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33089B1 - 펌핑식 용기용 스프링 및 이를 포함하는 펌핑식 용기 - Google Patents

펌핑식 용기용 스프링 및 이를 포함하는 펌핑식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33089B1
KR102633089B1 KR1020230029755A KR20230029755A KR102633089B1 KR 102633089 B1 KR102633089 B1 KR 102633089B1 KR 1020230029755 A KR1020230029755 A KR 1020230029755A KR 20230029755 A KR20230029755 A KR 20230029755A KR 102633089 B1 KR102633089 B1 KR 1026330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rinkle
concave
convex
pipe
slo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297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민병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두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두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두코
Priority to KR10202300297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3308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30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30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005Components or details
    • B05B11/0027Means for neutralising the actuation of the sprayer ; Means for preventing access to the sprayer actuation means
    • B05B11/0032Manually actuated means located downstream the discharge nozzle for closing or covering it, e.g. shut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02Membranes or pistons acting on the contents inside the container, e.g. follower pistons
    • B05B11/028Pistons separating the content remaining in the container from the atmospheric air to compensate underpressure inside the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01Piston pum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42Components or details
    • B05B11/1059Means for locking a pump or its actuation means in a fixed 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42Components or details
    • B05B11/1073Springs
    • B05B11/1074Springs located outside pump cha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42Components or details
    • B05B11/1073Springs
    • B05B11/1077Springs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r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01Piston pumps
    • B05B11/1023Piston pumps having an outlet valve opened by deformation or displacement of the piston relative to its actuating ste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42Components or details
    • B05B11/1043Sealing or attachment arrangements between pump and container
    • B05B11/1046Sealing or attachment arrangements between pump and container the pump chamber being arranged substantially coaxially to the neck of the container
    • B05B11/1047Sealing or attachment arrangements between pump and container the pump chamber being arranged substantially coaxially to the neck of the container the pump being preassembled as an independent unit before being mounted on the container

Landscapes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펌핑식 용기용 스프링과 이를 포함하는 펌핑식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탄성변형부는 하방향으로 볼록한 상부관볼록부와 상방향으로 오목한 상부관오목부를 둘레방향을 따라 교대로 형성된 상부원형관부와, 상방향으로 볼록한 하부관볼록부가 상부관오목부에 정렬되고 하방향으로 오목한 하부관오목부가 상부관볼록부에 정렬되도록 형성된 하부원형관부와, 하방향으로 볼록한 상부주름제1경사면마루볼록부, 하방향으로 볼록한 상부주름정상면마루볼록부, 하방향으로 볼록한 상부주름제2경사면골볼록부가 상부관볼록부에 각각 정렬되도록 형성되고 상방향으로 오목한 상부주름제1경사면마루오목부, 상방향으로 오목한 상부주름정상면마루오목부, 상방향으로 오목한 상부주름제2경사면골오목부가 각각 상부관오목부에 정렬되도록 형성된 상부주름부와, 상방향으로 볼록한 하부주름제1경사면마루볼록부, 상방향으로 볼록한 하부주름정상면마루볼록부, 상방향으로 볼록한 하부주름제2경사면골볼록부가 각각 상부관오목부에 정렬되도록 형성되고 하방향으로 오목한 하부주름제1경사면마루오목부, 하방향으로 오목한 하부주름정상면마루오목부, 하방향으로 오목한 하부주름제2경사면골오목부가 각각 상부관볼록부에 정렬되도록 형성된 하부주름부와, 상방향으로 볼록한 중간주름정상면상부마루볼록부, 하방향으로 오목한 중간주름정상면상부마루오목부, 하방향으로 볼록한 중간주름정상면하부마루볼록부, 상방향으로 오목한 중간주름정상면하부마루오목부, 상방향으로 볼록한 중간주름제1경사면골볼록부, 하방향으로 오목한 중간주름제1경사면골오목부, 하방향으로 볼록한 중간주름제2경사면골볼록부, 상방향으로 오목한 중간주름제2경사면골오목부를 구비한 중간주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버튼이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고 탄성변형부에 축적되는 탄성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펌핑식 용기용 스프링 및 이를 포함하는 펌핑식 용기{Spring for Pumping Type Container and Pumping Type Container Therewith}
본 발명은 용기부에 저장된 액상내용물을 버튼의 누름조작을 통해 펌핑식으로 조금씩 외부로 배출시키는 구조를 갖는 펌핑식 용기와 이에 사용되는 펌핑식 용기용 스프링에 관한 것이다.
화장품과 같은 액상내용물을 버튼의 누름조작을 통해 펌핑식으로 배출시키는 구조를 갖는 펌핑식 용기에는 버튼이 하방향으로 눌러질 때 버튼이 원위치로 상승할 수 있는 탄성력을 축적하는 펌핑식 용기용 스프링이 설치된다.
도12는 종래의 펌핑식 용기의 결합단면도이고, 도13은 종래의 펌핑식 용기의 분해단면도이다.
종래의 펌핑식 용기는,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부(210)와, 용기부(210)에 설치된 실린더(230)와, 실린더(230)의 상측에 설치된 가압부(240)와, 가압부(240)에 결합된 버튼(250)과, 가압부(240)에 결합된 개폐작동축(260)과, 버튼(250)의 하측에 설치된 펌핑식 용기용 스프링(280)과, 실린더(230)의 내부에 설치된 실린더피스톤(291) 및 실린더밸브(292)와, 용기부(210)의 내부에 설치된 용기피스톤(294)과, 버튼(250)을 둘러싸도록 용기부(210)에 결합된 용기캡(295)을 갖는다.
용기부(210)는 용기바닥면부(211)와, 용기바닥면부(211)의 둘레연부로부터 상방향으로 연장된 관형태의 용기측면부(212)와, 용기측면부(212)의 상단에 형성된 용기목부(214)와, 용기목부(214)에 결합된 어깨부(220)를 갖는다.
용기바닥면부(211)에는 용기바닥면공기유입공(211a)이 형성된다.
어깨부(220)는 중앙에 연락공(221a)이 형성된 덮개부(221)와, 덮개부(221)의 둘레연부로부터 절곡 형성된 어깨부체결관부(222)와, 어깨부체결관부(222)의 상단으로부터 상방향으로 연장된 어깨부안내관부(224)를 갖는다.
어깨부(220)는 연락공(221a)이 용기바닥면부(211)에 대향하도록 어깨부체결관부(222)를 통해 용기목부(214)에 결합된다.
용기부(210)는 용기피스톤(294)과 덮개부(221) 사이에 저장공간(213)이 형성된다.
실린더(230)는 중앙에 유입공(231a)이 형성된 실린더바닥면부(231)와, 실린더바닥면부(231)의 둘레연부로부터 상방향으로 연장된 직선관 형태의 실린더측면부(232)를 갖는다.
실린더(230)는 유입공(231a)이 저장공간(213)에 연결되도록 설치된다.
가압부(240)는 피스톤가압관부(241)와, 피스톤가압관부(241)로부터 연장된 스프링지지플랜지(248)를 갖는다.
가압부(240)는 피스톤가압관부(241)의 하단이 실린더측면부(232)의 내부공간에 진입하도록 설치된다.
버튼(250)은 버튼천장면부(251)와, 버튼천장면부(251)의 둘레연부로부터 하방향으로 연장된 버튼측면부(252)와, 버튼측면부(252)의 저면에 형성된 버튼수직유로관부(253)를 갖는다.
