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83363B1 - Irreversible electroporation device for endoscopy - Google Patents

Irreversible electroporation device for endoscop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83363B1
KR102583363B1 KR1020200132774A KR20200132774A KR102583363B1 KR 102583363 B1 KR102583363 B1 KR 102583363B1 KR 1020200132774 A KR1020200132774 A KR 1020200132774A KR 20200132774 A KR20200132774 A KR 20200132774A KR 102583363 B1 KR102583363 B1 KR 1025833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irreversible electroporation
electrodes
cover
dis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3277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20049299A (en
KR102583363B9 (en
Inventor
양수근
전성민
Original Assignee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001327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83363B1/en
Publication of KR202200492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4929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33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3363B1/en
Publication of KR102583363B9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3363B9/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18/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 A61B18/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by passing a current through the tissue to be heated, e.g. high-frequency current
    • A61B18/14Probes or electrodes therefor
    • A61B18/1492Probes or electrodes therefor having a flexible, catheter-like structure, e.g. for heart abl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18/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 A61B18/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by passing a current through the tissue to be heated, e.g. high-frequency current
    • A61B18/14Probes or electrodes therefor
    • A61B18/1482Probes or electrodes therefor having a long rigid shaft for accessing the inner body transcutaneously in minimal invasive surgery, e.g. laparoscop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2018/00053Mechanical features of the instrument of device
    • A61B2018/00107Coatings on the energy applicat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2018/00053Mechanical features of the instrument of device
    • A61B2018/00166Multiple lumin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2018/00571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for achieving a particular surgical effect
    • A61B2018/00613Irreversible electropor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2018/0098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combined with or comprising means for visual or photographic inspections inside the body, e.g. endoscop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18/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 A61B18/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by passing a current through the tissue to be heated, e.g. high-frequency current
    • A61B18/14Probes or electrodes therefor
    • A61B2018/1405Electrodes having a specific shap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lasma & Fusion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Public Health (AREA)
  • Cardiology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내시경 시술용 비가역적 전기천공법 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카테터 내에 삽입되는 내시경 시술용 비가역적 전기천공법(IRE) 장치로서, 전극 커버 및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전극 커버 내부에 배치되는 2개 이상의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2개 이상의 전극 각각은, 표면이 절연 처리된 전극 샤프트; 상기 전극 샤프트 일단에 배치며, 고리 형태를 갖는 원위부(distal tip); 및 상기 전극 샤프트 및 상기 원위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내시경 시술용 비가역적 전기천공법 장치에 관한 것이다.It relates to an irreversible electroporation device for endoscopic procedures, and more specifically, an irreversible electroporation (IRE) device for endoscopic procedures inserted into a catheter, comprising an electrode cover and two electrodes at least partially disposed inside the electrode cover. It includes more than one electrode, and each of the two or more electrodes includes: an electrode shaft whose surface is insulated; a distal tip disposed at one end of the electrode shaft and having a ring shape; and a connecting portion connecting the electrode shaft and the distal portion. It relates to an irreversible electroporation device for endoscopic procedures, including a.

Description

내시경용 비가역적 전기천공법 장치{Irreversible electroporation device for endoscopy}Irreversible electroporation device for endoscopy}

본 발명은 내시경용 비가역적 전기천공법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rreversible electroporation device for endoscopy.

신경이나 혈관 등 인체에 중요한 기능을 담당하는 부위에 근접하여 형성된 고형암은 외과적 절제가 어렵거나 불가능하다. 이러한 경우 종양 조직을 제거할 수 있는 효과적인 방법 중 하나로서 비가역적 전기천공법(irreversible electroporation, IRE)이 수행되고 있다.Solid tumors that form close to areas that perform important functions in the human body, such as nerves or blood vessels, are difficult or impossible to surgically remove. In these cases, irreversible electroporation (IRE) is being performed as one of the effective methods for removing tumor tissue.

이러한 비가역적 전기천공법(IRE)은 종양에 고전압을 전달하는 전극을 이용하여 세포막에 여러 개의 구멍을 내고 세포 괴사를 유발하는 새로운 치료법으로서, 종양성 병변에 대하여 두 개의 양극/음극 전극을 체외에서 삽입한 다음 고전압의 전기펄스를 가하여 전극의 사이 간격에 있는 조직의 세포벽에 미세한 천공을 유발하여 괴사를 유발하는 치료법이다. 이 치료법은 맥박이 뛰듯 전기를 흐르게 하는 전기펄스를 종양에 초당 수백만 번의 속도로 통과시켜 세포막에 미세한 구멍을 유발하여 세포사멸을 유도하게 된다. This irreversible electroporation (IRE) is a new treatment method that uses electrodes that deliver high voltage to the tumor to create multiple holes in the cell membrane and induce cell necrosis. Two anode/cathode electrodes are applied to the tumor lesion in vitro. This is a treatment that inserts and then applies a high-voltage electric pulse to cause microscopic perforations in the cell walls of the tissue in the gap between the electrodes, causing necrosis. This treatment passes electrical pulses, which make electricity flow like a pulse, through the tumor at a rate of millions of times per second, causing microscopic holes in the cell membrane and inducing cell death.

이러한, 비가역적 전기천공술은 2005년 Davalos 등에 의해 처음 소개된 후 2011년 FDA 승인을 받았으며, 현재 주요혈관 및 장기에 인접하여 수술적 치료가 불가능한 환자에서 새로운 국소치료법으로 제한적인 범위 내에서 이용되고 있다.Irreversible electroporation was first introduced by Davalos et al. in 2005 and was approved by the FDA in 2011. It is currently used to a limited extent as a new local treatment method in patients who cannot undergo surgical treatment due to proximity to major blood vessels and organs. .

한편, 이러한 비가역적 전기천공법(IRE)은 고형암 중 특히 소화기에 발생한 종양에 적용 시 개복술(laparotomy)이나 내시경 시술(endoscopy)을 통해 이루어지고 있으며, 소화기암을 비롯한 각종 종양 조직을 제거할 목적으로 in vivo에서 전기천공법(IRE) 연구에 주로 사용하고 있는 전극의 형태는 판형(plate-type), 바늘형(needle-type), 클램프형(clamp-type) 및 카테터형(catheter-type)으로, 그 중 바늘형(needle-type)이 전형적인 비가역적 전기천공법(IRE) 전극의 형태이자 가장 많이 사용된다.Meanwhile, this irreversible electroporation (IRE) method is performed through laparotomy or endoscopy when applied to solid cancers, especially those occurring in the digestive tract, and is used for the purpose of removing various tumor tissues, including digestive cancer. The types of electrodes mainly used in electroporation (IRE) research in vivo are plate-type, needle-type, clamp-type, and catheter-type. , Among them, the needle-type is the typical type of irreversible electroporation (IRE) electrode and is the most commonly used.

이와 관련된 종래의 기술로, 비특허문헌 1 및 2에서는, 간이나 췌장의 경우에는 주로 개복술을 통해 해당 조직에 바늘형 전극을 삽입하거나, 패들 전극(paddle electrode)을 사용하여 조직을 집은 후 고전압을 가해 전기천공법 절제(IRE ablation)를 수행한 바 있다. As a related conventional technology, in Non-Patent Documents 1 and 2, in the case of the liver or pancreas, a needle-type electrode is mainly inserted into the corresponding tissue through laparotomy, or a paddle electrode is used to pinch the tissue and then high voltage is applied. Electroporation ablation (IRE ablation) was performed.

또한, 보다 최소 침습적인 전기천공법 절제(IRE ablation)를 수행하기 위해 비특허문헌 3에서는, 내시경 시술(endoscopy)을 통해 IRE 전극이 실험동물(돼지)의 췌장 조직에 진입할 수 있도록 내시경 초음파 유도 바늘형 전극의 주입술(endoscopic ultrasound(EUS)-guided needle electrode)을 개발하여 전기천공법 절제(IRE ablation)를 시도한 바도 있다. In addition, in order to perform a more minimally invasive electroporation ablation (IRE ablation), in Non-Patent Document 3, endoscopic ultrasound guidance was used to allow the IRE electrode to enter the pancreatic tissue of an experimental animal (pig) through an endoscopic procedure (endoscopy). Electroporation ablation (IRE ablation) has also been attempted by developing an endoscopic ultrasound (EUS)-guided needle electrode.

하지만, 내시경 시술(endoscopy)을 통해 이러한 바늘형 전극을 췌장 종양에 삽입하는 경우, 협소한 관내 구조물에 진입하여 종양 조직에 도달하기까지 췌장 누공(pancreatic fistula)이나 침로이식(needle track seeding)을 유발할 가능성이 높아, 전기천공법 절제(IRE ablation) 수행 시 특별한 주의가 요구된다.However, when these needle-shaped electrodes are inserted into a pancreatic tumor through endoscopy, they enter narrow intraluminal structures and cause pancreatic fistula or needle track seeding until they reach the tumor tissue. Because the possibility is high, special caution is required when performing electroporation ablation (IRE ablation).

한편, 담도(bile duct) 또한 다른 기관에 비해 협소한 구조적 특성을 갖는 소화기관으로, 담도 내 종양 조직에 근접하기 위해서는 일단 내시경 채널에 카테터형(catheter-type) 전극을 장착한 후 전기천공법 절제(IRE ablation)를 시행하는 것이 불가피하다. Meanwhile, the bile duct is also a digestive organ with narrow structural characteristics compared to other organs. To approach tumor tissue within the bile duct, first attach a catheter-type electrode to the endoscopic channel and then perform electroporation resection. It is inevitable to perform IRE ablation.

