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91703B1 - 공기 조화 시스템 - Google Patents

공기 조화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91703B1
KR102591703B1 KR1020220022549A KR20220022549A KR102591703B1 KR 102591703 B1 KR102591703 B1 KR 102591703B1 KR 1020220022549 A KR1020220022549 A KR 1020220022549A KR 20220022549 A KR20220022549 A KR 20220022549A KR 102591703 B1 KR102591703 B1 KR 1025917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conditioning
indoor
air
damper
indoor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225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125660A (ko
Inventor
박태주
서범수
김주현
양동근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225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91703B1/ko
Publication of KR202301256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256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17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17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54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using one central controller connected to several sub-controll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35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introduction of outside air to the roo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52Indication arrangements, e.g. displ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7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24F13/06Outlets for directing or distributing air into rooms or spaces, e.g. ceiling air diffuser
    • F24F13/068Outlets for directing or distributing air into rooms or spaces, e.g. ceiling air diffuser formed as perforated walls, ceilings or flo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실외기와 연결되고, 실내 공기를 흡입하여 열교환하고, 실내로 공급하도록 실내에 배치되는 실내기, 천장의 상부 공간에 배치되어, 실외 측에서 유입된 공기를 실내로 안내하거나, 실내 공기를 실외 측으로 안내하는 덕트, 상기 덕트와 연결되어 실외 공기를 실내로 토출하거나, 실내 공기를 흡입하도록 천장에 설치되는 디퓨저, 상기 덕트와 상기 디퓨저를 연결하는 유로상에 배치되어, 상기 유로를 개폐하는 댐퍼, 상기 실내기와 상기 댐퍼를 제어하도록 상기 실내 공간에 배치되는 조작패널을 포함하는 공기 조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공기 조화 시스템 {air conditioning system}
본 발명은 에어컨의 리모컨을 이용하여, 공조덕트의 댐퍼를 제어하는 공기 조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공기조화기는 쾌적한 실내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실내로 냉온의 공기를 토출하여, 실내 온도를 조절하고, 실내공기를 정화하도록 함으로서 인간에게 보다 쾌적한 실내환경을 제공하기 위해 설치된다.
일반적으로 공기조화기는 열교환기로 구성되어 실내에 설치되는 실내기와, 압축기 및 열교환기 등으로 구성되어 실내기로 냉매를 공급하는 실외기를 포함한다.
이러한 공기조화기는 열교환기로 구성된 실내기와, 압축기 및 열교환기 등으로 구성된 실외기로 분리되어 제어되며, 압축기 또는 열교환기로 공급되는 전원을 제어함으로서 동작된다.
또한, 공기조화기는 실외기에 적어도 하나의 실내기가 연결될 수 있으며, 요청되는 운전 상태에 따라, 실내기로 냉매를 공급하여, 냉방 또는 난방모드로 운전된다.
공기조화기는 냉매의 흐름에 따라 냉방운전되거나 난방운전되는데, 냉방운전시, 실외기의 압축기에서 실외기의 열교환기를 거쳐 고온고압의 액체냉매가 실내기로 공급되면 실내기의 열교환기에서 냉매가 팽창되어 기화되면서주변공기의 온도가 내려가 실내기 팬이 회전동작함에 따라 실내로 냉기가 토출되고, 난방운전 시 실외기의 압축기에서 고온고압의 기체냉매가 실내기로 공급되면, 실내기의 열교환기에서 고온고압의 기체냉매가 액화되어 방출된 에너지에 의해 따뜻해진 공기가 실내기팬의 동작에 따라 실내로 토출된다.
한편, 시스템에어컨의 경우 환기가 불가능하므로 일반적으로 전열교환기(ERV) 또는 외기도입이 가능한 공기조화기와 결합된다.
이때, 실외공기를 실내 측으로 도입하는 덕트에는, 실내 측으로 유동하는 실외 공기의 흐름을 단속하는 댐퍼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댐퍼는 중앙제어기와 연결하는 작업이 번거롭고, 연결 작업자체의 비용이 비싸기 때문에 대부분 수동 댐퍼를 설치하고 있다.
