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34010B1 - 멀티 커넥터를 포함하는 내수면용 잔교 - Google Patents

멀티 커넥터를 포함하는 내수면용 잔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34010B1
KR102634010B1 KR1020220053713A KR20220053713A KR102634010B1 KR 102634010 B1 KR102634010 B1 KR 102634010B1 KR 1020220053713 A KR1020220053713 A KR 1020220053713A KR 20220053713 A KR20220053713 A KR 20220053713A KR 102634010 B1 KR102634010 B1 KR 1026340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ove
pier
floating
deck
conn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537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153817A (ko
Inventor
신호근
Original Assignee
넥스트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넥스트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넥스트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537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34010B1/ko
Publication of KR202301538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538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40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40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5/00Movable or portable bridges; Floating bridges
    • E01D15/14Floating bridges, e.g. pontoon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5/00Movable or portable bridges; Floating bridges
    • E01D15/24Bridges or similar structures, based on land or on a fixed structure and designed to give access to ships or other floating structur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12Grating or flooring for bridges; Fastening railway sleepers or tracks to bridges
    • E01D19/125Grating or flooring for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06Moles; Piers; Quays; Quay walls; Groynes; Breakwaters ; Wave dissipating walls; Quay equipment
    • E02B3/062Constructions floating in operational condition, e.g. breakwaters or wave dissipating walls
    • E02B3/064Floating landing-sta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중에 부유한 상태로 수위에 대응하여 승강되고, 선박의 정박을 유도하는 수상 구조물로서, 상부에 결합된 대상의 무게를 지지하여 적어도 일부가 수면 위에 노출되도록 부유하는 플로팅부, 폭과 너비를 가지는 골조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플로팅부의 상부에 결합된 바디부, 면체로 형성되고 상기 바디부 상부에 안착된 데크부 및 길게 형성되며 둘레상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레일홈이 형성되고, 상기 바디부의 측면 테두리에 배치되는 커넥터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멀티 커넥터를 포함하는 내수면용 잔교{PIER FOR INLAND WATER WITH MULTI-CONNECTOR}
본 발명은 멀티 커넥터를 포함하는 내수면용 잔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보트나 요트의 계류장 또는 간이 접안시설, 바지선 혹은 부교와 같은 다양한 종류의 내수면(강, 하천, 저수지, 호수, 습지 등)의 수상부유구조물을 구성하기 위한 잔교에 관한 것이다.
사전적인 의미로 잔교(棧橋. Pier)는 배를 접안시키기 위해 물가에 만들어진 계선시설을 말하는 것으로, 부두에서 선박이 닿을 수 있도록 해 놓은 다리 모양의 구조물을 말한다. 일반적으로 말뚝을 강관 기둥으로 활용하고 강관 기둥의 상부에 콘크리트나 목재데크 혹은 강판과 같은 상부구조물이 설치되어 활용이 된다.
종래에 잔교를 시공하기 위해서는 수중의 지반에 설치되는 말뚝 또는 하중 지지부의 상부에 콘크리트 블록을 결합시키고, 목표로 하는 잔교의 범위 면적에 맞도록 복수의 콘크리트 블록이 상호 연결되도록 구비되도록 하는 구조로 이루어졌다.
하지만, 이러한 콘크리트 블록은 그 무게로 인해 블록을 옮겨 오거나 말뚝 또는 지지부의 상부에 안착시키는데 많은 어려움이 있었으며, 인접하는 콘크리트 블록을 결합시키는 과정에서 블록 또는 결합부가 파손되어 결합력의 손실 및 보수 작업으로 인해 시공 기간이 증가되어 전체적인 시공 비용이 증가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위와 같은 문제점을 설명하기 위한 종래기술에 따른 플로트의 일 예가 대한민국 실용신안 등록번호 제20-0435836호(2007년02월16일자 등록, 이하 '특허문헌 1'이라 함) 등에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기술에 따른 플로트는 몸체의 상부에 별도의 체결구가 형성되지 않고 체결홀(60)이 형성되어 볼트(50)와 직접 결합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마감재(40)를 조립하거나 해체할 때 공구로서 볼트(50)를 조이는 힘이 조금만 크게 작용하더라도 체결홀(60)이 쉽게 손상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볼트(50)가 플로트(10)의 체결홀(60)에 완전하게 고정되지 못하기 때문에 마감재(40)를 조립한 상태에서도 파도 등에 의하여 플로트가 유동할 때 볼트(50)가 쉽게 풀리게 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아울러, 플로트(10)의 체결홀(60)이 손상되면 마감재(40)를 고정하는 부분이 이탈될 수 있기 때문에 플로트(10)자체를 교체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또 다른 문제점으로는 데크와 플로트를 포함하는 잔교를 생산하기 위해서 다양한 스폿에 체결과 용접 등을 실시하게 된다.
