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97663B1 - 기능성 종자 매트 - Google Patents

기능성 종자 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97663B1
KR102597663B1 KR1020210086384A KR20210086384A KR102597663B1 KR 102597663 B1 KR102597663 B1 KR 102597663B1 KR 1020210086384 A KR1020210086384 A KR 1020210086384A KR 20210086384 A KR20210086384 A KR 20210086384A KR 102597663 B1 KR102597663 B1 KR 1025976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and
support
bending
vegetation
b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863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05541A (ko
Inventor
김용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금별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금별산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금별산업
Priority to KR10202100863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97663B1/ko
Publication of KR202300055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055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76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7663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4/0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 A01G24/4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 A01G24/44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in block, mat or sheet form
    • A01G24/46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in block, mat or sheet form multi-layered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20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3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having at least a mesh por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30Miscellaneous comprising anchoring 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retreatment Of Seeds And Plants (AREA)

Abstract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종자매트는 토양 상에 배치되고 펄프로 이루어진 하부 식생지; 상기 하부 식생지 상에 배치되고 상기 하부 식생지와 중첩하고 상기 펄프로 이루어진 상부 식생지; 상기 상부 식생지 상에 배치되고 상기 상부 식생지와 중첩하는 보조층을 포함하고, 상기 하부 식생지와 상기 상부 식생지 사이에는 복수의 종자들이 이격되어 마련되고, 상기 보조층은 제1 지지 가닥, 및 상기 제1 지지 가닥과 이격된 제2 지지 가닥을 포함하는 지지 가닥과, 상기 제1 지지 가닥, 및 상기 제2 지지 가닥을 연결하는 연결 가닥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지지 가닥, 및 상기 제2 지지 가닥은 각각 제1 방향을 따라 연장되되,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의 일측과 타측으로 벤딩되면서 연장되고, 상기 제1 지지 가닥은 상기 제2 방향 일측으로 벤딩된 제1 지지 일측 벤딩 가닥, 및 상기 제1 지지 일측 벤딩 가닥과 연결되고 상기 제2 방향 타측으로 벤딩된 제1 지지 타측 벤딩 가닥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지지 가닥은 상기 제2 방향 일측으로 벤딩된 제2 지지 일측 벤딩 가닥, 및 상기 제2 지지 일측 벤딩 가닥과 연결되고 상기 제2 방향 타측으로 벤딩된 제2 지지 타측 벤딩 가닥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지지 가닥의 상기 제1 지지 일측 벤딩 가닥은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상기 제2 지지 가닥의 상기 제2 지지 타측 벤딩 가닥과 중첩하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기능성 종자 매트{Fuctinoal Seed Mat}
본 발명은 기능성 종자 매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하천의 제방 또는 도로 등의 경사법면에는 유수의 급격한 흐름으로 인하여 토사가 흘러내려 산사태 또는 제방 붕괴 등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사고를 방지하면서 경사면을 보호하는 다양한 종류의 구조물이 시공된다.
이러한 구조물들 중에는 콘크리트 모드타르를 직접 해당 면에 타설하는 콘크리트 타설법과, 돌이나 콘크리트 블록을 적층하고 모르타르 등의 결합제로 결합하는 돌붙임공법, 콘크리트 블록공법과, 큰 자연석 또는 인조석을 단순하게 적층하는 돌쌓기 공법 및 돌이 채워진 망을 법면을 따라 적층하는 돌망태공법 등이 알려져 있다.
이러한 사면 시공 방법 중 콘크리트 타설법은 지반침하시, 해당 콘크리트 구조물도 침하되므로 지반침하를 가시적으로 쉽게 파악할 수 있어 갑작스런 호안공작물의 붕괴로 인한 대형 참사를 방지할 수 있지만, 이 역시 자연 친화적이지 못하여 주변 환경과 생태계를 파괴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고, 돌붙임공법, 콘크리트 블록공법 및 돌쌓기 공법은 대부분 상대적으로 큰 돌을 사용하여 시공되는 방법으로 시공시 많은 장비가 소요됨은 물론 석재를 구하는 데 많은 어려움이 있다.
최근에는 경사법면에 잔디 또는 나무 등을 식재하여 사고를 방지하고 있다. 그러나, 잔디나 나무 식재 등은 완전하게 성장하여 견고한 경사면을 갖추기까지 오랜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식생매트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 식생매트는 종자의 발아율이 낮기 때문에 잔디 등의 식재가 적절히 자라지 못하여, 집중호우 등이 발생되면 유수의 급격한 흐름으로 토사 유출이 일어날 가능성이 크다는 문제가 있다.
