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43117B1 - 게임 컨텐츠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 Google Patents

게임 컨텐츠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43117B1
KR102643117B1 KR1020180069929A KR20180069929A KR102643117B1 KR 102643117 B1 KR102643117 B1 KR 102643117B1 KR 1020180069929 A KR1020180069929 A KR 1020180069929A KR 20180069929 A KR20180069929 A KR 20180069929A KR 102643117 B1 KR102643117 B1 KR 1026431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me content
game
tag data
search
provi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699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42800A (ko
Inventor
김병주
소송희
손의준
안승준
윤성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엔씨소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엔씨소프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엔씨소프트
Priority to KR10201800699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43117B1/ko
Publication of KR201901428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428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31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3117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30Interconnection arrangements between game servers and game devices; Interconnection arrangements between game devices; Interconnection arrangements between game servers
    • A63F13/35Details of game servers
    • A63F13/355Performing operations on behalf of clients with restricted processing capabilities, e.g. servers transform changing game scene into an encoded video stream for transmitting to a mobile phone or a thin clien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50Controlling the output signals based on the game progress
    • A63F13/53Controlling the output signals based on the game progress involving additional visual information provided to the game scene, e.g. by overlay to simulate a head-up display [HUD] or displaying a laser sight in a shooting game
    • A63F13/537Controlling the output signals based on the game progress involving additional visual information provided to the game scene, e.g. by overlay to simulate a head-up display [HUD] or displaying a laser sight in a shooting game using indicators, e.g. showing the condition of a game character on screen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60Generating or modifying game content before or while executing the game program, e.g. authoring tools specially adapted for game development or game-integrated level editor
    • A63F13/69Generating or modifying game content before or while executing the game program, e.g. authoring tools specially adapted for game development or game-integrated level editor by enabling or updating specific game elements, e.g. unlocking hidden features, items, levels or vers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일 실시예에 따른 게임 컨텐츠 제공 방법은, 게임 서버가, 게임 클라이언트 소프트웨어가 설치된 제1 단말로부터 게임 컨텐츠 업로드 요청을 수신하는 동작; 태그 데이터를 생성하여 상기 업로드 요청된 게임 컨텐츠 내 적어도 하나의 씬 또는 프레임에 태깅하는 동작; 상기 업로드 요청된 게임 컨텐츠와 태깅된 태그 데이터를 함께 저장하는 동작; 제2 단말의 게임 컨텐츠 검색 요청시, 검색어와 관련된 태그 데이터를 참조하여 상기 검색어에 대응되는 씬 또는 프레임의 이미지를 검색 결과로 제공하는 동작; 및 상기 제2 단말에서 검색 결과에 기초한 상기 게임 컨텐츠의 재생을 제어하는 동작;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게임 컨텐츠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METHOD AND COMPUTER PROGRAM FOR PROVIDING GAME CONTENTS}
본 발명은 온라인 게임에 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게임 컨텐츠의 업로드시에 태그 데이터(tag data)를 이용하여 태깅(tagging)함으로써 게임 컨텐츠의 검색 편의를 도울 수 있는 게임 컨텐츠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에 대한 것이다.
태그(tags) 검색은 SNS를 통해 더욱 보급된 태그 활용의 한 방법으로 종래 검색 방법에 진보한 검색 방법으로 소개되기 시작하고 있다.
태그 검색의 대표적인 예로 해시 태그(hash tags)가 있다. 해시 태그는 #(샤프 기호)와 특정 단어를 붙여 쓴 것으로, 작성자가 게시글을 작성한 후 # 뒤에 단어를 넣어 작성한 글의 주제를 표현한다. 해시 태그는 트위터, 페이스북 등의 SNS와 블로그 등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소셜 미디어에서 특정 핵심어를 편리하게 검색할 수 있도록 하거나, 특정 주제에 대한 관심과 지지를 드러내는 방식이나 수단으로 사용되는 메타데이터의 한 형태이다.