이에, 비특허문헌 4에서는, 풍선 확장용 카테터(Balloon dilation catheter)를 이용해 내시경 채널에 삽입할 수 있는, 카테터 장착 전극(catheter-mounted electrode)를 개발하여 돼지 총담관(common bile duct, CBD)의 관 내에서 전기천공법 절제(IRE ablation)를 수행한 후 전극의 안전성과 유효성을 발표한 바 있다. 상기 카테터 장착 전극(catheter-mounted electrode)은 풍선 확장용 카테터의 원위부(distal tip)의 풍선 팽창부와 조금 떨어진 지점에 전극이 부착되고, 카테터의 근위부(proximal tip)에는 펄스 발생기와 카테터를 연결할 수 있는 커넥터를 배치하여 펄스가 상기 전극에 도달하도록 설계되었다.Accordingly, in Non-Patent Document 4, a catheter-mounted electrode that can be inserted into an endoscopic channel using a balloon dilation catheter was developed and used to treat the porcine common bile duct (CBD). The safety and effectiveness of electrodes have been reported after performing intracanal electroporation ablation (IRE ablation). The catheter-mounted electrode is attached to a point slightly away from the balloon expansion portion of the distal tip of the balloon expansion catheter, and a pulse generator and catheter can be connected to the proximal tip of the catheter. The connector was designed to allow the pulse to reach the electrode.

하지만, 이러한 종래의 카테터 장착 전극(catheter-mounted electrode)은 카테터 및 전극의 분리가 불가능하기 때문에 카테터의 원위부의 말단에서 전극이 배치된 위치까지의 카테터 영역은 협소한 관 구조물 내 종양 조직에 전극을 도달하도록 하는 데 방해요인으로 작용한다.However, since the catheter and the electrode cannot be separated in this conventional catheter-mounted electrode, the catheter area from the distal end of the catheter to the position where the electrode is placed is narrow, so that the electrode is placed on the tumor tissue within the narrow tubular structure. It acts as a hindrance to reaching it.

이에, 본 발명자는, 내시경 시술(endoscopy)을 통해 전기천공법 절제(IRE ablation)를 수행하기 위한 장치로서, 종래의 바늘형 전극 및 카테터 장착 전극(catheter-mounted electrode)이 갖는 단점을 해결하기 위해, 전극 커버 및 고리 형태의 원위부를 갖는 전극을 포함하는 장치를 개발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or has developed a device for performing electroporation ablation (IRE ablation) through endoscopy, in order to solve the disadvantages of conventional needle-type electrodes and catheter-mounted electrodes. , developed a device including an electrode cover and an electrode having a ring-shaped distal portion, and completed the present invention.

1. Characterization of irreversible electroporation ablation in in vivo porcine liver, AJR 2012; 198:W62-W6.1. Characterization of irreversible electroporation ablation in in vivo porcine liver, AJR 2012; 198:W62-W6. 2. Irreversible electroporation of the pancreas using parallel plate electrodes in a porcine model: A feasibility study, 2017. PLoS ONE 12 (1): e0169396.2. Irreversible electroporation of the pancreas using parallel plate electrodes in a porcine model: A feasibility study, 2017. PLoS ONE 12 (1): e0169396. 3. EUS-guided irreversible electroporation using endoscopic needle electrode in porcine pancreas, 2019. Surgical Endoscopy, 33: 658-662.3. EUS-guided irreversible electroporation using endoscopic needle electrode in porcine pancreas, 2019. Surgical Endoscopy, 33: 658-662. 4. Transmural ablation of the normal porcine common bile duct with catheter-directed irreversible electroporation is feasible and does not affect duct patency, 2008. Gastrointestinal Endoscopy, 87(1); 300-304.4. Transmural ablation of the normal porcine common bile duct with catheter-directed irreversible electroporation is feasible and does not affect duct patency, 2008. Gastrointestinal Endoscopy, 87(1); 300-304.

일 측면에 따른 목적은 내시경용 비가역적 전기천공법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An object according to one aspect is to provide an irreversible electroporation device for endoscopy.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purpose,

일 측면에서는,In terms of work,

카테터 내에 삽입되는 내시경 시술용 비가역적 전기천공법(IRE) 장치로서,An irreversible electroporation (IRE) device for endoscopic procedures inserted into a catheter,

전극 커버(10) 및 각각이 상기 전극 커버 내부에 배치되는 2개 이상의 전극(20)을 포함하고,It includes an electrode cover (10) and two or more electrodes (20), each of which is disposed inside the electrode cover,

상기 2개 이상의 전극(20) 각각은,Each of the two or more electrodes 20,

표면이 절연 처리된 전극 샤프트(21);An electrode shaft (21) with an insulated surface;

상기 전극 샤프트 일단에 배치며, 고리 형상을 갖는 원위부(distal tip)(22); 및 a distal tip 22 disposed at one end of the electrode shaft and having a ring shape; and

상기 전극 샤프트 및 상기 원위부를 연결하는 연결부(23);를 포함하는, 내시경 시술용 비가역적 전기천공법 장치가 제공된다.An irreversible electroporation device for endoscopic procedures is provided, including a connecting portion 23 connecting the electrode shaft and the distal portion.

상기 2개 이상의 전극 각각의 원위부는 상기 전극 커버 내에서 상기 전극 샤프트의 길이 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전극 커버가 제거될 때, 상기 전극 샤프트의 길이 방향과 일정 각도를 이루도록 직립할 수 있으며, 상기 직립은 상기 원위부가 상기 전극 샤프트의 길이 방향의 수직한 방향과 -45°내지 +45°의 각도를 이룰 수 있다.The distal portion of each of the two or more electrodes is dispos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electrode shaft within the electrode cover, and when the electrode cover is removed, the distal portion of each of the two or more electrodes may be erected to form a predetermined angle with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electrode shaft. The distal portion may form an angle of -45° to +45° with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electrode shaft.

상기 2개 이상의 전극의 원위부는 상기 전극 샤프트의 길이 방향으로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Distal portions of the two or more electrodes may be arranged to be spaced apar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electrode shaft.

상기 연결부(22)는 탄성을 갖는 부재일 수 있다.The connecting portion 22 may be an elastic member.

상기 2개의 전극 각각은 상기 전극 샤프트의 타단에 배치되며, 펄스 발생기와 연결되는 근위부(proximal tip)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장치는 상기 펄스 발생기로부터 인가된 고전압에 의해 상기 2개 이상의 전극 각각은 상기 원위부의 일면 사이에 전기장이 형성될 수 있다.Each of the two electrodes is disposed at the other end of the electrode shaft and may further include a proximal tip connected to a pulse generator, and the device is configured to each of the two or more electrodes by high voltage applied from the pulse generator. An electric field may be formed between one surface of the distal portion.

상기 2개 이상의 전극 각각은 상기 원위부의 타면에 내화학성 막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으며, 상기 내화학성 막은 확장된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ePTFE) 막일 수 있다.Each of the two or more electrodes may have a chemical-resistant film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distal portion, and the chemical-resistant film may be an expanded polytetrafluoroethylene (ePTFE) film.

상기 전극 커버는 일단 및 타단이 개방된 튜브 형태일 수 있다.The electrode cover may be in the form of a tube with one end and the other end open.

일 측면에서 제공되는 내시경용 비가역적 전기천공법 장치는 내시경 카테터 내에 삽입되어 비가역적 전기천공법 절제(IRE ablation)를 수행하는 장치로서, 2개 이상의 전극은 원위부가 고리 형태이고, 전극 커버 내에 배치된 상태로 카테터 내에 삽입되어 해당 기관에 도달할 수 있어 종래의 바늘 전극이 갖는 문제 즉, 내부 장기에 누공이 발생되는 위험성을 줄일 수 있다. 또한, 해당 기관에 진입 후 상기 전극의 원위부상에 배치된 전극 커버를 제거함으로써 상기 원위부가 직립할 수 있어, 해당 기관에 도달하는데 제약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협소한 관 구조 내에서 전기천공법 절제(IRE ablation)를 보다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The irreversible electroporation device for endoscopy provided in one aspect is a device that is inserted into an endoscopic catheter to perform irreversible electroporation ablation (IRE ablation), wherein two or more electrodes have a ring-shaped distal end and are disposed within an electrode cover. Since it can be inserted into a catheter in its current state and reach the relevant organ, the problem of conventional needle electrodes, that is, the risk of fistulas occurring in internal organs, can be reduced. In addition, by removing the electrode cover placed on the distal part of the electrode after entering the relevant organ, the distal part can be erected, minimizing restrictions in reaching the relevant organ, and electroporation resection within a narrow tubular structure. (IRE ablation) can be performed more effectively.

