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14504B1 - 전기차 충전 관제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전기차 충전 관제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14504B1
KR102614504B1 KR1020230006528A KR20230006528A KR102614504B1 KR 102614504 B1 KR102614504 B1 KR 102614504B1 KR 1020230006528 A KR1020230006528 A KR 1020230006528A KR 20230006528 A KR20230006528 A KR 20230006528A KR 102614504 B1 KR102614504 B1 KR 1026145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device
charging
stopper
payment
charg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065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옥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두루스코이브이
주식회사 두루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두루스코이브이, 주식회사 두루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두루스코이브이
Priority to KR10202300065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1450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45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45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06Q50/30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30Constructional details of charging stations
    • B60L53/35Means for automatic or assisted adjustment of the relative position of charging devices and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60Monitoring or controlling charging stations
    • B60L53/66Data transfer between charging stations and vehicles
    • B60L53/665Methods related to measuring, billing or pay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 G06K7/10009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sensing by radiation using wavelengths larger than 0.1 mm, e.g. radio-waves or microwaves
    • G06K7/10237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sensing by radiation using wavelengths larger than 0.1 mm, e.g. radio-waves or microwaves the reader and the record carrier being capable of selectively switching between reader and record carrier appearance, e.g. in near field communication [NFC] devices where the NFC device may function as an RFID reader or as an RFID ta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4Payment architectures specially adapted for billing systems
    • G06Q20/145Payments according to the detected use or quanti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8Payment architectures involving self-service terminals [SST], vending machines, kiosks or multimedia termin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4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cards, e.g. integrated circuit [IC] cards or magnetic car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1Electric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Fina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Toxic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ransportatio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차 충전 관제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 관제 시스템은, 주차장 바닥에 설치되어 차량의 스토퍼 기능을 수행하고, 전기차의 사용자가 소지하는 사용자 단말장치와 NFC를 위한 태그를 포함하여 전기차 충전 동작을 수행하는 스토퍼형 전기 충전기, NFC의 태그가 사용자 단말장치에 태깅되어 스토퍼형 전기 충전기가 사용될 때 사용되는 충전기의 충전 중 상태를 표시하는 키오스크 단말장치, 및 NFC의 태그가 사용자 단말장치에 태깅될 때 결제를 진행시키고, 사용자 단말장치에서 입력되는 충전 정보에 대한 검증 결과를 근거로 전기차 충전 동작을 개시하며, 키오스크 단말장치의 충전 중 상태를 제어하는 충전관제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전기차 충전 관제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Electric Vehicles Charging}
본 발명은 전기차 충전 관제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스마트 카스토퍼 충전기 및 전기차 충전기의 소프트웨어(S/W), 어플리케이션(App.), 하드웨어 간의 통신 및 유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관제 데이터를 수집, 분석 및 저장하여 관리자, 지점 관리자, A/S 유지 담당자에게 실시간 정보를 제공하여 문제점을 상호간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전기차 충전 관제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기차는 엔진이 전기 모터로 대체되어 기존의 내연기관 차량과 달리 전기차 충전소나 충전 스테이션 등의 전기차를 충전하기 위한 시설 이외에도 가정이나 주차장 등에 설치된 전기 콘센트를 통해 자동차의 구동 에너지원을 손쉽게 공급받을 수 있다. 이와 같은 특징으로 전기차는 전기 공급이 가능한 콘센트를 통해 장소와 시간의 제한 없이 전기차의 배터리 충전이 가능하다는 큰 장점이 있다. 그러나 가정이나 주차장 등에 설치된 콘센트를 통한 전기 충전은 RFID 태그 등의 인증을 통해서 충전하거나 인증 태그가 설치되지 않는 곳에서는 무단 충전이 되는 경우가 많다. 무단 충전을 방지하기 위하여 RFID 태그를 건물 주차장 등의 전원 콘센트에 설치하고 있으나, 건물 주차장의 모든 콘센트에 태그 설비를 일일이 설치하는 것은 충전 사업자와 건물 소유자에게 번거로운 일이 된다.
따라서, 충전 사업자와 건물 소유자에게 충전 전기차를 일괄적으로 관리하고, 건물 주차장 등에서 손쉽게 차량 인증을 할 수 있는 시스템이 필요하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5-0026259호(2015.03.11)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9-0023727호(2019.03.08)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20-0118523호(2020.10.16)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22-0134809호(2022.10.06)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2126584호(2020.06.18)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2441372호(2022.09.02)
본 발명의 실시예는 스마트 카스토퍼 충전기 및 전기차 충전기의 소프트웨어(S/W), 어플리케이션(App.), 하드웨어 간의 통신 및 유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관제 데이터를 수집, 분석 및 저장하여 관리자, 지점 관리자, A/S 유지 담당자에게 실시간 정보를 제공하여 문제점을 상호간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전기차 충전 관제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 관제 시스템은, 주차장 바닥에 설치되어 차량의 스토퍼(stopper) 기능을 수행하고, 전기차의 사용자가 소지하는 사용자 단말장치와 NFC(Near Field Communication)를 위한 태그를 포함하여 전기차 충전 동작을 수행하는 스토퍼형 전기 충전기, 상기 NFC의 태그가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에 태깅되어 상기 스토퍼형 전기 충전기가 사용될 때 사용되는 충전기의 충전 중 상태를 표시하는 키오스크 단말장치, 및 상기 NFC의 태그가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에 태깅될 때 결제를 진행시키고,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에서 입력되는 충전 정보에 대한 검증 결과를 근거로 상기 전기차 충전 동작을 개시하며, 상기 키오스크 단말장치의 충전 중 상태를 제어하는 충전관제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키오스크 단말장치와 상기 스토퍼형 전기 충전기가 지정 거리를 벗어나 있을 때 상기 태그와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가 NFC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충전관제장치는, 상기 키오스크 단말장치와 상기 스토퍼형 전기 충전기가 지정 거리 내에 있을 때 상기 키오스크 단말장치를 사용해 전기차를 충전하도록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로 통지할 수 있다.
상기 전기차 충전 관제 시스템은,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에서 상기 충전을 위한 결제 요청시 결제를 진행시키는 결제 장치를 더 포함하며, 상기 결제 장치는, 캐쉬나 신용카드를 이용한 회원 즉시결제, 신용카드를 이용한 회원 후불결제 또는 비회원 결제를 진행시킬 수 있다.