이때 데크와 플로트에 손상이 되는 것은 기정 사실이 되고 있고, 결합 스폿(SPOT)이 많게 되면 외부 충격으로 파손되는 위험이 있고, 결합 스폿이 적으면 데크와 플로트가 분리되는 문제점이 발생되고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이 시급하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발명으로서, 데크재와 데크틀을 고정하는 레일 구조를 가진 멀티 커넥터가 구비되고 멀티 커넥터를 통해 데크재와 데크틀이 삽입되는 구조를 가지며, 부가적으로 플로트와의 결합을 위한 브라켓 등도 멀티 커넥터 레일에 삽입되어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유연하고 결속력을 높일 수 있는 멀티 커넥터를 포함하는 내수면용 잔교를 제공하기 위한 목적을 가진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라, 수중에 부유한 상태로 수위에 대응하여 승강되고, 선박의 정박을 유도하는 수상 구조물로서, 상부에 결합된 대상의 무게를 지지하여 적어도 일부가 수면 위에 노출되도록 부유하는 플로팅부, 폭과 너비를 가지는 골조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플로팅부의 상부에 결합된 바디부, 면체로 형성되고 상기 바디부 상부에 안착된 데크부 및 길게 형성되며 둘레상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레일홈이 형성되고, 상기 바디부의 측면 테두리에 배치되는 커넥터부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커넥터부는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레일홈이 형성되되, 둘레를 따라 다수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레일홈은 개방된 출입구를 통해 상기 바디부 및 상기 데크부가 삽입되고, 상부면과 하부면이 평행을 이루는 제1홈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레일홈은 상기 출입구가 내부 공간보다 작게 형성되는 레일 형상을 가지는 제2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넥터부는 둘레를 따라 상기 제1홈 및 상기 제2홈이 방사형으로 나열되고, 상기 바디부와 상기 데크부가 삽입되는 일측면에는 상부에서 하부 방향을 따라 제1홈과 제2홈이 순차적으로 반복되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커넥터부는 상기 일측면의 반대방향의 타측면에 제2홈에 외부 충격이 완충되게 하는 완충부재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넥터부는 상부면에서 상기 제2홈이 형성되며, 상기 제2홈상에 마련되는 클리트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커넥터부는 상기 플로팅부와 인접한 일부에 상기 제2홈이 형성되되, 일측이 상기 제2홈에 삽입되고 타 측은 상기 플로팅부에 결합되는 락킹 브라켓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플로팅부는 둘레상에 상기 락킹 브라켓이 결합될 수 있도록 돌출홀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데크부는 둘레상에 길이 방향을 따라 장홈이 형성되고, 위치를 고정하며 복수개의 상기 데크부 사이에서 간격을 조정하는 간격조절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간격조절부재는 측부에서 서로 수직된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장홈과 상기 바디부에 각각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데크와 플로트가 외부 충격에 유연하게 대비할 수 있고, 따라서 잔교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플로트와 데크가 견고히 고정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커넥터를 포함하는 내수면용 잔교와 안전하게 정박한 수상부유물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커넥터를 포함하는 내수면용 잔교의 결합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커넥터를 포함하는 내수면용 잔교에서 커넥터부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커넥터를 포함하는 내수면용 잔교에서 커넥터부에 바디부 및 데크부가 결합된 형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커넥터를 포함하는 내수면용 잔교에서 커넥터부와 플로팅부를 연결하는 락킹 브라켓을 나타낸 도면;
도 6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커넥터를 포함하는 내수면용 잔교에서 클리트가 커넥트부 상부의 제2홈에 결합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변형된 실시예에 따른 멀티 커넥터를 포함하는 내수면용 잔교에서 파손방지부를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커넥터를 포함하는 내수면용 잔교에서 플로팅부와 바디부를 연결하는 연결 브라켓을 나타낸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커넥터를 포함하는 내수면용 잔교에서 플로팅부와 바디부를 연결하는 홀딩 브라켓을 나타낸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커넥터를 포함하는 내수면용 잔교에서 간격조절부재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잔교(10)에 관한 것으로 수중에 부유하며 보트나 요트의 계류장 또는 간이 접안시설, 바지선 혹은 부교와 같은 다양한 종류의 내수면(강, 하천, 저수지, 호수, 습지 등)의 수상부유구조물을 구성하기 위한 부상체에 관한 것으로, 그 구성으로는 크게 플로팅부(100), 바디부(200), 데크부(300) 및 커넥터부(400)을 포함할 수 있다.
