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99083B1 - 차량 센서 클리닝 장치 및 그 장치의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차량 센서 클리닝 장치 및 그 장치의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99083B1
KR102599083B1 KR1020230073728A KR20230073728A KR102599083B1 KR 102599083 B1 KR102599083 B1 KR 102599083B1 KR 1020230073728 A KR1020230073728 A KR 1020230073728A KR 20230073728 A KR20230073728 A KR 20230073728A KR 102599083 B1 KR102599083 B1 KR 1025990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pressure value
control unit
tank
distribu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737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종욱
강신원
박민욱
김선주
노태성
Original Assignee
디와이씨스 주식회사
디와이오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디와이씨스 주식회사, 디와이오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디와이씨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300737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9908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90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90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56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cleaning other parts or devices than front windows or windscre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2Cleaning by the force of jets or spr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5/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air flow or gas flow
    • B08B5/02Cleaning by the force of jets, e.g. blowing-out cavi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 B60Y2400/301Sensors for position or displacement
    • B60Y2400/3015Optical camera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 B60Y2400/301Sensors for position or displacement
    • B60Y2400/3017Rada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eaning In General (AREA)

Abstract

차량 센서 클리닝 장치 및 그 장치의 제어방법이 개시된다. 차량 센서 클리닝 장치는 에어를 에어탱크에 압축 저장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콤프레셔와, 에어탱크에 저장된 에어를 차량에 위치한 복수의 센서에 분사하는 복수의 에어노즐과, 에어탱크의 에어를 에어호스를 통해 복수의 에어노즐에 분배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에어분배기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콤프레셔 및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에어분배기를 제어하는 에어제어부를 포함한다. 에어제어부는 분사시 에어탱크 및/또는 에어호스의 압력값, 에어탱크의 충진시 에어탱크 및/또는 에어호스의 압력값, 또는 에어분배기의 압력값을 기반으로 에어의 누기 여부를 파악한다.

Description

차량 센서 클리닝 장치 및 그 장치의 제어방법{Vehicle sensor clean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차량에 설치된 센서를 클리닝하는 차량 센서 클리닝 장치 및 그 장치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차량에는 다양한 종류의 센서(카메라, 레이더, 라이더 등)가 존재한다. 차량 센서 표면에 이물질이 묻는 경우에 센서가 정상적으로 동작하지 않을 수 있다. 자율주행이나 각종 주행 보조 기능을 위하여 필요한 센서가 정상적으로 동작하지 않으면 이는 차량 운행의 안전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하여 에어나 워셔액을 분출하는 시스템이 존재하나 이러한 에어나 워셔액의 분출 시스템을 차량 여러 곳에 위치하고 그 크기가 작은 센서의 클리닝에 적용하기는 어렵다. 또한 에어 누기가 발생하면 센서에 출력되는 에어의 세기가 약해져 클리닝 효과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에어 누기를 파악하여 정확한 에어 세기로 차량에 존재하는 센서의 표면에 묻은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는 차량 센서 클리닝 장치 및 그 장치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센서 클리닝 장치의 일 예는, 에어를 에어탱크에 압축 저장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콤프레셔; 상기 에어탱크에 저장된 에어를 차량에 위치한 복수의 센서에 분사하는 복수의 에어노즐; 상기 에어탱크의 에어를 에어호스를 통해 복수의 에어노즐에 분배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에어분배기;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콤프레셔 및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에어분배기를 제어하는 에어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에어제어부는, 분사시 상기 에어탱크 및/또는 상기 에어호스의 압력값, 상기 에어탱크의 충진시 상기 에어탱크 및/또는 상기 에어호스의 압력값, 또는 상기 에어분배기의 압력값을 기반으로 에어의 누기 여부를 파악한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어 방법의 일 예는, 차량 센서 클리닝 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에어탱크에 저장된 에어를 분사할 때마다 상기 에어탱크 및/또는 에어호스의 측정압력값을 파악하는 단계; 시동시 초기압력값과 상기 측정압력값 사이의 차이를 기반으로 에어 누기를 판정하는 단계; 에어 누기가 판정되면 에어의 출력 세기를 보상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에어 누기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로, 에어 누기의 정도에 따라 에어 세기를 보상하여 출력하거나 에어 출력을 중지할 수 있다. 일정한 에어 세기로 차량에 존재하는 센서 표면에 묻는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로, 워셔액과 에어를 함께 사용하여 센서의 표면에 묻은 이물질을 깨끗하게 제거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센서 클리닝 장치의 전반적인 구조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센서 클리닝 장치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센서 클리닝 장치가 구현된 차량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센서의 클리닝 방향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에어분사부의 상세 구성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액체분사부의 상세 구성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센서 클리닝 장치의 교차 제어 방법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에어제어부의 일 예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에어 누기 판정 방법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분사시 에어 누기를 판정하는 방법의 일 예를 도시한 흐름도,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충진시 에어 누기를 판정하는 방법의 일 예를 도시한 흐름도,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복수 채널별 에어 누기를 판정하는 방법의 일 예를 도시한 흐름도, 그리고,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에어 누기 단계별 제어방법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센서 클리닝 장치 및 그 장치의 제어방법에 대해 상세히 살펴본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센서 클리닝 장치의 전반적인 구조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차량 센서 클리닝 장치(100)는 액체분사부(110), 액체제어부(120), 에어분사부(130) 및 에어제어부(140)를 포함한다. 차량 센서 클리닝 장치(100)는 차량제어부(160)와 연결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로, 차량제어부(160)의 클리닝 요청을 액체제어부(120) 및 에어제어부(140)에 각각 전달하는 게이트웨이(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각 제어부는 MCU(Micro Controller Unit)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액체분사부(110)는 센서(150)에 워셔액을 분사한다. 워셔액은 실시 예에 따라 그 성분이 다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워셔액은 일반 물로 구성되거나 차량 유리에 사용되는 성분과 동일한 성분으로 구성될 수 있는 등 다양한 성분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실시 예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하나의 센서(150)만을 도시하고 있으나, 차량에는 도 3과 같이 복수 개의 센서가 존재할 수 있다. 액체분사부(110)는 복수 개의 센서에 동시에 또는 순차적으로 워셔액을 분사하거나 또는 클리닝이 필요한 센서에만 워셔액을 분사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한 액체분사부(110)의 구성의 일 예가 도 6에 도시되어 있다.