다만, 이러한 태그 검색은 주로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태그 데이터에 의존하게 되거나 잘못 입력되거나 오류가 많아 오히려 검색의 정확성을 떨어뜨리는 요소가 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게임 분야에서는 동일한 컨텐츠에 대한 경험의 공유가 많으나 상기와 같은 문제는 검색의 질을 떨어뜨리고 신뢰도를 떨어뜨리는 원인이 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게임 컨텐츠 제공 방법은, 게임 서버가, 게임 클라이언트 소프트웨어가 설치된 제1 단말로부터 게임 컨텐츠 업로드 요청을 수신하는 동작; 태그 데이터를 생성하여 상기 업로드 요청된 게임 컨텐츠 내 적어도 하나의 씬 또는 프레임에 태깅하는 동작; 상기 업로드 요청된 게임 컨텐츠와 태깅된 태그 데이터를 함께 저장하는 동작; 제2 단말의 게임 컨텐츠 검색 요청시, 검색어와 관련된 태그 데이터를 참조하여 상기 검색어에 대응되는 씬 또는 프레임의 이미지를 검색 결과로 제공하는 동작; 및 상기 제2 단말에서 검색 결과에 기초한 상기 게임 컨텐츠의 재생을 제어하는 동작;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게임 컨텐츠 제공 방법은, 상기 업로드 요청된 게임 컨텐츠의 씬 또는 프레임의 이미지를 스캔하는 동작; 및 상기 스캔 결과에 따라 태깅을 위한 상기 태그 데이터를 생성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게임 컨텐츠 제공 방법은, 상기 제어 동작은, 상기 게임 컨텐츠 재생 시에 상기 검색어에 대응되는 해당 씬 또는 프레임부터 재생되도록 제어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게임 컨텐츠 제공 방법은, 상기 제어 동작은, 상기 제2 단말의 게임 컨텐츠 재생 시 재생 바를 제공하고, 상기 재생 바는 해당 게임 컨텐츠 내 태깅된 씬 또는 프레임을 나타내는 인디케이터가 제공되도록 제어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게임 컨텐츠 제공 방법은, 상기 태그 데이터는, 아이템 획득시, 보스나 특정 캐릭터에 관련, 및 게임 유저 사망과 관련된 게임 이벤트 발생시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게임 컨텐츠 제공 방법은, 상기 태그 데이터는, 게임 특성, 검색어의 노출 빈도나 순위 및 게임 서버 제공 이벤트에 따라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게임 컨텐츠 제공 방법은, 상기 인디케이터는, 상기 태그 데이터에 따라 모양, 크기 및 색상이 서로 다르게 형성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게임 컨텐츠 제공 방법은, 상기 태그 데이터는, 해시태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게임 컨텐츠 제공 방법을 수행하기 위해 기록매체에 기록된 컴퓨터 프로그램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게임 서버가, 게임 클라이언트 소프트웨어가 설치된 제1 단말로부터 게임 컨텐츠 업로드 요청을 수신하는 동작; 태그 데이터를 생성하여 상기 업로드 요청된 게임 컨텐츠 내 적어도 하나의 씬 또는 프레임에 태깅하는 동작; 상기 업로드 요청된 게임 컨텐츠와 태깅된 태그 데이터를 함께 저장하는 동작; 제2 단말의 게임 컨텐츠 검색 요청시, 검색어와 관련된 태그 데이터를 참조하여 상기 검색어에 대응되는 씬 또는 프레임의 이미지를 검색 결과로 제공하는 동작; 및 상기 제2 단말에서 검색 결과에 기초한 상기 게임 컨텐츠의 재생을 제어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게임 컨텐츠 제공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게임 서버에서 게임 컨텐츠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3은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게임 서버에서 게임 컨텐츠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라 게임 컨텐츠 업로드시에 태깅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라 게임 단말에서 게임 컨텐츠를 검색할 때 검색 결과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라 게임 단말에서 게임 컨텐츠 내의 검색 및 결과 데이터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라 게임 단말에서 검색된 게임 컨텐츠의 디스플레이 방법 및 그를 위한 게임 서버의 재생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고, 실시예들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그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명세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수단",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다양한 실시예들에 대하여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실시예는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해결수단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게임 컨텐츠 제공 시스템(100)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게임 컨텐츠 제공 시스템(100)은 적어도 하나의 단말(10,11)과 네트워크를 통해 게임 서비스를 지원하는 게임 서버(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게임 컨텐츠 제공 시스템(100)은 필요에 따라 검색 서버(3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여기서, 각 단말(10,11)은 게임 클라이언트(또는 게임 클라이언트 소프트웨어)가 설치된 게임 플레이어의 단말일 수 있으며, 게임 아이템 등의 소유자이며 게임 컨텐츠를 상기 게임 서버(20) 및/또는 상기 검색 서버(30)에 업로드할 수 있다.
