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26728B1 - 질소 고정능을 갖는 혼합 균주, 이를 포함하는 미생물 제제 및 이를 포함하는 생물 비료 - Google Patents

질소 고정능을 갖는 혼합 균주, 이를 포함하는 미생물 제제 및 이를 포함하는 생물 비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26728B1
KR102626728B1 KR1020170106793A KR20170106793A KR102626728B1 KR 102626728 B1 KR102626728 B1 KR 102626728B1 KR 1020170106793 A KR1020170106793 A KR 1020170106793A KR 20170106793 A KR20170106793 A KR 20170106793A KR 102626728 B1 KR102626728 B1 KR 1026267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ain
nitrogen
same
nitrogen fixation
bacteri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067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22967A (ko
Inventor
이상섭
김진수
정순환
Original Assignee
경기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기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경기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701067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26728B1/ko
Publication of KR201900229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229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67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67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20Bacteria; Culture media therefor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FORGANIC FERTILISER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5B, C05C, e.g. FERTILISERS FROM WASTE OR REFUSE
    • C05F11/00Other organic fertilisers
    • C05F11/08Organic fertilisers containing added bacterial cultures, mycelia or the lik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Zoolog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irology (AREA)
  • Micro-Organisms Or Cultivation Processe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세데세아 라파게이(Cedecea lapagei) 균주 및 엔테로박터 루드위기(Enterobacter ludwigii) 균주로 이루어진, 질소 고정능을 갖는 혼합 균주, 이를 포함하는 미생물 제제 및 이를 포함하는 생물 비료에 관한 것으로, 높은 효율의 질소 고정능을 나타내는 세데세아 라파게이(Cedecea lapagei) 균주와 신규한 엔테로박터 루드위기 균주를 포함하는 미생물 제제 및 생물 비료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질소 고정능을 갖는 혼합 균주, 이를 포함하는 미생물 제제 및 이를 포함하는 생물 비료{MIXED STRAIN HAVING NITROGEN FIXATION ACTIVITY, MICROBIAL AGENT CONTAINING THE SAME AND BIOFERTILIZER CONTAINING THE SAME}
본 발명은 질소 고정능을 갖는 혼합 균주, 이를 포함하는 미생물 제제 및 상기 미생물 제제를 포함하는 생물 비료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세데세아 라파게이(Cedecea lapagei) 균주 및 엔테로박터 루드위기(Enterobacter ludwigii)의 혼합 균주를 이용한 기술에 관한 것이다.
세계적으로 지난 수십 년간 곡류, 채소, 과수 등 농작물의 수량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해마다 많은 양의 화학 비료와 함께 병, 해충 및 잡초 방제를 위한 화학 농약을 사용해 왔다. 이와 같은 계속적인 화학 비료 및 농약 사용에 의하여 토양 산성화, 지력 손실, 환경오염과 생태계 파괴, 인축독성, 병해충 및 잡초의 농약에 대한 저항성 유발 등의 문제가 지속적으로 제기되고 있다.
국내외에서는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화학 비료 및 농약의 사용량을 감축하고자 노력하고 있으며, 특히 우리나라에서는 1999년 친환경농업 육성법을 제정하여 2013년까지 약 40% 정도의 화학 비료 및 농약 사용량 감축 노력을 계속해오고 있다. 이와 동시에 사회적으로는 생활수준 향상으로 인한 안전 식품에 대한 국민의 요구가 증가되고 있고, 농업 생산 환경 및 자연 생태계의 보존을 지향하는 유기농업이나 자연농법 등의 친환경농업이 급속히 확대되고 있어, 화학 비료 및 농약을 대체할 수 있는 미생물을 이용한 비료 및 생물 농약 개발에 대한 연구가 급격히 증가되고 있다. 이렇게 개발된 미생물제는 대량 배양 후 제제화하여 엽면 살포 또는 입제로 토양 처리함으로써 병해충을 방제하거나 미생물 비료로 이용되기도 한다.