버튼(250)은 버튼수직유로관부(253)를 통해 가압부(240)에 결합되어 가압부(240)와 함께 용기바닥면부(211)를 향해 하강하고, 피스톤가압관부(241)가 버튼수직유로관부(253)에 연결된다.
개폐작동축(260)은 하단이 밀폐된 작동축유로관부(261)와, 작동축유로관부(261)의 하단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된 작동축개폐부(262)를 갖는다.
개폐작동축(260)은 작동축유로관부(261)가 피스톤가압관부(241)에 결합되어 가압부(240)와 함께 승강하고, 작동축유로관부(261)가 피스톤가압관부(241)에 연결된다.
펌핑식 용기용 스프링(280)은 원형링 형태의 상부지지판(281)과, 상부지지판(281)의 하측에 배치된 원형링 형태의 하부지지판(282)과, 상부지지판(281)의 저면과 하부지지판(282)의 상면을 연결하는 탄성변형부(283)를 갖는다.
탄성변형부(283)는 3개의 나선 형태로 형성된다.
펌핑식 용기용 스프링(280)은, 상부지지판(281)이 스프링지지플랜지(248)의 저면에 지지되고 하부지지판(282)이 덮개부(221)의 상면에 지지되도록 용기부(210)의 내부에 설치된다.
펌핑식 용기용 스프링(280)이 설치된 상태에서 버튼(250)을 용기바닥면부(211)를 향해 누르면 탄성변형부(283)가 압축되면서 버튼(250)을 원위치로 상승시키기 위한 탄성력을 축적한다.
그런데 종래의 펌핑식 용기에 따르면, 탄성변형부(283)가 나선 형태로 형성되기 때문에 탄성변형부(283)가 압축될 때 원주방향으로 회전시키려는 힘이 상부지지판(281)에 가해져 버튼(250)이 회전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버튼(250)이 회전하면 버튼(250)의 누름동작이 불편해진다.
그리고 탄성변형부(283)가 선소 형태로 형성되기 때문에 탄성변형부(283)에 축적된 탄성력이 작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382012호(2022년 04월 01일 등록)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버튼이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고 탄성변형부에 축적되는 탄성력을 증가시킬 수 있도록 펌핑식 용기용 스프링과 이를 포함하는 펌핑식 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원형의 상부통과공이 형성된 상부지지판과, 원형의 하부통과공이 형성되고 상기 하부통과공이 상기 상부통과공에 정렬되도록 상기 상부지지판의 아래쪽에 배치된 하부지지판과, 상기 상부지지판이 상기 하부지지판에 접근할 때 탄성력을 축적하도록 변형되는 탄성변형부를 구비한 펌핑식 용기용 스프링에 있어서, 상기 상부지지판의 저면으로부터 상기 하부지지판을 향해 원형관형태로 연장되고 하단에는 하방향으로 볼록한 상부관볼록부와 상기 상부관볼록부의 일단으로부터 상방향으로 오목하게 연장된 상부관오목부가 둘레방향을 따라 교대로 형성된 상부원형관부와, 상기 하부지지판의 상면으로부터 상기 상부지지판을 향해 원형관형태로 연장되고 상단에는 상방향으로 볼록한 하부관볼록부가 상기 상부관오목부에 정렬되도록 형성되고 상단에는 하방향으로 오목한 하부관오목부가 상기 하부관볼록부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상부관볼록부에 정렬되도록 형성된 하부원형관부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변형부는 상기 상부원형관부의 외표면에 대한 내각이 둔각을 이루도록 상기 상부원형관부의 하단으로부터 연장되고 하단에는 하방향으로 볼록한 상부주름제1경사면마루볼록부가 상기 상부관볼록부에 정렬되도록 형성되고 하단에는 상방향으로 오목한 상부주름제1경사면마루오목부가 상기 상부주름제1경사면마루볼록부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상부관오목부에 정렬되도록 형성된 상부주름제1경사면부와 상기 상부주름제1경사면부에 대한 내각이 둔각을 이루도록 상기 상부주름제1경사면부의 하단으로부터 연장되고 하단에는 하방향으로 볼록한 상부주름정상면마루볼록부가 상기 상부관볼록부에 정렬되도록 형성되고 하단에는 상방향으로 오목한 상부주름정상면마루오목부가 상기 상부주름정상면마루볼록부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상부관오목부에 정렬되도록 형성된 상부주름정상면부와 상기 상부주름정상면부에 대한 내각이 둔각을 이루도록 상기 상부주름정상면부의 하단으로부터 연장되고 하단에는 하방향으로 볼록한 상부주름제2경사면골볼록부가 상기 상부관볼록부에 정렬되도록 형성되고 하단에는 상방향으로 오목한 상부주름제2경사면골오목부가 상기 상부주름제2경사면골볼록부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상부관오목부에 정렬되도록 형성된 상부주름제2경사면부를 구비한 상부주름부와, 상기 하부원형관부의 외표면에 대한 내각이 둔각을 이루도록 상기 하부원형관부의 상단으로부터 연장되고 상단에는 상방향으로 볼록한 하부주름제1경사면마루볼록부가 상기 상부관오목부에 정렬되도록 형성되고 상단에는 하방향으로 오목한 하부주름제1경사면마루오목부가 상기 하부주름제1경사면마루볼록부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상부관볼록부에 정렬되도록 형성된 하부주름제1경사면부와 상기 하부주름제1경사면부에 대한 내각이 둔각을 이루도록 상기 하부주름제1경사면부의 상단으로부터 연장되고 상단에는 상방향으로 볼록한 하부주름정상면마루볼록부가 상기 상부관오목부에 정렬되도록 형성되고 상단에는 하방향으로 오목한 하부주름정상면마루오목부가 상기 하부주름정상면마루볼록부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상부관볼록부에 정렬되도록 형성된 하부주름정상면부와 상기 하부주름정상면부에 대한 내각이 둔각을 이루도록 상기 하부주름정상면부의 상단으로부터 연장되고 상단에는 상방향으로 볼록한 하부주름제2경사면골볼록부가 상기 상부관오목부에 정렬되도록 형성되고 상단에는 하방향으로 오목한 하부주름제2경사면골오목부가 상기 하부주름제2경사면골볼록부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상부관볼록부에 정렬되도록 형성된 하부주름제2경사면부를 구비한 하부주름부와, 원형관 형태로 형성되고 상단에는 상방향으로 볼록한 중간주름정상면상부마루볼록부와 하방향으로 오목한 중간주름정상면상부마루오목부가 둘레방향을 따라 교대로 형성되고 하단에는 하방향으로 볼록한 중간주름정상면하부마루볼록부가 상기 중간주름정상면상부마루오목부에 정렬되도록 형성되고 하단에는 상방향으로 오목한 중간주름정상면하부마루오목부가 상기 중간주름정상면상부마루볼록부에 정렬되도록 형성된 중간주름정상면부와 상기 중간주름정상면부의 상단으로부터 상기 중간주름정상면부에 대한 내각이 둔각을 이루도록 연장되고 상단에는 상방향으로 볼록한 중간주름제1경사면골볼록부가 상기 중간주름정상면상부마루볼록부에 정렬되도록 형성되고 상단에는 하방향으로 오목한 중간주름제1경사면골오목부가 상기 중간주름정상면상부마루오목부에 정렬되도록 형성된 중간주름제1경사면부와 상기 중간주름정상면부의 하단으로부터 상기 중간주름정상면부에 대한 내각이 둔각을 이루도록 연장되고 하단에는 하방향으로 볼록한 중간주름제2경사면골볼록부가 상기 중간주름정상면하부마루오목부에 정렬되도록 형성되고 하단에는 상방향으로 오목한 중간주름제2경사면골오목부가 상기 중간주름정상면하부마루오목부에 정렬되도록 형성된 중간주름제2경사면부를 가지고, 상기 상부주름부에는 상기 중간주름제1경사면골볼록부가 상기 상부주름제2경사면골오목부에 연결되고 상기 중간주름제1경사면골오목부가 상기 상부주름제2경사면골볼록부에 연결되도록 결합되고 상기 하부주름부에는 상기 중간주름제2경사면골볼록부가 상기 하부주름제2경사면골오목부에 연결되고 상기 중간주름제2경사면골오목부가 상기 하부주름제2경사면골볼록부에 연결되도록 결합되는 중간주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펌핑식 용기용 스프링에 의해 달성된다.
