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52047B1 - Pants for urine and feces amd method of disposing urine and feces - Google Patents

Pants for urine and feces amd method of disposing urine and fece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52047B1
KR102652047B1 KR1020220105283A KR20220105283A KR102652047B1 KR 102652047 B1 KR102652047 B1 KR 102652047B1 KR 1020220105283 A KR1020220105283 A KR 1020220105283A KR 20220105283 A KR20220105283 A KR 20220105283A KR 102652047 B1 KR102652047 B1 KR 1026520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eces
urine
sub
diaper
hi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0528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40027272A (en
Inventor
김후영
Original Assignee
김후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후영 filed Critical 김후영
Priority to KR10202201052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52047B1/en
Priority to JP2023519858A priority patent/JP2024520182A/en
Priority to PCT/KR2023/003243 priority patent/WO2023191336A2/en
Priority to EP23712141.3A priority patent/EP4279046A2/en
Priority to TW112112025A priority patent/TW202402250A/en
Priority to US18/297,435 priority patent/US20230310202A1/en
Publication of KR202400272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27272A/en
Priority to KR1020240039495A priority patent/KR2024004517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20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2047B1/en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61F13/49003Reusable, washable fabric diapers
    • A61F13/49006Reusable, washable fabric diapers the reusable article being in the form of pants or briefs, e.g. slip or panty for light incontinen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2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with wetness indicator or alar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61F13/495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with faecal cavity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20Status alarms responsive to moist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2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with wetness indicator or alarm
    • A61F2013/422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with wetness indicator or alarm the alarm being a colour chang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2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with wetness indicator or alarm
    • A61F2013/424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with wetness indicator or alarm having an electronic devic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위생적이면서 대소변을 수회 처리할 수 있는 대소변용 하의(기저귀)가 개시된다. 상기 대소변용 하의는 전면, 후면 및 상기 전면과 상기 후면을 연결시키는 연결면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후면은 사용자의 힙에 대응하는 힙부를 가지고, 상기 힙부의 내측면 또는 외측면 상에 제 1 팽창부 및 엉덩이 받침부가 형성되며, 상기 엉덩이 받침부는 상기 제 1 팽창부의 상부 또는 하부에 위치하고, 상기 제 1 팽창부가 팽창함에 따라 상기 사용자의 엉덩이가 상승하여 상기 후면 또는 상기 후면과 상기 연결면 사이에 대소변을 받을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대소변용 하의 내측에 대소변을 감지할 수 있는 센서가 배열되고, 상기 센서는 복수의 전극들을 포함하며, 상기 전극들 중 제 1 전극 위에는 남자의 낭심 또는 여성의 음부 부분이 상기 제 1 전극에 직접적으로 닿지 않도록 하는 덮개가 형성된다. 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s toilet pants (diapers) that are hygienic and can handle urine and feces multiple times. The toilet pants include a front, a back, and a connection surface connecting the front and the back. Here, the rear has a hip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user's hip, a first expansion portion and a hip support portion are formed on the inner or outer surface of the hip portion, and the hip support portion is located above or below the first expansion portion, , As the first expansion part expands, the user's buttocks rise to form a space for receiving urine and feces at the rear or between the rear and the connection surface, and a sensor capable of detecting urine and feces is installed on the inside of the toilet pants. is arranged, the sensor includes a plurality of electrodes, and a cover is formed on the first electrode among the electrodes to prevent the male ventricle or the female genital area from directly contacting the first electrode.

Description

대소변용 하의 및 대소변 처리 방법{PANTS FOR URINE AND FECES AMD METHOD OF DISPOSING URINE AND FECES}Pants for toileting and urine disposal {PANTS FOR URINE AND FECES AMD METHOD OF DISPOSING URINE AND FECES}

본 발명은 대소변용 하의 및 대소변 처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toilet pants and a method of treating urine and feces.

요양 병원에 있는 환자나 노인들의 대부분이 거동이 불편하며, 따라서 예를 들어 환자가 침대에서 누워 있는 상태로 가족이나 간병인이 대소변을 처리하는 경우가 많다. Most patients and elderly people in nursing hospitals have difficulty moving, so for example, family members or caregivers often handle bowel movements while the patient is lying in bed.

구체적으로는, 가족이나 간병인이 환자가 대소변시 1회용 기저귀를 환자로부터 벗기고 새로운 기저귀를 환자에게 착용시킨다. 이러한 기저귀 교체 과정이 하루에도 수회 이루어진다. Specifically, a family member or caregiver removes the disposable diaper from the patient when the patient uses the toilet and places a new diaper on the patient. This diaper changing process occurs several times a day.

낮에는 가족이 환자를 돌보기 어려워서 간병인이 환자의 기저귀를 교체시키나, 간병인의 부족으로 인하여 실질적으로 환자의 기저귀를 제때 교체해주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환자의 위생 상태가 좋지 않을 수 있다. During the day, it is difficult for family members to care for the patient, so caregivers change the patient's diaper. However, due to a shortage of caregivers, it is not possible to change the patient's diaper on time. Therefore, the patient's hygiene may be poor.

또한, 대변용 기저귀와 소변용 기저귀가 별도로 있기 때문에, 하루에도 상당히 많은 기저귀가 소모되게 된다. 수많은 기저귀가 버려짐에 따라 환경 오염을 일으킬 수 있다. Additionally, because there are separate diapers for stool and urine, a considerable number of diapers are consumed each day. As countless diapers are thrown away, they can cause environmental pollution.

KRKR 10-2021-0079819 10-2021-0079819 AA

본 발명은 위생적이면서 대소변을 수회 처리할 수 있는 대소변용 하의(기저귀)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hygienic bottoms (diapers) for urinating and urinating that can handle urination and feces multiple times.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소변용 하의는 전면; 후면; 및 상기 전면과 상기 후면을 연결시키는 연결면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후면은 사용자의 힙에 대응하는 힙부를 가지고, 상기 힙부의 내측면 또는 외측면 상에 제 1 팽창부 및 엉덩이 받침부가 형성되며, 상기 엉덩이 받침부는 상기 제 1 팽창부의 상부 또는 하부에 위치하고, 상기 제 1 팽창부가 팽창함에 따라 상기 사용자의 엉덩이가 상승하여 상기 후면 또는 상기 후면과 상기 연결면 사이에 대소변을 받을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대소변용 하의 내측에 대소변을 감지할 수 있는 센서가 배열되고, 상기 센서는 복수의 전극들을 포함하며, 상기 전극들 중 제 1 전극 위에는 남자의 낭심 또는 여성의 음부 부분이 상기 제 1 전극에 직접적으로 닿지 않도록 하는 덮개가 형성된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described object, the bottoms for urinating and urinat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 the front; back side; and a connection surface connecting the front surface and the rear surface. Here, the rear has a hip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user's hip, a first expansion portion and a hip support portion are formed on the inner or outer surface of the hip portion, and the hip support portion is located above or below the first expansion portion, , As the first expansion part expands, the user's buttocks rise to form a space for receiving urine and feces at the rear or between the rear and the connection surface, and a sensor capable of detecting urine and feces is installed on the inside of the toilet pants. is arranged, the sensor includes a plurality of electrodes, and a cover is formed on the first electrode among the electrodes to prevent the male ventricle or the female genital area from directly contacting the first electrode.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대소변용 하의는 전면; 후면; 및 상기 전면과 상기 후면을 연결시키는 연결면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후면은 사용자의 힙에 대응하는 힙부 및 상기 사용자의 허벅지에 해당하는 허벅지부를 가지고, 상기 힙부의 내측면 또는 외측면 상에 팽창부 및 받침 부재가 형성되며, 상기 받침 부재는 상기 팽창부의 상부 또는 하부에 위치하고, 상기 팽창부가 팽창함에 따라 상기 사용자의 엉덩이가 상승하여 상기 후면 또는 상기 후면과 상기 연결면 사이에 대소변을 받을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후면의 내측면 또는 외측면 상에는 대소변이 배출구 방향으로 잘 미끌어지도록 보조하는 보조판이 형성되고, 상기 보조판의 일부분은 상기 받침 부재 또는 상기 팽창부에 의해 눌려진다. Bottoms for toileting and urinating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 a front surface; back side; and a connection surface connecting the front surface and the rear surface. Here, the rear has a hip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user's hip and a thigh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user's thigh, and an expansion portion and a support member are formed on the inner or outer surface of the hip portion, and the support member is a portion of the expansion portion. It is located at the top or bottom, and as the expansion part expands, the user's buttocks rise to form a space for receiving urine and feces on the rear or between the rear and the connection surface, and on the inner or outer surface of the rear. An auxiliary plate is formed to assist in sliding in the direction of the outlet, and a portion of the auxiliary plate is pressed by the support member or the expansion portion.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대소변용 하의는 전면; 후면; 및 상기 전면과 상기 후면을 연결시키는 연결면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후면은 사용자의 힙에 대응하는 힙부를 가지고, 상기 힙부의 내측면 또는 외측면 상에 팽창부 및 엉덩이 받침부가 형성되며, 상기 엉덩이 받침부는 상기 팽창부의 상부 또는 하부에 위치하고, 상기 팽창부가 팽창함에 따라 상기 사용자의 엉덩이가 상승하여 상기 후면 또는 상기 후면과 상기 연결면 사이에 대소변을 받을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하의의 일부분에 투명 부분이 형성되고, 상기 투명 부분을 기준으로 하여 발광부 및 수광부가 대칭적으로 배열되며, 상기 발광부로부터 출력된 광이 상기 투명 부분을 통과하여 상기 수광부로 입사되고, 상기 입사되는 광을 분석하여 상기 사용자가 대변을 배출하였는 지의 여부가 판단된다. Bottoms for urinating and urinating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 the front; back side; and a connection surface connecting the front surface and the rear surface. Here, the rear has a hip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user's hip, an expansion portion and a hip support portion are formed on the inner or outer surface of the hip portion, the hip support portion is located above or below the expansion portion, and the expansion portion is As it expands, the user's buttocks rise, forming a space for receiving urine and feces on the back or between the back and the connecting surface, and a transparent part is formed in a part of the pants, and light is emitted based on the transparent part. The light receiving part and the light receiving part are arranged symmetrically, the light output from the light emitting part passes through the transparent part and enters the light receiving part, and the incident light is analyzed to determine whether the user has discharged feces.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대소변용 하의는 사용자의 몸이 삽입되는 제 1 서브 하의; 및 상기 제 1 서브 하의의 외측 또는 내측에 연결되는 제 2 서브 하의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 1 서브 하의는 전면, 후면 및 상기 전면과 상기 후면을 연결시키는 연결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서브 하의는 내측 공간을 가지며, 상기 제 2 서브 하의의 내측 공간에는 팽창부와 받침 부재 중 적어도 하나가 배열되고, 상기 받침 부재는 상기 팽창부의 상부 또는 하부에 배열되며, 상기 팽창부가 팽창함에 따라 상기 사용자의 엉덩이가 상승하여 상기 후면 또는 상기 후면과 상기 연결면 사이에 대소변을 받을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된다. Bottoms for toileting and urinating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 first sub-bottoms into which the user's body is inserted; and second sub-bottoms connected to the outside or inside of the first sub-bottoms. Here, the first sub-bottoms include a front, a back, and a connection surface connecting the front and the back, the second sub-bottoms have an inner space, and the inner space of the second sub-bottoms includes an expansion portion and a support. At least one of the members is arranged, and the support member is arranged at the top or bottom of the expansion part, and as the expansion part expands, the user's buttocks rise to receive urine and feces at the rear or between the rear and the connection surface. A space is formed.

본 발명에 따른 대소변용 하의(기저귀)는 대소변을 여러번 처리할 수 있고 세척한 후 재사용 가능하므로, 환경 오염을 줄일 수 있다. The toilet pants (diaper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handle urine and feces multiple times and can be reused after washing, thereby reducing environmental pollution.

