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89376B1 - 콤바인의 언로더 - Google Patents

콤바인의 언로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89376B1
KR102589376B1 KR1020160052431A KR20160052431A KR102589376B1 KR 102589376 B1 KR102589376 B1 KR 102589376B1 KR 1020160052431 A KR1020160052431 A KR 1020160052431A KR 20160052431 A KR20160052431 A KR 20160052431A KR 102589376 B1 KR102589376 B1 KR 1025893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ain
prevention plate
discharge
bin
unloa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524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23154A (ko
Inventor
문현욱
고광호
박태종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동
Priority to KR10201600524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89376B1/ko
Publication of KR201701231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231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93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93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FPROCESSING OF HARVESTED PRODUCE; HAY OR STRAW PRESSES; DEVICES FOR STOR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E
    • A01F12/00Parts or details of threshing apparatus
    • A01F12/46Mechanical grain conveyo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41/00Combines, i.e. harvesters or mowers combined with threshing devices
    • A01D41/06Combines with head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41/00Combines, i.e. harvesters or mowers combined with threshing devices
    • A01D41/12Details of combines
    • A01D41/1208Tanks for grain or chaf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20Off-Road Vehicles
    • B60Y2200/22Agricultural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20Off-Road Vehicles
    • B60Y2200/22Agricultural vehicles
    • B60Y2200/222Harveste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reshing Machine Elements (AREA)

Abstract

콤바인의 언로더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콤바인의 언로더는, 예취와 탈곡 및 선별처리를 거쳐 곡물탱크에 임시 저장된 곡물을 기체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스크류부재가 내설된 반송통과 스크류부재에 의해 반송된 곡물을 외부에 배출하는 배출통을 가지는 콤바인의 언로더에 있어서, 반송통의 곡물 출구에 설치되며 반송통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곡물 출구를 개폐시키는 곡물 손실 방지판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져, 기체 이동 또는 언로더 위치 조정 시 반송통 내 잔류 곡물이 배출통을 통해 외부로 손실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콤바인의 언로더{Unloader of combine}
본 발명은 콤바인의 언로더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예취와 탈곡 및 선별처리를 거쳐 곡물탱크에 임시 저장된 곡물의 기체 외부 반출을 위해 설치되는 콤바인의 언로더에 관한 것이다.
이동하면서 농작물을 베는 일과 탈곡 및 선별하는 일을 동시에 하는 농업기계로서 콤바인이 잘 알려져 있다.
콤바인은 전후좌우로 기동 가능한 주행기체 전방에 작물을 베어 내는 예취(刈取)부를 구비하며, 예취부를 통해 베어진 작물은 주행기체 측으로 반송시켜 탈곡, 선별, 짚처리 및 배출 등의 일련의 처리를 연속적으로 행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콤바인의 예취부에는 작물의 줄기 밑부분을 지면으로부터 일정한 높이로 베어내는 예취수단 바람직하게는, 작동방향이 상반되는 2조의 바리칸 타입(bariquant type)의 예취기를 구비하며, 예취기에 의해 베어진 작물은 예취부를 구성하는 반송수단을 통해 주행기체 측으로 안전하게 반송된다.
주행기체에는 반송된 작물로부터 곡물을 떨어내는 탈곡부, 낟알과 함께 섞인 지푸라기와 같은 이물질을 선별하는 탈곡부 하방의 선별부, 그리고 선별 처리된 곡물을 임시 저장하는 곡물탱크가 구비된다.
즉 탈곡부를 통해 탈곡 처리된 곡물은 하방의 상기 선별부를 거쳐 선별 처리되고 곡물탱크로 반송되어 임시 저장되고, 필요에 따라 언로더(또는 '오거(auger)'라고도 한다)를 통해 외부의 적절한 적재수단에 배출된다.