먼저 도면에 대해 설명하도록 하겠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커넥터를 포함하는 내수면용 잔교와 인접하게 정박한 수상부유물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커넥터를 포함하는 내수면용 잔교의 결합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커넥터를 포함하는 내수면용 잔교에서 커넥터부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커넥터를 포함하는 내수면용 잔교에서 커넥터부에 바디부 및 데크부가 결합된 형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플로팅부(100)는 수중에 적어도 일부가 노출된 상태로 부유하는 구조물로써, 육면체의 형상일 수 있다. 그리고 둘레를 따라 상부에 바디부(200)가 결합될 수 있도록 볼트를 체결할 수 있는 별도의 너트가 삽입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플로팅부(100)의 측면에서는 상하 방향으로 관통되는 돌출홀(120)이 형성되어 후술되는 락킹 브라켓(460)에 의해 바디부(200)와 결합될 수 있다.
계속해서 바디부(200)는 폭과 너비를 가지는 골조형상으로 형성되어 플로팅부(100)의 상부에 결합될 수 있다.
바디부(200)는 길게 바(Bar)형상 테두리부재(240)와 테두리부재(240)의 사이에 길게 형성되어 서로 마주보는 테두리부재(240)의 길이 중 일부에 연결되어 바디부(200)의 내부 골조를 형성하는 보강부재(220)를 포함할 수 있다.
계속해서 데크부(300)는 면체로 형성되어 다수개가 바디부(200)의 상부에 소정 간격을 가지고 배치될 수 있다.
데크부(300)는 소정 두께를 가지며 둘레를 따라 길게 가이드레일(322)이 형성될 수 있으며, 다수의 데크부(300)는 서로 간의 간격을 유지하기 위해 간격조절부재(320)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간격조절부재(320)는 상부가 측방으로 돌출되어 가이드레일(322)에 삽입되고, 하부도 측방으로 돌출되어 보강부재(220)와 테두리부재(240)의 측면에 형성된 보강부재 레일(222)에 삽입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간격조절부재(320)는 가이드레일(322)상에 다수개 배치되며 데크부(300)간의 일정한 틈을 갖도록 상부가 소정 돌출되게 형성되어 데크부(300)에 머무는 물이 배수될 수 있게 하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한편, 커넥터부(400)는 길게 형성되어 테두리부재(240)의 외측면에 결합되거나, 커넥터부(400) 자체로 바디부(200)의 테두리가 될 수 있게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커넥터부(400)는 둘레상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레일홈(420)이 형성되고 레일홈(420)은 개방된 출입구를 형태 바디부(200) 및 데크부(300)가 삽입되며, ㄷ형상을 가지고 내측면 상부와 하부가 서로 평행하게 마주보고 있는 제1홈(422) 및 출입구가 내부 공간보다 작게 형성되는 레일 형상의 제2홈(424)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커넥터부(400)는 둘레를 따라 제1홈(422) 및 제2홈(424)이 방사형으로 나열되고, 바디부(200)와 데크부(300)가 삽입되는 일측면(좌측면)에는 상부에서 하부 방향을 따라 제1홈(422)과 제2홈(424)이 순차적으로 반복되어 형성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넥터부(400)는 상부와 하부에 제2홈(424)이 두개, 우측면 상부에 제1홈(422), 우측면 하부에 제2홈(424)이 형성되어 있고, 좌측면은 상하 방향을 따라 제1홈(422), 제2홈(424)이 순차적으로 2개씩 형성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커넥터부(400)의 상부면과 하부면에서는 제2홈(424) 한 쌍이 나란히 형성되어 있으며, 상부면에는 클리트(480)가 삽입될 수 있다.
