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17567B1 - 유체 디바이스 - Google Patents

유체 디바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17567B1
KR102617567B1 KR1020207027469A KR20207027469A KR102617567B1 KR 102617567 B1 KR102617567 B1 KR 102617567B1 KR 1020207027469 A KR1020207027469 A KR 1020207027469A KR 20207027469 A KR20207027469 A KR 20207027469A KR 102617567 B1 KR102617567 B1 KR 1026175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nular groove
gasket
depth direction
sealing
tapered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274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35366A (ko
Inventor
토모히로 아다치
토모유키 코이케
아츠시 나카노
토시히데 이이다
Original Assignee
니폰 필라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폰 필라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니폰 필라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001353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353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75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7567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3/00Flanged joints
    • F16L23/16Flanged joints characterised by the sealing means
    • F16L23/18Flanged joints characterised by the sealing means the sealing means being rings
    • F16L23/22Flanged joints characterised by the sealing means the sealing means being rings made exclusively of a material other than met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7/00Joints with packing adapted to sealing by fluid pressure
    • F16L17/06Joints with packing adapted to sealing by fluid pressure with sealing rings arranged between the end surfaces of the pipes or flanges or arranged in recesses in the pipe ends or flanges
    • F16L17/067Plastics sealing 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JPISTONS; CYLINDERS; SEALINGS
    • F16J15/00Sealings
    • F16J15/02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 F16J15/06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with solid packing compressed between sealing surfaces
    • F16J15/10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with solid packing compressed between sealing surfaces with non-metallic pack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JPISTONS; CYLINDERS; SEALINGS
    • F16J15/00Sealings
    • F16J15/02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 F16J15/06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with solid packing compressed between sealing surfaces
    • F16J15/10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with solid packing compressed between sealing surfaces with non-metallic packing
    • F16J15/104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with solid packing compressed between sealing surfaces with non-metallic packing characterised by struct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JPISTONS; CYLINDERS; SEALINGS
    • F16J15/00Sealings
    • F16J15/02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 F16J15/06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with solid packing compressed between sealing surfaces
    • F16J15/10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with solid packing compressed between sealing surfaces with non-metallic packing
    • F16J15/104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with solid packing compressed between sealing surfaces with non-metallic packing characterised by structure
    • F16J15/106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with solid packing compressed between sealing surfaces with non-metallic packing characterised by structure homogeneou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9/00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 F16L19/02Pipe ends provided with collars or flanges, integral with the pipe or not, pressed together by a screwed memb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9/00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 F16L19/02Pipe ends provided with collars or flanges, integral with the pipe or not, pressed together by a screwed member
    • F16L19/0212Pipe ends provided with collars or flanges, integral with the pipe or not, pressed together by a screwed member using specially adapted seal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Gasket Seals (AREA)
  • Joints With Pressure Members (AREA)

Abstract

유체 디바이스로서의 집적 블럭(1)은, 그 유로(P)의 한쪽 끝단을 이루도록 개구된 유통구(13)와, 유통구(13)의 외주연을 따라 형성되며 개스킷(2)이 삽입되도록 개구된 고리형 홈(14)과, 고리형 홈(14)의 내경측 내벽부(14b)에 형성되며 고리형 홈(14)의 개구 끝단으로부터 당해 고리형 홈(14)의 깊이 방향을 따라, 고리형 홈(14)의 직경 방향 외방을 향해 경사진 제 1 테이퍼부(17)와, 고리형 홈(14)의 외경측 내벽부(14a)에 형성되며 고리형 홈(14)의 개구 끝단으로부터 깊이 방향을 따라 소정 구간(D)에 걸쳐 연장되며, 또한 개스킷(2)의 제 2 실링부(22)의 외주면(22a)보다 큰 직경이 된 가이드부(18)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유체 디바이스
여기서 개시하는 기술은 유체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특허문헌 1에는, 집적 패널, 밸브, 펌프, 어큐뮬레이터 등의 유체 디바이스의 일례로서, 링형의 개스킷(유체용 개스킷)에 의해 실링되는 배관계를 이루는 집적 패널이 개시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특허문헌 1에 따른 집적 패널은, 그 끝단면에 유통구(제 1 유체급배구부, 제 2 유체급배구부)가 개구되어 있고, 각 유통구의 주위에는 개스킷을 삽입하기 위한 고리형 홈(테이퍼 둘레면)이 형성되어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2006-308052호
상기 특허문헌 1에 기재되어 있는 집적 패널은, 고리형 홈으로 삽입한 개스킷에 의해, 유통구의 주연부를 체결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구성은, 개스킷을 원활하게 삽입하는 데 있어서는 개선의 여지가 있었다. 개스킷을 원활하게 삽입하지 못하면, 체결 후에 실링 불량이 될 우려가 있다.
