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99337B1 - 전원 공급 장치 및 그 전원 공급 방법 - Google Patents

전원 공급 장치 및 그 전원 공급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99337B1
KR102599337B1 KR1020160034138A KR20160034138A KR102599337B1 KR 102599337 B1 KR102599337 B1 KR 102599337B1 KR 1020160034138 A KR1020160034138 A KR 1020160034138A KR 20160034138 A KR20160034138 A KR 20160034138A KR 102599337 B1 KR102599337 B1 KR 1025993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power supply
electronic device
relay
relay uni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341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09920A (ko
Inventor
강정일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341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99337B1/ko
Priority to US15/434,415 priority patent/US10340105B2/en
Publication of KR201701099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099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93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93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4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mpensating for or adjusting power factor in converters or inverters
    • H02M1/4208Arrangements for improving power factor of AC input
    • H02M1/4225Arrangements for improving power factor of AC input using a non-isolated boost converte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9/00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 H02J9/005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using a power saving mod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47/00Circuit arrangements not adapted to a particular application of the relay and designed to obtain desired operating characteristics or to provide energising curren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12Arrangements for reducing harmonics from ac input or output
    • H02M1/126Arrangements for reducing harmonics from ac input or output using passive filt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4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mpensating for or adjusting power factor in converters or inverters
    • H02M1/4208Arrangements for improving power factor of AC inpu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7/00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 H02M7/02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 H02M7/04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 H02M7/06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out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out control electrod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3Generation or supply of power specially adapted for television receiv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0003Details of control, feedback or regulation circuits
    • H02M1/0032Control circuits allowing low power mode operation, e.g. in standby mod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70/00Technologies for an efficient end-user side electric power management and consumption
    • Y02B70/10Technologies improving the efficiency by using switched-mode power supplies [SMPS], i.e. efficient power electronics conversion e.g. power factor correction or reduction of losses in power supplies or efficient standby mo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irect Current Feeding And Distribution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Abstract

전원 공급 장치가 개시된다. 전자 기기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 공급 장치는, 전자 기기에 대한 전원 공급을 제어하기 위하여 온오프 되는 제1 및 제2 릴레이부 및 전원 공급 장치 및 전자 기기의 연결 여부를 나타내는 연결 감지 신호 및 전자 기기에 대한 온오프 명령을 나타내는 전원 온오프 신호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제1 및 제2 릴레이부의 스위칭 동작을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전원 공급 장치 및 그 전원 공급 방법{POWER SUPPLY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전원 공급 장치 및 그 전원 공급 방법에 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전자 기기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 장치 및 그 전원 공급 방법에 대한 것이다.
전자 기술의 발달에 힘입어 다양한 유형의 전자 기기가 개발되고 있다. 특히, TV, PC, 랩탑 컴퓨터 등과 같은 전자 기기들은 대부분의 가정에서 사용될 정도로 보급율이 높다.
최근에는, 전자 기기의 상품성을 향상하기 위하여 전자 기기 자체의 성능을 업그레이드하기 위한 노력뿐만 아니라 전자 기기의 디자인 완성도를 높이기 위한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여기서, 디자인의 완성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부피의 소형화가 필수적이다. TV의 경우를 예로 들면, TV의 두께가 얇을수록 TV를 배치하기 위한 공간의 활용도를 높일 수 있고 TV 자체의 무게를 줄일 수 있으며 심미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어, TV의 두께를 좀 더 얇게 하기 위한 연구가 활발하다.
보통의 전자 기기는 전자 기기의 각 구성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하여 전원 공급부를 구비하게 되는데, 이러한 전원 공급부는 부피가 큰 회로 소자(예를 들어, 트랜스포머)로 구성되어 소형화하는데 한계가 있다.
