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11915B1 - 제함기 및 제함 방법 - Google Patents

제함기 및 제함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11915B1
KR102611915B1 KR1020160086420A KR20160086420A KR102611915B1 KR 102611915 B1 KR102611915 B1 KR 102611915B1 KR 1020160086420 A KR1020160086420 A KR 1020160086420A KR 20160086420 A KR20160086420 A KR 20160086420A KR 102611915 B1 KR102611915 B1 KR 1026119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p
stopper
box
panel
b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864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07168A (ko
Inventor
아키마사 노자와
미츠아키 고이케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교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교와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교와
Publication of KR201700071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71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19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19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50/00Making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e.g. boxes or cartons
    • B31B50/26Folding sheets, blanks or webs
    • B31B50/262Folding sheets, blanks or webs involving folding, leading, or trailing flaps of bla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50/00Making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e.g. boxes or cartons
    • B31B50/26Folding sheets, blanks or we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50/00Making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e.g. boxes or cartons
    • B31B50/60Uniting opposed surfaces or edges; Tap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50/00Making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e.g. boxes or cartons
    • B31B50/60Uniting opposed surfaces or edges; Taping
    • B31B50/64Uniting opposed surfaces or edges; Taping by applying heat or pressure, e.g. by we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50/00Making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e.g. boxes or cartons
    • B31B50/74Auxiliary operations
    • B31B50/76Opening and distending flattened articles
    • B31B50/78Mechanical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50/00Making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e.g. boxes or cartons
    • B31B50/74Auxiliary operations
    • B31B50/92Delive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king Paper Articles (AREA)
  • Cartons (AREA)

Abstract

제함기의 구조를 간소하게 함과 아울러, 다양한 형상의 다각통형 함체의 제함을 가능하게 한다.
제함기(1)는 전후로 연장되는 베이스(13)와, 서로 전후로 거리를 두고 배치된 프런트 스토퍼(15) 및 리어 스토퍼(14)와, 좌우로 변위 가능한 좌우 한 쌍의 몸체부 압압 부재(43)를 갖는다. 함체(2)는 몸체부가 대략 통형으로 열리고, 전하측 플랩이 몸체부로부터 후방을 향해 절곡되며, 후하측 플랩이 몸체부로부터 전방을 향해 절곡된 상태에서, 몸체부가 프런트 스토퍼와 리어 스토퍼 사이에 위치하도록, 전하측 플랩 및 후하측 플랩에 있어서 베이스 상에 놓인다. 제함기(1)는 좌우의 몸체부 압압 부재가 좌우 양측으로부터 몸체부를 압압함으로써, 몸체부를 전후로 신장시키고, 몸체부의 전방 부분을 프런트 스토퍼에 눌러댐과 아울러, 몸체부의 후방 부분을 리어 스토퍼에 접촉시켜 몸체부의 형상을 정돈한다.

Description

제함기 및 제함 방법{Box manufacturing apparatus and box manufacturing method}
본 발명은 다각통형의 몸체부와, 몸체부의 하측 가장자리에 마련된 복수의 하측 플랩과, 몸체부의 상측 가장자리에 마련된 복수의 상측 플랩을 갖는 함체를 제함하는 제함기(製函機)에 관한 것이다.
다각통형의 몸체부와, 몸체부의 하측 가장자리에 마련된 복수의 하측 플랩과, 몸체부의 상측 가장자리에 마련된 복수의 상측 플랩을 갖는 함체에 있어서, 상하 방향에서의 내하중의 향상이나 내부의 데드 스페이스의 삭감에 의한 완충재의 삭감을 목적으로, 몸체부의 단면을 8각형으로 한 것이 있다. 이러한 8각형의 몸체부를 갖는 함체는 4각형의 몸체부를 갖는 함체에 비해, 몸체부에 형성되는 접이선이 많기 때문에, 몸체부를 소정의 형상으로 성형하는 것이 어렵다. 그 때문에, 이러한 함체를 성형하기 위해, 몸체부 내측에 확장 가능한 케이스 성형 장치를 삽입하고, 케이스 성형 장치를 확장시킴으로써 몸체부를 내측으로부터 확장하여 소정의 형상으로 하는 제함기가 제안되어 있다(예컨대, 특허 문헌 1)
[특허 문헌 1] 일본공개특허 2014-4813호 공보
그러나, 몸체부를 내측으로부터 확장하는 케이스 성형 장치를 갖는 제함기는 비교적 대형이고, 또한 장치의 구성이 복잡해지는 문제가 있다. 특히, 제함 과정에서 물품의 몸체부 내로의 수용을 가능하게 하는 경우, 케이스 성형 장치를 몸체부로부터 뽑아내고 물품의 수용 작업에 방해가 되지 않는 위치까지 케이스 성형 장치를 퇴피시켜야 하므로, 장치가 대형화됨과 아울러, 수용 작업의 개시까지의 소요 시간이 길어지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러한 문제로부터, 상기 케이스 성형 장치는 제함 과정에서 물품의 수용을 가능하게 하는 제함기에의 적용이 어렵다. 또한, 상기 케이스 성형 장치는 소정의 8각형 함체의 성형에 특화한 장치로서 범용성이 낮은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이상의 배경에 비추어 제함기의 구조를 간소하게 함과 아울러, 다양한 형상의 다각통형 함체의 제함을 가능하게 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는, 상하로 연장되는 다각통형의 몸체부(2PA~2PH)와, 상기 몸체부의 상측 가장자리에 마련된 복수의 상측 플랩(2UA~2UD)과, 상기 몸체부의 하측 가장자리에 마련된 복수의 하측 플랩(2LA~2LD)을 가지며, 상기 하측 플랩이 상기 몸체부의 앞쪽 부분의 하측 가장자리에 마련된 전하측 플랩(2LA) 및 뒤쪽 부분의 하측 가장자리에 마련된 후하측 플랩(2LC)을 포함하는 함체(2)를 제함하는 제함기(1)로서, 전후로 연장되는 베이스(13)와, 상기 베이스보다 상방에서 서로 전후로 거리를 두고 배치된 프런트 스토퍼(15) 및 리어 스토퍼(14)와, 상기 베이스보다 상방, 그리고 좌우 측방에서 좌우로 변위 가능한 좌우 한 쌍의 몸체부 압압 부재(43)를 가지며, 상기 함체는 상기 몸체부가 대략 통형으로 열리고, 상기 전하측 플랩이 상기 몸체부로부터 후방을 향해 절곡되며, 상기 후하측 플랩이 상기 몸체부로부터 전방을 향해 절곡된 상태에서, 상기 몸체부가 상기 프런트 스토퍼와 상기 리어 스토퍼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전하측 플랩 및 상기 후하측 플랩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상에 놓이고, 좌우의 상기 몸체부 압압 부재가 좌우 양측으로부터 상기 몸체부를 압압함으로써, 상기 몸체부를 전후로 신장시키고, 상기 몸체부의 상기 앞쪽 부분을 상기 프런트 스토퍼에 눌러댐과 아울러, 상기 몸체부의 상기 뒤쪽 부분을 상기 리어 스토퍼에 접촉시켜 상기 몸체부의 형상을 정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제함기란, 평면형상으로 절첩된 함체를 소정의 입체 형상으로 성형하는 장치로서, 그 하류측에 소정의 입체 형상으로 성형된 함체를 봉함(封緘)하는 봉함기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러한 실시 형태에 의하면, 함체의 몸체부는 프런트 스토퍼, 리어 스토퍼, 및 좌우의 몸체부 압압 부재에 의해 외측으로부터 성형되고, 함체의 내부가 상방으로 향해 개방되어 있으므로, 물품의 수용이 용이하다. 또한, 몸체부 내측에 성형 장치를 삽입하지 않기 때문에, 성형 장치를 넣고 빼는 구동 기구가 필요없어 제함기의 간소화 및 소형화가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앞쪽에 배치되고, 주면이 전후를 향하는 프런트 패널(2PA)과, 뒤쪽에 배치되고, 주면이 전후를 향하는 리어 패널(2PE)과, 상기 프런트 패널 및 상기 리어 패널의 대응되는 옆가장자리끼리 접속하는 좌우 한 쌍의 몸체 측부를 가지며, 상기 몸체 측부는 전후로 서로 접속된 복수의 패널(2PB, 2PC, 2PD, 2PF, 2PG, 2PH)을 가질 수도 있다.
이러한 실시 형태에 의하면, 함체는 다양한 형상을 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다양한 형태의 함체를 성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기 프런트 스토퍼는, 상기 프런트 패널과 상기 몸체 측부 사이의 모서리부와 상보(相補)적인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이러한 실시 형태에 의하면, 프런트 패널의 좌우 양단의 모서리부를 포함하는 몸체부의 전측부가, 프런트 스토퍼에 접촉됨으로써 성형된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기 프런트 스토퍼는 상기 프런트 패널에 접촉되는 전판(40B)과, 상기 전판에 대해 각도 조정 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몸체 측부에 접촉되는 전측판(40C)을 가질 수도 있다.
이러한 실시 형태에 의하면, 함체의 전측부의 형상에 맞추어 프런트 스토퍼의 형상을 변경할 수 있어 다양한 형상의 함체의 성형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기 리어 스토퍼는 상기 리어 패널과 상기 몸체 측부 사이의 모서리부와 상보적인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이러한 실시 형태에 의하면, 리어 패널의 좌우 양단의 모서리부를 포함하는 몸체부의 후측부가 리어 스토퍼에 접촉됨으로써 성형된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기 리어 스토퍼는 상기 리어 패널에 접촉되는 후판(25B)과, 상기 후판에 대해 각도 조정 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몸체 측부에 접촉되는 후측판(25C)을 가질 수도 있다.
이러한 실시 형태에 의하면, 함체의 후측부의 형상에 맞추어 리어 스토퍼의 형상을 변경할 수 있어 다양한 형상의 함체의 성형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 압압 부재의 각각은 전후로 연장되는 봉상(棒狀) 부재(43A)와, 상기 봉상 부재에 지지되고, 상기 봉상 부재로부터 좌우 방향 내측으로 돌출됨과 아울러, 전후 방향에 대해 경사진 경사면을 구비한 압압 블록(43D)을 가질 수도 있다.
이러한 실시 형태에 의하면, 봉상 부재 및 압압 블록의 적어도 일방에서, 몸체 측부를 좌우 외방으로부터 압압할 수 있어 복수의 면으로 이루어진 몸체 측부를 적절히 압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기 압압 블록은 상기 봉상 부재에 대해 착탈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을 수 있다.
이러한 실시 형태에 의하면, 몸체 측부의 형상에 따라 압압 블록을 교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기 봉상 부재는 전후로 연장되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여 선회 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압압 블록은 상기 봉상 부재를 중심으로 한 원추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 형태에 의하면, 봉상 부재의 선회 위치에 관계 없이, 압압 블록은 소정의 각도로 몸체 측부를 압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기 하측 플랩은 상기 몸체부의 좌우측 부분의 하측 가장자리에 설치되고, 상기 전하측 플랩 및 상기 후하측 플랩을 하방으로부터 덮음과 아울러, 서로의 선단면이 좌우 방향에 있어서의 중앙에서 대향하는 좌하측 플랩(2LB) 및 우하측 플랩(2LD)을 가지며, 상기 베이스는 주면이 상하를 향하고, 전후로 연장되는 상판(13A)을 가지며, 상기 전하측 플랩 및 상기 후하측 플랩에서 상판 상에 지지된 상기 함체의 상기 좌하측 플랩 및 상기 우하측 플랩을 상기 상판의 하면을 향해 압압하는 플랩 절곡 부재(47)를 더 가질 수도 있다.
이러한 실시 형태에 의하면, 제함기는 하측 플랩을 절곡하여 함체의 하부를 닫을 수 있다. 또한, 플랩이 절첩된 상태에서, 함체는 베이스 상을 전후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의 앞쪽에 설치되고, 상기 함체를 상기 좌하측 플랩 및 상기 우하측 플랩의 하방으로부터 지지하는 반송 장치(60)와, 상기 베이스 상에 놓인 상기 함체를 후방으로부터 전방을 향해 밀어 상기 반송 장치 상으로 이동시키는 압출 장치(34)를 가지며, 상기 프런트 스토퍼는 상기 베이스에 지지된 상기 함체보다 하방으로 퇴피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 형태에 의하면, 제함기의 작동에 의해 성형된 함체는 반송 장치로 보내진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기 반송 장치에 의해 전방으로 반송되는 상기 함체에 대해, 상기 좌하측 플랩 및 상기 우하측 플랩의 서로 대향되는 선단부에 전후로 연장되는 접착 테이프를 붙이는 하측 테이핑 유닛(62)을 더 가질 수도 있다.
이러한 실시 형태에 의하면, 성형된 함체의 하부는 접착 테이프에 의해 봉함된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기 상측 플랩은 상기 몸체부의 좌우측 부분의 상측 가장자리에 설치되고, 서로의 선단면이 좌우 방향에 있어서의 중앙에서 대향하는 좌상측 플랩(2UB) 및 우상측 플랩(2UD)을 가지며, 상기 반송 장치에 의해 전방으로 반송되는 상기 함체에 대해, 상기 좌상측 플랩 및 상기 우상측 플랩의 서로 대향하는 선단부에 전후로 연장되는 접착 테이프를 붙이는 상측 테이핑 유닛(63)을 더 가질 수도 있다.
이러한 실시 형태에 의하면, 성형된 함체의 상부는 접착 테이프에 의해 봉함된다.
이상의 구성에 의하면, 제함기의 구조가 간소화되고, 또한 다양한 형상의 다각통형 함체의 제함이 가능하게 된다.
도 1은 실시 형태에 따른 제함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실시 형태에 따른 제함기의 성형부 하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실시 형태에 따른 제함기의 (A) 우측, 및 (B) 좌측의 리어 스토퍼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실시 형태에 따른 제함기의 (A) 우측, 및 (B) 좌측의 프런트 스토퍼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실시 형태에 따른 제함기의 몸체부 압압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실시 형태에 따른 제함기의 플랩부 압압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A)~(C)는 실시 형태에 따른 플랩 압압 부재의 걸어멈춤부의 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8은 실시 형태에 따른 제함기의 플랩부 압압 장치의 (A) 초기 위치, 및 (B) 구동 후 위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9는 실시 형태에 따른 제함기의 테이핑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0은 실시 형태에 따른 테이핑부의 교정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1의 (A)는 8각형 함의 봉함 형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B)는 8각형 함의 단면도이며, (C)는 8각형 함의 블랭크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2의 (D)는 8각형 함의 절첩 형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E)는 8각형 함의 개함(開函) 형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3의 (A)는 변형 8각형 함의 봉함 형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B)는 변형 8각형 함의 단면도이며, (C)는 변형 8각형 함의 블랭크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4의 (D)는 변형 8각형 함의 절첩 형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E)는 변형 8각형 함의 개함 형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5의 (A)는 6각형 함의 봉함 형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B)는 6각형 함의 단면도이며, (C)는 6각형 함의 블랭크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6의 (D)는 6각형 함의 절첩 형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E)는 6각형 함의 개함 형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7의 (A)는 변형 6각형 함의 봉함 형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B) 변형 6각형 함의 단면도이며, (C)는 변형 6각형 함의 블랭크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8의 (D)는 변형 6각형 함의 절첩 형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E)는 변형 6각형 함의 개함 형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9의 (A)는 변형 4각형 함의 봉함 형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B)는 변형 4각형 함의 단면도이며, (C)는 변형 4각형 함의 블랭크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0의 (D)는 변형 4각형 함의 절첩 형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E)는 변형 4각형 함의 개함 형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1은 제1 성형 모드에 의한 8각형 함의 성형 동작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2는 제1 성형 모드에 의한 8각형 함의 성형 동작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3은 제1 성형 모드에 의한 변형 8각형 함의 성형 동작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4는 제1 성형 모드에 의한 변형 8각형 함의 성형 동작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5는 제2 성형 모드에 의한 변형 6각형 함의 성형 동작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6은 제3 성형 모드에 의한 변형 6각형 함의 성형 동작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7의 (A), (B)는 제4 성형 모드에 의한 변형 8각형 함의 성형 동작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8의 (C)는 제4 성형 모드에 의한 변형 8각형 함의 성형 동작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함기의 실시 형태에서 설명하기로 한다. 각 실시 형태에 따른 제함기는 다각통형의 함체를 성형하기 위해 사용된다.
