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56807B1 - 정수기 - Google Patents

정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56807B1
KR102656807B1 KR1020160075892A KR20160075892A KR102656807B1 KR 102656807 B1 KR102656807 B1 KR 102656807B1 KR 1020160075892 A KR1020160075892 A KR 1020160075892A KR 20160075892 A KR20160075892 A KR 20160075892A KR 102656807 B1 KR102656807 B1 KR 1026568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main body
outlet
discharged
intake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758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42434A (ko
Inventor
김명상
윤영훈
김광용
이학하
임주희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758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56807B1/ko
Publication of KR201701424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424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68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68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7/00Watering equipment for stock or game
    • A01K7/02Automatic devices ; Medication dispens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29/00Other apparatus for animal husbandr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B01D35/04Plug, tap, or cock filters filtering elements mounted in or on a fauce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30Filter housing construction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 Feeding And Watering For Cattle Raising And Animal Husbandr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 상기 본체의 내부에 장착되어 공급되는 원수를 정화하도록 형성되는 필터부, 상기 필터부를 거쳐 정화된 정수를 상기 본체의 외부로 제공하는 취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취출부는, 상기 본체의 상부에 위치되는 제1취출부 및 상기 제1취출부의 하부에 위치되고, 상기 정수를 상기 본체의 외부로 유출시키는 출수구와, 상기 출수구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출수구로부터 유출되는 취출수를 상기 본체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수용하는 취수조를 구비하는 제2취출부를 포함하는 정수기를 제공한다. 이러한 정수기로, 사람에게 제공되는 것과 동일한 수질로 정화된 정수가 애완동물이 음용하기에 용이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Description

정수기{WATER PURIFIER}
본 발명은 애완동물이 음용 가능한 취출부를 구비하는 정수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정수기는 상수원에서 공급되는 상수를 물리적 및 화학적 방법으로 여과시켜 불순물을 제거한 후 공급하는 장치이다.
정수기는 정수원리나 방식에 따라 자연여과식, 직결여과식, 이온교환수지식, 증류식, 역삼투압식 등으로 분류될 수 있다.
또한, 정수기는 형태에 따라 필터를 통과하여 정화된 정수를 저수조에 저장하였다가 가열 또는 냉각하여 출수하는 저장형 정수기와, 저수조 없이 필터를 통과하여 정화된 정수(淨水)를 가열 또는 냉각하여 출수하는 직수형 정수기가 있다.
한편, 정수기에서 출수되는 정수 등의 음용 가능한 식수를 사람과 같은 주거 공간에서 생활하는 애완동물에게 제공하기 위한 필요성이 있다. 특히, 애완동물 시장의 성장 추세에 따라, 애완동물에게 식수를 제공하는 것 자체뿐만 아니라, 제공되는 식수의 수질에 대한 관심도 증대되고 있다.
종래 직접 물그릇을 이용하여 애완동물에게 식수를 제공하는 형태에서 발전된 형태로는 급수통에 식수를 담아 두어 제공하는 방식이 있다. 구체적으로, 급수통에 물을 저장해 두고 사람의 조작으로 식수를 방출시키는 방식의 장치나, 식수 배출구의 끝단에 볼을 설치하여 애완동물이 직접 볼을 굴려 식수를 배출시키는 볼타입 급수기 등이 있다. 이들은 지속적으로 식수가 공급되는 구성이 아니며, 식수를 용기에 수용하여 보관하므로 수질에 대한 관리가 이루어지기 어렵다.
수질을 개선시킨 정수를 지속적으로 공급하기 위해, 애완동물에게 필터 등을 통해 정화된 정수를 자동으로 공급하기 위한 종래 기술도 존재한다. 다만, 별도의 장치로 구성되는 종래의 애완동물용 정수기는 다음과 같은 한계점을 가지고 있다.
먼저, 애완동물 전용 정수기를 생활 공간에 별도로 구비해야 하므로, 거치 공간과 추가 비용이 요구된다. 애완동물 전용 정수기를 작동하기 위해서도, 전원 및 수원을 별도로 연결시켜야 하므로 구성이 복잡하다. 또한, 정수기의 정화 성능과 청결을 유지하기 위한 유지 관리도 추가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위와 같은 장치의 추가에 따른 번거로움 외에도, 애완동물 전용 정수기의 정수 능력을 높이는 데에도 한계가 있다. 애완동물에 제공되는 애완용품의 품질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는 추세에 따라, 고품질의 정수를 얻고자 하는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해서는 애완동물 전용 정수기도 다양한 필터 등의 정화장치를 구비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장치의 크기가 계속 증대되어야 하고, 장치가 복잡해지고 커질수록 수요자가 고려해야 할 설치 공간과 비용 면에서의 제약이 커진다.
또한, 종래의 애완동물 정수기에서 애완동물을 위해 구비되는 취출부는 물그릇과 유사한 형태를 가지는데, 단순히 물이 담겨 있을 뿐 특별히 애완동물에게 흥미를 유발하기 어려운 형태를 가지고 있다. 또한, 취출부가 정수기를 위치시키는 지면 가까이에 위치되어 먼지나 세균 등으로 오염될 가능성이 높다.
그리고, 종래 애완동물 전용 정수기는 본체의 하단에 일부 측면이 돌출되고, 상대적으로 정수기 본체에 비해 작은 크기의 물그릇이 구비되는 형태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은, 다수의 애완동물이 한꺼번에 정수를 음용하는 것이 불편하고, 노출되는 수면이 넓지 않아 애완동물의 흥미를 유발시킬 수 있는 구조가 아닌 한계점이 있다.