여기에 개시하는 기술은,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그 목적으로 하는 바는, 개스킷에 의해 실링되는 유로를 갖는 유체 디바이스에 있어서, 개스킷을 원활하게 삽입하고, 나아가, 그 실링성을 확보하는 데 있다.
여기에 개시하는 기술은, 고리형의 개스킷을 삽입함으로써 실링되는 유로를 갖는 유체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이 유체 디바이스는, 상기 유로의 한쪽 끝단을 이루도록 개구된 유통구와, 상기 유통구의 외주연을 따라 형성되며 상기 개스킷이 삽입되도록 개구된 고리형 홈을 구비하고, 상기 고리형 홈의 내경측 내벽부 중, 상기 고리형 홈의 개구 끝단을 포함한 부위는, 당해 개구 끝단으로부터 상기 고리형 홈의 깊이 방향을 따라 상기 고리형 홈의 직경 방향 외방을 향해 경사진 제 1 테이퍼부를 이루고, 상기 고리형 홈의 외경측 내벽부 중, 상기 고리형 홈의 개구 끝단으로부터 상기 깊이 방향을 따라 소정 구간에 걸친 부위는, 상기 개스킷의 외주면보다 큰 직경의 가이드부를 이룬다.
이 구성에 의하면, 고리형 홈의 내경측 내벽부에서는, 그 개구 끝단을 포함한 부위가 테이퍼형으로 직경이 확대된다. 이로써, 고리형 홈에 대한 개스킷의 삽입을 안내할 수 있다. 한편, 고리형 홈의 외경측 내벽부는, 그 개구 끝단으로부터 소정 구간에 걸쳐, 개스킷의 외주면보다 큰 직경이 된다. 이 큰 직경이 된 부분이, 상기 가이드부를 이룬다.
고리형 홈의 횡단면은, 엄밀하게는 진원(眞圓)이 되지 않고, 타원형이 된다. 그러나, 고리형 홈에 가이드부를 형성함으로써, 고리형 홈을 타원으로 간주했을 때 상대적으로 작은 직경인 단축 부근의 부위와, 개스킷 외면과의 간섭을 억제할 수 있다. 이로써, 개스킷과 고리형 홈의 걸림이나, 고리형 홈에 대한 개스킷의 기울기를 억제하고, 나아가, 개스킷을 원활하게 삽입할 수 있게 된다. 이로써, 개스킷의 실링성을 확보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유체 디바이스에 의하면, 개스킷을 원활하게 삽입하고, 나아가, 그 실링성을 확보할 수 있다.
도 1은, 유체 시스템의 구성을 예시하는 종단면도이다.
도 2는, 유체 디바이스의 구성을 예시하는 3면도이다.
도 3은, 유체 디바이스의 A-A 단면도이다.
도 4는, 유체 디바이스의 B-B 단면도이다.
도 5는, 개스킷의 구성을 예시하는 종단면도이다.
도 6은, 유체 디바이스로 개스킷을 삽입하는 순서를 예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7은, 유체 디바이스로 개스킷을 삽입하는 순서를 예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8은, 제 1 테이퍼부만을 형성한 구성을 예시하는 도 6에 대응하는 도면이다.
도 9는, 제 1 테이퍼부만을 형성한 구성의 평면도이다.
도 10은, 제 1 테이퍼부만을 형성한 구성에 따른 문제의 설명도이다.
도 11은, 제 1 테이퍼부만을 형성한 구성에 따른 문제의 설명도이다.
이하, 본 개시의 실시형태를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여기서, 이하의 설명은 예시이다.
즉, 본 명세서에서는, 유체 디바이스의 일례로서 집적 블럭에 대해 설명하나, 여기에 개시하는 기술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유체가 유통 가능한 디바이스 전반에 적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개시의 "유체 디바이스"는, 집적 블럭, 집적 패널, 밸브, 펌프, 어큐뮬레이터, 유체저류용기, 열교환기, 레귤레이터, 압력계, 유량계, 히터, 플랜지 배관 등 중, 고리형 개스킷을 삽입함으로써 실링되는 유로를 갖는 것을 가리킨다.
<전체 구성>
도 1은 유체 시스템(S)의 구성을 예시하는 종단면도이다. 도 1에 나타내는 유체 시스템(S)은, 2개의 집적 블럭(1)과, 집적 블럭(1)끼리의 접속부를 실링하는 개스킷(2)을 구비하고, 그 내부에는 일체적인 유로(P)가 형성된다.