상기 충전관제장치는,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에서 충전소 검색 요청시 사용자가 즐겨찾기로 등록한 마이충전소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 충전 관제 방법은, 주차장 바닥에 설치되어 차량의 스토퍼 기능을 수행하는 스토퍼형 전기 충전기가, 전기차의 사용자가 소지하는 사용자 단말장치와 NFC를 위한 태그를 포함하여 전기차 충전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 키오스크 단말장치가, 상기 NFC의 태그가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에 태깅되어 상기 스토퍼형 전기 충전기가 사용될 때 사용되는 충전기의 충전 중 상태를 표시하는 단계, 및 충전관제장치가, 상기 NFC의 태그가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에 태깅될 때 결제를 진행시키고,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에서 입력되는 충전 정보에 대한 검증 결과를 근거로 상기 전기차 충전 동작을 개시하며, 상기 키오스크 단말장치의 충전 중 상태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키오스크 단말장치와 상기 스토퍼형 전기 충전기가 지정 거리를 벗어나 있을 때 상기 태그와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가 NFC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전기차 충전 관제 방법은, 상기 충전관제장치가 상기 키오스크 단말장치와 상기 스토퍼형 전기 충전기가 지정 거리 내에 있을 때 상기 키오스크 단말장치를 사용해 전기차를 충전하도록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로 통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기차 충전 관제 방법은, 결제장치가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에서 상기 충전을 위한 결제 요청시 결제를 진행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결제를 진행시키는 단계는, 캐쉬나 신용카드를 이용한 회원 즉시결제, 신용카드를 이용한 회원 후불결제 또는 비회원 결제를 진행시킬 수 있다.
상기 전기차 충전 관제 방법은, 상기 충전관제장치가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에서 충전소 검색 요청시 사용자가 즐겨찾기로 등록한 마이충전소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IMOB-100S 게이트웨이의 무선통신장치를 이용한 통신 및 제어 구성은 충전 시스템의 운용 및 관제를 위하여 키오스크 없는 운영도 가능해 구축비용을 대폭 절감하여 시스템을 운영할 수 있는 가격 경쟁력과 시스템 확장성을 동시에 지원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전기차 충전 서비스 앱/웹을 통하여 고객의 이용편의를 지원하고 결제, 인증 등 외부와 인터페이스할 수 있으며, 충전기 관제는 충전기/키오스크와 유/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관제 데이터를 수집/분석/저장하여 관리자, 지점관리자 AS 유지보수 담당자에게 실시간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 충전 관제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
도 2 및 도 3은 도 1의 시스템을 도식화하여 나타내는 도면,
도 4 내지 도 5b는 키오스크 운영 형태 및 사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충전 서비스 시스템 메뉴 구조 및 사용자 앱의 서비스 화면의 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충전 관제 시스템 메뉴 구조 및 유지보수 앱의 서비스 화면의 구성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시나리오의 예시도, 그리고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 충전 관제 방법의 흐름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 충전 관제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2 및 도 3은 도 1의 시스템을 도식화하여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 충전 관제 시스템(90)은 전기차 충전장치(100), 사용자 단말장치(110), 통신망(120), 충전관제장치(130) 및 서드파티장치(140)의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한다"는 것은 서드파티장치(140)와 같은 일부 구성요소가 생략되어 전기차 충전 관제 시스템(90)이 구성되거나, 충전관제장치(130)를 구성하는 구성요소의 일부 또는 전부가 통신망(120)을 구성하는 네트워크장치(예: 무선교환장치 등)에 통합되어 구성될 수 있는 것 등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발명의 충분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전부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 충전장치(100)는 도 2 및 도 3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스토퍼형 전기 충전기(101), 분전함(혹은 전력 분배기)(102), 무선통신장치(103), 키오스크 단말장치(104)의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하며, 여기서,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한다"는 것은 무선통신장치(103)와 같은 일부 구성요소가 키오스크 단말장치(104)나 분전함(102)에 통합되어 구성될 수 있는 것 등을 의미한다.
스토퍼형 전기 충전기(101)는 가령 전기자동차 충전기로서, 공동주택이나 아파트의 주차장과 같은 곳의 스토퍼에 설치된다. 스토퍼는 차량의 후진시에 움직임을 제동하여 주차영역을 벗어나지 못하도록 하는 구조물이다. 물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토퍼형 전기 충전기(101)는 기존 고무 등의 재질로 형성되는 스토퍼의 내부에 설치될 수 있지만, 스토퍼 자체를 하나의 스토퍼형 전기 충전기(101)로 형성 혹은 구성하는 것도 얼마든지 가능하므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어느 하나의 형태에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을 것이다.
무엇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토퍼형 전기 충전기(101)는 서로 다른 유형의 커넥터 혹은 콘센트가 내장되어 구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전기자동차는 제조사에 따른 서로 다른 규격으로 전기자동차의 충전 케이블을 구성할 수 있다. 아직 표준화가 진행되지 않은 이유이기도 할 것이다. 대표적으로, B 타입과 C 타입이 현재 시중에서 유통되고 있는 것으로 보이며, 따라서 스토퍼형 전기 충전기(101)는 B나 C 타입, 나아가 다른 유형의 케이블도 연결이 가능할 수 있도록 복수 유형의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모든 유형의 전기자동차 충전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토퍼형 전기 충전기(101)는 AC 220V, 60㎐ 단상 2선식으로 커넥터가 구성될 수 있다.
물론 스토퍼형 전기 충전기(101)는 커넥터, 또는 콘센트 형태의 외부 프레임을 구성하는 본체부를 형성할 수 있으며, 그 본체부의 내부에는 또는 별도의 장치를 통해 회로부를 구성할 수 있다. 여기서, 회로부는 PCB 기판상에 CPU 등을 구성하여 커넥터를 통해 전기자동차로 공급되는 전력 또는 전압 등을 선택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구동장치라 볼 수 있다. 해당 구동장치는 키오스크 단말장치(104) 등과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스토퍼형 전기 충전기(101)는 전기차의 충전수에 따른 스마트 전력분배가 가능하며 유선 방식과 1:N 무선 통신이 가능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유선 방식의 경우에는 분전함(102) 즉 전력분배기를 구비할 수 있으며, 전력분배기는 키오스크 단말장치(104)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스토퍼에 각각 설치되는 스토퍼형 전기 충전기(101)가 전압공급원을 기준으로 서로 병렬 연결되어 동작할 수 있다. 각각의 스토퍼는 분배기 등을 통해 스위칭 제어될 수 있다. 따라서, 1번 차량의 충전 요청이 있으면 1번 선로로 전력을 공급하고, 이의 과정에서 2번 차량의 충전 요청도 있으면 2번 차량의 선로로도 전력 공급 회로를 가동시킨다. 분배기 등에 의해 병렬 구동될 수 있다. 최대 동시 충전시 계약 전력을 초과하지 않는 스마트 충전이 가능한 스토퍼형 전기 충전기(101)로 과전압, 과전류시 차단도 얼마든지 가능하다. 전압이나 전류 센싱을 통해 센싱값을 측정하여 판별할 수 있다. 3~ 50KW의 과금형 충전기 전용 콘센트가 내장될 수 있다. 중앙 키오스크 제어 방식으로 RF 리더기, 신용카드, QR 결제, 주차위치 파악이 가능한 스크린을 활용한 전기자동차 충전기로서 동작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토퍼형 전기 충전기(101)는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장치(110)와 근거리 무선통신 가령 NFC를 위한 NFC 태그 또는 근거리 통신 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NFC 태그로 설명하지만, 스토퍼형 전기 충전기(101)와 사용자 단말장치(110)의 근거리 무선통신을 위한 다양한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비콘 통신을 위한 장치가 사용될 수도 있다. 다만, 전력소비나 설치비용 등을 고려할 때 NFC 태그를 이용한 방식이 바람직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장치(110)의 사용자는 도 2 및 도 3에서와 같이 키오스크 단말장치(104)가 스토퍼형 전기 충전기(101)와 지정 거리를 벗어나 있을 때, 가령 사용자의 위치로부터 키오스크 단말장치(104)가 멀거나 접근하기 불편할 경우 어플리케이션(이하, 앱)을 이용하여 NFC 태깅에 의해 간편하게 전기차 충전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에 근거해 볼 때, NFC 태깅은 앱을 실행할 때 NFC 태깅이 이루어지기보다는 키오스크 단말장치(104)와 지정 거리를 벗어나 있는 스토퍼형 전기 충전기(101)에 한하여 NFC 태깅이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장치(110)에서 앱이 실행될 때 해당 스토퍼형 전기 충전기(101)와 키오스크 단말장치(104)가 지정 거리 내에 있다고 판단되면 앱의 푸시 메시지 등을 통해서는 주변의 키오스크 단말장치(104)를 사용하도록 통지가 이루어질 수 있다. 물론 이러한 통지는 도 1의 충전관제장치(130)로부터 전송이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물론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사용자의 현재 위치와 키오스크 단말장치(104)의 거리뿐 아니라, 키오스크 단말장치(104)의 다양한 상황(예: 대기 줄이 긴 경우 등)에 따라 선택적으로 사용자 단말장치(110)를 사용한 충전이 가능하도록 허용할 수 있다.