이에 따라, 전원 보드의 기능을 하는 전원 공급 장치를 전자 기기 외부에 별도로 마련하여 전자 기기의 부피를 줄이고자 하는 노력이 진행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전원 공급 장치는 전원 공급 장치 자체의 전력 소비로 인해 에너지 효율이 낮고 발열이 유발되는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필요성에 따른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전력 소비가 적고 안전한 전원 공급 장치 및 그 전원 공급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기기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 공급 장치는, 상기 전자 기기에 대한 전원 공급을 제어하기 위하여 온오프 되는 제1 및 제2 릴레이부 및 상기 전원 공급 장치 및 상기 전자 기기의 연결 여부를 나타내는 연결 감지 신호 및 상기 전자 기기에 대한 온오프 명령을 나타내는 전원 온오프 신호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및 제2 릴레이부의 스위칭 동작을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이 경우, 전원 공급 장치는 외부로부터 입력된 전원에 대한 노이즈를 제거하는 라인필터, 상기 라인필터로부터 출력되는 전원을 정류하는 정류부, 상기 라인필터로부터 출력되는 전원을 이용하여 상기 전자 기기를 온 시키기 위한 대기전원을 제공하는 대기전원부 및 상기 정류부에서 출력되는 전원의 역률을 보상하여 상기 전자 기기로 출력하는 역률보상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릴레이부는 상기 라인필터 및 상기 정류부를 연결하는 제1 전원선 및 제2 전원선 각각에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연결 감지 신호가 상기 전원 공급 장치 및 상기 전자 기기가 연결된 상태를 나타내고 상기 전원 온오프 신호가 상기 전자 기기의 온 명령을 나타내는 경우, 상기 제1 및 제2 릴레이부가 온 되도록 상기 제1 및 제2 릴레이부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연결 감지 신호가 상기 전원 공급 장치 및 상기 전자 기기가 연결된 상태를 나타내는 경우, 상기 제1 및 제2 릴레이부 중 하나가 온 되도록 상기 제1 및 제2 릴레이부 중 하나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전원 온오프 신호가 상기 전자 기기에 대한 온 명령을 나타내는 경우, 상기 제1 및 제2 릴레이부 중 오프 상태에 있던 릴레이가 온 되도록 상기 제1 및 제2 릴레이부 중 하나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전원 공급 장치는 스위칭 동작을 통해, 상기 전원을 상기 전자 기기로 공급하는 과정에서 상기 전원 공급 장치에 축적된 전하를 방전하기 위한 제3 릴레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연결 감지 신호 및 상기 전원 온오프 신호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제3 릴레이부를 온오프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연결 감지 신호가 상기 전원 공급 장치 및 상기 전자 기기가 연결된 상태를 나타내고 상기 전원 온오프 신호가 상기 전자 기기의 온 명령을 나타내는 경우, 상기 제1 및 제2 릴레이부가 온 되고 상기 제3 릴레이부가 오프 되도록 상기 제1 내지 제3 릴레이부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연결 감지 신호가 상기 전원 공급 장치 및 상기 전자 기기가 연결된 상태를 나타내는 경우, 상기 제1 및 제2 릴레이부 중 적어도 하나가 온 되고, 상기 제3 릴레이부가 오프 되도록 상기 제1 및 제2 릴레이부 중 적어도 하나와 제3 릴레이부를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전원으로부터 공급받은 전하는 상기 역률보상부에 포함되는 콘덴서에 축적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콘덴서에 축적된 전하를 방전하기 위해, 상기 콘덴서에 병렬로 연결되는 방전 회로에 포함되는 상기 제3 릴레이부가 온 되도록 상기 상기 제3 릴레이부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기기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 장치의 전원 공급 방법은, 상기 전원 공급 장치 및 상기 전자 기기의 연결 여부를 나타내는 연결 감지 신호 및 상기 전자 기기에 대한 온오프 명령을 나타내는 전원 온오프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연결 감지 신호 및 전원 온오프 신호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전자 기기에 대한 전원 공급을 제어하기 위하여 온오프되는 제1 및 제2 릴레이부의 스위칭 동작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전원 공급 장치는 상기 전원 공급 장치로 입력되는 전원의 노이즈를 제거하는 라인필터, 상기 라인필터로부터 출력되는 전원을 정류하는 정류부, 상기 라인필터로부터 출력되는 전원을 이용하여 상기 전자 기기를 온 시키기 위한 대기전원을 제공하는 대기전원부 및 상기 정류부에서 출력되는 전원의 역률을 보상하여 출력하는 역률보상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릴레이부는 상기 라인필터 및 상기 정류부를 연결하는 제1 전원선 및 제2 전원선 각각에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및 제2 릴레이부를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연결 감지 신호가 상기 전원 공급 장치 및 상기 전자 기기가 연결된 상태를 나타내고 상기 전원 온오프 신호가 상기 전자 기기의 온 명령을 나타내는 경우, 상기 제1 및 제2 릴레이부가 온 되도록 상기 제1 및 제2 릴레이부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 릴레이부를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연결 감지 신호가 상기 전원 공급 장치 및 상기 전자 기기가 연결된 상태를 나타내는 경우, 상기 제1 및 제2 릴레이부 중 하나가 온 되도록 상기 제1 및 제2 릴레이부 중 하나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 릴레이부를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전원 온오프 신호가 상기 전자 기기에 대한 온 명령을 나타내는 경우, 상기 제1 및 제2 릴레이부 중 오프 상태에 있던 릴레이가 온 되도록 상기 제1 및 제2 릴레이부 중 하나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전원 공급 장치는 스위칭 동작을 통해, 상기 전원을 상기 전자 기기로 공급하는 과정에서 상기 전원으로부터 공급받아 축적된 전하를 방전하기 위한 제3 릴레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전원 공급 방법은 상기 연결 감지 신호 및 상기 전원 온오프 신호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제3 릴레이부를 온오프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3 릴레이부를 온오프 하는 단계는 상기 연결 감지 신호가 상기 전원 공급 장치 및 상기 전자 기기가 연결된 상태를 나타내고 상기 전원 온오프 신호가 상기 전자 기기의 온 명령을 나타내는 경우, 상기 제1 및 제2 릴레이부가 온 되고 상기 제3 릴레이부가 오프 되도록 상기 제1 내지 제3 릴레이부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 릴레이부를 온오프 하는 단계는 상기 연결 감지 신호가 상기 전원 공급 장치 및 상기 전자 기기가 연결된 상태를 나타내는 경우, 상기 제1 및 제2 릴레이부 중 적어도 하나가 온 되고, 상기 제3 릴레이부가 오프 되도록 상기 제1 및 제2 릴레이부 중 적어도 하나와 제3 릴레이부를 제어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전원 공급 장치의 에너지 효율이 향상되는 것과 함께 발열이 줄어들며, 전기 안전도가 향상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원 공급 시스템의 구현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원 공급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원 공급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원 공급 장치의 세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원 공급 장치의 세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원 공급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회로도이다.
도 7 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1, 제2 및 제3 릴레이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1, 제2 및 제3 릴레이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원 공급 장치의 전원 공급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이용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원 공급 시스템의 구현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에 따르면, 전원 공급 시스템은 전원 공급 장치(100), 전자 기기(200)( 이하 디스플레이 장치(200)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및 전원 플러그(300)를 포함한다.
전원 공급 장치(100)는 디스플레이 장치(200)에 전원을 공급한다. 구체적으로, 전원 공급 장치(100)는 전원에 연결된 전원 플러그(300)로부터 전원을 입력받는다. 여기서, 전원은 AC가 일반적이나 DC인 경우도 물론 가능하다. 전원 공급 장치(100)는 공급받은 AC 전원의 노이즈를 제거하고, DC로 정류하는 한편, 역률을 개선하여 디스플레이 장치(200)에 제공한다. 이러한 전원 공급 장치(100)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전자 기기(200)는 전원 공급 장치(100)로부터 공급받은 DC 전원을 이용하여 다양한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전자 기기(200)는 상술한 디스플레이 장치(200)뿐만 아니라, TV, PC, 랩탑 등 다양한 전자 기기로 구현될 수 있다.
