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45170B1 - 패들스위치 조립체 - Google Patents

패들스위치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45170B1
KR102645170B1 KR1020230065235A KR20230065235A KR102645170B1 KR 102645170 B1 KR102645170 B1 KR 102645170B1 KR 1020230065235 A KR1020230065235 A KR 1020230065235A KR 20230065235 A KR20230065235 A KR 20230065235A KR 102645170 B1 KR102645170 B1 KR 1026451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ddle switch
magnet
operating shaft
hole
disp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652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여진
윤세진
이창기
강세형
Original Assignee
윤여진
윤세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여진, 윤세진 filed Critical 윤여진
Priority to KR10202300652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4517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51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51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1/00Switches operated by an operating part in the form of a pivotable member acted upon directly by a solid body, e.g. by a hand
    • H01H21/02Details
    • H01H21/18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5/00Switches with compound movement of handle or other operating part
    • H01H25/002Switches with compound movement of handle or other operating part having an operating member rectilinearly slidable in different direc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21/00Actuators
    • H01H2221/036Return force
    • H01H2221/044Elastic part on actuator or ca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31/00Applications
    • H01H2231/026Car

Landscapes

  • Rotary Switch, Piano Key Switch, And Lever Switc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패들스위치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며, 제1자석이 배치되는 바디부; 상기 바디부의 내부로 삽입되어 고정되는 제1단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자석에 의해 인력이 가해지는 조작샤프트; 및 상기 제1단부와 대향하는 제2단부에 배치되는 파지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제1패들스위치를 포함하는, 패들스위치 조립체를 개시한다.

Description

패들스위치 조립체{PADDLE SWITCH ASSEMBLY}
본 발명은 패들스위치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용이하게 기어변환이 가능한 패들스위치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 등의 차량에는 사용자의 편의를 위해 다양한 편의 시설과 이를 작동 및 제어하기 위한 각종 스위치들이 구비된다.
최근의 차량은, 자동 변속기가 장착된 차량의 경우에도 수동 변속기가 장착된 차량과 같이 운전자가 기어 변환을 수동으로 조작할 수 있는 기능, 예를 들어 스포츠 모드로의 주행을 제공하고 있다. 이러한 경우 기어 변환의 수동 조작을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기어변환 패들스위치가 차량에 구비된다. 패들스위치는 차량의 조향장치(예를 들어 스티어링 휠)의 후면에 설치될 수 있다.
전술한 배경 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 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패들스위치의 조작에 있어서, 조작감이 향상되고 보다 용이하게 기어변환이 가능한 패들스위치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다만 이러한 과제는 예시적인 것으로,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며, 제1자석이 배치되는 바디부; 상기 바디부의 내부로 삽입되어 고정되는 제1단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자석에 의해 인력이 가해지는 조작샤프트; 및 상기 제1단부와 대향하는 제2단부에 배치되는 파지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제1패들스위치를 포함하는, 패들스위치 조립체를 개시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는 상기 조작샤프트의 연장방향인 제1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상기 조작샤프트와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돌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자석은 상기 돌출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조작샤프트와 마주보는 면과 반대되는 면에 제1하프홀 또는 제1관통홀을 포함하고, 상기 제1자석은 상기 제1하프홀 또는 제1관통홀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조작샤프트는 강자성체 또는 상자성체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조작샤프트에는 상기 제1자석과 마주보도록 제2자석이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조작샤프트는 상기 돌출부와 마주보는 면과 반대되는 면에 제2하프홀 또는 제2관통홀을 포함하고, 상기 제2자석은 상기 제2하프홀 또는 제2관통홀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조작샤프트의 제1단부는 상기 바디부의 내부에 힌징되고, 힌징축을 중심으로 회전이동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조작샤프트가 삽입되는 상기 바디부의 개구는 상기 조작샤프트의 두께방향으로 상기 조작샤프트의 두께보다 1.5 mm 이상 3 mm 이하만큼 더 크게 형성되고, 상기 조작샤프트는 상기 개구 내에서 회전이동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패들스위치는 상기 조작샤프트와 상기 파지플레이트 사이에 배치되는 각도조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각도조정부는 상기 조작샤프트의 연장방향에 대해 기울어지도록 절곡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각도조정부는 상기 조작샤프트의 연장방향에 대해 상기 조작샤프트가 상기 돌출부를 바라보는 방향으로 기울어지도록 절곡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각도조정부가 상기 조작샤프트의 연장방향에 대해 기울어지는 각도는 40 이상 50 이하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패들스위치는 상기 조작샤프트와 상기 파지플레이트 사이에 배치되는 간격조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파지플레이트는 활(bow)형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파지플레이트는 사용자를 바라보는 면인 전면 및 상기 전면과 대향하는 후면을 포함하고, 상기 후면에는 마찰부재가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파지플레이트는 + 또는 - 중 어느 하나를 음각으로 표시하는 표시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패들스위치 조립체는 조향장치의 중심을 기준으로 상기 제1패들스위치의 반대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1패들스위치와 거울상 대칭의 형상을 갖는 제2패들스위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패들스위치의 파지플레이트의 표시홀은 + 또는 - 중 다른 하나를 음각으로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패들스위치는 상기 바디부 내부에 배치되어 조작샤프트에 의해 푸쉬되는 스위치부; 및 상기 바디부에 연결되어 고정되고, 상기 스위치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인쇄회로기판 하우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것 외의 다른 측면, 특징, 이점은 이하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 청구범위 및 도면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패들스위치는 자석의 인력을 이용하여 조작샤프트의 조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조작샤프트가 이동하여 스위치부를 누를 때 및 조작샤프트가 회귀하여 바디부에 접촉될 때의 소리 및 손에 느껴지는 감각을 통해, 패들스위치의 조작감 및 파지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패들스위치는 각도조정부 및 간격조정부를 구비함에 따라 파지를 위한 최적의 파지플레이트 위치를 설정할 수 있다.