공개특허 제10-2020-0134697호(공개일자: 2020.12.02)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일소하기 위해 창안한 것으로서, 종자의 발아율이 개선된 기능성 종자 매트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종자 매트는 토양 상에 배치되고 펄프로 이루어진 하부 식생지; 상기 하부 식생지 상에 배치되고 상기 하부 식생지와 중첩하고 상기 펄프로 이루어진 상부 식생지; 상기 상부 식생지 상에 배치되고 상기 상부 식생지와 중첩하는 보조층을 포함하고, 상기 하부 식생지와 상기 상부 식생지 사이에는 복수의 종자들이 이격되어 마련되고, 상기 보조층은 제1 지지 가닥, 및 상기 제1 지지 가닥과 이격된 제2 지지 가닥을 포함하는 지지 가닥과, 상기 제1 지지 가닥, 및 상기 제2 지지 가닥을 연결하는 연결 가닥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지지 가닥, 및 상기 제2 지지 가닥은 각각 제1 방향을 따라 연장되되,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의 일측과 타측으로 벤딩되면서 연장되고, 상기 제1 지지 가닥은 상기 제2 방향 일측으로 벤딩된 제1 지지 일측 벤딩 가닥, 및 상기 제1 지지 일측 벤딩 가닥과 연결되고 상기 제2 방향 타측으로 벤딩된 제1 지지 타측 벤딩 가닥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지지 가닥은 상기 제2 방향 일측으로 벤딩된 제2 지지 일측 벤딩 가닥, 및 상기 제2 지지 일측 벤딩 가닥과 연결되고 상기 제2 방향 타측으로 벤딩된 제2 지지 타측 벤딩 가닥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지지 가닥의 상기 제1 지지 일측 벤딩 가닥은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상기 제2 지지 가닥의 상기 제2 지지 타측 벤딩 가닥과 중첩하도록 구성된다.
기타 실시예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상기한 실시예에 의하면 종자 발아율을 개선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종자 매트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따른 기능성 종자 매트의 기능성 층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종자 매트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종자 매트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에 따른 기능성 종자 매트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A 영역을 확대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종자 매트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종자 매트의 단면도이다.
도 9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종자 매트의 단면도이다.
도 10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종자 매트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차광부재의 평면도이다.
도 12는 도 10에 따른 기능성 종자 매트의 단면도이다.
도 13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종자 매트의 단면도이다.
도 14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종자 매트의 단면도이다.
도 15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종자 매트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6은 도 15에 따른 기능성 종자 매트의 단면도이다.
도 17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층의 평면도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일 실시예의 구성 및 이로 인한 작용, 효과에 대해 일괄적으로 기술하기로 한다.
일 실시예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일 실시예는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는 일 실시예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일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일 실시예는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그리고 명세서 전문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식생매트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종자 매트(10)는 식생지(100), 및 식생지(100) 상에 배치된 보조층(200)을 포함할 수 있다. 식생지(100)는 토양 상에 바로 배치된 하부 식생지(110) 및 하부 식생지(110) 상에 배치되고 하부 식생지(110)와 중첩하는 상부 식생지(120)를 포함할 수 있다. 하부 식생지(110)와 상부 식생지(120) 사이에는 복수의 종자(SD)들이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종자(SD)들은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종자(SD)는 본 식생매트 분야에 적용되는 다수의 종류의 종자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종자(SD)는 양잔디 종자, 초화류 종자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기능성 종자 매트(10)는 식생 매트, 종자매트, 또는 종자씨트일 수 있으나, 기능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기능성 종자 매트(10)가 식생 매트인 것을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즉,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종자 매트(10)는 식생 매트(10)일 수 있다. 더 나아가, 일 실시예에서 식생 매트(10)는 식생 매트 자체로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식생 매트 제작 시 식생 매트의 원자재로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도 1 내지 도 4에서는 식생 매트(10)가 평평한 형상을 가지는 것으로 도시되었지만, 몇몇 실시예에서, 식생 매트(10)는 자루의 형태로 제공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특별히 구분되지 않는 이상 식생 매트(10)가 평평한 형상을 가지는 것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식생지(100)는 펄프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식생지(100)는 상기 펄프 재질로 이루어짐으로써, 토양으로부터 종자(SD)까지의 양분조달 및 수분조달을 용이하게 할 수 있을뿐만 아니라, 비용 절감을 도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하부 식생지(110)와 복수의 종자(SD) 사이에는 종자(SD)에 제공되는 비료층이 더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비료층은 종자(SD)에 유익한 질산 성분을 포함하는 비료물질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비료물질은 상기 비료층을 이룰 수도 있고, 토양과 혼합되어 토양비료혼합층을 이룰 수도 있다. 상술한 비료층 또는 토양비료혼합층은 하부 식생지(110)의 상면에 직접 배치될 수 있다. 다만, 상술한 식생 매트(10)가 식생 매트의 원자재 일부분으로 사용되는 경우, 후술할 보조층이 토양 바로 위에 배치될 수도 있다.
한편, 하부 식생지(110)는 토양 상에 바로 배치되는데, 바람이나, 비 등에 의해 하부 식생지(110)가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하부 식생지(110)는 고정핀(FM)을 통해 토양에 고정될 수 있다. 하부 식생지(110)가 제1 방향(DR1) 및 제2 방향(DR2)을 따라 연장된 변들로 이루어진 사각형 형상을 갖는 경우, 복수개로 마련된 고정핀(FM)은 각각 하부 식생지(110)의 모서리 부근마다 배치될 수 있다.