전원 플러그(300)는 전원과 연결된다. 여기서, 전원 플러그(300)는 전원 소켓(미도시)의 Live(+극), Neutral(-극)과 접촉될 수 있으며, 소켓이 접지를 제공하는 경우 접지와도 추가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전원 공급 장치(100)는 릴레이부(미도시)를 구비하여, 전기 안전을 담보하고, 최소한의 구성요소만을 포함하여 높은 전력 효율을 제공할 수 있는데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원 공급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에 따르면, 전원 공급 장치(100)는 제1 릴레이부(110), 제2 릴레이부(120) 및 프로세서(130)를 포함한다.
제1 및 제2 릴레이부(110, 120)는 스위칭(온오프) 된다. 구체적으로, 전자 기기(200)에 대한 전원 공급을 제어하기 위하여 온오프 된다. 이 경우, 제1 및 제2 릴레이부(110, 120) 각각은 전원의 Live 및 Neutral과 연결된 회로 도선 각각에 구비되어 온오프 스위칭 동작을 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및 제2 릴레이부(110, 120)의 온 되는 동작은, 전류가 도통하도록 회로 라인을 연결(short)하는 동작이고, 제1 및 제2 릴레이부(110, 120)의 오프 되는 동작은, 전류가 도통하지 못하도록 회로 라인을 끊어주는(open) 동작이다.
프로세서(130)는 제1 및 제2 릴레이부(110, 120)의 스위칭 동작을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30)는 제1 및 제2 릴레이부(110, 120)의 스위칭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신호에 기초하여 제1 및 제2 릴레이부(110, 120)의 스위칭 동작을 제어한다.
여기서, 제1 및 제2 릴레이부(110, 120)의 스위칭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신호 전원 공급 장치(100) 및 전자 기기(200)의 연결 여부를 나타내는 연결 감지 신호 및 전자 기기(200)에 대한 온오프 명령을 나타내는 전원 온오프 신호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을 참조하면, 전원 공급 장치(100) 및 전자 기기(디스플레이 장치)(200)는 전선(10)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전선(10)의 양단은 플러그 형태로 이루어져 전원 공급 장치(100) 및 전자 기기(200) 각각에 플러그-인 될 수 있다. 이 경우, 전선(10)의 양단이 전원 공급 장치(100) 및 전자 기기(200) 각각에 모두 연결된 상태를 전원 공급 장치(100) 및 전자 기기(200)가 연결된 상태로 정의할 수 있고, 전선(10)의 양단 중 적어도 하나가 전원 공급 장치(100) 및 전자 기기(200) 중 적어도 하나와 연결되지 않은 경우를 연결되지 않은 상태로 정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연결 감지 신호는 전원 공급 장치(100) 및 전자 기기(200)가 연결된 상태와 전원 공급 장치(100) 및 전자 기기(200)가 연결되지 않은 상태 중 하나의 상태를 나타낼 수 있다.
한편, 전자 기기(200)에 대한 온오프 명령은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을 수 있다. 여기서, 전자 기기(200)가 오프 상태에서 전자 기기(200)에 대한 온 명령이 수신되는 경우, 전자 기기(200)에 대한 온오프 명령은 전자 기기(200) 온 명령으로 정의한다. 또한, 전자 기기(200)가 온 상태에서 전자 기기(200)에 대한 오프 명령이 수신되는 경우, 전자 기기(200)에 대한 온오프 명령은 전자 기기(200) 오프 명령으로 정의한다. 이 경우, 전자 기기(200)가 오프 상태에서 전자 기기(200)에 대한 오프 명령은 전자 기기(200) 오프 명령이고, 전자 기기(200)가 온 상태에서 전자 기기(200)에 대한 온 명령은 전자 기기(200) 온 명령일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술한 전자 기기(200) 온오프 신호는 전자 기기(200)에서 수신된 사용자의 신호에 기초하는 것이 보통일 것이나, 전원 공급 장치(100)에 별도로 구비된 신호 수신부(미도시)에서 사용자의 신호를 수신하여 이를 전자 기기(200) 온오프 신호로 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결론적으로, 프로세서(130)는 전원 공급 장치(100) 및 전자 기기(200)의 연결 여부를 나타내는 연결 감지 신호 및 전자 기기(200)에 대한 온오프 명령을 나타내는 전원 온오프 신호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제1 및 제2 릴레이부(110, 120)의 스위칭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상술한 제1 및 제2 릴레이부(110, 120)의 스위칭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신호에 기초하여 제1 및 제2 릴레이부(110, 120)를 제어함으로써, 전원 공급 장치(100) 및 전자 기기(200)의 연결 여부와 전자 기기(200)의 온오프 여부에 따라 전원 공급 장치(100)의 작동 여부를 제어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전자 기기(200)에 전원 공급이 필요 없는 경우(전원 공급 장치(100) 및 전자 기기(200)가 연결되어 있지 않은 경우 또는 전자 기기(200) 오프 명령이 수신된 경우), 전원 공급 장치(100) 내부에 흐르는 전류를 끊어 소실되는 에너지를 줄이고 전기 감전(역률 보상 회로에 주로 사용되는 Boost 회로 방식의 특성상 정류회로에 의해 정류된 전압이 역률 보상 회로의 출력단에 나타나게 됨)을 방지하는 등 전기 안전을 도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및 제2 릴레이부(110, 120) 각각에 대한 제어에 관한 내용은 후술하기로 한다.
한편, 후술할 전원 공급 장치(100)에 포함된 역률보상부(PFC; Power Factor Correction)에는 전원 공급 장치(100)가 작동함에 따라 전하가 축적되는데, 감전 위험을 없애기 위해서는 전원 공급 장치(100)가 작동하지 않는 상태( 제1 및 제2 릴레이부(110, 120) 중 적어도 하나가 오프된 상태)가 되면 축적된 전하가 자동 방전되어야 한다. 축적된 전하의 방전을 위해서, 전원 공급 장치(100)는 방전 회로(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방전 회로(미도시)는 하나의 저항과 하나의 릴레이가 직렬로 연결되어 구성된 회로일 수 있으며, 이러한 구성에 제한되지 않는다. 방전 회로를 포함하는 전원 공급 장치(100)에 대한 구성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원 공급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3에 따르면, 전원 공급 장치(100)는 제1 릴레이부(110), 제2 릴레이부(120), 프로세서(130) 및 제3 릴레이부(14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술한 도 2의 구성과 중복된 구성에 대하여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술한 방전 회로에 포함되는 릴레이를 제3 릴레이부(140)로 정의한다. 즉, 제3 릴레이부(140)는 스위칭 동작을 통해, 전원을 전자 기기(200)로 공급하는 과정에서 전원 공급 장치(100)에 축적된 전하를 방전한다.
