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83552B1 - 이어폰 장치 - Google Patents

이어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83552B1
KR102583552B1 KR1020220041622A KR20220041622A KR102583552B1 KR 102583552 B1 KR102583552 B1 KR 102583552B1 KR 1020220041622 A KR1020220041622 A KR 1020220041622A KR 20220041622 A KR20220041622 A KR 20220041622A KR 102583552 B1 KR102583552 B1 KR 1025835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ar
bone conduction
unit
sound
operat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416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종배
김희천
Original Assignee
크레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크레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크레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416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8355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35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35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41Mechanical or electronic switches, or control el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16Earpieces of the intra-aural typ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58Manufacture or assembly
    • H04R1/1066Constructional aspects of the interconnection between earpiece and earpiece suppor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58Manufacture or assembly
    • H04R1/1075Mountings of transducers in earphones or head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60/00Details of hearing devices, i.e. of ear- or headphones covered by H04R1/10 or H04R5/033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their subgroups, or of hearing aids covered by H04R25/00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460/13Hearing devices using bone conduction transduc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Details Of Audible-Bandwidth Transduc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어폰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이어폰 장치는 목에 걸쳐지기 위한 목 걸침부재; 상기 목 걸침부재의 양단에 각각 마련되며, 사용자의 귀에 걸쳐지기 위한 한 쌍의 귀 걸침부재; 및 상기 한 쌍의 귀 걸침부재에 각각 설치되며, 음향을 발생시키는 한 쌍의 하이브리드 트랜스듀서; 를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하이브리드 트랜스듀서 각각은, 골전도 방식으로 음향을 제공하는 골전도 유닛; 상기 골전도 유닛과 쌍을 이루어서 공기 진동 방식으로 음향을 제공하는 인 이어 유닛; 상기 골전도 유닛과 상기 인 이어 유닛을 연결하며,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는 조작부재; 및 상기 조작부재의 조작 상태에 따라 제1 조작 상태에서는 상기 골전도 유닛에 의해 음향을 제공하고, 상기 제1 조작 상태와 다른 제2 조작 상태에서는 상기 인 이어 유닛에 의해 음향을 제공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모듈; 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이어폰 장치 {EARPHONE DEVICE}
본 발명은 이어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어폰 장치는 유선 이어폰과 무선 이어폰이 있는데, 유선 이어폰은 카세트나 CD 플레이어 등과 같은 단말기의 이어폰잭에 연결되어 단말기로부터 유선으로 전해지는 전기적 신호를 수신하여 음성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되도록 한 것이고, 무선 이어폰은 휴대폰이나 PDA 혹은 노트북 컴퓨터와 같은 무선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신호를 무선으로 인가받는 무선신호 수신부를 더 구비하여 무선으로 음성신호나 제어신호를 수신하기도 한다.
근래에는 휴대용 단말기를 통한 개인간의 통신이 확대되면서 무선 통화, 부가 서비스, 여러 가지 다양한 정보 통신 서비스가 일반인에게 제공되고 있으며, 블루투스 모듈을 이용한 통신 방법이 이어폰이나 기타 무선단말기에 적용되고 있다.
블루투스란 스마트폰, 노트북, 태블릿PC, 이어폰 등과 같은 전자기기를 서로 연결해 데이터가 송수신되게 하는 근거리 무선 기술의 표준 프로토콜을 말하며, 주로 10미터 내외의 근접거리에서 기기들의 무선 연결이 필요할 때 사용된다.
최근에는 스마트폰과 블루투스에 의해 접속되는 무선이어폰이 널리 사용되고 있는데, 종래의 유선 이어폰과 같이 라인을 정리할 필요가 없고 보관이나 충전 등 그 사용이 간편해 인기가 높은 편이다.
종래의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365926호에는 넥밴드 및 헤드폰 겸용 블루투스 오디오 장치가 제시된 바 있다.