한편, 중요한 식물 영양분인 질소(N)는 화학 비료의 사용에 의해 대부분 유지되며, 질소의 결핍 시 식물 생장에 어려움을 초래한다. 수확량을 높이기 위해 화학 비료를 과잉 이용하는 것은 저투입으로 높은 생산성을 추구하는 지속가능한 농업의 원리에 반하며, 환경적으로도 문제가 될 수 있다(Shantharam, S. and A.K. Mattoo. 1997. Plant Soil 194, 205-216). 화학 비료의 단점이 인식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최대 작물 수확에 대한 충분한 유전적 잠재력은 거의 인식되지 않고 있다(Kennedy et al. 2004. Soil Biol . Biochem . 36, 1229-1244). 질소 고정세균 및 고등식물 사이의 복잡한 상호작용 중의 하나인 대기 중 질소를 고정하여 이용하는 생물학적 질소 고정(Biological Nitrogen Fixation, BNF)은 양분공급, 특히 질소의 공급으로 수확량이 최적으로 유지되는 것을 도울 수 있다.
질소 고정 세균은 식물이 이용할 수 있는 암모니아로 대기 중의 N2를 전환하는 능력이 있어 C는 충분하지만 N이 부족한 환경에서 식물 생장을 촉진시키는 능력이 있다. 질소 고정 세균은 식물 생장 및 수확량에 유리한 효과를 나타내는 세균 그룹인 식물 생장 촉진 근권 세균(Plant Growth Promoting Rhizobacteria, PGPR) 하에 위치할 수 있는데, 이는 질소 고정 외에 또 다른 기작에 의해 식물 생장을 촉진하기 때문이다. 질소 비료의 사용을 줄이는 것 외에 식물과 질소 고정 세균의 상호작용을 이용하는 것은 사용된 비료의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Okon, Y. and C.A. Labandera-Gonzolez. 1994. Soil Biol . Biochem . 26, 1591-1601).
한편, 저관리 경량형 도시 녹화 시스템 연구에 있어서 가장 고려해야 할 사항은 경량형 소재의 개발과 효율적인 식물 재배를 위해 필요한 영양분을 공급해 주는 것이므로, 효과적인 질소고정 혼합 균주가 제공되는 경우 옥상녹화에서 저관리 경량형 시스템의 효율의 증대를 도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KR 10-1654793 B1
본 발명의 일 측면은, 화학제를 이용하지 않아 화학 농약 및 화학 비료 사용으로 인한 환경 오염의 발생을 줄이고, 친환경 식물 재배 및 농작물 재배가 가능한 질소 고정능을 갖는 혼합 균주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이를 포함하는 미생물 제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은 이를 포함하는 생물 비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견지에 의하면, 세데세아 라파게이(Cedecea lapagei) 균주 및 엔테로박터 루드위기(Enterobacter ludwigii) 균주로 이루어진, 질소 고정능을 갖는 혼합 균주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견지에 의하면, 질소 고정능을 갖는 세데세아 라파게이(Cedecealapagei) 균주 및 엔테로박터 루드위기(Enterobacter ludwigii) 균주의 혼합 균주, 또는 이의 배양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미생물 제제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견지에 의하면, 상기 미생물 제제를 포함하는 생물 비료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질소 고정능을 갖는 혼합 균주는 고효율의 질소 고정능을 나타냄으로써, 화학 비료 등을 대신하여 생물 비료로 활용이 가능하며, 따라서 친환경 식물 재배 및 농작물의 재배가 가능하고, 나아가 옥상 녹화에 있어서 저관리 경량형 시스템의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다.
도 1은 아세틸렌 환원법분석 결과로, 5일차에 GC-FID를 이용하여 에틸렌(ethylene) 생성여부를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식물 성장 촉진 평가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들을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세데세아 라파게이(Cedecea lapagei) 균주 및 엔테로박터 루드위기(Enterobacter ludwigii) 균주로 이루어진, 질소 고정능을 갖는 혼합 균주가 제공된다.