여기서 커넥터부(400)의 촤측면 상부에 형성된 제1홈(422)에는 데크부(300)가 삽입되고 좌측면 하부의 제1홈(422)에는 바디부(200)가 삽입되는 것을 도 4에서 확인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데크부(300)와 바디부(200) 사이에는 보강부재(220)가 형성되어 상부와 하부를 지지하게 되고, 보강부재(220)는 ㄷ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부의 제2홈(424)에는 클리트(480)가 삽입 결합되고, 하부의 제2홈(424)에는 락킹 브라켓(460)이 삽입될 수 있으며, 우측의 제2홈(424)이는 완충부재(470)가 우측면 전체를 감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완충부재(470)는 엘라스토머와 같은 고무 재질로 형성되며,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잔교(10)를 보호하는 목적을 가질 수 있다.
완충부재(470)와 커넥터부(400)간의 고정을 볼트 혹은 리벳(RIVET)으로 할 수 있다.
한편, 락킹 브라켓(460)은 커넥터부(400)와 플로팅부(100)를 연결하며, 좀 더 자세히는 플로팅부(100)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목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도 5를 통해 락킹 브라켓(460)에 대해서 자세히 설명하도록 하겠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커넥터를 포함하는 내수면용 잔교에서 커넥터부와 플로팅부를 연결하는 락킹 브라켓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락킹 브라켓(460)의 상부는 커넥터부(400)에서 하부 제2홈(424)에 삽입되는 상부부재(464)와 돌출홀(120)에 결합되는 하부부재(462)를 포함할 수 있다.
상부부재(464)는 제2홈(424)의 레일 형상에 대응된 형상으로 삽입되며, 하부부재(462)는 관통홀(미도시)이 형성되어 돌출홀(120)과 일치된 상태에서 볼트 또는 스터드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관통홀과 돌출홀(120)이 결합되는 형태는 홀을 관통하여 체결하는 수단이면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으며 체결 형태에 대해서는 권리범위가 제한되지 않고, 락킹 브라켓(460)의 형태, 목적 및 효과에 대해서 권리를 보호 받을 수 있다.
락킹 브라켓(460)을 자세히 살펴보면, ㅁ 형상의 본체 상부에 상부부재(464)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부부재(464)는 커넥터부(400) 하부의 제2홈(424)상에서 소정 이동이 가능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관통홀과 돌출홀(120)이 축 결합되는 형태를 가지고 있어서, 바디부(200)와 플로팅부(100)는 락킹 브라켓(460)을 중심으로 축 회전이 가능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위와 같이 락킹 브라켓(460)이 존재함으로 수중에 부유하는 플로팅부(100)가 파도나 물결에 따라 움직일 때에 지면에서 연장되는 데크부(300) 상부에 출렁임이나 충격이 전달되는 것을 완충할 수 있다는 목적과 효과를 가질 수 있다.
한편, 커넥터부(400) 상부의 제2홈(424)에는 클리트(480)가 적어도 하나 이상 삽입될 수 있다.
클리트(480)는 잔교(10) 근처에 정박한 수상부유물(50)을 줄을 이용하여 고정할 수 있는 대상으로 제2홈(424) 내부공간(424A)에 볼트 (483A)의 머리가 삽입되고 볼트(483A)는 클리트(480)의 하부를 관통하여 돌출된 상태에서 너트(483B)에 의해 결합되는 고정 방식으로 클리트(480)가 커넥터부(400)에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는 클리트(480)를 커넥터부(400) 상부의 제2홈(424)을 따라 원하는 위치(혹은 지정된 위치)에서 너트(483B)를 돌려서 조이는 간단한 방법으로 클리트(480)를 원하는 위치에 고정시킬 수 있다.
