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59755B1 - 네크워크 슬라이스를 지원하는 로밍 환경에서 단말의 attach 및 home routed PDU session 생성 방법 - Google Patents

네크워크 슬라이스를 지원하는 로밍 환경에서 단말의 attach 및 home routed PDU session 생성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59755B1
KR102559755B1 KR1020160129252A KR20160129252A KR102559755B1 KR 102559755 B1 KR102559755 B1 KR 102559755B1 KR 1020160129252 A KR1020160129252 A KR 1020160129252A KR 20160129252 A KR20160129252 A KR 20160129252A KR 102559755 B1 KR102559755 B1 KR 1025597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tity
network
information
plmn
network sl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292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38304A (ko
Inventor
백영교
김성훈
손중제
이호연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292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59755B1/ko
Priority to EP24152171.5A priority patent/EP4329379A2/en
Priority to PCT/KR2017/011133 priority patent/WO2018066977A1/ko
Priority to CN201780061854.2A priority patent/CN109792598B/zh
Priority to US16/338,554 priority patent/US11388656B2/en
Priority to EP17858771.3A priority patent/EP3509336B1/en
Publication of KR201800383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38304A/ko
Priority to US17/860,778 priority patent/US20220353797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97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97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16Discovering, processing 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02Processing of mobility data, e.g. registration information at HLR [Home Location Register] or VLR [Visitor Location Register]; Transfer of mobility data, e.g. between HLR, VLR or external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30Definitions, standards or architectural aspects of layered protocol stacks
    • H04L69/32Architecture of open systems interconnection [OSI] 7-layer type protocol stacks, e.g. the interfaces between the data link level and the physical level
    • H04L69/322Intralayer communication protocols among peer entities or protocol data unit [PDU] defini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18Selecting a network or a communication ser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0/00Affiliation to network, e.g. registration; Terminating affiliation with the network, e.g. de-registr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04Large scale networks; Deep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042Public Land Mobile systems, e.g. cellular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개시는 4G 시스템 이후보다 높은 데이터 전송률을 지원하기 위한 5G 통신 시스템을 IoT 기술과 융합하는 통신 기법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개시는 5G 통신 기술 및 IoT 관련 기술을 기반으로 지능형 서비스 (예를 들어, 스마트 홈, 스마트 빌딩, 스마트 시티, 스마트 카 혹은 커넥티드 카, 헬스 케어, 디지털 교육, 소매업, 보안 및 안전 관련 서비스 등)에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이 네트워크 슬라이스를 지원하는 네트워크로 로밍하는 경우에, 단말이 망에 접속하는 방법 및 home routed traffic을 서비스하기 위한 PDU session을 만드는 방법을 개시한다.

Description

네크워크 슬라이스를 지원하는 로밍 환경에서 단말의 attach 및 home routed PDU session 생성 방법{UE ATTACH AND PDU SESSION SETUP IN THE VISITED PLMN SUPPORTING NETWORK SLICE}
본 발명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이 네트워크 슬라이스를 지원하는 네트워크로 로밍하는 경우에, 단말이 망에 접속하는 방법 및 home routed traffic을 서비스하기 위한 PDU session을 만드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4G 통신 시스템 상용화 이후 증가 추세에 있는 무선 데이터 트래픽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해, 개선된 5G 통신 시스템 또는 pre-5G 통신 시스템을 개발하기 위한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5G 통신 시스템 또는 pre-5G 통신 시스템은 4G 네트워크 이후 (Beyond 4G Network) 통신 시스템 또는 LTE 시스템 이후 (Post LTE) 이후의 시스템이라 불리어지고 있다. 높은 데이터 전송률을 달성하기 위해, 5G 통신 시스템은 초고주파(mmWave) 대역 (예를 들어, 60기가(60GHz) 대역과 같은)에서의 구현이 고려되고 있다. 초고주파 대역에서의 전파의 경로손실 완화 및 전파의 전달 거리를 증가시키기 위해, 5G 통신 시스템에서는 빔포밍(beamforming), 거대 배열 다중 입출력(massive MIMO), 전차원 다중입출력(Full Dimensional MIMO: FD-MIMO), 어레이 안테나(array antenna), 아날로그 빔형성(analog beam-forming), 및 대규모 안테나 (large scale antenna) 기술들이 논의되고 있다. 또한 시스템의 네트워크 개선을 위해, 5G 통신 시스템에서는 진화된 소형 셀, 개선된 소형 셀 (advanced small cell), 클라우드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cloud radio access network: cloud RAN), 초고밀도 네트워크 (ultra-dense network), 기기 간 통신 (Device to Device communication: D2D), 무선 백홀 (wireless backhaul), 이동 네트워크 (moving network), 협력 통신 (cooperative communication), CoMP (Coordinated Multi-Points), 및 수신 간섭제거 (interference cancellation) 등의 기술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 밖에도, 5G 시스템에서는 진보된 코딩 변조(Advanced Coding Modulation: ACM) 방식인 FQAM (Hybrid FSK and QAM Modulation) 및 SWSC (Sliding Window Superposition Coding)과, 진보된 접속 기술인 FBMC(Filter Bank Multi Carrier), NOMA(non orthogonal multiple access), 및SCMA(sparse code multiple access) 등이 개발되고 있다.
한편, 인터넷은 인간이 정보를 생성하고 소비하는 인간 중심의 연결망에서, 사물 등 분산된 구성 요소들 간에 정보를 주고받아 처리하는 IoT(Internet of Things, 사물인터넷) 망으로 진화하고 있다. 클라우드 서버 등과의 연결을 통한 빅데이터(Big data) 처리 기술 등이 IoT 기술에 결합된 IoE (Internet of Everything) 기술도 대두되고 있다. IoT를 구현하기 위해서, 센싱 기술, 유무선 통신 및 네트워크 인프라, 서비스 인터페이스 기술, 및 보안 기술과 같은 기술 요소 들이 요구되어, 최근에는 사물간의 연결을 위한 센서 네트워크(sensor network), 사물 통신(Machine to Machine, M2M), MTC(Machine Type Communication)등의 기술이 연구되고 있다. IoT 환경에서는 연결된 사물들에서 생성된 데이터를 수집, 분석하여 인간의 삶에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는 지능형 IT(Internet Technology) 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다. IoT는 기존의 IT(information technology)기술과 다양한 산업 간의 융합 및 복합을 통하여 스마트홈, 스마트 빌딩, 스마트 시티, 스마트 카 혹은 커넥티드 카, 스마트 그리드, 헬스 케어, 스마트 가전, 첨단의료서비스 등의 분야에 응용될 수 있다.