단말(10,11)은 모두 게임 컨텐츠를 녹화 또는 스트리밍 방식으로 게임 서버(20)에 업로드 요청할 수 있고, 이렇게 업로드 된 게임 컨텐츠는 단말(10,11)에서 검색하여 재생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게임 컨텐츠를 업로드하는 단말은 게임 클라이언트 소프트웨어를 설치하고 실행하여 플레이어가 게임을 즐길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게임 클라이언트로서의 역할을 하는 컴퓨팅 장치를 예로 하여 설명하고, 게임 컨텐츠를 검색하는 단말은 반드시 게임 클라이언트가 설치되어 있을 필요는 없으며 상기 게임 컨텐츠 검색 및 선택 시에 해당 게임 클라이언트를 설치받을 수도 있다. 편의상 도 1의 제1 단말(10)은 게임 단말 즉, 게임 컨텐츠를 업로드하는 단말로 설명하고, 제2 단말(11)은 게임 컨텐츠를 검색하는 단말로 설명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게임 서버(20)는 온라인 게임에 사용하는 각종 게임 컨텐츠를 제공하는 게임 컨텐츠 제공 서버, 상기 게임 컨텐츠를 제공받는 플레이어들의 정보를 관리하는 고객 관리 서버, 상기 플레이어 등이 업로드하는 게임 컨텐츠 관리하는 서버, 게임 컨텐츠의 재생 등을 제어하는 제어 서버, 각종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등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물리적으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컴퓨팅 장치들로 구현될 수 있다.
게임 서버(20)에서 제공하는 온라인 게임은 플레이어의 조작에 대응하는 물리적인 움직임을 출력하기 위한 프로그램의 형태로 구현된 게임 엔진을 포함한다.
게임 서버(20)는 단말(10,11)로 온라인 게임의 실행을 위한 게임 클라이언트 소프트웨어를 제공하며, 게임 클라이언트로 하여금 온라인 게임을 진행할 수 있도록 플레이어들의 온라인 게임 내 상태 정보를 수집하여 타 플레이어들과 실시간 공유할 수 있다.
게임 서버(20)는 게임 컨텐츠 공유 체험 서비스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UI)를 게임 클라이언트를 통해 단말(10,11)로 제공한다.
검색 서버(30)는 상기 게임 서버(20)에 종속 또는 독립된 서버로서, 검색 툴을 제공하고 검색 페이지, 검색 결과 등 게임 컨텐츠 검색 등과 관련된 모든 환경 및 데이터를 제공 가능한 서버이다. 상기 검색 서버(30)가 독립 서버로서 기능하는 경우에는 독립된 검색 엔진과 검색 결과를 제공하는 웹 페이지 형태로 제공될 수도 있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게임 서버에서 게임 컨텐츠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도 3은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게임 서버에서 게임 컨텐츠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라 게임 컨텐츠 업로드시에 태깅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라 게임 단말에서 게임 컨텐츠를 검색할 때 검색 결과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라 게임 단말에서 게임 컨텐츠 내의 검색 및 결과 데이터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및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라 게임 단말에서 검색된 게임 컨텐츠의 디스플레이 방법 및 그를 위한 게임 서버의 재생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여 게임 서버에서 게임 컨텐츠를 업로드하고, 업로드되는 게임 컨텐츠를 태깅하여 저장한 후에 유저의 검색에 이용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편의상 제1 단말(10)은 게임 컨텐츠 업로드 단말로 그리고 제2 단말(11)은 게임 컨텐츠 검색 단말로 설명한다.
제1 단말(10)은 게임을 실행하고(동작 201), 게임 컨텐츠를 게임 서버(20)로 업로드 요청한다(동작 202). 여기서, 상기 업로드 요청되는 게임 컨텐츠는 상기 제1 단말(10)의 게임 유저에 의해 녹화, 녹화 편집, 라이브 방송이나 스트리밍 방식에 의한 컨텐츠 등 온라인 게임과 관련된 모든 컨텐츠가 포함될 수 있으나, 설명의 편의상 게임 컨텐츠는 동영상 포맷을 가진 것을 일 실시예로 하여 설명한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게임 서버(20)는 상기 동작 202를 통한 상기 제1 단말(10)의 게임 컨텐츠 업로드 요청을 승인하고 상기 업로드 요청된 게임 컨텐츠 데이터를 수신한다(동작 203).
