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81233A - 수확기 - Google Patents

수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81233A
KR20200081233A KR1020190153235A KR20190153235A KR20200081233A KR 20200081233 A KR20200081233 A KR 20200081233A KR 1020190153235 A KR1020190153235 A KR 1020190153235A KR 20190153235 A KR20190153235 A KR 20190153235A KR 20200081233 A KR20200081233 A KR 202000812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hreshing
lock
cover
locking mechanism
sor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532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사유키 다카기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18245764A external-priority patent/JP6999539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8245763A external-priority patent/JP7001580B2/ja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filed Critical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Publication of KR202000812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8123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FPROCESSING OF HARVESTED PRODUCE; HAY OR STRAW PRESSES; DEVICES FOR STOR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E
    • A01F12/00Parts or details of threshing apparatus
    • A01F12/44Grain cleaners; Grain separators
    • A01F12/446Siev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FPROCESSING OF HARVESTED PRODUCE; HAY OR STRAW PRESSES; DEVICES FOR STOR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E
    • A01F12/00Parts or details of threshing apparatus
    • A01F12/44Grain cleaners; Grain separato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41/00Combines, i.e. harvesters or mowers combined with threshing devices
    • A01D41/12Details of combin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FPROCESSING OF HARVESTED PRODUCE; HAY OR STRAW PRESSES; DEVICES FOR STOR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E
    • A01F12/00Parts or details of threshing apparatus
    • A01F12/46Mechanical grain conveyo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FPROCESSING OF HARVESTED PRODUCE; HAY OR STRAW PRESSES; DEVICES FOR STOR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E
    • A01F12/00Parts or details of threshing apparatus
    • A01F12/60Grain tank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reshing Machine Elements (AREA)

Abstract

피처리물 회수부의 점검구를 용이하게 개폐할 수 있는 수확기를 제공한다.
탈곡 장치의 저부(31)에 있어서 횡이송 스크루(24)의 하방에 형성된 제1 점검구(61)와, 제1 점검구(61)의 개구면을 따라 이동시킴으로써, 제1 점검구(61)를 폐쇄하는 폐쇄 위치와 제1 점검구를 개방하는 개방 위치로 전환 가능한 제1 덮개부(71)와, 로크 조작구(81)를 갖고, 제1 덮개부(71)를 폐쇄 위치에 고정하는 로크 상태와, 로크 상태를 해제하는 해제 상태로 전환 가능한 로크 기구(80)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피처리물의 회수부의 점검구를 폐쇄하는 덮개부를 용이하게 개폐 가능하게 한다.
탈곡 장치의 저부(1031)에 있어서 횡이송 스크루(1026)의 하방에 형성된 점검구(1061)와, 점검구(1061)를 덮는 덮개부(1071)와, 로크 조작구(1081)를 갖고, 당해 로크 조작구(1081)의 조작에 의해 덮개부(1071)를 폐쇄 위치에 고정하는 로크 상태와, 로크 상태를 해제하는 해제 상태로 전환 가능한 로크 기구(1080)를 구비하고, 덮개부(1071)는, 횡이송 스크루(1026)의 축심 X에 평행한 지지축부(1036) 주위로 상하 요동 가능하도록 지지축부(1036)에 외팔보 지지되고, 또한 하방으로 요동하여 점검구(1061)를 개방하는 개방 위치와, 상방으로 요동하여 점검구(1061)를 폐쇄하는 폐쇄 위치로 전환 가능하고, 로크 기구는, 로크 조작구(1081)의 조작에 의해 덮개부(1071)를 축심 X방향을 따라 이동시킴으로써, 로크 상태와 해제 상태가 전환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Description

수확기{HARVESTING MACHINE}
본 발명은, 급동에 의해 탈곡 처리를 행함과 함께 수망에 의해 피처리물을 누하 선별하는 탈곡 처리부와, 탈곡 처리부의 하방에 마련되어, 수망으로부터 누하된 피처리물을 선별 처리하는 선별 처리부를 갖는 탈곡 장치가 구비된 수확기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수확기에서는, 선별 처리된 피처리물을 회수하는 회수부로서 1번물 회수부나 2번물 회수부 등이 구비되어 있다. 이들 회수부에는, 통상, 피처리물을 반송하는 횡이송 스크루가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메인터넌스 작업이 필요한 경우가 있다. 특허문헌 1에는 탈곡 장치에 있어서 1번물 회수부의 하부에 점검구가 마련되고, 당해 점검구를 개폐하는 덮개부를 구비하는 수확기의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이와 같은 수확기에서는, 선별 처리된 피처리물을 회수하는 회수부로서 1번물 회수부나 2번물 회수부 등이 구비되어 있다. 이들 회수부에는, 피처리물을 반송하는 횡이송 스크루가 구비되어 있고, 메인터넌스 작업이 필요하다. 특허문헌 1에는 탈곡 장치에 있어서 1번물 회수부의 하부에 점검구가 마련되고, 당해 점검구를 개폐하는 덮개부를 구비하는 수확기의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덮개부는, 횡이송 스크루의 축심에 평행한 지지축부 주위로 상하 요동 가능하도록 지지축부에 외팔보 지지되고, 또한 하방으로 요동하여 점검구를 개방하는 개방 위치와, 상방으로 요동하여 상기 점검구를 폐쇄하는 폐쇄 위치로 전환 가능하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18-82650호 공보
상기한 특허문헌 1에 개시되는 수확기에서는, 점검구에 대하여 덮개부를 폐쇄 위치에 고정하는 고정구로서 복수의 버클 부재가 탈곡 장치의 저부에 마련되어 있다. 덮개부는 기체 전후 방향의 일측을 지지점으로 하여 상하로 요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덮개부는, 버클 부재를 해제한 후에, 하방으로 요동함으로써 개방 위치로 된다. 한편, 개방 위치의 덮개부를 폐쇄 위치로 하기 위해서는, 작업자는, 덮개부를 상방으로 요동시켜 폐쇄 위치에 보유 지지하면서, 버클 부재에 의한 위치 고정을 행하게 된다. 이와 같이, 덮개부를 폐쇄 위치에 고정하기 위해서는, 작업자는 두 동작을 동시에 행할 필요가 있어, 조작이 번잡해진다. 또한, 점검구 및 덮개부가 크고 덮개부의 중량이 무거운 경우에는, 덮개부를 상방으로 요동시켜 폐쇄 위치에 보유 지지하는 조작 자체도 용이하지 않다. 이와 같이, 점검구는 덮개부를 사용하여 개폐하는 데 있어서 개선의 여지가 있었다.
그래서, 본 발명에서는, 피처리물 회수부의 점검구를 용이하게 개폐할 수 있는 수확기를 제공하려고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한 특허문헌 1에 개시되는 수확기에서는, 점검구에 대하여 덮개부를 폐쇄 위치에 고정하는 고정구로서 복수의 버클 부재가 탈곡 장치의 저부에 마련되어 있고, 덮개부를 폐쇄 위치에 로크(위치 고정)하기 위해서는, 덮개부가 하방으로 늘어지지 않도록 위치 보유 지지한 상태로, 버클 부재에 의한 고정 조작을 행할 필요가 있다. 또한, 로크 해제의 경우, 버클 부재를 조작하기 위해 덮개부의 하방에 손을 넣었을 때에, 버클 부재에 의한 고정을 해제한 순간에 덮개부가 자중에 의해 급격하게 하방으로 늘어지지 않도록, 덮개부의 자중에 대향할 정도의 상승력을 덮개부에 부여하면서, 버클 조작구를 조작하거나 했다. 덮개부는, 내마모성이 요구되기 때문에, 무거워지는 경향이 있고, 예를 들어 한손으로 덮개 부재를 확실히 파지하면서, 다른 한손으로 버클을 조작하는 것은, 작업자의 부담으로 되고 있었다. 또한, 버클 부재는, 탈곡 장치의 하방 위치에 손을 삽입하여 조작할 필요가 있어, 무리한 자세를 취할 수밖에 없는 장면도 있으며, 이 점에서도 작업차의 부담으로 되는 경우도 있었다. 이와 같이, 덮개부의 조작성에 있어서 개선의 여지가 있었다.
