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97956B1 - Antenna complex for mobile - Google Patents

Antenna complex for mobi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97956B1
KR101597956B1 KR1020150124000A KR20150124000A KR101597956B1 KR 101597956 B1 KR101597956 B1 KR 101597956B1 KR 1020150124000 A KR1020150124000 A KR 1020150124000A KR 20150124000 A KR20150124000 A KR 20150124000A KR 101597956 B1 KR101597956 B1 KR 1015979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gnetic sheet
sheet layer
coil
mobile communication
magne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2400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성원모
조무근
강종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엠따블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엠따블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엠따블유
Priority to KR10201501240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97956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79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795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01Q1/2208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associated with components used in interrogation type services, i.e. in systems for information exchange between an interrogator/reader and a tag/transponder, e.g. in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system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01Q1/24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 H01Q1/241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 H01Q1/24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 H01Q1/243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with built-in antenna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42Housings not intimately mechanically associated with radiating elements, e.g. radom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7/00Loop antennas with a substantially uniform current distribution around the loop and having a directional radiation pattern in a plane perpendicular to the plane of the loo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first magnetic sheet layer; a second magnetic sheet layer which has an area broader than the first magnetic sheet layer, is laminated to the upper part of the first magnetic sheet layer and has a trimming part from which some of the portions overlapped with the first magnetic sheet layer are removed; and a third magnetic sheet layer which is laminated to the upper part of the first magnetic sheet layer to be located at the trimming part of the second magnetic sheet layer, has a thickness thicker than the second magnetic sheet layer, and formed the upper surface for protruding toward the upper part of the second magnetic sheet lay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 efficiency of parts mounting can be improved since an occupying space of the inner space of a mobile telecommunications terminal can be reduced by mounting a coil for wireless charging and a coil for a non-contact local area mobile telecommunication. Additionally, two antennas formed in a complex with the first to third magnetic sheet layers can overcome existing difficulties and prove maximum performance thereof.

Description

이동통신용 안테나 복합체 {ANTENNA COMPLEX FOR MOBILE}{ANTENNA COMPLEX FOR MOBILE}

본 발명은 이동통신용 안테나 복합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복수의 안테나를 하나의 기판에 형성함과 동시에 하나 이상의 자성 시트층을 적층하여 형성된 이동통신용 안테나 복합체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ntenna composite for mobile communication,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ntenna composite for mobile communication formed by forming a plurality of antennas on one substrate and stacking one or more magnetic sheet layers.

최근의 이동통신 단말기는 단말기의 소형화 및 슬림화 추세에 따라 보다 작고 얇아지고 있으며, 그로 인해 이동통신 단말기에 실장되는 부품들 역시 보다 작고 얇아지는 추세에 있다. 아울러, 이동통신 단말기의 소형화 및 슬림화 추세에 따라 한정된 단말기 내부 공간에 부품을 효율적으로 실장하는 방안에 대한 연구가 계속되고 있는바, 그로 인해 복수의 부품을 하나의 복합체로 형성해야 할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복수의 부품을 개별적으로 실장하는 것보다 이를 하나의 복합체로 형성하여 실장하는 것이 이동통신 단말기 내부 공간을 적게 차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2. Description of the Related Art [0002] Recent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are becoming smaller and thinner due to the trend toward downsizing and slimming of terminals, and the parts mounted o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are also becoming smaller and thinner. In addition, research on a method of efficiently mounting components in a limited internal space of a mobile terminal in accordance with the trend of miniaturization and slimming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s been continued, thereby increasing the necessity of forming a plurality of components into a single complex have. This is because a space inside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an be occupied by forming a single composite body and mounting it rather than mounting a plurality of components individually.

이렇듯 복수의 부품을 하나의 복합체로 형성해야 할 필요성은 안테나의 경우에도 동일하게 적용되며, 최근에는 무선충전용 안테나(WPC 안테나)와 비접촉식 근거리 이동통신용 안테나(NFC 안테나)를 하나의 복합체(Complex)로 형성하는 연구가 당해 기술분야에서 이슈(Issue)화 되고 있다. 무선충전용 안테나와 비접촉식 근거리 이동통신용 안테나는 코일(패턴)의 구체적인 형상은 상이하나, 두 안테나 모두 연성회로기판(FPCB,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상에 형성되는바, 각 안테나의 성능을 저해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이를 하나의 연성회로기판상에 형성하게 된다면 그만큼 이동통신 단말기의 내부 공간을 적게 차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The necessity of forming a plurality of components into a single complex is applied to the case of an antenna. In recent years, a wireless complex antenna (WPC antenna) and a non-contact type short-range mobile communication antenna (NFC antenna) Is a problem in the related art. The wireless charging antenna and the non-contact type short-range mobile communication antenna have different coils (patterns), but both antennas are formed on a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FPCB) If it is formed on one flexible circuit board within the range, the internal spac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an be occupied by that much.

한편, 무선충전용 안테나와 비접촉식 근거리 이동통신용 안테나를 하나의 복합체로 형성하여 이동통신 단말기의 내부 공간을 적게 차지할 수 있는 것과 별개로, 하나의 복합체로 형성된 두 안테나는 개별적으로 최대 성능을 발휘할 수 있어야 한다. 그러나 두 안테나가 사용하는 주파수의 상이함, 무선충전용 안테나에 전력을 공급하는 송신단(Tx단, 무선충전용 패드)에 의한 영향, 두 안테나에 의해 개별적으로 형성되는 자기장끼리의 간섭 현상 등 다양한 장애요소에 의해 하나의 복합체로 형성된 두 안테나는 개별적인 최대 성능을 발휘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으므로, 이를 해결하는 것 역시 당해 기술분야가 직면한 중요한 기술적 과제이다.On the other hand, apart from the fact that the wireless recharging antenna and the non-contact type short-range mobile communication antenna are formed as a single complex so that the inner spac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an be occupied less, the two antennas formed of one complex can exhibit the maximum performance individually do. However, due to the difference in frequency used by the two antennas, the influence by the transmitting terminal (Tx stage, wireless charging pad) supplying power to the wireless charging antenna, the interference phenomenon between the magnetic fields individually formed by the two antennas It is also an important technical problem facing the technical field that there is a problem that the two antennas formed by one element as a single element are difficult to exhibit individual maximum performance.

따라서 본 발명을 통해 무선충전용 안테나와 비접촉식 근거리 이동통신용 안테나를 동시에 형성하여 이동통신 단말기 내부 공간을 적게 차지할 수 있음과 동시에, 두 안테나의 최대 성능을 효과적으로 발휘할 수 있는 이동통신용 안테나 복합체를 제안하고자 한다.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proposes an antenna composite for mobile communication which can simultaneously occupy a space inside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by simultaneously forming a wireless charging antenna and a non-contact type short-range mobile communication antenna, and can effectively exhibit the maximum performance of the two antennas .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039659호(2013.04.22)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3-0039659 (Apr. 24, 2013)

본 발명은 무선충전용 안테나와 비접촉식 근거리 이동통신용 안테나를 하나의 기판상에 동시에 형성함으로써 이동통신 단말기 내부 공간을 적게 차지하여 부품 실장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이동통신용 안테나 복합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ntenna composite for mobile communication which can increase the efficiency of component mounting by occupying a small space inside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by simultaneously forming a wireless charging antenna and a noncontact type short distance mobile communication antenna on one substrate .