(함체)
실시 형태에 따른 제함기(1)에 의해 정형 가능한 함체는 일예로서 도 11~도 20에 도시한 바와 같은 8각형 함(2), 변형 8각형 함(3), 6각형 함(4), 변형 6각형 함(5), 변형 4각형 함(6) 등을 포함한다. 각 함체는, 예컨대 골판지나 판지, 수지판 등의 판재를 소재로 하여 형성되어 있다. 각 함체는 상하로 연장되는 다각통형의 몸체부(P)와, 몸체부(P)의 상측 가장자리에 마련된 복수의 상측 플랩(U)과, 몸체부(P)의 하측 가장자리에 마련된 복수의 하측 플랩(L)을 갖는다.
몸체부(P)가 전개(개열; 開裂)되고, 상,하 플랩(U, L)이 몸체부(P)와 함께 동일 평면 상에 배치된 형태를 함체의 블랭크 형태라고 한다. 통형으로 형성된 몸체부(P)가 편평하게 절첩되고, 상,하 플랩(U, L)이 몸체부(P)와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형태를 함체의 절첩 형태라고 한다. 절첩 형태로부터 몸체부(P)가 내측에 공간을 형성하도록 벌리고, 상,하 플랩(U, L)이 몸체부(P)의 축선과 같은 방향으로 연장되는 형태를 개함 형태라고 한다. 또한, 몸체부(P)가 소정의 형태로 형성되고, 상,하 플랩(U, L)이 몸체부(P) 상하의 개구를 폐색하도록 직교하도록 절곡된 형태를 봉함 형태라고 한다.
(8각형 함)
도 11 및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8각형 함(2)은 축선이 상하로 연장되는 8각통형의 몸체부(2P)와, 몸체부(2P)의 상측 가장자리에 마련된 4개의 상측 플랩(2U)과, 몸체부(2P)의 하측 가장자리에 마련된 4개의 하측 플랩(2L)을 갖는다. 몸체부(2P)는 8각형 함(2)의 각 측면을 이루는 프런트 패널(2PA), 좌측 프런트 패널(2PB), 좌측 패널(2PC), 좌측 리어 패널(2PD), 리어 패널(2PE), 우측 리어 패널(2PF), 우측 패널(2PG), 우측 프런트 패널(2PH)을 기재된 순서로 가지고 있다. 봉함 형태에 있어서, 프런트 패널(2PA) 및 리어 패널(2PE)은 각각 면이 전후를 향하고, 서로 거리를 두고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다. 좌측 패널(2PC) 및 우측 패널(2PG)은 각각 면이 좌우를 향하고, 서로 거리를 두고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다. 좌측 프런트 패널(2PB), 좌측 리어 패널(2PD), 우측 리어 패널(2PF), 및 우측 프런트 패널(2PH)은 프런트 패널(2PA), 좌측 패널(2PC), 리어 패널(2PE), 및 우측 패널(2PG)이 이루는 4각통의 모서리부를 모따기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좌측 프런트 패널(2PB), 좌측 패널(2PC), 및 좌측 리어 패널(2PD)은 좌측 몸체 측부를 구성하고, 우측 리어 패널(2PF), 우측 패널(2PG), 및 우측 프런트 패널(2PH)은 우측 몸체 측부를 구성한다.
하측 플랩(2L)은 프런트 패널(2PA)의 하측 가장자리에 마련된 전하측 플랩(2LA)과, 좌측 패널(2PC)의 하측 가장자리에 마련된 좌하측 플랩(2LB)과, 리어 패널(2PE)의 하측 가장자리에 마련된 후하측 플랩(2LC)과, 우측 패널(2PG)의 하측 가장자리에 마련된 우하측 플랩(2LD)을 갖는다. 각 하측 플랩(2L)은 몸체부(2P)에 대해 접이선을 통해 접속되고, 봉함 형태에서 몸체부(2P)의 각 패널에 대해 직각으로 절곡되어 있다. 전하측 플랩(2LA) 및 후하측 플랩(2LC)은 내측 플랩으로서 기능하고, 좌하측 플랩(2LB) 및 우하측 플랩(2LD)은 외측 플랩으로서 기능하며, 봉함 형태에서 좌하측 플랩(2LB) 및 우하측 플랩(2LD)은 전하측 플랩(2LA) 및 후하측 플랩(2LC)을 하방(외방)으로부터 덮는다. 좌하측 플랩(2LB) 및 우하측 플랩(2LD)은 봉함 형태에 있어서, 8각형 몸체부(2P)의 하부 개구를 폐색할 수 있도록, 선단부의 전후폭이 기단(基端)부에 대해 크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좌하측 플랩(2LB) 및 우하측 플랩(2LD)의 선단 가장자리는 봉함 형태에 있어서, 몸체부(P) 하부 개구의 중앙을 전후로 직선 형상으로 연장되고, 서로 접촉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다.
상측 플랩(2U)은 하측 플랩(2L)과 상하 대칭형이 되는, 전상측 플랩(2UA), 좌상측 플랩(2UB), 후상측 플랩(2UC), 및 우상측 플랩(2UD)을 갖는다. 이상과 같이 하여, 8각형 함(2)은 좌우 대칭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 11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봉함 형태에서는, 좌상측 플랩(2UB) 및 우상측 플랩(2UD)의 선단 가장자리가 전후로 연장되는 접착 테이프(T)에 의해 접착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좌하측 플랩(2LB) 및 우하측 플랩(2LD)의 선단 가장자리가 전후로 연장되는 접착 테이프(T)에 의해 접착되어 있다. 각 접착 테이프(T)의 전단은 프런트 패널(2PA)에 접착되고, 후단은 리어 패널(2PE)에 접착되어 있다. 도 11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측 리어 패널(2PD)의 뒤쪽 옆가장자리에는 접이선을 통해 결합편(2B)이 설치되어 있다. 결합편(2B)이 리어 패널(2PE)의 내면에 결합됨으로써, 몸체부(2P)는 통형으로 형성된다. 도 12의 (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절첩 형태에서는, 프런트 패널(2PA)과 좌측 프런트 패널(2PB)와의 경계의 접이선, 및 리어 패널(2PE)과 우측 리어 패널(2PF)과의 경계의 접이선에서 360° 절곡되고, 8각형 함(2)은 편평한 판상이 된다. 도 12의 (E)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개함 형태는 절첩 형태로부터 몸체부(2P)의 내측에 공간을 형성하도록 통형으로 몸체부(2P)를 벌림으로써 형성된다. 개함 형태에 있어서, 몸체부(2P)는 대략 봉함 형태와 같은 형상이 되지만, 형상은 정해져 있지 않다. 개함 형태에서는, 몸체부(2P)에 형성된 상하로 연장되는 접이선 중 몇개가 절곡되지 않고 인접하는 패널이 공통의 평면 상에 배치되어 있을 수도 있다.
(변형 8각형 함)
도 13 및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변형 8각형 함(3)은 8각형 함(2)과 마찬가지로, 몸체부(3P), 상측 플랩(3U), 및 하측 플랩(3L)을 갖는다. 몸체부(3P)는 프런트 패널(3PA), 좌측 프런트 패널(3PB), 좌측 패널(3PC), 좌측 리어 패널(3PD), 리어 패널(3PE), 우측 리어 패널(3PF), 우측 패널(3PG), 우측 프런트 패널(3PH)을 갖는다. 봉함 형태에 있어서, 프런트 패널(3PA) 및 리어 패널(3PE)은 각각 면이 전후를 향하고, 서로 거리를 두고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다. 한편, 좌측 패널(3PC) 및 우측 패널(3PG)은 전방을 향해 좌우 내측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배치되어 있다. 즉, 좌측 패널(3PC) 및 우측 패널(3PG)은 전후 방향에 대해 경사지고, 서로 평행하지 않게 배치되어 있다. 좌측 프런트 패널(3PB), 좌측 리어 패널(3PD), 우측 리어 패널(3PF), 및 우측 프런트 패널(3PH)은 프런트 패널(3PA), 좌측 패널(3PC), 리어 패널(3PE), 및 우측 패널(3PG)이 이루는 4각통의 모서리부를 모따기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하여 변형 8각형 함(3)은 대략 좌우 대칭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변형 8각형 함(3)의 상측 플랩(3U) 및 하측 플랩(3L)은 8각형 함(2)과 마찬가지로, 전상측 플랩(3UA), 좌상측 플랩(3UB), 후상측 플랩(3UC), 우상측 플랩(3UD), 전하측 플랩(3LA), 좌하측 플랩(3LB), 후하측 플랩(3LC), 및 우하측 플랩(3LD)을 갖는다. 좌상측 플랩(3UB) 및 우상측 플랩(3UD)의 선단 가장자리는 봉함 형태에 있어서, 전후로 직선 형상으로 연장되고, 서로 접촉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좌하측 플랩(3LB) 및 우하측 플랩(3LD)의 선단 가장자리는 봉함 형태에 있어서, 몸체부(3P)의 하부 개구의 중앙을 전후로 직선 형상으로 연장되고, 서로 접촉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좌상측 플랩(3UB), 우상측 플랩(3UD), 좌하측 플랩(3LB), 및 우하측 플랩(3LD)은 후측만큼 몸체부(P)로부터의 돌출 길이가 커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도 13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봉함 형태에서는, 좌상측 플랩(3UB) 및 우상측 플랩(3UD)의 선단 가장자리가 전후로 연장되는 접착 테이프(T)에 의해 접착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좌하측 플랩(3LB) 및 우하측 플랩(3LD)의 선단 가장자리가 전후로 연장되는 접착 테이프(T)에 의해 접착되어 있다. 각 접착 테이프(T)의 전단은 프런트 패널(3PA)에 접착되고, 후단은 리어 패널(3PE)에 접착되어 있다. 도 13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측 리어 패널(3PD) 후방의 옆가장자리에는 접이선을 통해 결합편(3B)이 설치되어 있다. 결합편(3B)이 리어 패널(3PE)의 내면에 결합됨으로써, 몸체부(3P)는 통형으로 형성된다. 도 14의 (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절첩 형태에서는 프런트 패널(3PA)과 좌측 프런트 패널(3PB)과의 경계의 접이선, 및 리어 패널(3PE)에 형성된 접이선(BL)에서 360° 절곡되고, 변형 8각형 함(3)은 편평한 판상이 된다. 도 14의 (E)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개함 형태는 절첩 형태로부터 몸체부(P)의 내측에 공간을 형성하도록 통형으로 몸체부(3P)를 벌림으로써 형성된다.
(6각형 함)
도 15 및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6각형 함(4)은 축선이 상하로 연장되는 6각통형의 몸체부(4P)와, 몸체부(4P)의 상측 가장자리에 마련된 6개의 상측 플랩(4U)과, 몸체부(4P)의 하측 가장자리에 마련된 6개의 하측 플랩(4L)을 갖는다. 몸체부(4P)는 6각통의 각 측면을 이루는 프런트 패널(4PA), 좌측 프런트 패널(4PB), 좌측 리어 패널(4PC), 리어 패널(4PD), 우측 리어 패널(4PE), 우측 프런트 패널(4PF)을 기재된 순서로 가지고 있다. 봉함 형태에 있어서, 프런트 패널(4PA) 및 리어 패널(4PD)은 각각 면이 전후를 향하고, 서로 거리를 두고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다.
하측 플랩(4L)은 좌측 프런트 패널(4PB)의 하측 가장자리에 마련된 좌하측 플랩(4LA)과, 우측 리어 패널(4PE)의 하측 가장자리에 마련된 우하측 플랩(4LB)과, 프런트 패널(4PA), 좌측 리어 패널(4PC), 리어 패널(4PD), 및 우측 프런트 패널(4PF)의 하측 가장자리의 각각에 마련된 하내측 플랩(4LC, 4LC)을 갖는다. 각 하측 플랩(4L)은 몸체부(4P)에 대해 접이선을 통해 접속되고, 봉함 형태에서 몸체부(4P)의 각 패널에 대해 직각으로 절곡되어 있다. 좌하측 플랩(4LA) 및 우하측 플랩(4LB)은 외측 플랩으로서 기능하고, 봉함 형태에서 각 하내측 플랩(4LC)을 하방(외방)으로부터 덮는다. 좌하측 플랩(4LA) 및 우하측 플랩(4LB)은 봉함 형태에 있어서, 6각형 몸체부(P)의 하부 개구를 폐색할 수 있도록, 선단부의 전후폭이 기단부에 대해 크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좌하측 플랩(4LA) 및 우하측 플랩(4LB)의 선단 가장자리는 봉함 형태에 있어서, 몸체부(P)의 하부 개구의 중앙을 전후로 연장하고, 서로 접촉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다.
상측 플랩(4U)은 하측 플랩(4L)과 상하 대칭형이 되는, 좌상측 플랩(4UA), 우상측 플랩(4UB), 및 4개의 상내측 플랩(4UC)을 갖는다. 이상과 같이 하여, 6각형 함(4)은 대략 좌우 대칭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 15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봉함 형태에서는 좌상측 플랩(4UA) 및 우상측 플랩(4UB)의 선단 가장자리가 전후로 연장되는 접착 테이프(T)에 의해 접착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좌하측 플랩(4LA) 및 우하측 플랩(4LB)의 선단 가장자리가 전후로 연장되는 접착 테이프(T)에 의해 접착되어 있다. 각 접착 테이프(T)의 전단은 프런트 패널(4PA)에 접착되고, 후단은 리어 패널(4PD)에 접착되어 있다. 도 15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측 리어 패널(4PC)의 뒤쪽 옆가장자리에는 접이선을 통해 결합편(4B)가 설치되어 있다. 결합편(4B)이 리어 패널(4PD)의 내면에 결합됨으로써, 몸체부(4P)는 통형으로 형성된다. 도 16의 (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절첩 형태에서는 프런트 패널(4PA)과 좌측 프런트 패널(4PB)과의 경계의 접이선, 및 리어 패널(4PD)과 우측 리어 패널(4PE)과의 경계의 접이선에서 360° 절곡되고, 6각형 함은 편평한 판상이 된다. 도 16의 (E)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개함 형태는 절첩 형태로부터 몸체부(P)의 내측에 공간을 형성하도록 통형으로 몸체부(P)를 벌림으로써 형성된다.
(변형 6각형 함)
도 17 및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변형 6각형 함(5)은 축선이 상하로 연장되는 6각통형의 몸체부(5P)와, 몸체부(5P)의 상측 가장자리에 마련된 4개의 상측 플랩(5U)과, 몸체부(5P)의 하측 가장자리에 마련된 4개의 하측 플랩(5L)를 가지며, 좌우 대칭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몸체부(5P)는 6각통의 각 측면을 이루는 프런트 패널(5PA), 좌측 프런트 패널(5PB), 좌측 리어 패널(5PC), 리어 패널(5PD), 우측 리어 패널(5PE), 우측 프런트 패널(5PF)을 기재된 순서로 가지고 있다. 봉함 형태에 있어서, 프런트 패널(5PA) 및 리어 패널(5PD)은 각각 면이 전후를 향하고, 서로 거리를 두고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다. 좌측 리어 패널(5PC) 및 우측 리어 패널(5PE)은 전방을 향해 좌우 내측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배치되어 있다. 즉, 좌측 리어 패널(5PC) 및 우측 리어 패널(5PE)은 전후 방향에 대해 경사지고, 서로 평행하지 않게 배치되어 있다. 좌측 프런트 패널(5PB) 및 우측 프런트 패널(5PF)은 프런트 패널(5PA) 및 좌측 리어 패널(5PC)의 경계의 모서리부, 및 프런트 패널(5PA) 및 우측 리어 패널(5PE)의 경계의 모서리부를 모따기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변형 6각형 함(5)은 좌우 대칭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하측 플랩(5L)은 전측 플랩 하측 가장자리에 마련된 전하측 플랩(5LA)과, 좌측 리어 패널(5PC)의 하측 가장자리에 마련된 좌하측 플랩(5LB)과, 리어 패널(5PD)의 하측 가장자리에 마련된 후하측 플랩(5LC)과, 우측 리어 패널(5PE)의 하측 가장자리에 마련된 우하측 플랩(5LD)을 갖는다. 각 하측 플랩(5L)은 몸체부(5P)에 대해 접이선을 통해 접속되고, 봉함 형태에서 몸체부(5P)의 각 패널에 대해 직각으로 절곡되어 있다. 좌하측 플랩(5LB) 및 우하측 플랩(5LD)은 외측 플랩으로서 기능하고, 봉함 형태에서 내측 플랩으로서 기능하는 전하측 플랩(5LA) 및 후하측 플랩(5LC)을 하방(외방)으로부터 덮는다. 좌하측 플랩(5LB) 및 우하측 플랩(5LD)은 봉함 형태에서 6각형 몸체부(5P)의 하부 개구를 폐색할 수 있도록, 선단부의 전후폭이 기단부에 대해 크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좌하측 플랩(5LB) 및 우하측 플랩(5LD)의 선단 가장자리는 봉함 형태에서 몸체부(5P)의 하부 개구의 중앙을 전후로 연장하고, 서로 접촉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다.
