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51311B1 - 마이크로폰들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음성을 분석하는 전자 장치 및 모바일 장치 - Google Patents

마이크로폰들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음성을 분석하는 전자 장치 및 모바일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51311B1
KR102651311B1 KR1020190065150A KR20190065150A KR102651311B1 KR 102651311 B1 KR102651311 B1 KR 102651311B1 KR 1020190065150 A KR1020190065150 A KR 1020190065150A KR 20190065150 A KR20190065150 A KR 20190065150A KR 102651311 B1 KR102651311 B1 KR 1026513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electronic device
sound
microphone
lo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651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39285A (ko
Inventor
고동균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651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51311B1/ko
Priority to US16/794,271 priority patent/US11128969B2/en
Publication of KR202001392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392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13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13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9/00Monitoring arrangements; Testing arrangements
    • H04R29/004Monitoring arrangements; Testing arrangements for microphones
    • H04R29/005Microphone array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48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 H04M1/7245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according to context-related or environment-related condi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OR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9/00Speech or audio signals analysis-synthesis techniques for redundancy reduction, e.g. in vocoders; Coding or decoding of speech or audio signals, using source filter models or psychoacoustic analysis
    • G10L19/02Speech or audio signals analysis-synthesis techniques for redundancy reduction, e.g. in vocoders; Coding or decoding of speech or audio signals, using source filter models or psychoacoustic analysis using spectral analysis, e.g. transform vocoders or subband vocoders
    • G10L19/032Quantisation or dequantisation of spectral compon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20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 H04R1/32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directional characteristic only
    • H04R1/40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directional characteristic only by combining a number of identical transducers
    • H04R1/406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directional characteristic only by combining a number of identical transducers micro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9/00Monitoring arrangements; Testing arrangements
    • H04R29/001Monitoring arrangements; Testing arrangements for loudspeak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3/00Circuits for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3/005Circuits for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for combining the signals of two or more micro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2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 H04R1/04Structural association of microphone with electric circuitry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99/00Aspects covered by H04R or H04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eir subgroups
    • H04R2499/10General applications
    • H04R2499/11Transducers incorporated or for use in hand-held devices, e.g. mobile phones, PDA's, camera'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99/00Aspects covered by H04R or H04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eir subgroups
    • H04R2499/10General applications
    • H04R2499/15Transducers incorporated in visual displaying devices, e.g. televisions, computer displays, laptops

Abstract

본 발명은 마이크로폰들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음성을 분석하는 전자 장치 및 모바일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제 1 마이크로폰, 제 2 마이크로폰, 디지털 신호 프레세서 및 감지기를 포함한다. 제 1 마이크로폰은 제 1 위치에서 음원으로부터의 소리를 샘플링하여 제 1 신호를 생성한다. 제 2 마이크로폰은 제 1 위치와 이격된 제 2 위치에서 음원으로부터의 소리를 샘플링하여 제 2 신호를 생성한다.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는 제 1 신호 및 제 2 신호를 비교하여, 음원의 위치와 관련되는 외부 환경 정보를 획득한다. 감지기는 외부 환경 정보에 기초하여, 통화 모드를 결정한다.

Description

마이크로폰들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음성을 분석하는 전자 장치 및 모바일 장치{ELECTRONIC DEVICE AND MOBILE DEVICE FOR ANALYZING USER'S VOICE USING A PLURALITY OF MICROPHONES}
본 발명은 전자 장치 및 모바일 장치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복수의 마이크로폰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모바일 장치에 관한 것이다.
단말기(terminal)는 이동 가능 여부에 따라 이동 단말기(mobile or portable terminal) 및 고정 단말기(stationary terminal)로 나뉜다. 또한, 이동 단말기는 사용자의 직접 휴대 가능 여부에 따라 휴대형 단말기(handheld terminal) 및 거치형 단말기(vehicle mount terminal)로 나뉜다. 예로서, 이동 단말기는 스마트 폰(smartphone), 태블릿 PC(tablet personal computer), 웨어러블(Wearable) 장치 등과 같은 전자 장치들 중 하나로 구현될 수 있다.
이동 단말기는 사용자에게 통화 서비스를 제공한다. 사용자는 이동 단말기를 이용하여 상대방과 통화한다. 반도체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이동 단말기의 기능이 다양해지고 있다. 또한, 이동 단말기의 기능이 다양해짐에 따라, 사용자는 통화 중에도 이동 단말기를 이용하여 다양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예로서, 사용자가 이어폰을 이용하여 상대방과 통화하는 경우, 사용자는 통화 중에도 스마트 폰 화면을 조작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마이크로폰들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음성을 분석하는 전자 장치 및 모바일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제 1 마이크로폰, 제 2 마이크로폰, 디지털 신호 프레세서 및 감지기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마이크로폰은 제 1 위치에서 음원으로부터의 소리를 샘플링하여 제 1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제 2 마이크로폰은 제 1 위치와 이격된 제 2 위치에서 음원으로부터의 소리를 샘플링하여 제 2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는 제 1 신호 및 제 2 신호를 비교하여, 음원의 위치와 관련되는 외부 환경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감지기는 외부 환경 정보에 기초하여, 통화 모드를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제 1 마이크로폰, 제 2 마이크로폰, 및 감지기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마이크로폰은 음원으로부터 출력된 소리를 제 1 위치에서 수신하여, 제 1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제 2 마이크로폰은 음원으로부터 출력된 소리를 제 1 위치와 이격된 제 2 위치에서 수신하여, 제 2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감지기는 소리가 제 1 마이크로폰으로 수신된 제 1 시각과 소리가 제 2 마이크로폰으로 수신된 제 2 시각 사이의 시간 길이에 기초하여, 통화 모드를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모바일 장치는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 및 감지기를 포함할 수 있다.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는 음원으로부터의 소리에 기초하여 생성된 제 1 신호 및 음원으로부터의 소리에 기초하여 생성된 제 2 신호를 비교하여, 음원의 위치와 관련되는 제 1 외부 환경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감지기는 제 1 외부 환경 정보에 기초하여, 통화 모드를 결정하는 감지기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신호는 모바일 장치 상의 제 1 위치에서 수신된 소리에 기초하여 생성될 수 있다. 제 2 신호는 모바일 장치 상의 제 2 위치에서 수신된 소리에 기초하여 생성될 수 있다. 제 1 위치는 제 2 위치와 이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전자 장치와 사용자 사이의 거리에 따라 통화 모드를 전환할 수 있다. 따라서, 전자 장치가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중에 사용자의 동작을 잘못 인식하여 오동작하는 횟수가 감소될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는 사용자와의 거리를 예측하는데 소모되는 전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를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사용자의 위치를 파악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3은 사용자의 거리와 고유한 샘플들의 개수 사이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4는 마이크로폰들이 디지털 신호들을 생성하는 동작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5는 도 4의 마이크로폰들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6은 도 1의 전자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7은 사용자가 전자 장치로부터 멀어지게 되는 경우에 관하여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8은 사용자가 전자 장치로부터 멀어지게 되는 경우 고유한 샘플들의 개수 변화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9는 외부 환경을 고려하여 통화 모드를 결정하는 전자 장치를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10은 도 9의 전자 장치가 통화 모드를 결정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네트워크 환경내의 전자 장치의 블럭도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이 명확하고 상세하게 기재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를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전자 장치(200)는 마이크로폰들(211, 212), 디지털 신호 처리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250), 및 감지기(26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이하 설명들에서, 전자 장치(200)가 두 개의 마이크로폰들(211, 212)을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되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전자 장치(200)는 두 개 이상의 마이크로폰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장치(200)는 사용자(300)에게 통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300)는 전자 장치(200)를 이용하여 상대방과 통화할 수 있다. 상대방은 사용자(300)와 떨어진 곳에 위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200)는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도중에도 사용자의 동작 또는 외부로부터의 자극에 대해 보다 정확하게 반응할 수 있다. 이하 설명되는 동작들은 전자 장치(200)가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동안에 수행되는 동작들에 해당된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200)는 다양한 형태의 장치가 될 수 있다. 전자 장치(200)는, 예를 들면, 모바일 장치 (예로서, 스마트폰), 컴퓨터 장치, 휴대용 멀티미디어 장치, 휴대용 의료 기기, 카메라, 웨어러블 장치, 또는 가전 장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전술한 기기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만, 이하의 설명들에서, 더 나은 이해를 돕기 위해, 전자 장치(200)는 스마트 폰인 것으로 가정된다.
마이크로폰들(211, 212)은 각각 신호들(s11, s12)을 수신할 수 있다. 신호들(s11, s12)은 전자 장치(200)로부터 특정 거리만큼 떨어진 곳에서 발생된 소리일 수 있다. 신호들(s11, s12)은 아날로그 신호일 수 있다. 이하 설명들에서, 제 1 마이크로폰(211)으로 전달되는 소리는 신호(s11)로 표현된다. 또한, 제 2 마이크로폰(212)으로 전달되는 소리는 신호(s12)로 표현된다. 신호들(s11, s12)은 동일한 시각에 발생할 수 있다.
제 1 마이크로폰(211)은 제 2 마이크로폰(212)과 일정 거리만큼 떨어져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음원(구체적으로, 소리가 발생된 곳)으로부터 제 1 마이크로폰(211)및 제 2 마이크로폰(212)까지의 거리들(d1, d2)이 상이할 수 있다. 거리들(d1, d2)이 상이하므로, 신호들(s11, s12)이 마이크로폰들(211, 212)으로 수신되는 시각들이 상이할 수 있다.