식생지(100) 상에는 보조층(200)을 포함할 수 있다. 보조층(200)은 상부 식생지(120)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보조층(200)은 상부 보조층(120)의 상면에 별도의 점착 부재를 통해 결합될 수 있다. 보조층(200)은 바람이나, 비 등의 외부 환경으로 인해, 하부의 식생지(100)와 종자(SD)가 쓸려나가는 것을 방지할뿐만 아니라, 종자(SD) 상부에 배치되어, 종자(SD)의 발아율을 높이도록 보온 및/또는 보습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따른 식생매트의 보조층의 평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보조층(200)은 제1 지지 가닥(211), 및 상기 제1 지지 가닥(211)과 이격된 제2 지지 가닥(212)을 포함하는 지지 가닥(210)과, 상기 제1 지지 가닥(211), 및 상기 제2 지지 가닥(212)을 연결하는 연결 가닥(250)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 지지 가닥(211), 및 상기 제2 지지 가닥(212)은 각각 제1 방향(DR1)을 따라 연장되면서 상기 제1 방향(DR1)과 교차하는 제2 방향(DR2)의 일측과 타측으로 벤딩되면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1 지지 가닥(211)은 상기 제2 방향(DR2) 일측으로 벤딩된 제1 지지 일측 벤딩 가닥(211_R), 및 상기 제1 지지 일측 벤딩 가닥(211_R)과 연결되고 상기 제2 방향(DR2) 타측으로 벤딩된 제1 지지 타측 벤딩 가닥(211_L)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지지 가닥(212)은 상기 제2 방향(DR2) 일측으로 벤딩된 제2 지지 일측 벤딩 가닥(212_R), 및 상기 제2 지지 일측 벤딩 가닥(212_R)과 연결되고 상기 제2 방향(DR2) 타측으로 벤딩된 제2 지지 타측 벤딩 가닥(212_L)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지지 가닥(211)의 상기 제1 지지 일측 벤딩 가닥(211_R)은 상기 제1 방향(DR1)을 따라 상기 제2 지지 가닥(212)의 상기 제2 지지 타측 벤딩 가닥(212_L)과 중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도 2에 도시된 제2 영역(S2)을 마련할 수 있다.
상기 제1 지지 일측 벤딩 가닥(211_R)과 상기 제1 지지 타측 벤딩 가닥(211_L)의 경계선으로서, 상기 제1 방향(DR1)을 따라 연장된 제1 연장선(211_CL), 및 상기 제2 지지 일측 벤딩 가닥(212_R)과 상기 제2 지지 타측 벤딩 가닥(212_L)의 경계선으로서, 상기 제1 방향(DR1)을 따라 연장된 제2 연장선(212_CL)을 더 정의될 수 있다. 상기 연결 가닥(250)은 상기 제1 연장선(211_CL)을 따라 상기 제1 지지 가닥(211)을 매듭지어가며 고정하는 제1 연결 가닥(251), 상기 제2 연장선(212_CL)을 따라 상기 제2 지지 가닥(212)을 매듭지어가며 고정하는 제2 연결 가닥(253)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접한 제1 연결 가닥(251)들은 각각 제1 지지 가닥(211) 중 제1 연장선(211_CL)과 접하는 부분을 둘러싸고, 상기 인접한 제1 연결 가닥(251)은 제1 지지 가닥(211) 중 제1 연장선(211_CL)과 접하는 부분들의 제1 방향(DR1) 기준 중간부에서, 상호 매듭지어지는 방식으로 제1 지지 가닥(211)을 고정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1 지지 가닥(211)의 유동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인접한 제1 연결 가닥(251)은 제1 지지 가닥(211) 중 제1 연장선(211_CL)과 접하는 부분들의 제1 방향(DR1) 기준 중간부에서, 상호 매듭지어지는 방식으로 제1 지지 가닥(211)을 고정함으로써, 1 지지 가닥(211) 중 제1 연장선(211_CL)과 접하는 부분들 사이에 충분한 이격 공간을 마련하면서도, 상기 이격 공간이 더 벌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평면상 제1 지지 타측 벤딩 가닥(211_L)과 제1 연결 가닥(251) 사이에 제1 영역(S1)을 마련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인접한 제2 연결 가닥(252)들은 각각 제2 지지 가닥(212) 중 제2 연장선(212_CL)과 접하는 부분을 둘러싸고, 상기 인접한 제2 연결 가닥(253)은 제2 지지 가닥(212) 중 제2 연장선(212_CL)과 접하는 부분들의 제1 방향(DR1) 기준 중간부에서, 상호 매듭지어지는 방식으로 제2 지지 가닥(212)을 고정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2 지지 가닥(212)의 유동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인접한 제2 연결 가닥(253)은 제2 지지 가닥(212) 중 제2 연장선(212_CL)과 접하는 부분들의 제1 방향(DR1) 기준 중간부에서, 상호 매듭지어지는 방식으로 제2 지지 가닥(212)을 고정함으로써, 제2 지지 가닥(212) 중 제2 연장선(212_CL)과 접하는 부분들 사이에 충분한 이격 공간을 마련하면서도, 상기 이격 공간이 더 벌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평면상 제2 지지 타측 벤딩 가닥(212_L)과 제2 연결 가닥(253) 사이에 제3 영역(S3)을 마련할 수 있다.
평면상, 상술한 제1 영역(S1), 제2 영역(S2), 및 제3 영역(S3)에는 각각 종자(SD)들이 배치될 수 있다. 통상적으로, 복수의 종자(SD)들 중 일부는 상부에 배치되는 구조(본 실시예에서 보조층 등)로 인해, 종자가 발아하고 나서, 물리적 벽(Wall)이 생겨 성장에 장애를 겪을 수 있다. 따라서, 복수의 종자(SD)들이 모두 동일한 양분, 수분, 광 조사량을 받았음에도 서로 다른 성장을 보여거나, 극단적으로는 성장이 멈춰지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의한 지지 가닥(211, 212)은 제1 폭(W1)을 가질 수 있다.
