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85113B1 - 연질 측정 대상물의 마찰계수를 측정할 수 있는 물성 분석기 - Google Patents

연질 측정 대상물의 마찰계수를 측정할 수 있는 물성 분석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85113B1
KR102585113B1 KR1020230026952A KR20230026952A KR102585113B1 KR 102585113 B1 KR102585113 B1 KR 102585113B1 KR 1020230026952 A KR1020230026952 A KR 1020230026952A KR 20230026952 A KR20230026952 A KR 20230026952A KR 102585113 B1 KR102585113 B1 KR 1025851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n
measuring
measurement object
magnetic
friction coeffici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269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진표
Original Assignee
김진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진표 filed Critical 김진표
Priority to KR10202300269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8511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51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51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9/00Investigating materials by mechanical methods
    • G01N19/02Measuring coefficient of friction between materi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A Measuring Device Byusing Mechanical Method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무, 실리콘 등 연질 측정 대상물의 마찰계수를 측정할 수 있는 테스트 장비에 관한 것으로, 특히 측정추가 상하로 이동되며 측정 대상물의 두께에 따라 하중을 가한 상태로 고정되고, 측정 대상물은 측정추의 하부에서 왕복 이송되며 측정 대상물이 이동하는 동안 측정추의 변위량을 분석하여 측정 대상물의 마찰 계수를 측정할 수 있는 연질 측정 대상물의 마찰계수를 측정할 수 있는 물성 분석기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연질 측정 대상물의 마찰계수를 측정할 수 있는 물성 분석기는, 측정 대상물이 안착된 상태로 이송시키는 이송 테이블, 상기 이송 테이블에 측정 대상물이 안착된 상태에서 측정 대상물의 표면에 접촉되어 마찰계수를 측정하는 측정추 및 상기 측정추를 측정 대상물의 상부에서 상하로 이동시킬 수 있는 측정추 상하 이송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연질 측정 대상물의 마찰계수를 측정할 수 있는 물성 분석기{A physical property analyzer capable of measuring the friction coefficient of soft objects}
본 발명은 고무, 실리콘 등 연질 측정 대상물의 마찰계수를 측정할 수 있는 테스트 장비에 관한 것으로, 특히 측정추가 상하로 이동되며 측정 대상물의 두께에 따라 하중을 가한 상태로 고정되고, 측정 대상물은 측정추의 하부에서 왕복 이송되며 측정 대상물이 이동하는 동안 측정추의 변위량을 분석하여 측정 대상물의 마찰 계수를 측정할 수 있는 연질 측정 대상물의 마찰계수를 측정할 수 있는 물성 분석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특수한 용도로 사용되는 소재는 해당 용도에 적절한 특성을 가지도록 제조되어야 한다.
하지만, 용도에 적절한 특성을 가지고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서는 해당 특성을 측정할 수 있는 장비나 방법 등이 필요하게 된다.
이러한 특성에서, 마찰계수란 접촉하고 있는 두 고체면 사이의 마찰력 크기와 접촉면에 수직인 수직항력 크기의 비를 나타내는 것으로, 흔히 정지 마찰계수와 운동 마찰계수 등으로 구분된다.
마찰계수는 두 고체의 성질과 접촉면의 거칠기 등 물리적 상황에 따라 달라진다.
운동 마찰계수는 보통 접촉면 넓이나 상대 속력과는 거의 무관하다고 가정하지만, 엄밀하게는 접촉면 넓이와 상대 속력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일정한 속도로 마찰면을 이동하며 마찰계수를 정밀하게 측정할 수 있는 기술이 필요한 실정이다.
