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18277B1 - 이동통신 환경에서 로밍 단말이 망에 접속하는 초기 동작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통신 환경에서 로밍 단말이 망에 접속하는 초기 동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18277B1
KR102618277B1 KR1020160129297A KR20160129297A KR102618277B1 KR 102618277 B1 KR102618277 B1 KR 102618277B1 KR 1020160129297 A KR1020160129297 A KR 1020160129297A KR 20160129297 A KR20160129297 A KR 20160129297A KR 102618277 B1 KR102618277 B1 KR 1026182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service
terminal
vplmn
service typ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292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38324A (ko
Inventor
이호연
김성훈
백영교
손중제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292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18277B1/ko
Priority to PCT/KR2017/010674 priority patent/WO2018066870A1/ko
Priority to US16/336,704 priority patent/US11134370B2/en
Publication of KR201800383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383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82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82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02Processing of mobility data, e.g. registration information at HLR [Home Location Register] or VLR [Visitor Location Register]; Transfer of mobility data, e.g. between HLR, VLR or external networks
    • H04W8/06Registration at serving network Location Register, VLR or user mobility ser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02Processing of mobility data, e.g. registration information at HLR [Home Location Register] or VLR [Visitor Location Register]; Transfer of mobility data, e.g. between HLR, VLR or external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0/00Affiliation to network, e.g. registration; Terminating affiliation with the network, e.g. de-registr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16Central resource management; Negotiation of resources or communication parameters, e.g. negotiating bandwidth or QoS [Quality of Service]
    • H04W28/24Negotiating SLA [Service Level Agreement]; Negotiating QoS [Quality of Ser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18Processing of user or subscriber data, e.g. subscribed services, user preferences or user profiles; Transfer of user or subscriber data
    • H04W8/20Transfer of user or subscriber dat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개시는 4G 시스템 이후 보다 높은 데이터 전송률을 지원하기 위한 5G 통신 시스템을 IoT 기술과 융합하는 통신 기법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개시는 5G 통신 기술 및 IoT 관련 기술을 기반으로 지능형 서비스 (예를 들어, 스마트 홈, 스마트 빌딩, 스마트 시티, 스마트 카 혹은 커넥티드 카, 헬스 케어, 디지털 교육, 소매업, 보안 및 안전 관련 서비스 등)에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방문망에 접속한 로밍 단말의 초기 접속 과정에서 로밍 단말이 사용하고자 하는 서비스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Description

이동통신 환경에서 로밍 단말이 망에 접속하는 초기 동작 방법 {INITIAL ATTACH PROCEDURE FOR THE ROAMING USER EQUIPMENT}
본 발명은 방문망에 접속한 로밍 단말의 초기 접속 과정에서 로밍 단말이 사용하고자 하는 서비스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4G 통신 시스템 상용화 이후 증가 추세에 있는 무선 데이터 트래픽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해, 개선된 5G 통신 시스템 또는 pre-5G 통신 시스템을 개발하기 위한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5G 통신 시스템 또는 pre-5G 통신 시스템은 4G 네트워크 이후 (Beyond 4G Network) 통신 시스템 또는 LTE 시스템 이후 (Post LTE) 이후의 시스템이라 불리어지고 있다. 높은 데이터 전송률을 달성하기 위해, 5G 통신 시스템은 초고주파(mmWave) 대역 (예를 들어, 60기가(60GHz) 대역과 같은)에서의 구현이 고려되고 있다. 초고주파 대역에서의 전파의 경로손실 완화 및 전파의 전달 거리를 증가시키기 위해, 5G 통신 시스템에서는 빔포밍(beamforming), 거대 배열 다중 입출력(massive MIMO), 전차원 다중입출력(Full Dimensional MIMO: FD-MIMO), 어레이 안테나(array antenna), 아날로그 빔형성(analog beam-forming), 및 대규모 안테나 (large scale antenna) 기술들이 논의되고 있다. 또한 시스템의 네트워크 개선을 위해, 5G 통신 시스템에서는 진화된 소형 셀, 개선된 소형 셀 (advanced small cell), 클라우드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cloud radio access network: cloud RAN), 초고밀도 네트워크 (ultra-dense network), 기기 간 통신 (Device to Device communication: D2D), 무선 백홀 (wireless backhaul), 이동 네트워크 (moving network), 협력 통신 (cooperative communication), CoMP (Coordinated Multi-Points), 및 수신 간섭제거 (interference cancellation) 등의 기술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 밖에도, 5G 시스템에서는 진보된 코딩 변조(Advanced Coding Modulation: ACM) 방식인 FQAM (Hybrid FSK and QAM Modulation) 및 SWSC (Sliding Window Superposition Coding)과, 진보된 접속 기술인 FBMC(Filter Bank Multi Carrier), NOMA(non orthogonal multiple access), 및SCMA(sparse code multiple access) 등이 개발되고 있다.
