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91126B1 - 공구홀더 지지장치 - Google Patents

공구홀더 지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91126B1
KR102591126B1 KR1020210043166A KR20210043166A KR102591126B1 KR 102591126 B1 KR102591126 B1 KR 102591126B1 KR 1020210043166 A KR1020210043166 A KR 1020210043166A KR 20210043166 A KR20210043166 A KR 20210043166A KR 102591126 B1 KR102591126 B1 KR 1025911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ilt
support device
tool holder
positioning
jerse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431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37301A (ko
Inventor
요우-더 황
Original Assignee
데타 인터내셔널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데타 인터내셔널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데타 인터내셔널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to KR10202100431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91126B1/ko
Publication of KR202201373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373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11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1126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3/00Devices hold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tools, of a kind normally removable from the machine
    • B23Q3/155Arrangements for automatic insertion or removal of tools, e.g. combined with manual hand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29/00Holders for non-rotary cutting tools; Boring bars or boring heads; Accessories for tool holders
    • B23B29/04Tool holders for a single cutting too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upports Or Holders For Household Us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구홀더 지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공구홀더 지지장치는 본체, 탄력부품, 위치고정부품, 저지조각을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본체에는 용치공간과 서로 통해 있는 용치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탄력부품과 상기 위치고정부품은 용치구멍 내에 용치되어 설치되며 이를 통해 위치고정부품의 일부분이 용치공간 내로 노출되어 칼자루를 지탱해주는 상태를 유지하게 되며, 상기 저지조각은 용치공간 내에 칼자루와 서로 대응되는 형태로 한 끝에 설치되고, 상기 저지조각은 선택 가능한 방식으로 칼자루 방향을 향해 이동하면서 위치고정부품을 용치구멍 내로 밀어 밀착시키게 되며, 이를 통해 칼자루를 용이하게 위치 고정시키거나 밀어 빼낼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공구홀더 지지장치{Tool-Holder Holding Device}
본 발명은 공구홀더 지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칼자루를 쉽게 손으로 밀어 넣거나 뺄 수 있는 공구홀더 지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공구교환장치의 경우 여러 개의 칼자루 혹은 칼대를 수납하여 해당 칼자루 혹은 칼대를 각각 구분해서 삽입해 줄 수 있는 장치를 말하며, 가공기에서 공구교환장치로부터 필요한 칼자루를 취하여 가공장소까지 이동시켜 칼날로 가공을 진행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칼자루를 안정적으로 탑재하고 가공 과정에서 발생하는 힘을 견딜 수 있게 하기 위하여 보통 견고한 재료를 사용해 칼자루를 제작하며, 또한 그 무게 역시 상당히 무겁기 때문에 공구교환장치에 수납할 때 반드시 충분한 힘이 가해지는 위치고정 수단을 사용하여 위치 고정을 해야만 칼자루가 느슨해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가장 흔한 위치고정 수단은 칼집 측면 내벽에 용치구멍을 설치하고, 상기 용치구멍 내에 탄력부품과 위치고정 스틸 볼을 설치함으로써 위치고정 스틸 볼이 칼자루 뒤쪽 끝단 위치를 지탱해줌으로써 칼자루가 밖으로 이동하는 방지할 수 있게 하는 것이지만 이러한 수단은 칼자루가 매우 무겁기 때문에 탄력부품이 반드시 매우 큰 탄력을 갖추고 있어야만 칼자루가 탄력 부품의 탄력을 이기고 밖으로 떨어져 나오는 것을 방지할 있게 된다. 또한 이로 인해 칼자루를 삽입하거나 빼고자 할 때 반드시 기계를 통해 큰 힘을 가해 칼자루를 밀어야만 탄력부품이 가진 탄력을 이기고 위치고정 스틸 볼이 안으로 위축되어 들어갈 수 있다.