한편 커넥터부(400_ 상부의 제2홈(424)에는 안전난간(핸드레일)을 결합할 수도 있다.
클리트(480)는 배와 같은 수상부유물(50)을 고정하는 구성이라면, 상기 안전난간은 잔교 위에 이동하는 사람들이 물에 빠지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으며, 상기 안전난간의 고정방법은 클리트(480)의 고정방법과 동일하게 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커넥터를 포함하는 내수면용 잔교에서 클리트가 커넥트부 상부의 제2홈에 결합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삽입돌기((482)가 커넥터부(400)의 상부 제2홈(424)의 내측 상면과 접촉될 때 공극(424A)이 형성되는데, 이 때 공극(424A)에는 별도의 대상물(T)이 삽입되어 클리트(480)가 상부로 올라가게 할 수 있다.
대상물(T)은 커넥터부(400) 상부의 제2홈(424)의 내측 하부면과 면 접촉되며, 일단에서 타단을 향해 소정 각도로 두께가 커지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대상물(T)이 삽일돌기(482) 하부로 깊게 삽입될수록 클리트(480)는 제2홈(424)의 상부로 밀착하게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잔교(10)의 둘레를 따라 완충부재(470)가 형성됨을 전술하였다. 본 발명의 변형된 실시예에 따른 잔교(10)의 둘레에는 잔교(10)를 향하는 외부의 충격이 회피될 수 있도록 파손방지부(490)이 형성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변형된 실시예에 따른 멀티 커넥터를 포함하는 내수면용 잔교에서 파손방지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파손방지부(490)는 잔교(10)의 모서리나 둘레에 설치될 수 있으며, 커넥터부(400)의 우측 상단 제2홈(424)에 삽입되어 위치가 조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파손방지부(490)는 스티로폼이나 완충이 가능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내부 수직으로 기립된 축을 감싸는 형태로 상하방향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이 나열되며, 상기 축에 상부와 하부에서 결합되어 커넥터부(400)의 상단 제2홈(424)과 우측 제2홈(424)에 삽입되는 지지부재(494)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부재(490)는 일단이 상기 축의 상부와 하부에 고정되고, 타 단은 커넥터부(400)의 우측 상단 제2제홈(424)에 삽입되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은 형태의 파손방지부(490)는 잔교(10)의 둘레를 따라 다수 개 형성되어 외부 충격으로부터 잔교(10)와 수상부유물(50)간의 충격 완충과 스크레치 또는 파손의 위험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한편 플로팅부(100)는 바디부(200)에 고정될 수 있도록 연결 브라켓(260) 및 홀딩 브라켓(27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커넥터를 포함하는 내수면용 잔교에서 플로팅부와 바디부를 연결하는 연결 브라켓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커넥터를 포함하는 내수면용 잔교에서 플로팅부와 바디부를 연결하는 홀딩 브라켓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 브라켓(260)은 ㄴ 형상으로 형성되고 수직된 상부는 테두리부재(240), 상기 상부와 직교 방향으로 플로팅부(100)의 상면과 접촉되는 하부는 플로팅부(100)와 결합되게 형성될 수 있다.
연결 브라켓(260)의 상기 상부와 상기 하부는 장공(262)이 형성되어 있어서 소정의 움직임이 가능할 수 있으며, 이는 플로팅부(100)의 움직임이 데크부(300)에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홀딩 브라켓(270) ㄴ 형상을 가지며 수직된 상부는 보강부재(220)에 홀딩 브라켓(270)의 상기 상부와 직교된 방향으로 플로팅부(100)에 결합되는 홀딩 브라켓(270)의 하부는 플로팅부(100)의 상면에 결합이 가능할 수 있다.
