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31910B1 - 반잠수 경사식 l형 플로팅 도크선을 사용한 해상 부유식 풍력발전 구조물의 해상 선적 시스템 및 진수공법 - Google Patents

반잠수 경사식 l형 플로팅 도크선을 사용한 해상 부유식 풍력발전 구조물의 해상 선적 시스템 및 진수공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31910B1
KR102631910B1 KR1020230055428A KR20230055428A KR102631910B1 KR 102631910 B1 KR102631910 B1 KR 102631910B1 KR 1020230055428 A KR1020230055428 A KR 1020230055428A KR 20230055428 A KR20230055428 A KR 20230055428A KR 102631910 B1 KR102631910 B1 KR 1026319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mersible
semi
offshore
power generation
wind p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554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병렬
Original Assignee
최병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병렬 filed Critical 최병렬
Priority to KR10202300554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3191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19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1910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3/00Launching or hauling-out by landborne slipways; Slipw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003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transporting very large loads, e.g. offshore structure modu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59/00Hull protection specially adapted for vessels; Clean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ssels
    • B63B59/02Fenders integral with waterborne vessel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fenders forming part of the hull or incorporated in the hull; Rubbing-strak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1/00Dry-docking of vessels or flying-boats
    • B63C1/02Floating dock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DWIND MOTORS
    • F03D13/00Assembly, mounting or commissioning of wind motors;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ransporting wind motor components
    • F03D13/20Arrangements for mounting or supporting wind motors; Masts or towers for wind motors
    • F03D13/25Arrangements for mounting or supporting wind motors; Masts or towers for wind motors specially adapted for offshore instal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DWIND MOTORS
    • F03D13/00Assembly, mounting or commissioning of wind motors;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ransporting wind motor components
    • F03D13/40Arrangement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transporting wind motor compon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40/00Components
    • F05B2240/90Mounting on supporting structures or systems
    • F05B2240/95Mounting on supporting structures or systems offshor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70Wind energy
    • Y02E10/72Wind turbines with rotation axis in wind direc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70Wind energy
    • Y02E10/727Offshore wind turb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ind Mo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해상 부유식 발전 구조물의 진수를 위한 필요진수수심이 비교적 낮아 필요진수수심 확보에 시간과 비용이 적게 소요되고, 해상 부유식 구조물을 길이방향으로 선적하여 안전성이 증가되며, 스키드 레일과 액티브 슈 또는 대중량 운송장치를 이용한 선적이 가능하고 터그보트로 진수시킬 수 있으므로 안전성이 더욱 증가하며, 폰툰의 면적을 최대한 활용하여 경제성을 높이고 제작된 해상 부유식 발전 구조물을 Wet towing 방식으로 이동 설치하는 반잠수 경사식 L형 플로팅 도크선을 사용한 해상 부유식 풍력발전 구조물의 해상 선적 시스템 및 진수공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해상 부유식 구조물이나 해상 부유식 풍력발전구조물에 대하여 육상 제작 후 해상으로 옮길 경우 종래의 공법인 반잠수식 U형 플로팅 도크 및 접합식 U형 플로팅 도크 또는 대형 반잠수식 셀프 프로펠러 플로팅 선박을 사용하여 해상에서 선적하고 반잠수식 U형 플로팅 도크 또는 반잠수식 셀프 프로펠러 플로팅 선박을 필요 수심 까지 운송하고 잠수 하여, 해상 부유식 구조물을 띄우는 공법인 경우와 조선 도크를 사용하여 제작 이후 조선 도크에 물을 채워 해상 부유식 구조물을 해수에 띄운 다음, 도크 게이트를 개방하여 해상 부유식 구조를 외부 바다로 이동하는 경우가 있으나, 종래의 공법인 반잠수식 셀프 프로펠러 플로팅 선박을 사용할 경우 기존 반잠수식 선박의 높이를 고려한 잠수에 필요한 수심 깊이의 한계가 42 m 로서 깊고, 해양 부유식 구조물 내지 부유식 해상풍력 구조물의 측면방향 선적시 안정성 문제, 반잠수식 셀프 프로펠러 플로팅 선박의 동원과 철수 비용으로 약 40 억원이 소요되며 선적 기간 동안의 비용인 약 40 억원을 고려할 때 1 기의 해상 부유식 구조물 또는 해상 부유식 풍력 구조물을 해상에 띄우기 위해 필요 경비가 약 80 억 정도로 소요되며, 반잠수식 U형 플로팅 도크선 또는 및 접합식 U형 플로팅 도크선을 사용시 폰툰 양측에 벽체를 설치하므로 제작 및 시공 비용이 증가하고, 반잠수식 U형 플로팅 도크선의 높이를 고려하여 잠수에 필요한 수심 깊이의 한계가 33 m 로 깊으며 국내에서는 이러한 수심을 확보하기 위해 약 15 km 의 해양으로 운송 후 진수하여야한다. 또한, 조선소 도크를 사용할 경우는 도크의 점유 기간이 적어도 10 개월 이상 소요됨으로 사용경비 차원에서는 조선 선박 제작을 고려한 반잠수식 셀프 프로펠러 플로팅 선박에 비하여 2 배가량 소요된다. 그리고 종래 공법인 반잠수식 U형의 플로팅 도크선인 경우 폰툰 양측에 벽체를 설치하므로 고비용의 제작비용과 진수시 파랑, 바람 등에 의하여 해상 부유식 구조물의 거동이 심하고 폰툰 양측 벽체에 충돌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폰툰의 크기를 50 % 이상 크게 하고, 진수 수심의 깊이는 약 33 m 정도로 약 15 km 의 해양으로 나가서 작업하는 매우 비경제적인 공법이다.
본 발명의 반잠수 경사식 L형 플로팅 도크선 공법은 기존의 반잠수식 셀프 프로펠러 플로팅 선박 및 반잠수식 U형의 플로팅 도크선 또는 접합식 U형 플로팅 도크선에 비하여 잠수에 필요한 수심 27.5 m 로서 종래 공법에 비하여 낮고, 진수 수심 확보를 위해 약 7 km 이내의 해양으로 나가서 작업하므로 운송기간이 50 % 이상 절약되며, 길이방향으로 해상 부유식구조물을 선적하므로 안정성이 있고, 경제적인 측면에서도 반잠수식 셀프 프로펠러 플로팅 선박 임대비용 2 기의 해상 부유식 구조물이나 해상 부유식 풍력발전구조물에 대하여 소요된 비용으로 충분히 제작 가능한 금액이므로 다수의 해상 부유식 구조물이나 해상 부유식 풍력발전구조물에 적용할 경우 경제적이며, 해상 부유식 구조물이나 해상 부유식 풍력발전구조물을 스키드 레일과 액티브 슈 이용으로 선적하고, 대중량 운송장치를 이용하여 선적하며, 해상 부유식 구조물이나 해상 부유식 풍력발전구조물을 반잠수 경사식 L형 플로팅 도크선에 선적한 후 해양 수심 27.5 m 지역까지 나온 위치에서 해상 부유식 구조물이나 해상 부유식 풍력발전구조물의 자체 부력으로 띄울 수 있는 깊이 10 m 와 지지대 높이 3 m 와 지지대와 부유식 구조물의 여유고 1 m 를 포함한 깊이까지 발라스팅으로 잠수 시킨 후, 반잠수 경사식 L형 플로팅 도크선의 L형 플로팅 도크 스태빌라이저의 반대편 쪽으로 경사를 준 다음 터그보트를 이용하여 반잠수 경사식 L형 플로팅 도크선을 벗어나도록 해상 부유식 구조물이나 해상 부유식 풍력발전구조물의 자체 부력으로 띄운 것을 서서히 옆으로 잡아 당기므로 파랑, 바람의 하중으로 해상 부유식구조물의 거동이 발생하여도 L형 플로팅 도크 스태빌라이저에 충돌할 염려가 없고 완전히 반잠수 경사식 L형 플로팅 도크선을 벗어 나는 경우 Wet Towing 으로 해상 부유식 구조물이나 해상 부유식 풍력발전구조물을 설치 장소로 운송하고, 반잠수 경사식 L형 플로팅 도크선을 디 발라스팅(De-Ballasting) 하여 경사된 부분을 수평으로 하고 해수면 밖으로 나오도록 하여. 해상 부유식 구조물이나 해상 부유식 풍력발전구조물에 대한 육상 제작후 해상으로 이동하는 선적 방법에 관한 것이고, 반잠수 경사식 L형 플로팅 도크선은 2가지로서 ①인 경우 하부 폰툰의 양측으로 폰툰 길이의 L/5로 한측의 길이로 각각 L형 플로팅 도크 스태빌라이저를 설치하고, ②인 경우 하부 폰툰의 한쪽 측면으로 폰툰 길이의 L/2 이내의 총 길이로하여 안정성과 경제성 확보를 위해 중간에 일정 간격을 두어 2개의 L형 플로팅 도크 스태빌라이저를 설치하고, 2 가지의 반잠수 경사식 L형 플로팅 도크선의 KG(선체바닦에서 무게 중심)값을 최소화 하기 위해 폰툰 바닥에 0.5 m 두께 내외의 매스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2 가지 안에 대한 스태빌라이저는 폰툰 평면적을 최대한 활용하기 위해 폰툰 외측면에 설치되고 폭과 길이는 폰툰 외측면에 설치되므로 크기에 유연성이 있으며, GM과 GZ의 기준을 만족하며, 제작비용이 저렴하고, 해상 선적 및 진수에서 안정성을 충분히 확보하는 장점의 신공법이다.

Description

반잠수 경사식 L형 플로팅 도크선을 사용한 해상 부유식 풍력발전 구조물의 해상 선적 시스템 및 진수공법{Offshore Load-out and Float-Off Method of Offshore Floating Structures Using Tilt-Semi Submersible L-Shaped Floating Dock}
본 발명은 반잠수 경사식 L형 플로팅 도크선을 사용한 해상 부유식 풍력발전 구조물의 해상 선적 시스템 및 진수공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해상 부유식 발전 구조물의 진수를 위한 필요진수수심이 비교적 낮아 필요진수수심 확보에 시간과 비용이 적게 소요되고, 해상 부유식 구조물을 길이방향으로 선적하여 안전성이 증가되며, 스키드 레일과 액티브 슈 또는 대중량 운송장치를 이용한 선적이 가능하고 터그보트로 진수시킬 수 있으므로 안전성이 더욱 증가하며, 폰툰의 면적을 최대한 활용하여 경제성을 높이고 제작된 해상 부유식 발전 구조물을 Wet towing 방식으로 이동 설치하는 반잠수 경사식 L형 플로팅 도크선을 사용한 해상 부유식 풍력발전 구조물의 해상 선적 시스템 및 진수공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반잠수 경사식 L형 플로팅 도크선을 사용한 해상 부유식 풍력발전 구조물의 해상 선적 시스템 및 진수공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해상 부유식 구조물이나 해상 부유식 풍력발전구조물을 육상에서 제작하고 해상으로 옮길 경우 종래의 공법인 반잠수식 U형 플로팅 도크 또는 접합식 U형 플로팅 도크 또는 대형 반잠수식 셀프 프로펠러 플로팅 선박을 사용하여 해상에서 선적하여 반잠수식 U형 플로팅 도크 또는 접합식 U형 플로팅 도크 또는 반잠수식 셀프 프로펠러 플로팅 선박을 필요진수수심 까지 운송하고 잠수 하여, 해상 부유식 구조물을 띄우는 공법인 경우와 조선 도크를 사용하여 제작후 조선 도크에 물을 채워 해상 부유식 구조물을 해수에 띄운 다음, 도크 게이트를 개방하여 해상 부유식 구조물을 외해 바다로 이동하는 경우가 있으나, 종래의 공법인 반잠수식 셀프 프로펠러 플로팅 선박을 사용할 경우 기존 반잠수식 선박의 높이를 고려한 잠수에 필요한 필요진수수심 깊이의 한계(필요진수수심은 42 m = 해상 부유체 부유 깊이 10 m + 지지대 높이 3 m + 지지대와 부유식 구조물의 여유고 2 m + 선체 폰툰 높이 25 m + 지반 여유고 2 m)가 깊고, 해양 부유식 구조물 내지 부유식 해상풍력 구조물의 측면방향 선적시 안정성 문제(스태빌리티 문제), 반잠수식 셀프 프로펠러 플로팅 선박의 동원과 철수 비용이 약 40 억, 선적 기간 동안의 비용이 약 40 억인 것을 고려하고 1 기의 해상 부유식 구조물 또는 해상 부유식 풍력 구조물을 해상에 띄우기 위해 필요 경비가 약 80 억 정도로 소요된다. 또한, 반잠수식 U형 플로팅 도크선 또는 접합식 U형 플로팅 도크선 사용시 폰툰 양측에 벽체를 설치하므로 제작 및 시공 비용이 증가, 반잠수식 U형 플로팅 도크선 또는 접합식 U형 플로팅 도크선의 높이를 고려한 잠수에 필요한 필요진수수심 깊이의 한계(필요진수수심은 33 m = 해상 부유체 부유 깊이 10 m + 지지대 높이 3 m + 잠수로 인한 지지대와 부유식 구조물의 여유고 3 m + 선체 폰툰 높이 15 m + 지반 여유고 2 m)가 깊으며 국내에서는 이러한 필요진수수심을 확보하기 위해 해변으로부터 약 15 km 의 해양으로 운송 후 잠수-진수하는 반잠수 경사식 L형 플로팅 도크선을 사용한 해상 부유식 풍력발전 구조물의 해상 선적 시스템 및 진수공법에 관한 것이다.
그리고 조선소 도크를 사용할 경우는 도크의 점유 기간이 적어도 10 개월 이상이 소요됨으로 사용경비 차원에서는 조선 선박 제작을 고려한 반잠수식 셀프 프로펠러 플로팅 선박에 비하여 2 배가량 소요되며, 종래의 공법인 반잠수식 U형의 플로팅 도크선인 경우 폰툰 양측으로 벽체를 설치하므로 고비용의 제작비용과 잠수-진수시 파랑과 바람 등으로 인한 해상 부유식 구조물의 거동(흔들림)이 심하여 폰툰 양측 벽체에 충돌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는 폰툰의 크기가 본 발명의 폰툰에 비하여 50 % 이상 크게 하여야하고, 필요진수수심의 깊이가 33 m 정도로 약 15 km 의 외해로 나가서 작업을 하여야 하므로 매우 비경제적인 공법이라 하겠다.
본 발명의 반잠수 경사식 L형 플로팅 도크선 공법은 기존의 반잠수식 셀프 프로펠러 플로팅 선박 및 반잠수식 U형의 플로팅 도크선에 비하여 잠수에 필요한 필요진수수심(필요진수수심은 27.5 m = 해상 부유체 부유 깊이 10 m + 지지대 높이 3 m + 지지대와 부유식 구조물의 여유고 1 m + 폰툰 높이 8.5 m + 진수시 경사 높이 3 m + 해저지반 여유고 2 m)이 낮고, 필요진수수심 확보를 위해 해변으로부터 약 7 km 이내의 외해(해양)로 나가서 작업하므로 운송시간이 50 % 이상 종래의 공법에 비하여 절약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공법은 길이방향으로 해상 부유식구조물을 선적하므로 안정성에 유리하며, 경제적인 측면에서도 반잠수식 셀프 프로펠러 플로팅 선박 임대비용 2기의 해상 부유식 구조물이나 해상 부유식 풍력발전구조물에 대하여 소요된 비용으로 충분히 제작 가능한 금액이고, 다수의 해상 부유식 구조물이나 해상 부유식 풍력발전구조물에 적용할 경우 매우 경제적이며 또한, 스키드 레일 및 액티브 슈를 이용하거나 또는, 대중량 운송장치를 이용하여 선적이 가능하며, 해상 부유식 구조물이나 해상 부유식 풍력발전구조물을 본 발명의 반잠수 경사식 L형 플로팅 도크선에 선적한 후 해양(외해)의 수심 27.5 m 지역까지 이동한 위치에서 해상 부유식 구조물이나 해상 부유식 풍력발전구조물의 자체 부력으로 띄울 수 있는 깊이 10 m 와 지지대 높이 3 m 및 지지대와 부유식 구조물의 여유고 1 m 를 포함한 수심까지 발라스팅 시스템으로 잠수 시킨 후, 반잠수 경사식 L형 플로팅 도크선의 L형 플로팅 도크 스태빌라이저의 반대편 쪽으로 경사를 주고, 터그보트를 이용하여 반잠수 경사식 L형 플로팅 도크선을 벗어 나도록 해상 부유식 구조물이나 해상 부유식 풍력발전구조물의 자체 부력으로 띄운 것을 서서히 옆으로 잡아 당기므로 파랑과 바람의 영향으로 해상 부유식구조물의 요동치더라도 L형 플로팅 도크 스태빌라이저에 충돌할 염려가 없고 완전히 반잠수 경사식 L형 플로팅 도크선을 벗어 낮을 경우 Wet Towing 방식으로 설치 목적지까지 운송하고, 반잠수 경사식 L형 플로팅 도크선은 디 발라스팅(De-Ballasting) 시스템을 이용하여 경사된 부분을 수평으로 함과 동시에 해수면 밖으로 나오도록 하는 것이고, 본 발명의 반잠수 경사식 L형 플로팅 도크선은 2 가지로서 ①인 경우 하부 폰툰의 외측면 양측으로 폰툰 길이의 L/5로 한측의 길이로 각각 L형 플로팅 도크 스태빌라이저를 설치하고 폰툰 상면의 평편한 면적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는 신공법으로서 L형 플로팅 도크 스태빌라이저의 크기는 메타센타 높이는 비손상시 GM = KB(선체바닦에서 부력 중심) + BM(부력중심에서 메타센타) - KG(선체바닦에서 무게 중심) ≥ 0.15 m, 손상시는 GM ≥ 0.5 m, 복원 모멘트인 GZ = GM * sin(θ) ≥ 0.2 m, θ ≥ 30°가 만족하도록 선정하여야 하며, ②인 경우 하부 폰툰의 외측면 한쪽 측면으로 폰툰 길이의 L/2 이내의 총 길이로하여 안정성 및 경제성 확보를 위해 중간에 일정 간격을 두어 2개의 L형 플로팅 도크 스태빌라이저를 설치하고 폰툰 평면적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는 신공법으로서 스태빌라이저의 크기와 메타센타 높이는 비손상시 GM = KB(선체바닦에서 부력 중심) + BM(부력중심에서 메타센타) - KG(선체바닦에서 무게 중심) ≥ 0.15 m, 손상시는 GM ≥ 0.5 m, 복원 모멘트인 GZ = GM * sin(θ) ≥ 0.2 m, θ ≥ 30°가 만족하도록 높이인 경우 잠수 깊이 + 5 m 정도로 하고, 상기의 본 발명의 2가지의 반잠수 경사식 L형 플로팅 도크선의 KG(선체바닦에서 무게 중심)값을 최소화 하기 위해 폰툰 바닥에 0.5 m 두께 내외의 매스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폭과 길이는 GM과 GZ의 기준을 만족하도록 선정한다.
도크(dock)는 해양구조물을 수리와 건조하기 위하여 조선소 또는 항만에 세워진 시설물로서 드라이 도크(Dry Dock)와 플로팅 도크(Floating Dock)로 크게 구분된다. 드라이 도크는 해양구조물을 진수하기에 충분한 수심을 갖는 바다와 인접한 곳에서 해양구조물의 출입이 가능할 정도의 길이, 너비, 깊이로 땅을 파서 바다와 연결시키고 측벽과 바닥을 철근콘크리트나 말뚝으로 보강하며, 입구에 도크 게이트(dock gate)를 설치한다.
드라이 도크는 선체를 수면과 수평하게 탑재하여 선체가 완성되면 도크 게이트를 열어 도크에 물을 채움으로써, 해양구조물을 도크 밖으로 띄워 해상에 진수하지만, 해안에 인접한 육상에 마련되는 특성상, 약한 지반에 대한 기초공사가 수반되어야 하고 높은 수압의 해수를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설비를 갖추어야 하므로 단기간에 해양구조물을 건조해야 하는 상황에서는 적용이 곤란한 문제가 있다.