특허TW M606496호에서 이와 유사한 구조에 대해 게시하였으며, 그중 탄력부품은 수평으로 슬라이드 부품을 탄력을 갖춘 상태로 설치하게 되고, 상기 슬라이드 부품에는 스틸 볼이 밀려 들어갈 수 있는 공간이 설치되며, 탄력부품의 탄력을 이용하여 스틸 볼이 밀려 들어가는 공간과 스틸 볼을 서로 어긋나게 한 후 스틸 볼이 칼자루를 향해 돌출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칼자루를 빼거나 혹은 칼자루를 칼집에 삽입시키고자 할 경우, 슬라이드 외부의 갈고리를 이용하여 탄력부품의 탄력을 극복하게 되며, 이를 통해 스틸 볼이 밀려 들어가는 공간을 스틸 볼이 있는 위치까지 이동시켜 스틸 볼이 그 안으로 위축되어 들어가며 그 결과 칼자루가 자유롭게 출입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상술한 구조 내에서 무게가 매우 무거운 칼자루를 적절하게 위치 고정시키기 위하여 탄력부품 역시 그 탄력이 최대인 부품을 선택해서 사용해야 하며 그로 인해 갈고리로 연결되는 동력 역시 매우 커야 하기 때문에 수동으로 조작할 수가 없었다. 또한 그 부품 구조 역시 매우 복잡하여 제조 단가가 상승할 뿐만 아니라 고장 확률 역시 증가할 수밖에 없었다.
본 발명의 주요 목적은 공구홀더 지지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으며, 이를 통해 위치고정부품을 손쉽게 밀어 칼자루를 빼거나 삽입하여 설치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공구홀더 지지장치를 제공하며, 상기 공구홀더 지지장치에는 공구교환장치가 설치될 수 있어 칼자루를 수납하여 위치 고정을 시킬 수 있게 되며, 상기 칼자루의 서로 대응되는 양 끝단에는 칼 용치부와 위치고정부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위치고정부는 손잡이부와 대직경부를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대직경부는 상기 손잡이부에서 상기 칼 용치부와 비교적 멀리 떨어진 한 끝단에 설치되고, 상기 대직경부의 바깥지름은 상기 손잡이부의 바깥지름보다 크며, 상기 공구홀더 지지장치는 본체, 최소한 하나의 탄력부품, 최소한 하나의 위치고정부품, 저지조각, 이동수단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본체는 축방향으로 정의되고 상기 축방향을 따라 용치공간이 개설되며, 상기 본체에는 상기 용치공간의 내벽 지름 방향에서 외부를 향해 최소한 하나의 용치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최소한 하나의 용치구멍과 상기 용치공간은 서로 연통되어 있으며, 상기 본체의 용치공간은 상기 축방향을 따라 서로 대응되는 양 끝단을 각각 제1단과 제2단으로 정의하며, 상기 최소한 하나의 용치구멍은 상기 제1단과 상기 제2단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용치공간의 제1단은 상기 칼자루가 그 위치고정부에 삽입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상기 최소한 하나의 탄력부품과 최소한 하나의 위치고정부품은 상기 최소한 하나의 용치구멍 내에 용치되어 설치되며, 상기 최소한 하나의 탄력부품 한 끝단은 탄력을 이용해 상기 최소한 하나의 위치고정부품을 지탱함으로써 상기 최소한 하나의 위치고정부품을 상기 용치공간을 향해 밀어 올리게 되고, 상기 최소한 하나의 위치고정부품은 상기 최소한 하나의 탄력부품의 탄력을 받아 일반적 상태에서 그 일부가 상기 용치공간 내에 위치하게 된다. 상기 저지조각은 상기 용치공간 내에 용치되어 설치되고, 상기 축방향을 따라 위치고정 위치와 석방위치 사이에서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게 되고, 상기 저지조각은 상기 칼자루의 위치고정부를 꼭대기까지 밀어 올릴 수 있게 제공된다. 상기 저지조각이 상기 위치고정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저지조각은 상기 최소한 하나의 용치구멍과 상기 제2단 사이에 위치하게 되고, 상기 최소한 하나의 위치고정부품 일부분이 상기 용치공간 내에 위치하여 상기 칼자루의 대직경부가 상기 제1단의 방향을 향해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저지조각이 상기 석방위치에 있을 때, 상기 저지조각은 지름방향 상에서 상기 최소한 하나의 용치구멍의 일부분과 겹쳐지게 되어 상기 최소한 하나의 위치고정부품이 상기 최소한 하나의 탄력부품을 향해 밀려질 수 있게 한다. 