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82215B1 - 공작기계용 이송축 장치 - Google Patents

공작기계용 이송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82215B1
KR102582215B1 KR1020210128935A KR20210128935A KR102582215B1 KR 102582215 B1 KR102582215 B1 KR 102582215B1 KR 1020210128935 A KR1020210128935 A KR 1020210128935A KR 20210128935 A KR20210128935 A KR 20210128935A KR 102582215 B1 KR102582215 B1 KR 1025822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ll screw
retainer
unit
outer ring
end bra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289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45999A (ko
Inventor
이인수
이군호
Original Assignee
현대위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위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위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289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82215B1/ko
Publication of KR202300459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459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22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2215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5/00Driving or feeding mechanisms; Control arrangements therefor
    • B23Q5/22Feeding members carrying tools or work
    • B23Q5/32Feeding working-spindles
    • B23Q5/326Feeding working-spindles screw-oper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5/00Driving or feeding mechanisms; Control arrangements therefor
    • B23Q5/22Feeding members carrying tools or work
    • B23Q5/28Electric dr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5/00Driving or feeding mechanisms; Control arrangements therefor
    • B23Q5/54Arrangements or details not restricted to group B23Q5/02 or group B23Q5/22 respectively, e.g. control hand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23/00Bearings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adjustable for aligning or positioning
    • F16C23/06Ball or roller bearings
    • F16C23/08Ball or roller bearings self-adjus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25/00Bearings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adjustable for wear or play
    • F16C25/06Ball or roller bearings
    • F16C25/08Ball or roller bearings self-adjus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miss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작기계용 이송축 장치에 관한 것으로, 일측이 모터부에 연결되고, 모터부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는 볼스크류부와, 모터부와 이격되어 배치되고, 볼스크류의 타측을 지지하는 엔드브라켓부와, 볼스크류부와 엔드브라켓부 사이에 설치되고, 내륜부 및 외륜부가 구비되는 베어링부와, 내륜부에 접촉되고, 내륜부를 볼스크류부의 축 방향으로 지지하는 스페이서부와, 외륜부에 접촉되고, 외륜부를 볼스크류부의 축 방향으로 지지하는 리테이너부 및 리테이너부를 외륜부로 향해 가압하고, 베어링부의 열변위에 연동되어 리테이너부의 위치를 조절하는 가압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공작기계용 이송축 장치{TRANSFERRING AXIS APPARATUS FOR MACHINE TOOL}
본 발명은 공작기계용 이송축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고정-고정 방식의 볼스크류 구동 구조를 갖는 공작기계용 이송축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작기계는 여러 절삭 가공 방법 또는 비절삭 가공 방법으로 금속 또는 비금속의 공작물을 각종 공구를 이용하여 원하는 형상 및 치수로 가공할 목적으로 사용하는 기계를 말한다.
이러한 공작기계에서 이송 유닛 및 공작물 등을 이송시키기 위하여 사용되는 볼스크류의 양단부에 대한 취부 형태는 고정(Fixed)-지지(Free) 또는 고정(Fixed)-고정(Fixed) 방식으로 적용되고 있다.
고정-고정 방식의 경우, 볼스크류의 양단부가 모두 축방향으로 구속되는 동시에 베어링에 의하여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형태를 갖는다. 고정-고정 방식은 경우 볼스크류의 양단부에 대한 지지 강성이 좋고, 위험 회전수가 높은 장점이 있다. 그러나, 고정-고정 방식은 동작 중에 온도가 상승할 경우 볼스크류의 길이 신장 및 수축 등의 열변위 의해 베어링에 가해지는 힘이 증가 또는 감소되면서 지지 강성 및 베어링 수명을 떨어뜨리게 되고, 특히 온도 차이가 심하게 클 경우 베어링의 파손이나 볼스크류의 휨에 의한 진동 발생 등 여러가지 문제점이 야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061923호(2010.06.10 공개, 발명의 명칭: 이송스크류 예압장치)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볼스크류의 열변위를 능동적으로 흡수할 수 있는 공작기계용 이송축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공작기계용 이송축 장치는: 일측이 모터부에 연결되고, 상기 모터부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는 볼스크류부; 상기 모터부와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볼스크류의 타측을 지지하는 엔드브라켓부; 상기 볼스크류부와 상기 엔드브라켓부 사이에 설치되고, 내륜부 및 외륜부가 구비되는 베어링부; 상기 내륜부에 접촉되고, 상기 내륜부를 상기 볼스크류부의 축 방향으로 지지하는 스페이서부; 상기 외륜부에 접촉되고, 상기 외륜부를 상기 볼스크류부의 축 방향으로 지지하는 리테이너부; 및 상기 리테이너부를 상기 외륜부로 향해 가압하고, 상기 베어링부의 열변위에 연동되어 상기 리테이너부의 위치를 조절하는 가압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가압부는, 상기 엔드브라켓부에 고정되고, 상기 리테이너부를 상기 볼스크류부의 축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고정부; 및 상기 고정부와 상기 리테이너부 사이에 설치되고, 탄성복원력에 의해 상기 리테이너부를 상기 외륜부로 향해 가압하는 탄성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고정부는, 상기 리테이너부를 관통하고, 상기 리테이너부가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가이드부; 상기 가이드부의 일측으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엔드브라켓부에 결합되는 결합부; 및 상기 가이드부의 타측으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리테이너부가 상기 가이드부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탄성부는 상기 베어링부의 열변위에 의해 상기 리테이너부로 가해지는 하중의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압축 변형된다.