그러나 언로더를 이용한 곡물 배출 후에도 언로더 내부 바닥에는 일부 곡물이 잔류하며, 잔류한 곡물이 기체 이동 또는 언로더 승강 및 회전 조작 시 진동 등에 의해 언로더 배출 측의 배출통을 통해 외부로 흘러 손실되는 문제가 있다.
일본공개특허 제2011-092146호(공개일 2011. 5. 12) 일본공개특허 제2010-130973호(공개일 2010. 6. 17)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콤바인의 이동 또는 언로더 조정 시 진동 등으로 인하여 언로더 내부 바닥에 잔류하는 곡물이 기외로 흘러 넘쳐 손실되지 않도록 하는 콤바인의 언로더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과제의 해결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예취와 탈곡 및 선별처리를 거쳐 곡물탱크에 임시 저장된 곡물을 기체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스크류부재가 내설된 반송통과 스크류부재에 의해 반송된 곡물을 외부에 배출하는 배출통을 가지는 콤바인의 언로더에 있어서,
예취와 탈곡 및 선별처리를 거쳐 곡물탱크에 임시 저장된 곡물을 기체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스크류부재가 내설된 반송통과 스크류부재에 의해 반송된 곡물을 외부에 배출하는 배출통을 가지는 콤바인의 언로더에 있어서,
곡물의 외부 배출을 허용 또는 차단하도록 상기 반송통의 곡물 출구 측에 설치되는 곡물 손실 방지판을 포함하되, 상기 곡물 손실 방지판이 반송통 길이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곡물 출구를 개방 또는 차단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의 언로더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곡물 손실 방지판은 상기 곡물 출구 전체 또는 일부를 막을 수 있는 형상과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한 일례로서, 상기 반송통의 선단 커버 외측에 방지판 조절 손잡이가 마련되고, 방지판 조절 손잡이와 상기 곡물 손실 방지판이 상기 선단 커버를 관통하는 하나 이상의 연결부재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방지판 조절 손잡이에 의해 개폐 조작되는 곡물 손실 방지판의 개폐를 가이드하는 가이드부재가 상기 반송통 선단의 배출통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지판 조절 손잡이와 반송통 선단 커버 사이에 상기 방지판 조절 손잡이가 곡물 손실 방지판을 위치에 조작한 상태로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디텐트부(Detent part)가 구비될 수 있다.
바람직한 다른 예로서, 상기 곡물 출구 하부의 배출통 일 측벽에 설치되며, 상기 곡물 손실 방지판을 곡물 위치로 탄성 복원시키는 탄성복원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탄성복원장치는, 상기 배출통의 일 측벽을 관통하여 상기 곡물 손실 방지판에 연결되는 환봉형 스프링 가이드; 상기 스프링 가이드의 축 방향 이동을 안내하도록 상기 스프링 가이드가 관통하는 배출통 일 측벽 외면부에 설치되는 통형 가이드; 상기 통형 가이드와 상기 스프링 가이드 선단의 스프링 지지구에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스프링 가이드를 통형 가이드로부터 인출시키는 방향으로 복원력을 발생시키는 스프링;을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콤바인의 언로더에 의하면, 언로더를 통해 곡물 배출 후 언로더 내부 바닥에 잔류하는 곡물이 콤바인의 이동 또는 언로더 조정 시 진동 등에 의해 원치 않게 언로더 밖으로 배출되는 것을 곡물 손실 방지판을 통해 차단할 수 있게 됨으로써, 언로더 내 잔류 곡물의 손실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콤바인 언로더의 배출 측 횡 단면도.
도 2는 도 1의 언로더 배출 측의 평면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언로더를 A-A선 방향에서 바라본 단면도.
도 4는 도 1의 'I'부를 확대 도시한 요부 확대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콤바인 언로더의 배출 측 투시도.