이에, 5G 통신 시스템을 IoT 망에 적용하기 위한 다양한 시도들이 이루어지고 있다. 예를 들어, 센서 네트워크(sensor network), 사물 통신(Machine to Machine, M2M), MTC(Machine Type Communication)등의 기술이 5G 통신 기술이 빔 포밍, MIMO, 및 어레이 안테나 등의 기법에 의해 구현되고 있는 것이다. 앞서 설명한 빅데이터 처리 기술로써 클라우드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cloud RAN)가 적용되는 것도 5G 기술과 IoT 기술 융합의 일 예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이 타 사업자 망에 접속하여서 서비스를 받고자 하는 경우, 무선자원과 네트워크 자원을 효율적으로 운용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가 필요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이 네트워크 슬라이스를 지원하는 사업자의 망에 접속하여서 서비스를 받고자 할 때, 단말이 가입되어 있는 이동통신 사업자와 단말이 방문한 지역의 이동통신 사업자 간의 연결을 통해서 단말이 네트워크 슬라이스를 지원하는 사업자 망에 접속하는 방법 및 상기 로밍 단말이 home-routed traffic을 서비스하기 위해서 PDU session을 만드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제어 신호 처리 방법에 있어서, 기지국으로부터 전송되는 제1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제1 제어 신호를 처리하는 단계; 및 상기 처리에 기반하여 생성된 제2 제어 신호를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단말이 로밍 환경에서 타 사업자 망에 접속하여서 서비스를 받고자 할 때, 단말의 서비스를 지원할 수 있는 네트워크 슬라이스를 할당하고 이를 통하여 서비스를 받도록 하며, home-routed traffic을 서비스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PDU세션을 만들어서 단말에게 알맞은 QoS를 지원하도록 함으로써, 무선자원과 네트워크 자원을 효율적으로 운용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a는 네트워크 슬라이스가 적용되는 무선통신 시스템들 간에 로밍을 지원하는 망 구조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b는 네트워크 슬라이스가 적용되는 로밍 환경에서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의 네트워크 초기 연결 및 등록 절차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c는 네트워크 슬라이스가 적용되는 로밍 환경에서의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단말이 home routed traffic을 위한 PDU session을 생성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d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serving CCNF가 NF repository function을 통해서 알맞은 SM NF을 찾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e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SM NF이 NF repository function을 통해서 알맞은 UP NF을 찾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f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SM NF이 NF repository function을 통해서 home PLMN에서 알맞은 SM NF을 찾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g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SM NF이 NF repository function을 통해서 알맞은 UP NF을 찾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h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네트워크 슬라이스가 적용되는 무선통신 시스템들 간에 로밍을 지원하는 망 구조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된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설명에서 사용되는 접속 노드(node)를 식별하기 위한 용어, 망 객체(network entity)들을 지칭하는 용어, 메시지들을 지칭하는 용어, 망 객체들 간 인터페이스를 지칭하는 용어, 다양한 식별 정보들을 지칭하는 용어 등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예시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이 후술되는 용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동등한 기술적 의미를 가지는 대상을 지칭하는 다른 용어가 사용될 수 있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본 발명은 3GPP LTE(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ong Term Evolution) 규격에서 정의하고 있는 용어 및 명칭들을 사용한다. 하지만, 본 발명이 상기 용어 및 명칭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른 규격에 따르는 시스템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1a는 네트워크 슬라이스가 적용되는 무선통신 시스템들 간에 로밍을 지원하고 home routed traffic을 서비스 하는 경우의 망 구조에서 단말과 무선 기지국의 부분을 제외한 코어 망 구조의 예를 도시한다.
상기 도 1a를 참고하면, 상기 네트워크 슬라이스를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의 코어 망은 단말이 로밍을 하여서 접속하게 된 Visited PLMN에서는 CCNF(Common Control Plane Network Functions) (1a-01)와 네트워크 슬라이스 관련된 Network Function을 모은 Slice specific Core Network Function(1a-05)로 구성이 되고, 상기 Slice specific Core Network Function(1a-05)는 네트워크 슬라이스 안에서만 사용되도록 정의된 Control Plane Network Function들인 Slice CP NF_1, …, Slice CP NF_n로 구성된 SSCNF (Slice Specific Control Plane Network Functions)(1a-07)와 네트워크 슬라이스 안에서만 사용되도록 정의된 User Plane Network Function들인 Slice UP NF_1, …, Slice UP NF_n로 구성된 SSUNF(Slice Specific User Plane Network Functions) (1a-08)으로 구성된다.
또한, Home PLMN에서는 단말의 subscription정보를 가지고 있는 Subscriber Repository(1a-03)과 Home에서의 policy 적용을 하게되는 Home Policy Control Function(1a-02), 그리고, 상기 Home Policy Control Function에게 policy를 위한 정보를 공급해줄 수 있는 AF(1a-04) 뿐만 아니라 네트워크 슬라이스 관련된 Network Function을 모은 Slice specific Core Network Function(1a-06)등으로 구성이 되고, 상기 Slice specific Core Network Function(1a-06)은 네트워크 슬라이스 안에서만 사용되도록 정의된 Control Plane Network Function들인 Slice CP NF_1, …, Slice CP NF_n로 구성된 SSCNF(Slice Specific Control Plane Network Functions)(1a-09)와 네트워크 슬라이스 안에서만 사용되도록 정의된 User Plane Network Function들인 Slice UP NF_1, …, Slice UP NF_n로 구성된 SSUNF(Slice Specific User Plane Network Functions)(1a-10)으로 구성된다.
또한, Visited PLMN 과 Home PLMN에서 Network Function들로부터 요청을 받아서 상기 Network Function들이 찾고자 하는 알맞은 Network Function을 찾아주는 기능을 하는 Visited NF Repository Function(1a-12) 와 Home NF Repository Function(1a-13)가 상기 구성에 포함될 수 있다. 또는,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방법으로서 visited NF Repository Function(1a-12)은 CCNF(1a-01)안에 있거나 home NF Repository Function(1a-13)은 CCNF(1a-01)안에 있으면서, Network Slice Instance로부터 알맞은 NF을 선택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NFI selector가 될 수도 있다. 본 특허에서는 편의상 용어 ‘NF Repository Function’을 사용하지만 Network Slice가 사용되는 경우에 NFI selector로도 해석될 수 있음을 명시한다.
상기 정의된 CCNF(1a-01)은 Visited PLMN에 접속하는 단말 및 단말이 접속하는 기지국과 연결하여 단말을 관리하기 위한 제어 메시지들을 처리하고 단말의 이동성을 관리 한다. 또한, Home PLMN에 위치한 Subscriber Repository(1a-03)에 연결하여 가입자 관련 정보를 수신하며 단말의 인증을 수행한다. 또한, 접속하는 단말의 정보를 활용하여 단말에게 제공할 Network Slice Instance를 선택하고, Network Slice Instance에 속하는 SSCNF(1a-07)에서 적당한 Slice CP NF를 선택한다. 이때 적당한 Slice CP NF를 선택하기 위해서 Visited NF Repository Function(1a-12)를 이용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Slice CP NF는 상기 Network Slice Instance에 속하는 SSUNF(1a-08)에서 적당한 Slice UP NF를 선택한다. 이 때 또한 적당한 Slice UP NF를 선택하기 위해서 Visited NF Repository Function(1a-12)를 이용할 수도 있다.