나아가, 본 실시예에 의한 지지 가닥(211, 212)은 황마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연결 가닥(250)은 플라스틱 계열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플라스틱 계열 물질은 폴리프로필렌(PP), 폴리에틸렌(PE) 등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몇몇 실시예에서, 지지 가닥(211, 212) 및 연결 가닥(250) 각각은 황마, 면, 합성 섬유, 솜, 양모, 생사, 코코넛, 인견, PBS, PBAT, PLA, PP, PE, 셀룰로오스 및 합성 섬유 등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지지 가닥(210)은 평면상 물결 형상을 갖고 배열될 수 있고, 지지 가닥(210)과 연결 가닥(250)이 형성하는 제1 내지 제3 영역(S1~S3)의 평면 형상은 격자 형상일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지 않고, 지지 가닥(210) 및 연결 가닥(250)이 형성하는 평면 형상은 삼각형, 원형, 다각형, 물결형상 등을 이룰 수 있다.
도 3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식생매트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식생매트는 고정핀(FM)에 의해 상부 식생지(120)와 하부 식생지(110)를 토양에 고정한다는 점에서, 도 1에 따른 실시예와 상이하다. 이를 통해, 하부 식생지(110)가 토양 상에 바로 배치되는데, 바람이나, 비 등에 의해 하부 식생지(110)가 이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4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식생매트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식생매트는 고정핀(FM)에 의해 보조층(200), 상부 식생지(120)와 하부 식생지(110)를 토양에 고정한다는 점에서, 도 1에 따른 실시예와 상이하다. 이를 통해, 하부 식생지(110)가 토양 상에 바로 배치되는데, 바람이나, 비 등에 의해 하부 식생지(110)가 이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5는 도 1에 따른 식생매트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A 영역을 확대한 단면도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보조층(200)과 상부 식생지(120) 사이에는 제1 점착층(AM)이 배치될 수 있다. 제1 점착층(AM)은 상부 식생지(120)와 보조층(200)을 결합하는 역할을 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면상 종자(SD)들은 각각 제1 영역(S1)과 제2 영역(S2)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점착층(AM)은 제1 두께(T1)를 가질 수 있다. 제1 점착층(AM)은 제1 및 제2 영역(S1, S2)에 중첩하지 않을 수 있다. 제1 점착층(AM)은 상부의 보조층(200)과 중첩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즉, 제1 점착층(AM)은 상부의 보조층(200)의 제1 지지 타측 벤딩 가닥(211_L), 제2 지지 타측 벤딩 가닥(212_L), 및 제1 연결 가닥(251)과 중첩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제1 점착층(AM)이 제1 및 제2 영역(S1, S2)에 중첩하지 않음으로써, 각각 제1 및 제2 영역(S1, S2)에 심어진 종자(SD)들의 생장을 방해하지 않을 수 있다. 제1 점착층(AM)이 제1 및 제2 영역(S1, S2)에 배치될 경우, 종자(SD)들이 발아하여 생장할 때, 중첩하는 제1 점착층(AM)에 의해 생장이 저하될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에 따라 제1 점착층(AM)이 제1 및 제2 영역(S1, S2)에 중첩하지 않음으로써, 각각 제1 및 제2 영역(S1, S2)에 심어진 종자(SD)들의 생장을 방해하지 않을 수 있다.
하부 식생지(110)와 상부 식생지(120) 사이에도 별도의 점착층(AM')이 위치하여 상기 점착층(AM')이 하부 식생지(110)와 상부 식생지(120)를 결합시킬 수 있다. 다만, 상기 점착층(AM')은 종자(SD)들과는 비중첩하도록 배치되므로, 우선, 종자(SD)들 배치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에 점착층(AM')을 배치한 후, 종자(SD)들 배치 영역에 종자(SD)들을 배치한다. 다만 이에 제한되지 안고 상기 점착층(AM')은 종자(SD)들과 중첩하도록 배치될 수도 있다.
도 7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식생매트의 단면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제1 점착층(AM_1)은 제1 및 제2 영역(S1, S2)에도 균일한 두께(T1)를 갖고 배치된다는 점에서, 도 6에 따른 실시예와 상이하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종자(SD)들이 발아하여 생장할 때, 중첩하는 제1 점착층(AM_1)에 의해 생장이 저하될 수 있으나, 도 6과 같이 제1 점착층(AM)을 패터닝하는 공정이 생략됨으로써, 공정 간소화를 도모할 수 있다. 다만, 제1 점착층(AM_1)은 제1 점착층(AM_1) 하부의 보습 및 보온 효과가 있으므로, 도 6에 따른 제1 점착층(AM)을 적용한 경우보다 보온 및 보습 효과가 좋을 수 있다.
도 8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식생매트의 단면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제1 점착층(AM_2)은 영역에 따라 다른 두께를 가진다는 점에서, 도 7에 따른 실시예와 상이하다.