액체제어부(120)는 액체분사부(110)의 워셔액 분사를 제어한다. 예를 들어, 액체제어부(120)는 차량제어부(160)로부터 클리닝 요청을 수신하면, 액체분사부(110)를 제어하여 센서에 워셔액을 분사한다. 복수 개의 센서에 대한 클리닝 요청 신호가 존재할 때 워셔액 분사는 순차적으로 수행되거나 동시에 수행될 수 있다.
에어분사부(130)는 센서(150)에 에어를 분사한다. 차량에는 복수 개의 센서가 존재하므로, 에어분사부(130)는 복수의 센서에 동시 또는 순차적으로 에어를 분사하거나 또는 클리닝이 필요한 센서에만 에어를 분사할 수 있다. 에어분사부(130)의 구성의 일 예가 도 5에 도시되어 있다. 센서에 분사되는 에어는 일반 공기이거나 압축 공기일 수 있다. 도 5는 압축 공기를 분사하는 예이다.
에어제어부(140)는 에어분사부(130)의 에어 분사를 제어한다. 예를 들어, 에어제어부(140)는 차량제어부(160)로부터 클리닝 요청을 수신하면, 에어분사부(130)를 제어하여 센서에 에어를 분사한다.
차량제어부(160)는 센서(150)의 클리닝이 필요하면 클리닝 요청 명령을 출력한다. 예를 들어, 차량제어부(160)는 종래의 다양한 방법을 통해 클리닝이 필요한 센서를 파악할 수 있다. 차량제어부(160)가 클리닝이 필요한 센서를 파악하는 방법 그 자체는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 예는 액체제어부(120) 및 에어제어부(140)가 차량제어부(160)로부터 센서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클리닝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를 가정하여 설명한다.
차량제어부(160)는 클리닝 요청 명령을 출력할 뿐 클리닝 방법을 한정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클리닝 요청에 따라 각 센서를 어떤 방법으로 클리닝할지는 다양하게 구현할 수 있다. 본 실시 예는 차량제어부(160)로부터 클리닝 요청을 수신하면 워셔액 분사와 에어 분사를 통해 클리닝을 수행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센서 클리닝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도록 워셔액 분사와 에어 분사가 교차로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액체분사부(110) 및 에어분사부(130)의 분사 동작이 서로 중첩되지 않도록 제어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도 7 및 도 8에서 살펴본다.
일 실시 예로, 차량 센서 클리닝 장치(100)는 에어분사부(130) 및 에어제어부(140)를 포함하고, 액체분사부(110) 및 액체제어부(120)를 생략할 수 있다.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에어분사부(130) 및 에어제어부(140)와 함께 액체분사부(110) 및 액체제어부(120)를 포함하는 경우를 가정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센서 클리닝 장치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차량 센서 클리닝 장치(100)는 액체분사부(110), 에어분사부(130) 및 제어부(200)를 포함한다. 차량 센서 클리닝 장치(100)는 차량제어부(160)와 연결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의 액체분사부(110), 에어분사부(130), 차량제어부(160) 및 센서(150)는 도 1의 구성과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앞서 언급하였듯이, 차량 센서 클리닝 장치(110)는 액체분사부(110) 없이 에어분사부(130)만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본 실시 예는 도 1의 액체제어부(120) 및 에어제어부(140)를 하나로 통합한 제어부(200)를 포함한다. 제어부(200)는 차량제어부(160)로부터 클리닝 요청을 수신하면, 워셔액과 에어를 동시에 분사하거나 순차적으로 교차 분사하도록 액체분사부(110) 및 에어분사부(130)를 제어할 수 있다. 앞서 살핀 액체제어부(120) 및 에어제어부(140)의 각 구성 및 기능 등은 제어부(200)에 통합 구현될 수 있다.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 1의 구성을 기반으로 설명한다. 따라서 이후 살펴볼 액체제어부(120) 및 에어제어부(140)의 기능과 구성 등은 도 2의 제어부(200)로 구현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센서 클리닝 장치가 구현된 차량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차량(300)에는 복수 개의 센서가 존재한다. 차량의 일측(310)에는 액체분사부(110) 및 에어분사부(130)의 일부 구성(예를 들어, 도 5 및 도 6의 에어탱크 및 워셔액탱크) 등이 존재할 수 있다. 본 실시 예는 에어탱크 및 워셔액탱크가 한 곳에 위치하는 경우를 도시하고 있으나 이는 하나의 예일 뿐 에어탱크와 워셔액탱크는 차량의 서로 다른 위치에 존재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로 복수의 에어탱크 및 복수의 워셔액탱크가 존재할 수 있다.
