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06637B1 - 이차 전지 - Google Patents

이차 전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06637B1
KR102606637B1 KR1020160049617A KR20160049617A KR102606637B1 KR 102606637 B1 KR102606637 B1 KR 102606637B1 KR 1020160049617 A KR1020160049617 A KR 1020160049617A KR 20160049617 A KR20160049617 A KR 20160049617A KR 102606637 B1 KR102606637 B1 KR 1026066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fety vent
cap
laser pattern
secondary battery
cap dow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496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20978A (ko
Inventor
고성귀
서근호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496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06637B1/ko
Priority to US15/456,187 priority patent/US10340489B2/en
Priority to CN201710220643.0A priority patent/CN107305964B/zh
Publication of KR201701209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209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66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66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30Arrangements for facilitating escape of gases
    • H01M50/342Non-re-sealable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47Lids or covers
    • H01M50/166Lids or covers characterised by the methods of assembling casings with lids
    • H01M50/171Lids or covers characterised by the methods of assembling casings with lids using adhesives or sealing ag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8Construction or manufa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8Construction or manufacture
    • H01M10/0587Construction or manufacture of accumulators having only wound construction elements, i.e. wound positive electrodes, wound negative electrodes and wound separ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235Safety or regulating additives or arrangements in electrodes, separators or electrolyt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47Lids or covers
    • H01M50/148Lids or cov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152Lids or cov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for cells having curved cross-section, e.g. round or elliptic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47Lids or covers
    • H01M50/148Lids or cov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154Lid or cover comprising an axial bore for receiving a central current collect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30Arrangements for facilitating escape of gases
    • H01M50/383Flame arresting or ignition-preventing mea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30Arrangements for facilitating escape of gases
    • H01M50/392Arrangements for facilitating escape of gases with means for neutralising or absorbing electrolyte; with means for preventing leakage of electrolyte through vent ho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72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 H01M50/574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interruption of curr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4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 B29C45/14311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using means for bonding the coating to the articles
    • B29C2045/14319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using means for bonding the coating to the articles bonding by a fusion bon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02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 B29C65/14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using wave energy, i.e. electromagnetic radiation, or particle radiation
    • B29C65/16Laser bea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01General aspects dealing with the joint area or with the area to be joined
    • B29C66/05Particular design of joint configurations
    • B29C66/303Particular design of joint configurations the joint involving an anchoring effect
    • B29C66/3032Particular design of joint configurations the joint involving an anchoring effect making use of protrusions or cavities belonging to at least one of the parts to be joined
    • B29C66/30325Particular design of joint configurations the joint involving an anchoring effect making use of protrusions or cavities belonging to at least one of the parts to be joined making use of cavities belonging to at least one of the parts to be join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 B32B15/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15/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 B32B15/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15/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5/085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 B32B3/2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 B32B3/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formed with recesses or projections, e.g. hollows, grooves, protuberances, rib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H01M10/0525Rocking-chair batteries, i.e. batteries with lithium insertion or intercalation in both electrodes; Lithium-ion 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00/00Safety devices for primary or secondary 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00/00Safety devices for primary or secondary batteries
    • H01M2200/20Pressure-sensitive devi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47Lids or covers
    • H01M50/166Lids or covers characterised by the methods of assembling casings with lids
    • H01M50/167Lids or covers characterised by the methods of assembling casings with lids by crimp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30Arrangements for facilitating escape of gases
    • H01M50/342Non-re-sealable arrangements
    • H01M50/3425Non-re-sealable arrangements in the form of rupturable membranes or weakened parts, e.g. pierced with the aid of a sharp memb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Sealing Battery Cases Or Jackets (AREA)
  • Gas Exhaust Devices For Batte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안전벤트 및 캡 다운에 레이저 패턴을 형성하여, 안전벤트와 인슐레이터 및 인슐레이터와 캡 다운 사이의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차 전지에 관한 것이다.
일례로, 전극 조립체와 상기 전극 조립체를 수용하는 케이스 및 상기 케이스의 상부에 결합되는 캡 조립체를 포함하는 이차 전지에 있어서, 상기 캡 조립체는 캡 업과, 상기 캡 업의 하부에 설치된 안전벤트와, 상기 안전벤트의 하부에 설치된 캡 다운과, 상기 안전벤트와 상기 캡 다운 사이에 개재된 인슐레이터 및 상기 캡 다운의 하면에 위치한 서브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안전벤트의 하면과 상기 캡 다운의 상면에는 레이저 빔에 의한 레이저 패턴이 형성된 이차 전지를 개시한다.