도 6, 도 7은 도 5의 언로더 배출 측에 설치된 곡물 손실 방지판에 의해 곡물 출구가 차단된 상태와 곡물 출구가 개방된 상태를 각각 나타낸 측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콤바인 언로더의 작동 상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더하여, 명세서에 기재된 "…부", "…유닛",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도면 참조부호를 부여하기로 하며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콤바인 언로더의 배출 측 횡 단면도이며, 도 2는 도 1의 언로더 배출 측의 평면도이다. 그리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언로더를 A-A선 방향에서 바라본 단면도이며, 도 4는 도 1의 'I'부를 확대 도시한 요부 확대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예취와 탈곡 및 선별처리를 거쳐 곡물탱크에 임시 저장된 곡물을 기체 외부로 배출시키는 언로더(Unloaser, 또는 '오거(auger)'라고도 함, 1)는 반송통(2)을 포함한다.
반송통(2)은 일단이 기체 측 반송부(곡물탱크에서 기체 상측으로 곡물을 이동시킬 수 있도록 스크류와 이를 둘러싸는 관형 부재로 구성됨) 선단에 회전 및 승강 가능하게 전동장치를 통해 연결되며, 타단에는 반송통(2)을 통해 반송(搬送)된 곡물이 외부에 배출될 수 있도록 배출통(3)이 설치된다.
반송통(2)은 단면 형상이 원형 또는 원호부를 포함하는 상하 비대칭형 중공관 형태로 내부에 곡물이 이송될 수 있는 통로가 형성되며, 배출통(3)은 상기 반송통(2) 선단에 반송통(2)에 대해 수직하게 지상 측을 향하도록 설치되며 지상 측과 마주하는 측이 개구된 단관 형태로 구비된다.
반송통(2) 내측에는 곡물탱크에서 반송통(2)으로 반송된 곡물을 반송통(2) 일측에서 타측으로 반송시키는 스크류부재(4) 설치된다. 스크류부재(4)는 반송통(2)의 중심에 반송통(2)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배치되는 회전축(40)과, 회전축(40) 외연에 부착되는 나선형 블레이드(42)를 포함하는 공지의 구성일 수 있다.
반송통(2)과 배출통(3)이 연통되는 경계부에 형성되는 반송통(2) 선단의 곡물 출구(20)에는 곡물 손실 방지판(5)이 설치된다. 곡물 손실 방지판(5)은 반송통(2) 길이방향에 대해 상기 곡물 출구(20) 일부 또는 전체를 개방하는 위치(곡물 배출 위치(P2))에서 폐쇄하는 위치(곡물 비배출 위치(P1))를 이동하면서 반송통(2)과 배출통(3) 의 상기 곡물 출구(20)를 개폐시킨다.
곡물 손실 방지판(5)이 상기 곡물 출구(20)의 일부 또는 전체를 개방하는 곡물 배출 위치(P2)에 조작되면 상기 스크류부재(4)에 의해 반송통(2)의 일측에서 상기 곡물 출구(20) 측으로 반송된 곡물이 배출통(3)을 외부에 배출될 수 있으며, 상기 곡물 출구(20)의 일부 또는 전체를 폐쇄하는 곡물 비배출 위치(P1)에 조작된 때에는 상기 곡물 출구(20)를 통한 곡물의 임의 배출이 제한된다.
다시 말해, 곡물 손실 방지판(5)을 곡물 비배출 위치(P1)에 위치시킨 경우에는, 언로더(1)를 통한 곡물 배출 후 언로더(1) 내부 바닥에 잔류하는 곡물이 콤바인의 이동 또는 언로더(1) 조정 시 진동 등에 의해 원치 않게 언로더(1) 밖으로 배출되는 것을 원천 차단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언로더(1) 내 잔류 곡물 손실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곡물 손실 방지판(5)은 상기 곡물 출구(20) 전체 또는 일부를 막을 수 있는 형상과 크기의 플레이트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의 예시와 같이 곡물 출구(20) 단면에 대응하여 곡물 출구(20) 하부를 막을 수 있는 반원형 플레이트를 포함하여, 곡물 출구(20) 단면 형상에 따라 이에 대응하여 곡물 출구(20)를 효과적으로 막아줄 수 있는 크기와 모양이라면 특별한 제한은 없다.