제1 점착층(AM_2)은 제1 및 제2 영역(S1, S2)과 제1 영역(S1)과 제2 영역(S2) 사이 영역에서, 제2 두께(T2)를 갖는다는 점에서, 도 7에 따른 제1 점착층(AM_1)과 상이하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제1 점착층(AM_2)은 제1 및 제2 영역(S1, S2)과 제1 영역(S1)과 제2 영역(S2) 사이 영역에서, 제1 두께(T1)보다 작은(AM_2a) 제2 두께(T2)를 가짐(AM_2b)으로써, 심어진 종자(SD)들의 생장을 방해하지 않을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제1 점착층(AM_2)은 제1 및 제2 영역(S1, S2)과 제1 영역(S1)과 제2 영역(S2) 사이 영역에서, 제1 두께(T1)보다 작은 제2 두께(T2)를 가짐으로써 도 7에 따른 제1 점착층(AM_1) 대비 점착층 양을 줄일 수 있어, 비용 절감을 도모할 수 있다.
도 9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식생매트의 단면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제1 점착층(AM_3)은 제1 및 제2 영역(S1, S2)에서 제2 두께(T2)(AM_2b)를 갖고 제1 영역(S1)과 제2 영역(S2) 사이 영역에서, 제1 두께(T1)를 갖는다(AM_2a)는 점에서, 도 8에 따른 제1 점착층(AM_2)과 상이하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제1 영역(S1)과 제2 영역(S2) 사이 영역에서, 제1 두께(T1)를 가져(AM_2a), 도 8에 따른 제1 점착층(AM_2) 대비 종자(SD)의 보온 및 보습 효과가 보다 개선될 수 있다.
도 10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식생매트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차광부재의 평면도이다. 도 12는 도 10에 따른 식생매트의 단면도이다.
도 10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식생매트(10_1)는 보조층(200) 상에 차광 부재(300)가 더 배치된다는 점에서, 도 1에 따른 실시예와 상이하다. 차광 부재(300)는 복수의 종자(SD)들의 보온 및 보습 효과를 보다 높일 수 있으며, 뿐만 아니라, 광량이 조절되어야 하는 종자(SD)인 경우 기준치보다 초과하는 광량이 종자(SD)에 도달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태양으로부터 제공된 광은 종자(SD)에 직진하여 제공될 수 있지만, 비스듬하게 제공(도 12에 도시)될 수도 있기 때문이다. 다른 몇몇 실시예에서는, 보조층(200)이 생략되고 차광 부재(300)가 상부 식생지(120) 상에 바로 위치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 11을 참조하면, 차광 부재(300)는 제1 지지 가닥(311), 및 상기 제1 지지 가닥(311)과 이격된 제2 지지 가닥(312)을 포함하는 지지 가닥(310)과, 상기 제1 지지 가닥(311), 및 상기 제2 지지 가닥(312)을 연결하는 연결 가닥(350)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 지지 가닥(311), 및 상기 제2 지지 가닥(312)은 각각 제1 방향(DR1)을 따라 연장되면서 상기 제1 방향(DR1)과 교차하는 제2 방향(DR2)의 일측과 타측으로 벤딩되면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1 지지 가닥(311)은 상기 제2 방향(DR2) 일측으로 벤딩된 제1 지지 일측 벤딩 가닥(311_R), 및 상기 제1 지지 일측 벤딩 가닥(311_R)과 연결되고 상기 제2 방향(DR2) 타측으로 벤딩된 제1 지지 타측 벤딩 가닥(311_L)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지지 가닥(312)은 상기 제2 방향(DR2) 일측으로 벤딩된 제2 지지 일측 벤딩 가닥(312_R), 및 상기 제2 지지 일측 벤딩 가닥(312_R)과 연결되고 상기 제2 방향(DR2) 타측으로 벤딩된 제2 지지 타측 벤딩 가닥(312_L)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지지 가닥(311)의 상기 제1 지지 일측 벤딩 가닥(311_R)은 상기 제1 방향(DR1)을 따라 상기 제2 지지 가닥(312)의 상기 제2 지지 타측 벤딩 가닥(312_L)과 중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도 11에 도시된 제2 영역(S2_1)을 마련할 수 있다.