Description

이차 전지{Secondary battery}
본 발명은 이차 전지에 관한 것이다.
리튬 이온 이차 전지는 작동 전압이 높고 단위 중량당 에너지 밀도가 높다는 장점 때문에 휴대형 전자기기뿐만 아니라 하이브리드 자동차 또는 전기 자동차의 전원 용도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리튬 이온 이차 전지는 형태에 있어서 원통형, 각형 및 파우치형의 이차 전지로 분류될 수 있다. 이중 원통형 리튬 이온 이차 전지는 일반적으로 원기둥 형태의 전극 조립체와, 전극 조립체가 결합되는 원통 형태의 케이스와, 케이스의 내측에 주액되어 리튬 이온의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전해액과, 케이스의 일측에 결합되어 전해액의 누액을 방지하고, 전극 조립체의 이탈을 방지하는 캡 조립체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상기 캡 조립체는 캡 업과, 상기 캡 업의 하부에 설치된 안전벤트와, 상기 안전벤트의 하부에 설치된 캡 다운과, 상기 안전벤트와 상기 캡 다운 사이에 개재된 인슐레이터 및 상기 캡 다운의 하면에 위치한 서브 플레이트를 포함한다. 한편, 상기 안전벤트와 인슐레이터 및 인슐레이터와 캡 다운 사이로 전해액이 누출되어 이차 전지의 안전성이 저하되는 일이 종종 발생한다.
본 발명은 안전벤트 및 캡 다운에 레이저 패턴을 형성하여, 안전벤트와 인슐레이터 및 인슐레이터와 캡 다운 사이의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차 전지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한 전극 조립체와 상기 전극 조립체를 수용하는 케이스 및 상기 케이스의 상부에 결합되는 캡 조립체를 포함하는 이차 전지에 있어서, 상기 캡 조립체는 캡 업과, 상기 캡 업의 하부에 설치된 안전벤트와, 상기 안전벤트의 하부에 설치된 캡 다운과, 상기 안전벤트와 상기 캡 다운 사이에 개재된 인슐레이터 및 상기 캡 다운의 하면에 위치한 서브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안전벤트의 하면과 상기 캡 다운의 상면에는 레이저 빔에 의한 레이저 패턴이 형성된다.
상기 레이저 패턴은 적어도 하나의 홈을 포함하고, 상기 홈은 ‘v’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홈이 이루는 각은 약 60도 이고, 상기 홈의 깊이는 약 0.05mm 일 수 있다.
상기 인슐레이터는 열융착에 의해 상기 안전벤트 및 캡 다운에 융착되고, 상기 인슐레이터의 표면에는 상기 레이저 패턴의 홈과 대응되는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안전벤트에 형성된 레이저 패턴은 상기 안전벤트의 외주연에 링 형태로 형성되고, 내측에 위치하는 제 1 레이저 패턴과, 상기 제 1 레이저 패턴과 이격되어 상기 제 1 레이저 패턴의 외측에 위치하는 제 2 레이저 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레이저 패턴 및 상기 제 2 레이저 패턴의 각각의 폭은 약 0.18mm 일 수 있다.
상기 제 1 레이저 패턴과 상기 제 2 레이저 패턴 사이의 거리는 약 0.8mm 일 수 있다.
상기 레이저 패턴은 상기 안전벤트 및 상기 캡 다운에서 동일한 위치 및 동일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안전벤트 및 상기 캡 다운의 표면에는 산화피막이 형성되고, 상기 안전벤트 및 상기 캡 다운에서 상기 레이저 패턴이 형성된 부분에는 상기 산화피막이 제거될 수 있다.
상기 인슐레이터는 상기 산화피막이 제거된 레이저 패턴에 열융착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는 레이저 빔으로 안전벤트 및 캡 다운에 미세한 레이저 패턴을 형성함으로써, 안전벤트와 인슐레이터 사이 및 인슐레이터와 캡 다운 사이의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는 안전벤트와 인슐레이터 사이 및 인슐레이터와 캡 다운 사이로 전해액이 침투되는 것을 방지하여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캡 조립체를 확대한 단면도이다.