상기 이동수단은 상기 저지조각이 상기 위치고정 위치에서 상기 석방위치까지 이동할 수 있게 해 준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은 저지조각을 이용하여 위치고정부품을 용치구멍 내로 밀어 넣고 이를 통해 칼자루가 위치고정부품의 속박을 벗어나 떨어져 나올 수 있게 함과 동시에 저지조각이 위치고정부품이 있는 곳에 위치하게 하며, 칼자루를 다시 삽입하여 설치하고자 할때, 칼자루를 이용해 저지조각을 밀어 넣으면 된다. 그러므로 위치고정부품을 다시 칼자루에 걸고, 칼자루를 풀고, 위치고정을 시키는 과정 중에서 저지조각이 칼자루를 대신해 위치고정부품을 피할 수 있게 되기 때문에 더욱 쉽고 간편하게 칼자루를 끼우고 뺄 수 있게 된다.
도1은 본 발명의 입체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입체분해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단면도이다.
도3A는 도3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4와 도5는 본 발명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목적, 효과 및 구조적 특징을 더욱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 비교적 우수한 실시예와 도면을 예로 들어 설명하면 다음과 같으며, 본 발명의 신청 범위는 이에 국한되지는 않는다.
도1 및 도5, 도3A의 내용을 참조해 보면, 본 발명은 공구홀더 지지장치를 제공하며, 상기 공구홀더 지지장치에는 공구교환장치가 설치될 수 있어 칼자루(60)를 수납하여 위치 고정을 시킬 수 있게 되며, 상기 칼자루(60)의 서로 대응되는 양 끝단에는 칼 용치부(61)와 위치고정부(62)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칼 용치부(61)는 칼자루를 용치할 수 있게 제공되며, 상기 위치고정부(62)는 손잡이부(621)와 대직경부(622)를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대직경부(622)는 상기 손잡이부(621)에서 상기 칼 용치부(61)와 비교적 멀리 떨어진 한 끝단에 설치되고, 상기 대직경부(622)의 바깥지름은 상기 손잡이부(621)의 바깥지름보다 크며, 상기 공구홀더 지지장치는 본체(10), 최소한 하나의 탄력부품(20), 최소한 하나의 위치고정부품(30), 저지조각(40), 이동수단(40)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본체(10)는 축방향으로 정의되고 상기 축방향을 따라 용치공간(11)이 개설되며, 상기 본체(10)에는 상기 용치공간(11)의 내벽 지름 방향에서 외부를 향해 최소한 하나의 용치구멍(12)이 형성되고, 상기 최소한 하나의 용치구멍(12)과 상기 용치공간(11)은 서로 연통되어 있으며, 상기 본체(10)의 용치공간(11)은 상기 축방향을 따라 서로 대응되는 양 끝단을 각각 제1단과 제2단으로 정의하며, 상기 최소한 하나의 용치구멍(12)은 상기 제1단과 상기 제2단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용치공간(11)의 제1단은 상기 칼자루(60)가 그 위치고정부(62)에 삽입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이를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상기 용치공간(11)은 대직경구간(111)과 소직경구간(112)을 포함하고, 상기 대직경구간(111)은 상기 제1단에 비교적 근접해 있고, 상기 소직경구간(112)은 상기 제2단에 비교적 근접해 있다. 상기 최소한 하나의 용치구멍(12)은 상기 소직경구간(112)에 연통되어 있고, 상기 대직경구간(111)과 상기 소직경구간(112) 사이에는 추상구간(113)이 연결되어 있고, 상기 추상구간(113)의 내부지름은 상기 대직경구간(111)의 한 끝단에서부터 상기 소직경구간(112)의 한 끝단을 향해 점차적으로 축소되는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대직경구간(111), 상기 소직경구간(112)과 상기 추상구간(113)의 길이와 내부지름은 용치되는 칼자루의 규격에 따라 설정되어질 수 있다.