또한 패들스위치는 파지플레이트에 마찰부재를 구비함으로써 파지감을 향상시키고 정확한 조작을 할 수 있다.
또한 패들스위치는 파지플레이트에 파지홀을 구비함으로써 파지감을 향상시키고 정확한 조작을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패들스위치 조립체가 장착된 조향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패들스위치 조립체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패들스위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a, 도 4b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패들스위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지플레이트의 후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 내지 도 12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파지플레이트의 후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효과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할 때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제1, 제2등의 용어는 한정적인 의미가 아니라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고,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 또는 구성요소가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막, 영역, 구성 요소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위에 또는 상에 있다고 할 때, 다른 부분의 바로 위에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막, 영역, 구성 요소 등이 개재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실시예가 달리 구현 가능한 경우에 특정한 공정 순서는 설명되는 순서와 다르게 수행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연속하여 설명되는 두 공정이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고, 설명되는 순서와 반대의 순서로 진행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A 및/또는 B”은 A이거나, B이거나, A와 B인 경우를 나타낸다. 그리고, “A 또는 B 중 적어도 하나”는 A이거나, B이거나, A와 B인 경우를 나타낸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막, 영역, 구성 요소 등이 연결되었다고 할 때, 막, 영역, 구성 요소들이 직접적으로 연결된 경우, 또는/및 막, 영역, 구성요소들 중간에 다른 막, 영역, 구성 요소들이 개재되어 간접적으로 연결된 경우도 포함한다. 예컨대, 본 명세서에서 막, 영역, 구성 요소 등이 전기적으로 연결되었다고 할 때, 막, 영역, 구성 요소 등이 직접 전기적으로 연결된 경우, 및/또는 그 중간에 다른 막, 영역, 구성 요소 등이 개재되어 간접적으로 전기적 연결된 경우를 나타낸다.
x축, y축 및 z축은 직교 좌표계 상의 세 축으로 한정되지 않고, 이를 포함하는 넓은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x축, y축 및 z축은 서로 직교할 수도 있지만, 서로 직교하지 않는 서로 다른 방향을 지칭할 수도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패들스위치 조립체(1)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패들스위치 조립체(1)가 장착된 조향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패들스위치 조립체(1)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차량의 조향장치, 예를 들어 스티어링 휠의 후면에 패들스위치 조립체(1)가 장착될 수 있다. 패들스위치 조립체(1)는 제1패들스위치(10) 및 제2패들스위치(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패들스위치(10)는 차량의 조향장치의 중심을 기준으로 일측에 배치되고, 제2패들스위치(20)는 차량의 조향장치의 중심을 기준으로 일측과 대향하는 타측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의 조향장치를 운전자가 전면에서 바라볼 때, 제1패들스위치(10)는 우측(예를 들어, 도 1 및 도 2의 +x 방향)에 배치될 수 있고, 제2패들스위치(20)는 좌측(예를 들어, 도 1 및 도 2의 -x 방향)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패들스위치(10) 및 제2패들스위치(20)는 정면도 상에서 차량의 조향장치의 중심을 지나는 일 축(FAX)을 중심으로 대칭으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1패들스위치(10) 및 제2패들스위치(20)의 형상은 정면도 상에서 차량의 조향장치의 중심을 지나는 일 축(FAX)을 중심으로 대칭적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즉, 제1패들스위치(10) 및 제2패들스위치(20)는 거울상 대칭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패들스위치(10) 및 제2패들스위치(20)는 기어변속을 위해 기어단을 증가시키거나 감소시키도록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패들스위치(10)는 기어단을 증가시키도록 이용될 수 있고, 제2패들스위치(20)는 기어단을 감소시키도록 이용될 수 있다. 물론 이와 반대로 이용될 수 있으며, 제1패들스위치(10)가 기어단을 감소시키도록 이용되고 제2패들스위치(20)가 기어단을 증가시키도록 이용되는 것을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1패들스위치(10)가 기어단을 증가시키도록 이용되고, 제2패들스위치(20)가 기어단을 감소시키도록 이용되는 경우를 중심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또한, 제1패들스위치(10)와 제2패들스위치(20)는 유사하므로, 이하에서는 제1패들스위치(10)의 형상을 중심으로 설명하도록 하고, 제1패들스위치(10)와 제2패들스위치(20)의 구분이 특별히 필요하지 않는 한, 패들스위치(30)로 통칭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패들스위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패들스위치(30)는 바디부(100), 조작샤프트(200), 각도조정부(300), 파지플레이트(400) 및 스위치부(500)를 포함할 수 있다.
바디부(100)는 차량의 조향장치와 연결될 수 있으며, 패들스위치(30)의 구성들을 지지하고 내부공간에 수용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바디부(100)는 조향장치의 후면(운전자와 마주보는 조향장치의 일면의 반대면)에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바디부(100)는 조향장치에 연결되기 위해 연결요소(110)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요소(110)는 예를 들어 홀, 특히 쓰레드(thread)된 홀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나사가 쓰레드된 홀을 관통하여 조향장치와 연결을 제공할 수 있다. 그러나 연결요소(110)는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연결요소(110)가 돌출된 나사이고 조향장치에 쓰레드된 홀이 구비되는 것과 같이 바디부(100)를 조향장치에 연결 및 고정하기 위한 다양한 구성이 채택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바디부(100)는 조향장치에 포함된 하우징(미도시)에 연결될 수 있다. 조향장치의 하우징은 예를 들어, 인쇄회로기판 하우징으로서 패들스위치(30), 특히 스위치부(500)로부터의 신호를 수신, 전송 및/또는 처리하기 위한 인쇄회로기판(PCB)을 포함할 수 있다. 인쇄회로기판 하우징은 바디부(100)에 연결되어 고정될 수 있고, 또한 바디부(100) 내부의 스위치부(50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스위치부(500)로부터의 신호를 수신, 전송 및/또는 처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쇄회로기판 하우징은 스위치부(500)로부터 on 신호를 수신하여 케이블을 통해 차량으로 전송할 수 있다.
