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55194B1 - 데크로드 및 그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데크로드 및 그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55194B1
KR102655194B1 KR1020220088860A KR20220088860A KR102655194B1 KR 102655194 B1 KR102655194 B1 KR 102655194B1 KR 1020220088860 A KR1020220088860 A KR 1020220088860A KR 20220088860 A KR20220088860 A KR 20220088860A KR 102655194 B1 KR102655194 B1 KR 1026551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ck
block
coupling
frame
block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888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40011428A (ko
Inventor
윤승경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리스아이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리스아이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리스아이피
Priority to KR10202200888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55194B1/ko
Publication of KR202400114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114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51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5194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5/00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 E01C5/005Individual couplings or spacer elements for joining the prefabricated uni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177Floor elements for use at a specific location
    • E04F15/02183Floor elements for use at a specific location for outdoor use, e.g. in decks, patios, terraces, verandas or the like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201/00Paving elements
    • E01C2201/10Paving elements having build-in shock absorbing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201/00Paving elements
    • E01C2201/16Elements joined togethe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044Separate elements for fastening to an underlayer
    • E04F2015/0205Separate elements for fastening to an underlayer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the flooring elements and the underlayer
    • E04F2015/02066Separate elements for fastening to an underlayer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the flooring elements and the underlayer with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between furring elements and flooring elements
    • E04F2015/02077Separate elements for fastening to an underlayer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the flooring elements and the underlayer with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between furring elements and flooring elements the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located in-between two adjacent flooring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Abstract

제1 방향으로 서로 평행하며 배열되는 제1 프레임과,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상기 제1 프레임의 상부에 결합되는 제2 프레임을 포함하는 베이스부재; 및 상기 제2 프레임의 상부에 제1 방향으로 배열되고 양측부에 트렌치를 구비하는 복수개의 데크블록과, 서로 이웃한 데크블록의 양측부 사이에 개재되되 상기 데크블록과 제2 프레임 사이에 결합되는 결합블록을 포함하는 데크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결합블록은, 상기 데크블록의 트렌치를 향하여 돌출하여 상기 데크블록과 결합블록을 결합고정시키는 복수개의 돌출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크로드 및 그 시공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데크로드 및 그 시공방법{The deck road and construction method of the same}
본 발명은 시공이 용이하고 체결 부재가 노출되지 않아서 보행자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는 데크로드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산책로로써 공원이나 강, 호스, 등산로 등의 지면위에 설치되는 데크로드는 일반적으로 주로 목재를 이용하여 제조된 데크재를 시공하여 설치되며, 지지 기둥 위에 장선을 설치하고, 장선 위에 데크재를 시공하여 바닥면을 형성함으로써 이루어진다. 데크로드는 자연과 어울리는 친환경적인 목재를 사용하기 때문에 등산로나 산책로, 공원과 숲의 보행도로 및 생태관람 길, 옥외전망대, 어린이 놀이터, 하천 위, 바다 위를 건널 수 있도록 설치된 다리 등을 조성하는 등 다양한 용도로 설치되고 있다.