도 3은 안전벤트와 캡 다운 사이에 개재된 인슐레이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A부분을 확대한 단면도이다.
도 5는 안전벤트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은 안전벤트를 도시한 저면도이다.
도 7은 전해액 함침 테스트에서 시간에 따른 전류차단부(CID)의 인장강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며, 하기 실시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이들 실시예는 본 개시를 더욱 충실하고 완전하게 하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을 완전하게 전달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또한, 이하의 도면에서 각 층의 두께나 크기는 설명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과장된 것이며, 도면상에서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및/또는"은 해당 열거된 항목 중 어느 하나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연결된다"라는 의미는 A 부재와 B 부재가 직접 연결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A 부재와 B 부재의 사이에 C 부재가 개재되어 A 부재와 B 부재가 간접 연결되는 경우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특정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되며, 본 발명을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단수 형태는 문맥상 다른 경우를 분명히 지적하는 것이 아니라면, 복수의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경우 "포함한다(comprise)"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한 형상들, 숫자, 단계, 동작, 부재, 요소 및/또는 이들 그룹의 존재를 특정하는 것이며, 하나 이상의 다른 형상, 숫자, 동작, 부재, 요소 및 /또는 그룹들의 존재 또는 부가를 배제하는 것이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캡 조립체를 확대한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100)는 전극 조립체(110), 상기 전극 조립체(100)를 수용하는 케이스(120), 상기 케이스(120)의 상단 개구부에 결합되는 캡 조립체(130) 및 상기 케이스(120)와 상기 캡 조립체(130)를 밀착시키는 가스켓(190)을 포함한다.
상기 전극 조립체(110)는 제 1 전극(111)과 제 2 전극(112) 및 상기 제 1 전극(111)과 제 2 전극(112) 사이에 개재된 세퍼레이터(113)를 포함한다. 상기 전극 조립체(110)는 상기 제 1 전극(111), 세퍼레이터(113) 및 제 2 전극(112)의 적층제를 젤리-롤 형태로 권취하여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제 1 전극(111)은 양극으로서 작용할 수 있으며, 제 2 전극(112)은 음극으로서 작용할 수 있다. 상기 전극 조립체(110)의 상부에는 제 1 전극탭(114)이 상기 캡 조립체(130)와 연결되고, 하부에는 제 2 전극탭(115)이 상기 케이스(120)의 바닥면에 연결된다.
상기 제 1 전극(111)은 알루미늄과 같은 금속 포일로 형성된 제 1 전극 집전체에 전이금속산화물 등의 제 1 전극 활물질을 도포함으로써 형성된다. 상기 제 1 전극(111)에는 제 1 전극 활물질이 도포되지 않은 제 1 전극 무지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 1 전극 무지부에는 제 1 전극탭(114)이 부착된다. 상기 제 1 전극탭(114)의 일단은 제 1 전극(111)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타단은 전극 조립체(110)의 상부로 돌출되어 캡 조립체(1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제 2 전극(112)은 구리 또는 니켈과 같은 금속 포일로 형성된 제 2 전극 집전체에 흑연 또는 탄소 등의 제 2 전극 활물질을 도포함으로써 형성된다. 상기 제 2 전극(112)에는 제 2 전극 활물질이 도포되지 않은 제 2 전극 무지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 2 전극 무지부에는 제 2 전극탭(115)이 부착된다. 상기 제 2 전극탭(115)의 일단은 제 2 전극(112)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타단은 전극 조립체(110)의 하부로 돌출되어 케이스(120)의 바닥면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세퍼레이터(113)는 제 1 전극(111)과 제 2 전극(112) 사이에 위치되어 쇼트를 방지하고 리튬 이온의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세퍼레이터(113)는 폴리에틸렌이나, 폴리 프로필렌이나, 폴리 에틸렌과 폴리 프로필렌의 복합 필름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케이스(120)는 상기 전극 조립체(110)가 수용되는 공간이 형성되도록 일정 직경을 갖는 원통체인 측면판(121)과, 측면판(121)의 하부를 밀폐하는 하면판(122)을 포함한다. 상기 케이스(120)의 상단 개구부는 전극 조립체(110)를 삽입한 후에 밀폐하도록 개방되어 있다. 또한, 상기 케이스(120)의 상부에는 전극 조립체(110)의 유동을 방지하기 위한 비딩부(123)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120)의 최상단부에는 캡 조립체(130)와 가스켓(190)을 고정하기 위한 크림핑부(124)가 형성된다.