관련하여 선행문헌 1(공개특허 10-2009-0067865 가열기능을 갖는 마찰력 측정장치 및 그 측정방법)에서는 스크래치 측정팁을 구비하고 그 하부에서 시편이 이동하도록 함에 따라 마찰력을 측정할 수 있는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하지만 선행문헌 1은 스크래치 측정팁의 높이를 조절할 수 없는 구성으로 시편의 두께나 특성에 따라 접촉되는 정도를 조절할 수 없어 다양한 재질의 마찰계수를 측정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선행문헌 1(공개특허 10-2009-0067865 가열기능을 갖는 마찰력 측정장치 및 그 측정방법)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측정 대상물의 두께나, 특성에 따라 마찰계수를 측정할 수 있는 측정추의 높이를 조절하여 측정 대상물과의 거리 조절이 가능하고, 측정 대상물의 재질에 따라 측정추가 밀착되는 정도를 정밀하게 조절한 상태로 마찰계수를 측정할 수 있는 연질 측정 대상물의 마찰계수를 측정할 수 있는 물성 분석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연질 측정 대상물의 마찰계수를 측정할 수 있는 물성 분석기는, 측정 대상물이 안착된 상태로 이송시키는 이송 테이블, 상기 이송 테이블에 측정 대상물이 안착된 상태에서 측정 대상물의 표면에 접촉되어 마찰계수를 측정하는 측정추 및 상기 측정추를 측정 대상물의 상부에서 상하로 이동시킬 수 있는 측정추 상하 이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이송 테이블은, 측정 대상물을 왕복 이송시킬 수 있는 액추에이터 및 상기 액추에이터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액추에이터에 의해 왕복 이송되는 슬라이딩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측정추는, 측정 대상물의 표면 형태에 따라 상하로 이동되는 측정부재 및 상기 측정부재의 상부에 구비되어 측정부재의 이동 범위를 측정하는 측정추 로드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연질 측정 대상물의 마찰계수를 측정할 수 있는 물성 분석기는, 측정 대상물에 측정추를 접촉시킨 상태로 측정 대상물을 이동시켜 이동 시 측정되는 측정추의 변위량을 통하 마찰계수를 측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측정추의 높이 조절이 가능하여 다양한 두께의 측정 대상물을 측정할 수 있게 됨과 아울러 측정 대상물의 재질에 따라 측정추가 밀착되는 정도를 조절하여 다양한 조건에서 마찰계수를 측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측정 대상물의 측면에서 측정 대상물을 고정하며 유동 값을 측정하여 측정 대상물의 이동에 대한 노이즈를 검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연질 측정 대상물의 마찰계수를 측정할 수 있는 물성 분석기의 전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연질 측정 대상물의 마찰계수를 측정할 수 있는 물성 분석기에서 이송 테이블을 상세히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연질 측정 대상물의 마찰계수를 측정할 수 있는 물성 분석기에서 측정추를 상세히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연질 측정 대상물의 마찰계수를 측정할 수 있는 물성 분석기에서 측정추 상하 이송부를 상세히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연질 측정 대상물의 마찰계수를 측정할 수 있는 물성 분석기에서 이송 테이블에 노이즈 측정부가 구비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연질 측정 대상물의 마찰계수를 측정할 수 있는 물성 분석기에서 이송 테이블에 측정 대상물 지그가 설치되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질 측정 대상물의 마찰계수를 측정할 수 있는 물성 분석기에서 측정추에 자성 탈착부가 구비된 상태를 나타낸 실시예도
본 발명은 측정 대상물 표면의 마찰계수를 측정할 수 있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측정 대상물이 안착된 상태로 왕복 이송되는 이송 테이블과, 상기 이송 테이블의 상부에서 상하로 이동되는 측정추를 이용해 측정 대상물 표면에 측정추를 밀착시켜 마찰계수를 측정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연질 측정 대상물의 마찰계수를 측정할 수 있는 물성 분석기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연질 측정 대상물의 마찰계수를 측정할 수 있는 물성 분석기의 전체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측정 대상물(100)이 안착된 상태로 왕복 이송시킬 수 있는 이송 테이블(200)과, 상기 이송 테이블(200)에 측정 대상물(100)이 안착된 상부에서 측정 대상물(100)과 접촉되며 측정 대상물(100)의 마찰계수를 측정할 수 있는 측정추(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측정추(300)는 뒤쪽에 설치되는 측정추 상하 이송부(400)에 의해 상하로 이송되며 측정 대상물(100) 측으로 밀착되거나 이격되도록 이송된다.
