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99988B1 - Wireless power receiving module for wireless earphone charging cradle and charging cradle for wireless earphone including the same - Google Patents

Wireless power receiving module for wireless earphone charging cradle and charging cradle for wireless earphone includ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99988B1
KR102599988B1 KR1020230098409A KR20230098409A KR102599988B1 KR 102599988 B1 KR102599988 B1 KR 102599988B1 KR 1020230098409 A KR1020230098409 A KR 1020230098409A KR 20230098409 A KR20230098409 A KR 20230098409A KR 102599988 B1 KR102599988 B1 KR 1025999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less
wireless power
charging cradle
sheet
p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9840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30118060A (en
Inventor
장길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모센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220168968A external-priority patent/KR102565042B1/en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모센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모센스
Publication of KR202301180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1806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99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998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34Special means for preventing or reducing unwanted electric or magnetic effects, e.g. no-load losses, reactive currents, harmonics, oscillations, leakage fields
    • H01F27/36Electric or magnetic shields or screens
    • H01F27/366Electric or magnetic shields or screens made of ferromagnetic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1/00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1/01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of inorganic materials
    • H01F1/03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of inorganic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coercivity
    • H01F1/12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of inorganic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coercivity of soft-magnetic materials
    • H01F1/14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of inorganic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coercivity of soft-magnetic materials metals or alloys
    • H01F1/147Alloy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 H01F1/153Amorphous metallic alloys, e.g. glassy metals
    • H01F1/15308Amorphous metallic alloys, e.g. glassy metals based on Fe/Ni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10/00Thin magnetic films, e.g. of one-domain structure
    • H01F10/08Thin magnetic films, e.g. of one-domain structure characterised by magnetic layers
    • H01F10/10Thin magnetic films, e.g. of one-domain structure characterised by magnetic layer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H01F10/12Thin magnetic films, e.g. of one-domain structure characterised by magnetic layer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being metals or alloys
    • H01F10/13Amorphous metallic alloys, e.g. glassy metals
    • H01F10/131Amorphous metallic alloys, e.g. glassy metals containing iron or nicke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7/00Magnets
    • H01F7/02Permanent magnets [PM]
    • H01F7/0231Magnetic circuits with PM for power or force generation
    • H01F7/0252PM holding devic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005Mechanical details of housing or structure aiming to accommodate the power transfer means, e.g. mechanical integration of coils, antennas or transducers into emitting or receiving devic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1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2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microwaves or radio frequency wav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7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involving the reduction of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leakage field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2011/001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for portable audio devices, e.g. headphones or MP3-play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무선 이어폰 충전 크래들용 무선전력 수신모듈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이어폰 충전 크래들용 무선전력 수신모듈은 무선 이어폰을 수용하기 위한 한 쌍의 제1수용부와, 상기 한 쌍의 제1수용부에 삽입된 상기 무선 이어폰 측으로 충전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와, 상기 배터리를 무선으로 충전하기 위한 무선전력 수신모듈을 포함하는 무선 이어폰용 충전크래들에 적용되는 것으로서, 무선 전력을 수신하기 위한 무선전력 수신안테나; 자기장을 차폐할 수 있도록 자성체로 이루어진 시트본체를 포함하여 상기 무선전력 수신안테나의 일면에 배치되는 자기장 차폐시트; 상기 무선전력 수신안테나와 중첩되지 않는 위치에 위치하도록 배치되는 복수 개의 제1영구자석; 및 상기 무선전력 수신 안테나와 중첩되는 위치에 위치하도록 배치되는 한 쌍의 제2영구자석;을 포함하며, 상기 한 쌍의 제2영구자석은 상기 제1수용부에 삽입된 상기 무선 이어폰의 위치를 고정할 수 있도록 상기 시트본체의 직상부에 위치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시트본체는 상기 한 쌍의 제2영구자석에서 발생하는 직류자기장에 의한 자기포화가 방지될 수 있도록 포화자속밀도가 1.2 테슬러 이상인 자성체로 형성될 수 있다.A wireless power reception module for wireless earphone charging cradle is provided. The wireless power receiving module for a wireless earphone charging crad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air of first accommodating parts for accommodating wireless earphones, and charging power to the wireless earphones inserted into the pair of first accommodating parts. It is applied to a charging cradle for wireless earphones that includes a battery for supplying and a wireless power receiving module for wirelessly charging the battery, comprising: a wireless power receiving antenna for receiving wireless power; A magnetic field shielding sheet disposed on one side of the wireless power receiving antenna, including a sheet body made of a magnetic material to shield the magnetic field; a plurality of first permanent magnets disposed at positions that do not overlap the wireless power reception antenna; And a pair of second permanent magnets disposed at a position overlapping with the wireless power reception antenna, wherein the pair of second permanent magnets determine the position of the wireless earphone inserted into the first accommodating portion. It is arranged to be located directly above the sheet body so that it can be fixed, and the sheet body has a saturation magnetic flux density of 1.2 Tesla or more to prevent magnetic saturation by the direct current magnetic field generated from the pair of second permanent magnets. It can be formed from a magnetic material.

Description

무선 이어폰 충전 크래들용 무선전력 수신모듈 및 무선 이어폰용 충전 크래들{Wireless power receiving module for wireless earphone charging cradle and charging cradle for wireless earphone including the same}Wireless power receiving module for wireless earphone charging cradle and charging cradle for wireless earphones {Wireless power receiving module for wireless earphone charging cradle and charging cradle for wireless earphone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무선 이어폰 충전 크래들용 무선전력 수신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무선 이어폰용 충전 크래들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ireless power reception module for a wireless earphone charging cradle and a charging cradle for wireless earphones including the same.

최근 무선충전을 이용한 배터리 충전 기술은 스마트워치와 같은 웨어러블 디바이스나 블루투스 이어폰과 같은 무선 이어폰에도 적용되고 있다.Recently, battery charging technology using wireless charging is also being applied to wearable devices such as smartwatches and wireless earphones such as Bluetooth earphones.

일례로, 웨어러블 디바이스나 무선 이어폰은 충전 크래들에 장착된 상태에서 충전 크래들로부터 제공되는 전원을 이용하여 배터리가 충전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battery of a wearable device or wireless earphone can be charged using power provided from the charging cradle while it is mounted on the charging cradle.

한편, 웨어러블 디바이스나 무선 이어폰의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한 충전 크래들 역시 무선충전 방식을 이용하여 자체 내장된 배터리를 충전하고 있다.Meanwhile, charging cradles for charging the batteries of wearable devices or wireless earphones also use the wireless charging method to charge their own built-in batteries.

이를 위해, 상기 충전 크래들에는 외부로부터 무선전력을 수신할 수 있는 무선전력 수신모듈이 내장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무선 방식으로 충전 크래들의 배터리를 충전한 상태에서 상기 충전 크래들을 이용하여 스마트워치나 무선 이어폰의 배터리를 간편하게 충전할 수 있다.For this purpose, the charging cradle is equipped with a wireless power reception module capable of receiving wireless power from the outside. Accordingly, the user can easily charge the battery of a smart watch or wireless earphone using the charging cradle while charging the battery of the charging cradle wirelessly.

이와 같은 충전 크래들은 통상적으로 스마트워치나 무선 이어폰을 고정하거나 부품 간의 위치를 고정할 수 있도록 영구자석이 내장되며, 영구자석은 강한 직류자기장을 생성한다. Such charging cradles typically have permanent magnets built into them to secure smartwatches or wireless earphones or to fix the positions between parts, and the permanent magnets generate a strong direct current magnetic field.

이에 따라, 영구자석에서 생성된 직류자기장은 무선전력 수신모듈을 구성하는 자기장 차폐시트의 성능에 영향을 준다. 즉, 상기 영구자석에서 생성된 직류자기장은 자기장 차폐시트의 성능에 영향을 주어 무선충전 효율을 저하시킨다.Accordingly, the direct current magnetic field generated by the permanent magnet affects the performance of the magnetic field shielding sheet that constitutes the wireless power reception module. In other words, the direct current magnetic field generated by the permanent magnet affects the performance of the magnetic field shielding sheet and reduces wireless charging efficiency.

이로 인해, 영구자석이 내장된 충전 크래들은 Qi 인증시 요구되는 특성을 만족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Because of this, charging cradles with built-in permanent magnets have a problem in that they do not satisfy the characteristics required for Qi authentication.