데크로드의 설치를 위해서는 프레임과 각각의 프레임에 데크재를 고정시키는 많은 체결부재들을 사용해야 하는데, 이는 시공 시간을 증가시키고, 체결부재의 노출로 인해 보행자의 안전보행에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한국등록특허 제10-2393747호에서는 '평형하게 설치되는 각각의 각관과 상기 각관의 상면에 연이어 설치되어 보행공간을 형성하는 각각의 데크재를 포함하는 데크 구조물로서, 상기 데크재는, 중앙의 고정부를 중심으로 양쪽에 탄성을 갖는 한 쌍의 가압편을 구비하고 각 상기 데크재 사이에서 상기 각관에 고정되는 각각의 Y형 클립에 의해 상기 각관의 상면에 등간격으로 고정 설치되고, 상기 Y형 클립은, 체결공과 관통공이 직하방으로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을 통하여 체결되는 고정나사에 의해 상기 각관에 고정되는 상기 고정부; 및 상기 고정부를 기준으로 양 바깥쪽으로 연장된 후 다시 안쪽으로 연장되어 상기 관통공의 상부에 변형공간을 형성하면서 자체 탄성을 갖는 한 쌍의 상기 가압편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Y형 클립에는, 양쪽의 상기 데크재 사이를 커버하고 보행자의 미끄럼을 방지하기 위한 논슬립부재가 상기 Y형 클립에 결합되고, 상기 논슬립부재는, 저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걸림홈이 형성되고, 상면에는 수용홈이 형성되는 논슬립 프레임; 상기 논슬립 프레임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도록 상기 슬라이딩 걸림홈에 삽입되는 걸림부와, 상기 걸립부에서 직하방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체결공에 결합되기 위한 결합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Y형 클립의 수와 대응되는 수로 구성되는 결합부재; 및 상기 수용홈에 삽입되어 부착되는 논슬립 패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논슬립 모듈이 적용된 Y형 신축클립을 이용한 데크 조립 구조물'이 공지된 바가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2393747호(등록일: 2022년 04월 28일) 한국등록특허 제10-1819947호(등록일: 2018년 01월 12일) 한국등록특허 제10-1895269호(등록일: 2018년 08월 30일) 한국등록특허 제0-1784837호(등록일: 2017년 09월 28일)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시공이 용이하고 체결 부재가 노출되지 않아서 보행자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는 데크로드 및 그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제1 방향으로 서로 평행하며 배열되는 제1 프레임과,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상기 제1 프레임의 상부에 결합되는 제2 프레임을 포함하는 베이스부재; 및 상기 제2 프레임의 상부에 제1 방향으로 배열되고 양측부에 트렌치를 구비하는 복수개의 데크블록과, 서로 이웃한 데크블록의 양측부 사이에 개재되되 상기 데크블록과 제2 프레임 사이에 결합되는 결합블록을 포함하는 데크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결합블록은, 상기 데크블록의 트렌치를 향하여 돌출하여 상기 데크블록과 결합블록을 결합고정시키는 복수개의 돌출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크로드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결합블록은, 상기 데크블록의 하부가 안착하고 상기 제2 프레임과 결합되는 데크안착부와, 상기 데크안착부의 중심영역으로부터 상향으로 돌출하여 서로 이웃한 데크블록의 양측부 사이에 개재되는 데크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데크안착부는 일단부에 오목홈이 형성되고, 타단부는 상기 오목홈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데크결합부는 상기 돌출고정부가 수납되는 수납홈이 형성된 것일 수 있다.
상기 돌출고정부는 상기 결합블록에 일단부가 고정된 스프링과, 상기 스프링의 타단부에 결합되는 고정구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고정구는 돌출된 영역이 구형의 형상을 가지며, 상기 데크블록의 트렌치는 수직 단면이 C 형상인 트렌치 결합구가 고정되어 위치하고, 상기 고정구의 돌출된 영역은 상기 결합구에 끼움결합되어 고정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결합블록은, 서로 이웃한 데크블록의 양측부와 접하는 면에 탄성판이 결합된 것일 수 있다.