본 발명의 첫 번째 목적은, 원수를 정화하여 사람에게 제공할 수 있고, 아울러, 정화된 정수를 애완동물에게는 취수조에 담기는 형태로 제공할 수 있도록, 각각 취출부가 구성되는 정수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두 번째 목적은, 사람과 애완동물에 제공되는 취출부가 각각 구비될 때, 애완동물이 상시적으로 정수를 음용할 수 있도록 애완동물을 위한 취수조에 항상 물이 일정량 수용되어 있는 정수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세 번째 목적은, 애완동물을 위한 취출부가 정수기의 하부에서 어느 측면에서나 애완동물이 접근하여 정수를 음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정수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네 번째 목적은, 취출되는 정수를 주변 공간에 흘리지 않고 수용하기에 적합한 형상으로 구성되는 정수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섯 번째 목적은, 애완동물에 제공되기 위해 수용되는 취출수가 취수조 내에서 순환하도록 구성되는 정수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여섯 번째 목적은, 애완동물을 위한 취수조 내에서 취출수를 순환하도록 할 때, 취출수의 먼지 또는 세균 등을 제거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정수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곱 번째 목적은, 취수조 내에 취출수를 순환하도록 할 때, 특히 수면에 쌓이는 먼지를 제거하기에 용이하도록 구성되는 정수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여덟 번째 목적은, 애완동물을 위해 제공되는 취출수의 먼지나 세균 등의 제거가 가능하도록 구성할 때, 먼지나 세균 등을 제거하는 성능을 유지 및 관리하는 것이 용이하도록 구성되는 정수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아홉 번째 목적은, 애완동물에 제공되는 취출수를 수용하는 취수조는, 청소 및 살균 등의 청결 관리가 용이하도록 정수기에서 분리 가능하게 구성되는 정수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열 번째 목적은, 취수조를 청결 관리가 용이하도록 정수기에서 분리 가능하면서, 취출수가 취수조에서 순환하도록 구성되는 정수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열한 번째 및 열두 번째 목적은, 애완동물을 위한 수조가 청결 유지를 위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부재들로 이루어질 때, 본체 측에 고정되는 부재와 분리되는 부재 사이의 틈 및 분리되는 복수 개의 부재 사이의 틈으로 각각 취출수가 누출되지 않도록 구성되는 정수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열세 번째 목적은, 애완동물을 위한 취출부가 정수기의 하부에서 어느 측면에서나 접근 가능하도록 구성될 때, 상부의 사람을 위한 취출부도 정수기의 여러 측면에서 접근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정수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열네 번째 목적은, 사람과 애완동물에 제공되는 정수를 함께 생성하는 필터부를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정수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해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정수기는,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 상기 본체의 내부에 장착되어 공급되는 원수를 정화하도록 형성되는 필터부; 상기 필터부를 거쳐 정화된 정수를 상기 본체의 외부로 제공하는 취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취출부는, 상기 본체의 상부에 위치되는 제1취출부; 및 상기 제1취출부의 하부에 위치되고, 상기 정수를 상기 본체의 외부로 유출시키는 출수구와, 상기 출수구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출수구로부터 유출되는 취출수를 상기 본체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수용하는 취수조를 구비하는 제2취출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2취출부는, 상기 취수조에 수용되는 상기 취출수의 수위를 감지하도록 상기 취수조에 장착되는 수위센서; 및 상기 수위센서로 감지되는 상기 수위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출수구에서의 상기 정수의 유출을 제어하는 출수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취수조는 상기 본체의 측면으로부터 외측을 향해 돌출되어 상기 측면을 감싸도록 형성되고, 상기 취수조의 상부면에는 하부로 리세스되어 상기 취출수를 수용하도록 이루어지는 수용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수용홈에는 상기 취수조의 내측을 향하여 경사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취출수를 상기 취수조로 가이드하는 가이드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취출부는, 상기 본체의 내부를 관통하도록 형성되고, 양 단이 상기 수용홈과 각각 연통되는 순환유로; 및 상기 순환유로 내에 장착되고, 상기 취출수를 상기 순환유로를 따라 이동시키도록 형성되는 순환펌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취출부는, 상기 순환유로 내에 장착되어 상기 순환유로를 흐르는 취출수를 정화하도록 구성되는 순환필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용홈의 측면에는 상기 순환유로와 연통되어 상기 취출수를 상기 순환유로로 배출시키는 배수구가 형성되고, 상기 배수구는 상기 수용홈의 바닥으로부터 기설정된 높이만큼 이격되어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순환필터는 상기 순환유로로부터 분리 가능하도록, 상기 수용홈에 인접하게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취수조는, 상기 본체와 고정되도록 결합되는 고정부재; 및 상기 고정부재와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분리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분리부재는, 상기 본체의 측면 일부를 감싸는 제1분리부재; 및 상기 제1분리부재의 양 단에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상기 측면의 나머지 일부를 감싸는 제2분리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취출부는, 상기 본체의 내부를 관통하여 형성되고, 양 단이 상기 수용홈 내부로 각각 연통되는 순환유로; 및 상기 순환유로 내에 장착되고, 상기 취출수를 상기 순환유로를 따라 이동시키도록 형성되는 순환펌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순환유로는 상기 고정부재를 관통하여 상기 수용홈 내부와 연통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재 및 분리부재 중 어느 하나는, 다른 하나와 결합되는 면에서 돌출 형성되고 탄성력을 가지는 재료로 이루어져 상기 취출수가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가스켓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분리부재 및 제2분리부재 중 어느 하나는, 다른 하나와 결합되는 면에서 돌출 형성되고 탄성력을 가지는 재료로 이루어져 상기 취출수가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실링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본체는 상기 본체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개구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취출부는 상기 개구부의 내측에 위치하여 상기 정수를 유출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필터부는 공급되는 원수를 정화하여 상기 제1취출부 및 제2취출부에 제공하도록 상기 제1취출부와 상기 제2취출부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본체의 일측에는 상기 필터부의 교체가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필터교환도어가 설치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해결 수단에 의해 구성되는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 번째, 필터부를 거쳐 정화된 정수를 본체의 상부로 제공하는 외에 본체의 하부로도 제공하도록 출수구와 취수조를 구성함으로써, 하나의 정수기가 사람과 애완동물에게 각각 음용 가능한 정수를 공급할 수 있다. 이로써, 별도의 정수기가 같은 생활 공간에 설치되지 않으므로, 공간 및 비용 절약 효과가 있고, 정수기 작동을 위한 전원 및 수원의 연결도 추가로 구비될 필요가 없게 된다. 또한, 애완동물에게도 사람이 음용하는 수준의 높은 수질을 가진 정수가 제공될 수 있다.
두 번째, 취수조에 수용되는 취출수의 수위를 기설정된 값으로 유지하도록 정수를 자동으로 공급하는 구성을 갖춤으로써, 애완동물이 상시적으로 수용된 취출수를 음용할 수 있다. 사람이 주기적으로 애완동물의 식수 공급을 위해 조작할 필요가 없고, 특히, 사람이 외출하였을 때에도 애완동물에 계속 식수가 공급될 수 있다.
세 번째, 취수조는 본체의 측면에서 돌출되고 상부에 정수를 수용하도록 구성되며, 또한, 본체의 측면을 따라 연장되어 형성되므로, 애완동물이 어느 측면에서나 취수조에 수용된 취출수를 음용할 수 있고, 다수의 애완동물이 동시에 취출수를 음용할 수 있다. 또한, 생활 공간에서 눈에 잘 띄는 곳에 정수기를 배치할 수도 있어 생활 공간 구성이 자유롭고, 사람과 애완동물 모두에게 충분한 물 섭취를 위한 주위 환기도 가능하다.