2개의 집적 블럭(1)은, 양쪽 모두, 고리형의 개스킷(2)이 삽입되도록 구성된다. 한쪽의 집적 블럭(1)에 개스킷(2)을 삽입한 상태에서, 그 개스킷(2)에 대해 다른 쪽의 집적 블럭(1)을 삽입함으로써,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집적 블럭(1)의 유로(P)끼리를 접속시키면서, 그 접속부를 실링할 수 있다.
이하, 집적 블럭(1)과, 개스킷(2)의 구성에 대해 순서대로 설명한다.
<집적 블럭>
도 2는 유체 디바이스의 구성을 예시하는 3면도이다. 여기서 도 2의 (a)는 집적 블럭(1)의 평면도이고, 도 2의 (b)는 집적 블럭(1)의 정면도이며, 도 2의 (c)는 집적 블럭(1)의 측면도이다. 또한, 도 3은 집적 블럭(1)의 A-A 단면도이고, 도 4는 집적 블럭(1)의 B-B 단면도이다.
도 2의 각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집적 블럭(1)은, 주요 구성 요소로서, 블럭 본체(10)와, 관로부(12)와, 블럭 본체(10)의 상면에 개구된 유통구(13)와, 유통구(13)를 둘러싸는 고리형 홈(14)을 구비한다.
또한, 도 2의 (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집적 블럭(1)의 내부에는, 관로부(12)의 앞끝단부터 유통구(13)에 걸쳐, 유로(P)가 관통 형성된다. 즉, 유통구(13)는, 유로(P)의 한쪽 끝단을 이루도록 개구된다.
이하, 집적 블럭(1)의 구성 요소에 대해 순서대로 설명한다.
블럭 본체(10)는, 플루오린 수지 등의 열가소성 수지로 이루어지고, 직사각형의 외형을 갖는다. 블럭 본체(10)의 상면에는, 집적 블럭(1)끼리를 체결하기 위한 좌우 한 쌍의 볼트 구멍(10a)이 형성된다.
유통구(13)는, 블럭 본체(10)의 상면 중앙부에 배치되고, 원형의 횡단면을 갖는 개구부로서 형성된다. 도 3에 확대하여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통구(13)의 개구 끝단(상측 끝단) 부근의 내벽부(13a)는, 상방을 향해 테이퍼형으로 직경이 확대된다.
고리형 홈(14)은, 유통구(13)의 외주연을 따라 형성된다. 고리형 홈(14)의 내경은, 개스킷(2)의 내경보다 약간 커짐과 더불어, 그 외경은, 개스킷(2)의 외경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직경이 된다(도 6~7 참조). 후술하는 바와 같이, 이 고리형 홈(14)에는, 개스킷(2)을 삽입할 수 있다.
또한, 고리형 홈(14)의 외경측 내벽부(14a)는, 그 내경측 내벽부(14b)보다, 깊이 반대방향으로 돌출한다. 여기서 "깊이 방향"이란, 고리형 홈(14)의 개구 끝단부터 고리형 홈(14)의 바닥부(이하, "홈 바닥"이라고 함)(14c)를 향하는 방향(도면 중 아래 방향)을 가리키며, "깊이 반대방향"이란, 그 반대방향(도면 중 위 방향)을 가리킨다.
또한, 고리형 홈(14)의 내경측 내벽부(14b)에는, 고리형 홈(14)의 개구 끝단을 테이퍼형으로 직경을 확대시켜 이루어지는 제 1 테이퍼부(17)가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제 1 테이퍼부(17)는, 고리형 홈(14)의 개구 끝단으로부터 깊이 방향을 따라 이격될수록, 고리형 홈(14)의 직경 방향 외방을 향해 경사진다. 여기서 "직경 방향 외방"이란, 고리형 홈(14)의 내측으로부터 외방을 향하는 방향을 가리킨다. "직경 방향 내방"이란, 그 반대방향을 가리킨다.
한편, 고리형 홈(14)의 외경측 내벽부(14a)에는, 그 개구 끝단 부근의 부위를 대략 일정하게 직경을 확대시켜 이루어지는 가이드부(18)가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이 가이드부(18)는, 고리형 홈(14)의 개구 끝단으로부터 깊이 방향을 따라 소정 구간(D)에 걸쳐 연장되며, 또한 개스킷(2)의 외주면(22a)보다 큰 직경이 된다(도 6 참조). 즉, 이 가이드부(18)는, 고리형 홈(14)의 폭이 넓어지도록 하는 형상이 된다.