이러한 유무선 이어폰 장치는 공기 전도(air conduction) 방식이 주로 이용되고 있다. 공기 전도 방식의 이어폰 장치는 내이(귓구멍)로 소리를 전달하고, 이어폰이 외부 소리를 차단하는 역할을 할 수 있고, 전화 통화시에 의사 전달이 보다 명확한 장점이 있지만, 외부 소리를 듣지 못해 안전에 취약한 단점도 있다.
이와 달리, 골전도(骨傳導, bone conduction) 방식의 이어폰 장치는 귀 주변에 착용되어 피부에 접촉되는 골전도 스피커에서 출력된 진동 음향이 피부 표면을 거쳐 두개골을 통하여 전달됨으로써 고막이나 이소골에 이상이 있는 난청자라도 청각 신경이 정상이라면 피부를 통한 골전도로 소리를 들을 수 있다.
이러한 골전도 방식의 이어폰 장치는 최근 들어 청각 장애인들 뿐만 아니라 청각이 정상인 일반인들에게도 많이 이용되고 있는데, 활동적인 일을 하는 과정에서 주변의 소리와 음향을 동시에 청취할 수 있기 때문에 안전사고 발생을 방지하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소음이 심한 곳에서는 음악 또는 통화 음성을 듣기 어렵거나 타인에게 들릴 수 있고, 골전도 방식의 전달 매체 특성으로 소리의 품질에 제약이 있는 단점도 있다.
이에 따라 공기 전도 방식과 골전도 방식을 결합한 듀얼 이어폰이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108871호에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듀얼 이어폰은 공기 전도 방식 또는 골전도 방식을 선택하여 청취할 때 이어폰의 앞뒤를 돌려가며 외이공에 끼워 이용하게 된다. 이러한 이용 방식은 공기 전도 방식 또는 골전도 방식을 선택할 때마다 이어폰을 뒤집은 후에 다시 외이공에 끼워 맞추어 사용하게 되므로 번거롭고 이용이 불편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공기 전도 방식과 골전도 방식 중에서 주위 환경에 따라 유리한 음향 전달 방식을 선택하도록 골전도 유닛과 인 이어 유닛을 회전 및 슬라이드 이동 가능한 조작부재를 사용하여 이용이 편리한 이어폰을 제공함으로써 공기 전도 방식과 골전도 방식 각각의 장점들을 이용하고, 단점들을 보완할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하고자 한다.
목에 걸쳐지기 위한 목 걸침부재; 상기 목 걸침부재의 양단에 각각 마련되며, 사용자의 귀에 걸쳐지기 위한 한 쌍의 귀 걸침부재; 및 상기 한 쌍의 귀 걸침부재에 각각 설치되며, 음향을 발생시키는 한 쌍의 하이브리드 트랜스듀서; 를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하이브리드 트랜스듀서 각각은, 골전도 방식으로 음향을 제공하는 골전도 유닛; 상기 골전도 유닛과 쌍을 이루어서 공기 진동 방식으로 음향을 제공하는 인 이어 유닛; 상기 골전도 유닛과 상기 인 이어 유닛을 연결하며,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는 조작부재; 및 상기 조작부재의 조작 상태에 따라 제1 조작 상태에서는 상기 골전도 유닛에 의해 음향을 제공하고, 상기 제1 조작 상태와 다른 제2 조작 상태에서는 상기 인 이어 유닛에 의해 음향을 제공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모듈; 을 포함하고, 상기 인 이어 유닛이 귓속으로부터 탈거되도록 상기 조작부재가 조작되면 상기 제1 조작 상태가 되어 상기 골전도 유닛에 의한 음향의 제공이 이루어지고, 상기 인 이어 유닛이 귓속에 착용될 수 있도록 상기 조작부재가 조작되면 상기 제2 조작 상태가 되어 상기 인 이어 유닛에 의한 음향의 제공이 이루어진다.
상기 조작부재가 상기 골전도 유닛으로부터 슬라이드 이동되어 상기 제1 조작 상태 또는 상기 제2 조작 상태가 선택된다.