이후 게임 서버(20)는 동작 203을 통해 수신되는 게임 컨텐츠 데이터를 분석하고 태깅한다(동작 204). 여기서, 상기 게임 서버(20)의 게임 컨텐츠 데이터 분석/태깅 방법과 관련하여 도 4를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게임 서버(20)는 게임 컨텐츠를 미리 정한 기준에 따라 스캔(scan)을 수행한다. 상기 미리 정한 기준이라 함은 예를 들어, 씬 단위, 프레임 단위, 시간 단위, 사용자의 태그 입력 단위 등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의미이다. 또한, 상기 미리 정한 기준이라 함은 상기 단위와 함께 태그 데이터를 생성할 만한 특징이 있는 씬, 프레임 등이 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게임 서버(20)는 게임 컨텐츠를 스캔하여 게임 컨텐츠 내 특정 씬이나 프레임에 대하여 이미지 데이터에 기초하여 자동으로 태그 데이터를 생성하고 태깅할 수 있다. 이렇게 태깅을 통하여 태그 데이터와 특정 씬이나 프레임은 서로 연결성을 갖고 링크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태크 데이터는 해시태그를 일 실시예로 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4를 참조하면, 제1 단말(10)의 화면 또는/및 게임 서버(20)는 현재 상태 데이터 즉, 게임 컨텐츠의 게임 서버(20)로의 업로드 중임과 진행 상태에 대한 데이터(410)을 출력하거나 알 수 있다. 한편, 도 4에서 태킹과 관련하여, 씬이나 프레임 단위의 스캔(420), 특정 씬이나 프레임에 대한 태크 데이터 생성(432 내지 436)을 나타내고 있다.
도시되진 않았으나, 제1 단말(10)은 설정을 통하여 게임 컨텐츠를 게임 서버(20)로 업로드 시에 자동 또는 수동 태깅을 요청하거나 자동 태깅을 금지할 수도 있다.
한편, 게임 서버(20)의 스캔은 업로드되는 게임 컨텐츠에 태깅을 위한 것 즉, 특징있는 씬이나 프레임을 추출함으로써 추출된 씬이나 프레임에 해당하는 태그 데이터의 생성 및 정의를 위함이다.
게임 서버(20)는 상기 미리 정한 기준에 따라 검색을 수행하되 자동 태깅을 위한 태그 데이터 생성을 위한 기준을 임의로 설정 가능하다. 또는 제1 단말(10) 유저의 태그 데이터 생성에 의할 수도 있다. 게임 서버(20)는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게임 컨텐츠의 씬 또는 프레임들 중 "집행검 +9 성공", "안타라스 처치", "마법인형 획득" 등과 관련된 특정 씬이나 프레임들에 대해 태그 데이터를 생성하고 태깅한다. 상기 "집행검 +9 성공", "안타라스 처치", "마법인형 획득"과 관련하여 이는 일 실시예일뿐으로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게임 서버(20)는 아이템 획득시, 보스 발생이나 처치, 특정 캐릭터 발생이나 처치와 같은 이벤트 발생시, 게임 유저 사망시 등으로 태그 데이터를 정의할 수 있다. 또한, 이는 게임 특성, 검색 빈도나 순위, 이벤트 등에 따라 게임 서버(20)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게임 서버(20)는 업로드되는 게임 컨텐츠에 대하여 적어도 하나의 태그 데이터를 생성하여 태깅할 수 있다. 게임 서버(20)는 하나의 게임 컨텐츠에 대하여 동일한 이름이나 속성의 태그 데이터를 복수 개 생성하여 서로 링크되도록 태깅할 수 있다. 게임 서버(20)는 하나의 게임 컨텐츠 내에 하나의 태그 데이터에 대한 서브 태그 데이터를 생성하여 서로 링크되도록 태깅할 수 있다. 게임 서버(20)는 동일한 식별자를 가진 게임 단말에 의해 업로드된 서로 다른 게임 컨텐츠가 서로 링크되도록 각 게임 컨텐츠에 태그 데이터를 생성하여 서로 링크되도록 태깅할 수 있다. 게임 서버(20)는 서로 다른 게임 컨텐츠에 대하여 각각 태그 데이터와 그의 종속된 서브 태그 데이터를 각각 태깅하고, 상기 각 태그 데이터와 서브 태그 데이터가 서로 링크되도록 태깅할 수 있다.