이때, 상기 세데세아 라파게이(Cedecea lapagei) 균주는 국립농업과학원 농업유전자원센터에 수탁번호 KACC 81003BP로 기탁된, 세데세아 라파게이(Cedecea lapagei) MK7 균주(KACC 81003BP)인 것이 바람직하며, 또한, 상기 엔테로박터 루드위기(Enterobacter ludwigii) 균주는 국립농업과학원 농업유전자원센터에 수탁번호 KACC92184P 로 기탁된, 엔테로박터 루드위기(Enterobacter ludwigii) Y8 균주(KACC92184P)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상기 세데세아 라파게이(Cedecea lapagei) 균주 및 엔테로박터 루드위기(Enterobacter ludwigii) 균주는 질소 고정을 통해 식물체에 양분 공급, 특히 질소의 공급으로 수확량이 최적으로 유지되는 것을 도울 수 있는 것으로, 질소 고정능을 통해 대기 중의 질소(N2)를 암모니아로 전환할 수 있어 탄소원(C)은 충분하지만 질소원(N)이 부족한 환경에서도 식물의 생장을 촉진시킬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세데세아 라파게이(Cedecea lapagei) 균주 및 엔테로박터 루드위기(Enterobacter ludwigii) 균주의 혼합 균주는 이와 같은 식물의 생장을 촉진 효과를 현저하게 증대시킬 수 있으며, 그 결과 옥상녹화에서 저관리 경량형 시스템의 효율의 증대를 도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세데세아 라파게이(Cedecea lapagei) MK7 균주(KACC 81003BP) 및 엔테로박터 루드위기(Enterobacter ludwigii) 균주는, 질소 고정능을 나타내는 유전자로 NifH 유전자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로부터 질소 고정이 가능한 균주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견지에 의하면 질소 고정능을 갖는 세데세아 라파게이(Cedecealapagei) 균주 및 엔테로박터 루드위기(Enterobacter ludwigii) 균주의 혼합 균주, 또는 이의 배양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미생물 제제가 제공된다.
이때, 상기 세데세아 라파게이(Cedecea lapagei) 균주는 국립농업과학원 농업유전자원센터에 수탁번호 KACC 81003BP로 기탁된, 세데세아 라파게이(Cedecea lapagei) MK7 균주(KACC 81003BP)인 것이 바람직하며, 또한, 상기 엔테로박터 루드위기(Enterobacter ludwigii) 균주는 국립농업과학원 농업유전자원센터에 수탁번호 KACC KACC92184P 로 기탁된, 엔테로박터 루드위기(Enterobacter ludwigii) Y8 균주(KACC92184P)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미생물 제제는, 화학 비료를 대체하기 위한 생물 비료 등에 적용 가능한 것으로, 생물 비료용 미생물 제제인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미생물 제제는 통상적인 방법으로 제형화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건조분말 형태 또는 액상비료 형태로 제조할 수 있다. 그러나 그 제형에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액상비료 형태의 경우, 토양에 뿌려서 토양과 혼합하여 사용가능하고, 건조분말 형태의 경우 비료 형태로, 토양에 뿌려 사용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미생물 제제는 담체, 부식토 등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상기 미생물 제제는 다양한 식물에 적용되어, 생물 비료로 활용 가능하며, 이때 상기 식물은 예를 들어 잔디, 옥수수, 당근, 양배추, 감자 등으로, 상기 미생물 제제를 적용함으로써, 화학 비료 등의 사용 없이 친환경적 농법에 의하여 대기 중의 질소를 고정하여 암모니아성 질소를 식물체에 공급가능하며, 수확물의 양을 증가시킬 수 있고, 잔디 등의 식물 생장을 촉진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견지에 의하면, 상기 본 발명의 미생물 제제를 포함하는 생물 비료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세데세아 라파게이(Cedecea lapagei) 균주는 국립농업과학원 농업유전자원센터에 수탁번호 KACC 81003BP로 기탁된, 세데세아 라파게이(Cedecea lapagei) MK7 균주(KACC 81003BP)인 것이 바람직하며, 