여기서, 가이드부(18)의 깊이 방향의 치수(D)는, 동일방향의 제 1 테이퍼부(17)의 치수보다 길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이, 고리형 홈(14)의 외경측 내벽부(14a)는, 그 내경측 내벽부(14b)보다, 깊이 반대방향으로 돌출한다. 따라서, 깊이 방향에서, 가이드부(18)의 홈 바닥(14c)측의 끝단부는, 제 1 테이퍼부(17)의 홈 바닥(14c)측의 끝단부와 비교하여, 홈 바닥(14c)으로부터 이격된다. 바꾸어 말하면, 제 1 테이퍼부(17)는, 깊이 방향에서, 가이드부(18)보다 홈 바닥(14c)에 근접한다.
여기서, 가이드부(18)의 홈 바닥(14c)측의 끝단부에는, 내경측의 제 1 테이퍼부(17)와는 역방향으로 경사진 제 2 테이퍼부(19)가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제 2 테이퍼부(19)는, 가이드부(18)의 상기 끝단부로부터 깊이 방향을 따라 이격될수록, 직경 방향 내방을 향해 경사진다. 제 2 테이퍼부(19)는, 제 1 테이퍼부(17)보다 가파르게 경사진다.
도 3~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테이퍼부(19)는, 제 1 테이퍼부(17)에 대해, 깊이 방향에서 겹치도록 배치된다. 제 2 테이퍼부(19)의 깊이 방향의 치수는, 동일방향에서의 제 1 테이퍼부(17)의 치수보다 짧다. 깊이 방향에서, 제 2 테이퍼부(19)의 홈 바닥(14c)측의 끝단부는, 제 1 테이퍼부(17)의 홈 바닥(14c)측의 끝단부와 비교하여, 홈 바닥(14c)으로부터 이격된다.
<개스킷>
도 5는 개스킷(2)의 구성을 예시하는 종단면도이다.
개스킷(2)은, 플루오린 수지 등의 열가소성 수지를 성형하여 이루어지고, 대략 통형의 외형을 갖는다. 구체적으로, 이 개스킷(2)은, 집적 블럭(1)의 유통구(13)에 삽입되는 제 1 실링부(21)와, 제 1 실링부(21)에 대해 일체적으로 형성되며, 또한 집적 블럭(1)의 고리형 홈(14)에 삽입되는 제 2 실링부(22)를 갖는다.
더 상세하게는, 제 1 실링부(21)는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그 외주면(21a)은, 중심축방향(도 5의 파선(C)을 참조)의 중앙부로부터 중심축방향을 따라 이격될수록, 직경 방향의 내측을 향해 경사진다. 이와 같은 경사를 형성함으로써, 제 1 실링부(21)를 유통구(13)에 삽입하면, 제 1 실링부(21)의 외주면(21a)과, 집적 블럭(1)의 유통구(13) 내벽부(13a)가, 상호 밀착하게 된다. 또한, 제 1 실링부(21)의 외주면(21a)은, 그 중심축방향의 중앙부에서, 제 2 실링부(22)의 내주면(22b)에 대해 일체적으로 접속된다.
또한, 제 1 실링부(21)의 내주면(21b)은, 유통구(13)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직경이다. 개스킷(2)을 집적 블럭(1)에 삽입하면, 그 내주면(21b)은, 집적 블럭(1)에 형성된 유로(P)와 함께, 일체적인 유로를 이룬다.
제 2 실링부(22)는, 제 1 실링부(21)에 대해 직경 방향 외측에 형성되며, 이 제 1 실링부(21)보다 큰 직경의 원통형으로 형성된다. 제 2 실링부(22)는, 직경 방향에서, 고리형 홈(14)보다 두껍게 형성된다(도 6~도 7을 참조).
상세하게는, 제 2 실링부(22)의 외주면(22a)은, 고리형 홈(14)의 외경측 내벽부(14a)(가이드부(18)를 제외한 부위)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직경이다. 또한, 제 2 실링부(22)의 내주면(22b)은, 고리형 홈(14)의 내경측 내벽부(14b)(제 1 테이퍼부(17)를 제외한 부위)보다 약간 작은 직경이다.
<집적 블럭으로의 개스킷 삽입에 대해>
도 8은, 고리형 홈(114)에 제 1 테이퍼부(117)만을 형성한 구성을 예시하는 도 6에 대응하는 도면이고, 도 9는 그 평면도이다.
도 8에 나타내는 집적 블럭(101)에는, 유통구(113)의 외주연을 따라 고리형 홈(114)이 형성되고, 이 고리형 홈(114)에는, 본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형성된 제 1 테이퍼부(117)가 형성된다. 이러한 제 1 테이퍼부(117)에 의해, 개스킷(2)의 삽입을 안내할 수 있다(구체적으로는, 개스킷(2)의 위치 결정과 체결).
그러나, 도 9에 확대시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고리형 홈(114)은, 제조 공차 등의 사정에 따라, 엄밀하게는 진원이 되지 않고, 타원형이 된다(도 9의 사선부를 참조).
