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19302B1 - 휴대 단말기와 연동하여 트래킹 기능을 제공하는 단말기 거치대 - Google Patents

휴대 단말기와 연동하여 트래킹 기능을 제공하는 단말기 거치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19302B1
KR102619302B1 KR1020230019863A KR20230019863A KR102619302B1 KR 102619302 B1 KR102619302 B1 KR 102619302B1 KR 1020230019863 A KR1020230019863 A KR 1020230019863A KR 20230019863 A KR20230019863 A KR 20230019863A KR 102619302 B1 KR102619302 B1 KR 1026193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ject
terminal
portable terminal
front image
proces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198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25845A (ko
Inventor
김켄
정지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쓰리아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쓰리아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쓰리아이
Priority to KR10202300198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19302B1/ko
Publication of KR202300258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258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93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9302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02Heads
    • F16M11/18Heads with mechanism for moving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2011/002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for portable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s, e.g. mobile phone, pager, beeper, PDA, smart phon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기술적 측면에 따른 단말기 거치대는, 휴대 단말기가 거치되고, 상기 휴대 단말기의 전방 방향을 변경하도록 회전 구동하는 회전부 및 상기 휴대 단말기와 통신 연결되고, 상기 휴대 단말기로부터 제공된 제어 신호를 기초로 상기 회전부를 회전 구동 시키는 본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휴대 단말기는, 상기 전방 방향에 대하여 촬영된 전방 영상에서 피사체를 감지하고, 감지된 상기 피사체의 이동에 대응하여 상기 휴대 단말기의 전방이 상기 피사체를 추종하도록 상기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전방 영상 내에서의 상기 피사체의 위치와 상기 전방 영상 내에서 미리 설정된 중앙부 간의 거리를 반영하여 상기 회전부의 회전 구동 속도를 설정 할 수 있다.

Description

휴대 단말기와 연동하여 트래킹 기능을 제공하는 단말기 거치대 {Mobile terminal cradle providing tracking function in conjuction with mobile terminal}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와 연동하여 트래킹 기능을 제공하는 단말기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전자 및 통신 기술의 발전에 따라 휴대 단말기의 성능 및 기능 또한 발전되고 있으며, 예컨대, 휴대 단말기는 원거리 내지 근거리 무선 통신 기능 외에도 카메라 기능, 저장 기능 등이 발전하게 되었다. 그에 따라, 기존의 카메라나 캠코더의 기능을, 하나의 휴대 단말기를 이용하여 활용할 수 있게 되었다.
이러한 휴대 단말기를 이용하여 영상 등을 촬영하는 경우, 사람이 직접 휴대 단말기를 조작하여 찍거나, 삼발이 등의 고정장치에 휴대 단말기를 고정하여 촬영한다.
그러나, 사람이 직접 찍는 경우, 카메라의 촬상 방향을 이동하는 등 자유롭게 촬영이 가능하나, 사람이 고정함에 따라 흔들림 등이 유발되는 한계가 있다. 한편, 삼발이 등의 고정장치를 이용하는 경우, 특정 앵글에서의 촬영 만 가능한 점에서 한계가 있다.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21-0042002호
본 발명의 일 기술적 측면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문서에 개시되는 실시 예에 따르면, 휴대 단말기는 단말기 거치대의 구동을 제어하여 피사체가 이동하는 상황에서도 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기술적 측면은 휴대 단말기와 연동하여 트래킹 기능을 제공하는 단말기 거치대를 제안한다. 상기 단말기 거치대는, 상기 휴대 단말기가 거치되고, 상기 휴대 단말기의 전방 방향을 변경하도록 회전 구동하는 회전부 및 상기 휴대 단말기와 통신 연결되고, 상기 휴대 단말기로부터 제공된 제어 신호를 기초로 상기 회전부를 회전 구동 시키는 본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휴대 단말기는, 상기 전방 방향에 대하여 촬영된 전방 영상에서 피사체를 감지하고, 감지된 상기 피사체의 이동에 대응하여 상기 휴대 단말기의 전방이 상기 피사체를 추종하도록 상기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전방 영상 내에서의 상기 피사체의 위치와 상기 전방 영상 내에서 미리 설정된 중앙부 간의 거리를 반영하여 상기 회전부의 회전 구동 속도를 설정 할 수 있다.