또한, 상기 대소변용 하의가 엉덩이들을 들어올려서 대소변을 받을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므로, 상기 공간에 받아진 대소변이 사용자의 피부에 닿는 것이 최소화될 수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toilet pants raise the buttocks to form a space for receiving urine and feces, the contact of urine and feces received in the space with the user's skin can be minimized.

도 1은 환자가 침대에 누워있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저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저귀에서 대소변을 받기 위한 공간을 만드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척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저귀의 일부분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저귀의 일부분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받침 부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엉덩이 받침부의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허벅지 받침부의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 구조물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저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팽창부 구조 및 대소변 배출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대소변 배출 구조의 개념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팽창부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6 및 도 1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저귀를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닥판의 구조 및 배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0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바닥판의 구조 및 배열을 도시한 도면이다.
Figure 1 is a diagram showing a patient lying on a bed.
Figure 2 is a diagram showing a diap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3 and 4 are diagrams showing the process of creating a space for receiving urine and feces in a diap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diagram showing a cleaning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portion of a diap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portion of a diap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 is a diagram showing a support memb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9 is a diagram illustrating the operation of the hip support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0 is a diagram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thigh support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1 is a diagram showing a pipe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2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diap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3 is a diagram showing the expansion part structure and the urine and feces discharge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4 is a diagram illustrating the concept of a urine and feces discharge structur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5 is a diagram showing the structure of an expansion par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16 and 17 are diagrams showing a diap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8 is a diagram showing the structure of a sen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9 is a diagram showing the structure and arrangement of a bottom pl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0 is a diagram showing the structure and arrangement of a bottom plat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들을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As used herein,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is specification, terms such as “consists of” or “comprises” should not be construed as necessarily including all of the various components or steps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and some of the components or steps may be included in the specification. It may not be included, or it should be interpreted as including additional components or steps. In addition, terms such as "... unit" and "module" used in the specification refer to a unit that processes at least one function or operation, which may be implemented as hardware or software, or as a combination of hardware and software. .

본 발명은 노인 또는 환자(사용자)용 기저귀, 특히 요양 병원용 기저귀에 관한 것으로서, 대소변을 여러번 처리할 수 있어 자주 갈아주는 번거로움을 해결하고 대소변 처리를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diapers for the elderly or patients (users), especially diapers for nursing hospitals. Since the diaper can handle urine and feces multiple times, the inconvenience of frequent changing can be solved and urine and feces can be easily treated.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기저귀는 사용자의 대소변 감지시 대소변을 받을 수 있는 공간을 만들고, 상기 공간에 받아진 대소변을 즉시 처리하며, 상기 사용자의 엉덩이에 묻은 배변을 세척할 수 있다. 이러한 기저귀는 세탁 후 재사용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diaper of the present invention creates a space to receive urine and feces upon detecting the user's urine and feces, immediately processes the urine and feces received in the space, and can wash the feces on the user's buttocks. These diapers can be reused after washing.

특히, 상기 공간은 받아진 대소변이 사용자의 피부에 닿는 것을 최소화시키도록 형성되며, 따라서 위생적이다. In particular, the space is formed to minimize the contact of collected urine and feces with the user's skin, and is therefore hygienic.

요양 병원에서는 많은 환자나 노인들이 거동이 불편하여 침대에 누운 상태에서 대소변을 보며, 가족이나 간병인이 환경을 오염시키는 1회용 기저귀를 일일 수회 정도 교체해주고 있다. In nursing hospitals, many patients and elderly people have difficulty moving and defecate while lying in bed, and family members or caregivers change disposable diapers that pollute the environment several times a day.

또한, 대변용 기저귀와 소변용 기저귀가 별도로 있어서 따로 갈아주어야만 한다. 간병인이 부족하기 때문에, 실질적으로는 환자의 기저귀가 원활히 갈아지고 있지 않으며, 따라서 환자의 위생 상태가 좋지 않다. Additionally, there are separate diapers for stool and urine, so they must be changed separately. Because there is a shortage of caregivers, patients' diapers are actually not changed smoothly, and thus the patient's sanitary condition is poor.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위생적이면서도 대소변을 수회 처리할 수 있는 기저귀를 제안한다. To solve this problem, the present invention proposes a diaper that is hygienic and can handle urine and feces multiple times.

이하,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술하겠다. 다만,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기저귀의 사용자를 환자로 가정하겠다. Hereinafter,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However,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we will assume that the diaper user is the patient.

도 1은 환자가 침대에 누워있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저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저귀에서 대소변을 받기 위한 공간을 만드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들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척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Figure 1 is a diagram showing a patient lying on a bed, and Figure 2 is a diagram showing a diap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3 and 4 are diagrams illustrating a process of creating a space for receiving urine and feces in a diap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washing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실시예의 기저귀는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침대에 누워있는 환자가 착용하고 있는 하의로서, 대소변을 수회 처리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기저귀는 사용 연령, 성별 등에 제한 없이 사용 가능하며, 하의로서 대소변을 처리한다는 관점에서 대소변용 하의로 명명될 수 있다. 즉, 상기 기저귀는 노인이나 환자 또는 유아용 기저귀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대소변을 처리할 수 있는 모든 하의를 포함한다. The diaper of this embodiment is, for example, bottoms worn by a patient lying in bed as shown in FIG. 1, and can handle urine and feces several times. Here, the diaper can be used without restrictions on age, gender, etc., and may be called toilet pants from the viewpoint of handling urine and feces as bottoms. In other words, the diaper is not limited to diapers for the elderly, patients, or infants, and includes all bottoms that can handle urine and feces.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기저귀는 전면(200a), 후면(200b) 및 전면(200a)과 후면(200b)을 연결하는 연결면(200c, 바닥부)를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2, the diaper of this embodiment may include a front (200a), a back (200b), and a connection surface (200c, bottom) connecting the front (200a) and the back (200b).

상기 기저귀는 바지와 같이 입는 구조일 수도 있고, 유아용 기저귀와 같은 부착형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예를 들어 전면(200a)의 좌측 또는 우측에 열고 닫을 수 있는 찍찍이 또는 지퍼(잠금 장치)가 형성될 수 있다. The diaper may be worn like pants or may be of an attached type like a baby diaper. For example, although not shown in FIG. 2, a snapper or zipper (locking device) that can be opened and closed may be formed on the left or right side of the front 200a.

물론, 후면(200b)에 잠금 장치가 형성될 수도 있지만, 후술하는 바와 같이 후면(200a)에는 여러가지 구성요소들이 포함되므로 전면(200a)에 설치되는 것이 효율적이다. Of course, the locking device may be formed on the rear 200b, but as will be described later, the rear 200a includes various components, so it is more efficient to install it on the front 200a.

후면(200b)은 힙부(210), 제 1 허벅지부(212) 및 제 2 허벅지부(214)를 포함하되, 힙부(210)는 좌우측 엉덩이를 받치는 엉덩이 받침부들(받침 부재, 220a 및 220b)을 가질 수 있다. The rear 200b includes a hip portion 210, a first thigh portion 212, and a second thigh portion 214, and the hip portion 210 includes hip supports (support members 220a and 220b) that support the left and right hips. You can have it.

엉덩이 받침부들(220a 및 220b)은 좌우측 엉덩이를 받치면서 대소변시 엉덩이를 들어올리는 기능을 수행하며, 예를 들어 패드일 수 있다. The hip supports 220a and 220b support the left and right hips and lift the hips when urinating, and may be, for example, pads.

일 실시예에 따르면, 엉덩이 받침부들(220a 및 220b)은 각기 도 3에 도시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후면(200b)의 내측면(200b-1)과 외측면(200b-2) 사이(내측 공간)에서 내측면(200b-1)에 엉덩이 받침부(220)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내측면(200b-1)은 환자의 엉덩이가 닿는 부분이고, 외측면(200b-2)은 침대에 닿는 부분일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hip supports 220a and 220b may each have the structure shown in FIG. 3. Specifically, the hip support portion 220 may be formed on the inner surface 200b-1 between the inner surface 200b-1 and the outer surface 200b-2 of the rear 200b (inner space). Here, the inner surface (200b-1) may be the part that touches the patient's buttocks, and the outer surface (200b-2) may be the part that touches the bed.

또한, 내측면(200b-1) 또는 외측면(200b-2)에 공기 주입관(300)이 연결부(310)를 통하여 결합될 수 있다. Additionally, the air injection pipe 300 may be coupled to the inner side 200b-1 or the outer side 200b-2 through the connection portion 310.

이러한 구조에서, 공기 주입부(미도시)가 도 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 주입관(300)을 통하여 공기를 내측면(200b-1)과 외측면(200b-2) 사이의 공간(210a)으로 주입하면 도 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엉덩이 받침부(220)가 들어올려진다. 결과적으로, 엉덩이 받침부들(220a 및 220b)에 의해 좌우측 엉덩이들이 들어올려지며, 그 결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힙부(210)와 연결면(200c)에 의해 그릇 형태의 공간(A, 파여진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허벅지 받침부(222)에 의해 허벅지가 들어올려지는 경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힙부(210), 연결면(200c) 및 허벅지 받침부(222)에 해당하는 허벅지부(212 및 214)에 의해 대소변을 받을 수 있는 공간(A)이 형성될 수 있다. In this structure, an air injection unit (not shown) injects air between the inner surface 200b-1 and the outer surface 200b-2 through the air injection pipe 300, as shown in (A) of FIG. 3. When injected into the space 210a, the hip support 220 is lifted as shown in (B) of FIG. 3. As a result, the left and right hips are lifted by the hip supports 220a and 220b, and as a result, a bowl-shaped space (A, hollowed out) is formed by the hip portion 210 and the connection surface 200c, as shown in FIG. 4. space) can be formed. As will be described later, when the thigh is lifted by the thigh support portion 222, the thigh portion ( 212 and 214), a space (A) capable of receiving urine and feces can be formed.

공간(A)은 대소변을 받을 수 있는 공간으로, 엉덩이들이 엉덩이 받침부들(220a 및 220b)에 의해 들어올려졌기 때문에 공간(A) 내에 받아진 대소변이 환자의 피부에 거의 닿지 않는다. 즉, 환자의 피부가 배변에 닿는 것이 최소화될 수 있으며, 그 결과 위생적일 수 있다. The space (A) is a space that can receive urine and feces, and since the buttocks are lifted by the buttock supports (220a and 220b), the urine and feces received in the space (A) hardly touches the patient's skin. In other words, contact of the patient's skin with bowel movements can be minimized, and as a result, it can be hygienic.

위에서는, 공기를 내측면(200b-1)과 외측면(200b-2) 사이의 공간(210a)으로 주입하여 그릇 형태의 공간(A)을 형성하였으나, 좌우측 엉덩이들을 들어올려 공간(A)을 만들 수 있는 한 공간(A)을 형성하는 방법은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계 구동을 통하여 엉덩이 받침부들(220a 및 220b)을 들어올릴 수도 있다. From above, air was injected into the space 210a between the inner surface 200b-1 and the outer surface 200b-2 to form a bowl-shaped space A, but the space A was formed by lifting the left and right hips. The method of forming space (A) can be modified in various ways. For example, the hip supports 220a and 220b may be lifted through mechanical driving.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허벅지부(212)에 제 1 허벅지 받침부(222a)가 형성되고, 제 2 허벅지부(214)에 제 2 허벅지 받침부(222b)가 형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first thigh support portion 222a may be formed on the first thigh portion 212, and the second thigh support portion 222b may be formed on the second thigh portion 214.

허벅지 받침부(222)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허벅지부(212 또는 214)의 내측면과 외측면 사이(내측 공간)에서 상기 내측면에 형성될 수 있고, 공기 주입관(400)을 통하여 주입된 공기에 의해 들어올려질 수 있다. 결과적으로, 좌우 허벅지들 또한 허벅지 받침부들(222)에 의해 들어올려질 수 있다. As shown in FIG. 4, the thigh support portion 222 may be formed on the inner surface between the inner surface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thigh portion 212 or 214 (inner space), and may be formed on the inner surface through the air injection pipe 400. It can be lifted by injected air. As a result, the left and right thighs can also be lifted by the thigh rests 222.

