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50276B1 - 클리닝수단을 구비하는 플래시 방사 장치 - Google Patents

클리닝수단을 구비하는 플래시 방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50276B1
KR102650276B1 KR1020210177932A KR20210177932A KR102650276B1 KR 102650276 B1 KR102650276 B1 KR 102650276B1 KR 1020210177932 A KR1020210177932 A KR 1020210177932A KR 20210177932 A KR20210177932 A KR 20210177932A KR 102650276 B1 KR102650276 B1 KR 1026502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veyor belt
negative pressure
belt
cleaning
cleaning mea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779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89368A (ko
Inventor
하춘욱
조성욱
김오승
박정훈
Original Assignee
(주)씨앤투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씨앤투스 filed Critical (주)씨앤투스
Priority to KR10202101779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50276B1/ko
Priority to PCT/KR2022/014964 priority patent/WO2023113172A1/ko
Publication of KR202300893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893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02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02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DMECHANICAL METHODS OR APPARATU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 D01D5/00Formation of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 D01D5/11Flash-spinning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DMECHANICAL METHODS OR APPARATU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 D01D4/00Spinnerette packs; Cleaning thereof
    • D01D4/04Cleaning spinnerettes or other parts of the spinnerette pack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3/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yarns or like filamentary material of substantial length
    • D04H3/02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yarns or like filamentary material of substantial length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forming fleeces or layers, e.g. reorientation of yarns or filaments
    • D04H3/03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yarns or like filamentary material of substantial length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forming fleeces or layers, e.g. reorientation of yarns or filaments at random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0/00Physical treatment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e.g. ultrasonic, corona discharge, irradiation, electric currents, or magnetic fields; Physical treatment combined with treatment with chemical compounds or elements
    • D06M10/02Physical treatment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e.g. ultrasonic, corona discharge, irradiation, electric currents, or magnetic fields; Physical treatment combined with treatment with chemical compounds or elements ultrasonic or sonic; Corona discharg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0/00Physical treatment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e.g. ultrasonic, corona discharge, irradiation, electric currents, or magnetic fields; Physical treatment combined with treatment with chemical compounds or elements
    • D06M10/02Physical treatment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e.g. ultrasonic, corona discharge, irradiation, electric currents, or magnetic fields; Physical treatment combined with treatment with chemical compounds or elements ultrasonic or sonic; Corona discharge
    • D06M10/025Corona discharge or low temperature plasm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lasma & Fusion (AREA)
  • Spinning Methods And Devices For Manufacturing Artificial Fibers (AREA)
  • Nonwoven Fabr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클리닝수단을 구비하는 플래시 방사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클리닝수단을 이용하여 웹포머의 벨트에 잔류하는 잔류물을 제거하도록 구성되므로, 컨베이어벨트의 표면을 항상 깨끗하게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

Description

클리닝수단을 구비하는 플래시 방사 장치{Flash-Spun Apparatus with Cleaning Means}
본 발명은 클리닝수단을 구비하는 플래시 방사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웹포머의 컨베이어벨트에 잔류하는 잔류물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도록 하여 부직포 시트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클리닝수단을 구비하는 플래시 방사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플래시 방사 장치에 관한 기술로서, 플래시 방사는 스펀본드 기술의 변형 형태로서, 프로필렌과 같은 고분자를 녹여 압출한 후 용매를 구금 직후 증발시킴으로써 개개의 섬유가 피브릴 형태로 하부의 컨베이어벨트(이동 스크린)에 포집되어 망상 구조를 형성하는 기술이다. 플래시 방사는 극세사로 구성된 플랙시필라멘트 필름-피브릴 스트랜드를 생산하는데 사용되어 왔다.
도 1은 종래 플래시 방사 장치의 일 예로서, 종래 플래시 방사를 통한 부직포 제조 장치는 주요 구성으로서 노즐(1), 회전반사판(8), 코로나방전장치(13), 웹포머(도면부호 미도시) 및 롤링부(42)를 포함한다.