각 센서에는 에어 또는 워셔액을 분사하는 노즐이 배치된다. 도 5의 에어 노즐을 통해 센서에 에어가 분사되고, 도 6의 액체 노즐을 통해 센서에 워셔액이 분사된다.
에어탱크의 압축 공기를 각 센서에 위치한 에어 노즐에 공급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에어분배기(330,332)가 존재할 수 있다. 에어제어부(140)는 에어분배기(330,332)의 제어를 통해 원하는 센서에 에어를 분사할 수 있다.
워셔액탱크의 워셔액을 각 센서에 위치한 액체 노즐에 공급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액체분배기(320)가 존재할 수 있다. 액체제어부(120)는 액체분배기(320)의 제어를 통해 원하는 센서에 워셔액을 분사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센서의 클리닝 방향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센서(400)의 표면에 분사되는 워셔액의 방향(420)과 에어의 방향(410)은 서로 다른 방향일 수 있다. 또한, 워셔액과 에어는 동시 또는 순차적으로 분사되거나 둘 중 하나만 분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액체분사부(110)는 센서(400)에 워셔액을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분사하고, 에어분사부(130)는 센서(400)에 에어를 위쪽에서 아래쪽으로 분사할 수 있다. 서로 다른 방향으로 분사된 워셔액과 에어를 통해 센서(400)의 표면에 묻은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에어를 위쪽에서 아래쪽으로 분사하여, 센서(400) 표면에 남아 있는 워셔액이나 빗물 등을 제거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로, 센서(400)의 표면에 분사되는 워셔액의 방향(420)과 에어의 방향(410)은 동일 방향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워셔액과 에어는 모두 센서의 위쪽에서 아래쪽(또는 아래쪽에서 위쪽)으로 분사될 수 있다. 워셔액와 에어의 동시 분사를 통해 센서 표면에 가해지는 압력을 증가시켜 표면의 이물질 등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이 외에도, 워셔액과 에어의 분사 방향 및 분사 순서 등은 실시 예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에어분사부의 상세 구성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에어분사부(130)는 콤프레셔(500), 에어탱크(510), 에어분배기(520) 및 복수의 노즐(530)을 포함한다.
콤프레셔(500)는 공기를 압축하여 에어탱크(510)에 저장한다. 일 실시 예로 콤프레셔(500)는 복수의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콤프레셔(500)는 복수의 모터를 번갈아가면서 사용하여 특정 모터에만 부하가 가중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물론 하나의 모터를 가진 콤프레셔(500)로 구현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로, 콤프레셔(500)를 통해 에어탱크(510)에 저장된 공기의 압축세기를 조정할 수 있다.
에어탱크(510)는 압축된 공기를 저장한다. 일 실시 예로, 콤프레셔(500)와 에어탱크(510) 없이 프로펠러 등을 사용하여 센서에 에어를 분사할 수 있다. 그러나 프로펠러 등을 통해 생성한 에어의 세기는 약하므로 센서의 표면에 묻는 이물질이나 물 등을 깨끗이 제거하기는 힘들다. 이에 본 실시 예는 에어탱크(510)에 저장된 압축 공기를 이용하여 센서에 분사되는 에어의 세기(예를 들어, 속도)를 높인다.
에어분배기(520)는 에어탱크(510)에서 출력되는 압축 공기를 에어호스를 통해 복수의 노즐(500)에 분배한다. 각각의 노즐(530)은 각 센서에 위치하여 센서에 에어를 분사한다. 일 예로, 에어분배기(520)는 압축 공기를 출력하는 복수의 채널을 포함하고, 각 채널은 에어호스를 통해 각 노즐(530)과 연결된다. 에어분배기(520)의 채널 수보다 센서의 수가 많다면, 에어분배기(520)는 복수 개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 개의 에어분배기(520)가 각각 에어탱크(510)에 병렬 연결되거나, 복수 개의 에어분배기(520)는 트리 구조 등과 같이 계층적 구조로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에어분배기(520)는 에어제어부(140)의 제어에 따라 각 채널의 온/오프를 수행한다. 예를 들어, 에어분배기(520)는 에어제어부(140)로부터 제1 채널의 온(on) 명령을 수신하면, 에어분배기(520)는 제1 채널을 통해 에어탱크(510)의 압축 공기를 출력하고, 제1 채널과 에어호스로 연결된 제1 노즐은 제1 센서에 에어를 분사한다. 채널의 온/오프는 솔레노이드 밸브 등을 통해 제어될 수 있다.