이와 달리, 단말의 정보를 활용하여 단말에게 제공할 Network Slice Instance를 선택한 상기 CCNF(1a-01)은 상기 Network Slice Instance에 속하는 SSCNF(1a-07)에서 적당한 Slice CP NF를 선택하고, 상기 Network Slice Instance에 속하는 SSUNF(1a-08)에서 적당한 Slice UP NF를 선택할 수도 있다. 이 때 또한 적당한 Slice CP NF와 Slice UP NF를 선택하기 위해서 Visited NF Repository Function(1a-12)를 이용할 수도 있다.
상기 Visited PLMN에서 선택된 Slice CP NF와 Slice UP NF는 상기 Home PLMN에 속한 SSCNF(1a-09)과 SSUNF(1a-10)들로부터 선택된 Slice CP NF와 Slice UP NF과의 연결을 통해서 단말이 속한 Network Slice에서의 데이터 서비스를 지원한다.
Slice CP NF으로는 상기 단말이 Data NW을 통해서 서비스를 수행할 수 있는 PDU session을 관리하며 선택된 Slice UP NF들과 연락하여 상기 단말을 위한 서비스 데이터들을 전송을 관리하는 SM function이 속할 수 있다.
Slice UP NF은 상기 단말 및 상기 기지국과 연결하여 사용자 서비스 데이터들을 위한 패킷을 처리하는 등 LTE 시스템에서의 P-GW의 User Plane function의 기능을 한다.
상기 정의된 CCNF(1a-01)의 가입자 인증 기능, 단말의 이동성 관리 기능, Network Slice의 선택 및 SSCNF(1a-07)(1a-09)/SSUNF(1a-08)(1a-10)의 선택 기능 그리고, 단말 및 단말이 접속하는 기지국과의 연결을 통한 제어 메시지의 처리 기능 들은 각각 개별적인 Network Function으로 정의되거나 일부가 합쳐진 형태의 Network Function으로 정의될 수도 있다.
도 1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이 네트워크 슬라이스가 적용되는 로밍 환경에서의 단말의 네트워크 초기 연결 및 등록 절차를 예시한다.
상기 단말(1b-01)은 로밍에 따른 Visited PLMN에 접속하기 위해서 상기 기지국(1b-02)에 등록을 요청하는 Initial Attach Request(1b-10)을 전송한다. 상기 Initial Attach Request(1b-10)은 단말을 Identification할수 있는 정보 예를 들어 IMSI, 또는 IMEI 또는 GUTI등과 같은 temporary ID가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단말이 Home PLMN 사업자에게 등록한 서비스와 이를 지원하는 Service Type, Network Slice Type 또는 Network Slice를 지칭하는 ID 등의 정보를 포함하는 Slice Selection Assistance information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지국(1b-02)은 상기 단말(1b-01)에게서 상기 Initial Attach Request(1b-10)을 수신한 후, 상기 Initial Attach Request(1b-10)을 처리할 default CCNF(1b-03)을 선택하고 상기 수신한 Initial Attach Request(1b-11)을 전달한다.
상기 기지국(1b-02)는 상기 default CCNF(1b-03)을 선택할 때, 상기 Slice Selection Assistance information을 참조하여 단말의 가입된 Service 또는 Network Slice를 지원할 수 있도록 CCNF를 선택하거나, Visited PLMN에서 미리 설정된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default CCNF(1b-03)을 선택할 수 있다.
상기 default CCNF(1b-03)은 상기 Initial Attach Request(1b-11)을 수신한 후에 상기 단말(1b-01)이 속한 Home PLMN에 존재하는 상기 Subscriber Repository(1b-05)과 연결을 통하여 상기 단말이 올바른 단말인지 Authentication의 절차와 상기 단말에 속한 가입정보(subscription data)를 받아온다(1b-12).
이때, 상기 단말에 속한 가입정보(subscription data)는 상기 단말(1b-01)의 가입한 Network Slice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1b-12)의 절차에서 상기 default CCNF(1b-03)은 상기 Subscriber Repository(1b-05)에게서 default DNN의 정보 및 Visited PLMN과 Home PLMN사이의 Service Level Agreement(SLA)에 따라서 허용된 DNN list의 정보를 전달받을 수 있다.
상기 default CCNF(1b-03)은 상기 (1b-12) 절차에서 수신한 상기 단말(1b-01)의 subscription data에서 상기 기지국(1b-02)에게서 수신한 상기 initial Attach Request(1b-11)에 속한 Slice Selection Assistance information을 바탕으로 visited PLMN에서 제공해줄 수 있는 Network Slice Instance를 선택한다. 하지만, 상기 default CCNF(1b-03)가 알맞은 Network Slice Instance를 찾기 힘들거나 더 알맞은 CCNF가 있는 경우에 상기 default CCNF는 더 알맞은 CCNF를 serving CCNF로 사용할 수 있도록 attach메시지를 포워딩할 수 있다. 여기서는 상기 선택된 CCNF를 CCNF1(1b-04)로 가정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1b-14) 절차에서 상기 default CCNF(1b-03)은 CCNF1(1b-04)에게 Forward attach request메시지를 통해서 serving CCNF를 변경하게 된다. 상기 forward attach request메시지는 상기 initial Attach Request(1b-11)에 포함된 단말의 Identity information, Slice Selection Assistance information 등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고 또한 상기 (1b-12) 절차에서 획득한 subscribed MM context및 subscribed SM context 등의 정보를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subscribed SM context에는 default DNN의 정보와 허용된 DNN list의 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선택된 CCNF1(1b-04)가 subscription정보를 가져오기 위한 방안으로서, 상기 CCNF1(1b-04)는 상기 Forward attach request를 수신하게 되면, Subscriber Repository(1b-05)에 접속하여 subscription data를 받아옴으로서 subscribed MM context및 subscribed SM context 등의 정보를 획득할 수도 있다. 상기 subscribed SM context에는 default DNN의 정보와 허용된 DNN list의 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한편, (1b-15) 절차에서 상기 CCNF1(1b-04)는 전달된 Slice Selection Assistance information등을 바탕으로 visited PLMN에서 제공해줄 수 있는 Network Slice Instance를 선택한다. 또한, 상기 CCNF1(1b-04)는 상기 단말에 대한 temporary ID를 할당하고, 네트워크에서 동의된 서비스의 정보 예를 들어 agreed slice selection assistance information등의 정보를 (1b-16) 절차에서 Forward attach accept메시지에 실어서 상기 default CCNF(1b-03)에게 전달하고, 상기 default CCNF는 (1b-17) (1b-18) 절차에서 Attach accept메시지를 단말에게 보낸다.
위의 attach procedure는 non-roaming상황에서도 역시 그대로 사용되어질 수 있다. 특히, 단말이 roaming상황인 경우에는 상기 (1b-13) 절차와 (1b-15)절차에서 default CCNF(1b-03) 또는 CCNF1(1b-04)가 Network Slice Instance를 selection할 때, default DNN이 HPLMN에서 사용되는 DNN값인 경우, 또는 허용된 DNN list의 정보가 HPLMN에서 사용되는 DNN값인 경우에 Home-Routed Traffic 전용 Network Slice Instance를 선택할 수도 있다.