프로세서(130)는 제3 릴레이부(140)를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30)는 연결 감지 신호 및 전원 온오프 신호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제3 릴레이부(140)를 온오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원으로부터 공급받은 전하는 후술할 역률보상부(미도시)에 포함되는 콘덴서에 축적되는 것으로 가정한다. 제1 및 제2 릴레이부(110, 120)의 스위칭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신호 즉, 연결 감지 신호가 전원 공급 장치(100) 및 전자 기기(200)가 연결된 상태를 나타내고, 전원 온오프 신호가 전자 기기(200)의 온 명령을 나타내는 경우, 프로세서(130)는 전자 기기(200)에 전원을 공급해야 하는 상태로 판단하고, 제1 및 제2 릴레이부(110, 120)를 온 하여 전원 공급 장치(100)를 작동시키고 제3 릴레이부(140)를 오프 하여 방전 회로의 작동을 오프 한다.
반대로, 연결 감지 신호가 전원 공급 장치(100) 및 전자 기기(200)가 연결되지 않은 상태를 나타내거나, 전원 온오프 신호가 전자 기기(200)의 오프 명령을 나타내는 경우, 프로세서(140)는 콘덴서에 축적된 전하를 방전하기 위해, 콘덴서에 병렬로 연결되는 방전 회로에 포함되는 제3 릴레이부(140)가 온 되도록 제3 릴레이부(140)를 제어한다.
상술한 실시 예에서는 제1 및 제2 릴레이부(110, 120)와 제3 릴레이부(140)가 동시에 온오프 동작을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제1, 제2 및 제3 릴레이부(110, 120, 140) 각각은 서로 독립적으로 동작할 수 있다. 이하 기술할 제1, 제2 및 제3 릴레이부(110, 120, 140)의 동작에서도 같다.
상술한 바와 같이, 프로세서(130)는 전자 기기(200)에 대해 전원을 제공할 필요가 있는지 여부에 따라 제1, 제2 및 제3 릴레이부(110, 120, 140)의 동작을 제어하고, 이에 따라 전원 공급 장치(100)의 내부의 전류 흐름이 제어된다. 이를 통하여, 전자 기기(200)에 대한 전원을 제공할 필요가 없는 경우에 전원 공급 장치(100)에서 소모되는 전력 낭비를 줄일 수 있으며, 감전 등의 전기 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각 릴레이의 동작 및 이에 따른 전류의 흐름을 살펴보기 위하여 이하에서는 전원 공급 장치(100)의 세부 구성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원 공급 장치의 세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4에 따르면, 전원 공급 장치(100)는 라인 필터(150), 제1 및 제2 릴레이부(110, 120), 정류부(160), 역률 보상부(170) 및 방전 회로(180)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1 및 제2 릴레이부(110, 120)는 라인 필터(150) 및 정류부(160)를 연결하는 제1 및 제2 전원선(미도시) 각각에 구비될 수 있다.
라인 필터(150)는 외부로부터 입력된 전원에 대한 노이즈를 제거한다.
제1 및 제2 릴레이부(110, 120)는 온오프 동작을 통하여 라인 필터(150)에서 출력되는 전원을 정류부(160)에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정류부(160)는 라인 필터로부터 출력되는 전원(보통 AC)에 대한 정류 과정을 수행한다.
역률보상부(PFC)(170)는 정류부(160)에서 정류된 전원의 역률을 개선한다. 즉, 정류부(160)에서 출력되는 전원의 역률을 보상하여 전자 기기(200)로 출력한다. 일반적으로, 정류부(160)에서 출력된 전원은 무효 전력을 가지고 있어 에너지 효율이 떨어진다. 역률보상부(170)는 무효 전력을 최소화하여 1에 가깝도록 역률을 조정한다. 역률보상부(170)의 출력이 전자 기기(200)의 전원으로 제공된다.
방전 회로(180)는 역률보상부(180)에 축적된 전하를 방전한다. 이에 대하여는 도 6의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원 공급 장치의 세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5에 따르면, 전원 공급 장치(100)는 대기 전원부(190)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도 5와 중복되는 구성에 대하여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대기 전원부(190)는 전자 기기(200)를 위한 대기 전원을 제공한다.
예를 들면, 대기 전원부(190)는 라인 필터(150)로부터 출력되는 전원을 이용하여 전자 기기(200)를 온 시키기 위한 대기 전원을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대기 전원부(190)는 정류 회로(미도시) 및 DC/DC 컨버터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정류 회로는 상술한 정류부(160)의 역할과 동일하다. DC/DC 컨버터는 DC 전압의 크기를 변환하여 출력으로 제공한다. 대기 전원부(190)의 대기 전원 제공을 통하여, 전자 기기(200)는 리모컨과 같은 제어 기기로부터의 제어 신호를 수신하거나 전자 기기(200)의 오프 상태에서 요구되는 각종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전원 공급 장치(100)는 다양한 구성 요소로 이루어져 전자 기기(200)에 전원을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전원 공급 장치(100)는 상술한 구성 요소들을 모두 포함할 수 있고, 가능한 여러 조합에 의해 상술한 구성 요소 중 일부를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상술한 구성 요소 외에 예를 들어, DC/DC 컨버터(미도시)와 같은 구성을 더 포함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에서는, 전원 공급 장치(100)의 실제 구현 예를 회로도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여기서, 상술한 내용과 중복되는 내용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원 공급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회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라인 필터(610)는 외부로부터 전달받은 전원의 노이즈를 제거한다.
제1 및 제2 릴레이부(620, 630)는 스위칭에 따라 전류를 도통 한다. 여기서, 제1 및 제2 릴레이부(620, 630)는 라인 필터(610)의 출력단 및 정류부(640)의 입력단을 연결하는 도선에 구비될 수 있다.