그래서, 본 발명에서는, 피처리물 회수부에 형성된 점검구를 용이하게 개폐할 수 있는 수확기를 제공하려고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수확기는,
급동에 의해 탈곡 처리를 행함과 함께 수망에 의해 피처리물을 누하 선별하는 탈곡 처리부와, 상기 탈곡 처리부의 하방에 마련되어, 상기 수망으로부터 누하된 피처리물을 선별 처리하는 선별 처리부를 갖는 탈곡 장치가 구비되고, 상기 선별 처리부에, 피처리물을 후방으로 이송하면서 요동 선별하는 요동 선별 장치와, 상기 요동 선별 장치의 하방에 마련되어, 상기 요동 선별 장치에 의해 선별된 탈곡물을 횡이송 반송하여 상기 탈곡 장치 밖으로 내보내는 횡이송 스크루를 갖고, 상기 탈곡 장치의 저부에 있어서 상기 횡이송 스크루의 하방에 형성된 제1 점검구와, 상기 제1 점검구의 개구면을 따라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제1 점검구를 폐쇄하는 폐쇄 위치와 상기 제1 점검구를 개방하는 개방 위치와에 전환 가능한 제1 덮개부와, 로크 조작구를 갖고, 상기 제1 덮개부를 상기 폐쇄 위치에 고정하는 로크 상태와, 상기 로크 상태를 해제하는 해제 상태로 전환 가능한 로크 기구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구성에서는, 제1 덮개부는 제1 점검구의 개구면을 따라 이동시킬 수 있으므로, 제1 덮개부를 원활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제1 덮개부는 폐쇄 위치가 저부의 최하 위치로 되는 점에서, 제1 덮개부는 폐쇄 위치에 있어서 탈곡 장치의 저부에 보유 지지되는 상태로 된다. 따라서, 폐쇄 위치의 제1 덮개부를, 예를 들어 한손으로 지지하여 위치 보유 지지하지 않고, 제1 덮개부의 폐쇄 위치에 고정하는 조작을 단독으로 행함으로써, 제1 덮개부를 폐쇄 위치에 고정할 수 있다. 이로써, 작업자는, 제1 덮개부에 대하여 두 조작을 동시에 행하지 않고, 제1 덮개부를 폐쇄 위치에 고정할 수 있다. 그 결과, 피처리물 회수부의 점검구를 용이하게 개폐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1 덮개부는, 상기 횡이송 스크루의 축심 주위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으면 적합하다.
제1 덮개부를 횡이송 스크루의 축심 방향으로 이동시킨 경우에는, 제1 덮개부는 개방 위치에 있어서, 탈곡 장치의 좌우 측방으로부터 외측으로 인출할 필요가 있어, 탈곡 장치의 외부에 그것을 위한 스페이스가 필요해진다. 그러나, 본 구성에 의하면, 제1 덮개부는, 기체의 전후 방향을 따라 이동하게 되기 때문에, 탈곡 장치의 좌우 방향의 폭 내에 있어서 개방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즉, 제1 덮개부는 탈곡 장치의 외부로 인출되는 경우가 없다. 이로써, 예를 들어 수확기의 보관 장소 등과 같이, 수확기의 주위에 스페이스를 확보할 수 없는 경우라도, 제1 덮개부에 의해 제1 점검구를 개폐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탈곡 장치의 상기 저부가, 상기 제1 덮개부에 있어서 이동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의 양단측을 지지하면서 상기 제1 덮개부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 레일을 구비하면 적합하다.
본 구성에 의하면, 제1 덮개부는 가이드 레일에 의해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1 덮개부는, 상기 개방 위치로의 이동 방향과는 반대측의 단부에, 상기 제1 점검구의 에지부에 걸림 고정되는 걸림 고정부를 가지면 적합하다.
본 구성에 의하면, 제1 덮개부를 개방 위치로부터 폐쇄 위치로 이동시킬 때에, 제1 점검구의 에지부에 제1 덮개부의 걸림 고정부가 걸림 고정됨으로써, 제1 덮개부를 폐쇄 위치에 보유 지지하는 보유 지지력을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탈곡 장치 중 기체 외주측에 위치하는 기체 측부에 있어서 상기 횡이송 스크루보다도 상방 위치에 형성된 제2 점검구와, 상기 제2 점검구를 폐쇄하는 착탈 가능한 제2 덮개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덮개부는, 상기 로크 기구가 해제 상태일 때에, 상기 제2 점검구로부터 착탈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으면 적합하다.
횡이송 스크루의 하방에 형성된 제1 점검구의 개폐 조작은, 통상, 탈곡 장치의 하방측으로부터 행할 필요가 있다. 단, 탈곡 장치의 하방측은 작업 스페이스가 좁기 때문에, 제1 점검구의 개폐 조작은 용이하지 않다. 한편, 본 구성에 의하면, 횡이송 스크루보다도 상방 위치에 형성된 제2 점검구로부터 제1 덮개부의 착탈이 가능하므로, 작업자는 편한 자세로 제2 점검구로부터 제1 덮개부를 착탈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로크 조작구는, 상기 기체 측부 측으로부터 조작 가능하면 적합하다.
본 구성에 의하면, 로크 기구를 로크 상태 및 해제 상태로 하는 로크 조작구의 조작이, 기체 측부 측으로부터 편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수확기는,
급동에 의해 탈곡 처리를 행함과 함께 수망에 의해 피처리물을 누하 선별하는 탈곡 처리부와, 상기 탈곡 처리부의 하방에 마련되어, 상기 수망으로부터 누하된 피처리물을 선별 처리하는 선별 처리부를 갖는 탈곡 장치가 구비되고, 상기 선별 처리부에, 피처리물을 후방으로 이송하면서 요동 선별하는 요동 선별 장치와, 상기 요동 선별 장치의 하방에 마련되어, 상기 요동 선별 장치에 의해 선별된 탈곡물을 횡이송 반송하여 상기 탈곡 장치 밖으로 내보내는 횡이송 스크루를 갖고, 상기 탈곡 장치의 저부에 있어서 상기 횡이송 스크루의 하방에 형성된 점검구와, 상기 점검구를 덮는 덮개부와, 로크 조작구를 갖고, 당해 로크 조작구의 조작에 의해 상기 덮개부를 폐쇄 위치에 고정하는 로크 상태와, 상기 로크 상태를 해제하는 해제 상태로 전환 가능한 로크 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덮개부는, 상기 횡이송 스크루의 축심에 평행한 지지축부 주위로 상하 요동 가능하도록 상기 지지축부에 외팔보 지지되고, 또한 하방으로 요동하여 상기 점검구를 개방하는 개방 위치와, 상방으로 요동하여 상기 점검구를 폐쇄하는 폐쇄 위치로 전환해 가능하고, 상기 로크 기구는, 상기 로크 조작구의 조작에 의해 상기 덮개부를 상기 축심 방향을 따라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로크 상태와 상기 해제 상태가 전환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구성에 의하면, 로크 조작구를 갖고 덮개부를 단순히 축심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킨다는 간단한 조작만으로, 로크 상태와 해제 상태를 전환할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의 부담이 줄어, 점검구를 용이하게 개폐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로크 기구는, 상기 로크 조작구로부터 먼 측에 마련되는 제1 로크부와, 상기 로크 조작구에 가까운 측에 마련되는 제2 로크부를 가지면 적합하다.
본 구성에 의하면, 로크 기구는, 덮개부를 로크 조작구의 위치를 기준으로 하여 먼 측과 가까운 측의 2위치에 있어서 로크 상태로 할 수 있다. 이로써, 덮개부는 폐쇄 위치에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수확기에 있어서, 상기 로크 기구는, 상기 제1 로크부보다도 상기 제2 로크부가 먼저 해제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면 적합하다.
제1 로크부는 로크 조작구로부터 먼 측에 존재하고, 제2 로크부는 로크 조작구에 가까운 측에 존재한다. 가령, 제1 로크부가 제2 로크부보다도 먼저 해제되면, 덮개부는 로크 조작구와 제2 로크부에 의해 지지된다. 제2 로크부는 로크 조작구에 가까운 측이므로, 덮개부는 로크 조작구의 측에 치우친 부위에 있어서 지지되어, 덮개부의 지지 밸런스가 나빠진다. 한편, 본 구성과 같이, 제2 로크부가 제1 로크부보다도 먼저 해제되는 구성이면, 제2 로크부가 해제된 때에, 덮개부는 로크 조작구와 제1 로크부에 의해 지지된다. 이 경우는, 제1 로크부는 제2 로크부보다도 로크 조작구로부터 이격되어 있기 때문에, 덮개부의 지지 밸런스가 양호해진다. 따라서, 본 구성에 의해, 덮개부는 로크 상태를 해제할 때에 원활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로크 기구는, 상기 제1 로크부가, 상기 덮개부의 일단부와, 상기 덮개부의 상기 일단부를 상기 폐쇄 위치에 보유 지지하는 적재부와, 상기 적재부에 연속해서 마련되어 상기 적재부보다도 낮은 위치로부터 상기 덮개부의 상기 일단부를 상기 적재부로 안내하는 안내부에 의해 구성되고, 상기 제2 로크부가, 상기 덮개부에 마련된 걸림 결합부와, 상기 저부에 마련된 피걸림 결합부에 의해 구성되어 있으면 적합하다.