또한, 상기 엔테로박터 루드위기(Enterobacter ludwigii) 균주는 국립농업과학원 농업유전자원센터에 수탁번호 KACC KACC92184P 로 기탁된, 엔테로박터 루드위기(Enterobacter ludwigii) Y8 균주(KACC92184P)인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혼합 균주의 우수한 잘소 고정능에 의하여 대기 중의 질소를 고정하여 암모니아성 질소를 식물체에 공급하여 생장을 촉진시킬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는 바, 본 발명이 다음 실시예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미생물 시료 채취 및 균주 분리
문경의 부식토와 연천의 농지에서 토양을 채취하여, 토양 1g을 이용해 시리얼 다일루션(serial dilution) 기법과 평면도말법에 의해 균들을 분리하고, 이들 균들을 질소원이 소량 첨가된 배지(mannitol 5.0 g/L, malic acid 3.2 g/L, KH2PO4 3.0 g/L, monosodium glutamate 0.1 g/L, MgSO4 0.1 g/L CaCl2 2H2O 0.005 g/L, H3BO3 0.15 g/L, FeSO4 7H2O 0.13 g/L, Na2MoO4 2H2O 0.013 g/L, ZnSO4 7H2O 0.11 g/L, CoSO4 7H2O 5 mg/L, Cuso4 2H2O 4 mg/L, MnCl2 4H2O 4 mg/L, inositol 0.12 mg/L, riboflavin 0.02 mg/L, p-amino benzoic acid 0.02 mg/L, nicotinic acid 0.02 mg/L, biotin 0.2 mg/L, thiamine HCl 0.02 mg/L, pyridoxine HCL 0.02 mg/L, calcium pantothenate 0.02 mg/L,)에서 점액질이 형성되고 다른 균들에 비해 높은 성장을 보인 58개의 균과 환경미생물은행(KEMB)에서 분양 받은 44개의 균을 도 1에 개시된 리스트와 같이 확인하였다. 도 1에서 R1 내지 L20-1은 환경미생물은행(KEMB)에서 분양받은 균을 이용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고, MK4 내지 Y12는 토양에서 분리된 균을 이용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2. 아세틸렌 환원법분석(Acetylene reduction assay, ARA )
질소원이 소량 첨가된 배지에서 높은 성장을 보인 상기와 같은 102 개의 균들의 질소고정 능력을 확인하기 위해 아세틸렌 환원법분석(Acetylene reduction assay, ARA)을 수행하여 니트로게나아제(nitrogenase)의 활성을 간접적으로 확인하였다.
상기 아세틸렌 환원법은 질소 고정 미생물이 공통적으로 가지고 있고, N2 가스 또는 아세틸렌과 같은 3중 결합을 가진 물질을 환원시킬 수 있는 효소인 질소 고정효소(nitrogenase)의 활성을 간접적으로 측정하는 방법으로 질소 고정효소에 의해 아세틸렌이 에틸렌으로 환원되었을 때 생성되는 에틸렌의 양을 측정함으로써 질소 고정능을 측정할 수 있다.
상기 아세틸렌 및 에틸렌의 변화량은 GC-FID(Gas Chromatography-Flame Ionization Detector)로 측정하였으며, 이때 상기 GC-FID의 조건은 하기 표 1과 같다.
오븐(oven) 주입구(inlet) 검출기(Detector) 운반가스(Carrier gas)
60, 4분, 유지(Holding) 250 250 헬륨(He)
200, 1분, 유지(Holding)(60/min) 분할비율(Split ratio) 50:1
ARA는 배양용기 (serum bottle)를 이용하여 수행하였다. 상기 배양용기 (serum bottle) 내에 상기 질소가 소량 함유된 배지 100ml을 넣고, 알루미늄 씰(aluminum seal)과 고무 캡(cap)을 이용해 닫힌계를 만들었다.
고무 캡을 이용해 배양용기 (serum bottle) 내의 기상부를 99% 질소와 1% 산소로 조성하고, 상기 1.에서 분리하여 획득된 균을 각각 1 g/L 양으로 접종하였다. 상기 균을 2일간 28℃에서 적응시킨 후, 적응된 균이 들어있는 배양용기 (serum bottle)의 기상부를 89% 아르곤과 10% 아세틸렌 및 1% 산소로 조정하였다.
그 후 0일, 3일, 5일에 각각 GC-FID를 이용하여 에틸렌(ethylene) 생성여부를 하기와 같이 확인하였다. 그 결과, 5일차에 확인한 결과를 도 1에 나타내었으며, 이 중 아세틸렌(acetylene)을 에틸렌(ethylene)으로 환원시킨 8개의 균주, L20, MK4, MK7, Y4, Y5, Y6, Y7, Y8을 확인하였으며, 그 중 MK7과 Y4, Y8 균주가 아세틸렌(acetylene)을 대부분 에틸렌(ethylene)으로 환원시킨 것으로 확인하였다.