상기 제1 지지 일측 벤딩 가닥(311_R)과 상기 제1 지지 타측 벤딩 가닥(311_L)의 경계선으로서, 상기 제1 방향(DR1)을 따라 연장된 제1 연장선(311_CL), 및 상기 제2 지지 일측 벤딩 가닥(312_R)과 상기 제2 지지 타측 벤딩 가닥(312_L)의 경계선으로서, 상기 제1 방향(DR1)을 따라 연장된 제2 연장선(312_CL)을 더 정의될 수 있다. 상기 연결 가닥(350)은 상기 제1 연장선(311_CL)을 따라 상기 제1 지지 가닥(311)을 매듭지어가며 고정하는 제1 연결 가닥(351), 상기 제2 연장선(312_CL)을 따라 상기 제2 지지 가닥(312)을 매듭지어가며 고정하는 제2 연결 가닥(353)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접한 제1 연결 가닥(351)들은 각각 제1 지지 가닥(311) 중 제1 연장선(311_CL)과 접하는 부분을 둘러싸고, 상기 인접한 제1 연결 가닥(351)은 제1 지지 가닥(311) 중 제1 연장선(311_CL)과 접하는 부분들의 제1 방향(DR1) 기준 중간부에서, 상호 매듭지어지는 방식으로 제1 지지 가닥(311)을 고정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1 지지 가닥(311)의 유동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인접한 제1 연결 가닥(351)은 제1 지지 가닥(311) 중 제1 연장선(311_CL)과 접하는 부분들의 제1 방향(DR1) 기준 중간부에서, 상호 매듭지어지는 방식으로 제1 지지 가닥(311)을 고정함으로써, 제1 지지 가닥(311) 중 제1 연장선(311_CL)과 접하는 부분들 사이에 충분한 이격 공간을 마련하면서도, 상기 이격 공간이 더 벌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평면상 제1 지지 타측 벤딩 가닥(311_L)과 제1 연결 가닥(351) 사이에 제1 영역(S1_1)을 마련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인접한 제2 연결 가닥(352)들은 각각 제2 지지 가닥(312) 중 제2 연장선(312_CL)과 접하는 부분을 둘러싸고, 상기 인접한 제2 연결 가닥(353)은 제2 지지 가닥(312) 중 제2 연장선(312_CL)과 접하는 부분들의 제1 방향(DR1) 기준 중간부에서, 상호 매듭지어지는 방식으로 제2 지지 가닥(312)을 고정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2 지지 가닥(312)의 유동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인접한 제2 연결 가닥(353)은 제2 지지 가닥(312) 중 제2 연장선(312_CL)과 접하는 부분들의 제1 방향(DR1) 기준 중간부에서, 상호 매듭지어지는 방식으로 제2 지지 가닥(312)을 고정함으로써, 제2 지지 가닥(312) 중 제2 연장선(312_CL)과 접하는 부분들 사이에 충분한 이격 공간을 마련하면서도, 상기 이격 공간이 더 벌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평면상 제2 지지 타측 벤딩 가닥(312_L)과 제2 연결 가닥(353) 사이에 제3 영역(S3_1)을 마련할 수 있다.
평면상, 상술한 제1 영역(S1_1), 제2 영역(S2_1), 및 제3 영역(S3_1)에는 각각 종자(SD)들이 배치될 수 있다. 통상적으로, 복수의 종자(SD)들 중 일부는 상부에 배치되는 구조(본 실시예에서 식생층 등)로 인해, 종자가 발아하고 나서, 물리적 벽(Wall)이 생겨 성장에 장애를 겪을 수 있다. 따라서, 복수의 종자(SD)들이 모두 동일한 양분, 수분, 광 조사량을 받았음에도 서로 다른 성장을 보여거나, 극단적으로는 성장이 멈춰지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상술한 제1 영역(S1_1), 제2 영역(S2_1), 및 제3 영역(S3_1)의 평면상 넓이 각각은 보조층(200)의 제1 영역(S1), 제2 영역(S2), 및 제3 영역(S3)의 평면상 넓이보다 작을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의한 지지 가닥(311, 312)은 제2 폭(W2)을 가질 수 있다. 제2 폭(W2)은 제1 폭(W1)보다 클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지지 가닥(311, 312)은 보조층(200)의 지지 가닥(211, 212)의 제1 폭(W1)보다 큰 제2 폭(W2)을 가짐으로써, 기준치보다 초과하는 광량이 종자(SD)에 도달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나아가, 본 실시예에 의한 지지 가닥(311, 312) 및 연결 가닥(350) 각각은 생분해성 플라스틱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지지 가닥(311, 312) 및 연결 가닥(350) 각각은 황마, 면, 합성 섬유, 솜, 양모, 생사, 코코넛, 인견, PBS, PBAT, PLA, PP, PE, 셀룰로오소 및 합성 섬유 등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 연결 가닥(350)의 강도(Rigidity)는 지지 가닥(311, 312)의 강도보다 클 수 있다. 이를 통해, 연결 가닥(350)의 지지 가닥(311, 312)의 고정이 더욱 용이할 수 있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광 부재(300)와 보조층(200) 사이에는 제2 점착층(AM2)이 배치될 수 있다. 제2 점착층(AM2)은 제1 점착층(AM1)과 동일한 물질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제2 점착층(AM2)은 차광 부재(300)가 위치하는 영역(지지 가닥(311, 312) 및 연결 가닥(350)이 위치하는 영역)과 중첩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차광 부재(300)의 지지 가닥(311, 312)은 보조층(200)의 지지 가닥(211, 212) 대비 폭이 크므로, 도 12와 같이, 지지 가닥(211, 212)의 측면으로부터 평면상 종자(SD)를 향하는 방향으로 보다 돌출되어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차광 부재(300) 하부의 보조층(200)이 생략되고, 차광 부재(300)가 제2 점착층(AM2)을 통해 상부 식생지(200) 상에 바로 부착될 수도 있다.
도 13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식생매트의 단면도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식생매트는 도 7에 따른 식생매트에 도 12에서 상술한 제2 점착층(AM2), 및 차광 부재(300)가 더 배치된다는 점에서, 도 7에 따른 식생매트와 상이하다. 그 외 설명은 도 7 및 도 12에서 상술한 바 이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4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식생매트의 단면도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식생매트는 제2 점착층(AM2)이 일체로 형성된다는 점에서, 도 13에 따른 식생매트와 상이하다. 도 14에 따른 식생매트에 의하면, 제2 점착층(AM2)이 일체로 형성됨으로써, 종자(SD)의 보온 및 보습 효과가 더욱 개선될 수 있다. 그 외 설명은 도 13에서 상술한 바 이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5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식생매트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6은 도 15에 따른 식생매트의 단면도이다.