따라서, 댐퍼의 개폐를 제어할 수 없고, 댐퍼의 개방 정도를 제어할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댐퍼의 개폐 또는 개방량을 제어하기 위해서는, 댐퍼 제어를 위한 별도의 컨트롤러를 설치하고, 컨트롤러와 댐퍼를 연결하는 작업 등이 필요한 문제도 있다.
KR 20-2009-0013849 (2009.10.23)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복수의 댐퍼의 개별 제어를 통해 복수의 공조 대상에 공급되는 실외 공기의 양을 각각 조절하는 공기 조화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공조 대상에 설치된 실내기용 리모컨을 활용하여, 댐퍼의 개폐 여부 및 개방정도를 제어하는 공기 조화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실내기용 리모컨으로부터 발생한 기동신호로부터 댐퍼 기동여부를 결정하고, 환기 제어가 시행되는 공기 조화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시스템은, 실외기와 연결되고, 실내 공기를 흡입하여 열교환하고, 실내로 공급하도록 실내에 배치되는 실내기, 천장의 상부 공간에 배치되어, 실외 측에서 유입된 공기를 실내로 안내하거나, 실내 공기를 실외 측으로 안내하는 덕트, 상기 덕트와 연결되어 실외 공기를 실내로 토출하거나, 실내 공기를 흡입하도록 천장에 설치되는 디퓨저, 상기 덕트와 상기 디퓨저를 연결하는 유로상에 배치되어, 상기 유로를 개폐하는 댐퍼, 상기 실내기와 상기 댐퍼를 제어하도록 상기 실내 공간에 배치되는 조작패널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실내는 복수의 공조대상으로 구획되고, 상기 실내기, 디퓨저, 댐퍼, 조작패널은 각각의 공조대상에 설치된다.
또한, 상기 덕트는 상기 복수의 공조대상의 천장을 경유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각각의 유로는 상기 덕트와 연결된다.
또한, 상기 조작패널은, 상기 실내기의 제어 및 모니터링을 위해 실내의 벽면에 설치된 유선 리모컨을 의미한다.
또한, 상기 댐퍼는 상기 조작패널과 유선으로 연결되고, 상기 조작패널은 상기 댐퍼의 온/오프를 제어하거나, 상기 댐퍼의 개도를 제어한다.
또한, 상기 실내기와 상기 조작패널을 연결하는 제2통신선, 및 상기 댐퍼와 상기 조작패널을 연결하는 제3통신선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조작패널은, 관제실의 중앙 제어기와 연결된다.
또한, 상기 중앙 제어기는 상기 실내기 및 댐퍼의 동작을 제어한다.
또한, 상기 조작패널과 상기 중앙 제어기를 연결하는 제1통신선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복수의 조작패널과 상기 중앙 제어기는 병렬로 연결된다.
또한, 상기 조작 패널은, 상기 실내기가 온(on)되면, 상기 댐퍼는 개방(open)되게 제어한다.
또한, 상기 조작 패널은, 상기 실내기가 온(on)되고, 상기 댐퍼가 개방(open)된 상태에서, 환기 오프(off) 요청이 발생하면, 상기 댐퍼가 차단(close)되게 제어한다.
또한, 상기 조작 패널은, 상기 실내기가 오프(off)된 상태에서, 환기 요청이 발생하면, 상기 댐퍼가 개방(open)되게 제어한다.
또한, 상기 덕트에 설치되어, 실외 공기를 실내 측으로 흡입하거나, 실내 공기를 실외 측으로 흡입하는 송풍팬을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각각의 조작패널과 연결된 중앙 제어기는, 환기가 진행중인 공조대상의 비율을 반영하여, 상기 송풍팬의 풍량을 제어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공조 대상에 따라 댐퍼의 개도를 개별 제어하여 효율적인 공기조화기 제어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둘째, 각각의 공조 대상에 설치된 실내기용 리모컨과 댐퍼를 연결하여, 댐퍼의 개도를 개별 제어하므로, 작업비용 및 자재비용이 줄어드는 효과도 있다.
셋째, 실내기용 리모컨을 통해 실내기가 동작하면서 냉방 또는 난방이 시작되면, 자동으로 환기가 진행되는 효과도 있다.
넷째, 실내용 리모컨과 연결된 중앙제어기에서, 전체 또는 일부의 댐퍼를 제어할 수 있어 공조 대상의 상황에 따라, 일괄 환기 또는 일부 환기가 가능한 효과도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공기조화 시스템의 구성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 시스템의 구성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 시스템의 제어방법을 보인 흐름도이다.