상기 최소한 하나의 탄력부품(20)과 최소한 하나의 위치고정부품(30)은 상기 최소한 하나의 용치구멍(12) 내에 용치되어 설치되며, 상기 최소한 하나의 탄력부품(20) 한 끝단은 탄력을 이용해 상기 최소한 하나의 위치고정부품(30)을 지탱함으로써 상기 최소한 하나의 위치고정부품(30)을 상기 용치공간(11)을 향해 밀어 올리게 되고, 상기 최소한 하나의 위치고정부품(30)은 상기 최소한 하나의 탄력부품(20)의 탄력을 받아 일반적 상태에서 그 일부가 상기 용치공간(11) 내에 위치하게 된다. 예를 들어 설명해 보면, 상기 최소한 하나의 탄력부품(20)으로 스프링을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최소한 하나의 위치고정부품(30)으로 롤링 볼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국한되지는 않는다. 또한 비교적 권장하는 방식은 상기 최소한 하나의 용치구멍(12)이 상기 용치공간(11)의 한 끝단 내부지름을 향해 접근하며 점차 축소되어 상기 최소한 하나의 위치고정부품(30)이 상기 최소한 하나의 용치구멍(12)으로부터 완전히 분리되어 나오는 것을 방지하고, 가공 작업의 편의성을 위해 상기 본체의 용치공간 내에는 튜브 링을 삽입 설치할 수 있으며, 상기 최소한 하나의 용치구멍의 일부분은 상기 본체에 설치되며, 상기 일부분이 상기 튜브 링을 관통하게 되며, 상기 최소한 하나의 용치구멍의 내부지름이 점차 축소되는 끝단이 상기 튜브 링에 위치하게 된다.
상기 저지조각(40)은 상기 용치공간(11) 내에 용치되어 설치되고, 상기 축방향을 따라 위치고정 위치와 석방위치 사이에서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게 되고, 상기 저지조각(40)은 상기 칼자루(60)의 위치고정부를 꼭대기까지 밀어 올릴 수 있게 제공된다. 상기 저지조각(40)이 상기 위치고정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저지조각(40)은 상기 최소한 하나의 용치구멍(12)과 상기 제2단 사이에 위치하게 되고(즉 상기 소직경구간(112) 내), 상기 최소한 하나의 위치고정부품(30) 일부분이 상기 용치공간(11) 내에 위치하여 상기 칼자루(60)의 대직경부(622)가 상기 제1단의 방향을 향해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와 반대로 상기 저지조각(40)이 상기 석방위치에 있을 때, 상기 저지조각(40)은 지름방향 상에서 상기 최소한 하나의 용치구멍(12)의 일부분과 겹쳐지게 되어 상기 최소한 하나의 위치고정부품(30)이 상기 최소한 하나의 탄력부품(20)을 향해 밀려질 수 있게 한다. 이때 상기 저지조각(40)은 역시 상기 탄력부품(20)의 탄력을 받아 상기 위치고정부품(30)에 의해 지름 방향으로 위치고정이 되기 때문에 상기 축방향을 따라 자유롭게 이동하는 것이 어렵게 된다. 또한 비교적 권장하는 방식은 상기 저지조각(40)의 외환 벽에 최소한 하나의 위치고정 오목부(42)가 오목한 형태로 설치되며, 상기 최소한 하나의 위치고정 오목부(42)는 상기 최소한 하나의 위치고정부품(30)과 서로 대응되어 있으며, 상기 저지조각(40)이 상기 석방위치에 위치해 있을 때, 상기 최소한 하나의 위치고정부품(30) 일부분이 상기 최소한 하나의 위치고정 오목부(42) 내에 위치하여 위로 꼭대기까지 밀어 올리게 되며, 이를 통해 상기 저지조각(40)이 대략적으로 위치고정이 되고 저지조각(40)이 위치고정부품(30)의 위치와 정확히 맞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저지조각(40)이 탄력부품(20)의 강대한 탄력을 받아 한쪽으로 치우쳐 이동하게 되고 더 나아가 위치고정부품(30)을 밀어 올려 지탱하는 효과를 상실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 내에서는 상기 용치공간(11)의 소직경구간(112)이 대직경구간(111)에서 비교적 먼 내부지름 내에서 축소되는 형태로 저지부(1121)를 형성하게 되고, 이를 통해 상기 저지조각(40)이 상기 용치공간(11)의 제2단 축방향에서 떨어져 나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이동수단은 상기 저지조각(40)을 구동시켜 상기 위치고정 위치에서 상기 석방 위치까지 이동할 수 있게 해준다. 