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03847B1 - 절삭 인서트 및 밀링 공구 - Google Patents

절삭 인서트 및 밀링 공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03847B1
KR102603847B1 KR1020207032893A KR20207032893A KR102603847B1 KR 102603847 B1 KR102603847 B1 KR 102603847B1 KR 1020207032893 A KR1020207032893 A KR 1020207032893A KR 20207032893 A KR20207032893 A KR 20207032893A KR 102603847 B1 KR102603847 B1 KR 1026038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tting edge
axial
insert
cutting
pla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328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40905A (ko
Inventor
요한 안데르손
스테판 헤드베리
케네트 엔룬드
프레드릭 칸토예르비
Original Assignee
쎄코 툴스 에이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쎄코 툴스 에이비 filed Critical 쎄코 툴스 에이비
Publication of KR202001409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409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38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38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CMILLING
    • B23C5/00Milling-cutters
    • B23C5/16Milling-cutters characterised by physical features other than shape
    • B23C5/20Milling-cutters characterised by physical features other than shape with removable cutter bits or teeth or cutting inserts
    • B23C5/202Plate-like cutting inserts with special form
    • B23C5/205Plate-like cutting inserts with special form characterised by chip-breakers of special for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CMILLING
    • B23C5/00Milling-cutters
    • B23C5/16Milling-cutters characterised by physical features other than shape
    • B23C5/20Milling-cutters characterised by physical features other than shape with removable cutter bits or teeth or cutting inserts
    • B23C5/202Plate-like cutting inserts with special for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CMILLING
    • B23C2200/00Details of milling cutting inserts
    • B23C2200/04Overall shape
    • B23C2200/0494Rectangul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CMILLING
    • B23C2200/00Details of milling cutting inserts
    • B23C2200/08Rake or top surfaces
    • B23C2200/085Rake or top surfaces discontinuo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CMILLING
    • B23C2200/00Details of milling cutting inserts
    • B23C2200/12Side or flank surfaces
    • B23C2200/125Side or flank surfaces discontinuou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lling Processes (AREA)

Abstract

여기에서, 밀링 공구용 절삭 인서트 (2) 가 개시된다. 정중면 (MP) 은 절삭 인서트를 통해 연장된다. 종방향 평면 (LP) 은 정중면 (MP) 에 수직하게 연장된다. 제 1 측 표면 (12) 을 향하는 도면에서, 제 1 축선방향 릴리프 면 (30) 및 제 1 축선방향 접합면 (32) 은 종방향 평면의 제 1 측에서 제 1 표면 그룹 (34) 의 일부를 형성한다. 제 2 측 표면 (13) 을 향하는 도면에서, 제 2 축선방향 릴리프 면 (30') 및 제 2 축선방향 접합면 (32') 은 종방향 평면의 제 1 측에서 제 2 표면 그룹 (34') 의 일부를 형성한다. 제 1 축선방향 접합면 (32) 은 실질적으로 편평한 표면을 형성한다. 제 1 축선방향 접합면 (32) 은 정중면 (MP) 에 수직하게 연장된다. 제 2 축선방향 접합면 (32') 은 실질적으로 편평한 표면을 형성한다. 제 2 축선방향 접합면 (32') 은 정중면 (MP) 에 수직하게 연장된다.
본 발명은 밀링 공구용 절삭 인서트 (2) 에 관한 것이다. 정중면 (MP) 은 절삭 인서트를 통해 연장된다. 종방향 평면 (LP) 은 정중면 (MP) 에 수직하게 연장된다. 제 1 측 표면 (12) 을 향한 도면에서, 제 1 축선방향 릴리프 면 (30) 및 제 1 축선방향 접합면 (32) 은 종방향 평면의 제 1 측면 상에서 제 1 표면 그룹 (34) 의 일부를 형성한다. 제 2 측 표면 (13) 을 향한 도면에서, 제 2 축선방향 릴리프 면 (30') 및 제 2 축선방향 접합면 (32') 은 종방향 평면의 제 1 측면 상에서 제 2 표면 그룹 (34') 의 일부를 형성한다. 제 1 축선방향 접합면 (32) 은 실질적으로 편평한 표면을 형성한다. 제 1 축선방향 접합면 (32) 은 정중면 (MP) 에 수직하게 연장된다. 제 2 축선방향 접합면 (32') 은 실질적으로 편평한 표면을 형성한다. 제 2 축선방향 접합면 (32') 은 정중면 (MP) 에 수직하게 연장된다.

Description

절삭 인서트 및 밀링 공구
본 발명은 밀링 공구용 절삭 인서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밀링 공구에 관한 것이다.
밀링 공구는 회전 절삭 공구이고, 여기에는 하나 이상의 절삭 인서트가 제공될 수도 있다. 스퀘어 숄더 밀링 공구는 스퀘어 숄더 밀링 공구에 의한 밀링 작업에 가공물에 밀링된 두 개의 표면들 사이에 스퀘어 각도 (square angle) 를 형성하기 위해 구성된다.
EP 3000548 은 더 적은 에너지가 절삭 작업을 수행하는데 필요하도록 밀링 공구에 인서트의 장착을 용이하게 하는 기하학적 형상을 갖는 양면형 스퀘어 숄더 밀링 절삭 인서트를 개시한다. 인서트가 사용될 때, 활성 주 절삭날은 가공물에 수직 벽을 생성하고 또한 활성 부 절삭날 (와이퍼 에지) 은 수평 표면을 생성한다. 기계가공된 가공물의 품질을 위해, 활성 주 절삭날과 활성 부 절삭날 (와이퍼 에지) 이 공구 본체에서 정확한 위치를 가져서, 부 절삭날 (와이퍼 에지) 이 저부 평면 (PB) 상에 놓이고, 주 절삭날이 실린더 (CYL) 의 표면을 따라 놓인다는 것이 중요하다 (도 3). 인서트의 주 절삭날이 인서트의 중심 축선을 따라 보았을 때, 인접한 여유 표면의 제 1 부분은 중심 축선에 대해 주 절삭날의 바깥쪽으로 배치되고, 더 적은 여유 표면은 인서트의 비절삭 모서리에서 보다는 인서트의 절삭 모서리에서 주 절삭날의 바깥쪽으로 배치된다. 더욱이, 인서트에는 단락 [0018] 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부 절삭날 (와이퍼 에지) 에 인접한 양의 여유 표면이 제공된다.
절삭 인서트는 밀링 공구의 인서트 착좌부 내에서 세 개의 방향으로 지지될 필요가 있다. 참조로 밀링 공구를 사용하여, 절삭 인서트가 접선방향으로, 축선방향으로 그리고 반경방향으로 지지된다. 이러한 지지는 예를 들어 각 방향에 대해 하나씩 인서트 착좌부 내 세 개의 전용 지지 표면에 의해 제공될 수도 있다. 밀링 공구의 접선방향, 축선방향 및 반경방향과 관련하여 지지 표면이 각도를 이루는 방식과, 밀링 작업 중 가공물에 대한 밀링 도구의 이동에 따라, 하나 이상이 지지 표면은 이러한 방향 중 하나 이상으로 절삭 인서트를 지지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접선방향 지지 표면은 접선방향뿐만 아니라 반경방향으로 절삭 인서트를 지지할 수도 있다. 그러나, 명확성을 위해, 밀링 공구의 인서트 시트에 있는 지지 표면은 주요 지지 기능과 관련하여 접선방향 지지 표면, 축선방향 지지 표면 및 반경방향 지지 표면으로 지칭될 수도 있다. 절삭 인서트에는 인서트 착좌부의 지지 표면에 접하도록 구성된 접합면이 제공된다. 접합면은 지지 표면과 유사한 방식으로, 즉 접선방향 접합면, 축선방향 접합면 및 반경방향 접합면으로 지칭될 수도 있다.
밀링 공구의 인서트 착좌부에서 절삭 인서트의 위치결정은 관련 가공물의 밀링에 영향을 미친다. 예를 들어, 제조 공차 및 표면 마무리는 절삭 인서트가 인서트 착좌부 내에 위치결정되는 방식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스퀘어 숄더 밀링 공구에서 활성 주 절삭날의 축선방향 위치의 변경은 가공물에서 90°의 벽의 품질의 저하로 이어진다.
밀링 공구의 인서트 착좌부에서 보다 정확한 위치를 제공하는 스퀘어 숄더 밀링을 위해 구성된 개선된 양면형 절삭 인서트를 달성하는 것이 유리할 것이다. 특히, 절삭 인서트가 밀링 공구의 인서트 착좌부 내에 위치될 때, 절삭 인서트의 목표 두께로부터의 편차가 절삭 인서트의 축선방향 런아웃 및 주 절삭날의 축선방향 위치에 영향을 미치지 않거나, 또는 적어도 축선방향 런아웃 및 주 절삭날의 축선방향 위치에 제한된 정도로만 영향을 미치는 절삭 인서트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러한 문제점들 중 하나 이상을 보다 양호하게 해결하기 위해서, 독립 청구항에서 규정된 특징들을 가지는 절삭 인서트가 제공된다.
일 양태에 따라, 밀링 공구용 절삭 인서트가 제공되고, 상기 절삭 인서트는 다음을 포함한다:
- 제 1 연장 평면을 규정하는 제 1 측면,
- 제 2 연장 평면을 규정하는 제 1 측면에 대향하는 제 2 측면으로서, 상기 제 1 연장 평면은 평행하고, 상기 제 1 연장 평면을 통해 중심 축선이 수직하게 연장되는, 상기 제 2 측면,
- 제 1 측면과 제 2 측면 사이에서 연장되는 원주방향 표면으로서, 원주방향 표면은 제 1 쌍의 대향 측 표면들 및 제 2 쌍의 대향 측 표면들을 포함하는, 상기 원주방향 표면,
- 제 1 연장 평면과 제 2 연장 평면 의 중간에서 연장되는 정중면,
- 정중면에 수직하고 또한 중심 축선을 포함하는 제 1 쌍의 대향 측 표면들 의 중간에서 연장되는 종방향 평면,
- 정중면 및 종방향 평면에 수직하게 연장되고 또한 중심 축선을 포함하는 중간 평면,
- 정중면과 종방향 평면 사이의 교차점을 따라서 연장되는 제 1 축선 및 정중면과 중간 평면 사이의 교차점을 따라서 연장되는 제 2 축선. 종방향 평면의 제 1 측면 상에서 제 1 측면과 상기 원주방향 표면 사이의 교차점을 따라서 제 1 절삭날이 연장되고, 제 1 절삭날은, 제 1 측면을 향하여 보았을 때, 절삭 인서트의 코너를 따라서 연장된다. 종방향 평면의 제 1 측면 상에서 제 2 측면과 상기 원주방향 표면 사이의 교차점을 따라서 제 2 절삭날이 연장되고, 제 2 절삭날은, 제 2 측면을 향하여 보았을 때, 절삭 인서트의 제 2 코너를 따라서 연장된다. 제 1 절삭날은 제 1 주 절삭날, 제 1 모서리 절삭날, 및 제 1 보조 절삭날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보조 절삭날은 제 1 표면-와이핑 2 차 절삭날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주 절삭날은 상기 제 1 주 절삭날의 제 1 단부에서 상기 제 1 모서리 절삭날에 인접해 있고, 상기 제 1 모서리 절삭날은 상기 제 1 표면-와이핑 2 차 절삭날에 인접해 있다. 제 1 절삭날은 제 1 주 절삭날, 제 1 모서리 절삭날, 및 제 1 보조 절삭날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보조 절삭날은 제 1 표면-와이핑 2 차 절삭날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주 절삭날은 상기 제 1 주 절삭날의 제 1 단부에서 상기 제 1 모서리 절삭날에 인접해 있고, 상기 제 1 모서리 절삭날은 상기 제 1 표면-와이핑 2 차 절삭날에 인접해 있다. 제 2 쌍의 대향 측 표면들의 제 1 측 표면을 향해 제 1 축선을 따라서 보았을 때, 제 1 축선방향 접합면 및 제 1 보조 절삭날에 인접한 제 1 축선방향 릴리프 면은 종방향 평면의 제 1 측면에 제 1 표면 그룹의 일부를 형성하고, 상기 제 1 표면 그룹은 원주방향 표면의 일부를 형성한다. 제 2 쌍의 대향 측 표면들의 제 2 측 표면을 향해 제 1 축선을 따라서 보았을 때, 제 2축선방향 접합면 및 제 2 보조 절삭날에 인접한 제 2 축선방향 릴리프 면은 종방향 평면의 제 1 측면에 제 2 표면 그룹의 일부를 형성하고, 상기 제 2 표면 그룹은 원주방향 표면의 일부를 형성한다. 제 1 쌍의 대향 측 표면들의 제 1 측 표면은 제 1 주 절삭날에 인접하게 배열된 제 1 반경방향 릴리프 면을 포함한다. 중심 축선을 따라서 보았을 때, 제 1 반경방향 릴리프 면의 적어도 일부는 적어도 제 1 주 절삭날의 일부를 따라서 제 1 주 절삭날의 외측으로 연장되어, 제 1 반경방향 릴리프 면은 주 절삭날의 제 2 단부를 향해, 그런 다음 주 절삭날의 제 1 단부를 향해 제 1 주 절삭날의 외측으로 보다 연장된다. 종방향 평면과 평행한 평면에서 보았을 때, 제 1 축선방향 릴리프 면은 정중면으로 91 ~ 115 도의 범위 내에 있거나, 94 ~ 110 도의 범위 내에 있거나, 대략 97 도인 제 1 내부 각도에 제 1 표면-와이핑 2 차 절삭날로부터 연장된다. 바람직하게는, 절삭 인서트는 제 2 축선을 중심으로 하는 회전에 관하여 180°의 회전 대칭을 갖는다. 종방향 평면과 평행한 평면에서 보았을 때, 제 2 축선방향 릴리프 면은 정중면으로 91 ~ 115 도의 범위 내에 있거나, 94 ~ 110 도의 범위 내에 있거나, 대략 97 도인 제 2 내부 각도에 제 2 표면-와이핑 2 차 절삭날로부터 연장된다. 제 1 축선방향 접합면은 실질적으로 편평한 표면을 형성하고, 제 1 축선방향 접합면은 정중면에 수직하게 연장된다. 제 2 축선방향 접합면은 실질적으로 편평한 표면을 형성하고, 제 2 축선방향 접합면은 정중면에 수직하게 연장된다.
제 1 축선방향 접합면이 실질적으로 편평한 표면을 형성하고 제 1 축선방향 접합면이 정중면에 수직하게 연장되기 때문에, 그리고 제 2 축선방향 접합면은 실질적으로 편평한 표면을 형성하고 제 2 축선방향 접합면은 정중면에 수직하게 연장되기 때문에, 제 1 축선방향 릴리프 면 및 제 2 축선방향 릴리프 면에 반대로, 스퀘어 숄더 밀링 공구의 인서트 착좌부에서 절삭 인서트의 정확한 위치결정이 달성될 수도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절삭 인서트가 스퀘어 숄더 밀링 공구의 인서트 착좌부 내에 탑재될 때, 절삭 인서트의 목표 두께로부터의 편차, 즉 중심 축선을 따르는 방향에서의 편차는 절삭 인서트의 축선방향 런아웃 및 주 절삭날의 축선방향 위치에 영향을 미치지 않거나, 또는 적어도 축선방향 런아웃 및 주 절삭날의 축선방향 위치를 제한된 정도로만 영향을 미칠 것이다. 즉, 절삭 인서트의 두께 변화는, 축선방향 지지표면의 접선방향을 따라서 보았을 때, 숄더 밀링 공구의 인서트 착좌부 내 축선방향 지지 표면이 숄더 밀링 공구의 회전 축선에 수직하게 또는 실질적으로 수직하게 연장되면, 인서트 착좌부 내 절삭 인서트의 축선방향 위치에 영향을 미치지 않거나, 또는 실질적으로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즉, 제 1 축선방향 접합면 또는 제 2 축선방향 접합면이 전술한 바와 같이 인서트 착좌부 내 축선방향 지지 표면에 대해 접할 때, 절삭 인서트의 두께 변화는 인서트 착좌부 내 절삭 인서트의 축선방향 위치에 영향을 미치지 않거나, 또는 실질적으로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결과적으로, 숄더 밀링 공구의 인서트 착좌부 내 정확한 또는 보다 정확한 위치결정을 위해 구성된 절삭 인서트가 제공되고, 그 덕분에 기계가공된 작업편의 품질이 개선될 수 있다.