도 4는 송풍팬의 풍량을 제어하는 방법을 보인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구성의 명칭을 제1, 제2 등으로 구분한 것은 그 구성의 명칭이 동일한 관계로 이를 구분하기 위한 것으로, 하기의 설명에서 반드시 그 순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종래의 공기조화 시스템의 구성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 공기조화 시스템의 경우, 복수의 공조 대상(R1,R2,R3,R4)으로 구획된 실내에 설치된다.
그리고, 각 공조 대상(R1,R2,R3,R4)은 독립된 실내 공간을 의미하며, 각 공조 대상(R1,R2,R3,R4)의 천장에는, 각각 실내기(11,12,13,14)가 설치된다.
그리고, 각 공조 대상(R1,R2,R3,R4)의 벽면에는, 실내기(11,12,13,14)를 제어하기 위해, 리모컨(21,22,23,24)이 설치된다.
상기 각각의 리모컨(21,22,23,24)은, 제1통신선(61,62,63,64)을 통해서, 중앙제어기(70)와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리모컨(21,22,23,24)은 제2통신선(81,82,83,84)을 통해서, 실내기(11,12,13,14)와 연결된다.
상기 공조 대상(R1,R2,R3,R4)의 천장에는 덕트(40)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덕트(40)를 통해 도입된 실외 공기는, 공조 대상(R1,R2,R3,R4)의 천장에 설치된 디퓨저(15,16,17,18)를 통해서, 실내로 공급된다.
또한, 디퓨저(15,16,17,18)에서 흡입된 실내공기는 덕트(40)를 통해 실외 측으로 유동할 수 있다.
상기 덕트(40)와 디퓨저(15,16,17,18)를 연결하는 유로에는 덕트(40)에서 디퓨저(15,16,17,18)로 유동하거나, 디퓨저(15,16,17,18)에서 덕트(40)로 유동하는 공기의 흐름을 조절하는 댐퍼(31,32,33,34)가 설치되고, 상기 댐퍼(31,32,33,34)는 제3통신선(51,52,53,54)을 통해서, 상기 중앙제어기(70)와 연결된다.
이 경우, 댐퍼(31,32,33,34)와 중앙제어기(70)를 연결하는 제3통신선(51,52,53,54)을 설치하는 데 많은 시간과 비용이 소요된다.
그리고, 공조 대상(R1,R2,R3,R4)이 많아질수록, 오류도 많고 작업비용이 증가된다.
또한, 각 공조 대상(R1,R2,R3,R4)의 환기가 개별적으로 진행되지 않고, 일괄 제어되면서, 효율성이 떨어지는 문제도 있다.
특히, 각 공조 대상(R1,R2,R3,R4)의 사용자의 요구에 대응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고, 환기가 불필요한 일부 공조 대상에서 환기가 진행되거나, 환기가 필요한 일부 공조 대상에서는 환기가 진행되지 않는 문제도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 시스템의 구성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 시스템은, 실외기와 연결되고, 실내 공기를 흡입하여 열교환하고, 실내로 공급하도록 실내에 배치되는 실내기(110,120,130,140)와, 천장의 상부 공간에 배치되어, 실외 측에서 유입된 공기를 실내로 안내하거나, 실내 공기를 실외 측으로 안내하는 덕트(400)와, 상기 덕트(400)와 연결되어 실외 공기를 실내로 토출하거나, 실내 공기를 흡입하도록 천장에 설치되는 디퓨저(150,160,170,180), 및 상기 덕트(400)와 상기 디퓨저(150,160,170,180)를 연결하는 유로상에 배치되어, 상기 유로를 개폐하는 댐퍼(310,320,330,340)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실내기(110,120,130,140)와 상기 댐퍼(310,320,330,340)를 제어하도록 상기 실내 공간에 배치되는 조작패널(210,220,230,240)을 더 포함한다. 상기 조작패널(210,220,230,240)은 상기 실내기(110,120,130,140), 및 댐퍼(310,320,330,340)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조작패널(210,220,230,240)은, 상기 실내기(110,120,130,140)의 제어 및 모니터링을 위해 실내의 벽면에 설치된 유선 리모컨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내는 복수의 공조대상(R1,R2,R3,R4)으로 구획되고, 상기 실내기(110,120,130,140), 디퓨저(150,160,170,180), 댐퍼(310,320,330,340), 조작패널(210,220,230,240)은 각각의 공조대상(R1,R2,R3,R4)에 개별적으로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덕트(400)는 상기 복수의 공조대상(R1,R2,R3,R4)의 천장을 경유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유로는 덕트(400)와 상기 각각의 디퓨저(150,160,170,180)를 연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댐퍼(310,320,330,340)는 상기 조작패널(210,220,230,240)과 유선으로 연결되고, 상기 조작패널(210,220,230,240)은 상기 댐퍼(310,320,330,340)의 온/오프를 제어하거나, 상기 댐퍼(310,320,330,340)의 개도를 제어할 수 있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 시스템의 경우, 마찬가지로 복수의 공조 대상(R1,R2,R3,R4)으로 구획된 실내에 설치된다.