도 15 및 도 16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식생매트의 차광 부재(300)는 보조층(200)과 상부 식생지(120) 사이에 위치한다는 점에서, 도 10 및 도 12에 따른 식생매트와 상이하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종자(SD)의 광량을 조절하는 차광 부재(300)가 도 10 및 도 12에 따른 차광 부재(300)보다 종자(SD)와 더 가깝게 위치하기 때문에, 차광 부재(300)에 의한 차광 효과가 도 10 및 도 12에 따른 차광 부재(300)보다 크지 않다. 본 실시예에 따른 차광 부재(300)가 적용되는 종자(SD)는 도 10 및 도 12에 따른 차광 부재(300)가 적용되는 종자(SD) 대비 차광이 덜 필요한 종자(SD)일 수 있다. 즉, 본 실시예는 차광 부재(300)의 위치를 조절함으로써, 종자(SD)의 광량을 조절할 수 있음을 예시하고 있다.
도 17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조층의 평면도이다.
도 17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보조층(200_1)은 복수개로 마련된 지지 가닥(210_1)이 각각 제2 방향(DR2)을 따라 이격되어 배치되고, 연결 가닥(250_1)이 인접한 지지 가닥(210_1)들을 매듭지어 고정한다는 점에서, 도 2에 따른 보조층(200)과 상이하다.
본 실시예에 따른 보조층(200_1)의 지지 가닥(210_1)은 갈대로 이루어질 수 있고, 연결 가닥(250_1)은 도 2에 따른 연결 가닥(250)과 동일한 물질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도 2에 따른 보조층(200) 대비, 종자(SD)가 배치되는 영역들의 넓이를 일정한 수준으로 설계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일 실시예는, 도면에 도시된 일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명확히 하여야 할 것이다. 따라서, 일 실시예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적 사상은 일 실시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식생지
110: 하부 식생지
120: 상부 식생지
200: 보조층

Claims (3)

  1. 토양 상에 배치되고 펄프로 이루어진 하부 식생지(110);
    상기 하부 식생지 상에 배치되고 상기 하부 식생지와 중첩하고 상기 펄프로 이루어진 상부 식생지(120);
    상기 상부 식생지 상에 배치되고 상기 상부 식생지와 중첩하는 보조층(200)을 포함하고,
    상기 하부 식생지와 상기 상부 식생지 사이에는 복수의 종자(SD)들이 이격되어 마련되고,
    상기 보조층(200)은 제1 지지 가닥(211), 및 상기 제1 지지 가닥과 이격된 제2 지지 가닥(212)을 포함하는 지지 가닥(210)과,
    상기 제1 지지 가닥, 및 상기 제2 지지 가닥을 연결하는 연결 가닥(250)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지지 가닥, 및 상기 제2 지지 가닥은 각각 제1 방향을 따라 연장되되,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의 일측과 타측으로 벤딩되면서 연장되고,
    상기 제1 지지 가닥(211)은 상기 제2 방향 일측으로 벤딩된 제1 지지 일측 벤딩 가닥(211_R), 및
    상기 제1 지지 일측 벤딩 가닥과 연결되고 상기 제2 방향 타측으로 벤딩된 제1 지지 타측 벤딩 가닥(211_L)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지지 가닥은 상기 제2 방향 일측으로 벤딩된 제2 지지 일측 벤딩 가닥(212_R), 및
    상기 제2 지지 일측 벤딩 가닥과 연결되고 상기 제2 방향 타측으로 벤딩된 제2 지지 타측 벤딩 가닥(212_L)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지지 가닥의 상기 제1 지지 일측 벤딩 가닥(211_R)은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상기 제2 지지 가닥의 상기 제2 지지 타측 벤딩 가닥(212_L)과 중첩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하부 식생지(110)는 고정핀을 통해 상기 토양에 밀착 고정되어 상기 토양으로부터 수분 및/또는 양분이 상기 종자까지 제공되고,
    상기 제1 지지 일측 벤딩 가닥과 상기 제1 지지 타측 벤딩 가닥의 경계선으로서,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연장된 제1 연장선(211_CL), 및
    상기 제2 지지 일측 벤딩 가닥과 상기 제2 지지 타측 벤딩 가닥의 경계선으로서,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연장된 제2 연장선(212_CL)을 더 포함하고,
    상기 연결 가닥(250)은 상기 제1 연장선을 따라 상기 제1 지지 가닥을 매듭지어가며 고정하는 제1 연결 가닥(251),
    상기 제2 연장선을 따라 상기 제2 지지 가닥을 매듭지어가며 고정하는 제2 연결 가닥(253)을 포함하고,
    평면상 상기 제1 지지 타측 벤딩 가닥(211_L)과 상기 제1 연결 가닥(251) 사이에 제1 영역(S1)이 마련되고,
    평면상 상기 제2 지지 타측 벤딩 가닥(212_L)과 상기 제2 연결 가닥(253) 사이에 제3 영역(S3)이 마련되고,
    평면상 상기 제1 지지 일측 벤딩 가닥(211_R), 상기 제2 지지 타측 벤딩 가닥(212_L), 및 상기 제1 연결 가닥(251) 사이의 제2 영역(S2)이 마련되고,
    상기 지지 가닥(211, 212)은 제1 폭(W1)을 갖고,
    상기 지지 가닥(211, 212)은 황마로 이루어지고,
    상기 연결 가닥(250)은 플라스틱 계열 물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보조층(200)과 상기 상부 식생지(120) 사이에는 제1 점착층(AM_3)이 배치되고,