이 경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릇 형태의 공간(A)이 더 잘 만들어질 뿐만 아니라 후면(200b)의 허벅지부들(212 및 214)이 환자의 허벅지에 밀착되므로, 대소변 및 세척에 따른 오염수가 외부로 누출되지 않을 수 있다. 결과적으로, 침대나 환자가 더럽혀지지 않을 수 있다. In this case, as shown in FIG. 4, not only is the bowl-shaped space A better created, but the thigh parts 212 and 214 at the rear 200b are in close contact with the patient's thighs, preventing contamination from urine and feces and washing. Water may not leak to the outside. As a result, neither the bed nor the patient can be soiled.

일 실시예에 따르면, 후면(200b)에서 허리 부근에 허리 받침부(224)가 추가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a waist support portion 224 may be additionally formed near the waist on the rear side 200b.

허리 받침부(224) 또한 후면(200b)의 내측면에 형성되고, 공기 주입관(미도시)을 통하여 주입된 공기에 의해 들어올려질 수 있다. 결과적으로, 허리 받침부(224)가 환자의 허리에 밀착됨에 따라 대소변 및 오염수가 외부로 누출되지 않을 수 있다. The waist support portion 224 is also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rear 200b and can be lifted by air injected through an air injection pipe (not shown). As a result, as the waist support unit 224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patient's waist, urine and urine and contaminated water may not leak to the outside.

후면(200b)을 더 살펴보면, 후면(200b)에는 배출관(230), 적어도 하나의 세척관(234) 및 건조관(240)이 형성될 수 있다. Looking further at the rear side (200b), a discharge pipe 230, at least one washing pipe 234, and a drying pipe 240 may be formed on the rear side (200b).

배출관(230)은 일단이 수거부(250)와 연결되고 타측은 연결부(232)를 통하여 후면(200b)에 연결될 수 있으며, 대소변 및 오염수를 흡입할 수 있다. 여기서, 배출관(230)은 연결부(232)를 통하여 후면(200b)으로부터 착탈 가능할 수 있다. The discharge pipe 230 has one end connected to the collection unit 250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rear 200b through the connection unit 232, and can suck in urine and feces and contaminated water. Here, the discharge pipe 230 may be detachable from the rear side 200b through the connection portion 232.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배출관(230)은 대소변을 받는 공간(A)에 대응하여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공간(A)에 존재하는 대소변 및 오염수가 배출관(230)을 통하여 수거부(250)로 수거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discharge pipe 230 may be formed to correspond to the space A that receives urine and feces. Accordingly, urine and contaminated water existing in the space A can be collected into the collection unit 250 through the discharge pipe 230.

한편, 환자가 침대에 누워있는 상태로 기저귀를 교체하기 때문에, 침대의 일부분에 홀이 형성되고, 배출관(230)이 상기 침대의 홀을 통하여 수거부(250)에 연결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침대에 별도의 홀 없이 배출관(230)이 상기 침대의 상면 상에서 외부로 연장될 수 있다. Meanwhile, since the diaper is changed while the patient is lying on the bed, a hole is formed in a part of the bed, and the discharge pipe 230 can be connected to the collection unit 250 through the hole in the bed. Of course, the discharge pipe 230 may extend outward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bed without a separate hole in the bed.

수거부(250)는 공간(A)에 받아진 대소변 및 오염수를 흡입하여 수거할 수 있는 한 제한이 없으며, 흡입 수단(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The collection unit 250 is not limited as long as it can collect the urine and feces and contaminated water received in the space (A) by suction, and may include a suction means (not shown).

세척관(234)은 일단이 세척수부(238)에 연결되고 타단이 해당 연결부(236 및 242)를 통하여 후면(200b)에 연결될 수 있으며, 착탈 가능할 수 있다. The washing pipe 234 may have one end connected to the washing water unit 238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rear 200b through the corresponding connection parts 236 and 242, and may be detachable.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세척관(234)은 후면(200b) 중 공간(A)의 외측 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세척관(234)이 대소변에 의해 막히면 안되기 때문이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cleaning pipe 234 may be formed on the outer portion of the space A of the rear surface 200b. This is because the cleaning pipe 234 must not be blocked by urine or feces.

다만, 세척관(234)은 배변을 세척하여야 하기 때문에, 항문을 향하여 형성될 수 있다. However, since the cleaning pipe 234 must clean bowel movements, it may be formed toward the anus.

예를 들어, 세척관(234)은 항문의 좌측 또는 우측에서 항문을 향하여 배열되며, 분출 수압에 의해 흔들리도록 형성될 수 있다. For example, the irrigation tube 234 is arranged toward the anus from the left or right side of the anus and may be formed to shake due to jet water pressure.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세척관(234)은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척수를 직선으로 방출하는 구조를 가질 수도 있고,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분출구들이 형성되어 세척수가 넓겨 퍼져 분출될 수도 있다. 여기서, 세척관(234)은 후면(200b) 상에 평평하게 형성될 수도 있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면(200b)으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washing pipe 234 may have a structure that discharges washing water in a straight line as shown in (A) of FIG. 5, and may have a plurality of jets as shown in (B) of FIG. 5. It may form and the wash water spreads out and spews out. Here, the cleaning pipe 234 may be formed flat on the rear surface 200b or may be formed to protrude from the rear surface 200b as shown in FIG. 5 .

다만, 세척관(234)이 돌출되더라도 평상시에는 후면(200b) 상에 평평하게 형성되다가 대소변시에 후면(200b)으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However, even if the washing pipe 234 protrudes, it is formed flat on the rear surface 200b in normal times, but may protrude from the rear surface 200b when urinating or going to the toilet.

세척수부(238)는 세척수를 저장하는 탱크일 수 있으며, 세척수가 세척관(234)을 통하여 분출이 가능하도록 펌프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세척수부(238)는 직접 수도관에 연결되어 공급될 수도 있으며, 세척관(234)은 세척수부(238)와 착탈 가능할 수 있다. The washing water unit 238 may be a tank that stores washing water, and may include a pump function so that the washing water can be ejected through the washing pipe 234. As another example, the washing water unit 238 may be supplied by being directly connected to a water pipe, and the washing pipe 234 may be detachable from the washing water unit 238.

건조관(240)은 일단이 건조부(미도시)에 연결되고 타단이 연결부(242)를 통하여 후면(200b)에 연결될 수 있으며, 착탈 가능할 수 있다. The drying pipe 240 may have one end connected to a drying unit (not shown)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rear 200b through a connecting unit 242, and may be detachable.

상기 건조부는 건조관(240)을 통하여 건조풍을 배출하여 세척수에 의해 세척된 엉덩이를 건조시킬 수 있다. The drying unit can dry the buttocks washed with washing water by discharging drying wind through the drying pipe 240.

정리후면, 본 발명의 기저귀는 엉덩이 받침부들(220a 및 220b) 및 허벅지 받침부들(222a 및 222b)을 이용하여 대소변을 받을 수 있는 공간(A)을 형성하고, 대소변시 세척수를 이용하여 항문을 세척하며, 대소변 및 세척된 오물(오염수)을 수거부(250)를 통하여 수거하고, 세척수에 의해 젖은 엉덩이나 항문을 건조풍으로 건조시킬 수 있다. On the rear side, the diaper of the present invention uses butt supports (220a and 220b) and thigh supports (222a and 222b) to form a space (A) for receiving urine and feces, and cleans the anus using washing water when defecating. In addition, urine and feces and washed waste (contaminated water) are collected through the collection unit 250, and the buttocks or anus wet by the washing water can be dried with drying air.

따라서, 환자가 하루에 몇번을 대소변을 보더라도 기저귀를 교체할 필요가 없으며, 하루 또는 몇일 정도 기저귀를 계속 사용하더라도 기저귀를 세탁한 후 다시 사용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환자의 기저귀를 자주 갈지 않아도 되므로, 가족이나 간병인의 수고가 덜어지고 환경 오염이 줄어들 수 있다. Therefore, there is no need to change the diaper no matter how many times a patient urinates or defecates, and even if the patient continues to use the diaper for a day or several days, the diaper can be washed and used again. As a result, the patient's diaper does not have to be changed as often, which reduces the burden on family members and caregivers and reduces environmental pollution.

위에서 설명하지는 않았지만, 본 발명의 기저귀는 허리를 조여줄 수 있는 탄성부(216) 및 대소변시 발생하는 습기 및 가스를 통하여 대소변을 감지하는 센서(미도시) 또는 소변과 대변 배출시 이를 접촉으로 감지하거나 무게로써 감지하는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Although not described above, the diaper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lastic part 216 that can tighten the waist and a sensor (not shown) that detects urine and feces through moisture and gas generated during defecation, or detects urine and feces by contact. Alternatively, it may further include a sensor that detects weight.

탄성부(216)는 공기 주입에 의해 기저귀 내부가 부풀어오를때 환자의 조여짐이 덜해지게 할 수 있다. 한편, 탄성부는 기저귀의 허벅지부(214)에도 형성될 수 있다. The elastic portion 216 can reduce the patient's tightness when the inside of the diaper swells by air injection. Meanwhile, the elastic portion may also be formed on the thigh portion 214 of the diaper.

상기 센서는 기저귀의 내측 공간에 형성될 수도 있고, 기저귀의 내측면 상에 형성될 수도 있다. 즉, 상기 센서가 대소변을 감지하는 한 위치적인 제한은 없다. 다만, 상기 센서는 엉덩이 하부에 형성되는 것이 효율적이다. 이는 항문으로부터 가스 등이 나올 때 즉시 감지가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The sensor may be formed in the inner space of the diaper or on the inner side of the diaper. In other words, there are no location restrictions as long as the sensor detects urine and feces. However, it is more efficient for the sensor to be formed on the lower part of the buttocks. This is to enable immediate detection when gas, etc., comes out of the anus.

또한, 기저귀의 상단 부분은 다수의 양각 돌출 무늬가 형성되거나 주름 등이 형성될 수 있으며, 그 결과 기저귀의 내부면과 환자의 피부의 접촉 부분이 최소화될 수 있고 공기가 자연적으로 순환할 수 있다. Additionally, the upper part of the diaper may be formed with multiple embossed protruding patterns or wrinkles, etc. As a result, the contact area between the inner surface of the diaper and the patient's skin can be minimized and air can circulate naturally.

게다가, 세척관(234)과 연결되는 연결부(236)에는 마개가 부착되어 있을 수 있다. 이는 세척관(234)을 기저귀로부터 분리시 연결부(236)의 홀을 막기 위해서이다. In addition, a stopper may be attached to the connection portion 236 connected to the washing pipe 234. This is to block the hole in the connection part 236 when the washing tube 234 is separated from the diaper.

더욱이, 상기 기저귀의 상단 부분(허리에 해당)에는 마사지 기능이 추가될 수 있다. 공기 주입에 따라 환자의 엉덩이 및 허벅지가 들어졌다가 다시 내려오는 동작을 반복후면, 허리의 마사지가 가능할 수 있다. Moreover, a massage function may be added to the upper part (corresponding to the waist) of the diaper. If the patient's buttocks and thighs are raised and lowered again in response to air injection, a massage of the lower back may be possible.

또한, 상기 기저귀의 상단 부분(허리에 해당)에는 온열 기능이 추가될 수 있다. Additionally, a heating function may be added to the upper part (corresponding to the waist) of the diaper.

이하, 본 발명의 기저귀에서 대소변을 처리하는 과정을 살펴보겠다. 환자가 침대 위에 누워있다고 가정한다. Below, we will look at the process of treating urine and feces in the diaper of the present invention. Assume the patient is lying on the bed.