상기 캡 조립체(130)는 캡 업(Cap-up)(140), 상기 캡 업(140)의 하부에 설치된 안전벤트(Safety Vent)(150), 상기 안전벤트(150)의 하부에 설치된 캡 다운(Cap-down)(170), 상기 안전벤트(150)와 상기 캡 다운(170) 사이에 개재된 인슐레이터(160), 상기 캡 다운(170)의 하면에 고정되어 제 1 전극탭(114)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서브 플레이트(180)를 포함한다. 실질적으로, 캡 조립체(130)에서 전류차단부(CID: Current Interrupt Device)는 인슐레이터(160)에 의해 전기적으로 분리된 안전벤트(150)와 서브 플레이트(180) 및 이들을 부분적으로 연결한 연결부로 형성된다. 이 연결부는 안전벤트(150)와 서브 플레이트(180)의 용접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캡 업(140)은 상부가 볼록하게 형성되어 외부 회로와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다. 상기 캡 업(140)은 상기 케이스(120)의 내부에서 발생되는 가스가 배출될 수 있는 경로를 제공하는 가스 배출공(14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캡 업(140)은 상기 전극 조립체(1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전극 조립체(110)에서 발생되는 전류를 외부 회로로 전달한다.
상기 안전벤트(150)는 상기 캡 업(140)과 대응되는 원형의 판체로 형성된다. 상기 안전벤트(150)의 중앙에는 하부 방향으로 돌출된 돌출부(151)가 형성된다. 이러한 안전벤트(150)는 상기 캡 다운(170)의 관통홀(171)을 관통하는 돌출부(151)를 이용하여, 상기 캡 다운(170)의 하면에 고정된 서브 플레이트(18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여기서, 상기 안전벤트(150)의 돌출부(151)와 상기 서브 플레이트(180)는 레이저 용접, 초음파 용접, 저항 용접 또는 이의 등가방법으로 용접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돌출부(151)의 외주연에는 안전벤트(150)의 파단을 안내하는 노치(152)가 형성된다.
상기 안전벤트(150)의 외주연은 상기 캡 업(140)중 상부로 돌출된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에 밀착되게 설치된다. 즉, 상기 안전벤트(150)의 외주연과 상기 캡 업(140)의 외주연은 서로 접촉된다. 상기 안전벤트(150)는 상기 케이스(120)의 내부에서 이상 내압 발생시 전류를 차단하면서 내부 가스를 배출시킨다. 상기 안전벤트(150)는 케이스(120)의 내압이 상기 안전벤트(150)의 작동 압력 이상이 되면, 상기 캡 다운(170)의 가스 배출공(172)을 통해 배출되는 가스에 의해 돌출부(151)가 상부로 상승하면서, 상기 서브 플레이트(180)와 전기적으로 분리된다. 이때, 상기 서브 플레이트(180)는 상기 돌출부(151)의 용접된 부분이 찢어지면서 상기 안전벤트(150)와 전기적으로 분리된다. 그리고, 상기 안전벤트(150)는 케이스(120)의 내압이 상기 안전벤트(150)의 작동 압력보다 높은 파단 압력 이상이 되면 상기 노치(152)가 파단되어 이차 전지(100)의 폭발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인슐레이터(160)는 상기 안전벤트(150)와 상기 캡 다운(170)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안전벤트(150)와 상기 캡 다운(170) 사이를 절연시킨다. 구체적으로, 상기 인슐레이터(160)는 상기 안전벤트(150)의 외주연과 캡 다운(170)의 외주연 사이에 개재된다. 상기 인슐레이터(160)는 폴리에틸렌(PE), 폴리프로필렌(PP),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등과 같은 수지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캡 다운(170)은 원형의 판체로 형성된다. 상기 캡 다운(170)의 중앙에는 관통홀(171)이 형성되며, 상기 관통홀(171)에는 상기 안전벤트(150)의 돌출부(151)가 관통한다. 또한, 상기 캡 다운(170)의 일측에는 가스 배출공(172)이 형성되며, 상기 가스 배출공(172)은 상기 케이스(120)의 내부에서 과도한 내압 발생시 내부 가스를 배출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때, 상기 가스 배출공(172)을 통해 배출되는 가스에 의해 안전벤트(150)의 돌출부(151)가 상승되어, 상기 돌출부(151)는 서브 플레이트(180)와 분리될 수 있다.