그리고 버튼에 대한 가압력을 줄일 수 있고 탄성변형부의 변형동작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상부지지판이 하부지지판에 접근할 때 탄성변형부의 내부공기가 탄성변형부의 외부로 배출되는 경로를 제공하고 하부지지판에 접근한 상부지지판이 원위치로 복귀할 때 외부공기가 탄성변형부의 내부로 유입되는 경로를 제공하는 공기유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화장품 배출량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고 과도한 변형에 의해 탄성변형부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부지지판이 하부지지판에 접근할 때 하부지지판에 대한 상부지지판의 접근거리를 제한하는 접근제한스토퍼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하방향으로 볼록한 상부관볼록부와 상방향으로 오목한 상부관오목부를 둘레방향을 따라 교대로 형성된 상부원형관부와, 상방향으로 볼록한 하부관볼록부가 상부관오목부에 정렬되고 하방향으로 오목한 하부관오목부가 상부관볼록부에 정렬되도록 형성된 하부원형관부와, 하방향으로 볼록한 상부주름제1경사면마루볼록부, 하방향으로 볼록한 상부주름정상면마루볼록부, 하방향으로 볼록한 상부주름제2경사면골볼록부가 상부관볼록부에 각각 정렬되도록 형성되고 상방향으로 오목한 상부주름제1경사면마루오목부, 상방향으로 오목한 상부주름정상면마루오목부, 상방향으로 오목한 상부주름제2경사면골오목부가 각각 상부관오목부에 정렬되도록 형성된 상부주름부와, 상방향으로 볼록한 하부주름제1경사면마루볼록부, 상방향으로 볼록한 하부주름정상면마루볼록부, 상방향으로 볼록한 하부주름제2경사면골볼록부가 각각 상부관오목부에 정렬되도록 형성되고 하방향으로 오목한 하부주름제1경사면마루오목부, 하방향으로 오목한 하부주름정상면마루오목부, 하방향으로 오목한 하부주름제2경사면골오목부가 각각 상부관볼록부에 정렬되도록 형성된 하부주름부와, 상방향으로 볼록한 중간주름정상면상부마루볼록부, 하방향으로 오목한 중간주름정상면상부마루오목부, 하방향으로 볼록한 중간주름정상면하부마루볼록부, 상방향으로 오목한 중간주름정상면하부마루오목부, 상방향으로 볼록한 중간주름제1경사면골볼록부, 하방향으로 오목한 중간주름제1경사면골오목부, 하방향으로 볼록한 중간주름제2경사면골볼록부, 상방향으로 오목한 중간주름제2경사면골오목부를 가지고 상부주름부에는 중간주름제1경사면골볼록부가 상부주름제2경사면골오목부에 연결되고 중간주름제1경사면골오목부가 상부주름제2경사면골볼록부에 연결되도록 결합되고 하부주름부에는 중간주름제2경사면골볼록부가 하부주름제2경사면골오목부에 연결되고 중간주름제2경사면골오목부가 하부주름제2경사면골볼록부에 연결되도록 결합되는 중간주름부를 포함하도록 탄성변형부를 구성함으로써, 탄성변형부가 압축될 때 버튼의 회전량을 감소시킬 수 있고(상부주름부, 하부주름부 및 중간주름부가 동일한 방향으로 접혀짐에 따라 상부지지판에 가해지는 원주방향으로 회전시키려는 힘이 감소함), 탄성변형부에 축적되는 탄성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360도 전체에 걸친 면형태를 이루고 볼록부와 오목부가 교대로 나타나도록 탄성변형부를 형성함).
그리고 중간주름부를 복수개로 구성함으로써, 탄성변형부에 축적되는 탄성력을 더욱더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공기유로부를 추가함으로써, 버튼에 대한 가압력을 줄일 수 있고 탄성변형부의 변형동작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접근제한스토퍼를 추가함으로써, 화장품 배출량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고 과도한 변형에 의해 탄성변형부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펌핑식 용기의 결합사시도,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펌핑식 용기의 분해사시도,
도3은 도1의 A-A'선 단면도,
도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펌핑식 용기용 스프링의 사시도,
도5, 도6 및 도7은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펌핑식 용기용 스프링을 분할하여 도시한 도면,
도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압부를 도시한 도면,
도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폐작동축을 도시한 도면,
도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펌핑식 용기의 동작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펌핑식 용기용 스프링의 사시도,
도12는 종래의 펌핑식 용기의 결합단면도,
도13은 종래의 펌핑식 용기의 분해단면도이다.
이하에서,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펌핑식 용기는, 용기부(10)와, 용기부(10)에 설치된 실린더(30)와, 실린더(30)의 상측에 설치된 가압부(40)와, 가압부(40)에 결합된 버튼(50)과, 가압부(40)에 결합된 개폐작동축(60)과, 실린더(30)와 버튼(50) 사이에 설치된 스프링받침부재(70)와, 버튼(50)의 하측에 설치된 펌핑식 용기용 스프링(100)과, 실린더(30)의 내부에 설치된 실린더피스톤(91) 및 실린더밸브(92)와, 용기부(10)의 내부에 설치된 용기피스톤(94)과, 버튼(50)을 둘러싸도록 용기부(10)에 결합된 용기캡(95)과, 펌핑식 용기용 스프링(100)의 변형동작시 공기의 배출경로와 유입경로를 제공하는 공기유로부(160)와, 가압부(40)에 마련된 접근제한스토퍼(170)를 갖는다.
용기부(10)는 용기바닥면부(11)와, 용기바닥면부(11)의 둘레연부로부터 상방향으로 연장된 관형태의 용기측면부(12)와, 용기측면부(12)의 상단에 형성된 용기목부(14)와, 용기목부(14)에 결합된 어깨부(20)와, 어깨부(20)에 결합된 스프링받침부재(70)를 갖는다.
용기바닥면부(11)는 용기측면부(12)와 분리 제작되어 용기측면부(12)의 하단에 결합된다.
용기바닥면부(11)에는 용기바닥면공기유입공(11a)이 형성된다.
어깨부(20)는 중앙에 연락공(21a)이 형성된 덮개부(21)와, 덮개부(21)의 둘레연부로부터 하방향으로 절곡 형성된 어깨부체결관부(22)를 갖는다.
어깨부(20)는 연락공(21a)이 용기바닥면부(11)에 대향하도록 어깨부체결관부(22)를 통해 용기목부(14)에 결합된다.
용기피스톤(94)과 덮개부(21) 사이에 저장공간(13)이 형성된다.
