilitation training device via the position controller, a power generating unit that generates power for rehabilitation exercise of the rehabilitation subject, and a power generating unit that is rotatable at the other end of the power generating unit. It may include a rehabilitation exercise unit connected to one end and rotated by the power of the power generation unit, and a lower arm supporter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rehabilitation exercise unit and detachably connected to the lower leg of the rehabilitation subject.

여기서, 상기 동력 발생부의 타단부와 상기 재활 운동부의 일단부는 상기 재활 대상자의 무릎 옆에 배치되어 상기 재활 대상자의 무릎 관절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Here, the other end of the power generation unit and one end of the rehabilitation exercise unit may be disposed next to the knee of the rehabilitation subject and rotated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knee joint of the rehabilitation subject.

그리고, 상기 재활 운동부는, 상기 동력 발생부의 타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일단부가 연결되고 상기 재활 대상자의 다리 하박부 옆에 배치되는 제1 운동 부재, 상기 제1 운동 부재의 타단부에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방식으로 길이가 변경되는 제2 운동 부재, 및 상기 제2 운동 부재의 이동을 구속하거나 구속 상태를 해제하도록 상기 제1 운동 부재와 상기 제2 운동 부재의 연결 부위에 마련되는 길이 조절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And, the rehabilitation exercise unit includes a first exercise member rotatably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power generation unit and disposed next to the lower leg of the rehabilitation subject, and movably inserted into the other end of the first exercise member. It includes a second movement member whose length is changed in such a way that the length adjustment member is provided at a connection portion of the first movement member and the second movement member to restrain the movement of the second movement member or release the restraint state. can do.

또한, 상기 하박 지지대는 상기 재활 대상자의 다리 하박부 중 발 또는 발목에 연결하도록 상기 제2 운동 부재의 타단부에서 상기 다리 하박부의 발 또는 발목을 향해 연장된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Additionally, the lower arm support may be provided in a shape extending from the other end of the second exercise member toward the foot or ankle of the lower leg part of the rehabilitation subject so as to connect to the foot or ankle of the lower leg part of the rehabilitation subject.

바람직하게, 상기 하박 지지대는, 상기 재활 운동부의 타단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일단부가 연결되고, 상기 재활 대상자의 재활 운동시 상기 다리 하박부의 발 또는 발목을 향해 회전되는 회전 지지 부재, 상기 회전 지지 부재와 상기 재활 운동부의 연결 부위에 마련되고 상기 회전 지지 부재의 회전을 구속하거나 상기 회전 지지 부재의 구속 상태를 해제하는 회전 조절 부재, 상기 회전 지지 부재의 타단부에 연결되어 상기 다리 하박부의 발 또는 발목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는 하박 연결 부재, 및 상기 하박 연결 부재와 상기 회전 지지 부재의 연결 부위에 배치되고 상기 재활 대상자의 재활 운동시 상기 다리 하박부에 작용되는 하중을 측정하는 로드셀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Preferably, the lower arm support member includes a rotation support member rotatably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rehabilitation exercise unit and rotated toward the foot or ankle of the lower leg portion during rehabilitation exercise of the rehabilitation subject, the rotation support member; A rotation adjustment member provided at a connection portion of the rehabilitation exercise unit and restraining the rotation of the rotation support member or releasing the restraint state of the rotation support member, is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rotation support member and is attached to the foot or ankle of the lower leg part. It may include a lower arm connection member that is detachably connected, and a load cell member disposed at a connection portion between the lower arm connection member and the rotation support member and measuring a load applied to the lower arm of the leg during rehabilitation exercise of the rehabilitation subject. .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릎 재활훈련기구는, 재활 대상자의 무릎을 재활 운동시키기 위한 무릎 재활훈련기구를 의자 일체형으로 제작하되, 구조가 간단하고 제작비용이 저렴하면서 수술 환자, 노약자 및 어린이 등의 사용자 편의성을 향상시키도록 제작할 수 있다. The knee rehabilitation train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knee rehabilitation training device for rehabilitating the knee of a person subject to rehabilitation, manufactured as an integrated chair, but has a simple structure and low manufacturing cost, and is suitable for use by surgical patients, the elderly and children, etc. It can be manufactured to improve user convenience.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릎 재활훈련기구는, 재활훈련기구 본체에 앉은 재활 대상자의 무릎 위치에 따라 재활운동기의 위치도 간단하게 변경하는 구조이므로, 재활운동기가 재활 대상자의 무릎 관절에 대한 재활 운동을 효과적으로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재활 대상자의 신체 조건이 달라 무릎 관절이 위치가 변경되더라도 재활운동기의 위치를 변경하여 무릎 관절의 재활 운동을 안정적으로 실시할 수 있고, 특히 단수개의 재활운동기를 사용하여 재활 대상자의 좌측 무릎과 우측 무릎에 대한 재활 운동을 모두 실시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knee rehabilitation train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tructure that simply changes the position of the rehabilitation exercise machine according to the knee position of the rehabilitation patient sitting on the main body of the rehabilitation training device, so that the rehabilitation exercise device is Rehabilitation exercises can be performed effectively. Therefore, even if the position of the knee joint changes due to the physical condition of the rehabilitation subject, it is possible to stably perform rehabilitation exercises for the knee joint by changing the position of the rehabilitation exercise machine. In particular, by using a single rehabilitation exercise machine, the left knee and All rehabilitation exercises for the right knee can be performed.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릎 재활훈련기구는, 재활훈련기구 본체에 재활 대상자가 앉은 상태에서 위치조절기를 이용하여 재활운동기의 위치를 매우 간단하고 간편하게 조정할 수 있고, 그로 인해서 별도의 재활 보조 인력을 투입하지 않더라도 재활 대상자가 혼자서도 재활운동기의 위치를 변경시켜 무릎 재활훈련기구를 원활하게 사용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knee rehabilitation train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the position of the rehabilitation exercise machine to be adjusted very simply and conveniently using a position adjuster while the person receiving rehabilitation is sitting on the main body of the rehabilitation training device, thereby providing separate rehabilitation assistance. Even without manpower, the person receiving rehabilitation can smoothly use the knee rehabilitation training device by changing the position of the rehabilitation exercise machine alone.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릎 재활훈련기구는, 위치 고정부를 조작하여 이동 레일을 따라 레일 이동체를 이동시킨 후 회전 조절 부재를 조작하여 재활 대상자의 다리 하박부를 향해 회전 지지 부재를 회전시킴으로써, 위치 고정부와 회전 조절 부재를 조작하는 두 번의 동작만으로 재활운동기의 위치를 신속하고 간편하게 변경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knee rehabilitation train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oves the rail moving body along the moving rail by manipulating the position fixing part, and then manipulates the rotation adjustment member to rotate the rotation support member toward the lower leg of the rehabilitation subject. , the position of the rehabilitation exercise machine can be changed quickly and easily with just two operations: manipulating the position fixing part and the rotation control member.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릎 재활훈련기구가 각각 도시된 사시도, 정면도, 측면도 및 저면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위치조절기의 위치 고정부를 조작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위치 고정부를 조작한 상태에서 재활운동기를 이동시키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는 도 6에 도시된 재활운동기의 이동이 완료된 상태에서 하박 지지대의 배치 방향을 변경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1 to 4 are a perspective view, front view, side view, and bottom view, respectively, of a knee rehabilitation train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position fixing part of the position controller shown in FIG. 4 is operated.
Figure 6 is a diagram showing the rehabilitation exercise machine being moved while the position fixing part shown in Figure 5 is manipulated.
FIG. 7 is a diagram showing changing the arrangement direction of the lower arm support when the movement of the rehabilitation exercise machine shown in FIG. 6 is completed.