그리 되면, 제 1 테이퍼부(117)에 의해 개스킷(2)을 안내하고자 해도 여전히 원활한 삽입을 실현하기는 어렵다. 이 경우, 고리형 홈(114)을 타원으로 간주했을 때의 단축 부근의 부위는, 당해 타원의 장축 부근의 부위에 비해 작은 직경이 된다. 따라서, 도 10~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개스킷(2)을 삽입하고자 했을 때, 이 단축 부근의 부위와 개스킷(2)의 외면이 간섭하여, 개스킷(2)이 고리형 홈(114)에 걸리거나, 개스킷(2)이 기울어진 상태로 삽입될 가능성이 있다.
한편, 본 실시형태에 따른 집적 블럭(1)은, 내경측의 내벽부(14b)에 제 1 테이퍼부(17)를 형성하기만 하는 게 아닌, 외경측의 내벽부(14a)에도 가이드부(18)가 형성된다. 이 가이드부(18)는, 고리형 홈(14)의 개구 끝단부터 소정 구간(D)에 걸쳐, 개스킷(2)의 제 2 실링부(22)의 외주면(22a)보다 큰 직경이 된다. 따라서, 가령, 고리형 홈(14)이 타원형이 되었다 하더라도, 고리형 홈(14)과 개스킷(2)과의 간섭을 억제하고, 나아가, 개스킷(2)과 고리형 홈(14)의 걸림이나, 고리형 홈(14)에 대한 개스킷(2)의 기울기를 억제할 수 있다. 이로써, 개스킷(2)을 원활하게 삽입할 수 있게 된다.
이하, 이와 같은 작용 효과 및 이에 부수적으로 따르는 작용 효과에 대해, 도 6~도 7을 이용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여기서, 도 6~도 7은, 집적 블럭(1)(유체 디바이스)으로 개스킷(2)을 삽입하는 순서를 예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집적 블럭(1)의 유통구(13)에 대해 상방으로부터 개스킷(2)을 배치하면, 제 2 실링부(22)의 내경측 부위가, 제 1 테이퍼부(17)에 접촉한다. 이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제 2 실링부(22)의 내주면(22b)이, 고리형 홈(14)의 내경측 내벽부(14b) 중, 제 1 테이퍼부(17)를 제외한 부위보다 약간 작은 직경인 것(즉, 개스킷(2)의 두께가, 고리형 홈(14)의 폭보다 약간 큰 것)을 반영한다.
한편, 제 2 실링부(22)의 외경측 부위는, 고리형 홈(14)의 내부로 삽입되어, 제 2 테이퍼부(19)와 접촉한다. 이는, 고리형 홈(14)의 외경측에 가이드부(18)를 형성한 것을 반영한다. 즉, 고리형 홈(114)이 타원형으로 된 결과, 그 단축 부근의 부위에 개스킷(2)이 간섭할 우려가 있으나,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개스킷(2)의 외주면(22a)보다 큰 직경의 가이드부(18)를 형성함으로써, 그러한 간섭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단순히 가이드부(18)를 형성하는 것만이 아닌, 제 2 테이퍼부(19)를 함께 형성함으로써, 개스킷(2)을 직경 방향 내방으로 안내할 수 있다. 한편, 제 1 테이퍼부(17)는, 제 2 테이퍼부(19)와는 경사방향이 반대이므로, 개스킷(2)을 직경 방향 외방으로 안내하게 된다. 따라서, 제 1 테이퍼부(17)와 제 2 테이퍼부(19)를 조합시킨 구성으로 함으로써, 직경 방향에서, 개스킷(2)을 적절히 위치 결정할 수 있다.
특히, 제 1 테이퍼부(17)와, 제 2 테이퍼부(19)는, 도 3~도 4에도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고리형 홈(14)의 깊이 방향에서, 대략 동일한 위치에 배치된다(겹치도록 배치된다). 이러한 배치를 채용함으로써, 제 1 테이퍼부(17)에 의한 위치 결정과, 제 2 테이퍼부(19)에 의한 위치 결정을, 동시에 수행시킬 수 있다. 이는, 개스킷(2)을 적절히 위치 결정하는 데 있어서 유효하다.
또한, 개스킷(2)에 대해 상방으로부터 다른 집적 블럭을 배치한 후에, 볼트 구멍(10a)을 통해 볼트 체결하면,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개스킷(2)이 고리형 홈(14)의 홈 바닥(14c)으로 안내됨과 동시에, 개스킷(2)의 제 2 실링부(22)는, 제 1 테이퍼부(17)에 의해 직경 방향(폭방향) 외방을 향해 압축된다.
