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20182B1 - 사물함 손잡이 - Google Patents

사물함 손잡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20182B1
KR102620182B1 KR1020230106012A KR20230106012A KR102620182B1 KR 102620182 B1 KR102620182 B1 KR 102620182B1 KR 1020230106012 A KR1020230106012 A KR 1020230106012A KR 20230106012 A KR20230106012 A KR 20230106012A KR 102620182 B1 KR102620182 B1 KR 1026201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ernal force
locker
case
door
han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060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현우
박상훈
Original Assignee
김현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현우 filed Critical 김현우
Priority to KR10202301060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2018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01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01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5/00Fittings for furniture
    • A47B95/02Hand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20/00General furniture construction, e.g. fittings
    • A47B2220/0047Handl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00Knobs or handles for wings; Knobs, handles, or press buttons for locks or latches on wings
    • E05B1/0015Knobs or handles which do not operate the bolt or lock, e.g. non-movable; Mounting thereof
    • E05B2001/0023Knobs or handles which do not operate the bolt or lock, e.g. non-movable; Mounting thereof being movable into a non-operating position, e.g. foldable towards the mounting plan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40Mounting location; Visibility of the elements
    • E05Y2600/41Concealed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2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furniture, e.g. cabinets

Landscapes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 Mechanical Control Devices (AREA)
  • Washing And Drying Of Tablewar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물함 손잡이는 사물함의 본체 및 도어에 설치되어 도어를 개폐하는 손잡이의 기능을 구현할 뿐만 아니라, 외력에 의해 일부가 사물함의 내부 및 외부로 위치 이동되어 자물쇠와 결합될 수 있는 사물함 손잡이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도어에 설치되되, 삽입구를 형성하는 케이스부; 상기 사물함 내에 설치되며 내부에 배치 공간을 형성하는 고정부; 및 상기 고정부와 결합되며, 상기 삽입구에 일부가 삽입되는 이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부는, 상기 배치 공간 내에 배치되어 상기 케이스부로 외력이 인가되도록 하는 외력인가부;를 구비하는, 사물함 손잡이 일 수 있다.

Description

사물함 손잡이{Handle device for cabinet}
본 발명은 사물함의 개폐를 구현하는 사물함 손잡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사물함의 본체 및 도어에 설치되어, 도어를 개폐하는 손잡이의 기능을 구현할 뿐만 아니라, 외력에 의해 일부가 사물함 내부 및 외부로 위치 이동되어 자물쇠와 결합될 수 있는 사물함 손잡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물함(캐비닛)은 학교나 사무실, 헬스클럽, 지하철 등 많은 사람이 사용하는 장소에서 사용자의 편의를 위해 소지하는 물품을 일정한 기간 동안 보관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물품이 보관되는 수납공간이 구비된 함체 및 함체의 전면에 힌지 결합되어 수납공간을 개폐시키는 도어를 포함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도어 및 함체에는 수납 공간 내 물품의 도난 및 훼손 방지를 위해 잠금 장치가 더 설치되어 있으며, 필요에 따라 도어의 전면에 개인 이름표를 수납할 수 있는 명찰 꽂이가 설치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종래에 사용되고 있는 사물함, 특히, 초, 중, 고등학교에서 사용되고 있는 사물함은 원가절감 때문에 손잡이와 