도 1은 일 측면에 따른 내시경 시술용 비가역적 전기천공법 장치가 내시경 카테터의 워킹 채널에 삽입된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모식도이고,
도 2는 일 측면에 따른 내시경 시술용 비가역적 전기천공법 장치를 나타낸 모식도이고,
도 3은 일 측면에 따른 내시경 시술용 비가역적 전기천공법 장치에 포함된 전극 및 상기 전극의 전극 샤프트 및 원위부 각각의 단면을 나타낸 모식도이고,
도 4는 내시경 카테터의 워킹 채널에 삽입된 일 측면에 따른 내시경 시술용 비가역적 전기천공법 장치의 전극 샤프트 영역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모식도이고,
도 5는 전극 커버 위치 조절부(30) 및 전압 스위치(40)를 더 포함하는 전기천공법 장치(100)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낸 모식도이고,
도 6(a) 내지 6(c)는 일 측면에 따른 내시경 시술용 비가역적 전기천공법 장치의 전극의 원위부가 전극 커버 내에 있을 때 및 전극 커버 외부로 노출되었을 때의 모습을 나타낸 모식도이고,
도 7은 일 측면에 따른 내시경 시술용 비가역적 전기천공법 장치의 2개의 전극의 원위부의 예시적인 위치를 나타낸 모식도이고,
도 8은 일 측면에 따른 내시경 시술용 비가역적 전기천공법 장치에 포함되는 전극의 다른 예를 나타낸 모식도이고,
도 9는 담관 내강에 형성된 종양을 제거하기 위해 일 측면에 따른 내시경 시술용 비가역적 전기천공법 장치를 이용하여 전기천공법 절제(IRE ablation)를 수행하는 모습을 나타낸 모식도이고,
도 10은 일 측면에 따른 내시경 시술용 비가역적 전기천공법 장치를 이용하여 전기천공법 절제(IRE ablation) 수행 후, 상기 장치를 제거하는 모습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Figure 1 is a schematic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n irreversible electroporation device for endoscopic procedures according to one aspect inserted into the working channel of an endoscopic catheter;
Figure 2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n irreversible electroporation device for endoscopic procedures according to one aspect;
Figure 3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n electrode included in an irreversible electroporation device for endoscopic procedures according to one aspect and a cross-section of each of the electrode shaft and distal portion of the electrode;
Figure 4 is a schematic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cross-section of the electrode shaft area of the irreversible electroporation device for endoscopic procedures according to one side inserted into the working channel of the endoscopic catheter;
Figure 5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electroporation apparatus 100 further including an electrode cover position control unit 30 and a voltage switch 40,
6(a) to 6(c) are schematic diagrams showing the distal portion of the electrode of the irreversible electroporation device for endoscopic procedures according to one aspect when it is inside the electrode cover and when it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electrode cover;
Figure 7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exemplary positions of distal portions of two electrodes of an irreversible electroporation device for endoscopic procedures according to one aspect;
Figure 8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nother example of an electrode included in an irreversible electroporation device for endoscopic procedures according to one aspect;
Figure 9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electroporation ablation (IRE ablation) using an irreversible electroporation device for endoscopic procedures according to one aspect to remove a tumor formed in the bile duct lumen;
Figure 10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removal of the device after performing electroporation ablation (IRE ablation) using the irreversible electroporation device for endoscopic procedures according to one aspect.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도면에서는 실시 예를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other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In addition, in the drawings, parts that are not related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in order to clearly explain the embodiments, and similar reference numerals are assigned to similar par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구성을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part is said to be “connected” to another part, this includes not only cases where it is directly connected, but also cases where it is indirectly connected with another component in between.

또한,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 “상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에 접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두 부재 사이에 또 다른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Additionally, when a member is said to be located “on” another member, this includes not only cases where a member is in contact with another member, but also cases where another member exists between the two members.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In addition, when a part “includes” a certain component, this means that it may further include other components, rather than excluding other components, unless specifically stated to the contrary.

일 측면에서는,From a work perspective,

카테터 내에 삽입되는 내시경 시술용 비가역적 전기천공법(IRE) 장치로서,An irreversible electroporation (IRE) device for endoscopic procedures inserted into a catheter,

전극 커버 및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전극 커버 내부에 배치되는 2개 이상의 전극을 포함하고,It includes an electrode cover and two or more electrodes, at least a portion of which is disposed inside the electrode cover,

상기 2개 이상의 전극 각각은,Each of the two or more electrodes,

표면이 절연 처리된 전극 샤프트;Electrode shaft with insulated surface;

상기 전극 샤프트 일단에 배치며, 고리 형태를 갖는 원위부(distal tip); 및 a distal tip disposed at one end of the electrode shaft and having a ring shape; and

상기 전극 샤프트 및 상기 원위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내시경 시술용 비가역적 전기천공법 장치가 제공된다.An irreversible electroporation device for endoscopic procedures is provided, including a connection part connecting the electrode shaft and the distal part.

도 1은 일 측면에 따른 내시경 시술용 비가역적 전기천공법 장치가 ERCP(endoscopic retrograde cholangio pancreatography) 카테터의 워킹 채널에 삽입된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모식도이고, 도 2는 일 측면에 따른 내시경 시술용 비가역적 전기천공법 장치를 나타낸 모식도이다.Figure 1 is a schematic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n irreversible electroporation device for endoscopic procedures according to one aspect inserted into the working channel of an ERCP (endoscopic retrograde cholangio pancreatography) catheter, and Figure 2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device for endoscopic procedures according to one aspect. This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reverse electroporation device.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 측면에 따른 내시경 시술용 비가역적 전기천공법 장치(100)는 내시경 시술을 통해 비가역적 전기천공법 절제(IRE ablation)를 수행하기 위한 장치로서 카테터(catheter), 보다 바람직하게는 내시경 카테터의 워킹 채널에 삽입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 1, the irreversible electroporation device 100 for endoscopic procedures according to one aspect is a device for performing irreversible electroporation ablation (IRE ablation) through endoscopic procedures, and includes a catheter, More preferably, it can be inserted into the working channel of an endoscopic catheter.

도 2를 참조하면, 일 측면에 따른 내시경 시술용 비가역적 전기천공법(IRE) 장치(100)는 전극 커버(10) 및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전극 커버 내부에 배치되는 2개 이상의 전극(20)을 포함하며, 상기 2개 이상의 전극(20) 각각은 표면이 절연 처리된 샤프트(21), 상기 전극 샤프트 일단에 배치며 고리 형태를 갖는 원위부(22) 및, 상기 전극 샤프트 및 원위부를 연결하는 연결부(23)를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2, an irreversible electroporation (IRE) device 100 for endoscopic procedures according to one aspect includes an electrode cover 10 and two or more electrodes 20, at least a portion of which is disposed inside the electrode cover. Each of the two or more electrodes 20 includes a shaft 21 with an insulated surface, a distal portion 22 disposed at one end of the electrode shaft and having a ring shape, and a connection portion connecting the electrode shaft and the distal portion ( 23).

본 명세서에서, 상기 전극의 원위부(distal tip)는 상기 전극의 일단을 의미하며, 상기 전극의 근위부(proximal tip)는 상기 전극의 타단을 의미한다.In this specification, the distal tip of the electrode refers to one end of the electrode, and the proximal tip of the electrode refers to the other end of the electrode.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2개 이상의 전극(20)의 근위부(proximal tip)는 상기 내시경 카테터의 워킹 채널 포트(working channel port)와 연결되어 펄스 발생기(pulse generator) 등의 고전압 또는 고전압 펄스를 생성하는 고전압 발생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 1, the proximal tips of the two or more electrodes 20 are connected to the working channel port of the endoscopic catheter to generate high voltage or high-voltage pulses from a pulse generator. It can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high voltage generator that generates it.

이때, 상기 2개 이상의 전극(20)은 상기 고전압 발생기의 음 전극 또는 양 전극과 연결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2개 이상의 전극(20)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은 고전압 발생기의 음 전극과 연결되고 적어도 하나 이상은 고전압 발생기의 양 전극과 연결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two or more electrodes 20 may be connected to the negative electrode or the positive electrode of the high voltage generator, and preferably, at least one of the two or more electrodes 20 is connected to the negative electrode of the high voltage generator and at least one This can be connected to the positive electrode of the high voltage generator.

일례로, 상기 내시경 시술용 비가역적 전기천공법(IRE) 장치(100)는 2개의 전극을 포함할 수 있고, 2개의 전극 중 어느 하나는 펄스 발생기(pulse generator)의 음 전극과 연결되고 다른 하나는 펄스 발생기(pulse generator)의 양 전극과 연결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irreversible electroporation (IRE) device 100 for endoscopic procedures may include two electrodes, one of which is connected to the negative electrode of a pulse generator and the other Can be connected to both electrodes of a pulse generator.

이를 통해 상기 내시경 시술용 비가역적 전기천공법(IRE) 장치(100)에 포함된 2개 이상의 전극은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하나의 음극 및 적어도 하나의 양극을 형성할 수 있다.Through this, the two or more electrodes included in the irreversible electroporation (IRE) device 100 for endoscopic procedures can preferably form at least one cathode and at least one anode.

상기 내시경 시술용 비가역적 전기천공법(IRE) 장치(100)는 상기 펄스 발생기로부터 발생된 전기 펄스를 이용하여 2개 이상의 전극(20) 각각의 원위부(22) 사이에 전기장을 형성하며, 이를 통해 종양 등 제거하고자 하는 대상물에 미세한 구멍을 유발하여 사멸시키는, 비가역적 전기천공법 절제(IRE ablation)를 수행할 수 있다.The irreversible electroporation (IRE) device 100 for endoscopic procedures uses electric pulses generated from the pulse generator to form an electric field between the distal portions 22 of each of two or more electrodes 20, through which Irreversible electroporation ablation (IRE ablation) can be performed, which kills the object to be removed, such as a tumor, by creating a microscopic hole.