분전함(102)은 도 3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메인 차단기, 제어보드, 채널 차단기, 마그네틱 릴레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분전함(102)은 외부의 상용전원 등을 복수의 전압으로 분배할 수 있다. 메인 차단기는 복수의 스토퍼형 전기 충전기(101)의 전력 공급을 차단할 수 있다. 또한, 채널 차단기는 각각의 스토퍼형 전기 충전기(101)의 전력 공급을 차단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분전함(102)에서 제1 내지 제6 스토퍼형 전기 충전기(101)의 충전을 관할하고, 이때 제1 전기 충전기(101)에서 이상이 감지될 때 해당 채널의 차단기만 차단하여 나머지 제2 내지 제6 전기 충전기(101)는 사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제어보드는 CPU나 MPU 등의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메인 PCB 등의 회로기판을 의미하며, 제어보드는 키오스크 단말장치(104)의 통신에 의해 스위칭소자로서 동작하는 마그네틱 릴레이를 제어하여 특정 충전보드 즉 스토퍼형 전기 충전기(101)로 전원을 공급하여 사용자의 전기 자동차에 충전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보드는 키오스크 단말장치(104)로부터 사용자가 충전하려는 충전보드의 식별정보를 입력받아 이를 근거로 해당 충전보드에 연결되는 릴레이를 제어하여 충전이 진행되도록 한다.
무선통신장치(103)는 스토퍼형 전기 충전기(101), 분점함(102), 키오스크 단말장치(104)의 통신을 중개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아파트 등의 주차장에 설치되어 있는 키오스크 단말장치(104)를 통해 전기자동차의 사용자가 충전 동작을 수행하고자 할 때, 해당 키오스크 단말장치(104)에서 사용자가 입력한 입력 정보를 분전함(102)의 제어 보드로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충전금액이나 충전시간, 스토퍼형 전기 충전기(101)의 식별정보 등의 전송될 수 있다. 물론 무선통신장치(103)는 해당 정보를 도 1의 충전관제장치(130)로도 전송하여 충전 관제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무선통신장치(103)는 키오스크 단말장치(104)를 통해 결제가 진행되는 경우 결제 정보를 도 1의 서드파티장치(140)로 전송하여 결제 처리를 요청하거나, 또는 충전관제장치(130)를 통해 결제를 진행한 후 결제 인증 정보를 키오스크(104)로 전송할 수도 있다. 무선통신장치(103)는 게이트웨이로서 이러한 동작에 관여할 수 있다.
키오스크 단말장치(10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전기차 충전 관제 시스템(90)의 구축에 많은 비용을 발생시킬 수 있다. 따라서, 비용 절약을 위하여 키오스크 단말장치(104)는 가령 주차장과 같은 임의 공간 내에서 가령 한 대를 설치하지만, 스토퍼형 전기 충전기(101)와 거리가 너무 먼 곳에서 전기자동차의 충전을 수행하는 사용자들을 위하여 사용자가 소지하는 사용자 단말장치(110)를 이용해 NFC 태깅에 의한 충전이 이루어지도록 동작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들이 직접 키오스크 단말장치(104)에서 전기차 충전을 위한 조작을 수행하지는 않지만 사용자 단말장치(110)의 앱을 통해 이루어지는 전기차 충전 동작과 관련한 정보를 제공받아 스토퍼형 전기 충전기(101)의 사용 상태를 화면에 표시해줌으로써 다른 사용자가 해당 스토퍼형 전기 충전기(101)를 중복사용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장치(110)는 자신이 소유하는 전기차의 충전 동작을 수행하는 사용자의 단말장치를 포함한다. 물론 사용자 단말장치(110)는 스마트폰 등 모바일 기반의 단말장치뿐 아니라, 특정 시간에 충전을 위한 예약 등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는 PC 기반의 단말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PC 기반의 단말장치는 데스크탑컴퓨터나 랩탑컴퓨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모바일 기반의 단말장치는 스마트폰 이외에도 사용자들이 손목 등에 착용하는 웨어러블장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장치(110)의 사용자는 자신이 현재 전기차의 충전 동작을 수행하고자 할 때, 키오스크 단말장치(104)와 지정 거리를 벗어나 있는 경우에 앱을 실행하여 스토퍼형 전기 충전기(101)의 태그를 태깅해 충전 절차를 진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사용자 단말장치(110)와 키오스크 단말장치(104)의 태깅 가능한 범위를 다양하게 지정하는 것도 얼마든지 가능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장치(110)의 경우 회원가입 프로세스는 회원카드 없이 스마트폰 앱으로 회원 가입 후 즉시 이용이 가능할 수 있다. 스마트폰 앱(예: 아이폰, 안드로이드)으로 사용자 인증 및 결제를 진행하며, 이의 과정에서 결제카드를 등록할 수 있으며 카드없이 고객의 서비스 접근성, 편의성 극대화로 고객 확산 및 사용자 편의성이 증대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장치(110)의 사용자는 충전 프로세스의 과정에서 주차, 충전기 선택, 스마트폰 또는 회원카드 인증, 충전/결제 등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회원카드가 불필요할 수 있으며, 환경부/제휴카드도 지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키오스크 단말장치(104)에 많은 사람들이 줄 서있는 경우가 대표적이다. 이와 같이 사용자 단말장치(110)의 태깅 동작은 키오스크 단말장치(104)의 상황에 따라 선택적으로 동작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스토퍼형 전기 충전기(101)나 사용자 단말장치(110)와 키오스크 단말장치(104)의 거리가 지정 범위 내에 있으면, 키오스크 단말장치(104)를 사용하도록 통지가 이루어질 수 있다. 물론 이의 경우에도 키오스크 단말장치(104)에 대기 줄이 긴 것이 판단되면, 지정 범위 내에 있더라도 NFC 태깅이 일시적으로 가능할 수도 있다. 이러한 동작은 키오스크 단말장치(104)의 카메라 등을 통해 주변 상황이 감지되면 이를 근거로 충전관제장치(130) 등에서 일시적으로 NFC 태깅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사용자 단말장치(110)를 제어할 수 있다.