상기 데크부재는, 상기 데크결합부의 외측면을 감싸며 위치하되, 데크블록과 결합블록의 배열 후 제거되는 보호블록을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결합블록은, 상기 데크블록의 양측부 길이와 대응되는 길이로 데크안착부가 구비되는 바(bar)형으로 마련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결합블록은, 상기 데크블록의 양단부 영역 또는 상기 제2 프레임마다 결합되는 블록형으로 마련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기 베이스부재 및 데크부재를 결합하여 데크로드를 형성하되, 제1 방향으로 서로 평행하며 배열한 복수개의 제1 프레임의 상부에 상기 제1 프레임과 교차하도록 제2 프레임을 결합하여 베이스부재를 마련하는 단계; 및 양측부에 트렌치를 구비하는 복수개의 데크블록을 준비하고, 서로 이웃한 데크블록의 양측부 사이에 결합블록을 개재하며 데크블록과 제2 프레임 사이에 결합블록을 결합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블록에 구비되는 복수개의 돌출고정부가 상기 데크블록의 트렌치를 향하여 돌출하여 상기 데크블록과 결합블록을 결합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크로드의 시공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데크블록과 결합블록을 결합고정시키는 것은, 상기 데크부재는, 데크블록과 결합블록의 결합 전 데크결합부의 외측면을 감싸는 보호블록을 더 포함하고, 서로 이웃한 데크블록의 양측부 사이에 결합블록을 개재한 후 상기 보호블록을 제거하여 복수개의 돌출고정부가 상기 데크블록의 트렌치를 향하여 돌출하여 고정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데크로드 및 그 시공방법은 데크블록과 결합블록의 결합으로 시공이 용이하고 체결 부재가 노출되지 않아서 보행자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데크로드는 데크블록과 결합블록의 결합 시 시공자가 현장에서 별도의 볼팅이나 나사못 작업을 할 필요없이 데크블록을 적절히 결합블록에 가압함으로써 결합시킬 수 있어, 설치의 용이성을 증가시키고, 설치 시간을 줄일 수 있어 시공의 경제성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 또한, 데크블록과 결합블록이 나사못이나 볼팅으로 결합되는 것보다, 데크블록의 철거나 교체가 필요한 경우 나사못 또는 볼트의 제거 작업 등이 필요 없으므로 유지보수의 경제성과 용이성을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데크로드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I-I'에 따른 단면을 나타낸 단면도,
도 3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데크블록과 결합블록의 결합 단면을 나타낸 단면도,
도 3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데크블록의 트렌치 결합구를 나타낸 단면도,
도 4a 및 도 4b, 도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록형의 결합블록 및 보호블록을 나타낸 사시도,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바형의 결합블록 및 보호블록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다음에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 설명되어지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그리고, 도면들에 있어서, 층 및 영역의 길이, 두께 등은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도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데크로드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I-I'에 따른 단면을 나타낸 단면도, 도 3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데크블록과 결합블록의 결합 단면을 나타낸 단면도, 도 3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데크블록의 트렌치 결합구를 나타낸 단면도, 도 4a 및 도 4b, 도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록형의 결합블록 및 보호블록을 나타낸 사시도,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바형의 결합블록 및 보호블록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데크로드(10)는 제1 방향으로 서로 평행하며 배열되는 제1 프레임(110)과,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상기 제1 프레임(110)의 상부에 결합되는 제2 프레임(120)을 포함하는 베이스부재(100); 및 상기 제2 프레임(120)의 상부에 제1 방향으로 배열되고 양측부에 트렌치(212)를 구비하는 복수개의 데크블록(210)과, 서로 이웃한 데크블록(210)의 양측부 사이에 개재되되 상기 데크블록(210)과 제2 프레임(120) 사이에 결합되는 결합블록(220)을 포함하는 데크부재(200);를 구비하고, 상기 결합블록(220)은, 상기 데크블록(210)의 트렌치를 향하여 돌출하여 상기 데크블록(210)과 결합블록(220)을 결합고정시키는 복수개의 돌출고정부(226)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돌출고정부(226)를 통한 데크블록(210)과 결합블록(220)의 결합으로 시공이 용이하고 체결 부재가 노출되지 않아서 보행자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세히 설명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데크로드(10)는 베이스부재(100)와 데크부재(200)의 결합으로 구비될 수 있다.
베이스부재(100)는 제1 방향으로 서로 평행하며 배열되는 제1 프레임과(110),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상기 제1 프레임(110)의 상부에 결합되는 제2 프레임(120)을 포함하고, 예로써, 제1 프레임(110) 또는 제2 프레임(120)은 상용화된 각관을 이용하여 마련될 수 있다.
데크부재(200)는 상기 제2 프레임(120)의 상부에 제1 방향으로 배열되고 양측부에 트렌치(212)를 구비하는 복수개의 데크블록(210)과, 서로 이웃한 데크블록(210)의 양측부 사이에 개재되되 상기 데크블록(210)과 제2 프레임(120) 사이에 결합되는 결합블록(220)을 포함할 수 있다. 예로써, 상기 데크블록(210)은 이중압출목재와 같이 목재를 가공한 합성목재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데크블록(210)은 천연목재로 구성될 수도 있다.