또는 다른 실시예에서 패들스위치(30)는 바디부(100)에 연결되는 인쇄회로기판 하우징(미도시)을 더 포함하고, 인쇄회로기판 하우징이 조향장치에 삽입 및/또는 고정될 수 있다. 즉, 이러한 경우 인쇄회로기판 하우징은 패들스위치(30)의 구성요소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인쇄회로기판 하우징은 조향장치에 포함되어 위치되고 패들스위치(30)가 조향장치 내의 인쇄회로기판 하우징에 연결되는 경우를 중심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일 실시예에서 바디부(100)는 대략 육면체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바디부(100)는 이러한 대략 육면체의 형상의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여 다른 구성요소들을 수용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바디부(100)는 대략 육면체의 형상에 제한되지 않고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기 위한 다양한 형상이 채택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바디부(100)는 대략 육면체의 형상에서 제1방향(예를 들어 도 3의 x 방향)으로 연장되는 돌출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돌출부(120)는 바디부(100)가 조향장치에 연결되는 면의 반대 면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돌출부(120)의 연장방향은 조향장치의 중심에서 외측으로 멀어지는 방향, 다르게 말하면 대략 반경방향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바디부(100)의 돌출부(120)에는 제1자석(600)이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바디부(100)의 돌출부(120)에는 제1수용홀(130)이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수용홀(130)은 제1하프홀(130)일 수 있다. 제1하프홀(130)은 돌출부(120)의 두께의 일부만이 개구된 홀일 수 있다. 제1하프홀(130)은 돌출부(120)의 일면, 예를 들어 후술할 조작샤프트(200)와 마주보는 면의 반대면에 위치될 수 있다. 제1하프홀(130)은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4각형, 6각형과 같은 다각형 및/또는 제1자석(600)을 수용하기 위한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하프홀(130)에는 제1자석(600)이 수용될 수 있다. 제1자석(600)은 자기력으로 후술할 조작샤프트(200)를 향해 인력을 작용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자석(600)은 네오디뮴 자석, 예를 들어 네오디뮴, 붕소 및 철을 대략 2:1:1.4의 비율로 소결 방식으로 합금하여 만든 자석일 수 있다. 제1자석(600)은 제1하프홀(130)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하프홀(130)이 원형으로 형성되는 경우, 제1자석(600)도 원형으로 형성되어 제1하프홀(130)에 수용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바디부(100)의 돌출부(120)에 배치되는 제1수용홀(130)은 제1관통홀(미도시)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돌출부(120)에는 제1하프홀(130) 대신에 제1관통홀이 배치될 수 있다. 제1관통홀은 돌출부(120)의 두께방향으로 돌출부(120)를 완전히 관통하는 개구된 홀일 수 있다. 제1관통홀은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4각형, 6각형과 같은 다각형 및/또는 제1자석(600)을 수용하기 위한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관통홀에는 제1자석(600)이 배치될 수 있다. 제1자석(600)은 자기력으로 후술할 조작샤프트(200)를 향해 인력을 작용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자석(600)은 네오디듐 자석, 예를 들어 네오디뮴, 붕소 및 철을 대략 2:1:1.4의 비율로 소결 방식으로 합금하여 만든 자석일 수 있다. 제1자석(600)은 제1관통홀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관통홀이 원형으로 형성되는 경우, 제1자석(600)도 원형으로 형성되어 제1관통홀에 수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자석(600)은 제1수용홀(130), 예를 들어 제1하프홀(130) 또는 제1관통홀에 배치될 수 있다.
돌출부(120)의 일면, 예를 들어 조작샤프트(200)와 마주보는 면의 반대면에 배치되는 제1하프홀(130)은 제1자석(600)이 후술할 조작샤프트(200) 및/또는 제2자석(700)과 직접적으로 접촉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패들스위치(30)의 작동 시 자석이 부딪히지 않고, 자석을 수용하는 바디부(100)가 부딪힘에 따라 보다 향상된 클릭감을 제공하고 보다 경쾌한 클릭 소리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패들스위치(30)의 사용 중 제1자석(600)을 제1하프홀(130)로부터 분리하는 경우, 패들스위치(30)의 외측으로 제1자석(600)을 분리할 수 있으므로 유지보수(maintenance) 관점에서 보다 유리할 수 있다.
제1관통홀은 제1자석(600)이 후술할 조작샤프트(200) 및/또는 제2자석(700)과 직접적으로 접촉하도록 하여 자기력을 보다 직접적으로 작용할 수 있다.
또한 제1자석(60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로 구비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다른 실시예에서 제1자석(600)은 복수 개로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 개의 제1자석(600)은 돌출부(120)의 일면에서 가로로(예를 들어 도 3의 x 방향) 또는 세로방향(예를 들어 도 3의 z 방향)으로 나란하게 2개 이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조작샤프트(200)는 기어변환을 위해 조작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바디부(100)와 상대이동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조작샤프트(200)는 제1방향(예를 들어 도 3의 x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조작샤프트(200)는 돌출부(120)의 연장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되며, 돌출부(120)와 제2방향(예를 들어 도 3의 y 방향)으로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조작샤프트(200)는 바디부(100)의 내부로 삽입되어 바디부(100)에 고정되는 제1단부 및 제1단부와 대향하는 단부인 제2단부를 구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조작샤프트(200)의 제1단부는 바디부(100)의 내부에서 힌징될 수 있다. 다르게 말하면, 조작샤프트(200)는 바디부(100)의 내부의 힌징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또한 바디부(100)는 조작샤프트(200)가 삽입되는 개구(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개구(140)는 돌출부(120)로부터 제2방향(예를 들어 도 3의 y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즉, 개구(140)는 돌출부(120)의 전면(예를 들어 도 3의 y 방향 면)으로부터 조작샤프트(200)의 두께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으며, 일 실시예에서 개구(140)는 조작샤프트(200)의 두께보다 1.5 mm 이상 3 mm 이하만큼 더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다르게 말하면, 조작샤프트(200)의 전면(예를 들어 돌출부(120)를 바라보는 면과 반대되는 면)으로부터, 개구(140)를 형성하는 바디부(100)의 내면까지의 이격거리(s)(또한 도 4 참조 가능)는 1.5 mm 이상 3 mm 이하일 수 있다.