통신망(120)은 유무선 통신망을 모두 포함한다. 가령 통신망(120)으로서 유무선 인터넷망이 이용되거나 연동될 수 있다. 여기서 유선망은 케이블망이나 공중 전화망(PSTN)과 같은 인터넷망을 포함하는 것이고, 무선 통신망은 CDMA, WCDMA, GSM, EPC(Evolved Packet Core), LTE(Long Term Evolution), 와이브로(Wibro) 망 등을 포함하는 의미이다. 물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망(120)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향후 구현될 차세대 이동 통신 시스템의 접속망으로서 가령 클라우드 컴퓨팅 환경하의 클라우드 컴퓨팅망, 5G망 등에 사용될 수 있다. 가령, 통신망(120)이 유선 통신망인 경우 통신망 내의 액세스포인트는 전화국의 교환국 등에 접속할 수 있지만, 무선 통신망인 경우에는 통신사에서 운용하는 SGSN 또는 GGSN(Gateway GPRS Support Node)에 접속하여 데이터를 처리하거나, BTS(Base Transceiver Station), NodeB, e-NodeB 등의 다양한 중계기에 접속하여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다.
통신망(120)은 액세스포인트를 포함할 수도 있다. 액세스포인트는 건물 내에 많이 설치되는 펨토(femto) 또는 피코(pico) 기지국과 같은 소형 기지국을 포함한다. 여기서, 펨토 또는 피코 기지국은 소형 기지국의 분류상 전기차 충전 단말장치(100)나 사용자 단말장치(110) 등을 최대 몇 대까지 접속할 수 있느냐에 따라 구분된다. 물론 액세스포인트는 전기차 충전 단말장치(100)나 사용자 단말장치(110) 등과 지그비 및 와이파이(Wi-Fi) 등의 근거리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근거리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액세스포인트는 무선통신을 위하여 TCP/IP 혹은 RTSP(Real-Time Streaming Protocol)를 이용할 수 있다. 여기서, 근거리 통신은 와이파이 이외에 블루투스, 지그비, 적외선(IrDA), UHF(Ultra High Frequency) 및 VHF(Very High Frequency)와 같은 RF(Radio Frequency) 및 초광대역 통신(UWB) 등의 다양한 규격으로 수행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액세스포인트는 데이터 패킷의 위치를 추출하고, 추출된 위치에 대한 최상의 통신 경로를 지정하며, 지정된 통신 경로를 따라 데이터 패킷을 다음 장치, 예컨대 충전관제장치(130)나 서드파티장치(140)로 전달할 수 있다. 액세스포인트는 일반적인 네트워크 환경에서 여러 회선을 공유할 수 있으며, 예컨대 라우터(router), 리피터(repeater) 및 중계기 등이 포함된다.
충전관제장치(130)는 전기차 충전 서비스 앱이나 웹(web)을 통하여 고객의 이용편의를 지원하고 결제, 인증 등 외부 가령 결제 서버 등과 인터페이스한다. 또한, 충전관제장치(130)는 충전기, 키오스크와 유/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관제 데이터를 수집, 분석, 저장하여 관리자나 지점관리자, AS유지보수 담당자에게 실시간으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충전관제장치(130)는 도 2 및 도 3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데이터 수집을 위한 수집 서버(131), 인터페이스를 위한 인터페이스 서버(132) 및 관제를 위한 관제 서버(133)를 포함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서버는 통합 구성될 수도 있으므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어느 하나의 형태에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을 것이다.
충전관제장치(130)는 도 1의 서드파티장치(140)와 연동하여 키오스크 단말장치(104)나 사용자 단말장치(110)에서 요청하는 결제 등의 동작을 처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키오스크 단말장치(104)나 사용자 단말장치(110)에서 결제 요청이 있을 때 PG사 서버나 VAN사 서버 등과 연계하여 결제 처리를 진행시킬 수 있다. 또한 충전관제장치(130)는 사용자 단말장치(110)의 서비스 요청시 고객 충전서비스 이용을 지원하고, 또 본인인증, 충전비용 결제, 충전기별 완충 예상시간 정보 등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실시간 충전기 상태 정보, 충전 가능시간 정보, 충전기 가동 보고서, 고장/수리 내역관리 등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정보는 스토퍼형 전기 충전기(101)를 유지보수하는 관리자의 단말장치로 전송될 수도 있다.
충전관제장치(130)는 모든 센서 및 게이트웨이(G/W) 데이터를 수집하고 분석 및 저장 프로세스 동작을 수행하며 Daily Batch Process와 같은 후처리 동작, 인터페이스 프로토콜의 변환 동작, 실시간 데이터 모니터링 동작, 충전기 상태(예: 충전중, 대기중 등), 기타 다양한 IoT 데이터 수집 및 분석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충전관제장치(130)는 아파트 충전기 관리 시스템을 구성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충전기 정보를 확인하고, 사용자, 차량, 충전결과를 저장 및 관리할 수 있다. 가령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충전관제장치(130)는 전국의 아파트에 설치되는 스토퍼형 전기 충전기(101)를 통합 관리하기 위한 통합 플랫폼으로 동작할 수 있다.
충전관제장치(130)를 구성하는 수집 서버(131)의 경우, 충전셋 정보 발송 처리, 충전셋 정보 수신 처리, 통신 로그(log) 처리 등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충전셋 정보 발송 처리를 위하여 충전요금 및 결제정보 전송, Alive Check, 암호화 키 다운로드, 실패내역 재전송 등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으며, 충전셋 정보 수신 처리를 위하여 키오스크 사용자 인증 요청, 키오스크 상태정보 수신, 충전 결제정보 수신, 충전기 상태 전송, 차량상태 정보수신(예: 차량, 차종, SOC, SOH, 기타 OBC 정보 수신), 충전시작 전송, 충전진행 상태 전송(3초 데이터), 충전완료 및 결제정보 전송, 실패내역 재전송, 전원 컨트롤보드 릴레이, 차단기 정보 수신, 컨트롤 보드 상태정보 수신 등의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다. 통신 로그 처리와 관련해서는 송, 수신 패킷 정보 및 통신 모듈 각 상태값 로그 파일 저장 등이 이루어질 수 있다.