반송통(2)의 선단 커버(22) 외측에는 상기 곡물 손실 방지판(5)의 개폐 조작을 위한 방지판 조절 손잡이(6)가 마련된다. 방지판 조절 손잡이(6)는 상기 선단 커버(22)를 관통하여 반송통(2) 내 상기 곡물 손실 방지판(5)을 향하여 수평으로 연장되는 하나 이상의 막대형 연결부재(7)를 통해 상기 곡물 손실 방지판(5)과 연결된다.
이에 따라, 방지판 조절 손잡이(6)를 쥐고 손잡이(6)을 전후로 진퇴 조작할 경우, 상기 방지판 조절 손잡이(6)의 진퇴 조작력이 연결부재(7)를 통해 상기 곡물 손실 방지판(5)에 전달되며, 이에 따라 상기 곡물 손실 방지판(5)을 곡물 배출 위치(P2) 또는 곡물 비배출 위치(P1) 중 원하는 위치에 간편하게 위치시켜 목적하는 작업(곡물 배출 또는 주행 등)을 수행할 수 있다.
방지판 조절 손잡이(6)를 밀거나 당겨 반송통 내 곡물 손실 방지판(5)의 위치를 가변시키는 조작에 있어, 상기 곡물 손실 방지판(5)의 자체 무게로 인하여 배출통(3) 내에서 처짐이 발생할 수 있고, 이에 따라 개폐 조작이 원활히 이루어지지 못하는 것은 물론, 비배출 위치(P1)에서 곡물 출구(20)의 바닥부를 완벽하게 차단하지 못해 곡물 손실이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반송통(2) 선단의 상기 배출통(3)에는 상기 곡물 손실 방지판(5)의 원활한 슬라이드 개폐를 안내함과 동시에, 곡물 손실 방지판(5)이 자중에 의해 아래쪽으로 처지지 않도록 지지하는 가이드부재(8)가 설치될 수 있다. 이때 가이드부재(8)는 상기 반송통(2) 선단의 배출통(3)에 곡물 손실 방지판(5)이 이동되는 방향으로 길게 설치될 수 있다.
가이드부재(8)는 곡물 손실 방지판(5)을 하부에서 지지하는 구조로 하나 이상 마련될 수 있으며, 곡물 손실 방지판(5)이 곡물 배출 위치(P2)에 조작된 때 배출되는 곡물의 이동에 방해가 되지 않도록 단면이 원형 또는 삼각이상 다각형인 가늘고 긴 막대형 구조로 제공될 수 있다.
방지판 조절 손잡이(6)와 반송통(2) 선단 커버(22) 사이에는 상기 방지판 조절 손잡이(6)가 곡물 손실 방지판(5)을 비배출 위치(P1)에 조작한 상태로 고정될 수 있도록 결속쇠(90)와 상기 결속쇠(90)에 대응하여 결속쇠(90)가 맞물릴 수 있는 구조의 오목한 결속부(922)가 형성된 결속부재(92)로 구성되는 디텐트부(Detent part, 9)가 구비될 수 있다.
결속쇠(90)는 손잡이(6)에 고정될 수 있으며, 결속부재(92)는 손잡이(6)와 마주하는 반송통(2)의 선단 커버(22)의 일면에 결착될 수 있다. 물론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반대로, 결속쇠(90)가 반송통(2)의 선단 커버 외측에 설치되고, 결속쇠(90)와 마주하여 결속부(922)가 위치하도록 손잡이(6)이 일면에 결속부재(92)가 설치될 수도 있다.
결속쇠(90)는 단면이 원형 또는 각형인 막대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결속부재(92)의 결속부(922)는 상기 결속쇠(90)와 마주하는 측이 결속쇠(90)의 외경보다 작은 크기로 개구된 C형 탄성링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결속쇠(90) 진입 시 결속부(922)의 개방단(920a, 920b)이 외측으로 벌어졌다가 결속쇠(90)가 완전히 진입하고 나면 원래의 위치로 되돌아와 결속쇠(90)를 구속한다.