상기 서브 플레이트(180)는 상기 캡 다운(170)의 하부에 위치한다. 상기 서브 플레이트(180)는 상기 캡 다운(170)의 관통홀(171)을 관통하는 안전벤트(150)의 돌출부(151)와 제 1 전극탭(114) 사이에 용접된다. 이에 따라, 상기 서브 플레이트(180)는 상기 제 1 전극탭(114)과 상기 안전벤트(150)를 전기적으로 접속시킨다. 한편, 케이스(120)의 내압이 증가하면 상기 안전벤트(150)의 돌출부(151)가 상승됨으로써, 상기 서브 플레이트(180)는 상기 안전벤트(150)와 전기적으로 분리될 수 있다.
상기 가스켓(190)은 케이스(120)의 상단 개구부에 설치된다. 즉, 상기 가스켓(190)은 캡 업(140) 및 안전벤트(150)의 외주연, 상기 케이스(120)의 상단 개구부 사이에 밀착되어 조립된다. 이러한 가스켓(190)은 상기 케이스(120)에서 상기 캡 조립체(130)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3은 안전벤트와 캡 다운 사이에 개재된 인슐레이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A부분을 확대한 단면도이다. 도 5는 안전벤트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은 안전벤트를 도시한 저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5을 참조하면, 상기 안전벤트(150)의 하면과 캡 다운(170)의 상면에는 레이저 패턴(155, 175)이 형성되고, 상기 안전벤트(150)와 캡 다운(170) 사이에는 인슐레이터(160)가 개재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인슐레이터(160)는 상기 안전벤트(150)의 레이저 패턴(155)과 캡 다운(170)의 레이저 패턴(175) 사이에 개재되며, 열융착에 의해 각각의 레이저 패턴(155, 175)으로 녹아 들어가 안전벤트(150)와 캡 다운(170) 사이의 결합력을 향상시킨다. 여기서, 인슐레이터(160)는 대략 링 형태로 형성되며, 상면과 하면이 평평한 상태로 안전벤트(150)와 캡 다운(170) 사이에 개재된다. 이후, 안전벤트(150) 및 캡 다운(170)과의 결합을 위해 안전벤트(150)와 캡 다운(170)의 외주연에 열을 가하면, 상기 인슐레이터(160)가 녹아서 레이저 패턴(155, 175)으로 흘러 들어가며 안전벤트(150)와 캡 다운(170)에 융착된다. 따라서, 인슐레이터(160)의 상면과 하면은 레이저 패턴(155, 175)과 대응되는 형태로 변하게 된다. 즉, 상기 인슐레이터(160)의 상면과 하면에는 상기 레이저 패턴(155, 175)과 대응되는 돌기가 형성된다.
상기 안전벤트(150)의 하면에는 제 1 레이저 패턴(155a)과 제 2 레이저 패턴(155b)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캡 다운(170)의 상면에는 제 1 레이저 패턴(175a)과 제 2 레이저 패턴(175b)이 형성된다. 여기서, 안전벤트(150)에 형성된 제 1,2 레이저 패턴(155a, 155b)과 캡 다운(170)에 형성된 제 1,2 레이저 패턴(175a, 175b)은 동일한 위치에 동일한 방법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안전벤트(150)에 형성된 제 1,2 레이저 패턴(155a, 155b)을 위주로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안전벤트(150)의 하면에는 레이저 패턴(155)이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안전벤트(150)의 외주연, 즉 안전벤트(150)가 캡 업(140)과 접촉하는 부분의 하면에 상기 레이저 패턴(155)이 형성된다. 상기 레이저 패턴(155)은 상기 안전벤트(150)의 하면에 레이저 빔을 조사함으로써 형성된다. 상기 레이저 패턴(155)은 안전벤트(150)에서 중심과 가깝게 형성된 제 1 레이저 패턴(155a)과 상기 제 1 레이저 패턴(155a)과 이격되며 제 1 레이저 패턴(155a)의 외측에 형성된 제 2 레이저 패턴(155b)을 포함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 레이저 패턴(155a)과 제 2 레이저 패턴(155b)은 대략 링 형태로 형성되며, 동심원을 이룬다. 즉, 상기 제 1 레이저 패턴(155a)은 상기 안전벤트(150)의 외주연에서 내측에 형성되고, 제 2 레이저 패턴(155b)은 상기 안전벤트(150)의 외주연에서 외측에 형성된다. 예를 들어, 상기 제 1 레이저 패턴(155a)의 지름은 약 10.7 ~ 11.3 mm이고, 상기 제 2 레이저 패턴(155b)의 지름은 약 12.3 ~ 12.9 mm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2 레이저 패턴(155a, 155b)은 상기 안전벤트(150)의 표면으로부터 내부으로 패어진 홈의 형태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 1,2 레이저 패턴(155a, 155b)은 적어도 하나의 홈을 포함하며, 상기 홈은 ‘v’자 형태로 이루어진다. 도면에서는 하나의 레이저 패턴 당 홈이 4개가 형성된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상기 홈은 그 보다 많거나 적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홈이 이루는 각(a)은 약 60도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레이저 패턴(155a)과 제 2 레이저 패턴(155b) 사이의 거리(W1)는 약 0.8mm 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 1 레이저 패턴(155a) 및 제 2 레이저 패턴(155b) 각각의 폭(W2)은 약 0.18mm로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폭(W2)이 0.18mm 보다 작게 형성되면, 상기 인슐레이터(160)가 안전벤트(150)와 캡 다운(170) 사이의 결합력을 향상시키기에 충분하지 않다.