자물쇠에 의해 도어의 개폐 및 잠금이 이루어지도록 즉, 자물쇠 고리가 손잡이 기능을 구비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사물함은 자물쇠 고리가 사물함의 본체 및 도어에 고정설치되어 있어, 도어가 열리면 도어측에 설치된 자물쇠 고리가 돌출된 상태로 있게 되므로 사용자 또는 주변 보행자가 돌출된 자물쇠 고리에 부딪혀 상해를 입거나 옷 등이 손상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종래 사물함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최근에는 자물쇠 고리가 내측으로 매립되는 사물함 손잡이가 개발되고 있으나, 상기와 같은 사물함 손잡이는 랙과 피니언 방식 또는 탄성 스프링방식에 의해 도어의 개방 시, 자물쇠 고리가 도어 내부로 이동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랙/피니언 방식의 경우, 랙과 피니언의 기어를 여러개 제작해야 하므로, 금형제작비가 증가되고, 랙/피니언의 기어조립 및 부품수의 증가로 이하여 조립성이 저하될 뿐 아니라, 유지보수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탄성 스프링방식의 경우, 도어 개방을 위한 손잡이의 작동 시, 손잡이와 연동되도록 스프링이 설치되고, 상기 스프링에 연동되도록 자물쇠 고리가 설치되어야 하므로, 손잡이와 스프링 및 자물쇠 고리가 다수의 부품에 의해 연동되도록 설치되어 있어, 그 구조가 복잡하고 작동성이 떨어지며 고장 발생의 우려가 증가될 뿐 아니라, 장기간 사용시 스프링의 탄성력 저하로 인해 제품 신뢰도가 저하되는 등 여러가지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519982 B1호(2023.04.05)에서는 도어 잠금 장치와 이를 구비한 사물함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내부에 샤프트 및 캠을 구비한다는 점에서 부품수의 증가로 인해 제조 단가가 상승하고, 외부 충격에 의해 도어 잠금 장치가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외부 충격에 의한 손잡이의 파손을 방지하며, 외력에 의해 자물쇠와 결합되는 부분이 손잡이 내로 위치 이동되어 손잡이 외부로 돌출되지 않아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사물함 손잡이를 제공하고자 함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가 상술한 과제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언급되지 아니한 과제들은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물함 손잡이는 사물함의 본체 및 도어에 설치되어 도어를 개폐하는 손잡이의 기능을 구현할 뿐만 아니라, 외력에 의해 일부가 사물함 내부 및 외부로 위치 이동되어 자물쇠와 결합될 수 있는 사물함 손잡이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도어에 설치되되, 삽입구를 형성하는 케이스부; 상기 사물함 내에 설치되며 내부에 배치 공간을 형성하는 고정부; 및 상기 고정부와 결합되며, 상기 삽입구에 일부가 삽입되는 이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부는, 상기 배치 공간 내에 배치되어 상기 케이스부로 외력이 인가되도록 하는 외력인가부;를 구비하는, 사물함 손잡이 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물함 손잡이에 의하면, 외력에 의해 자물쇠와 결합되는 이동부의 위치 이동이 구현됨으로써, 자물쇠 및 이동부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여, 접촉에 의한 안전사고를 미연에 예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물함 손잡이에 의하면, 도어의 폐쇄 시, 완충부에 의해 도어의 회전력이 저감되도록 하여, 사물함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효과가 상술한 효과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언급되지 아니한 효과들은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물함 손잡이가 도어의 개폐 시, 사물함에 결합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물함 손잡이를 구성하는 고정부, 커버부, 이동부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물함 손잡이의 구성 요소인 완충부 및 돌출부가 도어의 폐쇄 시, 접촉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물함 손잡이의 구성 요소인 이동부가 제1 위치 및 제2 위치 사이에서 외력에 의한 위치 이동이 구현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물함 손잡이의 구성 요소인 외력인가부, 돌출부 및 완충부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물함 손잡이의 구성 요소인 외력인가부, 돌출부 및 완충부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확대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물함 손잡이의 구성 요소인 이동부 및 외력인가부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 변경, 삭제 등을 통하여,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원 발명 사상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물함 손잡이는 사물함의 본체 및 도어에 설치되어 