종래의 바늘형(needle type) 원위부를 갖는 전극을 포함하는 비가역적 전기천공법(IRE) 장치는 협소한 관내 구조물에 진입하여 종양 조직에 도달하기까지 누공(fistula)을 유발할 가능성이 높은 반면, 일 측면에 따라 제공되는 내시경 시술용 비가역적 전기천공법(IRE) 장치(100)에 포함된 전극(20)의 원위부(22)는 비-바늘형(non-needle type)인 고리 형태(ring type)로, 종래의 바늘형(needle type) 원위부를 갖는 전극 대비 누공 유발 가능성을 현저히 줄일 수 있는 점에서 사용상 안전성이 보다 우수할 수 있다.While conventional irreversible electroporation (IRE) devices containing electrodes with needle-type distal ends have a high possibility of entering narrow intraluminal structures and causing fistulas before reaching tumor tissue, The distal portion 22 of the electrode 20 included in the irreversible electroporation (IRE) device 100 for endoscopic procedures provided along the side has a ring type that is non-needle type. Therefore, the safety in use can be superior in that the possibility of causing a fistula can be significantly reduced compared to electrodes with a conventional needle-type distal part.

상기 전극 샤프트(21) 및 원위부(22)는 펄스 발생기 등으로부터의 전압을 전달받아 전기장을 형성하기 위해 종래의 전극을 형성하는 도체 물질, 예를 들어, 금속, 전도성 고분자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일례로, 상기 전극은 스테인리스 스틸(stainless steel)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electrode shaft 21 and the distal portion 22 may be made of a conductive material that forms a conventional electrode, for example, metal, conductive polymer, etc., to form an electric field by receiving voltage from a pulse generator, etc., as an example. As such, the electrode may be made of stainless steel.

또한 상기 전극의 샤프트(21) 및 원위부(22)는 담도와 같은 관 구조물을 가지는 표적 장기에 유연성을 갖고 용이하게 도달하기 위해 코일형태(coil type)의 금속 계열 소재로 구성될 수 있다.Additionally, the shaft 21 and the distal portion 22 of the electrode may be made of a coil-type metal-based material in order to be flexible and easily reach a target organ having a tubular structure such as the bile duct.

도 3은 일 측면에 따른 내시경 시술용 비가역적 전기천공법 장치(100)에 포함된 전극(20) 및 상기 전극 샤프트(21) 및 원위부(22) 각각의 단면을 나타낸 모식도로,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2개 이상의 전극(20) 각각의 전극 샤프트(21)의 표면은 절연물질로 구성된 절연막(24)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Figure 3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cross-section of each of the electrode 20 and the electrode shaft 21 and the distal portion 22 included in the irreversible electroporation device 100 for endoscopic procedures according to one aspect, shown in Figure 3. As shown, an insulating film 24 made of an insulating material may be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electrode shaft 21 of each of the two or more electrodes 20.

도 4는 내시경 카테터의 워킹 채널에 삽입된 일 측면에 따른 내시경 시술용 비가역적 전기천공법 장치의 전극 샤프트 영역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모식도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시경 카테터의 워킹 채널 내에 상기 전기천공법 장치(100)의 전극 커버(10)가 배치될 수 있고, 상기 전극 커버(10) 내에 표면에 절연막(24)이 형성된 전극 샤프트(21)가 배치될 수 있다.Figure 4 is a schematic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cross-section of the electrode shaft area of the irreversible electroporation device for endoscopic procedures according to one side inserted into the working channel of the endoscopic catheter, as shown in Figure 4, the working channel of the endoscopic catheter. The electrode cover 10 of the electroporation apparatus 100 may be placed within, and the electrode shaft 21 having an insulating film 24 formed on its surface may be placed within the electrode cover 10.

즉, 상기 전극의 원위부(22)는 전기장을 형성하기 위해 표면이 절연 처리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한 반면, 상기 2개 이상의 전극의 전극 샤프트(21)가 서로 전기적으로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상기 전극 샤프트(21)의 표면이 절연 처리될 수 있다.That is, the distal portion 22 of the electrode preferably has a surface that is not insulated in order to form an electric field, while in order to prevent the electrode shafts 21 of the two or more electrodes from electrically contacting each other, the electrode shaft (22) 21) The surface can be insulated.

상기 전극 샤프트(21)의 표면은 절연물질인 파릴렌(parylene)으로 코팅 처리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된 것은 아니며 도선의 표면을 절연 처리하는 종래의 다양한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The surface of the electrode shaft 21 may be coated with parylene, an insulating material,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various conventional methods for insulating the surface of a conductor may be used.

한편, 일 측면에 따른 내시경 시술용 비가역적 전기천공법 장치는 전극 커버(10)를 포함한다.Meanwhile, an irreversible electroporation device for endoscopic procedures according to one aspect includes an electrode cover 10.

상기 전극 커버(10)는 굴곡이 심한 체내 관 구조물을 용이하게 통과하고 표적 장기의 종양 제거 전후 전극의 전진과 후퇴가 수월하도록 유연성(flexibility)을 가지고, 비전도성 및 내화학성을 갖는 생체적합성 고분자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electrode cover 10 is a biocompatible polymer material that has flexibility to easily pass through highly curved tubular structures in the body and to facilitate advancement and retraction of the electrode before and after tumor removal of the target organ, and is non-conductive and chemical resistant. It can be done with

상기 전극 커버(10)는 일단 및 타단을 통해 상기 2개 이상의 전극(20)이 인입 및 인출될 수 있도록 일단 및 타단이 개방된 튜브 형태일 수 있다.The electrode cover 10 may be in the form of a tube with one end and the other end open so that the two or more electrodes 20 can be inserted and extracted through the first end and the other end.

상기 전극 커버(10)는 상기 2개 이상의 전극(20)이 상기 카테터 내에 삽입될 때 상기 2개 이상의 전극(20)의 원위부(22)를 포함하는 적어도 일부를 보호하기 위한 것으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전극(20)의 원위부(22), 연결부(23) 및 전극 샤프트(21) 모두가 상기 전극 커버(10)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The electrode cover 10 is for protecting at least a portion including the distal portion 22 of the two or more electrodes 20 when the two or more electrodes 20 are inserted into the catheter, preferably the The distal portion 22, the connecting portion 23, and the electrode shaft 21 of the electrode 20 may all be disposed inside the electrode cover 10.

일 측면에 따라 제공되는 내시경 시술용 비가역적 전기천공법 장치(100)는 상기 2개 이상의 전극(20)의 원위부(22)를, 바람직하게는 상기 2개 이상의 전극의 원위부(22)가 상기 전극 샤프트(21)의 길이방향으로 배치되도록, 상기 전극 커버(10) 내부에 배치한 후, 상기 전극(20) 및 전극 커버(10)를 상기 카테터 내에 삽입시킬 수 있다. 이후 카테터를 통해 상기 2개 이상의 전극(20)의 원위부(22) 사이에 상기 종양 등 제거하고자 하는 대상물이 배치되도록 상기 전극(20) 및 전극 커버(10)를 삽입시킨 후, 상기 2개 이상의 전극(20) 각각의 원위부(22) 상의 전극 커버(10)를 제거하여 상기 원위부(22)가 직립하도록 한 후, 펄스 발생기 등을 통해 고전압 펄스를 가하여 상기 2개 이상의 전극(20)의 원위부 사이에 위치한 종양 등의 대상물을 제거할 수 있다. The irreversible electroporation device 100 for endoscopic procedures provided according to one aspect includes the distal portion 22 of the two or more electrodes 20, preferably the distal portion 22 of the two or more electrodes. After being placed inside the electrode cover 10 so as to be arrang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haft 21, the electrode 20 and the electrode cover 10 can be inserted into the catheter. After inserting the electrode 20 and the electrode cover 10 through a catheter so that the object to be removed, such as the tumor, is placed between the distal portions 22 of the two or more electrodes 20, the two or more electrodes (20) After removing the electrode cover 10 on each distal part 22 to allow the distal part 22 to stand upright, a high voltage pulse is applied through a pulse generator, etc. to create an electrolyte between the distal parts of the two or more electrodes 20. Objects such as tumors can be removed.

이에, 일 측면에서 제공되는 내시경용 비가역적 전기천공법 장치(100)는 전극(20)이 전극 커버(10) 내에 배치된 상태로 카테터 내에 삽입되어 매우 좁고 협소한 관 내에 형성된 종양 등의 대상물까지 이동하므로, 종래의 바늘 전극이 갖는 문제 즉, 종양 등의 대상물이 위치한 곳까지 협소한 관 내부를 이동하는 동안 누공(fistula)을 발생시키는 문제 등을 줄일 수 있다.Accordingly, the endoscopic irreversible electroporation device 100 provided in one aspect is inserted into a catheter with the electrode 20 disposed within the electrode cover 10, and is used to treat objects such as tumors formed within a very narrow tube. Since it moves, the problem of conventional needle electrodes, such as the problem of creating a fistula while moving inside a narrow tube to the location of an object such as a tumor, can be reduced.

