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53944B1 - 메일커넥터 - Google Patents

메일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53944B1
KR102653944B1 KR1020210190230A KR20210190230A KR102653944B1 KR 102653944 B1 KR102653944 B1 KR 102653944B1 KR 1020210190230 A KR1020210190230 A KR 1020210190230A KR 20210190230 A KR20210190230 A KR 20210190230A KR 102653944 B1 KR102653944 B1 KR 1026539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oint
terminal
connection space
male
ma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902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100401A (ko
Inventor
김종원
이종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Priority to KR10202101902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53944B1/ko
Publication of KR202301004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004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39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39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Means for preventing incorrect coupl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201/00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R2201/26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for vehicles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메일커넥터는 제1연결공간이 형성된 메일하우징; 상기 메일하우징은 관통하여 상기 제1연결공간으로 형성된 단자부; 및 상기 제1연결공간의 내측으로 결합되어 상기 단자부 중 일부 단자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조인트팩;을 포함하고, 상기 조인트팩은 상기 단자부를 구성하는 복수의 단자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메일단자를 보호하고 커넥터의 소형화를 실현한다.

Description

메일커넥터{Male connector}
본 발명은 메일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복수의 단자를 통해 다수의 전기적인 연결을 제공하는 메일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메일커넥터는 내부로 다수의 메일단자가 설치되어 피메일커넥터와의 결합을 통해 복수의 회로를 완성시킨다, 이때 메일단자는 피메일단자의 내측으로 삽입되기 위하여 돌출되어 형성되고 이에 따라 운송 및 생산 과정에서 다른 부품의 오삽입에 의하여 단자가 쉽게 손상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종래 메일커넥터는 메일단자가 돌출되어 형성되는 공간으로 단자 보호용 리브 구조를 적용하여 다른 부품과의 간섭 시 메일단자를 보호하였다, 다만 이와 같은 보호용 리브 구조를 위해 메일커넥터의 일부 공간을 활용할 수 없어 공간 활용도가 크게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최근 자동차는 탑승자의 편의를 위하여 다양한 기능을 제공함에 따라 차량 내부에 사용되는 커넥터 및 케이블 수 또한 매우 증가되면서 공간 활용도 저하 문제에 대한 중요성이 대두되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조인트팩을 통해 내부 단자를 보호하여 메일 커넥터의 소형화를 실현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의 메일커넥터는 제1연결공간이 형성된 메일하우징; 상기 메일하우징은 관통하여 상기 제1연결공간으로 형성된 단자부; 및 상기 제1연결공간의 내측으로 결합되어 상기 단자부 중 일부 단자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조인트팩;을 포함하고, 상기 조인트팩은 상기 단자부를 구성하는 복수의 단자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단자부는 피메일단자와 연결되어 회로를 완성시키는 복수의 메일단자와, 상기 조인트팩의 내측에서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복수의 극단자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조인트팩은 복수의 상기 메일단자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1연결공간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메일단자보다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조인트팩은 상기 제1연결공간에 설치되고, 내측으로 상기 극단자가 배치되는 결합공간이 형성된 