이로 인해, 측정추(300)를 측정 대상물(100)에 접촉시킨 상태로, 이송 테이블(200)을 이송시켜 측정 대상물(100)이 이송됨에 따라 표면 마찰계수의 변화를 측정추(300)가 감지하여 마찰계수를 측정하여 분석할 수 있게 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연질 측정 대상물의 마찰계수를 측정할 수 있는 물성 분석기에서 이송 테이블을 상세히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이송 테이블(200)은 측정 대상물(100)을 왕복 이송시키는 액추에이터(210)와, 상기 액추에이터(210)의 상부에 구비되어 측정 대상물(100)을 안착시킬 수 있는 슬라이딩 플레이트(2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액추에이터(210)는 일정한 속도로 이송되도록 정밀 제어되며 측정 환경이나 측정 대상물에 따라 적절한 속도로 슬라이딩 플레이트(220)를 이송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슬라이딩 플레이트(220)의 하부에는 슬라이딩 플레이트(220)를 좌우로 회전시킬 수 있는 제1 회전 플레이트(230)가 구비되고, 상기 제1 회전 플레이트(230)의 하부에는 슬라이딩 플레이트(220)를 전후로 회전시킬 수 있는 제2 회전 플레이트(240)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제1 회전 플레이트(230)는 상부와 하부로 분할되는 구조로, 하부 측으로 볼록한 곡면이 형성되어 상부에서 곡면을 따라 회전되는 제1 상부 플레이트(231)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제1 상부 플레이트(231)의 하부에 구비되고, 상부에 상기 제1 회전 플레이트(230)의 하부에 형성된 볼록한 곡면과 대응되는 곡면의 홈이 형성되어 상기 제1 상부 플레이트(231)가 일정 구간 회전되도록 지지하는 제1 하부 플레이트(23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제1 상부 플레이트(231)와 제1 하부 플레이트(232)가 설정하고자 하는 각도로 설정되면 각도를 고정할 수 있는 제1 고정 볼트(233)에 의해 설정된 각도가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2 회전 플레이트(240)는 상기 제1 회전 플레이트(230)와 대응되는 구조로 이루어지되, 회전 방향이 상기 제2 회전 플레이트(240)와 수직 방향을 이루도록 구비된다.
이러한 제2 회전 플레이트(240)는 상부와 하부로 분할되는 구조로, 하부 측으로 볼록한 곡면이 형성되어 상부에서 곡면을 따라 회전되는 제2 상부 플레이트(241)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제2 상부 플레이트(241)의 하부에 구비되고, 상부에 상기 제2 회전 플레이트(240)의 하부에 형성된 볼록한 곡면과 대응되는 곡면의 홈이 형성되어 상기 제2 상부 플레이트(241)가 일정 구간 회전되도록 지지하는 제2 하부 플레이트(24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제2 상부 플레이트(241)와 제2 하부 플레이트(242)가 설정하고자 하는 각도로 설정되면 각도를 고정할 수 있는 제2 고정 볼트(243)에 의해 설정된 각도가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측정 대상물(100)이 흡착 고정되는 흡착 플레이트(250)를 측정 대상물(100)의 형태 및 측정 구간의 특성에 따라 자유롭게 각도 조절하여 마찰계수를 측정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슬라이딩 플레이트(220)의 상부에는 측정 대상물(100)의 재질이나 무게에 따라 측정 대상물(100)이 유동되지 않도록 흡착하여 고정할 수 있는 흡착 플레이트(250)가 구비된다.
상기 흡착 플레이트(250)는 상부에 측정 대상물(100)의 저면을 흡착하여 고정할 수 있는 다수개의 진공 흡입홀(251)이 형성되고, 일측에는 상기 진공 흡입홀(251)과 연결되어 흡착 플레이트(250)의 상부로부터 공기를 흡입함에 따라 진공 흡입홀(251) 측으로 진공을 발생시키는 진공 흡입 호스(252)가 구비된다.
그리고 측정 대상물(100)의 형태에 따라 제1 회전 플레이트(230)와 제2 회전 플레이트(240)를 회전시켜 측정 면을 측정추(300)와 일치시킬 수 있다.
또한, 측정 대상물(100)의 크기나 재질 등에 따라 흡착 고정이 필요할 경우 측정 대상물(100)을 흡착하여 고정한 상태로 측정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이로 인해, 측정 대상물(100)의 표면에 측정추(300)를 접촉시킨 상태로 슬라이딩 플레이트(220)를 이송시키며 측정 대상물(100)의 표면 마찰계수를 측정하여 분석할 수 있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연질 측정 대상물의 마찰계수를 측정할 수 있는 물성 분석기에서 측정추를 상세히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측정추(300)는 측정 대상물(100)과 접촉되며 측정 대상물(100)의 표면 마찰계수를 측정하는 측정부재(310)와, 상기 측정부재(310)의 상부에 구비되어 측정부재(310)의 유동을 감지하여 측정하는 측정추 로드셀(320) 및 상기 측정추 로드셀(320)에 측정부재(310)를 탈착하며 교체할 수 있는 탈착핀(3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측정부재(310)는 측정 대상물(100)의 종류와 재질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교체하며 사용할 수 있으며, 측정 대상물(100)에 접촉되는 하부 끝부분에는 마찰 접촉부(311)가 구비된다.