또한, 상기 전극의 원위부(22) 상에 배치된 전극 커버(10)를 제거함으로써 상기 원위부(22)가 직립할 수 있어, 상기 대상물이 형성된 해당 기관에 도달하는데 제약을 최소화할 수 있어, 협소한 관 구조 내에서의 전기천공법 절제(IRE ablation)를 보다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In addition, by removing the electrode cover 10 disposed on the distal part 22 of the electrode, the distal part 22 can be erected, thereby minimizing restrictions in reaching the organ where the object is formed, Electroporation ablation (IRE ablation) within the tubular structure can be performed more effectively.

상기 전극 커버(10)의 길이(length) 즉, 상기 전극 샤프트(21)의 길이 방향으로의 길이는 상기 전극(20)의 원위부(22), 연결부(23) 및 전극 샤프트(21)를 합한 길이보다 길 수 있다. The length of the electrode cover 10, that is, the length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electrode shaft 21, is the total length of the distal portion 22, the connecting portion 23, and the electrode shaft 21 of the electrode 20. It can be longer.

또한, 상기 전극 커버(10)의 너비(width) 즉, 전극 커버(10)의 길이 방향과 수직하는 방향으로의 길이는, 상기 전극(20)의 원위부의 길이(22)보다 작을 수 있다. Additionally, the width of the electrode cover 10, that is, the length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electrode cover 10, may be smaller than the length 22 of the distal portion of the electrode 20.

이에, 상기 전극(20)의 원위부(22)는 상기 전극 커버(10) 내부에 배치될 때, 상기 전극 커버(10) 내에서 상기 전극 샤프트(21)의 길이 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전극 커버(10)가 제거될 때, 상기 전극 샤프트(21)의 길이 방향과 일정 각도를 이루도록 직립할 수 있다.Accordingly, when the distal portion 22 of the electrode 20 is disposed inside the electrode cover 10, it is dispos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electrode shaft 21 within the electrode cover 10, and the electrode cover ( When 10) is removed, it can be erected at a certain angle with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electrode shaft 21.

도 5는 전극 커버 위치 조절부(30) 및 전압 스위치(40)를 더 포함하는 전기천공법 장치(100)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낸 모식도이다.Figure 5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electroporation apparatus 100 further including an electrode cover position adjusting unit 30 and a voltage switch 40.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 측면에 따라 제공되는 내시경 시술용 비가역적 전기천공법 장치(100)는 상기 전극 커버(10)를 전극(20)의 원위부(22)로부터 제거하기 위해 전극 커버 위치 조절부(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5, the irreversible electroporation device 100 for endoscopic procedures provided according to one aspect is positioned at the electrode cover 10 to remove the electrode cover 10 from the distal portion 22 of the electrode 20. It may further include an adjustment unit 30.

상기 전극 커버(10)의 일단에 상기 전극(20)의 원위부(22)가 배치될 수 있고, 상기 전극 커버(10)의 타단은 전극 커버 위치 조절부(30)와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전극 커버 조절부(10)를 이용하여 상기 전극(20)의 원위부(22) 상에 전극 커버(10)의 배치 유무를 조절할 수 있다. The distal part 22 of the electrode 20 may be disposed at one end of the electrode cover 10, and the other end of the electrode cover 10 may be connected to the electrode cover position adjusting unit 30, and the electrode cover 10 may be connected to the electrode cover 10.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electrode cover 10 on the distal part 22 of the electrode 20 can be adjusted using the control unit 10.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전극 커버 조절부(10)는 예를 들어, 전후진 구동 가능한 형태로서, 상기 전극 커버 조절부(10)를 전극(20)의 근위부 방향으로 잡아당기면(후진시키면) 상기 전극(20)의 원위부(22) 상의 전극 커버(10)가 제거될 수 있고, 상기 전극 커버 조절부(10)를 원위부 방향으로 밀어 넣으면(전진시키면) 상기 전극(30)의 원위부(22)를 전극 커버(10) 내부에 배치시킬 수 있다. Referring to FIG. 5, the electrode cover adjusting unit 10 is, for example, capable of being driven forward and backward, and when the electrode cover adjusting unit 10 is pulled (backward) toward the proximal part of the electrode 20, the electrode cover adjusting unit 10 moves forward and backward. The electrode cover 10 on the distal part 22 of the electrode 20 can be removed, and by pushing (advancing) the electrode cover adjusting part 10 in the distal direction, the distal part 22 of the electrode 30 can be moved. It can be placed inside the electrode cover 10.

또한,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 측면에 따라 제공되는 내시경 시술용 비가역적 전기천공법 장치(100)는 상기 전극(20)의 근위부와 연결되며, 고전압 발생기로부터 상기 전극(20)으로 인가되는 전압을 온/오프시킬 수 있는 전압 스위치(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5, the irreversible electroporation device 100 for endoscopic procedures provided according to one aspect is connected to the proximal part of the electrode 20, and is applied to the electrode 20 from a high voltage generator. It may further include a voltage switch 40 that can turn on/off the voltage.

도 6(a) 내지 도 6(c)는 일 측면에 따른 내시경 시술용 비가역적 전기천공법 장치의 전극의 원위부가 전극 커버 내에 있을 때 및 전극 커버 외부로 노출되었을 때의 모습을 나타낸 모식도이다.Figures 6(a) to 6(c) are schematic diagrams showing the distal part of the electrode of the irreversible electroporation device for endoscopic procedures according to one aspect when it is inside the electrode cover and when it is exposed outside the electrode cover.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극 샤프트(21) 및 상기 원위부(22)는 상기 연결부(23)에 의해 연결되되, 상기 연결부(23)는 상기 원위부(22)가 상기 전극 샤프트(21)의 길이 방향과 일정 각도를 이루도록 연결할 수 있다.As shown in Figure 6 (c), the electrode shaft 21 and the distal portion 22 are connected by the connecting portion 23, and the connecting portion 23 is such that the distal portion 22 is connected to the electrode shaft ( It can be connected to form a certain angle with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21).

이에, 상기 원위부(22)는, 외부로부터 힘이 가해지지 않았을 때 및 상기 전극 커버 외부에 배치될 때, 상기 전극 샤프트(21)의 길이 방향과 일정 각도를 이루도록 직립될 수 있다.Accordingly, the distal portion 22 may be erected to form a certain angle with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electrode shaft 21 when no external force is applied and when disposed outside the electrode cover.

이때, 상기 "직립"은 상기 원위부(22)가 상기 전극 샤프트(21)의 길이 방향의 수직한 방향과 -45°내지 +45°의 각도를 이루도록 배치되는 것일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30°내지 +30°의 각도를 이루도록 배치되는 것일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5°내지 +15°의 각도를 이루도록 배치되는 것일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5°내지 +5°의 각도를 이루도록 배치되는 것일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전극 샤프트(21)의 길이 방향과 수직하도록 배치되는 것일 수 있다.At this time, the “upright” may be arranged so that the distal portion 22 forms an angle of -45° to +45° with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electrode shaft 21, more preferably -30°. It may be arranged to form an angle of ° to +30°, more preferably to form an angle of -15° to +15°, and more preferably to form an angle of -5° to +5°. It may be arranged so as to achieve, and more preferably, it may be arranged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electrode shaft 21.

또한, 상기 연결부(23)는 탄성을 가진 금속 또는 전도성 고분자로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연결부(23)는 탄성을 가진 스테인리스 스틸, 전도성 고분자, 나이티놀(Nitinol)등의 고탄성 금속류로 구성될 수 있다.Additionally, the connection portion 23 may be made of an elastic metal or conductive polymer. Specifically, the connection portion 23 may be made of highly elastic metals such as elastic stainless steel, conductive polymer, or Nitinol.

또한, 상기 연결부(23)는 코일 스프링 형태 등의 3차원 입체 형태일 수 있고, 이를 통해 상기 원위부(23)가 상기 전극 샤프트(21)에 연결된 상태로 상기 전극 샤프트(21)의 길이 방향에서 다른 각도 방향으로 용이하게 움직이도록 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onnecting portion 23 may be in a three-dimensional shape such as a coil spring shape, and through this, the distal portion 23 is connected to the electrode shaft 21 and is connected to the electrode shaft 21 at a different angl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electrode shaft 21. It can be easily moved in any angular direction.

상기 연결부(23)를 통해 상기 전극 샤프트(21)에 연결된 상기 원위부(22)는 외부로부터 힘이 가해졌을 때, 상기 전극 샤프트(21)의 길이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고, 외부로부터 힘이 가해지지 않았을 때와는 다른 각도를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The distal portion 22 connected to the electrode shaft 21 through the connection portion 23 may be dispos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electrode shaft 21 when a force is applied from the outside, and the force is not applied from the outside. It can be formed to form a different angle than when it is not.

일례로, 상기 원위부(22)는 외부로부터 힘을 가해 상기 전극 샤프트(21)의 길이 방향과 -45°내지 +45°의 각도를 이루도록 할 수 있고, -30°내지 +30°의 각도를 이루도록 할 수 있고, -15°내지 +15°의 각도를 이루도록 할 수 있고, -5°내지 +5°의 각도를 이루도록 할 수 있고, 상기 전극 샤프트(21)의 길이 방향과 평행하도록 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distal portion 22 may be formed to form an angle of -45° to +45° with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electrode shaft 21 by applying force from the outside, and may be formed to form an angle of -30° to +30°. It can be made to form an angle of -15° to +15°, it can be made to form an angle of -5° to +5°, and it can be made to be parallel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electrode shaft 21.