플로팅 도크는 강철제 상자로 이루어지고, 내부에 많은 탱크를 구비하며 이러한 각 탱크의 해수 저장량을 조절하여 부유 정도를 조절하는 것으로, 탱크 내부에 물을 채우면 플로팅 도크의 중량이 커져 물속으로 가라앉고 탱크내부의 물을 빼내면 플로팅 도크의 중량이 작아져 물위로 부상하며, 플로팅 도크내부에서 건조가 완성된 해양구조물은 플로팅 도크를 물속으로 가라앉혀 진수한다. 플로팅 도크는 드라이 도크의 설치가 적합하지 않은 장소에 설치 가능하여,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해양구조물을 비교적 신속하게 건조한다. 또한, 도크 내로 입거한 해양구조물의 흘수와 트림에 적합하게 도크를 침하시키므로, 해양구조물의 입거와 출거에 시간이 절약되고 해양구조물을 바로 해상에 진수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해상의 풍력발전은 고정식과 부유식으로 분류할 수 있고, 해상 고정식 풍력발전 방식은 현재 개발과 설치가 많이 이루어지고 또한, 진행되고 있으므로 기술발전이 비교적 빠르게 이루어지고 있으나, 해상 부유식 풍력발전 방식의 기술발전은 상대적으로 늦어지고 있다.
해상 고정식 풍력발전 방식은 최대 수심 60 m 이내의 근해에 설치됨으로 소음발생과 주변환경 오염 또는 주변미관 저해 등에 대한 민원이 비교적 많이 발생하여 해상 고정식 풍력발전 방식의 신재생 에너지 확보를 저해하는 문제가 있다.
그러나 해상 부유식 풍력발전 방식은 수심 100 m 내지 200 m 내외의 배타적 경제수역에 설치되므로 근해에 설치되는 해상 고정식 풍력발전 방식과 같이 민원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 장점이 있으므로 최근 많은 각광을 받고 있는 추세에 있다.
해상 부유식 구조물은 주로 육상에서 제작되어 운송선박에 선적된 후 해상으로 운송하여 지정된 위치에 설치하며 발전시설물과 석유시추용 구조물과 해상 유류저장시설 구조물 등이 포함되고, 발전시설물에는 풍력 발전방식과 화석연료(화력) 발전방식이 있고, 풍력발전방식에는 해상 고정식 풍력발전과 해상 부유식 풍력발전으로 구분되며 화석연료(화력) 발전방식에는 기름(Oil) 또는 가스(Gas Production)를 사용하는 해상 화석연료 발전 방식 구조물 등이 있다.
이러한 해상 부유식 구조물은 파도 등에 의한 움직임이 적으면서 부유함에 유리한 반잠수식 해양 구조물로 발전하고 있다.
반잠수식 해양구조물의 예인 방법으로는 부유식 해양구조물을 운송 선박에 탑재하여 설치 목적지 까지 운송하는 Dry Towing 방식 및 부유식 해양구조물을 자체 부유시키고 예인 보트에 연결하여 예인하는 Wet Towing 방식이 있으며, 해양구조물이 대형화되어 가면서 Wet Towing 방식이 많이 사용된다.
해양구조물의 대형화에 따라 조선소에서 건조한 대형 해양구조물을 설치 목적지 해역까지 운송하는 방법이 Dry Towing 방식으로부터 Wet Towing 방식으로 바뀌어가고 있고, 가장 큰 이유는 대형 해양구조물을 탑재할 수 있는 운송 선박의 선적용량 한계에 있다. 그러나 Wet Towing 은 설치될 해역까지 운송에 오랜 기간이 소요되며, 장거리 예인과정에서 환경 조건에 의한 저항으로 예인 속도 개선에 어려움이 있다. 특히 해양구조물의 수면 하부 형상은 예인 속도에 크게 영향을 미친다.
일례로 10 메가와트(MW) 급 이상의 해상 발전구조물인 경우 해상 부유식 풍력발전 구조물은 발전기를 포함하여 총 약 5,000 톤으로, 하부구조물이 약 3,500 톤, 타워와 발전기가 약 1,500 톤이다. 한편, Oil과 Gas Production을 사용하는 해상 부유식 화력발전 구조물인 경우 하부 구조물이 약 20,000 톤, 상부구조물이 약 28,000 톤으로 총 48,000 톤이다.
반잠수 경사식 L형 플로팅 도크선의 경우 Oil 및 Gas Production 을 사용하는 해상 화력발전 부유식 구조물(총 48,000톤)과 해상 풍력발전 부유식 구조물(총 5,000톤)을 동시 같이 사용가능한 것으로 제작시 매우 비경제적이며, 특히, 화력을 사용하는 해상 부유식 구조물인 경우 국제적으로 연간 1 척 정도를 제작할 수 있는 정도에 불과하므로 이를 동시 사용가능토록 하는 것은 경제적 측면과 유지보수 측면에서 문제가 있다.
아래의 참고도면 1 은 종래 공법의 경우 크게 2가지로서 반잠수식 U형 플로팅 도크선 및 접합식 U형 플로팅 도크선공법과 반잠수식 플로팅 선박공법으로 나눌 수 있으며, 특히 반잠수식 U형 플로팅 도크선 또는 접합식 U형 플로팅 도크선 공법의 경우 폰툰의 평면적 활용도가 매우 낮고 스태빌라이저가 폰툰 위에 양측으로 길게 설치됨으로 매우 비경제적인 공법이라 하겠으며, 외부 파랑이나, 바람에 의하여 해상부유식 풍력발전 구조물이 폰툰 안에서 거동을 하여 폰툰 벽체에 충돌할 염려가 있고, 충돌하중으로 인하여 발전기의 손상 또는 해상부유식 풍력발전 구조물의 하부 부유체의 손상으로 전복현상이 발생할 수 있으며, 그리고 본 발명에 비하여 약 1.5 배인 약 150 억원 정도이며, 반잠수식 셀프 프로펠라 플로팅 선박공법인 경우 또한 바람에 의하여 해상부유식 풍력발전 구조물이 폰툰 안에서 거동하여 폰툰 벽체에 충돌할 염려가 있고, 충돌하중으로 인하여 발전기의 손상 또는 해상부유식 풍력발전 구조물의 하부 부유체의 손상으로 전복현상이 발생할 수 있으며, 제작비용은 약 2 천억 내지 3 천억 이상이 요구되며, 임대할 경우도 1 기의 해상 부유식 풍력발전 구조물인 경우 약 80 억원이 소요된다.
<참고도면 1>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풍력 또는 화력을 사용하는 해상 부유식 발전구조물을 육상에서 제작하고 해상에서 진수한 다음 Wet towing 방식으로 이동 설치하는 기술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또한, 해상 부유식 풍력발전구조물(총 5,000톤~7,000톤)을 기준으로 반잠수 경사식 L형 플로팅 도크선을 1 척으로 구성하는 기술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에서 추구하는 반잠수 경사식 L형 플로팅 도크선 2 척을 연결하는 경우 아래의 참고도면 2 와 같이 이루어진다.
<참고도면 2>
본 발명의 해상 부유식 발전 구조물은 육상에서 제작하고, 반잠수 경사식 L형 플로팅 도크선에 선적한 후 수심 27.5 m 지역까지 이동한 장소에서 해상 부유식 풍력 발전구조물을 자체 부력으로 띄울 수 있는 깊이 10 m 와 지지대 높이 3 m 및 지지대와 부유식 구조물의 여유 고(높이) 1 m 를 포함한 깊이까지 발라스팅(Ballasting) 시스템으로 잠수 시킨 후, 반잠수 경사식 L형 플로팅 도크선의 L형 플로팅 도크 스태빌라이저의 반대편 쪽으로 경사를 주고, 터그보트(Tug Boat, 끌배)를 이용하여 반잠수 경사식 L형 플로팅 도크선을 벗어 나도록 서서히 옆으로 잡아당기고 완전히 벗어 낮을 경우 Wet Towing 으로 설치목적 장소까지 운송하고, 반잠수 경사식 L형 플로팅 도크선을 디 발라스팅(De-Ballasting) 시스템을 이용하여 경사된 부분을 수평으로 함과 동시에 수면 밖으로 나오도록 하는 것으로 육상에서 제작된 해상 부유식 구조물이나 해상 부유식 발전구조물물을 선적하고 해상에서 진수하는 반잠수 경사식 L형 플로팅 도크선을 사용한 해상 부유식 풍력발전 구조물의 해상 선적 시스템 및 진수공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는 종래의 공법인 U형의 플로팅 도크선에 비하여 매우 경제성이 높고, 파랑과 바람에 대비한 안정성이 있으며, 제작비용이 저렴하고, 대형 반잠수식 셀프 프로펠러 플로팅 선박의 수배 문제, 조선소 도크 사용기간으로 공기의 연장을 절약하는 반잠수 경사식 L형 플로팅 도크선을 사용한 해상 부유식 풍력발전 구조물의 해상 선적 시스템 및 진수공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과 필요성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본 발명은 폰툰 양측으로 폰툰의 길이에 상응하는 벽체의 제작, 설치와 폰툰의 대형화로 인한 제작 설치의 높은 공사비용과 작업에 필요한 깊은 수심, 해상 부유식구조물의 잠수와 진수시 파랑에 의하여 폰툰 양측 벽체와 충돌 발생 문제, 반잠수식 셀프 프로펠러 플로팅 선박의 과도한 임대비용과 작업의 깊은 수심을 해결하는 반잠수 경사식 L형 플로팅 도크선을 사용한 해상 부유식 풍력발전 구조물의 해상 선적 시스템 및 진수공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해상 부유식 발전구조물의 선적 공기를 줄이고 육상에서 다수의 해상 부유식 발전 구조물 제작시에 선적 및 진수 비용과 반잠수 경사식 L형 플로팅 도크선의 폰툰 크기를 최소화하고 폰툰 평면적을 최대한 활용하며 스태빌라이저의 최소화로 제작비용을 절약하는 반잠수 경사식 L형 플로팅 도크선을 사용한 해상 부유식 풍력발전 구조물의 해상 선적 시스템 및 진수공법을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풍력 또는 화력을 사용하는 해상 부유식 발전구조물을 육상에서 제작하고 해상에서 진수한 다음 Wet towing 방식으로 목적지 해상까지 이동시켜 설치하는 반잠수 경사식 L형 플로팅 도크선을 사용한 해상 부유식 풍력발전 구조물의 해상 선적 시스템 및 진수공법을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해상 부유식 풍력발전구조물(총 5,000톤~7,000톤)을 기준으로 반잠수 경사식 L형 플로팅 도크선을 1 척으로 구성하는 반잠수 경사식 L형 플로팅 도크선을 사용한 해상 부유식 풍력발전 구조물의 해상 선적 시스템 및 진수공법을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안출한 본 발명의 반잠수 경사식 L형 플로팅 도크선을 사용한 해상 부유식 풍력발전 구조물의 해상 선적 시스템은 육상안벽에 접안하고 해상부유식풍력발전구조물을 화물로 선적하는 반잠수 경사식 L형 플로팅 도크선(100)을 사용한 해상 부유식 풍력발전 구조물의 해상 선적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반잠수 경사식 L형 플로팅 도크선(100)은 전체적으로 직사각형상을 하며 내부에 구분된 다수의 발라스팅 탱크를 구비하고 해상에 부유하며 무게 중심이 아래 방향에 위치하여 부유의 안정성 있고 평편한 상면에 화물을 적재 고정하는 폰툰(100-1); 상기 폰툰(100-1)에 고정 설치되고 전체적으로 육면체 형상을 하는 L형플로팅도크스태빌라이저(101); 상기 폰툰(100-1)의 내부에 횡방향으로 설치되어 구분된 다수의 발라스팅 탱크를 조성하는 횡방향 발라스팅격벽(107); 상기 폰툰(100-1)의 내부에 종방향으로 설치되어 구분된 다수의 발라스팅 탱크를 조성하는 종방향 발라스팅격벽(108); 상기 폰툰(100-1)에 구비된 다수의 발라스팅 탱크 바닥에 각각 설치되고 해당 제어신호에 의하여 해수를 유입하거나 유출하는 씨체스트(105); 상기 L형플로팅도크스태빌라이저(101)의 선택된 어느 한쪽 상부에 설치되는 상자 형상의 발라스팅하우스(102); 상기 발라스팅하우스(102)의 내부 일측에 고정 설치되고 해당 제어신호에 의하여 압축공기를 생성 공급하는 발라스팅공기압축기(103); 상기 폰툰(100-1) 내부에 구비된 다수 발라스팅 탱크 각각의 바닥에 평균 0.5 m 두께로 균일하게 타설되어 상기 폰툰(100-1)의 무게 중심을 아래 방향에 위치시켜 부유의 안정성을 확보하는 매스 콘크리트(109); 상기 발라스팅 탱크의 각각에 설치되고 상기 발라스팅공기압축기(103)에서 생성된 압축공기를 해당 제어신호에 의하여 선택적으로 각각 유입하는 발라스팅압축공기배관및조정밸브(104); 상기 발라스팅 탱크의 각각에 설치되고 상기 발라스팅 탱크에 유입된 압축공기를 해당 제어신호에 의하여 선택적으로 각각 배출하는 발라스팅배출공기배관및조정밸브(106); 를 포함할 수 있다.
해상부유식풍력발전구조물은 평편한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부력을 발생하는 폰툰(pontoon)과 상기 폰툰(pontoon)의 외곽부분에 2 개 이상 다수가 수직으로 설치되는 아우터컬럼(outer column)과 상기 폰툰(pontoon)의 중심부분에 1 개가 수직으로 설치되는 센터컬럼(center column)과 상기 아우터컬럼(outer column) 및 상기 센터컬럼(center column)의 상측면을 평편하게 연결하는 데크(deck)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해상부유식하부구조(1); 상기 해상부유식하부구조(1)의 중심부분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상부타워(B)와 상기 상부타워(B)의 상단 끝 부분에 설치되고 프로펠러와 발전기를 포함하는 발전부(A)로 이루어지는 해상부유식상부타워및터빈(2); 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반잠수 경사식 L형 플로팅 도크선(100)의 폰툰(100-1) 외측면 또는 상기 육상안벽의 일부분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반잠수 경사식 L형 플로팅 도크선(100)이 상기 육상안벽의 일부분에 접안하여 발생하는 충격을 완화시키는 펜더(53);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펜더(53)의 상측부에 설치되고 상기 폰툰(100-1)의 상면과 상기 육상안벽의 상면을 평편하게 연결하는 링크 플레이트(55);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해상부유식하부구조(1)의 하단에 설치되고 해당 제어신호에 의하여 해상부유식풍력발전구조물을 상기 육상안벽으로부터 상기 육상안벽에 접안된 상기 반잠수경사식L형플로팅도크선(100)의 폰툰(100-1) 상면으로 이동시키는 대중량운송장치(57);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폰툰(100-1) 상면의 일부분에 구비되고 상기 해상부유식풍력발전구조물이 대중량운송장치(57)에 의하여 상기 폰툰(100-1) 상면으로 이동된 상태에서 상기 해상부유식풍력발전구조물이 안착 상태로 올려지고 고정상태로 지지 설치되는 지지대(56);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L형플로팅도크스태빌라이저(101)는 상기 폰툰(100-1) 길이의 1/5 길이로 이루어지고 전체적으로 육면체 형상을 하며 상기 폰툰(100-1)의 일측 양단에 각각 고정 설치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L형플로팅도크스태빌라이저(101)는 상기 폰툰(100-1) 길이의 1/2 길이에 걸쳐 분리된 2 개가 길이 방향의 끝단에 각각 설치되고 각각은 전체적으로 육면체 형상을 하며 상기 폰툰(100-1)의 양측 일단에 각각 고정 설치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L형플로팅도크스태빌라이저(101) 2 개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상부에 페데스탈 방식으로 설치되고 해당 제어신호에 의하여 운용되는 패데스탈 크레인(110); 상기 L형플로팅도크스태빌라이저(101)의 상측면에 설치되고 상기 패데스탈 크레인(110)의 붐을 안정시키는 페데스탈 크레인 스포트(111);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육상안벽의 상면과 상기 폰툰(100-1)의 상면에 균일한 간격으로 평행하게 각각 설치되는 스키드레일(51); 상기 육상안벽의 스키드레일(51)과 상기 폰툰(100-1)의 스키드레일(51)을 각각 수평상태로 연결하는 링크빔(52); 상기 해상부유식하부구조(1)의 하단에 하나 이상 다수가 설치되고 해당 제어신호에 의하여 해상부유식풍력발전구조물을 상기 스키드레인(51)과 링크빔(52)을 따라 폰툰(100-1)의 상면으로 이동시키는 액티브슈(50);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액티브슈(50)의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해상부유식풍력발전구조물이 상기 폰툰(100-1)의 상면으로 이동된 상태에서 상기 해상부유식풍력발전구조물을 상기 액티브슈(50)로부터 분리시켜 지지대(56)에 안착시키는 하이드로잭; 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반잠수 경사식 L형 플로팅 도크선(100)의 4 모서리 부분에 일측 끝단이 각각 연결되어 고정 설치되고 타측 끝단은 육상안벽의 일부분에 각각 연결되어 고정 설치되는 다수로 이루어지는 계류라인(60); 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안출한 본 발명의 반잠수 경사식 L형 플로팅 도크선을 사용한 해상 부유식 풍력발전 구조물의 해상 선적 시스템 진수공법은 육상안벽에 접안하고 해상부유식풍력발전구조물을 화물로 선적하는 반잠수 경사식 L형 플로팅 도크선을 사용한 해상 부유식 풍력발전 구조물의 해상 선적 시스템 진수공법에 있어서, 상기 육상안벽에서 다수의 해상부유식풍력발전구조물을 제조하는 제조단계; 상기 반잠수 경사식 L형 플로팅 도크선을 펜더 게재에 의하여 육상안벽에 접안시키고 계류라인으로 고정 시키는 계류단계; 상기 육상안벽에 펜더 게재에 의하여 접안한 상기 반잠수 경사식 L형 플로팅 도크선의 평면을 발라스팅에 의하여 상기 육상안벽의 평면과 수평하게 유지 설정하는 발라스팅 단계; 상기 해상부유식풍력발전구조물을 상기 육상안벽으로부터 상기 반잠수 경사식 L형 플로팅 도크선의 폰툰 상면으로 이동수단을 사용하여 이동시켜 선적하는 이동선적단계; 상기 이동단계의 이동수단을 상기 반잠수 경사식 L형 플로팅 도크선으로부터 상기 육상안벽으로 복귀시키는 복귀단계; 상기 반잠수 경사식 L형 플로팅 도크선을 해상의 지정 위치로 예인하고 선적된 상기 해상부유식풍력발전구조물을 해상에 진수시켜 설치하는 진수설치단계; 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안출한 본 발명의 반잠수 경사식 L형 플로팅 도크선을 사용한 해상 부유식 풍력발전 구조물의 해상 선적 시스템은 반잠수 경사식 L형 플로팅 도크선으로, 잠수시 필요한 L형 플로팅 도크 스태빌라이저를 폰툰 외측의 양측으로 설치할 경우는 길이가 폰툰 길이보다 각 스태빌라이저의 길이가 L/5를 넘지 않도록 하고, 폰툰 외측의 한 면에만 설치할 경우 스태빌라이저의 총 길이가 폰툰길이 L/2보다 작아야 하고; 안정성을 고려 및 폰툰크기의 최소화로 제작비용을 절감하도록 하였고(100 mL x 80 mB x 8.5 mH); 선체의 잠수를 위해 L형 플로팅 도크 스태빌라이저 상부에 발라스팅(Ballasting) 위하여 공기 배출 및 배관을 각각 종방향 발라스팅 격벽 및 횡방향 발라스팅 격벽에 연결되며 끝단에는 조정 밸브를 설치하고; 경사 잠수된 선체를 수면 밖으로 올리기 위해 L형 플로팅 도크 스태빌라이저 상부에 디 발라스팅(De-Ballasting) 위하여 공기 압축기 및 배관을 각각 종방향 발라스팅 격벽 및 횡방향 발라스팅 격벽에 연결되며 끝단에는 오토 밸브를 설치하고; 각 격벽사이에 해수를 받을 수 있는 Sea Chest를 설치하고 디 발라스팅(De-Ballasting) 할 경우 공기 압축기를 이용하여 압력을 가할 경우 물이 Sea Chest를 거처 외부로 물이 빠져나가며, 발라스팅 할 경우 공기 배출기를 이용하여 압력을 가한 공기압을 외부로 배출하므로 물이 Sea Chest를 거처 격벽 내부로 물이 들어와 디 발라스팅(De-Ballasting)과 발라스팅(Ballasting)을 오토 조절(Auto-Control)하는 장치를 설치하고; 반잠수 경사식 L형 도크선의 스태빌리티를 위해 KG(선체바닦에서 무게 중심)이 적을수록 유리하므로 선체의 무게 중심을 최대한 아래로 내리기 위해 폰툰 바닥에 0.5 m 두께 내외의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반잠수 경사식 L형 플로팅 도크선을 완성한다.
본 발명의 반잠수 경사식 L형 플로팅 도크선은 해상 부유식 풍력발전구조물의 선적, 운송 및 진수에 사용하는 것으로 선적 방법으로는 크게 스키드 레일과 액티브 슈를 이용하는 선적 방법과 대중량 운송장치를 활용하는 선적 방법이 있으며, 이는 해상 부유식 해상 풍력발전구조물 하부 바닥의 구조에 따라 선정되어야 한다.