도 1c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단말이 네트워크 슬라이스가 적용되는 로밍 환경에서의 단말이 home routed traffic을 위한 PDU session을 생성하는 과정을 예시한다.
상기 단말(1b-01)은 로밍하고 있는 Visited PLMN에서 PDU session을 만들기 위해서 접속하기 위해서 serving CCNF(1c-02)에 NAS_PDUsession request메시지를 보낸다(1c-11). 상기 NAS_PDUsession request메시지는 단말의 Identity인 temporary ID 또는 단말이 만들고자 하는 PDU session의 특성 또는 이용하고자 하는 서비스의 특성을 나타내는 requested slice assistance information 또는 단말이 사용할 IP address를 받고자 하는 망의 정보를 나타내는 DNN(Data Network Name) 의 전부 혹은 일부 파라미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DNN정보는 LTE망에서의 APN(Access point name)과 같이 단말이 사용할 IP address를 받고자 하는 망의 정보를 나타내는 정보이다. 만약 DNN이 상기 메시지에 포함되어있지 않은 경우에는 subscription정보로부터 얻어낸 default DNN을 DNN정보로 사용한다.
상기 NAS_PDUsession request메시지를 수신한 상기 serving CCNF(1c-02)는, 단말이 요청한 requested slice assistance information와 DNN에 대해서 서비스할 수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서 subscription 정보를 체크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serving CCNF는 Home PLMN에 있는 Subscriber Repository(1c-09)에 subscription정보를 요청해서 받아올 수도 있다.
상기 requested slice assistance information와 DNN에 대해서 서비스할 수 있는 Network Slice instance가 아직 정해져 있지 않은 경우에는 NSI selector를 통해서 알맞은 Network Slice instance(1c-20)를 선택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1c-13) 절차에서 상기 serving CCNF는 상기 선택된 Network Slice instance정보(1c-20)를 기반으로 하여 session management를 위한 NF인 SM NF1(1c-03)을 선택할 수 있다. 상기 serving CCNF가 상기 SM NF1을 선택하는 방법은 상기 serving CCNF 자체적으로 가지고 있는 Network Function과 network slice에 대한 정보를 기반으로 선택하거나, NF repository function(1c-05)와 같이 알맞은 Network function을 찾아주는 엔터티에게 요청하여 상기 선택된 Network Slice instance정보(1c-20)를 이용해서 찾을 수도 있다.
(1c-13) 절차에서 상기 NF repository function(1c-05)를 통해서 SM NF를 visited PLMN에서 찾는 방법은 추후에 별도로 기술하기로 한다.
한편, (1c-13) 절차에서 SM NF1(1c-03)을 찾은 상기 serving CCNF는 상기 SM NF1에게 PDU session request메시지를 보내서 PDU session을 셋업해주기를 요청할 수 있다(1c-14). 상기 PDU session request메시지는 단말의 identity인 IMSI 또는 Temporary ID 또는 agreed slice assistance information 또는 DNN 또는 session ID 또는 상기 선택된 network slice instance정보인 NSI_1(1c-20) 또는 NAS_PDUsession request메시지 중의 일부 혹은 전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PDUsession request메시지를 수신한 상기 SM NF1은 (1c-15) 절차에서 수신된 NSI_1(1c-20)를 기반으로 하여 user plane function을 위한 NF인 UP NF1(1c-04)을 선택할 수 있다. 상기 SM NF1이 상기 UP NF1을 선택하는 방법은 상기 SM NF1 자체적으로 가지고 있는 Network Function과 network slice에 대한 정보를 기반으로 선택하거나, NF repository function(1c-05)와 같이 알맞은 Network function을 찾아주는 엔터티에게 요청하여 상기 선택된 Network Slice instance정보 즉 NSI_1(1c-20)를 이용해서 찾을 수도 있다.
(1c-15) 절차에서 상기 NF repository function(1c-05)를 통해서 UP NF를 visited PLMN에서 찾는 방법은 추후에 별도로 기술하기로 한다.
한편, 상기 SM NF1은 선택된 UP NF1에 대해서 user plane을 setup한다(1c-16).
상기 SM NF1는 DNN으로부터 단말이 요청한 PDU session 요청이 home routed traffic을 위한 것임을 인식하게 되면, (1c-17) 절차와 같이 해당 PDU session요청메시지를 전달할 알맞은 SM NF를 Home PLMN에서 찾게 된다. 이때, visited PLMN에 있는 상기 SM NF1은 NF repository function(1c-05)와 같이 알맞은 Network function을 찾아주는 엔터티에게 요청하여 DNN 또는 agreed slice assistance information의 일부 혹은 전체를 이용해서 알맞은 SM NF을 home PLMN에서 찾을 수도 있다. 그리고, home PLMN이 Network Slice를 지원하는 경우에는 상기 Home PLMN에서 찾은 SM NF가 속해있는 Network Slice Instance(1c-30)의 정보도 함께 상기 SM NF1가 알아낼 수도 있다. 이때 visited PLMN의 NF repository function(1c-05)는 home PLMN의 NF repository function(1c-08)를 통해서 알맞은 SM NF 및 SM NF가 속해있는 Home PLMN의 network slice instance를 찾을 수 있다. (1c-17) 절차에서 상기 NF repository function(1c-05)과 NF repository function(1c-08)를 통해서 SM NF 및 SM NF가 속해있는 network slice instance를 home PLMN에서 찾는 방법은 추후에 별도로 기술하기로 한다.
(1c-17) 절차에서 home PLMN에서 선택된 SM NF2에게 상기 SM NF1은 PDU session 셋업을 요청하기위해서 HR_PDUsession request 메시지를 보낸다(1c-18). 상기 HR_PDUsession request 메시지는 단말의 Identity 예를 들어 IMSI, 또는 agreed slice assistance information, 또는 session ID 또는 visited PLMN의 UP NF_1의 address, 또는 (1c-17) 절차에서 획득한 home PLMN에서의 SM NF2를 포함하는 network slice instance(1c-30)의 정보 중에서 일부 혹은 전부를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HR_PDUsession request 메시지를 수신한 상기 SM NF2는 policy function(1c-10)을 통해서 operator policy를 기반으로 authorization을 수행한다(1c-19).
Authorized된 경우에 상기 SM NF2는 (1c-20) 절차와 같이 UE의 IP address를 할당하고, user plane을 setup하기위한 알맞은 UP NF를 Home PLMN에서 찾게 된다. 이때, 상기 SM NF2는 NF repository function(1c-08)와 같이 알맞은 Network function을 찾아주는 엔터티에게 요청하여 DNN 또는 agreed slice assistance information의 일부 혹은 전체를 이용해서 알맞은 UP NF을 home PLMN에서 찾을 수도 있다. 또는, 상기 SM NF2가 속해있는 Network Slice Instance(1c-30)의 정보가 있는 경우에는 NF repository function(1c-08)와 같이 알맞은 Network function을 찾아주는 엔터티에게 요청하여 상기 Network Slice Instance(1c-30)의 정보를 이용해서 알맞은 UP NF를 home PLMN에서 찾을 수도 있다.