서드파티장치(140)는 PG사나 VAN사에서 운영하는 결제 서버, 또 충전기제조자사 AS/점검 요원이 소지하는 단말장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서드파티장치(140)는 충전관제장치(130)에서 결제 처리 요청시 키오스크 단말장치(104)나 사용자 단말장치(110)에서 신용카드 정보 제공시 해당 신용카드 정보를 근거로 결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서드파티장치(140)는 AS/점검 요원의 단말장치로서 스마트폰이나 태블릿PC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충전관제장치(130)로부터 유지보수와 관련한 정보를 제공받아 이를 근거로 도 1의 전기차 충전단말장치(100)의 유지보수를 진행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5b는 키오스크 운영 형태 및 사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 내지 도 5b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키오스크 단말장치(104)는 도 1의 무선통신장치(103)를 경유하여 도 1의 분전함(102) 즉 전력 분배기를 제어할 수 있다. 물론 분전함(102)의 경우에도 컨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으며, 키오스크 단말장치(104)는 RS422나 485를 사용하거나, RS232C, USB 컨버터를 통해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반면, 분전함(102)의 경우 스토퍼형 전기 충전기(101)와는 RS422/485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도 5a는 RS232C to RS 422/485 컨버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5b는 USB to RS 422/485 컨버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키오스크 단말장치(104)의 경우, 입출력(I/O) 포트는 1×VGA 포트, 1×LAN(10/100) RJ45 포트, 1×PS/2 키보드/마우스 커넥터, 2×USB 2.0 포트(Front side)/ 2×USB 3.0 포트, 2×COM(RS232) 포트/ 1×오디오 3.5pi 잭(Line-out)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바코드의 경우 1D/2D(QR)을 지원하며, B 부저 및 LED 인터페이스(예: RS-232)를 지원할 수 있다. RS-232는 PC의 주변 장치 및 모뎀을 직렬로 연결하는 방식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충전 서비스 시스템의 메뉴 구조 및 사용자 앱의 서비스 화면의 구성도이다.
도 6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 메뉴 구조 및 사용자 앱은 로그인/회원가입, 충전소 검색, 마이 충전소, 충전설정, 결제, 마이페이지 등의 메뉴로 구성될 수 있다.
충전서비스 웹시스템의 경우 사용자의 PC용 시스템으로 서비스 도메인을 이용한 단독 서비스 시스템으로서 서비스가 가능하다. 회사 홈페이지에서 링크로 연결, 회사소개부분을 서비스 페이지에서 회사홈페이지로 링크해 구성할 수 있다.
충전소 검색(대메뉴)의 경우, 위치기반 충전소 검색, 최근이용 충전소 현황의 중메뉴로 구분될 수 있다. 해당 기능을 통해서는 지도기반 충전기 현황과 상태별 정보, 지도 기반 충전기 세부 설치 위치와 상태별 정보, 지역별 충전기 검색 현황과 상태별 정보, 지역별 충전기 세부 설치 위치와 상태별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즐겨찾기 충전소 등록 및 삭제가 가능하며, 또 즐겨찾기 장소 등록 및 삭제가 가능할 수 있다.
마이충전소의 경우 즐겨찾기 충전소의 중메뉴로 구분될 수 있다. 해당 기능을 통해서는 즐겨찾기 충전소 관리, 즐겨찾기 장소 관리, 마이충전소 지도기반 충전기 현황과 상태별 정보, 마이충전소 지도기반 충전기 세부 설치 위치와 상태별 정보의 처리가 이루어지며, 즐겨찾기 충전소 등록 삭제, 충전소 내 충전기 현황, 즐겨찾기 장소 등록 및 삭제가 가능할 수 있다.
마이페이지에서는 개인정보관리, 충전이력, 결제정보관리, 캐쉬 적립이 이루어질 수 있다. 충전 이력은 기간별 충전 내역 조회나 명세서 조회가 가능할 수 있다. 결제정보 관리에서는 결제 신용카드 등록 현황이나 캐쉬 적립의 확인이 가능할 수 있다. 캐쉬 적립은 캐쉬 적립, 캐쉬 내역, 환불요청 및 현황의 확인이 가능할 수 있다.
가령 도 1의 충전관제장치(130)는 안드로이드나 iOS 모바일의 디바이스를 위한 하이브리드 앱을 지원할 수 있다. PC의 웹 서비스와 비교하여 크게 차이가 없지만, 충전소 검색의 경우 최근이용 충전소 현황이나 충전소 찾아 가기(예: 카카오, 티맵 API 연동) 등의 서비스가 더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마이충전소 메뉴의 경우 충전소 찾아 가기(예: 카카오, 티맵 API 연동) 등의 서비스가 더 제공될 수 있다. 충전설정의 경우 충전량, 속도설정(예: 예상시간), 충전완료시 푸시 메시지 방식으로 충전완료 알림의 통지가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앱의 경우 마이페이지에서 앱카드로 회원카드 발급 대체가 가능하며, 회원카드 관리 업무를 경감할 수 있다. 또한, 회원카드는 환경부카드로 대체가 가능할 수 있다.
앱을 사용한 결제의 경우 QR 스캔이나 충전기 번호 입력, 캐쉬나 신용카드를 이용한 회원 즉시결제, 신용카드를 이용한 회원 후불결제, 신용카드를 이용한 비회원 결제 등이 가능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충전 관제 시스템의 메뉴 구조 및 유지보수 앱의 서비스 화면의 구성도이다.
도 1의 서드파티장치(140) 즉 AS/점검 요원이 소지하는 모바일 기반의 단말장치는 유지보수 앱이 설치될 수 있다. 해당 앱에 연계되는 시스템의 서비스 메뉴는 도 7에서와 같이 대메뉴의 경우 로그인화면, 대시보드, 보고서, 서비스 관리, 충전기관리, 충전관리, 시스템 관리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대시보드의 경우 충전소/충전기 현황, 실시간 에러 현황, 사용자 가입/사용 현황, 실시간 에러 현황을 볼 수 있는 중메뉴로 구분될 수 있으며, 보고서의 경우 충전기 현황보고서, 점검현황보고서, 장애 이력 보고서, 충전/결제 보고서, 입금정산 보고서, 로밍정산 보고서로 구분되며, 서비스관리의 경우 충전기 상태정보, 충전소 상태정보, 웹운영, 앱운영 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 또한, 충전기 관리의 경우 충전기 등록, 충전기 이상 현황, 충전기 이상 이력 관리, 정비 관리, 협력업체 관리 등의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다. 충전 관리에서는 충전내역 관리, 정산관리, 세금계산서 관리, 가맹점 관리 등의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다. 시스템 관리에서는 회원정보 관리, 가맹점 등록, 충전기 모델 관리, 협력 업체 등록, 충전소 등록 등의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다.
좀더 구체적으로 대시보드의 경우, 충전소/충전기 현황과 관련하여 네이*나 다* 맵 즉 포털의 맵에 충전기 상태정보 POI(Point of Interest)로 표시, 충전기 타입, 충전기 상태, 일련번호, 메모 등으로 필터링 검색, 주소기준 충전기 검색, POI 선택시 충전기 상세정보 내역 표시, 상태관리 링크, 충전소별, 충전기 별 사용 현황/일별, 주간, 월간, 분기별, 연간 통계/그래프 등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실시간 에러 현황과 관련하여 충전기 세트별 단말별 실시간 에러정보 조회, 출동, 고장, 수리 현황, 서비스 레벨 목표 달성율 정보가 처리될 수 있으며, 사용자 가입/사용 현황에서는 사용자 가입현황, 가입자, 로밍 이용 현황이 처리될 수 있다. 실시간 에러 현황과 관련해서는 충전기 세트별 단말별 실시간 에러정보가 조회될 수 있다.