이에, 상기 3개의 균주 MK7과 Y4, Y8에 대하여 재현성 실험을 실시 하였다. 재현성 실험은 상기 ARA를 통해 수행하였다. 그 결과, 재현성 실험에서 MK7과 Y8 균주에서 지속적인 니트로게나아제 활성을 확인할 수 있었고, 따라서 질소고정 균주로 MK7 및 Y8 균주를 선별하였다.
하기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스트레인(Strain) MK7 균주는 가스크로마토그래피(gas chromatography)를 이용한 검출에서 초기 기상층의 아세틸렌 농도는 9.3%이었지만, 5일차에는 아세틸렌이 검출되지 않았고, 에틸렌은 3.9 %로 검출되었다.
스트레인(Strain) Y8 균주는 초기 기상부의 아세틸렌 농도 10.6 %에서 5일차에는 1.7 %로 감소하였으며, 에틸렌은 3.8 %로 검출되었다. 이때, 아세틸렌이 약 9 % 감소한 것에 비해 에틸렌 생성은 약 3.8 %로 낮게 검출되었다. 이는 닫힌계에서 균의 작용에 의해 용기 내부의 압력이 증가한 결과로 보인다. 하지만 아세틸렌은 검출되지 않았으므로 내부의 아세틸렌을 약 100 % 환원시킨 것으로 볼 수 있다.
스트레인(Strain) 아세틸렌 (%) 에틸렌 생성물 (%)
0 일 5 일 제거율
컨트롤(Control) 10.6 9.0 15.12 ND
MK7 9.3 0.0 100.00 3.9
Y8 10.6 1.7 83.78 3.8
* 이때 컨트롤은 균을 접종하지 않은 배양용기를 이용한 것이다.
3. nifH 유전자의 PCR 증폭 및 16s rDNA 서열 분석
상기 2.의 ARA 분석을 통해 니트로게나제의 활성이 확인된 균주들의 nifH 유전자를 확인하기 위해 Exgene cell SV mini kit(GeneAll)를 이용하여 게노믹(genomic) DNA를 추출했다.
유니버셜 프라이머(Universal primer)는 다양한 균이나 환경 시료에서 nifH를 증폭시킬 수 있는 것으로 본 실험에서 사용한 프라이머는 하기 표 3에 나타난 프라이머 정보와 같이 번호 6 및 7 의 유니버셜 프라이머와 NCBI에 등록된 특정 질소고정 미생물의 nifH 유전자 서열을 이용하여 제작된 프라이머를 사용했다. 제작된 프라이머 정보는 하기 표 3에 번호 1~5로 나타냈다. 하기 표 3의 각 프라이머는 정방향과 역방향 순으로 2가지 염기서열 정보를 나타냈다.
PCR 반응 조건은 94℃에서 30초, 50℃에서 30초, 72℃에서 30초로 30 사이클이다. PCR 혼합물(mixture)은 템플레이트(template), 프라이머(primer), dNTP, 10 X 버퍼(buffer), Taq 폴리머라제(polymerase)가 포함되어 있고, 증류수를 이용하여 총 용량을 30ul로 맞추었다.
PCR 생성물(product)은 전기영동법을 이용하여 각 프라이머에 의해서 생성되는 360bp의 밴드를 확인했다. 확인된 밴드는 겔에서 분리되어 용리(elution)하고, MICROGEN에 보내 서열을 분석하였다.
한편, 16s rDNA는 3일 배양된 균이 있는 한천 배지를 MICROGEN에 보내 서열을 확인했다.