(1c-20) 절차에서 상기 NF repository function(1c-08)를 통해서 UP NF를 home PLMN에서 찾는 방법은 추후에 별도로 기술하기로 한다.
(1c-20) 절차를 통해서 UP NF2를 찾은 상기 SM NF2는 user plane을 setup하게되고(1c-21), PDU session을 setup한 결과를 visited PLMN에 있는 상기 SM NF1에게 HR_PDUsession response메시지를 통해서 보내게 된다(1c-22). 상기 HR_PDUsession response메시지는 (1c-20)절차에서 획득한 UE의 IP address 또는 Session ID 또는 (1c-20)절차에서 획득한 UP NF2의 address정보 중 일부 혹은 전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SM NF1은 PDU session setup결과를 상기 serving CCNF를 통해서 단말까지 전달하게 된다. 이 과정에서 Serving CCNF가 단말에게 보내는 NAS메시지는 NAS_PDUsession response메시지로서 agreed slice assistance information 또는 DNN 또는 UE의 IP address 또는 session ID중에서 일부 혹은 전부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SM NF1이 NAS_PDUsession response메시지를 생성하고, 단말의 temporary ID와 session ID와 함께 상기 serving CCNF(1c-02)에게 PDU session response에 포함하여 상기 serving CCNF에 보내게 되고(1c-23), 다시 상기 serving CCNF는 NAS_PDUsession response메시지를 단말에게 전달하게 되어 PDU session이 생성됐음을 단말에게 알리게 된다(1c-24).
도 1d는 본 발명의 도 1c의 3번째단계(1c-13)에서 serving CCNF가 NF repository function을 통해서 알맞은 SM NF을 찾는 과정을 예시한다.
serving CCNF(1d-01)은 visited PLMN의 NF repository function(1d-02)에게 알맞은 SM NF를 찾아달라는 요청을 하기 위해, NF discovery request메시지를 보낸다(1d-04). 상기 메시지는 찾고 싶은 NF의 형태에 대한 정보인 SM NF 또는, 요청하는 NF의 정보인 serving CCNF info 또는, 요청하는 NF를 찾을 PLMN의 정보인 Visited PLMN ID 또는, 기존에 할당 받은 Network Slice instance의 정보 중 일부 및 전부를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추가로 단말의 identity정보인 IMSI, 또는 temporary ID의 정보 중 일부 및 전부를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NF repository function(1d-02)는 자신의 data base 혹은 다른 database의 정보를 검색하여 알맞은 SM NF인 SM NF1을 찾아서 SM NF1의 address 정보를 상기 serving CCNF에 전달한다(1d-05).
도 1e는 본 발명의 도 1c의 5번째단계(1c-15)에서 SM NF1이 NF repository function을 통해서 알맞은 UP NF을 찾는 과정을 예시한다.
SM NF1(1e-01)은 visited PLMN의 NF repository function(1e-02)에게 알맞은 UP NF를 찾아달라는 요청을 하기 위해, NF discovery request메시지를 보낸다(1e-04). 상기 메시지는 찾고 싶은 NF의 형태에 대한 정보인 UP NF 또는, 요청하는 NF의 정보인 SM NF1 또는, 요청하는 NF를 찾을 PLMN의 정보인 Visited PLMN ID 또는, 기존에 할당받은 Network Slice instance의 정보 중 일부 및 전부를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추가로 단말의 identity정보인 IMSI, 또는 temporary ID의 정보 중 일부 및 전부를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NF repository function(1e-02)는 자신의 data base혹은 다른 database의 정보를 검색하여 알맞은 UP NF인 UP NF1을 찾아서 UP NF1의 address 정보를 상기 SM NF1에 전달한다(1e-05).
도 1f는 본 발명의 도 1c의 7번째단계(1c-17)에서 SM NF1이 NF repository function을 통해서 home PLMN에서 알맞은 SM NF을 찾는 과정을 예시한다.
SM NF1(1f-01)은 visited PLMN의 NF repository function(1f-02)에게 home PLMN에서 알맞은 SM NF를 찾아달라는 요청을 하기 위해, NF discovery request메시지를 보낸다(1f-04). 상기 메시지는 찾고 싶은 NF의 형태에 대한 정보인 SM NF 또는, 요청하는 NF의 정보인 SM NF1 또는, 요청하는 NF를 찾을 PLMN의 정보인 home PLMN ID 또는, 기존에 할당 받은 Network Slice instance가 있다면 Network Slice instance, 또는 DNN 또는, agreed slice assistance information의 정보 중 일부 및 전부를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추가로 단말의 identity정보인 IMSI, 또는 temporary ID의 정보 중 일부 및 전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NF repository function(1f-02)는 home PLMN에 있는 NF repository function(1f-03)에게 NF discovery 요청메시지를 보내게 된다(1f-05). 상기 요청 받은 home PLMN에 있는 NF repository function(1f-03)은 자신의 data base혹은 다른 database의 정보를 검색하여 알맞은 SM NF인 SM NF2을 찾아서 SM NF2의 address 정보를 상기 Visited PLMN에 있는 NF repository function(1f-02)에 전달한다(1f-06). 이때, Home PLMN에서 Network Slice를 지원하는 경우에 상기 찾아낸 SM NF2가 속해 있는 Network Slice Instance정보도 함께 상기 NF repository function(1f-02)에 전달할 수 있다. 상기 NF repository function(1f-02)는 상기 전달받은 정보를 상기 SM NF1에게 응답으로 전달한다.
도 1g는 본 발명의 도 1c의 10번째단계(1c-20)에서 SM NF2이 NF repository function을 통해서 알맞은 UP NF을 찾는 과정을 예시한다.
SM NF2(1g-02)은 home PLMN의 NF repository function(1g-03)에게 알맞은 UP NF를 찾아달라는 요청을 하기 위해, NF discovery request메시지를 보낸다(1g-04). 상기 메시지는 찾고 싶은 NF의 형태에 대한 정보인 UP NF 또는, 요청하는 NF의 정보인 SM NF2 또는, 요청하는 NF를 찾을 PLMN의 정보인 home PLMN ID 또는, 기존에 할당 받은 Network Slice instance가 있다면 Network Slice instance, 또는 DNN 또는, agreed slice assistance information의 정보 중 일부 및 전부를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추가로 단말의 identity정보인 IMSI, 또는 temporary ID의 정보 중 일부 및 전부를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NF repository function(1g-03)는 자신의 data base혹은 다른 database의 정보를 검색하여 알맞은 UP NF인 UP NF2을 찾아서 UP NF2의 address 정보를 상기 SM NF2에 전달한다(1g-05).