제1 및 제2 릴레이부(620, 630)가 온 상태인 경우, 라인 필터(610)에서 출력된 전원은 정류회로(640)에 입력되고, 입력된 전원은 정류과정을 거쳐 역률보상부(650)에 입력된다. 여기서, 역률보상부(650)에 입력된 전원에 의해 콘덴서(651)에 전하가 축적되면서 역률보상부(650)의 출력단(콘덴서(651)의 양 단)에 일정한 전압이 출력된다. 역률보상부(650)의 출력단 전압은 케이블(691)을 통해 내장 TV (400)의 내장 전원(692)에 인가된다. 여기서, 역률보상부(650)의 출력단 중 하나는 1차 접지될 수 있다.
제1 및 제2 릴레이부(620, 630) 중 적어도 하나가 오프 상태인 경우, 전원 공급 장치(600)를 구성하는 회로는 KVL 및 KCL에 의해 전류를 도통시키지 않는다. 즉, 전원 공급 장치(600)는 작동하지 않는다.
한편, 역률보상부(650)의 출력단에는 방전 회로(660)가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방전 회로(660)는 제3 릴레이부(670)가 온 되는 경우, 방전 회로(660)는 콘덴서(651)에 축적된 전하를 방전하고, 제3 릴레이부(670)가 오프 되는 경우, 방전회로(660)는 오픈되어 전류를 도통 시키지 않는다.
프로세서(680)는 제1, 제2 및 제3 릴레이부(620, 630, 670)의 스위칭을 제어한다. 이 경우, 프로세서(680)는 연결 감지 신호 및 전원 온오프 신호에 기초하여 제1, 제2 및 제3 릴레이부(620, 630, 670)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연결 감지 신호는 케이블(500)이 연결되는 경우, 대기 전원의 출력(예를 들면, 5V)이 연결 감지 신호가 될 수 있다. 또는, 연결 감지 신호는 TV 보드(420)에서 자체적으로 만들어진 신호일 수 있다. 연결 감지 신호가 TV 보드(420)에서 자체적으로 만들어진 신호인 경우, 해당 신호는 케이블(500)이 연결된 후 전원 공급 장치(600)가 안정을 찾은 후에 프로세서(680)에 제공될 수 있다. 이를 통해서, 케이블(500)이 연결된 초기의 불안정한 상태에서 제1, 제2 및 제3 릴레이부(620, 630, 670)가 랜덤하게 스위칭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프로세서(680)의 제어에 따른 제1, 제2 및 제3 릴레이부(620, 630, 670)의 동작은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대기 전원부(690)는 라인 필터(610)의 출력을 자체적으로 정류하여 TV(400)를 전반적으로 제어하는 TV 보드(420)에 제공한다. 여기서, 대기 전원부(690)의 출력단 중 하나는 2차 접지될 수 있다.
도 7 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1, 제2 및 제3 릴레이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에 따르면, 프로세서(680)는 AND 게이트(710) 및 NOT 게이트(720)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680)는 AND 게이트(710) 및 NOT 게이트(720)를 통한 연산 결과를 이용하여 제1, 제2 및 제3 릴레이부(620, 630, 67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연결 감지 신호가 전원 공급 장치(600) 및 전자 기기(예를 들어, TV)(400)가 연결된 상태를 나타내고(positive) 전원 온오프 신호가 전자 기기(400)의 온 명령을 나타내는 경우(positive), AND 게이트(710)는 positive 값을 출력한다. 이에 따라, 제1 및 제2 릴레이부(620, 630) 온오프 신호는 positive 값을 갖고, 제3 릴레이부(670) 온오프 신호는 NOT 게이트(720)에 의해 AND 게이트(710)의 출력이 반전되어 negative 값을 갖는다.
다시 말해, 프로세서(680)는 연결 감지 신호가 전원 공급 장치(600) 및 전자 기기(예를 들어, TV)(400)가 연결된 상태를 나타내고(positive) 전원 온오프 신호가 전자 기기(400)의 온 명령을 나타내는 경우(positive), 제1 및 제2 릴레이부(620, 630)가 온 되도록 제1 및 제2 릴레이부(620, 630)를 제어한다.
마찬가지로, 프로세서(680)는 연결 감지 신호가 전원 공급 장치(600) 및 전자 기기(400)가 연결된 상태를 나타내고 전원 온오프 신호가 전자 기기(400)의 온 명령을 나타내는 경우, 제1 및 제2 릴레이부(620, 630)가 온 되고 제3 릴레이부(670)가 오프 되도록 제1 내지 제3 릴레이부(620, 630, 670)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는, 연결 감지 신호 및 전원 온오프 신호에 따라 제1. 제2 및 제3 릴레이부(620, 630, 670) 온오프 신호가 동시에 변경되는 것으로 다루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제1. 제2 및 제3 릴레이부(620, 630, 670) 온오프 신호가 동시 또는 시간 간격을 두어 변경되는 실시 예는 이하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1, 제2 및 제3 릴레이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연결 감지 신호는 제2 릴레이부(630) 온오프 신호로 그대로 출력된다. 이에 반해, 제3 릴레이부(670) 온오프 신호는 연결 감지 신호가 NOT 게이트(810)에 의해 반전된 신호이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680)는 연결 감지 신호가 전원 공급 장치(600) 및 TV(전자 기기)(400)가 연결된 상태를 나타내는 경우(positive), 제1 및 제2 릴레이부(620, 630) 중 하나가 온 되도록 제1 및 제2 릴레이부(620, 630) 중 하나를 제어할 수 있다. 즉, 도 8에서, 전원 공급 장치(600) 및 TV(400)가 연결되는 경우, 제2 릴레이부(630) 온오프 신호는 positive 값이 되어 제2 릴레이부(630)는 온 되고(short 상태), 제3 릴레이부(630) 온오프 신호는 negative 값이 되어 제3 릴레이부(670)는 오프(open 상태) 된다. 이 경우, 전원 온 오프 신호는 negative 이므로, 제1 릴레이부(620) 온오프 신호는 negative 값이다. 따라서, 제1 릴레이부(620)는 오프(open 상태) 된 상태로 있다.