상측 플랩(5U)은 하측 플랩(5L)과 상하 대칭형이 되는, 전상측 플랩(5UA), 좌상측 플랩(5UB), 후상측 플랩(5UC), 및 우상측 플랩(5UD)을 갖는다.
도 17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봉함 형태에서는 좌상측 플랩(5UB) 및 우상측 플랩(5UD)의 선단 가장자리가 전후로 연장되는 접착 테이프(T)에 의해 접착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좌하측 플랩(5LB) 및 우하측 플랩(5LD)의 선단 가장자리가 전후로 연장되는 접착 테이프(T)에 의해 접착되어 있다. 각 접착 테이프(T)의 전단은 프런트 패널(5PA)에 접착되고, 후단은 리어 패널(5PD)에 접착되어 있다. 도 17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측 리어 패널(5PC)의 뒤쪽 옆가장자리에는 접이선을 통해 결합편(5B)이 마련되어 있다. 결합편(5B)이 리어 패널(5PD)의 내면에 결합됨으로써, 몸체부(5P)는 통형으로 형성된다. 도 18의 (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절첩 형태에서는 프런트 패널(5PA)과 좌측 프런트 패널(5PB)과의 경계의 접이선, 및 리어 패널(5PD)에 형성된 접이선(BL)에서 360° 절곡되고, 변형 6각형 함은 편평한 판상이 된다. 도 18의 (E)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개함 형태는 절첩 형태로부터 몸체부(5P)의 내측에 공간을 형성하도록 통형으로 몸체부(5P)를 벌림으로써 형성된다.
변형 6각형 함(5)의 변형예로서 좌측 프런트 패널(5PB) 및 우측 프런트 패널(5PF)의 상측 가장자리 및 하측 가장자리에 상측 플랩(5U) 및 하측 플랩(5L)을 마련하고, 상측 플랩(5U) 및 하측 플랩(5L)을 6개씩으로 할 수도 있다.
(변형 4각형 함)
도 19 및 도 2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변형 4각형 함(6)은 축선이 상하로 연장되는 4각통형의 몸체부(6P)와, 몸체부(6P)의 상측 가장자리에 마련된 4개의 상측 플랩(6U)와, 몸체부(6P)의 하측 가장자리에 마련된 4개의 하측 플랩(6L)을 갖는다. 몸체부(6P)는 4각통의 각 측면을 이루는 프런트 패널(6PA), 좌측 패널(6PB), 리어 패널(6PC), 우측 패널(6PD)을 기재된 순서로 가지고 있다. 봉함 형태에 있어서, 프런트 패널(6PA) 및 리어 패널(6PC)은 각각 면이 전후를 향하고, 서로 거리를 두고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다. 좌측 패널(6PB) 및 우측 패널(6PD)은 전방을 향해 좌우 내측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배치되어 있다. 즉, 좌측 패널(6PB) 및 우측 패널(6PD)은 전후 방향에 대해 경사지고, 서로 평행하지 않게 배치되어 있다. 변형 4각형 함(6)은 좌우 대칭의 사다리꼴로 형성되어 있다.
하측 플랩(6L)은 프런트 패널(6PA)의 하측 가장자리에 마련된 전하측 플랩(6LA)과, 좌측 패널(6PB)의 하측 가장자리에 마련된 좌하측 플랩(6LB)과, 리어 패널(6PC)의 하측 가장자리에 마련된 후하측 플랩(6LC)과, 우측 패널(6PD)의 하측 가장자리에 마련된 우하측 플랩(6LD)을 갖는다. 각 하측 플랩(6L)은 몸체부(6P)에 대해 접이선을 통해 접속되고, 봉함 형태에서 몸체부(6P)의 각 패널에 대해 직각으로 절곡되어 있다. 좌하측 플랩(6LB) 및 우하측 플랩(6LD)은 외측 플랩으로서 기능하고, 봉함 형태에서 내측 플랩으로서 기능하는 전하측 플랩(6LA) 및 후하측 플랩(6LC)을 하방(외방)으로부터 덮는다. 좌하측 플랩(6LB) 및 우하측 플랩(6LD)은 봉함 형태에 있어서, 사다리꼴 몸체부(6P)의 하부 개구를 폐색할 수 있도록, 선단부의 전후폭이 기단부에 대해 크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좌하측 플랩(6LB) 및 우하측 플랩(6LD)의 선단 가장자리는 봉함 형태에 있어서, 몸체부(6P)의 하부 개구의 중앙을 전후로 연장하고, 서로 접촉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다.
상측 플랩(6U)은 하측 플랩(6L)과 상하 대칭형이 되는, 전상측 플랩(6UA), 좌상측 플랩(6UB), 후상측 플랩(6UC), 및 우상측 플랩(6UD)을 갖는다.
도 19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봉함 형태에서는 좌상측 플랩(6UB) 및 우상측 플랩(6UD)의 선단 가장자리가 전후로 연장되는 접착 테이프(T)에 의해 접착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좌하측 플랩(6LB) 및 우하측 플랩(6LD)의 선단 가장자리가 전후로 연장되는 접착 테이프(T)에 의해 접착되어 있다. 각 접착 테이프(T)의 전단은 프런트 패널(6PA)에 접착되고, 후단은 리어 패널(6PC)에 접착되어 있다. 도 19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리어 패널(6PC)의 뒤쪽 옆가장자리에는 접이선을 통해 결합편(6B)이 마련되어 있다. 결합편(6B)이 리어 패널(6PC)의 내면에 결합됨으로써, 몸체부(6P)는 통형으로 형성된다. 도 20의 (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절첩 형태에서는 프런트 패널(6PA)과 좌측 패널(6PB)과의 경계의 접이선, 및 리어 패널(6PC)에 형성된 접이선(BL)에서 360° 절곡되고, 변형 4각형 함은 편평한 판상이 된다. 도 20의 (E)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개함 형태는 절첩 형태로부터 몸체부(6P) 내측에 공간을 형성하도록 통형으로 몸체부(6P)를 벌림으로써 형성된다.
(제함기)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실시 형태에 따른 제함기(1)는 개함 형태의 함체를 성형하는 성형부(10)와, 성형된 함체를 봉함하는 테이핑부(11)를 갖는다. 성형부(10) 및 테이핑부(11)는 제함기(1)의 전후로 연장되는 센터 라인(C)을 따라 배치되고, 테이핑부(11)는 성형부(10)의 전방에 배치되어 있다.
성형부(10)는 베이스(13), 리어 스토퍼(14), 프런트 스토퍼(15), 몸체부 압압 장치(16), 및 플랩 절곡 장치(17)(사이드 플래퍼)를 갖는다. 베이스(13), 프런트 스토퍼(15), 리어 스토퍼(14), 몸체부 압압 장치(16), 및 플랩 절곡 장치(17)는 제함기(1)의 프레임(미도시)에 지지되어 있다.
(베이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베이스(13)는 센터 라인(C) 상에서 전후로 연장되는 상판(13A)을 갖는다. 상판(13A)은 면이 상하를 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상판(13A)의 하면 좌우 방향에 있어서의 중앙에는 하방을 향해 돌출되는 하벽(13B)이 설치되어 있다. 하벽(13B)은 면이 좌우를 향하고, 상판(13A)을 따라 전후로 연장되어 있다. 상판(13A) 및 하벽(13B)에 의해 베이스(13)의 횡단면은 T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하벽(13B)의 전단부 좌우 양측에는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축선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하는 좌우 한 쌍의 프리 롤러(21)가 설치되어 있다. 좌우 프리 롤러(21)는 그 좌우 내측 부분이 상판(13A)의 하면과 간극을 두고 대향되어 있다. 좌우 프리 롤러(21)는 상하 위치를 조정 가능하게 하벽(13B)에 설치되어 있고, 프리 롤러(21)와 상판(13A)의 하면간의 간극의 크기가 조정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러한 프리 롤러(21)는, 예컨대 크랭크 형상으로 굴곡된 지지축에 지지될 수 있다.
(리어 스토퍼)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리어 스토퍼(14)는 상판(13A)에 전후로 변위 가능하게 지지된 슬라이드 블록(23)을 갖는다. 슬라이드 블록(23)은 상판(13A)의 좌우 옆가장자리에 걸어멈춤되어, 상판(13A)으로부터 탈락하지 않게 되어 있다. 슬라이드 블록(23)의 전면은 전방을 향하는 평면으로 형성되어 있다.
슬라이드 블록(23)에는 좌측 및 우측으로 돌출되는 리어 지지 아암(24)이 결합되어 있다. 리어 지지 아암(24)은 슬라이드 블록(23)을 좌우로 관통하는 연속된 부재일 수도 있고, 슬라이드 블록(23)으로부터 좌우로 연장되는 좌우 한 쌍의 부재일 수도 있다. 리어 지지 아암(24)은 직선상으로 좌우로 연장되는 각기둥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리어 지지 아암(24)에는 슬라이드 블록(23)을 중앙으로 하여 좌우 한 쌍의 리어 코너 접촉부(25)와, 좌우 한 쌍의 스페이서(26)가 각각 좌우 방향으로 변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스페이서(26)는 슬라이드 블록(23)과 리어 코너 접촉부(25)와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리어 코너 접촉부(25) 및 스페이서(26)에는 각각을 리어 지지 아암(24)의 임의의 좌우 위치에 고정하는 고정 수단이 마련되어 있다. 고정 수단은, 예컨대 멈춤 나사일 수 있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리어 코너 접촉부(25)는 리어 지지 아암(24)이 삽입 통과되는 구멍이 형성된 리어 베이스부(25A)와, 리어 베이스부(25A)의 전면에 결합되고, 전방을 향하는 전면을 구비한 후판(25B)과, 후판(25B)의 좌우 외측에, 상하로 연장되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여 회동 가능하게 후판(25B)에 대해 배치된 후측판(25C)을 갖는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후측판(25C)의 후면이 상하로 연장되는 회전축을 구비한 힌지(25D)에 의해 후판(25B)의 후면에 결합되어 있다.
리어 베이스부(25A)에는 수평 방향으로 변위 가능하고, 또한 임의의 위치에 고정 가능하게 조정판(25E)이 지지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조정판(25E)은 상하로 관통됨과 아울러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장공을 가지며, 장공을 통과하여 리어 베이스부(25A)에 나사 결합되는 볼트에 의해 리어 베이스부(25A)에 체결되어 있다. 조정판(25E)과 후측판(25C)은 제1 액튜에이터(30)를 통해 서로 연결되어 있다. 제1 액튜에이터(30)는, 예컨대 에어 실린더나 전동 실린더 등일 수 있다. 제1 액튜에이터(30)의 구동에 의해, 후측판(25C)은 후판(25B)의 전면과의 이루는 각도가 큰 초기 위치와, 후판(25B)의 전면과의 이루는 각도가 초기 위치보다 작아지는 구동 후 위치와의 사이에서, 후판(25B)에 대해 회동한다. 측판의 초기 위치 및 구동 후 위치는 리어 베이스부(25A)에 대한 조정판(25E)의 위치를 변화시킴으로써 조정할 수 있다. 후측판(25C)의 후판(25B)에 대한 각도는 성형하는 함체의 리어 패널의 좌우 양단에 형성되는 모서리부의 각도에 따라 조정된다. 후측판(25C)은 제1 액튜에이터(30)의 작동에 의해 구동 후 위치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함체의 몸체부(P)를 좌우 내측 방향으로 압압할 수 있다. 그 때문에, 후측판(25C)을 포함하는 리어 스토퍼(14)는 몸체부 압압 장치로서 기능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스페이서(26)는 착탈 가능하게 리어 지지 아암(24)에 지지되고, 리어 지지 아암(24)으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크기가 다른 복수의 스페이서(26)를 준비하고, 이들 중에서 선택한 스페이서(26)를 리어 지지 아암(24)에 지지시킴으로써, 리어 지지 아암(24)으로부터 스페이서(26)의 하단까지의 거리를 변경할 수 있다.
상판(13A) 표면의 후단부에는 고정 블록(32)이 전후 방향으로 위치 조정 가능하게 고정되어 있다. 고정 블록(32)은 상하로 관통됨과 아울러, 전후로 연장되는 장공을 가지며, 장공을 통과하여 상판(13A)에 나사 결합되는 볼트에 의해 상판(13A)에 체결되어 있다. 슬라이드 블록(23)은 직렬로 접속된 제2 액튜에이터(33) 및 제3 액튜에이터(34)를 통해 고정 블록(32)에 연결되어 있다. 제2 및 제3 액튜에이터(33, 34)는 제1 액튜에이터(30)와 마찬가지이고, 고정단과, 고정단에 대해 변위하는 구동단을 갖는다. 제2 액튜에이터(33)는 고정단이 고정 블록(32)에 결합되고, 구동단이 제3 액튜에이터(34)의 고정단에 결합되어 있다. 제3 액튜에이터(34)의 구동단은 슬라이드 블록(23)에 결합되어 있다.
리어 스토퍼(14)(슬라이드 블록(23))의 초기 위치는 상판(13A)에 대한 고정 블록(32)의 전후 위치를 변화시킴으로써 조정할 수 있다. 슬라이드 블록(23)는 제2 액튜에이터(33)의 구동에 의해 거리(L1)를 전진하고, 제3 액튜에이터(34)의 구동에 의해 거리(L1)보다 큰 거리(L2)를 전진한다. 후술하겠지만, 제2 액튜에이터(33)는 성형시에 리어 스토퍼(14)를 비교적 작은 거리만큼 전진시킬 목적으로 사용되고, 제3 액튜에이터(34)는 성형 후에 리어 스토퍼(14)를 크게 전진시키고, 함체를 베이스(13)보다 전방으로 내보낼 목적으로 사용된다. 리어 스토퍼(14)는 제2 및 제3 액튜에이터(33, 34)가 모두 구동되지 않을 때 초기 위치에 있고, 제2 액튜에이터(33)만 구동되었을 때 중간 위치에 있으며, 제2 액튜에이터(33)의 구동에 관계 없이, 제3 액튜에이터(34)가 구동되었을 때 송출 위치에 있는 것으로 한다. 송출 위치는 제2 액튜에이터(33)의 구동량(거리(L1))에 따른 폭을 갖는 것으로 한다.
(프런트 스토퍼)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프런트 스토퍼(15)는 리어 스토퍼(14)의 전방에 거리를 두고 배치되어 있다. 프런트 스토퍼(15)는 제4 액튜에이터(37)를 통해 프레임에 지지된 프런트 블록(38)을 갖는다. 프런트 블록(38)은 제4 액튜에이터(37)의 구동에 의해 베이스(13)의 직하방에 위치하는 초기 위치와 상측 위치로부터 하방으로 이동한 퇴피 위치 사이에서 변위 가능하게 되어 있다. 제4 액튜에이터(37)는 제1 액튜에이터(30)와 마찬가지이다.