마이크로폰들(211, 212)은 신호들(s11, s12)을 디지털 신호들(ds1, ds2)로 변환할 수 있다. 마이크로폰들(211, 212)은 신호들(s11, s12)을 샘플링 주파수로 샘플링할 수 있다. 샘플링 주파수에 따라, 신호들(s11, s12)이 1초당 샘플링되는 횟수가 상이할 수 있다. 또한, 샘플링 주파수에 따라, 신호들(s11, s12)이 샘플링되어 생성된 샘플들 사이의 간격이 상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 1 마이크로폰(211)이 48kHz의 샘플링 주파수를 이용하여 신호(s11)를 샘플링하는 경우, 신호(s11)는 1초당 48,000번 샘플링될 수 있다. 즉, 신호(s11)는 1/48,000초(즉, 21마이크로초(μs))마다 샘플링될 수 있다. 이 경우, 소리의 속력을 약 340m/s로 가정한다면, 신호(s11)가 샘플링되어 생성된 샘플들 사이의 간격은 0.00708m(즉, 0.708cm)일 수 있다.
거리들(d1, d2)이 상이하므로, 신호(s11)가 제 1 마이크로폰(211)에 도달한 시각과 신호(s12)가 제 2 마이크로폰(212)에 도달한 시각이 상이할 수 있다. 따라서, 신호(s11)가 샘플링되어 생성된 샘플들과 신호(s12)가 샘플링되어 생성된 샘플들 사이에 차이가 있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신호(s11)가 샘플링되어 생성된 샘플들 중에 신호(s12)가 샘플링되어 생성된 샘플들에 대응하지 않는 샘플들이 존재할 수 있다. 이하 설명들에서, 신호(s11)가 샘플링되어 생성된 샘플들 중에 신호(s12)가 샘플링되어 생성된 샘플들에 대응하지 않는 샘플들은 “고유한 샘플들”로 표현된다.
또한, 디지털 신호(ds1)의 비트 값들과 디지털 신호(ds2)의 비트 값들 사이에도 차이가 있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디지털 신호(ds1)의 비트들 중에 디지털 신호(ds2)의 비트들에 대응하지 않는 비트들이 존재할 수 있다. 이하 설명들에서, 디지털 신호(ds1)의 비트들 중에 디지털 신호(ds2)의 비트들에 대응하지 않는 비트들은 디지털 신호(ds1)의 고유한 비트들로 표현된다. 디지털 신호(ds1)의 고유한 비트들에 관하여는 도 4를 참조하여 자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디지털 신호 처리 프로세서(250)는 디지털 신호들(ds1, ds2)을 수신할 수 있다. 디지털 신호 처리 프로세서(250)는 디지털 신호들(ds1, ds2)의 비트 값들을 비교하여, 사용자(300)의 거리와 관련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300)의 거리와 관련된 정보는 디지털 신호(ds1)의 고유한 비트들의 개수에 대한 정보 또는 고유한 샘플들의 개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디지털 신호 처리 프로세서(250)가 사용자(300)의 거리와 관련된 정보를 획득하는 과정은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자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사용자(300)의 거리와 관련된 정보는 외부 환경 정보로 표현될 수도 있다.
디지털 신호 처리 프로세서(250)는 신호(rs1)를 생성할 수 있다. 신호(rs1)는 사용자(300)의 거리와 관련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감지기(260)는 신호(rs1)를 수신할 수 있다. 감지기(260)는 신호(rs1)로부터 사용자(300)의 거리와 관련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로서, 신호(rs1)는 고유한 샘플들의 개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감지기(260)는 고유한 샘플들의 개수와 기준 샘플 개수를 비교하여, 전자 장치(200)의 통화 모드를 결정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감지기(260)의 기능 및 동작은 도 11의 메인 프로세서(121)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고유한 샘플들의 개수가 기준 샘플 개수보다 적은 경우, 감지기(260)는 통화 모드를 활성화 모드로 결정할 수 있다. 즉, 사용자(300)가 전자 장치(200)로부터 일정 거리만큼 떨어져 있는 경우, 전자 장치(200)는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중에도 사용자(300)의 지시에 대응하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고유한 샘플들의 개수가 기준 샘플 개수보다 많은 경우, 감지기(260)는 통화 모드를 비활성화 모드로 결정할 수 있다. 즉, 사용자(300)가 전자 장치(200)에 가까이 위치하거나 사용자(300)의 얼굴이 전자 장치(200)에 접촉되어 있는 경우, 전자 장치(200)는 사용자(300)의 터치 또는 외부 자극에 반응하지 않을 수 있다. 즉, 전자 장치(200)는 사용자(300)의 의도치 않은 터치에 대해 반응하지 않음으로써 오동작하지 않을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사용자의 위치를 파악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전자 장치(200)는 스피커를 통해 상대방의 음성을 출력할 수 있다. 스피커는전자 장치(200)의 앞면(201) 또는 옆면들(202~205) 중 하나에 위치할 수 있다. 사용자(300)는 상대방의 음성을 듣기 위해, 사용자(300)의 얼굴을 전자 장치(200)에 근접시키거나 전자 장치(200)의 앞면(201)에 접촉시킬 수 있다.
전자 장치(200)는 마이크로폰들(211, 212)을 포함할 수 있다. 마이크로폰들(211, 212)은 전자 장치(200)의 옆면들(202, 203, 204, 205)에 위치할 수 있다. 예로서, 마이크로폰들(211, 212)은 각각 옆면들(202, 204)에 위치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마이크로폰들(211, 212)은 각각 상이한 옆면들에 위치하거나 옆면들(202, 203, 204, 205) 중 하나의 옆면에 이격되어 위치할 수 있다.
즉, 제 1 마이크로폰(211)은 제 2 마이크로폰(212)과 일정 거리만큼 떨어져 위치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 1 마이크로폰(211)은 전자 장치(200)의 옆면(202)의 왼쪽 끝 부분에, 제 2 마이크로폰(212)은 전자 장치(200)의 옆면(204)의 왼쪽 끝 부분에 위치할 수 있다. 마이크로폰들(211, 212) 사이의 거리는 전자 장치(200)의 크기와 관련될 수 있다. 마이크로폰들(211, 212)은 각각 사용자(300)와 거리(d1, d2)만큼 떨어져 위치할 수 있다. 마이크로폰들(211, 212)이 이격되므로, 거리들(d1, d2)이 상이할 수 있다.
사용자(300)는 전자 장치(200)로부터 특정 거리만큼 떨어진 곳에서 소리를 발생시킬 수 있다. 사용자(300)에 의해 특정 시각에서 발생된 소리는 마이크로폰들(211, 212) 각각으로 전달될 수 있다. 이하 설명들에서, 제 1 마이크로폰(211)으로 전달되는 소리는 신호(s11)로 표현된다. 또한, 제 2 마이크로폰(212)으로 전달되는 소리는 신호(s12)로 표현된다. 신호들(s11, s12)은 동일한 시각에 발생할 수 있다. 다만, 거리들(d1, d2)이 상이하므로, 신호들(s11, s12)이 마이크로폰들(211, 212)으로 수신되는 시각들이 상이할 수 있다.
전자 장치(200)는 신호들(s11, s12)이 수신되는 시각들 사이의 시간 차이에 기초하여 통화 모드를 결정할 수 있다.
통화 모드는 활성 모드 및 비활성 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활성 모드에서, 전자 장치(200)는 디스플레이 패널(220)을 활성화시킬 수 있다. 즉, 전자 장치(200)는 활성 모드에서 사용자(300)가 디스플레이 패널(220)을 터치하거나 외부에서 디스플레이 패널(220)로 자극이 가해지는 경우, 터치나 자극에 응답할 수 있다. 따라서, 활성 모드에서, 사용자(300)는 통화 중에도 상대방에게 문자를 보내거나 인터넷 검색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비활성 모드에서, 전자 장치(200)는 디스플레이 패널(220)을 비활성화시킬 수 있다. 즉, 전자 장치(200)는 비활성 모드에서 사용자(300)가 디스플레이 패널(220)을 터치하거나 외부에서 디스플레이 패널(220)로 자극이 가해지는 경우, 터치나 신호에 응답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비활성 모드에서, 사용자(300)가 무의식중에 디스플레이 패널(220)을 터치하더라도, 통화가 종료되거나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지 않을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통화 모드는 스피커 폰 모드 및 리시브 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장치(200)는 사용자(300)가 전자 장치(200)로부터 멀리 떨어져 있는 경우 스피커 폰 모드에서 통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전자 장치(200)는 사용자(300)가 전자 장치(200)에 가까이 위치하는 경우 리시브 모드에서 통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스피커 폰 모드에서, 전자 장치(200)는 상대방의 소리 및 전자 장치(200)로부터의 소리를 리시브 모드에서보다 크게 출력할 수 있다. 통화 중에 사용자(300)가 전자 장치(200)로부터 멀어지는 경우, 전자 장치(200)는 통화 모드를 리시브 모드에서 스피커 폰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이하 설명들에서, 전자 장치(200)는 통화 모드를 활성 모드와 비활성 모드 중에 선택하는 것으로 설명되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활성 모드 및 비활성 모드는 각각 스피커 폰 모드 및 리시브 모드로 대체될 수도 있다.