초임계유체 상태의 고분자와 용매의 혼합물이 노즐(1)을 통해 대기로 방사된 순간 용매는 기화 증발하고 고분자는 필라멘트화되며, 필라멘트는 회전반사판(8)과의 충돌 및 요동에 의해 망상의 웹(web)으로 형성된다. 웹은 코로나방전장치(13)에서 개섬된 후, 웹포머의 컨베이어벨트에 웹이 적층되어 시트 형상으로 제품화된 후, 롤링부(42)에서 감겨 원통형으로 보관 판매된다.
이때, 컨베이어벨트에 적층된 웹 또는 시트 중 일부 찌꺼기 및 파편 등은 롤링부(42)에 권출되지 않고 컨베이어벨트에 잔류할 수 있다. 이처럼 롤링부(42)에 권출되지 않고 잔류하는 잔류물은 웹 적층 및 시트 형성에 악영향을 끼치므로 컨베이어벨트에서 제거해주어야 한다. 이를 위하여 종래에는 작업자가 브러쉬를 이용하여 컨베이어벨트를 직접 청소하는 불편함이 있을 뿐만 아니라, 브러쉬는 컨베이어벨트의 표면에 맞닿은 상태로 컨베이어벨트에 잔류하는 잔류물을 제거하므로 컨베이어벨트를 마모할 수 있는 단점이 있다.
국내공개특허공보 제1999-0067085호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컨베이어벨트에 잔류하는 잔류물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도록 하여 시트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클리닝수단을 구비하는 플래시 방사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용매와 고분자 중합체가 혼합된 초임계 유체를 압출 방사하여 필라멘트를 형성하는 노즐; 상기 노즐과 마주보도록 위치되며 상기 노즐에서 방사되는 필라멘트가 충돌하여 웹을 형성하며, 웹의 진행 방향을 하방으로 유도하는 회전반사판; 상기 회전반사판에 충돌되어 진행 경로가 변경된 웹이 적층되어 시트를 형성시키는 컨베이어벨트; 및 상기 컨베이어벨트에 적층된 시트를 권출시키는 롤링부를 포함하고, 상기 컨베이어벨트에 적층된 웹 중 상기 롤링부에 권출되지 않고 잔류하는 잔류물을 제거하도록 상기 컨베이어벨트의 일측에 위치되는 클리닝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리닝수단을 구비하는 플래시 방사 장치를 제공한다.
특히, 상기 클리닝수단은, 상기 롤링부의 반대 방향에 위치되는 상기 컨베이어벨트의 후방에 이격되도록 설치되는 클리닝부를 포함하고, 상기 클리닝부는 상기 컨베이어벨트 방향으로 에어를 배출 또는 흡입하여 상기 컨베이어벨트에 잔류하는 잔류물을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리닝수단을 구비하는 플래시 방사 장치를 제공한다.
특히, 상기 클리닝수단은, 상기 롤링부의 반대 방향에 위치되는 상기 컨베이어벨트의 후방 상측 모서리에서 대각선 상방으로 이격되도록 설치되는 클리닝부를 포함하고, 상기 클리닝부는 상기 컨베이어벨트 방향으로 에어를 배출 또는 흡입하여 상기 컨베이어벨트에 잔류하는 잔류물을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리닝수단을 구비하는 플래시 방사 장치를 제공한다.
특히, 상기 컨베이어벨트는 매쉬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컨베이어벨트의 상측과 하측 사이의 내부에 음압수단이 설치되고, 상기 컨베이어벨트의 상측과 마주보는 상기 음압수단의 일측에서 상기 음압수단의 타측 방향으로 공기를 배출시켜서 상기 컨베이어벨트의 상면에 음압 분위기가 형성되도록 하고, 상기 컨베이어벨트의 상면에 형성되는 음압 분위기에 의하여 상기 컨베이어벨트의 상면에 적층되는 섬유는 상기 컨베이어벨트의 상면에 밀착된 상태로 상기 롤링부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리닝수단을 구비하는 플래시 방사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용매와 고분자 중합체가 혼합된 초임계유체를 노즐에서 압출 방사하여 필라멘트를 형성하는 방사 과정; 상기 노즐에서 방사되는 필라멘트를 회전반사판에 충돌시켜서 일정 폭의 웹을 형성하는 웹 형성 과정; 진행경로가 변경된 섬유를 컨베이어벨트에 적층시켜서 시트 형태의 섬유를 형성시키는 웹 적층 과정; 상기 컨베이어벨트에 적층된 섬유를 롤링부에 권출시키는 롤링 과정; 및 상기 컨베이어벨트의 일측에 위치되는 클리닝수단이 상기 컨베이어벨트에 적층된 섬유 중 상기 롤링부에 권출되지 않고 잔류하는 잔류물을 제거하는 클리닝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리닝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래시 방사 방법을 제공한다.