절삭 인서트는 본원에서 대안적으로 단순히 인서트로 지칭될 수도 있다. 절삭 인서트는 스퀘어 숄더 밀링 공구의 인서트 착좌부에 고정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스퀘어 숄더 밀링 공구는 가공물에 90°의 숄더를 절삭하기 위해 구성된다.
절삭 인서트는 바람직하게 초경 합금 재료로 제조될 수도 있지만, 그것은 대안적으로 예컨대 세라믹, 입방정 질화 붕소, 다결정성 다이아몬드, 및/또는 서멧 중 하나 이상으로부터 제조될 수도 있거나 또는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도 있다. 절삭 인서트는, 예를 들어 질화 티타늄, 탄화 티타늄 및/또는 산화 알루미늄과 같은 표면 코팅제들로 코팅될 수도 있다.
스퀘어 숄더 밀링 공구의 인서트 착좌부 내에 배열될 때, 절삭 인서트의 제 1 측면 및 제 2 측면은 대략 스퀘어 숄더 밀링 공구의 회전방향의 대향하는 접선방향으로 향한다. 제 1 쌍의 대향 측 표면들은 스퀘어 숄더 밀링 공구의 대향하는 반경방향으로 향한다. 제 2 쌍의 대향 측 표면들은 스퀘어 숄더 밀링 공구의 대향하는 축선방향으로 향한다. 절삭 인서트의 제 1 측면 및 제 2 측면에는 바람직하게는 정중면에 평행하거나 실질적으로 평행한 편평한 또는 일반적으로 편평한 접선방향 지지 표면들이 제공된다. 인서트에는 밀링 공구의 인서트 착좌부 내에 인서트의 단순한 탑재를 위한 스크류 구멍이 제공될 수도 있다.
원주방향 표면은 제 1 측면과 제 2 측면 사이에서 연장되고 제 1 쌍의 대향 측 표면의 각 표면을 제 2 쌍의 대향 측 표면의 각 표면에 연결하는 모서리 표면들을 포함한다. 양자의 제 1 축선방향 릴리프 면 및 제 1 축선방향 접합면은 제 1 모서리 표면에 인접하고, 바람직하게는 제 1 모서리 표면에 접선방향으로 연결된다. 양자의 제 2 축선방향 릴리프 면 및 제 2 축선방향 접합면은 제 2 모서리 표면에 인접하고, 바람직하게는 제 2 모서리 표면에 접선방향으로 연결된다. 이로 인해, 제 2 쌍의 대향 측 표면들이 단순화되어 제 2 쌍의 대향 측 표면들을 생성하거나 형성하는 프레싱 공구 부분들의 단순화에 기여하고, 이는 결과적으로 최종 인서트의 공차를 개선한다.
스퀘어 숄더 밀링 공구의 인서트 착좌부 내에 배치될 때, 주 절삭날 (예컨대, 제 1 주 절삭날) 은, 스퀘어 숄더 밀링 공구의 축선방향에 수직하게 연장되는 가공물 표면을 표면 와이핑하기 위해 구성되고 스퀘어 숄더 밀링 공구의 축선방향에 수직한 또는 실질적으로 수직한 평면에서 연장되는 표면-와이핑 2차 절삭날 (예컨대, 제 1 표면-와이핑 2 차 절삭날) 과 관련하여 가공물 상에 90°의 숄더 또는 벽을 절단하기 위해 구성된다. 주 절삭날 (예컨대, 제 1 주 절삭날) 은 공구의 제 1 축선방향 단부로부터 축선방향으로 멀어져 공구의 제 2 축선방향 단부를 향해 연장하고, 상기 제 2 축선방향 단부는 공구의 제 1 단부에 대향한다. 주 절삭날은 바람직하게는 양의 축선방향 경사를 가지지만 반드시 그러하지는 않는다. 표면-와이핑 2차 절삭날 (예컨대, 제 1 표면-와이핑 2 차 절삭날) 은 반경방향 연장부를 가지고, 또한 공구의 반경방향 주변으로부터의 방향으로 그리고 반경방향 내측으로 연장된다. 표면-와이핑 2차 절삭날은 공구의 회전 축선을 향하여 반경방향으로 배향될 수 있다. 절삭 인서트는 양면형 절삭 인서트이다. 절삭 인서트는 스퀘어 숄더 밀링에 사용되는 총 4 개의 인덱서블 절삭날들을 유리하게는 제공할 수도 있다.
제 1 축선방향 접합면 및 제 2 축선방향 접합면이 실질적으로 편평한 표면을 형성하기 때문에, 제 1 축선방향 접합면 및 제 2 축선방향 접합면 각각은 스퀘어 숄더 밀링 공구의 인서트 착좌부에서 축선방향 지지 표면에 대해 맞닿는데 적합한 표면을 형성한다. 제 1 축선방향 접합면은 제 2 절삭날이 가공물과의 절삭 맞물림을 위해 인서트 착좌부 내에 위치결정될 때 축선방향 지지 표면에 맞닿는다. 제 2 축선방향 접합면은 제 1 절삭날이 가공물과의 절삭 맞물림을 위해 인서트 착좌부 내에 위치결정될 때 축선방향 지지 표면에 맞닿는다. 따라서, 제 1 축선방향 접합면은 제 1 주 절삭날이 인서트 착좌부 내에서 가공물과의 절삭 맞물림을 위해 위치결정될 때에 비활성화되고, 제 2 축선방향 접합면은 제 2 주 절삭날이 인서트 착좌부 내에서 가공물과의 절삭 맞물림을 위해 위치결정될 때에 비활성화된다.
절삭 인서트는 그린 보디를 형성하기 위해 다이 내에서 분말 형태의 원료를 프레싱함으로써 제조된다. 다축 프레싱 (MAP) 은 그린 보디를 형성하기 위해 활용될 수도 있다. MAP 는 복잡한 형상을 갖는 그린 보디를 생산할 수 있다. 소결시에, 그린 보디는 컴팩트해지고, 크기가 줄어들며, 또한 절삭 인서트를 형성한다. 절삭 인서트의 표면 및 절삭날은 소결 후에 그라운딩될 수도 있다. 밀링 공구에서 절삭 인서트로 수행되는 밀링 작업에 따라, 밀링 공구의 지지 표면에 접하도록 배열되는 절삭 인서트의 접합면은 특정 공차로 그라운딩될 수도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상보적으로, 반경방향 및/또는 축선방향 릴리프 면들이 그라운딩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라, 제 1 축선방향 접합면은 정중면으로부터 제 2 측면을 향해 연장되는 실질적으로 편평한 표면을 형성할 수도 있고, 제 2 축선방향 접합면은 정중면으로부터 제 1 측면을 향해 연장되는 실질적으로 편평한 표면을 형성할 수도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제 1 축선방향 접합면 및 제 2 축선방향 접합면 각각은 밀링 공구의 인서트 착좌부 내 대응하는 축선방향 지지 표면에 대해 접하기에 적합한 표면들을 형성할 수도 있다. 추가로, 인서트는 인서트의 활성 측면에, 즉 주 절삭날이 가공물과 맞물려 인서트의 개선된 안정성과, 그로 인해 기계 가공된 가공물의 개선된 품질에 기여하는 절삭 인서트의 측면에 근접한 위치에서 축선방향으로 지지된다. 게다가, 절삭 인서트는 소결 동안 개선된 형태 안정성으로 MAP 를 활용하여 제조될 수도 있다. 즉, 제 1 표면 그룹 및 제 2 표면 그룹은 따라서 임의의 리세스들을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고, 이는 그린 보디가 MAP 작업 후에 소결될 때, 절삭 인서트의 형태 안정성에 영향을 미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추가의 일 실시형태에 따라, 제 1 축선방향 접합면은 정중면으로부터 제 2 측면을 향해 연장되는 실질적으로 편평한 표면을 형성할 수도 있고, 제 2 축선방향 접합면은 정중면으로부터 제 1 측면을 향해 연장되는 실질적으로 편평한 표면을 형성할 수도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제 1 축선방향 접합면 및 제 2 축선방향 접합면 각각은 밀링 공구의 인서트 착좌부 내 대응하는 축선방향 지지 표면에 대해 접하기에 적합한 표면들을 형성할 수도 있다. 추가로, 인서트는 인서트의 활성 측면, 즉 절삭 프로세스에 포함되는 측면에 축선방향으로 가능한 한 가깝게 그리고 인서트의 비활성 측면으로부터 가능한 한 멀리 지지되고, 그의 일부는 인서트의 접선방향 및 반경방향 지지부의 역할을 한다. 이는 인서트의 개선된 안정성과 그로 인해 기계가공된 가공물의 개선된 품질에 기여한다. 게다가, 절삭 인서트는 소결 동안 개선된 형태 안정성으로 MAP 를 활용하여 제조될 수도 있다. 즉, 제 1 표면 그룹 및 제 2 표면 그룹은 따라서 임의의 리세스들을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고, 이는 그린 보디가 MAP 작업 후에 소결될 때, 절삭 인서트의 형태 안정성에 영향을 미칠 수도 있다.
추가의 일 실시형태에 따라, 중간 평면 상에서 돌출되고 또한 제 1 축선을 따르는 방향으로 보았을 때, 제 1 축선방향 접합면은 제 1 표면 그룹의 적어도 30 % 를 형성할 수도 있고, 제 2 축선방향 접합면은 제 2 표면 그룹의 적어도 30% 를 형성할 수도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제 1 축선방향 접합면 및 제 2 축선방향 접합면은 각각 제 1 표면 그룹 및 제 2 표면 그룹 각각의 큰 부분을 형성할 수도 있다. 그러한 것으로서, 제 1 축선방향 접합면 및 제 2 축선방향 접합면 각각은 밀링 공구의 인서트 착좌부에서 축선방향 지지 표면에 대해 접할 때 안정적인 축선방향 지지부를 제공할 수도 있다. 게다가, 양호한 형태 안정성이 절삭 인서트의 소결 동안 제공될 수도 있다.
추가의 일 실시형태에 따라, 제 1 축선을 따라서 보았을 때, 적어도 제 1 축선방향 접합면의 일부는 제 2 측면과 적어도 제 1 표면-와이핑 2 차 절삭날의 일부 또는 제 1 표면-와이핑 2 차 절삭날의 대부분 사이에 배열되고, 적어도 제 2 축선방향 접합면의 일부는 제 1 측면과 적어도 제 2 표면-와이핑 2 차 절삭날의 일부 또는 적어도 제 2 표면-와이핑 2 차 절삭날의 대부분 사이에 배열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제 1 축선방향 접합면이 밀링 공구의 인서트 착좌부 내 축선방향 지지 표면에 대해 접할 때, 절삭 인서트의 축선방향 지지부는 제 2 표면-와이핑 2 차 절삭날로부터 축선방향을 따라서 제공되고, 이는 가공물과의 절삭 맞물림을 위해 위치결정된다. 따라서, 축선방향 지지부는 활성의 제 2 표면-와이핑 2 차 절삭날로부터 가장 짧은 거리에 제공된다. 주어진 공차에 대한 것으로서, 증가된 길이는 더 큰 오차를 제공하고, 이는 적은 축선방향 길이 오차를 제공한다. 추가적으로, 축선방향 지지부는 활성의 표면-와이핑 2 차 절삭날 위에 축선방향으로 직선으로 제공될 수도 있고, 이는 인서트의 보다 양호한 축선방향 힘의 흡수 및 보다 양호한 안정성에 기여한다.
추가의 일 실시형태에 따라, 종방향 평면의 제 1 측면에서 중심 축선을 따라서 보았을 때, 정중면과 제 2 측면 사이에 있는 절삭 인서트의 부분에 대해, 제 1 축선방향 접합면은 중심 축선으로부터 절삭 인서트의 가장 먼 표면인 제 1 표면 그룹의 표면을 형성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정중면과 제 2 측면 사이의 제 1 표면 그룹에는 리세스들이 제공되지 않는다. 따라서, 절삭 인서트는 소결 동안 개선된 형태 안정성으로 MAP 를 활용하여 제조될 수도 있다. 리세스들의 부족은 그린 보디가 MAP 작업 후에 소결될 때 절삭 인서트의 형태 안정성에 긍정적인 효과를 갖는다. 유사하게, 그리고 동일한 이유로, 정중면과 제 1 측면 사이에 있는 절삭 인서트의 부분에 대해, 제 2 축선방향 접합면은 중심 축선 (C) 으로부터 절삭 인서트의 가장 먼 표면인 제 2 표면 그룹의 표면을 형성한다.
추가의 일 실시형태에 따라, 중심 축선을 따라서 보았을 때, 제 1 주 절삭날은 제 1 단부로부터 종방향 평면을 향해 각을 이룰 수도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제 1 주 절삭날이 제 1 주 절삭날 아래에서 인서트의 보디에 의해 지지되기 때문에 강력한 제 1 주 절삭날이 제공될 수도 있다.
추가의 일 실시형태에 따라, 중심 축선을 따라서 보았을 때, 제 1 축선방향 접합면은 75 ~ 89 도의 범위 내에서 종방향 평면과 제 3 내부 각도를 형성할 수도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제 1 축선방향 접합면은 종방향 평면을 향해 릴리프와 배열될 수도 있다. 따라서, 제 1 축선방향 접합면은 MAP 작업에서 쉽게 제조될 수도 있다. 더욱이, 이러한 방식으로, 밀링 작업 동안 절삭 인서트에 가해진 축선방향 힘은, 제 2 절삭날이 작동가능한 위치에 있을 때, 인서트 착좌부로 반경방향 내측으로 절삭 인서트를 푸시하는 제 1 축선방향 지지 표면에서 반경방향 힘 성분을 제공할 수도 있다. 추가적으로, 제 1 축선방향 접합면의 영역이 확대될 수 있다. 따라서, 절삭 인서트는 인서트 착좌부 내에 보다 단단하게 위치결정될 수도 있다. 유사하게, 그리고 동일한 이유로, 제 2 접합면은 75 ~ 89 도의 범위 내의 종방향 평면과의 내부 각도를 형성할 수도 있다. 제 1 축선방향 접합면의 제 3 내부 각도는 제 2 접합면의 내부 각도와 바람직하게는 갖지만, 반드시 그러할 필요는 없다.
추가의 일 실시형태에 따라, 인서트는 제 2 축선을 중심으로 하는 회전에 대하여 180°의 회전 대칭을 가지고, 제 3 절삭날은 종방향 평면의 제 2 측면 상에서 원주방향 표면과 제 2 측면 사이의 교차부를 따라서 연장될 수도 있고, 제 3 절삭날은, 제 2 측면을 향하여 보았을 때, 절삭 인서트의 제 3 모서리를 따라서 연장되고, 제 3 절삭날은 제 3 주 절삭날, 제 3 모서리 절삭날, 및 제 3 표면-와이핑 2 차 절삭날을 포함하고, 제 3 주 절삭날은 제 3 모서리 절삭날에 접하고, 제 3 모서리 절삭날은 제 3 표면-와이핑 2 차 절삭날에 인접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추가의 절삭날은 절삭 인서트 상에 제공될 수도 있다. 게다가, 제 2 축선을 중심으로 하는 회전에 대하여 180°의 회전 대칭으로, 대응하는 제 4 절삭날은 제 2 쌍의 대향 측 표면들의 제 2 측 표면에서 종방향 평면의 제 2 측면에서 입증될 수도 있다.
추가의 일 실시형태에 따라, 제 2 쌍의 대향 측 표면들의 제 1 측 표면을 향해 제 1 축선을 따르는 방향으로 보았을 때, 제 3 축선방향 접합면 및 제 3 보조 절삭날에 인접한 제 3 축선방향 릴리프 면은 종방향 평면의 제 2 측면에서 제 3 표면 그룹의 일부를 형성할 수도 있고, 제 1 표면 그룹 및 제 3 표면 그룹은 구획선에서 만나고, 구획선은 종방향 평면에서 연장되고, 구획선은 제 1 측면으로부터 제 2 측면으로 연장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제 1 축선방향 릴리프 면 및 제 3 축선방향 릴리프 면은 MAP 작업에서 형성가능하다. 게다가, 또한 제 1 표면 그룹 및 제 3표면 그룹은 MAP 작업에서 형성가능하다. 보다 구체적으로, 그린 보디를 형성하기 위한 MAP 프레싱 공구는 원주방향 표면을 형상하기 위해 구성된 두 개의 부분들을 포함한다. 두 개의 부분들은, 두 개의 부분들의 표면들 상의 각 지점이 그린 보디에서 즉시 제거되는 방식으로 마무리-프레싱된 그린 보디로부터 선형 운동 경로에서 MAP 작업 후에 후퇴될 수 있다. 따라서, 절삭 인서트는 MAP 를 활용하여 제조하기 위해 구성된다.