마찬가지로, 프로세서(680)는 연결 감지 신호가 전원 공급 장치(600) 및 전자 기기(400)가 연결된 상태를 나타내는 경우, 제1 및 제2 릴레이부(620, 630) 중 적어도 하나가 온 되고, 제3 릴레이부(670)가 오프 되도록 제1 및 제2 릴레이부(620, 630) 중 적어도 하나와 제3 릴레이부(670)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연결 감지 신호가 전원 공급 장치(600) 및 TV(400)가 연결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는 상태에서 전원 온오프 신호가 TV(전자 기기)(400)에 대한 온 명령을 나타내는 경우, 프로세서(680)는 제1 및 제2 릴레이부(620, 630) 중 오프 상태에 있던 제1 릴레이부(620)가 온 되도록 제1 릴레이부(620)를 제어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 예에서와 같이, 연결 감지 신호 및 전원 온오프 신호가 positive 값인 경우에 전원 공급 장치(600)로부터 전원이 공급된다. 한편, 연결 감지 신호 및 전원 온오프 신호 중 적어도 하나가 negative 값이 되는 경우(케이블(500) 연결이 해제되는 경우 및 전원 오프 명령이 수신되는 경우 중 적어도 하나의 경우)에는, 상술한 실시 예와는 반대로 제1, 제2 릴레이(620, 630) 중 적어도 하나가 오프되어 전원 공급이 중단될 수 있다. 이때, 제3 릴레이(670)는 온 되어, 역률보상부(650)의 콘덴서(651)에 축적된 전하를 빠르게 방전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실시 예에서, 프로세서(680)는 제1, 제2 및 제3 릴레이부(620, 630, 670)의 스위칭 제어를 위해 전용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전원 공급 장치(600)를 전반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다른 프로세서(미도시)나 전원 공급 장치(600) 외부의 프로세서(미도시)(예를 들면, TV(400)에 포함된 프로세서) 에 의해 1, 제2 및 제3 릴레이부(620, 630, 670)의 스위칭 제어가 수행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프로세서(680)는 MCU(micro controller unit),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등과 같이 신호 처리를 위한 별도의 IC를 이용하여 구성되거나, 디지털 부품을 또는 예를 들어, 트랜지스터, 다이오드, 저항과 같은 아날로그 부품을 조합하여 구현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원 공급 장치의 전원 공급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먼저, 전원 공급 장치(100) 및 전자 기기(200)의 연결 여부를 나타내는 연결 감지 신호 및 전자 기기(200)에 대한 온오프 명령을 나타내는 전원 온오프 신호를 수신하고(S910), 수신된 연결 감지 신호 및 전원 온오프 신호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전자 기기(200)에 대한 전원 공급을 제어하기 위하여 온오프 되는 제1 및 제2 릴레이부(110, 120)의 스위칭 동작을 제어한다.
이 경우, 전원 공급 장치(100)는 전원 공급 장치(100)로 입력되는 전원의 노이즈를 제거하는 라인필터(150), 라인필터(150)로부터 출력되는 전원을 정류하는 정류부(160), 라인필터(150)로부터 출력되는 전원을 이용하여 전자 기기(200)를 온 시키기 위한 대기전원을 제공하는 대기전원부(190) 및 정류부(160)에서 출력되는 전원의 역률을 보상하여 출력하는 역률보상부(170)를 더 포함하고, 제1 및 제2 릴레이부(110, 120)는 라인필터(150) 및 정류부(160)를 연결하는 제1 전원선 및 제2 전원선 각각에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및 제2 릴레이부(110, 120)를 제어하는 단계는 연결 감지 신호가 전원 공급 장치(100) 및 전자 기기(200)가 연결된 상태를 나타내고 전원 온오프 신호가 전자 기기(200)의 온 명령을 나타내는 경우, 제1 및 제2 릴레이부(110. 120)가 온 되도록 제1 및 제2 릴레이부(110, 12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1 및 제2 릴레이부(110, 120)를 제어하는 단계는 연결 감지 신호가 전원 공급 장치(100) 및 전자 기기(200)가 연결된 상태를 나타내는 경우, 제1 및 제2 릴레이부(110, 120) 중 하나가 온 되도록 제1 및 제2 릴레이부(110, 120) 중 하나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1 및 제2 릴레이부(110, 120)를 제어하는 단계는 전원 온오프 신호가 전자 기기(200)에 대한 온 명령을 나타내는 경우, 제1 및 제2 릴레이부(110, 120) 중 오프 상태에 있던 릴레이가 온 되도록 제1 및 제2 릴레이부(110, 120) 중 하나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전원 공급 장치(100)는 스위칭 동작을 통해, 전원을 전자 기기(200)로 공급하는 과정에서 전원으로부터 공급받아 축적된 전하를 방전하기 위한 제3 릴레이부(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전원 공급 방법은 연결 감지 신호 및 전원 온오프 신호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제3 릴레이부(140)를 온오프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3 릴레이부(140)를 온오프 하는 단계는 연결 감지 신호가 전원 공급 장치(100) 및 전자 기기(200)가 연결된 상태를 나타내고 전원 온오프 신호가 전자 기기(200)의 온 명령을 나타내는 경우, 제1 및 제2 릴레이부(110, 120)가 온 되고 제3 릴레이부(140)가 오프 되도록 제1 내지 제3 릴레이부(110, 12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 릴레이부(140)를 온오프 하는 단계는 연결 감지 신호가 전원 공급 장치(100) 및 전자 기기(200)가 연결된 상태를 나타내는 경우, 제1 및 제2 릴레이부(110, 120) 중 적어도 하나가 온 되고, 제3 릴레이부(140)가 오프 되도록 제1 및 제2 릴레이부(110, 120) 중 적어도 하나와 제3 릴레이부(140)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원 공급 장치(100)의 전원 공급 방법은 컴퓨터로 실행 가능한 프로그램 코드로 구현되어 다양한 비 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에 저장된 상태로 프로세서(130)에 의해 실행되도록 각 서버 또는 기기들에 제공될 수 있다. 