더불어, 상기 레이저 패턴(155)의 깊이(D1)는 약 0.05mm로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레이저 패턴(155)의 깊이가 0.05mm 보다 작게 형성되면, 상기 인슐레이터(160)가 상기 레이저 패턴(155)으로 녹아 들어가는 양이 작아 안전벤트(150)와 캡 다운(170) 사이의 결합력을 향상시키기 어렵다. 또한, 상기 레이저 패턴(155)의 깊이가 0.05mm 보다 크게 형성되면, 상기 인슐레이터(160)가 상기 레이저 패턴(155)으로 충분히 녹아 들어가지 않아, 안전벤트(150)와 인슐레이터(160) 사이에 빈 공간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공간으로 전해액이 침투되어 안전벤트(150)와 캡 다운(170) 사이의 결합력이 감소된다.
또한, 상기 캡 다운(170)에 형성된 레이저 패턴(175)의 형상은 상기 안전벤트(150)에 형성된 레이저 패턴(155)과 형태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레이저 패턴(155, 175)은 레이저 빔을 이용하여 형성한 것으로, 그 패턴의 형상이 매우 미세하다. 상기에서 말한 바와 같이, 각각의 레이저 패턴(155, 175)의 폭은 약 0.18mm로 상당히 좁으며, 그 안에 복수의 홈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안전벤트(150)와 인슐레이터(160) 사이 및 인슐레이터(160)와 캡 다운(170)의 사이의 전해액 침투 경로가 상대적으로 길어지므로, 전해액이 침투하기가 매우 어렵다. 일반적으로, 금형으로 안전벤트 및/또는 캡 다운에 패턴을 형성한 경우, 그 폭이 레이저 패턴에 비해 상대적으로 커서, 안전벤트 및/또는 캡 다운과 인슐레이터 사이로 전해액이 침투하기가 용이하다. 그러나, 본 발명은 레이저 빔으로 안전벤트(150) 및 캡 다운(170)에 미세한 레이저 패턴(155, 175)을 형성하여, 안전벤트(150)와 인슐레이터(160) 사이 및 인슐레이터(160)와 캡 다운(170) 사이의 결합력을 향상시킴으로써, 그 사이로 전해액이 침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이차 전지(100)의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안전벤트(150)는 금속으로 이루어지며, 예를 들어 알루미늄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알루미늄으로 이루어진 안전벤트(150)는 공기 중에서 산화되어 표면에 얇은 산화피막(150a)이 형성된다. 한편, 상기 안전벤트(150)에 레이저 빔을 조사하여 레이저 패턴(155)을 형성할 때, 상기 레이저 빔에 의해 상기 산화피막(150a)은 제거된다. 즉, 상기 안전벤트(150)에서 레이저 패턴(155)이 형성된 부분에는 산화피막(150a)이 존재하지 않는다. 마찬가지로, 상기 캡 다운(170)도 알루미늄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캡 다운(170)의 표면에는 얇은 산화피막(170a)이 형성되며, 상기 산화피막(170a)은 캡 다운(170)에 레이저 빔을 조사하여 레이저 패턴(175)을 형성할 때 제거된다. 즉, 상기 캡 다운(170)에서 레이저 패턴(175)이 형성된 부분에는 산화피막(170a)이 존재하지 않는다. 이에 따라, 상기 인슐레이터(160)가 산화피막(150a, 170a)이 제거된 레이저 패턴(155, 175)으로 열융착되어, 안전벤트(150)와 캡 다운(170) 사이의 결합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도 7은 전해액 함침 테스트에서 시간에 따른 전류차단부(CID)의 인장강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여기서, 비교예는 안전벤트 및/또는 캡 다운에 금형으로 패턴을 형성한 이차 전지이고, 실시예는 본 발명과 같이 안전벤트 및 캡 다운에 레이저로 레이저 패턴을 형성한 이차 전지이다. 여기서, 테스트는 측정 시간대 별로 임의의 이차 전지를 꺼내어 인장강도를 테스트 한 것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교예는 전해액 함침 후 약 30분(0.5hr)만에 전류차단부의 인장강도가 3N 미만으로 떨어진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전해액 함침 후 대략 120일이 지나도 전류차단부의 인장강도가 대략 100N이상을 유지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본 발명과 같이, 안전벤트(150) 및 캡 다운(170)에 레이저 빔으로 레이저 패턴(155, 175)을 형성한 경우, 안전벤트(150)와 인슐레이터(160) 사이 및 인슐레이터(160)와 캡 다운(170) 사이의 결합력을 향상시켜 전해액이 침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의한 이차 전지를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100: 이차 전지 110: 전극 조립체