    상기 제1 점착층(AM_3)은 상기 제1 및 제2 영역(S1, S2)에서 제2 두께(T2)를 갖고, 상기 제1 영역(S1)과 상기 제2 영역(S2)에서 각각 제2 두께(T2)보다 큰 제1 두께(T1)를 갖고,
    보조층(200) 상에 차광 부재(30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차광 부재(300)는 제1 지지 가닥(311), 및 상기 제1 지지 가닥(311)과 이격된 제2 지지 가닥(312)을 포함하는 지지 가닥(310)과, 상기 제1 지지 가닥(311), 및 상기 제2 지지 가닥(312)을 연결하는 연결 가닥(350)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지지 가닥(311), 및 상기 제2 지지 가닥(312)은 각각 제1 방향(DR1)을 따라 연장되면서 상기 제2 방향의 일측과 타측으로 벤딩되면서 연장되고,
    상기 제1 지지 가닥(311)은 상기 제2 방향 일측으로 벤딩된 제1 지지 일측 벤딩 가닥(311_R), 및 상기 제1 지지 일측 벤딩 가닥(311_R)과 연결되고 상기 제2 방향 타측으로 벤딩된 제1 지지 타측 벤딩 가닥(311_L)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지지 가닥(312)은 상기 제2 방향 일측으로 벤딩된 제2 지지 일측 벤딩 가닥(312_R), 및 상기 제2 지지 일측 벤딩 가닥(312_R)과 연결되고 상기 제2 방향 타측으로 벤딩된 제2 지지 타측 벤딩 가닥(312_L)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지지 가닥(311)의 상기 제1 지지 일측 벤딩 가닥(311_R)은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상기 제2 지지 가닥(312)의 상기 제2 지지 타측 벤딩 가닥(312_L)과 중첩하도록 구성된 기능성 종자 매트.

  2. 삭제
  3. 삭제
KR1020210086384A 2021-07-01 2021-07-01 기능성 종자 매트 KR1025976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6384A KR102597663B1 (ko) 2021-07-01 2021-07-01 기능성 종자 매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6384A KR102597663B1 (ko) 2021-07-01 2021-07-01 기능성 종자 매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5541A KR20230005541A (ko) 2023-01-10
KR102597663B1 true KR102597663B1 (ko) 2023-11-02

Family

ID=848936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86384A KR102597663B1 (ko) 2021-07-01 2021-07-01 기능성 종자 매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97663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7021B1 (ko) * 2010-02-26 2011-01-12 박민혜 녹지 조성용 이중네트
KR200469648Y1 (ko) * 2013-02-18 2013-10-28 보경산업주식회사 사면 녹화용 네트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6452B1 (ko) * 2010-03-31 2013-01-28 코오롱글로텍주식회사 생분해성 섬유를 포함하는 녹화공법용 식생 기재 및 이를 이용한 녹화공법
KR20200134697A (ko) 2019-05-23 2020-12-02 (유)이안지오텍 사면보호용 식생매트의 제조방법 및 그러한 방법으로 제조된 사면보호용 식생매트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7021B1 (ko) * 2010-02-26 2011-01-12 박민혜 녹지 조성용 이중네트
KR200469648Y1 (ko) * 2013-02-18 2013-10-28 보경산업주식회사 사면 녹화용 네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5541A (ko) 2023-0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19289B1 (ko) 녹비 초생식물의 씨앗이 부착된 식생포대
US5232759A (en) Fabric web for erosion protection
KR101583664B1 (ko) 식생유닛을 이용한 비탈면 녹화공법 및 식생유닛
JP2018057324A (ja) 植生マット及び植生マットの製造方法
KR102597663B1 (ko) 기능성 종자 매트
KR100953305B1 (ko) 녹화용 식생 매트와 그 제조방법, 식생 매트의 시공방법
SK50582008A3 (sk) Vegetačná strecha, najmä sklonitá a spôsob jej výroby
CN205530295U (zh) 边坡
KR100930833B1 (ko) 식생매트
JP4703776B1 (ja) 遮水緑化シート
KR200412817Y1 (ko) 친환경 생태계 보호용 식생매트
KR101482203B1 (ko) 사면 녹화 구조 및 그 시공방법
CN109610485A (zh) 一种捆垛生态护坡结构及其施工方法
KR20120095050A (ko) 녹화용 식생매트 및 이의 제조방법
KR20040104181A (ko) 생태 복원 매트
KR102223403B1 (ko) 식생 셀
JP3222031B2 (ja) 水はけ用マット
JP2016146787A (ja) 遮水緑化シート
CN205382500U (zh) 混合边坡
KR101042265B1 (ko) 친환경 사면 녹화용 매트
JP2017127245A (ja) 防草緑化シートとそれを用いた防草緑化工法
JP2000120070A (ja) 緑化用法面および緑化用マット
JP5177605B1 (ja) 雑草抑止及び補水型植生緑化マット体
JPH05295714A (ja) 植生ブロック
JP3053981B2 (ja) 植生基盤造成工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