전측 블록(38)에는 좌측 및 우측으로 돌출되는 프런트 지지 아암(39)이 결합되어 있다. 프런트 지지 아암(39)은 슬라이드 블록(23)을 좌우로 관통하는 연속 부재일 수도 있고, 슬라이드 블록(23)으로부터 좌우로 연장되는 좌우 한 쌍의 부재일 수도 있다. 프런트 지지 아암(39)은 직선상으로 좌우로 연장되는 각기둥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프런트 지지 아암(39)에는 프런트 블록(38)을 중앙으로 하여 좌우 한 쌍의 프런트 코너 접촉부가 좌우 방향으로 변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프런트 코너 접촉부(40)에는 각각을 프런트 지지 아암(39)의 임의의 좌우 위치에 고정하는 고정 수단이 마련되어 있다. 고정 수단은, 예컨대 멈춤 나사일 수 있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프런트 코너 접촉부(40)는 프런트 지지 아암(39)이 삽입 통과되는 구멍이 형성된 프런트 베이스부(40A)와, 블록의 후면에 결합되고, 후방을 향하는 후면을 구비한 전판(40B)과, 전판(40B)의 좌우 외측에, 상하로 연장되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여 회동 가능하게 전판(40B)에 대해 배치된 전측판(40C)을 갖는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전측판(40C)의 전면이, 상하로 연장되는 회전축을 구비한 힌지(40D)에 의해 전판(40B)의 전면에 결합되어 있다.
프런트 베이스부(40A)에는 수평 방향으로 변위 가능하고, 또한 임의의 위치에 고정 가능하게 조정판(40E)이 지지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조정판(40E)은 상하로 관통됨과 아울러,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장공을 가지며, 장공을 통과하여 프런트 베이스부(40A)에 나사 결합되는 볼트에 의해 프런트 베이스부(40A)에 체결되어 있다. 조정판(40E)은 전측판(40C)의 전면에 결합되어 있다. 전측판(40C)의 전판(40B)에 대한 각도는 성형하는 함체의 프런트 패널의 좌우 양단에 형성되는 모서리부의 각도에 따라 조정된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4 액튜에이터(37)의 구동에 의해, 프런트 스토퍼(15)는 각 프런트 코너 접촉부(40)가 상판(13A)의 상면보다 상방으로 돌출된 초기 위치와, 각 프런트 코너 접촉부(40)가 상판(13A)보다 하방으로 내려간 퇴피 위치와의 사이에서 변위한다.
(몸체부 압압 장치)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몸체부 압압 장치(16)는 베이스(13)의 좌우 양측에 배치된 좌우 한 쌍의 몸체부 압압 부재(43)를 갖는다. 각 몸체부 압압 부재(43)는 전후로 연장되는 봉상 부재(43A)와, 봉상 부재(43A)의 전단 및 후단으로부터 봉상 부재(43A)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돌출된 전후 한 쌍의 아암(43B)을 갖는다. 전후 한 쌍의 아암(43B)은 선단부에서 전후로 연장되는 공통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여 회동 가능하게 프레임에 지지되어 있다. 좌우의 몸체부 압압 부재(43)의 회전축은 좌우로 서로 거리를 두고 배치되어 있다. 이에 따라, 각 봉상 부재(43A)는 각 아암(43B)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여 선회할 수 있고, 베이스(13)의 상방, 그리고 좌우 측방에서 좌우 외측 방향에 위치하는 초기 위치와 초기 위치보다 좌우 내측에 위치하는 구동 후 위치와의 사이에서 좌우로 변위한다.
좌우의 몸체부 압압 부재(43)는 동력 전달 장치(43C)에 의해 서로 접속되고, 센터 라인(C)을 중심으로 하여 좌우 대칭의 동작을 행한다. 동력 전달 장치(43C)는, 예컨대 좌우 아암(43B)의 회전축에 결합된 좌우 한 쌍의 풀리(스프로킷)와, 각 풀리에 8자형으로 걸린 무단 벨트(롤러 체인)에 의해 구성될 수 있다. 좌우 아암(43B)은 신축되는 제5 액튜에이터(44)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있다. 제5 액튜에이터(44)는 상술한 제1 액튜에이터(30) 등과 마찬가지의 구성일 수 있다. 제5 액튜에이터(44)의 구동에 의해 좌우의 몸체부 압압 부재(43)는 초기 위치와, 초기 위치로부터 각각 좌우 내측 방향으로 이동한 구동 후 위치와의 사이에서 변위한다.
각 봉상 부재(43A)에는 착탈 가능하게 압압 블록(43D)이 지지되어 있다. 압압 블록(43D)은 봉상 부재(43A)로부터 좌우 방향 내측으로 돌출됨과 아울러, 전후 방향에 대해 경사진 경사면을 구비하고 있다. 봉상 부재(43A)에 지지시키는 압압 블록(43D)의 수 및 형상은 성형하는 함체의 형상에 따라 임의로 변경할 수 있다. 압압 블록(43D)은, 예컨대 하나의 봉상 부재(43A)에 서로 이격되어 전후 한 쌍이 설치될 수 있다. 압압 블록(43D)의 형상은, 예컨대 봉상 부재(43A)를 중심으로 한 원추형일 수 있다.
(플랩 절곡 장치)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플랩 절곡 장치(17)는 베이스(13)의 좌우 양측에 배치된 좌우 한 쌍의 플랩 절곡 부재(47)를 갖는다. 각 플랩 절곡 부재(47)는 전후로 연장되고,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샤프트(47A)와, 샤프트(47A)로부터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압압부(47B) 및 아암(47C)을 갖는다. 압압부(47B)는 대략 직사각형의 판상 부재에 의해 형성되고, 장변의 일방이 샤프트(47A)에 결합되고, 전후로 연장되어 있다. 각 아암(47C)은 좌우 한 쌍의 제6 액튜에이터(48)의 대응되는 일방을 통해 프레임에 결합되어 있다. 제6 액튜에이터(48)는 상술한 제1 액튜에이터(30) 등과 마찬가지의 구성일 수 있다.
도 8의 (A),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6 액튜에이터(48)의 구동에 의해 좌우의 플랩 절곡 부재(47)는 압압부(47B)가 하방을 향해 좌우 내측 방향으로 경사지게 연장되는 초기 위치와 압압부(47B)가 좌우 내측 방향으로 대략 수평으로 연장되는 구동 후 위치와의 사이에서 변위한다. 플랩 절곡 부재(47)의 구동 후 위치는 압압부(47B)가 리어 스토퍼(14)의 스페이서(26)의 하단에 접촉되는 것으로 정해진다. 압압부(47B)의 선단은 구동 후 위치에서 하벽(13B)의 좌우 측방에 배치되고, 상판(13A)의 하면과의 사이에 간극을 두고 대향한다. 성형하는 함체의 하측 플랩(L)의 두께에 따라 스페이서(26)를 교환함으로써, 구동 후 위치에서의 압압부(47B)와 상판(13A)간의 간극의 크기는 임의로 조정된다. 좌우 한 쌍의 플랩 절곡 부재(47)는 센터 라인(C)을 중심으로 하여 좌우 대칭형을 이루고, 좌우 대칭의 동작을 행한다.
각 압압부(47B)의 선단 가장자리에는 걸어멈춤부(49)가 설치되어 있다. 걸어멈춤부(49)는 함체의 좌우 하측 플랩(L)의 선단 가장자리를 걸어멈춤 가능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걸어멈춤부(49)는 판상으로 형성된 압압부(47B)에 대해 대략 직교하는 방향으로 돌출된 후크부(49A)(벽부)를 갖는다. 후크부(49A)는 압압부(47B)의 선단 가장자리를 따라 전후로 연장되어 있다. 압압부(47B)의 선단부 및 후크부(49A)에 의해 걸어멈춤부(49)는 대략 L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압압부(47B)의 선단측 부분은 다른 부분(기단측 부분)에 대해 후크부(49A)의 돌출 방향과 상반되는 측으로 약간 구부러져 경사부(47D)를 형성하고 있다. 경사부(47D)에 의해 압압부(47B)의 기단측 부분에 대한 후크부(49A)의 돌출량은 선단부에 대한 후크부(49A)의 돌출량보다 작게 되어 있다.
걸어멈춤부(49)는, 도 7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압압부(47B)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고, 도 7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면 L자형의 별도의 부재(51)를 압압부(47B)의 선단부에 나사(52) 등에 의해 결합함으로써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걸어멈춤부(49)는 다양한 형상을 적용할 수 있다. 예컨대, 도 7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후크부(49A)가 압압부(47B)에 대해 대략 직교하는 방향으로 돌출되는 기단부(49D)와, 기단부(49D)의 선단으로부터 기단부(49D)와 대략 직교하고, 압압부(47B)와 간극을 두고 대향하는 선단부(49E)를 가질 수도 있다. 즉, 압압부(47B)의 선단부 및 후크부(49A)에 의해 걸어멈춤부(49)는 대략 “ㄷ”자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테이핑부)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테이핑부(11)는 반송 장치(60), 하측 교정 장치(61), 상측 교정 장치(73), 하측 테이핑 유닛(62), 및 상측 테이핑 유닛(63)을 갖는다.
(반송 장치)
반송 장치(60)는 센터 라인(C)의 양측에 마련되고, 각각 전후로 연장되는 좌우 한 쌍의 하부 컨베이어(60A)와, 하부 컨베이어(60A)의 좌우 외측 방향에 마련되고, 각각 전후로 연장되는 좌우 한 쌍의 사이드 컨베이어(60B)와, 하부 컨베이어(60A)의 상방에 마련되고, 각각 전후로 연장되는 좌우 한 쌍의 상부 컨베이어(60C)를 갖는다. 하부 컨베이어(60A), 사이드 컨베이어(60B), 및 상부 컨베이어(60C)는 공지된 벨트 컨베이어이고, 모터에 의해 구동되며, 함체를 전방으로 반송한다. 좌우의 하부 컨베이어(60A)는 프레임에 지지되고, 상방을 향하고, 상판(13A)의 표면과 동일한 높이에 배치된 안착면을 갖는다. 좌우의 하부 컨베이어(60A)의 후단부 사이에는 베이스(13)의 전단부가 배치되어 있다.
좌우의 사이드 컨베이어(60B)는 회전축이 상하로 연장되고, 함체와의 접촉면이 좌우 내측 방향(센터 라인(C)측)을 향하고 있다. 좌우의 사이드 컨베이어(60B)는 프레임에 의해 좌우 방향으로 변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각각의 접촉면간의 거리를 변경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에 따라, 좌우의 사이드 컨베이어(60B)는 미사용시에는 좌우 외측 방향으로 퇴피시킬 수 있다.
프레임에는 상하로 변위 가능한 가동 프레임(65)이 설치되어 있다. 가동 프레임(65)의 좌우로 연장되는 지지 샤프트(66)에는 좌우 방향으로 변위 가능하게 마운트 부재(67)가 지지되어 있다. 프레임에 대한 가동 프레임(65)의 위치, 가동 프레임(65)에 대한 마운트 부재(67)의 위치는 모터 등의 동력 또는 수동 조작에 의해 조정할 수 있다. 좌우 한 쌍의 상부 컨베이어(60C)는 마운트 부재(67)에 지지되어 있다. 각 상부 컨베이어(60C)는 회전축이 좌우로 연장되고, 함체와의 접촉면이 하방을 향하고 있다. 가동 프레임(65) 및 마운트 부재(67)의 동작에 의해, 한 쌍의 상부 컨베이어(60C)는 센터 라인(C)을 중심으로 하여 함체의 상면에 접촉 가능한 사용 위치와, 함체로부터 떨어진 이탈 위치와의 사이를 이동할 수 있다.
(교정 장치)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측 교정 장치(61)는 좌우 하부 컨베이어(60A) 사이의 후부로서, 베이스(13)의 전방에 배치되어 있다. 하측 교정 장치(61)는 프레임에 지지되는 베이스(61A)와, 베이스(61A)에 대해 회동 가능하게 지지된 좌우 한 쌍의 아암(61B)과, 좌우의 아암(61B) 사이에 걸쳐지고, 좌우로 연장되는 샤프트(61C)와, 샤프트(61C)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좌우로 연장되는 프리 롤러(61D)와, 베이스(61A)에 결합된 일단과 아암(61B)에 결합된 타단을 갖는 탄성 가압 부재(61E)를 갖는다. 아암(61B)은 프리 롤러(61D)가 하부 컨베이어(60A)의 안착면보다 상방으로 돌출되는 돌출 위치와, 돌출 위치로부터 전방으로 회동하고, 프리 롤러(61D)가 하부 컨베이어(60A)의 안착면보다 하방으로 몰입된 퇴피 위치와의 사이에서 회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탄성 가압 부재(61E)는 본 실시 형태에서는 인장 코일 스프링이고, 아암(61B)을 돌출 위치로 탄성 가압하고 있다.
상측 교정 장치(73)는 마운트 부재(67)에 지지되고, 좌우의 상부 컨베이어(60C)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상측 교정 장치(73)는 하측 교정 장치(61)와 마찬가지의 구성을 가지며, 하측 교정 장치(61)와 상하 대칭형이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상측 교정 장치(73)에서 아암(61B)은 프리 롤러(61D)가 상부 컨베이어(60C)의 접촉면(하면)보다 하방으로 돌출되는 돌출 위치와, 돌출 위치로부터 전방으로 회동하고, 프리 롤러(61D)가 상부 컨베이어(60C)의 접촉면보다 상방으로 몰입된 퇴피 위치와의 사이에서 회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하측 교정 장치(61)와 상측 교정 장치(73)의 프리 롤러(61D)는 초기 상태에서 돌출 위치에 있고, 반송 장치(60)에 의해 전방으로 반송되는 함체의 앞쪽에 배치된 프런트 패널(예컨대, 8각형 함(2)의 프런트 패널(2PA))에 접촉되고, 프런트 패널을 각 프리 롤러(61D)와 평행한 방향(좌우)으로 연장시켜 함체의 형상을 교정한다. 반송 장치(60)에 의해 함체가 전방으로 이동하면, 하측 교정 장치(61)와 상측 교정 장치(73)의 프리 롤러(61D)는 프런트 패널에 눌려 탄성 가압 부재(61E)의 탄성 가압력에 대항하여 퇴피 위치로 이동한다. 이에 따라, 형상이 교정된 함체는 하측 교정 장치(61) 및 상측 교정 장치(73)를 통과하여 전방으로 이동한다. 함체 통과 후, 하측 교정 장치(61)와 상측 교정 장치(73)의 프리 롤러(61D)는 탄성 가압 부재(61E)의 탄성 가압력에 의해 돌출 위치로 복귀한다. 프리 롤러(61D)의 좌우 방향에서의 길이는 함체 몸체부(P)의 앞쪽에 배치되고, 전방을 향하는 측면인 프런트 패널(예컨대, 8각형 함(2)의 프런트 패널(2PA) 등)의 좌우 방향에서의 길이보다 긴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프리 롤러(61D)는 프런트 패널의 좌우 양측에 배치되는 모서리부(예컨대, 8각형 함(2)의 경우, 프런트 패널(2PA)과 좌측 프런트 패널(2PB)과의 경계의 모서리부, 및 프런트 패널(2PA)과 우측 프런트 패널(2PH)와의 경계의 모서리부 등)에 접촉할 수 있고, 프런트 패널의 좌우에 배치된 패널도 고정밀도로 형상을 교정할 수 있다.