도어를 개폐하는 손잡이의 기능을 구현할 뿐만 아니라, 외력에 의해 일부가 사물함 내부 및 외부로 위치 이동되어 자물쇠와 결합될 수 있는 사물함 손잡이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도어에 설치되되, 삽입구를 형성하는 케이스부; 상기 사물함 내에 설치되며 내부에 배치 공간을 형성하는 고정부; 및 상기 고정부와 결합되며, 상기 삽입구에 일부가 삽입되는 이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부는, 상기 배치 공간 내에 배치되어 상기 케이스부로 외력이 인가되도록 하는 외력인가부;를 구비하는, 사물함 손잡이 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부는, 상기 배치 공간과 연통되는 연통구를 형성하며, 상기 배치 공간에 배치되되, 일부가 상기 연통구로 노출되어 상기 케이스부와 접촉되는 완충부;를 더 구비하는, 사물함 손잡이 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완충부는, 상기 외력인가부가 형성하는 관통구에 삽입되되, 일부가 상기 연통구로 노출되는, 사물함 손잡이 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케이스부는, 상기 완충부와 대응되는 위치에 돌출부를 형성하여, 상기 외력인가부로부터 외력을 인가 받는, 사물함 손잡이 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부는, 상기 케이스부의 폭 방향을 기준으로, 외력에 의해 상기 케이스부의 외부로 노출되는 제1 위치 및 상기 케이스부의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 제2 위치 사이에서 위치 이동 되는, 사물함 손잡이 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외력인가부는, 상기 케이스부의 폭 방향과 수직한 방향인 길이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이동부와 이격되되, 적어도 일부가 오버랩되도록 배치되어, 상기 이동부로 외력을 인가하는, 사물함 손잡이 일 수 있다.
각 실시예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의 기능이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1의 (a) 내지 (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물함 손잡이가 도어의 개폐 시, 사물함에 결합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물함 손잡이를 구성하는 고정부, 커버부, 이동부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물함 손잡이의 구성 요소인 완충부 및 돌출부가 도어의 폐쇄 시, 접촉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4의 (a) 내지 (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물함 손잡이의 구성 요소인 이동부가 제1 위치 및 제2 위치 사이에서 외력에 의해 위치 이동이 구현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물함 손잡이의 구성 요소인 외력인가부, 돌출부 및 완충부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물함 손잡이의 구성 요소인 외력인가부, 돌출부 및 완충부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물함 손잡이의 구성 요소인 이동부 및 외력인가부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보다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관련성이 떨어지거나 당업자로부터 용이하게 도출될 수 있는 부분은 간략화 하거나 생략하였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물함(캐비닛, Cabinet) 손잡이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겠다.
우선 방향에 대한 용어를 정의하자면, 도 2에서 볼 수 있듯이, X 방향은 케이스부의 폭 방향을 의미할 수 있으며, Y 방향은 케이스부의 길이 방향을 의미할 수 있고, Z 방향은 케이스부의 높이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물함 손잡이(10)는 일례로 도 1의 (a)에서 볼 수 있듯이, 사물함(C)에 설치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상기 사물함 손잡이(10)를 통해 사물함을 구성하는 도어(D)의 개폐를 구현할 수 있다.
상기 사물함 손잡이(10)는 도 1의 (b)에서 볼 수 있듯이, 사물함(C) 내부에 설치되는 고정부(1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부(100)는 도 2에서 볼 수 있듯이, 복수의 결합구(S7)를 형성할 수 있으며, 볼트, 피스와 같은 체결부재를 통해 사물함 본체 내에서 사물함(C)과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사물함 손잡이(10)는 도1의 (a) 내지 (b)에서 볼 수 있듯이, 사물함의 도어(D)에 설치되되, 삽입구(S2)를 형성하는 케이스부(200) 및 상기 고정부(100)와 결합되되, 도어(D)의 폐쇄 시, 상기 삽입구(S2)에 일부가 삽입되는 이동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물함 손잡이(10)는 사물함의 도어가 폐쇄된 상태인 경우, 도 1의 (a)와 같이, 상기 이동부(300)가 상기 케이스부(200)의 삽입구(S2)에 일부가 삽입되며, 사물함의 도어가 개방된 상태인 경우, 도 1의 (b)와 같이, 상기 이동부(300)가 상기 케이스부(200)로부터 인출될 수 있게 된다.