해상 부유식 풍력발전구조물이 본 발명의 반잠수 경사식 L형 플로팅 도크선에 선적이 된 이후 수심 27.5 m가 확보되는 수심에서 해상 부유식 풍력발전구조물을 진수(Float-Off)시키기 위해 L형 플로팅 도크 스태빌라이저 상부에 발라스팅 위하여 공기 배출 및 배관을 각각 종방향 발라스팅 격벽 및 횡방향 발라스팅 격벽에 연결되며 끝단에는 조정 밸브를 작동시켜 반잠수 경사식 L형 플로팅 도크선 내부의 횡.종 격벽안의 압축공기를 조정 밸브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하므로 Sea Chest를 거처 해수가 횡.종 격벽 안으로 들러와 부유식 해상 풍력발전구조물이 수중에 띄울 수 있는 필요진수수심(14 m = 부유식 구조물 부유 깊이 10 m와 지지대 높이 3 m 및 지지대와 부유식 구조물의 여유고 1 m)가 되었을 경우 조정밸브를 잠그고, L형 플로팅 도크 스태빌라이저 반대편으로 경사를 주기 위해, L형 플로팅 도크 스태빌라이저 반대편의 횡.종격벽안의 발라스팅 배출공기 배관 및 조정밸브를 개방하여 압축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므로 자동적으로 Sea Chest를 거처 해수가 들어와 경사가 2 내지 4°가 될 경우 외부 파랑에서도 해상 부유식 풍력발전구조물하부와 반잠수 경사식 L형 플로팅 도크선 지지대와의 여유 높이가 충분하므로 터그보트선을 이용하여 해상 부유식 풍력발전구조물을 완전히 반잠수 경사식 L형 플로팅 도크선을 벗어나고, 이 경우 부유식 풍력발전구조물은 설치 장소로 Wet Towing하여 운송하고, 반잠수식 L형 플로팅 도크선은 L형 플로팅 도크 스태빌라이저에 설치된 공기 압축기를 사용하여 횡.종격벽안의 발라스팅 배출공기 배관 및 조정밸브는 잠그고, 반잠수 경사식 L형 플로팅 도크선 내부의 횡.종 격벽안의 압축공기를 오토 밸브를 통하여 사용하여 횡.종 격벽 안에 압축공기를 주입하여 Sea Chest를 거처 횡.종 격벽 안의 해수가 외부로 빠져나와 해수 밖으로 반잠수 경사식 L형 플로팅 도크선에 완전히 노출되며, 재차 육상 제작장 안벽에 접안 후, 다음의 해상 부유식 풍력 발전구조물의 선적에 사용한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반잠수 경사식 L형 플로팅 도크선의 L형 플로팅 도크 스태빌라이저를 설치하여야 하고, L형 플로팅 도크 스태빌라이저의 크기가 매우 중요하며 과제의 해결 수단은 폰툰 평면적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는 신공법으로서 스태빌라이저 크기의 선정에 주안점을 두고 하여야 하며, 메타센타 높이는 비손상시 GM = KB(선체바닦에서 부력 중심) + BM(부력중심에서 메타센타) - KG(선체바닦에서 무게 중심) ≥ 0.15 m, 손상기는 GM ≥ 0.5 m, 복원 모멘트인 GZ = GM * sin(θ) ≥ 0.2 m, θ ≥ 30°가 만족하도록 스태빌라이저 높이를 14 m(부유식 구조물 부유 깊이 10 m + 지지대 높이 3 m + 여유고 1.0 m)정도로 하고, KG(선체바닦에서 무게 중심)값을 최소화하기 위해 폰툰 하부에 매스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스태빌라이저의 폭과 길이는 GM과 GZ의 기준을 만족하도록 선정하여야 한다. 단 반잠수 경사식 L형 플로팅 도크선중의 ①형식인 경우 반잠수 경사식 L형 플로팅 도크스태빌라이저는 폰툰 외측의 양측에 설치하므로 폰툰의 크기를 최적화 및 폰툰 평면적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으며, 길이를 폰툰길이의 각각 L/5보다 적어야하며, ②형식인 경우 L형 플로팅 도크 스태빌라이저는 폰툰 외측의 폰툰 한면에 설치하므로 폰툰의 크기를 최적화 및 폰툰 평면적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으며, 총 길이를 폰툰길이의 L/2보다 적어야 한다. 따라서 ① 및 ② 형식의 반잠수 경사식 L형 플로팅 도크선의 스태빌라이저는 폰툰의 외측면에 설치하므로 폰툰의 평면적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으며, 스태빌라이저 폭 및 길이의 크기의 결정에 있어 매우 유연성이 있는 신공법이라 할 것이다. 다음과 같이 해상 부유식 풍력발전 구조물이 띄워 졌을 경우의 반잠수 경사식 L형 플로팅 도크선 최적 특성에 대하여 아래의 참고표 1, 참고표 2와 같이 각 ①안 및 ②안에 대하여 해결한다.
<참고 표 1>
<참고 표 2>
다음은 본 발명의 반잠수 경사식 L형 플로팅 도크선의 형식을 아래의 참고도면 3 으로 나타내었으며 잠수 및 진수시 해상 부유식 풍력발전 구조물이 띄워 졌을 경우, 터그보트를 사용하여 경사면으로 끌어당기므로 외부 파랑 및 바람에 의하여 스태빌라이저와 충돌할 염려가 없다.
<참고도면 3>
상기의 참고표 1, 참고표 2에서 알 수 있듯이 참고도면 1의 반잠수 경사식 L형 플로팅 도크선의 잠수시 안정성에 대하여 검토하고 GM ≥ 0.5 m 및 GZ ≥ 0.2 m 값이 허용 값 이내로 들어 올 수 있도록 스태빌라이저의 크기를 결정하는 신공법이다. 만일 해상 부유식 풍력발전 구조물이 폰툰위에서 해상으로 띄워지기 전이라면 반잠수 경사식 L형 플로팅 도크선과 해상 부유식 풍력발전 구조물의 합체에 대한 안정성을 검토하여야 하며, 이 경우 각각의 반잠수 경사식 L형 플로팅 도크선과 해상 부유식 풍력발전 구조물의 개별적 안정성에 문제가 없을 경우 합체를 하더라도 안정성에 문제가 없다. 상기 참고표 1, 참고표 2에서 반잠수 경사식 L형 플로팅 도크선의 자체 잠수 내지 경사시 안정성이 문제 없음이 확인 되고, 해상 부유식 풍력발전 구조물인 경우 자체 부유시 당연히 설계시 안정성에 문제없도록 하므로 반잠수 경사식 L형 플로팅 도크선과 해상 부유식 풍력발전 구조물의 잠수시 안정성이 우수하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은 다수의 해상 부유식 풍력발전에 대하여 육상 제작후 해상에 진수하는 공법에 사용되는 반잠수 경사식 L형 플로팅 도크선으로 종래의 공법인 반잠수식 U형 플로팅 도크선 및 대형 반잠수식 셀프 프로펠라 플로팅 선박이나, 조선소 도크를 사용할 경우에 비하여 소요 경비를 절감하고 다수의 부유식 풍력발전을 제작 완료후 연속적으로 반잠수 경사식 L형 플로팅 도크선을 사용하여 해상 부유식 풍력발전구조물을 육상 제작장 안벽에서 선적하고 해상에서 스태빌라이저의 반대편으로 2 내지 4°경사를 주고 터그보트를 사용하여 진수하므로 파랑이나, 바람에 의해 해상 부유식 발전구조물과 스테빌라이저의 충돌을 완전히 방지할 수 있으므로 종래의 공법에 비하여 안정성에 매우 유리한 신공법이고, 또한, 해상 부유식 발전구조물의 선적 및 진수 공기를 줄일 수 있으며, 공사비용을 절약하는 효과가 있고, 스태빌라이저를 폰툰의 외측면에 설치하므로 폰툰 평면적을 최대한 활용하며, 제작비용 또한 종래의 공법에 비하여 매우 적게 소요(반잠수식 U형 플로팅 도크선인 경우 30 % 이상 절감, 반잠수식 셀프 프로펠러 플로팅 선박인 경우 90 % 이상 절감)되며, 그리고 스태빌라이저 폭 및 길이의 크기의 결정에 있어 매우 유연성이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종래의 공법인 U형의 플로팅 도크선에 비하여 매우 경제성이 높고, 파랑 및 바람에 대한 안정성에 매우 유리하며, 제작비용이 저렴하고, 대형 반잠수식 셀프 프로펠러 플로팅 선박의 수배 문제, 조선소 도크 사용기간으로 공기의 연장을 절약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풍력 또는 화력을 사용하는 해상 부유식 발전구조물을 육상에서 제작하고 해상에서 진수한 다음 Wet towing 방식으로 신속하며 낮은 비용으로 이동 설치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해상 부유식 풍력발전구조물(총 5,000 톤 내지 7,000 톤)을 기준으로 반잠수 경사식 L형 플로팅 도크선을 1 척으로 구성하는 장점이 있다.
도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반잠수 경사식 L형 플로팅 도크선에 스태빌라이저가 폰툰 외측의 양측에 L/5의 길이로 설치되고, 대중량 운송 장치를 활용한 해상 부유식 풍력발전구조물 선적공법 설명을 위한 측면도이고,
도1a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반잠수 경사식 L형 플로팅 도크선에 스태빌라이저가 폰툰 외측의 한쪽에 폰툰 길이의 L/2에 걸쳐 설치되고, 대중량 운송장치를 활용한 해상 부유식 풍력발전구조물 선적공법 설명을 위한 측면도이며,
도1b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반잠수 경사식 L형 플로팅 도크선에 스태빌라이저가 폰툰 외측의 한쪽에 폰툰 길이의 L/2에 걸쳐 설치되고, 스키드레일과 액티브 슈를 활용한 해상 부유식 풍력발전구조물 선적공법 설명을 위한 측면도이고,
도2 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반잠수 경사식 L형 플로팅 도크선에 스태빌라이저가 폰툰 외측의 양측에 L/5의 길이로 설치되고, 대중량 운송 장치를 활용한 해상 부유식 풍력발전구조물 선적공법 설명을 위한 평면도이며,
도2a 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반잠수 경사식 L형 플로팅 도크선에 스태빌라이저가 폰툰 외측의 한쪽에 폰툰 길이의 L/2에 걸쳐 설치하고, 대중량 운송장치를 활용한 해상 부유식 풍력발전구조물 선적공법 설명을 위한 평면도이고,
도2b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반잠수 경사식 L형 플로팅 도크선에 스태빌라이저를 폰툰 외측의 한쪽에 폰툰 길이의 L/2에 걸쳐 설치하고, 스키드레일과 액티브 슈를 활용한 해상 부유식 풍력발전구조물 선적공법 설명을 위한 평면도이며,
도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반잠수 경사식 L형 플로팅 도크선에 스태빌라이저가 폰툰 외측의 양측에 L/5의 길이로 설치되고, 대 중량운송장치가 활용된 해상 부유식 풍력발전구조물을 선적 후 진수 수심까지 이동한 단면도 이고,
도3a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반잠수 경사식 L형 플로팅 도크선에 스태빌라이저가 폰툰 외측의 한쪽에 폰툰 길이의 L/2에 걸쳐 설치되고, 대중량 운송장치가 활용된 해상 부유식 풍력발전구조물을 선적 후 진수 수심까지 이동한 단면도이며,
도3b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반잠수 경사식 L형 플로팅 도크선에 스태빌라이저가 폰툰 외측의 한쪽에 폰툰 길이의 L/2에 걸쳐 설치되고, 스키드레일과 액티브 슈가 활용된 해상 부유식 풍력발전구조물을 선적 후 진수 수심까지 이동한 단면도 이고,
도4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반잠수 경사식 L형 플로팅 도크선에 스태빌라이저가 폰툰 외측의 양측에 L/5의 길이로 설치되고, 대중량 운송장치가 활용된 해상 부유식 풍력발전구조물을 잠수시켜 L형 플로팅 도크 스태빌라이저 반대편 서서히 경사를 주는 단면도이며,
도4a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반잠수 경사식 L형 플로팅 도크선에 스태빌라이저가 폰툰 외측의 한쪽에 폰툰 길이의 L/2에 걸쳐 설치되고, 대중량 운송장치가 활용된 해상 부유식 풍력발전구조물을 잠수시켜 L형 플로팅 도크 스태빌라이저 반대편 서서히 경사를 주는 단면도이고,
도4b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반잠수 경사식 L형 플로팅 도크선에 스태빌라이저가 폰툰 외측의 한쪽에 폰툰 길이의 L/2에 걸쳐 설치되고, 스키드레일과 액티브 슈가 활용된 해상 부유식 풍력발전구조물을 잠수시켜 L형 플로팅 도크 스태빌라이저 반대편 서서히 경사를 주는 단면도이며,
도5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반잠수 경사식 L형 플로팅 도크선에 스태빌라이저가 폰툰 외측의 양측에 L/5의 길이로 설치되고, 대중량 운송장치가 활용된 부유식 풍력발전구조물을 잠수시켜 L형 플로팅 도크 스태빌라이저 반대편에 대하여 경사 2 내지 4°를 주고 L형 플로팅 도크 스태빌라이저쪽 지지대 상부와 해상 부유식 풍력발전구조물 하부와 여유간격이 1 m 발생시 터그보트를 사용하여 서서히 반잠수 경사식 L형 플로팅 도크선 벗어나는 단면도이고,
도5a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반잠수 경사식 L형 플로팅 도크선에 스태빌라이저가 폰툰 외측의 한쪽에 폰툰 길이의 L/2에 걸쳐 설치되고, 각각 대중량 운송장치가 활용된 부유식 풍력발전구조물을 잠수시켜 L형 플로팅 도크 스태빌라이저 반대편에 대하여 경사 2 내지 4°를 주고 L형 플로팅 도크 스태빌라이저쪽 지지대 상부와 해상 부유식 풍력발전구조물 하부와 여유간격이 1 m 발생시 터그보트를 사용하여 서서히 반잠수 경사식 L형 플로팅 도크선 벗어나는 단면도이며,
도5b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반잠수 경사식 L형 플로팅 도크선에 스태빌라이저가 폰툰 외측의 한쪽에 폰툰 길이의 L/2에 걸쳐 설치되고, 스키드레일과 액티브 슈가 활용된 부유식 풍력발전구조물을 잠수시켜 L형 플로팅 도크 스태빌라이저 반대편에 대하여 경사 2 내지 4°를 주고 L형 플로팅 도크 스태빌라이저쪽 액티브 슈 상부와 해상 부유식 풍력발전구조물 하부와 여유간격이 1 m 발생시 터그보트를 사용하여 서서히 반잠수 경사식 L형 플로팅 도크선 벗어나는 단면도이고,
도6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반잠수 경사식 L형 플로팅 도크선에 스태빌라이저가 폰툰 외측의 양측에 L/5의 길이로 설치되고, 대중량 운송장치가 활용된 해상 부유식 풍력발전구조물을 잠수시킨 상태에서 L형 플로팅 도크 스태빌라이저 반대편에 대하여 경사 2 내지 4°를 유지하고 터그보트를 사용하여 서서히 반잠수 경사식 L형 플로팅 도크선 50 % 이상 벗어나는 단면도 이며,
도6a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반잠수 경사식 L형 플로팅 도크선에 스태빌라이저가 폰툰 외측의 한쪽에 폰툰 길이의 L/2에 걸쳐 설치되고, 대중량 운송장치가 활용된 해상 부유식 풍력발전구조물을 잠수시킨 상태에서 L형 플로팅 도크 스태빌라이저 반대편에 대하여 경사 2 내지 4°를 유지하고 터그보트를 사용하여 서서히 반잠수 경사식 L형 플로팅 도크선 50 % 이상 벗어나는 단면도 이고,
도6b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반잠수 경사식 L형 플로팅 도크선에 스태빌라이저가 폰툰 외측의 한쪽에 폰툰 길이의 L/2에 걸쳐 설치되고, 스키드레일과 액티브 슈가 활용된 해상 부유식 풍력발전구조물을 잠수시킨 상태에서 L형 플로팅 도크 스태빌라이저 반대편에 대하여 경사 2 내지 4°를 유지하고 터그보트를 사용하여 서서히 반잠수 경사식 L형 플로팅 도크선 50 % 이상 벗어나는 단면도 이며,
도7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반잠수 경사식 L형 플로팅 도크선에 스태빌라이저가 폰툰 외측의 양측에 L/5의 길이로 설치되고, 대중량 운송장치가 활용된 해상 부유식 풍력발전구조물을 잠수시킨 상태에서 L형 플로팅 도크 스태빌라이저 반대편에 대하여 경사 2 내지 4°를 유지하고 터그보트를 사용하여 서서히 반잠수 경사식 L형 플로팅 도크선 완전히 벗어나는 단면도 이고,
도7a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반잠수 경사식 L형 플로팅 도크선에 스태빌라이저가 폰툰 외측의 한쪽에 폰툰 길이의 L/2에 걸쳐 설치되고, 대중량 운송장치가 활용된 해상 부유식 풍력발전구조물을 잠수시킨 상태에서 L형 플로팅 도크 스태빌라이저 반대편에 대하여 경사 2 내지 4°를 유지하고 터그보트를 사용하여 서서히 반잠수 경사식 L형 플로팅 도크선 완전히 벗어나는 단면도이며,
도7b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반잠수 경사식 L형 플로팅 도크선에 스태빌라이저가 폰툰 외측의 한쪽에 폰툰 길이의 L/2에 걸쳐 설치되고, 스키드레일과 액티브 슈가 활용된 해상 부유식 풍력발전구조물을 잠수시킨 상태에서 L형 플로팅 도크 스태빌라이저 반대편에 대하여 경사 2 내지 4°를 유지하고 터그보트를 사용하여 서서히 반잠수 경사식 L형 플로팅 도크선 완전히 벗어나는 단면도 이고,
도8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반잠수 경사식 L형 플로팅 도크선에 스태빌라이저가 폰툰 외측의 양측에 L/5의 길이로 설치되고, 대중량 운송장치가 활용된 해상 부유식 풍력발전구조물을 잠수 상태에서 완전히 벗어난 상태에서 발라스팅 압축기를 사용하여 압축공기 배관 및 조정 밸브를 사용하여 횡종격벽에 압력을 가하여 해수가 들어 있는 물을 디 발라스팅하여 해수면 이상으로 들어나게하여 수평으로 유지하고, 해수에 띄운 해상 부유식 풍력발전 구조물을 설치 장소로 터그보트를 활용하여 운송하는 단면도이며,
도8a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반잠수 경사식 L형 플로팅 도크선에 스태빌라이저가 폰툰 외측의 한쪽에 폰툰 길이의 L/2에 걸쳐 설치되고, 대중량 운송장치가 활용된 해상 부유식 풍력발전구조물을 잠수 상태에서 완전히 벗어난 상태에서 발라스팅 압축기를 사용하여 압축공기 배관 및 조정 밸브를 사용하여 횡종격벽에 압력을 가하여 해수가 들어 있는 물을 디 발라스팅하여 해수면 이상으로 들어나게하여 수평으로 유지하고, 해수에 띄운 해상 부유식 풍력발전 구조물을 설치 장소로 터그보트를 활용하여 운송하는 단면도이고,
도8b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반잠수 경사식 L형 플로팅 도크선에 스태빌라이저가 폰툰 외측의 한쪽에 폰툰 길이의 L/2에 걸쳐 설치되고, 스키드레일과 액티브 슈가 활용된 해상 부유식 풍력발전구조물을 잠수 상태에서 완전히 벗어난 상태에서 발라스팅 압축기를 사용하여 압축공기 배관 및 조정 밸브를 사용하여 횡종격벽에 압력을 가하여 해수가 들어 있는 물을 디 발라스팅하여 해수면 이상으로 들어나게하여 수평으로 유지하고, 해수에 띄운 해상 부유식 풍력발전 구조물을 설치 장소로 터그보트를 활용하여 운송하는 단면도이며,
도9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반잠수 경사식 L형 플로팅 도크선에 스태빌라이저가 폰툰 외측의 양측에 L/5의 길이로 설치되고, 대중량 운송장치가 활용된 다음 해상 부유식 풍력발전의 선적을 위해 육상안벽에 접안하는 단면도이고,
도9a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반잠수 경사식 L형 플로팅 도크선에 스태빌라이저가 폰툰 외측의 한쪽에 폰툰 길이의 L/2에 걸쳐 설치되고, 대중량 운송장치가 활용된 다음 해상 부유식 풍력발전의 선적을 위해 육상안벽에 접안하는 단면도이며,
도9b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반잠수 경사식 L형 플로팅 도크선에 스태빌라이저가 폰툰 외측의 한쪽에 폰툰 길이의 L/2에 걸쳐 설치되고, 스키드레일과 액티브 슈가 활용된 다음 해상 부유식 풍력발전의 선적을 위해 육상안벽에 접안하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선적과 적재는 같은 의미이고 문맥에 적합하게 선택적으로 기재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된 모든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반잠수 경사식 L형 플로팅 도크선을 사용한 해상 부유식 풍력발전 구조물의 해상 선적 시스템 및 진수공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반잠수 경사식 L형 플로팅 도크선(100)을 사용한 해상 부유식 풍력발전 구조물의 해상 선적 시스템은 육상안벽에 접안하고 해상부유식풍력발전구조물을 화물로 적재한다.