에어제어부(140)는 에어분배기(520)의 각 채널의 온/오프를 제어하기 위하여, 각 센서가 에어분배기(520)의 어느 채널과 연결되어 있는지 미리 파악하여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센서 식별정보와 제1 채널의 관계가 정의되어 있다면, 에어제어부(140)는 제1 센서의 클리닝이 필요한 경우에, 에어분배기(520)의 제1 채널의 온(on) 명령을 에어분배기(140)에 전송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액체분사부의 상세 구성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액체분사부(110)는 워셔액탱크(600), 워셔펌프(610), 액체분배기(620)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노즐(630)을 포함한다.
워셔액탱크(600)는 워셔액을 저장한다. 워셔펌프(610)는 워셔액탱크(600)에 저장된 워셔액을 액체분배기(620)로 출력한다. 액체분배기(620)는 워셔펌프(610)를 통해 공급받은 워셔액을 노즐로 출력한다. 워셔펌프(610)는 모터 구동을 통해 워셔액을 출력한다. 노즐(630)은 워셔액을 센서로 분사한다. 각 노즐(630)과 액체분배기(620)는 액체호스를 통해 연결된다. 일 실시 예로, 노즐(630)은 센서에 워셔액을 분사하는 경우에 돌출되고 분사가 완료되면 다시 안쪽으로 들어오는 형태일 수 있다.
다른 실시 예로, 워셔펌프(610)는 복수 개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20개의 노즐이 존재한다고 할 때 제1 내지 제10 노즐은 제1 워셔펌프(또는 제1 모터)와 연결되고, 제11 내지 제 14 노즐은 제2 워셔펌프(또는 제2 모터)와 연결되고, 제15 내지 제20 노즐은 제3 워셔펌프(또는 제3 모터)와 연결될 수 있다. 액체제어부(120)는 복수 개의 워셔펌프(또는 복수 개의 모터)를 병렬로 제어할 수 있다.
액체분배기(620)는 액체제어부(120)의 제어에 따라 워셔액을 출력할 노즐(630)을 선택할 수 있다. 일 예로, 액체분배기(620)는 워셔액을 출력하는 복수의 채널을 포함하고, 각 채널은 액체호스를 통해 각 노즐(630)과 연결된다. 액체분배기(620)의 채널 수보다 센서의 수가 많다면, 액체분배기(620)는 복수 개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 개의 액체분배기(620)가 각각 워셔펌프(610)에 병렬 연결되거나, 복수 개의 액체분배기(620)는 트리 구조 등과 같이 계층적 구조로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액체분배기(620)는 복수의 채널의 온/오프를 통해 원하는 센서에 워셔액을 분사할 수 있다. 액체분배기(620)는 액체제어부(120)로부터 제1 채널의 온(on) 명령을 수신하면, 제1 채널을 통해 워셔액을 출력하고, 제1 채널과 연결된 제1 노즐은 워셔액을 제1 센서에 분사한다. 액체제어부(120)는 앞서 살핀 에어제어부(140)와 같이 각 센서가 액체분배기(620)의 어느 채널과 연결되어 있는지 미리 파악하여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센서 식별정보와 제1 채널의 관계가 미리 정의되어 있다면, 액체제어부(120)는 제1 센서의 클리닝이 필요한 경우에, 액체분배기(620)의 제1 채널의 온(on) 명령을 액체분배기(620)에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 예로, 각 노즐과 연결된 각 채널은 솔레노이드 밸브를 통해 온(on)/오프(off)가 제어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로, 액체분사부(110)는 히팅부(6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히팅부(640)는 액체분배기(620)와 각 노즐(630)을 연결하는 액체호스, 워셔펌프(610), 워셔액탱크(600) 또는 액체분배기(620) 등에 열을 공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겨울철 등과 같이 외부 온도가 낮은 경우에 액체호스 또는 액체분배기(620) 등에 존재하는 워셔액이 얼 수 있으므로, 히팅부(640)를 통해 워셔액이 얼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 예로, 액체제어부(120)는 외부로부터 히팅부(640)의 동작 명령을 수신하거나 또는 온도 센서를 통해 파악된 외부 온도가 기 설정된 온도 미만이면 히팅부(640)를 동작시킬 수 있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센서 클리닝 장치의 교차 제어 방법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 및 도 8을 함께 참조하면, 액체제어부(120) 및 에어제어부(140)는 차량제어부로부터 클리닝 요청 신호(800,810)를 수신한다(S700). 액체제어부(120) 및 에어제어부(140)는 차량제어부(160)와 CAN(Controller Area Network) 또는 CAN FD(CAN wth Flexible Data rat)로 연결될 수 있다.