우선, 환자에게 기저귀를 착용시킨 후 배출관(230), 세척관(234) 및 건조관(240)을 상기 기저귀에 연결시킬 수 있다. 물론, 배출관(230), 세척관(234) 및 건조관(240)은 환자가 기저귀 착용 전에 상기 기저귀에 연결될 수도 있다. First, after the patient wears a diaper, the discharge pipe 230, the washing pipe 234, and the drying pipe 240 can be connected to the diaper. Of course, the discharge pipe 230, the washing pipe 234, and the drying pipe 240 may be connected to the diaper before the patient wears the diaper.

이어서, 센서가 습기, 가스 또는 무게를 통하여 대소변 배출을 감지한다. Sensors then detect feces and urine output through moisture, gas or weight.

계속하여, 대소변 배출 감지시, 공기 주입을 통하여 엉덩이 받침부들(220a 및 220b) 및 허벅지 받침부들(222a 및 222b)을 들어올리며, 그 결과 환자의 엉덩이들 및 허벅지들이 들어올려지고 힙부(210)와 연결면(200c)에 의해 그릇 형태의 공간(A)이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공간(A)에 대소변이 받아지므로, 환자의 피부가 대소변에 닿는 것이 최소화된다. Continuously, upon detection of urine and feces discharge, the buttocks 220a and 220b and the thigh supports 222a and 222b are lifted through air injection, and as a result, the patient's buttocks and thighs are lifted and the hips 210 and A bowl-shaped space A may be formed by the connection surface 200c. At this time, since stool and urine are received in space A, contact of the patient's skin with stool and urine is minimized.

한편, 엉덩이 받침부들(220a 및 220b) 및 허벅지 받침부들(222a 및 222b)이 들어올려질 때, 허리 받침부(224)도 함께 들어올려질 수 있다. Meanwhile, when the hip supports 220a and 220b and the thigh supports 222a and 222b are lifted, the waist support 224 may also be lifted.

이어서, 대소변 배출이 완료되었다고 판단시, 세척수가 세척관(234)을 통하여 항문으로 배출될 수 있다. Subsequently,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discharge of urine and feces is complete, the washing water may be discharged into the anus through the washing pipe 234.

계속하여, 세척수의 배출이 완료되면, 건조풍이 건조관(240)을 통하여 세척수에 의해 젖은 항문을 건조시킬 수 있다. Subsequently, when the discharge of the washing water is completed, drying wind can dry the anus wet by the washing water through the drying pipe 240.

이어서, 대소변 및 상기 세척수에 의한 오염수가 배출관(230)을 통하여 수거부(250)로 수거된다. 이러한 수거 과정은 건조 전에 수행될 수도 있고 건조와 함께 진행될 수도 있다. Subsequently, contaminated water caused by urine and feces and the washing water is collected into the collection unit 250 through the discharge pipe 230. This collection process may be carried out before or together with drying.

계속하여, 수거 완료시, 엉덩이 받침부들(220a 및 220b), 허벅지 받침부들(222a 및 222b) 및 허리 받침부(224)가 정상적인 위치로 복귀될 수 있다. 즉, 들어올려졌던 엉덩이 받침부들(220a 및 220b), 허벅지 받침부들(222a 및 222b) 및 허리 받침부(224)가 내려올 수 있다. Subsequently, upon completion of collection, the hip rests 220a and 220b, the thigh rests 222a and 222b, and the waist rest 224 can be returned to their normal positions. That is, the hip supports 220a and 220b, thigh supports 222a and 222b, and waist supports 224 that were lifted can be lowered.

이어서, 수거부(250)에 수거된 대소변 및 오물수가 버려질 수 있다. Subsequently, the urine and sewage water collected in the collection unit 250 may be discarded.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저귀의 일부분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Figure 6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portion of a diap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저귀 후면의 내측면(200b-1)과 외측면(200b-2) 사이에 엉덩이 받침부(600)와 팽창부(602, 예를 들어 풍선)가 적층되어 있을 수 있다. 즉, 내측면(200b-1)와 외측면(200b-2) 사이에 엉덩이 받침부만 있었던 이전 실시예와 달리, 본 실시예에서는 내측면(200b-1)와 외측면(200b-2) 사이에 엉덩이 받침부(600)와 팽창부(602)가 존재한다. As shown in (A) of FIG. 6, a butt support portion 600 and an expansion portion 602 (e.g., a balloon) are provided between the inner surface 200b-1 and the outer surface 200b-2 of the rear of the diaper. It may be laminated. That is, unlike the previous embodiment in which there was only a hip support between the inner surface (200b-1) and the outer surface (200b-2), in the present embodiment, between the inner surface (200b-1) and the outer surface (200b-2) There is a hip support portion 600 and an expansion portion 602.

이러한 상태에서, 공기 주입관(604)을 통하여 팽창부(602)로 공기가 주입되면, 도 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팽창부(602)가 팽창하면서 엉덩이 받침부(600)를 상승시킨다. 결과적으로, 환자의 엉덩이가 상승할 수 있다.In this state, when air is injected into the expansion part 602 through the air injection pipe 604, the expansion part 602 expands and raises the hip support part 600, as shown in (B) of FIG. I order it. As a result, the patient's hips may rise.

도 6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허벅지 견지에서, 기저귀 후면의 내측면(200b-1)와 외측면(200b-2) 사이에 허벅지 받침부와 팽창부가 적층되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팽창부에 공기를 주입하여 상기 허벅지 받침부를 상승시킬 수 있다. Although not shown in FIG. 6, from the thigh perspective, a thigh support portion and an expansion portion may be stacked between the inner surface 200b-1 and the outer surface 200b-2 of the rear of the diaper. Therefore, the thigh support part can be raised by injecting air into the expansion part.

즉, 엉덩이 받침부(600)와 허벅지 받침부들이 상승함에 따라 대소변을 받을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된다. 이러한 공간에 대한 설명은 위에서 상술하였으므로 생략하겠다. That is, as the hip support portion 600 and the thigh support portions rise, a space for receiving urine and feces is formed. The description of this space will be omitted as it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above.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기저귀(하의)는 도 6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서브 기저귀(제 1 서브 하의, 610)와 제 2 서브 기저귀(제 2 서브 하의, 612)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도 2와 같은 구조의 제 1 서브 기저귀(610)의 외측면에 내부 공간을 가지는 제 2 서브 기저귀(612)가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서브 기저귀(612)가 천이고 제 2 서브 기저귀(612)의 종단들이 제 1 서브 기저귀(610)의 외측면에 연결됨에 따라 제 2 서브 기저귀(612)의 내부에 공간이 형성될 수 있으며, 제 2 서브 기저귀(612)는 엉덩이 부분에만 형성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천은 찍찍이 형태로 제 1 서브 기저귀(610)에 접착될 수 있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the diaper (bottoms) may include a first sub-diaper (first sub-bottoms, 610) and a second sub-diaper (second sub-bottoms, 612) as shown in Figure 6 (C). You can. That is, a second sub-diaper 612 having an internal space may be connect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sub-diaper 610 having the same structure as shown in FIG. 2 . For example, the second sub-diaper 612 is made of cloth and the ends of the second sub-diaper 612 are connect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sub-diaper 610, thereby creating a space inside the second sub-diaper 612. The second sub-diaper 612 may be formed only on the buttocks. Here, the cloth may be attached to the first sub-diaper 610 in a sticky manner.

이러한 구조에서 환자의 엉덩이는 제 1 서브 기저귀(610) 내에 위치하며, 엉덩이 받침부(600)와 팽창부(602)는 제 2 서브 기저귀(612) 내에 위치할 수 있다. 다만, 엉덩이 받침부(600)와 팽창부(602)의 적층 순서는 상관이 없다. 예를 들어, 엉덩이 받침부(600) 하부에 팽창부(602)가 위치할 수도 있지만 엉덩이 받침부(600) 상부에 팽창부(602)가 위치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도, 팽창부(602)가 팽창하면 엉덩이가 들어올려져서 대소변을 받을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In this structure, the patient's buttocks may be located within the first sub-diaper 610, and the buttock support portion 600 and the expansion portion 602 may be located within the second sub-diaper 612. However, the stacking order of the hip support portion 600 and the expansion portion 602 does not matter. For example, the expansion part 602 may be located below the hip support unit 600, but the expansion part 602 may be located above the hip support unit 600. In this case as well, when the expansion portion 602 expands, the buttocks may be lifted to form a space for receiving urine and feces.

물론, 허벅지 받침부와 해당 팽창부도 제 2 서브 기저귀(612) 내에 위치할 수도 있다. Of course, the thigh rest portion and the corresponding expansion portion may also be located within the second sub diaper 612.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도 6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서브 기저귀(610) 내측에 제 3 서브 기저귀(제 3 서브 하의, 620)가 형성되고, 엉덩이 받침부(600) 및 팽창부(602)가 제 3 서브 기저귀(620) 내에 위치할 수도 있다. 물론, 허벅지 받침부와 해당 팽창부도 제 2 서브 기저귀(612) 내에 위치할 수도 있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as shown in (D) of FIG. 6, a third sub-diaper (third sub-bottoms, 620) is formed inside the first sub-diaper 610, and a butt support portion 600 and an inflatable Part 602 may be located within the third sub-diaper 620. Of course, the thigh rest portion and the corresponding expansion portion may also be located within the second sub diaper 612.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엉덩이 받침부(600)와 상기 허벅지 받침부는 제 1 서브 기저귀(610) 내에 위치하고 해당 팽창부들은 제 2 서브 기저귀(612) 또는 제 3 서브 기저귀(620) 내에 위치할 수도 있다. 다만, 엉덩이 받침부(600) 및 팽창부(602)가 제 2 서브 기저귀(612) 내에 함께 위치하는 것이 구조 측면에서 효율적이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the hip support part 600 and the thigh support part may be located in the first sub-diaper 610, and the corresponding expansion parts may be located in the second sub-diaper 612 or the third sub-diaper 620. there is. However, it is efficient in terms of structure if the butt rest part 600 and the expansion part 602 are located together within the second sub-diaper 612.

한편, 엉덩이 받침부 및 허벅지 받침부가 없이 팽창부들만으로 대소변을 받기 위한 공간을 만들 수 있으나, 상기 팽창부들만 존재하면 상기 팽창부들에 공기가 주입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는 환자가 소변이 외부로 흘러 나갈 수 있다. 반면에, 상기 엉덩이 받침부 및 상기 허벅지 받침부들이 상기 팽창부들과 함께 존재하면 상기 팽창부들에 공기가 주입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도 상기 엉덩이 받침부와 상기 허벅지 받침부들에 의해 기본적인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상기 팽창부들에 공기가 주입되지 않은 상태에서도 환자의 소변이 외부로 배출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엉덩이 받침부, 상기 허벅지 받침부와 상기 팽창부들이 함께 존재하는 것이 효율적이다.On the other hand, it is possible to create a space for receiving urine and feces only with the expansion parts without the hip support and thigh support, but if only the expansion parts are present, the patient may allow urine to flow out if air is not injected into the expansion parts. there is. On the other hand, if the hip rest and the thigh rest are present together with the expansion parts, a basic space can be formed by the hip rest and the thigh rest even when air is not injected into the expansion parts. . As a result, the patient's urine may not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even when air is not injected into the expansion parts. Therefore, it is efficient for the hip support part, the thigh support part, and the expansion part to exist together.

또한, 이러한 받침부들이 기본적인 높이를 가지기 때문에, 피부와 기저귀 바닥면 사이를 분리시킬 수 있어서 욕창 등 피부 질환을 억제할 수도 있다. Additionally, because these supports have a basic height, they can separate the skin from the bottom of the diaper, thereby preventing skin diseases such as bedsores.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저귀의 일부분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받침 부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엉덩이 받침부의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허벅지 받침부의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 구조물을 도시한 도면이다. 다만,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 7은 기저귀의 후면만을 보여준다. Figure 7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portion of a diap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8 is a diagram showing a support memb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9 is a diagram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hip support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10 is a diagram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thigh support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1 is a diagram showing a pipe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Figure 7 shows only the rear side of the diaper.