그리고, 각 공조 대상(R1,R2,R3,R4)은 독립된 실내 공간을 의미하며, 각 공조 대상(R1,R2,R3,R4)의 천장에는, 각각 실내기(110,120,130,140)가 설치된다.
그리고, 각 공조 대상(R1,R2,R3,R4)의 벽면에는, 실내기(110,120,130,140)를 제어하기 위해, 조작패널(210,220,230,240)이 설치된다.
상기 각각의 조작패널(210,220,230,240)은 제1통신선(610,620,630,640)을 통해서, 관제실의 중앙제어기(700)와 연결된다.
이때, 상기 복수의 조작패널(210,220,230,240)과 상기 중앙 제어기(700)는 병렬로 연결되고, 따라서, 중앙 제어기(700)는 복수의 조작패널(210,220,230,240)을 개별적으로 제어하거나 일괄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즉, 중앙 제어기(700)는 상기 실내기(110,120,130,140) 및 댐퍼(310,320,330,340)의 동작을 개별적으로 제어하거나 일괄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조작패널(210,220,230,240)은 제2통신선(810,820,830,840)을 통해서, 실내기(110,120,130,140)와 연결된다.
상기 공조 대상(R1,R2,R3,R4)의 천장에는 덕트(400)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덕트(400)를 통해 도입된 실외 공기는, 공조 대상(R1,R2,R3,R4)의 천장에 설치된 디퓨저(150,160,170,180)를 통해서, 실내로 공급된다.
또한, 디퓨저(150,160,170,180)에서 흡입된 실내공기는 덕트(400)를 통해 실외 측으로 유동할 수 있다.
상기 덕트(400)와 디퓨저(150,160,170,180)를 연결하는 유로에는 덕트(400)에서 디퓨저(150,160,170,180)로 유동하거나, 디퓨저(150,160,170,180)에서 덕트(40)로 유동하는 공기의 흐름을 조절하는 댐퍼(310,320,330,340)가 설치되고, 상기 댐퍼(310,320,330,340)는 제3통신선(510,520,530,540)을 통해서, 상기 조작패널(210,220,230,240)과 연결된다.
본 발명의 경우, 댐퍼(310,320,330,340)와 중앙제어기(700)를 연결하지 않고, 댐퍼(310,320,330,340)를 조작패널(210,220,230,240)을 연결한다.
상세히, 상기 댐퍼(310,320,330,340)를 개폐하거나, 개방된 양을 조절하는 댐퍼모터와 조작패널(210,220,230,240)을 연결한다.
상기와 같이, 댐퍼(310,320,330,340)와 조작패널(210,220,230,240)을 연결하면, 공조 대상(R1,R2,R3,R4)에 각각 설치된 조작패널(210,220,230,240)을 통해서, 상기 댐퍼(310,320,330,340)를 개폐하거나, 개방된 양을 조절할 수 있다.
즉, 각 공조 대상(R1,R2,R3,R4)은 개별적으로, 댐퍼(310,320,330,340)를 개폐하거나, 개방된 양을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댐퍼(310,320,330,340)와 중앙제어기(700)를 연결하지 않고, 댐퍼(310,320,330,340)를 조작패널(210,220,230,240)을 연결하기 때문에, 제3통신선(510,520,530,540)을 보다 쉽게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조작패널(210,220,230,240)은 중앙제어기(700)와 연결된 상태이기 때문에, 전체 공조 대상의 댐퍼(310,320,330,340)를 일괄 제어할 수 있고, 일부 공조 대상의 댐퍼(310,320,330,340)를 그룹 제어할 수도 있다.