신호들(s11, s12)이 수신되는 시각들 사이의 시간 차이는 전자 장치(200)와 사용자(300) 사이의 거리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하 설명들에서, 전자 장치(200)와 사용자(300) 사이의 거리는 사용자(300)의 거리로 표현된다. 즉, 궁극적으로, 전자 장치(200)는 사용자(300)의 거리에 따라 통화 모드를 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자 장치(200)는 사용자(300)가 전자 장치(200)에 근접하거나 전자 장치(200)의 일면에 접촉하는 경우, 통화 모드를 활성 모드로부터 비활성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여 설명되었듯이, 마이크로폰들(211, 212)은 전자 장치(200)의 옆면들(202~205)에 배치된다. 따라서, 전자 장치(200)는 보다 넓은 디스플레이 패널(220)을 포함할 수 있다. 예로서, 전자 장치(200)는 베젤리스(bezel-less) 스마트폰일 수 있다. 베젤(bezel)은 전자 장치(예로서, 200)의 앞면(201)에서 디스플레이 패널(220)을 제외한 모든 구성 요소들을 의미한다. 즉, 베젤리스 스마트폰이란 앞면(예로서, 201)에 배치되는 구성 요소들을 최소한으로 줄인 스마트폰일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200)는 통화 중에 통화 품질을 개선하기 위해서도 마이크로폰들(211, 212)을 이용할 수 있다. 따라서, 전자 장치(200)는 마이크로폰들(211, 212)을 이용하여 통화 품질을 개선하면서 통화 모드도 결정함으로써, 소비 전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도 3은 사용자의 거리와 고유한 샘플들의 개수 사이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이하 설명들에서, 사용자(300)에 의해 소리가 발생하는 곳은 음원(350)으로 표현된다. 또한, 이하 설명들에서 더 나은 이해를 돕기 위해, 마이크로폰들(211, 212)은 동일한 수직선 상에 위치하는 것으로 가정된다. 또한, 음원(350)은 제 2 마이크로폰(212)과 동일한 수평선 상에 위치하는 것으로 가정된다.
도 2를 참조하여 설명되었듯이, 마이크로폰들(211, 212)은 일정 거리(d0)만큼 떨어져서 위치할 수 있다. 또한, 마이크로폰들(211, 212)은 각각 음원(350)으로부터 거리들(d1, d2)만큼 떨어져서 위치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여 설명된 고유한 샘플들의 개수는 거리(d2)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고유한 샘플들의 개수는 거리(d2)에 반비례할 수 있다. 디지털 신호(ds1)의 고유한 비트들의 개수는 고유한 샘플들의 개수와 비례할 수 있다. 디지털 신호(ds1)의 고유한 비트들의 개수와 고유한 샘플들의 개수 사이의 관계는 도 4를 참조하여 자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예로서, 사용자(300)가 전자 장치(200)로부터 멀어지는 경우, 고유한 샘플들의 개수가 감소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사용자(300)가 전자 장치(200)에 가까워지는 경우, 고유한 샘플들의 개수가 증가할 수 있다.
아래의 표 1을 참조하여, 거리들(d0, d1, d2)과 고유한 샘플들의 개수 사의 관계가 설명될 것이다.
d0[m] d2[m] tan(θ1) θ1 sin(θ1) d1[m] (d1 - d2)[m] The number of unique samples
0.1 0.00 1000.000 1.570 1.000 0.100 0.100 14.104
0.1 0.03 3.322 1.278 0.958 0.104 0.074 10.494
0.1 0.06 1.664 1.030 0.857 0.117 0.057 7.986
0.1 0.09 1.110 0.837 0.743 0.135 0.045 6.283
0.1 0.12 0.833 0.694 0.640 0.156 0.036 5.108
0.1 0.15 0.666 0.588 0.554 0.180 0.030 4.272
0.1 0.18 0.555 0.507 0.485 0.206 0.026 3.656
0.1 0.21 0.476 0.444 0.430 0.233 0.023 3.188
0.1 0.24 0.416 0.395 0.384 0.260 0.020 2.822
0.1 0.27 0.370 0.355 0.347 0.288 0.018 2.530
0.1 0.30 0.333 0.322 0.316 0.316 0.016 2.290
0.1 0.33 0.303 0.294 0.290 0.345 0.015 2.091
0.1 0.36 0.278 0.271 0.268 0.374 0.014 1.924
0.1 0.39 0.256 0.251 0.248 0.403 0.013 1.781
0.1 0.42 0.238 0.234 0.232 0.432 0.012 1.657
0.1 0.45 0.222 0.219 0.217 0.461 0.011 1.549
0.1 0.48 0.208 0.205 0.204 0.490 0.010 1.455
0.1 0.51 0.196 0.194 0.192 0.520 0.010 1.371
0.1 0.54 0.185 0.183 0.182 0.549 0.009 1.296
0.1 0.57 0.175 0.174 0.173 0.579 0.009 1.229
0.1 0.60 0.167 0.165 0.164 0.608 0.008 1.168
0.1 0.63 0.159 0.157 0.157 0.638 0.008 1.113
0.1 0.66 0.151 0.150 0.150 0.668 0.008 1.063
표 1에서, 마이크로폰들(211, 212) 사이의 거리(d0)는 0.1[m]로 가정된다. 아래의 [수학식 1]을 참조하면, 신호(s11)의 이동 경로와 신호(s12)의 이동 경로 사이의 사이각(θ1)은 거리(d2)와 거리(d0)에 기초하여 계산될 수 있다. 사이각(θ1)의 크기는 음원(350)과 제 2 마이크로폰(212) 사이의 거리(d2)가 증가함에 따라 감소할 수 있다. 아래의 [수학식 2]를 참조하면, 음원(350)과 제 1 마이크로폰(211) 사이의 거리(d1)는 사이각(θ1)과 거리(d0)에 기초하여 계산될 수 있다.
사이각(θ1)의 크기 변화와 유사하게, 거리(d1)와 거리(d2) 사이의 차이도 거리(d2)가 증가함에 따라 감소할 수 있다. 따라서, 거리(d2)가 증가함에 따라, 신호(s11)가 제 1 마이크로폰(211)에 도달하는 시각과 신호(s12)가 제 2 마이크로폰(212)에 도달하는 시각 사이의 시간 차이도 감소할 수 있다. 또한, 고유한 샘플들의 개수도 감소할 수 있다. 표 1을 참조하면, 거리(d2)가 0[m]인 경우(즉, 사용자(200)의 얼굴이 전자 장치(300)에 부착되어 있는 경우), 고유한 샘플들의 개수는 약 14개일 수 있다. 또한, 거리(d2)가 0.66[m]인 경우(즉, 사용자(200)가 전자 장치(300)로부터 비교적 멀리 떨어진 경우), 고유한 샘플들의 개수는 약 1개일 수 있다.
기준 샘플 개수가 3개로 설정되어 있고 사용자(200)가 전자 장치(300)로부터 0.21[m]정도 떨어져 있는 경우, 도 1의 감지기(260)는 통화 모드를 비활성 모드로 결정할 수 있다. 또한, 기준 샘플 개수가 3개로 설정되어 있고 사용자(200)가 전자 장치(300)로부터 0.24[m]정도 떨어져 있는 경우, 도 1의 감지기(260)는 통화 모드를 활성 모드로 결정할 수 있다.
도 4는 마이크로폰들이 디지털 신호들을 생성하는 동작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4에는 신호들(s11, s12) 및 샘플 신호들(sp1, sp2)의 예시적인 파형들이 도시된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설명되었듯이, 신호들(s11, s12)은 아날로그 신호일 수 있다. 또한, 신호(s11)가 제 1 마이크로폰(211)에 도달하는 시각과 신호(s12)가 제 2 마이크로폰(212)에 도달하는 시각 사이에 시간 차이가 존재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그래프(w1)는 제 1 마이크로폰(211)으로 수신된 신호(s11)를 나타내고, 그래프(w2)는 제 2 마이크로폰(212)으로 수신된 신호(s12)를 나타낸다. 그래프(w1) 및 그래프(w2)를 참조하면, 신호(s11)가 제 1 마이크로폰(211)으로 수신된 시각은 신호(s12)가 제 2 마이크로폰(212)으로 수신된 시각보다 't0'만큼 늦을 수 있다. 즉, 제 1 마이크로폰(211)으로 수신된 신호(s11)와 제 2 마이크로폰(212)으로 수신된 신호(s12) 사이에 위상차가 있을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도 3의 사용자(300)가 제 1 마이크로폰(211)과 동일한 수평선 상에 위치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신호(s11)가 제 1 마이크로폰(211)으로 수신된 시각은 신호(s12)가 제 2 마이크로폰(212)으로 수신된 시각보다 't0'만큼 빠를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여 설명되었듯이, 마이크로폰들(211, 212)은 신호들(s11, s12)을 샘플링할 수 있다. 마이크로폰들(211, 212)은 신호들(s11, s12)을 샘플링하여 샘플 신호들(sp1, sp2)을 생성할 수 있다. 이하 설명들에서, 마이크로폰들(211, 212)은 일정 시간 동안 수신된 신호들(s11, s12)을 이용하여 샘플 신호들(sp1, sp2)을 생성하는 것으로 가정된다. 제 1 마이크로폰(211)으로 수신된 신호(s11)와 제 2 마이크로폰(212)으로 수신된 신호(s12) 사이의 위상차로 인해, 샘플 신호들(sp1, sp2)에 포함된 샘플들이 상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샘플 신호(sp1)는 샘플 신호(sp2)와 공통적으로 공통 샘플들을 포함할 수 있고, 공통 샘플들 외에 고유한 샘플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샘플 신호(sp1)의 고유한 샘플들은 공통 샘플들 앞에 연속적으로 위치할 수 있다. 샘플 신호(sp1)의 고유한 샘플들은 샘플 신호(sp1)에는 포함되나, 샘플 신호(sp2)에는 포함되지 않는다. 예로서, 도 4를 참조하면, 샘플 신호(sp1)는 4개의 고유한 샘플들을 포함한다.