특히, 상기 클리닝 과정은, 상기 롤링부의 반대 방향에 위치되는 상기 컨베이어벨트의 후방에 이격되도록 설치되는 상기 클리닝수단의 클리닝부가 상기 컨베이어벨트 방향으로 에어를 배출 또는 흡입하여 상기 컨베이어벨트에 잔류하는 잔류물을 제거할 수 있다.
특히, 상기 클리닝 과정은, 상기 롤링부의 반대 방향에 위치되는 상기 컨베이어벨트의 후방 상측 모서리에서 대각선 상방으로 이격되도록 설치되는 클리닝부를 포함하고, 상기 클리닝부는 상기 컨베이어벨트 방향으로 에어를 배출 또는 흡입하여 상기 컨베이어벨트에 잔류하는 잔류물을 제거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클리닝수단을 이용하여 벨트에 잔류하는 잔류물을 제거하도록 구성되므로, 벨트의 표면을 항상 깨끗하게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클리닝수단은 에어를 이용하여 벨트에 잔류하는 잔류물을 제거하므로, 브러쉬를 사용하지 않아 주기적으로 브러쉬를 교체할 필요가 없고, 브러쉬가 컨베이어벨트에 걸리는 문제 및 브러쉬로 인한 벨트의 마모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플래시 방사 장치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클리닝수단을 구비하는 플래시 방사 장치를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클리닝수단을 구비하는 플래시 방사 장치의 웹포머를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클리닝수단을 구비하는 플래시 방사 장치의 콜리닝수단의 일 예시를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클리닝수단을 구비하는 플래시 방사 장치의 콜리닝수단의 다른 예시를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클리닝수단을 구비하는 플래시 방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클리닝수단을 구비하는 플래시 방사 장치 및 방법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클리닝수단을 구비하는 플래시 방사 장치를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클리닝수단을 구비하는 플래시 방사 장치는 노즐(100), 회전반사판(200), 코로나방전장치(300), 웹포머 및 롤링부(600)를 포함한다.
노즐(100)로 용매와 고분자의 초임계유체가 압출 방사되어 필라멘트를 형성한다. 즉, 노즐(100)을 통하여 혼합물이 방사될 때, 용매는 순간적으로 증발되고, 고분자 중합체는 실과 유사한 필라멘트로 형성된다.
회전반사판(200)은 노즐(100)과 마주보도록 위치되며 노즐(100)에서 방사된 필라멘트가 회전반사판(200)에서 충돌 후 망상의 웹으로 형성된다. 회전반사판(200)의 형태를 예를 들면 원판으로 형성되되 노즐(100)과 마주보는 전측은 중앙으로 갈수록 노즐(100) 방향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이 외에도 회전반사판(200)은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회전반사판(200)은 회전 기능뿐만 아니라, 상하좌우로 틸팅 또는 피봇팅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코로나방전장치(300)는 회전반사판(200)과 컨베이어벨트(400) 사이에 위치되는 것으로, 상호 마주보도록 이격되는 접지전극(310)과 니들전극(320)을 포함한다. 회전반사판(200)에서 컨베이어벨트(400) 방향으로 이동되는 섬유는 접지전극(310)과 니들전극(320) 사이를 지나가게 되며, 이때, 접지전극(310)과 니들전극(320)의 고전압에 의해 웹에 정전기를 부여하여, 상호 반발력에 의해 웹이 개섬되도록 한다.
웹포머는 컨베이어벨트(400), 클리닝수단 및 음압수단(500)을 포함할 수 있다. 컨베이어벨트(400)는 회전반사판(200)에 충돌되어 진행 경로가 변경된 웹이 다수 적층되어 시트를 형성시킨다. 본 발명의 클리닝수단은 컨베이어벨트(400)에 적층된 섬유 중 롤링부(600)에 권출되지 않고 잔류하는 잔류물을 제거하기 위한 것으로, 제 1 클리닝부(450) 또는 제 2 클리닝부(452)를 포함한다. 음압수단(500)은 컨베이어벨트(400)의 상면에 음압 분위기가 형성되도록 한다. 컨베이어벨트(400), 제 1, 2 클리닝부(450, 452) 및 음압수단(500)은 후술하기로 한다.