또한, 조작패널(210,220,230,240)을 통해서, 실내기(110,120,130,140)로 냉방/난방 신호 송신 시, 댐퍼(310,320,330,340)에도 동작 신호를 함께 송신하여, 환기를 진행할 수도 있다.
상기 조작패널(210,220,230,240)은, 상기 실내기(110,120,130,140)가 온(on)되면, 상기 댐퍼(310,320,330,340)는 개방(open)되게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가 조작패널(210,220,230,240)을 직접 조작하여, 실내기(110,120,130,140)가 온(on) 시킬 수도 있고, 중앙제어기(700)에서 원격으로 실내기(110,120,130,140)를 온(on) 시킬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조작패널(210,220,230,240)은, 상기 실내기가 온(on)되고, 상기 댐퍼(310,320,330,340)가 개방(open)된 상태에서, 환기 오프(off) 요청이 발생하면, 상기 댐퍼(310,320,330,340)가 차단(close)되게 제어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조작패널(210,220,230,240)은, 상기 실내기가 온(on)된 상태에서, 상기 댐퍼(310,320,330,340)의 개방량을 증가시키거나, 줄어들게 제어할 수 도 있다.
또한, 상기 조작패널(210,220,230,240)은, 상기 실내기(110,120,130,140)가 오프(off)된 상태에서, 환기 요청이 발생하면, 상기 댐퍼(310,320,330,340)가 개방(open)되게 제어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조작패널(210,220,230,240)은, 상기 실내기가 오프(off)된 상태에서, 상기 댐퍼(310,320,330,340)의 개방량을 증가시키거나, 줄어들게 제어할 수 도 있다.
또한, 상기 덕트(400)에 설치되어, 실외 공기를 실내 측으로 흡입하거나, 실내 공기를 실외 측으로 흡입하는 송풍팬(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각각의 조작패널(210,220,230,240)과 연결된 중앙 제어기(700)는, 환기가 진행중인 공조대상의 비율을 반영하여, 상기 송풍팬의 풍량을 제어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 시스템의 제어방법을 보인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실내기의 대기상태에서, 냉방 또는 난방을 위한 입력이 있는지 체크한다.(S11)
그리고, 사용자가 조작패널(210,220,230,240)을 조작하면, 냉방 또는 난방을 위해 실내기가 온(on)된다. (S12)
또한, 중앙제어기(700)에서 실내기를 온(on) 시킬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실내기가 켜지면, 댐퍼(310,320,330,340)도 개방된다.
이때, 조작패널(210,220,230,240)의 화면에는 환기 상황이 표시될 수 있다.
그리고, 댐퍼(310,320,330,340)가 개방되어 환기가 진행중인 상황에서, 환기 종료 입력이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체크한다.(S14)
만약, 사용자가 조작패널(210,220,230,240)을 통해 환기 종료를 입력하면, 실내기가 온(on)된 상태에서, 댐퍼(310,320,330,340)는 차단되고, 환기가 종료된다.(S15)
또한, 사용자가 조작패널(210,220,230,240)을 통해 냉방 또는 난방 종료를 입력하면, 실내기가 오프(off)되고, 댐퍼(310,320,330,340)도 차단되면서, 환기가 종료된다.(S15)
다시, 도 3을 참조하면, 실내기의 대기상태에서, 냉방 또는 난방을 위한 입력이 있는지 체크한다.(S11)
그리고, 실내기의 대기상태에서, 냉방 또는 난방을 위한 입력이 없는 경우, 환기를 위한 입력이 있는지 체크한다.(S13)
그리고, 사용자가 조작패널(210,220,230,240)을 조작하여, 환기 요청이 발생하면, 실내기의 대기상태(off)에서, 댐퍼(310,320,330,340)가 개방된다.(S16)
또한, 중앙제어기(700)에서 댐퍼(310,320,330,340)를 개방시킬 수도 있다.
이때, 조작패널(210,220,230,240)의 화면에는 환기 상황이 표시될 수 있다.