따라서, 개스킷(2)을 고리형 홈(14)에 삽입하면, 제 2 실링부(22)는, 그 압축량에 따라, 직경 방향 내방을 향해 복원력(도 7의 화살표(F) 참조)이 작용한다. 이 복원력에 의해, 제 2 실링부(22)의 내주면(22b)은, 고리형 홈(14)의 내경측 내벽부(14b)에 대해 밀착하여, 유체를 밀봉하기 위한 실링면(이른바 2차 실링면)을 이룬다.
한편, 개스킷(2)을 고리형 홈(14)에 삽입하면, 제 1 실링부(21)의 외주면(22a)은, 유통구(13)의 내벽부(13a)에 대해 밀착하고, 제 2 실링부(22)보다 내경측에 위치하는 다른 실링면(이른바 1차 실링면)을 이룬다.
도 7에서 알 수 있듯이, 집적 블럭(1)의 유통구(13)는, 개스킷(2)이 삽입됐을 때에, 제 1 실링부(21)와 제 2 실링부(22)에 의해 협지되어, 조여지도록 구성된다. 한편, 개스킷(2)의 제 2 실링부(22)는, 집적 블럭(1)의 고리형 홈(14)에 의해 조여지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집적 블럭(1)과 개스킷(2)이 상호 조임으로써, 양호한 실링성을 확보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가이드부(18)는, 고리형 홈(14)의 내경측이 아닌, 외경측에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내경측에 형성한 구성과 비교하면, 유통구(13)를 개스킷(2)에 의해 협지했을 때에, 그 실링성을 확보하는데 있어서 방해가 되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 구성은, 개스킷(2)의 실링성과 원활한 삽입을 양립하는 데 있어서 유효하다.
또한, 상기와 같이, 개스킷(2)은, 열가소성 수지를 성형하여 이루어진다. 도시는 생략하나, 개스킷(2)을 수지 성형할 때 금형으로 수지를 주입하기 위한 게이트에 대해서는, 제 1 실링부(21)가 아닌, 제 2 실링부(22)의 외주면(22a)에 형성하는 것이, 이하의 이유에 따라 바람직하다.
즉, 수지 성형에 의해 개스킷(2)을 형성한 경우, 성형 후의 개스킷(2)의 표면에는, 게이트나 런너의 흔적이 볼록부가 되어 존재하게 된다. 여기서, 개스킷(2)의 제 1 실링부(21)는, 집적 블럭(1)에 형성된 유로(P)와 함께 일체적인 유로를 구성하거나, 유통구(13)의 내벽부(13a)에 밀착시키거나 하므로, 유로 저항의 저감 및 실링성의 확보라는 관점에서는, 게이트를 형성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한편, 개스킷(2)의 제 2 실링부(22)의 내주면(22b)은, 전술한 바와 같이, 제 1 실링부(21)의 외주면(21a)과 함께 유통구(13)를 협지하여 실링하게 되므로, 실링성의 확보라는 관점에서는, 게이트를 형성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여기에, 제 2 실링부(22)의 외주면(22a)에 게이트를 형성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으나, 게이트의 배치에 따라서는, 개스킷(2)을 고리형 홈(14)으로 삽입하고자 했을 때에, 게이트 등의 흔적과, 고리형 홈(14)의 개구 끝단(특히, 외경측의 개구 끝단)이 간섭할 우려가 있다.
그러나,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고리형 홈(14)의 외경측에 가이드부(18)를 형성함으로써, 게이트 등의 흔적은, 가이드부(18)에 의해 구성되는 공간에 삽입되게 된다. 이로써, 게이트 등의 흔적과 고리형 홈(14)과의 간섭을 억제할 수 있다.
《그 밖의 실시형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고리형 홈(14)의 외경측의 내벽부(14a)는, 그 내경측의 내벽부(14b)보다, 깊이 반대방향으로 돌출하였으나, 이러한 구성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외경측의 내벽부(14a)와 내경측의 내벽부(14b)의 한쪽을 돌출시키지 않고, 끝단을 평면으로 하여도 된다.