도1h는 네트워크 슬라이스가 적용되는 무선통신 시스템들 간에 로밍을 지원하고 home routed traffic을 서비스 하는 경우의 망 구조에서 단말과 무선 기지국의 부분을 제외한 코어 망 구조의 예로서 도1a달리 Home PLMN에 있는 NSI selector를 통해서 home routed traffic을 서비스하는 Network slice instance를 사용하는 경우의 구조를 도시한다.
상기 도 1h를 참고하면, 상기 네트워크 슬라이스를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의 코어 망은 단말이 로밍을 하여서 접속하게 된 Visited PLMN에서는 CCNF (Common Control Plane Network Functions) (1h-01)과 네트워크 슬라이스 관련된 Network Function을 모은 Slice specific Core Network Function(1h-05)로 구성이 되고, 상기 Slice specific Core Network Function(1h-05)는 네트워크 슬라이스 안에서만 사용되도록 정의된 Control Plane Network Function들인 Slice CP NF_1, …, Slice CP NF_n로 구성된 SSCNF (Slice Specific Control Plane Network Functions) (1h-07)와 네트워크 슬라이스 안에서만 사용되도록 정의된 User Plane Network Function들인 Slice UP NF_1, …, Slice UP NF_n로 구성된 SSUNF (Slice Specific User Plane Network Functions) (1h-08) 으로 구성된다. 상기 CCNF(1h-01)는 Visited PLMN에서의 Network Slice Instance(NSI) selector(1h-14)를 포함 할 수도 있다.
또한, Home PLMN에서는 단말의 subscription정보를 가지고 있는 Subscriber Repository(1h-03)과 Home에서의 policy 적용을 하게 되는 Home Policy Control Function(1h-02), 그리고, 상기 Home Policy Control Function에게 policy를 위한 정보를 공급해줄 수 있는 AF(1h-04) 뿐만 아니라 네트워크 슬라이스 관련된 Network Function을 모은 Slice specific Core Network Function(1h-06)등으로 구성이 되고, 상기 Slice specific Core Network Function(1h-06)은 네트워크 슬라이스 안에서만 사용되도록 정의된 Control Plane Network Function들인 Slice CP NF_1, …, Slice CP NF_n로 구성된 SSCNF (Slice Specific Control Plane Network Functions) (1h-09)와 네트워크 슬라이스 안에서만 사용되도록 정의된 User Plane Network Function들인 Slice UP NF_1, …, Slice UP NF_n로 구성된 SSUNF (Slice Specific User Plane Network Functions) (1h-10)으로 구성된다. 또한 home PLMN에서의 Network Slice를 선택하는 기능을 하는 엔터티인 Network Slice Instance(NSI) selector(1h-15)를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Visited PLMN 과 Home PLMN에서 Network Function들로부터 요청을 받아서 상기 Network Function들이 찾고자 하는 알맞은 Network Function을 찾아주는 기능을 하는 Visited NF Repository Function(1h-12) 와 Home NF Repository Function(1h-13)가 상기 구성에 포함될 수 있다. 또는,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방법으로서 visited NF Repository Function(1h-12)은 CCNF(1h-01)안에 있거나 home NF Repository Function(1h-13)은 CCNF(1h-01)안에 있으면서, Network Slice Instance로부터 알맞은 NF을 선택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NFI selector가 될 수도 있다. 본 특허에서는 편의상 용어 ‘NF Repository Function’을 사용하지만 Network Slice가 사용되는 경우에 NFI selector로도 해석될 수 있음을 명시한다.
상기 정의된 CCNF(1h-01)은 Visited PLMN에 접속하는 단말 및 단말이 접속하는 기지국과 연결하여 단말을 관리하기 위한 제어 메시지들을 처리하고 단말의 이동성을 관리 한다. 또한, Home PLMN에 위치한 Subscriber Repository(1h-03)에 연결하여 가입자 관련 정보를 수신하며 단말의 인증을 수행한다. 또한, 접속하는 단말의 정보를 활용하여 단말에게 제공할 Network Slice Instance를 선택하고, Network Slice Instance에 속하는 SSCNF(1h-07)에서 적당한 Slice CP NF를 선택한다. 이때 적당한 Slice CP NF를 선택하기 위해서 Visited NF Repository Function(1h-12)를 이용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Slice CP NF는 상기 Network Slice Instance에 속하는 SSUNF(1h-08)에서 적당한 Slice UP NF를 선택한다. 이 때 또한 적당한 Slice UP NF를 선택하기 위해서 Visited NF Repository Function(1h-12)를 이용할 수도 있다.
이와 달리, 단말의 정보를 활용하여 단말에게 제공할 Network Slice Instance를 NSI selector(1h-14)를 통해 선택한 상기 CCNF(1h-01)은 상기 Network Slice Instance에 속하는 SSCNF(1h-07)에서 적당한 Slice CP NF를 선택하고, 상기 Network Slice Instance에 속하는 SSUNF(1h-08)에서 적당한 Slice UP NF를 선택할 수도 있다. 이때 또한 적당한 Slice CP NF와 Slice UP NF를 선택하기 위해서 Visited NF Repository Function(1h-12)를 이용할 수도 있다.
상기 Visited PLMN에서 NSI selector(1h-14)를 통해 선택된 Slice CP NF와 Slice UP NF는 상기 Home PLMN에 속한 NSI selector(1h-15)를 통해 선택된 Network Slice instance인 SSCNF(1h-09)과 SSUNF(1h-10)들로부터 선택된 Slice CP NF와 Slice UP NF와의 연결을 통해서 단말이 속한 Network Slice에서의 데이터 서비스를 지원한다.