도2와 같이 상부면은 요철을 구비하여 보행자의 미끄럼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결합블록(220)은, 상기 데크블록(210)의 트렌치(212)를 향하여 돌출하여 상기 데크블록(210)과 결합블록(220)을 결합고정시키는 복수개의 돌출고정부(226)를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서, 상기 결합블록(220)은, 상기 데크블록(210)의 하부가 안착하고 상기 제2 프레임(120)과 결합되는 데크안착부(222)와, 상기 데크안착부(222)의 중심영역으로부터 상향으로 돌출하여 서로 이웃한 데크블록(210)의 양측부 사이에 개재되는 데크결합부(224)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즉, 복수개의 돌출고정부(226)는 데크결합부(224)로부터 상기 데크블록(210)의 트렌치(212)를 향하여 돌출되며 상기 트렌치(212)에 위치하여 결합되거나 고정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데크결합부(224)는 상기 돌출고정부(226)가 수납되는 수납홈(2241)이 형성된 것일 수 있으며, 결합블록(220)은 상기 수납홈(2241)을 커버하여 돌출고정부(226)를 임시 고정하는 수납홈 커버(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납홈 커버는 상기 수납홈(2241)에 대응하는 영역 이외에 점착성을 가지는 저점착성 필름 또는 자성을 가지는 필름 타입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데크블록(210)의 상부면보다 돌출되는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데크블록(210)의 안착 후 수납홈 커버를 당겨 제거함으로써 돌출고정부(226)는 고정 해지됨과 동시에 돌출하여 데크블록(210)과 결합블록(220)은 서로 결합 고정될 수 있다.
상기 돌출고정부(226)는 상기 결합블록(220)에 일단부가 고정된 스프링(2261)과, 상기 스프링(2261)의 타단부에 결합되는 고정구(2263)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즉, 수납홈(2241)의 내측면에 스프링(2261)의 일단부가 고정되고, 스프링(2261)의 타단부는 고정구(2263)에 고정된 것일 수 있으며, 데크블록(210)과 결합 전까지 스프링(2261)은 압축된 상태로써, 돌출고정부(226)는 상기 수납홈(2241)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예로써, 상기 스프링(2261)은 일반적인 스프링의 형태 또는 판스프링의 형태로 구비될 수 있으며, 탄성이 있는 것으로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나아가서, 도 3a 및 도 3b와 같이 상기 고정구(2263)는 돌출된 영역이 구형의 형상을 가지며, 상기 데크블록(210)의 트렌치(212)는 수직 단면이 C 형상인 트렌치 결합구(214)가 고정되어 위치하고, 상기 고정구(2263)의 돌출된 영역은 상기 트렌치 결합구(214)에 끼움결합되어 고정되는 것일 수 있다. 따라서, 고정구(2263)가 트렌치 결합구(214)에 고정되어 유지될 수 있으므로 결합블록(210)과 데크블록(220)의 결합 유지력을 향상시켜줄 수 있다.
상기 결합블록(220)은, 서로 이웃한 데크블록(210)의 양측부와 접하는 면, 즉 데크결합부(224)의 양측면에 탄성판(228)이 결합된 것일 수 있다. 따라서 목재로 형성된 데크블록(210)이 주변 환경에 따라 부피가 늘어나거나 줄어들어도, 탄성판(228)에 의해 데크블록(210)과 결합블록(220)의 간격이 커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주변에 진동이 발생하더라도 데크로드(10)로 향한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으며, 그로 인해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예로써 상기 탄성판(228)은 데크결합부(224)의 양측면의 수납홈(2241)의 상측과 하측에 대응하는 면에 형성된 것일 수 있다. 이 경우 탄성판(228)은 도 2의 (a)와 같이 수납홈(2241)의 크기에 대응하여 형성될 수 있거나, 도 2의 (b)와 같이 고정구(2263)의 직경에 대응하여 형성될 수 있다. 나아가서, 상기 탄성판(228)은 상기 수납홈 커버(미도시)와 부착될 수 있는 자성을 가지는 소재를 포함하여 형성된 것이거나, 상기 수납홈 커버와 이형 가능한 소정의 점착성을 가지는 소재를 포함하여 형성된 것일 수 있다.