(하측 테이핑 유닛)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측 테이핑 유닛(62)은 좌우의 하부 컨베이어(60A) 사이에서의 하측 교정 장치(61)의 전방에 배치되어 있다. 하측 테이핑 유닛(62)은 그 상방을 후방으로부터 전방으로 통과하는 함체의 전측면의 하부, 저면, 및 후측면의 하부에, 센터 라인(C)을 따라 접착 테이프를 붙이는 장치이다. 하측 테이핑 유닛(62)은 공지의 장치를 적용할 수 있고, 예컨대, 접착 테이프를 공급하는 테이프 롤과, 테이프 롤로부터 인출된 접착 테이프를 홀딩함과 아울러, 함체에 눌러 붙이는 테이프 접착 롤러와, 접착 테이프를 소정의 타이밍으로 절단하는 커터 유닛과, 절단된 접착 테이프의 단말을 함체의 후측면으로 눌러 붙이는 압압 롤러를 갖는다. 테이프 접착 롤러는 초기 상태에서 하부 컨베이어(60A)의 안착면보다 상방으로 돌출되도록 탄성 가압되고 있고, 전방으로 이동하는 함체와 접촉하여 하방으로 밀려나고, 함체가 통과하면 다시 안착면보다 상방으로 돌출되어 초기 상태가 된다. 커터 유닛은 통과하는 함체와의 접촉부를 가지며, 함체가 소정 위치를 통과하면 커터에 의해 접착 테이프를 절단한다. 압압 롤러는 테이프 접착 롤러와 링크 기구를 통해 연결되어 있고, 테이프 접착 롤러의 동작과 연동하여 동작한다. 예컨대, 함체에 의해 하방으로 밀려난 테이프 접착 롤러가 초기 위치로 복귀할 때, 압압 롤러는 절단된 접착 테이프의 단말을 함체의 후측면을 향해 압압할 수 있다.
(상측 테이핑 유닛)
상측 테이핑 유닛(63)은 좌우의 상부 컨베이어(60C) 사이의 상측 교정 장치(73)의 전방에 위치하도록, 마운트 부재(67)에 지지되어 있다. 상측 테이핑 유닛(63)은 그 하방을 후방으로부터 전방으로 통과하는 함체의 전측면의 상부, 표면, 및 후측면의 상부에, 센터 라인(C)을 따라 접착 테이프를 붙이는 장치이다. 상측 테이핑 유닛(63)은 상술한 하측 테이핑 유닛(62)과 상하 대칭형의 구성일 수 있다. 상측 테이핑 유닛(63)은 상부 컨베이어(60C)와 함께 사용 위치와 퇴피 위치 사이로 이동할 수 있다.
(제어 장치 및 조작 스위치)
제함기(1)의 적소에는 작업자에 의해 조작되는 셀렉트 스위치, 성형 개시 스위치, 송출 스위치, 및 비상 정지 스위치가 설치되어 있다. 셀렉트 스위치는 함체의 성형 모드(성형 방법)를 선택하는 스위치이다. 성형 개시 스위치는 함체의 성형 개시시에 조작되는 스위치이다. 송출 스위치는 성형부(10)로부터 테이핑부(11)로 함체를 송출할 때 조작되는 스위치이다. 비상 정지 스위치는 제함기(1)를 정지시키고자 할 때 조작되는 스위치이다.
프레임의 적소에는 베이스(13) 전단에 있어서의 함체의 존재를 검출하는 함 센서(70)가 설치되어 있다. 함 센서(70)는 공지의 다양한 센서를 적용할 수 있고, 예컨대, 비접촉으로 함을 검출하는 적외선 센서 등일 수 있다.
셀렉트 스위치, 성형 개시 스위치, 송출 스위치, 비상 정지 스위치, 및 함 센서(70)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는 제어 장치로 입력되고, 제어 장치는 이러한 신호에 기초하여 제1~제6 액튜에이터(30, 33, 34, 37, 44, 48)를 제어한다.
(제함기의 작동)
실시 형태에 따른 제함기(1)는 개함 형태의 함체를 제1~제4 성형 모드 중 어느 하나로 성형한다. 제1 성형 모드에서는 봉함 형태의 함체의 형상에 맞추어 프런트 스토퍼(15)의 형상, 리어 스토퍼(14)의 형상, 및 초기 위치(전후 위치)가 미리 설정되어 있고, 프런트 스토퍼(15) 및 리어 스토퍼(14) 사이에 배치된 함체가 좌우의 몸체부 압압 부재(43)에 의해 좌우로부터 압압되어, 소정의 형상으로 성형된다. 여기서, 프런트 스토퍼(15)의 형상은 프런트 블록(38)의 좌우 위치, 전판(40B)에 대한 전측판(40C)의 각도에 의해 정해지고, 리어 스토퍼(14)의 형상은 리어 블록의 좌우 위치, 후판(25B)에 대한 후측판(25C)의 각도에 의해 정해지고, 리어 스토퍼(14)의 전후 위치는 고정 블록(32)의 전후 위치에 의해 정해진다.
셀렉트 스위치에 의해 제1 성형 모드가 선택된 경우, 성형 개시 스위치가 눌리면, 제5 액튜에이터(44)가 구동되어 좌우의 몸체부 압압 부재(43)가 초기 위치로부터 구동 후 위치로 이동함과 아울러, 제6 액튜에이터(48)이 제어되어 플랩 절곡 부재(47)가 초기 위치로부터 구동 후 위치로 이동한다. 그 후, 송출 스위치가 눌리면, 제5 액튜에이터(44)가 제어되어 좌우의 몸체부 압압 부재(43)가 구동 후 위치로부터 초기 위치로 이동함과 아울러, 제4 액튜에이터(37)가 제어되어 프런트 스토퍼(15)가 초기 위치로부터 구동 후 위치(퇴피 위치)로 이동하고, 제3 액튜에이터(34)가 제어되어 리어 스토퍼(14)가 초기 위치로부터 송출 위치로 이동한다. 그 후, 함 센서(70)로부터의 신호에 기초하여, 함체가 베이스(13)의 전단으로 이동한 것이 확인되면, 제6 액튜에이터(48)가 제어되어 플랩 절곡 부재(47)가 구동 후 위치로부터 초기 위치로 이동함과 아울러, 제3 액튜에이터(34)가 제어되어 리어 스토퍼(14)가 송출 위치로부터 초기 위치로 이동하고, 제4 액튜에이터(37)가 제어되어 프런트 스토퍼(15)가 구동 후 위치로부터 초기 위치로 이동하며, 성형부(10)는 당초의 상태로 복귀한다.
제2 성형 모드에서는, 봉함 형태의 함체의 형상에 맞추어 프런트 스토퍼(15)의 형상, 리어 스토퍼(14)의 초기 형상, 구동 후 형상 및 초기 위치(전후 위치)가 미리 설정되어 있고, 프런트 스토퍼(15) 및 리어 스토퍼(14) 사이에 배치된 함체가 초기 형상으로부터 구동 후 형상으로 변화하는 리어 스토퍼(14)에 의해 좌우로부터 압압되어, 소정의 형상으로 성형된다. 여기서, 리어 스토퍼(14)의 초기 형상은 리어 블록의 좌우 위치, 제1 액튜에이터(30)의 비구동시의 후판(25B)에 대한 후측판(25C)의 각도(후측판(25C)의 초기 위치)에 의해 정해진다. 리어 스토퍼(14)의 구동 후 형상은 리어 블록의 좌우 위치, 제1 액튜에이터(30)의 구동시의 후판(25B)에 대한 후측판(25C)의 각도(후측판(25C)의 구동 후 위치)에 의해 정해진다. 제1 액튜에이터(30)의 구동량이 일정한 경우, 리어 스토퍼(14)의 구동 후 형상은 초기 형상에 따라 정해진다.
셀렉트 스위치에 의해 제2 성형 모드가 선택된 경우, 성형 개시 스위치가 눌리면, 제1 액튜에이터(30)가 구동되어 좌우의 후측판(25C)이 초기 위치로부터 구동 후 위치로 이동함과 아울러, 제6 액튜에이터(48)가 제어되어 플랩 절곡 부재(47)가 초기 위치로부터 구동 후 위치로 이동한다. 그 후, 송출 스위치가 눌리면, 제4 액튜에이터(37)이 제어되어 프런트 스토퍼(15)가 초기 위치로부터 구동 후 위치(퇴피 위치)로 이동함과 아울러, 제1 액튜에이터(30)이 구동되어 좌우의 후측판(25C)가 구동 후 위치로부터 초기 위치로 이동하고, 제3 액튜에이터(34)가 제어되어 리어 스토퍼(14)가 초기 위치로부터 송출 위치로 이동한다. 그 후, 함 센서(70)으로부터의 신호에 기초하여, 함체가 베이스(13)의 전단으로 이동한 것이 확인되면, 제3 액튜에이터(34)가 제어되어 리어 스토퍼(14)가 송출 위치로부터 초기 위치로 이동하고, 제4 액튜에이터(37)가 제어되어 프런트 스토퍼(15)가 구동 후 위치로부터 초기 위치로 이동하고, 성형부(10)는 당초의 상태로 복귀한다.
제3 성형 모드에서는 봉함 형태의 함체의 형상에 맞추어 프런트 스토퍼(15)의 형상, 리어 스토퍼(14)의 초기 형상, 구동 후 형상 및 전후 위치가 미리 설정되어 있고, 프런트 스토퍼(15) 및 리어 스토퍼(14) 사이에 배치된 함체가 초기 형상으로부터 구동 후 형상으로 변화하는 리어 스토퍼(14)와 좌우의 몸체부 압압 부재(43)에 의해 좌우로부터 압압되어, 소정의 형상으로 성형된다.
셀렉트 스위치에 의해 제3 성형 모드가 선택된 경우, 성형 개시 스위치가 눌리면, 제1 액튜에이터(30)가 구동되어 좌우의 후측판(25C)이 초기 위치로부터 구동 후 위치로 이동함과 아울러, 제5 액튜에이터(44)가 구동되어 좌우의 몸체부 압압 부재(43)가 초기 위치로부터 구동 후 위치로 이동하고, 제6 액튜에이터(48)가 제어되어 플랩 절곡 부재(47)가 초기 위치로부터 구동 후 위치로 이동한다. 그 후, 송출 스위치가 눌리면, 제4 액튜에이터(37)가 제어되어 프런트 스토퍼(15)가 초기 위치로부터 구동 후 위치(퇴피 위치)로 이동함과 아울러, 제1 액튜에이터(30)가 구동되어 좌우의 후측판(25C)이 구동 후 위치로부터 초기 위치로 이동하고, 제5 액튜에이터(44)가 제어되어 좌우의 몸체부 압압 부재(43)가 구동 후 위치로부터 초기 위치로 이동하고, 제3 액튜에이터(34)가 제어되어 리어 스토퍼(14)가 초기 위치로부터 송출 위치로 이동한다. 그 후, 함 센서(70)로부터의 신호에 기초하여 함체가 베이스(13)의 전단으로 이동한 것이 확인되면, 제3 액튜에이터(34)가 제어되어 리어 스토퍼(14)가 송출 위치로부터 초기 위치로 이동하고, 제4 액튜에이터(37)가 제어되어 프런트 스토퍼(15)가 구동 후 위치로부터 초기 위치로 이동하고, 성형부(10)는 당초의 상태로 복귀한다.
제4 성형 모드에서는 봉함 형태의 함체의 형상에 맞추어, 프런트 스토퍼(15)의 형상, 리어 스토퍼(14)의 형상이 미리 설정되어 있다. 또한, 초기 위치에서의 리어 스토퍼(14)와 프런트 스토퍼(15) 사이의 거리가 봉함 형태의 함체의 전후 길이보다 길게 되고, 또한 중간 위치에서의 리어 스토퍼(14)와 프런트 스토퍼(15) 사이의 거리가 봉함 형태의 함체의 전후 길이와 동일해지도록, 리어 스토퍼(14)의 초기 위치(전후 위치)가 미리 설정되어 있다. 제4 성형 모드에서는 프런트 스토퍼(15) 및 초기 위치에 있는 리어 스토퍼(14) 사이에 배치된 함체가, 하측 플랩(L)을 통해 좌우의 플랩 절곡 부재(47)에 의해 좌우 방향으로 인장됨과 아울러, 초기 위치로부터 구동 후 위치로 전진하는 리어 스토퍼(14)에 의해 전후로 압압되어, 소정의 형상으로 성형된다.
셀렉트 스위치에 의해 제4 성형 모드가 선택된 경우, 성형 개시 스위치가 눌리면, 제6 액튜에이터(48)가 제어되어 플랩 절곡 부재(47)가 초기 위치로부터 구동 후 위치로 이동함과 아울러, 제2 액튜에이터(33)가 제어되어 리어 스토퍼(14)가 초기 위치에서 중간 위치로 이동한다. 그 후, 송출 스위치가 눌리면, 제4 액튜에이터(37)가 제어되어 프런트 스토퍼(15)가 초기 위치로부터 구동 후 위치(퇴피 위치)로 이동함과 아울러, 제3 액튜에이터(34)가 제어되어 리어 스토퍼(14)가 중간 위치로부터 송출 위치로 이동한다. 그 후, 함 센서(70)으로부터의 신호에 기초하여, 함체가 베이스(13)의 전단으로 이동한 것이 확인되면, 제3 액튜에이터(34) 및 제2 액튜에이터(33)가 제어되어 리어 스토퍼(14)가 송출 위치로부터 초기 위치로 이동하고, 제4 액튜에이터(37)가 제어되어 프런트 스토퍼(15)가 구동 후 위치로부터 초기 위치로 이동하고, 성형부(10)는 당초의 상태로 복귀한다.
이어서, 각 성형 모드에 의한 성형 순서의 구체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제1 성형 모드의 구체예)
도 21에 도시한 바와 같이, 8각형 함(2)을 제1 성형 모드에 의해 성형하는 순서를 설명한다. 사전 준비로서, 프런트 스토퍼(15)의 좌우 프런트 베이스부(40A)(전판(40B))의 좌우 위치, 전판(40B)에 대한 전측판(40C)의 각도가 8각형 함(2)의 프런트 패널(2PA)의 좌우폭, 프런트 패널(2PA)와 좌측 프런트 패널(2PB)이 이루는 각도, 및 프런트 패널(2PA)과 우측 프런트 패널(2PH)이 이루는 각도에 기초하여 미리 설정되어 있다. 즉, 프런트 스토퍼(15)의 형상이 8각형 함(2)의 전측부 형상과 상보적인 형상으로 설정되어 있다. 또한, 리어 스토퍼(14)의 좌우의 후방 베이스부(25A)(후판(25B))의 좌우 위치, 후판(25B)에 대한 후측판(25C)의 각도가 8각형 함(2)의 리어 패널(2PE)의 좌우폭, 리어 패널(2PE)과 좌측 리어 패널(2PD)이 이루는 각도, 및 리어 패널(2PE)과 우측 리어 패널(2PF)이 이루는 각도에 기초하여 미리 설정되어 있다. 즉, 리어 스토퍼(14)의 초기 형상이 8각형 함(2)의 후측부의 형상과 상보적인 형상으로 설정되어 있다. 제1 액튜에이터(30)는 비구동 상태로 유지되고 있다. 또한, 프런트 스토퍼(15)의 전판(40B) 및 리어 스토퍼(14)의 후판(25B) 사이의 거리가 8각형 함(2)의 전후 길이(프런트 패널(2PA) 및 리어 패널(2PE)의 외면간 거리)와 동일해지도록 리어 스토퍼(14)의 초기 위치(전후 위치)가 미리 설정되어 있다.
또한, 구동 후 위치에서의 좌우 몸체부 압압 부재(43)의 봉상 부재(43A)간의 거리가 8각형 함(2)의 좌우 길이(좌측 패널(2PC) 및 우측 패널(2PG)의 외면간 거리)와 동일해지도록 좌우 몸체부 압압 부재(43)의 구동 후 위치가 설정되어 있다. 또한, 좌우의 봉상 부재(43A)에는 좌측 프런트 패널(2PB), 좌측 리어 패널(2PD), 우측 프런트 패널(2PH), 및 우측 리어 패널(2PF)의 각각에 면접촉 가능한 원추형 압압 블록(43D)이 장착되어 있다. 또한, 셀렉트 스위치는 제1 성형 모드로 선택되어 있다.