실시형태들에 따라, 정중면에서, 둔각의 제 5 내부 각도는 제 1 표면 그룹과 제 3 표면 그룹 사이에 형성될 수도 있다. 제 5 내부 각도는 150 ~ 178 도의 간격 내에 있고, 바람직하게는 164 ~ 172 도의 간격 내에 있고, 바람직하게는 대략 168 도일 수도 있다.
실시형태들에 따라, 구획선은 별개의 선을 형성할 수도 있고, 그리고/또는 구획선은 직선으로 연장될 수도 있고, 그리고/또는 구획선은 정중면에 수직하게 연장될 수도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제 1 표면 그룹 및 제 3 표면 그룹은 MAP 작업에서 훨씬 더 쉽게 형성가능할 수도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MAP 작업에서 활용되는 프레싱 공구는 쉽게 제조된다. 예를 들어, 절삭 인서트의 구획선이 형성될 수도 있고, 여기에서 프레싱 공구의 두 개의 부분들이 서로에 대해 접하다. 게다가, 절삭 인서트는 소결 동안 개선된 형태 안정성으로 MAP 를 활용하여 제조될 수도 있다. 즉, 적어도 구획선을 따라서, 절삭 인서트는 따라서 임의의 리세스들을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고, 이는 그린 보디가 MAP 작업 후에 소결될 때, 절삭 인서트의 형태 안정성에 영향을 미칠 수도 있다.
실시형태들에 따라, 구획선을 통해 그리고 정중면과 평행한 임의의 섹션에서 보았을 때, 구획선은 제 1 축선방향 접합면 및/또는 제 3 축선방향 접합면에 바로 인접하여 연장될 수도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제 1 축선방향 접합면 및/또는 제 3 축선방향 접합면만이 구획선까지 연장된다. 따라서, 구획선을 형성하는 표면들의 개수는 제한되고, 그로 인해 MAP 를 사용하여 절삭 인서트를 형성하기 위한 프레싱 공구는 간략화된다. 프레싱 공구의 비용 효과적인 제조에 더하여, 또한 인서트 공차가 감소된다.
실시형태들에 따라, 제 1 축선을 따라서 보았을 때, 제 1 축선방향 릴리프 면은 중심 평면에서 돌출되고 종방향 평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높이를 가질 수도 있고, 높이는 종방향 평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제 1 모서리 절삭날을 향해 증가할 수도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제 1 축선방향 릴리프 면은 제 1 모서리 절삭날의 부근에서 가장 큰 높이를 갖는다. 따라서, 제 1 축선방향 릴리프 면에서 절삭날에 근접한 절삭 인서트의 파손 위험이 감소된다. 즉, 모서리 절삭날 부근의 영역은 밀링 동안 상당한 부하를 받는다. 제 1 축선방향 릴리프 면의 큰 높이는, 인접한 평면으로의 전이가 절삭날로부터 상당한 거리에 배열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전이부에서 응력 집중은 절삭날로부터 거리를 두어 형성되고, 이는 절삭날 가까이에 파단의 위험을 감소시킨다.
추가의 양태에 따라, 여기에는 공구 본체를 포함하는 회전 축선 주위에서 회전되도록 구성된 밀링 공구가 제공되고, 공구 본체는 그의 축선방향 단부 부분에 절삭 인서트를 수용하기 위한 인서트 시트를 구비한다. 밀링 공구는 인서트 착좌부 내에 배열된 이전의 청구범위들 중 하나에 따른 절삭 인서트를 포함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밀링 공구에는 인서트 착좌부 내에 정확히 위치결정된 절삭 인서트가 제공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절삭 인서트의 목표 두께로부터의 편차, 즉 절삭 인서트의 중심 축선을 따르는 방향으로의 편차는, 절삭 인서트가 밀링 공구의 인서트 착좌부에 탑재될 때, 절삭 인서트의 축선방향 스로우/런아웃에 영향을 미치지 않을 수 있거나, 적어도 제한된 정도로만 축선방향 스로우/런아웃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즉, 절삭 인서트의 두께 변화는, 축선방향 지지표면의 접선방향을 따라서 보았을 때, 숄더 밀링 공구의 인서트 착좌부 내 축선방향 지지 표면이 숄더 밀링 공구의 회전 축선에 수직하게 또는 실질적으로 수직하게 연장되면, 인서트 착좌부 내 절삭 인서트의 축선방향 위치에 영향을 미치지 않거나, 또는 실질적으로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즉, 제 1 축선방향 접합면 또는 제 2 축선방향 접합면이 전술한 바와 같이 인서트 착좌부 내 축선방향 지지 표면에 대해 접할 때, 절삭 인서트의 두께 변화는 인서트 착좌부 내 절삭 인서트의 축선방향 위치에 영향을 미치지 않거나, 또는 실질적으로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결과적으로, 숄더 밀링 공구의 인서트 착좌부 내에 정확히 위치결정된 밀링 공구가 제공된다.
밀링 공구는 스퀘어 숄더 밀링 공구일 수도 있다.
일 실시형태에 따라, 인서트 착좌부에는 접선방향 지지 표면, 반경방향 지지 표면, 및 축선방향 지지 표면이 제공될 수도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인서트 착좌부 내 절삭 인서트의 단단한 위치결정이 제공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반경방향 지지 표면 및/또는 축선방향 지지 표면은 인서트가 인서트 착좌부에 탑재될 때 절삭 인서트의 정중면에 의해 교차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인서트 착좌부 내 절삭 인서트의 단단한 위치결정이 제공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축선방향 지지 표면의 일부 및/또는 적어도 반경방향 지지 표면의 일부는, 인서트가 인서트 착좌부에 탑재될 때, 작동가능한 위치에 있는 절삭날과 동일한 중간면의 측면에 위치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인서트 착좌부 내 절삭 인서트의 단단한 그리고 안정적인 위치결정이 제공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축선방향 지지 표면의 일부 및/또는 적어도 반경방향 지지 표면의 일부는, 인서트가 인서트 착좌부에 탑재될 때, 동시에 적어도 축선방향 지지 표면의 제 2 부분 및/또는 적어도 반경방향 지지 표면의 제 2 부분은 정중면의 대향 측면에 위치될 때, 작동가능한 위치에 있는 절삭날과 동일한 정중면의 측면에 위치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인서트 착좌부 내 절삭 인서트의 단단한 그리고 안정적인 위치결정이 제공될 수도 있다.
추가의 일 실시형태에 따라, 축선방향 지지 표면은 접선방향 지지 표면에 수직하게 또는 실질적으로 수직하게 연장될 수도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인서트 착좌부 내 절삭 인서트의 단단한 위치결정이 제공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반경방향 지지 표면은 접선방향 지지 표면에 수직하게 또는 실질적으로 수직하게 연장될 수도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인서트 착좌부 내 절삭 인서트의 단단한 위치결정이 제공될 수도 있다.
추가의 일 실시형태에 따라, 축선방향 지지 표면은 제 1 지지 평면에서 연장될 수도 있고, 제 1 지지 평면은 제 1 축선방향 단부 부분에 대향하는 인서트 착좌부의 측면에서 회전 축선과 교차할 수도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밀링 작업 동안 절삭 인서트에 가해진 축선방향 힘은 반경방향 내측으로 절삭 인서트를 푸시하는 축선방향 지지 표면에서 반경방향 힘 성분을 제공할 수도 있다. 따라서, 절삭 인서트는 인서트 착좌부 내에 단단하게 위치결정될 수도 있다.
추가의 일 실시형태에 따라, 반경방향 지지 표면은 제 2 지지 평면에서 연장될 수도 있고, 제 2 지지 평면은 제 1 축선방향 단부 부분과 동일한 인서트 착좌부의 측면에서 회전 축선과 교차할 수도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절삭 인서트의 제 1 주 절삭날은 밀링 공구의 회전 축선과 동일한 중심 축선을 가지는 실린더의 벽에서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연장되도록 배열될 수도 있다. 따라서, 가공물에서의 밀링 작업은 밀링 공구의 회전 축선과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90° 의 가공물 표면을 초래할 수도 있다. 즉, 중심 축선을 따라서 보았을 때, 제 1 반경방향 릴리프 면의 적어도 일부가 적어도 제 1 주 절삭날의 일부를 따라서 제 1 주 절삭날의 외측으로 연장되어, 제 1 반경방향 릴리프 면이 주 절삭날의 제 1 단부를 향해서 보다는 주 절삭날의 제 2 단부를 향해서 제 1 주 절삭날의 보다 외측으로 연장되기 때문에, 제 2 지지 평면의 전술한 방향은 회전 축선과 평행한 연장부를 가지는 가공물 내에 90°의 벽 표면을 제공하는 위치를 향하여 제 1 주 절삭날을 틸팅한다.
추가의 일 실시형태에 따라, 절삭 인서트에는 접선방향 지지 표면에 대해 접하는 제 2 측면의 일부, 반경방향 지지 표면에 대해 접하는 원주방향 표면의 일부, 및 축선방향 지지 표면에 대해 접하는 제 1 축선방향 접합면이 배열될 수도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절삭 인서트는 인서트 착좌부 내에 단단하게 위치결정될 수도 있다.
추가의 일 실시형태에 따라, 인서트 착좌부는 인서트 착좌부에 배열된 절삭 인서트의 정중면에 대해 축선방향 레이크 각을 제공하도록 구성되고, 인서트 착좌부는 0 도와 동일한 축선방향 레이크 각 (γp) 또는 0 < |γp| ≤ 3 도의 범위 내의, 또는 0.5 ≤ |γp| ≤ 2 도의 범위 내의, 또는 대략 1 도의 절대값을 갖는 음의 축선방향 레이크 각 (γp) 을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밀링 공구의 축선방향으로 절삭 인서트의 낮은 틸팅이 제공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인서트 착좌부 내 절삭 인서트의 정확한 위치결정을 위한 제공이 달성될 수도 있다. 절삭 인서트의 목표 두께로부터의 편차, 즉 절삭 인서트의 중심 축선을 따르는 방향으로의 편차는 절삭 인서트의 축선방향 런아웃에 영향을 미치지 않을 수도 있거나, 적어도 제한된 정도로만 축선방향 스로우/런아웃에 영향을 미칠 수도 있다. 인서트 착좌부 내 축선방향 지지 표면이 밀링 공구의 회전 축선에 수직하거나 실질적으로 수직하게 연장될 때, 축선방향 지지 표면의 접선방향으로 보았을 때, 정중면에 수직하게 연장되는 절삭 인서트의 제 1 축선방향 접합면은, 절삭 인서트의 두께 변화가 인서트 착좌부 내 절삭 인서트의 축선방향 위치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것을 수반한다.
추가의 일 실시형태에 따라, 인서트 착좌부는 인서트 착좌부에 배열된 절삭 인서트의 정중면에 대해 음의 반경방향 레이크 각을 제공하도록 구성되고, 인서트 착좌부는 10 ≤ |γf| ≤ 30 도의 범위 내의, 또는 15 ≤ |γf| ≤ 25 도의 범위 내의 절대값을 가지는 음의 반경방향 레이크 각 (γf) 을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주 절삭날의 기능적 양의 릴리프 각은 반경방향 레이크 각에 의해 형성될 수도 있다. 즉, 중심 축선을 따라서 보았을 때, 제 1 반경방향 릴리프 면의 적어도 일부가 적어도 제 1 주 절삭날의 일부를 따라서 제 1 주 절삭날의 외측으로 연장되어, 제 1 반경방향 릴리프 면이 주 절삭날의 제 1 단부를 향해서 보다는 주 절삭날의 제 2 단부를 향해서 제 1 주 절삭날의 보다 외측으로 연장되기 때문에, 전술한 음의 반경방향 레이크 각은 기능상 양의 릴리프 각이 제 1 주 절삭날에 제공되도록 반경방향으로 절삭 인서트를 틸팅시킨다.
본 발명의 추가 특징들 및 장점들은 첨부된 청구항들 및 이하의 상세한 설명을 검토할 때 명백해질 것이다.
특정한 특징들 및 장점들을 포함한, 본 발명의 다양한 양태들 및/또는 실시형태들은 이하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 도면들에서 논의된 예시적인 실시형태들로부터 쉽게 이해될 것이다.
도 1a ~ 도 1g 는 실시형태들에 따른 절삭 인서트의 상이한 도면들을 도시하고,
도 2 는 절삭 인서트의 도면을 도시하고,
도 2a ~ 도 2e 는 도 2 에서 라인들 IIa ~ IIa, IIb ~ IIb, IIc ~ IIc, IId ~ IId, 및 IIe ~ IIe 각각을 따라서 연장되는 단면들을 도시하고,
도 3 은 절삭 인서트의 단면을 도시하고,
도 4 는 도 1d 에서 라인 IV ~ IV 을 따르는 단면을 도시하고, 또한
도 5a ~ 도 5d 는 실시형태들에 따른 밀링 공구의 상이한 도면들을 도시한다.
양태들 및/또는 실시형태들은 이제 보다 충분히 설명될 것이다. 동일한 번호는 전체에 걸쳐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간략화 및/또는 명료화를 위하여 잘 알려진 기능들 또는 구성들은 상세하게 설명될 필요가 없을 것이다. 이하에서, 여러 내부 각도들이 참조된다. 여기에서, 내부 각도는 각도가 절삭 인서트의 본체 내에서 또는 적어도 주로 본체 내에서 보여지는 그리고/또는 측정되는 것을 의미한다.
도 1a ~ 도 1g 는 실시형태들에 따른 절삭 인서트 (2) 의 상이한 도면들을 도시한다. 절삭 인서트 (2) 는 밀링 공구에서, 보다 구체적으로 스퀘어 숄더 밀링 공구에서 사용하도록 구성된다. 절삭 인서트 (2) 는 제 1 측면 (14), 상기 제 1 측면 (14) 에 대향하는 제 2 측면 (16), 및 상기 제 1 측면 (14) 과 상기 제 2 측면 (16) 사이에서 연장되는 원주방향 표면 (18) 을 포함한다. 원주방향 표면 (18) 은 제 1 쌍의 대향 측 표면들 (10, 11), 및 제 2 쌍의 대향 측 표면들 (12, 13) 을 포함한다 (도 1a, 도 1d 및 도 1g 참고).
제 1 측면 (14) 은 제 1 연장 평면 (P1) 을 규정한다. 제 2 측면 (16) 은 제 2 연장 평면 (P2) 을 규정한다. 중심 축선 (C) 은 제 1 연장 평면 및 제 2 연장 평면 (P1, P2) 을 통해 수직하게 연장된다. 이러한 실시형태들에서, 절삭 인서트 (2) 는 밀링 공구의 인서트 착좌부에서 예를 들어 스크류에 의해 절삭 인서트 (2) 를 고정하기 위한 관통 구멍 (9) 을 포함한다. 관통 구멍 (9) 은 절삭 인서트 (2) 를 통해 중앙으로 연장된다. 중심 축선 (C) 은 관통 구멍 (9) 의 중심을 따라서 연장된다. 대안의 실시형태들에 따라, 절삭 인서트는 관통 구멍을 포함하지 않고, 대신에 절삭 인서트는 클램핑 수단에 의해 밀링 공구의 인서트 착좌부 내에 고정될 수도 있다.
정중면 (MP) 은 제 1 연장 평면 (P1) 과 제 2 연장 평면 (P2) 의 중간에서 연장된다. 정중면 (MP) 은 제 1 연장 평면 및 제 2 연장 평면 (P1, P2) 과 평행하게 연장된다. 종방향 평면 (LP) 은 정중면 (MP) 에 수직하고 또한 중심 축선 (C) 을 포함하는, 제 1 쌍의 대향 측 표면들 (10, 11) 의 중간에서 연장된다. 중간 평면 (CP) 은 정중면 (MP) 및 종방향 평면 (LP) 모두에 수직하게 연장되고 또한 중심 축선 (C) 을 포함한다. 제 1 축선 (A1) 은 정중면 (MP) 과 종방향 평면 (LP) 사이의 교차점을 따라서 연장된다. 제 2 축선 (A2) 은 정중면 (MP) 과 중간 평면 (CP) 사이의 교차점을 따라서 연장된다. 중심 축선 (C) 및 제 1 축선과 제 2 축선 (A1, A2) 은 도 1a 및 도 1d 에 도시되어 있다.