스프링받침부재(70)는 원형관 형태의 받침부재체결관부(71)와, 받침부재체결관부(71)의 외표면으로부터 방사상 방향으로 연장된 스프링받침면부(72)와, 스프링받침면부(72)의 종단으로부터 하방향으로 절곡된 받침부재체결홈형성관부(73)를 갖고 있다.
받침부재체결홈형성관부(73)는 받침부재체결관부(71)와의 사이에 하방향으로 개구된 받침부재체결홈을 형성한다.
스프링받침부재(70)는 받침부재체결홈을 통해 후술하는 실린더측면부(32)의 상단에 결합되고, 받침부어깨체결관부(75)를 통해 덮개부(21)에 결합되도록 설치된다.
실린더(30)는 중앙에 유입공(31a)이 형성된 실린더바닥면부(31)와, 실린더바닥면부(31)의 둘레연부로부터 상방향으로 연장된 직선관 형태의 실린더측면부(32)와, 실린더측면부(32)의 상단으로부터 방사상 방향으로 연장된 실린더플랜지(33)를 갖는다.
실린더(30)는 유입공(31a)이 저장공간(13)에 연결되고, 실린더플랜지(33)의 상면에 받침부재체결홈형성관부(73)가 지지되도록 용기부(10)에 설치된다.
가압부(40)는 피스톤가압관부(41)와, 피스톤가압관부(41)의 상단으로부터 방사상 방향으로 연장된 스프링지지플랜지(42)를 갖는다.
가압부(40)는 피스톤가압관부(41)의 하단이 실린더측면부(32)의 내부공간에 진입하도록 설치된다.
가압부(40)의 설치는 스프링지지플랜지(42)가 스프링받침면부(72)에 대향하도록 이루어진다.
버튼(50)은 버튼천장면부(51)와, 버튼천장면부(51)의 둘레연부로부터 하방향으로 연장된 버튼측면부(52)와, 버튼측면부(52)의 저면에 형성된 버튼수직유로관부(53)를 갖는다.
버튼(50)은 버튼수직유로관부(53)를 통해 가압부체결관부(47)에 결합되어 가압부(40)와 함께 용기바닥면부(11)를 향해 하강한다.
버튼(50)은 피스톤가압관부(41)가 버튼수직유로관부(53)에 연결되도록 가압부체결관부(47)에 결합된다.
개폐작동축(60)은 하단이 밀폐된 작동축유로관부(61)와, 작동축유로관부(61)의 하단으로부터 외측으로 하향경사를 이루도록 연장된 작동축개폐부(62)를 갖는다.
작동축유로관부(61)는 하단 인접영역에 작동축유로공(61a)이 형성된다.
개폐작동축(60)은 작동축유로관부(61)가 피스톤가압관부(41)의 내부에 삽입되도록 실린더(30)의 내부에 설치된다.
개폐작동축(60)의 설치는 가압부(40)와 함께 승강하고, 작동축유로관부(61)가 피스톤가압관부(41)에 연결되도록 이루어진다.
펌핑식 용기용 스프링(100)은 원형의 상부통과공(101a)이 형성된 상부지지판(101)과, 상부지지판(101)의 아래쪽에 배치된 하부지지판(102)과, 상부지지판(101)의 저면으로부터 하부지지판(102)을 향해 원형관형태로 연장된 상부원형관부(103)와, 하부지지판(102)의 상면으로부터 상부지지판(101)을 향해 원형관형태로 연장된 하부원형관부(104)와, 상부원형관부(103)와 하부원형관부(104) 사이에 형성된 탄성변형부(110)를 갖는다.
하부지지판(102)은 원형의 하부통과공(102a)이 형성되고, 하부통과공(102a)이 상부통과공(101a)에 정렬되도록 상부지지판(101)의 아래쪽에 배치된다.
상부원형관부(103)는 하단에 하방향으로 볼록한 상부관볼록부(103a)와 상부관볼록부(103a)의 일단으로부터 상방향으로 오목하게 연장된 상부관오목부(103b)가 둘레방향을 따라 교대로 형성된다.
하부원형관부(104)는 상단에 상방향으로 볼록한 하부관볼록부(104a)가 상부관오목부(103b)에 정렬되도록 형성되고, 상단에 하방향으로 오목한 하부관오목부(104b)가 하부관볼록부(104a) 사이에 배치되고 상부관볼록부(103a)에 정렬되도록 형성된다.
탄성변형부(110)는 상부원형관부(103)로부터 연장된 상부주름부(120)와, 하부원형관부(104)로부터 연장된 하부주름부(130)와, 상부주름부(120)와 하부주름부(130) 사이에 배치된 중간주름부(140)를 갖는다.
상부주름부(120)는 상부원형관부(103)의 외표면에 대한 내각이 둔각을 이루도록 상부원형관부(103)의 하단으로부터 연장된 상부주름제1경사면부(121)와, 상부주름제1경사면부(121)에 대한 내각이 둔각을 이루도록 상부주름제1경사면부(121)의 하단으로부터 연장된 상부주름정상면부(122)와, 상부주름정상면부(122)에 대한 내각이 둔각을 이루도록 상부주름정상면부(122)의 하단으로부터 연장된 상부주름제2경사면부(123)를 갖는다. 본 명세서에서 '내각'은 정다각형의 내각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도면상에는 'α'로 표시된다.
상부주름제1경사면부(121)는 하단에 하방향으로 볼록한 상부주름제1경사면마루볼록부(121a)가 상부관볼록부(103a)에 정렬되도록 형성되고, 하단에는 상방향으로 오목한 상부주름제1경사면마루오목부(121b)가 상부주름제1경사면마루볼록부(121a) 사이에 배치되고 상부관오목부(103b)에 정렬되도록 형성된다.
상부주름정상면부(122)는 하단에 하방향으로 볼록한 상부주름정상면마루볼록부(122a)가 상부관볼록부(103a)에 정렬되도록 형성되고, 하단에 상방향으로 오목한 상부주름정상면마루오목부(122b)가 상부주름정상면마루볼록부(122a) 사이에 배치되고 상부관오목부(103b)에 정렬되도록 형성된다.
상부주름제2경사면부(123)는 하단에 하방향으로 볼록한 상부주름제2경사면골볼록부(123a)가 상부관볼록부(103a)에 정렬되도록 형성되고, 하단에 상방향으로 오목한 상부주름제2경사면골오목부(123b)가 상부주름제2경사면골볼록부(123a) 사이에 배치되고 상부관오목부(103b)에 정렬되도록 형성된다.
하부주름부(130)는 하부원형관부(104)의 외표면에 대한 내각이 둔각을 이루도록 하부원형관부(104)의 상단으로부터 연장된 하부주름제1경사면부(131)와, 하부주름제1경사면부(131)에 대한 내각이 둔각을 이루도록 하부주름제1경사면부(131)의 상단으로부터 연장된 하부주름정상면부(132)와, 하부주름정상면부(132)에 대한 내각이 둔각을 이루도록 하부주름정상면부(132)의 상단으로부터 연장된 하부주름제2경사면부(133)를 갖는다.
하부주름제1경사면부(131)는 상단에 상방향으로 볼록한 하부주름제1경사면마루볼록부(131a)가 상부관오목부(103b)에 정렬되도록 형성되고, 상단에 하방향으로 오목한 하부주름제1경사면마루오목부(131b)가 하부주름제1경사면마루볼록부(131a) 사이에 배치되고 상부관볼록부(103a)에 정렬되도록 형성된다.