상기한 과제의 해결 수단은, 본 발명의 특징을 모두 열거한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과제 해결을 위한 다양한 수단들은 이하의 상세한 설명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되는 일 실시예에 따르면, 휴대 단말기는 단말기 거치대의 구동을 제어하여, 피사체가 이동하는 상황에서도 휴대 단말기가 이동하는 피사체를 추적하여 지향하게 되므로, 사용자의 간섭 없이도 이동하는 피사체에 대한 촬영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문서에 개시되는 실시예에 따르면, 피사체의 위치 감지 및 추적을 효율적이고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문서에 개시되는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 거치대 및 단말기 거치대와 연동하는 휴대 단말기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문서에 개시되는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 거치대를 설명하는 블록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문서에 개시되는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를 설명하는 블록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문서에 개시되는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에서 수행되는 단말기 거치대의 제어 방법의 일 예를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5 내지 도 7은 도 4에 도시된 단말기 거치대의 제어 방법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8은 본 문서에 개시되는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에서 수행되는 단말기 거치대의 제어 방법의 다른 예를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9 내지 도 12는 도 8에 도시된 단말기 거치대의 제어 방법의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13은 본 문서에 개시되는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에서 수행되는 단말기 거치대의 제어 방법의 또 다른 예를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14는 도 13에 도시된 단말기 거치대의 제어 방법의 또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들을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 예들 및 이에 사용된 용어들은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적 특징들을 특정한 실시 예들로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해당 실시 예의 다양한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또는 관련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아이템에 대응하는 명사의 단수 형은 관련된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지시하지 않는 한, 상기 아이템 한 개 또는 복수 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A 또는 B", "A 및 B 중 적어도 하나","A 또는 B 중 적어도 하나", "A, B 또는 C", "A, B 및 C 중 적어도 하나" 및 "A, B, 또는 C 중 적어도 하나"와 같은 문구들 각각은 그 문구들 중 해당하는 문구에 함께 나열된 항목들 중 어느 하나, 또는 그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제 2", 또는 "첫째" 또는 "둘째"와 같은 용어들은 단순히 해당 구성요소를 다른 해당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으며, 해당 구성요소들을 다른 측면(예를 들어, 중요성 또는 순서)에서 한정하지 않는다. 어떤(예를 들어, 제 1) 구성요소가 다른(예를 들어, 제 2) 구성요소에, "기능적으로" 또는 "통신적으로"라는 용어와 함께 또는 이런 용어 없이, "커플드", "커넥티드" 또는 "연결된" 이라고 언급된 경우, 그것은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또는 제 3 구성요소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용어 "모듈"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로 구현된 유닛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로직, 논리 블록, 부품, 또는 회로 등의 용어와 상호 호환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모듈은, 일체로 구성된 부품 또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는, 상기 부품의 최소 단위 또는 그 일부가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모듈은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 예들은 기기(machine)(예를 들어, 휴대 단말기(200))에 의해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storage medium)(예를 들어, 메모리(240))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소프트웨어(예를 들어, 프로그램)로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기기(예를 들어, 휴대 단말기(200))의 프로세서(예를 들어, 프로세서(260))는, 저장 매체로부터 저장된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 중 적어도 하나의 명령을 호출하고, 그것을 실행할 수 있다. 이것은 기기가 상기 호출된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운영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은 컴파일러에 의해 생성된 코드 또는 인터프리터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 는, 비일시적(non-transitory) 저장매체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비일시적'은 저장매체가 실재(tangible)하는 장치이고, 신호(signal)(예를 들어, 전자기파)를 포함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할 뿐이며, 이 용어는 데이터가 저장매체에 반영구적으로 저장되는 경우와 임시적으로 저장되는 경우를 구분하지 않는다.
실시 예에 따르면,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방법은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computer program product)에 포함되어 제공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상품으로서 판매자 및 구매자 간에 거래 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예를 들어, compact disc read only memory (CDROM))의 형태로 배포되거나, 또는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예를 들어, 플레이 스토어™)를 통해 또는 두개의 사용자 장치들(예를 들어, 스마트폰들) 간에 직접, 온라인으로 배포(예를 들어, 다운로드 또는 업로드)될 수 있다. 온라인 배포의 경우에,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의 적어도 일부는 제조사의 서버,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의 서버, 또는 중계 서버의 메모리와 같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적어도 일시 저장되거나, 임시적으로 생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상기 기술한 구성요소들의 각각의 구성요소(예를 들어, 모듈 또는 프로그램)는 단수 또는 복수의 개체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전술한 해당 구성요소들 중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들 또는 동작들이 생략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들 또는 동작들이 추가될 수 있다. 대체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복수의 구성요소들(예를 들어, 모듈 또는 프로그램)은 하나의 구성요소로 통합될 수 있다. 이런 경우, 통합된 구성요소는 상기 복수의 구성요소들 각각의 구성요소의 하나 이상의 기능들을 상기 통합 이전에 상기 복수의 구성요소들 중 해당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것과 동일 또는 유사하게 수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모듈, 프로그램 또는 다른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들은 순차적으로, 병렬적으로, 반복적으로, 또는 휴리스틱하게 실행되거나, 상기 동작들 중 하나 이상이 다른 순서로 실행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다른 동작들이 추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설명하기 위하여 다양한 순서도가 개시되고 있으나, 이는 각 단계의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으로, 반드시 순서도의 순서에 따라 각 단계가 수행되는 것은 아니다. 즉, 순서도에서의 각 단계는, 서로 동시에 수행되거나, 순서도에 따른 순서대로 수행되거나, 또는 순서도에서의 순서와 반대의 순서로도 수행될 수 있다.