일 예로, 본 발명의 전원 공급 장치(100) 및 전자 기기(200)의 연결 여부를 나타내는 연결 감지 신호 및 전자 기기(200)에 대한 온오프 명령을 나타내는 전원 온오프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수신된 연결 감지 신호 및 전원 온오프 신호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전자 기기(200)에 대한 전원 공급을 제어하기 위하여 온오프되는 제1 및 제2 릴레이부(110, 120)의 스위칭 동작을 제어하는 단계를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가 제공될 수 있다.
비 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란 레지스터, 캐쉬, 메모리 등과 같이 짧은 순간 동안 데이터를 저장하는 매체가 아니라 반영구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며, 기기에 의해 판독(reading)이 가능한 매체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는, 상술한 다양한 어플리케이션 또는 프로그램들은 CD, DVD, 하드 디스크, 블루레이 디스크, USB, 메모리카드, ROM 등과 같은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에 저장되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100: 전원 공급 장치                        200: 전자 기기
300: 전원 플러그                           110: 제1 릴레이부
120: 제2 릴레이부                          130: 프로세서
140: 제3 릴레이부

Claims (19)

  1. 전자 기기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 공급 장치에 있어서,
    외부로부터 입력된 전원에 대한 노이즈를 제거하는 라인필터;
    상기 라인필터로부터 출력되는 전원을 정류하는 정류부;
    상기 라인필터로부터 출력되는 전원을 이용하여 상기 전자 기기를 온 시키기 위한 대기전원을 제공하는 대기전원부;
    콘덴서를 포함하며, 상기 정류부에서 출력되는 전원의 역률을 보상하여 상기 전자 기기로 출력하는 역률보상부;
    상기 라인필터 및 상기 정류부를 연결하는 제1 전원선 및 제2 전원선 각각에 구비되며, 상기 전자 기기에 대한 전원 공급을 제어하기 위하여 온오프 되는 제1 및 제2 릴레이부;
    상기 콘덴서에 병렬로 연결된 방전 회로; 및
    상기 전원 공급 장치 및 상기 전자 기기의 연결 여부를 나타내는 연결 감지 신호 및 상기 전자 기기에 대한 온오프 명령을 나타내는 전원 온오프 신호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및 제2 릴레이부의 스위칭 동작을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스위칭 동작을 통해, 상기 전원을 상기 전자 기기로 공급하는 과정에서 상기 콘덴서에 축적된 전하를 방전하기 위해, 상기 방전 회로에 포함된 제3 릴레이부가 온 되도록 상기 제3 릴레이부를 제어하는 전원 공급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연결 감지 신호가 상기 전원 공급 장치 및 상기 전자 기기가 연결된 상태를 나타내고 상기 전원 온오프 신호가 상기 전자 기기의 온 명령을 나타내는 경우, 상기 제1 및 제2 릴레이부가 온 되도록 상기 제1 및 제2 릴레이부를 제어하는, 전원 공급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연결 감지 신호가 상기 전원 공급 장치 및 상기 전자 기기가 연결된 상태를 나타내는 경우, 상기 제1 및 제2 릴레이부 중 하나가 온 되도록 상기 제1 및 제2 릴레이부 중 하나를 제어하는, 전원 공급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전원 온오프 신호가 상기 전자 기기에 대한 온 명령을 나타내는 경우, 상기 제1 및 제2 릴레이부 중 오프 상태에 있던 릴레이가 온 되도록 상기 제1 및 제2 릴레이부 중 하나를 제어하는, 전원 공급 장치.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연결 감지 신호 및 상기 전원 온오프 신호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제3 릴레이부를 온오프 하는, 전원 공급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연결 감지 신호가 상기 전원 공급 장치 및 상기 전자 기기가 연결된 상태를 나타내고 상기 전원 온오프 신호가 상기 전자 기기의 온 명령을 나타내는 경우, 상기 제1 및 제2 릴레이부가 온 되고 상기 제3 릴레이부가 오프 되도록 상기 제1 내지 제3 릴레이부를 제어하는, 전원 공급 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연결 감지 신호가 상기 전원 공급 장치 및 상기 전자 기기가 연결된 상태를 나타내는 경우, 상기 제1 및 제2 릴레이부 중 적어도 하나가 온 되고, 상기 제3 릴레이부가 오프 되도록 상기 제1 및 제2 릴레이부 중 적어도 하나와 제3 릴레이부를 제어하는, 전원 공급 장치.
  10. 삭제
  11. 전자 기기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 장치의 전원 공급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전원 공급 장치는,
    상기 전원 공급 장치로 입력되는 전원의 노이즈를 제거하는 라인필터;
    상기 라인필터로부터 출력되는 전원을 정류하는 정류부;
    상기 라인필터로부터 출력되는 전원을 이용하여 상기 전자 기기를 온 시키기 위한 대기전원을 제공하는 대기전원부;
    콘덴서를 포함하며, 상기 정류부에서 출력되는 전원의 역률을 보상하여 출력하는 역률보상부;
    상기 라인필터 및 상기 정류부를 연결하는 제1 전원선 및 제2 전원선 각각에 구비된 제1 및 제2 릴레이부; 및
    상기 콘덴서에 병렬로 연결된 방전 회로;를 포함하며,
    상기 전원 공급 방법은,
    상기 전원 공급 장치 및 상기 전자 기기의 연결 여부를 나타내는 연결 감지 신호 및 상기 전자 기기에 대한 온오프 명령을 나타내는 전원 온오프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연결 감지 신호 및 전원 온오프 신호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전자 기기에 대한 전원 공급을 제어하기 위하여 온오프되는 상기 제1 및 제2 릴레이부의 스위칭 동작을 제어하는 단계; 및
    상기 스위칭 동작을 통해, 상기 전원을 상기 전자 기기로 공급하는 과정에서 상기 콘덴서에 축적된 전하를 방전하기 위해, 상기 방전 회로에 포함된 제3 릴레이부가 온 되도록 상기 제3 릴레이부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원 공급 방법.