상기 측정추 로드셀(320)은 상기 측정부재(310)아 탈착핀(330)에 의해 결합될 수 있는 측정부재 결합부(321)가 하부에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측정부재(310)의 상부에는 상기 측정부재 결합부(321)의 내측으로 삽입되며 탈착핀(330)에 의해 고정되는 로드셀 결합부(312)가 구비된다.
상기 측정추 로드셀(320)은 상기 측정부재(310)와 결합됨에 있어서, 상호 유동 범위 없이 긴밀하게 결합되어 측정 대상물(100)의 표면에서 마찰계수를 측정함에 있어서 오차 범위를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해, 상기 탈착핀(330)은 삽입되는 끝부분은 직경이 작도록 경사지게 구비되고, 상기 로드셀 결합부(312)와 측정부재 결합부(321) 내부에는 상기 탈착핀(330)의 외주연과 대응되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탈착핀(330)을 최초 삽입할 때에는 용이하게 삽입되고, 탈착핀(330)을 끝까지 삽입하여 결합함에 따라 측정부재(310)와 측정추 로드셀(320)이 유동 없이 긴밀하게 고정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연질 측정 대상물의 마찰계수를 측정할 수 있는 물성 분석기에서 측정추 상하 이송부를 상세히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측정추 상하 이송부(400)는, 이송 테이블(200)의 뒤쪽에 수직 방향으로 기립되도록 설치되는 것으로, 케이스(410) 및 상기 케이스(410) 내부에 구비되는 볼스크류(4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410)에서 상기 측정추(300)가 상하로 이송되는 전면에는 케이스(410) 내부가 노출되지 않도록 막아주는 주름 커버(430)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주름 커버(430)는 측정추(300)의 상하 이송방향으로 접혀지도록 주름지게 구비되어 측정추(300)가 승하강될 때 함께 접혀지거나 펼쳐지며 측정추(300)를 제외한 부분을 보호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볼스크류(420)는 상기 측정추(300)를 상하 이송시킬 수 있는 것으로, 측정추(300)가 측정 대상물(100) 표면까지 접촉되는 거리와 하중 등을 세밀하게 제어하며 정밀하게 이송시킬 수 있다.
이로 인해, 측정 대상물의 크기나 형태에 따라 측정추(300)를 정밀하게 접촉시켜 보다 정밀한 마찰계수 측정이 가능하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연질 측정 대상물의 마찰계수를 측정할 수 있는 물성 분석기에서 이송 테이블에 노이즈 측정부가 구비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슬라이딩 플레이트(220)의 일측에는 측정 대상물(100)을 고정하여 측정 과정에서 측정 대상물(100)이 유동될 경우 유동되는 범위를 감지하여 노이즈에 대한 분석값으로 반영할 수 있는 노이즈 측정부(260)가 더 구비된다.
상기 노이즈 측정부(260)는, 측정 대상물(100)이 이동하는 반대 방향에서 측정 대상물(100)을 파지하는 파지부(261)와, 상기 파지부(261)에 구비되어 측정 대상물(100)을 고정하는 고정 볼트(26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파지부(261)가 측정 대상물(100)을 파지하는 반대쪽에는 측정 대상물(100)이 유동되면 유동 범위를 감지하여 이를 노이즈에 대한 분석값으로 반영할 수 있는 노이즈 로드셀(263)이 구비된다.
이로 인해, 측정 대상물(100)은 노이즈 측정부(260)에 고정된 상태로 측정추(300)가 측정 대상물(100)의 표면과 접촉된 상태로 이동될 때 마찰력에 의해 측정 대상물(100)이 유동되며 이를 감지하여 마찰계수 측정 시 노이즈값으로 반영하여 마찰계수를 보다 정밀하게 측정할 수 있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연질 측정 대상물의 마찰계수를 측정할 수 있는 물성 분석기에서 이송 테이블에 측정 대상물 지그가 설치되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이송 테이블(200)에서 흡착 플레이트(250)의 상부에는 측정 대상물 지그(270)를 설치할 수 있다.