상기 골전도 유닛의 상면은 곡면 형상이다.
상기 조작부재가 상기 골전도 유닛을 기준으로 회전되어 상기 제1 조작 상태 또는 상기 제2 조작 상태가 선택된다.
상기 조작부재의 중간 부위는 꺾이는 구조를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른 이어폰 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슬라이드 가능한 조작부재를 이용하는 간단한 구조로 공기 전도 방식 또는 골전도 방식을 편리하게 선택할 수 있다.
둘째, 회전 가능한 조작부재를 이용하여 공기 전도 방식 또는 골전도 방식을 편리하게 선택할 수 있다.
셋째, 조작부재의 중간 부위에 인 이어 유닛이 사용자의 외이공을 향해 이동하여 삽입되도록 회전 가능한 회전 힌지가 구비되어 있어 공기 전도 방식을 편리하게 선택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이어폰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 (a) 및 도 2 (b)는 조작부재의 슬라이드 이동 예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3 (a) 및 도 3 (b)는 도 2 (a) 및 도 2 (b)의 인 이어 유닛을 측면에서 바라본 모식도이다.
도 4 (a) 및 도 4 (b)는 조작부재의 회전 예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5 (a) 및 도 5 (b)는 변형 예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이하 설명하는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작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제공되는 것으로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는 않는다. 또한, 첨부된 도면에 표현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쉽게 설명하기 위해 도식화된 도면으로 실제로 구현되는 형태와 상이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될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한다.
<제 1 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이어폰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 (a) 및 도 2 (b)는 조작부재의 슬라이드 이동 예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며, 도 3 (a) 및 도 3 (b)는 도 2 (a) 및 도 2 (b)의 인 이어 유닛을 측면에서 바라본 모식도이다.
이어폰 장치(100)는 목 걸침부재(110), 귀 걸침부재(120), 하이브리드 트랜스듀서(130) 및 제어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목 걸침부재(110)는 목에 걸어 사용되는 호 형상으로 목 뒤부분에 착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 쌍의 귀 걸침부재(120)는 목 걸침부재(110)의 양단에 각각 마련되며, 사용자의 귀에 걸쳐지도록 후크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각각의 하이브리드 트랜스듀서(130)는 골전도 유닛(132), 인 이어 유닛(134) 및 조작부재(136)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골전도 유닛(132)은 귀 걸침부재(120)의 단부에 위치하여 사용자의 외이공에 인접한 측두골에 밀착된다. 골전도 유닛(132)은 골전도 방식으로 음향이 전달되도록 진동을 발생시킬 수 있다. 여기서 골전도 유닛(132)이 사용자의 귀에 밀착되어 접촉되는 부분이 하면이고, 골전도 유닛(132)의 하면에 수직한 방향이 상측 방향이다. 측방향은 골전도 유닛(132)의 상면에서 보았을 때 중심축(C)에 직각인 방향을 지칭한다.
인 이어 유닛(134)은 골전도 유닛(132)과 쌍을 이루어서 조작부재(136)에 의해 연결되어 공기 전도 방식으로 음향이 전달되도록 진동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인 이어 유닛(134)은 사용자의 측두골의 외이공(귓구멍)으로부터 상방으로 이격되어 있는 상태에서 사용시에는 외이공에 삽입 밀착되어 이용된다.
조작부재(136)는 골전도 유닛(132)과 인 이어 유닛(134)을 연결한다. 조작부재(136)는 슬라이드 이동 조작에 따라 골전도 유닛(132)과 인 이어 유닛(134)을 작동 가능하게 한다.
골전도 유닛(132)에는 조작부재(136)가 일측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는 슬라이딩홈(132-1)이 형성되어 있다. 조작부재(136)는 슬라이딩홈(132-1)에 슬라이드 이동되도록 결합되어 있다. 골전도 유닛(132)의 상면은 측면에서 보았을 때 상방으로 볼록한 곡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어 조작부재(136)가 골전도 유닛(132)의 곡면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하게 된다.