또한, 하나의 복합체로 형성된 두 안테나의 최대 성능을 발휘함에 있어서, 이를 저해하는 다양한 원인들이 존재함에도 불구하고 두 안테나의 최대 성능을 효과적으로 발휘할 수 있는 이동통신용 안테나 복합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antenna composite for mobile communication which can effectively exhibit the maximum performance of two antennas in spite of various reasons for hindering the maximum performance of two antennas formed of one complex.

한편,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이하에서 설명할 내용으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기술적 과제가 도출될 수 있다.
It is to be understood that both the foregoing general description and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are exemplary and explanatory and are intended to provide further explanation of the invention as claimed.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제1 자성 시트층; 상기 제1 자성 시트층보다 넓은 면적을 갖도록 형성되어 상기 제1 자성 시트층의 상부에 적층되되, 상기 제1 자성 시트층과 중첩되는 부분 중 일부가 제거되어 형성되는 트리밍부를 갖는 제2 자성 시트층; 및 상기 제2 자성 시트층의 트리밍부에 위치되도록 상기 제1 자성 시트층의 상부에 적층되되, 상기 제2 자성 시트층보다 두꺼운 두께를 갖도록 형성되어 그 상부 면이 상기 제2 자성 시트층의 상부 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제3 자성 시트층;에 의해 달성된다.The object is achiev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providing a magnetic recording medium comprising: a first magnetic sheet layer; A second magnetic sheet layer having a larger area than the first magnetic sheet layer and stacked on the first magnetic sheet layer, the second magnetic sheet layer having a trimming portion formed by removing a part of the portion overlapping the first magnetic sheet layer, ; And a second magnetic sheet layer having a thickness larger than that of the second magnetic sheet layer so as to be positioned on the trimming portion of the second magnetic sheet layer, And a third magnetic sheet layer formed to protrude toward the second magnetic layer.

이때, 상기 제1 자성 시트층과 제2 자성 시트층은 각각의 중심부가 상호 대응되도록 적층되며, 상기 제2 자성 시트층의 트리밍부는 상기 제2 자성 시트층의 중심부에 위치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first magnetic sheet layer and the second magnetic sheet layer may be laminated so that the center portions of the first and second magnetic sheet layers correspond to each other, and the trimming portion of the second magnetic sheet layer may be located at the center of the second magnetic sheet layer.

또한, 상기 제2 자성 시트층 및 상기 제3 자성 시트층의 상부에 적층되며, 무선충전용 코일 및 비접촉식 근거리 이동통신용 코일이 형성되는 연성회로기판;을 더 포함할 수 있다.And a flexible circuit board stacked on the second magnetic sheet layer and the third magnetic sheet layer to form a wireless charging coil and a coil for a non-contact type short distance mobile communication.

또한, 상기 무선충전용 코일 및 비접촉식 근거리 이동통신용 코일은 상기 연성회로기판의 일면 또는 양면에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wireless charging coil and the noncontact type short distance mobile communication coil may be formed on one side or both sides of the flexible circuit board.

이때, 상기 무선충전용 코일은 상기 제1 자성 시트층과 제2 자성 시트층이 상호 중첩되는 부분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wireless charging coil may be disposed above the portion where the first magnetic sheet layer and the second magnetic sheet layer overlap each other.

또한, 상기 비접촉식 근거리 이동통신용 코일은 상기 제2 자성 시트층이 제1 자성 시트층의 외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부분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Further, the noncontact type short distance mobile communication coil may be disposed above the portion of the second magnetic sheet layer extending outward from the first magnetic sheet layer.

또한, 상기 제2 자성 시트층의 상부로 돌출되는 상기 제3 자성 시트층의 돌출 두께는 상기 무선충전용 코일 및 비접촉식 근거리 이동통신용 코일의 두께에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protrusion thickness of the third magnetic sheet layer protruding to the upper portion of the second magnetic sheet layer may be formed to correspond to the thickness of the wireless charging coil and the coil for non-contact type short distance mobile communication.

한편, 상기 제1 자성 시트층의 하부에 형성되어 열확산 역할을 수행하는 열확산 시트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magnetic sheet layer may further include a thermal diffusion sheet layer formed below the first magnetic sheet layer and serving as a thermal diffusion layer.

또한, 상기 제1 자성 시트층은 70 내지 90 μm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magnetic sheet layer may have a thickness of 70 to 90 탆.

또한, 상기 제2 자성 시트층은 40 내지 70 μm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In addition, the second magnetic sheet layer may have a thickness of 40 to 70 탆.

또한, 상기 제1 자성 시트층은 허수부 투자율이 300MHz에서 50 이하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magnetic sheet layer may have an imaginary part permeability of 50 or less at 300 MHz.

또한, 상기 제1 자성 시트층은 고 포화 자화 값을 갖는 금속 성분으로 형성된 아몰포스 시트일 수 있다.Further, the first magnetic sheet layer may be an amorphous sheet formed of a metal component having a high saturation magnetization value.

또한, 상기 제2 자성 시트층은 저손실 및 고투자율을 갖는 Ni-Zn형 페라이트 시트일 수 있다.Further, the second magnetic sheet layer may be a Ni-Zn type ferrite sheet having a low loss and a high permeability.

또한, 상기 제3 자성 시트층은 고 포화 자화 값을 갖는 금속 성분으로 형성된 아몰포스 시트가 복수 개 적층되어 형성될 수 있다.
The third magnetic sheet layer may be formed by stacking a plurality of amorphous sheets formed of a metal component having a high saturation magnetization value.

본 발명에 따르면, 무선충전용 코일과 비접촉식 근거리 이동통신용 코일을 하나의 기판상에 동시에 형성함으로써 이동통신 단말기 내부 공간을 적게 차지하여 부품 실장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wireless charging coil and the coil for non-contact type short distance mobile communication are simultaneously formed on one substrate, the space inside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reduced and the efficiency of component mounting is increased.

또한, 제1 내지 제3 자성 시트층에 의해 하나의 복합체로 형성된 두 안테나가 기존에 존재하던 장애요소들을 극복하고 최대 성능을 발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Also, the first to third magnetic sheet layers can overcome the obstacles existing in the two antennas formed as a single composite and exhibit the maximum performance.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이하에서 설명할 내용으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효과들이 포함될 수 있다.
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effects, and various effects can be included within the range that is obvious to a person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용 안테나 복합체의 사시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용 안테나 복합체의 사시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용 안테나 복합체의 단면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제1 자성 시트층의 투자율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용 안테나 복합체에 안테나 코일이 추가 형성된 단면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용 안테나 복합체에 안테나 코일이 형성된 연성회로기판을 프레스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용 안테나 복합체에 안테나 코일이 추가 형성된 사시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용 안테나 복합체에 열확산 시트층이 추가적으로 형성된 단면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antenna composite for mobile communic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erspective view of an antenna composite for mobile communica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antenna composite for mobile communic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graph showing the magnetic permeability of the first magnetic sheet layer.
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antenna composite for an antenn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flexible circuit board on which an antenna coil is formed is pressed on an antenna composite for mobile communic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perspective view of an antenna composite for an antenn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antenna composite for mobile communic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a thermal diffusion sheet layer is additionally formed.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설명하는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제공되는 것으로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않으며,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Hereinafter,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exemplary drawings.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provided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understand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u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related known structure or function may be considered to blur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또한, 첨부된 도면에 표현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쉽게 설명하기 위해 도식화된 도면으로 실제로 구현되는 형태와 상이할 수 있으며,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In the drawings, the same or similar element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throughout the drawings to refer to the same or like elements. It should be noted that the elements have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much as possible even if they are displayed on different drawings.