작업자는 절첩 형태에 있는 8각형 함(2)을 개함 형태에 열고, 프런트 스토퍼(15) 및 리어 스토퍼(14) 사이의 베이스(13) 상에 8각형 함(2)을 세팅한다. 이 때, 작업자는 8각형 함(2)을 기울이면서, 전하측 플랩(2LA)을 베이스(13)의 상판(13A)에 눌러댐으로써, 전하측 플랩(2LA)을 프런트 패널(2A)에 대해 대략 직각으로 후방을 향해 접고, 마찬가지로 후하측 플랩(2LC)을 베이스(13)의 상판(13A)에 눌러댐으로써, 후하측 플랩(2LC)을 리어 패널(2PE)에 대해 대략 직각으로 전방을 향해 접고, 접힌 전하측 플랩(2LA) 및 후하측 플랩(2LC)을 상면 상에 놓아둔다. 베이스(13) 상에 놓인 함체의 전후 길이는 프런트 스토퍼(15) 및 리어 스토퍼(14) 사이에 위치하기 때문에, 봉함 형태의 8각형 함(2)의 전후 길이 이하가 된다. 즉, 프런트 패널(2A) 및 리어 패널(2PE)은 각각 전판(40B) 및 후판(25B)에 접촉해 있을 수도 있고, 떨어져 있을 수도 있다.
8각형 함(2)이 베이스(13) 상에 세팅된 상태에서 성형 개시 스위치가 눌리면, 제5 액튜에이터(44)가 구동되어 좌우의 몸체부 압압 부재(43)가 초기 위치로부터 구동 후 위치로 이동한다. 이에 따라, 좌측 패널(2PC) 및 우측 패널(2PG)은 봉상 부재(43A)에 의해 좌우 내측 방향으로 압압되고, 좌측 프런트 패널(2PA), 좌측 리어 패널(2PD), 우측 리어 패널(2PF), 및 우측 프런트 패널(2PH)은 압압 블록(43D)에 의해 좌우 내측 방향으로 압압된다. 8각형 함(2)은 좌우로부터 몸체부 압압 부재(43)에 의해 압압됨으로써 좌우로 수축됨과 아울러 전후로 연장되고, 프런트 스토퍼(15) 및 리어 스토퍼(14)에 접촉되고, 소정의 접이선에 의해 절곡 성형된다.
또한, 제6 액튜에이터(48)가 제어되어 플랩 절곡 부재(47)가 초기 위치로부터 구동 후 위치로 이동함으로써, 좌하측 플랩(2LB) 및 우하측 플랩(2LD)이 좌측 패널(2PC) 및 우측 패널(2PG)에 대해 대략 직각으로 절곡된다. 이 때, 8각형 함(2)의 몸체부(P)의 형상이 봉함 형태와 마찬가지로 성형되어 있기 때문에, 좌하측 플랩(2LB) 및 우하측 플랩(2LD)의 선단 가장자리는 하벽(13B)을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하고, 센터 라인(C)을 따라 배치된다. 이와 같이 하여 8각형 함(2)은 성형된다.
작업자는 성형된 8각형 함(2)에 물품을 수용하고, 수작업에 의해 전상측 플랩(2UA) 및 후상측 플랩(2UC)을 절첩하고, 계속해서 좌상측 플랩(2UB) 및 우상측 플랩(2UD)을 절곡한다. 물품을 수용하지 않는 경우, 각 상측 플랩(U)은 절곡하지 않을 수 있다.
이어서, 송출 스위치가 눌리면, 제5 액튜에이터(44)가 제어되어 좌우의 몸체부 압압 부재(43)가 구동 후 위치로부터 초기 위치로 이동하여 8각형 함(2)으로부터 떨어진다. 동시에, 제4 액튜에이터(37)가 제어되어 프런트 스토퍼(15)가 초기 위치로부터 구동 후 위치(퇴피 위치)로 이동하고, 8각형 함(2)의 전진이 가능해진다. 그리고, 제3 액튜에이터(34)가 제어되어 리어 스토퍼(14)가 초기 위치로부터 송출 위치로 이동하고, 8각형 함(2)이 베이스(13) 상을 슬라이딩하여 전방으로 밀려 나온다. 이 때, 좌하측 플랩(2LB) 및 우하측 플랩(2LD)은 좌우의 플랩 절곡 부재(47) 상을 슬라이딩함과 동시에, 프리 롤러(21)와 상판(13A)간의 간극을 통과하고, 닫은 형태를 유지한 채 좌우의 하부 컨베이어(60A) 상으로 이동한다.
함 센서(70)에 의해 베이스(13)의 전단, 즉 하부 컨베이어(60A)의 후단 상에 8각형 함(2)이 있는 것이 확인되면, 제6 액튜에이터(48)가 제어되어 플랩 절곡 부재(47)가 구동 후 위치로부터 초기 위치로 이동함과 아울러, 제3 액튜에이터(34)가 제어되어 리어 스토퍼(14)가 송출 위치로부터 초기 위치로 이동하고, 제4 액튜에이터(37)이 제어되어 프런트 스토퍼(15)가 구동 후 위치로부터 초기 위치로 이동하며, 성형부(10)는 당초의 상태로 복귀한다. 이에 따라, 다음의 8각형 함(2)의 성형이 가능해진다.
각 하부 컨베이어(60A) 상으로 이동한 8각형 함(2)은 전방으로 반송된다. 각 사이드 컨베이어(60B)는 8각형 함(2)의 좌우 길이에 대응하는 위치에 설정되고, 각 상부 컨베이어(60C)는 8각형 함(2)의 높이에 대응하는 위치에 설정되어 있다. 이에 따라, 8각형 함(2)이 각 하부 컨베이어(60A) 상을 이동할 때, 좌측 패널(2PC) 및 우측 패널(2PG)은 각 사이드 컨베이어(60B)와 접촉하고, 좌상측 플랩(2UB) 및 우상측 플랩(2UD)은 각 상부 컨베이어(60C)와 접촉한다. 하측 교정 장치(61)는 좌우로 연장되는 프리 롤러(61D)가 프런트 패널(2A)에 부딪침으로써 프런트 패널(2A)이 좌우 방향과 평행이 되도록 형상을 교정한다.
8각형 함(2)이 하측 테이핑 유닛(62)의 상방을 통과하면, 접착 테이프가 프런트 패널(2A)의 하부, 좌하측 플랩(2LB) 및 우하측 플랩(2LD)의 맞대기부, 및 리어 패널(2PE)의 하부에 전후로 연속적으로 첩부된다. 마찬가지로 8각형 함(2)이 상측 테이핑 유닛(63)의 하부를 통과하면, 접착 테이프가 프런트 패널(2A)의 상부, 좌상측 플랩(2UB) 및 우상측 플랩(2UD)의 맞대기부, 및 리어 패널(2PE)의 상부에 전후로 연속적으로 첩부된다. 이상과 같이 하여, 8각형 함(2)이 봉함되고, 8각형 함(2)은 봉함 형태로 유지된다. 봉함된 8각형 함(2)은 하부 컨베이어(60A)로부터 전방으로 송출된다. 8각형 함(2)의 봉함을 행하지 않는 경우는 상부 컨베이어(60C) 및 상측 테이핑 유닛(63)을 퇴피 위치로 퇴피시켜 둘 수 있다.
제1 성형 모드에서는, 성형할 함체의 형상에 따라 좌우 몸체부 압압 부재(43)의 형상을 변경할 수도 있다. 예컨대, 상기 8각형 함(2)과 같이, 좌측 패널(2PC) 및 우측 패널(2PG)이 모두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경우(즉, 평행한 경우), 도 2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압압 블록(43D)을 생략하고, 봉상 부재(43A)만으로 좌측 패널(2PC) 및 우측 패널(2PG)을 압압할 수도 있다. 또한, 변형 8각형 함(3)과 같이, 좌측 패널(2PC) 및 우측 패널(2PG)이 전후 방향에 대해 경사져 있는 경우(즉, 평행하지 않은 경우), 도 2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봉상 부재(43A)에 의한 접촉을 피하고, 압압 블록(43D)만으로 좌측 프런트 패널(2PB), 좌측 리어 패널(2PD), 우측 리어 패널(2PF), 및 우측 프런트 패널(2PH)을 압압할 수도 있다. 또한, 변형 8각형 함(3)의 경우에도, 도 2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압압 블록(43D)을 생략하고, 봉상 부재(43A)만으로 변형 8각형 함(3)을 좌우로부터 압압하게 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봉상 부재(43A)는 변형 8각형 함(3) 중에서 가장 좌우 외측 방향에 위치하는 좌측 패널(2PC)과 좌측 프런트 패널(2PB)과의 모서리부, 및 우측 패널(2PG)과 우측 프런트 패널(2PH)과의 모서리부를 압압하게 된다.
제1 성형 모드는 8각형 함(2), 변형 8각형 함(3), 및 6각형 함(4) 등의 리어 패널의 좌우 양단에 형성되는 모서리부가 90° 이상 180° 미만인 함체에 적합하다.
(제2 성형 모드의 구체예)
도 25를 참조하여, 변형 6각형 함(5)을 제2 성형 모드에 의해 성형하는 순서를 설명한다. 사전 준비로서, 프런트 스토퍼(15)의 좌우 프런트 베이스부(40A)(전판(40B))의 좌우 위치, 전판(40B)에 대한 전측판(40C)의 각도가 변형 6각형 함(5)의 프런트 패널(5PA)의 좌우폭, 프런트 패널(5PA)과 좌측 프런트 패널(5PB)이 이루는 각도, 및 프런트 패널(5PA)과 우측 프런트 패널(5PF)이 이루는 각도에 기초하여 미리 설정되어 있다. 즉, 프런트 스토퍼(15)의 형상이 변형 6각형 함(5)의 전측부의 형상과 상보적인 형상으로 설정되어 있다. 또한, 리어 스토퍼(14)의 좌우의 후방 베이스부(25A)(후판(25B))의 위치, 제1 액튜에이터(30)의 구동시에 있어서의 후판(25B)에 대한 후측판(25C)의 각도가 변형 6각형 함(5)의 리어 패널(5PD)의 좌우폭, 리어 패널(5PD)과 좌측 리어 패널(5PC)이 이루는 각도, 및 리어 패널(5PD)과 우측 리어 패널(5PE)이 이루는 각도에 기초하여 미리 설정되어 있다. 즉, 리어 스토퍼(14)의 구동 후 형상이 변형 6각형 함(5)의 후측부의 형상과 상보적인 형상으로 설정되어 있다. 리어 스토퍼(14)의 초기 형상은 구동 후 형상으로부터 정해지고, 리어 패널(5PD)과 우측 리어 패널(5PE)이 이루는 각도가 구동 후 형상보다 크게 되어, 둔각으로 설정되어 있다. 또한, 프런트 스토퍼(15)의 전판(40B) 및 리어 스토퍼(14)의 후판(25B)간의 거리가, 변형 6각형 함(5)의 전후 길이(프런트 패널(5PA) 및 리어 패널(5PD)의 외면간 거리)와 동일해지도록, 리어 스토퍼(14)의 초기 위치(전후 위치)가 미리 설정되어 있다. 또한, 셀렉트 스위치는 제2 성형 모드로 선택되어 있다.
작업자는 상기 제1 성형 모드와 마찬가지로, 프런트 스토퍼(15) 및 리어 스토퍼(14) 사이의 베이스(13) 상에 변형 6각형 함(5)을 세팅한다.
변형 6각형 함(5)이 베이스(13) 상에 세팅된 상태에서 성형 개시 스위치가 눌리면, 제1 액튜에이터(30)가 구동되어 좌우의 후측판(25C)이 후판(25B)에 대해 회동하고, 후측판(25C)이 초기 위치로부터 구동 후 위치로 이동한다. 이에 따라, 좌측 리어 패널(5PC) 및 우측 리어 패널(5PE)은 후측판(25C)에 의해 좌우 내측 방향으로 눌린다. 변형 6각형 함(5)은 좌우로부터 후측판(25C)에 의해 압압됨으로써 좌우로 수축됨과 아울러 전후로 연장되고, 프런트 스토퍼(15) 및 리어 스토퍼(14)에 눌러대어져, 소정의 접이선에 의해 절곡 성형된다.
또한, 제6 액튜에이터(48)가 제어되어 플랩 절곡 부재(47)가 초기 위치로부터 구동 후 위치로 이동함으로써, 제1 성형 모드와 마찬가지로, 좌하측 플랩(5LB) 및 우하측 플랩(5LD)이 좌측 리어 패널(5PC) 및 우측 리어 패널(5PE)에 대해 대략 직각으로 절곡된다. 이와 같이 하여, 변형 6각형 함(5)은 성형된다.
작업자는 제1 성형 모드와 마찬가지로, 물품의 수용 및 상측 플랩(U)의 절곡을 행한다. 또한 물품의 수용 여부는 적당히 선택할 수 있다.
이어서, 송출 스위치가 눌리면, 제1 액튜에이터(30)가 제어되어 좌우의 후측판(25C)이 구동 후 위치로부터 초기 위치로 이동하여 변형 6각형 함(5)으로부터 떨어진다. 이에 따라, 예각인 리어 패널(5PD)과 좌측 리어 패널(5PC)(우측 리어 패널(5PE))과의 모서리부가 리어 스토퍼(14)로부터 이탈 가능하게 된다. 동시에, 제4 액튜에이터(37)가 제어되어 프런트 스토퍼(15)가 초기 위치로부터 구동 후 위치(퇴피 위치)로 이동하고, 변형 6각형 함(5)의 전진이 가능해진다. 그리고, 제3 액튜에이터(34)가 제어되어 리어 스토퍼(14)가 초기 위치로부터 송출 위치로 이동하고, 변형 6각형 함(5)이 베이스(13) 상을 슬라이딩하여 전방으로 밀려 나온다. 이 때, 제1 성형 모드와 마찬가지로, 좌하측 플랩(5LB) 및 우하측 플랩(5LD)은 좌우의 플랩 절곡 부재(47) 상을 슬라이딩함과 동시에, 프리 롤러(21)와 상판(13A)간의 간극을 통과한다.
함 센서(70)에 의해, 베이스(13)의 전단, 즉 하부 컨베이어(60A)의 후단 상에 변형 6각형 함(5)이 있는 것이 확인되면, 제6 액튜에이터(48)가 제어되어 플랩 절곡 부재(47)가 구동 후 위치로부터 초기 위치로 이동함과 아울러, 제3 액튜에이터(34)가 제어되어 리어 스토퍼(14)가 송출 위치로부터 초기 위치로 이동하고, 제4 액튜에이터(37)가 제어되어 프런트 스토퍼(15)가 구동 후 위치로부터 초기 위치로 이동하며, 성형부(10)는 당초의 상태로 복귀한다. 이에 따라, 다음의 변형 6각형 함(5)의 성형이 가능해진다.
변형 6각형 함(5)에 대한 테이핑부(11)의 작동은 좌우의 사이드 컨베이어(60B)가 사용되지 않는 점을 제외하고, 제1 성형 모드와 마찬가지이다. 좌우의 사이드 컨베이어(60B)는 변형 6각형 함(5)과 접촉하지 않는 위치로 퇴피되어 있다.
제2 성형 모드는 변형 6각형 함(5) 및 변형 4각형 함(6) 등의 리어 패널(5PD)의 좌우 양단에 형성되는 모서리부가 예각인 함체에 적합하다.