게임 서버(20)는 동작 204를 통해 태깅이 이루어지면, 업로드되는 게임 컨텐츠와 태깅에 관한 데이터를 함께 저장한다(동작 205).
제2 단말(11)은 웹 페이지 등을 통하여 게임 컨텐츠 검색을 요청하면(동작 206), 해당 검색 서버(30)는 이를 수신하여 게임 서버(20)에 데이터를 요청한다(동작 207).
게임 서버(20)는 검색 서버(30)의 요청에 따른 게임 컨텐츠 데이터와 태깅 데이터를 수집하고, 수집된 데이터를 검색 서버(30)로 리턴한다(동작 208/동작 209).
검색 서버(30)는 게임 서버(20)로부터 리턴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결과 데이터를 생성하여 출력한다(동작 210).
제2 단말(11)의 상기 검색 서버(20)의 출력 결과 데이터로부터 선택된 게임 컨텐츠를 재생한다(동작 211).
도 5를 참조하면, 동작 210의 일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5는 제2 단말(11)의 검색 화면일 수 있다. 상기 검색 화면에는 검색창과 검색요청 버튼(510)이 제공되고, 상기 검색창에 제2 단말(11)의 유저가 검색어로 텍스트를 입력하면 그에 해당하는 결과 데이터가 아래에 제공된다. 일 실시예로, 도 5의 검색창에 제2 단말(11) 유저가 "안타라스 처치"라는 검색어를 입력하면, 검색 서버(20)는 상기 입력된 검색어와 관련된 게임 컨텐츠(522 내지 528)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제공되는 게임 컨텐츠(522 내지 528)은 해당 게임 컨텐츠에 태깅된 태그 데이터가 상기 입력된 검색어와 관련된 컨텐츠도 포함한다. 한편, 도 5를 참조하면, 결과 데이터로 제공되는 각 게임 컨텐츠는 단지 종래 검색 결과와 같이, 일반적인 데이터만 제공되는 것이 아니라 상기 검색어에 대응되는 태그 데이터와 태그 데이터의 위치에 따른 재생바 등을 제공한다. 이에 의하면,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제2 단말(11) 유저의 선택에 따라 게임 컨텐츠가 재생될 때, 재생 시작점이 최초 위치가 아니라 해당 태그 데이터 위치부터 시작될 수 있다. 한편,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게임 컨텐츠(522 내지 528)은 서로 다른 게임 컨텐츠이고, 상기 검색어에 대응되는 태깅 위치가 서로 달라, 재상바와 재생시각을 통한 재생 시점이 서로 다른 것을 알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제2 단말(11)은 검색창(610)을 통해 기 다운로드 받은 게임 컨텐츠를 재생 과정에서 상기 검색창(610)에 입력된 검색어에 대응되는 태깅 부분을 찾거나 바로 재생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기 다운로드 받은 게임 컨텐츠가 태깅 데이터를 포함하였으나 도 6과 같이 표시되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검색창(610)의 검색어 입력을 통해 검색 요청시 상기 태깅 데이터를 참조하여 도 7과 같이 하이라이트를 표시하거나 상기 검색어에 대응되는 태깅 데이터 부분으로 바로 이동 도 6의 재생바(620)에서 해당 부분(624)로 바로 이동할 수도 있다. 또는, 상기 기 다운로드 받은 게임 컨텐츠가 태깅 데이터를 포함하지 않은 경우에는 게임 서버(20)와의 통신을 통하여 스캔하여 태깅하거나 상기 게임 컨텐츠에 대한 기 생성된 태깅 데이터만을 별도 수신하여 도 7과 같이 하이라이트 처리하여 제공할 수도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먼저 게임 컨텐츠 재생 화면은 게임 서버(20)에 의해 제어 될 수 있는데 예컨대,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재생되는 게임 컨텐츠 내에 복수의 태그 데이터가 존재하면 각각에 대하여 하이라이트(722 내지 728) 표시가 재생바상에 제공되고, 사용자의 특정 하이라이트 선택시에 해당 하이라이트 위치로 재생 위치가 변경되어 재생 시작된다. 이를 게임 서버(20)에 의해 제어 가능하다.