결과적으로, 도 2에서 볼 수 있듯이, 도어(D)의 개방 또는 폐쇄 위치에 따라, 상기 이동부(300)는 상기 케이스부(200)가 형성하는 삽입구(S2) 내로 일부가 삽입되거나 인출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1에서 볼 수 있듯이, 사용자는 상기 케이스부(200)가 형성하는 내부 공간(S1)에 손가락을 삽입하고, 상기 케이스부(200)로 외력을 인가하여 도어를 회전되도록 함으로써, 사물함(C)의 개폐를 구현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고정부(100)는 내부에 이동 공간(S3)을 형성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이동부(300)는 상기 케이스부의 폭 방향을 기준으로 외력에 의해 위치 이동 될 수 있다.
이를 보다 자세히 설명하자면, 도 2에서 볼 수 있듯이, 상기 이동부(300)는 일부가 상기 고정부(100)에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고정부(100)가 형성하는 이동 공간(S3) 상에 일부가 배치되어, 상기 이동 공간(S3)상에서 외력에 의해 폭 방향을 기준으로 위치 이동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이동부(300)는 도 4의 (a)와 같이 상기 케이스부의 폭 방향을 기준으로, 외력에 의해 상기 케이스부의 외부로 노출되는 제1 위치 및 도 4의 (b)와 같이 상기 케이스부의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 제2 위치 사이에서 외력에 의해 위치 이동 될 수 있다.
그 결과, 사용자는 상기 내부 공간(S1)을 통해 상기 이동부(300)의 노출된 부분으로 외력을 인가하여, 상기 이동부(300)의 제1 위치 및 제2 위치 사이에서 위치 이동을 구현할 수 있게 된다.
즉, 사용자는 도어(D)를 폐쇄한 상태에서, 이동부(300)가 형성하는 결합 공간(S8)을 통해, 자물쇠(미 도시)가 결합되도록 하고, 자물쇠가 결합된 후, 상기 이동부(300)가 상기 제2 위치에 위치 되도록 위치 이동을 구현함으로써, 자물쇠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고 상기 내부 공간(S1) 상에 위치되도록 한다.
이에 따라, 상기 이동부(300) 및 자물쇠는 외부로 노출되지 않기 때문에, 접촉에 의한 안전 사고를 미연에 예방할 수 있게 되며, 외력에 의한 사물함 손잡이 즉, 상기 이동부(300)의 파손을 방지하게 된다.
다만, 상기 고정부(100)는 도 2와 같이, 상기 이동 공간(S3) 상에, 복수의 돌기(130)를 형성하여, 의도치 않은 외력에 의한 이동부(300)의 위치 이동을 제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고정부(100)는 도 5에서 볼 수 있듯이, 내부에 배치 공간(S4)을 형성할 수 있으며, 상기 케이스부(200)로 외력, 즉 인력이 인가되도록 하는 외력인가부(1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외력인가부(110)는 일례로 자석일 수 있으며, 상기 케이스부(200)로 외력을 인가할 수 있는 구성은 모두 가능하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도어(D)의 폐쇄 시, 상기 외력인가부(110)가 상기 케이스부(200)로 인력이 인가되도록 하여, 보다 적은 힘으로 보다 편리하게 도어(D)를 폐쇄할 수 있게 되며, 도어(D)에 자물쇠가 결합되지 않더라도 도어(D)의 개방 시, 일정 크기 이상의 힘이 인가될 경우 도어(D)가 개방 되도록 함으로써, 의도치 않은 외력에 의한 도어(D)의 개방이 방지되도록 한다.
이를 구현하기 위해, 상기 케이스부(200) 또는 상기 케이스부(200)를 구성하는 구성 요소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고정부(100)는 도 5 및 도 6에서 볼 수 있듯이, 상기 배치 공간(S4)과 연통되는 연통구(S5)를 형성할 수 있으며, 상기 배치 공간(S4)에 배치되되, 일부가 상기 연통구(S5)를 통해 노출되는 완충부(12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완충부(120)는 일례로, 고무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도 5에서 볼 수 있듯이, 상기 도어(D)가 폐쇄된 상태인 경우, 상기 케이스부(200)와 접촉됨으로써, 상기 케이스부(200)와 상기 고정부(100)간의 접촉을 방지하게 된다.