도 1은 본 문서에 개시되는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 거치대 및 단말기 거치대와 연동하는 휴대 단말기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단말기 거치대(100) 및 단말기 거치대와 연동하는 휴대 단말기(200)가 도시된다.
단말기 거치대(100)는 휴대 단말기(200)가 거치되는 장치로서, 휴대 단말기(200)와 연동하여, 예컨대, 휴대 단말기(200)로부터 제공된 제어 신호에 따라 구동하여 휴대 단말기(200)의 촬영 방향(이하, '전방'이라 함)을 변경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단말기 거치대(100)가 수평 방향으로 회전하여 휴대 단말기(200)의 촬영 방향, 즉, 전방을 수평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하나,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으로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단말기 거치대(100)는 거치된 휴대 단말기(200)를 상하 방향으로 틸팅 하거나, 수평 회전(패닝)과 수직 회전(틸팅)을 함께 할 수도 있다.
휴대 단말기(200)는 전방 영상에서 피사체를 감지하고, 피사체의 이동에도 휴대 단말기(200)의 전방이 계속 피사체를 향하도록 하기 위하여, 단말기 거치대(100)의 구동을 제어한다.
즉, 휴대 단말기(200)는 촬영 중인 전방 영상에서 피사체를 감지하고, 피사체의 이동에 대응하여 휴대 단말기(200)의 전방이 피사체를 추종하도록 단말기 거치대(100)의 구동을 제어한다.
휴대 단말기(200)는 사용자가 휴대 가능한 전자 기기로서, 예를 들어,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슬레이트 PC(slate PC), 태블릿 PC(tablet PC), 울트라북(ultrabook),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예를들어, 워치형 단말기 (smartwatch), 글래스형 단말기 (smart glass), HMD(head mounted display)) 등을 포괄한다. 휴대 단말기(200)에 대해서는, 도 3 내지 도 14을 참조하여 이하에서 후술한다.
도 2는 본 문서에 개시되는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 거치대를 설명하는 블록 구성도이다. 도 1 및 도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 거치대(100)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단말기 거치대(100)는 회전부(110) 및 본체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회전부(110)에는 휴대 단말기(200)가 거치되고, 모터부(121)의 동작에 의하여 회전될 수 있다. 회전부(110)의 회전에 따라 휴대 단말기(200)의 전방이 변경될 수 있다. 또한, 회전부(110)의 회전 방향 및 회전 속도는 모터부(121)의 구동 제어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일 예로, 회전부(110)는 고정대, 조이개 및 회전대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대, 및 조이개는 회전대 상에 배치될 수 있다. 고정대와 조이개는 휴대 단말기(200)를 고정할 수 있다. 사용자는 고정대와 조이개 사이에 휴대 단말기(200)를 위치시킨 뒤, 조이개를 조이도록 함으로써 휴대 단말기(200)가 흔들리지 않도록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회전대는 모터부(121)의 동작에 따라 회전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회전대는 모터부(121)와 구동 연결될 수 있다.
본체부(120)는 모터부(121), 제어부(122) 및 통신부(123)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22)는 본체부(120)의 구성요소들을 제어하여 단말기 거치대(1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통신부(123)는 휴대 단말기(200)와 통신 연결을 수행하고, 휴대 단말기(200)로부터 단말기 거치대(100)를 구동시키기 위한 제어 신호를 제공받을 수 있다. 일 예로, 통신부(123)는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 또는 유선 통신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휴대 단말기(200)와 통신 연결을 형성할 수 있다.
제어부(122)는 통신부(123)를 통하여 수신된 제어 신호에 대응하여, 모터부(121)를 구동하여, 회전부(110)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휴대 단말기(200)에서 단말기 거치대(100)로 보내는 제어 신호를, 단말기 거치대(100)의 구동 -일 예로, 수평 방향의 회전 동작- 에 관한 제어 신호로 설명하나,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으로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실시예에 따라, 휴대 단말기(200)에서 단말기 거치대(100)로 보내는 제어 신호는, 단말기 거치대(100)의 회전부(110)의 회전 구동에 대한 제어 외에도, 단말기 거치대(100)의 전원 온/오프, 무선 링크 형성 요청, 인증, 배터리 잔량 표시 등에 대한 제어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본 문서에 개시되는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를 설명하는 블록 구성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휴대 단말기(200)는 통신부(210), 카메라부(220), 출력부(230), 메모리(240), 전원 공급부(250) 및 프로세서(260)를 포함한다. 도 3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은 휴대 단말기를 구현하는데 있어서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본 명세서 상에서 설명되는 휴대 단말기는 위에서 열거된 구성요소들 보다 많거나, 또는 적은 구성요소들을 가질 수 있다.