No. Name Target Sequencing Size(bp)
1 SR1 Vibrio sp. F-5'CAT CAT GGA AAT GGC AGC GG-3' 400
R-5'TCA TAC GCG CCT TCC TCT TC-3'
2 SR2 Vibrio sp. F-5'GCG GAC TCA ACT CGT CTC AT-3' 400
R-5'GGA CCG CCT GAT TCA ACA CA-3'
3 A Rhizobium sp. F-5'CGT TTT ACG GCA AGG GCG GTA TCG GCA-3' 850
R-5'TCC TCC AGC TCC TCC ATG GTG ATC GG-3'
4 B Burkholderia sp. F-5'TGT CCA AAC TTC GGC AAA TC-3' 850
R-5'CTC TTC AGC CTG CTT CGA CT-3'
5 E Enterobacter sp. F-5'TCA CCG CGA TTA ACT TCC TC-3' 400
R-5'GCG GTT TTA CCA ATG ATG CT-3'
6 Pol Universal F-5'TGC GAY CCS AAR GCB GAC TC-3' 360
R-5'ATS GCC ATC ATY TCR CCG GA-3'
7 Zehr Universal F-5'TGY GAY CCN AAR GCN GA-3' 360
R-5' ADN GCC ATC ATY TCN CC-3'
16s rDNA 시퀀싱(sequencing) 결과를 통해 스트레인(strain) MK7과 Y8을 동정했고 각각 세데세아 라파게이(Cedecea lapagei) GTC 346 (98.21 %)과 엔테로박터 루드위기(Enterobacter ludwigii) EN-119 (99.73 %)로 동정되었다.
스트레인(strain) MK7과 Y8에서 nifH 유전자의 서열을 확인하기 위해 상기 표 3에 개시된 7개의 nifH 프라이머를 이용하여 PCR 기법으로 통해 확인했다. 이 연구에서 제작된 프라이머 1~5를 이용한 실험에서는 원하는 크기의 PCR 생성물을 얻지 못했다. 반면, 유니버셜 프라이머6 및 7을 이용한 PCR에서는, Pol 프라이머를 이용한 PCR 수행에서 스트레인(strain) Y8에서 약 350 bp의 PCR 생성물을 얻어 시퀀싱을 실시했다. 그 결과 엔테로박터 루드위기(Enterobacter ludwigii) EN-119의 전체 게놈 중 일부분으로 나타났다. 한편, 다른 유니버셜 프라이머인 Zehr 프리이머(상기 표 3의 번호 7)를 사용한 경우 약 300bp의 PCR 밴드 생성을 확인했다. 이와 같이 상기 각 프라이머를 이용하였고, 결과는 번호 7번의 프라이머를 이용하여 확인하였다.
4. 식물 성장 촉진 평가
우수한 질소고정 박테리아인 세데세아 라파게이(Cedecea lapagei) MK7 균주(KACC 81003BP) 및 엔테로박터 루드위기(Enterobacter ludwigii) Y8 균주(KACC92184P)를 각각 동일 비율로 혼합하여 혼합 균주를 만들고 TSB(Tryptic soy broth)에 3일간 28에서 배양한 후, 원심분리기를 이용하여 배지 성분을 제거하였다.
경기도 수원시의 농지에서 채취된 토양을 플라스틱 포트에 150g씩 담고, 상기 준비된 혼합 균주를 증류수에 부유시킨 후, 상기 토양에 1.0 g bacteria / kg soil의 농도로 접종하였다(실시예 1). 그 후 페레니얼라이그래스(perennial ryegrass)를 포트 당 씨드(seed)는 3개씩 파종하였다. 균을 접종하지 않고 같은 양의 증류수를 첨가한 포트의 식물을 대조군(비교예 1)으로 하였고, 양성 대조군(positive control)으로 광합성 혼합 균주(Rhodobacter capsulate, Rhodococcus qingshengii, Achromobacter marplatensis)를 이용했다(비교예 2).
상기 각 실험군은 4개의 포트를 사용했고, 모든 실험은 같은 조건에서 실시했다. 토양이 건조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증류수를 일일 15ml씩 주었다. 50일 배양 후 식물의 지상부의 길이와 식물의 건조 중량을 측정함으로써 식물 성장을 확인했다.
식물의 지상부의 길이를 확인한 결과 각 경우에서 모두 첫 번째 잎의 성장에서 차이가 없었다. 두 번째 잎의 경우 증류수를 첨가한 포트(비교예 1)와 광합성 혼합균주를 첨가한 포트(비교예 2)에서는 별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 본 발명의 질소고정 혼합 균주를 이용한 포트(실시예 1)에서 식물에 균을 접종하지 않은 증류수(비교예 1)에 비해 약 120 % 길이 성장을 확인하였다. 한편, 증류수를 이용한 포트의 경우 세 번째 잎에서 성장 속도가 다른 실험군에 비해 낮은 것을 확인했고, 광합성 혼합 균주와 질소고정 혼합 균주의 경우 대조군(비교예 1)에 비해 각각 약 136 %, 142 % 높은 성장률을 보인 것을 확인했다. 49일 차까지 증류수를 첨가한 포트에서는 더 이상의 잎 발생이 나타나지 않았고, 광합성 혼합 균주, 질소고정 혼합 균주에서 5번째 잎까지 발생했다. 이와 같은 결과를 하기 표 4 및 도 2(a)에 나타내었다.