1 : 집적 블럭(유체 디바이스)
13 : 유통구
14 : 고리형 홈
14a : 내벽부(외경측의 내벽부)
14b : 내벽부(내경측의 내벽부)
14c : 홈 바닥
17 : 제 1 테이퍼부
18 : 가이드부
19 : 제 2 테이퍼부
2 : 개스킷
21 : 제 1 실링부
22 : 제 2 실링부
22a : 외주면(개스킷의 외주면)
P : 유로
D : 구간

Claims (6)

  1. 고리형의 개스킷을 삽입함으로써 실링되는 유로를 갖는 유체 디바이스로서,
    상기 유로의 한쪽 끝단을 이루도록 개구된 유통구와,
    상기 유통구의 외주연을 따라 형성되며, 상기 개스킷이 삽입되도록 개구된 고리형 홈을 구비하고,
    상기 고리형 홈의 내경측의 내벽부 중, 상기 고리형 홈의 개구 끝단을 포함한 부위는, 당해 개구 끝단으로부터 상기 고리형 홈의 깊이 방향을 따라, 상기 고리형 홈의 직경 방향 외방을 향해 경사진 제 1 테이퍼부를 이루고,
    상기 고리형 홈의 외경측의 내벽부 중, 상기 고리형 홈의 개구 끝단으로부터 상기 깊이 방향을 따라 소정 구간에 걸친 부위는, 상기 개스킷의 외주면보다 큰 직경의 가이드부를 이루고,
    상기 내경측 내벽부는,
    상기 제1 테이퍼부와,
    상기 깊이 방향을 따라 상기 고리형 홈의 바닥부까지 연장되며, 또한, 상기 제 1 테이퍼부보다 큰 직경의 제 1 부위를 갖고,
    상기 외경측 내벽부는,
    상기 가이드부와,
    상기 깊이 방향을 따라 상기 바닥부까지 연장되며, 또한, 상기 가이드부보다 작은 직경의 제 2 부위를 가지며,
    직경 방향에서의 상기 개스킷의 두께는 상기 제 1 부위와 상기 제 2 부위 사이의 폭보다 크고,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깊이 방향에서, 상기 제 1 테이퍼부보다 상기 바닥부로부터 이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디바이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의 상기 고리형 홈의 바닥부측 끝단부에는, 상기 깊이 방향을 따라, 상기 고리형 홈의 직경 방향 내방을 향해 경사진 제 2 테이퍼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디바이스.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테이퍼부는, 상기 제 1 테이퍼부에 대해, 상기 깊이 방향에서 겹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디바이스.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개스킷은, 열가소성 수지를 성형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디바이스.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개스킷은,
    상기 유통구에 삽입되는 고리형의 제 1 실링부와,
    상기 제 1 실링부에 대해 직경 방향 외측에 형성되며, 상기 고리형 홈에 삽입되는 고리형의 제 2 실링부를 구비하고,
    상기 유통구는, 상기 개스킷이 삽입됐을 때에, 상기 제 1 실링부와 상기 제 2 실링부에 의해 협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디바이스.
  6. 삭제
KR1020207027469A 2018-03-22 2019-03-12 유체 디바이스 KR10261756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8054140A JP6903025B2 (ja) 2018-03-22 2018-03-22 流体デバイス
JPJP-P-2018-054140 2018-03-22
PCT/JP2019/010070 WO2019181657A1 (ja) 2018-03-22 2019-03-12 流体デバイス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5366A KR20200135366A (ko) 2020-12-02
KR102617567B1 true KR102617567B1 (ko) 2023-12-22

Family

ID=679877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27469A KR102617567B1 (ko) 2018-03-22 2019-03-12 유체 디바이스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1906080B2 (ko)
JP (1) JP6903025B2 (ko)
KR (1) KR102617567B1 (ko)
CN (1) CN111919055B (ko)
DE (1) DE112019001475T5 (ko)
TW (1) TWI698601B (ko)
WO (1) WO201918165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54110B1 (ko) * 2020-01-28 2024-04-02 니폰 필라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수지제 조인트, 유로 블럭 및 유체 제어 장치
JP1697114S (ko) 2020-12-11 2021-10-18
JP1697116S (ko) 2020-12-11 2021-10-18
JP1697115S (ko) 2020-12-11 2021-10-18
JP1699809S (ko) 2020-12-24 2021-11-15
US20230162993A1 (en) * 2021-11-24 2023-05-25 Ichor Systems, Inc. Fluid delivery system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4854B1 (ko) * 2004-11-30 2009-09-02 씨케이디 가부시키 가이샤 유체용 기기의 접속부 실링 구조
JP2012207738A (ja) * 2011-03-30 2012-10-25 Arai Seisakusho Co Ltd 密封構造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4887U (ja) * 1982-06-30 1984-01-12 大阪瓦斯株式会社 高圧用絶縁ガスケツト