따라서, 충전 크래들에 영구자석이 내장되더라도 무선충전 효율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면서도 Qi인증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방안이 요구되고 있다.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a method to solve the Qi authentication problem while preventing wireless charging efficiency from being reduced even if the charging cradle has a permanent magnet built in.

본 발명자들은 예의 연구 및 실험을 반복한 결과, 자기장 차폐시트를 구성하는 자성체의 포화자속밀도가 무선충전 효율 및 Qi 인증문제에 큰 영향을 끼친다는 것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As a result of repeated extensive research and experiments, the present inventors discovered that the saturation magnetic flux density of the magnetic material constituting the magnetic field shielding sheet has a significant impact on wireless charging efficiency and Qi authentication problems, and thus completed the present invention.

즉, 포화자속밀도가 일정 이상, 예컨데 1.2 테슬러 이상이고 투자율이 400 이상인 자성체로 자기장 차폐시트를 구성하면, 영구자석에서 발생하는 직류자기장에 의한 자기포화를 방지하면서도 요구되는 인덕턴스 값을 안정적으로 만족할 수 있다는 것을 반복적인 연구 및 실험을 통하여 지득하였다.In other words, if the magnetic field shielding sheet is made of a magnetic material with a saturation magnetic flux density above a certain level, for example, 1.2 Tesla or above, and a magnetic permeability of 400 or above, the required inductance value can be stably satisfied while preventing magnetic saturation due to the direct current magnetic field generated from the permanent magnet. We learned through repeated research and experiments that it is possible.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충전 크래들에 영구자석이 채용되더라도 요구되는 인덕턴스 값을 만족하고 Qi 인증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무선 이어폰 충전 크래들용 무선전력 수신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무선 이어폰용 충전 크래들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was developed in consideration of the above points, and provides a wireless power reception module for a wireless earphone charging cradle that satisfies the required inductance value and can solve the Qi authentication problem even if a permanent magnet is used in the charging cradle, and a wireless power receiving module including the same. The purpose is to provide a charging cradle for earphones.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무선 이어폰을 수용하기 위한 한 쌍의 제1수용부와, 상기 한 쌍의 제1수용부에 삽입된 상기 무선 이어폰 측으로 충전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와, 상기 배터리를 무선으로 충전하기 위한 무선전력 수신모듈을 포함하는 무선 이어폰용 충전크래들에 적용되는 것으로서, 무선 전력을 수신하기 위한 무선전력 수신안테나; 자기장을 차폐할 수 있도록 자성체로 이루어진 시트본체를 포함하여 상기 무선전력 수신안테나의 일면에 배치되는 자기장 차폐시트; 상기 무선전력 수신안테나와 중첩되지 않는 위치에 위치하도록 배치되는 복수 개의 제1영구자석; 및 상기 무선전력 수신 안테나와 중첩되는 위치에 위치하도록 배치되는 한 쌍의 제2영구자석;을 포함하며, 상기 한 쌍의 제2영구자석은 상기 제1수용부에 삽입된 상기 무선 이어폰의 위치를 고정할 수 있도록 상기 시트본체의 직상부에 위치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시트본체는 상기 한 쌍의 제2영구자석에서 발생하는 직류자기장에 의한 자기포화가 방지될 수 있도록 포화자속밀도가 1.2 테슬러 이상인 자성체로 형성되는 무선 이어폰 충전 크래들용 무선전력 수신모듈을 제공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air of first accommodating parts for accommodating wireless earphones, a battery for supplying charging power to the wireless earphones inserted into the pair of first accommodating parts, and It is applied to a charging cradle for wireless earphones that includes a wireless power reception module for wirelessly charging the battery, and includes a wireless power reception antenna for receiving wireless power; A magnetic field shielding sheet disposed on one side of the wireless power receiving antenna, including a sheet body made of a magnetic material to shield the magnetic field; a plurality of first permanent magnets disposed at positions that do not overlap the wireless power reception antenna; And a pair of second permanent magnets disposed at a position overlapping with the wireless power reception antenna, wherein the pair of second permanent magnets determine the position of the wireless earphone inserted into the first accommodating portion. It is arranged to be located directly above the sheet body so that it can be fixed, and the sheet body has a saturation magnetic flux density of 1.2 Tesla or more to prevent magnetic saturation by the direct current magnetic field generated from the pair of second permanent magnets. Provides a wireless power reception module for wireless earphone charging cradle made of magnetic material.

또한, 상기 복수 개의 제1영구자석은, 상기 무선전력 수신안테나와 중첩되지 않는 위치에 위치하면서 상기 한 쌍의 제1수용부의 외측에 위치하도록 배치될 수 있고, 상기 한 쌍의 제2영구자석은, 상기 무선전력 수신안테나와 중첩되는 위치에 위치하면서 상기 한 쌍의 제1수용부의 직하부에 위치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plurality of first permanent magnets may be arranged to be located outside the pair of first accommodating parts while being located in a position that does not overlap the wireless power reception antenna, and the pair of second permanent magnets may be positioned outside the pair of first accommodating parts. , It may be positioned to overlap the wireless power reception antenna and be located directly below the pair of first accommodating parts.

또한, 상기 시트본체는 열처리된 비정질 리본시트일 수 있다.Additionally, the sheet body may be a heat-treated amorphous ribbon sheet.

또한, 상기 비정질 리본시트는 Fe, Si 및 B를 포함하는 리본시트이고, 2층 내지 10층으로 적층된 다층시트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amorphous ribbon sheet is a ribbon sheet containing Fe, Si, and B, and may be a multi-layer sheet stacked in 2 to 10 layers.

또한, 상기 비정질 리본시트는 Fe, Si 및 Nb를 포함하는 리본시트이고, 10층 내지 30층으로 적층된 다층시트일 수 있다.Additionally, the amorphous ribbon sheet is a ribbon sheet containing Fe, Si, and Nb, and may be a multilayer sheet stacked in 10 to 30 layers.

또한, 상기 비정질 리본시트는 다수 개의 조각으로 분리형성된 시트일 수 있고, 상기 비정질 리본시트는 다수 개의 조각으로 분리된 상태에서의 투자율이 400 이상일 수 있다.Additionally, the amorphous ribbon sheet may be a sheet formed separately into multiple pieces, and the amorphous ribbon sheet may have a permeability of 400 or more when separated into multiple pieces.

또한, 상기 시트본체는 투자율이 600 내지 1200일 수 있다.Additionally, the sheet body may have a magnetic permeability of 600 to 1200.

또한, 상기 무선전력 수신안테나는 소정의 선경을 갖는 도전성부재가 일방향으로 권선된 평판형 코일일 수 있다.Additionally, the wireless power receiving antenna may be a flat coil in which a conductive member having a predetermined wire diameter is wound in one direction.

한편, 본 발명은 무선 이어폰을 수용하기 위한 한 쌍의 제1수용부를 포함하는 케이스; 상기 한 쌍의 제1수용부의 개방된 상부를 덮을 수 있도록 상기 케이스에 결합되는 커버; 상기 커버가 상기 한 쌍의 제1수용부의 상부를 덮은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케이스 및 커버에서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각각 배치되는 복수 개의 제1영구자석; 상기 제1수용부에 삽입된 상기 무선 이어폰의 위치를 고정할 수 있도록 상기 케이스에 구비되는 한 쌍의 제2영구자석; 상기 제1수용부에 삽입된 상기 무선 이어폰 측으로 충전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상기 케이스에 내장되는 배터리; 및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무선전력을 수신하여 상기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도록 상기 케이스에 내장되는 무선전력 수신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무선전력 수신모듈은 상술한 무선 이어폰 충전 크래들용 무선전력 수신모듈인 무선 이어폰용 충전 크래들을 제공한다.Meanwhile,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ase including a pair of first accommodating parts for accommodating wireless earphones; a cover coupled to the case to cover the open upper portion of the pair of first accommodating parts; a plurality of first permanent magnets respectively disposed at corresponding positions in the case and cover so that the cover can maintain the upper portion of the pair of first accommodating parts; a pair of second permanent magnets provided in the case to fix the position of the wireless earphone inserted in the first accommodating portion; a battery built into the case to supply charging power to the wireless earphone inserted into the first accommodating part; And a wireless power receiving module built into the case to receive wireless power supplied from the outside to charge the battery, wherein the wireless power receiving module is the wireless power receiving module for the wireless earphone charging cradle described above. A charging cradle for earphones is provided.