반잠수 경사식 L형 플로팅 도크선(100)은 폰툰(100-1)과 L형플로팅도크스태빌라이저(101)와 횡방향 발라스팅격벽(107)과 종방향 발라스팅격벽(108)과 씨체스트(105)와 발라스팅하우스(102)와 발라스팅공기압축기(103)와 매스 콘크리트(109)와 발라스팅압축공기배관및조정밸브(104)와 발라스팅배출공기배관및조정밸브(106)를 포함한다.
폰툰(100-1)은 전체적으로 직사각형상을 하며 내부에 구분된 다수의 발라스팅 탱크를 구비하고 해상에 부유하며 무게 중심이 아래 방향에 위치하여 부유의 안정성 있고 평편한 상면에 화물을 적재 고정한다. 폰툰(100-1)은 무동력이며, 발라스팅 탱크의 발라스팅 동작에 의하여 반잠수 또는 부상한다.
L형플로팅도크스태빌라이저(101)는 폰툰(100-1)에 고정 설치되고 전체적으로 육면체 형상을 한다.
L형플로팅도크스태빌라이저(101)는 폰툰(100-1) 길이의 1/5 길이로 이루어지고 전체적으로 육면체 형상을 하며 폰툰(100-1)의 일측 양단에 각각 고정 설치되는 구성이다.
또한, L형플로팅도크스태빌라이저(101)는 폰툰(100-1) 길이의 1/2 길이에 걸쳐 분리된 2 개가 길이 방향의 끝단에 각각 설치되고 각각은 전체적으로 육면체 형상을 하며 폰툰(100-1)의 양측 일단에 각각 고정 설치되는 구성이다.
횡방향 발라스팅격벽(107)은 폰툰(100-1)의 내부에 길이방향을 전면으로 하는 횡방향으로 설치되어 구분된 다수의 발라스팅 탱크를 조성한다.
종방향 발라스팅격벽(108)은 폰툰(100-1)의 내부에 길이방향을 전면으로 하는 종방향으로 설치되어 구분된 다수의 발라스팅 탱크를 조성한다.
씨체스트(105)는 폰툰(100-1)에 구비된 다수의 발라스팅 탱크 바닥에 각각 설치되고 해당 제어신호에 의하여 해수를 유입하거나 유출한다.
발라스팅하우스(102)는 L형플로팅도크스태빌라이저(101)의 선택된 어느 한쪽 상부에 설치되는 상자 형상을 한다.
발라스팅공기압축기(103)는 발라스팅하우스(102)의 내부 일측에 고정 설치되고 해당 제어신호에 의하여 압축공기를 생성하고 공급한다.
매스 콘크리트(109)는 폰툰(100-1) 내부에 구비된 다수 발라스팅 탱크 각각의 바닥에 평균 0.5 m 두께로 균일하게 타설되어 폰툰(100-1)의 무게 중심을 아래 방향에 위치시켜 부유의 안정성을 확보한다.
발라스팅압축공기배관및조정밸브(104)는 발라스팅 탱크의 각각에 설치되고 발라스팅공기압축기(103)에서 생성된 압축공기를 해당 제어신호에 의하여 선택적으로 각각 유입한다.
발라스팅배출공기배관및조정밸브(106)는 발라스팅 탱크의 각각에 설치되고 발라스팅 탱크에 유입된 압축공기를 해당 제어신호에 의하여 선택적으로 각각 배출한다.
한편, 펜더(53)는 반잠수 경사식 L형 플로팅 도크선(100)의 폰툰(100-1) 외측면 또는 육상안벽의 일부분에 고정 설치되어 반잠수 경사식 L형 플로팅 도크선(100)이 육상안벽의 일부분에 접안하여 발생하는 충격을 완화시킨다.
링크 플레이트(55)는 펜더(53)의 상측부에 설치되고 폰툰(100-1)의 상면과 육상안벽의 상면을 평편하게 연결한다.
대중량운송장치(57)는 해상부유식하부구조(1)의 하단에 설치되고 해당 제어신호에 의하여 해상부유식풍력발전구조물을 육상안벽으로부터 육상안벽에 접안된 반잠수경사식L형플로팅도크선(100)의 폰툰(100-1) 상면으로 이동시킨다.
지지대(56)는 폰툰(100-1) 상면의 일부분에 구비되고 해상부유식풍력발전구조물이 대중량운송장치(57)에 의하여 폰툰(100-1) 상면으로 이동된 상태에서 해상부유식풍력발전구조물이 안착 상태로 올려지고 고정상태로 지지 설치된다.
패데스탈 크레인(110)은 L형플로팅도크스태빌라이저(101) 2 개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상부에 페데스탈 방식으로 설치되고 해당 제어신호에 의하여 운용되어 무거운 하중의 물건을 선적 또는 하역을 용이하게 한다.
페데스탈 크레인 스포트(111)는 L형플로팅도크스태빌라이저(101)의 상측면에 설치되고 패데스탈 크레인(110)의 붐을 안정시키는 구성이다.
스키드레일(51)은 육상안벽의 상면과 폰툰(100-1)의 상면에 균일한 간격으로 평행하게 각각 설치된다.
링크빔(52)은 육상안벽의 스키드레일(51)과 폰툰(100-1)의 스키드레일(51)을 각각 수평상태로 연결한다.
액티브슈(50)는 해상부유식하부구조(1)의 하단에 하나 이상 다수가 설치되고 해당 제어신호에 의하여 해상부유식풍력발전구조물을 스키드레인(51)과 링크빔(52)을 따라 폰툰(100-1)의 상면으로 이동시키는 구성이다.
하이드로잭은 액티브슈(50)의 내부에 구비되고 해상부유식풍력발전구조물이 폰툰(100-1)의 상면으로 이동된 상태에서 해상부유식풍력발전구조물을 액티브슈(50)로부터 분리시켜 지지대(56)에 안착시키는 구성이다.
계류라인(60)은 반잠수 경사식 L형 플로팅 도크선(100)의 4 모서리 부분에 일측 끝단이 각각 연결되어 고정 설치되고 타측 끝단은 육상안벽의 일부분에 각각 연결되어 고정 설치되는 다수로 이루어진다.
해상부유식풍력발전구조물은 해상부유식하부구조(1)와 해상부유식상부타워및터빈(2)으로 이루어진다.
해상부유식하부구조(1)는 평편한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부력을 발생하는 폰툰(pontoon)과 폰툰(pontoon)의 외곽부분에 2 개 이상 다수가 수직으로 설치되는 아우터컬럼(outer column)과 폰툰(pontoon)의 중심부분에 1 개가 수직으로 설치되는 센터컬럼(center column)과 아우터컬럼(outer column) 및 센터컬럼(center column)의 상측면을 평편하게 연결하는 데크(deck)를 포함하는 구성이다.
해상부유식상부타워및터빈(2)은 해상부유식하부구조(1)의 중심부분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상부타워(B)와 상부타워(B)의 상단 끝 부분에 설치되고 프로펠러와 발전기를 포함하는 발전부(A)로 이루어진다.
이하, 첨부된 모든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반잠수 경사식 L형 플로팅 도크선을 사용한 해상 부유식 풍력발전 구조물의 해상 선적 시스템 진수공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육상안벽에 접안하고 해상부유식풍력발전구조물을 화물로 선적하는 반잠수 경사식 L형 플로팅 도크선을 사용한 해상 부유식 발전 구조물의 해상 선적 시스템 진수공법은 제조단계와 계류단계와 발라스팅 단계와 이동선적단계와 복귀단계와 복귀단계를 포함하는 구성이다.
제조단계는 육상안벽에서 다수의 해상부유식풍력발전구조물을 제조한다.
해상부유식풍력발전구조물에는 화력발전구조물, 석유시추구조물 등과 같이 일반적으로 알 수 있는 해상우뷰식 구조물이 모두 포함된다.
계류단계는 반잠수 경사식 L형 플로팅 도크선을 펜더 게재에 의하여 육상안벽의 지정된 위치에 접안시키고 계류라인으로 고정 시킨다.
발라스팅 단계는 육상안벽에 펜더 게재에 의하여 접안한 반잠수 경사식 L형 플로팅 도크선의 평면을 발라스팅에 의하여 육상안벽의 상부 평면과 수평하게 유지되도록 해당 제어신호에 의하여 자동으로 조절 또는 설정된다.
이동선적단계는 해상부유식풍력발전구조물을 육상안벽으로부터 반잠수 경사식 L형 플로팅 도크선의 폰툰 상면으로 이동수단을 사용하여 이동시키므로 선적한다.
복귀단계는 이동단계의 이동수단을 반잠수 경사식 L형 플로팅 도크선으로부터 육상안벽으로 복귀시킨다.
이동수단에는 대중량운송장치와 액티브슈 등이 포함되고 일반적으로 알 수 있는 화물이동수단이 모두 포함된다.
진수설치단계는 반잠수 경사식 L형 플로팅 도크선을 해상의 지정 위치로 예인하고 선적된 해상부유식풍력발전구조물을 해상에 진수시켜 설치한다.
도 1은 반잠수 경사식 L형 플로팅 도크선(100)이며, L형 플로팅 도크 스태빌라이저(101)가 폰툰(100-1)의 길이에 대하여 각 L/5 이내로 하여 각각 폰툰(100-1) 외측 또는 일측의 양측(양단)에 각각 설치되고, 대중량 운송 장치(57)를 활용한 해상 부유식 풍력발전구조물(1, 2) 선적공법을 위한 측면도로서 육상안벽가까이서 다수의 부유식 풍력발전구조물(1, 2)을 제작하고, 반잠수 경사식 L형 플로팅 도크선(100)을 펜더(53)을 이용하여 육상안벽의 특정 위치에 접안하고, 폰툰(100-1) 내부에는 횡방향 및 종방향의 발라스팅 격벽(107, 108)을 제작 설치하고, 해수의 유입과 유출에 의한 유통을 쉽게하기 위해 씨체스트(Sea Chest)(105)를 각 탱크의 바닥에 설치하고, L형 플로팅 도크 스태빌라이저(101)를 폰툰(100-1) 외측(일측)의 양단에 각각 설치하고, 발라스팅 하우스(102)는 L형 플로팅 도크 스태빌라이저(101) 상부 한쪽으로 배치하며, 내부에는 발라스팅 공기 압축기(103)을 설치하고, 폰툰(100-1) 바닥에는 0.5 m 두께 내외의 매스 콘크리트(109)를 타설하여 무게 중심을 아래에 놓고 KG값(폰툰 바닥에서 무게중심까지의 거리)을 최소화 하여 안정성을 확보하며, 발라스팅 압축공기 배관 및 조정 밸브(104)와 발라스팅 배출공기 배관 및 조정 밸브(106)를 각 발라스팅 탱크 내부에 설치하고, 횡방향 및 종방향의 발라스팅 격벽(107, 108)에 해수를 채우는 발라스팅인 경우 발라스팅 배출공기 배관 및 조정 밸브(106)를 개방하여 Sea Chest(105)로부터 해수가 들어와 발라스팅을 하고, 동시에 발라스팅 압축공기 배관 및 조정 밸브(104)는 닫는다.
그리고 횡방향 및 종방향의 발라스팅 격벽(107, 108)에 해수로 채워진 물을 외부로 디 발라스팅할 경우, 발라스팅 공기 압축기(103)에서 공기를 압축하여 횡방향 및 종방향의 발라스팅 격벽(107, 108)에 압축공기를 발라스팅 압축공기 배관 및 조정 밸브(104)를 개방 조정하면서 내부 해수는 Sea Chest(105)거처 외부로 보내어지며, 동시에 발라스팅 배출공기 배관 및 조정 밸브(106)를 닫는다.
이러한 발라스팅 및 디 발라스팅 시스템을 이용하여 육상안벽 상부와 폰툰(100-1)상부와 수평되게 하며, 그 이후 링크 플레이트(55)를 설치하여 대중량 운송장치(57)의 이동에 문제없도록 하고, 육상에 정치되어 있는 해상 부유식 풍력발전구조물(1, 2)을 대중량 운송장치(57)에 실어 서서히 반잠수 경사식 L형 플로팅 도크선(100) 위로 올라가고(선적하고), 폰툰(100-1)에 추가 하중이 증가됨에 따라 발라스팅 압축공기 배관 및 조정 밸브(104) 및 발라스팅 배출공기 배관 및 조정 밸브(106)를 사용하여 이동 하중이 변화함에 따라 이를 오토(auto. 자동) 작동시켜 지속적으로 육상안벽 상부와 폰툰(100-1)상부와 평면이 일치되는 수평상태를 유지한다.
해상 부유식 풍력발전구조물(1, 2)이 폰툰(100-1)의 정 위치에 도달하며 지지대(56)에 올려 놓고, 대중량 운송장치(57)의 높이를 조절한 이후 육상안벽으로 재이동 또는 복귀하는 단계이다.
도1a는 반잠수 경사식 L형 플로팅 도크선(100)이며, L형 플로팅 도크 스태빌라이저(101)의 총 길이를 폰툰(100-1) 양측의 한쪽단(일단)에 폰툰(100-1) 길이의 L/2에 걸쳐 분리된 2 개가 각각 설치되고, 대중량 운송장치(57)를 활용한 해상 부유식 풍력발전구조물(1,2) 선적공법을 위한 측면도로서 필요시 장비 운영을 위해 L형 플로팅 도크 스태빌라이저(101) 상부에 패데스탈 크레인(110), 패데스탈 크레인(110) 붐의 안정을 위한 페데스탈 크레인 스포트(111)가 설치되고, 육상안벽 가까이서 다수의 부유식 풍력발전구조물(1, 2)을 제작하고, 반잠수 경사식 L형 플로팅 도크선(100)을 펜더(53)을 이용하여 안벽에 접안하고, 폰툰(100-1) 내부에는 횡방향 및 종방향의 발라스팅 격벽(107, 108)을 제작 설치하고, 해수의 유통을 쉽게 하기위해 Sea Chest(105)를 각 탱크의 바닥에 설치하고, L형 플로팅 도크 스태빌라이저(101)를 폰툰(100-1) 양 옆에 설치하고, 발라스팅 하우스(102)는 L형 플로팅 도크 스태빌라이저(101) 상부 한쪽으로 배치하며, 내부에는 발라스팅 공기 압축기(103)을 설치하고, 폰툰(100-1) 바닥에는 0.5 m 두께 내외의 매스 콘크리트(109)를 타설하고 무게 중심을 아래에 놓고 KG값(폰툰 바닥에서 무게중심까지의 거리)을 최소화 하여 안정성을 확보하며, 발라스팅 압축공기 배관 및 조정 밸브(104)와 발라스팅 배출공기 배관 및 조정 밸브(106)를 각 발라스팅 탱크 내부에 설치하고, 횡방향 및 종방향의 발라스팅 격벽(107, 108)에 해수를 채우는 발라스팅인 경우 발라스팅 배출공기 배관 및 조정 밸브(106)를 개방하여 Sea Chest(105)로부터 해수가 들어와 발라스팅을 하고, 동시에 발라스팅 압축공기 배관 및 조정 밸브(104)는 닫는다.
그리고 횡방향 및 종방향의 발라스팅 격벽(107, 108)에 해수로 채워진 물을 외부로 디 발라스팅할 경우, 발라스팅 공기 압축기(103)에서 공기를 압축하여 횡방향 및 종방향의 발라스팅 격벽(107, 108)에 압축공기를 발라스팅 압축공기 배관 및 조정 밸브(104)를 개방 조정하면서 내부 해수는 Sea Chest(105)거처 외부로 보내어지며, 동시에 발라스팅 배출공기 배관 및 조정 밸브(106)를 닫는다.
이러한 발라스팅 및 디 발라스팅 시스템을 이용하여 육상안벽 상부와 폰툰(100-1)상부와 수평되게 하며, 그 이후 링크 플레이트(55)를 설치하여 대중량 운송장치(57)의 이동에 문제없도록 하고, 육상에 정치되어 있는 해상 부유식 풍력발전구조물(1, 2)을 대중량 운송장치(57)에 실어 서서히 반잠수 경사식 L형 플로팅 도크선(100) 위로 올라가고, 폰툰(100-1)에 추가 하중이 증가됨에 따라 발라스팅 압축공기 배관 및 조정 밸브(104) 및 발라스팅 배출공기 배관 및 조정 밸브(106)를 사용하여 이동 하중이 변화함에 따라 이를 오토 작동시켜 지속적으로 육상안벽 상부와 폰툰(100-1)상부와 지속적으로 수평이 유지되게 조절 또는 제어한다.
해상 부유식 풍력발전구조물(1, 2)이 폰툰(100-1)의 정 위치에 도달하며 지지대(56)에 안착상태로 올려 놓고, 대중량 운송장치(57)의 높이를 조절한 이후 육상안벽으로 재이동 또는 복귀하는 단계이다.
도1b는 반잠수 경사식 L형 플로팅 도크선(100)이며, L형 플로팅 도크 스태빌라이저(101)의 총 길이를 폰툰(100-1) 외측면의 한쪽에 폰툰(100-1) 길이의 L/2에 걸쳐 설치되고, 스키드레일(51)과 액티브 슈(50)를 활용한 해상 부유식 풍력발전구조물(1,2) 선적공법을 위한 측면도로서 필요시 장비 운영을 위해 L형 플로팅 도크 스태빌라이저(101) 상부에 패데스탈 크레인(110), 크레인 붐의 안정을 위한 페데스탈 크레인 스포트(111)가 설치되고, 육상안벽가까이에서는 다수의 부유식 풍력발전구조물(1, 2)을 제작 생산하고, 반잠수 경사식 L형 플로팅 도크선(100)을 펜더(53)을 이용하여 안벽에 접안하고, 폰툰(100-1) 내부에는 횡방향 및 종방향의 발라스팅 격벽(107, 108)을 설치하고, 해수의 유통을 쉽게하기 위해 Sea Chest(105)를 각 탱크의 바닥에 설치하고, L형 플로팅 도크 스태빌라이저(101)를 폰툰(100-1) 양 옆에 설치하고, 발라스팅 하우스(102)는 L형 플로팅 도크 스태빌라이저(101) 상부 한쪽으로 배치하며, 내부에는 발라스팅 공기 압축기(103)을 설치하고, 폰툰(100-1) 바닥에는 0.5 m 두께 내외의 매스 콘크리트(109)를 타설하고 무게 중심을 아래에 놓고 KG값(폰툰 바닥에서 무게중심까지의 거리)을 최소화 하여 안정성을 확보하며, 발라스팅 압축공기 배관 및 조정 밸브(104)와 발라스팅 배출공기 배관 및 조정 밸브(106)를 각 발라스팅 탱크 내부에 설치하고, 횡방향 및 종방향의 발라스팅 격벽(107, 108)에 해수를 채우는 발라스팅인 경우 발라스팅 배출공기 배관 및 조정 밸브(106)를 개방하여 Sea Chest(105)로부터 해수가 들어와 발라스팅을 하고, 동시에 발라스팅 압축공기 배관 및 조정 밸브(104)는 닫는다.
그리고 횡방향 및 종방향의 발라스팅 격벽(107, 108)에 해수로 채워진 물을 외부로 디 발라스팅할 경우, 발라스팅 공기 압축기(103)에서 공기를 압축하여 횡방향 및 종방향의 발라스팅 격벽(107, 108)에 압축공기를 발라스팅 압축공기 배관 및 조정 밸브(104)를 개방 조정하면서 내부 해수는 Sea Chest(105)거처 외부로 보내어지며, 동시에 발라스팅 배출공기 배관 및 조정 밸브(106)를 닫는다.
이러한 발라스팅 및 디 발라스팅 시스템을 이용하여 육상안벽 상부와 폰툰(100-1)상부와 수평되게 하며, 그 이후 링크 빔(52)과 육상 스키드레일(51) 및 폰툰(100-1) 위에 스키드레일(51)을 설치하여 액티브 슈(50)의 이동에 문제없도록 하고, 육상에 정치되어 있는 해상 부유식 풍력발전구조물(1, 2)을 액티브 슈(50)에 실어 서서히 반잠수 경사식 L형 플로팅 도크선(100) 위로 올라가고, 폰툰(100-1)에 추가 하중이 증가됨에 따라 발라스팅 압축공기 배관 및 조정 밸브(104) 및 발라스팅 배출공기 배관 및 조정 밸브(106)를 사용하여 이동 하중이 변화함에 따라 이를 오토(자동) 작동시켜 지속적으로 육상안벽 상부면과 폰툰(100-1) 상부면이 수평 상태를 유지한다.