한편, 재생바는 각 하이라이트(722 내지 728)와 관련된 재생 시각을 별도 표시하거나 도시된 바와 같이 재생바상에 표시할 수 있다.
도시되진 않았으나, 하이라이트 표시는 전술한 하나의 게임 컨텐츠 내에 서로 유사한 또는 링크된 복수의 태그 데이터에 대하여 서로 관련되거나 링크되었음을 쉽게 식별 가능하도록 표시되거나 연속하여 재생 제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관련 태그 데이터에 해당하는 하이라이트는 동일한 모양, 동일한 크기, 동일한 컬러 등으로 제공될 수 있다.
각 하이라이트와 연동된 태그 데이터에 해당하는 재생 시각에 따라 그 크기를 다르게 표시하도록 하여 해당 하이라이트의 크기로부터 재생 시각을 유추 가능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각 하이라이트의 모양은 링크된 해당 태그 데이터에 따라 그 모양이 결정될 수도 있다. 일 실시 예로, 보스 처치와 관련된 경우, 아이템에 관련된 경우 등의 하이라이트 모양은 서로 다르게 제공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태그 데이터와 서브 태그 데이터의 관계 역시 하이라이트의 크기, 모양, 컬러 등을 통해 쉽게 식별 가능하도록 구현할 수 있다.
도 7에서 만약 하나의 게임 컨텐츠를 실행하는 과정에서 화면 상에 특정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에는 자동으로 그와 관련된 링크된 태그 데이터의 하이라이트들이 제공될 수 있다. 일 실시 예로, 도 7의 게임 컨텐츠 화면상에 아이템(710, 검)이 나타난 경우에는, 상기 아이템과 관련되거나 유사 속성을 가진 태그 데이터의 하이라이트가 제공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각 하이라이트는 상기 아이템(710)과 유사한 형태로 제공되어 해당 하이라이트가 어떤 태그 데이터와 링크되었는지 쉽게 식별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도시되진 않았으나, 각 하이라이트에는 링크된 태그 데이터에 관한 정보가 함께 제공될 수 있다. 태그 데이터의 개수, 관련 재생 시각, 연동된 다른 게임 컨텐츠 등이 상기 정보로 함께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도시되진 않았으나, 게임 컨텐츠 제공 화면에서 재생바 상의 각 위치에 하이라이트가 표시되지 않았더라도 게임 컨텐츠 내에 태그 데이터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화면상의 일 영역에 하이라이트를 선택 가능한 인디케이터가 제공되고 제공된 인디케이터를 선택하면, 선택 가능한 하이라이트가 펼쳐져 제공되거나 재생바상의 각 해당 위치에 제공될 수 있다.
그 밖에, 상기에서 재생바 상에 하이라이트가 먼저 표시되지 않더라도 현재 재생 위치에 따라 미리 정한 시간 이전(예를 들어, 하이라이트 재생 위치 5초전 등)에 하이라이트가 제공되거나 모든 하이라이트가 동시에 한꺼번에 제공되는 것이 아니라 재생 위치에 따라 단계별로 시간대 별로 하이라이트가 순차 제공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1 하이라이트가 표시되고 해당 위치에서 재생되는 경우에는 관련 하이라이트 또는 다음 재생 위치의 하이라이트가 제2 하이라이트로 제공되되, 재생까지 남은 시간 등도 함께 제공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된 동작들은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순차 동작되는 것으로 기술하였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동작이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으며, 일부 동작은 도시되거나 기술된 바와 다르게 그 순서가 변경 실행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이상에서 다양한 실시예들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권리범위에 속한다.