하부주름정상면부(132)는 상단에 상방향으로 볼록한 하부주름정상면마루볼록부(132a)가 상부관오목부(103b)에 정렬되도록 형성되고, 상단에 하방향으로 오목한 하부주름정상면마루오목부(132b)가 하부주름정상면마루볼록부(132a) 사이에 배치되고 상부관볼록부(103a)에 정렬되도록 형성된다.
하부주름제2경사면부(133)는 상단에 상방향으로 볼록한 하부주름제2경사면골볼록부(133a)가 상부관오목부(103b)에 정렬되도록 형성되고, 상단에 하방향으로 오목한 하부주름제2경사면골오목부(133b)가 하부주름제2경사면골볼록부(133a) 사이에 배치되고 상부관볼록부(103a)에 정렬되도록 형성된다.
중간주름부(140)는 원형관 형태의 중간주름정상면부(141)와, 중간주름정상면부(141)의 상단으로부터 중간주름정상면부(141)에 대한 내각이 둔각을 이루도록 연장된 중간주름제1경사면부(142)와, 중간주름정상면부(141)의 하단으로부터 중간주름정상면부(141)에 대한 내각이 둔각을 이루도록 연장된 중간주름제2경사면부(143)를 갖는다.
중간주름정상면부(141)는 상단에 상방향으로 볼록한 중간주름정상면상부마루볼록부(141a)와 하방향으로 오목한 중간주름정상면상부마루오목부(141b)가 둘레방향을 따라 교대로 형성된다.
중간주름정상면부(141)는 하단에 하방향으로 볼록한 중간주름정상면하부마루볼록부(141c)가 중간주름정상면상부마루오목부(141b)에 정렬되도록 형성되고, 하단에 상방향으로 오목한 중간주름정상면하부마루오목부(141d)가 중간주름정상면상부마루볼록부(141a)에 정렬되도록 형성된다.
중간주름제1경사면부(142)는 상단에 상방향으로 볼록한 중간주름제1경사면골볼록부(142a)가 중간주름정상면상부마루볼록부(141a)에 정렬되도록 형성되고, 상단에 하방향으로 오목한 중간주름제1경사면골오목부(142b)가 중간주름정상면상부마루오목부(141b)에 정렬되도록 형성된다.
중간주름제2경사면부(143)는 하단에 하방향으로 볼록한 중간주름제2경사면골볼록부(143a)가 중간주름정상면하부마루오목부(141d)에 정렬되도록 형성되고, 하단에 상방향으로 오목한 중간주름제2경사면골오목부(143b)가 중간주름정상면하부마루오목부(141d)에 정렬되도록 형성된다.
중간주름부(140)는 중간주름제1경사면골볼록부(142a)가 상부주름제2경사면골오목부(123b)에 연결되고 중간주름제1경사면골오목부(142b)가 상부주름제2경사면골볼록부(123a)에 연결되도록 상부주름부(120)에 결합된다.
중간주름부(140)는 중간주름제2경사면골볼록부(143a)가 하부주름제2경사면골오목부(133b)에 연결되고 중간주름제2경사면골오목부(143b)가 하부주름제2경사면골볼록부(133a)에 연결되도록 하부주름부(130)에 결합된다.
펌핑식 용기용 스프링(100)은 TPE(Thermoplastic Polyether Elastomer), TPEE(Thermoplastic Polyether Ester Elastomer)와 같은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또는 고무(Rubber) 등을 사용하여 제작될 수 있다.
펌핑식 용기용 스프링(100)이 설치된 상태에서 버튼(50)을 용기바닥면부(11)를 향해 누르면, 상부지지판(101)이 하부지지판(102)에 접근하면서 탄성변형부(110)에 탄성력이 축적된다.
실린더피스톤(91)은 직선관 형태의 피스톤밀착부(91a)와, 피스톤밀착부(91a)의 내부에서 피스톤밀착부(91a)에 나란하게 배치된 직선관 형태의 피스톤개폐부(91b)를 갖는다.
실린더피스톤(91)은 피스톤가압관부(41)의 하단으로부터 이격되고, 피스톤밀착부(91a)가 실린더측면부(32)의 내표면에 밀착되고, 피스톤개폐부(91b)가 작동축개폐부(62)에 접촉하도록 설치된다.
실린더밸브(92)는 관형태의 밸브바디부(92a)와, 밸브바디부(92a)의 내주면에 형성된 밸브지지암(92c)과, 밸브지지암(92c)에 연결된 밀폐돌부(92b)를 갖고 있다.
실린더밸브(92)는 밀폐돌부(92b)가 유입공(31a)을 밀폐하도록 실린더(30)의 내부에 설치된다.
공기유로부(160)는 피스톤가압관부(41)의 외표면과 스프링지지플랜지(42)의 저면에 분산 형성된 다수의 공기유로돌부(161)와, 스프링받침면부(72)의 상면에 형성된 공기유로홈(162)을 갖는다.
공기유로부(160)는 상부지지판(101)이 하부지지판(102)에 접근할 때 탄성변형부(110)의 내부공기가 탄성변형부(110)의 외부로 배출되는 경로를 제공하고 하부지지판(102)에 접근한 상부지지판(101)이 원위치로 복귀할 때 외부공기가 탄성변형부(110)의 내부로 유입되는 경로를 제공한다.
접근제한스토퍼(170)는 피스톤가압관부(41)의 상단 외표면에 피스톤가압관부(41)의 길이방향을 따라 직선상으로 형성된 복수의 스토퍼돌부(171)를 갖는다.
상부지지판(101)이 하부지지판(102)에 접근할 때 스토퍼돌부(171)의 하단이 받침부재체결관부(71)의 상단에 접촉함으로써 하부지지판(102)에 대한 상부지지판(101)의 접근거리가 제한된다.
전술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펌핑식 용기를 사용하는 방법을 도10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버튼(50)을 하방향으로 눌러 하강시킨다.
버튼(50)이 하강하면 상부지지판(101)이 하부지지판(102)에 접근하면서 탄성변형부(110)에 탄성력이 축적된다.
그리고 버튼(50)이 하강하면 아래와 같은 동작에 의해 실린더(30)의 내부에 저장된 액상내용물은 작동축유로공(61a), 작동축유로관부(61), 피스톤가압관부(41) 및 버튼수직유로관부(53)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1) 개폐작동축(60)는 버튼(50)과 함께 하강하기 시작하고, 실린더피스톤(91)은 개폐작동축(60)보다 늦게 하강하기 시작한다.
2) 실린더피스톤(91)이 개폐작동축(60)보다 늦게 하강함에 따라 작동축개폐부(62)와 피스톤개폐부(91b) 사이가 개방된다.
3) 실린더피스톤(91)이 하강함에 따라 실린더(30)의 내부는 양압(陽壓) 상태가 된다. 양압(陽壓) 상태는 대기압보다 높은 압력상태를 의미한다.
4) 실린더(30)의 내부가 양압(陽壓) 상태가 되면, 유입공(31a)은 실린더밸브(92)에 의해 밀폐된다.
버튼(50)을 누르는 동작이 중지되면, 탄성변형부(110)에 축적된 탄성력에 의해 버튼(50)은 상승한다.
버튼(50)이 상승하는 동안 아래와 같은 동작에 의해 용기부(10)에 저장된 액상내용물은 유입공(31a)을 통해 실린더(30)의 내부로 유입된다.