보고서의 경우, 충전기 현황보고서는 충전소/충전기 기간별 현황 및 통계가 보여질 수 있다. 점검 현황보고서는 충전소/충전기 점검 기간별 현황 및 통계가 보여질 수 있다. 장애이력 보고서는 충전소/충전기 장애발생 이력 및 원인정보 기간별 현황 및 통계가 제공될 수 있다. 충전/결제 보고서는 사용자별 충전/결제 기간별 현황 및 통계가 제공될 수 있다. 입금정산 보고서는 입금보고서, 입금보류/해제/별도가감내역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로밍 정산 보고서는 사업자별 로밍정산 내역 및 현황 보고서가 제공될 수 있다.
서비스 관리에서 충전기 상태 정보는 충전기 세트별 단말별 실시간 운영 현황정보 조회, 상태정보 등록/수정 이상등록이 가능할 수 있으며, 충전소 상태 정보에서는 충전소 위치, 충전현황 등 실시간 운영 현황정보 조회, 상태정보 등록/수정 이상등록이 가능할 수 있다.
충전기 관리에서, 충전기 등록은 단말, 세트 등록/수정/삭제, 설치 충전소 등록, 설치세트 구성등록, 설치업체, 설치자, 온라인 검수, 검수자, 설치 사진등록 등이 가능하다. 충전기 이상 현황은 이상 충전기 등록/ 조회/점검배정이 가능하다. 충전기 이상 이력관리는 충전기별, 모델별, 충전소별 이상 이력 조회가 가능하다. 정비 관리는 충전기별, 모델별, 충전소별 장비 고장 내역, 정비 결과 등록이 가능하다. 협력업체 관리는 업체 사용자 정보등록/상세정보 조회, ID, PW 리셋 등이 가능하다.
충전관리에서 충전내역 관리는 충전 이력 및 지불수단별 결제 현황, 지불수단별 거래 및 입금예상 금액 현황, 카드결제 명세서, PG 결제 취소 등의 동작이 가능하다. 또한, 정산 관리에서는 충전소 충전 내역 현황, 충전소 정산 계산 및 현황, 본인인증 성공 및 실패 내역, 보류/해제/별도 가감, 지급데이터 검증 및 지급보고서 작성, 송금보고서 확정, 미지급금 관리, 로밍 정산 관리, 가맹정 정산관리 등이 가능하다. 세금계산서 관리는 발행 데이터 검증, 충전소 세금계산서 발행 및 현황, 세금계산서 국세청 전송용 다운로드 등이 가능하다. 가맹점 관리는 권한 관리, 사용자 ID 발급, 권한, 메뉴별 역할 관리, 비밀번호 생성/변경/리셋 등이 가능하다.
시스템 관리에서 회원정보 관리는 회원카드 신청내역 확인 및 발급 관리, 회원카드 상태별 현황 및 카드 상세 내역, 결제카드 정보 등록 현황, 회원 현황이 가능하다. 가맹점 등록은 사업자, 기본코드, 충전소 관리, 카드사 및 PG사 수수료 관리, 충전소 판매 수수료 관리, 사용자 ID 발급, 권한, 메뉴별 역할 관리 등이 가능하다. 충전기 모델 관리는 단말 모델 등록/수정/삭제, 셋트 모델 등록/수정/삭제, 셋트 모델 적용 SW 버전(ver) 등록/수정/삭제, 단말/모델별 SW정보 등록/수정, 삭제, 셋트 모델별 SW정보 등록/수정, 삭제, 단말 SW Ver 상세 정보 등이 가능하다. 협력업체 등록은 업체 상세정보 조회, 업체 사용자 정보등록/상세정보 조회, ID, PW 등의 처리가 가능하다. 충전소 등록은 설치장소 등록(예: 거점 ID, 주소, 설치위치 ID, 상세위치, 상세도면, 주변사진), 설치정보 그룹핑 수동 조정 등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충전 관제 시스템의 기능 중 실시간 에러 현황의 경우 가맹점은 사용이 불가능하며, 또 사용자 가입/사용 현황은 유지보수 요원의 사용이 불가능할 수 있다. 가맹점의 경우 보고서는 충전기 현황보고서, 충전/결제 보고서, 입금정산 보고서의 경우 확인이 가능할 수 있다. 반면 유지보수 요원의 경우 점검현황보고서와 장애이력보고서의 확인이 가능할 수 있다. 서비스 관리의 경우 가맹점은 충전기 상태 정보, 충전소 상태 정보의 이용이 가능할 수 있다. 유지보수 요원이 해당 정보의 확인이 불필요할 수 있다. 가맹점, 유지보수 요원 및 시스템 관리자의 경우 접속권한은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으며, 시스템 관리자의 경우 모든 권한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유지보수 앱의 경우 로그인 화면, 점검요청목록, 충전기 정보확인, 점검내역등록, 추가정비요청 및 설정으로 구분될 수 있다. 충전기 정보확인의 경우 충전기 에러 현황을 확인할 수 있다 충전기 세트별 단말별 실시간 에러정보 조회가 가능할 수 있다. 점검내역등록은 점검내역등록과 점검항목 사진등록이 가능하며, 원인정보등록, 점검/설치완료 사진 등록이 가능할 수 있다. 추가정비요청의 경우 점검 미완, 완료시 추가 정비, 교체 사항 요청 등록 등이 가능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시나리오의 예시도이다.
설명의 편의상 도 8을 도 1과 함께 참조하면, 도 1의 사용자 단말장치(110)의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장치(110)의 앱을 실행하여 스토퍼형 전기 충전기(101)에 NFC 태깅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는 충전기 선택 동작에 해당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 단말장치(110)의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장치(110)의 화면상에서 충전 요청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의 과정에서 캐쉬나 신용카드를 이용한 회원 즉시 결제, 신용카드를 이용한 회원 후불결제나 비회원 결제 등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는 결제 정보 입력 과정에 해당할 수 있다.
이어 충전정보 검증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는 도 1의 충전관제장치(130)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충전정보 검증을 위해 충전기 정보 확인, 사용자 정보 추출 및 충전처리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다.
검증이 완료되면 충전관제장치(130)는 도 1의 스토퍼형 전기 충전기(101)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으며, 또 키오스크 단말장치(104)로 해당 충전기(101)의 충전 중 상태를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충전이 완료되면 스토퍼형 전기 충전기(101)는 충전 결과를 도 1의 충전관제장치(130)로 제공할 수 있으며, 이의 과정에서 충전기 정보 확인, 사용자 정보 추출 및 충전결과 처리 등의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다. 충전 금액 미만 충전시 충전 금액 결제 후 원결제건은 취소시킬 수 있다.