조작샤프트(200)는 바디부(100)의 개구(140)를 통해 삽입되고, 이격거리(s)만큼 힌징축을 중심으로 회전이동할 수 있다. 이격거리(s)가 상기와 같은 경우 사용자는 조작샤프트(200)가 이동되는 것을 확실하게 느낄 수 있다. 또한 조작샤프트(200)가 상기 이격거리(s)만큼 이동된 후 다시 원위치로 복귀될 때 클릭감이 향상되고 보다 경쾌한 클릭 소리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바디부(100)의 돌출부(120)는 제1수용홀(130)의 일측에 배치되는 제2개구(150, 또한 도 6 참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개구(150)는 돌출부(120)를 관통하는 개구로서, 돌출부(120)의 연장방향(예를 들어, 도 1 내지 도 6의 x 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된 개구일 수 있다. 제2개구(150)는 바디부(100) 내부의 조작샤프트(200)가 시인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예를 들어 제2개구(150)를 통해 보여지는 조작샤프트(200)에 제조사, 제품명 또는 상표명과 같이 제품 정보를 제공하거나, 광고를 위한 문구를 삽입하거나, 심미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디자인을 추가할 수 있다. 또한 패들스위치(30)의 제조에 사용되는 재료의 양을 절감하고, 패들스위치(30)를 경량화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조작샤프트(200)에는 바디부(100)의 돌출부(120)에 배치된 제1자석(600)에 의해 제1자석(600)을 향한 인력이 가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조작샤프트(200)에는 제2수용홀(210)이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2수용홀(210)은 제2하프홀(210)일 수 있다. 제2하프홀(210)은 조작샤프트(200)의 일면, 예를 들어 돌출부(120)와 마주보는 면의 반대면에 위치될 수 있다. 제2하프홀(210)에는 제2자석(700)이 수용될 수 있다. 제2자석(700)은 제1자석(600)과 자기력을 발생시켜 서로를 향해 인력을 작용할 수 있다.
제2하프홀(210)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4각형, 6각형과 같은 다각형 및/또는 제2자석(700)을 수용하기 위한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자석(700)은 네오디뮴 자석, 예를 들어 네오디뮴, 붕소 및 철을 대략 2:1:1.4의 비율로 소결 방식으로 합급하여 만든 자석일 수 있다. 제2자석(700)은 제2하프홀(210)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하프홀(210)이 원형으로 형성되는 경우, 제2자석(700)도 원형으로 형성되어 제2하프홀(210)에 수용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제1수용홀(130)과 유사하게, 다른 실시예로 조작샤프트(200)의 제2수용홀(210)은 제2하프홀(210) 대신에 제2관통홀(미도시)로 배치될 수 있음이 이해될 것이다. 제2관통홀은 조작샤프트(200)의 두께방향으로 조작샤프트(200)를 완전히 관통하는 개구된 홀일 수 있고, 제2관통홀에는 제2자석(700)이 배치될 수 있다.
조작샤프트(200)의 일면, 예를 들어 돌출부(120)와 마주보는 면의 반대면에 배치되는 제2하프홀(210)은 제2자석(700)이 바디부(100)의 돌출부(120) 및/또는 제1자석(600)과 직접적으로 접촉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패들스위치(30)의 작동 시 자석이 부딪히지 않고, 자석을 수용하는 조작샤프트(200)가 부딪힘에 따라 보다 향상된 클릭감을 제공하고 보다 경쾌한 클릭 소리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패들스위치(30)의 사용 중 제2자석(700)이 제2하프홀(210)로부터 탈거되는 경우, 제2자석(700)이 조작샤프트(200)와 돌출부(120) 사이로 탈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패들스위치(30)는 차량의 조향장치에 장착되는 장치로서 안정성이 매우 중요하다. 주행 중 제2자석(700)이 조작샤프트(200)와 돌출부(120) 사이의 좁은 공간으로 탈거되는 경우 기어변속을 위한 패들스위치(30)의 조작이 방해되고 이는 주행 위험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이러한 위험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유지보수 관점에서 제2자석(700)을 분리하기 용이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1수용홀(130) 및 제2수용홀(210)이 제1하프홀(130) 및 제2하프홀(210)인 경우를 중심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일 실시예에서 제2자석(700) 및 제2자석(700)이 수용된 제2하프홀(210)은 제1자석(600) 및 제1자석(600)이 수용된 제1하프홀(130)과 제2방향(예를 들어 도 3의 y 방향)으로 중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자석(600)과 제2자석(700) 사이의 인력이 서로를 향해 작용될 수 있다.
또는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다른 실시예로 제2자석(700)은 생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작샤프트(200)는 제2하프홀(210) 및 제2자석(700)이 생략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조작샤프트(200)는 금속물질, 예를 들어 철과 같은 강자성체 또는 상자성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자석(600)의 자기력으로 인한 인력은 금속물질을 포함하는 조작샤프트(200)에 작용될 수 있어, 제2자석(700)이 배치된 경우와 유사한 작용을 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경우 제1수용홀(130)은 제1관통홀로 형성되는 것이, 조작샤프트(200)에 인력을 보다 직접적으로 가할 수 있을 것이다.