한편, 인터넷은 인간이 정보를 생성하고 소비하는 인간 중심의 연결 망에서, 사물 등 분산된 구성 요소들 간에 정보를 주고 받아 처리하는 IoT(Internet of Things, 사물인터넷) 망으로 진화하고 있다. 클라우드 서버 등과의 연결을 통한 빅데이터(Big data) 처리 기술 등이 IoT 기술에 결합된 IoE (Internet of Everything) 기술도 대두되고 있다. IoT를 구현하기 위해서, 센싱 기술, 유무선 통신 및 네트워크 인프라, 서비스 인터페이스 기술, 및 보안 기술과 같은 기술 요소 들이 요구되어, 최근에는 사물간의 연결을 위한 센서 네트워크(sensor network), 사물 통신(Machine to Machine, M2M), MTC(Machine Type Communication)등의 기술이 연구되고 있다. IoT 환경에서는 연결된 사물들에서 생성된 데이터를 수집, 분석하여 인간의 삶에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는 지능형 IT(Internet Technology) 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다. IoT는 기존의 IT(information technology)기술과 다양한 산업 간의 융합 및 복합을 통하여 스마트홈, 스마트 빌딩, 스마트 시티, 스마트 카 혹은 커넥티드 카, 스마트 그리드, 헬스 케어, 스마트 가전, 첨단의료서비스 등의 분야에 응용될 수 있다.
이에, 5G 통신 시스템을 IoT 망에 적용하기 위한 다양한 시도들이 이루어지고 있다. 예를 들어, 센서 네트워크(sensor network), 사물 통신(Machine to Machine, M2M), MTC(Machine Type Communication)등의 기술이 5G 통신 기술이 빔 포밍, MIMO, 및 어레이 안테나 등의 기법에 의해 구현되고 있는 것이다. 앞서 설명한 빅데이터 처리 기술로써 클라우드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cloud RAN)가 적용되는 것도 5G 기술과 IoT 기술 융합의 일 예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5G 이동통신 시스템에서는 단말이 망에 접속할 때, 앞으로 사용할 서비스 정보를 포함하여 망에 접속할 수 있다.
단말이 방문망(Visited Network)에 접속할 경우, 단말은 방문망에서 지원하는 서비스 정보를 알 수 없고, 그에 따라 방문망 접속시 어떤 서비스 정보를 포함해야 할지 알 수 없는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홈망(Home Network)과 방문망에서 정의한 서비스 기술(service description)이 다를 수 있으며, 이 다름으로 인한 문제가 발생한다. 본 발명에서는 해당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제어 신호 처리 방법에 있어서, 기지국으로부터 전송되는 제1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제1 제어 신호를 처리하는 단계; 및 상기 처리에 기반하여 생성된 제2 제어 신호를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로밍 단말이 방문망에서 초기 접속시 사용을 원하는 서비스를 요청할 수 있다. 또한, 이동통신 서비스들이 같은 서비스에 대해 서로 다른 서비스 타입을 정의했을 경우, 단말이 방문망으로 로밍을 했을 시 이 서비스 정보를 관리할 수 있다. 이를 통해, 5G 이동통신 환경에서 효율적인 로밍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로밍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로밍 가입 정보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로밍 단말이 방문망에 초기 접속시 요청하는 로밍 서비스 기술(Roaming Service Description) 정보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 사업자가 제공하는 서비스 및 이동통신 사업자간 서비스 수준 협약(Service Level Agreement)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방문망에서의 초기 접속 프로시져(Initial Attach Procedure) 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단말에서 저장하는 서비스 타입의 정보 변화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방문망의 제어 노드(Control Plane Network Function)에서 저장하는 서비스 타입의 정보 변화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된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은 방문망에 접속한 로밍 단말의 초기 접속 과정에서 로밍 단말이 사용하고자 하는 서비스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이를 위한 상세 실시 예는 아래와 같다.