또한, 어떤 구성요소들을 '포함'한다는 표현은, '개방형의 표현'으로서 해당 구성요소들이 존재하는 것을 단순히 지칭하는 표현이며, 추가적인 구성요소들을 배제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In addition, the expression " comprising " is intended to merely denote that such elements exist as an 'open expression', and should not be understood as excluding additional element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용 안테나 복합체(100)의 사시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antenna composite 100 for a mobile communic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통통신용 안테나 복합체(100)는 제1 자성 시트층(10), 제2 자성 시트층(20) 및 제3 자성 시트층(30)을 포함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함에 있어 필요한 부가적인 기타 구성들 역시 모두 포함할 수 있다.The antenna composite 100 for mobile communications may include a first magnetic sheet layer 10, a second magnetic sheet layer 20 and a third magnetic sheet layer 30, Other configurations may also be included.

한편, 자성 시트(Sheet)란, 자성(Magnetic) 소재를 함유한 시트를 의미하는 것으로써, 복수의 안테나를 포함하는 안테나 복합체에선 전자파 흡수 및 차폐재로 많이 이용된다. 또한, WPC 안테나의 경우 이동통신 단말기의 배터리 근처에 배치될 때 발생하는 와전류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많이 이용되기도 한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용 안테나 복합체에 있어서 자성 시트는 개별적인 안테나가 최대 성능을 발휘함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는 구성인바, 이하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On the other hand, a magnetic sheet means a sheet containing a magnetic material, and is widely used as an electromagnetic wave absorbing and shielding material in an antenna composite including a plurality of antennas. In addition, the WPC antenna is often used to prevent an eddy current phenomenon occurring wh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disposed near a battery. That is, in the antenna composite for mobile communication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agnetic sheet plays the most important role in the performance of the individual antenna, and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제1 자성 시트층(10)은 이동통신용 안테나 복합체(100)의 가장 밑부분에 배치되며, 소정 면적을 갖도록 형성된다. 여기서 소정 면적은 이동통신용 안테나 복합체(100)가 실장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종류에 따라 상이해질 수 있으나, 시트 형상의 이동통신용 안테나 복합체(100)가 부착되는 부품의 면적 이하인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필요에 따라 그 이상이 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제1 자성 시트(10)의 성분 및 시트의 종류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The first magnetic sheet layer 10 is disposed at the lowermost portion of the antenna composite 100 for mobile communication and has a predetermined area. Here, the predetermined area may differ depending on the typ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n which the antenna composite 100 is mounted, but is generally equal to or less than the area of the component to which the antenna composite 100 is attached. Of course, it can be more than necessary. On the other hand, the components of the first magnetic sheet 10 and the types of sheets will be described later.

제2 자성 시트층(20)은 제1 자성 시트층(10)의 상면에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제1 자성 시트층(10) 상면의 중심부로부터 사방으로 소정 거리 이격된 부분을 제외하고, 제1 자성 시트층(10)과 일부 겹치도록 적층 형성된다. 도 1을 참조하면, 제2 자성 시트층(20)이 중앙에 사각형으로 비워진 부분을 포함하는 형태로 제1 자성 시트층(10) 상면에 적층 형성된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비워진 사각형의 중심은 제1 자성 시트층(10) 상면의 중심부에 해당한다. 여기서 제2 자성 시트층(20)의 중앙에 사각형으로 비워진 부분은 하나의 실시 예일 뿐이며, 다른 형상으로 비워질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모서리가 둥근 형상을 지니는 다각형 또는 원형의 형상으로 비워질 수도 있다.The second magnetic sheet layer 20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magnetic sheet layer 10. Specifically, the first magnetic sheet layer 10 and the first magnetic sheet layer 10 are laminated so as to partially overlap the first magnetic sheet layer 10 except for a portion spaced apart from the central portion of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magnetic sheet layer 10 by a predetermined distance in all directions. Referring to FIG. 1, it can be seen that the second magnetic sheet layer 20 is laminated on the top surface of the first magnetic sheet layer 10 including a portion which is hollowed in the center in a square, Corresponds to the center of the upper surface of the magnetic sheet layer 10. Here, the portion of the second magnetic sheet layer 20 which is blanked at the center thereof is only one embodiment, and may be emptied in a different shape. For example, the edge may be emptied into a polygonal or circular shape having a rounded shape.

제2 자성 시트층(20)은 제1 자성 시트층(10)의 면적보다 넓은 면적을 갖도록 형성된다. 도 1을 참조하면, 제2 자성 시트층(20)이 중앙에 사각형으로 비워진 부분을 제외하고 제1 자성 시트층(10)의 상면을 모두 덮는 형태로 적층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즉, 제2 자성 시트층(20)은 제1 자성 시트층(10)보다 면적이 넓으므로 일부가 제1 자성 시트층(10)과 겹치게 되며, 제2 자성 시트층(20)의 구체적인 면적은 이동통신용 안테나 복합체(100)의 전체 크기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나, 후술할 안테나 코일의 배치와 연관이 있으므로 최소한 제1 자성 시트(10)의 면적 이상이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자성 시트(10)의 면적 미만인 경우, 후술할 안테나 코일이 배치됨에 있어서 안테나 성능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한편, 제2 자성 시트(20)의 성분 및 시트의 종류 역시 후술하기로 한다.
The second magnetic sheet layer 20 is formed to have an area wider than the area of the first magnetic sheet layer 10. Referring to FIG. 1, it can be seen that the second magnetic sheet layer 20 is laminated in such a manner as to cover the entire upper surface of the first magnetic sheet layer 10, except for the portion where the second magnetic sheet layer 20 is hollowed in the center. That is, since the second magnetic sheet layer 20 is wider than the first magnetic sheet layer 10, a part of the second magnetic sheet layer 20 overlaps with the first magnetic sheet layer 10 and the specific area of the second magnetic sheet layer 20 is It is preferable that the area of the first magnetic sheet 10 is at least equal to the area of the first magnetic sheet 10 because it is related to the arrangement of the antenna coil to be described later. If the area of the first magnetic sheet 10 is smaller than the area of the first magnetic sheet 10, antenna performance will be adversely affected when the antenna coil to be described later is disposed. On the other hand, the components of the second magnetic sheet 20 and the types of the sheets will also be described later.