1) 개폐작동축(60)는 버튼(50)과 함께 상승하기 시작하고, 실린더피스톤(91)은 개폐작동축(60)보다 늦게 상승하기 시작한다.
2) 실린더피스톤(91)이 개폐작동축(60)보다 늦게 상승함에 따라 작동축개폐부(62)와 피스톤개폐부(91b) 사이가 폐쇄된다.
3) 실린더피스톤(91)이 상승함에 따라 실린더(30)의 내부는 부압(負壓) 상태가 된다. 부압(負壓) 상태는 대기압보다 낮은 압력상태를 의미한다.
4) 실린더(30)의 내부가 부압(負壓) 상태가 되면 실린더밸브(92)에 의해 유입공(31a)이 개방되어 용기부(10)에 저장된 액상내용물은 유입공(31a)을 통해 실린더(30)의 내부로 유입된다.
용기부(10)에 저장된 액상내용물이 실린더(30)의 내부로 유입될 때 용기피스톤(94)은 상승하고 이에 따라 액상내용물이 실린더(30)의 내부로 유입되는 동작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위와 같이 버튼(50)의 누름동작을 통해 용기부(10)에 저장된 액상내용물이 배출되는 원리는 종래 널리 알려져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하나의 중간주름부(140)를 포함하도록 탄성변형부(110)를 구성하고 있으나, 도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중간주름부(140)를 포함하도록 탄성변형부를 구성하여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다.
중간주름부(140)가 복수개인 경우 상부주름부(120)와 하부주름부(130)의 구조, 상부주름부(120)와 중간주름부(140) 사이의 연결 및 하부주름부(130)와 중간주름부(140) 사이의 연결은 각각 위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펌핑식 용기의 경우와 동일하다.
중간주름부(140)가 복수개인 경우 중간주름부(140) 상호간은 중간주름제2경사면골볼록부(143a)가 중간주름제1경사면골오목부(142b)에 연결되고, 중간주름제2경사면골오목부(143b)가 중간주름제1경사면골볼록부(142a)에 연결되도록 결합된다.
그리고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상부주름정상면부(122), 하부주름정상면부(132), 중간주름정상면부(141) 전부를 평편한 형태로(용기부의 높이방향을 따른 단면을 기준으로) 형성하고 있으나, 상부주름정상면부(122), 하부주름정상면부(132), 중간주름정상면부(141) 중 적어도 하나를 볼록한 형태로 형성하거나 상부주름정상면부(122), 하부주름정상면부(132), 중간주름정상면부(141) 전부를 볼록한 형태로 형성하여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다.
10: 용기부 11: 용기바닥면부
12: 용기측면부 20: 어깨부
21: 덮개부 22: 어깨부체결관부
30: 실린더 40: 가압부
50: 버튼 51: 버튼천장면부
60: 개폐작동축 70: 스프링받침부재
71: 스프링받침면부 91: 실린더피스톤
92: 실린더밸브 100: 펌핑식 용기용 스프링
101: 상부지지판 102: 하부지지판
103: 상부원형관부 104: 하부원형관부
110: 탄성변형부 120: 상부주름부
130: 하부주름부 140: 중간주름부

Claims (5)

  1. 원형의 상부통과공이 형성된 상부지지판과, 원형의 하부통과공이 형성되고 상기 하부통과공이 상기 상부통과공에 정렬되도록 상기 상부지지판의 아래쪽에 배치된 하부지지판과, 상기 상부지지판이 상기 하부지지판에 접근할 때 탄성력을 축적하도록 변형되는 탄성변형부를 구비한 펌핑식 용기용 스프링에 있어서,
    상기 상부지지판의 저면으로부터 상기 하부지지판을 향해 원형관형태로 연장되고 하단에는 하방향으로 볼록한 상부관볼록부와 상기 상부관볼록부의 일단으로부터 상방향으로 오목하게 연장된 상부관오목부가 둘레방향을 따라 교대로 형성된 상부원형관부와, 상기 하부지지판의 상면으로부터 상기 상부지지판을 향해 원형관형태로 연장되고 상단에는 상방향으로 볼록한 하부관볼록부가 상기 상부관오목부에 정렬되도록 형성되고 상단에는 하방향으로 오목한 하부관오목부가 상기 하부관볼록부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상부관볼록부에 정렬되도록 형성된 하부원형관부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변형부는 상기 상부원형관부의 외표면에 대한 내각이 둔각을 이루도록 상기 상부원형관부의 하단으로부터 연장되고 하단에는 하방향으로 볼록한 상부주름제1경사면마루볼록부가 상기 상부관볼록부에 정렬되도록 형성되고 하단에는 상방향으로 오목한 상부주름제1경사면마루오목부가 상기 상부주름제1경사면마루볼록부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상부관오목부에 정렬되도록 형성된 상부주름제1경사면부와 상기 상부주름제1경사면부에 대한 내각이 둔각을 이루도록 상기 상부주름제1경사면부의 하단으로부터 연장되고 하단에는 하방향으로 볼록한 상부주름정상면마루볼록부가 상기 상부관볼록부에 정렬되도록 형성되고 하단에는 상방향으로 오목한 상부주름정상면마루오목부가 상기 상부주름정상면마루볼록부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상부관오목부에 정렬되도록 형성된 상부주름정상면부와 상기 상부주름정상면부에 대한 내각이 둔각을 이루도록 상기 상부주름정상면부의 하단으로부터 연장되고 하단에는 하방향으로 볼록한 상부주름제2경사면골볼록부가 상기 상부관볼록부에 정렬되도록 형성되고 하단에는 상방향으로 오목한 상부주름제2경사면골오목부가 상기 상부주름제2경사면골볼록부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상부관오목부에 정렬되도록 형성된 상부주름제2경사면부를 구비한 상부주름부와, 상기 하부원형관부의 외표면에 대한 내각이 둔각을 이루도록 상기 하부원형관부의 상단으로부터 연장되고 상단에는 상방향으로 볼록한 하부주름제1경사면마루볼록부가 상기 상부관오목부에 정렬되도록 형성되고 상단에는 하방향으로 오목한 하부주름제1경사면마루오목부가 상기 하부주름제1경사면마루볼록부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상부관볼록부에 정렬되도록 형성된 하부주름제1경사면부와 상기 하부주름제1경사면부에 대한 내각이 둔각을 이루도록 상기 하부주름제1경사면부의 상단으로부터 연장되고 상단에는 상방향으로 볼록한 하부주름정상면마루볼록부가 상기 상부관오목부에 정렬되도록 형성되고 상단에는 하방향으로 오목한 하부주름정상면마루오목부가 상기 하부주름정상면마루볼록부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상부관볼록부에 정렬되도록 형성된 하부주름정상면부와 상기 하부주름정상면부에 대한 내각이 둔각을 이루도록 상기 하부주름정상면부의 상단으로부터 연장되고 상단에는 상방향으로 볼록한 하부주름제2경사면골볼록부가 상기 상부관오목부에 정렬되도록 형성되고 상단에는 하방향으로 오목한 하부주름제2경사면골오목부가 상기 하부주름제2경사면골볼록부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상부관볼록부에 정렬되도록 형성된 하부주름제2경사면부를 구비한 하부주름부와, 원형관 형태로 형성되고 상단에는 상방향으로 볼록한 중간주름정상면상부마루볼록부와 하방향으로 오목한 중간주름정상면상부마루오목부가 둘레방향을 따라 교대로 형성되고 하단에는 하방향으로 볼록한 중간주름정상면하부마루볼록부가 상기 중간주름정상면상부마루오목부에 정렬되도록 형성되고 하단에는 상방향으로 오목한 중간주름정상면하부마루오목부가 상기 중간주름정상면상부마루볼록부에 정렬되도록 형성된 중간주름정상면부와 상기 중간주름정상면부의 상단으로부터 상기 중간주름정상면부에 대한 내각이 둔각을 이루도록 연장되고 상단에는 상방향으로 볼록한 중간주름제1경사면골볼록부가 상기 중간주름정상면상부마루볼록부에 정렬되도록 형성되고 상단에는 하방향으로 오목한 중간주름제1경사면골오목부가 상기 중간주름정상면상부마루오목부에 정렬되도록 형성된 중간주름제1경사면부와 상기 중간주름정상면부의 하단으로부터 상기 중간주름정상면부에 대한 내각이 둔각을 이루도록 연장되고 하단에는 하방향으로 볼록한 중간주름제2경사면골볼록부가 상기 중간주름정상면하부마루오목부에 정렬되도록 형성되고 하단에는 상방향으로 오목한 중간주름제2경사면골오목부가 상기 중간주름정상면하부마루오목부에 정렬되도록 형성된 중간주름제2경사면부를 가지고, 상기 상부주름부에는 상기 중간주름제1경사면골볼록부가 상기 상부주름제2경사면골오목부에 연결되고 상기 중간주름제1경사면골오목부가 상기 상부주름제2경사면골볼록부에 연결되도록 결합되고 상기 하부주름부에는 상기 중간주름제2경사면골볼록부가 상기 하부주름제2경사면골오목부에 연결되고 상기 중간주름제2경사면골오목부가 상기 하부주름제2경사면골볼록부에 연결되도록 결합되는 중간주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펌핑식 용기용 스프링.