액체제어부(120) 및 에어제어부(140)는 워셔액 분사 제어 시점과 에어제어부(140)의 워셔액 분사 제어 시점을 서로 다르게 하여 워셔액과 에어가 교차 분사하도록 할 수 있다(S710). 예를 들어, 액체제어부(120) 및 에어제어부(140)는 동일 센서에 대해서는 워셔액 분사와 에어 분사를 교차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동일 센서에 대한 교차 제어 방법은 다양한 방법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일 실시 예로, 액체제어부(120)는 클리닝 요청 신호(즉, 워셔클리닝 요청(800))를 수신하면 클리닝 요청 신호(800)에 해당하는 센서로 워셔액을 분사하는 액체분사모드로 변환하고 액체분사모드의 온(on) 상태를 에어제어부(140)에 알려준다. 액체제어부(120)는 에어제어부(140)와 연결되어 있고, 에어제어부(140)는 액체분사모드의 온(on) 상태를 수신하면 에어 분사를 수행하지 않는다. 에어제어부(140)는 액체분사모드의 온(on) 상태를 수신할 때 에어 분사 중이었다면 바로 에어 분사를 중지한다. 에어제어부(140)는 액체제어부(120)를 통해 액체분사모드의 오프(off) 상태를 확인하면 클리닝 요청 신호(즉, 에어클리닝 요청(810))에 따라 에어 분사를 수행한다. 에어제어부(140)는 일정 간격으로 액체제어부(120)에 액체분사모드의 상태를 요청하여 수신하거나, 액체제어부(120)는 액체분사모드의 상태가 변경될 때마다 그 상태정보를 에어제어부(140)에 전송할 수 있다. 이 외에도, 액체제어부(120)와 에어제어부(140)는 액체분사모드의 상태를 다양한 방법을 통해 공유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로, 워셔클리닝 요청(800)과 에어클리닝 요청(810)이 동시에 발생하면, 액체제어부(120)는 워셔클리닝 요청(800)에 따라 바로 워셔액 분사를 위한 제어신호(820)를 출력한다. 에어제어부(140)는 에어클리닝 요청(810)을 수신하면 기 정의된 일정 시간 경과 후 에어 분사를 위한 제어신호(830)를 수행한다. 즉, 워셔액 분사 동작 시작 시점과 에어 분사 동작 시작 시점 사이에 일정 시간격이 존재한다. 예를 들어, 액체제어부(120)는 워셔클리닝 요청(800)을 수신한 후 t1 시간 동안 워셔액 분사가 되도록 액체분사부(110)를 제어하고, 에어제어부(140)는 에어클리닝 요청을 수신 후 t1 시간 경과 후에 에어 분사가 되도록 에어분사부(130)를 제어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로, 워셔액 분사와 에어 분사가 서로 교차하여 반복 수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액체제어부(120)는 워셔액 분사 동작을 일정 주기 간격으로 반복하고, 에어제어부(140) 또한 에어 분사 동작을 일정 주기 간격으로 반복한다. 예를 들어, 액체제어부(120) 및 에어제어부(140)는 분사 동작을 위한 온(on) 신호를 일정 주기로 반복한다. 온(on) 신호 구간 동안 워셔액 분사 또는 에어 분사가 이루어지고, 오프(off) 신호 구간에서는 워셔액이나 에어 분사 동작이 이루어지지 않는다. 워셔액 분사 동작 시점과 에어 분사 동작 시점이 서로 상이하고, 두 동작의 주기가 동일하고, 워셔액 분사의 온(on) 신호 구간과 에어 분사의 온(on) 신호 구간이 서로 중첩되지 않는다면, 워셔 분사 동작과 에어 분사 동작은 중첩되지 않고 서로 교차 동작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에어제어부의 일 예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에어제어부(140)는 제1 누기파악부(900), 제2 누기파악부(910), 제3 누기 파악부(920) 및 보상제어부(930)를 포함한다. 실시 예에 따라 에어제어부(140)는 제1 누기파악부(900), 제2 누기파악부(910) 및 제3 누기파악부(92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1 내지 제3 누기파악부(900,910,920)를 모두 포함하는 경우를 가정하여 설명한다.
제1 누기파악부(900)는 분사시점의 에어 누기를 파악한다. 제1 누기파악부(900)는 차량의 시동 시에 파악된 에어탱크의 초기압력값과 분사시마다 파악된 에어탱크 및/또는 에어호스의 압력값(즉, 측정압력값)의 차이를 기반으로 누기를 파악한다. 압력을 파악하기 위한 압력센서가 에어탱크 및/또는 에어호스 등에 존재할 수 있다. 이 외에도 압력을 측정하는 다양한 방법이 본 실시 예에 적용될 수 있다.