네 번째, 수용홈의 측면에 가이드부가 형성되어, 그 상부에 위치하는 출수구에서 유출되는 취출수가 취수조의 내부로 안정적으로 흘러 들어가는 것을 도와주어, 취출수가 외부로 튀거나, 수면이 고르지 못하게 취수조에 수용되는 상태를 감소시킬 수 있다.
다섯 번째, 본체를 관통하여 양 단이 수용홈 내부 공간과 연통되는 순환유로가 형성되고, 순환펌프로 순환유로를 통하여 취수조 내의 취출수를 순환시킴으로써, 취수조 내의 취출수가 고여 있지 않고 계속 유동하는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애완동물의 흥미가 지속적으로 유발될 수 있다. 취수조 내의 취출수의 유동이 눈에 잘 띄어, 사람과 애완동물 모두에게 충분한 물 섭취를 위해 주위를 환기시키는 역할도 할 수 있다.
여섯 번째, 순환유로 내에 순환필터를 구비하여, 순환유로를 흐르는 취출수의 먼지나 세균 등의 제거가 가능하다. 취수조는 상대적으로 정수기가 놓이는 지면과 가까이 위치하여 먼지나 세균 등이 유입되기 쉬우므로, 순환필터를 통해 취수조에 수용된 취출수의 오염을 방지하여 취출수의 수질을 유지하는 것을 도울 수 있다.
일곱 번째, 수용홈으로부터 순환유로 내로 취출수가 유입되는 배수구가 취수조에 수용되는 취출수의 수면에 가까운 높이에 배치됨으로써, 먼지가 쌓이는 등으로 오염원에 직접 노출되는 수면의 취출수를 순환유로 내로 유입시켜 순환필터로 여과할 수 있다. 따라서, 순환필터를 통한 먼지나 세균 제거 등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덟 번째, 순환필터가 수용홈에 인접하게 배치되고, 순환필터가 순환유로로부터 분리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순환필터를 교체하거나 청소하여 청결한 상태로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한다.
아홉 번째, 취수조는 본체와 분리 불가능한 고정부재와 분리 가능한 분리부재로 구성되고, 분리부재는 제1분리부재와 제2분리부재로 분리 가능하게 구성됨으로써 고정부재로부터 탈착 가능하게 된다. 이로써, 취수조의 일부를 분리하여 청소 및 살균 등의 청결 유지를 위한 작업을 할 수 있고, 애완동물이 음용하는 취출부 및 취출수의 오염을 제거할 수 있다.
열 번째, 취수조가 분리 가능하도록 고정부재와 분리부재로 나뉘어지고 고정부재를 통하여 순환유로가 구성됨으로써, 위 취출수의 순환에 따른 다섯 번째 효과 및 취수조의 분리에 따른 아홉 번째 효과를 모두 달성할 수 있다.
열한 번째 및 열두 번째, 고정부재와 분리부재 사이에는 가스켓부재, 제1분리부재와 제2분리부재 사이에 실링부재가 각각 개재되도록 구성함으로써, 결합 시에 각각의 틈으로 취출수가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를 통해, 청소를 위해 분리 가능하면서도 누출이 방지되도록 결합될 수 있는 취수조가 구비될 수 있다.
열세 번째, 본체 상부에 측면으로 개구부가 형성되고 내측에 제1취출부가 설치됨으로써, 사람도 정수기의 여러 측면에서 취출수를 음용할 수 있는 정수기가 제공될 수 있다. 애완동물을 위한 제2취출부와 사람을 위한 제1취출부가 각각 여러 측면에서 이용 가능하게 형성됨으로써, 정수기가 생활 공간에서 반드시 벽면 가까이 설치되지 않을 수 있으므로, 다양한 인테리어 공간 설정이 가능하고, 사람과 애완동물에게 정수기에 대한 주목도를 높여 충분한 물 섭취를 환기시키는 것이 용이하다.
열네 번째, 필터부가 제1취출부 및 제2취출부로 동일한 수질의 정수를 공급하고, 본체의 측면을 개방하여 필터부가 교체될 수 있도록 본체에 필터교환도어를 구성함으로써, 사람과 애완동물이 음용하는 정수를 정화하는 필터의 관리 및 교체가 한꺼번에 이루어지는 정수기가 제공될 수 있다. 나아가, 애완동물에게 제공되는 정수의 수질에 대한 신뢰도를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의 사시도다.
도 2는 도 1의 정수기를 정수의 생성 및 흐름에 따라 보인 개략도다.
도 3은 도 1에 보인 정수기의 평면도다.
도 4a는 도 3에 도시된 라인 A-A’를 따라 취한 제2취출부의 단면을 보인 개념도다.
도 4b는 도 3에 도시된 라인 B-B’를 따라 취한 제2취출부의 단면을 보인 개념도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취수조를 구성하는 제1분리부재를 보인 사시도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정수기에서 필터교환도어가 개방된 상태를 보인 개념도다.
이하, 본 발명에 관련된 정수기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정수기는 수도전 등과 같은 원수공급부로부터 급수되는 원수를 별도의 필터 어셈블리 내부로 통과시킨 후 이물질을 걸러서 깨끗한 물(이하, '정수'라 함.)을 사용자에게 공급하는 장치이다. 아울러, 정수를 사용자가 필요 시 냉수나 온수로 공급하는 장치 또한 정수기라 할 수 있다. 정수기는 다른 가전제품과 독립적인 장치일 수 있고, 냉장고와 같은 가전제품의 일부를 이룰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100)의 사시도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정수기(100)를 정수의 생성 및 흐름에 따라 보인 개략도다.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100)는 정수를 사람 및 애완동물에게 모두 공급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이하에서 외관 및 각 구성요소를 설명하기로 하며, 특히, 본 발명의 특징을 가지고 있는 취출부(130, 140)를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도 1 및 도 2에 따르면, 본 발명의 정수기(100)는 본체(110), 필터부(120), 취출부(130, 140)를 포함한다. 본체(110)는 외관을 구성하여 나머지 구성요소들이 장착되고, 필터부(120)는 원수를 정화하며, 취출부(130, 140)는 본 발명의 특징에 따라 사람과 애완동물 각각에게 정수를 제공하는 기능을 한다.