통신부(210)는, 휴대 단말기(2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휴대 단말기(200)와 다른 휴대 단말기(200) 사이, 또는 휴대 단말기(200)와 단말기 거치대(100) 사이의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통신부(210)는, 이동통신 모듈(211), 무선 인터넷 모듈(212) 및 근거리 통신모듈(213)을 포함할 수 있다. 근거리 통신모듈(213)은 유선 또는 무선으로 단말기 거치대(100)과 통신 연결을 수행할 수 있다. 예컨대, 근거리 통신모듈(213)은 블루투스 등의 근거리 무선통신 모듈 또는 RS232와 같은 유선 통신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부(220)는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를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부(220)는 하나 이상의 렌즈들, 이미지 센서들,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들, 또는 플래시들을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부(220)는 제1 카메라(221) 내지 제2 카메라(22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카메라(221) 또는 제2 카메라(222)는 휴대 단말기(200)의 전방 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출력부(23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디스플레이부(231) 및 음향 출력부(152)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31)는 터치 센서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거나 일체형으로 형성됨으로써, 터치 스크린을 구현할 수 있다. 이러한 터치 스크린은, 휴대 단말기(200)와 사용자 사이의 입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사용자 입력부로써 기능함과 동시에, 휴대 단말기(200)와 사용자 사이의 출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전원공급부(250)는 프로세서(260)의 제어 하에서,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 받아 휴대 단말기(200)에 포함된 각 구성요소들에 전원을 공급한다. 이러한 전원공급부(190)는 배터리를 포함하며, 상기 배터리는 내장형 배터리 또는 교체가능한 형태의 배터리가 될 수 있다.
프로세서(260)는 상기 응용 프로그램과 관련된 동작 외에도, 통상적으로 휴대 단말기(2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프로세서(260)는 위에서 살펴본 구성요소들을 통해 입력 또는 출력되는 신호, 데이터, 정보 등을 처리하거나 메모리(240)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적절한 정보 또는 기능을 제공 또는 처리할 수 있다. 프로세서(260)는 하나의 프로세서 또는 복수의 프로세서로 구현 가능하다.
프로세서(260)는 메모리(240)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 즉,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기 위하여, 도 3와 함께 살펴본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를 제어할 수 있다. 나아가, 프로세서(260)는 상기 응용 프로그램의 구동을 위하여, 휴대 단말기(100)에 포함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을 서로 조합하여 동작시킬 수 있다.
프로세서(260)는 메모리(240)에 저장된 인스트럭션들(instructions)을 실행하여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프로세서(260)가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여 제어, 지시 또는 기능의 주체로서 표현하나, 이는, 프로세서(260)가 메모리(240)에 저장된 인스트럭션 또는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여 동작하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각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는, 이하에서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동작, 제어 또는 제어방법을 구현하기 위하여 서로 협력하여 동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휴대 단말기의 동작, 제어, 또는 제어방법은 상기 메모리(170)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응용 프로그램의 구동에 의하여 휴대 단말기 상에서 구현 될 수 있다.
이하 도 4 내지 도 14를 참조하여, 프로세서(260)의 다양한 제어 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본 문서에 개시되는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에서 수행되는 단말기 거치대의 제어 방법의 일 예를 설명하는 순서도이고, 도 5 내지 도 7은 도 4에 도시된 단말기 거치대의 제어 방법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프로세서(260)는 근거리 통신모듈(213)을 제어하여 단말기 거치대(100)와의 통신 연결을 형성할 수 있다(S401).
프로세서(260)는 카메라부(220)를 제어하여, 휴대 단말기(200)의 전방 영상을 획득하도록 할 수 있다(S401). 도 5는 프로세서(260)의 제어에 따라, 단말기 거치대(100)에 거치된 휴대 단말기(200)의 전방 영상이 획득되는 예를 도시하고 있다. 여기에서, 단말기 거치대(100)는 휴대 단말기(200)를 거치한 채로 휴대 단말기(200)의 전방이, 전방을 기준으로 오른쪽 방향 또는 왼쪽 방향으로 향하도록 하는 수평 회전 동작이 가능한 경우를 예시하여 설명한다.
프로세서(260)는 전방 영상에 대한 영상 분석을 수행하여, 피사체를 감지할 수 있다. 예컨대, 프로세서(260)는 사람 몸체나 사람 얼굴 등을 감지 대상이 되는 피사체로 설정할 수 있으며, 전방 영상에서 사람 몸체나 사람 얼굴이 존재하는지 감지할 수 있다. 한편, 감지 대상이 되는 피사체는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말, 개와 같은 동물일 수도 있고, 자전거 등과 같은 장치일 수도 있다.