예를 들어 설명하면, 상기 이동수단은 기압실린더(50) 혹은 액압실린더를 사용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본체(10)의 제2단 밖에 설치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상기 저지조각(40)과 마주하는 상기 제2단의 단면을 선택적으로 밀어 지지함으로써 상기 저지조각(40)이 상기 석방위치까지 밀려 올라갈 수 있게 해준다. 상기 저지조각(40)이 상기 석방위치에 위치했을 때, 상기 기압실린더(50)는 뒤를 향해 압축되어 돌아오고, 다음 번 칼날을 삽입하는 동작을 했을 때, 상기 저지조각(40)이 상기 칼자루(60)가 미는 힘을 받아 뒤로 밀려나게 되며, 그 결과 상기 저지조각(40)이 상기 위치고정 위치로 되돌아가게 된다.
본 실시예 내에서 상기 최소한 하나의 용치구멍(12)은 최소한 4개의 상기 용치구멍(12)을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용치구멍(12)들은 서로 간격을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최소한 하나의 탄력부품(20)과 상기 최소한 하나의 위치고정부품(30)은 최소한 4개의 상기 탄력부품(20)과 최소한 4개의 상기 위치고정부품(30)을 포함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상기 칼자루(60)의 위치고정 효과를 더욱 강화시키게 된다. 또한 평균적으로 분포된 위치고정부품(30)과 탄력부품(20)를 통해 칼자루(60)에서 받는 힘이 불균형지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다. 그러나 상기 용치구멍, 상기 탄력부품, 상기 위치고정부품의 수량은 필요에 따라 조정이 가능한다.
또한 상기 칼자루(60)의 대직경부(622)는 대부분 끝단이 약간 축소되어진 볼 헤드 형태의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그러한 구조와 함께 사용함으로써 위치고정부품(30)을 밀어 올려 위치 고정을 시키는데 도움을 주게 된다. 본 실시예 중에서 상기 저지조각(40)은 상기 제1단의 한 끝과 마주보며 그 주변 테두리에 돌출테두리(41)를 형성하고, 상기 돌출테두리(41)의 지름방향 넓이는 그 자유로운 끝단을 향해 점차 좁아지는 형태가 되며, 이를 통해 상기 돌출테두리(41)의 내부표면에 외부로 넓어지는 추상면이 상기 칼자루(60)의 대직경부(622) 외부 표면과 서로 맞춰지게 된다. 그 결과 상기 돌출테두리(41)의 형태가 상기 칼자루(60)의 대직경부(622)와 상기 용치공간(11)의 내부벽 사이에 삽입 설치될 수 있는 상태가 되어 위치고정부품(30)을 편리하게 밀어 올리 수 있으며 걸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을 실제 사용하는 상태에 대해 도4 및 도5의 내용과 함께 설명해 보면, 상기 칼자루(60)가 상기 위치고정부품(30)들에 의해 위치고정이 되었을 때, 상기 저지조각(40)은 상기 위치고정 위치에 있게 되며, 상기 소직경구간(112)에 위치하게 된다. 상기 기압실린더(50)가 상기 저지조각(40)을 상기 칼자루(60)의 대직경부(622)을 향해 밀때, 상기 저지조각(40)이 상기 대직경부(622)에서 상기 위치고정부품(30)들을 밀게 된 후, 상기 대직경부(622)를 대신하여 위치고정부품(30)을 지속적으로 용치구멍(112)내로 밀어 넣게 되며, 상기 칼자루(60)를 다시 한 번 상기 용치공간(11)내에 삽입시켜 위치 고정을 하고자 할 때, 대직경부(622)를 통해 상기 저지조각(40) 밀어 꼭대기로 올리게 되면 상기 저지조각(40)을 상기 제2단을 향해 밀수 있게 되고, 상기 저지조각(40)이 위치고정부품(30)와 분리되는 동시에 상기 대직경부(622) 역시 상기 위치고정부품(30) 옆을 통과하여 더 깊이 밀려 들어가게 되어 위치고정부품(30)가 손잡이부(621)를 지지할 수 있게 된다. 그 결과 대직경부(622)가 지름방향으로 탄력부품(20)의 탄력을 극복할 필요가 없게 되어 위치고정부품(30)을 밀어 해제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순로롭게 칼자루를 삽입하여 위치고정을 할 수 있어 매우 편리하게 된다.