파지플레이트(400)는 조작샤프트(200)의 제2단부에 배치될 수 있다. 파지플레이트(400)는 조작샤프트(200)를 이동시키도록 사용자가 파지하는 부분일 수 있다. 파지플레이트(400)는 일 실시예에서 활형(bow)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파지플레이트(400)는 카본 섬유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가벼우면서도 외관적으로 고급스러운 표면 시인성 및 촉감을 제공할 수 있다. 그러나 파지플레이트(400)의 구성 물질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조작샤프트(200)와 파지플레이트(400) 사이에는 각도조정부(300)가 배치될 수 있다. 즉, 조작샤프트(200)의 제2단부에 각도조정부(300)가 연결되고 각도조정부(300)에 파지플레이트(400)가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각도조정부(300)에는 조작샤프트(200)와 연결되기 위한 제1연결홀(310)이 구비되고, 조작샤프트(200)에는 제1연결홀(310)에 대응되는 제2연결홀(220)이 구비될 수 있다. 제1연결홀(310)과 제2연결홀(220)은 제2방향(예를 들어 도 3의 y 방향)으로 중첩되도록 배치되고, 제1연결홀(310)과 제2연결홀(220)을 동시에 관통하여 삽입되는 볼트와 같은 고정부재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이때 제1연결홀(310) 및 제2연결홀(220)은 하나 이상,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로 구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와 유사하게 일 실시예에서 각도조정부(300)에는 파지플레이트(400)와 연결되기 위한 제3연결홀(320)이 구비되고, 파지플레이트(400)에는 제3연결홀(320)에 대응되는 제4연결홀(410)이 구비될 수 있다. 제3연결홀(320)과 제4연결홀(410)은 제2방향(예를 들어 도 3의 y 방향)으로 중첩되도록 배치되고, 제3연결홀(320)과 제4연결홀(410)을 동시에 관통하여 삽입되는 볼트와 같은 고정부재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이때 제3연결홀(320) 및 제4연결홀(410)은 하나 이상,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로 구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4a, 도 4b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패들스위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구체적으로, 도 4a 및 도 4b는 정지 상태의 패들스위치(30)를 도시하고, 도 5는 조작샤프트(200)가 당겨져 이동된 상태를 도시한다. 또한 설명의 편의를 위해 바디부(100)는 점선으로 도시하였다.
도 4a, 도 4b 및 도 5를 참조하면, 각도조정부(300)는 제1방향, 예를 들어 돌출부(120)의 연장방향 및/또는 조작샤프트(200)의 연장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기울어지도록 절곡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각도조정부(300)는 차량의 조향장치에 설치된 경우, 사용자를 향하는 방향과 반대방향 즉, 후방으로 기울어지도록 절곡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각도조정부(300)는 사용자를 향하는 방향 즉, 전방으로 기울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와 같이 각도조정부(300)는 사용자 커스터마이징되어 각도조정부(300)의 기울어지는 방향 및 각도를 조절하고, 이에 따라 각도조정부(300)에 연결된 파지플레이트(400)의 파지 각도를 조정할 수 있다. 이는 사용자가 차량의 운전을 위해 차량의 조향장치를 파지할 때, 차량의 조향장치의 후방에 배치된 패들스위치(30)를 파지하기 위한 각도를 최적화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자신에게 맞는 각도로 기울어진 각도조정부(300)를 조작샤프트(200) 및 파지플레이트(400) 사이에 장착함으로써 패들스위치(30)의 파지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4와 도시된 바와 같이 각도조정부(300)가 후방으로 기울어진 경우를 중심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일 실시예에서 각도조정부(300)는 조작샤프트(200)의 연장방향(예를 들어 도 4의 x 방향)에 대해 조작샤프트(200)가 돌출부(120)를 바라보는 방향(예를 들어 도 4의 -y 방향)으로 기울어져 경사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각도조정부(300)가 조작샤프트(200)의 연장방향에 대해 기울어지는 경사각(θ)은 20˚이상 70˚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45˚ 일 수 있다.
또한 파지플레이트(400)는 각도조정부(300)의 절곡된 부분에 연결되어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파지플레이트(400) 또한 조작샤프트(200)의 연장방향에 대해 전방 또는 후방으로 기울어지도록 배치될 수 있음이 이해될 것이다.
도 4b를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에서 패들스위치(30)는 간격조정부(9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간격조정부(900)는 각도조정부(300)와 파지플레이트(40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간격조정부(900)는 일 단부가 각도조정부(300)에 고정되고, 타 단부가 파지플레이트(400)에 고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간격조정부(900)는 쓰레드된 롱 너트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3연결홀(320)을 관통하여 삽입되는 볼트와 같은 고정부재는 간격조정부(900), 예를 들어 쓰레드된 롱 너트의 일 단부에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제4연결홀(410)을 관통하여 삽입되는 볼트와 같은 고정부재는 간격조정부(900), 예를 들어 쓰레드된 롱 너트의 타 단부에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간격조정부(900)는 각도조정부(300)의 일면, 예를 들어 후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이때 각도조정부(300)의 일면은 각도조정부(300)에서 절곡된 부분의 일면, 예를 들어 후면일 수 있다. 일 실시예로 간격조정부(900)의 길이는 0.3 cm 내지 1 cm일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길이로 조정될 수 있다.