즉, 상기 완충부(120)는 상기 도어(D)가 폐쇄될 경우, 상기 케이스부(200)와 우선하여 접촉됨으로써, 상기 케이스부(200)로부터 인가되는 외력을 흡수하여, 상기 고정부(100)의 파손을 미연에 방지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완충부(120)는 상기 외력인가부(110)가 형성하는 관통구(S6)에 삽입되되, 일부가 상기 연통구(S5)로 노출될 수 있다.
이를 보다 자세히 설명하자면, 도 6에서 볼 수 있듯이, 상기 완충부(120)는 상기 외력인가부(110)가 형성하는 관통구(S6)에 삽입되어 상기 배치 공간(S4) 상에 배치될 수 있으며, 일부는 상기 배치 공간(S4)과 연통되는 연통구(S5)를 통해 외부로 노출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완충부(120)는 상기 도어(D)가 폐쇄될 경우, 상기 케이스부(200)와 접촉하더라도, 상기 외력인가부(110)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배치 공간(S4)상에서 충격에 의한 이탈이 방지될 수 있게 된다.
다시 말하면, 상기 외력인가부(110)는 상기 관통구(S6)를 형성하며, 상기 완충부(120)가 상기 관통구(S6)를 통해 삽입됨으로써, 상기 완충부(120)의 일부를 포위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도어(D)가 폐쇄될 경우, 상기 완충부(120)는 상기 케이스부(200)와 접촉하여, 외력을 인가받더라도, 상기 외력인가부(110)에 삽입 배치됨으로써, 충격에 의한 상기 완충부(120)의 폭 방향으로의 이탈이 방지될 수 있게 됨과 동시에, 상기 케이스부(200)로부터 인가된 외력을 상기 외력인가부(110)로 분산되도록 하여, 상기 완충부(120) 자체의 외력에 의한 파손이 방지되도록 한다.
나아가, 상기 완충부(120)는 상기 연통구(S5)를 통해 일부가 노출되고, 노출된 부분을 통해 상기 케이스부(200)와 접촉됨으로써, 상기 외력인가부(110)가 상기 케이스부(200)로 인가하는 외력, 즉 인력의 크기를 제한하게 된다.
이를 보다 자세히 설명하자면, 상기 사물함 손잡이(10)는 상기 완충부(120)의 일부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하고, 노출된 부분을 통해 상기 케이스부(200)와 상기 완충부(120)의 접촉이 우선하여 구현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폭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케이스부(200)와 상기 외력인가부(110) 간의 거리를 제한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케이스부(200)는 상기 외력인가부(110)로부터 제한된 인력을 인가받도록 함으로써, 상기 도어(D)가 폐쇄 될 경우, 상기 케이스부(200)로부터 상기 완충부(120)로 인가되는 외력의 크기가 제한되도록 하여, 외력에 의한 상기 고정부(100)의 파손이 방지되도록 한다.
한편, 상기 케이스부(200)는 도 5에서 볼 수 있듯이, 상기 폭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완충부(210)와 대응되는 위치, 즉, 상기 폭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완충부(210)와 적어도 일부가 오버랩되는 위치에 금속 재질의 돌출부(210)를 형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외력인가부(110)는 상기 돌출부(210)를 통해 상기 케이스부(200)로의 외력, 즉 인력을 보다 효과적으로 인가하게 된다.