  12. 삭제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릴레이부를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연결 감지 신호가 상기 전원 공급 장치 및 상기 전자 기기가 연결된 상태를 나타내고 상기 전원 온오프 신호가 상기 전자 기기의 온 명령을 나타내는 경우, 상기 제1 및 제2 릴레이부가 온 되도록 상기 제1 및 제2 릴레이부를 제어하는, 전원 공급 방법.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릴레이부를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연결 감지 신호가 상기 전원 공급 장치 및 상기 전자 기기가 연결된 상태를 나타내는 경우, 상기 제1 및 제2 릴레이부 중 하나가 온 되도록 상기 제1 및 제2 릴레이부 중 하나를 제어하는, 전원 공급 방법.
  15. ◈청구항 15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릴레이부를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전원 온오프 신호가 상기 전자 기기에 대한 온 명령을 나타내는 경우, 상기 제1 및 제2 릴레이부 중 오프 상태에 있던 릴레이가 온 되도록 상기 제1 및 제2 릴레이부 중 하나를 제어하는, 전원 공급 방법.
  16. 삭제
  17. ◈청구항 17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릴레이부를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연결 감지 신호 및 상기 전원 온오프 신호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제3 릴레이부를 온오프 하는, 전원 공급 방법.
  18. ◈청구항 18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제3 릴레이부를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연결 감지 신호가 상기 전원 공급 장치 및 상기 전자 기기가 연결된 상태를 나타내고 상기 전원 온오프 신호가 상기 전자 기기의 온 명령을 나타내는 경우, 상기 제1 및 제2 릴레이부가 온 되고 상기 제3 릴레이부가 오프 되도록 상기 제1 내지 제3 릴레이부를 제어하는, 전원 공급 방법.
  19. ◈청구항 19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제3 릴레이부를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연결 감지 신호가 상기 전원 공급 장치 및 상기 전자 기기가 연결된 상태를 나타내는 경우, 상기 제1 및 제2 릴레이부 중 적어도 하나가 온 되고, 상기 제3 릴레이부가 오프 되도록 상기 제1 및 제2 릴레이부 중 적어도 하나와 제3 릴레이부를 제어하는, 전원 공급 방법.
KR1020160034138A 2016-03-22 2016-03-22 전원 공급 장치 및 그 전원 공급 방법 KR1025993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4138A KR102599337B1 (ko) 2016-03-22 2016-03-22 전원 공급 장치 및 그 전원 공급 방법
US15/434,415 US10340105B2 (en) 2016-03-22 2017-02-16 Power supply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4138A KR102599337B1 (ko) 2016-03-22 2016-03-22 전원 공급 장치 및 그 전원 공급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9920A KR20170109920A (ko) 2017-10-10
KR102599337B1 true KR102599337B1 (ko) 2023-11-08

Family

ID=598969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34138A KR102599337B1 (ko) 2016-03-22 2016-03-22 전원 공급 장치 및 그 전원 공급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10340105B2 (ko)
KR (1) KR10259933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721802A (zh) * 2016-03-23 2016-06-29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待机控制电路及其工作方法、播放设备
JP2018166967A (ja) * 2017-03-30 2018-11-01 キヤノンメディカルシステムズ株式会社 医用画像診断装置
KR102673597B1 (ko) 2018-09-12 2024-06-12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시스템,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2646067B1 (ko) * 2019-07-17 2024-03-12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그 제어 방법 및 디스플레이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134927A (ja) * 2011-12-27 2013-07-08 Fujitsu Component Ltd 配電装置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548441B2 (en) 2004-02-24 2009-06-16 Vlt, Inc. Universal AC adapter
KR100822231B1 (ko) * 2006-05-03 2008-04-17 이상복 액정 표시 장치의 전원 공급 디바이스
JP4860429B2 (ja) 2006-10-26 2012-01-25 Tdkラムダ株式会社 モジュール型電源装置
TW200849200A (en) 2007-06-01 2008-12-16 Mitac Technology Corp Split-type power supply circuit for LCD TV
CN101252322B (zh) 2007-12-20 2011-05-11 英飞特电子(杭州)有限公司 组合式电源适配器
JP2010145805A (ja) 2008-12-19 2010-07-01 Hitachi Ltd 表示装置
KR101096131B1 (ko) 2010-06-23 2011-12-19 주식회사 파워넷 액정표시 장치의 전원 제어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134927A (ja) * 2011-12-27 2013-07-08 Fujitsu Component Ltd 配電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340105B2 (en) 2019-07-02
US20170278658A1 (en) 2017-09-28
KR20170109920A (ko) 2017-10-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99337B1 (ko) 전원 공급 장치 및 그 전원 공급 방법
US8937460B2 (en) Dual-interface card reader module
US9807451B2 (en) High-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HDMI unit and multimedia terminal
US20100280671A1 (en) Device, system and method that decreasing standby power of electronic appliance and receptacle
US20060175903A1 (en) Sensing socket assembly
US7341481B2 (en) Power control circuit
CN105453372A (zh) 利用通用高功率输入源进行快速电池充电的方法及设备
JP2010511367A (ja) 電力供給制御装置
CN104935072A (zh) 备用电源切换控制方法和装置
WO2019103964A1 (en) Receptacle having motion activated guide light
US10043123B2 (en) Electronic equipment
TWI473386B (zh) 備用電池充電電路
US11411509B2 (en)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the presence of input power of different types
US9584023B2 (en) Voltage converter
US11349335B2 (en) Power supplying device
CN202395253U (zh) 一种节电插座
CN104301643B (zh) 一种电视机llc拓扑直接待机低功耗电路
CN104159359A (zh) 一种手电筒驱动电路及移动终端
TWI554004B (zh) 電源轉換裝置及其控制方法
US8988234B2 (en) Alarm system
US20180233909A1 (en) Smart low voltage direct current infrastructure
CN102749858B (zh) 一种高清视听设备的cec处理装置
CN203909781U (zh) Cpu保护电路
CN216530693U (zh) 一种多功能充电设备
KR101437996B1 (ko) 대기전력 차단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