일 예로, 프로세서(260)는 전방 영상에서 피사체를 감지하기 위하여, 피사체에 대한 사전 학습된 학습모델을 이용할 수 있다. 예컨대, 프로세서(260)는, 사람의 몸체에 해당되는 다양한 이미지에 대하여 학습을 기반으로 형성되어 사람 몸체에 대응되는 객체를 판별하는 학습 모델을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학습 모델은 프로세서(260)에 의하여 직접 학습되거나, 또는 별도의 서버에 의하여 학습된 학습 모델을 제공받아 프로세서(260)가 사용할 수 있다.
프로세서(260)는 감지된 피사체가 이동하는 경우, 피사체의 이동에 대응하여 휴대 단말기의 전방이 피사체를 추종하도록 단말기 거치대(100)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하여,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에서, 추종이란 휴대 단말기(200)의 촬영 방향, 즉, 전방이, 피사체의 이동을 따라 가는 것(tracking)을 의미하며, 이를 위하여 프로세서(260)는 피사체의 이동에 대응하여 단말기 거치대(100)의 회전 구동을 제어하는 것을 의미한다. 프로세서(260)는 생성된 제어 신호를, 통신 연결을 통하여 단말기 거치대(100)로 제공한다.
도 6에 도시된 예와 같이, 피사체가 전방에 대하여 오른쪽 방향으로 이동하는 상태가 촬영되면, 프로세서(260)는 감지된 피사체의 위치가 전방을 기준으로 오른쪽 방향에 있으므로, 단말기 거치대(100)가 오른쪽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단말기 거치대(100)는 제어 신호에 따라 회전부를 구동할 수 있다(S405). 도 7은 단말기 거치대(100)가 제어신호에 따라 회전부를 구동한 결과, 이동한 피사체가 다시 전방 영상의 중앙부 부분에 위치함을 알 수 있다.
프로세서(260)는 회전부의 구동에 따라 전방 영상이 변경되면, 변경된 전방 영상을 획득하고 그에 대한 피사체 객체를 감지하여 트래킹 하는 상술한 단계 S402 내지 S404를 반복하여 수행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되는 일 실시예로서, 이하 도 8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프로세서(260)의 피사체에 대한 추종, 즉, 트래킹에 대한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8은 본 문서에 개시되는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에서 수행되는 단말기 거치대의 제어 방법의 다른 예를 설명하는 순서도이고, 도 9 내지 도 12는 도 8에 도시된 단말기 거치대의 제어 방법의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8 내지 도 12는 피사체에 대한 트래킹을 위하여, 피사체의 위치가 전방 영상의 중앙부에 위치하도록 하는 일 실시예에 관한 것이다.
도 8을 참조하면, 프로세서(260)는 전방 영상에 대한 영상 분석을 수행하여, 피사체를 감지할 수 있다(S801). 이에 대해서는 기 설명한 내용으로부터 쉽게 이해 가능하다.
프로세서(260)는 감지된 피사체가 이동하는 경우, 피사체의 이동에 대응하여 휴대 단말기의 전방이 피사체를 추종하도록 단말기 거치대(100)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하여 제어 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프로세서(260)는 휴대 단말기(200)의 전방 영상에서 피사체의 위치가 중앙부에 위치하도록 회전 동작에 대한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즉, 프로세서(260)는 피사체의 위치가 현재 전방 영상의 중앙부에 오도록 하기 위한 단말기 거치대(100)의 회전 방향을 판단할 수 있다.
도 9는 표시된 휴대 단말기(200)의 전방 영상의 일 예를 도시한다. 도 9의 예에서, 프로세서(260)는 전방 영상에 대하여 가상의 중앙부(CP)를 설정할 수 있다. 일 예로, 이러한 중앙부는 전방 영상의 중앙점을 기준으로 일정 범위에 속하는 영역으로서, 중앙부는 원형, 타원형, 사각형, 모서리가 둥근 사각형 등 다양하게 설정 가능하다.
프로세서(260)는 전방 영상에서 감지된 피사체의 위치가 중앙부(CP) 내에 위치하면, 단말기 거치대(100)에 대한 동작을 제어하지 않는다.
도 9의 예에서, 프로세서(260)는 전방 영상에서 피사체를 감지할 수 있으며, 피사체는 중앙부(CP) 내에 위치한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 프로세서(260)는 단말기 거치대(100)에 대한 구동을 제어하지 않는다(S802).
도 10에서는 피사체가 전방 방향에서 오른쪽 방향으로 이동한 일 예를 도시한다. 도 10의 예에서, 프로세서(260)는 피사체를 감지할 수 있으며, 감지된 피사체가 여전히 중앙부(CP) 내에 위치하므로, 프로세서(260)는 단말기 거치대(100)에 대한 구동을 제어하지 않는다(S802).