도 1은 로밍 구조(Roaming Architecture)를 나타낸다. 단말(105)은 홈망(135)에 가입한 단말이며, 현재 방문(125)망에 위치해 있다. 홈망(135)과 방문 망(125)은 서로간 로밍 협약을 맺은 이동통신 사업자로 방문망(125)의 제어 노트(이하 CP NF, 115)는 홈망(1135)의 가입자 정보 저장소(이하 Subscriber repository, 130)와 연결되어 단말(105)의 가입 정보를 가져올 수 있다. 제어 노트(115)는 이동성 관리를 하는 MM(Mobility Management) 또는 세션 관리를 하는 SM(Session Management) 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단말(105)은 홈망(135)에 가입하여 홈망(135)의 3개의 서비스 타입을 제공받을 수 있다고 가정한다. 3개의 서비스 타입은 HPLMNSeriviceType1, HPLMNSeriviceType2, HPLMNSeriviceType3 이라고 한다. 좀 더 이해를 돕기 위해, 예를 들면 HPLMNServiceType1은 음성 전화 서비스, HPLMNServiceType2는 광대역인터넷서비스, HPLMNServiceType3은 IoT 서비스가 될 수 있다. 도 2는 홈망(135)이 가입자 단말(105)의 로밍 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한 로밍 정보를 나타낸다. 홈망(135)과 단말(105)은 단말(105)이 제공받을 수 있는 3개의 서비스 타입을 그룹핑하여 로밍 레벨로 정의한다. 예를 들면, HPLMNServiceType1은 로밍 레벨 1에 해당(210)하며, HPLMNServiceType 1과 HPLMNServiceType2는 로밍 레벨 2에 해당(215)하며, HPLMNSeriviceType1, HPLMNSeriviceType2, HPLMNSeriviceType3은 로밍 레벨 3에 해당(220)한다. 각 로밍 레벨에 맵핑되는 서비스 타입은 단말(105)의 가입 정보나 홈망(135)의 망운영, 단말(105)의 요청 등에 의해 바뀔 수 있다. 단말(105)과 홈망(135)의 Subscriber repository(130)는 도 2에 도식화된 로밍 정보를 저장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 말하는 서비스 타입은 다른 이름으로 불릴 수 있다. 즉, 서비스 타입 이외에도 슬라이스 타입(slice type), 네트워크 슬라이스 타입(network slice type), 슬라이스 인스턴스(slice instance), 네트워크 슬라이스 인스턴스(network slice instance), 서비스 사용(service usage), 서비스 역량(service capability) 등의 용어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단말(105)이 홈망(135)에 접속하는 과정을 간략히 설명한다. 단말(105)은 이동통신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해 초기 접속(Initial attach)를 해야 하고, 이를 위해 단말은 Initial attach 메시지를 구성하여 보낸다. Initial attach 메시지는 홈망(135)의 RAN을 통해 홈망(135)의 CP NFs에 도착하고, CP NFs는 해당 메시지를 처리하여 단말(105)의 접속을 완료시킨다. 이 때, 단말은 Initial attach 메시지에 사용을 원하는 서비스 타입을 기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단말은 HPLMNSeriviceType1, HPLMNSeriviceType2, HPLMNSeriviceType3 3개의 서비스 사용을 원한다고 initial attach 메시지에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단말(105)이 방문망(125)에 접속하는 경우를 대상으로 한다. 단말(105)은 이동통신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해 초기 접속을 해야 하고, 이를 위해 단말은 Initial attach 메시지를 구성하여 보낸다. 이 때, 단말은 현재 홈망(135)이 아닌 방문망(125)에 있음을 인지할 수 있다. 인지하는 방법은 RAN(110)에서 보낸 메시지를 통해 알 수 있다. 현재 방문망에 있음을 인지한 단말은 홈망에 있을 때와 다르게 Initial attach 메시지를 구성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단말은 사용하길 원하는 서비스를 initial attach 메시지에 표시하지 않을 수 있다. 또는, 단말이 사용하길 원하는 서비스를 기술하는 대신, 단말에 저장된 로밍 정보(도 2)를 기반으로, 로밍 레벨 인덱스만을 initial attach 메시지에 포함할 수 있다. 또는, 단말이 사용하길 원하는 서비스를 기술하는 대신, 단말에 저장된 로밍 정보(도2)를 기반으로, 홈망(135)의 ID(HPLMN ID)와 로밍 레벨 인덱스만을 initial attach 메시지에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단말(105)이 방문망(125)에 접속 시, initial attach 메시지에 포함하는 정보의 예를 나타낸다. 