도 7을 참조하면, 기저귀의 후면(700)의 내측면 중 힙부(700a) 위에 받침 부재(702)가 위치할 수 있고, 내측면(700a)과 받침 부재(702) 사이에 팽창부들(720, 722 및 724)이 배열될 수 있다. 다만, 팽창부들(722 및 724)은 기저귀의 후면(700)의 외측면 하부에 위치할 수도 있다. Referring to FIG. 7, a support member 702 may be located on the hip portion 700a of the inner surface of the rear 700 of the diaper, and expansion parts 720 are provided between the inner surface 700a and the support member 702. 722 and 724) can be arranged. However, the expansion portions 722 and 724 may be located below the outer surface of the rear 700 of the diaper.

받침 부재(702)는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엉덩이 받침부(710), 제 1 허벅지 받침부(712), 제 2 허벅지 받침부(714), 엉덩이 받침부(710)과 제 1 허벅지 받침부(712)를 연결하는 제 1 연결부(800) 및 엉덩이 받침부(710)와 제 2 허벅지 받침부(714)를 연결하는 제 2 연결부(802)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엉덩이 받침부(710) 및 허벅지 받침부들(712 및 714)이 일체형으로 구현된다. 물론, 엉덩이 받침부(710) 및 허벅지 받침부들(712 및 714)은 연결부들(800 및 802) 없이 각기 별개의 부재로서 존재할 수도 있다. As shown in FIGS. 7 and 8, the support member 702 includes a hip support portion 710, a first thigh support portion 712, a second thigh support portion 714, a hip support portion 710, and a first thigh support portion 710. It may include a first connection part 800 connecting the thigh support part 712 and a second connection part 802 connecting the hip support part 710 and the second thigh support part 714. That is, the hip support portion 710 and the thigh support portions 712 and 714 are implemented as one piece. Of course, the hip rest 710 and the thigh rests 712 and 714 may exist as separate members without the connecting portions 800 and 802.

일 실시예에 따르면, 엉덩이 받침부(710) 및 허벅지 받침부들(712 및 714)은 연결부들(800 및 802) 보다 큰 높이를 가지며, 연결부들(800 및 802) 위로 세척관 등이 가로질러 배열될 수도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hip rest 710 and the thigh rests 712 and 714 have a greater height than the connections 800 and 802, and a cleaning tube, etc. is arranged across the connections 800 and 802. It could be.

도 9의 (A) 및 (B)를 참조하여 엉덩이 받침부(710)의 동작을 살펴보면, 엉덩이 받침부(710)와 힙부(700a)의 내측면(700a-1) 사이에 위치하는 팽창부(720)에 공기가 주입되면, 팽창부(720)가 팽창하며, 그 결과 엉덩이 받침부(710)가 상승하게 되어 엉덩이가 들어올려진다. Looking at the operation of the hip support unit 710 with reference to (A) and (B) of FIGS. 9, the expansion portion ( When air is injected into 720, the expansion part 720 expands, and as a result, the buttock support part 710 rises and the buttocks are lifted.

도 10의 (A) 및 (B)를 참조하여 허벅지 받침부(1010)의 동작을 살펴보면, 허벅지 받침부(1010)는 기저귀의 후면(700) 중 허벅지부의 내측면(700b-1) 위에 배열되고, 팽창부(1012)는 허벅지부의 외측면(700b-2) 하부에 배열된다. 이러한 배열 상태에서, 공기 주입관(1014)을 통하여 팽창부(1012)로 공기가 주입되면, 허벅지 받침부(1010)가 들어올려지며, 그 결과 허벅지가 상승한다. Looking at the operation of the thigh support unit 1010 with reference to (A) and (B) of FIGS. 10, the thigh support unit 1010 is arranged on the inner surface 700b-1 of the thigh portion of the rear 700 of the diaper. , the expansion portion 1012 is arrang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outer surface 700b-2 of the thigh portion. In this arrangement, when air is injected into the expansion unit 1012 through the air injection pipe 1014, the thigh support unit 1010 is lifted, and as a result, the thigh rises.

물론, 내측면(700b-1) 위에 팽창부 및 허벅지 받침부(1010)가 순차적으로 위치할 수도 있다. 다만, 도 10의 구조가 허벅지부 자체도 상승시키므로 소변 등을 배출관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데 더 유리하다. Of course, the expansion part and the thigh support part 1010 may be located sequentially on the inner surface 700b-1. However, since the structure of Figure 10 also raises the thigh portion itself, it is more advantageous in moving urine, etc., toward the discharge pipe.

전체적으로 살펴보면, 엉덩이 받침부(710)와 허벅지 받침부(1010)들이 상승함에 따라 대소변을 받을 수 있는 공간이 자연스럽게 형성될 수 있다.Looking at the whole, as the hip support portion 710 and the thigh support portion 1010 rise, a space for receiving urine and feces can be naturally formed.

위의 실시예들에서, 배출관, 세척관 및 건조관을 언급하지는 않았지만, 도 1 내지 도 6의 내용과 동일하거나 유사하므로, 별도로 설명하지는 않았다. In the above embodiments, the discharge pipe, washing pipe, and drying pipe are not mentioned, but since they are the same or similar to the contents of FIGS. 1 to 6, they are not described separately.

다만, 배출관, 세척관 및 건조관은 위의 실시예들에서처럼 기저귀에 직접 결합될 수도 있지만,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저귀의 내측면 위에 형성된 관 구조물(1100)에 결합될 수 있다. However, the discharge pipe, washing pipe, and drying pipe may be directly coupled to the diaper as in the above embodiments, but may be coupled to the pipe structure 1100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diaper as shown in FIG. 11.

예를 들어, 관 구조물(1100)은 경질의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배출관, 세척관 또는 건조관이 고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홀(1102)을 포함할 수 있다. 즉, 배출관, 세척관 또는 건조관은 기저귀에 직접 결합되지 않고 관 구조물(1100)에 결합될 수 있다. For example, the pipe structure 1100 may be made of hard plastic and may include at least one hole 1102 into which a discharge pipe, a washing pipe, or a drying pipe can be fixedly coupled. That is, the discharge pipe, washing pipe, or drying pipe may be coupled to the pipe structure 1100 without being directly coupled to the diaper.

물론, 관 구조물(1100)은 기저귀로 진입하는 외부 관과 내측에 위치하는 내부 관을 연결시키는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Of course, the tube structure 1100 may have a structure that connects an external tube entering the diaper and an internal tube located inside.

즉, 관 구조물(1100)이 배출관, 세척관 또는 건조관을 결합시킬 수 있는 한 결합 구조 및 방법은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That is, as long as the pipe structure 1100 can combine a discharge pipe, a washing pipe, or a drying pipe, the connecting structure and method can be modified in various ways.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받침 부재 및 상기 받침 부재 상부 또는 하부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팽창부가 도 6의 (C) 및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서브 기저귀(610)와 제 2 서브 기저귀(612) 또는 제 3 서브 기저귀(620)를 포함하는 기저귀의 제 2 서브 기저귀(612) 또는 제 3 서브 기저귀(620) 내에 위치할 수도 있다. 물론, 상기 받침 부재 또는 상기 팽창부는 제 1 서브 기저귀(610) 내에 위치하고 상기 팽창부 또는 상기 받침 부재는 제 2 서브 기저귀(612) 내에 위치할 수도 있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the support member and at least one expansion portion located above or below the support member are connected to the first sub-diaper 610 and the second sub-diaper as shown in Figures 6 (C) and (D). 612 or may be located within the second sub-diaper 612 or the third sub-diaper 620 of a diaper including the third sub-diaper 620. Of course, the support member or the expansion part may be located in the first sub-diaper 610 and the expansion part or the support member may be located in the second sub-diaper 612.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저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팽창부 구조 및 대소변 배출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대소변 배출 구조의 개념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팽창부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다만, 도 2 내지 도 11에서의 구성요소와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하여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고 설명을 생략하겠다. Figure 12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diap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13 is a diagram showing the expansion part structure and the urine and feces discharge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4 is a diagram illustrating the concept of a urine and feces discharge structur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5 is a diagram illustrating the structure of an expansion uni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for components that are the same as those in FIGS. 2 to 11, the same reference numerals will be used an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도 12를 참조하면, 하의(기저귀)에는 도 2에서 보여진 제 1 배출관(230) 외에 제 2 배출관(1200) 및 바람 분사부(1202)가 추가적으로 존재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2, in addition to the first discharge pipe 230 shown in FIG. 2, the bottoms (diapers) may additionally have a second discharge pipe 1200 and a wind blowing unit 1202.

제 1 배출관(230)은 기저귀의 후면 중앙부에 연결되는 반면에, 제 2 배출관(1200)은 엉덩이 받침부 또는 허벅지 받침부를 상승시키는 팽창부 방향으로 하여 외부로 연결될 수 있다. While the first discharge pipe 230 is connected to the rear center of the diaper, the second discharge pipe 1200 may be connected to the outside in the direction of the bulge that raises the butt rest or thigh rest.

구체적으로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엉덩이 받침부 또는 상기 허벅지 받침부를 상승시키는 팽창부는 제 1 팽창부(1300), 제 2 팽창부(1302) 및 연결부(1304)를 포함할 수 있다. Specifically, as shown in FIG. 13, the expansion part that raises the hip support or the thigh support may include a first expansion part 1300, a second expansion part 1302, and a connection part 1304.

공기가 주입되기 전에는 팽창부들(1300 및 1302)은 도 1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팽창되지 않은 상태로 있다가 공기가 주입되면 도 1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팽창될 수 있다.Before air is injected, the expansion parts 1300 and 1302 remain uninflated as shown in (A) of FIG. 13, and when air is injected, they can be expanded as shown in (B) of FIG. 13. .

일 실시예에 따르면, 연결부(1304)는 팽창부(1300 또는 1302)보다 작은 폭을 가지며, 팽창부들(1300 및 1302)의 상단에 연결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팽창부들(1300 및 1302)이 팽창하면 연결부(1304)의 하단으로 배출 통로가 생기게 된다. 따라서,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소변이 모아진 공간의 대소변 또는 오염수가 제 1 배출관(230)을 통해서 배출될 뿐만 아니라 연결부(1304) 하단의 배출 통로 및 제 2 배출관(1200)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connection portion 1304 has a smaller width than the expansion portions 1300 or 1302 and may be connected to the top of the expansion portions 1300 and 1302. As a result, when the expansion parts 1300 and 1302 expand, a discharge passage is created at the bottom of the connection part 1304. Therefore, as shown in FIG. 14, the urine or contaminated water in the space where urine and feces is collected is not only discharged through the first discharge pipe 230, but also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discharge passage at the bottom of the connection portion 1304 and the second discharge pipe 1200. It can be.

위에서 공기가 주입되는 구조는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팽창부들(1300 및 1302) 중 하나로 공기가 주입되며, 주입된 공기는 연결부(1304)를 통하여 다른 팽창부로 전달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하나의 팽창부(1300 또는 1302)로 공기가 주입되면 팽창부들(1300 및 1302)이 모두 팽창할 수 있다. 물론, 팽창부들(1300 및 1302) 각각으로 공기가 주입될 수도 있다. Although the structure through which air is injected from above is not shown, air is injected into one of the expansion parts 1300 and 1302, and the injected air can be transferred to the other expansion part through the connection part 1304. As a result, when air is injected into one expansion part (1300 or 1302), both expansion parts (1300 and 1302) can be expanded. Of course, air may be injected into each of the expansion parts 1300 and 1302.

도 2의 구조에서는 많은 양의 대변이나 다량의 오염수가 발생하면 이를 배출시키기가 어려웠다. 따라서, 이러한 대변이나 오염수를 원활하게 배출하기 위하여 팽창부들(1300 및 1302)의 연결부(1304) 하단에 다른 배출 통로를 형성하였다. In the structure of Figure 2, it was difficult to discharge a large amount of feces or contaminated water. Therefore, in order to smoothly discharge such feces or contaminated water, another discharge passage was formed at the bottom of the connection part 1304 of the expansion parts 1300 and 1302.