물론, 디텐트부가 위와 같은 구조로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들 들어, 스프링 지지를 받는 볼을 갖춘 이너 샤프트가 상기 볼에 대응하는 구멍이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 아우터 튜브에 삽입되어 신축되는 구조를 포함하여 다양한 변형이 있을 수 있다.
다음 본 발명에 따른 콤바인 언로더의 제2 실시 예에 대해 살펴본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콤바인 언로더의 배출 측 투시도이며, 도 6, 도 7은 도 5의 언로더 배출 측에 설치된 곡물 손실 방지판에 의해 곡물 출구가 차단된 상태와 곡물 출구가 개방된 상태를 각각 나타낸 측면도이다. 그리고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콤바인 언로더의 작동 상태도이다.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콤바인 언로더(1)는 전술한 제1 실시 예와 마찬가지로, 스크류부재(4)가 내설된 반송통(2)과 반송통(2) 선단 설치되는 배출통(3)을 포함한다. 그리고 반송통(2) 선단의 곡물 출구(20)를 개방하거나 차단하여 곡물 배출을 허용하거나 곡물 배출을 제한하는 곡물 손실 방지판(5)을 구비한다.
다만 방지판 조절 손잡이(6)를 통해 곡물 손실 방지판(5)을 수동 개폐시키는 제1 실시 예와는 다르게, 언로더(1)의 곡물 배출 조작 시 상기 스크류부재(4)의 회전에 의해 반송통(2) 내부의 반송 경로를 따라 상기 곡물 출구(20) 측으로 밀려나오는 곡물에 의해 자동으로 곡물 손실 방지판(5)이 개방되고, 곡물 배출이 멈추면 원래의 곡물 비배출 위치(P1)로 탄성 리턴되어 곡물 출구(20)를 막도록 구성된 점이 다르다.
이를 위해 도 5 내지 도 8에 예시된 제2 실시 예는, 곡물 손실 방지판(5)을 곡물 비배출 위치(P1)에 탄성 복원시키는 복원력을 제공하도록 상기 곡물 출구(20) 하부의 배출통(3) 일 측벽에 설치되는 탄성복원장치(10)를 포함할 수 있다.
탄성복원장치(10)는 바람직하게, 환봉형 스프링 가이드(102), 통형 가이드(104), 스프링(106) 바람직하게는 압축 스프링을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환봉형 스프링 가이드(102)는 상기 배출통(3)의 일 측벽을 관통하여 상기 곡물 손실 방지판(5)에 연결되며, 스프링 가이드(102)의 축 방향 이동을 안내하도록 상기 스프링 가이드가 관통하는 배출통(3) 일 측벽 외면부에 상기 통형 가이드(104)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스프링(106)은 통형 가이드(104)와 스프링 지지구(103)에 사이에 개재되어 통형 가이드(104)에 대해 환봉형 스프링 가이드(102)를 인출시키는 방향으로 복원력을 발생시킨다.
즉 스프링(106)은 곡물 배출 시 스크류부재(4)에 의해 곡물 출구(20) 측으로 강제 반송되는 곡물로 곡물 손실 방지판(5)이 곡물 배출 위치(P2)로 밀려났을 때 압축되어 탄성 에너지를 저장하고, 스크류부재(4) 회전이 멈추면 상기 스프링 가이드를 통해 곡물 손실 방지판(5)을 곡물 비배출 위치(P1)에 리턴시키는 방향으로 탄성 복원시킬 수 있도록 복원력을 발생시킨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는 도 8과 같이 스크류부재(4)의 회전에 따라 곡물 출구(20) 측으로 밀려나오는 곡물에 의해 자동으로 곡물 손실 방지판(5)이 곡물 배출 위치(P2)로 밀려나 곡물이 배출되고, 곡물 배출이 멈추면 곡물 손실 방지판(5)이 원래의 위치로 탄성 리턴되어 곡물 출구(20)를 차단하는 구성으로, 전술한 제1 실시 예의 수동식 구조에 비해 조작 편의 측면에서 유리한 구조이다.