이러한 간격조정부(900)는 조작샤프트(200) 및 각도조정부(300)로부터 파지플레이트(400)를 후방으로 이격시킬 수 있다. 이는 사용자가 파지하게 되는 파지플레이트(400)의 위치를 최적화하도록 커스터마이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각도조정부(300)와 함께 간격조정부(900)를 이용하여, 파지를 위한 파지플레이트(400)의 최적의 각도 및 위치를 설정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4a와 같이 간격조정부(900)를 포함하지 않는 경우를 중심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스위치부(500)는 바디부(100)의 내부 공간에 수용될 수 있다. 스위치부(500)는 조작샤프트(200)가 힌징축을 중심으로 회전이동하는 경우 푸쉬되어, 특정 신호를 인쇄회로기판 하우징으로 전송할 수 있다.
스위치부(500)는 제3방향(예를 들어 도 4의 z 방향)으로 연장되는 관통홀(510)을 포함할 수 있다. 고정축은 관통홀(510)을 관통하여 삽입되고, 바디부(100)의 내부공간의 양 측에 고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스위치부(500)는 바디부(100) 내부에 고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관통홀(510)은 하나 이상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스위치부(500)는 누름단자(520)를 포함할 수 있다. 누름단자(520)는 사용자에 의해 조작샤프트(200)가 당겨지는 경우 조작샤프트(200)에 의해 푸쉬될 수 있다. 누름단자(520)가 푸쉬되면서 사용자는 클릭감을 시인할 수 있고, 이로 인해 기어가 변속되었음을 인지할 수 있다. 또한 누름단자(520)가 푸쉬되면서 특정 신호, 예를 들어 제1패들스위치(10)의 경우 기어의 단수를 상승시키거나, 제2패들스위치(20)의 경우 기어의 단수를 하강시키는 신호를 인쇄회로기판 하우징으로 전달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지플레이트(400)의 후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파지플레이트(400)의 후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파지플레이트(400)의 전면은 패들스위치(30)가 조향장치에 장착된 경우 사용자를 바라보는 면, 예를 들어 도 1 내지 도 5에서 y 방향의 면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파지플레이트(400)의 후면은 패들스위치(30)가 조향장치에 장착된 경우 사용자를 바라보는 면과 반대되는 면, 예를 들어 도 1 내지 도 5에서 -y 방향의 면을 의미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파지플레이트(400)는 사용자가 패들스위치(30)를 조작하기 위해 파지하는 부분으로서, 일 실시예에서 파지플레이트(400)는 활형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파지플레이트(400)는 일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며 양 단부가 만곡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그러나 파지플레이트(400)의 형상은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일 실시예에서 파지플레이트(400)는 표시홀(420)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표시홀(420)은 파지플레이트(400)의 일 단부, 예를 들어 상단부(도 1 내지 도 6의 z 방향)에 배치될 수 있다. 그러나 다른 실시예에서 표시홀(420)은 파지플레이트(400)의 하단부(도 1 내지 도 6의 -z 방향)에 배치되거나, 또는 파지플레이트(400)의 양 단부에 모두 배치될 수 있음이 이해될 것이다. 표시홀(420)은 음각으로 특정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표시홀(420)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통홀일 수 있다. 표시홀(420)은 특정 정보를 표시할 수 있으며, 일 실시예에서 표시홀(420)은 '+' 또는 '-' 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패들스위치(10)의 표시홀(420)은 '+'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제2패들스위치(20)의 표시홀(420)은 '-'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사용자는 제1패들스위치(10)가 기어 단수를 상승시키기 위한 패들스위치이고, 제2패들스위치(20)가 기어 단수를 하강시키기 위한 패들스위치임을 시각적으로 시인할 수 있다. 또한 파지플레이트(400)를 파지하면서 표시홀(420)에 손가락을 접촉함으로써 촉각적으로도 시인할 수 있다. 또한 표시홀(420)은 관통홀로서 패들스위치(30)의 심미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표시홀(420)은 하프홀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표시홀(420)은 파지플레이트(400)의 후면에만 형성되거나, 전면 및 후면에 마주보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파지플레이트(400)를 파지하면서 파지플레이트(400)의 후면의 표시홀(420)에 손가락을 접촉함으로써 촉각적으로 특정 정보, 예를 들어 '+' 또는 '-'의 표시를 시인할 수 있다.
도 7 내지 도 12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파지플레이트의 후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본 실시예들에 따른 파지플레이트(400)는 전술한 파지플레이트(400)와 유사하므로 이하에서는 차이점만을 중심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7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서 파지플레이트(400)의 후면에는 마찰부재(800)가 더 배치될 수 있다. 마찰부재(800)는 사용자가 패들스위치(30)에 손가락을 얹는 경우 손가락이 접촉되는 파지플레이트(400)의 후면에 전체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마찰부재(800)는 거칠기가 있는 물질이거나, 또는 고무를 포함하는 물질일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마찰부재(800)는 복수 개의 돌기를 포함함으로써 마찰력을 형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의 손가락은 파지플레이트(400)로부터 미끄러지지 않아 정확한 패들스위치(30)의 조작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마찰부재(800)는 사용자에게 잘 시인되지 않는 파지플레이트(400)의 후면에만 배치됨에 따라 심미감을 저하시키지 않을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서 마찰부재(800)는 복수 개의 라인의 형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때 복수 개의 라인 형상의 마찰부재(800)는 서로 평행할 수 있다. 또한 복수 개의 라인 형상의 마찰부재(800)는 각각 제1방향(예를 들어 조작샤프트(200)의 연장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라인 형상의 마찰부재(800)는 제1방향에 교차하는 대각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이러한 마찰부재(800)의 형상은 파지플레이트(400)의 후면 전체면에 마찰부재(800)가 배치되지 않으면서도 파지플레이트(400)의 후면 전체면에 마찰부재(800)가 배치된 경우와 유사한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서 마찰부재(800)는 파지플레이트(400)의 후면의 일부에만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마찰부재(800)는 파지플레이트(400)의 후면에서 파지플레이트(400)의 길이방향의 중심을 기준으로 상부(예를 들어 도 2 내지 도 10의 z 방향 단부)에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마찰부재(800)는 파지플레이트(400)의 길이의 1/5 이상 1/3 이하에 해당하는 길이에 대해 후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마찰부재(800)의 형상은 파지플레이트(400)의 후면 전체면에 마찰부재(800)가 배치되지 않으면서도 파지플레이트(400)의 후면 전체면에 마찰부재(800)가 배치된 경우와 유사한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특히 패들스위치(30)에 손가락을 얹는 경우 손가락이 주로 위치되는 부분인 파지플레이트(400)의 길이방향으로의 상부에 마찰부재(800)가 배치될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파지플레이트(400)는 후면에 배치되는 파지홀(4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파지홀(430)은 하프홀일 수 있다. 전술한 바와 유사하게 하프홀은 파지플레이트(400)의 두께의 일부만이 개구된 홀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파지홀(430)은 약 0.5 mm 이상 1 mm 이하만큼 개구된 홀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파지홀(430)은 복수 개로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파지홀(430)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로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복수 개의 파지홀(430)은 파지플레이트(400)의 길이방향을 따라 나란히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파지홀(430)의 형상은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타원형으로 형성되거나 또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단된 타원형과 같이 타원형의 일부에 해당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파지홀(430)은 사용자가 파지플레이트(400)를 파지하는 경우 손가락이 안착되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파지플레이트(400)를 보다 더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다. 또한 도 12와 같이 파지홀(430)이 절단된 타원형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경우 사용자의 손가락의 형상과 유사하므로 파지플레이트(400)를 파지하는 파지감이 보다 향상될 수 있다.