JPH11248060A (ja) * 1998-03-05 1999-09-14 Osaka Gas Co Ltd フレキシブルチューブ用継手装置
US20010045709A1 (en) * 1999-10-28 2001-11-29 Stobbart John Edward Seal ring and joint
JP3663336B2 (ja) * 2000-05-08 2005-06-22 日本ピラー工業株式会社 石英製ハウジングを有する流体機器の樹脂管接続継手
JP3700545B2 (ja) * 2000-06-26 2005-09-28 三浦工業株式会社 連結シール構造
JP4465254B2 (ja) * 2004-11-05 2010-05-19 日本ピラー工業株式会社 集積パネルと流体デバイスとの接続構造
JP2006161873A (ja) * 2004-12-03 2006-06-22 Nippon Pillar Packing Co Ltd 集積パネルと流体デバイスとの接続構造
JP4210670B2 (ja) 2005-05-02 2009-01-21 日本ピラー工業株式会社 流体用ガスケット
JP4324576B2 (ja) * 2005-05-10 2009-09-02 日本ピラー工業株式会社 流体機器どうしの接続構造
JP4557932B2 (ja) * 2006-07-11 2010-10-06 日本ピラー工業株式会社 流体デバイスどうしの接続構造
JP2008240916A (ja) * 2007-03-27 2008-10-09 Ckd Corp 接続部シール構造
JP4575973B2 (ja) * 2007-10-05 2010-11-04 シーケーディ株式会社 流体機器接続構造及び流体機器ユニット
US8033579B2 (en) 2007-10-05 2011-10-11 Ckd Corporation Fluid device connecting structure
JP5134573B2 (ja) * 2009-03-13 2013-01-30 Ckd株式会社 流体機器接続構造及び流体機器ユニット
CN202629380U (zh) * 2012-05-17 2012-12-26 江苏邗建集团有限公司 一种排水管道
JP2014219052A (ja) * 2013-05-08 2014-11-20 日本ピラー工業株式会社 管接続装置
JP5986953B2 (ja) * 2013-05-08 2016-09-06 日本ピラー工業株式会社 管接続装置
US20150176744A1 (en) * 2013-12-20 2015-06-25 Onesubsea Ip Uk Limited Gasket
JP6695222B2 (ja) * 2016-06-30 2020-05-20 Ckd株式会社 流体機器接続構造
JP6416179B2 (ja) * 2016-12-13 2018-10-31 Ckd株式会社 接続部シール構造及びシール部材
JP6905948B2 (ja) * 2018-03-13 2021-07-21 日本ピラー工業株式会社 ブロックへのガスケットの装着構造およびガスケット
JP7015737B2 (ja) * 2018-06-01 2022-02-03 日本ピラー工業株式会社 ガスケットの装着構造及びガスケット
JP7364519B2 (ja) * 2020-03-30 2023-10-18 日本ピラー工業株式会社 シール部材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4854B1 (ko) * 2004-11-30 2009-09-02 씨케이디 가부시키 가이샤 유체용 기기의 접속부 실링 구조
JP2012207738A (ja) * 2011-03-30 2012-10-25 Arai Seisakusho Co Ltd 密封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1919055B (zh) 2022-03-18
US20210033225A1 (en) 2021-02-04
DE112019001475T5 (de) 2020-12-03
JP2019167978A (ja) 2019-10-03
KR20200135366A (ko) 2020-12-02
CN111919055A (zh) 2020-11-10
WO2019181657A1 (ja) 2019-09-26
TW201940810A (zh) 2019-10-16
US11906080B2 (en) 2024-02-20
TWI698601B (zh) 2020-07-11
JP6903025B2 (ja) 2021-07-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17567B1 (ko) 유체 디바이스
US9248945B2 (en) Mouthpiece structure for pressure vessel
US8733737B2 (en) Nose seal for surge relief valves
US11073213B2 (en) Butterfly valve
US20190024808A1 (en) Valve part and method of manufacturing valve part
US10174851B2 (en) Check structure of a control valve base
JP6666972B2 (ja) 自動車空気調節システムの冷媒循環系のラインを流体密封方式で連結するためのアレンジメント
JP6654420B2 (ja) 高圧用逆止め弁とこれを用いた水素ステーション
KR101462129B1 (ko) 볼 체크밸브
JP2010089757A (ja) 燃料逆流防止弁
KR102288871B1 (ko) 배관 가스켓
JP4959464B2 (ja) 調節弁
JP7349350B2 (ja) 弁箱および仕切弁
KR200414341Y1 (ko) 체크밸브
JP4658673B2 (ja) 排水栓装置のレリースワイヤ用シール材
CN218564697U (zh) 一种新能源汽车冷却水路穿箱接头
JP2005076478A (ja) デリバリパイプ
JP6301286B2 (ja) 逆止弁
RU2705172C1 (ru) Шаровой кран
JP7107919B2 (ja) バルブハウジング、バルブ及びバルブハウジングの製造方法
KR20170064611A (ko) 역류방지밸브
JP6624995B2 (ja) 逆止弁
JP2020159519A (ja) バタフライバルブ
KR101648896B1 (ko) 라디에이터용 탱크
WO2018123867A1 (ja) バルブブロック、及びそれを備えるタンク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