그리고 도 1의 충전관제장치(130)는 충전 결과를 도 1의 사용자 단말장치(110)로 통지할 수 있으며, 이후 충전 결과를 처리하여 도 1의 DB(130a)에 저장 및 관리할 수 있다. 충전기 번호, 사용자, 충전결과금액 등의 데이터를 저장 및 관리할 수 있다.
상기의 NFC를 이용한 앱 기반 충전 서비스는, 충전을 위하여 충전기(101)에 NFC 태그를 부착하고 앱을 이용하여 충전결제 및 해당 충전기(101)의 충전이 가능할 수 있다. 키오스크가 멀거나 접근하기 불편할 경우 앱을 이용하여 충전 시 키오스크에 해당 충전기(101)의 상태를 표시하며, 적용 장소(예: 회사건물 등)에 따라 키오스크 없이 NFC와 앱을 이용한 충전기 컨트롤 및 결제시스템 운용이 가능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 충전 관제 방법의 흐름도이다.
설명의 편의상 도 9를 도 1과 함께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주차장 바닥에 설치되어 차량의 스토퍼 기능을 수행하는 스토퍼형 전기 충전기(101)가, 전기차의 사용자가 소지하는 사용자 단말장치와 NFC를 위한 태그를 포함하여 전기차 충전 동작을 수행한다(S900).
물론 NFC 태깅 동작은 스토퍼형 전기 충전기(101)와 키오스크 단말장치(104)가 지정 거리를 벗어나 있거나, 키오스크 단말장치(104)에 전기차 충전을 요청하기 위해 사용자들이 대기하고 있거나, 키오스크 단말장치(104)에 고장이 발생하는 등 다양한 상황에서 선택적으로 NFC 태깅이 이루어질 수 있다. 물론 키오스크 단말장치(104)는 카메라를 포함하고 있으므로 사람의 대기 상태를 판단하도록 할 수 있으며, 고장을 포함하는 비정상 동작의 경우 동작 데이터를 도 1의 충전관제장치(130)로 제공하여 데이터 분석을 통해 얼마든지 판단할 수 있다. 도 1의 충전관제장치(130)는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촬영영상의 분석을 통해 사람의 대기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키오스크 단말장치(104)는 NFC 태그가 사용자 단말장치(110)에 태깅되어 스토퍼형 전기 충전기(101)가 사용될 때 해당 전기 충전기(101)의 충전 중 상태를 (화면에) 표시한다(S910).
나아가, 충전관제장치(130)는 NFC 태그에 사용자 단말장치(110)가 태깅될 때 결제를 진행시키고, 사용자 단말장치(110)에서 입력되는 충전 정보에 대한 검증 결과를 근거로 전기차 충전 동작을 개시하며, 키오스크 단말장치(104)의 충전 중 상태를 제어한다(S920).
상기한 내용 이외에도 도 1의 스토퍼형 전기차 충전기(101), 분전함(102), 무선통신장치(103), 키오스크 단말장치(104), 사용자 단말장치(110), 충전관제장치(130) 등은 다양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으며, 기타 자세한 내용은 앞서 충분히 설명하였으므로 그 내용들로 대신하고자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그 모든 구성요소들이 각각 하나의 독립적인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들의 그 일부 또는 전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하나 또는 복수 개의 하드웨어에서 조합된 일부 또는 전부의 기능을 수행하는 프로그램 모듈을 갖는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그 컴퓨터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코드들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비일시적 저장매체(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a)에 저장되어 컴퓨터에 의하여 읽혀지고 실행됨으로써, 본 발명의 실시 예를 구현할 수 있다.
여기서 비일시적 판독 가능 기록매체란, 레지스터, 캐시(cache), 메모리 등과 같이 짧은 순간 동안 데이터를 저장하는 매체가 아니라, 반영구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며, 기기에 의해 판독(reading)이 가능한 매체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상술한 프로그램들은 CD, DVD, 하드 디스크, 블루레이 디스크, USB, 메모리 카드, ROM 등과 같은 비일시적 판독가능 기록매체에 저장되어 제공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100: 전기차 충전 단말장치 101: 스토퍼형 전기 충전기
102: 분전함(혹은 전력 분배기) 103: 무선통신장치
104: 키오스크 단말장치 110: 사용자 단말장치
120: 통신망 130: 충전관제장치
140: 서드파티장치

Claims (10)

  1. 주차장 바닥에 설치되어 차량의 스토퍼(stopper) 기능을 수행하고, 전기차의 사용자가 소지하는 사용자 단말장치와 NFC(Near Field Communication)를 위한 태그를 포함하여 전기차 충전 동작을 수행하는 스토퍼형 전기 충전기;
    상기 NFC의 태그가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에 태깅되어 상기 스토퍼형 전기 충전기가 사용될 때 상기 태깅에 의해 사용되는 스토퍼형 전기 충전기의 충전 중 상태를 표시하는 키오스크 단말장치; 및
    상기 NFC의 태그가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에 태깅될 때 결제를 진행시키고,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에서 입력되는 충전 정보에 대한 검증 결과를 근거로 상기 전기차 충전 동작을 개시하며, 상기 키오스크 단말장치의 충전 중 상태를 제어하는 충전관제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키오스크 단말장치와 상기 스토퍼형 전기 충전기가 지정 거리를 벗어나 있을 때 상기 태그와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가 NFC 동작을 수행하고, 상기 키오스크 단말장치와 지정 거리를 벗어나 있는 상기 스토퍼형 전기 충전기에 한하여 상기 NFC 동작이 이루어지며,
    상기 충전관제장치는, 상기 키오스크 단말장치와 상기 스토퍼형 전기 충전기가 지정 거리 내에 있을 때 상기 키오스크 단말장치를 사용해 전기차를 충전하도록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로 통지하며,
    상기 충전관제장치는, 상기 키오스크 단말장치와 상기 스토퍼형 전기 충전기가 지정 거리 내에 있을 때 상기 키오스크 단말장치의 카메라를 통해 대기 줄을 판단하여 지정 거리 내에 있더라도 상기 NFC 동작을 일시적으로 가능하게 하는, 전기차 충전 관제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에서 상기 충전을 위한 결제 요청시 결제를 진행시키는 결제 장치;를 더 포함하며,
    상기 결제 장치는, 캐쉬나 신용카드를 이용한 회원 즉시결제, 신용카드를 이용한 회원 후불결제 또는 비회원 결제를 진행시키는, 전기차 충전 관제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관제장치는,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에서 충전소 검색 요청시 사용자가 즐겨찾기로 등록한 마이충전소 정보를 전송하는, 전기차 충전 관제 시스템.