일 실시 예로, 제1 누기파악부(900)는 초기압력값과 분사시마다 측정된 측정압력값의 차이를 기 정의된 분사 횟수(예를 들어, 60번) 동안 저장한다. 제1 누기파악부(900)는 압력값의 차이가 기 정의된 정상 범위를 벗어나면 누기로 판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누기파악부(900)는 압력값의 차이가 기 정의된 제1 범위를 벗어나면 경고장으로 판단하고, 제2 범위(>제1 범위)를 벗어나면 중고장으로 판단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로, 기 정의된 분사 횟수가 되면 에어제어부(140)는 에어탱크의 에어 충진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2 누기파악부(910)는 충진시점에 에어 누기를 판정한다. 제2 누기파악부(910)는 에어탱크의 가장 최근의 측정압력값과 충진시점의 에어탱크의 측정압력값 사이의 차이가 기 정의된 범위를 벗어나면 누기로 판정한다. 일 실시 예로, 제2 누기파악부(910)는 가장 최근의 측정압력값과 충진시점의 측정압력값 사이의 차이가 제1 범위를 벗어나면 경고장으로 판단하고, 그 차이가 제2 범위(> 제1 범위)를 벗어나면 중고장으로 판단한다. 제1 누기파악부(900)에서 중고장과 경고장을 구분하기 위한 제1 및 제2 범위와 제2 누기파악부(910)에서 중고장과 경고장을 구분하기 위한 제1 및 제2 범위는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
제3 누기파악부(920)는 복수 채널의 에어 누기를 파악하다. 제3 누기파악부(92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에어분배기의 분사시 최대압력값 및/또는 분사 오프시 최대압력값이 기 정의된 정상범위를 벗어나면 누기로 판정한다. 에어분배기의 압력은 압력센서 등 종래의 다양한 방법을 통해 파악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누기파악부(920)는 분사시 또는 분사오프시 에어분배기의 최대압력값이 제1 정상범위를 벗어나면 경고장으로 파악하고 제2 정상범위(>제1 정상범위)를 벗어나면 중고장으로 판정할 수 있다.
보상제어부(930)는 에어 누기로 판정되면 에어의 출력 세기를 보상 제어한다. 예를 들어, 제1 누기파악부(900)에 의해 파악된 초기압력값보다 분사시 측정압력값이 작으면, 보상제어부(930)는 콤프레셔를 통해 에어탱크에 저장되는 에어의 압력세기를 증가시킨다. 또한, 보상제어부(930)는 제2 누기파악부(910) 및/또는 제3 누기파악부(920)에 의해 파악된 압력값 차이에 따라 에어탱크의 압축 에어의 세기를 조정할 수 있다.
에어 누기는 에어호스에서 발생하거나 에어분배기에서 발생하는 등 그 발생위치는 다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에어분배기가 존재할 때, 제1 에어분배기는 정상이나 제2 에어분배기에서 에어 누기가 발생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제2 에어분배기와 연결된 에어노즐을 통해 클리닝을 수행하는 경우이면, 에어제어부(140)는 에어탱크의 압력을 보상 제어할 수 있다. 즉, 에어 누기가 발생하였는지 여부에 따라 에어탱크의 에어 압력의 보상 제어는 선택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른 실시 예로, 제1 내지 제3 누기파악부(900,910,920)가 에어 누기의 상태를 경고장 및 중고장 등과 같이 복수의 단계로 구분한다면, 보상제어부(930)는 각 단계별 제어방법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경고장이면, 보상제어부(930)는 에어 분사 세기를 보상하는 제어를 수행하고, 중고장이면 클리닝 요청이 있어도 에어 분사를 수행하지 않고 중지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로, 제1 내지 제3 누기파악부(900,910,920)는 일정 시간 동안 측정한 측정압력값이 기준압력값보다 감소하면 에어 누기라고 판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측정 압력값이 기준 압력값을 벗어나는 시구간의 길이가 기 정의된 시간 동안 지속되면 에어 누기로 판정할 수 있다. 또는, 측정압력값이 기준압력값의 범위를 벗어나는 횟수가 기 정의된 시구간 내 기준횟수 이상이면 에어 누기로 판정할 수 있다. 이하의 실시 예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에어 누기 판정 방법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에어제어부(140)는 에어 분사시 에어탱크 및/또는 에어호스의 압력값(1000), 에어탱크에 에어를 충진할 때의 에어탱크(또는 에어호스)의 압력값(1010), 복수의 채널(예를 들어, 각 분배기)의 압력값(1020)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에어 누기 여부를 판정(1030)할 수 있다.