본 발명에 의하면, 포화자속밀도가 1.2 테슬러 이상이고 투자율이 400 이상인 자성체로 자기장 차폐시트를 구성함으로써 충전 크래들에 영구자석이 채용되더라도 영구자석의 직류자기장에 의한 성능저하를 방지하고 품질인증문제를 모두 해결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magnetic field shielding sheet is made of a magnetic material with a saturation magnetic flux density of 1.2 Tesla or more and a magnetic permeability of 400 or more, thereby preventing performance degradation due to the direct current magnetic field of the permanent magnet and solving quality certification problems even if a permanent magnet is used in the charging cradle. Everything can be solv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충전 크래들용 자기장 차폐시트를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충전 크래들용 자기장 차폐시트를 이용한 충전 크래들용 무선전력 수신모듈을 나타낸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충전 크래들용 자기장 차폐시트가 적용될 수 있는 무선 이어폰용 충전 크래들을 나타낸 개략도
도 4는 도 3의 분리도, 그리고,
도 5는 도 3에서 커버가 케이스의 수용부를 덮은 상태에서의 종단면도이다.
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magnetic field shielding sheet for a charging crad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wireless power reception module for a charging cradle using a magnetic field shielding sheet for a charging crad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charging cradle for wireless earphones to which a magnetic field shielding sheet for a charging crad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Figure 4 is a separated view of Figure 3, and
Figure 5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in a state in which the cover covers the receiving portion of the case in Figure 3.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가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implement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In order to clearly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drawings, parts not related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identical or similar components are give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충전 크래들용 자기장 차폐시트(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트본체(110)를 포함한다.The magnetic field shielding sheet 100 for a charging crad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heet body 110 as shown in FIG. 1.

상기 시트본체(110)는 무선전력 전송 또는 무선 충전시 사용되는 안테나로부터 발생되는 자기장을 차폐하여 소요의 방향으로 집속시킬 수 있다.The sheet body 110 can shield the magnetic field generated from the antenna used during wireless power transmission or wireless charging and focus it in a desired direction.

여기서, 상기 안테나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술하는 무선전력 수신모듈(200)을 구성하기 위한 무선전력 수신안테나(210)일 수 있다.Here, as shown in FIG. 2, the antenna may be a wireless power reception antenna 210 for configuring a wireless power reception module 200 to be described later.

이와 같은 시트본체(110)는 자성체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소정의 면적을 갖는 판상의 시트일 수 있다.This sheet body 110 may be made of a magnetic material and may be a plate-shaped sheet with a predetermined area.

이때, 상기 시트본체(110)는 포화자속밀도가 1.2테슬러 이상인 자성체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시트본체(110)는 포화자속밀도가 1.2테슬러 이상이면서 투자율이 400 이상인 자성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At this time, the sheet body 110 may be made of a magnetic material having a saturation magnetic flux density of 1.2 Tesla or more. Preferably, the sheet body 110 may be made of a magnetic material having a saturation magnetic flux density of 1.2 Tesla or more and a magnetic permeability of 400 or more. there is.

비제한적인 일례로써, 상기 시트본체(110)는 비정질 리본시트(111a)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비정질 리본시트(111a)는 Fe, Si 및 B를 포함하는 리본시트이거나 Fe, Si 및 Nb를 포함하는 리본시트일 수 있다.As a non-limiting example, the sheet body 110 may be composed of an amorphous ribbon sheet 111a, and the amorphous ribbon sheet 111a may be a ribbon sheet containing Fe, Si, and B, or a ribbon sheet containing Fe, Si, and Nb. It may be a ribbon sheet containing.

더불어, 상기 시트본체(110)는 Fe, Si, B, Cu 및 Nb를 포함하는 리본시트일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sheet body 110 may be a ribbon sheet containing Fe, Si, B, Cu, and Nb.

이를 통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충전 크래들용 자기장 차폐시트(100)는 스마트 워치의 배터리나 무선 이어폰의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한 충전 크래들(도 3 내지 도 5 참조)에 영구자석(도 3의 330a, 330b 참조)이 내장되더라도 상기 영구자석(도 3의 300a, 330b 참조)에 의한 충전효율저하와 같은 성능저하를 방지할 수 있으며, 충전효율저하와 같은 성능저하의 방지를 통해 품질인증문제를 모두 해결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품질인증은 Qi 인증일 수 있다.Through this, the magnetic field shielding sheet 100 for a charging crad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permanent magnet (see FIG. 3) in a charging cradle (see FIGS. 3 to 5) for charging the battery of a smart watch or a wireless earphone. Even if (refer to 330a, 330b) is built-in, it is possible to prevent performance deterioration such as a decrease in charging efficiency caused by the permanent magnet (refer to 300a, 330b in FIG. 3), and prevent quality certification problems by preventing performance deterioration such as a decrease in charging efficiency. can all be solved. Here, the quality certification may be Qi certification.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충전 크래들용 자기장 차폐시트(100)에서 시트본체(110)가 포화자속밀도가 1.2테슬러 이상이면서 투자율이 400 이상인 자성체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상기 시트본체(110)와 가까운 위치에 영구자석(도 3의 300a,330b 참조)이 배치되더라도 상기 시트본체(110)는 상기 영구자석(도 3의 330a,330b 참조)에서 발생하는 직류자기장에 의한 자기포화가 방지될 수 있다.That is, in the magnetic field shielding sheet 100 for a charging crad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heet body 110 is made of a magnetic material with a saturation magnetic flux density of 1.2 Tesla or more and a magnetic permeability of 400 or more. Even if a permanent magnet (see 300a and 330b in FIG. 3) is placed close to the sheet body 110, magnetic saturation due to a direct current magnetic field generated from the permanent magnet (see 330a and 330b in FIG. 3) can be prevented. there is.

이를 통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충전 크래들용 자기장 차폐시트(100)는 상기 무선전력 수신안테나(210)를 원활하게 작동시키기 위하여 요구되는 인덕턴스를 만족할 수 있기 때문에 충전 크래들에 영구자석이 내장되더라도 Qi 인증과 같은 인증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Through this, the magnetic field shielding sheet 100 for a charging crad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satisfy the inductance required to smoothly operate the wireless power receiving antenna 210, so a permanent magnet is built into the charging cradle. Even so, authentication problems such as Qi authentication can be solved.

더불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충전 크래들용 자기장 차폐시트(100)에서 시트본체(110)가 포화자속밀도가 1.2테슬러 이상이면서 투자율이 400 이상인 자성체로 이루어져 직류자기장에 의한 자기포화가 방지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시트본체(110)는 매우 얇은 두께를 가질 수 있다. In addition, in the magnetic field shielding sheet 100 for a charging crad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heet body 110 is made of a magnetic material with a saturation magnetic flux density of 1.2 Tesla or more and a magnetic permeability of 400 or more to prevent magnetic saturation by a direct current magnetic field. Because this can be done, the sheet body 110 can have a very thin thickness.

일례로, 상기 시트본체(110)는 0.3mm ~ 3mm의 두께를 가지면서도 충전 크래들을 정상적으로 작동시키기 위하여 요구되는 인덕턴스를 구현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sheet body 110 has a thickness of 0.3 mm to 3 mm and can implement the inductance required to normally operate the charging cradle.

그러나 상기 시트본체(110)의 전체두께를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요구되는 스펙(요구 인덕턴스, 사용전력량 등)에 따라 적절하게 가변 될 수 있다.However, the overall thickness of the sheet body 110 is not limited to this and can be appropriately varied depending on the required specifications (required inductance, amount of power used, etc.).

더불어, 상기 시트본체(110)를 구성하는 자성체로서 비정질 리본시트(111a)를 예시하였지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포화자속밀도가 1.2 테슬러 이상 2 테슬러 이하이면서 투자율이 400 이상 5000 이하라면 공지의 자성체가 제한없이 사용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amorphous ribbon sheet 111a is exemplified as the magnetic material constituting the sheet body 110, but it is not limited thereto. If the saturation magnetic flux density is 1.2 Tesla or more and 2 Tesla or less and the magnetic permeability is 400 or more and 5000 or less, the known Magnetic materials can be used without limitation.