즉, 예를 들면, 예를 들면, 단말이 HPLMNSeriviceType1, HPLMNSeriviceType2, HPLMNSeriviceType3 3개의 서비스 사용을 원할 경우, 단말에 저장된 도 3의 정보에 따라 Roaming Level 3(320)을 initial attach 메시지에 표시할 수 있다. 단말이 구성한 initial attach 메시지를 방문망에서 어떻게 처리 되는지는 도 5에서 상세히 다루도록 한다. 도 3의 정보는 initial attach 뿐만 아니라 PDN connection setup, service request 등 다른 제어 시그널링 메시지에도 사용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의 설명을 돕기 위해 홈망(135)고 방문망(125)이 제공하는 서비스 예를 나타낸다. 홈망(135)은 홈망의 가입자 단말에게 Service A(410), Service B(415), Service C(420), Service D(425)를 제공할 수 있다. 가입자 단말별 제공받는 서비스는 가입 정보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즉, 가입자 1은 가입자 1의 가입 정보에 따라 홈망이 제공하는 모든 서비스 4개를 다 제공받을 수 있고, 가입자 2는 가입자 2의 가입 정보에 따라 홈망이 제공하는 서비스 중 일부 즉, Service A(410)와 Service C(420)만을 제공받을 수 있다. 이 때, 서비스 A(410)는 전세계 망에서 공통적으로 사용되는 서비스로 CommonServiceType1(440)로 정의될 수 있다. 홈망은 Service B(415)는 HPLMNServiceType1(445)로, Service C(420)는 HPLMNServiceType2(450)으로, Service D(425)는 HPLMNServiceType3(455)으로 정의한다. 반면, 방문망(125)은 방문망의 가입자 단말에게 Service A(410), Service B(415), Service C(420), Service E(430)를 제공할 수 있다. 가입자 단말별 제공받는 서비스는 가입 정보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 때, 서비스 A(410)는 전세계 망에서 공통적으로 사용되는 서비스로 CommonServiceType1(470)로 정의될 수 있다. 즉, Service A(510)는 이동통신 사업자에 관계없이 동일하게 CommonServiceType1(440, 470)로 정의될 수 있는 것이다. 방문망은 Service B(415)는 VPLMNServiceType3(475)로, Service C(420)는 VPLMNServiceType2(480)으로, Service E(430)는 VPLMNServiceType1(490)으로 정의한다. 홈망(135)과 방문망(125)은 서로의 가입자간 로밍을 제공하기 위해 서비스 레벨 협약(Service Level Agreement, SLA)를 맺는다.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돕기 위해, 홈망과 방문망은 도 4의 Service A(410), Service B(415), Service C(420)에 대한 SLA를 맺을 수 있다. 도 4에 도식화한 것과 같이 각 Service Type에 대한 홈망과 방문망이 정의한 서비스 타입이 다를 수 있다.
도 5는 단말(105, 505)이 방문망(125)에 접속하기 위한 initial attach 메시지의 처리 과정을 나타낸다. 단말(505)은 현재 방문망에 접속했음을 인지할 수 있다. 그에 따라 홈망에 접속했을 때와 다르게 initial attach 메시지를 구성할 수 있다. 즉, 원하는 서비스를 직접 initial attach 메시지에 기술하는 대신, 도 3과 같이 roaming level index를 initial attach 메시지에 기술할 수 있다. 이와 같이 initial attach 메시지를 구성한 단말(505)은 해당 메시지를 방문망의 RAN(510)에게 보낸다(525). Initial attach 메시지는 단말의 식별자(IMSI 또는 Temp ID)와 로밍 레벨 인덱스 정보를 나타내는 MDD for roaming을 포함한다. MDD for roaming은 원하는 로밍 레벨 인덱스 정보만을 포함하거나, 로밍 레벨 인덱스 정보에 추가로 HPLMN ID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의 설명을 돕기 위해 도3에서 정의한 로밍 레벨 인덱스 3(320)이 initial attach 메시지에 포함되었다고 가정한다. Initial attach 메시지(525)를 전달받은 RAN(510)은 MDD for roaming 메시지를 보고 해당 단말(505)이 로밍 단말임을 알 수 있다. 이를 바탕으로 로밍 단말(505)을 지원할 수 있는 방문망의 제어 노드(CP NF, 115)인 CCNF(515)로 해당 initial attach 메시지를 전송한다(530). CCNF(515, 115)는 MM(Mobility Management) 기능을 수행하거나 또는 MM 기능을 수행하는 NF(Network Node)를 포함한다. Initial attach 메시지(530)를 받은 CCNF(515)는 initial attach 메시지의 MDD for roaming 메시지를 보고, 단말(505)의 HPLMN ID와 단말이 요청한 로밍 레벨 인덱스 정보를 알게 된다. CCNF(515)는 방문망의 노드이므로, 단말이 요청한 로밍 레벨 인덱스에 해당하는 서비스 타입 정보를 알 수 없다. 