상기 도 1h를 이용해서 home routed traffic을 위한 PDU session을 만드는 경우에도 상기 도1c와 동일한 절차를 따르게 된다. 단지 2번째 단계(1c-12)의 단계에서 serving CCNF(1c-02)는 visited PLMN의 NSI selector에게 home PLMN의 ID, 또는 DNN정보, 또는 agreed slice assistance information정보 중 일부 및 전부를 포함하여 Home PLMN에서의 알맞은 network Slice instance값을 요청하게 되면, 상기 visited PLMN의 NSI selector는 home PLMN의 NSI selector에게 상기 serving CCNF(1c-02)로부터 받은 정보를 전달하게 되고, home PLMN의 NSI selector는 알맞은 Network Slice Instance를 선택하여 상기 visited PLMN의 NSI selector를 통해서 상기 serving CCNF(1c-02)에게 전달하게 된다. 상기 선택된 home PLMN의 Network Slice Instance정보 NSI2(1c-30)은 4번째 단계(1c-14)에서 PDU session request를 통해서 SM NF1에게 전달되게 되고, 7번째 단계(1c-17)에서 home PLMN의 SM NF를 선택하는 과정에서 상기 선택된 home PLMN의 Network Slice Instance정보 NSI2(1c-30)가 사용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들에서, 발명에 포함되는 구성 요소는 제시된 구체적인 실시 예에 따라 단수 또는 복수로 표현되었다. 그러나 단수 또는 복수의 표현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시한 상황에 적합하게 선택된 것으로서, 본 발명이 단수 또는 복수의 구성 요소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복수로 표현된 구성 요소라하더라도 단수로 구성되거나, 단수로 표현된 구성 요소라 하더라도 복수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Claims (12)

  1. 서빙(serving) PLMN(public land mobile network)의 제1 NRF(network repository function) 엔티티(entity)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에 있어서,
    홈(home) PLMN의 식별자, 네트워크 슬라이스 도움 정보(network slice assistance information), 네트워크 슬라이스 인스턴스 정보(network slice instance information), 및 데이터 네트워크 이름(data network name)을 포함하고 타겟 NF(network function) 엔티티의 정보를 요청하는 제1 NF 디스커버리(discovery) 요청 메시지를 상기 서빙 PLMN의 요청 NF 엔티티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홈 PLMN 식별자에 기반하여, 상기 네트워크 슬라이스 도움 정보, 상기 네트워크 슬라이스 인스턴스 정보, 및 상기 데이터 네트워크 이름을 포함하는 제2 NF 디스커버리 요청 메시지를 상기 홈 PLMN의 제2 NRF 엔티티에게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제2 NF 디스커버리 요청 메시지의 응답으로, 상기 홈 PLMN의 타겟 NF 엔티티의 주소를 포함하는 제1 NF 디스커버리 응답 메시지를 상기 제2 NRF 엔티티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타겟 NF의 주소를 포함하는 제2 NF 디스커버리 응답 메시지를 상기 요청 NF 엔티티에게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NF 디스커버리 요청 메시지는 타겟 NF 엔티티의 타입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NF 디스커버리 응답 메시지는 상기 타겟 NF 엔티티와 연관된 네트워크 슬라이스 인스턴스 정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서빙(serving) PLMN(public land mobile network)의 제1 NRF(network repository function) 엔티티에 있어서,
    송수신부; 및
    상기 송수신부와 연결되고, 홈(home) PLMN의 식별자, 네트워크 슬라이스 도움 정보(network slice assistance information), 네트워크 슬라이스 인스턴스 정보(network slice instance information), 및 데이터 네트워크 이름(data network name)을 포함하고 타겟 NF(network function) 엔티티의 정보를 요청하는 제1 NF 디스커버리(discovery) 요청 메시지를 상기 서빙 PLMN의 요청 NF 엔티티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홈 PLMN 식별자에 기반하여, 상기 네트워크 슬라이스 도움 정보, 상기 네트워크 슬라이스 인스턴스 정보, 및 상기 데이터 네트워크 이름을 포함하는 제2 NF 디스커버리 요청 메시지를 상기 홈 PLMN의 제2 NRF 엔티티에게 전송하고, 상기 제2 NF 디스커버리 요청 메시지의 응답으로, 상기 홈 PLMN의 타겟 NF 엔티티의 주소를 포함하는 제1 NF 디스커버리 응답 메시지를 상기 제2 NRF 엔티티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타겟 NF의 주소를 포함하는 제2 NF 디스커버리 응답 메시지를 상기 요청 NF 엔티티에게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제1 NRF 엔티티.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NF 디스커버리 요청 메시지는 타겟 NF 엔티티의 타입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 NRF 엔티티.
  6.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NF 디스커버리 응답 메시지는 상기 타겟 NF 엔티티와 연관된 네트워크 슬라이스 인스턴스 정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 NRF 엔티티.
  7. 서빙(serving) PLMN(public land mobile network)의 요청 NF(network function) 엔티티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에 있어서,
    홈(home) PLMN의 식별자, 네트워크 슬라이스 도움 정보(network slice assistance information), 네트워크 슬라이스 인스턴스 정보(network slice instance information), 및 데이터 네트워크 이름(data network name)을 포함하고 타겟 NF 엔티티의 정보를 요청하는 NF 디스커버리(discovery) 요청 메시지를 상기 서빙 PLMN의 제1 NRF(network repository function) 엔티티에게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홈 PLMN의 제2 NRF 엔티티로부터 상기 홈 PLMN의 타겟 NF 엔티티의 주소 정보를 수신하는 상기 제1 NRF 엔티티로부터, 상기 홈 PLMN의 상기 타겟 NF 엔티티의 상기 주소를 포함하는 NF 디스커버리 응답 메시지를 상기 NF 디스커버리 요청 메시지의 응답으로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NF 디스커버리 요청 메시지는 상기 타겟 NF 엔티티의 타입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NF 디스커버리 응답 메시지는 상기 타겟 NF 엔티티와 연관된 네트워크 슬라이스 인스턴스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서빙(serving) PLMN(public land mobile network)의 요청 NF(network function) 엔티티에 있어서,
    송수신부; 및
    상기 송수신부와 연결되고, 홈(home) PLMN의 식별자, 네트워크 슬라이스 도움 정보(network slice assistance information), 네트워크 슬라이스 인스턴스 정보(network slice instance information), 및 데이터 네트워크 이름(data network name)을 포함하고 타겟 NF 엔티티의 정보를 요청하는 NF 디스커버리(discovery) 요청 메시지를 상기 서빙 PLMN의 제1 NRF(network repository function) 엔티티에게 전송하고, 상기 홈 PLMN의 제2 NRF 엔티티로부터 상기 홈 PLMN의 타겟 NF 엔티티의 주소 정보를 수신하는 상기 제1 NRF 엔티티로부터, 상기 홈 PLMN의 상기 타겟 NF 엔티티의 상기 주소를 포함하는 NF 디스커버리 응답 메시지를 상기 NF 디스커버리 요청 메시지의 응답으로 수신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요청 NF 엔티티.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NF 디스커버리 요청 메시지는 상기 타겟 NF 엔티티의 타입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청 NF 엔티티.
  12.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NF 디스커버리 응답 메시지는 상기 타겟 NF 엔티티와 연관된 네트워크 슬라이스 인스턴스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청 NF 엔티티.