조작부재(136)는 폭에 비해 길이가 긴 곡면 형상이 바람직하다. 조작부재(136)는 일단이 골전도 유닛(132)의 상부에 결합되어 있고, 타단에 인 이어 유닛(134)이 결합되어 있다. 조작부재(136)의 일단 부위는 골전도 유닛(132)과 결합되어 있고, 조작부재(136)의 타단 부위에는 인 이어 유닛(134)이 외이공을 향해 구비되어 있다.
조작부재(136)는 이어폰 장치(100)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일측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어 조작부재(136)가 골전도 유닛(132)에 대해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다.
골전도 유닛(132)의 상면은 곡면으로 되어 있어 조작부재(136)가 슬라이드 이동하게 되면 인 이어 유닛(134)이 사용자의 외이공에 밀착되거나 외이공으로부터 이격된다.
인 이어 유닛(134)이 사용자의 외이공에 밀착되면 인 이어 유닛(134)이 작동되고, 외이공으로부터 이격되면 골전도 유닛(132)이 작동된다.
즉, 인 이어 유닛(134)이 귓속으로부터 탈거되도록 조작부재(136)가 조작되면 제1 조작 상태가 되어 골전도 유닛(132)에 의한 음향의 제공이 이루어지고, 인 이어 유닛(134)이 귓속에 착용될 수 있도록 조작부재(136)가 조작되면 제2 조작 상태가 되어 인 이어 유닛(134)에 의한 음향의 제공이 이루어진다. 여기서 제1 조작 상태는 조작부재(136)가 측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된 상태에서 원상태로 이동하는 상태이고, 제2 조작 상태는 조작부재(136) 측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되는 상태이다.
사용자는 골전도 유닛(132) 또는 인 이어 유닛(134)의 작동을 선택할 수 있다. 조작부재(136)가 일측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되면 이어폰 장치(100)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제어모듈에 의해 인 이어 유닛(134)이 선택되어 작동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조작부재(136)가 반대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되면 골전도 유닛(132)이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어모듈은 조작부재(136)의 조작 상태에 따라 제1 조작 상태에서는 골전도 유닛(132)에 의해 음향을 제공하고, 제1 조작 상태와 다른 제2 조작 상태에서는 인 이어 유닛(134)에 의해 음향을 제공하도록 제어한다.
<제 2 실시예>
도 4 (a) 및 도 4 (b)는 조작부재의 회전 예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4 (a) 및 도 4 (b)를 도 1 내지 도 3과 함께 참조하면 조작부재(136)는 골전도 유닛(132)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다.
이에 따라, 골전도 유닛(132)과 조작부재(136)에 연결되어 있는 인 이어 유닛(134)이 골전도 유닛(132)의 중심축에 대해 회전 가능하다.
골전도 유닛(132)이 이용되는 경우에 골전도 유닛(132)이 사용자의 외이공에 인접한 측두골에 위치하고, 인 이어 유닛(134)은 외이공을 가리지 않는 위치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인 이어 유닛(134)이 이용되는 경우에는 조작부재(136)가 회전하여 인 이어 유닛(134)이 외이공을 향해 위치하도록 회전된다.
조작부재(136)가 회전되어 인 이어 유닛(134)이 사용자에게 음향을 전달하는 상태에서 조작부재(136)가 원위치, 즉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골전도 유닛(132)이 선택되어 사용자에게 음향을 전달한다.
도 5 (a) 및 도 5 (b)는 변형 예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5 (a) 및 도 5 (b)를 도 1 내지 도 4와 함께 참조하면 인 이어 유닛(134)은 사용자의 외이공으로부터 이격되어 있는 상태에서 인 이어 유닛(134)의 사용시에는 외이공에 삽입 밀착되어 이용된다.