10: 제1 단말
11: 제2 단말
20: 게임 서버

Claims (16)

  1. 게임 서버에 의해 수행되는 게임 컨텐츠 제공 방법에 있어서,
    게임 클라이언트 소프트웨어가 설치된 제1 단말로부터 게임 컨텐츠 업로드 요청을 수신하는 동작;
    태그 데이터를 생성하여 상기 업로드 요청된 게임 컨텐츠 내 적어도 하나의 씬 또는 프레임에 태깅하는 동작;
    상기 업로드 요청된 게임 컨텐츠와 태깅된 태그 데이터를 함께 저장하는 동작;
    제2 단말의 게임 컨텐츠 검색 요청시, 검색어와 관련된 태그 데이터를 참조하여 상기 검색어에 대응되는 씬 또는 프레임의 이미지를 검색 결과로 제공하는 동작; 및
    상기 제2 단말에서 검색 결과에 기초한 상기 게임 컨텐츠의 재생을 제어하는 동작; 을 포함하고,
    상기 태깅하는 동작은,
    상기 업로드 요청된 게임 컨텐츠에 대하여 동일한 이름이나 동일한 속성의 태그 데이터가 복수 개 생성되면, 상기 동일한 이름이나 동일한 속성의 복수 개의 태그 데이터가 서로 링크되도록 태깅하는 동작; 을 포함하는, 게임 컨텐츠 제공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태깅하는 동작은,
    상기 업로드 요청된 게임 컨텐츠의 씬 또는 프레임의 이미지를 스캔하는 동작; 및
    스캔 결과에 따라 태깅을 위한 상기 태그 데이터를 생성하는 동작; 을 포함하는, 게임 컨텐츠 제공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하는 동작은,
    상기 게임 컨텐츠 재생 시에 상기 검색어에 대응되는 해당 씬 또는 프레임부터 재생되도록 제어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게임 컨텐츠 제공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하는 동작은,
    상기 제2 단말의 게임 컨텐츠 재생 시 재생 바를 제공하고, 상기 재생 바는 해당 게임 컨텐츠 내 태깅된 씬 또는 프레임을 나타내는 인디케이터가 제공되도록 제어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게임 컨텐츠 제공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태그 데이터는,
    아이템 획득시, 보스나 특정 캐릭터에 관련, 및 게임 유저 사망과 관련된 게임 이벤트 발생시 생성되는, 게임 컨텐츠 제공 방법.
  6. 제1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태그 데이터는,
    게임 특성, 검색어의 노출 빈도나 순위 및 게임 서버 제공 이벤트에 따라 결정되는, 게임 컨텐츠 제공 방법.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인디케이터는, 상기 태그 데이터에 따라 모양, 크기 및 색상이 서로 다르게 형성되도록 제어하는, 게임 컨텐츠 제공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태그 데이터는,
    해시태그를 포함하는, 게임 컨텐츠 제공 방법.
  9. 게임 컨텐츠 제공 방법을 수행하기 위해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기록된 컴퓨터 프로그램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게임 클라이언트 소프트웨어가 설치된 제1 단말로부터 게임 컨텐츠 업로드 요청을 수신하는 동작;
    태그 데이터를 생성하여 상기 업로드 요청된 게임 컨텐츠 내 적어도 하나의 씬 또는 프레임에 태깅하는 동작;
    상기 업로드 요청된 게임 컨텐츠와 태깅된 태그 데이터를 함께 저장하는 동작;
    제2 단말의 게임 컨텐츠 검색 요청시, 검색어와 관련된 태그 데이터를 참조하여 상기 검색어에 대응되는 씬 또는 프레임의 이미지를 검색 결과로 제공하는 동작; 및
    상기 제2 단말에서 검색 결과에 기초한 상기 게임 컨텐츠의 재생을 제어하는 동작; 을 포함하고,
    상기 태깅하는 동작은,
    상기 업로드 요청된 게임 컨텐츠에 대하여 동일한 이름이나 동일한 속성의 태그 데이터가 복수 개 생성되면, 상기 동일한 이름이나 동일한 속성의 복수 개의 태그 데이터가 서로 링크되도록 태깅하는, 기록매체에 기록된 컴퓨터 프로그램.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태깅하는 동작은,
    상기 업로드 요청된 게임 컨텐츠의 씬 또는 프레임의 이미지를 스캔하는 동작; 및
    스캔 결과에 따라 태깅을 위한 상기 태그 데이터를 생성하는 동작; 을 포함하는, 기록매체에 기록된 컴퓨터 프로그램.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하는 동작은,
    상기 게임 컨텐츠 재생 시에 상기 검색어에 대응되는 해당 씬 또는 프레임부터 재생되도록 제어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기록매체에 기록된 컴퓨터 프로그램.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하는 동작은,
    상기 제2 단말의 게임 컨텐츠 재생 시 재생 바를 제공하고, 상기 재생 바는 해당 게임 컨텐츠 내 태깅된 씬 또는 프레임을 나타내는 인디케이터가 제공되도록 제어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기록매체에 기록된 컴퓨터 프로그램.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태그 데이터는,
    아이템 획득시, 보스나 특정 캐릭터에 관련, 및 게임 유저 사망과 관련된 게임 이벤트 발생시 생성되는, 기록매체에 기록된 컴퓨터 프로그램.