1st 2nd 3rd 4th 5th
증류수(비교예 1) 85.4 150.4 136.6 0 0
광합성 혼합 균주(비교예 2) 78.0 149.6 185.4 240.4 182.0
질소고정 혼합 균주(실시예 1) 72.3 183.6 194.3 217.8 168.0
나아가, 파종 49일 후, 식물을 뽑아서 줄기의 길이와 건조 중량을 측정했다. 대조군(Control)인 비교예 1에서 줄기의 길이는 18.53 cm로 측정되었다. 질소고정 균을 접종한 실험군(실시예 1)에서는 22.06 cm로 측정되어, 대조군에 비해 약 123.5 % 높은 성장률을 보였다. 광합성 균을 접종한 실험군(비교예 2)에서는 21.8 cm로 되어, 대조군에 비해 약 116 %의 높은 성장을 보였다. 그 결과 본 발명의 질소고정 균을 접종한 실험군에서 가장 높은 줄기 성장률을 보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한편, 식물의 건조 중량은 도 2(b)에 나타난 바와 같이 대조군(Control)인 비교예 1에서 18.65 mg으로 측정되었고, 질소고정 균을 접종한 실험군(실시예 1)에서는 34.80 mg으로 확인되어, 대조군에 비해 186.6 % 증가한 것으로 확인하였다. 광합성 균을 접종한 실험군(비교예 2)에서는 25.31 mg으로 확인되어 대조군에 비해 약 135.7 %의 증가한 결과를 나타냈다.
이 발명을 지원한 국가연구개발사업
과제고유번호: 14CTAP-C078666-01
부처명: 국토교통부
연구관리전문기관: 국토교통과학기술진흥원
연구사업명: 국토교통기술촉진연구사업
연구과제명: 비중이 0.3이하인 자체 식물 생장환경을 갖는 바이오 테라콘(Terra-con) 인공토양 골재개발
기여율: 80/100
주관기관: 경기대학교
연구기간: 2014.08.07 ~ 2017.08.06
과제고유번호: NRF-2017M3A9B8065734
부처명: 미래창조과학부
연구관리전문기관: 한국연구재단
연구사업명: 원천기술개발사업 바이오 의료기술개발사업 연구소재지원사업
연구과제명: 환경 산업 미생물 및 유전자 보존센터
기여율: 20/100
주관기관: 경기대학교
연구기간: 2017.07.01 ~ 2022.06.30
[수탁번호]
1. 세데세아 라파게이(Cedecea lapagei) MK7 균주
기탁기관명 : 국립농업과학원 농업유전자원센터
수탁번호 : KACC81003BP
수탁일자 : 20150629
2. 엔테로박터 루드위기(Enterobacter ludwigii) Y8 균주
기탁기관명 : 국립농업과학원 농업유전자원센터
수탁번호 : KACC92184P
수탁일자 : 20170726

Claims (10)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질소 고정능을 갖는 세데세아 라파게이(Cedecealapagei) MK7 균주(KACC 81003BP) 및 엔테로박터 루드위기(Enterobacter ludwigii) Y8 균주(KACC92184P)의 혼합 균주, 또는 이의 배양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료용 미생물 제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제4항의 비료용 미생물 제제를 포함하는 생물 비료.