본 구성에 의하면, 제1 로크부는, 덮개부의 일단부가, 적재부 및 안내부에 올라 탐으로써 폐쇄 위치에 보유 지지되는 간이한 구성이고, 제2 로크부는, 당해 폐쇄 위치로 된 덮개부가 걸림 결합부 및 피걸림 결합부의 걸림 결합에 의해 로크되게 된다. 즉, 제2 로크부의 걸림 결합 동작을 향하고, 제1 로크부에 의해 덮개부가 걸림 결합 태세를 향하도록 안내되어, 해제 상태로부터 로크 상태(걸림 결합)으로의 이행을 원활하고 또한 확실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로크 상태로부터 해제 상태로의 이행에 대해서는, 제2 로크부의 걸림 결합이 해제되어도, 갑자기 덮개부가 하방으로 낙하 요동하지 않고, 제1 로크부에 의한 지지에 의해, 갑작스런 낙하 요동이 방지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로크 기구는, 상기 덮개부의 이동을 소정 범위로 규제하는 이동 규제부를 가지면 적합하다.
본 구성에 의하면, 덮개부의 이동이 이동 규제부를 따라 소정 범위로 규제되므로, 덮개부를 슬라이드 이동시킬 때에 덮개부가 다른 부재에 충돌하는 문제를 피할 수 있다.
도 1은 자탈형 콤바인을 도시하는 좌측면도이다.
도 2는 자탈형 콤바인을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3은 탈곡 장치의 내부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측단면도이다.
도 4는 탈곡 장치의 후방부의 측단면도이다.
도 5는 1번물 회수부의 저부의 평면도이다.
도 6은 1번물 회수부의 저면도이다.
도 7은 1번물 회수부의 저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1번물 회수부의 주요부의 측단면도이다.
도 9는 1번물 회수부의 주요부의 측단면도이다.
도 10은 자탈형 콤바인을 도시하는 좌측면도이다.
도 11은 자탈형 콤바인을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12는 탈곡 장치의 내부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좌측면도이다.
도 13은 탈곡 장치의 후방부의 측단면도이다.
도 14는 2번물 회수부의 저부의 평면도이다.
도 15는 2번물 회수부의 저면도이다.
도 16은 기체 전방에서 본 2번물 회수부의 저부를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17은 기체 후방에서 본 2번물 회수부의 저부를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18은 2번물 회수부의 주요부의 측단면도이다.
도 19는 2번물 회수부의 주요부의 측단면도이다.
도 20은 2번물 회수부의 저부에 있어서의 덮개부의 이동 동작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관한 수확기의 일례로서의 자탈형 콤바인의 실시 형태를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의 설명에 있어서의 전후 방향 및 좌우 방향은, 특별한 설명이 없는 한, 다음과 같이 정의하고 있다. 본 발명을 적용한 자탈형 콤바인의 작업 주행 시에 있어서의 전진측의 진행 방향(도 1에 있어서의 화살표 F 참조)이 「전」, 후진측으로의 진행 방향(도 1에 있어서의 화살표 B 참조)이 「후」, 그 전후 방향에서의 전방향 자세를 기준으로 한 우측에 상당하는 방향(도 2에 있어서의 화살표 R 참조)이 「우」, 마찬가지로 좌측에 상당하는 방향(도 2에 있어서의 화살표 L 참조)이 「좌」이다. 따라서, 기체 좌우 방향이 주행 기체 횡폭 방향에 대응한다.
〔콤바인의 전체 구성〕
도 1 및 도 2에 도시되는 자탈형 콤바인은, 기체 프레임(1)과, 기체 프레임(1)을 지지하는 주행 장치(2)를 구비하고 있다. 기체의 전방부에 있어서의 우측에는 탑승 운전부(3)가 마련되어 있다. 탑승 운전부(3)에는, 조종 조작구(도시하지 않음) 및 운전 좌석(4)과, 조종 조작구 및 운전 좌석(4)을 덮는 캐빈(5)이 구비되어 있다. 운전 좌석(4)의 하방에는 엔진(도시 생략)이 마련되어 있다.
탑승 운전부(3)의 전방에는, 포장의 작물을 수확하는 수확부(6)가 마련되어 있다. 탑승 운전부(3)의 후방에는, 곡립을 저류하는 곡립 저류 탱크(7) 및 곡립 저류 탱크(7) 내의 곡립을 배출하는 곡립 배출 장치(8)가 마련되어 있다. 기체의 좌측부에는, 예취 곡간을 끼움 지지 반송하는 피드 체인(9)이 마련되어 있다. 곡립 저류 탱크(7)의 좌측 옆에는, 피드 체인(9)에 의해 반송되는 예취 곡간을 탈곡 처리하는 탈곡 장치(10)가 마련되어 있다. 탈곡 장치(10)의 후방측에는 배출 짚 처리 장치(18)가 연속 마련되어 있다. 배출 짚 처리 장치(18)는 피드 체인(9)으로부터 탈곡 처리 후의 배출 짚을 수취하여 후방으로 끼움 지지 반송한다. 배출 짚 처리 장치(18)의 반송 종단측 부위의 하방에는, 배출 짚 처리 장치(18)에 의해 반송된 배출 짚을 커터(29)로 절단 처리하는 배출 짚 절단 장치(28)가 마련되어 있다.
〔수확부〕
수확부(6)는 복수조 예취 사양(예를 들어, 6조 예취 사양)에 구성되어 있다. 수확부(6)는, 복수(예를 들어, 7개)의 분초구(13)와, 복수(예를 들어, 6개)의 일으킴 장치(14)와, 절단 장치(15)와, 반송 장치(16)를 구비하고 있다. 분초구(13)는 포장의 작물을 분초한다. 일으킴 장치(14)는 분초된 작물을 일으켜 세운다. 절단 장치(15)는 일으켜 세워진 작물을 절단한다. 반송 장치(16)는, 예취된 줄기의 밑동측을 끼움 지지하여 이삭 끝측을 옆으로 쓰러짐 방향으로 자세 변경하면서 탈곡 장치(10)를 향해 후방으로 반송한다.
〔탈곡 장치〕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탈곡 장치(10)에는 급동(11)에 의해 예취 곡간의 탈곡 처리를 행함과 함께 수망(12)에 의해 피처리물을 누하 선별하는 탈곡 처리부(C1)와, 탈곡 처리부(C1)의 하방에 마련되어, 수망(12)으로부터 누하된 피처리물을 선별 처리하는 선별 처리부(C2)가 구비되어 있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급실(17)에 있어서의 전단부 및 후단부에는, 각각 벽부(30F, 30R)가 마련되어 있다. 전방측의 벽부(30F)는 급실(17)의 전방벽부를 구성하고 있다. 후방측의 벽부(30R)는 급실(17)의 후방벽부를 구성하고 있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탈곡 장치(10)의 우측부는 우측벽(35R)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우측벽(35R)은 기체 후단까지 연장되어 있다. 탈곡 장치(10)의 좌측부는 피드 체인(9)보다도 하방의 위치에 마련된 좌측벽(35L)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탈곡 처리부(C1)는 상부에 형성된 급실(17) 내에 급동(11)을 구비하고, 급동(11)의 하방에 수망(12)을 구비하고 있다.
급동(11)은 기체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회전 축심 Y주위로 회전 가능하다. 수망(12)은 급동(11)의 하부 절반측의 반주 정도에 대향하는 상태로 마련되어 있다. 급실(17)의 후방에는 진애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진 팬(19)이 마련되어 있다.
선별 처리부(C2)는 탈곡 처리부(C1)의 하방에 위치한다.
선별 처리부(C2)에는, 요동시켜서 피처리물을 체로 쳐 선별하면서 후방으로 이송하는 요동 선별 장치(20)와, 요동 선별 장치(20)로 선별풍을 송풍하는 풍구(21)와, 요동 선별 장치(20)에 의해 선별된 1번물(단립화 곡립 등)을 회수하는 1번물 회수부(22)와, 요동 선별 장치(20)의 하방이고 또한 1번물 회수부(22)의 후방에 마련되어, 요동 선별 장치(20)에 의해 선별된 2번물(지경이 붙어 있는 곡립 등)을 회수하는 2번물 회수부(23)가 구비되어 있다.
1번물 회수부(22)에는 1번물의 곡립(탈곡물의 일례)을 우측으로 반송(횡이송 반송)하는 1번 스크루(24)(횡이송 스크루의 일례)가 마련되어 있다. 1번 스크루(24)는 급실(17)의 우측벽(35R)으로부터 좌측벽(35L)에 걸쳐서 현가시킨 상태로 장착되어 있다. 1번 스크루(24)의 우측 단부에는, 1번물의 곡립을 곡립 저류 탱크(7)로 양곡 반송하는 양곡 장치(25)가 연동 연결되어 있다. 1번 스크루(24)에 의해, 1번물의 곡립을 탈곡 장치(10) 밖의 곡립 저류 탱크(7)로 내보낼 수 있다.