조인트바디와, 상기 조인트바디의 내측에 형성되어 복수의 상기 극단자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조인트단자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조인트팩은 한 쌍으로 형성되어 서로 다른 극과 연결되는 복수의 상기 극단자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고, 이때 상기 메일단자는 상기 조인트팩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메일하우징은 상기 조인트바디가 안착되는 보강리브와, 상기 보강리브의 양 측으로 탄성돌기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조인트바디는 상기 탄성돌기가 걸림 고정되는 고정홀이 형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과제해결 수단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사항을 포함하는 다양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이 하기와 같은 효과를 모두 발휘해야 성립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의 메일커넥터는 메일단자 사이에 조인트팩을 결합시켜 운송이나 생산 과정에서 메일단자에 휨 등의 손상을 방지하에 제품의 내구성 및 신뢰성을 확보한다.
이때 메일단자는 조인트팩의 둘레를 따라 배치되로고 하여 손상 방지효과를 극대화한다.
또한 조인트팩은 내부에서 조인트단자와 극단자가 결합되는 공간을 제공하여 동일한 체적내에 공간 활용도를 향상시켜 커넥터의 소형화를 실현한다.
또한 조인트팩은 피메일커넥터와 메일커넥터가 결합된 상태에서 피메일커넥터의 내측으로 배치되어 피메일커넥터와 메일커넥터의 결합 방향을 가이드하여 메일단자의 손상을 방지하는 동시에 결합된 상태에서 비틀림을 방지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의 메일커넥터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서 조인트팩이 분리된 상태의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조인트팩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1의 Ⅳ-Ⅳ 방향의 단면 사시도.
도 5는 도 1의 Ⅴ-Ⅴ 방향의 단면 사시도.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다만, 본 발명의 요지를 흩트리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의 메일커넥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서 조인트팩이 분리된 상태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조인트팩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1의 Ⅳ-Ⅳ 방향의 단면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1의 Ⅴ-Ⅴ 방향의 단면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의 메일커넥터(10)는 제1연결공간(110)이 형성된 메일하우징(100). 상기 메일하우징(100)은 관통하여 상기 제1연결공간(110)으로 형성된 단자부(200) 및 상기 제1연결공간의 내측으로 결합되어 상기 단자부(200) 중 일부 단자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조인트팩(300)을 포함하고, 상기 조인트팩(300)은 상기 단자부(200)를 구성하는 복수의 단자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메일하우징(100)은 제1연결공간(110)은 일 측으로 개방되어 피메일커넥터(10)가 내측으로 삽입되도록 하여 피메일단자(210)와 메일단자(210)의 전기적인 연결을 중계하는 제1연결공간(110)과, 제1연결공간(110)의 일 측에 돌출되어 조인트팩(300)의 결합 위치를 가이드하는 보강리브(120)와, 보강리브(120)의 일 측에서 돌출되어 조인트팩(300)을 걸림 고정시키는 탄성돌기(122)로 형성된다.
조인트팩(300)은 결합되는 방향으로 메일하우징(100)의 일 측에서 제1연결공간(110)으로 돌출 형성되어 조인트팩(300)의 내측으로 배치되어 고정력을 보강하는 동시에 조인트팩(300)의 결합 위치를 작업자가 육안으로 확인가능하도록 하여 작업성을 향상시킨다.
이때 보강리브(120)의 내측으로는 조인트단자(3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복수의 극단자(220)가 각각이 배치되도록 구획되어 일 방향으로 연통된 제2연결공간(121)이 형성되고, 외측으로는 돌출되어 조인트바디(310)에 형성된 고정홀(313)에 걸림 고정되는 탄성돌기(122)가 형성된다.
여기서 탄성돌기(122)는 조인트팩(300)이 결합되는 방향으로 점지적으로 돌출되는 경사면이 형성되어 조인트바디(310)의 일 단이 접하면 경사면을 따라 이동되도록 가이드하되, 고정홀(313)의 내측으로 안착되면 돌출된 말단이 고정홀(313)의 내측면에 지지되도록 하여 반대 방향의 이동을 방지한다.
단자부(200)는 메일하우징(100)을 관통하여 제1,2연결공간으로 돌출 형성되는 복수의 단자로 형성되고, 구체적으로는 제1연결공간(110)에서 피메일단자(210)와 연결되어 회로를 완성시키는 복수의 메일단자(210)와, 제2연결공간(121)에서 조인트단자(3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복수의 극단자(220)로 형성된다.