서비스 타입 정보를 알기 위해 CCNF(515)는 홈망의 Subscriber Repository(130, 520)에게 UE Service Request 메시지를 전송한다(535). UE Service Request 메시지(535)는 단말(505)의 ID(IMSI), 단말(505)이 요청한 로밍 레벨 인덱스, 방문망의 ID(VPLMN ID)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UE Service Request 메시지(535)를 전달받은 홈망의 Subscriber Repository(520)는 해당 메시지를 처리(540)한다. 처리 하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먼저 단말(505)의 인증을 수행한다. 인증이 성공하면, 단말(505)의 가입 정보와 방문망과 맺은 SLA 정보를 분석한다. 즉, 단말(505)이 로밍 레벨 인덱스 3(320)을 요청하였으므로, SR(520)는 로밍 레벨 인덱스 3(320)에 해당하는 서비스가 무엇인지 도 2의 정보를 통해 도출한다. 즉, 로밍 레벨 인덱스 3(320)에 해당하는 서비스 타입은 HPLMNServiceType1, HPLMNServiceType2, HPLMNServiceType3이다(220). 또한, SP(520)는 도 4의 정보를 통해 HPLMNServiceType1, HPLMNServiceType2, HPLMNServiceType3 3가지 서비스가 방문망(VPLMN ID)에서 서비스가 가능한지 SLA 협약을 확인한다. 이를 통해, 비록 단말이 3개의 서비스를 요청하였지만, SLA 협약에 의해 해당 방문망에서는 HPLMNServiceType1, HPLMNServiceType2 2가지만이 가능함을 알게 된다. SP(520)는 CCNF(515)에게 UE Service Response 메시지(545)를 보낸다. 해당 메시지는 단말이 요청하고 이용가능한 서비스 정보인 HPLMNServiceType1, HPLMNServiceType2 가 포함된다. 도 5에서는 이 정보를 Accepted MDD by HPLMN(545)이라고 표시하였다. 이에 추가로, SP(520)는 도 4의 정보를 바탕으로 HPLMNServiceType1에 해당하는 VPLMN의 서비스 타입이 VPLMNServiceType3이고, HPLMNServiceType2 해당하는 VPLMN의 서비스 타입이 VPLMNServiceType2라고 알려줄 수 있다. UE Service Response(545) 메시지를 받은 CCNF(515)는 VPLMNServiceType3과 VPLMNServiceType2이 현재 방문망에서 서비스가 가능한지 다시 한번 확인한다. 또한, 해당 서비스의 바인딩 정보를 CCNF에 스스로 저장한다. 도 7은 CCNF에 저장되는 정보의 변화를 나타낸다. 즉, 방문망의 CCNF(515, 705)는 처음에는 방문망에서 제공하는 정보(715)만을 알고 있다. 그 후, UE Service Response 메시지(545)를 받고 처리 과정(505)을 통해 맵핑 정보(735)를 저장하게 된다. 도 7의 CP NF(705)는 MM(Mobility Management) 기능을 수행하거나 MM 기능을 수행하는 NF(Network Node)를 포함할 수 있다. CCNF(515)는 서비스 인증 과정을 통해 최종 승인된 서비스 타입(Accepted MDD by VPLMN)을 포함한 Attach Response 메시지(555)를 보낸다. Attach Response 메시지(555)를 받은 RAN(510)은 단말(505)에게 두 가지 서비스 즉, VPLMNServiceType3과 VPLMNServiceType2가 제공됨을 알게 된다. RAN(510)은 Attach Response 메시지를 단말(505)에게 전달한다(560). 해당 메시지를 받은 단말(505)은 방문망에서 제공되는 서비스가 HPLMNServiceType1과 HPLMNServiceType2임을 알게 되고, 맵핑 정보를 저장한다(565). 도 6은 단말에 저장되는 정보의 변화를 나타낸다. 즉, 단말(505, 605)는 처음에는 홈망에서 제공하는 정보(615)만을 알고 있다. 그 후, Attach Response 메시지(560)를 받고 처리 과정(565)을 통해 맵핑 정보(635)를 저장하게 된다. 즉, 단말(505, 605)은 방문망에서 Service B를 받기 위해서는 홈망에서 정의한 HPLMNServiceType1 대신 VPLMNServiceType3으로 명시해야 함을 알고, 이후의 시그널링 메시지에 방문망에서 정의한 서비스 타입 정보를 사용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방문망임을 인지한 단말(505)은 망 초기 접속을 위한 Initial attach 메시지(525)에 요청 서비스 관련 아무런 정보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즉, Initial attach 메시지(525)에 MDD for roaming 이 포함되지 않을 수 있다. RAN(510)을 통해 해당 메시지를 전달(530)받은 CCNF(515)는 initial attach 메시지에 MDD for roaming 정보가 포함되지 않았으므로, SR(520)에게 보내는 UE Service Request(535) 메시지에 MDD for roaming 정보를 포함하지 않거나 CCNF(515)가 임의의 값을 설정할 수 있다. UE Service Request(535) 메시지를 전달받은 SR(520)은 MDD for roaming 정보가 포함되어 있지 않을 경우, 로밍 레벨 인덱스 정보가 없으므로 단말(505)의 모든 가입 서비스 정보를 기반으로 UE Service Response 메시지를 구성하여 전달한다(545). 