상기 데크안착부(222)는 일단부에 오목홈(2223)이 형성되고, 타단부는 상기 오목홈에 대응하는 형상(2221)을 가지는 것일 수 있다. 따라서 데크로드(10) 시공을 위해 데크안착부(222)의 임의 배열 시 배열된 간격 확인이 용이하고, 서로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여 작업성이 개선될 수 있다. 데크안착부(222)는 데크블록(210)의 안착 전, 제2 프레임(120)과 고정구로 결합될 수 있다.
도 4a, 4b, 5와 같이 상기 결합블록(220)은, 상기 데크블록(210)의 양단부 영역 또는 상기 제2 프레임(120)마다 결합되는 블록형으로 마련되는 것일 수 있다. 즉, 제2 프레임(120)과 교차되는 영역마다 위치하거나, 데크블록(210)의 양단부에서 제2 프레임(120)과 교차되는 영역에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블록형의 결합블록(220)의 양단부는 제2 프레임(120)의 양측면과 결합되는 결합지지부(229)가 형성된 것일 수 있다.
다른 예로써, 도6 및 도 7과 같이, 상기 결합블록(220)은, 상기 데크블록(210)의 양측부 길이와 대응되는 길이로 데크안착부(222)가 구비되는 바(bar)형으로 마련되는 것일 수 있다. 즉, 제2 프레임(120)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데크블록(210)을 대응하는 길이로써 마련될 수 있다. 이 경우, 바형 결합블록의 양단부는 제2 프레임(120)의 측면과 결합되는 결합지지부(229)가 형성된 것일 수 있으며, 제2 프레임(120)의 폭과 대응되는 위치에 결합지지편(227)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데크부재(200)는, 상기 데크결합부(224)의 외측면을 감싸며 위치하되, 데크블록(210)과 결합블록(220)의 배열 후 제거되는 보호블록(230)을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보호블록(230)은 데크블록(210)과 결합블록(220)이 결합되기 전까지 돌출고정부(226)가 수납홈(2241) 내부에 안정적으로 위치하도록 더 가압할 수 있다. 보호블록(230)은 도 4a와 같이, 데크결합부(224)의 상측면이 닿도록 커버될 수 있으며, 보호블록(230)의 제거를 위한 손잡이(232)가 마련될 수 있다. 다른 예로써, 보호블록(230)은 도 4b와 같이, 데크결합부(224)의 상측면과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데크블록(210) 안착 시 데크블록(210) 상부면보다 더 높은 높이로 위치하여 보호블록(230)을 직접 잡아서 제거할 수 있다.
보호블록(230)이 제거된 결합블록(220)의 상측면, 즉, 데크결합부(224)의 상측면에는 데크블록(210)과의 높이차를 보상하기 위한 브라켓(미도시)이 결합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데크부재(200) 단차로 인한 보행자의 넘어짐을 방지할 수 있다. 예로써 상기 브라켓은 보행자의 안전을 위해 인광소재 또는 재귀반사소재를 포함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데크로드(10)의 시공방법은 상기 베이스부재(100) 및 데크부재(200)를 결합하여 데크로드(10)를 형성하되, 제1 방향으로 서로 평행하며 배열한 복수개의 제1 프레임(110)의 상부에 상기 제1 프레임(110)과 교차하도록 제2 프레임(120)을 결합하여 베이스부재(100)를 마련하는 단계; 및 양측부에 트렌치(212)를 구비하는 복수개의 데크블록(210)을 준비하고, 서로 이웃한 데크블록(210)의 양측부 사이에 결합블록(220)을 개재하며 데크블록(210)과 제2 프레임(120) 사이에 결합블록(220)을 결합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블록(220)에 구비되는 복수개의 돌출고정부(226)가 상기 데크블록(210)의 트렌치(212)를 향하여 돌출하여 상기 데크블록(210)과 결합블록(220)을 결합고정시키는 것일 수 있다.