이하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Hereinafter,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or limited by the example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in each drawing indicate the same members.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릎 재활훈련기구(100)가 각각 도시된 사시도, 정면도, 측면도 및 저면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위치조절기(130)의 위치 고정부(136)를 조작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위치 고정부(136)를 조작한 상태에서 재활운동기(120)를 이동시키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7는 도 6에 도시된 재활운동기(120)의 이동이 완료된 상태에서 하박 지지대(126)의 배치 방향을 변경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1 to 4 are a perspective view, a front view, a side view, and a bottom view, respectively, of a knee rehabilitation training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position fixing part 136 of the position adjuster 130 shown in FIG. 4 is manipulated, and FIG. 6 shows a state in which the position fixing part 136 shown in FIG. 5 is operated. This is a diagram showing the state of moving 120, and FIG. 7 is a diagram showing changing the arrangement direction of the lower arm support 126 when the movement of the rehabilitation exercise machine 120 shown in FIG. 6 is completed.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릎 재활훈련기구(100)는, 재활훈련기구 본체(110), 재활운동기(120), 및 위치조절기(130)를 포함할 수 있다.1 to 4, the knee rehabilitation training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rehabilitation training device main body 110, a rehabilitation exerciser 120, and a position adjuster 130. there is.

본 실시예의 무릎 재활훈련기구(100)는 무릎 관절의 등속성 재활 운동이 가능한 것으로써 수술 환자의 재활 및 노약자의 근력 운동을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재활훈련기구 본체(110)는 의자 일체형으로 제작될 수 있다. 재활 운동기(120)는 재활 대상자의 종아리를 포함하는 다리 하박부와 연결된 상태에서 다리 하박부를 강제로 재활 운동시키거나 다리 하박부의 재활 운동에 저항을 제공함으로써 재활 치료의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다. 한편, 재활운동기(120)는 위치조절기(130)에 의해 재활훈련기구 본체(110)의 좌측과 우측으로 이동될 수 있고, 이를 이용하여 재활 대상자의 좌측 무릎 또는 우측 무릎에 대한 재활 운동에 알맞는 구조로 변환될 수 있다.The knee rehabilitation training device 100 of this embodiment is capable of isokinetic rehabilitation exercise of the knee joint and can be used for the purpose of rehabilitation of surgical patients and strength exercise of the elderly. The rehabilitation training device main body 110 may be manufactured as an integrated chair. The rehabilitation exerciser 120 can maximize the effect of rehabilitation treatment by forcibly performing rehabilitation exercises on the lower legs of the rehabilitation subject while being connected to the lower legs, including the calves, or by providing resistance to the rehabilitation exercises of the lower legs. Meanwhile, the rehabilitation exercise device 120 can be moved to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rehabilitation training device main body 110 by the position controller 130, and can be used to perform rehabilitation exercises suitable for the left knee or right knee of the rehabilitation subject. It can be converted into a structure.

한편, 본 실시예의 무릎 재활훈련기구(100)는 CPM(continues passive motion) 운동, 등속성(isokinetic) 운동, 등척성(isometric) 운동 및 등장성(isotonic) 운동 등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고, 이런 기능들을 이용하여 재활 대상자의 ROM(range of motion) 및 근력을 측정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본 실시예의 무릎 재활훈련기구(100)는 후술하는 제어 모듈(140)에 기설정된 훈련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재활 대상자의 관절가동범위 회복이나 근력 회복 등의 재활 치료를 극대화시킬 수 있다.Meanwhile, the knee rehabilitation training device 100 of this embodiment can perform functions such as CPM (continues passive motion) exercise, isokinetic exercise, isometric exercise, and isotonic exercise, The functions can be used to measure the ROM (range of motion) and muscle strength of rehabilitation subjects. In addition, the knee rehabilitation training device 100 of this embodiment can maximize rehabilitation treatment, such as recovery of joint range of motion or muscle strength recovery, by using a training protocol preset in the control module 14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상기와 같이 무릎 재활훈련기구(100)는 무릎 수술 환자나 근감소증 환자 등이 대표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일례로, 무릎 재활훈련기구(100)는 관절 수술 이후의 환자에 대한 관절가동범위 회복과 근력 회복 및 근감소증 환자에 대한 근육 재건 등을 위한 재활 운동에 사용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knee rehabilitation training device 100 can be typically used by knee surgery patients or sarcopenia patients. For example, the knee rehabilitation training device 100 can be used for rehabilitation exercises for recovering joint range of motion and muscle strength for patients after joint surgery, and muscle reconstruction for patients with sarcopenia.

참고로, CPM 운동은 수술 초기 단계에서 관절을 동일한 속도로 반복적으로 굽혀주고 스트레칭하여 통증없이 관절가동범위를 회복시켜 줄 수 있다. 따라서, 무릎 재활훈련기구(100)는 무릎 및 십자 인대의 전체 회복 단계 중에서 수술 후 기간 동안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례로, 관절 수술 이후의 재활 대상자는 움직일 수 없을 때 관절 주위의 조직이 뻣뻣해지고 상처를 입기 때문에 재활 대상자가 조심스럽게 반복적으로 관절을 구부리고 신축시켜 장기간 관절의 운동 범위에 영향을 미침으로써 무릎 관절의 고정 및 부상의 역효과를 감소시킬 수 있다.For reference, CPM exercise can restore joint range of motion without pain by repeatedly bending and stretching the joint at the same speed in the early stages of surgery. Therefore, it is preferable to use the knee rehabilitation training device 100 during the postoperative period during the overall recovery phase of the knee and cruciate ligaments. For example, when a rehabilitation patient after joint surgery cannot move, the tissue around the joint becomes stiff and hurt, so the rehabilitation patient carefully and repeatedly bends and extends the joint to affect the range of motion of the knee joint for a long period of time. It can reduce the adverse effects of immobilization and injury.

또한, 등속성 운동, 등척성 운동 및 등장성 운동은 수술 환자나 근감소증 환자의 근력 측정 및 근육의 재건을 수행해 줄 수 있다. 이때, 근력을 측정하고 사용자에 맞는 최적의 근력 운동 프로토콜을 통해 단기간에 근력을 회복시킬 수 있다.In addition, isokinetic exercise, isometric exercise, and isotonic exercise can measure muscle strength and reconstruct muscles in surgical patients or patients with sarcopenia. At this time, muscle strength can be measured and muscle strength restored in a short period of time through the optimal strength exercise protocol tailored to the user.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재활훈련기구 본체(110)는 재활 대상자가 앉을 수 있도록 의자 일체형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재활훈련기구 본체(110)는 재활 대상자의 재활 운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재활 대상자의 상체와 다리 상박부를 지지하는 구조를 구비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ures 1 to 4, the rehabilitation training device main body 110 of this embodiment may be formed as a chair-integrated structure so that a rehabilitation subject can sit. At this time, the rehabilitation training device main body 110 may be provided with a structure that supports the upper body and upper legs of the rehabilitation subject so that the rehabilitation exercise of the rehabilitation subject can be performed smoothly.