즉, SR(520)은 UE Service Request 메시지(535)에 MDD for roaming 정보가 없을 경우, 단말(505)의 모든 가입 서비스와 방문망과의 SLA를 기반으로 단말(505)이 방문망에서 사용할 수 있는 최대한의 서비스 타입 정보를 기술한 Accepted MDD by HPLMN으로 포함하여 UE Service Response(545) 메시지를 구성하여 전달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도 4에 기술된 Service A(410)와 같이 여러 이동통신 사업자가 공통된 서비스 타입을 사용하는 경우(440, 470)는 맵핑이 필요하지 않고, 그대로 사용할 수 있을 수 있다.

Claims (12)

  1.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에 있어서,
    VPLMN(visited public land mobile network)와 관련된 이동성 관리에 대한 제1 네트워크 엔티티에게, 상기 단말에 의해 요청된 상기 VPLMN에 대한 복수 개의 서비스 유형과 관련된 제1 정보 및 HPLMN(home PLMN)의 ID(identity)를 포함하는 제1 접속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제1 네트워크 엔티티로부터, 상기 VPLMN에 의해 허용된 복수 개의 서비스 유형과 관련된 제2 정보와 복수 개의 상기 HPLMN에서 가입된 서비스 유형 및 상기 VPLMN에 의해 허용된 서비스 유형 간의 맵핑에 대한 제3 정보를 포함하는 접속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네트워크 엔티티에게, 상기 제2 정보 및 상기 제3 정보에 기반하여 서비스 받고자 하는 서비스 유형과 관련된 제4 정보를 포함하는 제2 접속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정보 및 상기 제3 정보는 상기 제1 정보 및 SLA(service level agreement)에 기반하여 결정되고,
    상기 SLA(service level agreement)는 상기 VPLMN과 상기 HPLMN 간의 로밍(roaming) 서비스와 관련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유형은 네트워크 슬라이스 유형을 포함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요청 메시지는 상기 단말의 식별자를 포함하는 방법.
  4.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VPLMN(visited public land mobile network)과 관련된 이동성 관리에 대한 제1 네트워크 엔티티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에 있어서,
    단말로부터, 상기 단말에 의해 요청된 상기 VPLMN에 대한 복수 개의 서비스 유형과 관련된 제1 정보 및 HPLMN(home PLMN)의 ID(identity)를 포함하는 제1 접속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복수 개의 서비스 유형의 선택과 관련된 제2 네트워크 엔티티에게 상기 제1 정보를 포함하는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제2 네트워크 엔티티로부터, 상기 복수 개의 서비스 유형 중에서 상기 VPLMN에 의해 허용된 복수 개의 서비스 유형과 관련된 제2 정보와 복수 개의 상기 HPLMN에서 가입된 서비스 유형 및 상기 VPLMN에 의해 허용된 복수 개의 서비스 유형 간의 맵핑에 대한 제3 정보를 포함하는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2 정보 및 상기 제3 정보를 포함하는 접속 응답 메시지를 상기 단말에게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로부터, 상기 제2 정보 및 상기 제3 정보에 기반하여 결정된 서비스 유형과 관련된 제4 정보를 포함하는 제2 접속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정보 및 상기 제3 정보는 상기 제1 정보 및 SLA(service level agreement)에 기반하여 결정되고,
    상기 SLA(service level agreement)는 상기 VPLMN과 상기 HPLMN 간의 로밍(roaming) 서비스와 관련되는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유형은 네트워크 슬라이스 유형을 포함하는 방법.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요청 메시지는 상기 단말의 식별자를 포함하는 방법.