해상 부유식 풍력발전구조물(1, 2)이 폰툰(100-1)의 정 위치에 도달하며 액티브 슈(50)의 내부에 탑재된 하이드로 잭으로 분리하여 지지대(56)에 안착시키고 액티브 슈(50)를 육상안벽으로 이동 또는 철거 또는 복귀하여 재이용하도록 하는 단계이다.
도2는 반잠수 경사식 L형 플로팅 도크선(100)이며, L형 플로팅 도크 스태빌라이저(101)가 폰툰(100-1)의 길이에 대하여 각 L/5 이내로 하여 각각 폰툰 외측면의 양측에 설치되고, 대중량 운송 장치(57)를 활용한 해상 부유식 풍력발전구조물(1,2) 선적공법을 위한 평면도로서 해상 부유식 풍력발전구조물(1,2)의 하부 형식에 따라 대중량 운송 장치(57) 배치를 하고, 또한 육상안벽과 반잠수 경사식 L형 플로팅 도크선(100)사이에 일정간격을 유지하기 위해 펜더(53)를 설치하고, 반잠수 경사식 L형 플로팅 도크선(100)을 육상안벽에 고정하기 위해 계류라인(60)으로 고정시키고, 대중량 운송장치(57)가 통과하기 위해 링크 플레이트(55)를 설치하고, 해상 부유식 풍력발전구조물(1,2)이 폰툰(100-1) 상부의 정 위치에 도달했을 경우 사전에 설치된 지지대(56)위에 대중량 운송장치(57)의 바퀴의 하이드로 잭을 사용하여 해상 부유식 풍력발전구조물(1,2)을 올려놓는다. 그리고 지지대(56)의 수량 및 위치는 해상 부유식 풍력발전구조물(1,2)의 하부 형식에 따라 선정한다. 그 이후 대중량 운송장치(57)의 높이를 조절한 이후 육상안벽으로 재이동하는 단계이다.
도2a는 반잠수 경사식 L형 플로팅 도크선(100)이며, L형 플로팅 도크 스태빌라이저(101)의 총 길이를 폰툰(100-1) 외측면의 한쪽에 폰툰(100-1) 길이의 L/2에 걸쳐 설치되고, 대중량 운송장치(57)를 활용한 해상 부유식 풍력발전구조물(1,2) 선적공법을 위한 평면도로서 필요시 장비 운영을 위해 L형 플로팅 도크 스태빌라이저(101) 상부에 패데스탈 크레인(110), 크레인 붐의 안정을 위한 페데스탈 크레인 스포트(111)가 설치되었고, 반잠수 경사식 L형 플로팅 도크선(100)을 육상안벽에 고정하기 위해 계류라인(60)으로 고정시키고, 해상 부유식 풍력발전구조물(1,2)의 하부 형식에 따라 대중량 운송 장치(57) 배치를 하여야 하고, 또한 육상안벽과 반잠수 경사식 L형 플로팅 도크선(100)사이에 일정간격을 유지하기 위해 펜더(53)를 설치하고, 대중량 운송장치(57)가 통과하기 위해 링크 플레이트(55)를 설치하고, 해상 부유식 풍력발전구조물(1,2)이 폰툰(100-1) 상부의 정 위치에 도달했을 경우 사전에 설치된 지지대(56)위에 대중량 운송장치(57)의 바퀴의 하이드로 잭을 사용하여 해상 부유식 풍력발전구조물(1,2)을 올려놓는다. 그리고 지지대(56)의 수량 및 위치는 해상 부유식 풍력발전구조물(1,2)의 하부 형식에 따라 선정한다. 그 이후 대중량 운송장치(57)의 높이를 조절한 이후 육상안벽으로 재이동 또는 복귀하는 단계이다.
도2b는 반잠수 경사식 L형 플로팅 도크선(100)이며, L형 플로팅 도크 스태빌라이저(101)의 총 길이를 폰툰(100-1) 외측면의 한쪽에 폰툰(100-1) 길이의 L/2에 걸쳐 설치되고, 스키드레일(51)과 액티브 슈(50)를 활용한 해상 부유식 풍력발전구조물(1,2) 선적공법을 위한 평면도로서 필요시 장비 운영을 위해 L형 플로팅 도크 스태빌라이저(101) 상부에 패데스탈 크레인(110), 크레인 붐의 안정을 위한 페데스탈 크레인 스포트(111)가 설치되었고, 반잠수 경사식 L형 플로팅 도크선(100)을 육상안벽에 고정하기 위해 계류라인(60)으로 고정시키고, 해상 부유식 풍력발전구조물(1,2)의 하부 형식에 따라 스키드레일(51)과 액티브 슈(50)를 배치하고, 또한, 육상안벽과 반잠수 경사식 L형 플로팅 도크선(100)사이에 일정간격을 유지하기 위해 펜더(53)를 설치하고, 액티브 슈(50)가 통과하기 위해 링크 빔(52)을 설치하고, 해상 부유식 풍력발전구조물(1,2)이 폰툰(100-1) 상부의 정 위치에 도달했을 경우 사전에 설치된 폰툰(100-1) 상부의 스키드레일(51)위에 액티브 슈(50)의 내부의 하이드로 잭을 잭 다운 한 다음 해상 부유식 풍력발전구조물(1,2)을 올려놓는다. 그리고 스키드레일(51)와 액티브 슈(50)의 수량 및 위치는 해상 부유식 풍력발전구조물(1,2)의 하부 형식에 따라 선정한다. 그 이후 해상 부유식 풍력발전구조물(1, 2)이 폰툰(100-1)의 정 위치에 도달하며 액티브 슈(50)의 내부에 탑재된 하이드로 잭을 육상안벽으로 철거하고 재이용하는 복귀단계이다.
도3은 반잠수 경사식 L형 플로팅 도크선(100)이며, L형 플로팅 도크 스태빌라이저(101)가 폰툰(100-1)의 길이에 대하여 각 L/5 이내로 하여 각각 폰툰 외측면의 양측에 설치되고, 대중량 운송장치(57)가 활용된 해상 부유식 풍력발전구조물(1, 2)을 선적 후 진수 수심까지 이동한 단면도로서 해상 부유식 풍력발전구조물(1, 2)의 진수 깊이 27.5m까지 반잠수 경사식 L형 플로팅 도크선(100)을 운항하기 위한 필요 흘수(Draft)를 맞추기 위해 발라스팅 및 디 발라스팅을 하여 흘수를 조절하여야 하며, 발라스팅을 할 경우 발라스팅 배출공기 배관 및 조정밸브(106)를 개방하고, 발라스팅 압축공기 배관 및 조정밸브(104)는 닫은 상태에서 Sea Chest(105)를 통하여 해수가 횡방향 및 종방향 발라스팅 격벽(107, 108)에 주수가 되어 흘수를 깊게 하거나, 디 발라스팅을 할 경우 발라스팅 배출공기 배관 및 조정밸브(106)를 닫고, 발라스팅 하우스(102)내의 발라스팅 공기 압축기(103)을 이용하여 압력을 공급하고 발라스팅 압축공기 배관 및 조정밸브(104)는 개방 상태에서 Sea Chest(105)를 통하여 횡.종방향 발라스팅 격벽(107, 108)이 있는 해수를 외부로 내보내어 흘수를 낮게 하여 Towing Line(59)연결하여 터그보트(58)를 이용하여 진수에 필요 깊이까지 이동하는 단계이다.
도3a는 반잠수 경사식 L형 플로팅 도크선(100)이며, L형 플로팅 도크 스태빌라이저(101)의 총 길이를 폰툰(100-1) 외측면의 한쪽에 폰툰(100-1) 길이의 L/2에 걸쳐 설치하고, 대량 운송장치(57)가 활용된 해상 부유식 풍력발전구조물(1,2)을 선적 후 진수 수심까지 이동한 단면도로서 필요시 장비 운영을 위해 L형 플로팅 도크 스태빌라이저(101) 상부에 패데스탈 크레인(110), 크레인 붐의 안정을 위한 페데스탈 크레인 스포트(111)가 설치되었고, 해상 부유식 풍력발전구조물(1, 2)의 진수 깊이 27.5 m 까지 반잠수 경사식 L형 플로팅 도크선(100)을 운항하기 위한 필요 흘수(Draft)를 맞추기 위해 발라스팅 및 디 발라스팅을 하여 흘수를 조절하여야 하며, 발라스팅을 할 경우 발라스팅 배출공기 배관 및 조정밸브(106)를 개방하고, 발라스팅 압축공기 배관 및 조정밸브(104)는 닫은 상태에서 Sea Chest(105)를 통하여 해수가 횡방향 및 종방향 발라스팅 격벽(107, 108)에 주수가 되어 흘수를 깊게 하거나, 디 발라스팅을 할 경우 발라스팅 배출공기 배관 및 조정밸브(106)를 닫고, 발라스팅 하우스(102)내의 발라스팅 공기 압축기(103)을 이용하여 압력을 공급하고 발라스팅 압축공기 배관 및 조정밸브(104)는 개방 상태에서 Sea Chest(105)를 통하여 횡종방향 발라스팅 격벽(107, 108)이 있는 해수를 외부로 내보내어 흘수를 낮게 하여 Towing Line(59)연결하여 터그보트(58)를 이용하여 진수에 필요 깊이까지 이동하는 단계이다.
도3b 반잠수 경사식 L형 플로팅 도크선(100)이며, L형 플로팅 도크 스태빌라이저(101)의 총 길이를 폰툰(100-1) 외측면의 한쪽에 폰툰(100-1) 길이의 L/2에 걸쳐 설치되고, 스키드레일(51)과 액티브 슈(50)가 활용된 해상 부유식 풍력발전구조물(1,2)을 선적 후 진수 수심까지 이동한 단면도로서 필요시 장비 운영을 위해 L형 플로팅 도크 스태빌라이저(101) 상부에 패데스탈 크레인(110), 크레인 붐의 안정을 위한 페데스탈 크레인 스포트(111)가 설치되었고, 해상 부유식 풍력발전구조물(1, 2)의 진수 깊이 27.5 m 까지 반잠수 경사식 L형 플로팅 도크선(100)을 운항하기 위한 필요 흘수(Draft)를 맞추기 위해 발라스팅 및 디 발라스팅을 하여 흘수를 조절하여야 하며, 발라스팅을 할 경우 발라스팅 배출공기 배관 및 조정밸브(106)를 개방하고, 발라스팅 압축공기 배관 및 조정밸브(104)는 닫은 상태에서 Sea Chest(105)를 통하여 해수가 횡방향 및 종방향 발라스팅 격벽(107, 108)에 주수가 되어 흘수를 깊게 하거나, 디 발라스팅을 할 경우 발라스팅 배출공기 배관 및 조정밸브(106)를 닫고, 발라스팅 하우스(102)내의 발라스팅 공기 압축기(103)을 이용하여 압력을 공급하고 발라스팅 압축공기 배관 및 조정밸브(104)는 개방 상태에서 Sea Chest(105)를 통하여 횡종방향 발라스팅 격벽(107, 108)이 있는 해수를 외부로 내보내어 흘수를 낮게 하여 Towing Line(59)연결하여 터그보트(58)를 이용하여 진수에 필요 깊이까지 Wet towing 방식으로 이동하는 단계이다.
도4는 반잠수 경사식 L형 플로팅 도크선(100)이며, L형 플로팅 도크 스태빌라이저(101)가 폰툰(100-1)의 길이에 대하여 각 L/5 이내로 하여 각각 폰툰 외측면의 양측에 설치되고, 대중량 운송장치(57)가 활용된 해상 부유식 풍력발전구조물(1,2)을 잠수시켜 L형 플로팅 도크 스태빌라이저(101) 반대편 서서히 경사를 주는 단면도로서 해상 부유식 풍력발전구조물(1,2)이 부유 상태까지 발라스팅을 하고, Towing Line(59)연결하여 터그보트(58)를 사용하여 L형 플로팅 도크 스태빌라이저(101)에 충돌하지 않도록 하고, 발라스팅 배출공기 배관 및 조정밸브(106)를 개방하고, 발라스팅 압축공기 배관 및 조정밸브(104)는 닫은 상태에서 Sea Chest(105)를 통하여 해수가 횡방향 및 종방향 발라스팅 격벽(107, 108)에 주수가 되어 흘수를 깊게 하여야 하고, 폰툰(100-1) 상부에 있는 지지대(56)의 상부와 해상 부유식 풍력발전구조물(1,2)의 하부와 완전히 분리되어 약 1 m 정도 여유분이 발생하며, 경사를 L형 플로팅 도크 스태빌라이저(101)의 반대편으로 만들기 위해 L형 플로팅 도크 스태빌라이저(101)의 반대편의 횡방향 및 종방향 발라스팅 격벽(107, 108)에 주수를 하여야 하고, 이경우 발라스팅 배출공기 배관 및 조정밸브(106)를 개방하고, 발라스팅 압축공기 배관 및 조정밸브(104)는 닫은 상태에서 Sea Chest(105)를 통하여 해수가 주수가 되므로 흘수를 서서히 깊게 하여 경사를 만드는 단계이다.
도4a는 반잠수 경사식 L형 플로팅 도크선(100)이며, L형 플로팅 도크 스태빌라이저(101)의 총 길이를 폰툰(100-1) 외측면의 한쪽에 폰툰(100-1) 길이의 L/2에 걸쳐 설치되고, 대중량 운송장치(57)가 활용된 해상 부유식 풍력발전구조물(1,2)을 잠수시켜 L형 플로팅 도크 스태빌라이저(101) 반대편 서서히 경사를 주는 단면도로서 필요시 장비 운영을 위해 L형 플로팅 도크 스태빌라이저(101) 상부에 패데스탈 크레인(110), 크레인 붐의 안정을 위한 페데스탈 크레인 스포트(111)가 설치되었고, 해상 부유식 풍력발전구조물(1,2)이 부유 상태까지 발라스팅을 하고, Towing Line(59)연결하여 터그보트(58)를 사용하여 L형 플로팅 도크 스태빌라이저(101)에 충돌하지 않도록 하고, 이경우 발라스팅 배출공기 배관 및 조정밸브(106)를 개방하고, 발라스팅 압축공기 배관 및 조정밸브(104)는 닫은 상태에서 Sea Chest(105)를 통하여 해수가 횡방향 및 종방향 발라스팅 격벽(107, 108)에 주수가 되어 흘수를 깊게 하여야 하고, 폰툰(100-1) 상부에 있는 지지대(56)의 상부와 해상 부유식 풍력발전구조물(1,2)의 하부와 완전히 분리되어 약 1 m 정도 여유분이 발생하며, 경사를 L형 플로팅 도크 스태빌라이저(101)의 반대편으로 만들기 위해 L형 플로팅 도크 스태빌라이저(101)의 반대편의 횡방향 및 종방향 발라스팅 격벽(107, 108)에 주수를 하여야 하고, 이경우 발라스팅 배출공기 배관 및 조정밸브(106)를 개방하고, 발라스팅 압축공기 배관 및 조정밸브(104)는 닫은 상태에서 Sea Chest(105)를 통하여 해수가 주수가 되므로 흘수를 서서히 깊게 하여 경사를 만드는 단계이다.
도4b 는 반잠수 경사식 L형 플로팅 도크선(100)이며, L형 플로팅 도크 스태빌라이저(101)의 총 길이를 폰툰(100-1) 외측면의 한쪽에 폰툰(100-1) 길이의 L/2에 걸쳐 설치되고, 스키드레일(51)과 액티브 슈(50)가 활용된 해상 부유식 풍력발전구조물(1,2)을 잠수시켜 L형 플로팅 도크 스태빌라이저(101) 반대편 서서히 경사를 주는 단면도로서 필요시 장비 운영을 위해 L형 플로팅 도크 스태빌라이저(101) 상부에 패데스탈 크레인(110), 크레인 붐의 안정을 위한 페데스탈 크레인 스포트(111)가 설치되었고, 해상 부유식 풍력발전구조물(1,2)이 부유 상태까지 발라스팅을 하고, Towing Line(59)연결하여 터그보트(58)를 사용하여 L형 플로팅 도크 스태빌라이저(101)에 충돌하지 않도록 하고, 발라스팅 배출공기 배관 및 조정밸브(106)를 개방하고, 발라스팅 압축공기 배관 및 조정밸브(104)는 닫은 상태에서 Sea Chest(105)를 통하여 해수가 횡방향 및 종방향 발라스팅 격벽(107, 108)에 주수가 되어 흘수를 깊게 하고, 폰툰(100-1) 상부에 있는 스키드레일(51)위의 액티브 슈(50)의 상부와 해상 부유식 풍력발전구조물(1,2)의 하부와 완전히 분리되어 약 1 m 정도 여유분이 발생하며, 경사를 L형 플로팅 도크 스태빌라이저(101)의 반대편으로 만들기 위해 L형 플로팅 도크 스태빌라이저(101)의 반대편의 횡방향 및 종방향 발라스팅 격벽(107, 108)에 주수를 하여야 하고, 이경우 발라스팅 배출공기 배관 및 조정밸브(106)를 개방하고, 발라스팅 압축공기 배관 및 조정밸브(104)는 닫은 상태에서 Sea Chest(105)를 통하여 해수가 주수가 되므로 흘수를 서서히 깊게 하여 경사를 만드는 단계이다.
도5 는 반잠수 경사식 L형 플로팅 도크선(100)이며, L형 플로팅 도크 스태빌라이저(101)가 폰툰(100-1)의 길이에 대하여 각 L/5 이내로 하여 각각 폰툰 외측면의 양측에 설치되고, 대중량 운송장치(57)가 활용된 부유식 풍력발전구조물(1,2)을 잠수시켜 L형 플로팅 도크 스태빌라이저(101) 반대편에 대하여 경사 2 내지 4°를 주고 L형 플로팅 도크 스태빌라이저(101)쪽 지지대(56) 상부와 해상 부유식 풍력발전구조물(1,2) 하부와 여유고 1 m 발생시 터그보트(58)를 사용하여 서서히 반잠수 경사식 L형 플로팅 도크선(100) 벗어나는 단면도로서 해상 부유식 풍력발전구조물(1,2)이 부유 상태까지 발라스팅을 하고, Towing Line(59)연결하여 터그보트(58)를 사용하여 L형 플로팅 도크 스태빌라이저(101)에 충돌하지 않도록 하고, 이경우 발라스팅 배출공기 배관 및 조정밸브(106)를 개방하고, 발라스팅 압축공기 배관 및 조정밸브(104)는 닫은 상태에서 Sea Chest(105)를 통하여 해수가 횡방향 및 종방향 발라스팅 격벽(107, 108)에 주수가 되어 흘수를 깊게 하여야 하고, 폰툰(100-1) 상부에 있는 지지대(56)의 상부와 해상 부유식 풍력발전구조물(1,2)의 하부와 완전히 분리되어 충분한 1 m 정도 여유분이 발생하며, 경사를 L형 플로팅 도크 스태빌라이저(101)의 반대편으로 만들기 위해 L형 플로팅 도크 스태빌라이저(101)의 반대편의 횡방향 및 종방향 발라스팅 격벽(107, 108)에 주수를 하여야 하고, 이경우 발라스팅 배출공기 배관 및 조정밸브(106)를 개방하고, 발라스팅 압축공기 배관 및 조정밸브(104)는 닫은 상태에서 Sea Chest(105)를 통하여 해수가 주수가 되므로 흘수를 서서히 깊게 하여 경사를 2 내지 4°로 만들고, 터그보트(58)를 이용하여 해상 부유식 풍력발전구조물(1,2)과 반잠수 경사식 L형 플로팅 도크선(100)을 분리하는 단계이다.