프로세서(260)는 전방 영상에서 감지된 피사체의 위치가 중앙부(CP)가 아닌 경우, 피사체의 위치가 전방 영상의 중앙부(CP)에 이르도록, 단말기 거치대(100)의 회전 동작에 대한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도 11에서 피사체가 전방 방향에서 오른쪽 방향으로 더 이동한 예를 도시한다. 도 11의 예에서, 프로세서(260)는 피사체를 감지할 수 있으며, 감지된 피사체가 여전히 중앙부(CP)의 우측에 위치하므로, 프로세서(260)는 단말기 거치대(100)가 오른쪽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즉, 프로세서(260)는 전방 영상에서 피사체의 위치를 감지하고, 감지된 피사체의 위치가 전방 영상의 중앙부(CP)가 아니고, 중앙부(CP)에 대하여 우측부 또는 좌측부에 있으면, 피사체가 중앙부(CP)에 위치하도록 단말기 거치대(100)의 회전 방향을 우측 방향 또는 좌측 방향으로 설정할 수 있다(S803).
도 12는 프로세서(260)가 회전 방향을 우측으로 설정한 구동 제어 신호를 단말기 거치대(100)에 제공함에 따라(S804), 단말기 거치대(100)가 회전하여 피사체가 중앙부(CP) 내로 재 위치된 것을 도시하고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되는 일 실시예로서, 이하 도 13 내지 도 14를 참조하여 프로세서(260)에서 산정되는 단말기 거치대(100)의 회전 속도의 설정에 대한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3은 본 문서에 개시되는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에서 수행되는 단말기 거치대의 제어 방법의 또 다른 예를 설명하는 순서도이고, 도 14는 도 13에 도시된 단말기 거치대의 제어 방법의 또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프로세서(260)는 전방 영상에 대한 영상 분석을 수행하여, 피사체를 감지할 수 있다(S1301). 이에 대해서는 기 설명한 내용으로부터 쉽게 이해 가능하다.
프로세서(260)는 휴대 단말기(200)의 전방 영상에서 피사체의 위치가 중앙부에 위치하도록 회전 동작에 대한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즉, 프로세서(260)는 피사체를 감지하고, 피사체의 위치가 현재 전방 영상의 중앙부가 아니라 어느 일 측면에 있다면(S1302, 아니오), 피사체가 중앙부로 오도록 하기 위한 단말기 거치대(100)의 회전 방향을 판단할 수 있다(S1303).
여기에서, 프로세서(260)는 전방 영상에서의 피사체의 위치와 전방 영상의 중앙부 간의 거리를 기초로 단말기 거치대(100)의 회전 속도를 설정할 수 있다(S1304).
도 14의 예에서, 프로세서(260)가 중앙부의 중심점에서 피사체의 일 끝까지의 거리(d)를 기초로, 피사체의 위치와 전방 영상의 중앙부 간의 거리를 설정하는 예를 도시한다. 그러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중앙부의 일측 끝에서 피사체의 일 끝까지를 거리로 설정하거나, 또는 중앙부의 중심점에서 피사체의 중심점 까지를 거리로 설정하는 등 다양하게 실시 가능하다.
도시된 예와 같이 선정된 거리 d의 길이에 따라, 단말기 거치대(100)의 회전 속도를 설정할 수 있다. 거리 d의 길이가 길수록 피사체가 중앙부에서 멀리 떨어져 있으므로, 회전 속도는 커지는 경향을 가진다.
일 예로, 프로세서(260)는 피사체의 위치와 전방 영상의 중앙부 간의 거리 d의 범위에 따라 기 설정된 단말기 거치대(100)의 회전 속도에 대한 데이터(예를 들어, 룩업 테이블 등)을 구비하고, 이를 이용하여 회전 속도를 설정할 수 있다. 다른 예로, 프로세서(260)는 기 설정된 기준 거리와, 피사체의 위치와 전방 영상의 중앙부 간의 거리 d를 비교하고, 기준 거리에 대하여 기준 속도를 설정할 수 있으며, 따라서, 기준 거리 대비 거리 d의 비율을 기준 속도에 반영하여 회전 속도를 설정할 수 있다. 이 외에도 다양한 방식으로 거리 d에 따른 회전 속도의 설정이 가능하다.
프로세서(260)는 회전 방향 및 설정된 회전 속도를 반영하여, 단말기 거치대(100)의 회전 동작에 대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제공할 수 있다(S1305).
본 문서에 개시되는 일 실시예로서, 전방 영상에서 피사체가 이탈한 경우에 대한 프로세서(260)의 처리에 대한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프로세서(260)는 피사체가 제1 방향으로 전방 영상의 화면 밖으로 이탈한 경우, 최대 회전속도로 제1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회전 동작에 대한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프로세서(260)의 피사체 감지는 일정한 주기로 수행되거나, 또는 피사체의 감지 처리의 프로세싱이 완료된 이후 재 감지가 처리될 수 있다. 따라서, 이전에 감지된 피사체의 위치로부터 프로세서(260)는 피사체의 이탈 방향을 설정할 수 있다. 예컨대, 도 10 및 도 11의 예로서 피사체가 인식된 이후, 재 감지시 피사체가 전방 영상에서 감지되지 않으면, 프로세서(260)는 피사체가 우측 방향으로 이탈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그러한 경우, 프로세서(260)는 최대 회전속도로 우측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단말기 거치대(100)를 제어할 수 있다.