  7. 무선 통신 시스템의 단말에 있어서,
    송수신기; 및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VPLMN(visited public land mobile network)와 관련된 이동성 관리에 대한 제1 네트워크 엔티티에게, 상기 단말에 의해 요청된 상기 VPLMN에 대한 복수 개의 서비스 유형과 관련된 제1 정보 및 HPLMN(home PLMN)의 ID(identity)를 포함하는 제1 접속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고,
    상기 제1 네트워크 엔티티로부터, 상기 VPLMN에 의해 허용된 서비스 유형과 관련된 제2 정보와 복수 개의 상기 HPLMN에서 가입된 서비스 유형 및 상기 VPLMN에 의해 허용된 복수 개의 서비스 유형 간의 맵핑에 대한 제3 정보를 포함하는 접속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제1 네트워크 엔티티에게, 상기 제2 정보 및 상기 제3 정보에 기반하여 서비스 받고자 하는 서비스 유형과 관련된 제4 정보를 포함하는 제2 접속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2 정보 및 상기 제3 정보는 상기 제1 정보 및 SLA(service level agreement)에 기반하여 결정되고,
    상기 SLA(service level agreement)는 상기 VPLMN과 상기 HPLMN 간의 로밍(roaming) 서비스와 관련되는 단말.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유형은 네트워크 슬라이스 유형을 포함하는 단말.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요청 메시지는 상기 단말의 식별자를 포함하는 단말.
  10.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VPLMN(visited public land mobile network)과 관련된 이동성 관리에 대한 제1 네트워크 엔티티에 있어서,
    송수신기; 및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단말로부터, 상기 단말에 의해 요청된 상기 VPLMN에 대한 복수 개의 서비스 유형과 관련된 제1 정보 및 HPLMN(home PLMN)의 ID(identity)를 포함하는 제1 접속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복수 개의 서비스 유형의 선택과 관련된 제2 네트워크 엔티티에게 상기 제1 정보를 포함하는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며,
    상기 제2 네트워크 엔티티로부터, 상기 복수 개의 서비스 유형 중에서 상기 VPLMN에 의해 허용된 복수 개의 서비스 유형과 관련된 제2 정보와 복수 개의 상기 HPLMN에서 가입된 서비스 유형 및 상기 VPLMN에 의해 허용된 복수 개의 서비스 유형 간의 맵핑에 대한 제3 정보를 포함하는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제2 정보 및 상기 제3 정보를 포함하는 접속 응답 메시지를 상기 단말에게 전송하며,
    상기 단말로부터, 상기 제2 정보 및 상기 제3 정보에 기반하여 결정된 서비스 유형과 관련된 제4 정보를 포함하는 제2 접속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2 정보 및 상기 제3 정보는 상기 제1 정보 및 SLA(service level agreement)에 기반하여 결정되고,
    상기 SLA(service level agreement)는 상기 VPLMN과 상기 HPLMN 간의 로밍(roaming) 서비스와 관련되는 제1 네트워크 엔티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유형은 네트워크 슬라이스 유형을 포함하는 제1 네트워크 엔티티.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요청 메시지는 상기 단말의 식별자를 포함하는 제1 네트워크 엔티티.
KR1020160129297A 2016-10-06 2016-10-06 이동통신 환경에서 로밍 단말이 망에 접속하는 초기 동작 방법 KR1026182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9297A KR102618277B1 (ko) 2016-10-06 2016-10-06 이동통신 환경에서 로밍 단말이 망에 접속하는 초기 동작 방법
PCT/KR2017/010674 WO2018066870A1 (ko) 2016-10-06 2017-09-27 이동통신 환경에서 로밍 단말이 망에 접속하는 초기 동작 방법
US16/336,704 US11134370B2 (en) 2016-10-06 2017-09-27 Initial operation method for roaming terminal accessing network in mobile communication environmen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9297A KR102618277B1 (ko) 2016-10-06 2016-10-06 이동통신 환경에서 로밍 단말이 망에 접속하는 초기 동작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8324A KR20180038324A (ko) 2018-04-16
KR102618277B1 true KR102618277B1 (ko) 2023-12-28

Family

ID=618321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29297A KR102618277B1 (ko) 2016-10-06 2016-10-06 이동통신 환경에서 로밍 단말이 망에 접속하는 초기 동작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1134370B2 (ko)
KR (1) KR102618277B1 (ko)
WO (1) WO201806687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88936B1 (ko) 2017-06-14 2022-04-22 삼성전자 주식회사 단말의 망 접속 방법 및 이동성 지원과 데이터 전달 방법 및 장치
US20210258763A1 (en) * 2018-07-03 2021-08-19 Deutsche Telekom Ag Method for improved handling of ip multimedia subsystem calls in a hom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nd a visited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KR20210073550A (ko) * 2018-11-06 2021-06-18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sor 정보를 관리하기 위한 방법 및 단말(ue)
US11265220B1 (en) * 2020-10-13 2022-03-01 Cisco Technology, Inc. Auto switching for enterprise federated network slice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725036B1 (en) * 2000-05-30 2004-04-20 Nokia Telecommunications Ojy System and method of controlling application level access of a subscriber to a network
WO2007136199A1 (en) * 2006-05-18 2007-11-29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electronic service guide for roaming user in a digital broadcasting system
US20090031394A1 (en) * 2007-07-24 2009-01-29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s and systems for inter-resource management service type descriptions
US9088931B2 (en) 2008-12-30 2015-07-21 United States Cellular Corporation System selection based on service-specific preferred roaming list in a wireless network