도5a는 반잠수 경사식 L형 플로팅 도크선(100)이며, L형 플로팅 도크 스태빌라이저(101)의 총 길이를 폰툰(100-1) 외측면의 한쪽에 폰툰(100-1) 길이의 L/2에 걸쳐 설치되고, 각각 대중량 운송장치(57)가 활용된 부유식 풍력발전구조물(1,2)을 잠수시켜 L형 플로팅 도크 스태빌라이저(101) 반대편에 대하여 경사 2 내지 4°를 주고 L형 플로팅 도크 스태빌라이저(101)쪽 지지대(56) 상부와 해상 부유식 풍력발전구조물(1,2) 하부와 여유고 1 m 발생시 터그보트(58)를 사용하여 서서히 반잠수 경사식 L형 플로팅 도크선(100)을 벗어나는 단면도로서 필요시 장비 운영을 위해 L형 플로팅 도크 스태빌라이저(101) 상부에 패데스탈 크레인(110), 크레인 붐의 안정을 위한 페데스탈 크레인 스포트(111)가 설치되었고, 해상 부유식 풍력발전구조물(1,2)이 부유 상태까지 발라스팅을 하고, Towing Line(59)연결하여 터그보트(58)를 사용하여 L형 플로팅 도크 스태빌라이저(101)에 충돌하지 않도록 하고, 이경우 발라스팅 배출공기 배관 및 조정밸브(106)를 개방하고, 발라스팅 압축공기 배관 및 조정밸브(104)는 닫은 상태에서 Sea Chest(105)를 통하여 해수가 횡방향 및 종방향 발라스팅 격벽(107, 108)에 주수가 되어 흘수를 깊게 하여야 하고, 폰툰(100-1) 상부에 있는 지지대(56)의 상부와 해상 부유식 풍력발전구조물(1,2)의 하부와 완전히 분리되어 충분한 1 m 정도 여유분이 발생하며, 경사를 L형 플로팅 도크 스태빌라이저(101)의 반대편으로 만들기 위해 L형 플로팅 도크 스태빌라이저(101)의 반대편의 횡방향 및 종방향 발라스팅 격벽(107, 108)에 주수를 하여야 하고, 발라스팅 배출공기 배관 및 조정밸브(106)를 개방하고, 발라스팅 압축공기 배관 및 조정밸브(104)는 닫은 상태에서 Sea Chest(105)를 통하여 해수가 주수가 되므로 흘수를 서서히 깊게 하여 경사를 2 내지 4°로 만들고, 터그보트(58)를 이용하여 해상 부유식 풍력발전구조물(1,2)과 반잠수 경사식 L형 플로팅 도크선(100)을 분리하는 단계이다.
도5b 는 반잠수 경사식 L형 플로팅 도크선(100)이며, L형 플로팅 도크 스태빌라이저(101)의 총 길이를 폰툰(100-1) 외측면의 한쪽에 폰툰(100-1) 길이의 L/2에 걸쳐 설치되고, 스키드레일(51)과 액티브 슈(50)가 활용된 부유식 풍력발전구조물(1,2)을 잠수시켜 L형 플로팅 도크 스태빌라이저(101) 반대편에 대하여 경사 2 내지 4°를 주고 L형 플로팅 도크 스태빌라이저(101)쪽 액티브 슈(50) 상부와 해상 부유식 풍력발전구조물(1, 2) 하부와 여유고 1 m 발생시 터그보트(58)를 사용하여 서서히 반잠수 경사식 L형 플로팅 도크선(100) 벗어나는 단면도로서 필요시 장비 운영을 위해 L형 플로팅 도크 스태빌라이저(101) 상부에 패데스탈 크레인(110), 크레인 붐의 안정을 위한 페데스탈 크레인 스포트(111)가 설치되었고, 해상 부유식 풍력발전구조물(1,2)이 부유 상태까지 발라스팅을 하고, Towing Line(59)연결하여 터그보트(58)를 사용하여 L형 플로팅 도크 스태빌라이저(101)에 충돌하지 않도록 하고, 이경우 발라스팅 배출공기 배관 및 조정밸브(106)를 개방하고, 발라스팅 압축공기 배관 및 조정밸브(104)는 닫은 상태에서 Sea Chest(105)를 통하여 해수가 횡방향 및 종방향 발라스팅 격벽(107, 108)에 주수가 되어 흘수를 깊게 하여야 하고, 폰툰(100-1) 상부에 있는 스키드레일(51)과 액티브 슈(50)의 상부와 해상 부유식 풍력발전구조물(1,2)의 하부와 완전히 분리되어 충분한 1 m 정도 여유분이 발생하며, 경사를 L형 플로팅 도크 스태빌라이저(101)의 반대편으로 만들기 위해 L형 플로팅 도크 스태빌라이저(101)의 반대편의 횡방향 및 종방향 발라스팅 격벽(107, 108)에 주수를 하여야 하고, 이경우 발라스팅 배출공기 배관 및 조정밸브(106)를 개방하고, 발라스팅 압축공기 배관 및 조정밸브(104)는 닫은 상태에서 Sea Chest(105)를 통하여 해수가 주수가 되므로 흘수를 서서히 깊게 하여 경사를 2 내지 4°로 만들고, 터그보트(58)를 이용하여 해상 부유식 풍력발전구조물(1,2)과 반잠수 경사식 L형 플로팅 도크선(100)을 분리하는 단계이다.
도6은 반잠수 경사식 L형 플로팅 도크선(100)이며, L형 플로팅 도크 스태빌라이저(101)가 폰툰(100-1)의 길이에 대하여 각 L/5 이내로 하여 각각 폰툰 외측면의 양측에 설치되고, 대중량 운송장치(57)가 활용된 해상 부유식 풍력발전구조물(1,2)을 잠수시킨 상태에서 L형 플로팅 도크 스태빌라이저(101) 반대편에 대하여 경사 2 내지 4°를 유지하고 터그보트(58)를 사용하여 서서히 반잠수 경사식 L형 플로팅 도크선(100) 50 % 이상 벗어나는 단면도로서 상기 도5-1에서 반잠수 경사식 L형 플로팅 도크선(100)의 경사 2 내지 4°와 흘수(Draft)를 유지한 체, 반잠수 경사식 L형 플로팅 도크선(100)와 해상 부유식 풍력발전구조물(1,2)에 각각 Towing Line(59)을 연결에 의하여 터그보트(58)를 사용하여 서서히 해상 부유식 풍력발전구조물(1,2)을 반잠수 경사식 L형 플로팅 도크선(100)을 벗어날 수 있게 작업하는 단계이다.
도6a는 반잠수 경사식 L형 플로팅 도크선(100)이며, L형 플로팅 도크 스태빌라이저(101)의 총 길이를 폰툰(100-1) 외측면의 한쪽에 폰툰(100-1) 길이의 L/2에 걸쳐 설치되고, 대중량 운송장치(57)가 활용된 해상 부유식 풍력발전구조물(1,2)을 잠수시킨 상태에서 L형 플로팅 도크 스태빌라이저(101) 반대편에 대하여 경사 2 내지 4°를 유지하고 터그보트(58)를 사용하여 서서히 반잠수 경사식 L형 플로팅 도크선(100) 50 % 이상 벗어나는 단면도로서 필요시 장비 운영을 위해 L형 플로팅 도크 스태빌라이저(101) 상부에 패데스탈 크레인(110), 크레인 붐의 안정을 위한 페데스탈 크레인 스포트(111)가 설치되었고, 상기 도5-2에서 반잠수 경사식 L형 플로팅 도크선(100)의 경사 2 내지 4°와 흘수(Draft)를 유지한 체, 반잠수 경사식 L형 플로팅 도크선(100)와 해상 부유식 풍력발전구조물(1,2)에 각각 Towing Line(59)을 연결에 의하여 터그보트(58)를 사용하여 서서히 해상 부유식 풍력발전구조물(1,2)을 반잠수 경사식 L형 플로팅 도크선(100)을 벗어날 수 있게 작업하는 단계이다.
도6b는 반잠수 경사식 L형 플로팅 도크선(100)이며, L형 플로팅 도크 스태빌라이저(101)의 총 길이를 폰툰(100-1) 외측면의 한쪽에 폰툰(100-1) 길이의 L/2에 걸쳐 설치되고, 스키드레일(51)과 액티브 슈(50)가 활용된 해상 부유식 풍력발전구조물(1,2)을 잠수시킨 상태에서 L형 플로팅 도크 스태빌라이저(101) 반대편에 대하여 경사 2 내지 4°를 유지하고 터그보트(58)를 사용하여 서서히 반잠수 경사식 L형 플로팅 도크선(100) 50 % 이상 벗어나는 단면도로서 필요시 장비 운영을 위해 L형 플로팅 도크 스태빌라이저(101) 상부에 패데스탈 크레인(110), 크레인 붐의 안정을 위한 페데스탈 크레인 스포트(111)가 설치되었고, 상기 도5-3에서 반잠수 경사식 L형 플로팅 도크선(100)의 경사 2 내지 4°와 흘수(Draft)를 유지한 체, 반잠수 경사식 L형 플로팅 도크선(100)와 해상 부유식 풍력발전구조물(1,2)에 각각 Towing Line(59)을 연결에 의하여 터그보트(58)를 사용하여 서서히 해상 부유식 풍력발전구조물(1,2)을 반잠수 경사식 L형 플로팅 도크선(100)을 벗어날 수 있게 작업하는 단계이다.
도7은 반잠수 경사식 L형 플로팅 도크선(100)이며, L형 플로팅 도크 스태빌라이저(101)가 폰툰(100-1)의 길이에 대하여 각 L/5 이내로 하여 각각 폰툰 외측면의 양측에 설치되고, 대중량 운송장치(57)가 활용된 해상 부유식 풍력발전구조물(1,2)을 잠수시킨 상태에서 L형 플로팅 도크 스태빌라이저(101) 반대편에 대하여 경사 2 내지 4°를 유지하고 터그보트(58)를 사용하여 서서히 반잠수 경사식 L형 플로팅 도크선(100) 완전히 벗어나는 단면도로서 상기 도6-1에서 반잠수 경사식 L형 플로팅 도크선(100)의 경사 2 내지 4°와 흘수(Draft)를 유지한 체, 반잠수 경사식 L형 플로팅 도크선(100)와 해상 부유식 풍력발전구조물(1,2)에 각각 Towing Line(59)을 연결에 의하여 터그보트(58)를 사용하여 서서히 해상 부유식 풍력발전구조물(1,2)을 반잠수 경사식 L형 플로팅 도크선(100)을 완전히 벗어날 수 있게 작업하는 단계이다.
도7a는 반잠수 경사식 L형 플로팅 도크선(100)이며, L형 플로팅 도크 스태빌라이저(101)의 총 길이를 폰툰(100-1) 외측면의 한쪽에 폰툰(100-1) 길이의 L/2에 걸쳐 설치되고, 대중량 운송장치(57)가 활용된 해상 부유식 풍력발전구조물(1,2)을 잠수시킨 상태에서 L형 플로팅 도크 스태빌라이저(101) 반대편에 대하여 경사 2 내지 4°를 유지하고 터그보트(58)를 사용하여 서서히 반잠수 경사식 L형 플로팅 도크선(100) 완전히 벗어나는 단면도로서 필요시 장비 운영을 위해 L형 플로팅 도크 스태빌라이저(101) 상부에 패데스탈 크레인(110), 크레인 붐의 안정을 위한 페데스탈 크레인 스포트(111)가 설치되었고, 상기 도6-2에서 반잠수 경사식 L형 플로팅 도크선(100)의 경사 2 내지 4°와 흘수(Draft)를 유지한 체, 반잠수 경사식 L형 플로팅 도크선(100)와 해상 부유식 풍력발전구조물(1,2)에 각각 Towing Line(59)을 연결에 의하여 터그보트(58)를 사용하여 서서히 해상 부유식 풍력발전구조물(1,2)을 반잠수 경사식 L형 플로팅 도크선(100)을 완전히 벗어날 수 있게 작업하는 단계이다.
도7b는 반잠수 경사식 L형 플로팅 도크선(100)이며, L형 플로팅 도크 스태빌라이저(101)의 총 길이를 폰툰(100-1) 외측면의 한쪽에 폰툰(100-1) 길이의 L/2에 걸쳐 설치되고, 스키드레일(51)과 액티브 슈(50)가 활용된 해상 부유식 풍력발전구조물(1,2)을 잠수시킨 상태에서 L형 플로팅 도크 스태빌라이저(101) 반대편에 대하여 경사 2 내지 4°를 유지하고 터그보트(58)를 사용하여 서서히 반잠수 경사식 L형 플로팅 도크선(100) 완전히 벗어나는 단면도로서 필요시 장비 운영을 위해 L형 플로팅 도크 스태빌라이저(101) 상부에 패데스탈 크레인(110), 크레인 붐의 안정을 위한 페데스탈 크레인 스포트(111)가 설치되었고, 상기 도6-3에서 반잠수 경사식 L형 플로팅 도크선(100)의 경사 2 내지 4°와 흘수(Draft)를 유지한 체, 반잠수 경사식 L형 플로팅 도크선(100)와 해상 부유식 풍력발전구조물(1,2)에 각각 Towing Line(59)을 연결에 의하여 터그보트(58)를 사용하여 서서히 해상 부유식 풍력발전구조물(1,2)을 반잠수 경사식 L형 플로팅 도크선(100)을 벗어날 수 있게 작업하는 단계이다.
도8은 반잠수 경사식 L형 플로팅 도크선(100)이며, L형 플로팅 도크 스태빌라이저(101)가 폰툰(100-1)의 길이에 대하여 각 L/5 이내로 하여 각각 폰툰 외측면의 양측에 설치되고, 대중량 운송장치(57)가 활용된 해상 부유식 풍력발전구조물(1,2)을 잠수 상태에서 완전히 벗어난 상태에서 발라스팅 하우스(102)내의 발라스팅 공기 압축기(103)를 사용하여 압축공기 배관 및 조정 밸브(104)를 사용하여 횡종 발라스팅 격벽(107, 108)에 압력을 가하여 해수가 들어 있는 물을 디 발라스팅하여 폰툰(100-1)을 해수면 이상으로 들어나게 하여 수평으로 유지하고, 해수에 띄운 해상 부유식 풍력발전 구조물(1,2)을 설치 장소로 Towing Line(59)을 연결에 의하여 터그보트(58)를 활용하여 운송하는 단면도로서 또한 반잠수 경사식 L형 플로팅 도크선(100)을 반잠수 경사식 L형 플로팅 도크선(100)을 육지 안벽으로 운항하기 위한 필요 흘수(Draft)를 맞추기 위해 발라스팅 및 디 발라스팅을 하여 흘수를 조절하여야 하며, 발라스팅을 할 경우 발라스팅 배출공기 배관 및 조정밸브(106)를 개방하고, 발라스팅 압축공기 배관 및 조정밸브(104)는 닫은 상태에서 Sea Chest(105)를 통하여 해수가 횡방향 및 종방향 발라스팅 격벽(107, 108)에 주수가 되어 흘수를 깊게 하거나, 디 발라스팅을 할 경우 발라스팅 배출공기 배관 및 조정밸브(106)를 닫고, 발라스팅 하우스(102)내의 발라스팅 공기 압축기(103)을 이용하여 압력을 공급하고 발라스팅 압축공기 배관 및 조정밸브(104)는 개방 상태에서 Sea Chest(105)를 통하여 횡방향 및 종방향 발라스팅 격벽(107, 108)이 있는 해수를 외부로 내보내어 흘수를 낮게 하여 Towing Line(59)을 연결에 의하여 터그보트(58)를 이용하여 육지 안벽까지 이동하는 단계이다.
도8a는 반잠수 경사식 L형 플로팅 도크선(100)이며, L형 플로팅 도크 스태빌라이저(101)의 총 길이를 폰툰(100-1) 외측면의 한쪽에 폰툰(100-1) 길이의 L/2에 걸쳐 설치되고, 대중량 운송장치(57)가 활용된 해상 부유식 풍력발전구조물(1,2)을 잠수 상태에서 완전히 벗어난 상태에서 발라스팅 하우스(102)내의 발라스팅 공기압축기(103)를 사용하여 압축공기 배관 및 조정 밸브(104)를 사용하여 횡종 발라스팅격벽(107, 108)에 압력을 가하여 해수가 들어 있는 물을 디 발라스팅하여 해수면 이상으로 폰툰(100-1) 들어나게하여 수평으로 유지하고, 해수에 띄운 해상 부유식 풍력발전 구조물(1,2)을 설치 장소로 Towing Line(59)을 연결에 의하여 터그보트(58)를 활용하여 운송하는 단면도로서 필요시 장비 운영을 위해 L형 플로팅 도크 스태빌라이저(101) 상부에 패데스탈 크레인(110), 크레인 붐의 안정을 위한 페데스탈 크레인 스포트(111)가 설치되었고, 또한 반잠수 경사식 L형 플로팅 도크선(100)을 반잠수 경사식 L형 플로팅 도크선(100)을 육지 안벽으로 운항하기 위한 필요 흘수(Draft)를 맞추기 위해 발라스팅 및 디 발라스팅을 하여 흘수를 조절하여야 하며, 발라스팅을 할 경우 발라스팅 배출공기 배관 및 조정밸브(106)를 개방하고, 발라스팅 압축공기 배관 및 조정밸브(104)는 닫은 상태에서 Sea Chest(105)를 통하여 해수가 횡방향 및 종방향 발라스팅 격벽(107, 108)에 주수가 되어 흘수를 깊게 하거나, 디 발라스팅을 할 경우 발라스팅 배출공기 배관 및 조정밸브(106)를 닫고, 발라스팅 하우스(102)내의 발라스팅 공기 압축기(103)을 이용하여 압력을 공급하고 발라스팅 압축공기 배관 및 조정밸브(104)는 개방 상태에서 Sea Chest(105)를 통하여 횡방향 및 종방향 발라스팅 격벽(107, 108)이 있는 해수를 외부로 내보내어 흘수를 낮게 하여 Towing Line(59)을 연결에 의하여 터그보트(58)를 이용하여 육지 안벽까지 이동하는 단계이다.
도8b는 반잠수 경사식 L형 플로팅 도크선(100)이며, L형 플로팅 도크 스태빌라이저(101)의 총 길이를 폰툰(100-1) 외측면의 한쪽에 폰툰(100-1) 길이의 L/2에 걸쳐 설치되고, 스키드레일(51)과 액티브 슈(50)가 활용된 해상 부유식 풍력발전구조물(1,2)을 잠수 상태에서 완전히 벗어난 상태에서 발라스팅 하우스(102)내의 발라스팅 공기압축기(103)를 사용하여 압축공기 배관 및 조정 밸브(104)를 사용하여 횡종 발라스팅 격벽(107,108)에 압력을 가하여 해수가 들어 있는 물을 디 발라스팅하여 폰툰(100-1)을 해수면 이상으로 들어나게하여 수평으로 유지하고, 해수에 띄운 해상 부유식 풍력발전 구조물(1,2)을 설치 장소로 Towing Line(59)을 연결에 의하여 터그보트(58)를 활용하여 운송하는 단면도로서 필요시 장비 운영을 위해 L형 플로팅 도크 스태빌라이저(101) 상부에 패데스탈 크레인(110), 크레인 붐의 안정을 위한 페데스탈 크레인 스포트(111)가 설치되었고, 또한 반잠수 경사식 L형 플로팅 도크선(100)을 반잠수 경사식 L형 플로팅 도크선(100)을 육지 안벽으로 운항하기 위한 필요 흘수(Draft)를 맞추기 위해 발라스팅 및 디 발라스팅을 하여 흘수를 조절하여야 하며, 발라스팅을 할 경우 발라스팅 배출공기 배관 및 조정밸브(106)를 개방하고, 발라스팅 압축공기 배관 및 조정밸브(104)는 닫은 상태에서 Sea Chest(105)를 통하여 해수가 횡방향 및 종방향 발라스팅 격벽(107, 108)에 주수가 되어 흘수를 깊게 하거나, 디 발라스팅을 할 경우 발라스팅 배출공기 배관 및 조정밸브(106)를 닫고, 발라스팅 하우스(102)내의 발라스팅 공기 압축기(103)을 이용하여 압력을 공급하고 발라스팅 압축공기 배관 및 조정밸브(104)는 개방 상태에서 Sea Chest(105)를 통하여 횡방향 및 종방향 발라스팅 격벽(107, 108)이 있는 해수를 외부로 내보내어 흘수를 낮게 하여 Towing Line(59)을 연결에 의하여 터그보트(58)를 이용하여 육지 안벽까지 이동하는 단계이다.
도9는 반잠수 경사식 L형 플로팅 도크선(100)이며, L형 플로팅 도크 스태빌라이저(101)가 폰툰(100-1)의 길이에 대하여 각 L/5 이내로 하여 각각 폰툰 외측면의 양측에 설치되고, 대중량 운송장치(57)가 활용된 다음 해상 부유식 풍력발전 구조물(1,2)의 선적을 위해 터그보트(58)를 사용하여 육상안벽에 접안하는 단면도로서 터그보트(58)를 이용하여 육상안벽으로 접안 시킨 후, 횡방향 및 종방향의 발라스팅 격벽(107, 108)에 해수를 채우는 발라스팅인 경우 발라스팅 배출공기 배관 및 조정 밸브(106)를 개방하여 Sea Chest(105)로부터 해수가 들어와 발라스팅을 하고, 동시에 발라스팅 압축공기 배관 및 조정 밸브(104)는 닫는다.