또한, 위에서는 엉덩이 받침부 또는 허벅지 받침부들 중 하나를 상승시키는 팽창부를 통하여서만 배출 통로가 형성되는 것으로 기재하였으나, 엉덩이 받침부 및 모든 허벅지 받침부에도 배출 통로가 형성될 수도 있다. In addition, although it has been described above that the discharge passage is formed only through the expansion part that raises one of the hip rest or thigh rests, the discharge passage may also be formed in the hip rest and all thigh rests.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엉덩이 받침부 및 허벅지 받침부들을 상승시키기 위하여 팽창부는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ㄷ"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 경우에도, 연결부(1404)가 제 1 팽창부(1400)와 제 2 팽창부(1402)를 연결시키되, 팽창부들(1400 및 1402)의 상단에 연결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연결부(1404)의 하단을 통하여 배출 통로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 1 팽창부(1400)는 엉덩이 및 허벅지 일부를 상승시키고, 제 2 팽창부(1402)는 허벅지 나머지 부분을 상승시킬 수 있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the expansion portion may have a “L” shape as shown in FIG. 15 to raise the hip rest portion and the thigh rest portion. In this case as well, the connection portion 1404 connects the first expansion portion 1400 and the second expansion portion 1402 and may be connected to the upper ends of the expansion portions 1400 and 1402. As a result, a discharge passage may be formed through the lower end of the connection portion 1404. Here, the first expansion part 1400 can raise the buttocks and part of the thigh, and the second expansion part 1402 can raise the remaining part of the thigh.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연결부 하단의 배출 통로로 대소변이나 오염수가 잘 배출되도록 바람을 분사해주는 바람 분사부(120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바람 분사부(1202)가 연결부 하단의 배출 통로로 대변이나 오염수가 흐르도록 상기 배출 통로 방향으로 하여 바람을 분사시킬 수 있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it may further include a wind blowing unit 1202 that blows wind so that urine or contaminated water can be easily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passage at the bottom of the connection part. That is, the wind blowing unit 1202 can spray wind in the direction of the discharge passage so that feces or contaminated water flows into the discharge passage at the bottom of the connection part.

노인 환자 등의 경우 하루에도 수십번 대소변을 배출하므로, 도 2의 구조에서는 다량의 세척수를 분사하여야 하고 이에 따라 다량의 오염수가 발생하기 때문에 다수 펌프를 여러번 동작시킬 수 밖에 없다. 일반적으로 병원에는 한 병실에 여러명의 환자가 입원해 있는데, 이러한 펌프의 동작으로 인하여 많은 소음을 발생시킬 수 있어서 다른 환자의 불편을 야기시킬 수 있다. 따라서, 소음이 적은 바람을 이용하여 대변 또는 오염수의 배출을 보조시키면 세척수 분사 또는 대소변 분사를 위한 펌프가 동작하는 횟수 또는 시간이 감소하여 소음이 감소할 수 있다. In the case of elderly patients, etc., they excrete urine and feces dozens of times a day, so in the structure of Figure 2, a large amount of washing water must be sprayed and a large amount of contaminated water is generated, so multiple pumps have no choice but to operate multiple times. Typically, hospitals have multiple patients hospitalized in one room, and the operation of these pumps can generate a lot of noise, which can cause inconvenience to other patients. Therefore, if low-noise wind is used to assist in the discharge of feces or contaminated water, the number or time that the pump for spraying washing water or spraying feces or urine is operated can be reduced, thereby reducing noise.

한편, 바람 분사부(1202)를 별도로 구현하지 않고, 건조관(240)을 통하여 엉덩이 등을 건조시킨 후 바람을 배출 통로 방향으로 불어주도록 건조관(240)의 방향이 전환될 수도 있다. Meanwhile, without separately implementing the wind injection unit 1202, the direction of the drying pipe 240 may be changed to blow wind in the direction of the discharge passage after drying the buttocks through the drying pipe 240.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연결부 하단의 배출 통로에 비닐 등의 보호 부재가 배열될 수 있다. 이는 대소변 또는 오염수의 이동으로 인한 오염, 더러움이나 냄새를 최소화시키기 위해서이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a protective member such as vinyl may be arranged in the discharge passage at the bottom of the connection part. This is to minimize contamination, dirt or odor caused by movement of urine or feces or contaminated water.

도 16 및 도 1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저귀를 도시한 도면들이다. Figures 16 and 17 are diagrams showing a diap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6을 참조하면, 팽창부들(1600 및 1602) 사이에 연결부가 없이 팽창부들(1600 및 1602) 사이가 이격된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이 경우, 팽창부들(1600 및 1602)이 팽창하면 자연적으로 배출 통로가 형성될 수 있고, 상기 배출 통로와 배출관이 연결되어 대소변 또는 오염수가 상기 배출 통로 및 상기 배출관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6, the expansion parts 1600 and 1602 may have a structure in which the expansion parts 1600 and 1602 are spaced apart without a connection between the expansion parts 1600 and 1602. In this case, when the expansion parts 1600 and 1602 expand, a discharge passage can be naturally formed, and the discharge passage and the discharge pipe are connected so that urine or urine or contaminated water can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discharge passage and the discharge pipe.

도 17을 참조하면, 팽창부들(1700 및 1702)은 "ㄷ" 형상을 가지되, 팽창부들(1700 및 1702) 사이에 연결부 없이 팽창부들(1700 및 1702)이 이격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결과적으로, 팽창부들(1700 및 1702)이 팽창하면 자연스럽게 팽창부들(1700 및 1702) 사이에 배출 통로가 형성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7 , the expansion parts 1700 and 1702 may have a “ㄷ” shape, but may have a structure in which the expansion parts 1700 and 1702 are spaced apart without a connection between the expansion parts 1700 and 1702. As a result, when the expansion parts 1700 and 1702 expand, a discharge passage may be naturally formed between the expansion parts 1700 and 1702.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Figure 18 is a diagram showing the structure of a sen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센서(1800)는 대소변을 감지할 수 있는 센서로, 기저귀 후면의 내측면 상에 위치할 수 있다. 다만, 대소변을 감지할 수 있는 한 센서(1800)의 위치적인 제한은 없다. 한편, 상기 기저귀가 제 1 서브 기저귀 및 제 2 서브 기저귀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센서는 상기 제 1 서브 기저귀 내에 배열될 수 있다. The sensor 1800 is a sensor that can detect urine and feces, and may be locat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back of the diaper. However, there are no location restrictions on the sensor 1800 as long as it can detect urine and feces. Meanwhile, when the diaper includes a first sub-diaper and a second sub-diaper, the sensor may be arranged in the first sub-diaper.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센서(1800)는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저부(1810), 덮개(1812), 제 1 전극(1814) 및 제 2 전극(1816)을 포함할 수 있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전극들(1814 및 1816)을 전원(미도시)에 연결시키는 배선이 존재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sensor 1800 may include a base 1810, a cover 1812, a first electrode 1814, and a second electrode 1816, as shown in FIG. 18. Although not shown, there may be wiring connecting the electrodes 1814 and 1816 to a power source (not shown).

제 1 전극(1814)은 기저부(1810) 위에 형성되며, 덮개(1812)에 의해 덮혀진다. 즉, 덮개(1812)는 제 1 전극(1814) 위에 형성되어 제 1 전극(1814)을 덮는다. The first electrode 1814 is formed on the base 1810 and is covered by the cover 1812. That is, the cover 1812 is formed on the first electrode 1814 and covers the first electrode 1814.

제 2 전극(1816)은 기저부(1810) 위에 형성되며, 덮개(1812)의 외부에 위치할 수 있다. 즉, 제 1 전극(1814)은 덮개(1812)에 의해 덮혀지고 제 2 전극(1816)은 덮개(1812)에 의해 덮혀지지 않는다. The second electrode 1816 is formed on the base 1810 and may be located outside the cover 1812. That is, the first electrode 1814 is covered by the cover 1812 and the second electrode 1816 is not covered by the cover 1812.

이러한 구조를 가지는 센서(1800)는 예를 들어 후면의 내측면 상에 위치하고, 저항 변화를 감지하여 환자가 대소변을 배출하였는 지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대변 또는 소변을 배출하였다고 판단되면 세척 동작이 수행될 수 있다. The sensor 1800 having this structure is, for example, located on the inner side of the back, and can determine whether the patient has excreted urine or feces by detecting a change in resistance. If it is determined that feces or urine has been discharged, a washing operation may be performed.

덮개(1812)는 제 1 전극(1814) 위에 볼록하게 형성되며, 그 위에 홀들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덮개(1812)가 없으면 남자의 낭심 또는 여성의 음부 부위가 전극들(1814 및 1816)에 닿을 수 있으며 이 경우 낭심 또는 음부 부위의 수분으로 인하여 전극들(1814 및 1816)이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오작동할 수 있다. 즉, 대소변을 배출하지 않았음에도 센서(1800)는 대소변을 배출하였다고 오작동할 수 있다. The cover 1812 is formed convexly on the first electrode 1814, and holes may be formed thereon. Without this cover 1812, a man's cervix or a woman's genital area may touch the electrodes 1814 and 1816, and in this case, the electrodes 1814 and 1816 are electrically connected due to moisture in the cyst or genital area, causing malfunction. can do. In other words, the sensor 1800 may malfunction by indicating that urine and feces have been discharged even though no urine or feces has been discharged.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제 1 전극(1814) 위에 덮개(812)를 형성하여 낭심 또는 음부 부위가 직접적으로 제 1 전극(1814)에 닿지 않도록 하였다. 다만, 대소변 배출시 오줌 등이 제 1 전극(1814) 위로 흘러야 하므로, 오줌 등이 통과할 수 있는 홀들이 덮개(1812)에 형성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대소변시 오줌이 홀들을 통하여 제 1 전극(1814)으로 흐르므로, 전극들(1814 및 1816)이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센서(1800)의 저항이 변화될 수 있다. 센서(1800)는 이러한 저항 변화를 통하여 대소변을 감지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덮개(1812)를 형성하면, 높게 튀어 나온 길이만큼 사타구니가 뒤로 물러남으로써 배설시 대변이 쌓이는 위치 역시 뒤로 물러나게 된다. 결과적으로, 배설된 대변은 후술하는 바닥판에 안정적으로 쌓일 수 있다. To solve this problem, a cover 812 was formed on the first electrode 1814 to prevent the cyst or pubic area from directly contacting the first electrode 1814. However, since urine, etc. must flow over the first electrode 1814 when excreting urine or feces, holes through which urine, etc. can pass may be formed in the cover 1812. As a result, urine flows through the holes to the first electrode 1814 when urinating, so that the electrodes 1814 and 1816 are electrically connected and the resistance of the sensor 1800 may change. The sensor 1800 can detect urine and feces through this change in resistance. On the other hand, when such a cover 1812 is formed, the groin moves back by the high protruding length, and the location where feces accumulates during defecation also moves back. As a result, excreted feces can be stably accumulated on the bottom plate,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덮개(812)에 홀이 형성되지 않을 수도 있으며, 예를 들어 덮개(812)가 가죽 등의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홀이 형성되지 않더라도, 오줌 등이 덮개(812)를 타고 흘러서 전극들(1814 및 1816)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킬 수도 있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the hole may not be formed in the cover 812, and for example, the cover 812 may be made of a material such as leather. Even if a hole is not formed, urine or the like may flow through the cover 812 to electrically connect the electrodes 1814 and 1816.