(제3 성형 모드의 구체예)
도 26을 참조하여, 변형 6각형 함(5)을 제3 성형 모드에 의해 성형하는 순서를 설명한다. 사전 준비로서, 프런트 스토퍼(15)의 좌우 프런트 베이스부(40A)(전판(40B))의 좌우 위치, 전판(40B)에 대한 전측판(40C)의 각도가 변형 6각형 함(5)의 프런트 패널(5PA)의 좌우폭, 프런트 패널(5PA)과 좌측 프런트 패널(5PB)이 이루는 각도, 및 프런트 패널(5PA)과 우측 프런트 패널(5PF)이 이루는 각도에 기초하여 미리 설정되어 있다. 즉, 프런트 스토퍼(15)의 형상이 변형 6각형 함(5)의 전측부의 형상과 상보적인 형상으로 설정되어 있다. 또한, 리어 스토퍼(14)의 좌우 후방 베이스부(25A)(후판(25B))의 위치, 제1 액튜에이터(30)의 구동시의 후판(25B)에 대한 후측판(25C)의 각도가 변형 6각형 함(5)의 리어 패널(5PD)의 좌우폭, 리어 패널(5PD)과 좌측 리어 패널(5PC)이 이루는 각도, 및 리어 패널(5PD)과 우측 리어 패널(5PE)이 이루는 각도에 기초하여 미리 설정되어 있다. 즉, 리어 스토퍼(14)의 구동 후 형상이 변형 6각형 함(5)의 후측부의 형상과 상보적인 형상으로 설정되어 있다. 리어 스토퍼(14)의 초기 형상은 구동 후 형상으로부터 정해지고, 리어 패널(5PD)과 우측 리어 패널(5PE)이 이루는 각도가 구동 후 형상보다 크게 되어, 둔각으로 설정되어 있다. 또한, 프런트 스토퍼(15)의 전판(40B) 및 리어 스토퍼(14)의 후판(25B)간의 거리가, 변형 6각형 함(5)의 전후 길이(프런트 패널(5PA) 및 리어 패널(5PD)의 외면간 거리)와 동일해지도록, 리어 스토퍼(14)의 초기 위치(전후 위치)가 미리 설정되어 있다.
또한, 좌우의 몸체부 압압 부재(43)에는 4개의 원추형의 압압 블록(43D)가 지지되어 있다. 각 압압 블록(43D)은 몸체부 압압 부재(43)가 구동 후 위치에 있을 때, 변형 6각형 함(5)의 좌측 프런트 패널(5PB), 좌측 리어 패널(5PC), 우측 리어 패널(5PE), 및 우측 프런트 패널(5PF)에 면접촉하고, 프런트 패널(5PA), 좌측 리어 패널(5PC), 우측 리어 패널(5PE), 및 우측 프런트 패널(5PF)을 봉함 형태와 마찬가지의 위치로 압압할 수 있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셀렉트 스위치는 제3 성형 모드로 선택되어 있다.
작업자는 상기 제1 성형 모드와 마찬가지로, 프런트 스토퍼(15) 및 리어 스토퍼(14) 사이의 베이스(13) 상에 변형 6각형 함(5)을 세팅한다.
변형 6각형 함(5)이 베이스(13) 상에 세팅된 상태에서 성형 개시 스위치가 눌리면, 제1 액튜에이터(30)가 구동되어 좌우 후측판(25C)이 후판(25B)에 대해 회동하고, 후측판(25C)이 초기 위치로부터 구동 후 위치로 이동한다. 또한, 제5 액튜에이터(44)가 구동되어 좌우의 몸체부 압압 부재(43)가 초기 위치로부터 구동 후 위치로 이동한다. 이에 따라, 좌측 프런트 패널(5PB), 좌측 리어 패널(5PC), 우측 리어 패널(5PE) 및 우측 프런트 패널(5PF)은 압압 블록(43D)에 의해 좌우 내측 방향으로 압압된다.
변형 6각형 함(5)은, 좌우로부터 몸체부 압압 부재(43) 및 후측판(25C)에 의해 압압됨으로써 좌우로 압축됨과 아울러, 전후로 신장되고, 프런트 스토퍼(15) 및 리어 스토퍼(14)에 접촉되며, 소정의 접이선에 의해 절곡 성형된다.
또한, 제6 액튜에이터(48)가 제어되어 플랩 절곡 부재(47)가 초기 위치로부터 구동 후 위치로 이동함으로써, 제1 성형 모드와 마찬가지로, 좌하측 플랩(5LB) 및 우하측 플랩(5LD)이 좌측 리어 패널(5PC) 및 우측 리어 패널(5PE)에 대해 대략 직각으로 절곡된다. 이와 같이 하여, 변형 6각형 함(5)이 성형된다.
작업자는 제1 성형 모드와 마찬가지로, 물품의 수용 및 상측 플랩(U)의 절곡을 행한다. 또한 물품의 수용 여부는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이어서, 송출 스위치가 눌리면, 제1 액튜에이터(30)가 제어되어 좌우 후측판(25C)이 구동 후 위치로부터 초기 위치로 이동하여 변형 6각형 함(5)으로부터 떨어진다. 이에 따라, 예각인 리어 패널(5PD)과 좌측 리어 패널(5PC)(우측 리어 패널(5PE))과의 모서리부가 리어 스토퍼(14)로부터 이탈 가능하게 된다. 동시에, 제5 액튜에이터(44)가 제어되어 좌우의 몸체부 압압 부재(43)가 구동 후 위치로부터 초기 위치로 이동하여 변형 6각형 함(5)으로부터 떨어진다. 또한, 제4 액튜에이터(37)가 제어되어 프런트 스토퍼(15)가 초기 위치로부터 구동 후 위치(퇴피 위치)로 이동하고, 변형 6각형 함(5)의 전진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제3 액튜에이터(34)가 제어되어 리어 스토퍼(14)가 초기 위치로부터 송출 위치로 이동하고, 변형 6각형 함(5)이 베이스(13) 상을 슬라이딩하여 전방으로 밀려 나온다. 이 때, 제1 성형 모드와 마찬가지로, 좌하측 플랩(5LB) 및 우하측 플랩(5LD)은 좌우의 플랩 절곡 부재(47) 상을 슬라이딩함과 동시에, 프리 롤러(21)와 상판(13A)간의 간극을 통과한다.
함 센서(70)에 의해, 베이스(13)의 전단, 즉 하부 컨베이어(60A)의 후단 상에 변형 6각형 함(5)이 있는 것이 확인되면, 제6 액튜에이터(48)가 제어되어 플랩 절곡 부재(47)가 구동 후 위치로부터 초기 위치로 이동함과 아울러, 제3 액튜에이터(34)가 제어되어 리어 스토퍼(14)가 송출 위치로부터 초기 위치로 이동하고, 제4 액튜에이터(37)가 제어되어 프런트 스토퍼(15)가 구동 후 위치로부터 초기 위치로 이동하며, 성형부(10)는 당초의 상태로 복귀한다. 이에 따라, 다음의 변형 6각형 함(5)의 성형이 가능해진다.
변형 6각형 함(5)에 대한 테이핑부(11)의 작동은 제2 성형 모드와 마찬가지이다.
제3 성형 모드는 변형 6각형 함(5) 및 변형 4각형 함(6) 등의 리어 패널(5PD)의 좌우 양단에 형성되는 모서리부가 예각인 함체에 적합하다. 제3 성형 모드는 제1 성형 모드와 제2 성형 모드를 조합한 것으로, 몸체부 압압 부재(43) 및 후측판(25C)에 의해 함체를 좌우 방향으로부터 압압하므로, 함체의 압압 부분이 많고, 고정밀도로 함체를 성형할 수 있다.
(제4 성형 모드의 구체예)
도 27 및 도 28을 참조하여, 8각형 함(2)을 제4 성형 모드에 의해 성형하는 순서를 설명한다. 사전 준비로서, 프런트 스토퍼(15)의 좌우 프런트 베이스부(40A)(전판(40B))의 좌우 위치, 전판(40B)에 대한 전측판(40C)의 각도가 8각형 함(2)의 프런트 패널(2PA)의 좌우폭, 프런트 패널(2PA)과 좌측 프런트 패널(2PB)이 이루는 각도, 및 프런트 패널(2PA)과 우측 프런트 패널(2PH)이 이루는 각도에 기초하여 미리 설정되어 있다. 즉, 프런트 스토퍼(15)의 형상이 8각형 함(2)의 전측부의 형상과 상보적인 형상으로 설정되어 있다. 또한, 리어 스토퍼(14)의 좌우의 후방 베이스부(25A)(후판(25B))의 좌우 위치, 후판(25B)에 대한 후측판(25C)의 각도가 8각형 함(2)의 리어 패널(2PE)의 좌우폭, 리어 패널(2PE)과 좌측 리어 패널(2PD)이 이루는 각도, 및 리어 패널(2PE)과 우측 리어 패널(2PF)이 이루는 각도에 기초하여 미리 설정되어 있다. 즉, 리어 스토퍼(14)의 초기 형상이 8각형 함(2)의 후측부의 형상과 상보적인 형상으로 설정되어 있다. 제1 액튜에이터(30)는 비구동 상태로 유지되어 있다. 또한, 중간 위치에서의 리어 스토퍼(14)의 후판(25B)과 프런트 스토퍼(15)의 전판(40B)과의 거리가, 8각형 함(2)의 전후 길이(프런트 패널(2PA) 및 리어 패널(2PE)의 외면간 거리)과 동일해지도록, 리어 스토퍼(14)의 중간 위치(전후 위치)가 미리 설정되어 있다. 이에 따라, 초기 위치에서의 리어 스토퍼(14)의 후판(25B)과 프런트 스토퍼(15)의 전판(40B)과의 거리는 8각형 함(2)의 전후 길이보다 길게 된다.
또한, 각 플랩 절곡 부재(47)는 상술한 바와 같이 걸어멈춤부(49) 및 경사부(47D)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셀렉트 스위치는 제4 성형 모드로 선택되어 있다.
작업자는 상기 제1 성형 모드와 마찬가지로, 프런트 스토퍼(15) 및 리어 스토퍼(14) 사이의 베이스(13) 상에 8각형 함(2)을 세팅한다. 이 때, 세팅되는 8각형 함(2)의 좌우 길이는 봉함 형태의 8각형 함(2)의 좌우 길이보다 짧게 설정되어 있다. 예컨대, 세팅된 8각형 함(2)은 프런트 패널(2PA) 및 리어 패널(2PE)의 좌우 양단의 접이선이 직각으로 절곡되고, 좌측 패널(2PC) 및 우측 패널(2PG)의 전후 양단의 접이선이 절곡되지 않은 단면 직사각형의 형태를 취할 수도 있다. 또한, 프런트 패널(2PA)이 프런트 스토퍼(15)에 접촉하도록 배치할 수도 있다.
8각형 함(2)이 베이스(13) 상에 세팅된 상태에서 성형 개시 스위치가 눌리면, 제6 액튜에이터(48)가 제어되어 플랩 절곡 부재(47)가 초기 위치로부터 구동 후 위치로 이동한다. 이 때, 도 27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플랩 절곡 부재(47)의 걸어멈춤부(49)가 좌하측 플랩(2LB) 및 우하측 플랩(2LD)의 선단 가장자리를 걸어멈춤한다. 좌하측 플랩(2LB) 및 우하측 플랩(2LD)의 선단 가장자리가 각각 걸어멈춤부(49)에 걸어멈춤된 상태에서 각 플랩 절곡 부재(47)가 회동하면, 도 27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8각형 함(2)의 몸체부(P)는 좌하측 플랩(2LB) 및 우하측 플랩(2LD)을 통해 좌우 외측 방향으로 밀려 나온다. 이는, 좌하측 플랩(2LB) 및 우하측 플랩(2LD)이 서로의 선단 가장자리를 맞댄 상태로 수평으로 연장되는 경우에는, 몸체부(P)가 봉함 형태와 같은 좌우 길이가 되는 것에 기인한다. 8각형 함(2)은 좌하측 플랩(2LB) 및 우하측 플랩(2LD)을 통해 좌우의 플랩 절곡 부재(47)에 의해 좌우로 밀려 나옴으로써, 좌측 패널(2PC) 및 우측 패널(2PG)의 좌우 위치가 정해지고, 소정의 접이선이 굴곡 성형된다.
또한, 제2 액튜에이터(33)이 제어되어 리어 스토퍼(14)가 초기 위치에서 중간 위치로 이동한다. 이에 따라, 8각형 함(2)은 프런트 스토퍼(15) 및 리어 스토퍼(14) 사이에서 압압되어 프런트 패널(2PA) 및 리어 패널(2PE)의 전후 위치가 정해짐과 아울러, 프런트 패널(2PA) 및 리어 패널(2PE)의 좌우 양단 모서리부의 각도가 정해지고, 소정의 접이선이 굴곡 성형된다.
도 28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플랩 절곡 부재(47)가 구동 후 위치에 가까워지면, 좌하측 플랩(2LB) 및 우하측 플랩(2LD)은 압압부(47B)의 기단측 부분에서 압압되고, 좌하측 플랩(2LB) 및 우하측 플랩(2LD)의 선단 가장자리가 걸어멈춤부(49)로부터 이탈한다. 이 때, 좌하측 플랩(2LB) 및 우하측 플랩(2LD)의 선단 가장자리는 하벽(13B)을 통해 서로 대향되고, 센터 라인(C)을 따라 배치되기 때문에, 좌하측 플랩(2LB) 및 우하측 플랩(2LD)이 서로 겹치는 경우는 없다. 이와 같이 하여, 8각형 함(2)이 성형된다.
작업자는 제1 성형 모드와 마찬가지로, 물품의 수용 및 상측 플랩(U)의 절곡을 행한다. 또한 물품의 수용 여부는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이어서, 송출 스위치가 눌리면, 제4 액튜에이터(37)가 제어되어 프런트 스토퍼(15)가 초기 위치로부터 구동 후 위치(퇴피 위치)로 이동하고, 8각형 함(2)의 전진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제3 액튜에이터(34)가 제어되어 리어 스토퍼(14)가 중간 위치로부터 송출 위치로 이동하고, 8각형 함(2)이 베이스(13) 상을 슬라이딩하여 전방으로 밀려 나온다. 이 때, 제1 성형 모드와 마찬가지로, 좌하측 플랩(2LB) 및 우하측 플랩(2LD)은 좌우의 플랩 절곡 부재(47) 상을 슬라이딩함과 동시에, 프리 롤러(21)와 상판(13A)간의 간극을 통과한다.
함 센서(70)에 의해, 베이스(13)의 전단, 즉 하부 컨베이어(60A)의 후단 상에 8각형 함(2)이 있는 것이 확인되면, 제6 액튜에이터(48)가 제어되어 플랩 절곡 부재(47)가 구동 후 위치로부터 초기 위치로 이동함과 아울러, 제3 액튜에이터(34)가 제어되어 리어 스토퍼(14)가 송출 위치로부터 초기 위치로 이동하고, 제4 액튜에이터(37)가 제어되어 프런트 스토퍼(15)가 구동 후 위치로부터 초기 위치로 이동하며, 성형부(10)는 당초의 상태로 복귀한다. 이에 따라, 다음의 8각형 함(2)의 성형이 가능해진다.
제4 성형 모드에 의해 성형된 8각형 함(2)에 대한 테이핑부(11)의 작동은 제1 성형 모드와 마찬가지이다.
제4 성형 모드는 상기한 8각형 함(2), 변형 8각형 함(3), 및 6각형 함(4) 등의, 몸체부(P)의 좌우 길이가, 프런트 패널(2PA) 및 리어 패널(2PE)의 어떠한 좌우 길이보다도 큰 함체에 적합하다.
또한 제4 성형 모드의 동작에 더하여, 좌우 몸체부 압압 부재(43)에 의해 함체의 몸체부(2P)를 좌우 내측을 향해 압압하게 할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한 제함기(1)의 효과에 대해 설명한다. 제함기(1)는 복수의 성형 모드를 실행할 수 있고, 다양한 형상의 함체를 성형할 수 있다. 또한, 제함기(1)는 프런트 스토퍼(15), 리어 스토퍼(14), 좌우의 몸체부 압압 부재(43), 좌우의 플랩 절곡 부재(47)에 의해 함체의 외측으로부터 성형을 행하기 때문에, 함체의 내부가 상방을 향해 개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그 때문에, 물품의 수용이 용이하다. 또한, 몸체부(P)의 내측에 성형 장치를 삽입하지 않기 때문에, 성형 장치를 넣고 빼는 구동 기구가 필요 없어, 제함기(1)의 간소화 및 소형화가 가능하게 된다.