2번물 회수부(23)에는, 2번물의 곡립(탈곡물의 일례)을 우측으로 반송(횡이송 반송)하는 2번 스크루(26)(횡이송 스크루의 일례)가 마련되어 있다. 2번 스크루(26)는 급실(17)의 우측벽(35R)으로부터 좌측벽(35L)에 걸쳐서 현가시킨 상태로 장착되어 있다. 2번 스크루(26)의 우측 단부에는, 2번물의 곡립을 요동 선별 장치(20)로 환원하는 2번 환원 장치(27)가 연결되어 있다. 2번 스크루(26)에 의해, 2번물의 곡립을 탈곡 장치(10) 밖의 2번 환원 장치(27)로 내보낼 수 있다.
〔요동 선별 장치〕
요동 선별 장치(20)는 다음과 같이 구성되어 있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요동 선별 장치(20)는, 평면에서 보아 직사각 형상으로 형성된 프레임상의 시브 케이스(50)에, 제1 그레인 팬(51), 복수의 제1 체선(52), 채프 시브(53), 스트로우 랙(54), 및 제2 그레인 팬(55), 그레인 시브(56), 그리고 보조 선별판(57), 제2 체 선(58)을 구비하고 있다. 시브 케이스(50)가 편심 캠식의 구동부(59)에 의해 요동 구동된다.
시브 케이스(50)의 상면측이 요동 선별 장치(20)의 피처리물 이송면(20A)이고, 이 피처리물 이송면(20A)에, 탈곡 처리부(C1)로부터의 피처리물, 및 2번 환원 장치(27)로부터의 2번물이 공급된다.
보조 선별판(57)은, 채프 시브(53)의 후방부 상방 개소에 위치하고, 채프 시브(53)의 피처리물 이송면(20A)과의 사이에, 상류측의 피처리물이 통과할 수 있을 정도의 상하 방향의 간격을 두고 마련되어 있다. 보조 선별판(57)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급실(17)의 후방부 근처에서, 수망(12)의 후단부와 후방측의 벽부(30) 사이에 대향하는 개소에 있어서, 탈곡 처리부(C1)의 후방부 근처로부터 배출되는 배출 짚량이 많은 피처리물을 받치고 후방 반송한다. 그 배출 짚량이 많은 피처리물은, 제2 체 선(58)을 거쳐서, 보조 선별판(57)의 하측을 통과하는 피처리물과 함께 스트로우 랙(54)으로 전달된다.
〔제1 점검구〕
도 4 내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탈곡 장치(10)의 저부(31)에 있어서 1번물 회수부(22)의 1번 스크루(24)의 하방에 제1 점검구(61)가 형성되어 있다. 제1 점검구(61)는, 탈곡 장치(10)의 좌측 부분으로부터 기체 내측을 향해 구비되어 있고, 본 실시 형태에서는 직사각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1 점검구(61)는 제1 덮개부(71)에 의해 폐쇄되어 있다. 제1 덮개부(71)는 제1 점검구(61)의 개구면을 따라 기체의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제1 점검구(61)를 폐쇄하는 폐쇄 위치와 제1 점검구(61)를 개방하는 개방 위치로 전환 가능하다. 제1 덮개부(71)는, 1번 스크루(24)의 축심 X주위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제1 덮개부(71)는 직사각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로크부(82)의 걸림 결합부(84)가 결합 분리 가능한 피걸림 결합부(73)와 파지부(75)가 마련되어 있다. 제1 덮개부(71)는, 기체 전방측의 단부(71a)로부터 하방으로 연장 마련된 하단부(71b)를 갖고, 당해 하단부(71b)의 축심 X방향에 있어서 복수의 피걸림 결합부(73)가 마련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피걸림 결합부(73)가 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걸림 결합 구멍(74)을 갖는다. 파지부(75)는 기체 전방측의 단부(71a)에 있어서 축심 X방향의 중앙 부분에 마련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파지부(75)가 역U자상의 봉상체로 구성되어 있다.
〔제2 점검구〕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탈곡 장치(10) 중 기체 외주측에 위치하는 좌측벽(35L)(기체 측부의 일례)에 있어서 1번물 회수부(22)의 1번 스크루(24)보다도 상방 위치에 제2 점검구(62)가 형성되어 있다. 제2 점검구(62)는 제2 덮개부(72)에 의해 폐쇄되어 있다. 제2 덮개부(72)는, 제2 점검구(62)의 주위 부분에 나사 부재(63) 등에 의해 고정되어 있고, 제2 점검구(62)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로크 기구〕
도 4 내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1번물 회수부(22)에는, 제1 덮개부(71)를 폐쇄 위치에 고정하는 로크 상태와, 로크 상태를 해제하는 해제 상태로 전환 가능한 로크 기구(80)가 마련되어 있다. 로크 기구(80)는, 로크 조작구(81)를 갖고, 걸림 결합부(84)가 마련된 로크부(82)와, 제1 덮개부(71)에 마련되어 걸림 결합부(84)에 결합 분리 가능한 피걸림 결합부(73)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로크부(82)는, 1번 스크루(24)의 축심 X방향을 따르는 봉상부(83)를 갖고, 봉상부(83)의 좌측벽(35L)측의 단부에 로크 조작구(81)가 설치되어 있다. 봉상부(83)에는 축심 X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두고 기체 후방으로 돌출되는 복수(본 실시 형태에서는 2개)의 걸림 결합부(84)가 마련되어 있다. 로크 조작구(81)는, 좌측벽(35L)의 외측(기체 측부 측)으로부터 봉상부(83)를 눌러 당김 조작 가능하다. 도 5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측벽(35L)의 외면측에는, 봉상부(83)의 축심 X방향의 위치를 로크하는 고정부(85)가 마련되어 있다. 고정부(85)는, 나사 부재(86) 등에 의해 봉상부(83)를 누름 조작된 위치에 로크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또한, 봉상부(83)의 축심 X방향의 위치를 고정하는 고정부(85)의 구성은, 적절히 변경 가능하다.
로크 기구(80)는, 로크부(82)의 봉상부(83)를 축심 X방향을 따라 이동 조작함으로써, 걸림 결합부(84)가 피걸림 결합부(73)(걸림 결합 구멍(74))에 결합 분리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로크 상태는, 로크 조작구(81)의 누름 조작에 의해 걸림 결합부(84)가 피걸림 결합부(73)에 걸림 결합함으로써, 제1 덮개부(71)는 폐쇄 위치에 보유 지지되어 폐쇄 위치에 고정된다. 한편, 해제 상태는, 로크 조작구(81)의 당김 조작에 의해 걸림 결합부(84)가 피걸림 결합부(73)로부터 이탈함으로써, 제1 덮개부(71)는 폐쇄 위치에서의 고정 상태가 해제된다.
도 8 및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덮개부(71)는, 로크 기구(80)가 해제 상태일 때에, 축심 X주위로 이동시킬 수 있고, 제1 점검구(61)에 대하여 착탈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로크 기구(80)에 있어서, 고정부(85)(도 5 및 도 6 참조)에 의한 봉상부(83)의 위치 고정을 해제한 후, 로크 기구(80)를 해제 상태로 하고, 또한 제2 점검구(62)(도 4 참조)를 개방한다. 그 후, 제2 점검구(62)로부터 제1 덮개부(71)의 파지부(75)를 파지하면서 제1 덮개부(71)를 축심 X주위(축심 X를 중심으로 한 시계 방향)로 이동시킨다. 제1 덮개부(71)가 개방 위치(도 9의 이점쇄선)로 이동함으로써, 제1 점검구(61)가 개방된다. 제1 덮개부(71)는 개방 위치에 있어서 제1 점검구(61)(저부(31))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제1 점검구(61)가 개방됨으로써, 제1 점검구(61)로부터 1번물 회수부(22)의 메인터넌스 작업을 행할 수 있다.
탈곡 장치(10)의 저부(31)에 있어서, 1번 스크루(24)의 하방은 1번 스크루(24)의 외형을 따르도록 측면으로 보아 원호상으로 형성되고, 제1 점검구(61)의 개구면 및 제1 덮개부(71)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측면으로 보아 원호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 때문에,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1 덮개부(71)는, 1번 스크루(24)의 축심 X주위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이로써, 제1 덮개부(71)를 원호상으로 형성된 저부(31)를 따르게 하여 원활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탈곡 장치(10)의 저부(31)는, 제1 덮개부(71)에 있어서 이동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축심 X방향)의 양단측을 지지하면서 제1 덮개부(71)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 레일(32)을 구비한다. 이로써, 제1 덮개부(71)는 가이드 레일(32)을 따르게 하여 원활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제1 덮개부(71)는, 개방 위치로의 이동 방향과는 반대측의 단부인 기체 후방부측의 단부(71c)에, 제1 점검구(61)의 에지부(61a)에 걸림 고정하는 걸림 고정부(76)를 갖는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에지부(61a)는 꺾어 접힌 곡부이며, 걸림 고정부(76)는 단부(71c)와 단부(71c)의 하방에 연장 마련된 하단부(71d)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제1 덮개부(71)의 걸림 고정부(76)가 제1 점검구(61)의 에지부(61a)에 걸림 고정됨으로써, 제1 덮개부(71)를 폐쇄 위치 상태로 유지하는 보유 지지력을 높일 수 있다.