상기 측정 대상물 지그(270)는, 측정 대상물(100)의 특성에 따라 넓은 범위의 마찰계수를 측정하기 위해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 흡착 플레이트(250)보다 큰 크기로 이루어지고, 마찰계수를 측정하기 위한 측정 대상물(100)이 안착되는 구간에는 안착홈(271)이 형성된다.
한편, 상기 노이즈 측정부(260)는 간편하게 탈착 가능한 구조로 구비되어 슬라이딩 플레이트(220)에 설치하여 사용하다가 측정 대상물 지그(270)를 흡착 플레이트(250)에 흡착시켜 사용할 때에는 측정 대상물 지그(270)에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다.
탈착 구조는 볼트 체결 구조가 적용될 수 있으며 상하 슬라이딩 구조로 결합될 수도 있다.
이로 인해, 안착홈에 측정 대상물(100)을 안착시킨 상태로 흡착 플레이트(250)에서 측정할 수 있는 구간보다 긴 구간으로 측정 대상물을 이송시키며 마찰계수를 측정할 수 있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질 측정 대상물의 마찰계수를 측정할 수 있는 물성 분석기에서 측정추에 자성 탈착부가 구비된 상태를 나타낸 실시예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측정추(300)를 탈착하는 구조에 있어서, 자성 탈착부(34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자성 탈착부(340)는, 탈착핀(330)에 부가 적용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 탈착핀(330)이 삽입되는 끝부분에 구비되어 상부와 하부가 다른 극성을 가지되, 상하로 회동되는 자성핀(341)이 적용된다.
상기 자성핀(341)은 중심을 기준으로 상부와 하부가 다른 극성을 갖는 것으로, 상부에 구비되는 S극 핀(341a)과, 하부에 구비되는 N극 핀(341b)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자성핀(341)이 삽입되는 하부에는, N극 핀(341b)과 동일한 극성인 N극 자성체로 이루어진 핀 유도 자성부(342)가 구비되고, 자성핀(341)이 삽입되는 상부에는 S극 핀(341a)과 다른 극성으로 이루어져 S극 핀(341a)을 자성에 의해 부착할 수 있는 핀 부착 자성부(343)가 구비된다.
상기 핀 유도 자성부(342)는 자성핀(341)이 삽입되는 방향과 수평을 이루도록 구비되어 자성핀(341)이 삽입되면 같은 극성끼리 서로 밀어내는 성질에 의해 자성핀(341)을 상부로 밀어 회동시키게 된다.
그리고 상기 핀 부착 자성부(343)는 다른 극성끼리 서로 당기며 부착되는 성질에 의해 자성핀(341)의 상부가 회동되며 부착된다.
한편, 상기 자성핀(341)에는 방향을 표시하여 방향을 확인하여 삽입하도록 함에 따라 원활한 사용이 가능하게 된다.
이로 인해, 측정 도중 탈착핀(330)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고, 측정추(300) 교체를 위해 탈착핀(330)을 분리할 때에도 힘을 주어 당겨주면 자성핀(341)이 분리되면서 간편하게 분리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은, 고무나 실리콘과 같은 연질의 측정 대상물의 표면 마찰계수를 측정할 수 있는 것으로, 재질에 따라 다르게 이루어진 측정 대상물의 표면을 따라 이동하며 측정 대상물의 표면 형태에 의해 측저우가 유동되는 범위를 로드셀로 정밀하게 측정하여 측정 대상물의 표면 마찰계수를 정밀하게 측정할 수 있게 된다.