제 1 연장 평면 및 제 2 연장 평면 (P1, P2), 정중면 (MP), 종방향 평면 (LP), 및 중간 평면 (CP) 은 가상의 평면이고, 또한 도 1e ~ 도 1g 에 도시되어 있다. 정중면 (MP) 은 전체 원주방향 표면 (18) 을 통해 연장된다. 종방향 평면 (LP) 은 제 2 쌍의 대향 측 표면들 (12, 13) 을 통해 연장된다. 중간 평면 (CP) 은 제 1 쌍의 대향 측 표면들 (10, 11) 을 통해 연장된다.
제 1 측면 (14) 에서, 절삭 인서트 (2) 는 원주방향 표면 (18) 사이에서 연장되는 제 1 표면 (15) 을 포함한다. 제 1 표면 (15) 은 그의 부분들을 따라서 실질적으로 편평할 수도 있다. 다른 부분들, 예컨대 절삭날들에 더 가까운 부분들에서, 제 1 표면 (15) 은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레이크 면들을 제공하기 위해 상승될 수도 있다. 제 2 측면 (14) 에서, 절삭 인서트 (2) 는 원주방향 표면 (18) 사이에서 연장되는 제 2 표면 (17) 을 포함한다. 제 2 표면 (17) 은 그의 부분들을 따라서 실질적으로 편평할 수도 있다. 다른 부분들, 예컨대 절삭날들에 더 가까운 부분들에서, 제 2 표면 (17) 은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레이크 면들을 제공하기 위해 상승될 수도 있다.
제 1 절삭날 (20) 은 종방향 평면 (LP) 의 제 1 측면에서 원주방향 표면 (18) 과 제 1 측면 (14) 사이의 교차점을 따라 연장된다 (예컨대 도 1a, 도 1c, 및 도 1g 참고). 제 1 측면 (14) 을 향한 도면에서, 즉 중심 축선 (C) 을 따르는 도면 (도 1g) 에서 보았을 때, 제 1 절삭날 (20) 은 절삭 인서트 (2) 의 제 1 모서리 (22) 를 따라서 연장된다. 제 2 절삭날 (23) 은 종방향 평면 (LP) 의 제 1 측면에서 원주방향 표면 (18) 과 제 2 측면 (16) 사이의 교차점을 따라서 연장된다 (예를 들어 도 1a ~ 도 1c 참고). 제 2 측면 (16) 을 향하는 도면에서 보았을 *, 제 2 절삭날 (23) 은 절삭 인서트 (2) 의 제 2 모서리 (22') 를 따라서 연장된다.
제 1 절삭날 (20) 은 제 1 측면 (14) 과 제 1 쌍의 대향 측 표면들 (10, 11) 의 제 1 측 표면 (10) 과 제 2 쌍의 대향 측 표면들 (12, 13) 의 제 1 측 표면 (12) 사이의 교차점을 따라서 연장된다. 제 2 절삭날 (23) 은 제 2 측면 (16) 과 제 1 쌍의 대향 측 표면들 (10, 11) 의 제 1 측 표면 (10) 과 제 2 쌍의 대향 측 표면들 (12, 13) 의 제 2 측 표면 (13) 사이의 교차점을 따라서 연장된다.
제 1 절삭날 (20) 은 제 1 주 절삭날 (24), 제 1 모서리 절삭날 (26), 및 제 1 보조 절삭날 (38) 을 포함한다. 제 1 보조 절삭날 (38) 은 제 1 표면-와이핑 2 차 절삭날 (28) 을 포함한다. 제 1 주 절삭날 (24) 는 제 1 모서리 절삭날 (26) 에 인접해 있고, 제 1 모서리 절삭날 (26) 은 제 1 표면-와이핑 2 차 절삭날 (28) 에 인접해 있다. 제 2 절삭날 (23') 은 제 2 주 절삭날 (24'), 제 2 모서리 절삭날 (26'), 및 제 2 보조 절삭날 (38') 을 포함한다. 제 2 보조 절삭날 (38') 은 제 2 표면-와이핑 2 차 절삭날 (28') 을 포함한다. 제 2 주 절삭날 (24') 은 제 2 주 절삭날 (24') 의 제 1 단부 (27') 에서 제 2 모서리 절삭날 (26') 에 인접해 있고, 제 2 모서리 절삭날 (26') 은 제 2 표면-와이핑 2 차 절삭날 (28') 에 인접해 있다. 제 1 보조 절삭날 (38) 및 제 2 보조 절삭날 (38') 은 종방향 평면 (LP) 에 근접한 그들 각각의 마지막 부분을 따라서 절삭 능력을 가질 필요는 없다. 성능에 대해 제 1 표면-와이핑 2 차 절삭날 (28) 및 제 2 절삭날 부분 (39) 이 절삭 능력을 가지는 것으로 충분하다. 이는 제 2 보조 절삭날 (38') 의 대응하는 부분들에 대해서도 유효하다.
도 1f 의 도면에서, 제 2 축선 (A2) 을 따라서 보았을 때, 제 1 주 절삭날 (24) 은 오목한 형상을 갖는다. 이는 다른 주 절삭날들에도 적용된다. 그러나, 주 절삭날들의 형상은 또한 제 2 축선 (A2) 을 따라서 보았을 때 볼록하거나 직선형일 수도 있다.
제 3 절삭날 (20') 은 종방향 평면 (LP) 의 제 2 측면에서 원주방향 표면 (18) 과 제 2 측면 (16) 사이의 교차점을 따라서 연장된다. 제 2 측면 (16) 을 향하여, 즉 중심 축선 (C) 을 따라서 보았을 때, 제 3 절삭날 (20') 은 절삭 인서트 (2) 의 제 3 모서리 (22''') 를 따라서 연장된다 (예를 들어 도 1c 및 도 1c 참고). 제 3 절삭날 (20') 은 제 2 측면 (16) 과 제 1 쌍의 대향 측 표면들 (10, 11) 의 제 2 측 표면 (11) 과 제 2 쌍의 대향 측 표면들 (12, 13) 의 제 1 측 표면 (12) 사이의 교차점을 따라서 연장된다.
제 3 절삭날 (20') 은 제 3 주 절삭날 (24'), 제 3 모서리 절삭날 (26'), 및 제 3 보조 절삭날 (38') 을 포함한다. 제 3 보조 절삭날 (38') 은 제 3 표면-와이핑 2 차 절삭날 (28') 을 포함한다. 제 3 주 절삭날 (24') 은 제 3 모서리 절삭날 (26') 에 인접해 있고, 제 3 모서리 절삭날 (26') 은 제 3 표면-와이핑 2 차 절삭날 (28') 에 인접해 있다.
이러한 실시형태들에서, 절삭 인서트 (2) 는 제 1 절삭날 및 제 3 절삭날 (20, 23) 에 대향하여 배열된 제 4 절삭날 (23') 을 더 포함한다. 제 4 절삭날 (23') 은 제 1 측면 (14) 과 제 1 쌍의 대향 측 표면들 (10, 11) 의 제 2 측 표면 (11) 과 제 2 쌍의 대향 측 표면들 (12, 13) 의 제 2 측 표면 (13) 사이의 교차점을 따라서 연장된다.
이러한 실시형태들에서, 인서트 (2) 는 제 2 축선 (A2), 제 1 축선 (A1), 및 중심 축선 (C) 의 각각을 중심으로 하는 회전에 대해 180°의 회전 대칭을 갖는다. 대안의 실시형태들에 따라, 절삭 인서트는 4 개 미만의 절삭날들을 가지고, 인서트는 제 2 축선 (A2) 을 중심으로 하는 회전에 대해 180°의 회전 대칭을 가질 수도 있다.
이러한 실시형태들에서, 절삭 인서트 (2) 는 양면형이고 4 회 날교환 가능하며, 즉 절삭 인서트 (2) 는 총 4 개의 동일한 절삭날들 (20, 23, 20', 23') 을 포함하여서, 절삭 인서트 (2) 는 가공물을 밀링하기 위해 한 번에 하나의 활성 절삭날을 제공하도록, 스퀘어 숄더 밀링 공구에서 4 개의 상이한 날교환 위치들에 탑재될 수 있다.
절삭날들 (20, 23, 20', 23') 의 각각에 대해, 다음이 적용된다. 숄더 밀링 공구에 배열될 때, 주 절삭날 (24) 은 숄더 밀링 공구의 축선방향으로 연장되고 숄더 밀링 공구의 반경방향으로 가공물로 이송된다. 보조 절삭날 (38) 및 표면-와이핑 2차 절삭날 (28) 은 숄더 밀링 공구의 반경방향으로 연장된다. 숄더 밀링 작업에서, 주 절삭날 (24) 은 가공물에 주요 절삭 (major cut) 을 수행하고, 표면-와이핑 2차 절삭날 (28) 은 얕은 표면 평활화 절삭만 수행한다. 보조 절삭날 (38) 및 표면-와이핑 2차 절삭날 (28) 은 정중면 (MP) 에 대해 경사져서, 정중면 (MP) 까지의 거리는 모서리 절삭날 (26) 를 향하여 종방향 평면 (LP) 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증가한다. 따라서, 모서리 절삭날 (26) 에 근접하게, 보조 절삭날 (38) 은 종방향 평면 (LP) 을 향해서 보다는 정중면 (MP) 으로부터 더 멀리 연장된다.
제 1 쌍의 대향 측 표면들 (10, 11) 은 밀링 공구의 인서트 착좌부에 배열될 때 반경방향 내측으로 그리고 외측으로 향하도록 구성된다. 제 2 쌍의 대향 측 표면들 (12, 13) 은 밀링 공구의 인서트 착좌부에 배열될 때 두 개의 대향하는 축선방향들로 향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제 1 쌍의 대향 측 표면들 (10, 11) 의 각각은 2 개의 반경방향 릴리프 면들과 반경방향 접합면을 포함하고, 제 2 쌍의 대향 측 표면들 (12, 13) 의 각각은 2 개의 축선방향 릴리프 면들 및 2 개의 축선방향 접합면들을 포함한다.
중간 평면 (CP) 을 따르는 절삭 인서트 (2) 의 폭 (W) 과 종방향 평면 (LP) 을 따르는 절삭 인서트의 길이 (L) 사이의 관계 (W:L) 는 1:1.2 내지 1:2 의 범위 내에 있을 수도 있다. 예를 들어 W = 10,76 mm 및 L = 17,79 mm 이 순전히 예로서 언급된다. 제 1 모서리 절삭날 및 제 2 모서리 절삭날 (26, 26') 은 예를 들어 0,8 mm 또는 1,2 mm 또는 1,6 mm 의 반경과 같은, 가공물에서 표준 모서리 반경, 또는 임의의 다른 표준 또는 비표준 모서리 반경값을 형성하기 위해 절삭 인서트 모서리 반경을 가질 수도 있다.
제 1 축선방향 릴리프 면 (30) 은 제 1 보조 절삭날 (38) 에 인접하게 배열된다. 제 1 축선방향 릴리프 면 (30) 은 도 1a 에서 제 1 방향으로 해칭으로 표시된다. 제 2 쌍의 대향 측 표면들 (12, 13) 중 제 1 측 표면 (12) 을 향하여 제 1 축선 (A1) 을 따르는 방향으로 보았을 때, 제 1 축선방향 릴리프 면 (30) 및 제 1 축선방향 접합면 (32) 은 종방향 평면 (LP) 의 제 1 측면 상에 제 1 표면 그룹 (34) 의 부분을 형성한다. 제 1 축선방향 접합면 (32) 은 도 1a 에서 제 2 방향으로 해칭으로 표시된다. 제 1 축선방향 접합면 (32) 은 제 2 절삭날 (23') 이 밀링 공구에서 활성 절삭날을 형성하기 위해 위치결정될 때 숄더 밀링 공구의 인서트 착좌부에서 축선방향 지지 표면에 대해 접하도록 구성된다. 도 1a 에서, 제 1 표면 그룹 (34) 은 단지 파선으로 대략적으로 표시된다. 제 1 표면 그룹 (34) 은 예를 들어 제 1 축선방향 릴리프 면 (30) 과 제 1 축선방향 접합면 (32) 사이의 전이면과 같은 추가의 표면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제 2 축선방향 릴리프 면 (30') 은 제 2 보조 절삭날 (38') 에 인접하게 배열된다. 제 2 축선방향 릴리프 면 (30') 은 도 1b 에서 제 1 방향으로 해칭으로 표시된다. 제 2 쌍의 대향 측 표면들 (12, 13) 중 제 1 측 표면 (12) 을 향하여 제 1 축선 (A1) 을 따르는 방향으로 보았을 때, 제 2 축선방향 릴리프 면 (30') 및 제 2 축선방향 접합면 (32') 은 종방향 평면 (LP) 의 제 1 측면 상에 제 2 표면 그룹 (34') 의 부분을 형성한다. 제 2 축선방향 접합면 (32') 은 도 1b 에서 제 2 방향으로 해칭으로 표시된다. 제 2 축선방향 릴리프 면 (30'), 제 2 축선방향 접합면 (32'), 및 제 2 측면 상에 제 2 표면 그룹 (34') 은 예를 들어 도 1b 에서 도시되어 있다. 제 2 축선방향 접합면 (32') 은 제 1 절삭날 (20) 이 숄더 밀링 공구에서 활성 절삭날을 형성하기 위해 위치결정될 때 밀링 공구의 인서트 착좌부에서 축선방향 지지 표면에 대해 접하도록 구성된다. 도 1b 에서, 제 2 표면 그룹 (34') 은 단지 파선으로 대략적으로 표시된다. 제 2 표면 그룹 (34') 은 예를 들어 제 2 축선방향 릴리프 면 (30') 과 제 2 축선방향 접합면 (32') 사이의 전이면과 같은 추가의 표면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제 1 표면 그룹 (34) 및 제 2 표면 그룹 (34') 은 원주방향 표면 (18) 의 부분을 형성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 1 표면 그룹 (34) 은 제 2 쌍의 대향 측 표면들 (12, 13) 의 제 1 측 표면 (12) 의 부분들을 형성하고, 제 2 표면 그룹 (34') 은 제 2 쌍의 대향 측 표면들 (12, 13) 의 제 2 측 표면 (13) 의 부분을 형성한다.
원주방향 표면 (18) 은 제 1 측면 (14) 과 제 2 측면 (16) 사이에서 연장되고 제 1 쌍의 대향 측 표면 (10, 11) 의 각 표면을 제 2 쌍의 대향 측 표면들 (12, 13) 의 각 표면에 연결하는 4 개의 모서리 표면들을 포함한다. 양자의 제 1 축선방향 릴리프 면 (30) 및 제 1 축선방향 접합면 (32) 은 제 1 모서리 표면에 인접하고, 바람직하게는 제 1 모서리 표면에 접선방향으로 연결된다. 양자의 제 2 축선방향 릴리프 (30') 면 및 제 2 축선방향 접합면 (32') 은 제 2 모서리 표면에 인접하고, 바람직하게는 제 2 모서리 표면에 접선방향으로 연결된다. 모서리 표면들은 각각의 모시러 절삭날들에 인접하고 - 제 1 모서리 표면은 제 1 모서리 절삭날 (26) 에 인접하고, 제 2 모서리 표면은 제 2 모서리 절삭날 (26') 에 인접한다.
제 3 축선방향 릴리프 면 (30') 은 제 3 보조 절삭날 (38') 에 인접하게 배열된다. 제 2 쌍의 대향 측 표면들 (12, 13) 중 제 2 측 표면 (13) 을 향하여 제 1 축선 (A1) 을 따르는 방향으로 보았을 때, 제 3 축선방향 릴리프 면 (30'') 및 제 3 축선방향 접합면 (32'') 은 종방향 평면 (LP) 의 제 2 측면 상에 제 3 표면 그룹 (34'') 의 부분을 형성한다. 제 1 표면 그룹 (34) 및 제 3 표면 그룹 (34'') 은 구획선 (L) 에서 만난다. 구획선 (L) 은 제 1 측면 (14) 으로부터 제 2 측면 (16) 으로 연장된다.