그리고, 댐퍼(310,320,330,340)가 개방되어 환기가 진행중인 상황에서, 환기 종료 입력이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체크한다.
만약, 사용자가 조작패널(210,220,230,240)을 통해 환기 종료를 입력하면, 실내기가 온(on)된 상태에서, 댐퍼(310,320,330,340)는 차단되고, 환기가 종료된다.
반면, S13단계에서, 실내기의 대기 상태이고, 환기를 위한 입력이 없는 경우, 댐퍼(310,320,330,340)는 개방되지 않고, 차단된다.(S17)
즉, 상기 댐퍼(310,320,330,340)는 실내기가 켜지면 같이 개방되어 환기가 진행된다.
그리고, 별도의 환기 종료 요청이 발생하거나, 실내기 오프(off) 요청이 발생하면, 댐퍼(310,320,330,340)는 차단되고, 환기가 종료된다.
그리고, 실내기가 꺼진 상태에서, 환기 요청이 발생하면, 상기 댐퍼(310,320,330,340)는 개방되고 환기가 진행된다.
그리고, 별도의 환기 종료 요청이 발생하면, 환기가 종료된다.
도 4는 송풍팬의 풍량을 제어하는 방법을 보인 흐름도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실내 공간은 복수의 공조 대상으로 구획된다.
그리고, 각각의 공조 대상의 경우, 개별적으로 환기가 진행될 수 있다.
따라서, 환기가 진행중인 공조 대상의 비율을 반영하여, 송풍팬의 풍량을 제어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서, 먼저, 환기 가동률을 산출한다.(S21)
환기 가동률은, 전체 공조 대상 대비 환기가 진행중인 공조대상 비율로 산출된다.
환기가 진행중인 공조대상은, 댐퍼가 개방된 상태의 공조대상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체 공조대상이 4개이고, 이중 환기가 진행중인 공조대상이 2개 라면, 환기 가동률은 1/2이며, 50%로 산출될 수 있다.
(환기 가동률 = 환기가 진행중인 공조대상÷전체 공조대상)
그리고, 송풍팬의 요구풍량을 산출한다. (S22)
송풍팬의 요구풍량은, 송풍팬의 설계풍량(최대풍량)에 환기 가동률을 반영하여 산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환기 가동률이 50%인 경우, 송풍팬의 요구풍량은, 송풍팬의 설계풍량(최대풍량)의 절반으로 산출될 수 있다.
(송풍팬의 요구풍량 = 송풍팬의 설계풍량Ⅹ환기 가동률)
그리고, 송풍팬의 요구풍량이 산출되면, 타겟만큼 풍량이 생성되게, 송풍팬을 제어한다.(S23)
여기서, 상기 송풍팬은 급기팬을 의미할 수 있고, 배기팬을 의미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송풍팬은 회전 속도(rpm) 등이 조절되면서, 요구풍량이 대응하도록 풍량을 생성할 수 있다.

Claims (15)

  1. 실외기와 연결되고, 실내 공기를 흡입하여 열교환하고, 실내로 공급하도록 실내에 배치되는 실내기;
    천장의 상부 공간에 배치되어, 실외 측에서 유입된 공기를 실내로 안내하거나, 실내 공기를 실외 측으로 안내하는 덕트;
    상기 덕트와 연결되어 실외 공기를 실내로 토출하거나, 실내 공기를 흡입하도록 천장에 설치되는 디퓨저;
    상기 덕트와 상기 디퓨저를 연결하는 유로상에 배치되어, 상기 유로를 개폐하는 댐퍼;
    상기 실내기와 상기 댐퍼를 제어하도록 상기 실내 공간에 배치되는 조작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실내는 복수의 공조대상으로 구획되고,
    상기 실내기, 디퓨저, 댐퍼, 조작패널은 각각의 공조대상에 설치되며,
    상기 조작패널은,
    상기 실내기가 온(on)되고, 상기 댐퍼가 개방(open)된 상태에서,
    환기 오프(off) 요청이 발생하면, 상기 댐퍼가 차단(close)되게 제어하고,
    상기 실내기가 오프(off)된 상태에서, 환기 요청이 발생하면, 상기 댐퍼가 개방(open)되게 제어하는 공기 조화 시스템.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덕트는 상기 복수의 공조대상의 천장을 경유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각각의 유로는 상기 덕트와 연결되는 공기 조화 시스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패널은, 상기 실내기의 제어 및 모니터링을 위해 실내의 벽면에 설치된 유선 리모컨을 의미하는 공기 조화 시스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댐퍼는 상기 조작패널과 유선으로 연결되고, 상기 조작패널은 상기 댐퍼의 온/오프를 제어하거나, 상기 댐퍼의 개도를 제어하는 공기 조화 시스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실내기와 상기 조작패널을 연결하는 제2통신선; 및
    상기 댐퍼와 상기 조작패널을 연결하는 제3통신선을 포함하는 공기 조화 시스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패널은, 관제실의 중앙 제어기와 연결되는 공기 조화 시스템.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제어기는 상기 실내기 및 댐퍼의 동작을 제어하는 공기 조화 시스템.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패널과 상기 중앙 제어기를 연결하는 제1통신선을 포함하는 공기 조화 시스템.