예를 들면, 재활훈련기구 본체(110)는 의자(112), 상박 지지대(114) 및 상체 지지대(116)를 포함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rehabilitation training device main body 110 may include a chair 112, an upper arm support 114, and an upper body support 116.

의자(112)는 재활 대상자에 의해 착석되기 위한 구조물로서, 재활 대상자의 재활 운동시 재활 대상자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일례로, 의자(112)는 재활 대상자의 엉덩이를 받치는 의자 시트(112a), 재활 대상자의 등을 받치도록 의자 시트(112a)에 연결되는 등받이(112b), 의자 시트(112a)를 지면에서 소정의 높이로 지지하는 의자 다리(112c) 및 의자 시트(112a)의 좌측과 우측에 형성된 의자 손잡이(112d)를 포함할 수 있다.The chair 112 is a structure for a rehabilitation subject to sit on, and can stably support the rehabilitation subject when the rehabilitation subject performs rehabilitation exercises. For example, the chair 112 includes a chair seat 112a that supports the buttocks of the rehabilitation subject, a backrest 112b connected to the chair seat 112a to support the back of the rehabilitation subject, and the chair seat 112a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n the ground. It may include chair legs 112c supporting the height and chair handles 112d form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chair seat 112a.

상박 지지대(114)는 재활 대상자의 재활 운동시 재활 운동을 수행하기 위한 다리 상박부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상박 지지대(114)는 의자 시트(112a)의 상면 전방부에 마련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상박 지지대(114)는 재활 대상자의 좌측 다리 상박부와 우측 다리 상박부를 모두 지지하거나 재활 대상자의 좌측 다리 상박부와 우측 다리 상박부 중 어느 하나만을 선택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일례로, 상박 지지대(114)는 좌측 다리 상박부와 우측 다리 상박부를 개별적으로 모두 지지하기 위하여 의자 시트(112a)의 상면 전방부에 좌우 방향으로 한 쌍이 설치될 수 있다. 또는, 상박 지지대(114)는 좌측 다리 상박부와 우측 다리 상박부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지지하기 위하여 의자 시트(112a)의 상면 전방부의 좌측 또는 우측에 하나가 착탈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The upper arm support 114 can stably support the upper arm of the leg for performing rehabilitation exercise during rehabilitation exercise of a rehabilitation subject. The upper arm support 114 may be provided on the front upper surface of the chair seat 112a. The upper arm support 114 as described above may support both the upper arm of the left leg and the upper arm of the right leg of the rehabilitation subject, or may selectively support only one of the upper arm of the left leg and the upper arm of the right leg of the rehabilitation subject. For example, a pair of upper arm supports 114 may be installed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on the front upper surface of the chair seat 112a to individually support both the upper arm of the left leg and the upper arm of the right leg. Alternatively, the upper arm support 114 may be removably installed on the left or right side of the upper front portion of the chair seat 112a to selectively support either the upper arm of the left leg or the upper arm of the right leg.

상체 지지대(116)는 재활 대상자의 상체를 지지하도록 등받이(112b)에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상체 지지대(116)는 안전 벨트, 멜빵 끈 또는 배낭의 어깨끈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The upper body support 116 may be formed on the backrest 112b to support the upper body of the rehabilitation subject. For example, the upper body support 116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any one of a seat belt, suspender strap, or backpack shoulder strap.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재활운동기(120)는, 재활 대상자의 좌측 다리 또는 우측 다리 중 재활 운동이 필요한 다리의 무릎 관절을 재활 운동시키기 위한 장치이다. 상기와 같은 재활운동기(120)는 재활 운동의 조건이나 목적에 따라 재활 대상자의 무릎 관절을 강제적으로 재활 운동시키거나 재활 대상자의 재활 운동에 대한 저항으로 작용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1 to 4 , the rehabilitation exercise machine 120 of this embodiment is a device for performing rehabilitation exercises on the knee joint of the left or right leg of a rehabilitation subject that requires rehabilitation exercises. The rehabilitation exercise device 120 as described above may forcibly exercise the knee joint of the rehabilitation subject or act as resistance to the rehabilitation exercise of the rehabilitation subject, depending on the conditions or purpose of the rehabilitation exercise.

재활운동기(120)는 재활 운동이 필요한 재활 대상자의 다리 하박부에 연결되어 다리 하박부와 함께 운동될 수 있다. 즉, 재활운동기(120)의 일단부는 재활훈련기구 본체(110)에 연결될 수 있고, 재활운동기(120)의 타단부는 재활 대상자의 다리 하박부를 지지하도록 다리 하박부의 발 또는 발목에 연결될 수 있다.The rehabilitation exercise machine 120 may be connected to the lower leg of a rehabilitation subject in need of rehabilitation exercise and be exercised together with the lower leg. That is, one end of the rehabilitation exercise machine 120 may be connected to the rehabilitation training device main body 110, and the other end of the rehabilitation exercise machine 120 may be connected to the foot or ankle of the lower leg of the rehabilitation subject to support the lower leg of the rehabilitation subject.

예를 들면, 재활운동기(120)는, 동력 발생부(122), 재활 운동부(124) 및 하박 지지대(126)를 포함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rehabilitation exercise machine 120 may include a power generation unit 122, a rehabilitation exercise unit 124, and a lower arm support unit 126.

동력 발생부(122)는 재활 대상자의 재활운동을 위한 동력을 발생하는 장치이다. 동력 발생부(122)의 일단부는 위치조절기(130)를 매개로 하여 재활훈련기구 본체(110)의 의자 시트(112a)의 하면부에 고정될 수 있고, 동력 발생부(122)의 타단부는 재활 운동부(124)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참고로, 동력 발생부(122)의 내부에는 후술하는 제어 모듈(140)에 의해 작동이 제어되는 구동부가 배치될 수 있으며, 구동부로는 모터 또는 유압실린더 등이 사용될 수 있다. The power generation unit 122 is a device that generates power for rehabilitation exercise of a rehabilitation subject. One end of the power generation unit 122 may be fix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chair seat 112a of the rehabilitation training device main body 110 via the position controller 130, and the other end of the power generation unit 122 may be fix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chair seat 112a of the rehabilitation training device main body 110. It may be rotatably connected to the rehabilitation exercise unit 124. For reference, a driving part whose operation is controlled by a control module 14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may be disposed inside the power generating unit 122, and a motor or hydraulic cylinder, etc. may be used as the driving part.

재활 운동부(124)는 동력 발생부(122)의 동력에 의해 회전 운동함으로써 재활 대상자의 무릎 관절에 대한 재활 운동을 수행할 수 있다. 재활 운동부(124)의 일단부는 동력 발생부(122)의 타단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되, 재활 운동부(124)와 동력 발생부(122)의 연결부는 재활 운동부(124)의 회전 중심에 해당될 수 있다. 이때, 동력 발생부(122)와 재활 운동부(124)의 연결부는, 재활 대상자의 무릎 옆에 배치될 수 있고, 재활 대상자의 무릎 관절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The rehabilitation exercise unit 124 may perform a rehabilitation exercise on the knee joint of the rehabilitation subject by performing a rotational movement using the power of the power generation unit 122. One end of the rehabilitation exercise unit 124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power generation unit 122, and the connection between the rehabilitation exercise unit 124 and the power generation unit 122 corresponds to the rotation center of the rehabilitation exercise unit 124. You can. At this time, the connection portion of the power generation unit 122 and the rehabilitation exercise unit 124 may be placed next to the knee of the rehabilitation subject and may be arranged to rotate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knee joint of the rehabilitation subject.