또한 파지플레이트(400)로부터 손가락이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파지홀(430)의 내부면, 즉 파지홀(430)을 정의하는 파지플레이트(400)의 내부면의 전체면 또는 일부면에 마찰부재(800)가 더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마찰부재(800)는 파지홀(430)의 바닥면에 배치될 수 있다.
다시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패들스위치(30)의 동작을 살펴보면, 바디부(100)의 일측, 또는 일면은 차량의 조향장치에 고정될 수 있다. 바디부(100)는 제1방향(예를 들어 도 4의 x 방향)으로 연장되는 돌출부(120)를 포함하고, 돌출부(120)에는 제1자석(600)이 배치될 수 있다.
조작샤프트(200)는 바디부(100)의 내부로 제1단부가 삽입되어 힌징되고, 제1방향으로 연장되어 돌출부(120)와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즉, 패들스위치(30)가 조향장치에 장착된 경우, 사용자로부터 보다 근위에 조작샤프트(200)가 배치되고, 보다 원위에 돌출부(120)가 배치될 수 있다. 조작샤프트(200)에는 제2자석(700)이 배치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제1자석(600)과 제2자석(700) 사이의 인력이 작용하여 조작샤프트(200)는 돌출부(120)에 접촉된 상태에 있을 수 있다.
각도조정부(300)는 조작샤프트(200)에 연결되며 제1방향과 교차하는 방향, 예를 들어 조작샤프트(200)로부터 돌출부(120)를 향한 방향, 즉 후방으로 절곡될 수 있다. 또한 파지플레이트(400)는 각도조정부(300)의 절곡된 부분에 연결 및 고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패들스위치(30)를 파지하기에 용이한 각도로 파지플레이트(400)가 기울어질 수 있어 파지감 및 조작성이 향상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기어변속을 수동으로 조작하기 위해 패들스위치(30)를 조작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는 파지플레이트(400)를 파지하고 당길 수 있다. 이에 따라 파지플레이트(400) 및 파지플레이트(400)에 연결된 조작샤프트(200)는 힌징축을 중심으로 회전이동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조작샤프트(200)는 대략 제2방향(도 5의 y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때 조작샤프트(200)는 바디부(100)의 개구(140) 내의 이격거리(s)만큼 이동할 수 있다.
조작샤프트(200)는 바디부(100)의 내부공간에 수용된 스위치부(500)의 누름단자(520)를 푸쉬할 수 있다. 누름단자(520)가 푸쉬됨에 따라 사용자는 클릭감을 시인할 수 있으며, 또한 클릭되는 소리, 예를 들어 '딸각'과 같은 소리를 통해 시인할 수 있다. 또한 스위치부(500)는 기어변속을 위한 신호, 예를 들어 제1패들스위치(10)의 경우 기어 단수의 상승을 위한 신호 및 제2패들스위치(20)의 경우 기어 단수의 하강을 위한 신호를 인쇄회로기판 하우징에 전송할 수 있다.
조작샤프트(200)가 누름단자(520)를 푸쉬한 후, 사용자가 당기고 있던 힘을 해제하면 조작샤프트(200)는 다시 돌출부(120)를 향해 복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자석(600)과 제2자석(700)은 서로 강한 자기력으로 당기고 있으므로 조작샤프트(200)는 다시 원위치로 회귀하여 돌출부(120)와 접촉하는 위치에 있을 수 있다. 이때 조작샤프트(200)가 원위치로 회귀하여 돌출부(120)와 접촉됨에 따라, 그리고 푸쉬되었던 누름단자(520)가 다시 원위치로 복귀되면서 다시 '딸각'과 같은 소리를 발생시키고 사용자는 조작샤프트(200)가 원위치로 회귀하였음을 시인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패들스위치(30)는 자석의 인력을 이용하여 패들스위치(30)의 조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조작샤프트(200)가 이동하여 스위치부(500)를 누를 때 및 조작샤프트(200)가 회귀하여 바디부(100)에 접촉될 때의 소리 및 손에 느껴지는 감각을 통해, 패들스위치(30)의 조작감 및 파지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패들스위치(30)는 각도조정부(300) 및 간격조정부(900)를 구비함에 따라 파지를 위한 최적의 파지플레이트(400) 위치를 설정할 수 있다. 또한 패들스위치(30)는 파지플레이트(400)에 마찰부재(800)를 구비함으로써 파지감을 향상시키고 정확한 조작을 할 수 있다. 또한 패들스위치(30)는 파지플레이트(400)에 파지홀(430)을 구비함으로써 파지감을 향상시키고 정확한 조작을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다.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실시예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충분히 이해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기초하여 정해져야 한다.