롤링부(600)는 컨베이어벨트(400)에 적층된 시트를 롤 형태로 권출시켜서 부직포를 형성한다. 이렇게 형성된 부직포는 소정의 공정을 추가하여 유연성, 통수성, 통기성 등을 조절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클리닝수단을 구비하는 플래시 방사 장치의 웹포머를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웹포머는 회전반사판(200)의 하방으로 이격되도록 위치되는 컨베이어벨트(400)를 포함하고, 컨베이어벨트(400) 내부에 위치되는 음압수단(5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컨베이어벨트(400)는 상호 이격되는 한 쌍의 상부롤러(420, 422)와, 한 쌍의 상부롤러(420, 422)의 하부로 이격되도록 위치되며 상호 이격되는 한 쌍의 하부롤러(424, 426)와, 무한궤도 형태로 형성되며 내부 양측 상부와 하부에 한 쌍의 상부롤러(420, 422)와 한 쌍의 하부롤러(424, 426)가 위치되어, 상부롤러(420, 422)와 하부롤러(424, 426)로부터 회전 동력을 전달받는 벨트(410)를 포함한다. 벨트(410)는 매쉬 형태로 형성되어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 개의 매쉬홀(412)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부롤러(420, 422)와 하부롤러(424, 426)의 회전에 의하여 벨트(410)가 회전된다. 그리고 회전반사판(200)에 충돌된 섬유는 벨트(410)의 상면에 적층되어 시트를 형성시킨다. 이때, 섬유에 대전된 전하를 상쇄시키기 위한 물질이 벨트(410)의 상면에 코팅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벨트(410)의 상면에 적층되는 섬유는 외부로 이탈되지 않고 시트 형태를 유지한 채 벨트(410)를 따라 롤링부(600) 방향으로 이송된다. 그리고 벨트(410)의 회전속도에 의하여 시트의 두께가 조절된다. 한편, 벨트(410)를 길이방향과 수직 방향으로 이송시키기 위하여 상부롤러(420, 422)와 하부롤러(424, 426)는 좌우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벨트(410)가 길이방향과 수직 방향으로 즉, 좌우로 이송되면 벨트(410)에 형성되는 시트의 폭이 조절된다.
음압수단(500)은 벨트(410)의 상면에 음압 분위기가 형성되도록 벨트(410) 내부의 상측과 하측 사이의 내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세부적으로는 벨트(410) 내부의 상측에 위치되는 음압형성부(510)를 포함한다. 음압형성부(510)는 벨트(410)의 상측과 마주보는 상측에 음압유로(520)가 형성되어, 음압유로(520)의 상측에서 측방으로 공기를 배출시켜서 벨트(410)의 상면에 음압 분위기가 형성되도록 한다. 그러면 벨트(410)의 상면에 형성되는 음압 분위기에 의하여 벨트(410)의 상면에 적층되는 섬유는 벨트(410)의 상면에 밀착된 상태로 롤링부(600) 방향으로 이동된다.
이처럼 벨트(410)의 상면에 적층되는 섬유는 음압수단(500)에 의하여 벨트(410)의 상면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므로, 벨트(410)에 적층된 섬유가 시트 형태로 롤링부(600) 방향으로 이동되는 도중 시트의 형태가 임의로 한쪽으로 쏠리거나 자리를 이탈하지 않고 균일한 형태를 유지하는 효과가 있다.