이상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콤바인의 언로더에 의하면, 언로더를 통해 곡물 배출 후 언로더 내부 바닥에 잔류하는 곡물이 콤바인의 이동 또는 언로더 조정 시 진동 등에 의해 원치 않게 언로더 밖으로 배출되는 것을 곡물 손실 방지판을 통해 차단할 수 있게 됨으로써, 언로더 내 잔류 곡물의 손실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의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그에 따른 특별한 실시 예에 대해서만 기술하였다. 하지만 본 발명은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특별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 언로더 2: 반송통
3: 배출통 4: 스크류부재
5: 곡물 손실 방지판 6: 방지판 조절 손잡이
7: 연결부재 8: 가이드부재
9: 디텐트부 10: 탄성복원장치
20: 곡물 출구 22: 선단 커버
40: 회전축 42: 블레이드
102: 환봉형 스프링 가이드 104: 통형 가이드
106: 스프링

Claims (8)

  1. 예취와 탈곡 및 선별처리를 거쳐 곡물탱크에 임시 저장된 곡물을 기체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스크류부재가 내설된 반송통과 스크류부재에 의해 반송된 곡물을 외부에 배출하는 배출통을 가지는 콤바인의 언로더에 있어서,
    곡물의 외부 배출을 허용 또는 차단하도록 상기 반송통과 배출통의 경계부인 반송통 선단의 곡물 출구 측에 설치되는 곡물 손실 방지판;
    상기 반송통의 선단 커버 외측에 마련되는 방지판 조절 손잡이;
    상기 선단 커버를 관통하여 상기 방지판 조절 손잡이와 상기 곡물 손실 방지판을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연결부재; 및
    상기 곡물 손실 방지판이 곡물 비배출 위치에 조작된 상태로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방지판 조절 손잡이와 반송통 선단 커버 사이에 설치되는 디텐트부;를 포함하며,
    상기 방지판 조절 손잡이의 진퇴 조작에 따라 상기 곡물 출구를 개방 또는 차단하도록 상기 곡물 손실 방지판이 상기 반송통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되고,
    상기 디텐트부는 상기 방지판 조절 손잡이 또는 선단 커버의 일면에 설치되는 결속쇠와, 상기 결속쇠에 대응하여 결속쇠가 맞물릴 수 있는 구조의 오목한 결속부를 가지면서 상기 선단 커버의 일면 또는 방지판 조절 손잡이에 설치되는 결속부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의 언로더.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곡물 손실 방지판은 상기 곡물 출구 전체 또는 일부를 막을 수 있는 형상과 크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의 언로더.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방지판 조절 손잡이에 의해 개폐 조작되는 곡물 손실 방지판의 개폐를 가이드하는 가이드부재가 상기 반송통 선단의 배출통 내에 수평으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의 언로더.
  5. 삭제
  6. 삭제
  7. 예취와 탈곡 및 선별처리를 거쳐 곡물탱크에 임시 저장된 곡물을 기체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스크류부재가 내설된 반송통과 스크류부재에 의해 반송된 곡물을 외부에 배출하는 배출통을 가지는 콤바인의 언로더에 있어서,
    곡물의 외부 배출을 허용 또는 차단하도록 상기 반송통과 배출통의 경계부인 반송통 선단의 곡물 출구 측에 설치되며, 반송통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곡물 출구를 개방 또는 차단하도록 구성된 곡물 손실 방지판; 및
    상기 곡물 출구 하부의 배출통 일 측벽에 설치되며, 상기 곡물 손실 방지판을 곡물 비배출 위치로 탄성 복원시키는 탄성복원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탄성복원장치는,
    상기 배출통의 일 측벽을 관통하여 상기 곡물 손실 방지판에 연결되는 환봉형 스프링 가이드와,
    상기 스프링 가이드의 축 방향 이동을 안내하도록 상기 스프링 가이드가 관통하는 배출통 일 측벽 외면부에 설치되는 통형 가이드와,
    상기 통형 가이드와 상기 스프링 가이드 선단의 스프링 지지구에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스프링 가이드를 통형 가이드로부터 인출시키는 방향으로 복원력을 발생시키는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의 언로더.