제3 자성 시트층(30)은 제1 자성 시트층(10) 상면의 중심부로부터 사방으로 소정 거리 이격된 부분에 적층 형성된다. 즉, 제2 자성 시트층(20)의 중앙에 비워진 부분에 형성된다. 도 1을 참조하면, 제3 자성 시트층(30)이 제2 자성 시트층(20)의 중앙에 사각형으로 비워진 부분에 형성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렇게 제3 자성 시트층(30)은 제2 자성 시트층(20)의 중앙에 비워진 부분에 형성되므로, 제2 자성 시트층(20) 중앙에 비워진 부분의 형상에 따라 제3 자성 시트층(30)의 형상이 상이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자성 시트층(20) 중앙에 비워진 부분의 형상이 모서리가 둥근 다각형 형상이라면, 제3 자성 시트층(30) 역시 모서리가 둥근 다각형 형상이 되는 것이 일반적일 것이며, 제2 자성 시트층(20) 중앙에 비워진 부분의 형상이 원형의 형상이라면, 제3 자성 시트층(30) 역시 원형의 형상이 되는 것이 일반적일 것이다. 그러나 제2 자성 시트층(20) 중앙에 비워진 부분의 형상과 제3 자성 시트층(30)의 형상이 반드시 동일해야 하는 것은 아니며, 제3 자성 시트층(30)이 제2 자성 시트층(20) 중앙에 비워진 부분에 포함되어 형성되기만 하면 되므로, 도 2와 같이 제2 자성 시트층(20) 중앙에 비워진 부분의 형상과 제3 자성 시트층(30)의 형상이 상이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2 자성 시트층(20) 중앙에 비워진 부분이 원형의 형상이라면, 제3 자성 시트층(30)은 원 내부에 포함되는 사각형 형상일 수도 있다. 한편, 제3 자성 시트층(30) 역시 제2 자성 시트층(20)과 함께 제1 자성 시트층(10)의 상면에 적층 형성되므로 제2 자성 시트층(20)과의 관계에서 두께 여부가 중요해질 것이나, 이에 대해서는 제3 자성 시트(30)의 성분 및 시트의 종류와 함께 도 3을 참조하며 후술하기로 한다.
The third magnetic sheet layer 30 is laminated on a portion of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magnetic sheet layer 10 spaced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center of the first magnetic sheet layer 10 in all directions. That is, in the center portion of the second magnetic sheet layer 20. Referring to FIG. 1, it can be seen that the third magnetic sheet layer 30 is formed in a square portion of the second magnetic sheet layer 20 at the center. Since the third magnetic sheet layer 30 is formed at the center of the second magnetic sheet layer 20, the third magnetic sheet layer 30 is formed in the center of the second magnetic sheet layer 20, May be different in shape. For example, if the portion of the second magnetic sheet layer 20 that is emptied at the center has a polygonal shape with rounded corners, the third magnetic sheet layer 30 will also have a generally polygonal shape with rounded corners, If the portion of the sheet layer 20 that has been emptied in the center has a circular shape, the third magnetic sheet layer 30 will also have a circular shape. However, the shape of the third magnetic sheet layer 30 is not necessarily the same as that of the portion of the second magnetic sheet layer 20 that is emptied in the center, and the third magnetic sheet layer 30 is not necessarily formed in the second magnetic sheet layer 20 The shape of the third magnetic sheet layer 30 may be different from the shape of the portion emptied in the center of the second magnetic sheet layer 20 as shown in FIG. For example, if the portion of the second magnetic sheet layer 20 that is emptied at the center is a circular shape, the third magnetic sheet layer 30 may have a rectangular shape included in the circle. Since the third magnetic sheet layer 30 is also laminated on the first magnetic sheet layer 10 together with the second magnetic sheet layer 20, the thickness of the third magnetic sheet layer 30 But this will be described later with reference to Fig. 3 together with the components of the third magnetic sheet 30 and the kind of the sheet.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용 안테나 복합체(100)의 단면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3 is a sectional view of an antenna composite 100 for mobile communic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이동통신용 안테나 복합체(100)는 제1 자성 시트층(10)의 상면에 제2 자성 시트층(20) 및 제3 자성 시트층(30)이 적층 형성되며, 이는 이동통신용 안테나 복합체(100)의 단면도를 나타낸 도 3을 참조해도 확인할 수 있다. 아울러, 도 3을 참조하면 제1 내지 제3 자성 시트층(10, 20, 30)의 상대적인 두께에 대해서도 확인할 수 있는바, 제3 자성 시트층(30)의 두께가 가장 두꺼우며, 제2 자성 시트층(20)의 두께가 가장 얇다. 즉, 제3 자성 시트층(30)의 두께는 제2 자성 시트층(20)의 두께보다 두꺼울 뿐만 아니라, 제1 자성 시트층(10)의 두께보다 두껍다. 이는 제3 자성 시트층(30)이 어트랙터(Attractor) 역할을 수행하기 때문인바,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As described above, in the antenna composite 100 for mobile communication, the second magnetic sheet layer 20 and the third magnetic sheet layer 30 are lamin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magnetic sheet layer 10, 3 showing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semiconductor devic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3, the relative thicknesses of the first to third magnetic sheet layers 10, 20 and 30 can be confirmed. The thickness of the third magnetic sheet layer 30 is the thickest, The thickness of the sheet layer 20 is the thinnest. That is, the thickness of the third magnetic sheet layer 30 is not only thicker than the thickness of the second magnetic sheet layer 20, but also thicker than the thickness of the first magnetic sheet layer 10. This is because the third magnetic sheet layer 30 acts as an attractor,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한편, 제1 내지 제3 자성 시트층(10, 20, 30)의 두께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제1 자성 시트층(10)은 70 내지 90 [μm], 제2 자성 시트층(20)은 40 내지 70 [μm], 제3 자성 시트층(30)은 150 내지 300 [μm]의 두께를 갖는다. 그러나 이는 하나의 실시 예일 뿐이며, 제3 자성 시트층(30)의 두께가 가장 두껍다면 제1 자성 시트층(10) 및 제2 자성 시트층(20)의 두께는 자유롭게 조절 가능하다. The thickness of the first to third magnetic sheet layers 10, 20 and 30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The thicknesses of the first magnetic sheet layer 10 and the second magnetic sheet layer 20 are 70 to 90 [ And the third magnetic sheet layer 30 has a thickness of 150 to 300 [mu] m. However, this is only an embodiment, and if the thickness of the third magnetic sheet layer 30 is the thickest, the thickness of the first magnetic sheet layer 10 and the second magnetic sheet layer 20 is freely adjustable.