한편, 상부롤러(420, 422)와 하부롤러(424, 426)가 상호 이격되도록 위치되므로, 벨트(410)의 내부에는 상부롤러(420, 422)와 하부롤러(424, 426)의 이격 거리만큼 빈 공간이 형성된다. 이처럼 상부롤러(420, 422)와 하부롤러(424, 426)가 이격되도록 위치되므로, 벨트(410) 내부에 빈 공간이 형성되며, 이렇게 형성된 벨트(410) 내부의 빈 공간에 음압수단(500)을 용이하게 위치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클리닝수단을 구비하는 플래시 방사 장치의 클리닝수단의 일 예시를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벨트(410)에 적층된 웹 중 일부, 섬유 찌꺼기 및 파편 등은 롤링부(600)에 권출되지 않고 벨트(410)에 잔류할 수 있다. 이처럼 롤링부(600)에 권출되지 않고 잔류하는 잔류물은 시트 형성에 악영향을 끼치므로 벨트(410)에서 신속하게 제거해야 한다. 이를 위하여 벨트(410)의 일측에 클리닝수단이 위치된다. 클리닝수단은 예를 들면 제 1 클리닝부(450)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클리닝부(450)는 롤링부(600)의 반대 방향에 위치되는 벨트(410)의 후방에 이격되도록 설치된다. 이러한 제 1 클리닝부(450)는 벨트(410)의 상측에서 연장된 가상선(미도시)에서 약간 하부로 내려간 위치에 설치될 수 있으며, 벨트(410) 방향으로 에어를 배출 또는 흡입하여 벨트(410)에 잔류하는 잔류물을 제거한다. 이처럼 본 발명은 제 1 클리닝부를 이용하여 벨트(410)에 잔류하는 잔류물을 제거하도록 구성되므로, 벨트(410)의 표면을 항상 깨끗하게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클리닝수단을 구비하는 플래시 방사 장치의 클리닝수단의 다른 예시를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클리닝수단은 예를 들면 제 2 클리닝부(452)를 포함할 수 있다. 제 2 클리닝부(452)는 롤링부(600)의 반대 방향에 위치되는 벨트(410)의 후방에 이격되도록 설치된다.
이러한 제 2 클리닝부(452)는 벨트(410)의 상측 모서리에서 대각선 방향 상방으로 이격된 위치에 설치될 수 있으며, 벨트(410) 방향으로 에어를 배출 또는 흡입하여 벨트(410)에 잔류하는 잔류물을 깨끗하게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제 2 클리닝부(452)는 회전이 가능하도록 하여, 제 2 클리닝부(452)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클리닝수단을 구비하는 플래시 방사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클리닝수단을 구비하는 플래시 방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클리닝수단을 구비하는 플래시 방사 방법은, 용매와 고분자 중합체가 혼합된 초임계유체를 노즐에서 압출 방사하여 필라멘트를 형성하는 방사 과정(S10); 상기 노즐에서 방사되는 필라멘트를 회전반사판에 충돌시켜서 일정 폭의 웹을 형성하는 웹 형성 과정(S20); 코로나방전장치를 통해 웹에 정전기를 부여함으로써 개섬 효과를 얻는 코로나 방전 과정(S30); 컨베이어벨트에 웹을 적층하여 시트 형태를 형성하는 웹 적층 과정(S40); 상기 컨베이어벨트에 적층된 시트를 롤링부에 권출시키는 롤링 과정(S50); 및 상기 컨베이어벨트의 일측에 위치되는 클리닝수단이 상기 컨베이어벨트에 적층된 섬유 중 상기 롤링부에 권출되지 않고 잔류하는 잔류물을 제거하는 클리닝 과정(S6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플래시 방사 방법을 제공한다.
방사 과정(S10) 및 웹 형성 과정(S20)은 각각 노즐 방사에 의한 필라멘트 형성, 회전반사판 충돌에 의한 웹 형성을 의미하며, 코로나 방전 과정(S30)은 코로나방전장치를 통해 웹에 정전기를 부여함으로써 웹의 개섬 효과를 얻는 과정이다.
적층 과정(S40)은, 컨베이어벨트(400)의 상측과 하측 사이의 내부에 설치된 음압수단(500)이 컨베이어벨트(400)의 상면에 음압 분위기가 형성되도록 하여 컨베이어벨트(400)에 적층되는 섬유를 컨베이어벨트(400)의 상면에 밀착시키는 음압 단계 및 컨베이어벨트(400)를 회전시켜서 컨베이어벨트(400)의 상면에 밀착된 섬유를 롤링부(600)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동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롤링 과정(S50)은 다수의 웹이 적층되어 시트로 형성되면, 웹포머 후단에 형성된 롤링부에 의해 시트 형상의 부직포를 롤링하여 제품화하는 단계이다.