물론, 센서(1800)는 대소변을 감지할 수 있는 한 도 18의 구조로 제한되지는 않는다. Of course, the sensor 1800 is not limited to the structure of FIG. 18 as long as it can detect urine and feces.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닥판의 구조 및 배열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20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바닥판의 구조 및 배열을 도시한 도면이다. Figure 19 is a diagram showing the structure and arrangement of a floor plat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20 is a diagram showing the structure and arrangement of a floor plat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바닥판(배출 보조부 또는 보조판, 1900)은 기저귀의 후면의 내측면, 제 1 서브 기저귀(610), 제 2 서브 기저귀(612) 또는 제 3 서브 기저귀(620)의 내측면 상에서 예를 들어 사타구니 근방에 배열될 수 있다. 물론, 바닥판(1900)은 기저귀 외부에 배열될 수도 있다. The bottom plate (discharge auxiliary portion or auxiliary plate, 1900) is disposed on the inner side of the rear of the diaper, the inner side of the first sub-diaper 610, the second sub-diaper 612 or the third sub-diaper 620, for example near the groin area. can be arranged in Of course, the bottom plate 1900 may also be arranged outside the diaper.

이러한 바닥판(1900)은 상면 및 하면이 평평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바닥판(1900)이 예를 들어 기저귀의 후면의 내측면 상에 배열되면 대변이 안정적으로 쌓이게 되고, 공간에 받아진 대소변이 배출구 방향으로 잘 미끄러질 수 있다. 즉, 바닥판(1900)는 대소변이 배출구 방향으로 잘 배출되도록 보조할 수 있다. This bottom plate 1900 may have flat upper and lower surfaces. As a result, if the bottom plate 1900 is arranged, for example, on the inner side of the rear of the diaper, feces can be stably piled up, and feces and urine received in the space can easily slide toward the outlet. In other words, the bottom plate 1900 can assist urine and feces to be properly discharged toward the outlet.

또한, 바닥판(1900)은 엉덩이 받침부, 제 1 팽창부, 허벅지 받침부들 및 팽창부들에 의해 형성되는 대소변을 받을 수 있는 공간을 안정적으로 유지시킬 수 있다. 일반적으로, 환자는 침대에 누워 있고 환자와 침대 사이에 이불이 놓일 수 있다. 이 경우, 이불에 의해 기저귀 부분, 특히 상기 공간이 형성된 부분이 볼록하게 솟아질 수 있으며, 그 결과 대소변을 받을 수 있는 공간이 작아질 수 있다. Additionally, the bottom plate 1900 can stably maintain a space for receiving urine and feces formed by the hip support portion, the first expansion portion, the thigh support portions, and the expansion portions. Typically, the patient is lying in a bed and a blanket may be placed between the patient and the bed. In this case, the diaper portion, especially the portion where the space is formed, may be protruded by the blanket, and as a result, the space for receiving urine or feces may become smaller.

반면에, 바닥판(1900)이 존재하면 이불과 상관없이 상기 공간에 대응하는 기저귀 부분을 항상 평평하게 유지할 수 있으며, 그 결과 대소변을 받을 수 있는 공간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기능을 위해서는 바닥판(1900)이 안정적으로 고정될 필요가 있으며, 이를 위해 바닥판(1900)은 몸체(1910)의 양측면에 날개들(1912 및 1914)이 형성된 구조를 가지며 날개들(1912 및 1914)이 받침 부재 또는 팽창부에 의해 눌려지도록 할 수 있다. 물론, 몸체(1910)의 일부분이 상기 받침 부재 또는 상기 팽창부에 의해 눌려질 수도 있다. 이 경우, 환자의 몸무게에 의해 바닥판(1900)이 눌려지게 되어 바닥판(1900)은 안정적으로 고정될 뿐만 아니라 바닥과 수평을 유지할 수 있다. 이 때, 몸체(1910)는 'ㄷ' 형상의 받침 부재 중 측면 부재들(1932 및 1934) 사이의 공간에 위치하고, 날개들(1912 및 1914)은 측면 부재들(1932 및 1934)에 의해 눌려질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if the bottom plate 1900 is present, the portion of the diaper corresponding to the space can always be kept flat regardless of the blanket, and as a result, a sufficient space for receiving urine and feces can be secured. However, for this function, the bottom plate 1900 needs to be stably fixed, and for this purpose, the bottom plate 1900 has a structure in which wings 1912 and 1914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body 1910, and the wings ( 1912 and 1914) can be pressed by a support member or expansion part. Of course, a portion of the body 1910 may be pressed by the support member or the expansion portion. In this case, the bottom plate 1900 is pressed by the patient's body weight, so that the bottom plate 1900 is not only stably fixed but also can be maintained horizontal with the floor. At this time, the body 1910 is located in the space between the side members 1932 and 1934 of the 'ㄷ' shaped support member, and the wings 1912 and 1914 are pressed by the side members 1932 and 1934. You can.

한편, 바닥판(1900)은 받침 부재와 팽창부 사이로 삽입될 수도 있다. Meanwhile, the bottom plate 1900 may be inserted between the support member and the expansion part.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판(1900)의 일부분, 특히 대변이 떨어지는 부분에 홀 또는 투명 부분(2000)이 형성될 수 있으며, 대변을 받는 측면에서 홀보다는 투명 부분(2000)이 바람직하다. 이는 대변을 감지하기 위해서이다. 구체적으로는, 기저귀 내부에서 바닥판(1900)을 기준으로 발광부와 수광부가 대칭적으로 배열되되, 상기 발광부로부터 출력된 광이 바닥판(1900)의 투명 부분(2000)을 통과하여 수광부로 입사될 수 있으며, 상기 수광부는 감지 결과를 외부로 출력시킬 수 있다. 대변이 배설하지 않거나 오줌을 싸는 경우에는 투명 부분(2000)이 투명한 상태를 유지하지만 대변이 배설되는 경우에는 투명 부분(2000)이 불투명해진다. 이러한 차이를 통하여 대변이 배설되었는 지를 감지할 수 있다. 물론, 불투명해진 투명 부분(2000)은 세척시 다시 투명하게 변화될 것이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as shown in FIG. 20, a hole or transparent portion 2000 may be formed in a portion of the bottom plate 1900, especially the portion where feces fall, and a transparent portion (2000) rather than a hole on the side that receives feces. 2000) is preferable. This is to detect feces. Specifically, inside the diaper, the light emitting part and the light receiving part are arranged symmetrically with respect to the bottom plate 1900, and the light output from the light emitting part passes through the transparent part 2000 of the bottom plate 1900 to the light receiving part. may be incident, and the light receiving unit may output the detection result to the outside. When stool is not excreted or urine is urinated, the transparent portion 2000 remains transparent, but when stool is excreted, the transparent portion 2000 becomes opaque. Through these differences, it is possible to detect whether stool has been excreted. Of course, the transparent part 2000 that has become opaque will become transparent again when washed.

한편, 투명 부분(2000)을 제외한 바닥판(1900)의 나머지 부분은 불투명할 수 있다. Meanwhile, the remaining portion of the bottom plate 1900 excluding the transparent portion 2000 may be opaque.

이러한 바닥판(1900)의 구조에서는, 받침 부재와 팽창부가 제 1 서브 기저귀(610)의 내측면에 배열되고 바닥판(1900)이 상기 내측면에서 상기 팽창부 하부에 위치하거나, 상기 받침 부재는 제 1 서브 기저귀(610)의 내측면에 위치하고 상기 팽창부는 제 2 서브 기저귀(612) 내에 위치하며 바닥판(1900)이 상기 내측면에서 상기 받침 부재 하부에 위치할 수 있다. In this structure of the bottom plate 1900, the support member and the expansion part are arrang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sub-diaper 610 and the bottom plate 1900 is located below the expansion part on the inner surface, or the support member is It is locat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sub-diaper 610, the expansion part is located within the second sub-diaper 612, and the bottom plate 1900 may be positioned below the support member on the inner surface.

또는, 상기 받침 부재와 상기 팽창부가 제 2 서브 기저귀(612) 내에 위치하는 경우 바닥판(1900)은 제 1 서브 기저귀(610)의 내측면에 부착될 수도 있다. Alternatively, when the support member and the expansion part are located within the second sub-diaper 612, the bottom plate 1900 may be attach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sub-diaper 610.

한편, 상기 발광부와 상기 수광부는 바닥판(1900)을 기준으로 대칭적으로 배열되고 제 1 서브 기저귀(610)의 일부가 광이 투과할 수 있도록 투명하게 형성될 수도 있지만, 바닥판(1900)의 일측면 상부에 함께 위치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바닥판(1900)에 투명 부분(2000)이 아닌 반사 부분이 형성될 수도 있다. Meanwhile, the light emitting unit and the light receiving unit are arranged symmetrically with respect to the bottom plate 1900, and a portion of the first sub-diaper 610 may be formed transparent to allow light to pass through, but the bottom plate 1900 It may be located together at the top of one side of the. In this case, a reflective part rather than a transparent part 2000 may be formed in the bottom plate 1900.

또한, 상기 수광부가 광을 감지하면 전기를 발생시킬 수 있는 태양광 패널이 상기 기저귀 내부에 추가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Additionally, a solar panel capable of generating electricity when the light receiving unit detects light may be additionally formed inside the diaper.

게다가, 바닥판(1900) 및 기저귀에 투명 부분을 거리를 두고 복수로 형성하면 대변 떨어지는 부위가 좁은지 넓은지를 측정할 수 있으며, 그 결과 대변의 양을 어느 정도 측정할 수 있다. 물론, 대변의 묽은 정도에 따라 투명 부분(2000)을 통과하는 광의 양이 달라지므로, 이러한 광의 양을 통하여 대변의 질도 측정할 수 있다. 이 경우, 하나의 발광부가 사용될 수도 있지만 복수의 발광부들이 사용될 수도 있다. In addition, by forming a plurality of transparent parts on the bottom plate 1900 and the diaper at a distance, it is possible to measure whether the area where feces fall is narrow or wide, and as a result, the amount of feces can be measured to some extent. Of course, since the amount of light passing through the transparent portion 2000 varies depending on the degree of dilution of the stool, the quality of the stool can also be measured through this amount of light. In this case, one light emitting unit may be used, but multiple light emitting units may be used.

한편, 상기 기저귀의 투명 부분은 재질 자체가 투명 재질이거나 상기 기저귀에 홀이 형성되고 그 위에 투명 부재(예를 들어, 투명 플라스틱판)가 부착될 수도 있다. Meanwhile, the transparent portion of the diaper may itself be made of a transparent material, or a hole may be formed in the diaper and a transparent member (for example, a transparent plastic plate) may be attached thereto.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바닥판 없이 투명 부분이 기저귀의 일부분에 형성되고, 상기 투명 부분을 기준으로 발광부 및 수광부가 배열되어 대변을 감지할 수도 있다. 물론, 상기 기저귀의 일부분에 반사체가 형성되고 광의 반사를 이용하여 대변을 감지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상기 반사체를 기준으로 동일한 방향에 발광부 및 수광부가 배열될 것이다. 이 때, 상기 수광부로 조도 센서 또는 태양광 센서가 사용될 수 있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a transparent portion may be formed in a portion of the diaper without a bottom plate, and a light emitting portion and a light receiving portion may be arranged based on the transparent portion to detect feces. Of course, a reflector may be formed on a portion of the diaper and feces may be detected using light reflection. In this case, the light emitting unit and the light receiving unit will be arranged in the same direction based on the reflector. At this time, an illuminance sensor or a solar sensor may be used as the light receiving unit.

한편, 전술된 실시예의 구성 요소는 프로세스적인 관점에서 용이하게 파악될 수 있다. 즉, 각각의 구성 요소는 각각의 프로세스로 파악될 수 있다. 또한 전술된 실시예의 프로세스는 장치의 구성 요소 관점에서 용이하게 파악될 수 있다.Meanwhile, the components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can be easily understood from a process perspective. In other words, each component can be understood as a separate process. Additionally, the processes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can be easily understood from the perspective of the components of the device.

상기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고, 본 발명에 대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isclosed for illustrative purposes,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be able to make various modifications, changes, and additions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uch modifications, changes, and additions will be possible. should be regarded as falling within the scope of the patent claims below.