〔다른 실시 형태〕
이하, 상기 실시 형태에 변경을 추가한 다른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하의 다른 실시 형태는, 모순이 발생하지 않는 한, 상기 실시 형태에 복수 조합하여 적용할 수 있다.
(1) 상기한 실시 형태에서는, 제1 점검구(61)에 대하여, 제1 덮개부(71)가 1번 스크루(24)의 축심 X주위로 이동하는 예를 나타냈지만, 제1 덮개부(71)는 제1 점검구(61)의 개구면을 따라 이동 가능하면 되고, 탈곡 장치(10)의 전후 방향이나 탈곡 장치(10)의 좌우 방향(축심 X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2) 상기한 실시 형태에서는, 탈곡 장치(10)의 저부(31)에 있어서, 1번물 회수부(22)의 1번 스크루(24)의 하방에 제1 점검구(61)가 형성되고, 제1 점검구(61)에 대응하는 제1 덮개부(71) 및 제1 덮개부(71)를 조작하는 로크 조작구(81)를 포함하는 로크 기구(80)에 대하여 설명했다. 이것 대신에, 2번물 회수부(23)에 있어서, 상술한 제1 점검구(61), 제2 점검구(62), 제1 덮개부(71) 및 로크 기구(80)의 구성을 채용해도 된다. 또한, 1번물 회수부(22) 및 2번물 회수부(23)의 양쪽에 있어서, 제1 점검구(61), 제2 점검구(62), 제1 덮개부(71) 및 로크 기구(80)의 구성을 채용해도 된다.
(3) 상기한 실시 형태에서는, 제1 덮개부(71)는 제2 점검구(62)로부터 조작함으로써 탈착되는 예를 나타냈지만, 제1 덮개부(71)는 탈곡 장치(10)의 저부(31)로부터 조작함으로써 탈착되는 구성이어도 된다.
또한, 이하, 본 발명에 관한 수확기의 일례로서의 자탈형 콤바인의 실시 형태를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의 설명에 있어서의 전후 방향 및 좌우 방향은, 특별한 설명이 없는 한, 다음과 같이 정의하고 있다. 즉, 본 발명을 적용한 자탈형 콤바인의 작업 주행 시에 있어서의 전진측의 진행 방향(도 10에 있어서의 화살표 F 참조)이 「전」, 후진측으로의 진행 방향(도 10에 있어서의 화살표 B 참조)이 「후」, 그 전후 방향에서의 전방향 자세를 기준으로 한 우측에 상당하는 방향(도 11에 있어서의 화살표 R 참조)이 「우」, 마찬가지로 좌측에 상당하는 방향(도 11에 있어서의 화살표 L 참조)이 「좌」이다. 따라서, 기체 좌우 방향이 주행 기체 횡폭 방향에 대응한다.
〔콤바인의 전체 구성〕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되는 자탈형 콤바인은, 기체 프레임(1001)과, 기체 프레임(1001)을 지지하는 주행 장치(1002)를 구비하고 있다. 기체의 전방부에 있어서의 우측에는 탑승 운전부(1003)가 마련되어 있다. 탑승 운전부(1003)에는, 조종 조작구(도시하지 않음) 및 운전 좌석(1004)과, 조종 조작구 및 운전 좌석(1004)을 덮는 캐빈(1005)이 구비되어 있다. 운전 좌석(1004)의 하방에는 엔진(도시 생략)이 마련되어 있다.
탑승 운전부(1003)의 전방에는, 포장의 작물을 수확하는 수확부(1006)가 마련되어 있다. 탑승 운전부(1003)의 후방에는, 곡립을 저류하는 곡립 저류 탱크(1007) 및 곡립 저류 탱크(1007) 내의 곡립을 배출하는 곡립 배출 장치(1008)가 마련되어 있다. 기체의 좌측부에는, 예취 곡간을 끼움 지지 반송하는 피드 체인(1009)이 마련되어 있다. 곡립 저류 탱크(1007)의 좌측 옆에는, 피드 체인(1009)에 의해 반송되는 예취 곡간을 탈곡 처리하는 탈곡 장치(1010)가 마련되어 있다. 탈곡 장치(1010)의 후방측에는 배출 짚 처리 장치(1018)가 연속 마련되어 있다. 배출 짚 처리 장치(1018)는 피드 체인(1009)으로부터 탈곡 처리 후의 배출 짚을 수취하여 후방으로 끼움 지지 반송한다. 배출 짚 처리 장치(1018)의 반송 종단측 부위의 하방에는, 배출 짚 처리 장치(1018)에 의해 반송된 배출 짚을 커터(1029)로 절단 처리하는 배출 짚 절단 장치(1028)가 마련되어 있다.
〔수확부〕
수확부(1006)는 복수조 예취 사양(예를 들어, 6조 예취 사양)에 구성되어 있다. 수확부(1006)는, 복수(예를 들어, 7개)의 분초구(1013)와, 복수(예를 들어, 6개)의 일으킴 장치(1014)와, 절단 장치(1015)와, 반송 장치(1016)를 구비하고 있다. 분초구(1013)는 포장의 작물을 분초한다. 일으킴 장치(1014)는 분초된 작물을 기립시킨다. 절단 장치(1015)는 기립된 작물을 절단한다. 반송 장치(1016)는, 예취된 줄기의 밑동측을 끼움 지지하여 이삭 끝측을 옆으로 쓰러짐 방향으로 자세 변경하면서 탈곡 장치(1010)를 향해 후방으로 반송한다.
〔탈곡 장치〕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탈곡 장치(1010)에는 급동(1011)에 의해 예취 곡간의 탈곡 처리를 행함과 함께 수망(1012)에 의해 피처리물을 누하 선별하는 탈곡 처리부(C1001)와, 탈곡 처리부(C1001)의 하방에 마련되어, 수망(1012)으로부터 누하된 피처리물을 선별 처리하는 선별 처리부(C1002)가 구비되어 있다.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급실(1017)에 있어서의 전단부 및 후단부에는, 각각 벽부(1030F, 1030R)가 마련되어 있다. 전방측의 벽부(1030F)는 급실(1017)의 전방벽부를 구성하고 있다. 후방측의 벽부(1030R)는 급실(1017)의 후방벽부를 구성하고 있다.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탈곡 장치(1010)의 우측부는 우측벽(1035R)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우측벽(1035R)은 기체 후단까지 연장되어 있다. 탈곡 장치(1010)의 좌측부는 피드 체인(1009)보다도 하방의 위치에 마련된 좌측벽(1035L)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탈곡 처리부(C1001)는 상부에 형성된 급실(1017) 내에 급동(1011)을 구비하고, 급동(1011)의 하방에 수망(1012)을 구비하고 있다.
급동(1011)은 기체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회전 축심 Y주위로 회전 가능하다. 수망(1012)은 급동(1011)의 하부 절반측의 반주 정도에 대향하는 상태로 마련되어 있다. 급실(1017)의 후방에는 진애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진 팬(1019)이 마련되어 있다.
선별 처리부(C1002)는 탈곡 처리부(C1001)의 하방에 위치한다.
선별 처리부(C1002)에는, 요동시켜서 피처리물을 체로 쳐 선별하면서 후방으로 이송하는 요동 선별 장치(1020)와, 요동 선별 장치(1020)로 선별풍을 송풍하는 풍구(1021)와, 요동 선별 장치(1020)에 의해 선별된 1번물(단립화 곡립 등)을 회수하는 1번물 회수부(1022)와, 요동 선별 장치(1020)의 하방이고 또한 1번물 회수부(1022)의 후방에 마련되어, 요동 선별 장치(1020)에 의해 선별된 2번물(지경이 붙어 있는 곡립 등)을 회수하는 2번물 회수부(1023)가 구비되어 있다.