여기서, 재활 운동부(124)는 재활 대상자의 다리 하박부 옆에 길이 조절 가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일례로, 재활 운동부(124)는 제1 운동 부재(124a), 제2 운동 부재(124b) 및 길이 조절 부재(124c)를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rehabilitation exercise unit 124 may be placed next to the lower leg of the rehabilitation subject so that its length is adjustable. For example, the rehabilitation exercise unit 124 may include a first exercise member 124a, a second exercise member 124b, and a length adjustment member 124c.

제1 운동 부재(124a)의 일단부는 동력 발생부(122)의 타단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제1 운동 부재(124a)는 내부가 중공된 중공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One end of the first movement member 124a may be rotatably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power generation unit 122. The first movement member 124a may be formed in the shape of a hollow tube with a hollow interior.

제2 운동 부재(124b)는 제1 운동 부재(124a)의 타단부에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방식으로 길이를 변경할 수 있다. 즉, 제2 운동 부재(124b)의 일단부는 제1 운동 부재(124a)의 타단부를 통해 제1 운동 부재(124a)의 내부에 이동 가능하게 삽입됨에 따라 제1 운동 부재(124a)와 제2 운동 부재(124b)의 전체 길이를 가변시킬 수 있다.The second movement member 124b can change its length by being movably inserted into the other end of the first movement member 124a. That is, one end of the second movement member 124b is movably inserted into the interior of the first movement member 124a through the other end of the first movement member 124a, thereby forming the first movement member 124a and the second movement member 124a. The overall length of the movement member 124b can be varied.

길이 조절 부재(124c)는 제1 운동 부재(124a)와 제2 운동 부재(124b)의 연결 부위에 마련될 수 있다. 길이 조절 부재(124c)는 제2 운동 부재(124b)를 제1 운동 부재(124a)에 구속하거나 구속 해제시킴으로써 제2 운동 부재(124b)의 이동을 구속하거나 제2 운동 부재(124b)의 구속 상태를 해제할 수 있다.The length adjustment member 124c may be provided at a connection portion between the first movement member 124a and the second movement member 124b. The length adjustment member 124c restrains the movement of the second movement member 124b or restrains the second movement member 124b by restraining or releasing the second movement member 124b from the first movement member 124a. can be released.

상기와 같은 길이 조절 부재(124c)는 무릎 재활훈련기구(100)의 설계 조건 및 상황에 따라 다양한 구조로 설계될 수 있지만, 이하 본 실시예에서는 재활 대상자에 의해 수동으로 조작되거나 제어 모듈(140)에 의해 자동으로 조작될 수 있는 플런저(plunger) 구조로 마련된 것으로 설명한다.The length adjustment member 124c as described above may be designed in various structures depending on the design conditions and circumstances of the knee rehabilitation training device 100, but in the present embodiment, it is manually operated by the rehabilitation recipient or is operated by the control module 140. It is explained as having a plunger structure that can be automatically operated by.

하박 지지대(126)는 재활 운동이 필요한 재활 대상자의 다리 하박부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하박 지지대(126)의 일단부는 제2 운동 부재(124b)의 타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하박 지지대(126)는 재활 대상자의 다리 하박부 중 발 또는 발목에 연결하도록 제2 운동 부재(124b)의 타단부에서 다리 하박부의 발 또는 발목을 향해 연장된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이하, 본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하박 지지대(126)가 다리 하박부의 발목에 착용되는 것으로 설명하되, 하박 지지대(126)는 제2 운동 부재(124b)의 길이 방향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The lower arm support 126 may be detachably connected to the lower leg of a rehabilitation subject in need of rehabilitation exercise. One end of the lower arm support 126 as described above may be rotatably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second movement member 124b. The lower arm support 126 may be provided in a shape extending from the other end of the second exercise member 124b toward the foot or ankle of the lower leg of the rehabilitation subject so as to be connected to the foot or ankle of the lower leg of the rehabilitation subject. Hereinafter, in this embodiment,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lower arm support 126 will be described as being worn on the ankle of the lower leg. However, the lower arm support 126 is elongat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econd exercise member 124b. can be formed.

예를 들면, 하박 지지대(126)는, 회전 지지 부재(126a), 회전 조절 부재(126b), 하박 연결 부재(126c) 및 로드셀 부재(126d)를 포함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lower arm support 126 may include a rotation support member 126a, a rotation adjustment member 126b, a lower arm connection member 126c, and a load cell member 126d.

회전 지지 부재(126a)의 일단부는 재활 운동부(124)의 타단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회전 지지 부재(126a)는 제2 운동 부재(124b)의 타단부에 제2 운동 부재(124b)의 길이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길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회전 지지 부재(126a)는 재활 대상자의 재활 운동시 재활 운동되기 위한 다리 하박부의 발목을 향해 회전될 수 있다. One end of the rotation support member 126a may be rotatably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rehabilitation exercise unit 124. The rotation support member 126a may be disposed at the other end of the second movement member 124b to be long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econd movement member 124b. The rotation support member 126a as described above may be rotated toward the ankle of the lower leg for rehabilitation exercise during the rehabilitation exercise of the rehabilitation subject.

회전 조절 부재(126b)는 회전 지지 부재(126a)의 회전을 구속하거나 회전 지지 부재(126a)의 구속 상태를 해제할 수 있다. 회전 조절 부재(126b)는 회전 지지 부재(126a)와 재활 운동부(124)의 연결 부위에 플런저 구조로 마련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 조절 부재(126b)가 회전 지지 부재(126a)의 구속 상태를 해제하면, 회전 지지 부재(126a)는 제2 운동 부재(124b)의 타단부를 중심으로 제3 위치(P3) 또는 제4 위치(P4) 중 어느 하나의 위치로 회전될 수 있다. 이때, 회전 지지 부재(126a)의 제3 위치(P3)는 재활 대상자의 우측 다리에 대한 무릎 관절의 재활 운동에서 배치되는 위치이고, 회전 지지 부재(126a)의 제4 위치(P4)는 재활 대상자의 좌측 다리에 대한 무릎 관절의 재활 운동에서 배치되는 위치이다. The rotation adjustment member 126b may constrain the rotation of the rotation support member 126a or release the constraint state of the rotation support member 126a. The rotation adjustment member 126b may be provided in a plunger structure at a connection portion between the rotation support member 126a and the rehabilitation exercise unit 124. As shown in FIG. 7, when the rotation adjustment member 126b releases the restrained state of the rotation support member 126a, the rotation support member 126a moves to the third position around the other end of the second movement member 124b. It can be rotated to either the position P3 or the fourth position P4. At this time, the third position (P3) of the rotation support member (126a) is a position placed in the rehabilitation exercise of the knee joint for the right leg of the rehabilitation subject, and the fourth position (P4) of the rotation support member (126a) is the position of the rehabilitation subject. This is the position in which it is placed in rehabilitation exercises for the knee joint for the left leg.