그리고 횡방향 및 종방향의 발라스팅 격벽(107, 108)에 해수로 채워진 물을 외부로 디 발라스팅할 경우, 발라스팅 공기 압축기(103)에서 공기를 압축하여 횡방향 및 종방향의 발라스팅 격벽(107, 108)에 압축공기를 발라스팅 압축공기 배관 및 조정 밸브(104)를 개방 조정하면서 내부 해수는 Sea Chest(105)거처 외부로 보내어지며, 동시에 발라스팅 배출공기 배관 및 조정 밸브(106)를 닫는다.
이러한 발라스팅 및 디 발라스팅 시스템을 이용하여 육상안벽 상부와 폰툰(100-1)상부와 수평되게 하며, 그 이후 링크 플레이트(55)를 설치하여 대중량 운송장치(57)의 이동에 문제없도록 하고, 육상에 정치되어 있는 해상 부유식 풍력발전구조물(1, 2)을 대중량 운송장치(57)에 실어 서서히 반잠수 경사식 L형 플로팅 도크선(100) 위로 올라가고, 폰툰(100-1)에 추가 하중이 증가됨에 따라 발라스팅 압축공기 배관 및 조정 밸브(104) 및 발라스팅 배출공기 배관 및 조정 밸브(106)를 사용하여 이동 하중이 변화함에 따라 이를 오토 작동시켜 지속적으로 육상안벽 상부와 폰툰(100-1)상부와 지속적으로 수평되게 유지하고, 계류라인(60)을 플로팅 도크선(100)과 안벽에 고박하여 반잠수 경사식 L형 플로팅 도크선(100)의 수평방향 움직임을 억제하고, 다음의 해상 부유식 풍력 구조물(1,2)를 선적을 하는 단계이다.
도9a는 반잠수 경사식 L형 플로팅 도크선(100)이며, L형 플로팅 도크 스태빌라이저(101)의 총 길이를 폰툰(100-1) 외측면의 한쪽에 폰툰(100-1) 길이의 L/2에 걸쳐 설치되고, 대중량 운송장치(57)가 활용된 다음 해상 부유식 풍력발전구조물(1,2)의 선적을 위해 위해 터그보트(58)를 사용하여 육상안벽에 접안하는 단면도로서 필요시 장비 운영을 위해 L형 플로팅 도크 스태빌라이저(101) 상부에 패데스탈 크레인(110), 크레인 붐의 안정을 위한 페데스탈 크레인 스포트(111)가 설치되었고, 터그보트(58)를 이용하여 육상안벽으로 접안 시킨 후, 횡방향 및 종방향의 발라스팅 격벽(107, 108)에 해수를 채우는 발라스팅인 경우 발라스팅 배출공기 배관 및 조정 밸브(106)를 개방하여 Sea Chest(105)로부터 해수가 들어와 발라스팅을 하고, 동시에 발라스팅 압축공기 배관 및 조정 밸브(104)는 닫는다.
그리고 횡종 방향의 발라스팅 격벽(107, 108)에 해수로 채워진 물을 외부로 디 발라스팅할 경우, 발라스팅 공기 압축기(103)에서 공기를 압축하여 횡방향 및 종방향의 발라스팅 격벽(107, 108)에 압축공기를 발라스팅 압축공기 배관 및 조정 밸브(104)를 개방 조정하면서 내부 해수는 Sea Chest(105)거처 외부로 보내어지며, 동시에 발라스팅 배출공기 배관 및 조정 밸브(106)를 닫는다.
이러한 발라스팅 및 디 발라스팅 시스템을 이용하여 육상안벽 상부와 폰툰(100-1)상부와 수평되게 하며, 그 이후 링크 플레이트(55)를 설치하여 대중량 운송장치(57)의 이동에 문제없도록 하고, 육상에 정치되어 있는 해상 부유식 풍력발전구조물(1, 2)을 대중량 운송장치(57)에 실어 서서히 반잠수 경사식 L형 플로팅 도크선(100) 위로 올라가고, 폰툰(100-1)에 추가 하중이 증가됨에 따라 발라스팅 압축공기 배관 및 조정 밸브(104) 및 발라스팅 배출공기 배관 및 조정 밸브(106)를 사용하여 이동 하중이 변화함에 따라 이를 오토 작동시켜 지속적으로 육상안벽 상부와 폰툰(100-1)상부와 지속적으로 수평되게 유지하고, 계류라인(60)을 플로팅 도크선(100)과 안벽에 고박하여 반잠수 경사식 L형 플로팅 도크선(100)의 수평방향 움직임을 억제하고, 다음의 해상 부유식 풍력 구조물(1,2)를 선적을 하는 단계이다.
도9b는 반잠수 경사식 L형 플로팅 도크선(100)이며, L형 플로팅 도크 스태빌라이저(101)의 총 길이를 폰툰(100-1) 외측면의 한쪽에 폰툰(100-1) 길이의 L/2에 걸쳐 설치되고, 스키드레일(51)과 액티브 슈(50)가 활용된 다음 해상 부유식 풍력발전 구조물(1,2)의 선적을 위해 터그보트(58)를 사용하여 육상안벽에 접안하는 단면도로서 필요시 장비 운영을 위해 L형 플로팅 도크 스태빌라이저(101) 상부에 패데스탈 크레인(110), 크레인 붐의 안정을 위한 페데스탈 크레인 스포트(111)가 설치되었고, 터그보트(58)를 이용하여 육상안벽으로 접안 시킨 후, 횡방향 및 종방향의 발라스팅 격벽(107, 108)에 해수를 채우는 발라스팅인 경우 발라스팅 배출공기 배관 및 조정 밸브(106)를 개방하여 Sea Chest(105)로부터 해수가 들어와 발라스팅을 하고, 동시에 발라스팅 압축공기 배관 및 조정 밸브(104)는 닫는다.
그리고 횡방향 및 종방향의 발라스팅 격벽(107, 108)에 해수로 채워진 물을 외부로 디 발라스팅할 경우, 발라스팅 공기 압축기(103)에서 공기를 압축하여 횡방향 및 종방향의 발라스팅 격벽(107, 108)에 압축공기를 발라스팅 압축공기 배관 및 조정 밸브(104)를 개방 조정하면서 내부 해수는 Sea Chest(105)거처 외부로 보내어지며, 동시에 발라스팅 배출공기 배관 및 조정 밸브(106)를 닫는다.
이러한 발라스팅 및 디 발라스팅 시스템을 이용하여 육상안벽 상부와 폰툰(100-1)상부와 수평 되게 하며, 그 이후 폰툰(100-1)상부에 스키드레일(51)과 링크 빔(52)를 설치하여 액티브 슈(50)의 이동에 문제없도록 하고, 육상에 정치되어 있는 해상 부유식 풍력발전구조물(1, 2)을 액티브 슈(50)에 실어 서서히 반잠수 경사식 L형 플로팅 도크선(100) 위로 올라가고, 폰툰(100-1)에 추가 하중이 증가됨에 따라 발라스팅 압축공기 배관 및 조정 밸브(104) 및 발라스팅 배출공기 배관 및 조정 밸브(106)를 사용하여 이동 하중이 변화함에 따라 이를 오토 작동시켜 지속적으로 육상안벽 상부와 폰툰(100-1)상부와 지속적으로 수평되게 유지하고, 계류라인(60)을 플로팅 도크선(100)과 안벽에 고박하여 반잠수 경사식 L형 플로팅 도크선(100)의 수평방향 움직임을 억제하고, 다음의 해상 부유식 풍력 구조물(1,2)를 선적을 하는 단계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은 파랑이나 바람에 의해 해상 부유식 발전구조물과 스테빌라이저의 충돌을 방지하여 안정성이 있고, 선적 및 진수 일자를 줄이며, 공사비용을 절약하고 폰툰 평면적을 최대한 활용하며, Wet towing 방식으로 신속하고 낮은 비용으로 이동 설치하는 등의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 예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1 : 해상부유식하부구조 2 : 해상부유식상부타워및터빈
50 : 액티브슈 51 : 스키드레일
52 : 링크빔 53 : 펜더
55 : 링크 플레이트 56 : 지지대
57 : 대중량운송장치 58 : 터그보트
59 : Towing Line 60 : 계류라인
100 : 반잠수경사식L형플로팅도크선
100-1 : 폰툰 101 : L형플로팅도크스태빌라이저
102 : 발라스팅하우스 103 : 발라스팅공기압축기
104 : 발라스팅압축공기배관및조정밸브
105 : 씨체스트 106 : 발라스팅배출공기배관및조정밸브
107 : 횡방향 발라스팅격벽 108 : 종방향 발라스팅격벽
109 : 매스 콘크리트 110 : 패데스탈 크레인
111 : 페데스탈 크레인 스포트

Claims (34)

  1. 육상안벽에 접안하고 해상부유식풍력발전구조물을 화물로 선적하는 반잠수 경사식 L형 플로팅 도크선(100)을 사용한 해상 부유식 풍력발전 구조물의 해상 선적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반잠수 경사식 L형 플로팅 도크선(100)은
    전체적으로 직사각형상을 하며 내부에 구분된 다수의 발라스팅 탱크를 구비하고 해상에 부유하며 무게 중심이 아래 방향에 위치하여 부유의 안정성 있고 평편한 상면에 화물을 적재 고정하는 폰툰(100-1);
    상기 폰툰(100-1)에 고정 설치되고 전체적으로 육면체 형상을 하는 L형플로팅도크스태빌라이저(101);
    상기 폰툰(100-1)의 내부에 횡방향으로 설치되어 구분된 다수의 발라스팅 탱크를 조성하는 횡방향 발라스팅격벽(107);
    상기 폰툰(100-1)의 내부에 종방향으로 설치되어 구분된 다수의 발라스팅 탱크를 조성하는 종방향 발라스팅격벽(108);
    상기 폰툰(100-1)에 구비된 다수의 발라스팅 탱크 바닥에 각각 설치되고 해당 제어신호에 의하여 해수를 유입하거나 유출하는 씨체스트(105);
    상기 L형플로팅도크스태빌라이저(101)의 선택된 어느 한쪽 상부에 설치되는 상자 형상의 발라스팅하우스(102);
    상기 발라스팅하우스(102)의 내부 일측에 고정 설치되고 해당 제어신호에 의하여 압축공기를 생성 공급하는 발라스팅공기압축기(103);
    상기 폰툰(100-1) 내부에 구비된 다수 발라스팅 탱크 각각의 바닥에 평균 0.5 m 두께로 균일하게 타설되어 상기 폰툰(100-1)의 무게 중심을 아래 방향에 위치시켜 부유의 안정성을 확보하는 매스 콘크리트(109);
    상기 발라스팅 탱크의 각각에 설치되고 상기 발라스팅공기압축기(103)에서 생성된 압축공기를 해당 제어신호에 의하여 선택적으로 각각 유입하는 발라스팅압축공기배관및조정밸브(104);
    상기 발라스팅 탱크의 각각에 설치되고 상기 발라스팅 탱크에 유입된 압축공기를 해당 제어신호에 의하여 선택적으로 각각 배출하는 발라스팅배출공기배관및조정밸브(106); 를 포함하는 반잠수 경사식 L형 플로팅 도크선을 사용한 해상 부유식 풍력발전 구조물의 해상 선적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해상부유식풍력발전구조물은
    평편한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부력을 발생하는 폰툰(pontoon)과 상기 폰툰(pontoon)의 외곽부분에 2 개 이상 다수가 수직으로 설치되는 아우터컬럼(outer column)과 상기 폰툰(pontoon)의 중심부분에 1 개가 수직으로 설치되는 센터컬럼(center column)과 상기 아우터컬럼(outer column) 및 상기 센터컬럼(center column)의 상측면을 평편하게 연결하는 데크(deck)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해상부유식하부구조(1);
    상기 해상부유식하부구조(1)의 중심부분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상부타워(B)와 상기 상부타워(B)의 상단 끝 부분에 설치되고 프로펠러와 발전기를 포함하는 발전부(A)로 이루어지는 해상부유식상부타워및터빈(2); 을 포함하는 반잠수 경사식 L형 플로팅 도크선을 사용한 해상 부유식 풍력발전 구조물의 해상 선적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반잠수 경사식 L형 플로팅 도크선(100)의 폰툰(100-1) 외측면 또는 상기 육상안벽의 일부분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반잠수 경사식 L형 플로팅 도크선(100)이 상기 육상안벽의 일부분에 접안하여 발생하는 충격을 완화시키는 펜더(53); 를 더 포함하는 반잠수 경사식 L형 플로팅 도크선을 사용한 해상 부유식 풍력발전 구조물의 해상 선적 시스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펜더(53)의 상측부에 설치되고 상기 폰툰(100-1)의 상면과 상기 육상안벽의 상면을 평편하게 연결하는 링크 플레이트(55); 를 더 포함하는 반잠수 경사식 L형 플로팅 도크선을 사용한 해상 부유식 풍력발전 구조물의 해상 선적 시스템.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해상부유식하부구조(1)의 하단에 설치되고 해당 제어신호에 의하여 해상부유식풍력발전구조물을 상기 육상안벽으로부터 상기 육상안벽에 접안된 상기 반잠수경사식L형플로팅도크선(100)의 폰툰(100-1) 상면으로 이동시키는 대중량운송장치(57); 를 더 포함하는 반잠수 경사식 L형 플로팅 도크선을 사용한 해상 부유식 풍력발전 구조물의 해상 선적 시스템.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폰툰(100-1) 상면의 일부분에 구비되고 상기 해상부유식풍력발전구조물이 대중량운송장치(57)에 의하여 상기 폰툰(100-1) 상면으로 이동된 상태에서 상기 해상부유식풍력발전구조물이 안착 상태로 올려지고 고정상태로 지지 설치되는 지지대(56); 를 더 포함하는 반잠수 경사식 L형 플로팅 도크선을 사용한 해상 부유식 풍력발전 구조물의 해상 선적 시스템.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L형플로팅도크스태빌라이저(101)는 상기 폰툰(100-1) 길이의 1/5 길이로 이루어지고 전체적으로 육면체 형상을 하며 상기 폰툰(100-1)의 일측 양단에 각각 고정 설치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잠수 경사식 L형 플로팅 도크선을 사용한 해상 부유식 풍력발전 구조물의 해상 선적 시스템.
  8.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L형플로팅도크스태빌라이저(101)는 상기 폰툰(100-1) 길이의 1/2 길이에 걸쳐 분리된 2 개가 길이 방향의 끝단에 각각 설치되고 각각은 전체적으로 육면체 형상을 하며 상기 폰툰(100-1)의 양측 일단에 각각 고정 설치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잠수 경사식 L형 플로팅 도크선을 사용한 해상 부유식 풍력발전 구조물의 해상 선적 시스템.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L형플로팅도크스태빌라이저(101) 2 개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상부에 페데스탈 방식으로 설치되고 해당 제어신호에 의하여 운용되는 패데스탈 크레인(110);
    상기 L형플로팅도크스태빌라이저(101)의 상측면에 설치되고 상기 패데스탈 크레인(110)의 붐을 안정시키는 페데스탈 크레인 스포트(111); 를 더 포함하는 반잠수 경사식 L형 플로팅 도크선을 사용한 해상 부유식 풍력발전 구조물의 해상 선적 시스템.
  10. 제 2 항 또는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육상안벽의 상면과 상기 폰툰(100-1)의 상면에 균일한 간격으로 평행하게 각각 설치되는 스키드레일(51);
    상기 육상안벽의 스키드레일(51)과 상기 폰툰(100-1)의 스키드레일(51)을 각각 수평상태로 연결하는 링크빔(52);
    상기 해상부유식하부구조(1)의 하단에 하나 이상 다수가 설치되고 해당 제어신호에 의하여 해상부유식풍력발전구조물을 상기 스키드레일(51)과 링크빔(52)을 따라 폰툰(100-1)의 상면으로 이동시키는 액티브슈(50); 를 더 포함하는 반잠수 경사식 L형 플로팅 도크선을 사용한 해상 부유식 풍력발전 구조물의 해상 선적 시스템.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액티브슈(50)의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해상부유식풍력발전구조물이 상기 폰툰(100-1)의 상면으로 이동된 상태에서 상기 해상부유식풍력발전구조물을 상기 액티브슈(50)로부터 분리시켜 지지대(56)에 안착시키는 하이드로잭; 을 더 포함하는 반잠수 경사식 L형 플로팅 도크선을 사용한 해상 부유식 풍력발전 구조물의 해상 선적 시스템.
  12.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반잠수 경사식 L형 플로팅 도크선(100)의 4 모서리 부분에 일측 끝단이 각각 연결되어 고정 설치되고 타측 끝단은 육상안벽의 일부분에 각각 연결되어 고정 설치되는 다수로 이루어지는 계류라인(60); 을 더 포함하는 반잠수 경사식 L형 플로팅 도크선을 사용한 해상 부유식 풍력발전 구조물의 해상 선적 시스템.
  13. 육상안벽에 접안하고 해상부유식풍력발전구조물을 화물로 선적하는 반잠수 경사식 L형 플로팅 도크선을 사용한 해상 부유식 풍력발전 구조물의 해상 선적 시스템 진수공법에 있어서,
    상기 육상안벽에서 다수의 해상부유식풍력발전구조물을 제조하는 제조단계;
    상기 반잠수 경사식 L형 플로팅 도크선을 펜더 게재에 의하여 육상안벽에 접안시키고 계류라인으로 고정 시키는 계류단계;
    상기 육상안벽에 펜더 게재에 의하여 접안한 상기 반잠수 경사식 L형 플로팅 도크선의 평면을 발라스팅에 의하여 상기 육상안벽의 평면과 수평하게 유지 설정하는 발라스팅 단계;
    상기 해상부유식풍력발전구조물을 상기 육상안벽으로부터 상기 반잠수 경사식 L형 플로팅 도크선의 폰툰 상면으로 이동수단을 사용하여 이동시켜 선적하는 이동선적단계;
    상기 이동선적단계의 이동수단을 상기 반잠수 경사식 L형 플로팅 도크선으로부터 상기 육상안벽으로 복귀시키는 복귀단계;
    상기 반잠수 경사식 L형 플로팅 도크선을 해상의 지정 위치로 예인하고 선적된 상기 해상부유식풍력발전구조물을 해상에 진수시켜 설치하는 진수설치단계; 를 포함하는 반잠수 경사식 L형 플로팅 도크선을 사용한 해상 부유식 풍력발전 구조물의 해상 선적 시스템 진수공법.
  14. L형 플로팅 도크 스태빌라이저(101)로 인하여 해상 부유식 풍력발전 구조물(1, 2)의 해상 선적 및 진수시 안정성을 확보하고, 폰툰(100-1)의 길이에 대하여 각 L/5 이내로 하여 각각 폰툰 외측의 양단에 설치하거나, L형 플로팅 도크 스태빌라이저(101)의 총 길이를 폰툰(100-1) 외측의 한쪽에 폰툰(100-1) 길이의 L/2에 걸쳐 설치되는 반잠수 경사식 L형 플로팅 도크선을 사용한 해상 부유식 풍력발전 구조물의 해상 선적 시스템 진수공법.
  15. 제 14항에 있어서,
    선적 방법으로는 대중량 운송 장치(57) 또는 스키드레일(51)과 액티브 슈(50)를 활용한 해상 부유식 하부구조(1)의 하부 형식에 따라 결정하고;
    해상 부유식 풍력발전 구조물(1,2)를 반잠수 경사식 L형 플로팅 도크선(100)의 폰툰(100-1)에 선적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반잠수 경사식 L형 플로팅 도크선을 사용한 해상 부유식 풍력발전 구조물의 해상 선적 시스템 진수공법.
  16. 제 14항에 있어서,
    육상안벽 가까이서 다수의 부유식 풍력발전구조물(1, 2)을 제작하고, 반잠수 경사식 L형 플로팅 도크선(100)을 펜더(53)을 이용하여 안벽에 접안하고, 폰툰(100-1) 내부에는 횡방향 및 종방향의 발라스팅 격벽(107, 108)을 제작 설치하고;
    해수의 유통을 쉽게하기 위해 Sea Chest(105)를 각 탱크의 바닥에 설치하고;
    L형 플로팅 도크 스태빌라이저(101)를 폰툰(100-1) 외부 양측에 설치하거나 또는 L형 플로팅 도크 스태빌라이저(101)를 폰툰(100-1) 외부 한쪽 측면에 폰툰(100-1)의 길이 방향으로 설치하고, 장비 운영을 위해 L형 플로팅 도크 스태빌라이저(101) 상부에 패데스탈 크레인(110), 크레인 붐의 안정을 위한 페데스탈 크레인 스포트(111)가 설치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반잠수 경사식 L형 플로팅 도크선을 사용한 해상 부유식 풍력발전 구조물의 해상 선적 시스템 진수공법.