1번물 회수부(1022)에는 1번물의 곡립(탈곡물의 일례)을 우측으로 반송(횡이송 반송)하는 1번 스크루(1024)(횡이송 스크루의 일례)가 마련되어 있다. 1번 스크루(1024)는 급실(1017)의 우측벽(1035R)으로부터 좌측벽(1035L)에 걸쳐서 현가시킨 상태로 장착되어 있다. 1번 스크루(1024)의 우측 단부에는, 1번물의 곡립을 곡립 저류 탱크(1007)로 양곡 반송하는 양곡 장치(1025)가 연동 연결되어 있다. 1번 스크루(1024)에 의해, 1번물의 곡립을 탈곡 장치(1010) 밖의 곡립 저류 탱크(1007)로 내보낼 수 있다.
2번물 회수부(1023)에는, 2번물의 곡립(탈곡물의 일례)을 우측으로 반송(횡이송 반송)하는 2번 스크루(1026)(횡이송 스크루의 일례)가 마련되어 있다. 2번 스크루(1026)는 급실(1017)의 우측벽(1035R)으로부터 좌측벽(1035L)에 걸쳐서 현가시킨 상태로 장착되어 있다. 2번 스크루(1026)의 우측 단부에는, 2번물의 곡립을 요동 선별 장치(1020)로 환원하는 2번 환원 장치(1027)가 연결되어 있다. 2번 스크루(1026)에 의해, 2번물의 곡립을 탈곡 장치(1010) 밖의 2번 환원 장치(1027)로 내보낼 수 있다.
〔요동 선별 장치〕
요동 선별 장치(1020)는 다음과 같이 구성되어 있다.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요동 선별 장치(1020)는, 평면에서 보아 직사각 형상으로 형성된 프레임상의 시브 케이스(1050)에, 제1 그레인 팬(1051), 복수의 제1 체선(1052), 채프 시브(1053), 스트로우 랙(1054), 및 제2 그레인 팬(1055), 그레인 시브(1056), 그리고 보조 선별판(1057), 제2 체선(1058)을 구비하고 있다.
이 시브 케이스(1050)가 편심 캠식의 구동부(1059)에 의해 요동 구동된다.
시브 케이스(1050)의 상면측이 요동 선별 장치(1020)의 피처리물 이송면(1020A)이고, 이 피처리물 이송면(1020A)에, 탈곡 처리부(C1001)로부터의 피처리물, 및 2번 환원 장치(1027)로부터의 2번물이 공급된다.
보조 선별판(1057)은, 채프 시브(1053)의 후방부 상방 개소에 위치하고, 채프 시브(1053)의 피처리물 이송면(1020A)과의 사이에, 상류측의 피처리물이 통과할 수 있을 정도의 상하 방향의 간격을 두고 마련되어 있다.
이 보조 선별판(1057)은,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급실(1017)의 후방부 근처에서, 수망(1012)의 후단부와 후방측의 벽부(1030) 사이에 대향하는 개소에 있어서, 탈곡 처리부(C1001)의 후방부 근처로부터 배출되는 배출 짚량이 많은 피처리물을 받치고 후방 반송한다. 그 배출 짚량이 많은 피처리물은, 제2 체선(1058)을 거쳐서, 보조 선별판(1057)의 하측을 통과하는 피처리물과 함께 스트로우 랙(1054)으로 전달된다.
〔제1 점검구〕
도 13 내지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탈곡 장치(1010)의 저부(1031)에 있어서 2번물 회수부(1023)의 2번 스크루(1026)의 하방에 제1 점검구(1061)가 형성되어 있다. 제1 점검구(1061)는, 탈곡 장치(1010)의 좌측 부분으로부터 기체 내측을 향해 구비되어 있고, 본 실시 형태에서는 직사각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1 점검구(1061)는 제1 덮개부(1071)에 의해 폐쇄되어 있다.
제1 덮개부(1071)는 직사각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하면측에 걸림 결합부(1073)가 마련되어 있다. 탈곡 장치(1010)의 저부(1031)에는, 걸림 결합부(1073)에 걸림 결합 가능한 피걸림 결합부(1032)가 마련되어 있다. 걸림 결합부(1073)는, 기체 후방측에 설치된 브래킷(1074)에 마련되어 있다. 걸림 결합부(1073) 및 피걸림 결합부(1032)(후술하는 제2 로크부(1092))는, 축심 X방향에 있어서 좌측벽(1035L)에 가까운 측에 배치되어 축심 X방향을 따라 마련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구멍부를 갖는 피걸림 결합부(1032)에 볼록형의 걸림 결합부(1073)가 끼워 맞추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2번 스크루(1026)의 축심 X에 평행한 지지축부(1036)가, 탈곡 장치(1010)의 저부(1031)에 고정되어 있다. 지지축부(1036)는, 좌측벽(1035L)과 우측벽(1035R)에 걸쳐서 마련되어 있다. 제1 덮개부(1071)에는, 지지축부(1036)에 기체 진행 방향의 전방측이 지지되도록, 지지축부(1036)가 삽입되는 피지지부(1079)를 구비한다. 제1 덮개부(1071)는, 피지지부(1079)를 통해, 축심 X에 평행한 지지축부(1036) 주위로 상하 요동 가능해지도록, 지지축부(1036)에 외팔보 지지되어 있다. 또한, 제1 덮개부(1071)는, 하방으로 요동하여 제1 점검구(1061)를 개방하는 개방 위치와, 상방으로 요동하여 제1 점검구(1061)를 폐쇄하는 폐쇄 위치로 전환 가능하다(도 18, 도 19 참조).
〔제2 점검구〕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탈곡 장치(1010) 중 기체 외주측에 위치하는 좌측벽(1035L)(기체 측부의 일례)에 있어서 1번물 회수부(1022)의 1번 스크루(1024)보다도 상방 위치에 제2 점검구(1062)가 형성되어 있다. 제2 점검구(1062)는 제2 덮개부(1072)에 의해 폐쇄되어 있다. 제2 덮개부(1072)는, 제2 점검구(1062)의 주위 부분에 나사 부재(1063) 등에 의해 고정되어 있고, 제2 점검구(1062)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제2 점검구(1062)로부터 제2 덮개부(1072)를 떼어내어 제2 점검구(1062)를 개방함으로써, 제2 점검구(1062)로부터 1번물 회수부(1022) 및 2번물 회수부(1023)를 눈으로 보아 점검할 수 있다.
〔로크 기구〕
도 13 내지 도 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2번물 회수부(1023)에는, 제1 덮개부(1071)를 폐쇄 위치에 고정하는 로크 상태와, 로크 상태를 해제하는 해제 상태로 전환 가능한 로크 기구(1080)가 마련되어 있다. 로크 기구(1080)는, 제1 덮개부(1071)에 기부(1082)가 고정된 로크 조작구(1081)와, 제1 덮개부(1071)에 마련된 걸림 결합부(1073)와, 탈곡 장치(1010)의 저부(1031)에 브래킷(1032a)을 통해 마련된 피걸림 결합부(1032)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로크 조작구(1081)는, 기부(1082)가 축심 X방향을 따라 기체 내측에 마련되고, 기부(1082)로부터 좌측벽(1035L)의 외측으로 연장 마련되어 있다. 기부(1082)는, 볼트 등의 고정 부재(1075a)를 사용하여, 제1 덮개부(1071)의 하부에 연장 마련된 프레임부(1075)에 고착되어 있다. 이로써, 제1 덮개부(1071)와 로크 조작구(1081)가 일체적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1 덮개부(1071)에는, 그 하부에 복수의 보강 프레임(1076)이 마련되어 있다.
로크 조작구(1081)는, 좌측벽(1035L)의 외측(기체 외측)에 마련되어 있다. 로크 조작구(1081)는, 제1 덮개부(1071)를 눌러 당김 조작 가능하고, 또한 제1 덮개부(1071)를 지지축부(1036) 주위로 회동 조작 가능하다. 좌측벽(1035L)에는, 제1 덮개부(1071)를 지지축부(1036) 주위로 회동할 때에 로크 조작구(1081)의 이동을 안내하는 원호상의 긴 구멍부(1037)가 형성되어 있다.
도 14 내지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로크 기구(1080)는, 제1 덮개부(1071)의 축심 X방향으로의 이동을 소정 범위로 규제하는 이동 규제부(1086)를 갖는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이동 규제부(1086)는, 로크 조작구(1081)의 긴 쪽 방향의 중도부에 조립 장착된 판상의 프레임 부재(1087)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이로써, 로크 조작구(1081)를 누름 조작할 때에, 프레임 부재(1087)가 좌측벽(1035L)의 외면에 맞닿고, 제1 덮개부(1071)는 우측벽(1035R)으로의 이동이 규제된다.