100 : 측정 대상물 200 : 이송 테이블
210 : 액추에이터 220 : 슬라이딩 플레이트
230 : 제1 회전 플레이트 231 : 제1 상부 플레이트
232 : 제1 하부 플레이트 233 : 제1 고정 볼트
240 : 제2 회전 플레이트 241 : 제2 상부 플레이트
242 : 제2 하부 플레이트 243 : 제2 고정 볼트
250 : 흡착 플레이트 251 : 진공 흡입홀
252 : 진공 흡입 호스 260 : 노이즈 측정부
261 : 파지부 262 : 고정 볼트
263 : 노이즈 로드셀 270 : 측정 대상물 지그
271 : 안착홈 300 : 측정추
310 : 측정부재 311 : 마찰 접촉부
312 : 로드셀 결합부 320 : 측정추 로드셀
321 : 측정부재 결합부 330 : 탈착핀
340 : 자성 탈착부 341 : 자성핀
341a : S극 핀 341b : N극 핀
342 : 핀 유도 자성부 343 : 핀 부착 자성부
400 : 측정추 상하 이송부 410 : 케이스
420 : 볼스크류 430 : 주름 커버

Claims (3)

  1. 측정 대상물(100)이 안착된 상태로 이송시키는 이송 테이블(200);
    상기 이송 테이블(200)에 측정 대상물(100)이 안착된 상태에서 측정 대상물(100)의 표면에 접촉되어 마찰계수를 측정하는 측정추(300); 및
    상기 측정추(300)를 측정 대상물(100)의 상부에서 상하로 이동시킬 수 있는 측정추 상하 이송부(400);를 포함함에 있어서,
    상기 이송 테이블(200)은, 측정 대상물(100)을 왕복 이송시킬 수 있는 액추에이터(210) 및 상기 액추에이터(210)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액추에이터(210)에 의해 왕복 이송되는 슬라이딩 플레이트(220)를 포함하고,
    상기 측정추(300)는, 측정 대상물(100)의 표면 형태에 따라 상하로 이동되는 측정부재(310), 상기 측정부재(310)의 상부에 구비되어 측정부재(310)의 이동 범위를 측정하는 측정추 로드셀(320) 및 상기 측정추 로드셀(320)에 측정부재(310)를 탈착하며 교체할 수 있는 탈착핀(330)을 포함하고,
    상기 탈착핀(330)에는, 자성에 의해 탈착되는 자성 탈착부(340)가 구비되되, 상기 자성 탈착부(340)는 탈착핀(330)이 삽입되는 끝부분에 구비되어 상부와 하부가 다른 극성을 가지되, 상하로 회동되는 자성핀(341)을 포함하고,
    상기 자성핀(341)은 중심을 기준으로 상부와 하부가 다른 극성을 갖는 것으로, 상부에 구비되는 S극 핀(341a)과, 하부에 구비되는 N극 핀(341b)을 포함하며,
    자성핀(341)이 삽입되는 하부에는, N극 핀(341b)과 동일한 극성인 N극 자성체로 이루어진 핀 유도 자성부(342)가 구비되고, 자성핀(341)이 삽입되는 상부에는 S극 핀(341a)과 다른 극성으로 이루어져 S극 핀(341a)을 자성에 의해 부착할 수 있는 핀 부착 자성부(343)가 구비되고,
    상기 핀 유도 자성부(342)는 자성핀(341)이 삽입되는 방향과 수평을 이루도록 구비되어 자성핀(341)이 삽입되면 같은 극성끼리 서로 밀어내는 성질에 의해 자성핀(341)을 상부로 밀어 회동시키며,
    상기 핀 부착 자성부(343)는 다른 극성끼리 서로 당기며 부착되는 성질에 의해 자성핀(341)의 상부가 회동되며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질 측정 대상물의 마찰계수를 측정할 수 있는 물성 분석기.