상세히 설명하면, 먼저, 제1 프레임(110)을 소정의 간격으로 제1 방향으로 서로 평행하도록 배열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프레임(110)의 상부에 상기 제1 프레임(110)과 교차하도록 제2 프레임(120)을 결합하여 베이스부재(100)를 마련할 수 있다. 제1 프레임(110)과 제2 프레임(1200의 결합은 결합구를 이용하거나 용접을 수행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제2 프레임(120) 상에 결합블록(220)을 배열하여 제2 프레임(120)에 고정할 수 있다. 상기 결합블록(220)은 데크블록(210) 폭의 간격으로 배열되거나, 결합블록(220)의 데크안착부(222)가 서로 접하도록 배열될 수 있다.
그리고, 양측부에 트렌치(212)를 구비하는 복수개의 데크블록(210)을 준비하고, 서로 이웃한 데크블록(210)의 양측부 사이에 결합블록(220)의 데크결합부(224)가 개재되도록 데크블록(210)을 데크안착부(222) 상에 위치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결합블록(220)에 구비되는 복수개의 돌출고정부(226)가 상기 데크블록(210)의 트렌치(212)를 향하여 돌출하여 상기 데크블록(210)과 결합블록(220)을 결합고정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데크결합부(224)는 상기 돌출고정부(226)가 수납되는 수납홈(2241)이 형성된 것일 수 있으며, 결합블록(210)은 상기 수납홈(2241)을 커버하여 돌출고정부(226)를 임시 고정하는 수납홈 커버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데크블록(210)의 안착 후 수납홈 커버를 제거함으로써 돌출고정부(226)는 고정 해지되고 돌출하여 데크블록(210)과 결합블록(220)은 서로 결합될 수 있다.
다른 예로써, 상기 데크블록(210)과 결합블록(220)을 결합고정시키는 것은, 상기 데크부재(200)는, 데크블록(210)과 결합블록(220)의 결합 전 상기 데크결합부(224)의 외측면을 감싸는 보호블록(230)을 더 포함하고, 서로 이웃한 데크블록(210)의 양측부 사이에 결합블록(220)을 개재한 후 상기 보호블록(230)을 제거하여 복수개의 돌출고정부(226)가 상기 데크블록(210)의 트렌치(212)를 향하여 돌출하여 고정되는 것일 수 있다. 즉, 결합블록(220)은 보호블록(230)과 결합된 채로 데크블록(210)이 결합블록(220)의 데크안착부(222)에 위치하고, 그다음 보호블록(230)을 제거함으로써, 그로 인해 고정해지된 돌출고정부(226)가 데크블록의 트렌치(212)를 향하여 돌출하여 고정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데크로드(10) 및 그 시공방법은 데크블록(210)과 결합블록(220)의 결합으로 시공이 용이하고 체결 부재가 노출되지 않아서 보행자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즉, 데크블록(210)과 결합블록(220)의 결합 시 시공자가 현장에서 별도의 볼팅이나 나사못 작업을 할 필요없이 데크블록(210)을 적절히 결합블록(220)에 가압함으로써 결합시킬 수 있어, 설치의 용이성을 증가시키고, 설치 시간을 줄일 수 있어 시공의 경제성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 또한, 데크블록(210)과 결합블록(220)이 나사못이나 볼팅으로 결합되는 것보다, 데크블록의 철거나 교체가 필요한 경우 나사못 또는 볼트의 제거 작업 등이 필요 없으므로 유지보수의 경제성과 용이성을 높일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데크로드
100; 베이스부재
110; 제1 프레임
120; 제2 프레임
200; 데크부재
210; 데크블록
212; 트렌치
214; 트렌치 결합구
220; 결합블록
222; 데크안착부
224; 데크결합부
226; 돌출고정부
228; 탄성판
229; 결합지지부
230; 보호블록
232; 보호블록 손잡이

Claims (12)

  1. 제1 방향으로 서로 평행하며 배열되는 제1 프레임과,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상기 제1 프레임의 상부에 결합되는 제2 프레임을 포함하는 베이스부재; 및