120: 케이스 130: 캡 조립체
140: 캡 업 150: 안전벤트
150a: 산화피막 151: 돌출부
152: 노치 155: 레이저 패턴
160: 인슐레이터 170: 캡 다운
170a: 산화피막 171: 관통홀
172: 가스 배출공 175: 레이저 패턴
180: 서브 플레이트 190: 가스켓

Claims (10)

  1. 전극 조립체와 상기 전극 조립체를 수용하는 케이스 및 상기 케이스의 상부에 결합되는 캡 조립체를 포함하는 이차 전지에 있어서,
    상기 캡 조립체는
    캡 업과, 상기 캡 업의 하부에 설치된 안전벤트와, 상기 안전벤트의 하부에 설치된 캡 다운과, 상기 안전벤트와 상기 캡 다운 사이에 개재된 인슐레이터 및 상기 캡 다운의 하면에 위치한 서브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안전벤트의 하면과 상기 캡 다운의 상면에는 레이저 빔에 의한 레이저 패턴이 형성되며,
    상기 레이저 패턴은 내측에 위치하는 제1 레이저 패턴과, 상기 제1 레이저 패턴의 외측에 위치하는 제2 레이저 패턴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레이저 패턴은 상기 안전벤트의 평탄한 부분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1 레이저 패턴과 이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 전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레이저 패턴은 적어도 하나의 홈을 포함하고, 상기 홈은 ‘v’자 형태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 전지.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홈이 이루는 각은 60도 이고, 상기 홈의 깊이는 0.05mm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 전지.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인슐레이터는 열융착에 의해 상기 안전벤트 및 캡 다운에 융착되고,
    상기 인슐레이터의 표면에는 상기 레이저 패턴의 홈과 대응되는 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 전지.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벤트에 형성된 레이저 패턴은 상기 안전벤트의 외주연에 링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 전지.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레이저 패턴 및 상기 제 2 레이저 패턴의 각각의 폭은 0.18mm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 전지.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레이저 패턴과 상기 제 2 레이저 패턴 사이의 거리는 0.8mm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 전지.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레이저 패턴은 상기 안전벤트 및 상기 캡 다운에서 동일한 위치 및 동일한 형태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 전지.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벤트 및 상기 캡 다운의 표면에는 산화피막이 형성되고, 상기 안전벤트 및 상기 캡 다운에서 상기 레이저 패턴이 형성된 부분에는 상기 산화피막이 제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 전지.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인슐레이터는 상기 산화피막이 제거된 레이저 패턴에 열융착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 전지.