하박 연결 부재(126c)는 회전 지지 부재(126a)의 타단부에 연결될 수 있고, 다리 하박부의 발목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회전 지지 부재(126a)의 타단부가 다리 하박부의 발목 위쪽에 배치될 수 있고, 하박 연결 부재(126c)는 회전 지지 부재(126a)의 타단부에 하측을 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하, 본 실시예에서는 하박 연결 부재(126c)가 재활 대상자의 발목에 착용되는 밸크로가 구비된 벨트 형상으로 설명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하박 연결 부재(126c)는 재활 대상자의 발목에 연결된다면 다양한 구조가 적용될 수 있다.The lower arm connection member 126c may be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rotation support member 126a and may be detachably connected to the ankle of the lower leg portion. The other end of the rotation support member 126a may be disposed above the ankle of the lower leg, and the lower arm connection member 126c may be installed on the other end of the rotation support member 126a to face downward. Hereinafter, in this embodiment, the lower arm connection member 126c will be described as having the shape of a belt equipped with Velcro that is worn on the ankle of a rehabilitation subject, but it is not limited thereto. If the lower arm connection member 126c is connected to the ankle of a rehabilitation subject, Various structures can be applied.

로드셀 부재(126d)는 재활 대상자의 재활 운동시 다리 하박부의 발목에 작용되는 하중을 실시간으로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로드셀 부재(126d)는 하박 연결 부재(126c)의 상단부 및 회전 지지 부재(126a)의 타단부를 연결한 지점에 배치될 수 있다. 로드셀 부재(126d)는 재활 대상자의 재활 운동시 하박 연결 부재(126c)와 회전 지지 부재(126a)의 사이에 작용되는 하중을 측정한 후 후술하는 제어 모듈(140)에 전달할 수 있다. The load cell member 126d can accurately measure, in real time, the load applied to the ankle of the lower leg during rehabilitation exercise of a rehabilitation subject. The load cell member 126d as described above may be disposed at a point where the upper end of the lower arm connection member 126c and the other end of the rotation support member 126a are connected. The load cell member 126d can measure the load applied between the lower arm connection member 126c and the rotation support member 126a during a rehabilitation exercise of a rehabilitation subject and then transmit it to the control module 14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도 4와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위치조절기(130)는 재활이 필요한 재활 대상자의 무릎 위치에 따라 재활운동기(120)의 위치를 조정하는 장치이다. 특히, 위치조절기(130)은 재활 대상자의 재활이 필요로 하는 좌측 다리 또는 우측 다리에 모두 대응할 수 있는 재활운동기(120)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위치조절기(130)는 재활운동기(120)와 재활훈련기구 본체(110)의 연결 부위에 마련될 수 있다. 즉, 재활운동기(120)와 재활훈련기구 본체(110)는 위치조절기(130)를 매개로 연결된 구조이다.Referring to Figures 4 and 5, the position controller 130 of this embodiment is a device that adjusts the position of the rehabilitation exercise machine 120 according to the knee position of the rehabilitation subject in need of rehabilitation. In particular, the position controller 130 can adjust the position of the rehabilitation exercise machine 120 to correspond to either the left leg or the right leg required for rehabilitation of the rehabilitation subject. The position controller 130 as described above may be provided at a connection portion between the rehabilitation exercise machine 120 and the rehabilitation training device main body 110. That is, the rehabilitation exercise machine 120 and the rehabilitation training device main body 110 are connected via the position controller 130.

위치조절기(130)는 재활운동기(120)를 재활훈련기구 본체(110)의 좌우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재활 운동이 필요한 재활 대상자의 좌측 다리 또는 우측 다리에 대응하기 위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이하, 본 실시예에서는 위치조절기(130)가 재활운동기(120)를 재활훈련기구 본체(110)에 좌우 방향을 따라 이동시키도록 마련되되, 의자 시트(112a)의 하면부에 배치되는 것으로 설명한다.The position controller 130 can be placed in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left leg or right leg of a rehabilitation subject in need of rehabilitation exercise by moving the rehabilitation exercise device 120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of the rehabilitation training device main body 110. Hereinafter, in this embodiment, the position controller 130 is provided to move the rehabilitation exercise machine 120 along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in the rehabilitation training device main body 110, and is described as being dispos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chair seat 112a. .

예를 들면, 위치조절기(130)는, 이동 레일(132), 레일 이동체(134), 및 위치 고정부(136)를 포함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position controller 130 may include a moving rail 132, a rail moving body 134, and a position fixing unit 136.

이동 레일(132)은 재활운동기(120)의 이동 경로를 따라 재활훈련기구 본체(110)에 마련될 수 있다. 이하, 본 실시예에서는 이동 레일(132)이 의자 시트(112a)의 하면부에 좌우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것으로 설명하지만, 재활운동기(120)의 이동 경로에 대한 설계 변경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이동 레일(132)은 의자 시트(112a)의 하면부에 복수개가 나란하게 직선 형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 The moving rail 132 may be provided in the rehabilitation training device main body 110 along the moving path of the rehabilitation exercise machine 120. Hereinafter, in this embodiment, the moving rail 132 will be described as being formed long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on the lower surface of the chair seat 112a, but it may be changed in various ways according to design changes in the movement path of the rehabilitation exercise machine 120. A plurality of moving rails 132 as described above may be arranged in a straight line on the lower surface of the chair seat 112a.

레일 이동체(134)는 이동 레일(132)들을 따라 좌우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이동 레일(132)들에 동시에 결합될 수 있다. 일례로, 레일 이동체(134)와 이동 레일(132)은 LM 가이드로 제작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레일 이동체(134)는 재활운동기(120)의 동력 발생부(122)의 일단부에 일체형 구조로 연결될 수 있다. The rail moving body 134 may be simultaneously coupled to the moving rails 132 to move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along the moving rails 132. For example, the rail moving body 134 and the moving rail 132 may be manufactured as an LM guide. The rail moving body 134 as described above may be connected to one end of the power generation unit 122 of the rehabilitation exercise machine 120 in an integrated structure.

위치 고정부(136)는 레일 이동체(134)의 위치를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서, 레일 이동체(134)와 재활훈련기구 본체(110)에 형성될 수 있다. 즉, 재활운동기(120)가 레일 이동체(134)와 함께 이동 레일(132)을 따라 원하는 위치로 이동되면, 위치 고정부(136)를 이용하여 레일 이동체(134)를 의자 시트(112a)에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도 6를 참조하면, 이하에서는 재활운동기(120)는 레일 이동체(134)와 함께 이동 레일(132)을 따라 제1 위치(P1)에서 제2 위치(P2)로 이동될 수 있다.The position fixing unit 136 is for fixing the position of the rail moving body 134 and may be formed on the rail moving body 134 and the rehabilitation training device main body 110. That is, when the rehabilitation exercise machine 120 is moved to the desired position along the moving rail 132 together with the rail moving body 134, the rail moving body 134 is fixed to the chair seat 112a using the position fixing part 136. It can be fixed properly. Referring to FIG. 6 , hereinafter, the rehabilitation exercise machine 120 may be moved from the first position (P1) to the second position (P2) along the movable rail 132 together with the rail moving body 134.