한편, 상기 시트본체(1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 개의 조각으로 분리형성될 수 있으며, 서로 이웃하는 조각들은 적어도 일부가 서로 절연될 수 있다.Meanwhile, the sheet body 110 may be formed separately into a plurality of pieces as shown in FIG. 1, and at least some of the adjacent pieces may be insulated from each other.

이를 통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충전 크래들용 자기장 차폐시트(100)에서 상기 시트본체(110)는 유연성이 개선될 수 있으며, 시트본체(110) 자체의 전체저항을 높여줄 수 있다.Through this, in the magnetic field shielding sheet 100 for a charging crad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lexibility of the sheet body 110 can be improved, and the overall resistance of the sheet body 110 itself can be increased.

이로 인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충전 크래들용 자기장 차폐시트(100)는 외력에 의한 시트본체(110)의 파손이 줄어들 수 있으며 와전류에 의한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다.Because of this, the magnetic field shielding sheet 100 for a charging crad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reduce damage to the sheet body 110 due to external force and minimize the influence of eddy currents.

이와 같은 경우, 상기 시트본체(110)는 다수 개의 조각으로 분리된 상태에서의 투자율이 400이상일 수 있다. 비제한적인 일례로써, 상기 시트본체(110)는 다수 개의 조각으로 분리된 상태에서의 투자율이 600 내지 1200일 수 있다.In this case, the sheet body 110 may have a magnetic permeability of 400 or more when separated into multiple pieces. As a non-limiting example, the sheet body 110 may have a permeability of 600 to 1200 when separated into multiple pieces.

이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충전 크래들용 자기장 차폐시트(100)는 도 1의 확대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시트본체(110)의 상면과 하면 중 적어도 일면에 접착층(122)을 매개로 부착되는 보호필름(120)을 더 포함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magnetic field shielding sheet 100 for a charging crad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adhesive layer 122 on at least one of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sheet body 110, as shown in the enlarged view of FIG. 1. It may further include a protective film 120 attached.

이에 따라, 상기 시트본체(110)가 다수 개의 조각으로 분리형성되더라도 서로 물리적으로 분리된 다수 개의 조각들은 상기 보호필름(120)을 통해 외부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Accordingly, even if the sheet body 110 is formed separately into multiple pieces, the multiple pieces physically separated from each other can be prevented from being separat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protective film 120.

또한, 상기 시트본체(110)는 복수 개의 시트가 접착층을 매개로 다층으로 적층된 다층시트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sheet body 110 may be a multi-layer sheet in which a plurality of sheets are stacked in multiple layers with an adhesive layer as a medium.

일례로, 상기 시트본체(110)는 복수 개의 시트가 2층 내지 30층으로 적층된 다층시트일 수 있다.For example, the sheet body 110 may be a multi-layer sheet in which a plurality of sheets are stacked in 2 to 30 layers.

구체적인 일례로써, 상기 시트본체(110)는 Fe, Si 및 Nb를 포함하는 비정질 리본시트(111a)로 구성될 수 있고, 상기 Fe, Si 및 Nb를 포함하는 비정질 리본시트(111a)는 복수 개의 조각으로 분리형성될 수 있으며, 각각의 조각들은 비정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As a specific example, the sheet body 110 may be composed of an amorphous ribbon sheet 111a containing Fe, Si, and Nb, and the amorphous ribbon sheet 111a containing Fe, Si, and Nb may be composed of a plurality of pieces. It can be formed separately, and each piece can be amorphous.

또한, 상기 시트본체(110)는 Fe, Si 및 Nb를 포함하면서 다수 개의 조각으로 분리형성된 복수 개의 비정질 리본시트(111a)가 접착층(111b)을 매개로 다층으로 적층된 다층시트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sheet body 110 may be a multilayer sheet in which a plurality of amorphous ribbon sheets 111a containing Fe, Si, and Nb and separated into multiple pieces are stacked in multiple layers via an adhesive layer 111b.

이와 같은 경우, Fe, Si 및 Nb를 포함하는 각각의 비정질 리본시트(111a)는 다수 개의 조각으로 분리된 상태에서의 투자율이 400 이상일 수 있으며, 상기 시트본체(110)는 Fe, Si 및 Nb를 포함하는 비정질 리본시트(111a)가 접착층(111b)을 매개로 10층 내지 30층으로 적층된 다층시트일 수 있다.In this case, each amorphous ribbon sheet 111a containing Fe, Si, and Nb may have a magnetic permeability of 400 or more when separated into multiple pieces, and the sheet body 110 contains Fe, Si, and Nb. The amorphous ribbon sheet 111a may be a multilayer sheet in which 10 to 30 layers are stacked via an adhesive layer 111b.

다른 예로써, 상기 시트본체(110)는 Fe, Si 및 B를 포함하는 비정질 리본시트(111a)로 구성될 수 있고, 상기 Fe, Si 및 B를 포함하는 비정질 리본시트(111a)는 복수 개의 조각으로 분리형성될 수 있으며, 각각의 조각들은 비정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the sheet body 110 may be composed of an amorphous ribbon sheet 111a containing Fe, Si, and B, and the amorphous ribbon sheet 111a containing Fe, Si, and B may be composed of a plurality of pieces. It can be formed separately, and each piece can be amorphous.

또한, 상기 시트본체(110)는 Fe, Si 및 B를 포함하면서 다수 개의 조각으로 분리형성된 복수 개의 비정질 리본시트(111a)가 접착층(111b)을 매개로 다층으로 적층된 다층시트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sheet body 110 may be a multi-layer sheet in which a plurality of amorphous ribbon sheets 111a containing Fe, Si, and B and separated into multiple pieces are stacked in multiple layers via an adhesive layer 111b.

이와 같은 경우, Fe, Si 및 B를 포함하는 각각의 비정질 리본시트(111a)는 다수 개의 조각으로 분리된 상태에서의 투자율이 400 이상일 수 있으며, 상기 시트본체(110)는 Fe, Si 및 B를 포함하는 비정질 리본시트(111a)가 접착층(111b)을 매개로 2층 내지 10층으로 적층된 다층시트일 수 있다.In this case, each amorphous ribbon sheet 111a containing Fe, Si, and B may have a magnetic permeability of 400 or more when separated into multiple pieces, and the sheet body 110 contains Fe, Si, and B. The amorphous ribbon sheet 111a may be a multi-layer sheet in which 2 to 10 layers are stacked via an adhesive layer 111b.

그러나 상기 시트본체(110)를 구성하는 비정질 리본시트(111a)의 전체적층수를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제품의 스펙 및 요구되는 사용전력용량에 따라 적절하게 가변될 수 있다.However, the total number of stacks of the amorphous ribbon sheets 111a constituting the sheet body 110 is not limited to this and may be appropriately varied depending on product specifications and required power usage capacity.

한편, Fe, Si 및 B를 포함하는 비정질 리본시트는 Fe, Si 및 Nb를 포함하는 비정질 리본시트보다 상대적으로 더 높은 포화자속밀도를 가질 수 있다. 이를 통해, Fe, Si 및 B를 포함하는 비정질 리본시트로 구성된 시트본체는 Fe, Si 및 Nb를 포함하는 비정질 리본시트로 구성된 시트본체보다 상대적으로 더 얇은 두께로 구현될 수 있기 때문에 시트본체가 Fe, Si 및 B를 포함하는 비정질 리본시트로 구성되면 충전 크래들용 자기장 차폐시트(100)의 두께를 더욱 얇은 두께로 구현할 수 있다.Meanwhile, an amorphous ribbon sheet containing Fe, Si, and B may have a relatively higher saturation magnetic flux density than an amorphous ribbon sheet containing Fe, Si, and Nb. Through this, the sheet main body composed of an amorphous ribbon sheet containing Fe, Si, and B can be implemented with a relatively thinner thickness than the sheet main body composed of an amorphous ribbon sheet containing Fe, Si, and Nb. , when composed of an amorphous ribbon sheet containing Si and B, the thickness of the magnetic field shielding sheet 100 for the charging cradle can be implemented to be thinner.