    상기 제2 프레임의 상부에 제1 방향으로 배열되고 양측부에 트렌치를 구비하는 복수개의 데크블록과, 서로 이웃한 데크블록의 양측부 사이에 개재되되 상기 데크블록과 제2 프레임 사이에 결합되는 결합블록을 포함하는 데크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결합블록은, 상기 데크블록의 트렌치를 향하여 돌출하여 상기 데크블록과 결합블록을 결합고정시키는 복수개의 돌출고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결합블록은, 상기 데크블록의 하부가 안착하고 상기 제2 프레임과 결합되는 데크안착부와, 상기 데크안착부의 중심영역으로부터 상향으로 돌출하여 서로 이웃한 데크블록의 양측부 사이에 개재되는 데크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데크부재는, 하면이 개방되되, 상기 데크결합부의 외측면을 감싸는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데크블록과 상기 결합블록의 배열 후 제거되는 보호블록을 더 포함하며, 상기 보호블록의 상면에는 상기 보호블록을 파지하기 위한 보호블록 손잡이가 형성되거나 상기 보호블록이 상기 데크 결합부의 상측면과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상기 데크블록 안착 시 상기 데크블록 상부면보다 더 높은 높이로 위치하는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크로드.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크안착부는 일단부에 오목홈이 형성되고, 타단부는 상기 오목홈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크로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크결합부는 상기 돌출고정부가 수납되는 수납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크로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고정부는 상기 결합블록에 일단부가 고정된 스프링과, 상기 스프링의 타단부에 결합되는 고정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크로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구는 돌출된 영역이 구형의 형상을 가지며,
    상기 데크블록의 트렌치는 수직 단면이 C 형상인 트렌치 결합구가 고정되어 위치하고,
    상기 고정구의 돌출된 영역은 상기 결합구에 끼움결합되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크로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블록은, 서로 이웃한 데크블록의 양측부와 접하는 면에 탄성판이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크로드.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블록은, 상기 데크블록의 양측부 길이와 대응되는 길이로 데크안착부가 구비되는 바(bar)형으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크로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블록은, 상기 데크블록의 양단부 영역 또는 상기 제2 프레임마다 결합되는 블록형으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크로드.
  11. 제1항의 베이스부재 및 데크부재를 결합하여 데크로드를 형성하되,
    제1 방향으로 서로 평행하며 배열한 복수개의 제1 프레임의 상부에 상기 제1 프레임과 교차하도록 제2 프레임을 결합하여 베이스부재를 마련하는 단계; 및
    양측부에 트렌치를 구비하는 복수개의 데크블록을 준비하고, 서로 이웃한 데크블록의 양측부 사이에 결합블록을 개재하며 데크블록과 제2 프레임 사이에 결합블록을 결합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블록에 구비되는 복수개의 돌출고정부가 상기 데크블록의 트렌치를 향하여 돌출하여 상기 데크블록과 결합블록을 결합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데크블록과 결합블록을 결합고정시키는 것은,
    상기 데크부재는, 데크블록과 결합블록의 결합 전 데크결합부의 외측면을 감싸는 보호블록을 더 포함하고, 서로 이웃한 데크블록의 양측부 사이에 결합블록을 개재한 후 상기 보호블록을 제거하여 복수개의 돌출고정부가 상기 데크블록의 트렌치를 향하여 돌출하여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크로드의 시공방법.