마이크로폰들(211, 212)은 샘플 신호들(sp1, sp2)을 양자화하여 디지털 신호들(ds11, ds12)을 생성할 수 있다. 샘플 신호들(sp1, sp2)이 공통 샘플들만 포함한다고 가정하면, 디지털 신호(ds11)의 모든 비트들은 디지털 신호(ds12)의 모든 비트들에 대응할 수 있다. 이하 설명들에서, 제 1 비트들이 제 2 비트들에 대응한다는 것은 제 1 비트들의 비트값들이 모두 제 2 비트들의 비트값들과 동일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위에서 설명되었듯이, 샘플 신호(sp1)는 공통 샘플들 뿐만 아니라 고유한 샘플들도 포함할 수 있다. 고유한 샘플들로 인해, 디지털 신호(ds11)의 일부 비트들은 디지털 신호(ds12)의 비트들에 대응하지 않을 수 있다. 이하 설명들에서, 디지털 신호(ds12)의 비트들에 대응하지 않는 디지털 신호(ds11)의 일부 비트들은 디지털 신호(ds11)의 고유한 비트들로 표현된다. 또한, 디지털 신호(ds12)의 비트들에 대응하는 디지털 신호(ds11)의 비트들은 공통 비트들로 표현된다. 디지털 신호(ds11)의 고유한 비트들은 공통 비트들 앞에 연속적으로 위치할 수 있다. 디지털 신호(ds11)의 고유한 비트들은 디지털 신호(ds11)의 고유한 샘플들에 기초하여 생성된 비트들일 수 있다. 즉, 디지털 신호(ds11)의 고유한 비트들의 개수는 디지털 신호(ds11)의 고유한 샘플들의 개수에 비례할 수 있다.
예로써, 도 4를 참조하면, 디지털 신호(ds11)의 고유한 비트들은 '00000101'이고, 디지털 신호(ds11)의 공통 비트들은 '11'일 수 있다. 디지털 신호(ds11)의 고유 비트들은 '00000101'은 디지털 신호(ds11)의 고유한 샘플들로 인해 생성될 수 있다. 연속된 두 개의 비트가 하나의 샘플을 나타낸다고 가정하면, 디지털 신호(ds11)의 고유한 비트들의 개수가 8개라는 것은 샘플 신호(sp1)가 4개의 고유한 샘플들을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다만, 도 4에 도시된 디지털 신호들(ds11, ds12)의 비트값들은 예시적인 값들일 뿐,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디지털 신호 처리 프로세서(250)는 마이크로폰들(211, 212)로부터 디지털 신호들(ds11, ds12)을 수신할 수 있다. 디지털 신호 처리 프로세서(250)는 디지털 신호들(ds11, ds12)을 비교할 수 있다. 디지털 신호 처리 프로세서(250)는 디지털 신호들(ds11, ds12)을 비교하여, 디지털 신호(ds11)의 고유한 비트들의 개수를 계산할 수 있다. 디지털 신호 처리 프로세서(250)는 고유한 비트들의 개수를 계산하여, 샘플 신호(sp1)의 고유한 샘플들의 개수를 계산할 수도 있다.
디지털 신호 처리 프로세서(250)는 디지털 신호들(ds11, ds12)을 비교한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신호(rs1)를 생성할 수 있다. 신호(rs1)는 디지털 신호(ds11)의 고유한 비트들의 개수에 대한 정보 및/또는 샘플 신호(sp1)의 고유한 샘플들의 개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디지털 신호 처리 프로세서(250)는 고유한 비트들의 개수를 계산하여, 제 1 마이크로폰(211)으로 수신된 신호(s11)와 제 2 마이크로폰(212)으로 수신된 신호(s12) 사이에 위상차 및/또는 사용자(300)의 거리(d2)도 계산할 수 있다. 또한, 신호(rs1)는 제 1 마이크로폰(211)으로 수신된 신호(s11)와 제 2 마이크로폰(212)으로 수신된 신호(s12) 사이에 위상차에 대한 정보 및/또는 사용자(300)의 거리(d2)에 대한 정보도 포함할 수 있다.
위에서 가정하였듯이, 마이크로폰들(211, 212)은 일정 시간 동안 수신된 신호들(s11, s12)을 이용하여 샘플 신호들(sp1, sp2)을 생성한다. 따라서, 샘플 신호(sp1)가 고유한 샘플들을 포함하는 경우, 샘플 신호(sp2) 역시 공통 샘플 뿐만 아니라 고유한 샘플들을 포함할 수 있다. 신호(s12)가 신호(s11)보다 먼저 수신되므로, 샘플 신호(sp2)의 고유한 샘플들은 공통 샘플들 뒤에 연속적으로 위치할 수 있다. 또한, 디지털 신호(ds12)도 공통 비트들 뿐만 아니라 고유한 비트들을 포함할 수 있다. 디지털 신호(ds12)의 고유한 비트들은 공통 비트들 뒤에 연속적으로 위치할 수 있다. 디지털 신호(ds12)의 고유한 비트들은 디지털 신호(ds12)의 고유한 샘플들에 기초하여 생성된 비트들일 수 있다. 즉, 디지털 신호(ds12)의 고유한 비트들의 개수는 디지털 신호(ds12)의 고유한 샘플들의 개수에 비례할 수 있다. 예로써, 도 4를 참조하면, 디지털 신호(ds12)의 공통 비트들은 '11'이고, 디지털 신호(ds12)의 고유한 비트들은 '10101111'일 수 있다.
마이크로폰들(211, 212)은 디지털 신호들(ds11, ds12)을 비교하여, 디지털 신호(ds12)의 고유한 비트들의 개수를 계산할 수도 있다. 디지털 신호 처리 프로세서(250)는 디지털 신호(ds12)의 고유한 비트들의 개수를 계산하여, 샘플 신호(sp2)의 고유한 샘플들의 개수를 계산할 수도 있다.
디지털 신호 처리 프로세서(250)는 디지털 신호들(ds11, ds12)을 비교한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신호(rs1)를 생성할 수 있다. 신호(rs1)는 디지털 신호(ds12)의 고유한 비트들의 개수에 대한 정보 및/또는 샘플 신호(sp2)의 고유한 샘플들의 개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마이크로폰들(211, 212)에서 신호들(s11, s12)에 대해 아날로그-디지털 변환이 수행될되는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로서, 마이크로폰들(211, 212) 외부에 위치하는 ADC(Analog Digital Converter)에서 신호들(s11, s12)에 대해 아날로그-디지털 변환이 수행될 수 있다. 이 경우, 마이크로폰들(211, 212)은 신호들(s11, s12)을 수신하여 ADC(Analog Digital Converter)로 전송할 수 있다. ADC는 신호들(s11, s12)에 대해 아날로그-디지털 변환을 수행하여 디지털 신호들(ds11, ds12)을 생성할 수도 있다.
도 5는 도 4의 마이크로폰들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S110 동작에서, 도 4의 마이크로폰들(211, 212)은 신호들(s11, s12)을 수신할 수 있다. 신호들(s11, s12)은 도 3의 음원(350)에서 동일한 시각에 발생된 아날로그 신호들일 수 있다.
S120 동작에서, 마이크로폰들(211, 212)은 신호들(s11, s12)을 샘플링하여 샘플 신호들(sp1, sp2)을 생성할 수 있다. 샘플 신호들(sp1, sp2)은 각각 고유한 샘플들을 포함할 수 있다.
S130 동작에서, 마이크로폰들(211, 212)은 샘플 신호들(sp1, sp2)을 양자화하여 디지털 신호들(ds11, ds12)을 생성할 수 있다. 디지털 신호들(ds11, ds12)은 각각 고유한 비트들을 포함할 수 있다. 디지털 신호들(ds11, ds12)의 고유한 비트들은 각각 샘플 신호들(sp1, sp2)의 고유한 샘플들에 의해 생성될 수 있다.
S140 동작에서, 마이크로폰들(211, 212)은 디지털 신호들(ds11, ds12)을 도 4의 디지털 신호 처리 프로세서(250)로 출력할 수 있다.
도 6은 도 1의 전자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S210 동작에서, 도 1의 마이크로폰들(211, 212)은 도 1의 신호들(s11, s12)을 수신할 수 있다.
S220 동작에서, 마이크로폰들(211, 212)은 신호들(s11, s12)을 도 4의 디지털 신호들(ds11, ds12)로 변환할 수 있다. 마이크로폰들(211, 212)은 디지털 신호들(ds11, ds12)을 도 1의 디지털 신호 처리 프로세서(250)로 출력할 수 있다.