이때 홀딩 브라켓(270)은 상기 하부에 장공이 형성되며, 장공의 단부가 개방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한편 전술한 간격조절부재(320)는 다수의 데크부(300) 사이에 배치되며, 가이드레일(322)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커넥터를 포함하는 내수면용 잔교에서 간?조절부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간격조절부재(320)는 상부가 측방으로 돌출되어 가이드레일(322)에 삽입되고, 하부도 측방으로 돌출되어 보강부재(220)와 테두리부재(240)의 측면에 형성된 보강부재 레일(222)에 삽입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간격조절부재(320)는 가이드레일(322)상에 다수개 배치되며 데크부(300)간의 일정한 틈을 갖도록 상부가 소정 돌출되게 형성되어 데크부(300)에 머무는 물이 배수될 수 있게 하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50: 수상 부유물
10: 잔교
100: 플로팅부
120: 돌출홀
200: 바디부
220: 보강부재
222: 보강부재 레일
240: 테두리부재
260: 연결 브라켓
270: 홀딩 브라켓
300: 데크부
320: 간격조절부재
322: 가이드레일
400: 커넥터부
420: 레일홈
422: 제1홈
424: 제2홈
424A: 공극
424B: 위치 안내 돌기
460: 락킹 브라켓
462: 하부부재
464: 상부부재
470: 완충부재
480: 클리트(480)
482: 삽입돌기
483: 고정홈
490: 파손방지부
492: 롤러부재
494: 지지부재

Claims (10)

  1. 수중에 부유한 상태로 수위에 대응하여 승강되고, 선박의 정박을 유도하는 수상 구조물로서,
    상부에 결합된 대상의 무게를 지지하여 적어도 일부가 수면 위에 노출되도록 부유하는 플로팅부;
    폭과 너비를 가지는 골조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플로팅부의 상부에 결합된 바디부;
    면체로 형성되고 상기 바디부 상부에 안착된 데크부; 및
    길게 형성되며 둘레상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레일홈이 형성되고, 상기 바디부의 측면 테두리에 배치되는 커넥터부를 포함하고,
    상기 바디부는 길게 바(Bar)형상 테두리부재와 상기 테두리부재의 사이에 길게 형성되어 서로 마주보는 상기 테두리부재의 길이 중 일부에 연결되어 상기 바디부의 내부 골조를 형성하는 보강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데크부는 면체로 형성되어 다수개가 상기 바디부 상부에 소정 간격을 가지고 배치되고, 둘레를 따라 길게 가이드레일이 형성되어 다수개의 간격조절부재가 삽입되며,
    상기 간격조절부재는 상기 데크부의 서로간의 간격을 유지되도록 상부가 측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가이드레일에 삽입되고, 하부는 상기 보강부재와 상기 테두리부재의 측면의 레일에 삽입 가능하게 형성되고,
    상기 플로팅부는 상기 바디부에 고정될 수 있도록 연결브라켓을 더 포함하고, 상기 연결브라켓은 ㄴ형상으로 형성되며, 수직 형성된 상부는 상기 테두리부재에 고정되고 하부는 상기 상부와 직교 방향으로 플로팅부의 상면과 결합되며, 상기 연결브라켓은 외력에 의해 상기 플로팅부의 움직임이 상기 데크부에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연결브라켓의 상기 상부와 상기 하부에는 장공이 형성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내수면용 잔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부는,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레일홈이 형성되되, 둘레를 따라 다수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수면용 잔교.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홈은,
    개방된 출입구를 통해 상기 바디부 및 상기 데크부가 삽입되고, 상부면과 하부면이 평행을 이루는 제1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수면용 잔교.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홈은,
    상기 출입구가 내부 공간보다 작게 형성되는 레일 형상을 가지는 제2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수면용 잔교.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부는,
    둘레를 따라 상기 제1홈 및 상기 제2홈이 방사형으로 나열되고, 상기 바디부와 상기 데크부가 삽입되는 일측면에는 상부에서 하부 방향을 따라 제1홈과 제2홈이 순차적으로 반복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수면용 잔교.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부는,
    상기 일측면의 반대방향의 타측면에 제2홈에 외부 충격이 완충되게 하는 완충부재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수면용 잔교.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부는,
    상부면에서 상기 제2홈이 형성되며, 상기 제2홈상에 마련되는 클리트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수면용 잔교.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부는,
    상기 플로팅부와 인접한 일부에 상기 제2홈이 형성되되, 일측이 상기제2홈에 삽입되고 타측은 상기 플로팅부에 결합되는 락킹 브라켓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수면용 잔교.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플로팅부는,
    둘레상에 상기 락킹 브라켓이 결합될 수 있도록 돌출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수면용 잔교.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크부는,
    둘레상에 길이 방향을 따라 장홈이 형성되고, 상기 간격조절부재는 측부에서 서로 수직된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장홈과 상기 바디부에 각각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수면용 잔교.