  2. 원형의 상부통과공이 형성된 상부지지판과, 원형의 하부통과공이 형성되고 상기 하부통과공이 상기 상부통과공에 정렬되도록 상기 상부지지판의 아래쪽에 배치된 하부지지판과, 상기 상부지지판이 상기 하부지지판에 접근할 때 탄성력을 축적하도록 변형되는 탄성변형부를 구비한 펌핑식 용기용 스프링에 있어서,
    상기 상부지지판의 저면으로부터 상기 하부지지판을 향해 원형관형태로 연장되고 하단에는 하방향으로 볼록한 상부관볼록부와 상기 상부관볼록부의 일단으로부터 상방향으로 오목하게 연장된 상부관오목부가 둘레방향을 따라 교대로 형성된 상부원형관부와, 상기 하부지지판의 상면으로부터 상기 상부지지판을 향해 원형관형태로 연장되고 상단에는 상방향으로 볼록한 하부관볼록부가 상기 상부관오목부에 정렬되도록 형성되고 상단에는 하방향으로 오목한 하부관오목부가 상기 하부관볼록부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상부관볼록부에 정렬되도록 형성된 하부원형관부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변형부는 상기 상부원형관부의 외표면에 대한 내각이 둔각을 이루도록 상기 상부원형관부의 하단으로부터 연장되고 하단에는 하방향으로 볼록한 상부주름제1경사면마루볼록부가 상기 상부관볼록부에 정렬되도록 형성되고 하단에는 상방향으로 오목한 상부주름제1경사면마루오목부가 상기 상부주름제1경사면마루볼록부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상부관오목부에 정렬되도록 형성된 상부주름제1경사면부와 상기 상부주름제1경사면부에 대한 내각이 둔각을 이루도록 상기 상부주름제1경사면부의 하단으로부터 연장되고 하단에는 하방향으로 볼록한 상부주름정상면마루볼록부가 상기 상부관볼록부에 정렬되도록 형성되고 하단에는 상방향으로 오목한 상부주름정상면마루오목부가 상기 상부주름정상면마루볼록부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상부관오목부에 정렬되도록 형성된 상부주름정상면부와 상기 상부주름정상면부에 대한 내각이 둔각을 이루도록 상기 상부주름정상면부의 하단으로부터 연장되고 하단에는 하방향으로 볼록한 상부주름제2경사면골볼록부가 상기 상부관볼록부에 정렬되도록 형성되고 하단에는 상방향으로 오목한 상부주름제2경사면골오목부가 상기 상부주름제2경사면골볼록부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상부관오목부에 정렬되도록 형성된 상부주름제2경사면부를 구비한 상부주름부와, 상기 하부원형관부의 외표면에 대한 내각이 둔각을 이루도록 상기 하부원형관부의 상단으로부터 연장되고 상단에는 상방향으로 볼록한 하부주름제1경사면마루볼록부가 상기 상부관오목부에 정렬되도록 형성되고 상단에는 하방향으로 오목한 하부주름제1경사면마루오목부가 상기 하부주름제1경사면마루볼록부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상부관볼록부에 정렬되도록 형성된 하부주름제1경사면부와 상기 하부주름제1경사면부에 대한 내각이 둔각을 이루도록 상기 하부주름제1경사면부의 상단으로부터 연장되고 상단에는 상방향으로 볼록한 하부주름정상면마루볼록부가 상기 상부관오목부에 정렬되도록 형성되고 상단에는 하방향으로 오목한 하부주름정상면마루오목부가 상기 하부주름정상면마루볼록부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상부관볼록부에 정렬되도록 형성된 하부주름정상면부와 상기 하부주름정상면부에 대한 내각이 둔각을 이루도록 상기 하부주름정상면부의 상단으로부터 연장되고 상단에는 상방향으로 볼록한 하부주름제2경사면골볼록부가 상기 상부관오목부에 정렬되도록 형성되고 상단에는 하방향으로 오목한 하부주름제2경사면골오목부가 상기 하부주름제2경사면골볼록부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상부관볼록부에 정렬되도록 형성된 하부주름제2경사면부를 구비한 하부주름부와, 원형관 형태로 형성되고 상단에는 상방향으로 볼록한 중간주름정상면상부마루볼록부와 하방향으로 오목한 중간주름정상면상부마루오목부가 둘레방향을 따라 교대로 형성되고 하단에는 하방향으로 볼록한 중간주름정상면하부마루볼록부가 상기 중간주름정상면상부마루오목부에 정렬되도록 형성되고 하단에는 상방향으로 오목한 중간주름정상면하부마루오목부가 상기 중간주름정상면상부마루볼록부에 정렬되도록 형성된 중간주름정상면부와 상기 중간주름정상면부의 상단으로부터 상기 중간주름정상면부에 대한 내각이 둔각을 이루도록 연장되고 상단에는 상방향으로 볼록한 중간주름제1경사면골볼록부가 상기 중간주름정상면상부마루볼록부에 정렬되도록 형성되고 상단에는 하방향으로 오목한 중간주름제1경사면골오목부가 상기 중간주름정상면상부마루오목부에 정렬되도록 형성된 중간주름제1경사면부와 상기 중간주름정상면부의 하단으로부터 상기 중간주름정상면부에 대한 내각이 둔각을 이루도록 연장되고 하단에는 하방향으로 볼록한 중간주름제2경사면골볼록부가 상기 중간주름정상면하부마루오목부에 정렬되도록 형성되고 하단에는 상방향으로 오목한 중간주름제2경사면골오목부가 상기 중간주름정상면하부마루오목부에 정렬되도록 형성된 중간주름제2경사면부를 각각 가지고, 상기 상부주름부에는 상기 중간주름제1경사면골볼록부가 상기 상부주름제2경사면골오목부에 연결되고 상기 중간주름제1경사면골오목부가 상기 상부주름제2경사면골볼록부에 연결되도록 결합되고 상기 하부주름부에는 상기 중간주름제2경사면골볼록부가 상기 하부주름제2경사면골오목부에 연결되고 상기 중간주름제2경사면골오목부가 상기 하부주름제2경사면골볼록부에 연결되도록 결합되고 상호간은 상기 중간주름제2경사면골볼록부가 상기 중간주름제1경사면골오목부에 연결되고 상기 중간주름제2경사면골오목부가 상기 중간주름제1경사면골볼록부에 연결되도록 결합되는 복수의 중간주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펌핑식 용기용 스프링.