구획선 (L) 은 종방향 평면 (LP) 에서 제 2 쌍의 대향 측 표면들 (12, 13) 의 제 1 측 표면 (12) 을 따라서 연장되고, 또한 제 1 측 표면 (12) 을 두 개의 절반부들로 분할한다고 말할 수도 있다. 대응하는 방식으로, 구획선은 제 2 쌍의 대향 측 표면들 (12, 13) 의 제 2 측 표면 (13) 을 따라서 연장되고, 또한 제 2 측 표면 (13) 을 두 개의 절반부들로 분할한다고 말할 수도 있다.
구획선 (L) 은 절삭 인서트를 볼 때 볼 수 있는 뚜렷한 선을 형성할 수도 있다. 즉, 제 1 표면 그룹 (34) 및 제 3 표면 그룹 (34'') 은 구획선 (L) 에서 실질적으로 편평할 수도 있고, 제 1 표면 그룹 (34) 과 제 3 표면 그룹 (34'') 사이의 각도 차이는 구획선 (L) 이 뚜렷한 선을 형성하도록 되어 있다. 대안적으로, 구획선 (L) 은 예를 들어 제 1 표면 그룹 (34) 과 제 2 표면 그룹 (34') 사이에서 연장되고 그의 일부를 형성하는 라운딩된 리지를 따라서 연장될 수도 있다.
이러한 실시형태들에서, 구획선 (L) 은 직선이고 (도 1e 참조), 구획선 (L) 은 정중면 (MP) 에 수직하게 연장된다 (도 1f 참고).
이러한 실시형태에서, 구획선 (L) 을 통해 그리고 정중면 (MP) 과 평행한 임의의 섹션에서 보았을 때, 구획선 (L) 은 제 1 축선방향 접합면 (32) 및/또는 제 3 축선방향 접합면 (32'') 에 바로 인접하여 연장될 수도 있다. 따라서, 구획선 (L) 은 제 1 축선방향 접합면 (32) 및 제 3 축선방향 접합면 (32'') 중 적어도 하나의 사이의 교차점에서 형성된다. 구획선 (L) 은 제 1 축선방향 릴리프 면 (30) 의 작은 부분 및 제 3 축선방향 릴리프 면 (30'') 의 작은 부분에 바로 인접하게 또한 연장된다. 제 1 축선방향 릴리프 면 (30) 및 제 3 축선방향 릴리프 면 (30'') 이, 구획선 (L) 의 바로 부근에서, 제 1 축선방향 접합면 (32) 및 제 3 축선방향 접합면 (32'') 각각과 동일 평면에 있으므로, 구획선 (L) 은 직선이다.
제 1 축선 (A1) 을 따라서 보았을 때, 제 1 축선방향 접합면 (32) 및 제 3 축선방향 접합면 (32'') 은 제 2 쌍의 대향 측 표면들 (12, 13) 의 제 1 측 표면 (12) 을 따라서 함께 연속적으로 연장된다.
제 1 쌍의 대향 측 표면들 (10, 11) 의 제 1 측 표면 (10) 은 제 1 주 절삭날 (24) 에 인접하게 배열된 제 1 반경방향 릴리프 면 (50) 을 포함한다 (도 1a ~ 도 1c 참고). 제 1 반경방향 릴리프 면 (50) 은 도 1a 에서 제 1 방향으로 해칭으로 표시된다. 중심 축선 (C) 을 따라서 보았을 때, 즉 도 1g 의 도면에서 보았을 때, 제 1 반경방향 릴리프 면 (50) 의 적어도 일부는 적어도 제 1 주 절삭날 (24) 의 일부를 따라서 제 1 주 절삭날 (24) 의 외측으로 연장되어, 제 1 반경방향 릴리프 면 (50) 은 주 절삭날 (24) 의 제 1 단부 (27) 를 향해서 보다는 주 절삭날 (24) 의 제 2 단부 (29) 를 향해서 제 1 주 절삭날 (24) 의 외측으로 보다 연장된다. 중심 축선 (C) 을 따라서 보았을 때, 제 1 주 절삭날 (24) 은 또한 제 1 단부 (27) 로부터 종방향 평면 (LP) 을 향해 각을 이룰 수도 있다.
유사한 방식으로, 제 1 쌍의 대향 측 표면들 (10, 11) 의 제 1 측 표면 (10) 은 제 2 주 절삭날 (24') 에 인접하게 배열된 제 2 반경방향 릴리프 면 (50') 을 포함한다. 제 2 반경방향 릴리프 면 (50') 은 도 1a 에서 제 2 방향으로 해칭으로 표시된다. 다시, 중심 축선 (C) 을 따르는 도면에서, 이번은 반대 방향으로부터 보았을 때, 제 2 반경방향 릴리프 면 (50') 의 적어도 일부는 제 1 반경방향 릴리프 면 (50) 이 제 1 주 절삭날 (24) 에 관하여 그러한 것과 동일한 방식으로 제 2 절삭날 (24') 의 외측으로 연장된다.
제 1 쌍의 대향 측 표면들 (10, 11) 의 제 1 측 표면 및 제 2 측 표면 (10, 11) 의 각각은 제 1 반경방향 릴리프 면 및 제 2 반경방향 릴리프 면 사이에 배열된 반경방향 접합면 (25) 을 포함한다 (도 1d 참고). 반경방향 접합면 (25) 은 도 1d 에서 해칭으로 표시된다. 반경방향 접합면 (25) 은 바람직하게는 정중면 (MP) 에 수직하고, 바람직하게는 중간 평면에 수직하고, 그리고/또는 바람직하게는 종방향 평면 (LP) 에 평행하다.
이하에서, 도 1c, 도 2 ~ 도 2b 가 참조된다. 도 2a 및 도 2b도 2 의 라인들 IIa - IIa 및 IIb - IIb 각각을 따라서 종방향 평면 (LP) 과 평행하게 연장되는 단면들을 도시한다. 도 2a 및 도 2b 의 도면들 각각에서와 같이 종방향 평면 (LP) 와 평행한 평면에서 보았을 때, 제 1 축선방향 릴리프 면 (30) 은 둔각의 제 1 내부 각도 (X) 로 제 1 표면-와이핑 2 차 절삭날 (28) 로부터 정중면 (MP) 으로 연장된다. 대응하는 방식으로, 제 2 축선방향 릴리프 면 (30') 의 제 1 부분 (31') 은 종방향 평면 (LP) 에 평행한 섹션에서 보았을 때 정중면 (MP) 과 둔각의 제 2 내부 각도 (X') 를 형성한다 (도 2 의 라인 IIe - IIe 을 따르는 단면을 도시하는 도 2e 참고). 이러한 방식으로, 양의 축선방향 릴리프 각도는 제 1 표면-와이핑 2 차 절삭날 및 제 2 표면-와이핑 2 차 절삭날 (28, 28') 에서 절삭 인서트 (2) 내에 제공된다.
제 1 내부 각도 (X) 및 제 2 내부 각도 (X') 는 91 ~ 115 도의 범위 내에, 바람직하게는 94 ~ 110 도의 범위 내에 있거나, 대략 97 도일 수도 있다. 따라서, 정중면 (MP) 의 법선과 관련하여, 1 ~ 25 도의 범위 내의, 바람직하게는 4 ~ 20 도의 범위 내의 양의 릴리프 각이 제공될 수도 있다. 제 1 내부 각도 (X) 및 제 2 내부 각도 (X') 는 바람직하게는 제 1 표면-와이핑 2 차 절삭날 및 제 2 표면-와이핑 2 차 절삭날 (28, 28') 을 따라서 서로 동일하지만 반드시 그러할 필요는 없다. 제 1 내부 각도 (X) 의 값은 제 1 표면-와이핑 2 차 절삭날들 (28) 을 따라서 변할 수도 있다. 제 2 내부 각도 (X') 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도 3도 1a ~ 도 1g 의 절삭 인서트 (2) 의 단면을 도시한다. 도 3 의 단면은 정중면 (MP) 의 평면에서 연장된다. 절삭 인서트 (2) 를 통과하는 정중면 (MP) 의 단면에서, 즉 도 3 의 도면에서, 종방향 평면 (LP) 과 평행한 방향으로 측정했을 때, 절삭 인서트 (2) 는 종방향 평면 (LP) 을 따라서 가장 길다. 도 1f 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축선 (A2) 을 따르는, 즉 종방향 평면 (LP) 에 수직하고 제 1 쌍의 대향 측 표면들 (10, 11) 의 제 1 측 표면 (10) 을 향하는 방향으로 보았을 때, 제 1 표면 그룹 및 제 2 표면 그룹 (34, 34') 의 각 지점은 종방향 평면 (LP) 상에서 유일한 돌출 지점을 갖는다. 이는 제 1 표면 그룹 및 제 2 표면 그룹 (34, 34') 각 지점이 제 2 축선 (A2) 을 따르는 도면에서 볼 수 있도록 제 1 표면 그룹 및 제 2 표면 그룹 (34, 34') 각각이 배열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유사한 방식으로, 제 2 축선 (A2) 을 따르는 반대 방향으로의 도면에서, 제 3 표면 그룹 (34''), 뿐만 아니라 제 4 절삭날 (23') 에서의 대응하는 제 4 표면 그룹의 각 지점은 종방향 평면 (LP) 상에 유일한 돌출 지점을 갖는다. 이는 제 3 표면 그룹 (34'') 의 각 지점이 제 2 축선 (A2) 을 따르는 그리고 제 1 쌍의 대향 측 표면들 (10, 11) 의 제 2 측 표면 (11) 을 향하는 도면에서 볼 수 있도록 제 3 표면 그룹 (34'') 이 배열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제 4 표면 그룹에도 적용된다.
따라서, 절삭 인서트 (2) 는 종방향 평면 (LP) 에서 관련 프레싱 공구의 분할선을 갖는 MAP 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제 1 표면 그룹 및 제 2 표면 그룹 (34, 34') 은 MAP 작업에서 형성될 수도 있다. 종방향 평면 (LP) 에서 프레싱 공구의 분할선을 위치시킬 수 있다는 것은, 프레싱 공구가 복잡하지 않아서 쉽게 생산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게다가, 분할선은 MAP 작업으로부터의 인서트 (2) 내의 임의의 버 (burr) 가 절삭 인서트 (2) 의 사용에 임의의 상당한 정도로 영향을 미치지 않을 영역에 위치결정된다. 특히, 종방향 평면 (LP) 에의 버는 밀링 공구의 인서트 착좌부 내에 위치결정될 때 절삭 인서트 (2) 의 축선방향 위치에 영향을 미치지 않을 것이다.
종래의 프레싱 프로세스를 활용하여 절삭 인서트를 제조할 때, 분말 화합물은 두 개의 수직 스탬프들 사이에서 다이의 리세스로 프레싱되어 그린 보디를 형성하고, 이는 소결 후 절삭 인서트를 형성한다. MAP 에서, 당해 분말 화합물은 제조될 그린 보디의 제 1 측면 (14) 및 제 2 측면 (16) 을 형성하기 위한 두 개의 스탬프들 사이뿐만 아니라, 원주방향 표면 (18) 을 형성하는 두 개의 추가의 스탬프들 사이에서 프레싱된다.
여기에서 설명된 방식으로 절삭 인서트 (2) 를 성형함으로써, 즉 제 2 축 (A2) 을 따르는 방향으로 보았을 때, 제 1 표면 그룹 (34) 의 각 지점은 종방향 평면 (LP) 에 고유한 돌출 지점을 가지고, 제 2 표면 그룹 (34') 의 각 지점은 종방향 평면 (LP) 상에 고유한 돌출 지점을 가지고, 원주방향 표면 (18) 을 형성하는 두 개의 스탬프들은 스탬프 표면들 상의 각 지점이 그린 보디의 임의의 표면을 스크래칭하지 않으면서 그린 보디로부터 즉시 제거되는 방식으로 마무리-프레싱된 그린 보디로부터 선형 운동 경로로 후퇴될 수 있다. 즉, 절삭 인서트 (2) 의 디자인은 양호한 표면 품질을 보장하고, 이는 결과적으로 양호한 치수 정확도를 갖는 직접 프레싱된, 그라운딩되지 않은 절삭 인서트들의 제조를 허용한다. 따라서, 절삭 인서트 (2) 는 프레싱 및 소결 직후에 그리고 그라인딩 등에 의해 후처리될 필요 없이 최종 형상을 얻을 수도 있다. 자연적으로, 절삭 인서트 (2) 의 하나 이상의 표면들 또는 날들은 특정 공차 또는 엣지 선명도의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소결 후에 그라인딩될 수도 있다.
정중면 (MP) 에서, 둔각의 제 5 내부 각도 (ε) 는 제 1 표면 그룹 (34) 과 제 3 표면 그룹 (34'') 사이에 형성될 수도 있다. 더욱이, 정중면 (MP) 에 평행한 그리고 양자의 제 1 표면 그룹 및 제 3 표면 그룹 (34, 34'') 을 통한 임의의 평면에서, 둔각의 제 5 내부 각도 (ε) 는 제 1 표면 그룹과 제 3 표면 그룹 (34, 34'') 사이에 형성될 수도 있다. 제 5 내부 각도 (ε) 는 각 평면에서 동일할 필요는 없다. 따라서, 내부 각도 (ε) 는 하나 이상의 정중면 (MP) 과 상기 정중면과 평행한 평면들 사이에서 변할 수도 있다.
둔각의 제 5 내부 각도 (ε) 는 150 ~ 178 도의 범위 내에, 바람직하게는 164 ~ 172 도의 범위 내에 있을 수도 있다. 순전히 예로서 언급된, 둔각의 제 5 내부 각도 (ε) 는 정중면 (MP) 에서 대략 168 도일 수도 있다.
도 3 을 참조하여, 중심 축선 (C) 을 따라서 보았을 때, 제 1 축선방향 접합면 (32) 은 75 ~ 88 도의 범위 내에서 종방향 평면 (LP) 과 제 3 내부 각도 (δ) 를 형성한다.
도 2 를 참조하여, 중심 축선 (C) 을 따라서 보았을 때, 제 1 표면-와이핑 2 차 절삭날 (28), 또는 제 1 표면-와이핑 2 차 절삭날의 접선은 제 4 내부 각도 (φ) 로 종방향 평면 (LP) 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 4 내부 각도 (φ) 는 ≤ 89 도 이고, 상기 제 4 내부 각도 (φ) 는 바람직하게는 제 3 내부 각도 (δ) 보다 더 크다. 이러한 방식으로, 제 1 표면-와이핑 2 차 절삭날은, 중심 축선 (C) 을 따라서 보았을 때, 제 1 축선방향 접합면을 넘어서 연장될 것이다. 따라서, 절삭 인서트는 정중면의 작은 축선방향 레이크 각이 없거나 단지 작은 밀링 공구의 인서트 착좌부에 배열될 수도 있고, 제 1 표면-와이핑 2 차 절삭날은 가공물과의 절삭 맞물림을 위해 제 1 축선방향 접합면으로부터 충분히 돌출된다. 제 4 내부 각도 (φ) 는 또한 제 3 내부 각도 (δ) 과 같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a 및 도 1b 를 참조하면, 제 1 축선방향 접합면 (32) 은 실질적으로 편평한 표면을 형성한다. 유사하게, 제 2 축선방향 접합면 (32') 은 실질적으로 편평한 표면을 형성한다. 따라서, 제 1 축선방향 접합면 (32) 및 제 2 축선방향 접합면 (32') 은 밀링 공구의 인서트 착좌부에서 축선방향 지지 표면에 대해 한 번에 하나씩 접합하기에 특히 적합하다. 제 1 축선방향 접합면 (32) 은 정중면 (MP) 에 수직하게 연장된다. 유사하게, 제 2 축선방향 접합면 (32') 은 정중면 (MP) 에 수직하게 연장된다. 따라서 스퀘어 숄더 밀링 공구의 인서트 착좌부에서 절삭 인서트의 정확한 축선방향 위치결정이 달성될 수도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그리고 밀링 공구와 관련하여 후술되는 바와 같이, 절삭 인서트의 목표 두께로부터의 편차는 절삭 인서트의 축선방향 런아웃에 적어도 단지 제한된 정도로만 영향을 미칠 것이고, 또한 일부 경우에는 전혀 영향을 미치지 않을 것이다.