클리닝 과정(S60)은, 롤링부(600)의 반대 방향에 위치되는 컨베이어벨트(400)의 후방에 이격되도록 설치되는 클리닝수단의 제 1 클리닝부(450: 도 4 도시) 또는 제 2 클리닝부(452: 도 5 도시)가 컨베이어벨트(400) 방향으로 에어를 배출 또는 흡입하여 컨베이어벨트(400)에 잔류하는 잔류물을 제거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서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을 이로 한정하지 않음은 당연하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청구범위의 범주에 속하는 것이라면 그 기술사상 역시 본 발명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100: 노즐 200: 회전반사판
300: 코로나방전장치 310: 접지전극
320: 니들전극 400: 컨베이어벨트
410: 벨트 412: 매쉬홀
420, 422: 상부롤러 424, 426: 하부롤러
450: 제 1 클리닝부 452: 제 2 클리닝부
500: 음압수단 510: 음압형성부
520: 음압유로 600: 롤링부

Claims (7)

  1. 용매와 고분자 중합체가 혼합된 초임계 유체를 압출 방사하여 필라멘트를 형성하는 노즐;
    상기 노즐과 마주보도록 위치되며 상기 노즐에서 방사되는 필라멘트와 충돌하여 웹을 형성하며, 웹의 진행 방향을 하방으로 유도하는 회전반사판;
    상기 회전반사판에 충돌되어 진행 경로가 변경된 웹이 적층되어 시트를 형성시키는 컨베이어벨트; 및
    상기 컨베이어벨트에 적층된 시트를 권출시키는 롤링부를 포함하고,
    상기 컨베이어벨트에 적층된 웹 중 상기 롤링부에 권출되지 않고 잔류하는 잔류물을 제거하도록 상기 컨베이어벨트의 일측에 위치되는 클리닝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클리닝수단은 상기 컨베이어벨트의 후방 상측 모서리에서 대각선 상방으로 이격되도록 설치되는 클리닝부를 포함하고, 상기 클리닝부는 상기 컨베이어벨트 방향으로 에어를 배출 또는 흡입하여 상기 컨베이어벨트에 잔류하는 잔류물을 제거하고,
    상기 클리닝부는 회전이 가능하도록 하여, 상기 클리닝부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리닝수단을 구비하는 플래시 방사 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서, 상기 컨베이어벨트는 매쉬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컨베이어벨트의 상측과 하측 사이의 내부에 음압수단이 설치되고, 상기 컨베이어벨트의 상측과 마주보는 상기 음압수단의 일측에서 상기 음압수단의 타측 방향으로 공기를 배출시켜서 상기 컨베이어벨트의 상면에 음압 분위기가 형성되도록 하고, 상기 컨베이어벨트의 상면에 형성되는 음압 분위기에 의하여 상기 컨베이어벨트의 상면에 적층되는 섬유는 상기 컨베이어벨트의 상면에 밀착된 상태로 상기 롤링부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리닝수단을 구비하는 플래시 방사 장치.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210177932A 2021-12-13 2021-12-13 클리닝수단을 구비하는 플래시 방사 장치 KR1026502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7932A KR102650276B1 (ko) 2021-12-13 2021-12-13 클리닝수단을 구비하는 플래시 방사 장치
PCT/KR2022/014964 WO2023113172A1 (ko) 2021-12-13 2022-10-05 클리닝수단을 구비하는 플래시 방사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7932A KR102650276B1 (ko) 2021-12-13 2021-12-13 클리닝수단을 구비하는 플래시 방사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89368A KR20230089368A (ko) 2023-06-20
KR102650276B1 true KR102650276B1 (ko) 2024-03-22

Family

ID=867728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77932A KR102650276B1 (ko) 2021-12-13 2021-12-13 클리닝수단을 구비하는 플래시 방사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650276B1 (ko)
WO (1) WO2023113172A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417629B2 (ja) * 1993-12-09 2003-06-16 旭化成株式会社 コロナ放電発生装置の接地電極
KR100549140B1 (ko) 2002-03-26 2006-02-03 이 아이 듀폰 디 네모아 앤드 캄파니 일렉트로-브로운 방사법에 의한 초극세 나노섬유 웹제조방법
KR101671145B1 (ko) 2016-04-18 2016-10-31 권광일 멜트블로운 부직포 제조장치