이와 같은 이유로, 상기 시트본체를 구성하는 자성체의 포화자속밀도가 더 높을수록 상기 시트본체(110)를 구성하는 시트의 전체적층수가 감소될 수 있기 때문에, 충전 크래들용 자기장 차폐시트(100)의 전체두께는 더욱 얇아질 수 있다.For this reason, as the saturation magnetic flux density of the magnetic material constituting the sheet main body is higher, the total number of sheets constituting the sheet main body 110 can be reduced, so the entire magnetic field shielding sheet 100 for the charging cradle can be reduced. The thickness can become even thinner.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비정질 리본시트(111a)가 접착층(111b)을 매개로 적층된 다층시트가 상기 시트본체(110)를 구성하는 경우, 상기 접착층(111b)은 비전도성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접착층(111b)은 서로 적층되는 두 개의 비정질 리본시트(111a) 사이에 배치될 수 있으며, 일부 또는 전부가 두 개의 비정질 리본시트(111a) 측으로 스며들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as described above, when a multilayer sheet in which a plurality of amorphous ribbon sheets 111a are laminated via an adhesive layer 111b constitutes the sheet body 110, the adhesive layer 111b may include a non-conductive component. You can. Such an adhesive layer (111b) may be disposed between two amorphous ribbon sheets (111a) stacked on top of each other, and part or all of it may permeate into the two amorphous ribbon sheets (111a).

이를 통해, 상기 비정질 리본시트(111a)를 구성하는 각각의 조각들은 조각들 사이의 틈새로 스며든 비전도성 성분을 포함하는 접착층(111b)을 통해 서로 절연될 수 있다. Through this, each piece constituting the amorphous ribbon sheet 111a can be insulated from each other through an adhesive layer 111b containing a non-conductive component that seeps into the gaps between the pieces.

여기서, 상기 접착층은 겔상 또는 액상의 접착제로 구비될 수도 있으며 필름 형태의 기재의 일면 또는 양면에 겔상 또는 액상의 접착제가 도포된 형태일 수도 있다.Here, the adhesive layer may be provided as a gel-like or liquid adhesive, or may be in the form of a gel-like or liquid adhesive applied to one or both sides of a film-type substrate.

한편, 상술한 충전 크래들용 자기장 차폐시트(1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충전 크래들용 무선전력 수신모듈(200)로 구현될 수 있다.Meanwhile, the above-described magnetic field shielding sheet 100 for a charging cradle may be implemented as a wireless power receiving module 200 for a charging cradle, as shown in FIG. 2.

즉, 상기 충전 크래들용 무선전력 수신모듈(200)은 무선전력 수신안테나(210)와 상술한 충전 크래들용 자기장 차폐시트(100)를 포함할 수 있다.That is, the wireless power receiving module 200 for the charging cradle may include a wireless power receiving antenna 210 and the magnetic field shielding sheet 100 for the charging cradle described above.

이와 같은 충전 크래들용 무선전력 수신모듈(200)은 상술한 충전 크래들용 자기장 차폐시트(100)와 마찬가지로 스마트 워치의 배터리나 무선 이어폰의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한 충전 크래들에 채용될 수 있으며, 상기 충전 크래들은 적어도 하나의 영구자석(도 3의 330a,330b 참조)이 내장될 수 있다.Like the magnetic field shielding sheet 100 for a charging cradle described above, the wireless power receiving module 200 for a charging cradle can be employed in a charging cradle for charging the battery of a smart watch or the battery of a wireless earphone, and the charging cradle may have at least one permanent magnet (see 330a and 330b in FIG. 3) built in.

상기 무선전력 수신안테나(210)는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무선전력을 수신할 수 있다.The wireless power receiving antenna 210 can receive wireless power supplied from the outside.

이와 같은 무선전력 수신안테나(210)는 일정길이를 갖는 도전성부재가 복수 회 권선된 평판형 코일일 수 있으며, 상기 충전 크래들용 자기장 차폐시트(100)의 일면에 접착층(미도시)을 매개로 고정될 수 있다.Such a wireless power receiving antenna 210 may be a flat coil in which a conductive member having a certain length is wound multiple times, and is fixed to one surface of the magnetic field shielding sheet 100 for the charging cradle via an adhesive layer (not shown). It can be.

여기서, 상기 접착층은 접착 성질을 갖는 본드, PVC, 고무 또는 양면테이프와 같은 공지의 접착제 또는 점착제가 모두 사용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내열성을 갖는 접착층일 수 있다.Here, the adhesive layer may be any known adhesive or adhesive having adhesive properties, such as bond, PVC, rubber, or double-sided tape, but is preferably an adhesive layer having heat resistance.

본 발명에서, 상기 도전성부재는 구리와 같이 도전성을 갖는 금속재질일 수 있으며, 소정의 선경을 갖는 한 개의 가닥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복수 개의 가닥이 길이방향을 따라 꼬인 형태일 수도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ductive member may be a conductive metal material such as copper, and may be made of a single strand having a predetermined wire diameter or may be formed of a plurality of strands twist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더불어, 상기 평판형 코일은 상기 도전성부재가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을 따라 복수 회 권선된 형태일 수 있으며, 원형, 타원형, 다각형 및 이들이 상호 조합된 형상 중 어느 하나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In addition, the planar coil may have a shape in which the conductive member is wound multiple times in a clockwise or counterclockwise direction, and may have any one of a circular shape, an oval shape, a polygonal shape, and a combination thereof.

그러나 상기 무선전력 수신안테나(210)를 평판형 코일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상기 무선전력 수신안테나(210)는 회로기판의 적어도 일면에 패턴형성되는 안테나패턴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However, the wireless power receiving antenna 210 is not limited to a planar coil, and the wireless power receiving antenna 210 may be formed as an antenna pattern patterned on at least one surface of a circuit board.

이때, 상기 충전 크래들용 자기장 차폐시트(1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무선전력 수신안테나(210)의 일면에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무선전력 수신안테나(210)에서 발생하는 자기장을 차폐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magnetic field shielding sheet 100 for the charging cradle may be placed on one side of the wireless power receiving antenna 210, as shown in FIG. 2, and shields the magnetic field generated from the wireless power receiving antenna 210. can do.

이와 같은 충전 크래들용 자기장 차폐시트(100)는 상술한 내용과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Since the magnetic field shielding sheet 100 for the charging cradle is the same as described abov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한편, 상술한 충전 크래들용 자기장 차폐시트(100) 및 충전 크래들용 무선전력 수신모듈(200)은 상술한 바와 같이 스마트 워치의 배터리나 무선 이어폰의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한 충전 크래들에 채용될 수 있다.Meanwhile, the above-described magnetic field shielding sheet 100 for a charging cradle and the wireless power receiving module 200 for a charging cradle can be employed in a charging cradle for charging the battery of a smart watch or the battery of wireless earphones, as described above.

비제한적인 일례로써, 상술한 충전 크래들용 자기장 차폐시트(100) 및 충전 크래들용 무선전력 수신모듈(200)은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 이어폰(10)을 충전하기 위한 무선 이어폰용 충전 크래들(300)에 채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무선 이어폰(10)은 블루투스 이어폰일 수 있다.As a non-limiting example, the above-described magnetic field shielding sheet 100 for a charging cradle and the wireless power receiving module 200 for a charging cradle are wireless earphones for charging the wireless earphones 10 as shown in FIGS. 3 to 5. It can be employed in the charging cradle 300. Here, the wireless earphone 10 may be a Bluetooth earphone.

구체적으로, 상기 무선 이어폰용 충전 크래들(300)은 케이스(310), 커버(320), 영구자석(330a,330b), 회로기판(340), 자기장 차폐시트(100), 무선전력 수신안테나(210) 및 배터리(350)를 포함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charging cradle 300 for wireless earphones includes a case 310, a cover 320, a permanent magnet (330a, 330b), a circuit board 340, a magnetic field shielding sheet 100, and a wireless power receiving antenna (210). ) and a battery 350.