이동 규제부(1086)는, 좌측벽(1035L)의 내측에 배치되는 기부(1082)의 긴 쪽 방향의 중도부에 프레임 부재(1087)에 동등한 부재(도시하지 않음)를 조립 장착하여 구성해도 된다. 이와 같이 하면, 로크 조작구(1081)를 당김 조작할 때에, 이동 규제부(1086)가 좌측벽(1035L)의 내면에 맞닿고, 제1 덮개부(1071)는 좌측벽(1035L)으로의 이동이 규제된다. 상기한 구성은 이동 규제부(1086)의 일례이고, 이동 규제부(1086)는, 제1 덮개부(1071)의 축심 X방향으로의 이동을 소정 범위로 규제하는 구성이라면 다른 구성이어도 된다.
로크 조작구(1081)에 부착된 프레임 부재(1087)에는, 로크 조작구(1081)의 축심 X방향의 위치를 고정하는 구멍부(1088)가 마련되어 있다. 구멍부(1088)에 고정 부재 B를 삽입하여 프레임 부재(1087)를 좌측벽(1035L)에 마련된 구멍부(도시하지 않음)에 고정함으로써, 로크 조작구(1081)의 축심 X방향의 위치가 고정된다.
로크 기구(1080)는, 제1 덮개부(1071)에 있어서의 축심 X방향을 따르는 방향에 있어서, 로크 조작구(1081)로부터 먼 측에 마련되는 제1 로크부(1091)와, 로크 조작구(1081)에 가까운 측에 마련되는 제2 로크부(1092)를 갖는다.
제1 로크부(1091)는, 제1 덮개부(1071)의 일단부(1071a)와, 우측벽(1035R)의 내면에 마련된 적재부(1093)와, 안내부(1094)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도 2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적재부(1093)는, 제1 덮개부(1071)의 일단부(1071a)를 폐쇄 위치에 보유 지지한다. 우측벽(1035R)에 적재부(1093)의 일단부가 고정되고, 적재부(1093)의 타단부에 하방으로 경사지는 안내부(1094)가 연속해서 마련되어 있다. 안내부(1094)는, 적재부(1093)보다도 낮은 위치로부터 제1 덮개부(1071)의 일단부(1071a)를 적재부(1093)로 안내한다. 제2 로크부(1092)는, 제1 덮개부(1071)에 브래킷(1074)을 통해 마련된 걸림 결합부(1073)와, 저부(1031)에 마련된 피걸림 결합부(1032)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로크 조작구(1081)는, 축심 X방향을 따라 이동 조작함으로써, 걸림 결합부(1073)가 피걸림 결합부(1032)에 결합 분리 가능하다. 로크 기구(1080)는, 제1 로크부(1091)에 있어서, 제1 덮개부(1071)의 일단부(1071a)가 적재부(1093)에 적재되고, 또한 제2 로크부(1092)에 있어서, 걸림 결합부(1073)가 피걸림 결합부(1032)에 걸림 결합함으로써, 제1 덮개부(1071)를 폐쇄 위치에 고정한다. 로크 기구(1080)를 로크 상태로 할 때에는, 제1 로크부(1091)가 먼저 기능하고, 계속해서 제2 로크부(1092)가 기능한다. 즉, 제1 덮개부(1071)의 일단부(1071a)가 적재부(1093)에 적재된 후에, 제1 덮개부(1071)의 걸림 결합부(1073)가 저부(1031)의 피걸림 결합부(1032)에 걸림 결합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1 덮개부(1071)의 일단부(1071a)는, 적재부(1093) 및 안내부(1094)에 맞닿는 맞닿음부(1078)를 갖는다. 맞닿음부(1078)는, 제1 덮개부(1071)의 단부(1077)의 하방으로 연장 마련되어 단부(1078a)가 적재부(1093)의 상면을 따르도록 형성되어 있다.
로크 기구(1080)는, 이하의 수순에 의해, 로크 상태를 해제할 수 있다(도 14 내지 도 19 참조). 먼저, 로크 조작구(1081)에 있어서, 프레임 부재(1087)의 구멍부(1088)로부터 고정 부재(도시하지 않음)를 제거하거나 하여 축심 X방향의 위치 고정을 해제한다. 그 후, 로크 조작구(1081)의 당김 조작에 의해 걸림 결합부(1073)가 피걸림 결합부(1032)로부터 이탈하고, 또한 제1 덮개부(1071)의 일단부(1071a)가 적재부(1093) 및 안내부(1094)에 적재되지 않는 위치까지 이동한 때에, 제1 덮개부(1071)는 폐쇄 위치에서의 고정이 해제된다. 로크 기구(1080)에 있어서의 해제 상태의 이행 시에, 제1 로크부(1091)가 먼저 해제되고, 계속해서 제2 로크부(1092)가 해제된다. 즉, 제1 덮개부(1071)의 일단부(1071a)가 적재부(1093) 및 안내부(1094)로부터 이탈한 후에, 제1 덮개부(1071)의 걸림 결합부(1073)가 저부(1031)의 피걸림 결합부(1032)로부터 이탈한다. 또한, 제1 덮개부(1071)는, 자중에 의해 지지축부(1036) 주위로 하방으로 요동하게 되고, 제1 점검구(1061)를 개방하는 개방 위치로 된다(도 19 참조).
또한, 로크 기구(1080)는, 이하의 수순에 의해, 제1 덮개부(1071)를 로크 상태로 할 수 있다. 개방 위치의 제1 덮개부(1071)는, 로크 조작구(1081)에 의해 지지축부(1036) 주위로 상방으로 요동 조작된다. 이로써, 제1 덮개부(1071)를 폐쇄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그 후에, 로크 조작구(1081)를 2번 스크루(1026)의 축심 X방향을 따라 누름 조작함으로써, 제1 로크부(1091) 및 제2 로크부(1092)에 있어서 제1 덮개부(1071)가 로크되고, 제1 덮개부(1071)는 폐쇄 위치에 고정된다(도 18 참조).
탈곡 장치(1010)의 저부(1031)는, 제1 덮개부(1071)의 축심 X방향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 레일(1033)을 구비한다. 가이드 레일(1033)은, 저부(1031)의 하방에 마련되어, 제1 덮개부(1071)에 있어서 이동 방향(축심 X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의 양단측을 지지한다. 이로써, 제1 덮개부(1071)는 가이드 레일(1033)을 따르게 하여 원활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다른 실시 형태〕
이하, 상기 실시 형태에 변경을 추가한 다른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하의 다른 실시 형태는, 모순이 발생하지 않는 한, 상기 실시 형태에 복수 조합하여 적용할 수 있다.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탈곡 장치(1010)의 저부(1031)에 있어서, 2번물 회수부(1023)의 2번 스크루(1026)의 하방에 제1 점검구(1061)가 형성되고, 제1 점검구(1061)에 대응하는 제1 덮개부(1071) 및 제1 덮개부(1071)를 조작하는 로크 조작구(1081)를 포함하는 로크 기구(1080)에 대하여 설명했다. 이것 대신에, 1번물 회수부(1022)에 있어서, 상술한 제1 점검구(1061), 제2 점검구(1062), 제1 덮개부(1071) 및 로크 기구(1080)의 구성을 채용해도 된다. 또한, 1번물 회수부(1022) 및 2번물 회수부(1023)의 양쪽에 있어서, 제1 점검구(1061), 제2 점검구(1062), 제1 덮개부(1071) 및 로크 기구(1080)의 구성을 채용해도 된다.
본 발명은, 자탈형 콤바인뿐만 아니라, 보통형 콤바인이나, 사탕수수 수확기, 옥수수 수확기, 사료 수확기 등의 수확기에도 적용 가능하다.