조작부재(136)의 길이 방향의 중앙 부위는 인 이어 유닛(134)이 외이공에 삽입되도록 소정 각도로 꺾이는 구조를 갖는다. 조작부재(136)의 중앙 부위에는 꺽일 수 있는 회전 힌지(134-2)가 구비되어 있다. 회전 힌지(134-2)가 외이공 측으로 꺽이면 인 이어 유닛(134)이 사용자의 외이공에 밀착되어 인 이어 유닛(134)이 작동된다. 회전 힌지(134-2)가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면 인 이어 유닛(134)이 사용자의 외이공으로부터 이격되어 골전도 유닛(132)이 이용된다.
도면들을 참조하여 하나의 예에 따른 이어폰 장치(100)의 작동 관계를 설명하면 이어폰 장치(100)는 목 걸침부재(110)가 목 뒤에 착용되고, 후크 형상 부위의 귀 걸침부재(120)를 귀에 걸어 골전도 유닛(132)이 사용자의 측두골의 외이공에 인접한 부위에 위치하도록 한다.
이 상태에서 이어폰 장치(100)를 작동시키면 골전도 유닛(132)이 작동되어 골전도 방식으로 사용자에게 음향을 제공한다.
주변 소음을 차단하여 공기 전도 방식으로 이용하는 경우에 조작부재(136)를 이용하면 인 이어 유닛(134)이 선택되어 사용자에게 음향을 제공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이어폰 장치는 공기 전도 방식과 골전도 방식 중에서 주변 환경에 따라 유리한 음향 전달 방식을 선택할 수 있고, 공기 전도 방식을 선택하면 외부 소음을 차단하여 보다 선명한 음질로 청취할 수 있으며, 골전도 방식을 선택하면 주변 환경의 소리도 청취가 가능하여 안전 사고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회전 및 슬라이드가 가능한 조작부재를 이용하는 간단한 구조로 공기 전도 방식과 골전도 방식을 간편하게 선택할 수 있고, 회전 가능한 회전 힌지에 의해서 공기 전도 방식을 편리하게 선택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여러 가지 실시 가능한 예 중에서 작업자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선정하여 제시한 것일 뿐, 이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반드시 제시된 실시 예에만 의해서 한정되거나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와 부가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 균등한 타의 실시 예가 가능함을밝혀둔다.
100: 이어폰 장치
110: 목 걸침부재
120: 귀 걸침부재
130: 하이브리드 트랜스듀서
132: 골전도 유닛
132-1: 슬라이딩홈
134: 인 이어 유닛
134-2: 회전 힌지
136: 조작부재

Claims (5)

  1. 목에 걸쳐지기 위한 목 걸침부재;
    상기 목 걸침부재의 양단에 각각 마련되며, 사용자의 귀에 걸쳐지기 위한 한 쌍의 귀 걸침부재; 및
    상기 한 쌍의 귀 걸침부재에 각각 설치되며, 음향을 발생시키는 한 쌍의 하이브리드 트랜스듀서; 를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하이브리드 트랜스듀서 각각은,
    골전도 방식으로 음향을 제공하는 골전도 유닛;
    상기 골전도 유닛과 쌍을 이루어서 공기 진동 방식으로 음향을 제공하는 인 이어 유닛;
    상기 골전도 유닛과 상기 인 이어 유닛을 연결하며,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는 조작부재; 및
    상기 조작부재의 조작 상태에 따라 제1 조작 상태에서는 상기 골전도 유닛에 의해 음향을 제공하고, 상기 제1 조작 상태와 다른 제2 조작 상태에서는 상기 인 이어 유닛에 의해 음향을 제공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모듈; 을 포함하고,
    상기 인 이어 유닛이 귓속으로부터 탈거되도록 상기 조작부재가 조작되면 상기 제1 조작 상태가 되어 상기 골전도 유닛에 의한 음향의 제공이 이루어지고, 상기 인 이어 유닛이 귓속에 착용될 수 있도록 상기 조작부재가 조작되면 상기 제2 조작 상태가 되어 상기 인 이어 유닛에 의한 음향의 제공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재가 상기 골전도 유닛으로부터 슬라이드 이동되어 상기 제1 조작 상태 또는 상기 제2 조작 상태가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골전도 유닛의 상면은 곡면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재가 상기 골전도 유닛을 기준으로 회전되어 상기 제1 조작 상태 또는 상기 제2 조작 상태가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재의 중간 부위는 꺾이는 구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 장치.