본체(110)는 필터부(120)와 취출부(130, 140)가 설치되고, 정수기(100)의 외관을 형성한다. 정수기(100)는 본체(110)를 기준으로 하여, 외부의 원수공급부(10)에서 원수가 공급되고, 내부에서 수처리 과정을 거쳐 생성되는 정수가 다시 외부로 제공되도록 이루어진다. 본체(110)는 지면에 놓이면서 사람이 정수를 취하기에 적합한 높이까지 수직으로 세워지는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본 실시예에서는, 원통형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형태는, 정수기(100)가 생활 공간에서 벽면 가까이에 설치되는 일반적인 형태에서 벗어나, 벽면이 주위에 없는 생활 공간에 비치되기에도 적합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이에 따라, 종래 정수기에 비해 생활 공간 상에 배치가 자유롭고, 눈에 잘 띄는 곳에 배치되어 주목도가 높아질 수 있다.
필터부(120)는 본체(110)의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원수를 정화하는 역할을 한다. 필터부(120)는 원수공급부(10)로부터 본체(110) 내부로 들어오도록 설치되는 유로에 연결되며, 원수의 이물질을 거르도록 구성된다. 필터부(120)는 다수의 종류의 필터를 포함하고, 원수가 차례로 각 필터를 거치도록 유로가 연결되어 차례로 배치될 수 있다.
일련의 순서로 원수를 정화하는 필터 구성의 예를 들면, 원수는 먼저, 녹이나 모래 등을 제거하는 세디먼트 필터를 거치고, 염소 등의 불순물을 제거하고 냄새를 개선하는 프리카본 필터를 거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중공사막방식 UF(Ultrafiltration) 필터 또는 역삼투압 필터가 설치되어 세균과 방사성 물질 등의 불순물을 제거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 후, 포스트카본 필터가 설치되어 가스 및 냄새를 제거하여 원수가 정화된 정수가 생성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도, 필터부(120)는 위 단계의 적어도 일부를 거쳐 사람 및 애완동물이 음용하기에 적합한 정수를 생성하게 된다.
필터부(120)를 통과하여 정화된 물인 정수는, 취출부(130, 140)를 거쳐 본체(110)의 외부로 출수되어 음용에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100)의 취출부(130, 140)는, 사람이 음용하도록 본체(110)의 상부에 배치되는 제1취출부(130) 및 애완동물의 음용을 위해 제1취출부(130)보다 낮게 위치로 본체(110)에 배치되는 제2취출부(140)를 포함한다.
한편, 저장형 정수기의 경우 정수가 내부의 수조 등에 저장되었다가 취출부로 보내지게 되고, 직수형 정수기의 경우 필터를 통과한 정수가 곧바로 취출부로 흐르도록 이루어진다. 직수형과 저장형은 한 정수기 시스템 내에 함께 적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1에 보인 바와 같이, 사람에게 제공되는 정수 중 냉수는 별도로 저장되지 않고 냉각코일(150)을 거쳐 제1취출부(130)로 보내지도록 구성되고, 사람에게 제공되는 정수 중 온수는 히터(161)가 설치되는 온수조(160)에 보관되었다가 제1취출부(130)로 보내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애완동물에게 제공되는 정수는 직수형으로 구성되어 상온의 상태로 제2취출부(140)로 흘러 배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1취출부(130)는, 사람의 손으로 접근 가능한 높이에 배치되도록 이루어진다. 사람의 조작이나 시스템의 센싱에 따라 정수가 출수되도록 구성되며, 출수되는 하부에는 컵 등의 용기를 거치할 수 있는 거치부(112)가 구비될 수 있다. 특히, 후술하는 제2취출부(140)의 구성과 함께, 본체(110)의 여러 측면에서 취출부에 접근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는데, 이를 위해 개구부(111)의 내측에 배치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체(110)의 상부에 측면으로 관통하는 개구부(111)가, 사람의 손이 통과될 수 있거나, 본체(110)의 외부로 유출되는 정수(이하, ‘취출수’라 함)를 수용하는 컵이나 냄비 등의 용기가 통과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된다. 그리고, 제1취출부(130)가 개구부(111)의 내측면 상부에 구비되어, 취출수가 아래로 떨어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개구부(111)의 내측면 하부에는 컵 등의 용기가 거치될 수 있는 거치부(112)가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형태로 본체(110)와 제1취출부(130)가 형성됨으로써, 본 발명의 정수기(100)는 본체(110)의 여러 측면에서 사람이 접근하여 취출수를 이용할 수 있게 된다.
도 3은 도 1에 보인 정수기(100)의 평면도며, 도 4a 및 도 4b는 도 3의 A-A’와 B-B’의 라인을 따라 취한 종단면의 개념도다. 도 4a 및 도 4b를 도 1과 함께 참조하여 이하에서 제2취출부(140)에 대해 설명한다.
제2취출부(140)는 애완동물에게 정수를 제공하기 위한 구성요소다. 사람의 경우 용기를 자유롭게 선택하여 취출수를 수용하여 음용할 수 있으므로, 코크 등의 형태로 제1취출부(130)가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달리, 애완동물의 경우 취출수를 곧바로 음용할 수 있도록 취출수를 외부로 노출되도록 수용하여 제공하는 것이 요구되며, 제2취출부(140)가 이러한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제2취출부(140)는 출수구(141)와 취수조(142)를 포함한다. 출수구(141)는 본체(110)의 내부에서 수처리되어 생성되는 정수를 외부로 유출시킨다. 출수구(141)는 본체(110)의 내부에 구비되는 정수 유로가 외부로 연통되는 출구이며, 후술하는 취수조(142)의 수용홈(143) 내부로 취출수가 수용될 수 있도록 배치된다. 그리고, 취출수를 선택적으로 유출시키거나 유량을 조절할 수 있는 출수구 밸브(144)가 내부에 장착될 수 있다. 출수구 밸브(144)는 후술하는 출수제어부(146)에 의해 동작이 제어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출수구(141)가 본체(110)의 하부에서 일 측면으로 정수가 유출되도록 형성되며, 흘러나오는 취출수가 취수조(142)에 담길 수 있도록 취수조(142)의 상부에 배치된다.
취수조(142)는 출수구(141)에서 흘러나온 취출수를 수용하여, 취출수를 애완동물이 입을 대고 음용할 수 있도록 제공하는 기능을 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취수조(142)는 출수구(141)에서 흘러나오는 취출수가 수용되도록 배치되며, 취출수가 수용되도록 하부로 리세스되는 공간인 수용홈(143)이 구비된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는, 본체(110)의 측면을 따라 취수조(142)가 연장 형성되어 본체(110)를 둘러싸도록 이루어지며, 수용홈(143)도 취수조(142)를 따라 연장 형성되어 본체(110)를 둘러싸는 하나의 수용 공간을 이루도록 형성된다.