상술한 내용을 통해, 본 발명인 공구홀더 지지장치는 저지조각의 협조를 통해 탄력부품의 탄력을 지지하며 칼자루를 삽입하거나 뺄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는 수동으로 혹은 아주 약한 동력을 이용한 방법으로도 저지조각을 밀어 칼자루를 삽입하는 작업을 완성할 수 있기 때문에 그 동작이 매우 간편하고 수월하게 된다. 또한 상술한 내용은 서로 다른 실시예나 실예를 들어 제공된 표적물의 서로 다른 특징들을 수립하고 있으며, 또한 본 발명의 이러한 구체적인 실시예나 실예는 결코 이에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신청범위 내에서 가한 어떠한 첨가나 수정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함을 밝혀둔다.
상술된 내용을 종합해 보면, 본 발명인 공구홀더 지지장치는 저지조각의 협조를 통해 탄력부품의 탄력을 지지하며 칼자루를 삽입하거나 뺄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는 수동으로 혹은 아주 약한 동력을 이용한 방법으로도 저지조각을 밀어 칼자루를 삽입하는 작업을 완성할 수 있기 때문에 그 동작이 매우 간편하고 수월한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10: 본체 11: 용치공간 111: 대직경구간
112: 소직경구간 1121: 저지부 113: 추상구간
12: 용치구멍 20: 탄력부품 30: 위치고정부품
40: 저지조각 41: 돌출테두리 42: 위치고정 오목부
50: 기압실린더 60: 칼자루 61: 칼 용치부
62: 위치고정부 621: 손잡이부 622: 대직경부

Claims (10)

  1. 공구홀더 지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공구홀더 지지장치는 공구교환장치가 설치될 수 있어 칼자루를 수납하여 위치고정을 시킬 수 있고, 상기 칼자루의 서로 대응되는 양 끝단에는 칼 용치부와 위치고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위치고정부는 손잡이부와 대직경부를 포함하고, 상기 대직경부는 상기 손잡이부에서 상기 칼 용치부와 비교적 멀리 떨어진 한 끝단에 설치되고, 상기 대직경부의 바깥지름은 상기 손잡이부의 바깥지름보다 크며,
    상기 공구홀더 지지장치는 본체, 최소한 하나의 탄력부품, 최소한 하나의 위치고정부품, 저지조각, 이동수단을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본체는 축방향으로 정의되고 상기 축방향을 따라 용치공간이 개설되며, 상기 본체에는 상기 용치공간의 내벽 지름 방향에서 외부를 향해 최소한 하나의 용치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최소한 하나의 용치구멍과 상기 용치공간은 서로 연통되어 있으며, 상기 본체의 용치공간은 상기 축방향을 따라 서로 대응되는 양 끝단을 각각 제1단과 제2단으로 정의하며, 상기 최소한 하나의 용치구멍은 상기 제1단과 상기 제2단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용치공간의 제1단은 상기 칼자루가 그 위치고정부에 삽입될 수 있도록 제공되며;
    상기 최소한 하나의 탄력부품과 최소한 하나의 위치고정부품은 상기 최소한 하나의 용치구멍 내에 용치되어 설치되며, 상기 최소한 하나의 탄력부품 한 끝단은 탄력을 이용해 상기 최소한 하나의 위치고정부품을 지탱함으로써 상기 최소한 하나의 위치고정부품을 상기 용치공간을 향해 밀어 올리게 되고, 상기 최소한 하나의 위치고정부품은 상기 최소한 하나의 탄력부품의 탄력을 받아 일반적 상태에서 그 일부가 상기 용치공간 내에 위치하게 되며;
    상기 저지조각은 상기 용치공간 내에 용치되어 설치되고, 상기 축방향을 따라 위치고정 위치와 석방위치 사이에서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게 되고, 상기 저지조각은 상기 칼자루의 위치고정부를 꼭대기까지 밀어 올릴 수 있게 제공되며,
    상기 저지조각이 상기 위치고정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저지조각은 상기 최소한 하나의 용치구멍과 상기 제2단 사이에 위치하게 되고, 상기 최소한 하나의 위치고정부품 일부분이 상기 용치공간 내에 위치하여 상기 칼자루의 대직경부가 상기 제1단의 방향을 향해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게 되며;