일 측면에 따른 내시경 시술용 비가역적 전기천공법 장치(100)는 전극 커버(10) 내부에 상기 2개 이상의 전극(20)을 배치하되, 카테터 내의 삽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극(20)의 원위부(22)가 상기 전극 샤프트(21)의 길이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The irreversible electroporation device 100 for endoscopic procedures according to one aspect disposes the two or more electrodes 20 inside the electrode cover 10, and to facilitate insertion into the catheter, as shown in Figure 6(a) As shown, the distal portion 22 of the electrode 20 may be dispos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electrode shaft 21.

이에, 도 6(a) 내지 도 6(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전극 커버(10) 내에 상기 전극 샤프트(21)의 길이방향으로 배치된 상기 전극의 원위부(22)는 상기 전극 커버(10)가 제거될 때, 상기 전극 샤프트(21)의 길이 방향과 일정한 방향을 이루도록 자가 팽창(self-expanding)하여 직립할 수 있다.Accordingly, as shown in FIGS. 6(a) to 6(c), the distal portion 22 of the electrode dispos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electrode shaft 21 within the electrode cover 10 is the electrode cover ( When 10) is removed, it can self-expand and stand upright in a certain direction with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electrode shaft 21.

이러한 방식은 스탠트(stent)로부터 스탠트 시스(stent sheath)가 제거됨과 동시에 스탠트(stent)가 팽창되는 원리와 유사할 수 있으며, 이에, 상기 전극(20)은 스탠트형 전극(Stent-type electrode)으로 언급될 수 있다.This method may be similar to the principle in which the stent is expanded at the same time as the stent sheath is removed from the stent. Accordingly, the electrode 20 is a stent-type electrode. electrode).

한편, 상기 2개 이상의 전극(20)의 원위부(22) 중 서로 다른 극을 갖는 전극이 서로 전기적으로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2개 이상의 전극(20)의 원위부(22) 각각은 서로 이격 배치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전극 커버(10) 내부의 공간적 제한을 고려하여, 상기 전극 샤프트(21)의 길이 방향으로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Meanwhile, in order to prevent electrodes having different poles among the distal portions 22 of the two or more electrodes 20 from electrically contacting each other, the distal portions 22 of the two or more electrodes 20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t can be, and preferably, taking into account the spatial limitations inside the electrode cover 10, they can be arranged to be spaced apar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electrode shaft 21.

도 7은 일 측면에 따른 내시경 시술용 비가역적 전기천공법 장치(100)의 2개의 전극(20)의 원위부(22)의 예시적인 위치를 나타낸 모식도로,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상기 장치(100)는 서로 다른 극을 갖는 2개의 전극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2개의 전극 중 어느 하나의 원위부(22)는 상기 전극 커버의 일단으로부터 d1의 거리에 위치할 수 있고, 상기 2개의 전극 중 다른 하나의 원위부(22')는 상기 전극 커버의 일단으로부터 d2의 거리에 위치할 수 있으며, 이때, d1 및 d2는 서로 다른 것이 바람직하다.FIG. 7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n exemplary position of the distal portion 22 of the two electrodes 20 of the irreversible electroporation device 100 for endoscopic procedures according to one aspect, as shown in FIG. 6, for example. For example, the device 100 may include two electrodes having different poles, and the distal portion 22 of either electrode may be located at a distance d1 from one end of the electrode cover, The distal portion 22' of the other of the two electrodes may be located at a distance d2 from one end of the electrode cover, and in this case, d1 and d2 are preferably different from each other.

도 8은 일 측면에 따른 내시경 시술용 비가역적 전기천공법 장치에 포함되는 전극의 다른 예를 나타낸 모식도이다.Figure 8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nother example of an electrode included in an irreversible electroporation device for endoscopic procedures according to one aspect.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2개 이상의 전극(20) 각각은, 서로 마주하는 면의 반대 면에 배치되는 내화학성 막(25)을 더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8, each of the two or more electrodes 20 may further include a chemical resistance film 25 disposed on opposite sides of the surfaces facing each other.

상기 내화학성 막(25)은 비가역적 전기천공법 절제(IRE ablation)를 위해 고전압의 전기 자극을 담도와 같은 소화기관 등에 전달할 때, 담도의 내강에 존재하는 과도한 담즙으로부터 전극을 보호함으로써 2개 이상의 전극이 서로 마주하는 면 사이에 전기장이 안정적으로 발생될 수 있고, 절제(ablation) 효율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chemical-resistant membrane 25 protects the electrode from excessive bile present in the lumen of the biliary tract when delivering high-voltage electrical stimulation to the digestive organs such as the biliary tract for irreversible electroporation ablation (IRE ablation), thereby protecting the electrode from two or more An electric field can be stably generated between surfaces where electrodes face each other, and ablation efficiency can be prevented from being reduced.

상기 내화학성 막(25)는 다양한 내화학성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내화학성과 내부식성이 강한 확장된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ePTFE, Expanded polytetrafluoroethylene)재질의 막(membrane)일 수 있다. The chemical-resistant film 25 may be made of various chemical-resistant materials, but is preferably a membrane made of expanded polytetrafluoroethylene (ePTFE), which has strong chemical resistance and corrosion resistance.

이하, 상기 내시경 시술용 비가역적 전기천공법 장치를 이용한 비가역적 전기천공법 절제(IRE ablation)방법의 실시 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an embodiment of the irreversible electroporation ablation method using the irreversible electroporation device for endoscopic procedure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9는 담관 내강 내 종양을 제거하기 위해 상기 내시경 시술용 비가역적 전기천공법 장치를 이용하여 전기천공법 절제(IRE ablation)를 수행하는 모습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Figure 9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electroporation ablation (IRE ablation) using the endoscopic irreversible electroporation device to remove a tumor within the lumen of the bile duct.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내시경 시술용 비가역적 전기천공법 장치를 이용한 비가역적 전기천공법 절제(IRE ablation)방법은,Referring to Figure 9, the irreversible electroporation ablation (IRE ablation) method using the irreversible electroporation device for endoscopic procedures is,

전극 커버(10) 및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전극 커버 내부에 배치되는 2개 이상의 전극(20)을 포함하고, 상기 2개 이상의 전극(20) 각각은, 표면이 절연 처리된 전극 샤프트(21); 상기 전극 샤프트 일단에 배치며, 고리 형태를 갖는 원위부(distal tip)(22); 및 상기 전극 샤프트(21) 및 상기 원위부(22)를 연결하는 연결부(23);를 포함하는, 내시경 시술용 비가역적 전기천공법 장치(100)를 이용한 비가역적 전기천공법 절제 방법으로서, It includes an electrode cover 10 and two or more electrodes 20, at least a portion of which is disposed inside the electrode cover, and each of the two or more electrodes 20 includes an electrode shaft 21 whose surface is insulated; a distal tip 22 disposed at one end of the electrode shaft and having a ring shape; An irreversible electroporation ablation method using an irreversible electroporation device 100 for endoscopic procedures, comprising a connection portion 23 connecting the electrode shaft 21 and the distal portion 22,

상기 2개 이상의 전극(20)을 전극 커버(10) 내에 삽입하는 단계;Inserting the two or more electrodes 20 into the electrode cover 10;

상기 전극 커버(10) 및 전극(20)을 내시경 카테터 내에 삽입한 후, 상기 2개 이상의 전극(20)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제거할 대상물의 일단에 배치되고, 상기 2개 이상의 전극(20) 중 다른 하나 이상이 상기 대상물의 타단에 배치되도록 상기 내시경 카테터와 연동하여 신체의 관내 구조물에 진입시키는 단계;After inserting the electrode cover 10 and the electrode 20 into the endoscopic catheter, at least one of the two or more electrodes 20 is placed on one end of the object to be removed, and among the two or more electrodes 20 entering the intraluminal structure of the body in conjunction with the endoscopic catheter so that at least one other end is disposed at the other end of the object;

상기 2개 이상의 전극(20)의 원위부(22) 상의 전극 커버(10)를 제거하는 단계; 및removing electrode covers (10) on distal portions (22) of the two or more electrodes (20); and

상기 2개 이상의 전극(20) 각각의 근위부(proximal tip)에 고전압 발생기를 연결시켜 상기 2개 이상의 전극(20)의 원위부(22)에 고전압을 인가함으로써, 상기 대상물에 대해 비가역적 전기천공법 절제(IRE ablation)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By connecting a high voltage generator to the proximal tip of each of the two or more electrodes 20 and applying high voltage to the distal part 22 of the two or more electrodes 20, irreversible electroporation ablation of the object is performed. It may include a step of performing (IRE ablation).

이하, 상기 내시경 시술용 비가역적 전기천공법 장치(100)를 이용한 비가역적 전기천공법 절제 방법을 각 단계별로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irreversible electroporation resection method using the irreversible electroporation device 100 for endoscopic procedure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in each step.

먼저, 2개 이상의 전극(20)을 전극 커버(10) 내에 삽입하는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First, the step of inserting two or more electrodes 20 into the electrode cover 10 may be performed.

상기 단계는 내시경 카테터에 삽입하기 전 단계로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전극 커버(10) 내에 상기 전극(20)의 원위부(22)는 직립하지 않은 상태, 즉 상기 전극 샤프트(21)의 길이방향으로 배치되도록 전극 커버(10) 내에 삽입할 수 있다.This step is a step before insertion into the endoscopic catheter, and preferably, the distal portion 22 of the electrode 20 is not erected within the electrode cover 10, that is, it is dispos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electrode shaft 21. It can be inserted into the electrode cover 10 as much as possible.