예를 들어 도 3 으로 돌아와서, 종방향 평면 (LP) 의 제 1 측면에서 중심 축선 (C) 을 따라서 보았을 때, 정중면 (MP) 과 제 2 측면 (16) 사이에 있는 절삭 인서트 (2) 의 부분에 대해, 제 1 축선방향 접합면 (32) 은 중심 축선 (C) 으로부터 절삭 인서트 (2) 의 가장 먼 표면인 제 1 표면 그룹 (34) 의 표면을 형성한다. 따라서, 정중면 (MP) 과 제 2 측면 (16) 사이의 제 1 표면 그룹 (34) 에는 리세스들 또는 돌출부들이 제공되지 않는다.
유사한 방식으로, 제 2 쌍의 대향 측 표면들 (12, 13) 의 제 2 측 표면 (13) 상에서, 다시 종방향 평면 (LP) 의 제 1 측면 상에서 중심 축선 (C) 을 따라서 보았을 때, 정중면 (MP) 과 제 1 측면 (14) 사이의 절삭 인서트 (2) 의 부분에 대해, 제 2 축선방향 접합면 (32') 은 중심 축선 (C) 으로부터 절삭 인서트 (2) 의 가장 먼 표면인 제 2 표면 그룹 (34') 의 표면을 형성한다.
제 1 축선방향 접합면 (32) 은 정중면 (MP) 으로부터 제 2 측면 (16) 을 향해 연장되는 실질적으로 편평한 표면을 형성할 수도 있다. 제 2 축선방향 접합면 (32') 은 정중면 (MP) 으로부터 제 1 측면 (14) 을 향해 연장되는 실질적으로 편평한 표면을 형성한다.
제 1 축선방향 접합면 (32) 은 정중면 (MP) 으로부터 제 2 측면 (16) 을 향해 연장되는 실질적으로 편평한 표면을 형성할 수도 있다. 제 2 축선방향 접합면 (32') 은 정중면 (MP) 으로부터 제 1 측면 (14) 으로 연장되는 실질적으로 편평한 표면을 형성한다.
중간 평면 (CP) 상에서 돌출되고 또한 제 1 축선 (A1) 을 따르는 방향으로 보았을 때, 제 1 축선방향 접합면 (32) 은 제 1 표면 그룹 (34) 의 적어도 30% 를 형성할 수도 있다. 유사하게, 중간 평면 (CP) 상에서 돌출되고 또한 제 1 축선 (A1) 을 따르는 대향하는 방향으로 보았을 때, 제 2 축선방향 접합면 (32') 은 제 2 표면 그룹 (34') 의 적어도 30% 를 형성할 수도 있다.
제 1 축선방향 접합면 (32) 및 제 2 축선방향 접합면 (32') 의 상이한 양태들의 상기 논의는 또한 종방향 평면 (LP) 의 제 2 측에 대응하는 축선방향 접합면들에 관한 것일 수도 있다.
제 1 축선방향 릴리프 면 (30) 은 제 1 표면-와이핑 2 차 절삭날 (28) 에 인접한 제 1 축선방향 릴리프 면 (30) 의 제 1 부분 (31) 을 포함한다 (도 1c 참고).
이하에서, 도 1c 및 도 1d 가 참조되고, 또한 도 4 에 도시된 도 1e 의 라인 IV - IV 을 따르는 단면이 참조된다. 단면 IV - IV 은 정중면 (MP) 과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된다. 제 1 보조 절삭날 (38) 은 적어도 제 2 절삭날 부분 (39) 을 포함한다. 제 2 절삭날 부분 (39) 은 제 1 표면-와이핑 2 차 절삭날 (28) 보다 종방향 평면 (LP) 에 더 근접하게 배열된다. 제 1 축선방향 릴리프 면 (30) 은 적어도 제 2 부분 (33) 을 포함한다. 제 2 부분 (33) 은 제 1 보조 절삭날 (38) 의 제 2 절삭날 부분 (39) 에 인접하게 배열된다. 제 1 축선방향 릴리프 면 (30) 의 제 2 부분 (33) 은 제 1 축선방향 릴리프 면 (30) 의 제 1 부분 (31) 과 둔각의 제 6 내부 각도 (Z) 를 형성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제 1 축선방향 릴리프 면의 제 1 부분 및 제 2 부분은 하나의 동일한 평면에서 연장되지 않는다. 따라서, 인서트가 인서트 착좌부 내에 탑재될 때, 제 1 보조 절삭날의 제 2 절삭날 부분은, 제 1 표면-와이핑 2 차 절삭날과 제 1 보조 절삭날의 제 2 절삭날 부분 사이의 전이부에서 (제 1 축선을 따라서 보았을 때) 제 1 보조 절삭날의 방향의 크고 갑작스러운 변화 없이, 제 1 표면-와이핑 2 차 절삭날에 의해 형성된 가공물 표면으로부터 분리되고 종방향으로 가장 멀리 위치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절삭 인서트의 제조 동안, 제 1 측면을 형성하는 프레싱 공구의 부분 (및/또는 제 2 측면을 형성하는 프레싱 공구의 부분) 은 제 1 표면-와이핑 2 차 절삭날과 제 1 보조 절삭날의 제 2 절삭날 부분 사이의 전이부의 영역에서 높은 응력 집중을 받지 않는다. 제 1 축선방향 릴리프 면 (30) 의 제 2 부분 (33) 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편평해질 수 있지만, 이는 또한 부분적으로 만곡되거나 완전히 만곡된 표면일 수 있다.
유사한 방식으로, 제 2 보조 절삭날 (38') 은 제 2 절삭날 부분을 포함하고, 둔각의 내부 각도는 제 2 축선방향 릴리프 면 (30') 의 제 2 부분과 제 1 부분 사이에 형성된다. 제 2 축선방향 릴리프 면 (30') 의 제 2 부분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편평해질 수 있지만, 이는 또한 부분적으로 만곡되거나 완전히 만곡된 표면일 수 있다.
이하에서, 도 2 ~ 도 2d 가 참조된다. 도 2a ~ 도 2d도 2 에서 라인들 a - a, b - b, c - c, 및 d - d 각각을 따라서 종방향 평면 (LP) 과 평행하게 연장되는 단면들을 도시한다.
제 1 보조 절삭날 (38) 을 통한 그리고 도 2a ~ 도 2d 의 단면에 의해 예시되는 것과 같이 종방향 평면 (LP) 과 평행한 상이한 섹션들에서 보았을 때, 제 1 축선방향 릴리프 면 (30) 은 정중면 (MP) 에 대하여 제 7 내부 각도 (Y) 를 형성한다. 제 7 내부 각도 (Y) 는 제 1 보조 절삭날 (38) 에 인접하여 측정된다. 제 7 내부 각도 (Y) 는 종방향 평면 (LP) 과 평행한 상이한 섹션들 중 적어도 일부에 대해 상이하다. 이는 또한 제 2 보조 절삭날 (38') 에 인접하게 측정된 대응하는 내부 각도에 대해 적용된다.
종방향 평면 (LP) 에 근접한 제 1 축선방향 릴리프면 (30) 의 단부에서의 제 7 내부 각도 (Y) 는 정중면 (MP) 에 대한 구획선 (L) 의 내부 각도와 동일하거나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도 있다. 따라서, 구획선 (L) 이 정중면 (MP) 에 수직하게 연장되는 실시형태들에서, 제 7 내부 각도 (Y) 는 종방향 평면 (LP) 으로부터 더 멀어지는 둔각의 내부 각도로부터 종방향 평면 (LP) 에 근접한 수직의 내부 각도로, 또는 실질적으로 수직의 내부 각도로 전이할 것이다. 이는 또한 제 2 보조 절삭날 (38') 에 인접하게 측정된 대응하는 내부 각도에 대해 적용된다.
제 1 보조 절삭날 (38) 의 제 1 표면-와이핑 2 차 절삭날 (28) 을 따라서, 제 1 내부 각도 (X) 및 제 7 내부 각도 (Y) 는 서로 일치한다. 이는 또한 제 2 표면-와이핑 2 차 절삭날 (28') 에 대해 이것을 따라서 적용된다.
도 1c 및 도 1e 을 참조하여, 제 2 쌍의 대향 측 표면들 (12, 13) 의 제 1 측 표면 (12) 을 향해 제 1 축선 (A1) 을 따라서 보았을 때, 제 1 축선방향 접합면 (32) 의 적어도 일부는 제 2 측면 (16) 과 제 1 표면-와이핑 2 차 절삭날 (28) 의 적어도 일부 또는 적어도 제 1 표면-와이핑 2 차 절삭날 (28) 의 주요 부분 사이에 배열된다. 동일한 방식으로, 제 2 축선방향 접합면 (32') 의 적어도 일부는 제 1 측면 (14) 과 제 2 표면-와이핑 2 차 절삭날 (28') 의 적어도 일부 또는 적어도 제 2 표면-와이핑 2 차 절삭날 (28') 의 주요 부분 사이에 배열된다. 제 1 축선방향 접합면 (32) 이 밀링 공구의 인서트 착좌부 내 축선방향 지지 표면에 대해 접할 때, 제 2 절삭날 (23), 및 그의 제 2 표면-와이핑 2 차 절삭날 (28') 은 활성이고, 즉 가공물과의 절삭 맞물림을 위해 배열된다. 제 1 표면-와이핑 2 차 절삭날 (28) 과 관련하여 제 1 축선방향 접합면 (32) 의 전술한 배열체로, 절삭 인서트 (2) 의 축선방향 지지부는 제 2 표면-와이핑 2 차 절삭날 (28') 로부터 축선방향을 따라서 제공된다. 따라서, 밀링 공구의 인서트 착좌부에서 절삭 인서트의 낮은 에러 축선방향 에러 위치결정이 제공될 수도 있다.
제 2 쌍의 대향 측 표면들 (12, 13) 의 제 1 측 표면 (12) 을 향해 제 1 축선 (A1) 을 따라서 보았을 때, 제 1 축선방향 릴리프 면 (30) 는 중간 평면 (CP) 에서 돌출되고 종방향 평면 (LP) 과 평행한 방향으로 높이 (h) 를 가진다 (도 1e 참고). 높이 (h) 는 제 1 모서리 절삭날 (26) 을 향하여 종방향 평면 (LP) 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증가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제 1 축선방향 릴리프 면 (30) 은 제 1 모서리 절삭날 (26) 의 부근에서 가장 큰 높이 (h) 를 가지고, 여기에서 모서리 절삭날에서의 높은 하중으로 인해, 일반적으로 파단 위험이 가장 크다. 모서리 절삭날 (26) 을 향한 큰 높이 (h) 는 축선방향 릴리프 면 (30) 으로부터 축선방향 지지 표면 (32) 으로의 전이부에서 응력 집중이 모서리 절삭날 (26) 로부터 거리를 두어 형성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동시에, 종방향 평면을 향해 더 작은 높이 (h) 는 단순화된 구획선 (L) 을 보다 쉽게 얻을 수 있고, 이는 결국 프레싱 공구를 단순화한다.
제 2 쌍의 대향 측 표면들 (12, 13) 의 제 1 측 표면 (12) 을 향해 제 1 축선 (A1) 을 따라서 보았을 때, 제 1 축선방향 릴리프 면 (30) 은 제 1 모서리 표면에 인접하고, 바람직하게는 제 1 모서리 표면에 접선방향으로 연결된다 (도 1e 참고). 또한, 제 3 축선방향 릴리프 면 (30'') 은 제 3 모서리 표면에 인접하고, 바람직하게는 제 3 모서리 표면에 접선방향으로 연결된다. 제 1 축선방향 릴리프 면 (30) 은 정중면 (MP) 으로부터 제 1 축선방향 릴리프 면으로의 거리가 종방향 평면 (LP) 을 향하여 제 1 모서리 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증가하도록 배열된다. 이로 인해, 제 1 축선방향 접합면 (32) 은 확장될 수 있어서 인서트의 안정성을 개선할 가능성을 제공하지만, 또한 제 1 표면 그룹 (34) 이 제 3 표면 그룹 (34') 과 만나는 구획선 (L) 주위의 영역을 단순화하고, 이는 결과적으로 인서트의 개선된 공차에 기여한다. 또한, 제 3 축선방향 릴리프 면 (30'') 은 정중면 (MP) 으로부터 제 3 축선방향 릴리프 면으로의 거리가 종방향 평면을 향하여 제 3 모서리 표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증가하도록 배열된다. 이로 인해, 제 3 축선방향 접합면 (32'') 은 확장될 수 있어서 인서트의 안정성을 개선할 가능성을 제공하지만, 또한 제 1 표면 그룹 (34) 이 제 3 표면 그룹 (34') 과 만나는 구획선 (L) 주위의 영역을 단순화하고, 이는 결과적으로 인서트의 개선된 공차에 기여한다. 동일한 방식으로, 제 2 축선방향 릴리프 면 (30') 은 정중면 (MP) 으로부터 제 2 축선방향 릴리프 면 (30') 으로의 거리가 종방향 평면을 향하여 인접한 제 2 모서리 표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증가하도록 배열된다 (도 1b 참고).
도 1e 를 참조하여, 제 1 축선 (A1) 을 따라서 보았을 때, 제 1 표면-와이핑 2 차 절삭날 (28), 또는 제 1 표면-와이핑 2 차 절삭날의 중간점에서 제 1 표면-와이핑 2 차 절삭날에 대한 접선은 정중면 (MP) 으로 예리한 제 8 각도 (λ) 로 연장되어, 제 1 모서리 절삭날 (26) 에 인접한 제 1 표면-와이핑 2 차 절삭날 (28) 의 제 1 단부는, 제 1 보조 절삭날 (38) 의 제 2 절삭날 부분 (39) 에 인접한 제 1 표면-와이핑 2 차 절삭날 (28) 의 반대 단부보다 정중면 (MP) 으로부터 더 큰 거리에 위치된다. 제 8 각도 (λ) 는 0 도 보다 크거나, 바람직하게는 15°≤ λ ≤ 25°이다.
도 5a ~ 도 5d 는 실시형태들에 따른 밀링 공구 (40) 의 상이한 도면들을 도시한다. 밀링 공구 (40) 는 스퀘어 숄더 밀링 공구이다. 밀링 공구 (40) 는 회전 축선 (42) 주위로 회전되도록 구성된다. 밀링 공구는 공구 본체 (44) 를 포함한다. 공구 본체 (44) 는 제 1 축선방향 단부 부분 (45) 에서 절삭 인서트 (2) 를 수용하기 위한 인서트 착좌부 (46) 를 구비한다. 이러한 실시형태들에서, 공구 본체 (44) 에는 여섯 개의 인서트 착좌부들 (46) 이 제공된다. 대안의 실시형태들에서, 그 중에서도 공구 본체의 직경에 따라, 공구 본체에는 6 개 이하의 또는 6 개 이상의 인서트 착좌부들이 제공될 수도 있다. 더 작은 직경의 공구 본체에는 예를 들어 2 개의 인서트 착좌부들이 제공될 수도 있다. 반면에 더 큰 직경의 공구 본체에는 10 개, 12 개, 또는 그 이상의 인서트 착좌부들이 제공될 수도 있다.
밀링 공구 (40) 는 인서트 착좌부들 (46) 각각의 내에 배열된 본원에서 논의된 양태들 및/또는 실시형태들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절삭 인서트 (2) 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명확성을 위해, 절삭 인서트들은 도 5a 및 도 5b 에서 인서트 착좌부들 (46) 중 일부에서 생략되었다. 이러한 실시형태들에서, 절삭 인서트 (2) 는 절삭 인서트 (2) 의 관통 구멍 (9) 을 통해 연장되는 스크류 (47) 로 공구 본체 (44) 에 고정되고, 또한 인서트 착좌부 내 나사산 구비 구멍과 협력한다.
제 1 인서트 착좌부들 (46) 각각에는 접선방향 지지 표면 (52), 반경방향 지지 표면 (54), 및 축선방향 지지 표면 (56) 이 제공된다. 축선방향 지지 표면 (56) 은 접선방향 지지 표면 (52) 에 수직하게 또는 실질적으로 수직하게 연장된다. 이러한 실시형태들에서, 반경방향 지지 표면 (54) 은 서로 거리를 두어 배열된 두 개의 별개의 표면 부분들 포함한다.
인서트 착좌부 (46) 내에 위치될 때, 절삭 인서트 (2) 에는 접선방향 지지 표면 (52) 에 대해 접하는 제 2 측면 (16) 의 일부, 반경방향 지지 표면 (54) 에 대해 접하는 제 1 쌍의 대향 측 표면들 (10, 11) 의 제 1 측 표면 또는 제 2 측 표면 (10, 11) 의 일부, 및 축선방향 지지 표면 (56) 에 대해 접하는 제 2 쌍의 대향 측 표면들 (12, 13) 의 제 1 측 표면 또는 제 2 측 표면 (12, 13) 의 일부가 배열된다.