최대 회전속도로 우측으로 구동 중에, 전방 영상에 피사체가 재 감지되는 경우, 프로세서(260)는 동일한 회전 방향을 유지하되 최대 회전속도를 기 설정된 기본 회전속도로 변경할 수 있다. 이는, 최대 회전속도로 우측으로 구동 중에, 전방 영상에 피사체가 재 감지되는 경우에는 도 11과 같이 피사체가 전방 영상의 우측 영역에 여전히 있을 가능성이 높으므로,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을 유지하되 최대 회전속도를 기본 회전 속도로 변화시키는 것이다. 만약, 전방 영상에 피사체가 재 감지되고 재 감지된 피사체가 전방 영상의 중앙부(CP)에 존재한다면, 프로세서(260)는 단말기 거치대(100)가 회전을 멈추고 현재 방향을 유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되며, 본 발명의 구성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그 구성을 다양하게 변경 및 개조할 수 있다는 것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쉽게 알 수 있다.
100 : 단말기 거치대
110 : 회전부 120 : 몸체부
121 : 모터부 122 : 제어부
123 : 통신부
200 : 휴대 단말기
210 : 통신부 220 : 카메라부
230 : 출력부 240 : 메모리
250 : 전원 공급부 260 : 프로세서
211 : 이통통신 모듈 212 : 무선 인터넷 모듈
213 : 근거리 통신모듈
221 : 제1 카메라 222 : 제2 카메라
231 : 디스플레이부 232 : 음향 출력부

Claims (9)

  1. 휴대 단말기와 연동하여 상기 휴대 단말기에 트래킹 기능을 제공하는 단말기 거치대로서, 상기 단말기 거치대는,
    상기 휴대 단말기가 거치되고, 상기 휴대 단말기의 전방 방향을 변경하도록 회전 구동하는 회전부; 및
    상기 휴대 단말기와 통신 연결되고, 상기 휴대 단말기로부터 제공된 제어 신호를 기초로 상기 회전부를 회전 구동 시키는 본체부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부는
    피사체의 이동에 대응하여 상기 휴대 단말기의 전방이 상기 피사체를 추종하도록 회전되고,
    상기 회전부의 회전 속도는 상기 휴대 단말기의 전방 영상 내에서의 피사체의 위치와 상기 전방 영상 내에 기 설정된 중앙부 간의 거리를 반영하여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거치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는,
    고정대;
    사용자의 조작에 의하여 조임 동작하여, 상기 고정대와 함께 상기 휴대 단말기를 고정하는 조이개; 및
    상면에 상기 고정대 및 상기 조이개가 배치되고, 상기 본체부에 포함된 모터부와 연결되어 수평 방향으로 회전 동작하는 회전대를 포함하는,
    단말기 거치대.
  3. 삭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상기 회전대와 연결되어, 상기 회전대를 회전 구동 시키는 모터부; 및
    상기 휴대 단말기로부터 제공된 상기 제어 신호를 기초로, 상기 모터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단말기 거치대.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 또는 유선 통신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휴대 단말기와 통신 연결을 형성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는,
    단말기 거치대.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 단말기는,
    상기 전방 영상에서 상기 피사체의 위치가 상기 중앙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단말기 거치대.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 단말기는,
    상기 피사체가 제1 방향으로 상기 전방 영상의 화면 밖으로 이탈한 경우, 최대 회전속도로 상기 제1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상기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단말기 거치대.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 단말기는,
    상기 최대 회전속도로 상기 제1 방향으로 구동 중에, 상기 전방 영상에 상기 피사체가 재 감지되는 경우, 동일한 회전 방향을 유지하되 상기 최대 회전속도를 기 설정된 기본 회전속도로 변경하도록 상기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단말기 거치대.