    상기 저지조각이 상기 석방위치에 있을 때, 상기 저지조각은 지름방향 상에서 상기 최소한 하나의 용치구멍의 일부분과 겹쳐지게 되어 상기 최소한 하나의 위치고정부품이 상기 최소한 하나의 탄력부품을 향해 밀려질 수 있게 하며;
    상기 이동수단은 상기 저지조각이 상기 위치고정 위치에서 상기 석방위치까지 이동할 수 있게 해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구홀더 지지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치공간은 대직경구간과 소직경구간을 포함하고, 상기 대직경구간은 상기 제1단에 비교적 근접해 있고, 상기 소직경구간은 상기 제2단에 비교적 근접해 있으며, 상기 최소한 하나의 용치구멍은 상기 소직경구간과 서로 연통되어 있고, 상기 위치고정 위치 역시 상기 소직경구간내에 위치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구홀더 지지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대직경구간과 상기 소직경구간 사이에는 추상구간이 연결되어 있고, 상기 추상구간의 내부지름은 상기 대직경구간의 한 끝단에서부터 상기 소직경구간의 한 끝단을 향해 점차적으로 축소되는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구홀더 지지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최소한 하나의 용치구멍이 상기 용치공간의 한 끝단 내부지름을 향해 접근하며 점차 축소되어 상기 최소한 하나의 위치고정부품이 상기 최소한 하나의 용치구멍으로부터 완전히 분리되어 나오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구홀더 지지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고정부품은 롤링 볼이며, 상기 탄력부품은 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구홀더 지지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지조각은 상기 제1단의 한 끝과 마주보며 그 주변 테두리에 돌출테두리를 형성하고, 상기 돌출테두리의 지름방향 넓이는 그 자유로운 끝단을 향해 점차 좁아지는 형태가 되며, 이를 통해 상기 돌출테두의 내부표면에 외부로 넓어지는 추상면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구홀더 지지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수단은 기압실린더 혹은 액압실린더를 사용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본체의 제2단 밖에 설치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선택적으로 상기 저지조각과 마주하는 상기 제2단의 단면을 선택적으로 밀어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구홀더 지지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최소한 하나의 용치구멍은 최소한 4개의 상기 용치구멍을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용치구멍들은 서로 간격을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최소한 하나의 탄력부품과 상기 최소한 하나의 위치고정부품은 최소한 4개의 상기 탄력부품과 최소한 4개의 상기 위치고정부품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구홀더 지지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지조각의 외환 벽에 최소한 하나의 위치고정 오목부가 오목한 형태로 설치되며, 상기 최소한 하나의 위치고정 오목부는 상기 최소한 하나의 위치고정부품과 서로 대응되어 있으며, 상기 저지조각이 상기 석방위치에 위치해 있을 때, 상기 최소한 하나의 위치고정부품 일부분이 상기 최소한 하나의 위치고정 오목부 내에 위치하여 위로 꼭대기까지 밀어 올리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구홀더 지지장치.