에어제어부(140)는 각각의 압력값(1000,1010,1020)마다 에어 누기를 판정하는 기준범위를 미리 설정하고 있을 수 있다. 다른 실시 예로, 에어제어부(140)는 각각의 압력값(1000,1010,1020)과 미리 정의된 기준범위 사이의 차이를 함께 고려하여 에어 누기를 판정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로, 에어제어부(140)는 파악된 복수의 압력값(1000,1010,1020) 중 어느 압력값이 정상범위를 벗어났는지 파악하여 에어 누기가 발생한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분사시 압력값(1000)이 정상범위를 벗어나면, 에어제어부(140)는 분사를 위한 구성부품(예를 들어, 에어분배기나 에어호스)에서 에어 누기가 발생하였다고 파악하고, 충진시 압력값(1010)이 정상범위를 벗어나면 콤프레셔 등과 같은 에어탱크의 충진을 위한 구성부품에서 에어 누기가 발생하였다고 파악할 수 있다. 또는 채널별 압력값(1020)이 파악된다면, 에어제어부(140)는 어떤 에어분배기 및/또는 에어호스에서 에어 누기가 발생하였는지 파악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분사시 에어 누기를 판정하는 방법의 일 예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에어제어부(140)는 차량의 시동시점의 에어탱크의 압력값(즉, 초기압력값)과 분사시마다 측정한 에어탱크나 에어호스 등의 압력값(즉, 측정압력값) 사이의 차이를 파악하고 저장한다(S1200). 파악된 압력값의 차이가 기 정의된 정상범위를 벗어나면(S1120), 에어제어부(140)는 에어 누기가 존재한다고 판단한다(S1130). 에어제어부(140)는 일정 분사 횟수 동안 압력값의 차이값을 누적 저장할 수 있다. 일정 분사 횟수가 경과하면 에어제어부는 에어탱크에 에어를 충진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충진시 에어 누기를 판정하는 방법의 일 예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12을 참조하면, 에어제어부(140)는 충진시점 이전에 가장 최근에 측정된 에어탱크의 압력값을 파악한다(S1200). 예를 들어, 도 11에서 가장 마지막에 파악되어 저장된 측정압력값이 가장 최근의 측정압력값으로 파악될 수 있다.
에어제어부(140)는 마지막으로 저장된 측정압력값과 충진시의 에어탱크의 측정압력값을 비교한다(S1200). 에어제어부(140)는 두 측정압력값과 그 차이값을 저장한다(S1230). 두 압력값 사이의 차이가 제1 범위를 벗어나면(S1220), 에어제어부(140)는 에어 누기의 경고장으로 판단한다(S1260). 에어제어부(140)는 두 압력값 사이의 차이가 제2 범위를 벗어나면(1240) 에어 누기의 중고장으로 판단한다(S1250).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복수 채널별 에어 누기를 판정하는 방법의 일 예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에어제어부(14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에어분배기의 압력값을 파악한다(S1300). 에어제어부(140)는 에어분배기의 분사시 에어분배기의 최대압력값 및/또는 분사 오프시 에어분배기의 최대압력값을 미리 정의된 정상범위와 비교하여 에어 누기를 판정한다(S1310,S1320).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에어 누기 단계별 제어방법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에어제어부(140)는 에어 누기를 복수의 단계로 구분하여 파악한다(S1400). 예를 들어, 에어제어부(140)는 에어 누기를 경고장 및 중고장으로 구분하여 파악할 수 있다.
에어 누기가 경고장이면, 에어제어부(140)는 경고장 분사모드로 동작하고(S1410), 에어 누기가 중고장이면, 에어제어부(140)는 중고장 분사모드로 동작한다(S1430). 경고장 분사모드의 경우에, 에어제어부(140)는 누기된 에어의 세기만큼 에어탱크의 압력을 증가시켜 출력하는 보상 제어를 수행한다(S1420). 중고장 분사모드의 경우에, 에어제어부(140)는 에어 분사를 중지한다(S1440).
본 발명은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프로그램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 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2)

  1. 에어를 에어탱크에 압축 저장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콤프레셔;
    상기 에어탱크에 저장된 에어를 차량에 위치한 복수의 센서에 분사하는 복수의 에어노즐;
    상기 에어탱크의 에어를 에어호스를 통해 복수의 에어노즐에 분배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에어분배기;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콤프레셔 및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에어분배기를 제어하는 에어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에어제어부는, 분사시 상기 에어탱크 및/또는 상기 에어호스의 압력값, 상기 에어탱크의 충진시 상기 에어탱크 및/또는 상기 에어호스의 압력값, 또는 상기 에어분배기의 압력값을 기반으로 에어의 누기 여부를 파악하고,
    상기 에어제어부는, 에어 누기로 판정되면 상기 에어의 출력 세기를 보상 제어하는 보상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에어제어부는, 에어의 누기 정도를 경고장과 중고장으로 구분하고, 상기 경고장이면 상기 보상 제어를 수행하고, 상기 중고장이면 에어 분사를 중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센서 클리닝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제어부는,
    차량의 시동 시에 파악된 상기 에어탱크의 초기압력값과 분사시마다 파악된 상기 에어탱크 및/또는 상기 에어호스의 측정압력값의 차이를 기반으로 누기를 파악하는 제1 누기파악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센서 클리닝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누기파악부는,
    상기 초기압력값과 분사시마다 측정된 상기 측정압력값의 차이를 기 정의된 횟수만큼 저장하고, 상기 차이가 기 정의된 정상 범위를 벗어나면 누기로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센서 클리닝 장치.