프런트 스토퍼(15), 리어 스토퍼(14), 좌우의 몸체부 압압 부재(43), 좌우의 플랩 절곡 부재(47)은 함체의 형상에 맞추어 위치나 각도를 변경할 수 있으므로, 다양한 형상의 함체에 대응할 수 있다. 특히, 좌우 측면이 전후 방향에 대해 경사져 있는 경우라도, 제함기(1)는 제함을 행할 수 있다.
또한, 각종 성형 모드는 셀렉트 스위치의 조작만으로 변경이 가능하여, 작업자의 작업 부하가 작다. 특히, 작업자는 어떠한 성형 모드를 선택하더라도, 제함시의 제함기(1)의 조작은, 그저 성형 개시 스위치 및 송출 스위치를 누르는 것일 뿐, 작업에 변경이 없다.
제함기(1)는 성형부(10)의 하류(전방)에 테이핑부(11)를 구비하여, 성형 및 물품의 수용 후에 함체를 자동적으로 봉함할 수 있다.
이상으로 구체적 실시 형태의 설명을 끝내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폭넓은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제함기(1)는 작업자가 함체를 소정의 위치로 세팅하고, 또한 물품을 수용하는 것으로 기재하였지만, 함체의 공급 장치 및 물품의 공급 장치를 제함기(1)에 마련하여 함체 세트 및 물품의 수용이 자동적으로 행해지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성형 개시 스위치나 송출 스위치를 생략하고, 소정의 프로그램에 의해 자동적으로 성형의 개시나 함체의 송출을 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제2 또는 제3 성형 모드를 실행하지 않는 경우, 제1 액튜에이터(30)를 생략하고, 조정판(25E)을 직접 후측판(25C)의 후면에 결합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의 각 구성은 모두 필수의 구성은 아니며, 적절히 취사 선택할 수 있다.
1 제함기
10 성형부
11 테이핑부
13  베이스
13A  상판
13B 하벽
14  리어 스토퍼
15  프런트 스토퍼
16  몸체부 압압 장치
17 플랩 절곡 장치
25B 후판
25C 후측판
30 제1 액튜에이터
33 제2 액튜에이터
34 제3 액튜에이터
37 제4 액튜에이터
40B 전판
40C 전측판
43 몸체부 압압 부재
43A 봉상 부재
43D 압압 블록
44 제5 액튜에이터
47 플랩 절곡 부재
47A 샤프트
47B 압압부
47D 경사부
48 제6 액튜에이터
49 걸어멈춤부
49A 후크부
49D 기단부
49E 선단부
60 반송 장치
60A 하부 컨베이어
61 하측 교정 장치
62 하측 테이핑 유닛
63 상측 테이핑 유닛
73 상측 교정 장치

Claims (13)

  1. 상하로 연장되는 다각통형의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상측 가장자리에 마련된 복수의 상측 플랩과, 상기 몸체부의 하측 가장자리에 마련된 복수의 하측 플랩을 가지며, 상기 하측 플랩이 상기 몸체부의 앞쪽 부분의 하측 가장자리에 마련된 전하측 플랩 및 뒤쪽 부분의 하측 가장자리에 마련된 후하측 플랩을 포함하는 함체를 제함하는 제함기로서,
    전후로 연장되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보다 상방에서 서로 전후로 거리를 두고 배치된 프런트 스토퍼 및 리어 스토퍼와,
    상기 베이스보다 상방, 그리고 좌우 측방에서 좌우로 변위 가능한 좌우 한 쌍의 몸체부 압압 부재를 가지며,
    상기 몸체부는, 앞쪽에 배치되고 주면(主面)이 전후를 향하는 프런트 패널과, 뒤쪽에 배치되고 주면이 전후를 향하는 리어 패널과, 상기 프런트 패널 및 상기 리어 패널의 대응되는 옆가장자리끼리 접속하는 좌우 한 쌍의 몸체 측부를 가지며,
    상기 몸체 측부는 전후로 서로 접속된 복수의 패널을 가지며,
    상기 프런트 스토퍼는, 상기 프런트 패널에 접촉되는 전판과, 상기 전판에 대해 각도 조정 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몸체 측부에 접촉되는 전측판을 가지며,
    상기 함체는 상기 몸체부가 통형으로 열리고, 상기 전하측 플랩이 상기 몸체부로부터 후방을 향해 절곡되고, 상기 후하측 플랩이 상기 몸체부로부터 전방을 향해 절곡된 상태에서, 상기 몸체부가 상기 프런트 스토퍼와 상기 리어 스토퍼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전하측 플랩 및 상기 후하측 플랩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상에 놓이고,
    좌우의 상기 몸체부 압압 부재가 좌우 양측으로부터 상기 몸체부를 압압함으로써, 상기 몸체부를 전후로 신장시키고, 상기 몸체부의 상기 앞쪽 부분을 상기 프런트 스토퍼에 눌러댐과 아울러, 상기 몸체부의 상기 뒤쪽 부분을 상기 리어 스토퍼에 눌러대어 상기 몸체부의 형상을 정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함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리어 스토퍼는, 상기 리어 패널에 접촉되는 후판과, 상기 후판에 대해 각도 조정 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몸체 측부에 접촉되는 후측판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함기.
  3. 상하로 연장되는 다각통형의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상측 가장자리에 마련된 복수의 상측 플랩과, 상기 몸체부의 하측 가장자리에 마련된 복수의 하측 플랩을 가지며, 상기 하측 플랩이 상기 몸체부의 앞쪽 부분의 하측 가장자리에 마련된 전하측 플랩 및 뒤쪽 부분의 하측 가장자리에 마련된 후하측 플랩을 포함하는 함체를 제함하는 제함기로서,
    전후로 연장되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보다 상방에서 서로 전후로 거리를 두고 배치된 프런트 스토퍼 및 리어 스토퍼와,
    상기 베이스보다 상방, 그리고 좌우 측방에서 좌우로 변위 가능한 좌우 한 쌍의 몸체부 압압 부재를 가지며,
    상기 몸체부는, 앞쪽에 배치되고 주면(主面)이 전후를 향하는 프런트 패널과, 뒤쪽에 배치되고 주면이 전후를 향하는 리어 패널과, 상기 프런트 패널 및 상기 리어 패널의 대응되는 옆가장자리끼리 접속하는 좌우 한 쌍의 몸체 측부를 가지며,
    상기 몸체 측부는 전후로 서로 접속된 복수의 패널을 가지며,
    상기 리어 스토퍼는, 상기 리어 패널에 접촉되는 후판과, 상기 후판에 대해 각도 조정 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몸체 측부에 접촉되는 후측판을 가지며,
    상기 함체는 상기 몸체부가 통형으로 열리고, 상기 전하측 플랩이 상기 몸체부로부터 후방을 향해 절곡되고, 상기 후하측 플랩이 상기 몸체부로부터 전방을 향해 절곡된 상태에서, 상기 몸체부가 상기 프런트 스토퍼와 상기 리어 스토퍼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전하측 플랩 및 상기 후하측 플랩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상에 놓이고,
    좌우의 상기 몸체부 압압 부재가 좌우 양측으로부터 상기 몸체부를 압압함으로써, 상기 몸체부를 전후로 신장시키고, 상기 몸체부의 상기 앞쪽 부분을 상기 프런트 스토퍼에 눌러댐과 아울러, 상기 몸체부의 상기 뒤쪽 부분을 상기 리어 스토퍼에 눌러대어 상기 몸체부의 형상을 정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함기.
  4. 청구항 1 내지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프런트 스토퍼는 상기 프런트 패널과 상기 몸체 측부 사이의 모서리부와 상보(相補)적인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함기.
  5. 청구항 1 내지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리어 스토퍼는 상기 리어 패널과 상기 몸체 측부 사이의 모서리부와 상보적인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함기.
  6. 청구항 1 내지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 압압 부재의 각각은, 전후로 연장되는 봉상(棒狀) 부재와, 상기 봉상 부재에 지지되고, 상기 봉상 부재로부터 좌우 방향 내측으로 돌출됨과 아울러, 전후 방향에 대해 경사진 경사면을 구비한 압압 블록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함기.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압압 블록은 상기 봉상 부재에 대해 착탈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함기.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봉상 부재는 전후로 연장되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여 선회 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압압 블록은 상기 봉상 부재를 중심으로 한 원추형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함기.
  9. 청구항 1 내지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측 플랩은, 상기 몸체부의 좌우측 부분의 하측 가장자리에 설치되고, 상기 전하측 플랩 및 상기 후하측 플랩을 하방으로부터 덮음과 아울러, 서로의 선단면이 좌우 방향에 있어서의 중앙에서 대향하는 좌하측 플랩 및 우하측 플랩을 가지며,
    상기 베이스는 주면이 상하를 향하고, 전후로 연장되는 상판을 가지며,
    상기 전하측 플랩 및 상기 후하측 플랩에서 상판 상에 지지된 상기 함체의 상기 좌하측 플랩 및 상기 우하측 플랩을 상기 상판의 하면을 향해 압압하는 플랩 절곡 부재를 더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함기.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의 앞쪽에 설치되고, 상기 함체를 상기 좌하측 플랩 및 상기 우하측 플랩의 하방으로부터 지지하는 반송 장치와,
    상기 베이스 상에 놓인 상기 함체를 후방으로부터 전방을 향해 밀어 상기 반송 장치 상으로 이동시키는 압출 장치를 가지며,
    상기 프런트 스토퍼는 상기 베이스에 지지된 상기 함체보다 하방으로 퇴피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함기.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반송 장치에 의해 전방으로 반송되는 상기 함체에 대해, 상기 좌하측 플랩 및 상기 우하측 플랩의 서로 대향하는 선단부에 전후로 연장되는 접착 테이프를 붙이는 하측 테이핑 유닛을 더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함기.
  12.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상측 플랩은 상기 몸체부의 좌우측 부분의 상측 가장자리에 설치되고, 서로의 선단면이 좌우 방향에 있어서의 중앙에서 대향하는 좌상측 플랩 및 우상측 플랩을 가지며,
    상기 반송 장치에 의해 전방으로 반송되는 상기 함체에 대해, 상기 좌상측 플랩 및 상기 우상측 플랩의 서로 대향하는 선단부에 전후로 연장되는 접착 테이프를 붙이는 상측 테이핑 유닛을 더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함기.
  13. 상하로 연장되는 다각통형의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상측 가장자리에 마련된 복수의 상측 플랩과, 상기 몸체부의 하측 가장자리에 마련된 복수의 하측 플랩을 가지며, 상기 하측 플랩이 상기 몸체부의 앞쪽 부분의 하측 가장자리에 마련된 전하측 플랩 및 뒤쪽 부분의 하측 가장자리에 마련된 후하측 플랩을 포함하는 함체를 제함하는 제함 방법으로서,
    전후로 연장되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보다 상방에서 서로 전후로 거리를 두고 배치된 프런트 스토퍼 및 리어 스토퍼와, 상기 베이스보다 상방, 그리고 좌우 측방에서 좌우로 변위 가능한 좌우 한 쌍의 몸체부 압압 부재를 가지는 제함기를 사용하며,
    상기 함체는, 상기 몸체부가 통형으로 열리고, 상기 전하측 플랩이 상기 몸체부로부터 후방을 향해 절곡되고, 상기 후하측 플랩이 상기 몸체부로부터 전방을 향해 절곡된 상태에서, 상기 몸체부가 상기 프런트 스토퍼와 상기 리어 스토퍼 사이에 위치하고 또한 상기 몸체부의 상기 앞쪽 부분과 상기 프런트 스토퍼 사이 및 상기 몸체부의 상기 뒤쪽 부분과 상기 리어 스토퍼 사이의 적어도 일방에 간극이 형성되도록, 상기 전하측 플랩 및 상기 후하측 플랩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상에 놓아두고,
    좌우의 상기 몸체부 압압 부재가 좌우 양측으로부터 상기 몸체부를 압압함으로써, 상기 몸체부를 좌우로 압축시킴과 아울러 전후로 신장시키고, 상기 몸체부의 상기 앞쪽 부분을 상기 프런트 스토퍼에 눌러댐과 아울러, 상기 몸체부의 상기 뒤쪽 부분을 상기 리어 스토퍼에 눌러대어 상기 몸체부의 형상을 정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함 방법.
KR1020160086420A 2015-07-10 2016-07-07 제함기 및 제함 방법 KR10261191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5-138804 2015-07-10
JP2015138804A JP6674202B2 (ja) 2015-07-10 2015-07-10 製函機及び製函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7168A KR20170007168A (ko) 2017-01-18
KR102611915B1 true KR102611915B1 (ko) 2023-12-11

Family

ID=578892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86420A KR102611915B1 (ko) 2015-07-10 2016-07-07 제함기 및 제함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6674202B2 (ko)
KR (1) KR102611915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4584Y1 (ko) 1999-10-16 2000-03-15 주식회사한국팩키지 피자 포장용 상자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ZA785712B (en) * 1977-10-11 1980-05-28 Cundell Corrugated Ltd Carton erecting apparatus
JPH0739630Y2 (ja) * 1987-04-17 1995-09-13 ニチバン株式会社 カ−トンの操作装置
JPH0611179Y2 (ja) * 1987-05-27 1994-03-23 株式会社岡部ロック 開口ケ−スへのシ−ト挿入装置
JPH0790618B2 (ja) * 1990-07-31 1995-10-04 大専工機株式会社 函成形機
JPH1177857A (ja) * 1997-09-09 1999-03-23 Nippon Tetrapack Kk パッケージ製造装置及び製造方法
JP2004299227A (ja) * 2003-03-31 2004-10-28 Nitto Denko Hoso System Kk 製函機
DE102009024365A1 (de) * 2008-11-28 2010-06-02 Sig Technology A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Herstellung von behälterartigen Verbundverpackungen
US20100179856A1 (en) 2009-01-14 2010-07-15 Yahoo! Inc. Conditional incentive presentation, tracking and redemption
JP6430126B2 (ja) * 2014-02-20 2018-11-28 株式会社共和 折り畳みシートの製函方法及びその装置
KR101701600B1 (ko) * 2015-04-01 2017-02-02 박준태 상장 끼움지 자동 제조장치
CN110114105B (zh) * 2016-12-23 2022-07-29 皇家飞利浦有限公司 确定患者回路中的变化的压力支持设备和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4584Y1 (ko) 1999-10-16 2000-03-15 주식회사한국팩키지 피자 포장용 상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674202B2 (ja) 2020-04-01
JP2017019191A (ja) 2017-01-26
KR20170007168A (ko) 2017-0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MX2014010627A (es) Metodos y maquina para formar un recipiente a partir de una plantilla utilizando una seccion de mandril pre-doblada.
US11820098B2 (en) Box gluing machine
KR20180021656A (ko) 제함기
JP5841086B2 (ja) 箱詰機における製函装置
KR102585262B1 (ko) 제함기
KR20160129848A (ko) 컨베이어 장치
KR102611915B1 (ko) 제함기 및 제함 방법
ITTO20080228A1 (it) Metodo di distribuzione e distributore automatico di prodotti
KR20070121617A (ko) 목재패널의 엣지테잎 모서리 가공장치
KR20180021654A (ko) 제함기
IT9012504A1 (it) Apparato per ruotare un pannello o pacco di pannelli, per diversamente orientare il pacco stesso nei confronti della linea di taglio di una sezionatrice
JP5457718B2 (ja) 箱の蓋開放装置
JP2014189289A (ja) 箱詰装置
JP6786306B2 (ja) 製函機
CN111674642B (zh) 一种超市用连续自动开袋方法
JPH10324311A (ja) 四角筒状ケースの開口方法及び開口装置
JP4612742B1 (ja) フラップ折込み装置およびカートニングマシーン
WO2011118059A1 (ja) 箱詰装置
US7509790B1 (en) Random case former
KR102497154B1 (ko) 포장박스 자동 테이핑장치
KR101600542B1 (ko) 제함기용 박스이송장치
KR102551135B1 (ko) 박스 제함기
US11273939B2 (en) Case former with case-squaring assembly
CN219405806U (zh) 一种印刷用干燥装置
JPH10114316A (ja) 袋押込み式敷設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