상기 돌출부(210)는 일례로, 도어(D)와의 체결을 위한 볼트일 수 있으며, 상기 외력인가부(110)로부터 외력, 즉 인력을 인가 받을 수 있는 금속 재질은 모두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완충부(120)는 도어(D)가 폐쇄될 경우, 도 6에서 볼 수 있듯이, 상기 완충부(120)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상기 돌출부(210)와 접촉될 수 있으므로, 상기 돌출부(210)로부터 상기 폭 방향의 외력을 인가 받게 되더라도, 상기 외력인가부(110)에 의해 일부가 포위됨으로써, 상기 완충부(120)의 이탈 또는 파손이 방지될 수 있게 된다.
다만, 도 6과 같이 상기 완충부(120)는 상기 배치 공간(S4)에 배치될 경우, 상기 고정부를 구성하는 부재에 의해 일면이 접촉되어 상기 완충부(120)의 폭 방향으로의 위치 이동이 제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상기 외력인가부(110)는 도 7에서 볼 수 있듯이, 상기 케이스부의 폭 방향과 수직한 방향인 길이 방향(Y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이동부(300)와 이격되되, 적어도 일부가 오버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외력인가부(110)는 상기 이동부(300)로 화살표 방향, 즉 길이 방향으로의 인력을 인가 할 수 있게 된다.
그 결과 상기 이동부(300)는 상기 외력인가부(110)가 인가하는 인력에 의해 편심, 즉 비틀림 외력이 발생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이동부(300)는 폭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 위치 내지 상기 제2 위치 사이를 위치 이동할 경우, 사용자가 인가하는 외력이 아닌 의도치 않은 외력에 의해 위치 이동되는 것이 제한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이동부(300)는 상기 고정부(100)가 형성하는 돌기(130)에 의해 폭 방향으로의 위치 이동이 1차적으로 제한되고, 상기 외력인가부(110)로부터 인가 받는 외력에 의한 비틀림 외력에 의해, 위치 이동이 2차적으로 제한된다.
이에 따라, 상기 사물함 손잡이(10)는 상기 이동부(300)와 자물쇠 간의 결합이 이루어지지 않고, 상기 이동부(300)가 상기 케이스부의 외측으로 노출되지 않는 제2 위치에 위치된 경우, 의도치 않은 외력, 또는 외부 접촉에 의한 외력이 사물함(C)에 인가되더라도, 상기 이동부(300)의 위치 이동을 제한한다.
이에 따라, 상기 이동부(300)는 의도치 않은 외력에 의해, 상기 케이스부 외측으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여, 상기 이동부(300)의 외부 노출에 의한 접촉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다만, 이를 구현하기 위해, 상기 이동부(300) 또한 금속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구성과 특징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따라서 이와 같은 변경 또는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을 밝혀둔다.
또한, 상술한 사물함 손잡이(10)가 설치된 가구는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에 포함될 수 있음은 당업자의 입장에서 자명하다 할 것이다.
10: 사물함 손잡이
100: 고정부
110: 외력인가부, 120: 완충부, 130: 돌기
200: 케이스부
210: 돌출부
300: 이동부
S1: 내부 공간, S2: 삽입구
S3: 이동 공간, S4: 배치 공간
S5: 연통구, S6: 관통구
S7: 결합구, S8: 결합 공간

Claims (7)

  1. 사물함에 결합되어 도어의 개폐를 구현하는 사물함 손잡이에 있어서,
    상기 도어에 설치되되, 삽입구를 형성하는 케이스부;
    상기 사물함 내에 설치되며 내부에 배치 공간을 형성하는 고정부; 및
    상기 고정부와 결합되며, 상기 삽입구에 일부가 삽입되는 이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부는,
    상기 배치 공간 내에 배치되어 상기 케이스부로 인력이 인가되도록 하는 외력인가부;를 구비하며,
    상기 고정부는,
    상기 배치 공간과 연통되는 연통구를 형성하며,
    상기 배치 공간에 배치되되, 일부가 상기 연통구로 노출되어 상기 케이스부와 접촉되는 완충부;를 더 구비하는,
    사물함 손잡이.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부는,
    상기 외력인가부가 형성하는 관통구에 삽입되되, 일부가 상기 연통구로 노출되는,
    사물함 손잡이.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부는,
    상기 완충부와 대응되는 위치에 돌출부를 형성하여, 상기 외력인가부로부터 외력을 인가 받는,
    사물함 손잡이.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는,
    상기 케이스부의 폭 방향을 기준으로, 외력에 의해 상기 케이스부의 외부로 노출되는 제1 위치 및 상기 케이스부의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 제2 위치 사이에서 위치 이동 되는,
    사물함 손잡이.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력인가부는,
    상기 케이스부의 폭 방향과 수직한 방향인 길이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이동부와 이격되되, 적어도 일부가 오버랩되도록 배치되어 상기 이동부로 외력을 인가하는,
    사물함 손잡이.