S230 동작에서, 디지털 신호 처리 프로세서(250)는 디지털 신호들(ds11, ds12)을 비교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디지털 신호 처리 프로세서(250)는 디지털 신호들(ds11, ds12)의 비트값들을 비교할 수 있다. 디지털 신호 처리 프로세서(250)는 디지털 신호들(ds11, ds12)을 비교하여, 도 4의 샘플 신호(sp1)의 고유한 샘플들의 개수를 계산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디지털 신호 처리 프로세서(250)는 도 4의 샘플 신호(sp2)의 고유한 샘플들의 개수, 디지털 신호(ds11)의 고유한 비트들의 개수 및 디지털 신호(ds12)의 고유한 비트들의 개수를 계산할 수 있다.
S240 동작에서, 디지털 신호 처리 프로세서(250)는 도 1의 신호(rs1)를 도 1의 감지기(260)로 출력할 수 있다. 신호(rs1)는 샘플 신호(sp1)의 고유한 샘플들의 개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신호(rs1)는 샘플 신호(sp2)의 고유한 샘플들의 개수에 대한 정보, 디지털 신호(ds11)의 고유한 비트들의 개수에 대한 정보 및/또는 디지털 신호(ds12)의 고유한 비트들의 개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S250 동작에서, 감지기(260)는 샘플 신호(sp1)의 고유한 샘플들의 개수와 기준 개수를 비교할 수 있다.
샘플 신호(sp1)의 고유한 샘플들의 개수가 기준 개수보다 적은 경우, 절차는 S260 동작으로 이동된다. S260 동작에서, 감지기(260)는 도 1의 전자 장치(200)의 통화 모드를 활성 모드로 결정할 수 있다.
샘플 신호(sp1)의 고유한 샘플들의 개수가 기준 개수보다 많은 경우, 절차는 S265 동작으로 이동된다. S265 동작에서, 감지기(260)는 도 1의 전자 장치(200)의 통화 모드를 비활성 모드로 결정할 수 있다.
S270 동작에서, 감지기(260)는 전자 장치(200)의 통화 모드를 S260 동작 또는 S265 동작에서 결정된 통화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전자 장치(200)는 샘플 신호(sp1)의 고유한 샘플들의 개수 대신 샘플 신호(sp2)의 고유한 샘플들의 개수, 샘플 신호(sp2)의 고유한 샘플들의 개수, 디지털 신호(ds11)의 고유한 비트들의 개수, 및 디지털 신호(ds12)의 고유한 비트들의 개수, 제 1 마이크로폰(211)으로 수신된 신호(s11)와 제 2 마이크로폰(212)으로 수신된 신호(s12) 사이에 위상차 및 사용자(300)의 거리(d2) 중 어느 하나에 기초하여 통화 모드를 결정할 수 있다. 이 경우, 전자 장치(200)는 샘플 신호(sp1)의 고유한 샘플들의 개수에 기초하여 통화 모드를 결정하는 것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법으로 통화 모드를 결정할 수 있다. 다만, 사용자(300)의 거리(d2)에 기초하여 통화 모드가 결정되는 경우, 전자 장치(200)는 사용자(300)의 거리(d2)가 기준 거리보다 길면 활성화 모드를 선택하고, 사용자(300)의 거리(d2)가 기준 거리보다 짧으면 비활성화 모드를 선택할 수 있다.
도 7은 사용자가 전자 장치로부터 멀어지게 되는 경우에 관하여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3와 비교하면, 도 7은 사용자(300)가 전자 장치(200)로부터 더 멀어진 경우에 관하여 도시한다. 즉, 거리들(d3, d4)은 각각 도 3의 거리들(d1, d2) 보다 길다. 전자 장치(200)의 크기는 변함없으므로, 마이크로폰들(211, 212) 사이의 거리(d0)는 도 3의 거리(d0)와 동일하다. 도 3을 참조하여 설명되었듯이, 전자 장치(200)와 사용자(300) 사이의 거리(d3)가 멀어짐에 따라, 거리(d3)와 거리(d4) 사이의 사이각(θ2)은 작아지게 된다. 따라서, 거리(d3)와 거리(d4) 사이의 사이각(θ2)은 도 3의 사이각(θ1)보다 작다.
음원(350)에서 특정 시각에 소리가 발생할 수 있다. 소리는 마이크로폰들(211, 212)로 전달될 수 있다. 이하 설명들에서, 제 1 마이크로폰(211)으로 전달되는 소리는 신호(s13)로 표현되고, 제 2 마이크로폰(212)으로 전달되는 소리는 신호(s14)로 표현된다. 거리들(d3, d4)이 상이하므로, 신호들(s13, s14)이 마이크로폰들(211, 212)로 수신되는 시각들이 상이할 수 있다. 신호들(s13, s14)이 마이크로폰들(211, 212)로 수신되는 시각들 사이의 시간 차이는 도 3의 신호들(s11, s12)이 마이크로폰들(211, 212)로 수신되는 시각들 사이의 시간 차이보다 작다. 신호들(s13, s14)이 마이크로폰들(213, 214)로 수신되는 시각들 사이의 시간 차이에 기초하여, 전자 장치(200)는 통신 모드를 전환하거나 결정할 수 있다.
도 8은 사용자가 전자 장치로부터 멀어지게 되는 경우 고유한 샘플들의 개수 변화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4를 참조하여 설명된 것과 동일한 방법으로, 마이크로폰들(211, 212)은 신호들(s13, s14)을 디지털 신호들(ds13, ds14)로 변환할 수 있다. 마이크로폰들(211, 212)이 신호들(s13, s14)을 디지털 신호들(ds13, ds14)로 변환하는 방법은 도 4를 참조하여 설며오딘 방법과 동일하므로 이하 생략된다.
그래프들(w3, w4)를 참조하면, 신호(s13)가 제 1 마이크로폰(211)으로 수신되는 시각은 신호(s14)가 제 2 마이크로폰(212)으로 수신되는 시각 보다 시간 't1'만큼 늦을 수 있다. 시간 't1'은 도 4의 시간 't0'보다 짧은 시간일 수 있다. 즉, 제 1 마이크로폰(211)으로 수신된 신호(s13)와 제 2 마이크로폰(212)으로 수신된 신호(s14) 사이의 위상차는 제 1 마이크로폰(211)으로 수신된 신호(s11)와 제 2 마이크로폰(212)으로 수신된 신호(s12) 사이의 위상차보다 작을 수 있다.
또한, 도 4와 비교하면, 샘플 신호들(sp3, sp4)의 고유한 샘플들의 개수는 샘플 신호들(sp1, sp2)의 고유한 샘플들의 개수보다 적을 수 있다. 디지털 신호들(ds13, ds14)의 고유한 비트들의 개수는 디지털 신호들(ds11, ds12)의 고유한 비트들의 개수보다 적을 수 있다.
디지털 신호 처리 프로세서(250)는 디지털 신호들(ds13, ds14)을 수신할 수 있다. 디지털 신호 처리 프로세서(250)는 디지털 신호들(ds13, ds14)에 포함된 정보에 기초하여, 신호(rs2)를 생성할 수 있다.
도 1의 감지기(260)는 신호(rs2)를 수신할 수 있다. 감지기(260)는 신호(rs2)에 포함된 정보에 기초하여, 전자 장치(200)의 통화 모드를 결정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였듯이, 감지기(260)는 샘플 신호들(sp3, sp4)의 고유한 샘플들의 개수들 및 디지털 신호들(ds11, ds12)의 고유한 비트들의 개수들 중 어느 하나를 기준으로 전자 장치(200)의 통화 모드를 결정할 수 있다.
이하 설명들에서, 더 나은 이해를 돕기 위해, 감지기(260)가 샘플 신호(sp3)의 고유한 샘플들의 개수에 기초하여 전자 장치(200)의 통화 모드를 결정한다고 가정하자. 이 경우, 기준 개수가 3개라면, 감지기(260)는 도 8의 경우에서는 전자 장치(200)의 통화 모드를 활성 모드로 결정할 수 있다. 반면, 감지기(260)는 도 4의 경우에서는 전자 장치(200)의 통화 모드를 비활성 모드로 결정할 수 있다.
도 9는 외부 환경을 고려하여 통화 모드를 결정하는 전자 장치를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전자 장치(200a)는 외부 환경 정보에 기초하여 전자 장치(200a)의 통화 모드를 결정할 수 있다. 외부 환경 정보는 사용자의 음성 외에도 사용자의 터치, 전자 장치(200)의 움직임 등에 관한 정보일 수 있다. 전자 장치(200a)는 마이크로폰들(211, 212), 디지털 신호 처리 프로세서(250), 디스플레이 패널(220), 터치 회로(225), 가속도 센서(270) 및 감지기(260a)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200a)는 도 9에 도시된 구성들 외에도 외부 환경 또는 사용자의 모션을 고려하기 위한 다양한 센서들 및 회로들을 포함할 수 있다. 마이크로폰들(211, 212), 디지털 신호 처리 프로세서(250)의 동작들은 도 1 및 도 4를 참조하여 설명되었으므로 이하 생략된다.