제1 내지 제3 자성 시트층(10, 20, 30)의 두께뿐만 아니라 다른 특성들에 대하여 설명하면, 우선 제1 자성 시트층(10)은 고 포화 자화 값을 갖는 금속 성분으로 형성된 아몰포스(Amorphous) 시트일 수 있다. 여기서 고 포화 자화 값을 갖는 금속 성분은 철(Fe), 붕소(B), 규소(Si) 등을 예로 들 수 있으며, 이를 기초로 형성된 비균질-비결정질 시트가 아몰포스 시트이다. 아울러, 아몰포스 시트인 제1 자성 시트층(10)은 허수부 투자율이 300MHz에서 50 이하일 수 있다. 이는 제1 자성 시트층(10)의 실수부 투자율(U')과 허수부 투자율(U'')을 도시한 도 4를 참조하면 이를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제2 자성 시트층(20)은 저손실 및 고투자율을 갖는 페라이트(Ferrite) 시트일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 Ni-Zn형 페라이트 시트일 수 있다. 여기서 Ni-Zn형 페라이트 시트는 비교적 낮은 포화 자화 값을 갖는바, 평면상에 제2 자성 시트층(20)만 존재하는 경우 자성체가 쉽게 포화되어 자기장이 바깥으로 퍼지게 되고 결과적으로 통신 효율이 떨어져 통신장애가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이를 방지하고 자기 흐름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 고 포화 자화 값을 갖는 금속 성분으로 형성된 어트랙터가 추가적으로 필요한바, 이것이 제3 자성 시트층(30)이다. 제3 자성 시트층(30)은 제1 자성 시트층(10) 상면의 중심으로부터 사방으로 이격된 부분에 적층 형성됨은 상기 설명하였으며, 도 3을 참조하면 확인할 수 있듯이 제2 자성 시트층(20)과 제3 자성 시트층(30)은 동일 평면상에 형성되므로 제3 자성 시트층(30)이 어트랙터로서의 역할을 수행함에 있어서 최적의 위치에 배치된다. 한편, 제3 자성 시트층(30)은 고 포화 자화 값을 갖는 금속성분으로 형성되어야 어트랙터로서의 역할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으며, 제조공정의 간소화 및 비용적인 측면을 고려하여 제1 자성 시트층(10)과 동일한 금속 성분으로 형성된 아몰포스 시트를 이용할 수 있다. 하지만,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제3 자성 시트층(30)의 두께는 제1 자성 시트층(10)의 두께보다 두꺼워야 하므로, 제1 자성 시트층(10)을 여러 장 적층하여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자성 시트층(10)이 한장의 아몰포스 시트라면, 제3 자성 시트층(30)은 아몰포스 시트를 5 내지 7장 적층한 시트일 수 있다.First, the first magnetic sheet layer 10 is formed of amorphous (or nonmagnetic) amorphous magnetic material, which is formed of a metal component having a high saturation magnetization value Lt; / RTI > sheet. Examples of the metal component having a high saturation magnetization value include iron (Fe), boron (B), silicon (Si) and the like, and the heterogeneous-amorphous sheet formed on the basis thereof is an amorphous sheet. In addition, the first magnetic sheet layer 10, which is an amorphous sheet, may have an imaginary part permeability of 50 or less at 300 MHz. This can be confirmed by referring to FIG. 4 showing the real magnetic permeability U 'and the imaginary magnetic permeability U' 'of the first magnetic sheet layer 10. On the other hand, the second magnetic sheet layer 20 may be a ferrite sheet having a low loss and a high permeability, more specifically, a Ni-Zn type ferrite sheet. Here, the Ni-Zn type ferrite sheet has a relatively low saturation magnetization value. If only the second magnetic sheet layer 20 is present on the plane, the magnetic substance is easily saturated and the magnetic field spreads out. As a result, A failure occurs. Therefore, in order to prevent this and to smooth the magnetic flow, an attractor formed of a metal component having a high saturation magnetization value is additionally required, which is the third magnetic sheet layer 30. [ 3, the third magnetic sheet layer 30 is laminated on a portion spaced apart from the center of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magnetic sheet layer 10, and the second magnetic sheet layer 20, And the third magnetic sheet layer 30 are formed on the same plane so that the third magnetic sheet layer 30 is disposed at the optimum position for performing the role as an attractor. On the other hand, the third magnetic sheet layer 30 may be formed of a metal component having a high saturation magnetization value to effectively perform its role as an attractor. In consideration of the simplification of the manufacturing process and the cost, the first magnetic sheet layer 10) can be used as the amorphous sheet. However, as described above, the thickness of the third magnetic sheet layer 30 must be thicker than the thickness of the first magnetic sheet layer 10, so that a plurality of the first magnetic sheet layers 10 may be laminated. For example, when the first magnetic sheet layer 10 is a single amorphous sheet, the third magnetic sheet layer 30 may be a sheet obtained by laminating five to seven amorphous sheets.

상기 설명한 제1 내지 제3 자성 시트층(10, 20, 30)의 두께, 성분 및 시트의 종류는 모두 하나의 실시 예일 뿐이며, 상기 설명한 기술적 특징을 구현할 수 있다면 상이한 두께, 상이한 성분 및 상이한 종류의 시트를 이용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1 자성 시트층(10)과 제3 자성 시트층(30)이 반드시 동일한 아몰포스 시트일 필요는 없으며, 고 포화 자화 값을 갖는 금속성분으로 형성된 상이한 시트일 수 있다. 아울러, 제1 내지 제3 자성 시트층(10, 20, 30)은 이동통신용 안테나 복합체(100)가 실장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스펙 및 실장 위치에 따라 일부 자성 시트층이 생략되거나 추가될 수도 있다.
The thicknesses, components, and types of sheets of the first to third magnetic sheet layers 10, 20, and 30 described above are all only one embodiment, and if the technical features described above can be realized, different thicknesses, different components, Sheets may also be used. For example, the first magnetic sheet layer 10 and the third magnetic sheet layer 30 do not necessarily have to be the same amorphous sheet, but may be different sheets formed of a metal component having a high saturation magnetization value. In addition, the first to third magnetic sheet layers 10, 20 and 30 may be omitted or added depending on the specification and mounting posi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 which the antenna composite 100 for mobile communication is mounted.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용 안테나 복합체(100)에 안테나 코일이 추가 형성된 단면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7은 안테나 코일이 추가 형성된 사시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F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antenna composite 100 for mobile communic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7 is a perspective view in which an antenna coil is additionally formed.

도 5를 참조하면, 제2 자성 시트층(20)의 상면에 복수의 안테나 코일이 형성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안테나 코일은 제2 자성 시트층(20)에 곧바로 형성될 수는 없는 바, 소정 기판상에 형성되어야 하며, 소정 기판은 유연성을 가지는 연성회로기판(40)인 것이 바람직하나 다른 기판이라도 무방하다. 아울러, 복수의 안테나 코일은 각각 무선충전용(WPC) 코일(41)과 비접촉식 근거리 이동통신용(NFC) 코일(42)일 수 있으며, 다른 종류의 안테나 코일일 수도 있고, 연성회로기판(40)의 일면 또는 양면에 형성될 수 있다. 정리하면, 제2 자성 시트층(20)의 상면에는 복수의 안테나 코일이 형성된 기판이 적층되며, 보다 구체적으로 무선충전용 코일(41) 및 비접촉식 근거리 이동통신용 코일(42)이 형성된 연성회로기판(40)이 적층된다. Referring to FIG. 5, it can be seen that a plurality of antenna coils ar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magnetic sheet layer 20. Here, the antenna coil can not be directly formed on the second magnetic sheet layer 20, but must be formed on a predetermined substrate. The predetermined substrate is preferably a flexible circuit board 40 having flexibility, but may be another substrate . In addition, the plurality of antenna coils may be a wireless charging (WPC) coil 41 and a noncontact wireless communication (NFC) coil 42, and may be a different type of antenna coil, May be formed on one surface or both surfaces. A plurality of antenna coil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magnetic sheet layer 20 are laminated and more specifically a flexible circuit board on which a wireless charging coil 41 and a coil 42 for non- 40 are stacked.