KR1020220053713A 2022-04-29 2022-04-29 멀티 커넥터를 포함하는 내수면용 잔교 KR1026340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3713A KR102634010B1 (ko) 2022-04-29 2022-04-29 멀티 커넥터를 포함하는 내수면용 잔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3713A KR102634010B1 (ko) 2022-04-29 2022-04-29 멀티 커넥터를 포함하는 내수면용 잔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53817A KR20230153817A (ko) 2023-11-07
KR102634010B1 true KR102634010B1 (ko) 2024-02-07

Family

ID=887472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53713A KR102634010B1 (ko) 2022-04-29 2022-04-29 멀티 커넥터를 포함하는 내수면용 잔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34010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6594B1 (ko) * 2016-03-11 2016-08-09 주식회사 마린코리아 푼툰
KR102284604B1 (ko) * 2021-03-31 2021-08-02 (주) 씨플렉스코리아 부교 유닛 연결장치 및 그를 이용한 부교 유닛 연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60686A (ko) * 2007-12-10 2009-06-15 박준남 조립데크 결합장치
KR20100120935A (ko) * 2009-05-07 2010-11-17 주식회사 부창기술 합성목재데크 구조체
KR101894631B1 (ko) * 2016-09-06 2018-09-05 부경정공마린주식회사 알루미늄 부표가 설치된 알루미늄 해상 구조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6594B1 (ko) * 2016-03-11 2016-08-09 주식회사 마린코리아 푼툰
KR102284604B1 (ko) * 2021-03-31 2021-08-02 (주) 씨플렉스코리아 부교 유닛 연결장치 및 그를 이용한 부교 유닛 연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53817A (ko) 2023-1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979453A (en) Floating dock system
KR101311221B1 (ko) 콘크리트 부유체 고정구 및 콘크리트 부유체
US7640881B1 (en) Dock system
KR200447350Y1 (ko) 푼툰을 이용한 조립식 부유해상구조물
US8166901B2 (en) Dock system
KR200432359Y1 (ko) 고밀도 폴리에틸렌으로 이루어진 부력관을 부력제로 이용한부잔교
KR101070242B1 (ko) 연결식 푼툰수납틀이 구비된 부유해상구조물
KR101252422B1 (ko) 조립식 폰툰
US3967569A (en) Floating dock
US5911542A (en) Unsinkable floating dock system
US4660495A (en) Floating dock/marina system
US7273018B2 (en) Modular floating dock frame and interconnection system
KR101009264B1 (ko) 수상구조물용 부유조립체
US6450737B1 (en) Floating concrete dock sections and methods for making the same
KR101005500B1 (ko) 푼툰수납틀이 구비된 조립식 부유해상구조물
KR101122060B1 (ko) 중심홀이 천공된 푼툰을 이용한 부유해상구조물
KR100804057B1 (ko) 플로트 조립체의 부속물 설치구조
KR102634010B1 (ko) 멀티 커넥터를 포함하는 내수면용 잔교
KR20150043668A (ko) 푼툰을 이용한 부유식 해상 구조물
KR101616689B1 (ko) 해양플랫폼
US20070017427A1 (en) Flotation device
KR101359523B1 (ko) 신축이음식 계류장치
JP6630105B2 (ja) 浮桟橋用浮体の連結構造
US7921792B2 (en) Apparatus for affixing a dock to an inboard mooring pole
KR100619738B1 (ko) 수상 정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