취수조(142) 및 수용홈(143)이 본체(110)를 감싸도록 이루어짐으로써, 애완동물이 본체(110)의 어느 측면에서나 취수조(142)에 수용되는 취출수를 음용할 수 있게 되며, 다수의 애완동물이 동시에 취출수를 음용할 수도 있다. 또한, 앞서 설명한 제1취출부(130)의 형상과 함께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100)의 취출부를 구성함으로써, 본 발명의 정수기(100)는 반드시 벽면 가까이에만 배치되지 않고, 생활 공간 가운데에도 놓일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의 정수기(100)는 사람 및 애완동물의 주목도를 높일 수 있고, 충분한 물 섭취에 도움을 줄 수 있다.
한편, 취수조(142)의 수용홈(143)은 하부로 오목하게 형성되면서, 가이드부(143a)를 구비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가이드부(143a)는 취수조(142)의 내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는데, 이러한 형상은 출수구(141)에서 취출수가 흘러나올 때, 수용홈(143)의 바닥과 출수구(141) 간의 낙차로 인해 취수조(142)의 외부로 취출수가 튀지 않도록, 취출수를 취수조(142) 내부로 가이드해 주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취수조(142)는, 애완동물이 취출수를 이용하고자 할 때 계속 제공되도록, 취출수가 항상 수용되어 있고 그 양이 일정 수준으로 유지되도록 구성될 필요가 있다. 이에 따라 제2취출부(140)는, 수위센서(145) 및 출수제어부(146)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수위센서(145)는 취수조(142)의 수용홈(143) 내에 위치되어 수용된 취출수의 수위를 감지할 수 있다. 수면에 부유하는 구조물을 가지는 플로트 타입이나 정전용량을 감지하는 타입이 적용될 수 있다.
출수제어부(146)는 수위센서(145)에서 감지한 수위에 따라 출수구 밸브(144)를 열거나 닫는 등으로 취출수를 공급 또는 공급 중단해주는 역할을 한다. 출수제어부(146)는 출수구(141)와 연결되는 본체(110) 내부의 정수 유로에 출수구 밸브(144)와 함께 장착될 수 있다.
애완동물이 취출수를 음용하는 등의 이유로, 수용홈(143) 내 취출수의 수위가 기설정된 수위 값보다 낮아진 것을 수위센서(145)가 감지하면, 출수제어부(146)는 정수가 본체(110) 외부로 유출되도록 출수구 밸브(144)를 열어 주어 취수조(142)로 취출수를 공급하도록 제어한다. 기설정된 수위 값 이상으로 수위가 상승하면, 출수제어부(146)는 출수구 밸브(144)를 닫아 취출수의 공급이 중단되도록 제어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4a와 같이, 수위센서(145)는 수용홈(143)에서 가이드부(143a)가 구비되는 면에 장착되도록 구성된다. 즉, 수위센서(145)에서 출력되는 수위에 관한 전기적 신호가 본체(110) 내측에 장착되는 출수제어부(146)로 전달되기에 용이한 위치에 장착된다.
이때, 출수구(141)로부터 취출수가 흘러내려오는 가이드부(143a)의 하단에 수위센서(145)가 장착되면, 취출수가 떨어지는 유동으로 실제 수용홈(143)에 수용되는 취출수의 수위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없을 가능성이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출수구(141)가 구비되는 가이드부(143a) 측에서 이격되는 위치에 장착될 수 있고, 특히, 도 4a에서와 같이 본체(110)를 중심으로 출수구(141) 및 가이드부(143a)가 위치하는 면의 배면에 장착되어, 수면이 고르게 형성되는 위치에서 수위를 측정할 수 있다. 또한, 후술하는 취수조(142)의 고정부재(142a) 측에 장착되어 취수조(142)가 분리될 때에도 본체(110)와 함께 고정되도록 장착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수위센서(145)와 출수제어부(146)의 구성은, 애완동물이 항상 일정량이 취수조(142)에 담겨 외부로 노출되어 있는 취출수를 원하는 때에 섭취할 수 있도록 해 준다. 특히, 사람이 외출하는 동안에도 애완동물이 계속 식수를 섭취할 수 있게 해 준다.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100)는 취수조(142)의 수용홈(143)에 수용되는 취출수가 순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2취출부(140)는 순환유로(147)와 순환펌프(14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4b를 참조하여 이하에서 자세히 설명한다.
순환유로(147)는 취수조(142)가 본체(110)를 둘러싸는 점을 고려할 때, 취수조(142)가 형성되는 본체(110)의 측면에서 내부를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4b에서와 같이, 본체(110)의 측면을 관통하고, 양 단이 수용홈(143)의 내부와 각각 연통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수용홈(143)의 내부 공간과 연통되는 양 단은 도 4a에 보인 출수구(141)와 수위센서(145)가 위치하지 않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는데, 즉, 도 3에서와 같이, A-A’ 종단면과 B-B’ 종단면으로 구분하여 각각의 단면에 수위센서(145)와 순환유로(147)가 배치될 수 있다. 이는 수위 유지를 위한 수위센서(145) 및 출수제어부(146)와, 취출수의 순환을 위한 순환유로(147) 및 순환펌프(148)의 구성이 서로 겹치지 않도록 배치되어 각각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것이다.
순환유로(147) 내에는, 순환유로(147) 내부로 취수조(142)의 수용홈(143)에 수용된 취출수를 흐르도록 구동하는 순환펌프(148)가 장착된다. 전기적으로 구동되는 모터를 사용한 순환펌프(148)가 구비될 수 있고, 전원 연결의 편의를 위해 순환유로(147)가 관통되는 본체(110)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순환유로(147)와 순환펌프(148)를 사용하여 취출수를 순환시킴으로써, 취수조(142) 내의 취출수는 출수구(141)에서 유출되는 새로운 취출수의 추가 없이도 계속 순환될 수 있다. 도 4b의 단면에서, 우측에서 취출수가 수용홈(143)으로부터 유입되어 좌측으로 흘러 다시 수용홈(143)으로 배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수용홈(143)에는 도 4b의 좌측에서 우측으로 본체(110)를 감싸는 방향으로 취출수가 흐르는 유동이 형성될 수 있다. 이처럼, 취수조(142)의 수용홈(143)에는 흐르는 물의 형태로 취출수가 수용되어 애완동물의 주위를 환기시키는 효과가 있다.