예를 들면, 위치 고정부(136)는, 의자 시트(112a)의 하면부에 이동 레일(132)과 나란하게 형성된 고정 레일(137), 및 고정 레일(137)에 레일 이동체(134)를 고정시키거나 고정 상태를 해제하는 위치 고정 부재(138)를 포함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position fixing part 136 fixes the rail moving body 134 to the fixed rail 137 formed in parallel with the movable rail 132 on the lower surface of the chair seat 112a, and to the fixed rail 137. It may include a position fixing member 138 that fixes or releases the fixed state.

고정 레일(137)은 의자 시트(112a)의 하면부에 이동 레일(132)과 함께 배치될 수 있다. 고정 레일(137)의 선단면에는 레일 이동체(134)를 마주보는 방향으로 체결홈이 형성될 수 있다. 체결홈은 고정 레일(137)의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위치 고정 부재(138)는 레일 이동체(134)에 고정 레일(137)의 체결홈에 체결되는 플런저 구조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위치 고정 부재(138)는 재활 대상자에 의해 수동 조작되거나 후술하는 제어 모듈(140)에 의해 자동 조작될 수 있다.The fixed rail 137 may be arranged together with the movable rail 132 on the lower surface of the chair seat 112a. A fastening groove may be formed on the front end of the fixed rail 137 in a direction facing the rail moving body 134. The fastening groove may be formed long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xing rail 137. The position fixing member 138 may be provided with a plunger structure that is fastened to the fastening groove of the fixing rail 137 on the rail moving body 134. The position fixing member 138 as described above may be manually operated by a person undergoing rehabilitation or may be automatically operated by a control module 140 to be described later.

그로 인하여, 위치 고정 부재(138)를 고정 레일(137)의 체결홈에 체결시키면 레일 이동체(134)의 위치가 고정될 수 있고, 위치 고정 부재(138)를 고정 레일(137)의 체결홈과 체결시키지 않으면 레일 이동체(134)가 이동 레일(132)을 따라 자유롭게 이동될 수 있다. Therefore, the position of the rail moving body 134 can be fixed by fastening the position fixing member 138 to the fastening groove of the fixed rail 137, and the position fixing member 138 is connected to the fastening groove of the fixed rail 137. If not fastened, the rail moving body 134 can freely move along the moving rail 132.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릎 재활훈련기구(100)는, 무릎 재활훈련기구(100)의 작동 상태 및 재활 운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모듈(1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1 to 4, the knee rehabilitation training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control module 140 for controlling the operating state and rehabilitation exercise of the knee rehabilitation training device 100. It can be included.

제어 모듈(140)은, 재활 운동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파악하는데 사용할 수 있고, 현재 재활 운동의 성과 및 문제점을 파악하는데도 활용할 수 있다. 또한, 제어 모듈(140)은, 재활 대상자의 재활 훈련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출력 또는 저장함으로써 재활 훈련을 개별적으로 관리할 수 있으며, 재활 대상자에게 적합한 맞춤형 프로토콜을 제공함으로써 무릎 재활훈련기구(100)의 사용 편의성을 높일 수 있다.The control module 140 can be used to determine the status of rehabilitation exercise in real time, and can also be used to determine the performance and problems of the current rehabilitation exercise. In addition, the control module 140 can individually manage rehabilitation training by outputting or storing rehabilitation training data of the rehabilitation subject in real time, and provides a customized protocol suitable for the rehabilitation subject to use the knee rehabilitation training device 100. Convenience can be increased.

이하, 본 실시예에서는 제어 모듈(140)이 터치 디스플레이 부재로 제공되는 것으로 설명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무릎 재활훈련기구(100)의 작동 상태 및 재활 운동을 제어하기 위한 다른 장치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와 같은 제어 모듈(140)은 재활훈련기구 본체(110)의 의자(112)에서 길게 연장된 모듈 스텐드(118)에 설치될 수 있다. Hereinafter, in this embodiment, the control module 140 is described as being provided as a touch display member, but it is not limited thereto, and other devices for controlling the operating state and rehabilitation exercise of the knee rehabilitation training device 100 may also be used. possible. The control module 140 as described above may be installed on the module stand 118 extending long from the chair 112 of the rehabilitation training device main body 110.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릎 재활훈련기구(100)에서 재활운동기(120)의 위치를 변경하는 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The process of changing the position of the rehabilitation exercise machine 120 in the knee rehabilitation training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s as follows.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치조절기(130)의 위치 고정 부재(138)를 도 5의 직선 화살표 방향으로 충분히 잡아 당겨 위치 고정 부재(138)를 고정 레일(137)에서 분리시킨다. 이때, 위치 고정 부재(138)는 고정 레일(137)에 고정된 상태는 아니지만, 레일 이동체(134)의 이동시 고정 레일(137)을 따라 이동한다.As shown in FIG. 5, the position fixing member 138 of the position adjuster 130 is sufficiently pulled in the direction of the straight arrow in FIG. 5 to separate the position fixing member 138 from the fixing rail 137. At this time, the position fixing member 138 is not fixed to the fixed rail 137, but moves along the fixed rail 137 when the rail moving body 134 moves.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 레일(137)과 위치 고정 부재(138)의 고정 상태가 해제되면, 재활운동기(120)를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킨다. 이때, 레일 이동체(134)가 재활운동기(120)와 함께 이동 레일(132)들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한다. 즉, 도 6에서는 재활운동기(120)가 재활 대상자의 우측 다리 옆에 위치하는 제1 위치(P1)에서 재활 운동이 필요한 재활 대상자의 좌측 다리 옆에 위치하는 제2 위치(P2)로 이동한다.As shown in FIG. 6, when the fixed state of the fixing rail 137 and the position fixing member 138 is released, the rehabilitation exercise machine 120 is moved to the desired position. At this time, the rail moving body 134 slides along the moving rails 132 together with the rehabilitation exercise machine 120. That is, in Figure 6, the rehabilitation exercise machine 120 moves from the first position (P1) located next to the right leg of the rehabilitation subject to the second position (P2) located next to the left leg of the rehabilitation subject in need of rehabilitation exercise.

상기와 같이 재활운동기(120)가 제2 위치(P2)로 이동 완료되면, 위치 고정 부재(138)를 도 5에 도시된 직선 화살표의 반대 방향으로 다시 밀어 넣어 고정 레일(137)에 체결 고정시킨다. When the rehabilitation exercise machine 120 is completed moving to the second position (P2) as described above, the position fixing member 138 is pushed back in the opposite direction of the straight arrow shown in FIG. 5 and fastened to the fixing rail 137. .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재활운동기(120)가 적정 위치에 고정되면, 하박 지지대(126)의 회전 지지 부재(126a)를 제3 위치(P3)에서 제4 위치(P4)로 회전시켜 하박 연결 부재(126c)를 재활 대상자의 우측 다리의 발목에 연결한다.As shown in FIG. 7, when the rehabilitation exerciser 120 is fixed in an appropriate position, the rotation support member 126a of the lower arm support 126 is rotated from the third position P3 to the fourth position P4 to move the lower arm. The connection member 126c is connected to the ankle of the right leg of the rehabilitation subject.