10: 제1패들스위치
20: 제2패들스위치
30: 패들스위치 조립체
100: 바디부
120: 돌출부
200: 조작샤프트
300: 각도조정부
400: 파지플레이트
500: 스위치부
600: 제1자석
700: 제2자석
800: 마찰부재
900: 간격조정부

Claims (11)

  1.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며, 일면에 제1자석이 배치되는 바디부;
    상기 바디부의 내부로 삽입되어 고정되며 힌지회전되는 제1단부를 구비하고, 상기 일면과 마주보는 면에 상기 제1자석과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제2자석을 구비하는 조작샤프트; 및
    상기 제1단부와 대향하는 제2단부에 배치되는 파지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제1패들스위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1자석과 상기 제2자석의 인력에 의해 상기 조작샤프트는 상기 바디부의 내부 공간 내에서 상기 일면을 향해 상기 제1단부를 중심으로 회전하는, 패들스위치 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는 상기 조작샤프트의 연장방향인 제1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상기 조작샤프트와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돌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자석은 상기 돌출부에 배치되는, 패들스위치 조립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조작샤프트와 마주보는 면과 반대되는 면에 제1하프홀 또는 제1관통홀을 포함하고,
    상기 제1자석은 상기 제1하프홀 또는 제1관통홀에 배치되는, 패들스위치 조립체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샤프트는 강자성체 또는 상자성체 물질을 포함하는, 패들스위치 조립체.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샤프트의 제1단부는 상기 바디부의 내부에 힌징되고, 힌징축을 중심으로 회전이동하는, 패들스위치 조립체.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샤프트가 삽입되는 상기 바디부의 개구는 상기 조작샤프트의 두께방향으로 상기 조작샤프트의 두께보다 1.5 mm 이상 3 mm 이하만큼 더 크게 형성되고, 상기 조작샤프트는 상기 개구 내에서 회전이동하는, 패들스위치 조립체.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패들스위치는
    상기 조작샤프트와 상기 파지플레이트 사이에 배치되는 각도조정부를 더 포함하는, 패들스위치 조립체.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패들스위치는
    상기 조작샤프트와 상기 파지플레이트 사이에 배치되는 간격조정부를 더 포함하는, 패들스위치 조립체.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플레이트는 사용자를 바라보는 면인 전면 및 상기 전면과 대향하는 후면을 포함하고,
    상기 후면에는 마찰부재가 배치되는, 패들스위치 조립체.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들스위치는
    상기 바디부 내부에 배치되어 조작샤프트에 의해 푸쉬되는 스위치부; 및
    상기 바디부에 연결되어 고정되고, 상기 스위치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인쇄회로기판 하우징;을 더 포함하는, 패들스위치 조립체.

KR1020230065235A 2023-05-19 2023-05-19 패들스위치 조립체 KR1026451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65235A KR102645170B1 (ko) 2023-05-19 2023-05-19 패들스위치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65235A KR102645170B1 (ko) 2023-05-19 2023-05-19 패들스위치 조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45170B1 true KR102645170B1 (ko) 2024-03-08

Family

ID=902357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65235A KR102645170B1 (ko) 2023-05-19 2023-05-19 패들스위치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45170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0433B1 (ko) * 2007-10-24 2009-03-27 자동차부품연구원 차량용 페달암 각도 조절장치
KR20110050848A (ko) * 2009-11-09 2011-05-17 주식회사 동희산업 가속페달 장치의 킥 다운 스위치
KR20230035843A (ko) * 2021-09-06 2023-03-1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폴더블 페달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0433B1 (ko) * 2007-10-24 2009-03-27 자동차부품연구원 차량용 페달암 각도 조절장치
KR20110050848A (ko) * 2009-11-09 2011-05-17 주식회사 동희산업 가속페달 장치의 킥 다운 스위치
KR20230035843A (ko) * 2021-09-06 2023-03-1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폴더블 페달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7128862A (ja) 多方向操作スイッチ及びこれを用いたスイッチ装置
EP1720088A2 (en) Portable multimedia device with display bracket switch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JP5930226B2 (ja) 多方向入力操作装置及び該多方向入力操作装置を用いた車両用シフト装置
DE102010041355B4 (de) Haptisches System mit mechanischen Tasten
KR102645170B1 (ko) 패들스위치 조립체
US20090201433A1 (en) Panel Detaching Mechanism
US7054152B2 (en) Notebook computer with hidden multimedia controller
EP2639803B1 (en) Steering switch device
JP2008105650A (ja) シフト装置
JP4094282B2 (ja) 乗り物搭載機器用操作装置
JP4846914B2 (ja) シフト装置
JPH08127267A (ja) 車載機器の操作装置
JP2008146968A (ja) 入力装置
WO2023127662A1 (ja) 入力デバイス及び***作部材
WO2023127657A1 (ja) 入力デバイス及び入力デバイスの外装カバー
WO2023127656A1 (ja) 入力デバイス及び入力デバイスのカバー
JP6776982B2 (ja) キー入力装置
WO2023127191A1 (ja) 入力デバイス、操作スティックユニット
JPH09161868A (ja) 端子台
WO2023127660A1 (ja) 入力デバイス及び操作スティックのトップ部材
WO2023127659A1 (ja) 入力デバイス
WO2023127661A1 (ja) 入力デバイス及び操作スティックユニット
EP2299463B1 (en) Press-to-operate input device
WO2018042712A1 (ja) 入力装置
JP2005158578A (ja) 車載用電子機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