EP2405629B1 (en) * 2010-07-06 2016-09-07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 and apparatuses for controlling access to services of a telecommunications system
US8929862B2 (en) * 2011-07-08 2015-01-06 Motorola Solution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attaching a wireless device to a foreign 3GPP wireless domain using alternative authentication mechanisms
US9077553B2 (en) * 2012-04-06 2015-07-07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Inter-carrier differentiation using throughput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KR101752993B1 (ko) * 2013-05-14 2017-07-03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로밍 시나리오하에서 데이터 서비스를 처리하기 위한 방법, 장치 및 시스템
WO2017034352A1 (ko) * 2015-08-25 2017-03-02 엘지전자 주식회사 기지국 접속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사용자 장치
WO2017144096A1 (en) * 2016-02-25 2017-08-31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Enabling roaming to a visiting communication network of a wireless terminal belonging to a home communication network
EP3442281A4 (en) * 2016-04-05 2019-10-16 Sharp Kabushiki Kaisha TERMINAL DEVICE, BASIC STATION DEVICE, MME (MOBILE MANAGEMENT UNIT) AND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US10757645B2 (en) * 2016-07-15 2020-08-25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Access control in communications network comprising slices
JP6671752B2 (ja) * 2016-08-22 2020-03-25 華為技術有限公司Huawei Technologies Co.,Ltd. ネットワークスライス選択方法および装置
US10772037B2 (en) * 2016-09-30 2020-09-08 Ntt Docomo, Inc. Gateway selection method and communication system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3GPP S2-165189*
3GPP S2-165385*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066870A1 (ko) 2018-04-12
US11134370B2 (en) 2021-09-28
US20200404479A1 (en) 2020-12-24
KR20180038324A (ko) 2018-04-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3016454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ccessing cellular network for sim profile
US10972970B2 (en) Method for capability negotiation and slice information mapping between network and terminal in 5G system
US11570827B2 (en) Network-initiated PDU session connection update method between terminal and network
KR102559755B1 (ko) 네크워크 슬라이스를 지원하는 로밍 환경에서 단말의 attach 및 home routed PDU session 생성 방법
KR102449475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이 지원 가능한 네트워크 정보에 기반한 단말의 네트워크 접속 방법 및 장치
KR20200019067A (ko) 단말이 사설 셀룰러 네트워크를 발견하고 선택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20180038716A (ko) 단말의 시그널링 메시지를 Network Function 간 전달하는 방안
KR20200143134A (ko)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KR102618277B1 (ko) 이동통신 환경에서 로밍 단말이 망에 접속하는 초기 동작 방법
KR20190018235A (ko) 제 3자 응용 서버에서 단말의 무선 연결 타입 변경을 확인하는 방법
KR20210102148A (ko) 네트워크에 의한 단말과 네트워크 간의 pdu 세션 연결의 업데이트 방안
US1133006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upporting reauthentication of DN authorized PDU session and managing PDU session according to change of DN authorization data
KR102501434B1 (ko) 이동통신 네트워크 기능들을 연결하는 방법 및 장치
KR20230065806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분할 컴퓨팅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KR20220135130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세션 관리를 위한 방법 및 장치
KR102669819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로밍 단말의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상호 배타적 접속 방법 및 장치
KR20190041888A (ko) 5g 단말과 네트워크 접속 및 데이터 전송 방안
US2022032204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requests for location information service of terminals concurrent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2023013566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network slic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20230021343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로밍 단말의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20200019075A (ko) 단말이 사설 셀룰러 네트워크를 발견하고 선택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20220138775A (ko) 에지 컴퓨팅 서비스 정보를 설정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20230073580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서비스 기능 체인을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CN115669084A (zh) 检索和选择用于终端认证和订阅数据传输的服务器的方法和装置
KR20190132168A (ko) 사업자의 제한적인 서비스에 대한 망접속 제어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