  10.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조작패널과 상기 중앙 제어기는 병렬로 연결되는 공기 조화 시스템.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 패널은,
    상기 실내기가 온(on)되면, 상기 댐퍼는 개방(open)되게 제어하는 공기 조화 시스템.
  12. 삭제
  13. 삭제
  1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덕트에 설치되어, 실외 공기를 실내 측으로 흡입하거나, 실내 공기를 실외 측으로 흡입하는 송풍팬을 더 포함하는 공기 조화 시스템.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조작패널과 연결된 중앙 제어기는,
    환기가 진행중인 공조대상의 비율을 반영하여, 상기 송풍팬의 풍량을 제어하는 공기 조화 시스템.
KR1020220022549A 2022-02-21 2022-02-21 공기 조화 시스템 KR1025917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2549A KR102591703B1 (ko) 2022-02-21 2022-02-21 공기 조화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2549A KR102591703B1 (ko) 2022-02-21 2022-02-21 공기 조화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25660A KR20230125660A (ko) 2023-08-29
KR102591703B1 true KR102591703B1 (ko) 2023-10-20

Family

ID=878025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22549A KR102591703B1 (ko) 2022-02-21 2022-02-21 공기 조화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91703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0134015A (ja) * 2019-02-20 2020-08-31 株式会社快活フロンティア 空調換気システム
JP2021042918A (ja) * 2019-09-12 2021-03-18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空気調和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73352A (ko) * 2002-03-11 2003-09-19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덕트형 공기 조화기의 제어방법 및 그 장치
KR101622973B1 (ko) * 2014-06-12 2016-05-20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및 그 동작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0134015A (ja) * 2019-02-20 2020-08-31 株式会社快活フロンティア 空調換気システム
JP2021042918A (ja) * 2019-09-12 2021-03-18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空気調和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25660A (ko) 2023-08-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589294B1 (en) Unitary air conditioning system
CN104515207A (zh) 多贯流空调器及其控制方法
KR102591703B1 (ko) 공기 조화 시스템
EP1628080B1 (en) Unitary air conditioning system
CN113710964B (zh) 空调***
KR20160010197A (ko)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20019279A (ko) 칠러를 위한 디멘드 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WO2020213656A1 (ja) 空気調和システム
JP3425295B2 (ja) 空気調和システム装置
JP2001108271A (ja) 換気装置、それを用いた空調換気システム及び建物
JPS6335321Y2 (ko)
JPH05106865A (ja) 換気機能付き冷暖房装置
JPH08200782A (ja) 換気空調装置
KR20060056107A (ko) 천정형 공기 조화기 및 그 운전제어방법
CN113074411B (zh) 一种改进的多联式新风机及其控制方法
KR20110003814A (ko) 복수의 송풍팬 제어기능이 구비된 공기조화기
JP2789936B2 (ja) 空気調和機の制御装置
JPH08145432A (ja) 空気調和機
JP2013200089A (ja) 空気調和機
KR20200119676A (ko) 냉난방 및 실내공기제어를 위한 열원 일체형 시스템 공기조화장치
US10408487B1 (en) Secondary controller for ventilation systems and integrated ventilation systems
KR20090115258A (ko) 덕트형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JP3169782B2 (ja) 空気調和装置
JP4282499B2 (ja) 空気調和装置
KR20120090270A (ko) 공기조화기 시스템 및 그 동작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