한편, 제조공정의 측면에서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제1 내지 제3 자성 시트(10, 20, 30)로 형성된 이동통신용 안테나 복합체(100)의 상면에 무선충전용 코일(41) 및 비접촉식 근거리 이동통신용 코일(42)이 형성된 연성회로기판(40)을 프레스(Press)하여 적층할 수 있는바, 그로 인해 제3 자성 시트(30)는 소정 압력을 받게 되며, 제3 자성 시트층(30)과 연성회로기판(40)의 두께의 합은 제2 자성 시트층(20)에 무선충전용 코일(41) 및 비접촉식 근거리 이동통신용 코일(42)이 형성된 연성회로기판(40)의 전체 두께와 동일해져 이동통신용 안테나 복합체(100)의 상면이 고르게 평평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자성 시트층(20)의 두께가 a, 무선충전용 코일(41) 및 비접촉식 근거리 이동통신용 코일(42)의 두께가 b, 연성회로기판(40)의 두께가 d, 프레스 후 제3 자성 시트층의 두께가 c라면, a+b+d = c+d라는 것이다(여기서 d는 생략 가능). 즉, 연성회로기판(40)이 적층된 이후의 제3 자성 시트층(30)의 두께는 그 이전보다 소정 두께 얇아진다.
6, the radiofrequency coil 41 and the non-contact type antenna 40 ar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antenna composite 100 for mobile communication formed of the first to third magnetic sheets 10, 20 and 30, The flexible circuit board 40 on which the coil 42 for short-range mobile communication is formed can be pressed and laminated so that the third magnetic sheet 30 is subjected to a predetermined pressure and the third magnetic sheet layer 30 And the thickness of the flexible circuit board 40 is equal to the total thickness of the flexible circuit board 40 in which the wireless charging coil 41 and the noncontact type short distance mobile communication coil 42 are formed in the second magnetic sheet layer 20 So that the upper surface of the antenna composite 100 for mobile communication can be evenly flattened. For example, if the thickness of the second magnetic sheet layer 20 is a, the thickness of the wireless charging coil 41 and the thickness of the coil 42 for non-contact type short distance mobile communication is b, the thickness of the flexible circuit board 40 is d, If the thickness of the third magnetic sheet layer is c, then a + b + d = c + d (where d may be omitted). That is, the thickness of the third magnetic sheet layer 30 after the flexible circuit board 40 is laminated becomes smaller than the previous thickness by a predetermined thickness.

도 7을 참조하면 연성회로기판(40)이 적층된 상태에서 안테나 코일의 배치 형태를 보다 명확하게 확인할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선 복수의 안테나 코일이 각각 무선충전용 안테나 코일(41)과 비접촉식 근거리 이동통신용 코일(42)임을 전제로 설명하기로 한다.Referring to FIG. 7, it is possible to more clearly confirm the arrangement form of the antenna coil in a state where the flexible circuit board 40 is laminat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it is assumed that the plurality of antenna coils are the antenna coil 41 for wireless charging and the coil 42 for the non-contact type short distance mobile communication, respectively.

무선충전용 코일(41)은 제1 자성 시트층(10) 상면의 중심부로부터 사방으로 소정 거리 이격된 부분을 제외하고, 제1 자성 시트층(10)과 제2 자성 시트층(20)이 겹치는 부분에 배치되며, 비접촉식 근거리 이동통신용 코일(42)은 제1 자성 시트층(10)과 제2 자성 시트층(20)이 겹치는 부분을 제외하고, 제2 자성 시트층(20)이 제1 자성 시트층(10)을 초과하여 형성된 부분에 배치된다. 즉, 제3 자성 시트층(30)을 둘러싸는 형태로 무선충전용 코일(41)이 배치되며, 무선충전용 코일(41)을 둘러싸는 형태로 비접촉식 근거리 이동통신용 코일(42)이 배치된다. 여기서 무선충전용 코일(41) 및 비접촉식 근거리 이동통신용 코일(42)은 각자 송수신하는 주파수에 대응하는 길이값을 가지며, 제한된 연성회로기판(40)의 면적 내에서 주파수 송수신에 필요한 길이값을 확보하기 위해 루프(Loop) 형상으로 형성된다. 코일을 루프 형상으로 형성하는 경우 코일이 최외각 루프로부터 안쪽으로 휘어 들어가 결과적으로 전체 길이값이 길어지기 때문에 제한된 면적 내에서 충분한 길이값을 확보할 수 있다. 한편, 도 7에 도시된 무선충전용 코일(41) 및 비접촉식 이동통신용 코일(42)은 모두 공지의 구성이기 때문에 급전부, 단자부 등 기타 안테나적인 특징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아울러, 상기 설명한 무선충전용 코일(41) 및 비접촉식 이동통신용 코일(42)은 이동통신용 안테나 복합체(100)에 형성되는 코일에 대한 하나의 실시 예일 뿐이며, 다른 코일이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The wireless charging coil 41 is formed so that the first magnetic sheet layer 10 and the second magnetic sheet layer 20 overlap each other except for a portion spaced apart from the central portion of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magnetic sheet layer 10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the coil 42 of the noncontact type short distance mobile communication is arranged such that the portion of the second magnetic sheet layer 20 excluding the portion where the first magnetic sheet layer 10 and the second magnetic sheet layer 20 overlap, Is disposed in a portion formed over the sheet layer (10). That is, the wireless charging coil 41 is disposed in the form of surrounding the third magnetic sheet layer 30, and the non-contact type short distanc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coil 42 is disposed so as to surround the wireless charging coil 41. Here, the wireless charging coil 41 and the non-contact type short-range mobile communication coil 42 have length values corresponding to the frequencies to be transmitted and received, respectively, and the length values necessary for frequency transmission and reception are secured within the area of the limited flexible circuit board 40 And is formed in a loose shape. When the coil is formed into a loop shape, since the coil bends inward from the outermost loop and consequently the total length value becomes long, a sufficient length value can be secured within a limited area. On the other hand, since the wireless charging coil 41 and the non-contact type mobile communication coil 42 shown in Fig. 7 are all well-known structures, the description of other characteristics of the antenna, such as the power supply portion and the terminal portion, will be omitted. In addition, the wireless charging coil 41 and the non-contact type mobile communication coil 42 described above are only examples of coils formed in the antenna complex 100 for mobile communication, and other coils may be formed.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용 안테나 복합체(100)에 열확산 시트층(50)이 추가적으로 형성된 단면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8 is a sectional view of the antenna composite 100 for mobile communic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a thermal diffusion sheet layer 50 is additionally formed.