이를 위하여, 회전 조절 부재(126b)를 도 7의 직선 화살표 방향으로 잡아 당긴 상태에서 회전 지지 부재(126a)를 도 7의 곡선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따라서, 하박 지지대(126)는 제3 위치(P3)에서 제4 위치(P4)까지 180도의 각도로 회전하여 재활 운동부(124)를 기준으로 반대편에 위치한다. 그런 다음에, 회전 조절 부재(126b)를 도 7에 도시된 직선 화살표의 반대 방향으로 다시 밀어 넣어 회전 지지 부재(126a)를 고정시킨다.To this end, while the rotation adjustment member 126b is pulled in the direction of the straight arrow in FIG. 7, the rotation support member 126a is rotated in the direction of the curved arrow in FIG. 7. Accordingly, the lower arm support 126 rotates at an angle of 180 degrees from the third position P3 to the fourth position P4 and is locat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rehabilitation exercise unit 124. Then, the rotation adjustment member 126b is pushed back in the opposite direction of the straight arrow shown in FIG. 7 to fix the rotation support member 126a.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무릎 재활훈련기구(100)에서는 재활 운동이 필요한 재활 대상자의 무릎 위치에 따라 재활운동기(120)의 위치를 매우 간편하게 변경할 수 있고, 재활운동기(120)의 변경 과정도 작은 작업공수 만으로 수행할 수 있다. 특히, 재활 대상자의 신체 조건 및 재활 운동하고자 하는 다리의 위치에 따라 재활운동기(120)를 재활 대상자의 다리 좌측 또는 다리 우측에 선택적으로 배치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knee rehabilitation training device 100 of this embodiment, the position of the rehabilitation exercise machine 120 can be very easily changed according to the knee position of the rehabilitation subject requiring rehabilitation exercise, and the process of changing the rehabilitation exercise machine 120 is also possible. It can be performed with only a small amount of man-hours. In particular, the rehabilitation exercise machine 120 may be selectively placed on the left or right leg of the rehabilitation subject, depending on the physical condition of the rehabilitation subject and the position of the leg to be exercised.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As described above,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with specific details such as specific components and limited examples and drawings, but this is only provided to facilitate a more general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s. This does not mean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from this description by those skilled in the art. Accordingly,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and all claims that are equivalent or equivalent to the claims as well as the following claims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무릎 재활훈련기구
110: 재활훈련기구 본체
120: 재활운동기
122: 동력 발생부
124: 재활 운동부
126: 하박 지지대
130: 위치조절기
132: 이동 레일
134: 레일 이동체
136: 위치 고정부
137: 고정 레일
138: 위치 고정 부재
100: Knee rehabilitation training device
110: Rehabilitation training device main body
120: Rehabilitation exercise machine
122: Power generation unit
124: Rehabilitation Exercise Department
126: Lower arm support
130: Position controller
132: moving rail
134: Rail moving body
136: Position fixing unit
137: fixed rail
138: Position fixing member

Claims (9)