200a : 전면 200b : 후면
210 : 힙부 212, 214 : 허벅지부
220 : 엉덩이 받침부 222 : 허벅지 받침부
224 : 허리 받침부 230 : 제 1 배출관
234 : 세척관 240 : 건조관
600 : 받침부 602 : 팽창부
610 : 제 1 서브 기저귀 612 : 제 2 서브 기저귀
620 : 제 3 서브 기저귀 702 : 받침 부재
1200 : 제 2 배출관 1202 : 바람 분사부
1300 : 제 1 팽창부 1302 : 제 2 팽창부
1304 : 연결부 1800 : 센서
1810 : 기저부 1812 : 덮개
1814, 1816 : 전극 1900 : 바닥판(배출 보조부)
1910 : 몸체 1912, 1914 : 날개
1920 : 받침 부재 1930 : 엉덩이 받침부
1932, 1934 : 허벅지 받침부 2000 : 투명 부분
200a: Front 200b: Rear
210: hip part 212, 214: thigh part
220: hip support 222: thigh support
224: waist support 230: first discharge pipe
234: washing pipe 240: drying pipe
600: support part 602: expansion part
610: first sub diaper 612: second sub diaper
620: Third sub diaper 702: Support member
1200: second discharge pipe 1202: wind injection unit
1300: first expansion part 1302: second expansion part
1304: Connection 1800: Sensor
1810: Base 1812: Cover
1814, 1816: Electrode 1900: Bottom plate (discharge auxiliary part)
1910: Body 1912, 1914: Wings
1920: support member 1930: butt support member
1932, 1934: thigh support 2000: transparent part

Claims (16)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대소변용 하의에 있어서,
전면;
후면; 및
상기 전면과 상기 후면을 연결시키는 연결면을 포함하되,
상기 후면은 사용자의 힙에 대응하는 힙부를 가지고, 상기 힙부의 내측면 또는 외측면 상에 팽창부 및 엉덩이 받침부가 형성되며, 상기 엉덩이 받침부는 상기 팽창부의 상부 또는 하부에 위치하고, 상기 팽창부가 팽창함에 따라 상기 사용자의 엉덩이가 상승하여 상기 후면 또는 상기 후면과 상기 연결면 사이에 대소변을 받을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하의의 일부분에 투명 부분이 형성되고, 상기 투명 부분을 기준으로 하여 발광부 및 수광부가 대칭적으로 배열되며, 상기 발광부로부터 출력된 광이 상기 투명 부분을 통과하여 상기 수광부로 입사되고, 상기 입사되는 광을 분석하여 상기 사용자가 대변을 배출하였는 지의 여부가 판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소변용 하의.
In bottoms for toileting,
Front;
back side; and
Includes a connecting surface connecting the front and the rear,
The rear has a hip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user's hip, and an expansion portion and a hip support portion are formed on the inner or outer surface of the hip portion. The hip support portion is located above or below the expansion portion, and when the expansion portion expands, the hip support portion is formed. Accordingly, the user's buttocks rise to form a space for receiving urine and feces at the rear or between the rear and the connection surface,
A transparent portion is formed in a portion of the bottoms, a light emitting portion and a light receiving portion are arranged symmetrically with respect to the transparent portion, and the light output from the light emitting portion passes through the transparent portion and is incident on the light receiving portion. Pants for toileting, characterized in that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user has discharged feces by analyzing the incident light.
사용자의 몸이 삽입되는 제 1 서브 하의; 및
상기 제 1 서브 하의의 외측 또는 내측에 연결되는 제 2 서브 하의를 포함하되,
상기 제 1 서브 하의는 전면, 후면 및 상기 전면과 상기 후면을 연결시키는 연결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서브 하의는 내측 공간을 가지며,
상기 제 2 서브 하의의 내측 공간에는 팽창부와 받침 부재 중 적어도 하나가 배열되고, 상기 받침 부재는 상기 팽창부의 상부 또는 하부에 배열되며, 상기 팽창부가 팽창함에 따라 상기 사용자의 엉덩이가 상승하여 상기 후면 또는 상기 후면과 상기 연결면 사이에 대소변을 받을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소변용 하의.
First sub-bottoms into which the user's body is inserted; and
Includes a second sub-bottom connected to the outside or inside of the first sub-bottom,
The first sub-pants include a front, a back, and a connection surface connecting the front and the back, and the second sub-pants have an inner space,
At least one of an expansion part and a support member is arranged in the inner space of the second sub-pants, and the support member is arranged at an upper or lower part of the expansion part, and as the expansion part expands, the user's buttocks rise and reach the rear surface. Or, bottoms for toileting, characterized in that a space for receiving toilet or urine is formed between the rear surface and the connecting surface.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서브 하의는 상기 엉덩이 부분에만 형성되며, 천의 종단들이 상기 제 1 서브 하의에 연결됨에 따라 상기 제 2 서브 하의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소변용 하의.The toilet bottom of claim 9, wherein the second sub bottom is formed only at the hip portion, and the second sub bottom is formed by connecting the ends of the fabric to the first sub bottom.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천의 종단들이 상기 제 1 서브 하의에 찍찍이 형태로 접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소변용 하의.The bottoms for toileting according to claim 10, wherein the ends of the fabric are attached to the first sub bottoms in the form of a squeegee.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서브 하의 내측에 대소변을 감지할 수 있는 센서가 배열되되,
상기 센서는 2개의 전극들을 포함하고, 상기 전극들 중 제 1 전극 위에는 남자의 낭심 또는 여성의 음부 부분이 상기 제 1 전극에 닿지 않도록 하는 덮개가 형성되며, 상기 덮개에는 대소변에 따른 물이 통과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홀이 형성되고, 상기 전극들 중 제 2 전극 위에는 덮개가 형성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소변용 하의.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a sensor capable of detecting urine and feces is arranged on the inside of the first sub.
The sensor includes two electrodes, and a cover is formed on the first of the electrodes to prevent a man's cyst or a woman's genital area from touching the first electrode, and the cover allows water from urine and feces to pass through. Pants for toilet use, characterized in that at least one hole is formed, and a cover is not formed on the second electrode among the electrodes.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후면의 내측면 또는 외측면 상에는 대소변이 배출구 방향으로 잘 미끌어지도록 보조하는 보조판이 형성되고, 상기 보조판의 일부분은 상기 받침 부재 또는 상기 팽창부에 의해 눌려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소변용 하의.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an auxiliary plate is formed on the inner or outer surface of the rear surface to help the urine and feces slide well toward the outlet, and a portion of the auxiliary plate is pressed by the support member or the expansion part. Bottoms for toileting.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판의 일부분에 투명 부분이 형성되되,
상기 투명 부분을 통과하는 광을 감지하여 상기 사용자가 대변을 배출하였는 지의 여부가 판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소변용 하의.
The method of claim 13, wherein a transparent portion is formed in a portion of the auxiliary plate,
Pants for toileting and urina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user has discharged feces by detecting light passing through the transparent portion.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서브 하의 중 상기 보조판의 투명 부분에 대응하는 부분이 투명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소변용 하의. The bottoms for toileting according to claim 14, wherein a portion of the first sub bottoms corresponding to the transparent portion of the auxiliary plate is transparent. 삭제delete
KR1020220105283A 2022-03-30 2022-08-23 Pants for urine and feces amd method of disposing urine and feces KR102652047B1 (en)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5283A KR102652047B1 (en) 2022-08-23 2022-08-23 Pants for urine and feces amd method of disposing urine and feces
JP2023519858A JP2024520182A (en) 2022-03-30 2023-03-09 Underwear for defecation and urination and method for treating defecation and urination
PCT/KR2023/003243 WO2023191336A2 (en) 2022-03-30 2023-03-09 Undergarment for urine/feces and method for disposing of urine/feces
EP23712141.3A EP4279046A2 (en) 2022-03-30 2023-03-09 Undergarment for urine/feces and method for disposing of urine/feces
TW112112025A TW202402250A (en) 2022-03-30 2023-03-29 Pants for urine or feces and method of disposing of urine and feces
US18/297,435 US20230310202A1 (en) 2022-03-30 2023-04-07 Pants for urine or feces and method of disposing of urine and feces
KR1020240039495A KR20240045176A (en) 2022-08-23 2024-03-22 Pants for urine and feces amd method of disposing urine and fec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5283A KR102652047B1 (en) 2022-08-23 2022-08-23 Pants for urine and feces amd method of disposing urine and feces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40039495A Division KR20240045176A (en) 2022-08-23 2024-03-22 Pants for urine and feces amd method of disposing urine and fec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27272A KR20240027272A (en) 2024-03-04
KR102652047B1 true KR102652047B1 (en) 2024-03-29

Family

ID=90297929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05283A KR102652047B1 (en) 2022-03-30 2022-08-23 Pants for urine and feces amd method of disposing urine and feces
KR1020240039495A KR20240045176A (en) 2022-08-23 2024-03-22 Pants for urine and feces amd method of disposing urine and feces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40039495A KR20240045176A (en) 2022-08-23 2024-03-22 Pants for urine and feces amd method of disposing urine and fece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652047B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13244A (en) * 2002-05-16 2005-01-20 Masanobu Kujirada Device for detecting urination or defecation, and automatic suction disposal device
KR101326562B1 (en) 2012-11-05 2013-11-08 박창열 Diaper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8004225A1 (en) * 1996-07-30 1998-02-05 Procter & Gamble Company Disposable garment with inspection porthole
JP4979999B2 (en) * 2005-07-13 2012-07-18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Urine sensor
KR102198402B1 (en) * 2019-04-03 2021-01-05 김후영 Pants for urine and feces amd method of disposing urine and feces
KR20210079819A (en) 2019-12-20 2021-06-30 한국섬유개발연구원 Diapers capable of detecting feces and urin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13244A (en) * 2002-05-16 2005-01-20 Masanobu Kujirada Device for detecting urination or defecation, and automatic suction disposal device
KR101326562B1 (en) 2012-11-05 2013-11-08 박창열 Diap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27272A (en) 2024-03-04
KR20240045176A (en) 2024-04-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98402B1 (en) Pants for urine and feces amd method of disposing urine and feces
KR101093444B1 (en) Apparatus for automatic disposing excreta
KR101210932B1 (en) Automatic excretion cleaner
KR101299185B1 (en) Automatic excretion cleaner
US20030181880A1 (en) Self cleaning garment with portable cleaning apparatus suitable for incontinent individuals and the like
KR102047781B1 (en) Apparatus for treating patient's urine and feces automatically
US20220023109A1 (en) Pants for urine or feces and method of disposing of urine and feces
JPH1085275A (en) Automatic urine and feces disposal system for bed-ridden person
KR102320648B1 (en) Automatic feces treatment device for patient bed
WO2008038485A1 (en) Human waste disposal device
KR101313229B1 (en) Automatic excrement treating apparatus, excrement collection diar thereof and backstay mat thereof
KR102652047B1 (en) Pants for urine and feces amd method of disposing urine and feces
KR101052024B1 (en) Ejector toilet
KR102663949B1 (en) Pants for urine and feces amd method of disposing urine and feces
JP2024520182A (en) Underwear for defecation and urination and method for treating defecation and urination
RU2783851C1 (en) Pant-diapers for urine or feces and a method for removing urine and feces
CN108143554A (en) It is multifunction nursing bed
CN117999052A (en) Lower garment for relieving bowels and method for treating relieving bowels
KR102536547B1 (en) Toilet bowl for patients
JPH08289906A (en) Bed for bedridden person and nursing method
TWM565020U (en) Excreta cleaning device and method thereof
JP2019134913A (en) Excrement cleaning device and method thereof
JP7181513B1 (en) A bed for nursing care that allows excretion to wash the buttocks and the mat around the buttocks.
CN118340627A (en) Nursing device for cleaning urine and feces of bedridden patient
KR20120100518A (en) Disposing excret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