  3. 용기바닥면부와 상기 용기바닥면부의 둘레연부로부터 상방향으로 연장된 관형태의 용기측면부를 가지고 저장공간을 제공하는 용기부와, 중앙에 유입공이 형성된 실린더바닥면부와 상기 실린더바닥면부의 둘레연부로부터 상방향으로 연장된 직선관 형태의 실린더측면부를 가지고 상기 유입공이 상기 저장공간에 연결되도록 상기 용기부에 설치된 실린더와, 피스톤가압관부를 가지고 상기 피스톤가압관부의 하단이 상기 실린더측면부의 내부공간에 진입하도록 상기 실린더의 상측에 설치된 가압부와, 버튼천장면부와 상기 버튼천장면부의 둘레연부로부터 하방향으로 연장된 버튼측면부와 상기 버튼측면부의 저면에 형성된 버튼수직유로관부를 가지고 상기 버튼수직유로관부가 상기 피스톤가압관부에 연결되고 상기 가압부와 함께 승강할 수 있도록 상기 가압부에 결합된 버튼과, 하단이 밀폐된 관형태로 형성되고 작동축유로공이 형성된 작동축유로관부와 상기 작동축유로관부의 하단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된 작동축개폐부를 가지고 상기 가압부와 함께 승강하고 상기 작동축유로관부가 상기 피스톤가압관부에 연결되도록 상기 가압부에 결합된 개폐작동축과, 직선관 형태의 피스톤밀착부와 상기 피스톤밀착부의 내부에서 상기 피스톤밀착부에 나란하게 배치된 직선관 형태의 피스톤개폐부를 가지고 상기 피스톤가압관부의 하단으로부터 이격되고 상기 피스톤밀착부가 상기 실린더측면부의 내표면에 밀착되고 상기 피스톤개폐부가 상기 작동축개폐부에 접촉하도록 상기 실린더의 내부에 설치된 실린더피스톤과, 상기 개폐작동축과 상기 실린더피스톤이 하강할 때 상기 유입공을 밀폐하고 상기 개폐작동축과 상기 실린더피스톤이 상승할 때 상기 유입공을 개방하도록 상기 실린더의 내부에 설치된 실린더밸브와, 상기 피스톤가압관부를 둘러싸도록 설치되어 상기 버튼을 상기 용기바닥면부를 향해 가압할 때 탄성력을 축적하는 펌핑식 용기용 스프링을 갖는 펌핑식 용기에 있어서,
    상기 펌핑식 용기용 스프링은 청구항1 또는 청구항2에 기재된 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펌핑식 용기.
  4. 청구항3에 있어서,
    상기 상부지지판이 상기 하부지지판에 접근할 때 상기 탄성변형부의 내부공기가 상기 탄성변형부의 외부로 배출되는 경로를 제공하고 상기 하부지지판에 접근한 상부지지판이 원위치로 복귀할 때 외부공기가 상기 탄성변형부의 내부로 유입되는 경로를 제공하는 공기유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펌핑식 용기.
  5. 청구항3에 있어서,
    상기 상부지지판이 상기 하부지지판에 접근할 때 상기 하부지지판에 대한 상기 상부지지판의 접근거리를 제한하는 접근제한스토퍼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펌핑식 용기.
KR1020230029755A 2023-03-07 2023-03-07 펌핑식 용기용 스프링 및 이를 포함하는 펌핑식 용기 KR1026330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29755A KR102633089B1 (ko) 2023-03-07 2023-03-07 펌핑식 용기용 스프링 및 이를 포함하는 펌핑식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29755A KR102633089B1 (ko) 2023-03-07 2023-03-07 펌핑식 용기용 스프링 및 이를 포함하는 펌핑식 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33089B1 true KR102633089B1 (ko) 2024-02-02

Family

ID=899002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29755A KR102633089B1 (ko) 2023-03-07 2023-03-07 펌핑식 용기용 스프링 및 이를 포함하는 펌핑식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33089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89465U (ko) * 1989-12-26 1991-09-12
US20030222385A1 (en) * 2002-05-29 2003-12-04 Visteon Global Technologies, Inc. Composite wave ring spring
KR102298189B1 (ko) * 2021-04-26 2021-09-06 주식회사 신우 화장품 용기의 펌핑 장치
JP2021173414A (ja) * 2020-04-29 2021-11-01 ヨンウ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ポンプ組立て体
KR102382012B1 (ko) 2021-10-08 2022-04-08 윤여준 플라스틱 스프링이 구비된 펌프형 용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89465U (ko) * 1989-12-26 1991-09-12
US20030222385A1 (en) * 2002-05-29 2003-12-04 Visteon Global Technologies, Inc. Composite wave ring spring
JP2021173414A (ja) * 2020-04-29 2021-11-01 ヨンウ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ポンプ組立て体
KR102298189B1 (ko) * 2021-04-26 2021-09-06 주식회사 신우 화장품 용기의 펌핑 장치
KR102382012B1 (ko) 2021-10-08 2022-04-08 윤여준 플라스틱 스프링이 구비된 펌프형 용기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JP03089465 U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25870B1 (ko) 탄성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펌프 조립체
US7097077B2 (en) Fluid-dispensing pump and container provided therewith
KR102062001B1 (ko) 펌프 용기
US10549299B2 (en) Pump dispensers
EP1371579A1 (en) Valve mechanism for tube-type fluid container
MXPA05005607A (es) Bomba de precompresion de altura reducida.
KR102172655B1 (ko) 탄성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펌프 조립체
KR20220078551A (ko) 탄성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펌프 조립체
KR102633089B1 (ko) 펌핑식 용기용 스프링 및 이를 포함하는 펌핑식 용기
CN116963843A (zh) 泵组件
JP7386564B2 (ja) ポンピング式容器用スプリング及びこれを含むポンピング式容器
US20070138209A1 (en) Dispenser pump
KR102338575B1 (ko) 펌프형 화장품 용기
JP4381689B2 (ja) 液体噴出ポンプ
KR102671441B1 (ko) 펌프 용기의 스프링
KR102576233B1 (ko) 화장품용기
KR102556042B1 (ko) 화장품용기
KR20240106331A (ko) 펌핑식 용기용 스프링 및 이를 포함하는 펌핑식 용기
KR102631669B1 (ko) 펌핑식 화장품용기
KR102556039B1 (ko) 화장품용기
KR102302372B1 (ko) 논메탈 타입 펌프식 밀폐용기
KR20240040375A (ko) 밀착력이 향상된 액상용기의 피스톤
KR20240034471A (ko) 스포이드 타입 화장품용기
KR20240042805A (ko) 정량토출 및 밀폐성능이 향상된 친환경 펌핑 타입 유체용기
KR200165969Y1 (ko) 펌프 디스펜서의 밸브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