사용자는 통화 중에 사용자의 얼굴 또는 신체의 일부를 전자 장치(200a)의 앞면에 접촉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는 통화 중에 사용자의 귀를 디스플레이 패널(220)의 상단부에 접촉시킬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220)에 사용자의 얼굴이 접촉되는 경우, 디스플레이 패널(220)은 신호(ts0)를 출력할 수 있다. 터치 회로(225)는 신호(ts0)를 수신할 수 있다. 터치 회로(225)는 신호(ts0)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 패널(220)에 발생된 터치 이벤트에 관하여 분석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터치 회로(225)는 별도의 신호(ts0)를 수신하지 않을 수 있다. 터치 회로(225)는 디스플레이 패널(220)에 가해지는 압력에 기초하여 터치 이벤트가 발생하였음을 인식하거나, 터치 이벤트를 분석할 수도 있다.
터치 회로(225)는 터치 이벤트에 대한 분석 결과에 기초하여, 신호(ts1)를 출력할 수 있다. 신호(ts1)는 터치 이벤트가 특정 조건을 만족시키는지 여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로서, 특정 조건은 터치 이벤트가 디스플레이 패널(220)의 상단부에서 발생했을 것일 수 있다. 터치 회로(225)는 터치 이벤트가 디스플레이 패널(220)의 상단부에서 발생한 경우, 제 1 논리 값을 갖는 신호(ts1)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터치 회로(225)는 터치 이벤트가 디스플레이 패널(220)의 하단부에서 발생한 경우, 제 2 논리 값을 갖는 신호(ts1)를 출력할 수 있다. 제 1 논리 값과 제 2 논리 값은 상이할 수 있다.
가속도 센서(270)는 전자 장치(200a)의 움직임을 파악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가속도 센서(270)는 단위시간당 전자 장치(200)가 움직이는 속도의 변화를 검출할 수 있다. 가속도 센서(270)는 전자 장치(200a)가 움직이는 속도의 변화를 검출하여, 전자 장치(200a)의 움직임에 관하여 분석할 수 있다.
가속도 센서(270)는 전자 장치(200a)의 움직임에 대한 분석 결과에 기초하여 신호(as0)를 출력할 수 있다. 신호(as0)는 전자 장치(200a)의 움직임의 형태에 따라 상이한 논리 값들을 가질 수 있다. 예로서, 사용자는 전화를 받기 위해, 전자 장치(200a)를 사용자의 얼굴쪽으로 가져갈 수 있다. 전자 장치(200a)의 움직임이 전자 장치(200a)가 사용자의 얼굴쪽으로 이동되는 것에 대응하는 경우, 신호(as0)는 제 1 논리 값을 가질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사용자는 리시브 모드로 통화하던 중에 통화 모드를 스피커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전자 장치(200a)를 사용자 얼굴로부터 먼 곳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전자 장치(200a)의 움직임이 전자 장치(200a)가 사용자의 얼굴로부터 먼 곳으로 이동되는 것에 대응하는 경우, 신호(as0)는 제 2 논리 값을 가질 수 있다.
감지기(260a)는 신호들(rs1, ts1, as0)을 수신할 수 있다. 감지기(260a)는 신호들(rs1, ts1, as0)에 기초하여, 사용자와 전자 장치(200a) 사이의 거리, 디스플레이 패널(220)의 영역 중 사용자와 접촉되는 부분, 전자 장치(200a)의 움직임 등을 고려하여 전자 장치(200a)의 통화 모드를 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자 장치(200a)는 사용자의 얼굴이 전자 장치(200a)에 가까이 위치하는 경우에는 통화 모드를 비활성 모드로 결정하는 방향으로 동작할 수 있다. 전자 장치(200a)는 사용자의 얼굴이 전자 장치(200a)로부터 멀리 위치하는 경우에는 통화 모드를 활성 모드로 결정하는 방향으로 동작할 수 있다.
도 10은 도 9의 전자 장치가 통화 모드를 결정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S310 동작에서, 제 1 마이크로폰(211)은 신호(s11)를 수신할 수 있다. 제 1 마이크로폰(211)은 신호(s11)를 디지털 신호(ds11)로 변환할 수 있다.
S315 동작에서, 제 2 마이크로폰(212)은 신호(s12)를 수신할 수 있다. 제 2 마이크로폰(212)은 신호(s12)를 디지털 신호(ds12)로 변환할 수 있다. 신호들(s11, s12)은 사용자에 의해 동시에 생성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는 설명에서 사용자(300)가 제 2 마이크로폰(212)과 동일한 수평선 상에 위치하는 것으로 가정되므로, S315 동작이 S310 동작보다 먼저 수행될 수 있다.
S320 동작에서, 제 1 마이크로폰(211)은 디지털 신호 처리 프로세서(250)로 디지털 신호(ds11)를 출력할 수 있다.
S325 동작에서, 제 2 마이크로폰(212)은 디지털 신호 처리 프로세서(250)로 디지털 신호(ds12)를 출력할 수 있다. 디지털 신호 처리 프로세서(250)는 디지털 신호들(ds11, ds12)을 출력할 수 있다.
S330 동작에서, 디지털 신호 처리 프로세서(250)는 디지털 신호들(ds11, ds12)을 비교하여, 샘플 신호(sp1)의 고유한 샘플들의 개수를 계산할 수 있다.
S335 동작에서, 디지털 신호 처리 프로세서(250)는 감지기(260a)로 신호(rs1)를 출력할 수 있다. 신호(rs1)는 샘플 신호(sp1)의 고유한 샘플들의 개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S340 동작에서, 터치 이벤트가 발생할 수 있다.
S345 동작에서, 터치 회로(225)는 터치 이벤트를 분석할 수 있다.
S350 동작에서, 터치 회로(225)는 감지기(260a)로 신호(ts1)를 출력할 수 있다. 신호(ts1)는 터치 회로(225)가 터치 이벤트를 분석한 분석 결과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S360 동작에서, 전자 장치(200a)가 이동될 수 있다.
S365 동작에서, 가속도 센서(270)는 전자 장치(200a)의 움직임을 분석할 수 있다.
S370 동작에서, 가속도 센서(270)는 감지기(260a)로 신호(as0)를 출력할 수 있다. 신호(as0)는 가속도 센서(270)가 전자 장치(200a)의 움직임을 분석한 분석 결과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S315 동작, S340 동작, S360 동작은 도 10에 도시된 순서에 상관없이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고, 도 10에 도시된 순서와 반대의 순서로 수행될 수도 있다.
S380 동작에서, 감지기(260a)는 신호들(rs1, ts1, as0)에 기초하여 통화 모드를 결정할 수 있다. 감지기(260a)는 신호들(rs1, ts1, as0)을 고려하여 통화 모드를 결정함으로써, 외부 환경이나 상황에 맞는 통화 모드를 선택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네트워크 환경내의 전자 장치의 블럭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네트워크 환경(100)에서 전자 장치(101)는 제 1 네트워크(198)(예로서, 근거리 무선 통신)를 통하여 전자 장치(102)와 통신하거나, 또는 제 2 네트워크(199)(예로서, 원거리 무선 통신)를 통하여 전자 장치(104) 또는 서버(108)와 통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서버(108)를 통하여 전자 장치(104)와 통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프로세서(120), 메모리(130), 입력 장치(150), 음향 출력 장치(155), 표시 장치(160), 오디오 모듈(170), 센서 모듈(176), 인터페이스(177), 햅틱 모듈(179), 카메라 모듈(180), 전력 관리 모듈(188), 배터리(189), 통신 모듈(190), 가입자 식별 모듈(196), 및 안테나 모듈(197)을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 예에서는, 전자 장치(101)에는, 이 구성 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예로서, 표시 장치(160) 또는 카메라 모듈(180))가 생략되거나 다른 구성 요소가 추가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는, 예를 들면, 표시 장치(160)(예로서, 디스플레이)에 임베디드된 센서 모듈(176)(예로서, 지문 센서, 홍채 센서, 또는 조도 센서)의 경우와 같이, 일부의 구성 요소들이 통합되어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예를 들면, 소프트웨어(예로서, 프로그램(140))를 구동하여 프로세서(120)에 연결된 전자 장치(101)의 적어도 하나의 다른 구성 요소(예로서,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구성 요소)을 제어할 수 있고, 다양한 데이터 처리 및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다른 구성 요소(예로서, 센서 모듈(176) 또는 통신 모듈(190))로부터 수신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휘발성 메모리(132)에 로드하여 처리하고, 결과 데이터를 비휘발성 메모리 (134)에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메인 프로세서(121)(예로서, 중앙 처리 장치 또는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 및 이와는 독립적으로 운영되고, 추가적으로 또는 대체적으로, 메인 프로세서(121)보다 저전력을 사용하거나, 또는 지정된 기능에 특화된 보조 프로세서(123)(예로서, 그래픽 처리 장치,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 센서 허브 프로세서,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보조 프로세서(123)는 메인 프로세서(121)와 별개로 또는 임베디드되어 운영될 수 있다. 이런 경우, 보조 프로세서(123)는, 예를 들면, 메인 프로세서(121)가 인액티브 상태(예로서, 슬립 상태)에 있는 동안 메인 프로세서(121)를 대신하여, 또는 메인 프로세서(121)가 액티브 상태(예로서, 어플리케이션 수행 중) 에 있는 동안 메인 프로세서(121)와 함께, 전자 장치(101)의 구성 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의 구성 요소(예로서, 표시 장치(160), 센서 모듈(176), 또는 통신 모듈(190))와 관련된 기능 또는 상태들의 적어도 일부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보조 프로세서(123)(예로서,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는 기능적으로 관련 있는 다른 구성 요소(예로서, 카메라 모듈(180) 또는 통신 모듈(190))의 일부 구성 요소로서 구현될 수 있다. 메모리(130)는, 전자 장치(101)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 요소(예로서, 프로세서(120) 또는 센서모듈(176))에 의해 사용되는 다양한 데이터,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예로서, 프로그램(140)) 및, 이와 관련된 명령에 대한 입력 데이터 또는 출력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30)는, 휘발성 메모리(132)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134)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그램(140)은 메모리(130)에 저장되는 소프트웨어로서, 예를 들면, 운영 체제(142), 미들 웨어(144) 또는 어플리케이션(146)을 포함할 수 있다.