재활 대상자가 앉을 수 있도록 형성되고, 상기 재활 대상자의 다리 상박부를 지지하는 재활훈련기구 본체;
상기 재활훈련기구 본체에 일단부가 연결되고, 상기 재활 대상자의 다리 하박부를 지지하도록 타단부가 연결되며, 상기 재활 대상자의 무릎 관절을 강제적으로 재활 운동시키거나 상기 재활 대상자의 재활 운동에 대한 저항으로 작용하는 재활운동기; 및
상기 재활운동기와 상기 재활훈련기구 본체의 연결 부위에 마련되고, 상기 재활 대상자의 재활이 필요로 하는 좌측 다리 또는 우측 다리에 모두 대응할 수 있는 상기 재활운동기의 위치를 조정하는 위치조절기;
를 포함하는 무릎 재활훈련기구.
A rehabilitation training device body formed so that a rehabilitation subject can sit, and supporting the upper arms of the rehabilitation subject's legs;
One end is connected to the main body of the rehabilitation training device, and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support the lower leg of the rehabilitation subject, and forces the knee joint of the rehabilitation subject to rehabilitation exercise or serves as resistance to the rehabilitation exercise of the rehabilitation subject. rehabilitation exercise machine; and
a position controller provided at a connection portion between the rehabilitation exercise machine and the main body of the rehabilitation training device and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rehabilitation exercise machine to correspond to both the left leg and the right leg required for rehabilitation of the rehabilitation subject;
A knee rehabilitation training device comprising 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조절기는 상기 재활운동기를 상기 재활훈련기구 본체에 좌우 방향을 따라 이동시키도록 마련되고,
상기 재활운동기는 상기 위치조절기에 의해 좌우 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재활 대상자의 좌측 다리 또는 우측 다리를 대응하기 위한 위치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릎 재활훈련기구.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position controller is provided to move the rehabilitation exerciser to the main body of the rehabilitation training device in a left and right direction,
A knee rehabilitation training device, wherein the rehabilitation exerciser is moved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by the position controller and placed in a position to correspond to the left leg or right leg of the rehabilitation subject.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조절기는,
상기 재활훈련기구 본체에 좌우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이동 레일;
상기 재활운동기의 일단부에 연결되어 상기 이동 레일에 결합되고, 상기 이동 레일을 따라 좌우 방향으로 이동되는 레일 이동체; 및
상기 레일 이동체를 원하는 위치에 고정하도록 상기 레일 이동체와 상기 재활훈련기구 본체에 형성된 위치 고정부;
를 포함하는 무릎 재활훈련기구.
According to paragraph 2,
The position controller is,
A moving rail formed long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on the main body of the rehabilitation training device;
a rail moving body connected to one end of the rehabilitation exercise machine, coupled to the moving rail, and moving in a left and right direction along the moving rail; and
a position fixing part formed on the rail movable body and the rehabilitation training device main body to fix the rail movable body at a desired position;
A knee rehabilitation training device comprising a.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재활훈련기구 본체는,
상기 재활 대상자가 착석하기 위한 의자; 및
상기 다리 상박부를 지지하도록 상기 의자의 의자 시트에 형성된 상박 지지대;를 포함하며,
상기 위치조절기는 상기 의자 시트의 하면부에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릎 재활훈련기구.
According to clause 3,
The main body of the rehabilitation training device is,
a chair for the rehabilitation subject to sit on; and
It includes an upper arm supporter formed on the chair seat of the chair to support the upper arm of the leg,
Knee rehabilitation train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position adjuster is provid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chair seat.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상박 지지대는,
상기 재활 대상자의 좌측 다리 상박부와 우측 다리 상박부를 지지하기 위한 위치에 각각 설치되거나, 또는 상기 재활 대상자의 좌측 다리 상박부와 우측 다리 상박부를 지지하기 위한 위치 중 어느 하나의 위치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릎 재활훈련기구.
According to paragraph 4,
The upper arm support is,
Each is installed in a position to support the upper arm of the left leg and the upper arm of the right leg of the rehabilitation subject, or is detachably installed in any one of the positions to support the upper arm of the left leg and the upper arm of the right leg of the rehabilitation subject. A knee rehabilitation training device characterized by being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고정부는,
상기 의자의 하면부에 상기 이동 레일과 나란하게 형성된 고정 레일; 및
상기 레일 이동체에 조작 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재활 대상자의 조작에 의해 상기 레일 이동체를 상기 고정 레일에 고정시키거나 상기 레일 이동체의 고정 상태를 해제하는 위치 고정 부재;
를 포함하는 무릎 재활훈련기구.
According to paragraph 4,
The position fixing part,
a fixed rail formed parallel to the moving rail on the lower surface of the chair; and
a position fixing member that is operably disposed on the rail movable body and fixes the rail movable body to the fixed rail or releases the fixed state of the rail movable body by an operation of the person to be rehabilitated;
A knee rehabilitation training device comprising a.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재활운동기는,
상기 위치조절기를 매개로 상기 재활훈련기구 본체에 일단부가 고정되고, 상기 재활 대상자의 재활운동을 위한 동력을 발생하는 동력 발생부;
상기 동력 발생부의 타단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일단부가 연결되고, 상기 동력 발생부의 동력에 의해 회전 운동되는 재활 운동부; 및
상기 재활 운동부의 타단부에 연결되고, 상기 재활 대상자의 다리 하박부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는 하박 지지대;
를 포함하는 무릎 재활훈련기구.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6,
The rehabilitation exercise machine,
a power generator having one end fixed to the main body of the rehabilitation training device via the position controller and generating power for rehabilitation exercise of the rehabilitation subject;
a rehabilitation exercise unit rotatably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power generation unit and rotated by the power of the power generation unit; and
a lower arm supporter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rehabilitation exercise unit and detachably connected to the lower leg of the rehabilitation subject;
A knee rehabilitation training device comprising a.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 발생부의 타단부와 상기 재활 운동부의 일단부는 상기 재활 대상자의 무릎 옆에 배치되어 상기 재활 대상자의 무릎 관절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되고,
상기 재활 운동부는, 상기 동력 발생부의 타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일단부가 연결되고, 상기 재활 대상자의 다리 하박부 옆에 배치되는 제1 운동 부재; 상기 제1 운동 부재의 타단부에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방식으로 길이가 변경되는 제2 운동 부재; 및 상기 제2 운동 부재의 이동을 구속하거나 구속 상태를 해제하도록 상기 제1 운동 부재와 상기 제2 운동 부재의 연결 부위에 마련되는 길이 조절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하박 지지대는 상기 재활 대상자의 다리 하박부 중 발 또는 발목에 연결하도록 상기 제2 운동 부재의 타단부에서 상기 다리 하박부의 발 또는 발목을 향해 연장된 형상으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릎 재활훈련기구.
In clause 7,
The other end of the power generation unit and one end of the rehabilitation exercise unit are disposed next to the knee of the rehabilitation subject and rotated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knee joint of the rehabilitation subject,
The rehabilitation exercise unit includes: a first exercise member rotatably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power generation unit and disposed next to the lower leg of the rehabilitation subject; a second movement member whose length is changed by being movably inserted into the other end of the first movement member; and a length adjustment member provided at a connection portion of the first exercise member and the second exercise member to restrain the movement of the second motion member or release the restraint state.
The lower arm support is a knee rehabilitation train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rovided in a shape extending from the other end of the second exercise member toward the foot or ankle of the lower leg of the rehabilitation subject so as to connect to the foot or ankle of the lower leg of the rehabilitation subject.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하박 지지대는,
상기 재활 운동부의 타단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일단부가 연결되고, 상기 재활 대상자의 재활 운동시 상기 다리 하박부의 발 또는 발목을 향해 회전되는 회전 지지 부재;
상기 회전 지지 부재와 상기 재활 운동부의 연결 부위에 마련되고, 상기 회전 지지 부재의 회전을 구속하거나 상기 회전 지지 부재의 구속 상태를 해제하는 회전 조절 부재;
상기 회전 지지 부재의 타단부에 연결되어 상기 다리 하박부의 발 또는 발목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는 하박 연결 부재; 및
상기 하박 연결 부재와 상기 회전 지지 부재의 연결 부위에 배치되고, 상기 재활 대상자의 재활 운동시 상기 다리 하박부에 작용되는 하중을 측정하는 로드셀 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릎 재활훈련기구.
According to clause 8,
The lower arm support is,
a rotation support member rotatably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rehabilitation exercise unit and rotated toward the foot or ankle of the lower leg during the rehabilitation exercise of the rehabilitation subject;
a rotation adjustment member provided at a connection portion of the rotation support member and the rehabilitation exercise unit, and restraining the rotation of the rotation support member or releasing the restraint state of the rotation support member;
a lower arm connection member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rotation support member and detachably connected to the foot or ankle of the lower leg portion; and
a load cell member disposed at a connection portion of the lower arm connection member and the rotation support member and measuring a load applied to the lower leg portion during rehabilitation exercise of the rehabilitation subject;
Knee rehabilitation training device comprising:
KR1020220033363A 2021-03-17 2022-03-17 Rehabilitation training apparatus for knee joint KR102671071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4476 2021-03-17
KR20210034476 2021-03-1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30619A KR20220130619A (en) 2022-09-27
KR102671071B1 true KR102671071B1 (en) 2024-06-04

Family

ID=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39582B1 (en) 2017-11-10 2019-01-23 대한민국 Support Apparatus for Rehabilitation Training Trunk of Human Body
US10682543B1 (en) 2019-05-31 2020-06-16 Jamie Alvarez Systems and methods for passive, active, and resistance range of motion and stretching apparatu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39582B1 (en) 2017-11-10 2019-01-23 대한민국 Support Apparatus for Rehabilitation Training Trunk of Human Body
US10682543B1 (en) 2019-05-31 2020-06-16 Jamie Alvarez Systems and methods for passive, active, and resistance range of motion and stretching apparatu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84131A (en) Therapeutic exercise device for legs
US11529545B2 (en) Upper leg and hip exercise method and device to preserve knee and ankle joint while exercising
US9161872B2 (en) Gait rehabilitation machine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US6056675A (en) Knee and hip exercise device and method
US6224521B1 (en) Orthopedic exerciser
KR101360325B1 (en) Exercise apparatus for knee and exercise method thereof
KR101236281B1 (en) Rowing machine for the persons who have lower body paralysis
US6595904B1 (en) Exercise apparatus for stimulating muscle coordination, contraction and joint stability and mobility in the lower extremity joints of the hip, knee and ankle with variable application of weight bearing force
US11406859B2 (en) Gait pattern training device
AU2017272913A1 (en) Portable stretching equipment
US729709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nterior and posterior mobilization of the human ankle
JP3420546B2 (en) Lower limb exercise device
US5135457A (en) Calf exercise machine
JP2012192107A (en) Muscular force training device
KR102671071B1 (en) Rehabilitation training apparatus for knee joint
US20190217152A1 (en) Exercise method and exercise device for exercising upper leg portions and hips while protecting knee and ankle joints
KR100936619B1 (en) Balance diagnosis and training apparatus for reforming legs
JP4802336B2 (en) Gravity load exercise device
KR20220130619A (en) Rehabilitation training apparatus for knee joint
JP2008237785A5 (en)
KR102243602B1 (en) Apparatus for rehabilitation
RU112638U1 (en) Walking Simulator
US7766852B2 (en) Nerve treatment apparatus
JP2006043406A (en) Fitness apparatus
KR200477862Y1 (en) Adjustable Squart Exercise Devi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