  9. 삭제
  10. 삭제
KR1020170106793A 2017-08-23 2017-08-23 질소 고정능을 갖는 혼합 균주, 이를 포함하는 미생물 제제 및 이를 포함하는 생물 비료 KR1026267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6793A KR102626728B1 (ko) 2017-08-23 2017-08-23 질소 고정능을 갖는 혼합 균주, 이를 포함하는 미생물 제제 및 이를 포함하는 생물 비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6793A KR102626728B1 (ko) 2017-08-23 2017-08-23 질소 고정능을 갖는 혼합 균주, 이를 포함하는 미생물 제제 및 이를 포함하는 생물 비료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2967A KR20190022967A (ko) 2019-03-07
KR102626728B1 true KR102626728B1 (ko) 2024-01-19

Family

ID=657607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06793A KR102626728B1 (ko) 2017-08-23 2017-08-23 질소 고정능을 갖는 혼합 균주, 이를 포함하는 미생물 제제 및 이를 포함하는 생물 비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2672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71129A1 (en) * 2020-02-25 2021-09-02 Hendiyani Ali Multi-functional biofertilizer
CN114009449B (zh) * 2021-10-19 2023-06-20 中国农业科学院油料作物研究所 增加豆科作物根部具固氮酶活性根瘤数量的方法及其在豆科作物上的应用
KR102516431B1 (ko) 2022-04-14 2023-04-03 케이지케미칼 주식회사 탄소 저감용 미생물 비료 및 그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4793B1 (ko) 2014-08-08 2016-09-06 주식회사 이엠생명과학연구원 토양 개선 및 환경 정화용 질소 고정력을 갖는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bk418 균주 및 이의 배양 방법
KR101756682B1 (ko) * 2015-07-03 2017-07-12 경기대학교 산학협력단 질소 고정능을 갖는 세데세아 라파게이 균주, 이를 포함하는 미생물 제제및 이를 포함하는 생물 비료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Rajnish Prakash Singh,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and Research (IJSR), 제4권, 제6호, 페이지 261-265 (2015.06.)*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2967A (ko) 2019-03-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591274B2 (en) Defined microbial compositions
Karthikeyan et al. Evaluating the potential of plant growth promoting cyanobacteria as inoculants for wheat
Zhang et al.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potassium-solubilizing bacteria from tobacco rhizospheric soil and their effect on tobacco plants
Prasanna et al. Soil fertility and establishment potential of inoculated cyanobacteria in rice crop grown under non-flooded conditions
EA009126B1 (ru) Микроорганизмы для обработки почвы и способ их получения
CN108290799A (zh) 微生物接种剂、肥料组合物、生长基质和增强植物生长的方法
US10000427B2 (en) Phosphate solubilizing rhizobacteria bacillus firmus as biofertilizer to increase canola yield
Gopi et al. Application of liquid formulation of a mixture of plant growth promoting rhizobacteria helps reduce the use of chemical fertilizers in Amaranthus (Amaranthus tricolor L.)
US20150259260A1 (en) Phosphate solubilizing rhizobacteria bacillus firmus as biofertilizer to increase canola yield
KR102626728B1 (ko) 질소 고정능을 갖는 혼합 균주, 이를 포함하는 미생물 제제 및 이를 포함하는 생물 비료
US10752877B2 (en) Facultative endophytic plant growth promoting bacteria
Lima et al. Endophytic bacteria in cacti native to a Brazilian semi-arid region
CA2984620C (en) Biofertilizer to increase agricultural yield
CA2845408C (en) Phosphate solubilizing rhizobacteria bacillus firmus as biofertilizer to increase canola yield
US11674118B2 (en) PGPR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improved cultivation of tomato and potato species
JP4630627B2 (ja) 植物種子発芽率向上剤
KR101756682B1 (ko) 질소 고정능을 갖는 세데세아 라파게이 균주, 이를 포함하는 미생물 제제및 이를 포함하는 생물 비료
Reddy et al. Qualitative in vitro evaluation of plant growth promoting activity of electrogenic bacteria from biohydrogen producing microbial electrolysis cell towards biofertilizer application
Siddiqui et al. Mixed effect of Rhizobium and Azotobacter as biofertilizer on nodulation and production of chick pea, Cicer arietinum
KR20220126123A (ko) 옥신을 생산하고 식물 생장을 촉진하는 이그나치네리아 균주 및 이의 용도
Hussein et al. Effects of several effective microorganisms (EM) on the growth of Chinese cabbage (Brassica rapa)
RU2760336C1 (ru) Препарат для увеличения урожайности ярового ячменя
RU2760337C1 (ru) Препарат для увеличения урожайности яровой пшеницы
CN112342164B (zh) 一种Rhodoblastus sphagnicola耦合微生物菌肥及其制备和应用
AU2020103947A4 (en) Trichoderma viride, microbial agent, biological fertilizer and applic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