  12. 삭제
KR1020220088860A 2022-07-19 2022-07-19 데크로드 및 그 시공방법 KR1026551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8860A KR102655194B1 (ko) 2022-07-19 2022-07-19 데크로드 및 그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8860A KR102655194B1 (ko) 2022-07-19 2022-07-19 데크로드 및 그 시공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11428A KR20240011428A (ko) 2024-01-26
KR102655194B1 true KR102655194B1 (ko) 2024-04-11

Family

ID=897146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88860A KR102655194B1 (ko) 2022-07-19 2022-07-19 데크로드 및 그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55194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84676B1 (ko) * 2012-02-20 2012-09-20 상록엔비텍(주) 합성목재판 결합 구조체 및 그 브래킷
JP2012233400A (ja) * 2011-05-03 2012-11-29 Barlinek Sa 嵌合連結パネル材
KR101588325B1 (ko) * 2015-11-03 2016-01-26 주식회사디자인랜드 바닥데크용 결합구조
KR101653516B1 (ko) * 2016-01-07 2016-09-01 (주)그린우드 데크 로드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00227A (ko) * 2011-03-03 2012-09-12 김운봉 조인트 클립
KR101784837B1 (ko) 2015-12-24 2017-10-13 정승우 데크로드
KR101819947B1 (ko) 2016-04-12 2018-01-18 주식회사 에넥스트 데크로드
KR101895269B1 (ko) 2018-02-09 2018-09-05 지비케이건설 유한회사 친환경 데크로드 시스템
KR102059542B1 (ko) * 2018-03-23 2019-12-26 (주)우드린 시공이 용이한 목재데크 조립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목재데크 시공방법
KR102393747B1 (ko) 2022-02-18 2022-05-04 박광식 논슬립 모듈이 적용된 y형 신축클립을 이용한 데크 조립 구조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233400A (ja) * 2011-05-03 2012-11-29 Barlinek Sa 嵌合連結パネル材
KR101184676B1 (ko) * 2012-02-20 2012-09-20 상록엔비텍(주) 합성목재판 결합 구조체 및 그 브래킷
KR101588325B1 (ko) * 2015-11-03 2016-01-26 주식회사디자인랜드 바닥데크용 결합구조
KR101653516B1 (ko) * 2016-01-07 2016-09-01 (주)그린우드 데크 로드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11428A (ko) 2024-0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28666B2 (en) Device for equipping an expansion joint, in particular an expansion joint between concrete slabs
US5651910A (en) Concrete wall form and tie system
KR101214139B1 (ko) 클램프를 이용한 단면증설 내진보강구조 및 단면증설 내진보강공법
KR20130139627A (ko) 블록조립체를 이용한 강판 전단벽 구조
RU2535328C2 (ru) Поперечный соединительный узел, содержащий два расположенных напротив друг друга поперечных конца двух последовательных составляющих элементов дорожного полотна, и его система соединения
US10280568B2 (en) Field-assembly concrete dowel basket
KR200491809Y1 (ko) 교량 점검통로
KR101066424B1 (ko) 목재데크 교량 구조물 및 그것의 시공 방법
KR101500144B1 (ko) 아치형 광폭띠장 및 아치형 광폭띠장 구조체
KR101523005B1 (ko) 확장형 인도교
KR102655194B1 (ko) 데크로드 및 그 시공방법
KR101638239B1 (ko) 도시 공원과 생태하천에 적용되는 데크의 체결 구조
US6536167B2 (en) Structural assembly
KR101660888B1 (ko) 매립형 가압정착장치를 이용한 구조용거더 및 그 시공방법
KR101001063B1 (ko) 강관을 이용한 교량용 거더
CN105239497A (zh) 一种预应力混凝土组合桁架梁
JP2010229733A (ja) 鋼管による橋梁用床版と橋梁用床版構造および鋼管
KR101782789B1 (ko) 초고압 송전용 선로덕트
KR102655192B1 (ko) 데크로드 및 그 시공방법
KR102653254B1 (ko) 데크로드 및 그 시공방법
KR101929885B1 (ko) 강재거더 및 그 제작방법
JP2009127316A (ja) 鋼管による橋梁用床版と橋梁用床版構造および鋼管
KR102042090B1 (ko) 프리캐스트 바닥판-보강철근 결합체와 지지판을 이용한 h말뚝과 콘크리트 교대 구조체의 일체화 구성을 가지는 일체식 교대 및 그 시공방법
CA2965450C (en) System, apparatus and related method for raised ground cover mat
KR20070060708A (ko) 콘크리트 폐침목 옹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