  4. 삭제
  5. 에어를 에어탱크에 압축 저장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콤프레셔;
    상기 에어탱크에 저장된 에어를 차량에 위치한 복수의 센서에 분사하는 복수의 에어노즐;
    상기 에어탱크의 에어를 에어호스를 통해 복수의 에어노즐에 분배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에어분배기;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콤프레셔 및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에어분배기를 제어하는 에어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에어제어부는, 분사시 상기 에어탱크 및/또는 상기 에어호스의 압력값, 상기 에어탱크의 충진시 상기 에어탱크 및/또는 상기 에어호스의 압력값, 또는 상기 에어분배기의 압력값을 기반으로 에어의 누기 여부를 파악하고,
    상기 에어제어부는, 상기 에어탱크의 가장 최근의 측정압력값과 충진시점의 상기 에어탱크의 측정압력값 사이의 차이가 기 정의된 범위를 벗어나면 누기로 판정하는 제2 누기파악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누기파악부는,
    상기 차이가 제1 범위를 벗어나면 경고장으로 판단하고, 상기 차이가 제2 범위(> 제1 범위)를 벗어나면 중고장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센서 클리닝 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제어부는,
    상기 에어분배기의 분사시 최대압력값 또는 분사 오프시 상기 에어분배기의 최대압력값이 기 정의된 정상범위를 벗어나면 누기로 판정하는 제3 누기파악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센서 클리닝 장치.
  7. 삭제
  8. 삭제
  9. 차량 센서 클리닝 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에어탱크에 저장된 에어를 분사할 때마다 상기 에어탱크 및/또는 에어호스의 측정압력값을 파악하는 단계;
    시동시 초기압력값과 상기 측정압력값 사이의 차이를 기반으로 에어 누기를 판정하는 단계;
    에어 누기가 판정되면 에어의 출력 세기를 보상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보상 제어하는 단계는, 에어의 누기 정도를 경고장과 중고장으로 구분하고, 상기 경고장이면 상기 보상 제어를 수행하고, 상기 중고장이면 에어 분사를 중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탱크의 충진시마다 가장 최근의 측정압력값과 충진시점의 상기 에어탱크 및/또는 에어호스의 측정압력값 사이의 차이를 기반으로 에어 누기를 판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11. 제 9항에 있어서,
    차량에 위치한 복수의 센서에 에어를 분사하는 복수의 에어노즐에 상기 에어탱크의 에어를 공급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에어분배기의 분사시 최대압력값 또는 분사 오프시 최대압력값을 기반으로 에어 누기를 판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12. 제 9항 내지 제 11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제어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1020230073728A 2023-06-08 2023-06-08 차량 센서 클리닝 장치 및 그 장치의 제어방법 KR1025990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73728A KR102599083B1 (ko) 2023-06-08 2023-06-08 차량 센서 클리닝 장치 및 그 장치의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73728A KR102599083B1 (ko) 2023-06-08 2023-06-08 차량 센서 클리닝 장치 및 그 장치의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99083B1 true KR102599083B1 (ko) 2023-11-07

Family

ID=887470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73728A KR102599083B1 (ko) 2023-06-08 2023-06-08 차량 센서 클리닝 장치 및 그 장치의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99083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29717A (ko) * 2013-04-30 2014-11-07 황해덕 차량 에어컨 배관용 호스파이프의 누설검사 장치
KR20230079563A (ko) * 2021-11-29 2023-06-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지원되는 센서 클리닝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29717A (ko) * 2013-04-30 2014-11-07 황해덕 차량 에어컨 배관용 호스파이프의 누설검사 장치
KR20230079563A (ko) * 2021-11-29 2023-06-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지원되는 센서 클리닝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72032A (en) Pressurized piping line leak detector
KR100302088B1 (ko) 배면방사요소의 변동검지장치
US5059954A (en) Liquid level sensing system
US6526948B1 (en) Apparatus for diagnosing failures and fault conditions in a fuel system of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US8494789B2 (en) Method for monitoring the status of an energy reserve accumulator, particularly for an aircraft
US5197787A (en) Pressure supply system having means for controlling an output pressure thereof
KR102599083B1 (ko) 차량 센서 클리닝 장치 및 그 장치의 제어방법
US8844551B2 (en) Leak detection logic for closed-volume system
KR101141824B1 (ko) 전력 증강 시스템을 위한 스키드 구조
US9652902B2 (en) Pitch trim actuator servicing monitoring system
JP4809486B2 (ja) 放電開始を判定する機能を有するガスレーザ発振器
CA2618313A1 (en) Detecting obstructions in enteral/parenteral feeding tubes and automatic removal of clogs therefrom
US10828905B2 (en) Pressure control system for print head
US20240140368A1 (en) Vehicle sensor clean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115848022A (zh) 一种墨路***
CN116867690A (zh) 用于核查车辆表面清洁装置的操作的方法
KR102621768B1 (ko) 차량 센서 클리닝 장치 및 그 장치의 제어방법
US20210300303A1 (en) Washer fluid distribution device and method of distributing washer fluid
JP2006026584A (ja) 液滴噴射装置及び表示装置製造方法
KR102587108B1 (ko) 차량 센서 클리닝 장치 및 그 장치의 제어방법
CN113727891A (zh) 用于清洁机动车辆的至少两个传感器/发射器的***
JP2020147270A (ja) 航空機保守システムおよび方法
US9333951B2 (en) Anti-freezing apparatus and anti-freezing method using the same
KR102575320B1 (ko) 차량 센서 클리닝 장치 및 그 장치의 제어방법
US20240051512A1 (en) Sensor test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