KR1020220041622A 2022-04-04 2022-04-04 이어폰 장치 KR1025835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1622A KR102583552B1 (ko) 2022-04-04 2022-04-04 이어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1622A KR102583552B1 (ko) 2022-04-04 2022-04-04 이어폰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83552B1 true KR102583552B1 (ko) 2023-10-10

Family

ID=882918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41622A KR102583552B1 (ko) 2022-04-04 2022-04-04 이어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83552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08871A (ko) * 2009-03-30 2010-10-08 주식회사 보니아 골전도와 공기전도 기능을 갖는 듀얼 이어폰
KR102039839B1 (ko) * 2018-10-30 2019-11-01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공기전도 방식과 골전도 방식이 결합된 소리전달시스템 및 이의 동작방법
KR102048787B1 (ko) * 2018-12-21 2019-11-26 (주)디트리플 골전도 및 공기전도 겸용 헤드폰
KR20210059246A (ko) * 2019-11-15 2021-05-25 (주)텐서이어랩 공기전도방식과 골전도방식이 결합된 소리전달장치 및 이의 동작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08871A (ko) * 2009-03-30 2010-10-08 주식회사 보니아 골전도와 공기전도 기능을 갖는 듀얼 이어폰
KR102039839B1 (ko) * 2018-10-30 2019-11-01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공기전도 방식과 골전도 방식이 결합된 소리전달시스템 및 이의 동작방법
KR102048787B1 (ko) * 2018-12-21 2019-11-26 (주)디트리플 골전도 및 공기전도 겸용 헤드폰
KR20210059246A (ko) * 2019-11-15 2021-05-25 (주)텐서이어랩 공기전도방식과 골전도방식이 결합된 소리전달장치 및 이의 동작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438217B (zh) 无线音响设备
JP4992062B2 (ja) 骨伝導ヘッドセット
EP1994728B1 (en) Headset with ambient sound
US20160029114A1 (en) Wireless earphone set
JP3745602B2 (ja) 身体セット型スピーカ装置
US6091832A (en) Wearable personal audio loop apparatus
US20180035207A1 (en) Monitoring and hearing aid headphone intercom system
JP2011521560A (ja) 耳掛けとイヤホン本体のヘッドセット
JP2010516122A (ja) 自己内臓式デュアルイヤバッドまたはイヤホンシステムおよびその用途
TW201220861A (en) Using accelerometers for left right detection of headset earpieces
CN101427552A (zh) 无线立体声免提配件
KR101910545B1 (ko) 웨어러블 무선 음향 변환 장치
CN211293498U (zh) 一种智能眼镜
US20180270557A1 (en) Wireless hearing-aid circumaural headphone
JP2004120313A (ja) ワイヤレスヘッドセットシステム
US20140233753A1 (en) Headphones with cloud integration
KR100809549B1 (ko) 보청기 겸용 무선 헤드셋 및 그 제어방법
WO2021258545A1 (zh) 一种挂耳式耳机
KR100730737B1 (ko) 골전도 헤드셋
KR102583552B1 (ko) 이어폰 장치
CA2169907C (en) Hands-free phone converter
TW202125458A (zh) 搜尋一無線裝置的方法及運用此方法之行動裝置
KR20210088201A (ko) 블루투스 안테나를 포함한 귀걸이형 무선이어폰 실리콘커버
KR20150144400A (ko) 웨어러블 블루투스 스피커
JP3155362U (ja) ヘッドホ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