이동통신용 안테나 복합체(100)가 이동통신 단말기에 실장되는 경우, 이동통신 단말기의 배터리에 접착되는 것이 일반적인바 배터리에서 발생하는 열을 효과적으로 방출할 필요가 있다. 배터리에서 발생하는 열이 그대로 안테나 복합체에 전달된다면 안테나의 성능 저하가 발생하거나 최악의 경우 고장이 날 수도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 경우 열 방출 역할을 수행하는 열확산 시트층(50)을 제1 자성 시트층(10)의 저면에 형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열확산 시트층(50)은 제1 자성 시트층(10)의 저면과 맞닿는 면과 반대되는 면이 이동통신 단말기의 배터리에 접착될 수 있다. When the mobile communication antenna composite 100 is mounted o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t is generally necessary to bond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a battery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effectively dissipate heat generated from the battery. If the heat generated by the battery is transmitted to the antenna complex as it is, the performance of the antenna may be deteriorated or, in the worst case, a failure may occur. Therefore, in this case, the thermal diffusion sheet layer 50 serving as a heat releasing layer can be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first magnetic sheet layer 10. Specifically, the surface of the thermal diffusion sheet layer 50 opposite to the surface of the thermal diffusion sheet layer 50, which is in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of the first magnetic sheet layer 10, may be adhered to the battery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한편, 열확산 시트층(50)은 열 전도성이 좋은 그라파이트(Graphite) 시트일 수 있으며, 기타 열 전도성이 좋은 다른 시트를 이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열확산 시트층(50)의 면적은 효과적인 열 방출을 위해 제1 자성 시트층(10)의 면적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며, 제2 자성 시트층(20)의 면적 이상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제2 자성 시트층(20)이 비록 제1 자성 시트층(10)의 상면에 적층되어 있지만 양 시트 모두 그 두께가 [μm] 단위를 갖는 매우 얇은 시트인바, 제2 자성 시트층(20)에도 배터리에서 발생하는 열이 전달될 수 있기 때문이다.
On the other hand, the thermal diffusion sheet layer 50 may be a graphite sheet having good thermal conductivity, and other sheets having good thermal conductivity may be used. The area of the thermal diffusion sheet layer 50 is preferably not less than the area of the first magnetic sheet layer 10 and most preferably not less than the area of the second magnetic sheet layer 20 for effective heat dissipation. Although the second magnetic sheet layer 20 is laminated on the top surface of the first magnetic sheet layer 10, both sheets are very thin sheets having a thickness of [μm], and the second magnetic sheet layer 20 This is because heat generated from the battery can be transferred.

제1 자성 시트층(10), 제2 자성 시트층(30), 제3 자성 시트층(40) 및 열확산 시트층(40)은 양면 테이프(미도시) 등과 같은 접착수단을 통해 상호 접착되어 적층될 수 있으며, 전체 이동통신용 안테나 복합체(100)의 두께를 줄이기 위해 양면 테이프(미도시)는 두께가 얇은 것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동통신용 안테나 복합체(100)의 양면에는 소정의 보호필름(미도시)이 추가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The first magnetic sheet layer 10, the second magnetic sheet layer 30, the third magnetic sheet layer 40 and the thermal diffusion sheet layer 40 are adhered to each other via an adhesive means such as double-sided tape (not shown) And a double-sided tape (not shown) having a small thickness is preferably used in order to reduce the thickness of the entire antenna complex 100 for mobile communication. In addition, a predetermined protective film (not shown) may be additionally formed on both sides of the antenna complex 100 for mobile communication.

상기 설명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용 안테나 복합체(100)는 무선충전용 코일과 비접촉식 근거리 이동통신용 코일을 하나의 기판상에 동시에 형성함으로써 이동통신 단말기 내부 공간을 적게 차지하여 부품 실장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음과 동시에, 제1 내지 제3 자성 시트층(10, 20, 30)에 의해 개별적인 안테나가 최대 성능을 발휘할 수 있는바, 구체적으로 제1 내지 제3 자성 시트층(10, 20, 30)에 의해 이동통신용 안테나 복합체(100)가 배터리에 부착되는 경우 배터리에 포함된 금속 성분의 영향으로 발생한 와전류에 따른 통신 장애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아울러 어트랙터 역할을 수행하는 제3 자성 시트층(30)에 의해 자성체가 쉽게 포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자기 흐름을 원활하게 하여 통신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마지막으로, 제3 자성 시트층(30)에 의해 최근 Qi, A1/A5, A6, A10/A11, PMA 규격 등으로 세분화된 무선충전 패드(Tx단)의 중심부에 형성된 영구자석으로 인한 장애를 극복할 수 있다.
The antenna complex 100 for mobile communicat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forms a wireless charging coil and a noncontact type short distance mobile communication coil on one substrate at the same time to reduce the internal spac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individual antennas can exhibit the maximum performance by the first to third magnetic sheet layers 10, 20 and 30. Specifically, the first to third magnetic sheet layers 10, 20, 30 can prevent communication failure due to eddy currents caused by the influence of metal components contained in the battery when the antenna composite 100 for mobile communication is attached to the battery.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magnetic material from being easily saturated by the third magnetic sheet layer 30 serving as an attractor, and as a result, the magnetic flow can smoothly be performed and the communication efficiency can be improved. Finally, the third magnetic sheet layer 30 overcomes the problem caused by the permanent magnet formed in the center of the wireless filling pad (Tx end) subdivided in the latest Qi, A1 / A5, A6, A10 / can do.

위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며, 이들에 의하여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에 대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경을 가할 수 있을 것이며, 이러한 수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are disclosed for the purpose of illustra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100: 이동통신용 안테나 복합체
10: 제1 자성 시트층
20: 제2 자성 시트층
30: 제3 자성 시트층
40: 연성회로기판
41: 무선충전용 코일
42: 비접촉식 근거리 이동통신용 코일
50: 열확산 시트층
100: Antenna complex for mobile communication
10: first magnetic sheet layer
20: second magnetic sheet layer
30: Third magnetic sheet layer
40: Flexible circuit board
41: Wireless charging coil
42: Coils for non-contact type mobile communication
50: thermal diffusion sheet layer

Claims (14)