  17. 제 14항에 있어서,
    발라스팅 하우스(102)는 L형 플로팅 도크 스태빌라이저(101) 상부 한쪽으로 배치하며, 내부에는 발라스팅 공기 압축기(103)을 설치하고, 폰툰(100-1) 바닥에는 0.5 m 두께 내외의 매스 콘크리트(109)를 타설하고 무게 중심을 아래에 놓고 KG값(폰툰 바닥에서 무게중심까지의 거리)을 최소화 하여 안정성을 확보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반잠수 경사식 L형 플로팅 도크선을 사용한 해상 부유식 풍력발전 구조물의 해상 선적 시스템 진수공법.
  18. 제 14항에 있어서,
    발라스팅 압축공기 배관 및 조정 밸브(104)와 발라스팅 배출공기 배관 및 조정 밸브(106)를 각 발라스팅 탱크 내부에 설치하고;
    횡방향 및 종방향의 발라스팅 격벽(107, 108)에 해수를 채우는 발라스팅인 경우 발라스팅 배출공기 배관 및 조정 밸브(106)를 개방하여 Sea Chest(105)로부터 해수가 들어와 발라스팅을 하고, 동시에 발라스팅 압축공기 배관 및 조정 밸브(104)는 닫고;
    횡방향 및 종방향의 발라스팅 격벽(107, 108)에 해수가 채워진 물을 외부로 디 발라스팅할 경우, 발라스팅 공기 압축기(103)에서 공기를 압축하여 횡방향 및 종방향의 발라스팅 격벽(107, 108)에 압축공기를 발라스팅 압축공기 배관 및 조정 밸브(104)를 개방 조정하면서 내부 해수는 Sea Chest(105)거처 외부로 보내어지며, 동시에 발라스팅 배출공기 배관 및 조정 밸브(106)를 닫는 것을 포함한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반잠수 경사식 L형 플로팅 도크선을 사용한 해상 부유식 풍력발전 구조물의 해상 선적 시스템 진수공법.
  19. 제 14항에 있어서,
    발라스팅 및 디 발라스팅을 이용하여 육상안벽 상부와 폰툰(100-1)상부와 수평 되게 조절하며, 링크 플레이트(55)를 설치하여 대중량 운송장치(57)의 이동이 쉽도록 하거나 또는 링크 빔(52)과 육상 스키드레일(51)와 폰툰(100-1) 위에 스키드레일(51)을 설치하여 액티브 슈(50)의 이동이 쉽도록 하며;
    육상에 정치되어 있는 해상 부유식 풍력발전구조물(1, 2)을 서서히 반잠수 경사식 L형 플로팅 도크선(100) 위로 올리고, 폰툰(100-1)에 추가 하중이 증가되면 발라스팅 압축공기 배관 및 조정 밸브(104)와 발라스팅 배출공기 배관 및 조정 밸브(106)를 사용하여 이동 하중이 변화함에 따라 오토 작동시켜 지속적으로 육상안벽 상부와 폰툰(100-1)상부가 수평되게 유지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반잠수 경사식 L형 플로팅 도크선을 사용한 해상 부유식 풍력발전 구조물의 해상 선적 시스템 진수공법.
  20. 제 14 항에 있어서,
    해상 부유식 풍력발전구조물(1, 2)이 폰툰(100-1)의 정 위치에 도달하며 지지대(56)에 안착 설치하고, 대중량 운송장치(57)의 높이를 조절하여 육상안벽으로 이동하거나 또는 액티브 슈(50)의 내부에 탑재된 하이드로 잭을 잭다운하여 육상안벽으로 이동 또는 철거시켜 재이용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반잠수 경사식 L형 플로팅 도크선을 사용한 해상 부유식 풍력발전 구조물의 해상 선적 시스템 진수공법.
  21. 제 14 항에 있어서,
    해상 부유식 풍력발전구조물(1, 2)의 선적을 위하여 반잠수 경사식 L형 플로팅 도크선(100)을 육상안벽에 계류라인(60)으로 고정시키고;
    해상 부유식 풍력발전구조물(1, 2)의 선적시 해상 외부 하중인 파랑, 바람의 수평 하중에 의하여 반잠수 경사식 L형 플로팅 도크선(100)의 수평거동에 충분히 저항하도록 계류라인(60)의 크기와 수량을 결정하고 계류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반잠수 경사식 L형 플로팅 도크선을 사용한 해상 부유식 풍력발전 구조물의 해상 선적 시스템 진수공법.
  22. 제 14 항에 있어서,
    해상 부유식 풍력발전구조물(1, 2)에 대하여 대중량 운송장치(57) 또는 스키드레일(51)과 액티브 슈(50)를 활용하여 반잠수 경사식 L형 플로팅 도크선(100)의 폰툰(100-1) 상부 정 위치의 지지대에 안착하고 대중량 운송장치(57) 바퀴 하이드로 잭을 잭다운하거나 또는 액티브 슈(50) 내부의 하이드로 잭을 잭다운하여 대중량 운송장치(57) 또는 액티브 슈(50) 내부의 하이드로 잭을 육상안벽으로 철거하는 선적 완성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반잠수 경사식 L형 플로팅 도크선을 사용한 해상 부유식 풍력발전 구조물의 해상 선적 시스템 진수공법.
  23. 제 22 항에 있어서,
    해상 부유식 풍력발전구조물(1, 2)의 선적 완료하고 진수 깊이 27.5 m 까지 반잠수 경사식 L형 플로팅 도크선(100)을 운항하기 위한 필요 흘수(Draft)를 맞추기 위해 발라스팅과 디 발라스팅을 하여 흘수를 조절하며, 발라스팅을 할 경우 발라스팅 배출공기 배관 및 조정밸브(106)를 개방하고, 발라스팅 압축공기 배관 및 조정밸브(104)는 닫은 상태에서 Sea Chest(105)를 통하여 해수가 횡방향 및 종방향 발라스팅 격벽(107, 108)에 주수가 되어 흘수를 깊게 하거나, 디 발라스팅을 할 경우 발라스팅 배출공기 배관 및 조정밸브(106)를 닫고, 발라스팅 하우스(102)내의 발라스팅 공기 압축기(103)을 이용하여 압력을 공급하고 발라스팅 압축공기 배관 및 조정밸브(104)는 개방 상태에서 Sea Chest(105)를 통하여 횡방향 및 종방향 발라스팅 격벽(107, 108)이 있는 해수를 외부로 내보내어 흘수를 낮게 하고, 계류라인(60)을 반잠수 경사식 L형 플로팅 도크선(100)에서 철거후 육상안벽으로 올려놓고;
    반잠수 경사식 L형 플로팅 도크선(100)에 Towing Line(59)을 설치, 터그보트(58)을 이용하여 진수에 필요 깊이까지 이동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반잠수 경사식 L형 플로팅 도크선을 사용한 해상 부유식 풍력발전 구조물의 해상 선적 시스템 진수공법.
  24. 제 23항에 있어서,
    해상 부유식 풍력발전구조물(1,2)을 잠수시켜 L형 플로팅 도크 스태빌라이저(101)의 반대편을 서서히 경사지게 하고 해상 부유식 풍력발전구조물(1,2)이 부유 상태가 될 때 까지 발라스팅하며, 각각 Towing Line(59)연결하여 터그보트(58)를 사용하고 L형 플로팅 도크 스태빌라이저(101)에 충돌하지 않도록 하고, 발라스팅 배출공기 배관 및 조정밸브(106)를 개방하고, 발라스팅 압축공기 배관 및 조정밸브(104)는 닫은 상태에서 Sea Chest(105)를 통하여 해수가 횡방향 및 종방향 발라스팅 격벽(107, 108)에 주수가 되어 흘수를 깊게 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반잠수 경사식 L형 플로팅 도크선을 사용한 해상 부유식 풍력발전 구조물의 해상 선적 시스템 진수공법.
  25. 제 24항에 있어서,
    폰툰(100-1) 상부에 있는 지지대(56)의 상부와 해상 부유식 풍력발전구조물(1,2)의 하부와 완전히 분리되어 약 1 m 정도 여유분이 발생하며, 경사를 L형 플로팅 도크 스태빌라이저(101)의 반대편으로 만들기 위해 L형 플로팅 도크 스태빌라이저(101)의 반대편의 횡방향 및 종방향 발라스팅 격벽(107, 108)에 주수를 하고, 발라스팅 배출공기 배관 및 조정밸브(106)를 개방하고, 발라스팅 압축공기 배관 및 조정밸브(104)는 닫은 상태에서 Sea Chest(105)를 통하여 해수가 주수가 되므로 흘수를 서서히 깊게 하여 경사를 만드는 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반잠수 경사식 L형 플로팅 도크선을 사용한 해상 부유식 풍력발전 구조물의 해상 선적 시스템 진수공법.
  26. 제 25항에 있어서,
    부유식 풍력발전구조물(1,2)을 잠수시켜 L형 플로팅 도크 스태빌라이저(101) 반대편에 대하여 경사 2 내지 4°를 주고 L형 플로팅 도크 스태빌라이저(101)쪽 지지대(56) 상부와 해상 부유식 풍력발전구조물(1,2) 하부와 여유고 1 m 발생시 각각 Towing Line(59)을 연결하고 터그보트(58) 사용하여 서서히 반잠수 경사식 L형 플로팅 도크선(100)이 벗어나게 하여 해상 부유식 풍력발전구조물(1,2)이 부유 상태까지 발라스팅을 하고, 각각 Towing Line(59)을 연결하여 터그보트(58)를 사용하고 L형 플로팅 도크 스태빌라이저(101)에 충돌하지 않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반잠수 경사식 L형 플로팅 도크선을 사용한 해상 부유식 풍력발전 구조물의 해상 선적 시스템 진수공법.
  27. 제 26항에 있어서,
    발라스팅 배출공기 배관 및 조정밸브(106)를 개방하고, 발라스팅 압축공기 배관 및 조정밸브(104)는 닫은 상태에서 Sea Chest(105)를 통하여 해수가 횡방향 및 종방향 발라스팅 격벽(107, 108)에 주수가 되어 흘수를 깊게 하고, 폰툰(100-1) 상부에 있는 지지대(56)의 상부와 해상 부유식 풍력발전구조물(1,2)의 하부와 완전히 분리되어 1 m 의 여유분이 발생하며, 경사를 L형 플로팅 도크 스태빌라이저(101)의 반대편으로 만들기 위해 L형 플로팅 도크 스태빌라이저(101) 반대편의 횡방향 및 종방향 발라스팅 격벽(107, 108)에 주수를 하고, 발라스팅 배출공기 배관 및 조정밸브(106)를 개방하고, 발라스팅 압축공기 배관 및 조정밸브(104)는 닫은 상태에서 Sea Chest(105)를 통하여 해수가 주수가 되므로 흘수를 서서히 깊게 하여 경사를 2 내지 4°로 만들고, 터그보트(58)를 이용하여 해상 부유식 풍력발전구조물(1,2)과 반잠수 경사식 L형 플로팅 도크선(100)을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반잠수 경사식 L형 플로팅 도크선을 사용한 해상 부유식 풍력발전 구조물의 해상 선적 시스템 진수공법.
  28. 제 27 항에 있어서,
    해상 부유식 풍력발전구조물(1,2)을 잠수시킨 상태에서 L형 플로팅 도크 스태빌라이저(101)의 반대편이 경사 2 내지 4° 및 흘수(Draft)선을 유지한 체, 각각 Towing Line(59)에 연결된 터그보트(58)를 사용하여 서서히 반잠수 경사식 L형 플로팅 도크선(100)이 50 % 이상 벗어나는 반잠수 경사식 L형 플로팅 도크선(100)와 해상 부유식 풍력발전구조물(1,2)에 각각 Towing Line(59)을 연결하고 터그보트(58)를 사용하여 해상 부유식 풍력발전구조물(1,2)을 반잠수 경사식 L형 플로팅 도크선(100)을 벗어나도록 작업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반잠수 경사식 L형 플로팅 도크선을 사용한 해상 부유식 풍력발전 구조물의 해상 선적 시스템 진수공법.
  29. 제 28 항에 있어서,
    반잠수 경사식 L형 플로팅 도크선(100)의 경사 2 내지 4°와 흘수(Draft)를 유지한 체, 반잠수 경사식 L형 플로팅 도크선(100)와 해상 부유식 풍력발전구조물(1,2)에 각각 Towing Line(59)을 연결하고 터그보트(58)를 사용하여 해상 부유식 풍력발전구조물(1,2)이 반잠수 경사식 L형 플로팅 도크선(100)을 완전히 벗어나도록 작업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반잠수 경사식 L형 플로팅 도크선을 사용한 해상 부유식 풍력발전 구조물의 해상 선적 시스템 진수공법.
  30. 제 29 항에 있어서,
    해상 부유식 풍력발전구조물(1,2)이 잠수 상태로부터 완전히 벗어난 상태에서 발라스팅 하우스(102)내의 발라스팅 공기 압축기(103)를 사용하여 압축공기 배관 및 조정 밸브(104)를 이용하고 횡방향 및 종방향 발라스팅 격벽(107, 108)에 압력을 가하여 해수가 들어 있는 물을 디 발라스팅하여 폰툰(100-1)이 해수면 이상으로 올려지게 하여 수평을 유지하고, 해수에 띄운 해상 부유식 풍력발전 구조물(1,2)을 설치 장소로 Towing Line(59)을 연결하여 터그보트(58)로 운송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반잠수 경사식 L형 플로팅 도크선을 사용한 해상 부유식 풍력발전 구조물의 해상 선적 시스템 진수공법.
  31. 제 30항에 있어서,
    반잠수 경사식 L형 플로팅 도크선(100)을 육지 안벽으로 운항하기 위한 흘수(Draft) 선을 맞추기 위해 발라스팅 및 디 발라스팅을 하여 흘수선을 조절하며, 발라스팅을 할 경우 발라스팅 배출공기 배관 및 조정밸브(106)를 개방하고, 발라스팅 압축공기 배관 및 조정밸브(104)는 닫은 상태에서 Sea Chest(105)를 통하여 해수가 횡방향 및 종방향 발라스팅 격벽(107, 108)에 주수가 되어 흘수를 깊게 하거나, 디 발라스팅을 할 경우 발라스팅 배출공기 배관 및 조정밸브(106)를 닫고, 발라스팅 하우스(102)내의 발라스팅 공기 압축기(103)을 이용하여 압력을 공급하고 발라스팅 압축공기 배관 및 조정밸브(104)는 개방상태에서 Sea Chest(105)를 통하여 횡방향 및 종방향 발라스팅 격벽(107, 108)으로 형성되는 발라스팅 탱크 내부에 있는 해수를 외부로 내보내어 흘수를 낮게 하고 Towing Line(59)을 연결하며 터그보트(58)를 이용하여 육지 안벽까지 이동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반잠수 경사식 L형 플로팅 도크선을 사용한 해상 부유식 풍력발전 구조물의 해상 선적 시스템 진수공법.
  32. 제 31항에 있어서,
    다른 해상 부유식 풍력발전 구조물(1,2)의 선적을 위해 터그보트(58)를 이용하고 육상안벽으로 접안 시킨 후, 횡방향 및 종방향의 발라스팅 격벽(107, 108)에 해수를 채우는 발라스팅인 경우 발라스팅 배출공기 배관 및 조정 밸브(106)를 개방하여 Sea Chest(105)로부터 해수가 유입되어 발라스팅하고, 동시에 발라스팅 압축공기 배관 및 조정 밸브(104)는 닫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반잠수 경사식 L형 플로팅 도크선을 사용한 해상 부유식 풍력발전 구조물의 해상 선적 시스템 진수공법.
  33. 제 32항에 있어서,
    폰툰(100-1)의 횡방향 및 종방향의 발라스팅 격벽(107, 108)에 해수가 채워진 물을 외부로 디 발라스팅할 경우, 발라스팅 공기 압축기(103)에서 공기를 압축하여 횡방향 및 종방향의 발라스팅 격벽(107, 108)에 압축공기를 발라스팅 압축공기 배관 및 조정 밸브(104)를 개방 조정하면서 내부 해수는 Sea Chest(105)거처 외부로 보내어지며, 동시에 발라스팅 배출공기 배관 및 조정 밸브(106)를 닫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반잠수 경사식 L형 플로팅 도크선을 사용한 해상 부유식 풍력발전 구조물의 해상 선적 시스템 진수공법.
  34. 제 33항에 있어서,
    반잠수 경사식 L형 플로팅 도크선(100)의 발라스팅 및 디 발라스팅을 이용하여 육상안벽 상부와 폰툰(100-1)상부와 수평되게 하고 링크 플레이트(55)를 설치하여 대중량 운송장치(57) 또는 스키드레일(51)위의 액티브 슈(50)의 이동이 원활하도록 하고, 육상에 정치되어 있는 해상 부유식 풍력발전구조물(1, 2)을 대중량 운송장치(57) 또는 스키드레일(51) 위의 액티브 슈(50)에 실어 반잠수 경사식 L형 플로팅 도크선(100) 위로 올라가고, 폰툰(100-1)에 추가 하중이 증가됨에 따라 발라스팅 압축공기 배관 및 조정 밸브(104)와 발라스팅 배출공기 배관 및 조정 밸브(106)를 사용하여 이동 하중이 변화하면 오토 작동시켜 지속적으로 육상안벽 상부와 폰툰(100-1) 상부가 수평을 유지하고, 계류라인(60)을 플로팅 도크선(100)과 육상안벽에 고정하여 반잠수 경사식 L형 플로팅 도크선(100)의 수평방향 움직임을 억제하고, 다음 순서의 해상 부유식 풍력 구조물(1,2)을 선적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반잠수 경사식 L형 플로팅 도크선을 사용한 해상 부유식 풍력발전 구조물의 해상 선적 시스템 진수공법.
KR1020230055428A 2023-04-27 2023-04-27 반잠수 경사식 l형 플로팅 도크선을 사용한 해상 부유식 풍력발전 구조물의 해상 선적 시스템 및 진수공법 KR1026319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55428A KR102631910B1 (ko) 2023-04-27 2023-04-27 반잠수 경사식 l형 플로팅 도크선을 사용한 해상 부유식 풍력발전 구조물의 해상 선적 시스템 및 진수공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55428A KR102631910B1 (ko) 2023-04-27 2023-04-27 반잠수 경사식 l형 플로팅 도크선을 사용한 해상 부유식 풍력발전 구조물의 해상 선적 시스템 및 진수공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31910B1 true KR102631910B1 (ko) 2024-01-31

Family

ID=897172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55428A KR102631910B1 (ko) 2023-04-27 2023-04-27 반잠수 경사식 l형 플로팅 도크선을 사용한 해상 부유식 풍력발전 구조물의 해상 선적 시스템 및 진수공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31910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9204B1 (ko) * 2007-09-03 2009-01-16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압축공기를 이용한 선박의 빠른 발라스팅 장치
KR20120071255A (ko) * 2010-12-22 2012-07-02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플로팅도크 및 이를 이용한 풍력발전기 설치방법
KR20120072537A (ko) * 2010-12-24 2012-07-04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풍력발전기 설치용 선박 및 이를 이용한 풍력발전기 설치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9204B1 (ko) * 2007-09-03 2009-01-16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압축공기를 이용한 선박의 빠른 발라스팅 장치
KR20120071255A (ko) * 2010-12-22 2012-07-02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플로팅도크 및 이를 이용한 풍력발전기 설치방법
KR20120072537A (ko) * 2010-12-24 2012-07-04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풍력발전기 설치용 선박 및 이를 이용한 풍력발전기 설치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90618B2 (en) Seabed supported unit and method to provide a shallow water drilling terminal
EP3436640B1 (en) Seabed base structure and method for installation of same
US4040265A (en) Mobile offshore platform
EP3250758A1 (en) Sea bed terminal for offshore activities
KR102309460B1 (ko) 항만 플랜트 및 항만 플랜트에 플로팅 바디를 계류시키기 위한 방법
KR102631910B1 (ko) 반잠수 경사식 l형 플로팅 도크선을 사용한 해상 부유식 풍력발전 구조물의 해상 선적 시스템 및 진수공법
JP7495801B2 (ja) 浮体式水上構造物の組立装置及び組立て方法
CN113148065A (zh) 一种利用浮船坞进行船舶下水的方法
TWI702327B (zh) 海港設施以及在該海港設施停泊浮體的方法
GB2269138A (en) Stabilising submersible barges.
Edelson et al. Floatover deck installation on spars
JP2024517828A (ja) 洋上自昇式船舶とともに使用することに適合した輸送船舶用のラック構造体の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KR20240015186A (ko) 부유식 해상 풍력 발전 구조물 설치 시스템 및 방법
Wu Overview of design considerations for spars in the pre-service conditions
Cholley et al. Heavy Production Platform for Offshore LNG Development
GB2333117A (en) Offshore platfor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