  7. 제1항, 제3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상기 사물함 손잡이가 설치된 가구.

KR1020230106012A 2023-08-14 2023-08-14 사물함 손잡이 KR1026201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06012A KR102620182B1 (ko) 2023-08-14 2023-08-14 사물함 손잡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06012A KR102620182B1 (ko) 2023-08-14 2023-08-14 사물함 손잡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20182B1 true KR102620182B1 (ko) 2024-01-02

Family

ID=895119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06012A KR102620182B1 (ko) 2023-08-14 2023-08-14 사물함 손잡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20182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445Y1 (ko) * 2000-06-07 2000-10-16 박혁구 학생용 사물함의 자물쇠걸고리
KR200327460Y1 (ko) * 2003-06-19 2003-09-22 전현숙 사물함의 잠금고리 구조
KR20040065599A (ko) * 2003-01-15 2004-07-23 주식회사 한국교구 사물함의 잠금장치
KR100608457B1 (ko) * 2005-12-06 2006-08-02 오금애 사물함
KR200445240Y1 (ko) * 2009-04-15 2009-07-10 주식회사 시그너스 잠금보조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445Y1 (ko) * 2000-06-07 2000-10-16 박혁구 학생용 사물함의 자물쇠걸고리
KR20040065599A (ko) * 2003-01-15 2004-07-23 주식회사 한국교구 사물함의 잠금장치
KR200327460Y1 (ko) * 2003-06-19 2003-09-22 전현숙 사물함의 잠금고리 구조
KR100608457B1 (ko) * 2005-12-06 2006-08-02 오금애 사물함
KR200445240Y1 (ko) * 2009-04-15 2009-07-10 주식회사 시그너스 잠금보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28636B2 (en) Handgun mini-vault
US9689605B2 (en) Refrigerator
US7389878B1 (en) Protective enclosure for an electronic data storage device
CN102085936B (zh) 保险匣
US6467316B1 (en) Protective sleeve for a padlock
GB2325862A (en) Hinged Protective Cover For A Golf Club
US9717335B2 (en) Drawer stop mechanism for sliding drawer
US8740319B1 (en) Recessed ganging lock and storage cabinet therewith
GB2325861A (en) Hinged Golf Club Cover
KR102620182B1 (ko) 사물함 손잡이
KR20150086756A (ko) 사물함용 잠금장치
TW201905307A (zh) 用於組件總成的震動驅動裝置
CN106562588B (zh) 隐藏式抽屉柜
KR102243060B1 (ko) 경첩 및 이를 포함하는 가구
KR101047040B1 (ko) 전자교탁시스템
US9810002B2 (en) Rotary cable latch
KR20140114122A (ko) 손 끼임 방지 여닫이 문
KR200367685Y1 (ko) 사물함의 도어 프레임 걸림장치
DE19859306A1 (de) Kofferschloß
KR102410129B1 (ko) 손끼임 방지 장치
KR102622537B1 (ko) 사물함 손가락 안전장치
KR200362804Y1 (ko) 손잡이를 구비한 사물함용 잠금장치
KR102588288B1 (ko) 금고도어 및 이를 포함하는 금고
KR102593128B1 (ko) 가구 도어의 양방향 개폐 장치
KR102145729B1 (ko) 수납가구용 잠금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