10: 탈곡 장치
20: 요동 선별 장치
22: 1번물 회수부
23: 2번물 회수부
24: 1번 스크루(횡이송 스크루)
26: 2번 스크루(횡이송 스크루)
30: 벽부
30F: 벽부
30R: 벽부
31: 저부
32: 가이드 레일
35L: 좌측벽
35R: 우측벽
61: 제1 점검구
61a: 에지부
62: 제2 점검구
71: 제1 덮개부
71a: 단부
71b: 하단부
71c: 단부
71d: 하단부
72: 제2 덮개부
73: 피걸림 결합부
75: 파지부
76: 걸림 고정부
80: 로크 기구
81: 로크 조작구
82: 로크부
83: 봉상부
84: 걸림 결합부
C1: 탈곡 처리부
C2: 선별 처리부
X: 축심
1010: 탈곡 장치
1022: 1번물 회수부
1023: 2번물 회수부
1024: 1번 스크루(횡이송 스크루)
1026: 2번 스크루(횡이송 스크루)
1031: 저부
1032: 피걸림 결합부
1033: 가이드 레일
1035L: 좌측벽
1035R: 우측벽
1036: 지지축부
1061: 제1 점검구(점검구)
1071: 제1 덮개부(덮개부)
1071a : 일단부
1073: 걸림 결합부
1080: 로크 기구
1081: 로크 조작구
1082: 기부
1086: 이동 규제부
1091: 제1 로크부
1092: 제2 로크부
1093: 적재부
1094: 안내부
C1001: 탈곡 처리부
C1002: 선별 처리부

Claims (11)

  1. 급동에 의해 탈곡 처리를 행함과 함께 수망에 의해 피처리물을 누하 선별하는 탈곡 처리부와, 상기 탈곡 처리부의 하방에 마련되어, 상기 수망으로부터 누하된 피처리물을 선별 처리하는 선별 처리부를 갖는 탈곡 장치가 구비되고,
    상기 선별 처리부에, 피처리물을 후방으로 이송하면서 요동 선별하는 요동 선별 장치와, 상기 요동 선별 장치의 하방에 마련되어, 상기 요동 선별 장치에 의해 선별된 탈곡물을 횡이송 반송하여 상기 탈곡 장치 밖으로 내보내는 횡이송 스크루를 갖고,
    상기 탈곡 장치의 저부에 있어서 상기 횡이송 스크루의 하방에 형성된 제1 점검구와,
    상기 제1 점검구의 개구면을 따라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제1 점검구를 폐쇄하는 폐쇄 위치와 상기 제1 점검구를 개방하는 개방 위치로 전환 가능한 제1 덮개부와,
    로크 조작구를 갖고, 상기 제1 덮개부를 상기 폐쇄 위치에 고정하는 로크 상태와, 상기 로크 상태를 해제하는 해제 상태로 전환 가능한 로크 기구를 구비하고 있는, 수확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덮개부는, 상기 횡이송 스크루의 축심 주위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수확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탈곡 장치의 상기 저부가, 상기 제1 덮개부에 있어서 이동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의 양단측을 지지하면서 상기 제1 덮개부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 레일을 구비하는, 수확기.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덮개부는, 상기 개방 위치로의 이동 방향과는 반대측의 단부에, 상기 제1 점검구의 에지부에 걸림 고정되는 걸림 고정부를 갖는, 수확기.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탈곡 장치 중 기체 외주측에 위치하는 기체 측부에 있어서 상기 횡이송 스크루보다도 상방 위치에 형성된 제2 점검구와, 상기 제2 점검구를 폐쇄하는 착탈 가능한 제2 덮개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덮개부는, 상기 로크 기구가 해제 상태일 때에, 상기 제2 점검구로부터 착탈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수확기.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로크 조작구는, 상기 기체 측부 측으로부터 조작 가능한, 수확기.
  7. 급동에 의해 탈곡 처리를 행함과 함께 수망에 의해 피처리물을 누하 선별하는 탈곡 처리부와, 상기 탈곡 처리부의 하방에 마련되어, 상기 수망으로부터 누하된 피처리물을 선별 처리하는 선별 처리부를 갖는 탈곡 장치가 구비되고,
    상기 선별 처리부에, 피처리물을 후방으로 이송하면서 요동 선별하는 요동 선별 장치와, 상기 요동 선별 장치의 하방에 마련되어, 상기 요동 선별 장치에 의해 선별된 탈곡물을 횡이송 반송하여 상기 탈곡 장치 밖으로 내보내는 횡이송 스크루를 갖고,
    상기 탈곡 장치의 저부에 있어서 상기 횡이송 스크루의 하방에 형성된 점검구와,
    상기 점검구를 덮는 덮개부와,
    로크 조작구를 갖고, 당해 로크 조작구의 조작에 의해 상기 덮개부를 폐쇄 위치에 고정하는 로크 상태와, 상기 로크 상태를 해제하는 해제 상태로 전환 가능한 로크 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덮개부는, 상기 횡이송 스크루의 축심에 평행한 지지축부 주위로 상하 요동 가능하도록 상기 지지축부에 외팔보 지지되고, 또한 하방으로 요동하여 상기 점검구를 개방하는 개방 위치와, 상방으로 요동하여 상기 점검구를 폐쇄하는 폐쇄 위치로 전환 가능하고,
    상기 로크 기구는, 상기 로크 조작구의 조작에 의해 상기 덮개부를 상기 축심 방향을 따라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로크 상태와 상기 해제 상태가 전환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수확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로크 기구에 있어서 상기 로크 조작구가 기체 외측에 마련되고,
    상기 로크 기구는, 상기 로크 조작구로부터 먼 측에 마련되는 제1 로크부와, 상기 로크 조작구에 가까운 측에 마련되는 제2 로크부를 갖는, 수확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로크 기구는, 상기 제1 로크부보다도 상기 제2 로크부가 먼저 해제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수확기.
  10.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로크 기구는, 상기 제1 로크부가, 상기 덮개부의 일단부와, 상기 덮개부의 상기 일단부를 상기 폐쇄 위치에 보유 지지하는 적재부와, 상기 적재부에 연속해서 마련되어 상기 적재부보다도 낮은 위치로부터 상기 덮개부의 상기 일단부를 상기 적재부로 안내하는 안내부에 의해 구성되고, 상기 제2 로크부가, 상기 덮개부에 마련된 걸림 결합부와, 상기 저부에 마련된 피걸림 결합부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수확기.
  11. 제7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로크 기구는, 상기 덮개부의 이동을 소정 범위로 규제하는 이동 규제부를 갖는, 수확기.
KR1020190153235A 2018-12-27 2019-11-26 수확기 KR2020008123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8245764A JP6999539B2 (ja) 2018-12-27 2018-12-27 収穫機
JP2018245763A JP7001580B2 (ja) 2018-12-27 2018-12-27 収穫機
JPJP-P-2018-245763 2018-12-27
JPJP-P-2018-245764 2018-12-2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1233A true KR20200081233A (ko) 2020-07-07

Family

ID=712135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53235A KR20200081233A (ko) 2018-12-27 2019-11-26 수확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00081233A (ko)
CN (1) CN111373937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30975B1 (ko) * 2021-04-16 2021-12-01 주식회사 대동 곡물 이송 커버 및 곡물 이송 커버를 포함하는 곡물 이송 유닛, 그리고 곡물 이송 유닛을 포함하는 콤바인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8082650A (ja) 2016-11-22 2018-05-31 株式会社クボタ 収穫機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05954A (ja) * 2002-04-03 2002-10-22 Iseki & Co Ltd 伸縮式の排出オ−ガ
JP4594793B2 (ja) * 2005-05-09 2010-12-08 株式会社クボタ 脱穀装置の受網脱着構造
JP6065283B2 (ja) * 2013-11-06 2017-01-25 井関農機株式会社 コンバイン
CN113812267B (zh) * 2014-08-05 2023-07-11 株式会社久保田 联合收割机以及装载在该联合收割机的脱粒装置
CN204254524U (zh) * 2014-11-06 2015-04-08 重庆平伟光电科技有限公司 灯具壳体以及应用该灯具壳体的led路灯
CN104492196B (zh) * 2014-12-12 2016-06-08 广西南宁智翠科技咨询有限公司 一种转动式圆形双页检修门
CN105536619A (zh) * 2016-02-03 2016-05-04 浙江兰良实业有限公司 一种新型混合筒
CN206128920U (zh) * 2016-08-31 2017-04-26 赵荣杰 一种猪栏门上的锁扣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8082650A (ja) 2016-11-22 2018-05-31 株式会社クボタ 収穫機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30975B1 (ko) * 2021-04-16 2021-12-01 주식회사 대동 곡물 이송 커버 및 곡물 이송 커버를 포함하는 곡물 이송 유닛, 그리고 곡물 이송 유닛을 포함하는 콤바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1373937A (zh) 2020-07-07
CN111373937B (zh) 2023-09-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097767B1 (en) Agricultural harvester concave clamping system
CN113812267B (zh) 联合收割机以及装载在该联合收割机的脱粒装置
WO2012035945A1 (ja) コンバイン
KR20200081233A (ko) 수확기
US20180235152A1 (en) Grain cleaning system in a combine harvester
US11464170B2 (en) Over-center locking system for a chaff pan of an agricultural harvester
JP2019103462A (ja) コンバイン
KR102653365B1 (ko) 콤바인
JP6833624B2 (ja) コンバイン
JP6999539B2 (ja) 収穫機
JP7001580B2 (ja) 収穫機
JP2013220054A (ja) 収穫機
JP6721541B2 (ja) コンバイン
JP2020065474A (ja) コンバイン
JP2007074944A (ja) コンバイン
JP6073057B2 (ja) コンバインの穀粒排出構造
JP6707620B1 (ja) 収穫機
JP7026733B2 (ja) コンバイン
JP7069250B2 (ja) コンバイン
JP2020178688A (ja) 収穫機
JP6980629B2 (ja) コンバイン
JP6721540B2 (ja) コンバイン
CN108990518B (zh) 联合收割机
JP7085981B2 (ja) コンバイン
JP6858651B2 (ja) コンバイ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