제 1 절삭날 (20) 이 인서트 착좌부 (46) 에서 가공물과의 절삭 맞물림을 위해 위치결정될 때, 도 5a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2 축선방향 접합면 (32') 은 제 2 쌍의 대향 측 표면들 (12, 13) 의 제 2 측 표면 (13) 에서 인서트 착좌부 (46) 내 축선방향 지지 표면 (56) 에 대해 접한다. 축선방향 지지 표면 (56) 은 절삭 인서트 (2) 의 전체 제 2 축선방향 접합면 (32') 에 대해 접할 필요가 없다.
축선방향 지지 표면 (56) 은 제 1 지지 평면 (S1) 에서 연장된다. 제 1 지지 평면 (S1) 은 제 1 축선방향 단부 부분 (45) 에 대향하는 인서트 착좌부 (46) 의 측면에서 회전 축선 (42) 과 교차한다. 따라서, 축선방향 지지 표면 (56) 은 인서트 착좌부 (46) 의 반경방향 외측 부분을 향해 제 1 축선방향 단부 부분 (45) 을 향하여 기울어진다. 이는 밀링 작업 동안 절삭 인서트 (2) 에 가해진 축선방향 힘이 인서트 착좌부 (46) 내로 반경방향 내측으로 절삭 인서트 (2) 를 푸시하는 축선방향 지지 표면 (56) 에서 반경방향 힘 성분을 제공한다는 것을 수반한다.
전술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제 2 측면 (16) 과 제 1 표면-와이핑 2 차 절삭날 (28) 의 적어도 일부 사이에서 제 2 쌍의 대향 측 표면들 (12, 13) 의 제 1 측 표면 (12) 에서 제 1 축선방향 접합면 (32) 의 배열체는 (제 2 절삭날 (23) 이 가공물과의 절삭 맞물림을 위해 위치결정될 때) 제 2 표면-와이핑 2 차 절삭날 (28') 로부터 축선방향 지지 표면 (56) 으로의 축선방향을 따라서 절삭 인서트 (2) 의 축선방향 지지부를 제공한다. 축선방향 지지부는 축선방향 접합면 (32) 이 표면-와이핑 2 차 절삭날에 대향하여 축선방향으로 제공되기 때문에 반경방향 외측으로 멀어지게 제공된다. 따라서, 인서트 착좌부 내 절삭 인서트 (2) 의 안정적인 위치결정이 제공될 수도 있다.
절삭 인서트 (2) 의 제 1 쌍의 대향 측 표면들 (10, 11) 의 제 1 측 표면 및 제 2 측 표면 (10, 11) 중 하나의 반경방향 접합면 (25) 은 반경방향 지지 표면 (54) 에 대해 접하도록 구성된다 (도 1d 참고). 반경방향 지지 표면 (54) 은 제 2 지지 평면 (S2) 에서 연장되고, 제 2 지지 평면 (S2) 은 제 1 축선방향 단부 부분 (45) 과 동일한 인서트 착좌부 (46) 의 측면에서 회전 축선 (42) 과 교차한다. 따라서, 반경방향 지지 표면 (54) 은 인서트 착좌부 (46) 의 축선방향 외부 단부에서 회전 축선 (42) 을 향해 기울어진다.
즉, 전술한 바와 같이, 중심 축선 (C) 을 따라서 보았을 때, 제 1 반경방향 릴리프 면 (50) 의 적어도 일부는 적어도 제 1 주 절삭날 (24) 의 일부를 따라서 제 1 주 절삭날 (24) 의 외측으로 연장되어, 제 1 반경방향 릴리프 면 (50) 은 주 절삭날 (24) 의 제 1 단부 (27) 보다는 주 절삭날 (24) 의 제 2 단부 (29) 를 향해 제 1 주 절삭날 (24) 의 외측으로 보다 연장된다. 따라서, 절삭 인서트 (2) 의 제 1 주 절삭날 (24) 은 실질적으로 밀링 공구 (40) 의 회전 축선 (42) 과 동일 중심 축선을 가지는 그러한 실린더의 벽에서 또는 가상 실린더의 벽에서 연장되도록 위치결정된다.
인서트 착좌부 (46) 는 인서트 착좌부 (46) 내에 배열된 절삭 인서트 (2) 의 정중면 (MP) 에 대해 축선방향 레이크 각 (γp) 을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도 5c 참고). 인서트 착좌부 (46) 는 0 도와 같은 축선방향 레이크 각 (γp), 또는 0 < |γp| ≤ 3 도의 범위 내의, 또는 0.5 ≤ |γp| ≤ 2 도의 범위 내의, 또는 대략 1 도의 절대값을 가지는 음의 축선방향 레이크 각 (γp) 을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절삭 인서트 (2) 는 밀링 공구 (40) 의 축선방향으로 단지 약간 틸팅된다. 따라서, 절삭 인서트 (2) 의 목표 두께로부터의 편차, 즉 절삭 인서트 (2) 의 중심 축선 (C) 을 따르는 방향으로의 편차는 절삭 인서트 (2) 의 축선방향 런아웃에 영향을 미치지 않을 것이거나, 적어도 제한된 정도로만 축선방향 스로우/런아웃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인서트 착좌부 (46) 는 인서트 착좌부 (46) 내에 배열된 절삭 인서트 (2) 의 정중면 (MP) 에 대해 음의 반경방향 레이크 각 (γf) 을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도 5d 참고). 인서트 착좌부 (46) 는 10 ≤ |γf| ≤ 30 도의 범위 내의, 또는 15 ≤ |γf| ≤ 25 도의 범위 내의 절대값을 갖는 음의 반경방향 레이크 각 (γf) 을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제 1 절삭날 (20) 의 주 절삭날의 기능적 양의 릴리프 각은 반경방향 레이크 각 (γf) 에 의해 형성될 수도 있다.
즉, 전술한 바와 같이, 중심 축선 (C) 을 따라서 보았을 때, 제 1 반경방향 릴리프 면 (50) 의 적어도 일부는 적어도 제 1 주 절삭날의 일부를 따라서 제 1 주 절삭날 (24) 의 외측으로 연장된다. 따라서, 반경방향 레이크 각 (γf) 은 절삭 인서트 (2) 가 인서트 착좌부 (46) 내에 위치결정될 때 양의 기능적 레이크 각을 제공한다.
전술한 내용은 다양한 예시적 실시형태들의 예시이고 본 발명은 단지 첨부된 청구항들에 의해서만 규정되는 것을 이해해야 할 것이다. 당업자는, 예시적 실시형태들이 수정될 수도 있고, 첨부된 청구항들에 의해 규정된 대로,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 본원에 설명된 것들과 다른 실시형태들을 형성하도록, 예시적 실시형태들의 상이한 특징들이 조합될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할 것이다.

Claims (25)

  1. 밀링 공구용 절삭 인서트 (2) 로서, 상기 절삭 인서트 (2) 는
    - 제 1 연장 평면 (P1) 을 규정하는 제 1 측면 (14),
    - 제 2 연장 평면 (P2) 을 규정하는, 제 1 측면 (14) 에 대향하는 제 2 측면 (16) 으로서, 상기 제 1 연장 평면 (P1) 및 상기 제 2 연장 평면 (P2) 은 평행하게 연장되고, 상기 제 1 연장 평면 (P1) 및 상기 제 2 연장 평면 (P2) 을 통해 중심 축선 (C) 이 수직하게 연장되는, 상기 제 2 측면 (16),
    - 상기 제 1 측면 (14) 과 상기 제 2 측면 (16) 사이에서 연장되는 원주방향 표면 (18) 으로서, 상기 원주방향 표면 (18) 은 제 1 쌍의 대향 측 표면들 (10, 11) 및 제 2 쌍의 대향 측 표면들 (12, 13) 을 포함하는, 상기 원주방향 표면 (18),
    - 상기 제 1 연장 평면 (P1) 과 상기 제 2 연장 평면 (P2) 의 중간에서 연장되는 정중면 (MP),
    - 상기 정중면 (MP) 에 수직하고 또한 상기 중심 축선 (C) 을 포함하는, 상기 제 1 쌍의 대향 측 표면들 (10, 11) 의 중간에서 연장되는 종방향 평면 (LP),
    - 상기 정중면 (MP) 및 상기 종방향 평면 (LP) 에 수직하게 연장되고 또한 상기 중심 축선 (C) 을 포함하는 중간 평면 (CP),
    - 상기 정중면 (MP) 과 상기 종방향 평면 (LP) 사이의 교차점을 따라서 연장되는 제 1 축선 (A1) 및 상기 정중면 (MP) 과 상기 중간 평면 (CP) 사이의 교차점을 따라서 연장되는 제 2 축선 (A2)
    을 포함하고,
    상기 종방향 평면 (LP) 의 제 1 측면 상에서 상기 제 1 측면 (14) 과 상기 원주방향 표면 (18) 사이의 교차점을 따라서 제 1 절삭날 (20) 이 연장되고, 상기 제 1 절삭날 (20) 은, 상기 제 1 측면 (14) 을 향하여 보았을 때, 상기 절삭 인서트 (2) 의 모서리 (22) 를 따라서 연장되고,
    상기 종방향 평면 (LP) 의 제 1 측면 상에서 상기 제 2 측면 (16) 과 상기 원주방향 표면 (18) 사이의 교차점을 따라서 제 2 절삭날 (23) 이 연장되고, 상기 제 2 절삭날 (23) 은, 상기 제 2 측면 (16) 을 향하여 보았을 때, 상기 절삭 인서트 (2) 의 제 2 모서리 (22') 를 따라서 연장되고,
    상기 제 1 절삭날 (20) 은 제 1 주 절삭날 (24), 제 1 모서리 절삭날 (26), 및 제 1 보조 절삭날 (38) 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보조 절삭날 (38) 은 제 1 표면-와이핑 2 차 절삭날 (28) 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주 절삭날 (24) 은 상기 제 1 주 절삭날 (24) 의 제 1 단부 (27) 에서 상기 제 1 모서리 절삭날 (26) 에 인접해 있고, 상기 제 1 모서리 절삭날 (26) 은 상기 제 1 표면-와이핑 2 차 절삭날 (28) 에 인접해 있고,
    상기 제 2 절삭날 (23) 은 제 2 주 절삭날 (24'), 제 2 모서리 절삭날 (26'), 및 제 2 보조 절삭날 (38') 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보조 절삭날 (38') 은 제 2 표면-와이핑 2 차 절삭날 (28') 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주 절삭날 (24') 은 상기 제 2 주 절삭날 (24') 의 제 1 단부에서 상기 제 2 모서리 절삭날 (26') 에 인접해 있고, 상기 제 2 모서리 절삭날 (26') 은 상기 제 2 표면-와이핑 2 차 절삭날 (28') 에 인접해 있고,
    상기 제 2 쌍의 대향 측 표면들 (12, 13) 의 제 1 측 표면 (12) 을 향하여 상기 제 1 축선 (A1) 을 따라서 보았을 때, 상기 제 1 보조 절삭날 (38) 에 인접한제 1 축선방향 릴리프 면 (30) 및 제 1 축선방향 접합면 (32) 은 상기 종방향 평면 (LP) 의 제 1 측면 상에 제 1 표면 그룹 (34) 의 부분을 형성하고, 상기 제 1 표면 그룹 (34) 은 상기 원주방향 표면 (18) 의 부분을 형성하고,
    상기 제 2 쌍의 대향 측 표면들 (12, 13) 의 제 2 측 표면 (13) 을 향하여 상기 제 1 축선 (A1) 을 따라서 보았을 때, 상기 제 2 보조 절삭날 (38') 에 인접한 제 2 축선방향 릴리프 면 (30') 및 제 2 축선방향 접합면 (32') 은 상기 종방향 평면 (LP) 의 제 1 측면 상에 제 2 표면 그룹 (34') 의 부분을 형성하고, 상기 제 2 표면 그룹 (34') 은 상기 원주방향 표면 (18) 의 부분을 형성하고,
    상기 제 1 쌍의 대향 측 표면들 (12, 13) 의 상기 제 1 측 표면 (10) 이 상기 제 1 주 절삭날 (24) 에 인접하게 배열된 제 1 반경방향 릴리프 면 (50) 을 포함하고, 상기 중심 축선 (C) 을 따라서 보았을 때, 상기 제 1 반경방향 릴리프 면 (50) 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 1 주 절삭날 (24) 의 적어도 일부를 따라서 상기 제 1 주 절삭날 (24) 의 외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 1 반경방향 릴리프 면 (50) 은 상기 주 절삭날 (24) 의 상기 제 1 단부 (27) 를 향하기 보다는 상기 주 절삭날 (24) 의 제 2 단부 (29) 를 향해서 상기 제 1 주 절삭날 (24) 의 외측으로 보다 연장되고,
    상기 종방향 평면 (LP) 과 평행한 평면에서 보았을 때, 상기 제 1 축선방향 릴리프 면 (30) 은 상기 정중면 (MP) 에 91 ~ 115 도의 범위 내에 있거나, 94 ~ 110 도의 범위 내에 있거나, 97 도인 제 1 내부 각도 (X) 로 상기 제 1 표면-와이핑 2 차 절삭날 (28) 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종방향 평면 (LP) 과 평행한 평면에서 보았을 때, 상기 제 2 축선방향 릴리프 면 (30') 은 상기 정중면 (MP) 에 91 ~ 115 도의 범위 내에 있거나, 94 ~ 110 도의 범위 내에 있거나, 97 도인 제 2 내부 각도 (X') 로 상기 제 2 표면-와이핑 2 차 절삭날 (28') 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제 1 축선방향 접합면 (32) 은 실질적으로 편평한 표면을 형성하고,
    상기 제 1 축선방향 접합면 (32) 은 상기 정중면 (MP) 에 수직하게 연장되고,
    상기 제 2 축선방향 접합면 (32') 은 실질적으로 편평한 표면을 형성하고,
    상기 제 2 축선방향 접합면 (32') 은 상기 정중면 (MP) 에 수직하게 연장되는, 절삭 인서트 (2).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축선방향 접합면 (32) 은 상기 정중면 (MP) 으로부터 상기 제 2 측면 (16) 을 향해 연장되는 실질적으로 편평한 표면을 형성하고, 상기 제 2 축선방향 접합면 (32') 은 상기 정중면 (MP) 으로부터 상기 제 1 측면 (14) 을 향해 연장되는 실질적으로 편평한 표면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삭 인서트 (2).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축선방향 접합면 (32) 은 상기 정중면 (MP) 으로부터 상기 제 2 측면 (16) 을 향해 연장되는 실질적으로 편평한 표면을 형성하고,
    상기 제 2 축선방향 접합면 (32') 은 상기 정중면 (MP) 으로부터 상기 제 1 측면 (14) 으로 연장되는 실질적으로 편평한 표면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삭 인서트 (2).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평면 (CP) 상에서 돌출되고 또한 상기 제 1 축선 (A1) 을 따르는 방향으로 보았을 때, 상기 제 1 축선방향 접합면 (32) 은 상기 제 1 표면 그룹 (34) 의 적어도 30% 를 형성하고, 상기 제 2 축선방향 접합면 (32') 은 상기 제 2 표면 그룹 (34) 의 적어도 30% 를 형성할 수도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삭 인서트 (2).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축선 (A1) 을 따라서 보았을 때, 적어도 상기 제 1 축선방향 접합면 (32) 의 일부는
    - 상기 제 2 측면 (16) 과
    - 적어도 상기 제 1 표면-와이핑 2 차 절삭날 (28) 의 일부
    사이에 배열되고,
    적어도 상기 제 2 축선방향 접합면 (32') 의 일부는
    - 상기 제 1 측면 (12) 과
    - 적어도 상기 제 2 표면-와이핑 2 차 절삭날 (28') 의 일부
    사이에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삭 인서트 (2).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종방향 평면 (LP) 의 상기 제 1 측면 상에서 상기 중심 축선 (C) 을 따라서 보았을 때, 상기 정중면 (MP) 과 상기 제 2 측면 (16) 사이에 있는 상기 절삭 인서트 (2) 의 부분에 대해, 상기 제 1 축선방향 접합면 (32) 은 상기 중심 축선 (C) 으로부터 상기 절삭 인서트 (2) 의 가장 먼 표면인 상기 제 1 표면 그룹 (34) 의 표면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삭 인서트 (2).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 축선 (C) 을 따라서 보았을 때, 상기 제 1 주 절삭날 (24) 은 상기 제 1 단부로부터 상기 종방향 평면 (LP) 을 향해 각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삭 인서트 (2).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 축선 (C) 을 따라서 보았을 때, 상기 제 1 축선방향 접합면 (32) 은 75 ~ 89 도의 범위 내에서 상기 종방향 평면 (LP) 과 제 3 내부 각도 (δ) 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삭 인서트 (2).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절삭 인서트는 상기 제 2 축선 (A2) 을 중심으로 하는 회전에 관하여 180°의 회전 대칭을 갖고, 상기 종방향 평면 (LP) 의 제 2 측면 상에서 상기 제 2 측면 (16) 과 상기 원주방향 표면 (18) 사이의 교차점을 따라서 제 3 절삭날 (20') 이 연장되고, 상기 제 3 절삭날 (20') 은, 상기 제 2 측면 (16) 을 향하여 보았을 때, 상기 절삭 인서트 (2) 의 제 3 모서리 (22''') 를 따라서 연장되고,
    제 3 절삭날 (20') 은 제 3 주 절삭날 (24''), 제 3 모서리 절삭날 (26''), 및 제 3 표면-와이핑 2 차 절삭날 (28'') 을 포함하고, 상기 제 3 주 절삭날 (24'') 은 제 3 모서리 절삭날 (26'') 에 인접해 있고, 상기 제 3 모서리 절삭날 (26'') 은 상기 제 3 표면-와이핑 2 차 절삭날 (28'') 에 인접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삭 인서트 (2).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쌍의 대향 측 표면들 (12, 13) 의 상기 제 1 측 표면 (12) 을 향하여 상기 제 1 축선 (A1) 을 따르는 방향으로 보았을 때, 상기 제 3 보조 절삭날 (28'') 에 인접한 제 3 축선방향 릴리프 면 (30'') 및 제 3 축선방향 접합면 (32'') 은 상기 종방향 평면 (LP) 의 제 2 측면 상에 제 3 표면 그룹 (34'') 의 부분을 형성하고, 상기 제 1 표면 그룹 (34) 및 상기 제 3 표면 그룹 (34') 은 구획선 (L) 에서 만나고, 상기 구획선 (L) 은 상기 종방향 평면 (LP) 에서 연장되고, 상기 구획선 (L) 은 상기 제 1 측면 (14) 으로부터 상기 제 2 측면 (16) 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삭 인서트 (2).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정중면 (MP) 에서, 둔각의 제 5 내부 각도 (ε) 가 상기 제 1 표면 그룹 (34) 과 상기 제 3 표면 그룹 (34'') 사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삭 인서트 (2).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구획선 (L) 은 별개의 선을 형성하고, 그리고/또는 상기 구획선 (L) 은 직선으로 연장되고, 그리고/또는 상기 구획선 (L) 은 상기 정중면 (MP) 에 수직하게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삭 인서트 (2).