  10.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소직경구간이 대직경구간에서 비교적 먼 내부지름 내에서 축소되는 형태로 저지부를 형성하게 되고, 이를 통해 상기 저지조각이 상기 용치공간의 제2단 축방향에서 떨어져 나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구홀더 지지장치.
KR1020210043166A 2021-04-02 2021-04-02 공구홀더 지지장치 KR1025911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3166A KR102591126B1 (ko) 2021-04-02 2021-04-02 공구홀더 지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3166A KR102591126B1 (ko) 2021-04-02 2021-04-02 공구홀더 지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37301A KR20220137301A (ko) 2022-10-12
KR102591126B1 true KR102591126B1 (ko) 2023-10-17

Family

ID=835981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43166A KR102591126B1 (ko) 2021-04-02 2021-04-02 공구홀더 지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91126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37134A (ja) * 2000-10-27 2002-05-14 Okuma Corp 工具ポット
JP2017109300A (ja) * 2015-11-24 2017-06-22 ジマティック エセ.エッレ.エレ.GIMATIC S.r.l. ツール交換デバイス
JP2021011007A (ja) * 2019-07-08 2021-02-04 聖杰國際股▲ふん▼有限公司Sanjet International Co.,Ltd. 工作機械の刃物棒のロック及びアンロック構造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37134A (ja) * 2000-10-27 2002-05-14 Okuma Corp 工具ポット
JP2017109300A (ja) * 2015-11-24 2017-06-22 ジマティック エセ.エッレ.エレ.GIMATIC S.r.l. ツール交換デバイス
JP2021011007A (ja) * 2019-07-08 2021-02-04 聖杰國際股▲ふん▼有限公司Sanjet International Co.,Ltd. 工作機械の刃物棒のロック及びアンロック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37301A (ko) 2022-10-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11500B2 (en) Cutting tool
US6601483B2 (en) Automatic bit changing screwdriver
EP3626413B1 (en) Knife
US7172079B1 (en) Magnet rack that can be easily removed from a magnetically attractive surface
US20040045172A1 (en) Replaceable blade knife
AU2002250758A1 (en) Automatic bit changing screwdriver
US4744594A (en) Vacuum handling especially for the use in handling silicon wafers
SE420403B (sv) Anordning for anvendning i samband med avhoppning av fluidum fran eller pafyllning av fluidum i en behallare
KR102591126B1 (ko) 공구홀더 지지장치
KR102121862B1 (ko) 호스 연결용 피팅 장치
KR100869138B1 (ko) 맨드렐 척
CA2394123A1 (en) Implant syringe
CN215548278U (zh) 工具接杆
US4180903A (en) Apparatus for collapsing steam tubes for removal from a steam boiler
KR101462702B1 (ko) 금속 용기를 그리핑하고 핸들링하기 위한 장치
JP7253836B2 (ja) ツールマガジンにおけるツールホルダ保持装置
KR200392534Y1 (ko) 실리콘 건
CN112207600B (zh) 工具机的刀杆锁定及解锁结构
AU2017207515A1 (en) Caulking gun
KR102051781B1 (ko) 메인 열쇠 걸이장치 및 사용방법
KR102306316B1 (ko) 가스기구용 상부 회전형 비돌출 손잡이
CN216415716U (zh) 一种饵料盘固定件
TWI768768B (zh) 刀庫刀把保持裝置
CN209986023U (zh) 一种扩孔整形工装
JP2016198851A (ja) 工具保持部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3101000918;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230427

Effective date: 20230823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