제2취출부(140)는 앞서 설명한 순환유로(147) 내에 순환필터(149)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취수조(142)는 본체(110)의 하부에 위치되어 먼지나 세균이 침입하기 쉬운 위생 상의 문제점이 있을 수 있고, 순환필터(149)는 이러한 오염을 정화하는 기능을 한다.
순환필터(149)는 먼지 또는 세균을 거르는 필터로 구성될 수 있다. 취출수가 순환유로(147)로 흐르면서 순환필터(149)를 통과하면서 취출수가 지속적으로 정화될 수 있다.
한편, 먼지를 제거하는 기능을 하는 순환필터(149)를 구비하는 경우, 수용홈(143)으로부터 순환유로(147)로 취출수가 흘러 들어가는 배수구(147a)는 수용홈(143)의 바닥으로부터 기설정된 높이만큼 이격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특히, 기설정된 높이에 따라 배수구는(147a)는 취출수의 수면(W)과 인접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수용홈(143)에 수용된 취출수 중에서도 수면(W)에 가까운 취출수가 배수구(147a)로 유입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수용홈(143)에 수용된 취출수는 수면(W) 부분이 외부에 노출되어 먼지나 세균에 오염되기가 가장 쉽다. 따라서, 수면(W) 가까이의 취출수가 순환유로(147) 내의 순환필터(149)를 통하여 여과될 수 있도록 배수구(147a)가 수면(W)과 접하게 배치됨으로써, 효과적으로 취출수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순환필터(149)는 필터의 성능 유지를 위해 세척 또는 교체가 용이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순환유로(147)가 수용홈(143) 내부와 연통되도록 이루어질 때, 수용홈(143)에 인접한 위치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도록 구성하면, 순환유로(147)의 내부가 드러나도록 본체(110)를 개방하지 않더라도 순환필터(149)를 분리하거나 다시 장착하는 것이 용이하다. 따라서, 순환필터(149)의 탈착 또는 교체 작업을 손쉽게 하여, 필터 관리 및 성능 유지가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취수조(142)에 수용되는 취출수의 수질을 순환필터(149)를 통해 개선할 수 있더라도, 취수조(142) 자체가 외부에 계속 노출되어 있고, 애완동물의 활동으로 인해 오염될 가능성은 계속 존재한다. 취수조(142)의 청결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취수조(142)를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100)로부터 분리하여 별도로 살균 또는 세척이 가능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필요하다.
탈착 가능한 구조를 구현하기 위해, 취수조(142)는 고정부재(142a)와 분리부재로, 다시 분리부재는 제1분리부재(142b)와 제2분리부재(142c)로 각각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5는 제1분리부재(142b)가 분리된 모습을 보인 사시도며, 이를 도 4a 및 도 4b와 함께 참조하여 이하에서 자세히 설명한다.
고정부재(142a)와 분리부재(142b, 142c)를 구분함에 있어서, 세척 등의 위생 관리를 위한 목적을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해서는 취출수가 수용되는 수용홈(143)이 분리부재(142b, 142c)에 포함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요구된다. 다만, 앞서 설명한 수위센서(145)와 출수제어부(146), 또는 순환유로(147)와 순환펌프(148)는 각각이 수용홈(143)과 본체(110) 내부에 걸쳐 설치되는 구성요소며, 이들 간의 기계적, 전기적 연결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고정부재(142a)도 수용홈(143)의 일부를 구성하도록 형성될 필요가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4a 또는 도 4b에 보인 바와 같이, 수용홈(143)에 가이드부(143a)가 형성되는 내측면을 따라 수위센서(145) 및 순환유로(147)가 장착되므로, 가이드부(143a)가 형성되는 내측면은 고정부재(142a) 측에 포함되어 본체(110) 측에 고정되어 있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정수기(100)에서, 취수조(142)는 본체(110)의 측면을 감싸는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분리부재(142b, 142c)를 본체(110) 또는 고정부재(142a)로부터 분리하기 위해서는, 분리부재(142b, 142c)가 적어도 둘 이상의 부재로 분리될 필요성이 있다. 따라서, 분리부재(142b, 142c)는 본체(110)의 측면 일부를 감싸는 제1분리부재(142b)와, 그 양 단에 결합되고 본체(110)의 나머지 측면을 감싸는 제2분리부재(142c)로 분리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3에서 B-B’의 라인을 기준으로 좌측의 제1분리부재(142b)와 우측의 제2분리부재(142c)가 이루어진다. 따라서, 도 4a에서 좌측의 분리부재가 제1분리부재(142b)이고, 우측의 분리부재가 제2분리부재(142c)가 된다.
분리부재(142b, 142c)가 제1분리부재(142b)와 제2분리부재(142c)로 분리 가능하게 형성됨으로써 본체(110)의 측면으로 나누어 각각을 이탈시킬 수 있고, 주기적으로 분리부재를 별도의 수단으로 세척하거나 살균하여 취수조(142) 및 수용홈(143)의 청결을 유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취수조(142)의 제1분리부재(142b) 및 제2분리부재(142c)는 고정부재(142a) 또는 본체(110)로부터 분리가 가능하면서도, 조립된 상태에서는 취출수의 누출이 없도록 서로 결합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고정부재(142a) 또는 분리부재(142b, 142c)는 가스켓부재(142d)를 포함할 수 있다.
가스켓부재(142d)는 탄성 재질로 이루어지며, 고정부재(142a)와 분리부재(142b, 142c)중 어느 하나의, 다른 하나와 결합되는 면에 형성된다. 결합 시에 가스켓부재(142d)가 압축되면서, 다른 부재와 결합되는 면을 탄성적으로 가압하여 누수를 방지하도록 작용한다. 본 실시예에서, 도 5에 보인 바와 같이 가스켓부재(142d)는 제1분리부재(142b)의 고정부재(142a)와 결합되는 면에서 돌출 형성되며, 마찬가지로 제2분리부재(142c)의 고정부재(142a)와 결합되는 면에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제1분리부재(142b)와 제2분리부재(142c)도 서로의 결합 면으로 누출이 없도록 이루어질 필요성이 있다. 따라서 가스켓부재(142d)와 마찬가지로 탄성 재질로 이루어지는 실링부재(142e)가, 제1분리부재(142b)와 제2분리부재(142c)가 서로 결합되는 면의 어느 한 측에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5에 보인 바와 같이 실링부재(142e)는 제1분리부재(142b)가 제2분리부재(142c)와 결합되는 면에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100)는, 제1취출부(130) 및 제2취출부(1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애완동물에게 제공되는 제2취출부(140)를 통해 취출되는 취출수도 사람이 음용하는 제1취출부(130)와 동일한 수질을 가지도록 한꺼번에 필터부(120)에서 정화된다. 애완동물을 위해 본체(110) 하부에 제2취출부(140)가 마련되고, 사람을 위한 제1취출부(130)도 사람의 손이 접근하기 용이한 높이에 마련되어야 하므로, 필터부(120)는 제1취출부(130) 및 제2취출부(140) 사이 공간에 위치하면 효율적인 공간 구성이 될 수 있다.