  6. 주차장 바닥에 설치되어 차량의 스토퍼 기능을 수행하는 스토퍼형 전기 충전기가, 전기차의 사용자가 소지하는 사용자 단말장치와 NFC를 위한 태그를 포함하여 전기차 충전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
    키오스크 단말장치가, 상기 NFC의 태그가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에 태깅되어 상기 스토퍼형 전기 충전기가 사용될 때 상기 태깅에 의해 사용되는 스토퍼형 전기 충전기의 충전 중 상태를 표시하는 단계; 및
    충전관제장치가, 상기 NFC의 태그가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에 태깅될 때 결제를 진행시키고,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에서 입력되는 충전 정보에 대한 검증 결과를 근거로 상기 전기차 충전 동작을 개시하며, 상기 키오스크 단말장치의 충전 중 상태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키오스크 단말장치와 상기 스토퍼형 전기 충전기가 지정 거리를 벗어나 있을 때 상기 태그와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가 NFC 동작을 수행하고, 상기 키오스크 단말장치와 지정 거리를 벗어나 있는 상기 스토퍼형 전기 충전기에 한하여 상기 NFC 동작이 이루어지며,
    상기 충전관제장치가, 상기 키오스크 단말장치와 상기 스토퍼형 전기 충전기가 지정 거리 내에 있을 때 상기 키오스크 단말장치를 사용해 전기차를 충전하도록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로 통지하는 단계; 및
    상기 충전관제장치가, 상기 키오스크 단말장치와 상기 스토퍼형 전기 충전기가 지정 거리 내에 있을 때 상기 키오스크 단말장치의 카메라를 통해 대기 줄을 판단하여 지정 거리 내에 있더라도 상기 NFC 동작을 일시적으로 가능하게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전기차 충전 관제 방법.
  7. 삭제
  8. 삭제
  9. 제6항에 있어서,
    결제장치가,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에서 상기 충전을 위한 결제 요청시 결제를 진행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결제를 진행시키는 단계는,
    캐쉬나 신용카드를 이용한 회원 즉시결제, 신용카드를 이용한 회원 후불결제 또는 비회원 결제를 진행시키는, 전기차 충전 관제 방법.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관제장치가,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에서 충전소 검색 요청시 사용자가 즐겨찾기로 등록한 마이충전소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전기차 충전 관제 방법.
KR1020230006528A 2023-01-17 2023-01-17 전기차 충전 관제 시스템 및 방법 KR1026145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06528A KR102614504B1 (ko) 2023-01-17 2023-01-17 전기차 충전 관제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06528A KR102614504B1 (ko) 2023-01-17 2023-01-17 전기차 충전 관제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14504B1 true KR102614504B1 (ko) 2023-12-18

Family

ID=893092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06528A KR102614504B1 (ko) 2023-01-17 2023-01-17 전기차 충전 관제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14504B1 (ko)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26259A (ko) 2013-09-02 2015-03-11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전기 자동차 관제 시스템
KR20180005106A (ko) * 2016-07-05 2018-01-1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전기차 충전 제어 장치 및 방법, 이를 이용하는 전기차 충전 과금 시스템
KR20190023727A (ko) 2017-08-30 2019-03-08 국민대학교산학협력단 전력선 통신을 이용한 전기차 충전 시스템
KR102126584B1 (ko) 2018-01-29 2020-07-08 주식회사 에스원 충전 장치, 충전 장치의 제어 방법 및 충전소 관제 서버
KR20200118523A (ko) 2019-04-08 2020-10-16 주식회사 에버온 전기차의 충전량 산출 및 관제 시스템
KR20210046554A (ko) * 2019-10-18 2021-04-28 주식회사 만도 하이 케어 어플리케이션 서비스 플랫폼
KR102332854B1 (ko) * 2021-05-13 2021-12-01 박종수 스토퍼형 전기자동차 충전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KR102441372B1 (ko) 2022-02-24 2022-09-07 주식회사 새눈 전기차 충전소 스마트 통합 관리 시스템
KR20220134809A (ko) 2021-03-25 2022-10-06 지에스칼텍스 주식회사 전기차의 충전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26259A (ko) 2013-09-02 2015-03-11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전기 자동차 관제 시스템
KR20180005106A (ko) * 2016-07-05 2018-01-1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전기차 충전 제어 장치 및 방법, 이를 이용하는 전기차 충전 과금 시스템
KR20190023727A (ko) 2017-08-30 2019-03-08 국민대학교산학협력단 전력선 통신을 이용한 전기차 충전 시스템
KR102126584B1 (ko) 2018-01-29 2020-07-08 주식회사 에스원 충전 장치, 충전 장치의 제어 방법 및 충전소 관제 서버
KR20200118523A (ko) 2019-04-08 2020-10-16 주식회사 에버온 전기차의 충전량 산출 및 관제 시스템
KR20210046554A (ko) * 2019-10-18 2021-04-28 주식회사 만도 하이 케어 어플리케이션 서비스 플랫폼
KR20220134809A (ko) 2021-03-25 2022-10-06 지에스칼텍스 주식회사 전기차의 충전 시스템 및 방법
KR102332854B1 (ko) * 2021-05-13 2021-12-01 박종수 스토퍼형 전기자동차 충전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KR102441372B1 (ko) 2022-02-24 2022-09-07 주식회사 새눈 전기차 충전소 스마트 통합 관리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92762B1 (ko) 무선 충전 시스템,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및 무선 충전 제공 방법
KR101556947B1 (ko) 주차장 관리 방법, 주차장 관리 서버 및 주차장 관리 시스템
AU2012241138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use in communicating with a charging station
US20190386505A1 (en) Electricity management system of wireless charging and method thereof
CN105574998A (zh) 基于云平台的充电桩费用结算方法
US20140152254A1 (en) Electric vehicle charging station, system, and methods
KR102182321B1 (ko) V2g 기반 충전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CN107069883A (zh) 一种无线充电管理***及无线电能发射端
KR20120113139A (ko) 전기자동차 충전을 위한 무인 전기 판매 시스템 및 전기자동차 충전을 위한 무인 전기 판매 방법
KR20190065924A (ko) 정기 결제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332854B1 (ko) 스토퍼형 전기자동차 충전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CN107430793A (zh) 用于门禁控制***的***、方法和计算机程序
US20210142411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electric vehicle charging and user interface therefor
US11657656B2 (en) Smart vehicle travel preparation and location-based servicing features for mobile device tools and methods of use
KR20150087878A (ko) 역경매 방식을 이용한 차량 대여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CN106570795A (zh) 一种客人住店期间的酒店换房服务***及方法
KR102108001B1 (ko) 메시지를 이용한 주차비 처리 장치, 방법 및 기록매체
CN104200410A (zh) Nfc酒店房卡***及使用方法
KR102614504B1 (ko) 전기차 충전 관제 시스템 및 방법
JP2020022110A (ja) 充電制御システム、アプリケーションプログラム及び充電制御システムにおける制御方法
JP2022127463A (ja) 情報処理装置、システム及び方法
CN104363284A (zh) 一种移动应用的预约提供方法及其服务基站
KR20220165671A (ko) 공동주택 전기차 충전 서비스 제공 시스템
JP2008097329A (ja) 通信中継装置、及び通信中継方法
KR101504663B1 (ko) 국내 교통 카드 서비스 가입자에게 해외 교통카드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