KR1020160049617A 2016-04-22 2016-04-22 이차 전지 KR1026066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9617A KR102606637B1 (ko) 2016-04-22 2016-04-22 이차 전지
US15/456,187 US10340489B2 (en) 2016-04-22 2017-03-10 Secondary battery
CN201710220643.0A CN107305964B (zh) 2016-04-22 2017-04-06 二次电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9617A KR102606637B1 (ko) 2016-04-22 2016-04-22 이차 전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0978A KR20170120978A (ko) 2017-11-01
KR102606637B1 true KR102606637B1 (ko) 2023-11-27

Family

ID=600891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49617A KR102606637B1 (ko) 2016-04-22 2016-04-22 이차 전지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0340489B2 (ko)
KR (1) KR102606637B1 (ko)
CN (1) CN10730596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699736B2 (ja) * 2016-08-30 2020-05-27 株式会社村田製作所 電池、蓄電装置および電動車両
KR102520538B1 (ko) 2017-12-05 2023-04-11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 전지
KR20190093300A (ko) * 2018-02-01 2019-08-09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 전지
WO2019178900A1 (zh) * 2018-03-21 2019-09-26 深圳市瑞德丰精密制造有限公司 一种具有保护结构的电池顶盖
KR102493916B1 (ko) * 2018-11-28 2023-02-01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캡조립체, 이차전지 및 그의 제조방법, 전지팩
KR20220072503A (ko) * 2020-11-25 2022-06-0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 전지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006392A (ja) * 2010-06-23 2012-01-12 Shenzhen Futaihong Precision Industrial Co Ltd 金属と樹脂の複合体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2056308A (ja) * 2010-08-11 2012-03-22 Hitachi Ltd レーザ接合方法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6827B1 (ko) 2005-07-11 2007-02-26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리튬 이차전지
KR100878701B1 (ko) * 2006-03-13 2009-01-14 주식회사 엘지화학 고율 충방전 원통형 이차전지
KR20070108747A (ko) * 2006-05-08 2007-11-13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전지 및 이차전지의 전해질주입구 밀폐방법
KR100997043B1 (ko) 2006-10-23 2010-11-29 주식회사 엘지화학 누액 차단에 의해 안전성이 향상된 캡 어셈블리 및 이를포함하고 있는 원통형 이차전지
JP4541394B2 (ja) * 2007-10-31 2010-09-08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金属ローラの製造方法
KR101023880B1 (ko) * 2009-06-08 2011-03-2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 전지
CN101997095B (zh) * 2009-08-26 2014-09-24 比克国际(天津)有限公司 电池组合盖、电池
JP5798535B2 (ja) * 2012-09-07 2015-10-21 ダイセルポリマー株式会社 複合成形体の製造方法
JP6208687B2 (ja) * 2012-12-19 2017-10-04 三洋電機株式会社 円筒形二次電池及びそ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006392A (ja) * 2010-06-23 2012-01-12 Shenzhen Futaihong Precision Industrial Co Ltd 金属と樹脂の複合体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2056308A (ja) * 2010-08-11 2012-03-22 Hitachi Ltd レーザ接合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7305964A (zh) 2017-10-31
US20170309879A1 (en) 2017-10-26
KR20170120978A (ko) 2017-11-01
US10340489B2 (en) 2019-07-02
CN107305964B (zh) 2022-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06637B1 (ko) 이차 전지
KR102520538B1 (ko) 이차 전지
KR102642159B1 (ko) 이차 전지
US20200411835A1 (en) Secondary battery
JP2010129546A (ja) キャップ組立体及びこれを備える二次電池
KR102337492B1 (ko) 이차 전지
US20200403215A1 (en) Secondary battery
KR102618121B1 (ko) 이차 전지
KR20210012636A (ko) 이차 전지
EP3998674A1 (en) Secondary battery
US20210242528A1 (en) Secondary battery
KR20200032987A (ko) 이차 전지
KR20240034736A (ko) 이차 전지
KR102642157B1 (ko) 원통형 리튬 이온 이차 전지
KR20220051642A (ko) 이차 전지
KR102340113B1 (ko) 이차 전지
KR102661207B1 (ko) 이차 전지
KR102619683B1 (ko) 이차 전지
KR102663724B1 (ko) 이차 전지
KR101450918B1 (ko) 전해액 밀봉성이 우수한 캡 어셈블리
KR20230106935A (ko) 이차 전지
KR20240080708A (ko) 이차 전지
KR20230147883A (ko) 이차 전지
KR20220112034A (ko) 이차 전지
JP2014099351A (ja) 角形蓄電素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