JP2017155366A (ja) * 2016-03-02 2017-09-07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不織布の製造方法および製造装置
JP2020190051A (ja) * 2019-05-21 2020-11-26 Eneos株式会社 極細フィラメントの製造装置及びこれを含む不織布の製造装置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43525A (en) * 1993-03-26 1997-07-01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Process for improving electrostatic charging of plexifilaments
AT402205B (de) * 1995-10-18 1997-03-25 Fehrer Textilmasch Vorrichtung zum nadeln eines vlieses
US5816700A (en) 1995-10-26 1998-10-06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Process and apparatus for mechanically mixing polymers and lower viscosity fluids
KR100587193B1 (ko) * 2004-09-15 2006-06-08 한국생산기술연구원 하이브리드 전기방사구금 및 이를 이용한 부직포웹의제조방법
JP2007224439A (ja) * 2006-02-22 2007-09-06 Nittobo Togan Co Ltd 無機質繊維マットの製造装置
KR100874982B1 (ko) * 2007-08-21 2008-12-19 주식회사 에이엠오 전기 방사용 분사 노즐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417629B2 (ja) * 1993-12-09 2003-06-16 旭化成株式会社 コロナ放電発生装置の接地電極
KR100549140B1 (ko) 2002-03-26 2006-02-03 이 아이 듀폰 디 네모아 앤드 캄파니 일렉트로-브로운 방사법에 의한 초극세 나노섬유 웹제조방법
JP2017155366A (ja) * 2016-03-02 2017-09-07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不織布の製造方法および製造装置
KR101671145B1 (ko) 2016-04-18 2016-10-31 권광일 멜트블로운 부직포 제조장치
JP2020190051A (ja) * 2019-05-21 2020-11-26 Eneos株式会社 極細フィラメントの製造装置及びこれを含む不織布の製造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89368A (ko) 2023-06-20
WO2023113172A1 (ko) 2023-06-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276962B2 (ja) 積層繊維集合体の製造方法
US6395046B1 (en) Dust filter bag containing nano non-woven tissue
US3387326A (en) Apparatus for charging and spreading a web
JP4835549B2 (ja) 高分子ウエブの製造方法と装置
US3319309A (en) Charged web collecting apparatus
KR102650276B1 (ko) 클리닝수단을 구비하는 플래시 방사 장치
CN106808743B (zh) 层叠无纺布及其制造方法
JP2020045591A (ja) 電界紡糸装置及びナノファイバ集積体の製造方法
KR102650274B1 (ko) 에어커튼을 구비하는 플래시 방사 장치 및 방법
JP5305961B2 (ja) 極細繊維不織布
US5123983A (en) Gas management system for closely-spaced laydown jets
CN106400303B (zh) 层叠无纺布及空气净化机
CZ304124B6 (cs) Zpusob a zarízení pro výrobu nanovláken elektrostatickým zvláknováním roztoku nebo taveniny polymeru
JP2005522596A (ja) 不織布材料用の製造ユニット用のドラム、不織布材料の製造方法、およびそれによって得られた不織布材料
JP6659475B2 (ja) 交絡付与機構
US20080011439A1 (en) Suction apparatus for textile-treatment water-jet beam
JP4890049B2 (ja) 極細繊維集合体
CN105771426A (zh) 层叠无纺布及空气净化器
US3562771A (en) Process for preparation of continuous filament nonwoven webs
JP2004512440A (ja) ディフューザがスロット・アテニュエータから一定の距離を置いて配置される不織布製造プラント
JP6974987B2 (ja) 繊維堆積体の製造装置及び繊維堆積体の製造方法
JP2006296463A (ja) カーテン用基布およびカーテン
KR20240036957A (ko) 상부덮개를 이용한 플래시 방사 장치
KR102389599B1 (ko) 일렉트릿 물품의 제조 장치, 및 비전도성 시트의 대전 방법
CN113710835A (zh) 用于形成取向纤维的静电纺丝设备和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