  2. 삭제
  3. 삭제
KR1020230026952A 2023-02-28 2023-02-28 연질 측정 대상물의 마찰계수를 측정할 수 있는 물성 분석기 KR1025851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26952A KR102585113B1 (ko) 2023-02-28 2023-02-28 연질 측정 대상물의 마찰계수를 측정할 수 있는 물성 분석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26952A KR102585113B1 (ko) 2023-02-28 2023-02-28 연질 측정 대상물의 마찰계수를 측정할 수 있는 물성 분석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85113B1 true KR102585113B1 (ko) 2023-10-04

Family

ID=882900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26952A KR102585113B1 (ko) 2023-02-28 2023-02-28 연질 측정 대상물의 마찰계수를 측정할 수 있는 물성 분석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85113B1 (ko)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75336A (ko) * 1999-05-31 2000-12-15 황해웅 고무 마찰시험기
JP2002022630A (ja) * 2000-05-26 2002-01-23 Symyx Technologies Inc 高スループットの材料の物理特性測定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測定方法
KR100385078B1 (ko) * 2000-11-28 2003-05-22 한국과학기술연구원 미세 마찰마멸 실험장치
KR20040089763A (ko) * 2003-04-15 2004-10-22 한국과학기술연구원 마찰실험장치
KR20060022875A (ko) * 2004-09-08 2006-03-13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마찰계수 측정장치
JP2009058380A (ja) * 2007-08-31 2009-03-19 Yokohama Rubber Co Ltd:The ゴム摩擦試験機
KR20090067865A (ko) 2007-12-21 2009-06-25 주식회사 포스코 가열기능을 갖는 마찰력 측정장치 및 그 측정방법
KR101092294B1 (ko) * 2009-10-30 2011-12-13 한국표준과학연구원 피부 마찰계수 측정장치 및 그 측정장치를 이용한 측정방법
KR20140077007A (ko) * 2012-12-13 2014-06-23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마찰계수 측정 및 내골링 특성평가 겸용 스크래치 시험장치
KR102396601B1 (ko) * 2016-09-14 2022-05-12 로디아 오퍼레이션스 고무 마모를 측정하기 위한 장치

Patent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75336A (ko) * 1999-05-31 2000-12-15 황해웅 고무 마찰시험기
JP2002022630A (ja) * 2000-05-26 2002-01-23 Symyx Technologies Inc 高スループットの材料の物理特性測定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測定方法
KR100385078B1 (ko) * 2000-11-28 2003-05-22 한국과학기술연구원 미세 마찰마멸 실험장치
KR20040089763A (ko) * 2003-04-15 2004-10-22 한국과학기술연구원 마찰실험장치
KR20060022875A (ko) * 2004-09-08 2006-03-13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마찰계수 측정장치
KR100691522B1 (ko) * 2004-09-08 2007-03-09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마찰계수 측정장치
JP2009058380A (ja) * 2007-08-31 2009-03-19 Yokohama Rubber Co Ltd:The ゴム摩擦試験機
KR20090067865A (ko) 2007-12-21 2009-06-25 주식회사 포스코 가열기능을 갖는 마찰력 측정장치 및 그 측정방법
KR101092294B1 (ko) * 2009-10-30 2011-12-13 한국표준과학연구원 피부 마찰계수 측정장치 및 그 측정장치를 이용한 측정방법
KR20140077007A (ko) * 2012-12-13 2014-06-23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마찰계수 측정 및 내골링 특성평가 겸용 스크래치 시험장치
KR102396601B1 (ko) * 2016-09-14 2022-05-12 로디아 오퍼레이션스 고무 마모를 측정하기 위한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95226B1 (en) Techniques for use with prosthetic valve leaflets
EP1467399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holding and transporting thin opaque plates
CN115280128A (zh) 一种柔性材料性能测试用夹具及固定装置
US7648130B2 (en) Use of magnets to provide resilience
US11867666B2 (en) Measuring system, measuring arrangement and method for determining measuring signals during a penetration movement of a penetration body into a surface of a test body
EP1921031A1 (en) Material handling device with level indicator
JPH02221805A (ja) 切換え形の検出ヘツド
US9636793B2 (en) Part fixturing device with adjustable positioning
KR102585113B1 (ko) 연질 측정 대상물의 마찰계수를 측정할 수 있는 물성 분석기
TWI718174B (zh) 用以測量及/或修正樣本表面之表面形貌體的裝置及方法
JP2008249527A (ja) 磁力支持天秤装置における揚力を受ける模型の簡易抗力評価法
US5271279A (en) Apparatus for measuring the elongation of sample strips
CN109061232B (zh) 原子力显微镜探针装置
CN111238923A (zh) 一种柔性材料性能测试用夹具及固定装置
CN112904053A (zh) 探针夹具及探针插持设备
CN208270124U (zh) 夹持力测量装置
CN113048367B (zh) 三脚架装置
CN112053982A (zh) 储片盒开门装置和半导体工艺设备
CN220039428U (zh) 一种狭小空间用测角滑台
CN211668935U (zh) 一种柔性材料性能测试用夹具及固定装置
CA2065568A1 (en) Coupling device and an apparatus for suspending any of several samples
JPH0620917A (ja) ステージ装置
CN212179865U (zh) 一种三维扫描的工装夹具
CN111678407B (zh) 两点测距装置
CN219957619U (zh) 一种原子力显微镜探针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