KR1020230019863A 2021-05-18 2023-02-15 휴대 단말기와 연동하여 트래킹 기능을 제공하는 단말기 거치대 KR1026193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19863A KR102619302B1 (ko) 2021-05-18 2023-02-15 휴대 단말기와 연동하여 트래킹 기능을 제공하는 단말기 거치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4238A KR102502376B1 (ko) 2021-05-18 2021-05-18 단말기 거치대와 연동하는 휴대 단말기 및 그를 이용한 단말기 거치대의 제어 방법
KR1020230019863A KR102619302B1 (ko) 2021-05-18 2023-02-15 휴대 단말기와 연동하여 트래킹 기능을 제공하는 단말기 거치대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64238A Division KR102502376B1 (ko) 2021-05-18 2021-05-18 단말기 거치대와 연동하는 휴대 단말기 및 그를 이용한 단말기 거치대의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25845A KR20230025845A (ko) 2023-02-23
KR102619302B1 true KR102619302B1 (ko) 2023-12-29

Family

ID=84237158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64238A KR102502376B1 (ko) 2021-05-18 2021-05-18 단말기 거치대와 연동하는 휴대 단말기 및 그를 이용한 단말기 거치대의 제어 방법
KR1020230019863A KR102619302B1 (ko) 2021-05-18 2023-02-15 휴대 단말기와 연동하여 트래킹 기능을 제공하는 단말기 거치대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64238A KR102502376B1 (ko) 2021-05-18 2021-05-18 단말기 거치대와 연동하는 휴대 단말기 및 그를 이용한 단말기 거치대의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502376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29049A (ja) * 2002-10-04 2004-04-2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カメラ装置及びカメラシステム並びにこのカメラシステムの制御方法
KR101184690B1 (ko) 2012-01-27 2012-09-26 (주)나누미넷 모션 추적 프로그램이 내장된 모바일 단말기와 이와 연동하는 트래킹 크래들을 이용한 교육 컨텐츠 제작장치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67582A (ko) * 2003-12-29 2005-07-05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피사체의 이동에 따른 위치 추적방법
KR101850535B1 (ko) * 2016-01-18 2018-05-31 전도헌 초광대역 무선 통신 기반 영상 촬영 시스템 및 동작 방법
KR101850534B1 (ko) * 2016-01-18 2018-04-19 전도헌 적외선 카메라와 마커를 이용한 영상 촬영 시스템, 방법 및 어플리케이션
KR20170093440A (ko) * 2016-02-05 2017-08-16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회전장치를 이용하여 디바이스가 촬영대상을 추적하게 하는 방법 및 장치
KR20170142460A (ko) * 2016-06-17 2017-12-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케이싱 디바이스
KR20180040409A (ko) * 2016-10-12 2018-04-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2173960B1 (ko) * 2017-12-11 2020-11-04 백창현 객체센서를 이용한 객체추적방법 및 시스템
KR102310230B1 (ko) 2019-10-08 2021-10-06 정희정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 및 그 작동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29049A (ja) * 2002-10-04 2004-04-2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カメラ装置及びカメラシステム並びにこのカメラシステムの制御方法
KR101184690B1 (ko) 2012-01-27 2012-09-26 (주)나누미넷 모션 추적 프로그램이 내장된 모바일 단말기와 이와 연동하는 트래킹 크래들을 이용한 교육 컨텐츠 제작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25845A (ko) 2023-02-23
KR20220156338A (ko) 2022-11-25
KR102502376B1 (ko) 2023-0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1917997B (zh) 利用多个相机控制图像拍摄的可折叠电子装置和方法
US11516381B2 (en) Display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with adjustments related to an image display according to bending motion of the display device
CN102681958B (zh) 使用物理姿势传输数据
JP2017518664A (ja) モバイルコンピューティングデバイスの配置及び定位を容易にするマウント
US9106821B1 (en) Cues for capturing images
US11625066B2 (en) Foldable electronic device and photographing method using multiple cameras in foldable electronic device
US20230319396A1 (en) Electronic device for recommending composition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TW201404133A (zh) 自動拍照裝置及方法
WO2020051831A1 (zh) 手持云台的控制方法及手持云台、手持设备
US11223761B2 (en) Electronic device for obtaining images by controlling frame rate for external moving object through point of interest,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KR102512839B1 (ko) 외부 장치의 자세 조정을 통해 복수의 카메라들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획득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WO2018066705A1 (ja) スマートフォン
CN109121031B (zh) 一种音频设备定向显示方法、装置和音频设备
US20220408026A1 (en) Mobile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mobile device cradle
KR102619302B1 (ko) 휴대 단말기와 연동하여 트래킹 기능을 제공하는 단말기 거치대
KR102617252B1 (ko) 전자 장치 및 그 파노라마 촬영 모드 자동 전환 방법
EP3886408B1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2514852B1 (ko) 단말기 거치대와 연동하는 휴대 단말기 및 그를 이용한 화상 합성 방법
KR20190141866A (ko) 사용자의 사진 촬영 의도를 식별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방법
KR102688911B1 (ko) 장착된 외부 전자 장치의 기능과 관련된 동작을 수행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KR20160149945A (ko) 이동 단말기
KR20210115786A (ko) 자기 이미지 캡쳐 방법 및 이를 위한 전자 장치
CN113596338A (zh) 车辆的轨道拍摄方法、设备和计算机可读存储介质
JP2016018448A (ja) 入力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制御プログラム、並びに入力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