여기서, 상기 무선 이어폰용 충전 크래들(300)을 구성하는 자기장 차폐시트(100) 및 무선전력 수신안테나(210)는 상술한 내용과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Here, since the magnetic field shielding sheet 100 and the wireless power receiving antenna 210 constituting the wireless earphone charging cradle 300 are the same as those described abov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상기 케이스(310)는 내부에 상기 회로기판(340), 자기장 차폐시트(100), 무선전력 수신안테나(210) 및 배터리(350) 등이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무선 이어폰(10)을 수용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제1수용부(312)를 포함할 수 있다.The case 310 may have the circuit board 340, magnetic field shielding sheet 100, wireless power receiving antenna 210, and battery 350 installed inside, and accommodate the wireless earphones 10. It may include at least one first accommodating part 312 for.

이와 같은 상기 케이스(310)는 하나의 부재로 형성될 수도 있으나, 외부케이스(310a) 및 내부케이스(310b)를 포함할 수 있다.The case 310 may be formed as a single member, but may include an outer case 310a and an inner case 310b.

일례로, 상기 외부케이스(310a)는 상부가 개방된 함체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내부에 상기 무선전력 수신안테나(210), 자기장 차폐시트(100), 회로기판(340) 및 배터리(350)가 순차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external case 310a may be formed in the shape of a box with an open top, and the wireless power receiving antenna 210, magnetic field shielding sheet 100, circuit board 340, and battery 350 are inside. can be placed sequentially.

이와 같은 경우, 상기 내부케이스(310b)는 상기 배터리(350)의 상부 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외부케이스(310a)에 결합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inner case 310b may be coupled to the outer case 310a to be located on the upper side of the battery 350.

이때, 상기 무선전력 수신안테나(210)는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무선전력을 원활하게 수신할 수 있도록 상기 외부케이스(310a)의 바닥면과 직접 대면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wireless power receiving antenna 210 may be arranged to directly face the bottom surface of the external case 310a so as to smoothly receive wireless power supplied from the outside.

이를 통해, 상기 무선전력 수신안테나(210)를 통해 수신된 무선 전력은 상기 배터리(350) 측으로 공급될 수 있으며, 상기 배터리(350)의 전원은 상기 무선 전력을 이용하여 충전될 수 있다. Through this, the wireless power received through the wireless power receiving antenna 210 can be supplied to the battery 350, and the power of the battery 350 can be charged using the wireless power.

여기서, 상기 회로기판(340)은 전반적인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즉, 상기 회로기판(340)의 일면에는 전반적인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MCU와 같은 구동칩이 실장될 수 있다. Here, the circuit board 340 can control overall operation. That is, a driving chip such as an MCU for controlling overall driving may be mounted on one side of the circuit board 340.

더불어, 상기 회로기판(340)은 상기 무선전력 수신안테나(210)를 구동하고 무선전력 수신안테나(210)를 통해 수신된 전력을 상기 배터리(350)로 공급하기 위한 충전회로 등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ircuit board 340 may include a charging circuit for driving the wireless power reception antenna 210 and supplying power received through the wireless power reception antenna 210 to the battery 350. .

한편, 상기 내부케이스(310b)는 상기 무선 이어폰(10)을 수용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제1수용부(312)가 형성될 수 있다.Meanwhile, the inner case 310b may be formed with at least one first accommodating portion 312 for accommodating the wireless earphone 10.

또한, 상기 제1수용부(312) 측에는 상기 무선 이어폰(1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충전단자(314)가 구비될 수 있다.Additionally, at least one charging terminal 314 that can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wireless earphone 10 may be provided on the first receiving portion 312 side.

이에 따라, 상기 무선 이어폰(10)이 상기 제1수용부(312)에 삽입되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충전단자(314)는 상기 무선 이어폰(10)의 접촉단자(미도시)와 서로 접촉될 수 있다. Accordingly, when the wireless earphone 10 is inserted into the first accommodating part 312, the at least one charging terminal 314 may be in contact with a contact terminal (not shown) of the wireless earphone 10. .

이를 통해, 상기 배터리(350)에 저장된 전원은 상기 충전단자(314)를 통해 상기 무선 이어폰(10) 측으로 공급될 수 있으며, 무선 이어폰(10)의 배터리는 상기 배터리(350)로부터 제공되는 전원을 이용하여 충전될 수 있다.Through this, the power stored in the battery 350 can be supplied to the wireless earphones 10 through the charging terminal 314, and the battery of the wireless earphones 10 receives power provided from the battery 350. It can be charged using

상기 커버(320)는 상기 제1수용부(312)의 개방된 상부를 덮을 수 있도록 상기 케이스(310)에 결합될 수 있다.The cover 320 may be coupled to the case 310 to cover the open upper part of the first receiving portion 312.

이와 같은 커버(320)는 하나의 부재로 형성될 수도 있으나, 외부커버(320a) 및 내부커버(320b)를 포함할 수 있다.This cover 320 may be formed as a single member, but may include an outer cover 320a and an inner cover 320b.

또한, 상기 커버(320)는 상기 제1수용부(312)에 삽입된 무선 이어폰(10)의 일부를 수용하기 위한 제2수용부(322)를 포함할 수 있다.Additionally, the cover 320 may include a second accommodating part 322 for accommodating a portion of the wireless earphone 10 inserted into the first accommodating part 312.

일례로, 상기 외부커버(320a)는 일측이 개방된 함체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내부커버(320b) 측에는 상기 무선 이어폰(10)의 일부를 수용하기 위한 제2수용부(322)가 형성될 수 있다. For example, the outer cover 320a may be formed in a box shape with one side open, and a second receiving portion 322 for accommodating a portion of the wireless earphone 10 is formed on the inner cover 320b. It can be.

여기서, 상기 제2수용부(322)는 상기 케이스(310)에 형성되는 제1수용부(312)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Here, the second accommodating part 322 may be formed in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accommodating part 312 formed in the case 310.

이에 따라, 상기 커버(320)가 상기 제1수용부(312)의 개방된 상부를 덮으면, 상기 무선 이어폰(10)은 상기 제1수용부(312) 및 제2수용부(322)에 수용된 상태로 보관될 수 있으며, 외부노출이 방지될 수 있다.Accordingly, when the cover 320 covers the open upper part of the first accommodating part 312, the wireless earphone 10 is accommodated in the first accommodating part 312 and the second accommodating part 322. It can be stored and external exposure can be prevented.

이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이어폰용 충전 크래들(300)은 적어도 하나의 영구자석(330a,330b)이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영구자석(330a,330b)은 상기 커버(320) 및 케이스(310)의 결합을 유지하기 위한 자력을 제공하거나 상기 제1수용부(312)에 삽입된 무선 이어폰(10)의 위치를 고정하기 위한 자력을 제공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charging cradle 300 for wireless earphon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ovided with at least one permanent magnet (330a, 330b). These permanent magnets (330a, 330b) provide magnetic force to maintain the combination of the cover 320 and the case 310 or fix the position of the wireless earphone 10 inserted into the first receiving portion 312. It can provide magnetic force to do this.

이를 통해, 상기 무선 이어폰(10)은 상기 충전 크래들(300)에 보관된 상태에서 영구자석에 의해 제공되는 자력을 통해 위치가 고정되어 상기 제1수용부(312)에 구비된 충전단자(314)와 상기 무선 이어폰(10)의 접촉단자(미도시)가 서로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므로 원활하게 충전될 수 있다.Through this, the wireless earphones 10, while stored in the charging cradle 300, are fixed in position through magnetic force provided by a permanent magnet and are connected to the charging terminal 314 provided in the first receiving portion 312. Since the contact terminals (not shown) of the wireless earphone 10 remain in contact with each other, charging can be performed smoothly.

일례로, 상기 영구자석(330a,330b)은 상기 커버(320) 및 케이스(310)의 결합을 유지하기 위한 제1영구자석(330a)과 상기 제1수용부(312)에 삽입된 무선 이어폰(10)의 위치를 고정하기 위한 제2영구자석(330b)을 포함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permanent magnets 330a and 330b include a first permanent magnet 330a for maintaining the combination of the cover 320 and the case 310, and a wireless earphone inserted into the first receiving portion 312 ( 10) may include a second permanent magnet (330b) to fix the position.

여기서, 상기 제1영구자석(330a)은 상기 커버(320) 및 케이스(310) 측에 각각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커버(320)에 구비된 제1영구자석(330a)과 상기 케이스(310)에 구비된 제1영구자석(330a)은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비 제한적인 일례로써, 상기 제1영구자석(330a)은 상기 내부커버(320b) 및 내부케이스(310b)에 각각 구비될 수 있다.Here, the first permanent magnet 330a may be provided on the cover 320 and the case 310, respectively, and the first permanent magnet 330a provided on the cover 320 and the case 310 The first permanent magnets 330a provided in may be provided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each other. As a non-limiting example, the first permanent magnet 330a may be provided in the inner cover 320b and the inner case 310b, respectively.