제1 및 제2취출부(130, 140)에서 각각 제공되는 취출수의 수질 관리를 위한 작업도, 이들에 정수를 함께 공급하는 필터부(120)의 관리를 통해 한꺼번에 이루어질 수 있다. 특히, 주기적으로 필터부(120)를 구성하는 필터들을 교체해 주어야 하는데, 이를 위해 필터교환도어(113)가 본체(110)에 더 포함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필터교환도어(112)는 본체(110)의 측면에 구비되며, 제1취출부(130)와 제2취출부(140) 사이에 필터부(120)가 내부에 장착되는 높이에 형성된다. 필터교환도어(113)는 조작에 의해 수평으로 전개되어 열리도록 구성될 수 있고, 필터교환도어(113)가 개방되면 필터부(120)가 외부에 노출되어 필터의 교체 작업이 진행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의 정수기(100)에서 사람과 애완동물에 제공되는 취출수의 수질 관리가 필터교환도어(113)를 이용한 필터부(120) 교체 또는 세척 등을 통해 한꺼번에 손쉽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애완동물에게 제공되는 취출수가 사람에게 제공되는 것과 동일한 수질을 가지므로, 수질을 신뢰할 수 있는 식수가 애완동물에게 제공될 수 있다.
10: 원수공급부 142d: 가스켓부재
100: 정수기 142e: 실링부재
110: 본체 143: 수용홈
111: 개구부 143a: 가이드부
112: 거치부 144: 출수구 밸브
113: 필터교환도어 145: 수위센서
120: 필터부 146: 출수제어부
130: 제1취출부 147: 순환유로
140: 제2취출부 147a: 배수구
141: 출수구 148: 순환펌프
142: 취수조 149: 순환필터
142a: 고정부재
142b: 제1분리부재
142c: 제2분리부재

Claims (15)

  1.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
    상기 본체의 내부에 장착되어 공급되는 원수를 정화하도록 형성되는 필터부;
    상기 필터부를 거쳐 정화된 정수를 상기 본체의 외부로 제공하는 취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취출부는,
    상기 본체의 상부에 위치되는 제1취출부; 및
    상기 제1취출부의 하부에 위치되고, 상기 정수를 상기 본체의 외부로 유출시키는 출수구와, 상기 출수구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출수구로부터 유출되는 취출수를 상기 본체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수용하는 취수조를 구비하는 제2취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취수조는,
    상기 본체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상기 본체의 외주면에서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본체의 원주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정수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취출부는,
    상기 취수조에 수용되는 상기 취출수의 수위를 감지하도록 상기 취수조에 장착되는 수위센서; 및
    상기 수위센서로 감지되는 상기 수위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출수구에서의 상기 정수의 유출을 제어하는 출수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정수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취수조의 상부면에는 하부로 리세스되어 상기 취출수를 수용하도록 이루어지는 수용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홈에는 상기 취수조의 내측을 향하여 경사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취출수를 상기 수용홈으로 가이드하는 가이드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취출부는,
    상기 본체의 내부를 관통하도록 형성되고, 양 단이 상기 수용홈과 각각 연통되는 순환유로; 및
    상기 순환유로 내에 장착되고, 상기 취출수를 상기 순환유로를 따라 이동시키도록 형성되는 순환펌프를 더 포함하는 정수기.
  6.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
    상기 본체의 내부에 장착되어 공급되는 원수를 정화하도록 형성되는 필터부;
    상기 필터부를 거쳐 정화된 정수를 상기 본체의 외부로 제공하는 취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취출부는,
    상기 본체의 상부에 위치되는 제1취출부; 및
    상기 제1취출부의 하부에 위치되고, 상기 정수를 상기 본체의 외부로 유출시키는 출수구와, 상기 출수구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출수구로부터 유출되는 취출수를 상기 본체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수용하는 취수조를 구비하는 제2취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취수조는 상기 본체의 측면으로부터 외측을 향해 돌출되어 상기 측면을 감싸도록 형성되고,
    상기 취수조의 상부면에는 하부로 리세스되어 상기 취출수를 수용하도록 이루어지는 수용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2취출부는,
    상기 본체의 내부를 관통하도록 형성되고, 양 단이 상기 수용홈과 각각 연통되는 순환유로; 및
    상기 순환유로 내에 장착되고, 상기 취출수를 상기 순환유로를 따라 이동시키도록 형성되는 순환펌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취출부는,
    상기 순환유로 내에 장착되어 상기 순환유로를 흐르는 취출수를 정화하도록 구성되는 순환필터를 더 포함하는 정수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홈의 측면에는 상기 순환유로와 연통되어 상기 취출수를 상기 순환유로로 배출시키는 배수구가 형성되고,
    상기 배수구는 상기 수용홈의 바닥으로부터 기설정된 높이만큼 이격되어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순환필터는 상기 순환유로로부터 분리 가능하도록, 상기 수용홈에 인접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9.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
    상기 본체의 내부에 장착되어 공급되는 원수를 정화하도록 형성되는 필터부;
    상기 필터부를 거쳐 정화된 정수를 상기 본체의 외부로 제공하는 취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취출부는,
    상기 본체의 상부에 위치되는 제1취출부; 및
    상기 제1취출부의 하부에 위치되고, 상기 정수를 상기 본체의 외부로 유출시키는 출수구와, 상기 출수구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출수구로부터 유출되는 취출수를 상기 본체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수용하는 취수조를 구비하는 제2취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취수조는 상기 본체의 측면으로부터 외측을 향해 돌출되어 상기 측면을 감싸도록 형성되고,
    상기 취수조의 상부면에는 하부로 리세스되어 상기 취출수를 수용하도록 이루어지는 수용홈이 형성되고,
    상기 취수조는,
    상기 본체와 고정되도록 결합되는 고정부재; 및
    상기 고정부재와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분리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분리부재는,
    상기 본체의 측면 일부를 감싸는 제1분리부재; 및
    상기 제1분리부재의 양 단에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상기 측면의 나머지 일부를 감싸는 제2분리부재를 포함하는 정수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취출부는,
    상기 본체의 내부를 관통하도록 형성되고, 양 단이 상기 수용홈과 각각 연통되는 순환유로; 및
    상기 순환유로 내에 장착되고, 상기 취출수를 상기 순환유로를 따라 이동시키도록 형성되는 순환펌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순환유로는 상기 고정부재를 관통하여 상기 수용홈과 각각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 및 분리부재 중 어느 하나는,
    다른 하나와 결합되는 면에서 돌출 형성되고 탄성력을 가지는 재료로 이루어져 상기 취출수가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가스켓부재를 포함하는 정수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분리부재 및 제2분리부재 중 어느 하나는,
    다른 하나와 결합되는 면에서 돌출 형성되고 탄성력을 가지는 재료로 이루어져 상기 취출수가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실링부재를 포함하는 정수기.