KR1020160129252A 2016-10-06 2016-10-06 네크워크 슬라이스를 지원하는 로밍 환경에서 단말의 attach 및 home routed PDU session 생성 방법 KR1025597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9252A KR102559755B1 (ko) 2016-10-06 2016-10-06 네크워크 슬라이스를 지원하는 로밍 환경에서 단말의 attach 및 home routed PDU session 생성 방법
EP24152171.5A EP4329379A2 (en) 2016-10-06 2017-10-10 Finding an appropriate session management network function in a home plmn through a network function repository function
PCT/KR2017/011133 WO2018066977A1 (ko) 2016-10-06 2017-10-10 네트워크 슬라이스를 지원하는 로밍 환경에서의 단말의 어태치 및 홈 라우팅된 pdu 세션의 생성을 위한 방법 및 장치
CN201780061854.2A CN109792598B (zh) 2016-10-06 2017-10-10 支持网络分片的漫游环境中用于终端附接和创建归属路由pdu会话的方法和设备
US16/338,554 US11388656B2 (en) 2016-10-06 2017-10-10 Method and device for terminal attaching and creating home-routed PDU session in roaming environment supporting network slice
EP17858771.3A EP3509336B1 (en) 2016-10-06 2017-10-10 Finding an appropriate session management network function in a home plmn through a network function repository function
US17/860,778 US20220353797A1 (en) 2016-10-06 2022-07-08 Method and device for terminal attaching and creating home-routed pdu session in roaming environment supporting network sl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9252A KR102559755B1 (ko) 2016-10-06 2016-10-06 네크워크 슬라이스를 지원하는 로밍 환경에서 단말의 attach 및 home routed PDU session 생성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8304A KR20180038304A (ko) 2018-04-16
KR102559755B1 true KR102559755B1 (ko) 2023-07-26

Family

ID=618320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29252A KR102559755B1 (ko) 2016-10-06 2016-10-06 네크워크 슬라이스를 지원하는 로밍 환경에서 단말의 attach 및 home routed PDU session 생성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2) US11388656B2 (ko)
EP (2) EP3509336B1 (ko)
KR (1) KR102559755B1 (ko)
CN (1) CN109792598B (ko)
WO (1) WO201806697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59755B1 (ko) * 2016-10-06 2023-07-26 삼성전자 주식회사 네크워크 슬라이스를 지원하는 로밍 환경에서 단말의 attach 및 home routed PDU session 생성 방법
EP3799480A1 (en) * 2016-10-09 2021-03-31 Huawei Technologies Co., Ltd. Network access control method, apparatus, and device
KR102388936B1 (ko) 2017-06-14 2022-04-22 삼성전자 주식회사 단말의 망 접속 방법 및 이동성 지원과 데이터 전달 방법 및 장치
CN109428875B (zh) * 2017-08-31 2024-03-12 华为技术有限公司 基于服务化架构的发现方法及装置
CN109428874B (zh) * 2017-08-31 2020-10-09 华为技术有限公司 基于服务化架构的注册方法及装置
CN109511115B (zh) * 2017-09-14 2020-09-29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授权方法和网元
KR102657312B1 (ko) * 2018-06-18 2024-04-15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통신 시스템에서 네트워크 슬라이싱의 자원 관리를 위한 방법 및 장치
JP6884731B2 (ja) * 2018-06-21 2021-06-09 シャープ株式会社 Ue通信制御方法
CN110636475B (zh) * 2018-06-22 2021-06-01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数据处理方法和设备
CN110650027B (zh) * 2018-06-26 2021-08-31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配置方法、协商方法及装置
CN110769458B (zh) * 2018-07-27 2021-09-07 华为技术有限公司 通信方法、接入网设备和终端设备
US11050788B2 (en) * 2018-07-30 2021-06-29 Cisco Technology, Inc. SEPP registration, discovery and inter-PLMN connectivity policies
US11785535B2 (en) * 2018-08-20 2023-10-10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 and apparatus for service discovery
US20220240172A1 (en) * 2019-06-10 2022-07-28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Network nodes and methods performed therein for handling network functions
WO2021069057A1 (en) * 2019-10-07 2021-04-15 Huawei Technologies Co., Ltd. Network entities for intra and inter plmn roaming
CN111200812B (zh) * 2020-01-07 2021-07-20 广州爱浦路网络技术有限公司 一种加速5G核心网中NFs互相发现的方法
US11558732B1 (en) * 2021-04-16 2023-01-17 T-Mobile Innovations Llc Network function discovery through network repository function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US11888946B2 (en) 2021-06-02 2024-01-30 Oracle International Corporation Methods, systems, and computer readable media for applying or overriding preferred locality criteria in processing network function (NF) discovery requests
US11930083B2 (en) 2021-08-09 2024-03-12 Oracle International Corporation Methods, systems, and computer readable media for processing network function (NF) discovery requests at NF repository function (NRF) using prioritized lists of preferred locations
US11871309B2 (en) * 2021-09-28 2024-01-09 Oracle International Corporation Methods, systems, and computer readable media for network function discovery using preferred-locality information
US11888957B2 (en) 2021-12-07 2024-01-30 Oracle International Corporation Methods, systems, and computer readable media for locality and serving scope set based network function (NF) profile prioritization and message routing
WO2024015548A1 (en) * 2022-07-15 2024-01-18 Dish Wireless L.L.C. Nrf discovery for inter-network communication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1630B1 (ko) * 2014-12-30 2016-06-17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서버가 단말의 네트워크를 결정하는 방법, 그 장치, 그 시스템 및 그 기록매체
US10142994B2 (en) * 2016-04-18 2018-11-27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Communication method and apparatus using network slicing
EP3488626B1 (en) 2016-08-22 2022-09-28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services of network to terminal by using slice
KR102559755B1 (ko) * 2016-10-06 2023-07-26 삼성전자 주식회사 네크워크 슬라이스를 지원하는 로밍 환경에서 단말의 attach 및 home routed PDU session 생성 방법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3GPP S2-163183*
3GPP TR23.799 v1.0.1*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509336A1 (en) 2019-07-10
CN109792598A (zh) 2019-05-21
EP3509336B1 (en) 2024-01-17
KR20180038304A (ko) 2018-04-16
EP3509336A4 (en) 2020-06-17
CN109792598B (zh) 2023-01-20
US20200367148A1 (en) 2020-11-19
WO2018066977A1 (ko) 2018-04-12
US11388656B2 (en) 2022-07-12
US20220353797A1 (en) 2022-11-03
EP4329379A2 (en) 2024-0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59755B1 (ko) 네크워크 슬라이스를 지원하는 로밍 환경에서 단말의 attach 및 home routed PDU session 생성 방법
KR102425675B1 (ko) 5g 시스템에서 네트워크와 단말 간 제공 기능 협상 및 슬라이스 정보 맵핑 방법
US11570827B2 (en) Network-initiated PDU session connection update method between terminal and network
EP4099738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lecting an access and mobility management function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KR102449475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이 지원 가능한 네트워크 정보에 기반한 단말의 네트워크 접속 방법 및 장치
KR20180120553A (ko) 5g 서비스 협상을 위한 등록 타입 추가 방법 및 장치
JP2023536145A (ja) ネットワークスライスの同時使用方法及び装置
US11134370B2 (en) Initial operation method for roaming terminal accessing network in mobile communication environment
KR102436667B1 (ko) 네트워크에 의한 단말과 네트워크 간의 pdu 세션 연결의 업데이트 방안
KR102501434B1 (ko) 이동통신 네트워크 기능들을 연결하는 방법 및 장치
KR20220135130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세션 관리를 위한 방법 및 장치
KR20190041888A (ko) 5g 단말과 네트워크 접속 및 데이터 전송 방안
EP3972296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requests for location information service of terminals concurrent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2023013566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network slic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20230060042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네트워크 슬라이스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KR20230073580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서비스 기능 체인을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KR20230062246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네트워크 슬라이스 할당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