  8. 삭제
KR1020160052431A 2016-04-28 2016-04-28 콤바인의 언로더 KR1025893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2431A KR102589376B1 (ko) 2016-04-28 2016-04-28 콤바인의 언로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2431A KR102589376B1 (ko) 2016-04-28 2016-04-28 콤바인의 언로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3154A KR20170123154A (ko) 2017-11-07
KR102589376B1 true KR102589376B1 (ko) 2023-10-16

Family

ID=603848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52431A KR102589376B1 (ko) 2016-04-28 2016-04-28 콤바인의 언로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89376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08846A (ja) * 2003-04-09 2004-11-04 Denso Corp シフト制御システムおよびシフト制御方法
JP2010130973A (ja) * 2008-12-05 2010-06-17 Kubota Corp コンバインの伸縮式穀粒排出オーガ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75643A (ja) * 1996-09-03 1998-03-24 Iseki & Co Ltd 穀粒排出装置を備えたコンバイン
JP2011092146A (ja) 2009-10-30 2011-05-12 Mitsubishi Agricult Mach Co Ltd コンバイン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08846A (ja) * 2003-04-09 2004-11-04 Denso Corp シフト制御システムおよびシフト制御方法
JP2010130973A (ja) * 2008-12-05 2010-06-17 Kubota Corp コンバインの伸縮式穀粒排出オー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3154A (ko) 2017-1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E2245602C2 (de) Zwischen Mäh- und Dreschwerk eines Mähdreschers angeordnete Zuführungseinrichtung für Erntegut
EP2022310A1 (de) Zwischen Breitverteil- und Auswurfkrümmerbetrieb umschaltbare Erntegutresteabgabeanordnung für einen Mähdrescher
DE102021101384B3 (de) System zum Transport von sterilen schüttfähigen Verschlusselementen
US9038814B2 (en) Grain saver catch for an agricultural combine
RU2692639C2 (ru) Сельскохозяйственный элеватор, снабженный множеством поперечных шнеков
DE3319138A1 (de) -axial-dresch- und trennanordnung fuer maehdrescher mit einer vorrichtung zum zerkleinern des strohs und zum ausbreiten des zerkleinerten strohs auf dem boden
KR102589376B1 (ko) 콤바인의 언로더
US9591806B2 (en) Agricultural header with multiple finger infeed assembly
WO2020080265A1 (ja) コンバイン
EP1050206A1 (de) Erntemaschine
DE2235061C3 (de) Oberhalb des Hordenschüttlers von Mähdreschern angeordnete Umleitvorrichtung
JP2011147406A (ja) コンバインの排藁処理装置
CN110169255B (zh) 可移除的螺旋输送器槽
DE102015116655A1 (de) Mähdrescher
KR20200081233A (ko) 수확기
US10412894B2 (en) Grain processing assembly for a combine
JP2020000076A (ja) コンバイン
KR101743100B1 (ko) 탈곡판, 이를 갖는 탈곡 장치 및 이를 갖는 콤바인
RU164077U1 (ru) Очистка комбайна для уборки зерновых культур
JP7178967B2 (ja) 収穫機
JP6715890B2 (ja) 全稈投入型コンバイン
JP7103399B2 (ja) コンバイン
EP3000309B1 (de) Mähdrescher mit einer nach dem axialflussprinzip arbeitenden abscheideeinrichtung zur separierung von bestandteilen eines erntegutstromes
EP2033509A1 (de) Mähdrescher mit einer Vorrichtung zum Abscheiden von Fremdkörpern
JP2009017815A (ja) コンバインの排ワラ処理部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