이후, 상기 전극 커버(10) 및 전극(20)을 내시경 카테터 내에 삽입한 후, 도 9(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2개 이상의 전극(20)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제거할 대상물의 일단에 배치되고, 상기 2개 이상의 전극(20) 중 다른 하나 이상이 상기 대상물의 타단에 배치되도록 상기 내시경 카테터와 연동하여 신체의 관내 구조물에 진입시키는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After inserting the electrode cover 10 and the electrode 20 into the endoscopic catheter, at least one of the two or more electrodes 20 is placed on one end of the object to be removed, as shown in FIG. 9(a). A step of entering the intraluminal structure of the body may be performed in conjunction with the endoscopic catheter so that the other one or more of the two or more electrodes 20 is disposed at the other end of the object.

상기 단계는 바람직하게는 내시경 카테터를 통해 진입해야 하는 협소한 관 구조물(예를 들어, 담도, 췌장관) 내에 형성된 종양(tumor) 등의 제거 대상물이 상기 2개의 전극 사이에 배치될 때까지 진입 시 누공 유발을 방지하고 전극(20)의 고리 형태의 원위부(22)가 해당 기관에 진입하는 데에 방해가 되지 않도록 상기 전극 커버(10)를 제거하지 않는다. The step is preferably performed through an endoscopic catheter until an object to be removed, such as a tumor formed in a narrow vascular structure (e.g., biliary tract, pancreatic duct), is placed between the two electrodes. The electrode cover 10 is not removed to prevent the occurrence of a fistula and to prevent the ring-shaped distal portion 22 of the electrode 20 from entering the relevant organ.

상기 전극 커버(10) 및 2개 이상의 전극(20)은 상기 카테터 내에 삽입되어 상기 카테터의 움직임에 따라 움직일 수 있도록, 상기 카테터와 유사하게 유연성을 가질 수 있다. The electrode cover 10 and the two or more electrodes 20 may be inserted into the catheter and have flexibility similar to the catheter so that they can move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catheter.

이후, 상기 2개 이상의 전극(20)의 원위부(22) 상의 전극 커버(10)를 제거하는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Thereafter, a step of removing the electrode cover 10 on the distal portion 22 of the two or more electrodes 20 may be performed.

상기 전극 커버(10)의 제거는 상기 전극(20)의 원위부에서 근위부 방향으로 상기 전극 커버(10)를 잡아당겨, 상기 2개의 전극(20) 각각의 원위부(22)를 상기 전극 커버(10)의 외부로 노출시키는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다. 이때, 도 9(b) 및 도 9(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2개 이상의 전극(20)의 원위부(22)는 전극 커버(10)의 외부로 순차적으로 노출될 수 있고, 상기 전극 커버(10)의 외부로 노출되면서 자가 팽창(self-expanding)하여 직립할 수 있다.Removal of the electrode cover 10 involves pulling the electrode cover 10 in the direction from the distal part of the electrode 20 to the proximal part, and removing the distal part 22 of each of the two electrodes 20 from the electrode cover 10. It can be performed by exposing it to the outside. At this time, as shown in FIGS. 9(b) and 9(c), the distal portions 22 of the two or more electrodes 20 may be sequentially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electrode cover 10, and the electrodes It can stand upright by self-expanding while being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cover 10.

이때, "직립"은 상기 원위부(22)가 상기 전극 샤프트(21)의 길이 방향의 수직한 방향과 -45°내지 +45°의 각도를 이루도록 배치되는 것일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30°내지 +30°의 각도를 이루도록 배치되는 것일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5°내지 +15°의 각도를 이루도록 배치되는 것일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5°내지 +5°의 각도를 이루도록 배치되는 것일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전극 샤프트(21)의 길이 방향과 수직하도록 배치되는 것일 수 있다.At this time, “upright” may mean that the distal portion 22 is arranged to form an angle of -45° to +45° with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electrode shaft 21, and more preferably -30°. It may be arranged to form an angle of -15° to +30°, more preferably to form an angle of -15° to +15°, and more preferably to form an angle of -5° to +5°. It may be arranged, and more preferably, may be arranged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electrode shaft 21.

이후, 상기 2개 이상의 전극(20) 각각의 근위부(proximal tip)에 고전압 발생기를 연결시켜 상기 2개 이상의 전극(20)의 원위부(22)에 고전압을 인가함으로써, 상기 대상물에 대해 비가역적 전기천공법 절제(IRE ablation)를 수행하는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Thereafter, a high voltage generator is connected to the proximal tip of each of the two or more electrodes 20 and a high voltage is applied to the distal part 22 of the two or more electrodes 20, thereby performing irreversible electroporation of the object. Steps to perform IRE ablation can be performed.

이후 도 9(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대상물에 대해 비가역적 전기천공법 절제(IRE ablation)을 수행하기 위해, 상기 2개 이상의 전극(20) 각각의 근위부(proximal tip)는 커넥터(connector)를 이용하여 펄스 발생기(pulse generator) 등의 고전압 또는 고전압 펄스를 생성하는 고전압 발생기에 연결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9(d), in order to perform irreversible electroporation ablation (IRE ablation) on the object, the proximal tip of each of the two or more electrodes 20 is connected to a connector. ) can be used to connect to a high voltage such as a pulse generator or a high voltage generator that generates high voltage pulses.

상기 2개 이상의 전극(20) 각각의 근위부(proximal tip)는 상기 고전압 발생기의 음 전극 또는 양 전극과 연결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2개 이상의 전극(20)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은 고전압 발생기의 음 전극과 연결되고 적어도 하나 이상은 고전압 발생기의 양 전극과 연결될 수 있다.The proximal tip of each of the two or more electrodes 20 may be connected to the negative or positive electrode of the high voltage generator, and preferably, at least one of the two or more electrodes 20 is the negative electrode of the high voltage generator. and at least one of them may be connected to the positive electrode of the high voltage generator.

일례로, 상기 2개의 전극 중 어느 하나는 펄스 발생기(pulse generator)의 음 전극과 연결되고 다른 하나는 펄스 발생기(pulse generator)의 양 전극과 연결될 수 있다.For example, one of the two electrodes may be connected to the negative electrode of the pulse generator and the other may be connected to the positive electrode of the pulse generator.

이를 통해 상기 내시경 시술용 비가역적 전기천공법(IRE) 장치(100)에 포함된 2개 이상의 전극은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하나의 음극 및 적어도 하나의 양극을 형성할 수 있으며, 상기 펄스 발생기로부터 발생된 전기 펄스를 이용하여 2개 이상의 전극(20) 각각의 원위부(22) 사이에 전기장을 형성하여 종양 등 제거하고자 하는 대상물에 미세한 구멍을 유발하여 사멸시키는, 비가역적 전기천공법 절제(IRE ablation)를 수행할 수 있다.Through this, the two or more electrodes included in the irreversible electroporation (IRE) device 100 for endoscopic procedures can preferably form at least one cathode and at least one anode, and the pulse generated from the pulse generator Irreversible electroporation ablation (IRE ablation) uses electric pulses to form an electric field between the distal parts 22 of each of two or more electrodes 20 to cause microscopic holes in the object to be removed, such as a tumor, thereby killing it. It can be done.

한편, 상기 내시경 시술용 비가역적 전기천공법 장치를 이용한 비가역적 전기천공법 절제(IRE ablation)방법은 상기 비가역적 전기천공법 장치를 이용하여 전기천공법 절제(IRE ablation) 수행 후, 상기 장치를 제거하는 단계를 더 수행할 수 있다.Meanwhile, the irreversible electroporation ablation method using the irreversible electroporation device for endoscopic procedures involves performing electroporation ablation using the irreversible electroporation device, and then using the device. Additional steps can be taken to remove it.

상기 제거하는 단계는 상기 2개 이상의 전극(20)의 원위부(22) 상에 전극 커버(10)를 재배치하는 단계; 및The removing step includes repositioning the electrode cover 10 on the distal portion 22 of the two or more electrodes 20; and

상기 전극 커버(10) 및 전극(20)이 삽입되어 있는 내시경 카테터를 신체의 관내 구조물로부터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It may include removing the electrode cover 10 and the endoscopic catheter into which the electrode 20 is inserted from the intraluminal structure of the body.

도 10은 상기 비가역적 전기천공법 장치를 이용하여 전기천공법 절제(IRE ablation) 수행 후, 상기 장치를 제거하는 모습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Figure 10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removal of the device after performing electroporation ablation (IRE ablation) using the irreversible electroporation device.

도 10(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기천공법 절제(IRE ablation) 수행 후, 도 10(b) 및 도 10(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전극의 원위부(22)가 상기 전극 커버(21) 내부에 배치되도록 상기 전극 커버(21)를 상기 전극(20)의 근위부에서 원위부 방향으로 밀어 넣을 수 있다. As shown in FIG. 10(a), after performing electroporation ablation (IRE ablation), the distal portion 22 of the electrode is covered with the electrode cover, as shown in FIGS. 10(b) and 10(c). (21) The electrode cover 21 can be pushed in the direction from the proximal part to the distal part of the electrode 20 so that it is placed inside.