  14. 제9항 또는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태그 데이터는,
    게임 특성, 검색어의 노출 빈도나 순위 및 게임 서버 제공 이벤트에 따라 결정되는, 기록매체에 기록된 컴퓨터 프로그램.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인디케이터는, 상기 태그 데이터에 따라 모양, 크기 및 색상이 서로 다르게 형성되도록 제어하는, 기록매체에 기록된 컴퓨터 프로그램.
  16.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태그 데이터는,
    해시태그를 포함하는, 기록매체에 기록된 컴퓨터 프로그램.
KR1020180069929A 2018-06-19 2018-06-19 게임 컨텐츠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KR1026431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9929A KR102643117B1 (ko) 2018-06-19 2018-06-19 게임 컨텐츠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9929A KR102643117B1 (ko) 2018-06-19 2018-06-19 게임 컨텐츠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42800A KR20190142800A (ko) 2019-12-30
KR102643117B1 true KR102643117B1 (ko) 2024-03-04

Family

ID=691031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69929A KR102643117B1 (ko) 2018-06-19 2018-06-19 게임 컨텐츠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43117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127857A (ja) * 2013-12-27 2015-07-09 株式会社セガゲームス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JP6234080B2 (ja) * 2013-06-25 2017-11-22 株式会社 ディー・エヌ・エー 複数のデジタルコンテンツを提供可能なシステム及びこれを用いた方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110179A (en) * 1979-02-16 1980-08-25 Dainippon Toryo Co Ltd Red luminescent composition and fluorescent display tube excited with low energy electron ray
US20090119710A1 (en) * 2007-11-01 2009-05-07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enhancing support for user-generated content delivery
KR101587926B1 (ko) * 2013-09-12 2016-01-25 엠랩 주식회사 스트리밍 동영상에 대한 코멘트 태깅 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234080B2 (ja) * 2013-06-25 2017-11-22 株式会社 ディー・エヌ・エー 複数のデジタルコンテンツを提供可能なシステム及びこれを用いた方法
JP2015127857A (ja) * 2013-12-27 2015-07-09 株式会社セガゲームス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42800A (ko) 2019-12-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245049A1 (en) Metho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and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US10650861B2 (en) Video summarization and collaboration systems and methods
JP2021151515A (ja) タグコンテンツおよびソーシャルネットワークコンテンツに基くクラウドで実行されたミニゲームをランク付けするシステムおよび方法
AU2023202043A1 (en) System and method for creating and distributing multimedia content
US9233305B2 (en)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game-playing experiences
JP5144838B1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1512172A (ja) ビデオゲームイベントに関するビデオコンテンツを作成、編集、及び共有するためのシステム及び方法
KR101916874B1 (ko) 자동으로 동영상 하이라이트 영상의 제목을 생성하는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
JP6182609B2 (ja) 字幕処理方法、装置、システム及び記憶媒体
US20170201777A1 (en) Generating video content items using object assets
JPWO2008136466A1 (ja) 動画編集装置
JP2010268103A (ja) 動画配信サービスのクライアント端末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102643117B1 (ko) 게임 컨텐츠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JP2006050469A (ja) コンテンツ生成装置、コンテンツ生成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JP2007208651A (ja) コンテンツ視聴装置
KR102533175B1 (ko) 온라인 게임에서의 아이템 다이어리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JP5992085B2 (ja) 構築方法、プログラム、情報処理システム及び情報処理装置
Pinto et al. Improving Youtube video retrieval by integrating crowdsourced timed metadata
KR101397331B1 (ko) 신의 요약수집 및 플레이를 위한 시스템 및 방법, 및 그 기록매체
US20230394728A1 (en) Data Sticker Generation for Sports
CN110832876A (zh) 用于操作流传输服务以为媒体内容项提供社区空间的***和方法
JP7390877B2 (ja) 動画編集装置、動画編集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6392818B2 (ja) 構築方法、プログラム、情報処理システム及び情報処理装置
CN117641072A (zh) 内容生成的方法、装置、设备和存储介质
KR101467079B1 (ko) 신 클립을 구성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및 그 기록매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