입력 장치(150)는, 전자 장치(101)의 구성 요소(예로서, 프로세서(120))에 사용될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전자 장치(101)의 외부(예로서, 사용자)로부터 수신하기 위한 장치로서, 예를 들면, 마이크로폰, 마우스, 또는 키보드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입력 장치(150)는 마이크로폰들(211, 212)을 포함할 수 있다. 입력 장치(150)는 마이크로폰들(211, 212)을 통해 사용자의 음성을 수신할 수 있다. 입력 장치(150)는 사용자의 음성을 분석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사용자의 음성을 분석한 결과에 기초하여, 통화 모드를 결정하거나 전환할 수 있다.
음향 출력 장치(155)는 음향 신호를 전자 장치(101)의 외부로 출력하기 위한 장치로서, 예를 들면, 멀티미디어 재생 또는 녹음 재생과 같이 일반적인 용도로 사용되는 스피커와 전화 수신 전용으로 사용되는 리시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리시버는 스피커와 일체 또는 별도로 형성될 수 있다. 표시 장치(160)는 전자 장치(101)의 사용자에게 정보를 시각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장치로서,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홀로그램 장치, 또는 프로젝터 및 해당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표시 장치(160)는 터치 회로(touch circuitry) 또는 터치에 대한 압력의 세기를 측정할 수 있는 압력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오디오 모듈(170)은 소리와 전기 신호를 쌍방향으로 변환시킬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오디오 모듈(170)은, 입력 장치(150)를 통해 소리를 획득하거나, 음향 출력 장치(155), 또는 전자 장치(101)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된 외부 전자 장치(예로서, 전자 장치(102)(예로서, 스피커 또는 헤드폰))를 통해 소리를 출력할 수 있다.
센서 모듈(176)은 전자 장치(101)의 내부의 작동 상태(예로서, 전력 또는 온도), 또는 외부의 환경 상태에 대응하는 전기 신호 또는 데이터 값을 생성할 수 있다. 센서 모듈(176)은, 예를 들면, 제스처 센서, 자이로 센서, 기압 센서, 마그네틱 센서, 가속도 센서, 그립 센서, 근접 센서, 컬러 센서, IR(infrared) 센서, 생체 센서, 온도 센서, 습도 센서, 또는 조도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177)는 외부 전자 장치(예로서, 전자 장치(102))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할 수 있는 지정된 프로토콜을 지원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인터페이스(177)는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USB(universal serial bus) 인터페이스, SD카드 인터페이스, 또는 오디오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 단자(178)는 전자 장치(101)와 외부 전자 장치(예로서, 전자 장치(102))를 물리적으로 연결시킬 수 있는 커넥터, 예를 들면, HDMI 커넥터, USB 커넥터, SD 카드 커넥터, 또는 오디오 커넥터(예로서, 헤드폰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햅틱 모듈(179)은 전기적 신호를 사용자가 촉각 또는 운동 감각을 통해서 인지할 수 있는 기계적인 자극(예로서, 진동 또는 움직임) 또는 전기적인 자극으로 변환할 수 있다. 햅틱 모듈(179)은, 예를 들면, 모터, 압전 소자, 또는 전기 자극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180)은 정지 영상 및 동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카메라 모듈(180)은 하나 이상의 렌즈, 이미지 센서,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 또는 플래시를 포함할 수 있다. 전력 관리 모듈(188)은 전자 장치(101)에 공급되는 전력을 관리하기 위한 모듈로서, 예를 들면, PMIC(power management integrated circuit)의 적어도 일부로서 구성될 수 있다.
배터리(189)는 전자 장치(101)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 요소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장치로서, 예를 들면, 재충전 불가능한 1차 전지, 재충전 가능한 2차 전지 또는 연료 전지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 모듈(190)은 전자 장치(101)와 외부 전자 장치(예로서, 전자 장치(102), 전자 장치(104), 또는 서버(108))간의 유선 또는 무선 통신 채널의 수립, 및 수립된 통신 채널을 통한 통신 수행을 지원할 수 있다. 통신 모듈(190)은 프로세서(120)(예로서,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와 독립적으로 운영되는, 유선 통신 또는 무선 통신을 지원하는 하나 이상의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통신 모듈(190)은 무선 통신 모듈(192)(예로서, 셀룰러 통신 모듈,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 또는 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통신 모듈) 또는 유선 통신 모듈(194)(예로서, LAN(local area network) 통신 모듈, 또는 전력선 통신 모듈)을 포함하고, 그 중 해당하는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제 1 네트워크(198)(예로서, 블루투스, WiFi direct 또는 IrDA(infrared data association) 같은 근거리 통신 네트워크) 또는 제 2 네트워크(199)(예로서, 셀룰러 네트워크, 인터넷, 또는 컴퓨터 네트워크(예로서, LAN 또는 WAN)와 같은 원거리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외부 전자 장치와 통신할 수 있다. 상술한 여러 종류의 통신 모듈(190)은 하나의 칩으로 구현되거나 또는 각각 별도의 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무선 통신 모듈(192)은 가입자 식별 모듈(196)에 저장된 사용자 정보를 이용하여 통신 네트워크 내에서 전자 장치(101)를 구별 및 인증할 수 있다.
안테나 모듈(197)은 신호 또는 전력을 외부로 송신하거나 외부로부터 수신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안테나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시예에 따르면, 통신 모듈(190)(예로서, 무선 통신 모듈(192))은 통신 방식에 적합한 안테나를 통하여 신호를 외부 전자 장치로 송신하거나,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상기 구성 요소들 중 일부 구성 요소들은 주변 기기들간 통신 방식(예로서, 버스, GPIO(general purpose input/output), SPI(serial peripheral interface), 또는 MIPI(mobile industry processor interface))를 통해 서로 연결되어 신호(예로서, 명령 또는 데이터)를 상호간에 교환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명령 또는 데이터는 제 2 네트워크(199)에 연결된 서버(108)를 통해서 전자 장치(101)와 외부의 전자 장치(104)간에 송신 또는 수신될 수 있다. 전자 장치(102, 104) 각각은 전자 장치(101)와 동일한 또는 다른 종류의 장치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에서 실행되는 동작들의 전부 또는 일부는 다른 하나 또는 복수의 외부 전자 장치에서 실행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가 어떤 기능이나 서비스를 자동으로 또는 요청에 의하여 수행해야 할 경우에, 전자 장치(101)는 기능 또는 서비스를 자체적으로 실행시키는 대신에 또는 추가적으로, 그와 연관된 적어도 일부 기능을 외부 전자 장치에게 요청할 수 있다. 상기 요청을 수신한 외부 전자 장치는 요청된 기능 또는 추가 기능을 실행하고, 그 결과를 전자 장치(101)로 전달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수신된 결과를 그대로 또는 추가적으로 처리하여 요청된 기능이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예를 들면, 클라우드 컴퓨팅, 분산 컴퓨팅, 또는 클라이언트-서버 컴퓨팅 기술이 이용될 수 있다.
상술된 내용은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실시 예들이다. 본 발명은 상술된 실시 예들뿐만 아니라, 단순하게 설계 변경되거나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는 실시 예들 또한 포함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실시 예들을 이용하여 용이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기술들도 포함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상술된 실시 예들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10)

  1. 제 1 위치에서 음원으로부터의 소리를 샘플링하여 제 1 신호를 생성하는 제 1 마이크로폰;
    상기 제 1 위치와 이격된 제 2 위치에서 상기 음원으로부터의 상기 소리를 샘플링하여 제 2 신호를 생성하는 제 2 마이크로폰;
    상기 제 1 신호 및 상기 제 2 신호를 비교하여, 상기 음원의 위치와 관련되는 외부 환경 정보를 획득하는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 및
    상기 외부 환경 정보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 패널을 비활성화 시키는 제 1 통화 모드 및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활성화 시키는 제 2 통화 모드 중 하나를 선택하는 감지기를 포함하고, 그리고
    상기 외부 환경 정보는 상기 소리가 상기 제 1 마이크로폰으로 수신된 제 1 시각 및 상기 소리가 상기 제 2 마이크로폰으로 수신된 제 2 시각 사이의 시간 길이 정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는 상기 제 1 신호 및 상기 제 2 신호를 비교하여, 상기 제 1 신호의 비트들 중 상기 제 2 신호의 비트들과 일치하지 않는 비트들의 개수를 카운트하고,
    상기 외부 환경 정보는 상기 개수에 대한 정보를 더 포함하는 전자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기는 상기 외부 환경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개수 및 통화 모드를 결정하기 위한 기준 개수를 비교하여 상기 제 1 통화 모드 및 상기 제 2 통화 모드 중 하나를 선택하는 전자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마이크로폰은 상기 소리를 샘플링하여 제 1 샘플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제 1 샘플 신호를 양자화하여 상기 제 1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제 2 마이크로폰은 상기 소리를 샘플링하여 제 2 샘플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제 2 샘플 신호를 양자화하여 상기 제 2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는 상기 제 1 신호 및 상기 제 2 신호를 비교하여, 상기 제 1 샘플 신호의 샘플들 중 상기 제 2 샘플 신호의 샘플들과 일치하지 않는 샘플들의 개수를 카운트하고, 그리고
    상기 외부 환경 정보는 상기 개수에 대한 정보를 더 포함하는 전자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기는 상기 외부 환경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개수 및 통화 모드를 결정하기 위한 기준 개수를 비교하여 상기 제 1 통화 모드 및 상기 제 2 통화 모드 중 하나를 선택하는 전자 장치.