이때 극단자(220)는 피메일단자(210)로 형성되어 접촉리브(322)로 형성되는 조인트단자(320)가 내부로 삽입되어 전기적으로 쉽게 연결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조인트팩(300)은 조인트단자(320)가 배치되는 결합공간(311)을 제공하는 조인트바디(310)와, 복수의 극단자(220)와 연결되어 복수의 극단자(220)를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조인트단자(320)로 형성된다.
이때 조인트바디(310)의 일 측으로는 조인트단자(320)가 형성되고 제2연결공간(121)과 연통되는 결합공간(311)이 형성되고, 타 측으로는 조인트팩(300)이 메일하우징(100)에 결합된 상태에서 조인트바디(310)가 메일단자(210)보다 돌출되어 형성되도록 연장된 연장부(312)가 형성된다.
여기서 결합공간(311)은 조인트단자(320)와 극단자(220)가 접촉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공간으로 조인트팩(300)이 분리된 상태에서는 제2연결공간(121)과 별도로 형성되나, 조인트팩(330)이 결합됨에 따라 서로 연통되서 동일한 공간을 지칭한다.
여기서 연장부(312)는 내부로 다른 구성이 형성되지 않고, 조인트바디(310)가 보강리브(120)에 결합된 상태에서 제1연결공간(110)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도록 하여 운송이나 생산 과정에서 제1연결공간(110)을 다른 구성이 오삽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메일단자(210)의 손상을 최소화한다.
따라서 조인트팩(300)은 메일단자(210) 사이에 결합되어 제1연결공간(110)으로 오삽입되는 다른 구성과 메일단자(210)보다 먼저 간섭을 발생시켜 메일단자(210)에 파손 등과 같은 손상이 발생되는 것을 차단하며, 바람직하게는 조인트팩(300)의 둘레를 따라 메일단자(210)가 배치된다.
또한 연장부(312)의 외측으로는 탄성돌기(122)가 안착되는 고정홀(313)이 형성되며, 조인트팩(300)의 안정적이 고정을 위하여 양 측으로 한 쌍의 탄성돌기(122)와 고정홀(313)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 예의 메일커넥터(10)는 서로 다른 극과 연결되는 복수의 극단자(220)를 각각 수용할 쉬 있도록 2개의 조인트팩(300)이 제1연결공간(110)에 결합되고, 이때 메일단자(210)는 2개의 조인트팩(300)의 둘레 및 사이 공간으로 배치되어 제품의 신뢰성 및 전기적 연결 안정성을 확보한다.
조인트단자(320)는 단자바디(321)와, 단자바디(321)에서 연장되어 극단자(2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접촉리브(322)로 형성되고, 접촉리브(322)는 단자바디(321)의 일 측에서 분기되어 복수 개로 형성되어 복수의 극단자(220)를 단자바디(321)를 통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따라서 조인트단자(320)는 조인트바디(310)의 결합공간(311)에 배치되어 조인트팩(300)이 메일하우징(100)에 결합됨에 따라 제2연결공간(121)에 형성된 복수의 극단자(220)와 일체로 연결되어 조인트커넥터와 동일한 기능을 한다.
정리 하면, 조인트팩(300)은 메일하우징(100)의 내측에 결합되어 제2연결공간(121)에 형성된 복수의 극단자(220)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동시에 제1연결공간(110)에서 메일단자(210)보다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주변 메일단자(210)와 다른 부품간의 간섭을 방지하여 메일단자(210)의 손상을 방지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메일커넥터(10)는 복수의 극단자(220)를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시켜 조인트커넥터와 동일한 기능을 하여 별도의 조인커넥터를 제외할 수 있어 커넥터 전체의 크기를 감소시켜 소형화를 실현하고 더 나아가 주변 부품과의 간섭을 감소시켜 설계의 자유도를 향상시킨다.
또한 조인트바디(310)를 일 측으로 연장시켜 메일하우징(100)에 결합된 상태에서 주변 메일하우징(100)보다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제1연결공간(110)으로 운송 또는 생산 과정에서 다른 구성이 삽입되는 경우 메일단자(210)에 접촉되기 전에 간섭을 발생시켜 메이단자의 손상을 최소화한다.
또한 조인트팩(300)은 피메일커넥터와 메일커넥터(10)가 결합된 상태에서 피메일커넥터의 내측으로 배치되며, 이때 피메일커넥터에는 조인트바디(310)가 안착되는 대응 구조가 형성되어 피메일커넥터와 메일커넥터(10)가 상호 수직으로 정렬된 상태에서만 결합되도록 결합 방향을 가이드하여 오삽입 등에 의한 메일단자(210)의 손상을 근본적으로 차단하는 동시에 피메일커넥터와 메일커넥터(10)가 완전 결합된 상태에서의 비틀림을 방지하여 제품의 내구성을 현저히 향상시킨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와 같은 특정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한 것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해당한다.
10 메일커넥터
100 메일하우징 110 제1연결공간
120 보강리브 121 제2연결공간
122 탄성돌기
200 단자부 210 메일단자
220 극단자
300 조인트팩 310 조인트바디
311 결합공간 312 연장부
313 고정홀 320 조인트단자
321 단자바디 322 접촉리브