또한, 상기 제2영구자석(330b)은 상기 내부케이스(310b)에서 상기 제1수용부(312)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Additionally, the second permanent magnet 330b may be provided to be located below the first receiving part 312 in the inner case 310b.

이에 따라, 상기 제1수용부(312)에 무선 이어폰(10)이 삽입되면 상기 무선 이어폰(10)은 자력을 통해 위치가 고정됨으로써 충전단자(314)와 무선 이어폰(10)의 접촉단자가 서로 접촉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Accordingly, when the wireless earphone 10 is inserted into the first receiving part 312, the position of the wireless earphone 10 is fixed through magnetic force, so that the charging terminal 314 and the contact terminal of the wireless earphone 1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You can stay in contact.

이로 인해, 상기 무선 이어폰(10)은 상기 접촉단자를 통해 원활하게 충전을 위한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음으로써 무선 이어폰(10)의 배터리는 원활하게 충전될 수 있다.Because of this, the wireless earphones 10 can be smoothly supplied with power for charging through the contact terminal, so the battery of the wireless earphones 10 can be smoothly charged.

이와 같이 무선 이어폰(10)의 전원을 충전하기 위한 충전 크래들(300)에 영구자석(330a,330b)이 채용되면, 상기 영구자석(330a,330b)에서 발생하는 직류자기장은 상기 자기장 차폐시트(100)의 성능에 영향을 줄 수 있다.In this way, when the permanent magnets 330a and 330b are employed in the charging cradle 300 for charging the wireless earphones 10, the direct current magnetic field generated from the permanent magnets 330a and 330b is connected to the magnetic field shielding sheet 100. ) may affect the performance.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충전 크래들용 자기장 차폐시트(100)를 구성하는 시트본체(110)의 재질로서, 포화자속밀도가 1.2테슬러 이상이면서 투자율이 400 이상인 자성체가 사용되기 때문에 상기 영구자석(300a,330b)에서 발생하는 직류자기장에 의한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다.However, in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as the material of the sheet body 110 constituting the magnetic field shielding sheet 100 for the charging cradle, a magnetic material having a saturation magnetic flux density of 1.2 Tesla or more and a magnetic permeability of 400 or more is used, so that the permanent The influence of the direct current magnetic field generated from the magnets 300a and 330b can be minimized.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충전 크래들용 자기장 차폐시트(100)를 채용하면, 직류자기장에 의한 무선충전효율저하와 같은 성능저하를 방지할 수 있으며, 성능저하의 방지를 통해 Qi 인증과 같은 품질인증문제를 모두 해결할 수 있다.In other words, by employing the magnetic field shielding sheet 100 for a charging crad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performance degradation such as a decrease in wireless charging efficiency due to a direct current magnetic field, and by preventing performance degradation, Qi authentication and It can solve all the same quality certification problems.

다시 말하면, 상기 무선 이어폰용 충전 크래들(300)에 사용되는 자기장 차폐시트(100)가 포화자속밀도가 1.2테슬러 이상이면서 투자율이 400 이상인 특성을 가지기 때문에, 자기장 차폐시트(100)와 가까운 위치에 영구자석(300a,330b)이 배치되더라도 상기 자기장 차폐시트(100)는 상기 영구자석(330a,330b)에서 발생하는 직류자기장에 의한 자기포화가 방지될 수 있다.In other words, since the magnetic field shielding sheet 100 used in the charging cradle 300 for wireless earphones has the characteristics of a saturation magnetic flux density of 1.2 Tesla or more and a permeability of 400 or more, it is installed in a position close to the magnetic field shielding sheet 100. Even if the permanent magnets 300a and 330b are disposed, the magnetic field shielding sheet 100 can prevent magnetic saturation due to the direct current magnetic field generated from the permanent magnets 330a and 330b.

이를 통해, 상기 무선 이어폰용 충전 크래들(300)에 사용되는 자기장 차폐시트(100)는 상기 무선전력 수신안테나(210)를 원활하게 작동시키기 위하여 요구되는 인덕턴스를 만족할 수 있으며, Qi 인증과 같은 인증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Through this, the magnetic field shielding sheet 100 used in the charging cradle 300 for wireless earphones can satisfy the inductance required to smoothly operate the wireless power receiving antenna 210, and can solve authentication problems such as Qi authentication. can be solved.

이상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Although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bove,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 present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ho understand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add components within the scope of the same spirit. , other embodiments can be easily proposed by change, deletion, addition, etc., but this will also be said to be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 충전 크래들용 자기장 차폐시트
110 : 시트본체 111a : 리본시트
111b : 접착층 120 : 보호필름
122 : 접착층 200 : 충전 크래들용 무선전력 수신모듈
210 : 무선전력 수신안테나 300 : 충전크래들
310 : 케이스 310a : 외부케이스
310b: 내부케이스 312 : 수용부
314 : 충전단자 320 : 커버
320a : 외부커버 320b : 내부커버
322 : 수용부 330a,330b : 영구자석
340 : 회로기판 350 : 배터리
100: Magnetic field shielding sheet for charging cradle
110: Sheet body 111a: Ribbon sheet
111b: Adhesive layer 120: Protective film
122: Adhesive layer 200: Wireless power reception module for charging cradle
210: wireless power reception antenna 300: charging cradle
310: Case 310a: External case
310b: Inner case 312: Receiving part
314: charging terminal 320: cover
320a: outer cover 320b: inner cover
322: Receiving part 330a, 330b: Permanent magnet
340: circuit board 350: battery

Claims (9)