  6. 음원으로부터 출력된 소리를 제 1 위치에서 수신하여, 제 1 신호를 생성하는 제 1 마이크로폰;
    상기 음원으로부터 출력된 소리를 상기 제 1 위치와 이격된 제 2 위치에서 수신하여, 제 2 신호를 생성하는 제 2 마이크로폰; 및
    상기 소리가 상기 제 1 마이크로폰으로 수신된 제 1 시각과 상기 소리가 상기 제 2 마이크로폰으로 수신된 제 2 시각 사이의 시간 길이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 패널을 비활성화 시키는 제 1 통화 모드 및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활성화 시키는 제 2 통화 모드 중 하나를 선택하는 감지기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7. 삭제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통화 모드는 상기 전자 장치가 상기 전자 장치에서 생성되는 소리를 일반 볼륨으로 출력하고, 그리고
    상기 제 2 통화 모드는 상기 전자 장치가 상기 전자 장치에서 생성되는 상기 소리를 상기 일반 볼륨 보다 큰 볼륨으로 출력하는 전자 장치.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의 앞면에 위치하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 1 마이크로폰 및 상기 제 2 마이크로폰은 상기 전자 장치의 옆면들에 위치하는 전자 장치.
  10.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모바일 장치에 있어서,
    음원으로부터의 소리에 기초하여 생성된 제 1 신호 및 상기 음원으로부터의 상기 소리에 기초하여 생성된 제 2 신호를 비교하여, 상기 음원의 위치와 관련되는 외부 환경 정보를 획득하는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 및
    상기 외부 환경 정보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 패널을 비활성화 시키는 제 1 통화 모드 및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활성화 시키는 제 2 통화 모드 중 하나를 선택하는 감지기를 포함하되,
    상기 제 1 신호는 상기 모바일 장치 상의 제 1 위치에서 수신된 상기 소리에 기초하여 생성되고,
    상기 제 2 신호는 상기 모바일 장치 상의 제 2 위치에서 수신된 상기 소리에 기초하여 생성되고,
    상기 제 1 위치는 상기 제 2 위치와 이격되고, 그리고
    상기 외부 환경 정보는 상기 제 1 위치에서 상기 소리가 수신된 제 1 시각 및 상기 제 2 위치에서 상기 소리가 수신된 제 2 시각 사이의 시간 길이 정보를 포함하는 모바일 장치.
KR1020190065150A 2019-06-03 2019-06-03 마이크로폰들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음성을 분석하는 전자 장치 및 모바일 장치 KR1026513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5150A KR102651311B1 (ko) 2019-06-03 2019-06-03 마이크로폰들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음성을 분석하는 전자 장치 및 모바일 장치
US16/794,271 US11128969B2 (en) 2019-06-03 2020-02-19 Electronic device and mobile device for analyzing user's voice using a plurality of microphon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5150A KR102651311B1 (ko) 2019-06-03 2019-06-03 마이크로폰들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음성을 분석하는 전자 장치 및 모바일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9285A KR20200139285A (ko) 2020-12-14
KR102651311B1 true KR102651311B1 (ko) 2024-03-27

Family

ID=735496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5150A KR102651311B1 (ko) 2019-06-03 2019-06-03 마이크로폰들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음성을 분석하는 전자 장치 및 모바일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11128969B2 (ko)
KR (1) KR102651311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50350395A1 (en) * 2013-02-25 2015-12-03 Spreadtrum Communications(Shanghai) Co., Ltd. Detecting and switching between noise reduction modes in multi-microphone mobile devices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05408A (en) 1995-12-22 1998-09-08 Lam Research Corporation Electrostatic clamp with lip seal for clamping substrates
US6195246B1 (en) 1999-03-30 2001-02-27 Electron Vision Corporation Electrostatic chuck having replaceable dielectric cover
US6853850B2 (en) 2000-12-04 2005-02-08 Mobigence, Inc. Automatic speaker volume and microphone gain control in a portable handheld radiotelephone with proximity sensors
DE10208096A1 (de) 2001-08-27 2003-04-10 Siemens Ag Mobiles Kommunikationsendgerät
JP2003168725A (ja) 2001-11-30 2003-06-13 Kyocera Corp ウエハ支持部材及びその製造方法
US7751575B1 (en) 2002-09-25 2010-07-06 Baumhauer Jr John C Microphone system for communication devices
JP4247002B2 (ja) * 2003-01-22 2009-04-02 富士通株式会社 マイクロホンアレイを用いた話者距離検出装置及び方法並びに当該装置を用いた音声入出力装置
KR100724420B1 (ko) 2005-09-09 2007-06-04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의 마이크 게인제어장치 및 방법
KR20080088961A (ko) 2007-03-30 2008-10-06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반도체 제조 장치용 정전기척 및 이의 운용 방법
US8189429B2 (en) 2008-09-30 2012-05-29 Apple Inc. Microphone proximity detection
US8320974B2 (en) 2010-09-02 2012-11-27 Apple Inc. Decisions on ambient noise suppression in a mobile communications handset device
CN102006350A (zh) 2010-12-13 2011-04-06 惠州Tcl移动通信有限公司 自动调节手机话筒音量的方法及其装置
KR20120137986A (ko) 2011-06-14 2012-12-2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정전척
US9543184B2 (en) 2012-01-26 2017-01-10 Kyocera Corporation Electrostatic chuck
US20130282373A1 (en) * 2012-04-23 2013-10-24 Qualcomm Incorporated Systems and methods for audio signal processing
US9392088B2 (en) * 2013-01-09 2016-07-12 Lenovo (Singapore) Pte. Ltd. Intelligent muting of a mobile device
CN105359265B (zh) 2013-08-05 2018-12-14 应用材料公司 原位可移除式静电夹盘
KR20170010485A (ko) * 2015-07-20 2017-02-01 엘지전자 주식회사 단말 장치 및 단말 장치의 제어 방법
GB2552090B (en) 2017-06-29 2021-06-16 Inodyn Newmedia Gmbh Front-facing camera and maximized display screen of a mobile device
TW201817152A (zh) 2016-08-10 2018-05-01 美商康寧公司 利用靜電吸盤與凡得瓦力塗佈玻璃基板之設備與方法
US10923385B2 (en) 2016-11-03 2021-02-16 Lam Research Corporation Carrier plate for use in plasma processing systems
KR102535726B1 (ko) * 2016-11-30 2023-05-24 삼성전자주식회사 이어폰 오장착 검출 방법, 이를 위한 전자 장치 및 저장 매체
CN106550074A (zh) 2016-12-09 2017-03-29 重庆笨瓜科技有限公司 一种结合手机听筒喇叭的改进结构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50350395A1 (en) * 2013-02-25 2015-12-03 Spreadtrum Communications(Shanghai) Co., Ltd. Detecting and switching between noise reduction modes in multi-microphone mobile devic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128969B2 (en) 2021-09-21
KR20200139285A (ko) 2020-12-14
US20200382887A1 (en) 2020-1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45926B1 (ko) 지정된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이용하여 외부 객체의 근접을 확인하는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 제어 방법
KR20150144666A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EP3719612A1 (en) Processing method for reducing power consumption and mobile terminal
KR20160006515A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
US10178212B2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determining antenna
US10735054B2 (en)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and method for transferring communication rights between electronic devices
US11395059B2 (en) Master/slave switching method for wearable apparatus and related product
US20230379615A1 (en) Portable audio device
KR20180055243A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200101254A (ko) 터치와 연관된 데이터를 처리하는 터치 회로, 터치 회로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20160026177A (ko) 이어폰부
KR20200110006A (ko) 외부 변환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전자 장치
EP3993438B1 (en)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KR20200023921A (ko) 급전 경로를 변경할 수 있는 회로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102651311B1 (ko) 마이크로폰들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음성을 분석하는 전자 장치 및 모바일 장치
CN111541804A (zh) 一种电子设备、控制方法及控制装置
KR20210083059A (ko) 오디오 데이터의 출력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CN111083285A (zh) 一种移动终端通话定位***和方法
KR20210014359A (ko) 헤드셋 전자 장치 및 그와 연결되는 전자 장치
EP4258084A1 (en) Electronic device for reducing internal noise,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WO2022154546A1 (ko) 자동 음량 제어를 수행하는 웨어러블 장치
WO2021201429A1 (ko) 전자 장치 및 그의 오디오 출력을 제어하는 방법
US11824529B2 (en) Circuit for adjusting resonance frequency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same
KR20210033842A (ko) 전자 장치 및 상기 전자 장치가 송신 전력을 제어하는 방법
KR20200121549A (ko) 액세서리를 인식하는 전자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