상기 전극 커버(21) 내부에 배치된 상기 전극(20)의 원위부(22)는 다시 상기 전극 샤프트(21)의 길이 방향으로 배치되며 이후, 상기 전극 커버(10) 및 전극(20)을 상기 해당기관으로부터 외부로 제거할 수 있다.The distal portion 22 of the electrode 20 disposed inside the electrode cover 21 is again dispos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electrode shaft 21, and then the electrode cover 10 and the electrode 20 are connected to the corresponding It can be removed externally from the organ.

이때, 상기 전극 커버(21) 내부에 전극(20)의 원위부(22) 전체가 배치되도록 상기 전극 커버(21)를 충분히 밀어 넣어 상기 원위부(22)가 직립된 상태가 아닌 상기 전극 샤프트(21)의 길이 방향으로 배치된 상태를 형성하여 협소한 관 구조물(예를 들어, 담도, 췌장관) 내에 배치시킨 상기 장치(100)를 보다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electrode cover 21 is pushed sufficiently so that the entire distal part 22 of the electrode 20 is placed inside the electrode cover 21, so that the distal part 22 is not in an upright state. The device 100 placed in a narrow vascular structure (eg, biliary tract, pancreatic duct) can be more easily removed by forming a state in which it is arrang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10: 전극 커버
20: 전극
21: 전극 샤프트
22: 전극의 원위부
23: 연결부
24: 절연막
25: 내화학성막
30: 전극 커버 위치 조절부
40: 전압 스위치
100: 내시경 시술용 비가역적 전기천공법 장치
10: Electrode cover
20: electrode
21: electrode shaft
22: Distal part of electrode
23: connection part
24: insulating film
25: Chemical resistance film
30: Electrode cover position control unit
40: voltage switch
100: Irreversible electroporation device for endoscopic procedures

Claims (10)

내시경 시술을 통해 인체 담관 내강에서 발생하는 암을 비가역적 전기천공법(IRE)에 의해 자극하여 치료하는 장치로서,
전극 커버 및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전극 커버 내부에 배치되는 음 전극 및 양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음 전극 및 양 전극 각각은,
표면이 절연 처리된 전극 샤프트;
상기 전극 샤프트 일단에 배치되며, 고리 형태를 갖는 금속 소재의 원위부(distal tip); 및
상기 전극 샤프트 및 상기 원위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부는 탄성을 갖는 코일 스프링이고
상기 음 전극의 원위부(distal tip)는 상기 전극 커버의 일단으로부터 제1 거리(d1)에 위치하고, 상기 양 전극의 원위부(distal tip)는 상기 전극 커버의 일단으로부터 제2 거리(d2)에 위치하되, 상기 제1 및 제2 거리는 서로 달라, 상기 음 전극의 원위부(distal tip) 및 양 전극의 원위부(distal tip)는 상기 전극 커버 내에 상기 전극 샤프트의 길이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음 전극의 원위부(distal tip) 및 양 전극의 원위부(distal tip)는 상기 전극 커버가 제거됨에 따라 상기 코일 스프링에 의해 상기 전극 샤프트의 길이 방향과 일정 각도를 이루도록 자가 직립하되 일면이 서로 마주하도록 직립하고,
상기 음 전극의 원위부(distal tip) 및 양 전극의 원위부(distal tip)의 마주하는 면의 반대 면에 내화학성 막이 형성되어 있는, 내시경 시술용 비가역적 전기천공법 장치.
It is a device that stimulates and treats cancer occurring in the lumen of the human bile duct through an endoscopic procedure using irreversible electroporation (IRE),
It includes an electrode cover and at least a portion of a negative electrode and a positive electrode disposed inside the electrode cover,
Each of the negative and positive electrodes is,
Electrode shaft with insulated surface;
A distal tip disposed at one end of the electrode shaft and made of a ring-shaped metal material; and
It includes a connection part connecting the electrode shaft and the distal part,
The connection part is a coil spring having elasticity.
The distal tip of the negative electrode is located at a first distance (d1) from one end of the electrode cover, and the distal tip of the positive electrode is located at a second distance (d2) from one end of the electrode cover. , the first and second distances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and the distal tip of the negative electrode and the distal tip of the positive electrode are arrang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electrode shaft within the electrode cover,
As the electrode cover is removed, the distal tip of the negative electrode and the distal tip of the positive electrode self-erect by the coil spring to form a predetermined angle with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electrode shaft, with one side facing each other. erect,
An irreversible electroporation device for endoscopic procedures, wherein a chemical-resistant film is form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distal tip of the negative electrode and the distal tip of the positive electrod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직립은 상기 원위부가 상기 전극 샤프트의 길이 방향의 수직한 방향과 -45°내지 +45°의 각도를 이루는 것인, 내시경 시술용 비가역적 전기천공법 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upright is an irreversible electroporation device for endoscopic procedures, wherein the distal portion forms an angle of -45° to +45° with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electrode shaft.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 전극의 원위부 및 양 전극의 원위부 사이에 전기장이 형성되는, 내시경 시술용 비가역적 전기천공법 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1,
An irreversible electroporation device for endoscopic procedures, wherein an electric field is formed between the distal part of the negative electrode and the distal part of the positive electrod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화학성 막은 확장된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ePTFE) 막인, 내시경 시술용 비가역적 전기천공법 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1,
Irreversible electroporation device for endoscopic procedures, wherein the chemical-resistant membrane is an expanded polytetrafluoroethylene (ePTFE) membran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 커버는 일단 및 타단이 개방된 튜브 형태인, 내시경 시술용 비가역적 전기천공법 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1,
Irreversible electroporation device for endoscopic procedures, wherein the electrode cover is in the form of a tube with one end and the other end open.
KR1020200132774A 2020-10-14 2020-10-14 Irreversible electroporation device for endoscopy KR10258336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2774A KR102583363B1 (en) 2020-10-14 2020-10-14 Irreversible electroporation device for endoscop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2774A KR102583363B1 (en) 2020-10-14 2020-10-14 Irreversible electroporation device for endoscopy

Publications (3)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49299A KR20220049299A (en) 2022-04-21
KR102583363B1 true KR102583363B1 (en) 2023-10-18
KR102583363B9 KR102583363B9 (en) 2024-02-08

Family

ID=814374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32774A KR102583363B1 (en) 2020-10-14 2020-10-14 Irreversible electroporation device for endoscopy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83363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100095A1 (en) * 2000-09-22 2010-04-22 Salient Surgical Technologies, Inc. Fluid-assisted medical device
US20100179530A1 (en) 2009-01-12 2010-07-15 Ethicon Endo-Surgery, Inc. Electrical ablation devices
JP2020517355A (en) * 2017-04-28 2020-06-18 ファラパルス,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Systems, devices, and methods for delivering pulsed field ablation energy to endocardial tissue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071134A1 (en) * 2013-11-19 2016-09-28 Ethicon, Inc. Thoracoscopic methods for treatment of bronchial disease
EP3470109B1 (en) * 2016-06-14 2021-08-11 Korea University Research and Business Foundation Therapeutic device employing endoscope-interworking electrode
KR20190122627A (en) * 2019-10-23 2019-10-30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Irreversible electroporation devic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100095A1 (en) * 2000-09-22 2010-04-22 Salient Surgical Technologies, Inc. Fluid-assisted medical device
US20100179530A1 (en) 2009-01-12 2010-07-15 Ethicon Endo-Surgery, Inc. Electrical ablation devices
JP2020517355A (en) * 2017-04-28 2020-06-18 ファラパルス,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Systems, devices, and methods for delivering pulsed field ablation energy to endocardial tissu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49299A (en) 2022-04-21
KR102583363B9 (en) 2024-0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051796B2 (en) Devices and methods for forming fistulas
US20170119465A1 (en) Electrical ablation devices comprising an injector catheter electrode
US8114072B2 (en) Electrical ablation device
US7615050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creating a lesion using transjugular approach
US8568410B2 (en) Electrical ablation surgical instruments
US6123701A (en) Methods and systems for organ resection
US9254169B2 (en) Electrical ablation devices and methods
US20090062788A1 (en) Electrical ablation surgical instruments
US20110202052A1 (en) System for treating benign prostatic hyperplasia
EP2051650A2 (en) Tissue ablator
US20120157994A1 (en) Endoscopic resection method
JP2008537896A (en) Electrosurgical needle device
US20100240995A1 (en) System and method for treating tumors
KR101415902B1 (en) Catheter provided with cauterization system
KR102180645B1 (en) Needle type electrode apparatus for endoscopic irreversible electroporation
KR102583363B1 (en) Irreversible electroporation device for endoscopy
Granata et al. Electroporation-based treatments in minimally invasive percutaneous, laparoscopy and endoscopy procedures for treatment of deep-seated tumors.
WO2010107947A1 (en) Nanosecond pulsed electric field parameters for destroying tumors with a single treatment
US20230397952A1 (en) Braided or woven electrodes
KR102452158B1 (en) Catheter for endoscope
WO2022231726A1 (en) Circumferential ablation devices and methods
KR102569595B1 (en) Endoscopic catheter
WO2023101885A1 (en) Electrodes with arc mitigation
US20220361944A1 (en) Energy Delivery System, Method and Device
EP4091564A1 (en) Improving efficiency of ire ablation procedure by applying stress signal to target tissu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