Claims (5)

  1. 제1연결공간과, 상기 제1연결공간에서 돌출된 제2연결공간이 형성된 보강리브가 구비된 메일하우징;
    상기 메일하우징을 관통하여 상기 제1연결공간에 배치되고, 피메일단자와 연결되어 회로를 완성시키는 복수의 메일단자와, 상기 제2연결공간에 배치된 복수의 극단자로 형성되는 단자부; 및
    상기 보강리브에 결합되어 복수의 상기 극단자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조인트팩;을 포함하고,
    상기 조인트팩은
    상기 보강리브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제2연결공간과 연통되는 결합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메일단자보다 상기 제1연결공간으로 더 돌출 형성되는 조인트바디와,
    상기 결합공간에 배치되어 복수의 상기 극단자를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조인트단자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일커넥터.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인트팩은
    한 쌍으로 형성되어 서로 다른 극과 연결되는 복수의 상기 극단자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고,
    상기 메일단자는
    상기 조인트팩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일커넥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일하우징은
    상기 보강리브의 양 측으로 탄성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조인트바디는
    상기 탄성돌기가 걸림 고정되는 고정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일커넥터.
KR1020210190230A 2021-12-28 2021-12-28 메일커넥터 KR1026539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90230A KR102653944B1 (ko) 2021-12-28 2021-12-28 메일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90230A KR102653944B1 (ko) 2021-12-28 2021-12-28 메일커넥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00401A KR20230100401A (ko) 2023-07-05
KR102653944B1 true KR102653944B1 (ko) 2024-04-02

Family

ID=871589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90230A KR102653944B1 (ko) 2021-12-28 2021-12-28 메일커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53944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29471A (ja) 2003-01-27 2004-08-12 Sumitomo Wiring Syst Ltd 分岐接続箱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9184B1 (ko) * 2005-03-30 2006-12-20 한국몰렉스 주식회사 조인트 커넥터
KR101723054B1 (ko) * 2015-06-25 2017-04-05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레버커넥터
KR20170011372A (ko) * 2015-07-22 2017-02-0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커넥터 단자
KR102554878B1 (ko) * 2017-11-08 2023-07-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커넥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29471A (ja) 2003-01-27 2004-08-12 Sumitomo Wiring Syst Ltd 分岐接続箱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00401A (ko) 2023-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598336B1 (en) Electrical connector for connecting printed circuit boards
JP5129880B2 (ja) コネクタ端子及び該コネクタ端子を備えたコネクタ
JP3770646B2 (ja) 雌型電気端子
US9048563B2 (en) Connector for flat cables
US9705229B2 (en) Connector assembly
US4832613A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a movable guide member
US5904598A (en) Connector coupling structure
US20190190197A1 (en) Power connector and power connector device
US6176735B1 (en) Accommodation block for an electrical connection box and an electrical connection box comprising the block
KR102653944B1 (ko) 메일커넥터
KR20190007384A (ko) 커넥터 백 쉘 조립체
JP7123858B2 (ja) コネクタ及びワイヤーハーネス
CN108604752B (zh) 连接器单元
KR100952811B1 (ko) 차폐용 커넥터 및 이를 구비한 차폐용 커넥터 세트
CN112054329A (zh) 接头连接器
JP4494165B2 (ja) ワイヤハーネス用ジョイントコネクタ
CN219304005U (zh) 一种电连接器及电子设备
CN219553992U (zh) 连接器壳体、母端连接器及电子设备组件
KR102106925B1 (ko) 커넥터 어셈블리 및 그에 사용되는 커넥터
KR0140467Y1 (ko) 중계커넥터
KR102385903B1 (ko) 커넥터
KR20220086276A (ko) 터미널
KR20240107549A (ko) 모터센서 커넥터
JP2024101655A (ja) 電気接続箱
CN118266136A (zh) 连接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