  13.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축선 (A1) 을 따라서 보았을 때, 상기 제 1 축선방향 접합면 (32) 및 상기 제 3 축선방향 접합면 (32'') 은 상기 제 2 쌍의 대향 측 표면들 (12, 13) 의 제 1 측 표면 (12) 을 따라서 함께 연속적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삭 인서트 (2).
  14.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구획선 (L) 을 통해 그리고 상기 정중면 (MP) 과 평행한 임의의 섹션에서 보았을 때, 상기 구획선 (L) 은 상기 제 1 축선방향 접합면 (32) 및/또는 상기 제 3 축선방향 접합면 (32'') 에 바로 인접하여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삭 인서트 (2).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절삭 인서트는 상기 제 2 축선 (A2) 및/또는 상기 제 1 축선 (A1) 및/또는 상기 중심 축선 (C) 을 중심으로 하는 회전에 대해 180°의 회전 대칭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삭 인서트 (2).
  1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축선 (A1) 을 따라서 보았을 때, 상기 제 1 축선방향 릴리프 면 (30) 은 상기 중심 축선 (C) 상에서 돌출하고 상기 종방향 평면 (LP) 과 평행한 방향으로 높이 (h) 를 가지고, 상기 높이 (h) 는 제 1 모서리 절삭날 (26) 을 향하여 상기 종방향 평면 (LP) 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삭 인서트 (2).
  17. 공구 본체 (44) 를 포함하는 회전 축선 (42) 주위에서 회전되도록 구성된 밀링 공구 (40) 로서,
    상기 공구 본체 (44) 는 그의 축선방향 단부 부분에서 절삭 인서트 (2) 를 수용하기 위한 인서트 착좌부 (46) 를 구비하고,
    상기 밀링 공구 (40) 는 상기 인서트 착좌부 (46) 내에 배열된 제 1 항 내지 제 16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절삭 인서트 (2) 를 포함하는, 밀링 공구 (40).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인서트 착좌부 (46) 에는 접선방향 지지 표면 (52), 반경방향 지지 표면 (54), 및 축선방향 지지 표면 (56) 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링 공구 (40).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축선방향 지지 표면 (56) 은 상기 접선방향 지지 표면 (52) 에 수직하게 또는 실질적으로 수직하게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링 공구 (40).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축선방향 지지 표면 (56) 은 제 1 지지 평면 (S1) 에서 연장되고, 상기 제 1 지지 평면 (S1) 은 상기 제 1 축선방향 단부 부분에 대향하는 상기 인서트 착좌부 (46) 의 측면에서 상기 회전 축선 (42) 과 교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링 공구 (40).
  21.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반경방향 지지 표면 (54) 은 제 2 지지 평면 (S2) 에서 연장되고, 상기 제 2 지지 평면 (S2) 은 상기 제 1 축선방향 단부 부분과 동일한 상기 인서트 착좌부 (46) 의 측면에서 상기 회전 축선 (42) 과 교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링 공구 (40).
  22.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절삭 인서트 (2) 에는 상기 접선방향 지지 표면 (52) 에 대해 접하는 상기 제 2 측면 (16) 의 일부, 상기 반경방향 지지 표면 (54) 에 대해 접하는 상기 원주방향 표면 (18) 의 일부, 및 상기 축선방향 지지 표면 (56) 에 대해 접하는 상기 제 1 축선방향 접합면 (32) 이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링 공구 (40).
  23.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인서트 착좌부 (46) 는 상기 인서트 착좌부 (46) 에 배열된 상기 절삭 인서트 (2) 의 상기 정중면 (MP) 에 대해 축선방향 레이크 각 (γp) 을 제공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인서트 착좌부 (46) 는 0 도와 동일한 축선방향 레이크 각 (γp) 또는 0 < |γp| ≤ 3 도의 범위 내의, 또는 0.5≤ |γp| ≤ 2 도의 범위 내의, 또는 1 도의 절대값을 갖는 음의 축선방향 레이크 각 (γp) 을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링 공구 (40).
  24.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인서트 착좌부 (46) 는 상기 인서트 착좌부 (46) 에 배열된 상기 절삭 인서트 (2) 의 상기 정중면 (MP) 에 대해 음의 반경방향 레이크 각 (γf) 을 제공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인서트 착좌부 (46) 는 10 ≤ |γf| ≤ 30 도의 범위 내의, 또는 15 ≤ |γf| ≤ 25 도의 범위 내의 절대값을 가지는 음의 반경방향 레이크 각 (γf) 을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링 공구 (40).
  2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절삭 인서트는 상기 제 2 축선 (A2) 을 중심으로 하는 회전에 관하여 180°의 회전 대칭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삭 인서트 (2).
KR1020207032893A 2018-04-16 2019-04-10 절삭 인서트 및 밀링 공구 KR10260384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8167563.8 2018-04-16
EP18167563.8A EP3556498B1 (en) 2018-04-16 2018-04-16 Cutting insert and milling tool
PCT/EP2019/059009 WO2019201687A1 (en) 2018-04-16 2019-04-10 Cutting insert and milling too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40905A KR20200140905A (ko) 2020-12-16
KR102603847B1 true KR102603847B1 (ko) 2023-11-17

Family

ID=620025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32893A KR102603847B1 (ko) 2018-04-16 2019-04-10 절삭 인서트 및 밀링 공구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1453074B2 (ko)
EP (1) EP3556498B1 (ko)
KR (1) KR102603847B1 (ko)
CN (1) CN111989181B (ko)
WO (1) WO201920168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556498B1 (en) * 2018-04-16 2021-02-17 Seco Tools Ab Cutting insert and milling tool
JP6744599B1 (ja) * 2019-03-01 2020-08-19 株式会社タンガロイ 切削インサート
CN113573834A (zh) * 2019-03-27 2021-10-29 住友电工硬质合金株式会社 切削刀片
EP3984672A1 (en) * 2020-10-13 2022-04-20 Seco Tools Ab Double-sided cutting insert and milling tool
JP6972513B1 (ja) * 2021-02-10 2021-11-24 株式会社タンガロイ 切削インサート
CN114905072B (zh) * 2021-02-10 2024-01-30 株式会社泰珂洛 切削刀片以及配备该切削刀片的切削工具
CN117696998B (zh) * 2024-02-06 2024-05-24 赣州澳克泰工具技术有限公司 一种刀片及切削刀具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163911A (ja) 2013-07-04 2016-09-08 株式会社タンガロイ 切削インサート、工具ボデーおよび切削工具
JP2018509306A (ja) 2015-03-25 2018-04-05 サンドビック インテレクチュアル プロパティー アクティエボラーグ 切削インサート及びフライス工具

Family Cites Families (3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07538A (en) * 1990-05-14 1993-05-04 Iscar Ltd. Milling cutting insert
US5460464A (en) * 1992-05-07 1995-10-24 Mitsubishi Materials Corporation Cutting insert
US5388932A (en) * 1993-09-13 1995-02-14 Kennametal Inc. Cutting insert for a milling cutter
IL110785A (en) * 1994-08-25 1998-04-05 Iscar Ltd Put a spinner for a rotary milling tool
SE514014C2 (sv) * 1998-05-06 2000-12-11 Sandvik Ab Vändskär för roterande fräsverktyg
SE514032C2 (sv) * 1998-09-08 2000-12-11 Seco Tools Ab Verktyg och skär för fräsning
US7094007B2 (en) * 2002-12-04 2006-08-22 Iscar Ltd. Tangential cutting insert and milling cutter
US7070363B2 (en) * 2004-07-15 2006-07-04 Kennametal Inc. Cutting insert for high-speed milling cutter
US7040844B1 (en) * 2005-03-08 2006-05-09 Mitsubishi Materials Corporation Throwaway insert and throwaway-type rotary cutting tool
SE529068C2 (sv) * 2005-09-28 2007-04-24 Seco Tools Ab Frässkär och fräsverktyg
SE530631C2 (sv) * 2006-12-12 2008-07-22 Sandvik Intellectual Property Verktyg och skär för spånavskiljande bearbetning
CN102413976B (zh) * 2009-06-16 2014-05-07 株式会社钨钛合金 切削用刀片和端面铣刀
US8740518B2 (en) * 2010-06-30 2014-06-03 Kyocera Corporation Insert, cutting tool, and method of manufacturing machined product using them
US8998542B2 (en) * 2010-08-11 2015-04-07 Kyocera Corporation Cutting insert, cutting tool, and method of manufacturing machined product using them
WO2012046556A1 (ja) * 2010-10-05 2012-04-12 京セラ株式会社 切削インサートおよび切削工具、並びにそれらを用いた切削加工物の製造方法
KR101237187B1 (ko) * 2010-11-15 2013-02-25 대구텍 유한회사 양면형 절삭 인서트
EP2559509B1 (en) * 2011-08-16 2014-12-31 Seco Tools Ab Indexable, double-sided cutting insert and cutting tool including such an insert
CN103889624B (zh) * 2011-10-31 2017-07-04 京瓷株式会社 切削镶刀及切削工具、以及使用该切削工具的切削加工物的制造方法
US10035198B2 (en) * 2011-11-15 2018-07-31 Kennametal Inc. Double-sided, indexable cutting insert with ramping capability and cutting tool therefor
EP2596889B1 (en) * 2011-11-23 2017-04-26 Sandvik Intellectual Property AB A cutting insert and a milling tool
US8708616B2 (en) * 2012-07-06 2014-04-29 Iscar, Ltd. Rotary cutting tool and reversible cutting insert therefor
KR101845366B1 (ko) * 2014-01-28 2018-04-04 미츠비시 히타치 쓰루 가부시키가이샤 인서트 및 날끝 교환식 회전 절삭 공구
WO2015199031A1 (ja) * 2014-06-27 2015-12-30 京セラ株式会社 切削インサート、切削工具及び切削加工物の製造方法
EP3000548B1 (en) 2014-09-26 2021-11-10 Seco Tools Ab Double-sided, square shoulder milling insert
EP3199282B1 (en) * 2014-09-26 2020-07-29 KYOCERA Corporation Cutting insert, cutting tool, and method for producing cut article
EP3023182B1 (en) * 2014-11-20 2019-11-06 Sandvik Intellectual Property AB A cutting insert for milling square shoulders, a milling cutting tool and a tool body
US10046398B2 (en) * 2014-12-15 2018-08-14 Seco Tools Ab Reinforced double-sided cutting insert and cutting tool with reinforced double-sided cutting insert
EP3034215B1 (en) * 2014-12-19 2018-01-31 Sandvik Intellectual Property AB Cutting insert and drilling tool
US9981323B2 (en) * 2015-07-16 2018-05-29 Kennametal Inc. Double-sided tangential cutting insert and cutting tool system using the same
KR102020195B1 (ko) * 2015-09-25 2019-09-10 미츠비시 히타치 쓰루 가부시키가이샤 절삭 인서트 및 날끝 교환식 회전 절삭 공구
EP3199284B1 (en) * 2016-01-27 2018-12-12 Pramet Tools, S.R.O. An indexable cutting insert for an end mill tool and an end mill tool provided with such an insert
WO2019039547A1 (ja) * 2017-08-23 2019-02-28 京セラ株式会社 インサート
KR102015290B1 (ko) * 2017-11-14 2019-08-28 한국야금 주식회사 절삭 인서트 및 이를 장착한 절삭 공구
EP3556498B1 (en) * 2018-04-16 2021-02-17 Seco Tools Ab Cutting insert and milling tool
JP6507355B1 (ja) * 2018-06-19 2019-05-08 株式会社タンガロイ 切削インサート及び切削工具
JP6869492B2 (ja) * 2019-08-28 2021-05-12 株式会社タンガロイ 切削インサート
JP6940832B1 (ja) * 2020-09-07 2021-09-29 株式会社タンガロイ 転削工具
JP6855024B1 (ja) * 2020-10-02 2021-04-07 株式会社タンガロイ 切削インサートおよびこれを備えた切削工具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163911A (ja) 2013-07-04 2016-09-08 株式会社タンガロイ 切削インサート、工具ボデーおよび切削工具
JP2018509306A (ja) 2015-03-25 2018-04-05 サンドビック インテレクチュアル プロパティー アクティエボラーグ 切削インサート及びフライス工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556498B1 (en) 2021-02-17
CN111989181A (zh) 2020-11-24
EP3556498A1 (en) 2019-10-23
CN111989181B (zh) 2024-04-09
WO2019201687A1 (en) 2019-10-24
KR20200140905A (ko) 2020-12-16
US20210138565A1 (en) 2021-05-13
US11453074B2 (en) 2022-09-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03847B1 (ko) 절삭 인서트 및 밀링 공구
KR101887254B1 (ko) 회전 절삭 공구 및 회전 절삭 공구용 가역 절삭 인서트
US7037051B2 (en) Cutting insert for turning and milling
EP2198997B1 (en) Double-sided, indexable face milling insert
US6238146B1 (en) Tangential cutting insert
US10350686B2 (en) Cutting insert and milling tool
CN108778589B (zh) 切削刀片、刀夹和刀具
EP2737969B1 (en) Cutting insert and rotary cutting tool
JPH07276130A (ja) 切削チップ特に転回式切削チップ
EP0932468A1 (en) Tool and cutting insert for milling
KR102625931B1 (ko) 절삭 인서트 및 밀링 공구
CN110719821A (zh) 铣削刀片和三面刃铣刀
EP3808482B1 (en) Cutting insert and milling too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