제1 자성 시트층;
상기 제1 자성 시트층보다 넓은 면적을 갖도록 형성되어 상기 제1 자성 시트층의 상부에 적층되되, 상기 제1 자성 시트층과 중첩되는 부분 중 일부가 제거되어 형성되는 트리밍부를 갖는 제2 자성 시트층;
상기 제2 자성 시트층의 트리밍부에 위치되도록 상기 제1 자성 시트층의 상부에 적층되되, 상기 제2 자성 시트층보다 두꺼운 두께를 갖도록 형성되어 그 상부 면이 상기 제2 자성 시트층의 상부 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제3 자성 시트층; 및
상기 제1 자성 시트층의 하부에 형성되어 열확산 역할을 수행하는 열확산 시트층;을 포함하되,
상기 제3 자성 시트층은 고 포화 자화 값을 갖는 금속 성분으로 형성된 아몰포스 시트가 복수 개 적층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용 안테나 복합체.
A first magnetic sheet layer;
A second magnetic sheet layer having a larger area than the first magnetic sheet layer and stacked on the first magnetic sheet layer, the second magnetic sheet layer having a trimming portion formed by removing a part of the portion overlapping the first magnetic sheet layer, ;
Wherein the first magnetic sheet layer is laminated on the first magnetic sheet layer so as to be located in the trimming portion of the second magnetic sheet layer and has a thickness greater than that of the second magnetic sheet layer, A third magnetic sheet layer formed to protrude; And
And a thermal diffusion sheet layer formed below the first magnetic sheet layer and serving as a thermal diffusion layer,
Wherein the third magnetic sheet layer is formed by stacking a plurality of amorphous sheets formed of a metal component having a high saturation magnetization valu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자성 시트층과 제2 자성 시트층은 각각의 중심부가 상호 대응되도록 적층되며,
상기 제2 자성 시트층의 트리밍부는 상기 제2 자성 시트층의 중심부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용 안테나 복합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magnetic sheet layer and the second magnetic sheet layer are laminated so that the center portions of the first and second magnetic sheet layers correspond to each other,
And the trimming portion of the second magnetic sheet layer is located at the center of the second magnetic sheet lay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자성 시트층 및 상기 제3 자성 시트층의 상부에 적층되며,
무선충전용 코일 및 비접촉식 근거리 이동통신용 코일이 형성되는 연성회로기판;을 더 포함하는 이동통신용 안테나 복합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second magnetic sheet layer, and a third magnetic sheet layer,
And a flexible circuit board on which a wireless charging coil and a coil for non-contact type short distance mobile communication are formed.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충전용 코일 및 비접촉식 근거리 이동통신용 코일은 상기 연성회로기판의 일면 또는 양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용 안테나 복합체.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wireless charging coil and the coil for non-contact type short distance mobile communication are formed on one side or both sides of the flexible circuit board.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충전용 코일은,
상기 제1 자성 시트층과 제2 자성 시트층이 상호 중첩되는 부분의 상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용 안테나 복합체.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wireless charging coil comprises:
Wherein the first magnetic sheet layer and the second magnetic sheet layer are disposed on top of a portion where the first magnetic sheet layer and the second magnetic sheet layer overlap each other.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비접촉식 근거리 이동통신용 코일은,
상기 제2 자성 시트층이 제1 자성 시트층의 외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부분의 상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용 안테나 복합체.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coil for non-contact type short-
And the second magnetic sheet layer is dispos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portion formed by extending outward of the first magnetic sheet layer.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자성 시트층의 상부로 돌출되는 상기 제3 자성 시트층의 돌출 두께는 상기 무선충전용 코일 및 비접촉식 근거리 이동통신용 코일의 두께에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용 안테나 복합체.
The method of claim 3,
And the protruding thickness of the third magnetic sheet layer protruding to the upper portion of the second magnetic sheet layer is formed to correspond to the thickness of the wireless charging coil and the coil for the non-contact type short distance mobile communication.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자성 시트층은,
70 내지 90 μm의 두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용 안테나 복합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magnetic sheet layer comprises:
And a thickness of 70 to 90 占 퐉.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자성 시트층은,
40 내지 70 μm의 두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용 안테나 복합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econd magnetic sheet layer comprises:
And has a thickness of 40 to 70 占 퐉.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자성 시트층은,
허수부 투자율이 300MHz에서 5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용 안테나 복합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magnetic sheet layer comprises:
Wherein the imaginary part permeability is 50 or less at 300 MHz.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자성 시트층은,
고 포화 자화 값을 갖는 금속 성분으로 형성된 아몰포스 시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용 안테나 복합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magnetic sheet layer comprises:
And an amorphous sheet formed of a metal component having a high saturation magnetization valu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자성 시트층은,
저손실 및 고투자율을 갖는 Ni-Zn형 페라이트 시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용 안테나 복합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econd magnetic sheet layer comprises:
Wherein the ferrite sheet is a Ni-Zn ferrite sheet having a low loss and a high permeability.
삭제delete
KR1020150124000A 2015-09-02 2015-09-02 Antenna complex for mobile KR10159795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4000A KR101597956B1 (en) 2015-09-02 2015-09-02 Antenna complex for mobi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4000A KR101597956B1 (en) 2015-09-02 2015-09-02 Antenna complex for mobil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97956B1 true KR101597956B1 (en) 2016-02-26

Family

ID=554476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24000A KR101597956B1 (en) 2015-09-02 2015-09-02 Antenna complex for mobi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97956B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7129B1 (en) * 2016-04-05 2017-02-01 주식회사 이엠따블유 Antenna assembly
KR101697126B1 (en) * 2016-04-05 2017-02-01 주식회사 이엠따블유 Antenna assembly
FR3082370A1 (en) * 2018-06-12 2019-12-13 Continental Automotive France HIGH FREQUENCY NEAR FIELD COMMUNICATION AND INDUCTION RECHARGING DEVIC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16588A (en) * 2011-08-08 2013-02-18 삼성전자주식회사 Portable terminal with wireless charging coil and antenna element in same plane
KR20130039659A (en) 2011-10-12 2013-04-22 티디케이 타이완 코포레이션 Sensoring modules commonly used by near field communication and wireless charging
KR20150073152A (en) * 2015-06-09 2015-06-30 주식회사 아모센스 Magnetic Shielding Sheet of Hybrid Type and Antenna Device Using the Same
KR101534542B1 (en) * 2012-11-21 2015-07-07 동부전자소재 주식회사 A hybrid magnetic sheet for wireless power charging and near field communication and a hybrid module compris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16588A (en) * 2011-08-08 2013-02-18 삼성전자주식회사 Portable terminal with wireless charging coil and antenna element in same plane
KR20130039659A (en) 2011-10-12 2013-04-22 티디케이 타이완 코포레이션 Sensoring modules commonly used by near field communication and wireless charging
KR101534542B1 (en) * 2012-11-21 2015-07-07 동부전자소재 주식회사 A hybrid magnetic sheet for wireless power charging and near field communication and a hybrid module comprising the same
KR20150073152A (en) * 2015-06-09 2015-06-30 주식회사 아모센스 Magnetic Shielding Sheet of Hybrid Type and Antenna Device Using the Same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7129B1 (en) * 2016-04-05 2017-02-01 주식회사 이엠따블유 Antenna assembly
KR101697126B1 (en) * 2016-04-05 2017-02-01 주식회사 이엠따블유 Antenna assembly
FR3082370A1 (en) * 2018-06-12 2019-12-13 Continental Automotive France HIGH FREQUENCY NEAR FIELD COMMUNICATION AND INDUCTION RECHARGING DEVICE
WO2019238696A1 (en) * 2018-06-12 2019-12-19 Continental Automotive France Device for high-frequency near-field communication and for recharging a portable electronic apparatus by induction
US11205928B2 (en) 2018-06-12 2021-12-21 Continental Automotive France Device for high-frequency near-field communication and for recharging an apparatus by induc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74090B2 (en) Mobile terminal including wireless charging coil and magnetic sheet having inwardly receding portion
US10447065B2 (en) Wireless power transmission module
US10333358B2 (en) Receiving antenna and wireless power receiving device including the same
US20180109139A1 (en) Mobile terminal including wireless charging module
US9653797B2 (en) Antenna module for near field communication
US20140375262A1 (en) Wireless charging module and mobile terminal provided with same
KR20140089192A (en) Soft magnetic sheet, soft magnetic plate and soft magnetic pellet for antenna of wireless power receiving apparatus
CN111527666B (en)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KR102056262B1 (en) Antenna unit for a wireless charging and wireless charging module having the same
US20150326055A1 (en) Mobile terminal
US20190341692A1 (en) Antenna device and electronic appliance
KR102359780B1 (en) Shielding unit for a wireless power transmission module and a wireless power transmission module having the same
KR101597956B1 (en) Antenna complex for mobile
JP6061067B2 (en) Contactless power receiving device
KR102154197B1 (en) A wireless charging receiver module and portable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KR101489391B1 (en) Soft magnetism sheet
US20200051734A1 (en) Coil module
JP2014027389A (en) Antenna device
US20160240301A1 (en) Magnetic Member and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Comprising Same
US11303163B2 (en) Wireless power receiving module and portable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same
KR101453465B1 (en) Soft magnetism sheet, wireless power receiving apparatus and wireless charging method of the same
JP6192532B2 (en) Antenna device
TW201639271A (en) Coil, antenna device, wireless power supply module, electronic apparatus and wireless power supply system
KR20170045601A (en) Antenna complex
KR101394507B1 (en) Soft magnetism sheet, wireless power receiving apparatus and wireless charging method of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4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