무선 이어폰을 수용하기 위한 한 쌍의 제1수용부와, 상기 한 쌍의 제1수용부에 삽입된 상기 무선 이어폰 측으로 충전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와, 상기 배터리를 무선으로 충전하기 위한 무선전력 수신모듈을 포함하는 무선 이어폰용 충전크래들에 적용되는 무선전력 수신모듈로서,
무선 전력을 수신하기 위한 무선전력 수신안테나;
자기장을 차폐할 수 있도록 자성체로 이루어진 시트본체를 포함하여 상기 무선전력 수신안테나의 일면에 배치되는 자기장 차폐시트;
상기 무선전력 수신안테나와 중첩되지 않는 위치에 위치하도록 배치되는 복수 개의 제1영구자석; 및
상기 무선전력 수신 안테나와 중첩되는 위치에 위치하도록 배치되는 한 쌍의 제2영구자석;을 포함하며,
상기 한 쌍의 제2영구자석은 상기 제1수용부에 삽입된 상기 무선 이어폰의 위치를 고정할 수 있도록 상기 시트본체의 직상부에 위치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시트본체는 상기 한 쌍의 제2영구자석에서 발생하는 직류자기장에 의한 자기포화가 방지될 수 있도록 포화자속밀도가 1.2 테슬러 이상인 자성체로 형성되는 무선 이어폰 충전 크래들용 무선전력 수신모듈.
A pair of first accommodating parts for accommodating wireless earphones, a battery for supplying charging power to the wireless earphones inserted into the pair of first accommodating parts, and wireless power reception for wirelessly charging the batteries. A wireless power reception module applied to a charging cradle for wireless earphones including a module,
A wireless power reception antenna for receiving wireless power;
A magnetic field shielding sheet disposed on one side of the wireless power receiving antenna, including a sheet body made of a magnetic material to shield the magnetic field;
a plurality of first permanent magnets disposed at positions that do not overlap the wireless power reception antenna; and
It includes a pair of second permanent magnets arranged to overlap the wireless power reception antenna,
The pair of second permanent magnets are arranged to be located directly above the seat body so as to fix the position of the wireless earphone inserted into the first receiving portion,
The sheet body is a wireless power reception module for a wireless earphone charging cradle, wherein the sheet body is formed of a magnetic material with a saturation magnetic flux density of 1.2 Tesla or more to prevent magnetic saturation by the direct current magnetic field generated from the pair of second permanent magnet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제1영구자석은, 상기 무선전력 수신안테나와 중첩되지 않는 위치에 위치하면서 상기 한 쌍의 제1수용부의 외측에 위치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한 쌍의 제2영구자석은, 상기 무선전력 수신안테나와 중첩되는 위치에 위치하면서 상기 한 쌍의 제1수용부의 직하부에 위치하도록 배치되는 무선 이어폰 충전 크래들용 무선전력 수신모듈.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plurality of first permanent magnets are positioned outside the pair of first accommodating parts and are positioned at a position that does not overlap the wireless power receiving antenna,
The pair of second permanent magnets are located at a position overlapping with the wireless power reception antenna and are positioned directly below the pair of first accommodating parts. A wireless power reception module for a wireless earphone charging cradl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본체는 열처리된 비정질 리본시트인 무선 이어폰 충전 크래들용 무선전력 수신모듈.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sheet body is a wireless power reception module for a wireless earphone charging cradle, which is a heat-treated amorphous ribbon sheet.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비정질 리본시트는 Fe, Si 및 B를 포함하는 리본시트이고, 2층 내지 10층으로 적층된 다층시트인 무선 이어폰 충전 크래들용 무선전력 수신모듈.
According to paragraph 3,
The amorphous ribbon sheet is a ribbon sheet containing Fe, Si, and B, and is a wireless power receiving module for a wireless earphone charging cradle that is a multilayer sheet stacked in 2 to 10 layers.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비정질 리본시트는 Fe, Si 및 Nb를 포함하는 리본시트이고, 10층 내지 30층으로 적층된 다층시트인 무선 이어폰 충전 크래들용 무선전력 수신모듈.
According to paragraph 3,
The amorphous ribbon sheet is a ribbon sheet containing Fe, Si, and Nb, and is a wireless power receiving module for a wireless earphone charging cradle, which is a multilayer sheet stacked in 10 to 30 layers.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비정질 리본시트는 다수 개의 조각으로 분리형성된 시트이고,
상기 비정질 리본시트는 다수 개의 조각으로 분리된 상태에서의 투자율이 400 이상인 무선 이어폰 충전 크래들용 무선전력 수신모듈.
According to paragraph 3,
The amorphous ribbon sheet is a sheet formed separately into multiple pieces,
The amorphous ribbon sheet is a wireless power reception module for a wireless earphone charging cradle having a permeability of 400 or more when separated into multiple piece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본체는 투자율이 600 내지 1200인 무선 이어폰 충전 크래들용 무선전력 수신모듈.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sheet body is a wireless power receiving module for a wireless earphone charging cradle with a magnetic permeability of 600 to 120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전력 수신안테나는 소정의 선경을 갖는 도전성부재가 일방향으로 권선된 평판형 코일인 무선 이어폰 충전 크래들용 무선전력 수신모듈.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wireless power receiving antenna is a wireless power receiving module for a wireless earphone charging cradle, which is a flat coil in which a conductive member having a predetermined wire diameter is wound in one direction.
무선 이어폰을 수용하기 위한 한 쌍의 제1수용부를 포함하는 케이스;
상기 한 쌍의 제1수용부의 개방된 상부를 덮을 수 있도록 상기 케이스에 결합되는 커버;
상기 커버가 상기 한 쌍의 제1수용부의 상부를 덮은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케이스 및 커버에서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각각 배치되는 복수 개의 제1영구자석;
상기 제1수용부에 삽입된 상기 무선 이어폰의 위치를 고정할 수 있도록 상기 케이스에 구비되는 한 쌍의 제2영구자석;
상기 제1수용부에 삽입된 상기 무선 이어폰 측으로 충전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상기 케이스에 내장되는 배터리; 및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무선전력을 수신하여 상기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도록 상기 케이스에 내장되는 무선전력 수신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무선전력 수신모듈은 청구항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무선 이어폰 충전 크래들용 무선전력 수신모듈인 무선 이어폰용 충전 크래들.
A case including a pair of first accommodating parts for accommodating wireless earphones;
a cover coupled to the case to cover the open upper portion of the pair of first accommodating parts;
a plurality of first permanent magnets respectively disposed at corresponding positions in the case and cover so that the cover can maintain the upper portion of the pair of first accommodating parts;
a pair of second permanent magnets provided in the case to fix the position of the wireless earphone inserted in the first accommodating part;
a battery built into the case to supply charging power to the wireless earphone inserted into the first accommodating part; and
It includes a wireless power reception module built into the case to receive wireless power supplied from the outside and charge the battery,
The wireless power receiving module is a charging cradle for wireless earphones, which is a wireless power receiving module for a wireless earphone charging cradl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8.
KR1020230098409A 2019-06-26 2023-07-27 Wireless power receiving module for wireless earphone charging cradle and charging cradle for wireless earphone including the same KR102599988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6435 2019-06-26
KR20190076435 2019-06-26
KR1020220168968A KR102565042B1 (en) 2019-06-26 2022-12-06 Wireless power receiving module for wireless earphone charging cradle and charging cradle for wireless earphone including the same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68968A Division KR102565042B1 (en) 2019-06-26 2022-12-06 Wireless power receiving module for wireless earphone charging cradle and charging cradle for wireless earphone includ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18060A KR20230118060A (en) 2023-08-10
KR102599988B1 true KR102599988B1 (en) 2023-11-08

Family

ID=74127933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7594A KR20210002004A (en) 2019-06-26 2020-06-25 Magnetic shielding sheet for charging cradle and wireless power receiving module for charging cradle including the same and charging cradle for wireless earphone
KR1020230098409A KR102599988B1 (en) 2019-06-26 2023-07-27 Wireless power receiving module for wireless earphone charging cradle and charging cradle for wireless earphone including the same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7594A KR20210002004A (en) 2019-06-26 2020-06-25 Magnetic shielding sheet for charging cradle and wireless power receiving module for charging cradle including the same and charging cradle for wireless earphone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2) KR20210002004A (en)
CN (1) CN113796000A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64696B1 (en) * 2021-02-04 2023-08-08 주식회사 아모센스 Truly wireless stereo earphone
KR102591612B1 (en) * 2021-04-15 2023-10-18 임화목 A Portable Type of a Charging Device for a Hearing Aid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90649A1 (en) * 2015-05-26 2016-12-01 주식회사 아모센스 Wireless power reception module
KR20170017416A (en) * 2015-08-06 2017-02-15 주식회사 아모센스 antenna unit for wireless power transfer and a wireless charging receiver module having the same
KR102021332B1 (en) * 2016-12-09 2019-09-16 주식회사 아모센스 Heating Module for induction range and induction range including the same
KR102366797B1 (en) * 2017-08-22 2022-02-23 삼성전자주식회사 Electronic device including cover having open/close structure using magnetic for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3796000A (en) 2021-12-14
KR20210002004A (en) 2021-01-06
KR20230118060A (en) 2023-08-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99988B1 (en) Wireless power receiving module for wireless earphone charging cradle and charging cradle for wireless earphone including the same
KR102565042B1 (en) Wireless power receiving module for wireless earphone charging cradle and charging cradle for wireless earphone including the same
US10574082B2 (e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non-contact charging module and battery
DK2546843T3 (en) Magnetic element for wireless power transfer and power supply arrangement
KR102085646B1 (en)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KR20130072181A (en) Magnetic shielding sheet for wireless power charger,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receiving apparatus for wireless power charger using the same
KR20160129500A (en) diary having flexible battery
JP2019522355A (en) Hybrid metal sheet for magnetic shielding and wireless power transmission module including the same
JP2009267077A (en) Coil unit and electronic apparatus using the same
KR102154197B1 (en) A wireless charging receiver module and portable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KR20140134444A (en) Magnetic sheet and noncontact charging apparatus using the same
JP5709042B2 (en) Coil component and power receiving device and power feeding device using the same
JP6032528B2 (en) Transmission coil component and non-contact charging device
KR101597956B1 (en) Antenna complex for mobile
KR20180054259A (en) Sheet for shielding electromagneric wave for wireless charging element
KR102601640B1 (en) Magnetic shielding sheet,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magnet type wireless power receiving device using the same
US20240006929A1 (en) Wireless power transmitting module
KR20210157044A (en) wireless power transmission module
KR20230150474A (en) wireless power transmission module
KR20180036203A (en) Magnetic Sheet and Electronic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