  13.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
    상기 본체의 내부에 장착되어 공급되는 원수를 정화하도록 형성되는 필터부;
    상기 필터부를 거쳐 정화된 정수를 상기 본체의 외부로 제공하는 취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취출부는,
    상기 본체의 상부에 위치되는 제1취출부; 및
    상기 제1취출부의 하부에 위치되고, 상기 정수를 상기 본체의 외부로 유출시키는 출수구와, 상기 출수구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출수구로부터 유출되는 취출수를 상기 본체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수용하는 취수조를 구비하는 제2취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취수조는 상기 본체의 측면으로부터 외측을 향해 돌출되어 상기 측면을 감싸도록 형성되고,
    상기 취수조의 상부면에는 하부로 리세스되어 상기 취출수를 수용하도록 이루어지는 수용홈이 형성되고,
    상기 본체는 상기 본체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개구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취출부는 상기 개구부의 내측에 위치하여 상기 정수를 유출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1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부는 공급되는 원수를 정화하여 상기 제1취출부 및 제2취출부에 제공하도록 상기 제1취출부와 상기 제2취출부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본체의 일 측에는 상기 필터부의 교체가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필터교환도어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원통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본체는 일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취수조는 상기 본체의 일측을 감싸도록 상기 본체의 일측에서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본체의 일측은 상기 취수조의 중앙부에 배치되는 정수기.
KR1020160075892A 2016-06-17 2016-06-17 정수기 KR1026568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5892A KR102656807B1 (ko) 2016-06-17 2016-06-17 정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5892A KR102656807B1 (ko) 2016-06-17 2016-06-17 정수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42434A KR20170142434A (ko) 2017-12-28
KR102656807B1 true KR102656807B1 (ko) 2024-04-12

Family

ID=609394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75892A KR102656807B1 (ko) 2016-06-17 2016-06-17 정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5680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1358B1 (ko) * 2018-07-26 2020-04-17 태형물산 주식회사 반려동물 전용의 정수기
KR102323953B1 (ko) * 2019-07-16 2021-11-09 태형물산 주식회사 반려동물 전용의 정수기
KR102173742B1 (ko) * 2020-06-17 2020-11-03 고은주 언더싱크 정수 방식의 반려동물용 직수 정수기
KR102205067B1 (ko) * 2020-07-10 2021-01-20 주식회사 두일하우 항균볼을 이용한 반려 동물용 정수기
CN116420644B (zh) * 2023-06-13 2023-09-05 北京猫猫狗狗科技有限公司 一种饮水盘及宠物饮水机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01582B2 (ja) * 1997-02-28 2000-10-23 住友重機械工業株式会社 斜光軸光学系を用いた位置検出装置及び方法
KR200311167Y1 (ko) * 2003-02-05 2003-04-21 김기호 애완동물전용 정수기
KR200408232Y1 (ko) * 2005-11-28 2006-02-07 주식회사 하이필 슬라이드 필터 교환 방식 정수기
JP2014097010A (ja) * 2012-11-14 2014-05-29 Gex Corp ペット用循環型自動給水器
JP2016021887A (ja) * 2014-07-17 2016-02-08 ジェックス株式会社 ペット用循環型自動給水器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7660Y2 (ja) * 1990-02-06 1996-03-04 株式会社ニフコ 保持具
JP3101582U (ja) * 2003-11-10 2004-06-17 有限会社オーティーエス 浄化及び冷却機能付ペット用自動給水機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01582B2 (ja) * 1997-02-28 2000-10-23 住友重機械工業株式会社 斜光軸光学系を用いた位置検出装置及び方法
KR200311167Y1 (ko) * 2003-02-05 2003-04-21 김기호 애완동물전용 정수기
KR200408232Y1 (ko) * 2005-11-28 2006-02-07 주식회사 하이필 슬라이드 필터 교환 방식 정수기
JP2014097010A (ja) * 2012-11-14 2014-05-29 Gex Corp ペット用循環型自動給水器
JP2016021887A (ja) * 2014-07-17 2016-02-08 ジェックス株式会社 ペット用循環型自動給水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42434A (ko) 2017-1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56807B1 (ko) 정수기
KR102101358B1 (ko) 반려동물 전용의 정수기
US20080257272A1 (en) Disinfecting pet watering device and method
EP2198222B1 (en) Apparatus for programably treating water in a water cooler
KR101669911B1 (ko) 식수공급장치
KR101106649B1 (ko) 자외선 발광 다이오드를 갖는 정수기
KR102323953B1 (ko) 반려동물 전용의 정수기
US20140144172A1 (en) Water filter with features for reduced spilling
KR100920698B1 (ko) 정수기
KR20110062568A (ko) 살균장치를 가진 정수기
US20080257802A1 (en) Advanced household water purification means
KR102159622B1 (ko) 살균기능을 갖는 냉온수기용 정수필터
KR20130024534A (ko) 플라즈마 살균세척기능을 지닌 정수기
US9963337B2 (en) Tank with an integral filter and beverage dispensing appliance comprising such a tank
KR100911682B1 (ko) 정수기
JP5603961B2 (ja) 冷温水供給装置
KR20100047529A (ko) 세균 박멸기가 내장된 정수기
KR101232223B1 (ko) 정수기
KR20090101334A (ko) 냉온 정수기
KR101198652B1 (ko) 자가 살균 시스템을 구비한 정수기 및 이를 이용한 정수기 살균 방법
KR20090077460A (ko) 냉온정수기
CN210987634U (zh) 便携式喂水器
KR20120047139A (ko) 자동세정수단을 갖는 정수기 및 그를 이용한 정수기의 자동세정방법
CN109717748A (zh) 饮用水供给装置的取水部组装体
KR100824078B1 (ko) 정수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