또한, 상기 탄성부는 접시 스프링의 형태로 구비된다.
또한, 상기 리테이너부는 상기 엔드브라켓부와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배치된다.
본 발명에 따른 공작기계용 이송축 장치는 가압부가 베어링부의 열변위에 연동되어 리테이너부의 위치를 조절하여 베어링에 추가적인 축 하중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음에 따라 베어링의 수명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공작기계용 이송축 장치는 리테이너부가 엔드브라켓부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됨에 따라 가압부로부터 가해지는 가압력이 엔드브라켓부로 분산되지 않고 온전하게 정압 방식으로 외륜부로 전달되도록 유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작기계용 이송축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작기계용 이송축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볼스크류부의 타측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확대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볼스크류부의 타측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테이너부와 가압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확대도이다.
도 6,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작기계용 이송축 장치의 작동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작동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공작기계용 이송축 장치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또는 접속)"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또는 접속)"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또는 접속)"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또는 구비)"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또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할 수 있다. 동일한 참조 부호 또는 유사한 참조 부호들은 특정 도면에서 언급 또는 설명되지 않았더라도, 그 부호들은 다른 도면을 토대로 설명될 수 있다. 또한, 특정 도면에 참조 부호가 표시되지 않은 부분이 있더라도, 그 부분은 다른 도면들을 토대로 설명될 수 있다. 또한, 본 출원의 도면들에 포함된 세부 구성요소들의 개수, 형상, 크기 및 크기의 상대적인 차이 등은 이해의 편의를 위해 설정된 것으로서, 실시예들을 제한하지 않으며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작기계용 이송축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작기계용 이송축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볼스크류부의 타측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확대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볼스크류부의 타측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작기계용 이송축 장치(1)는 볼스크류부(100), 모터부(200), 엔드브라켓부(300), 베어링부(400), 스페이서부(500), 리테이너부(600), 가압부(700)를 포함한다.
볼스크류부(100)는 회전 운동을 직선 운동으로 변환하여 공작기계의 이송 유닛(미도시)를 X축, Y축, 또는 Z축의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볼스크류부(100)는 볼스크류축(110), 너트(120)를 포함한다.
볼스크류축(110)은 원형의 단면을 갖는 샤프트의 형태를 갖도록 형성된다. 볼스크류축(110)은 중심축을 축으로 공작기계의 내부에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볼스크류축(110)의 외주면에는 볼스크류부(100)의 축 방향을 따라 나사홈과 나사산이 나선 형태로 상호 교번적으로 연장된다.
너트(120)는 볼스크류축(110)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설치된다. 너트(120)는 중심축이 볼스크류축(110)의 중심축과 동일 직선상에 위치하도록 배치된다. 너트(120)의 내주면에는 볼스크류부(100)의 축 방향을 따라 나사홈과 나사산이 나선 형태로 상호 교번적으로 연장된다.
볼스크류축(110)과 너트(120) 사이에는 다수개의 볼이 설치된다. 볼은 구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어 양측면이 각각 볼스크류축(110)의 내주면에 형성된 나사홈과 너트(120)의 내주면에 형성된 나사홈에 구름 접촉된다. 볼은 볼스크류축(110)의 회전 시 볼스크류축(110)의 내주면에 형성된 나사홈을 따라 이동되며 너트(120)를 볼스크류부(100)의 축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직선 왕복 운동시킨다.
모터부(200)는 볼스크류부(100)의 일측을 지지하고, 구동력을 발생시켜 볼스크류부(100)에 회전력을 전달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터부(200)는 모터브라켓부(210), 전동모터(220)를 포함한다.
모터브라켓부(210)는 공작기계의 벽면, 기둥 등으로 예시되는 프레임에 고정된다. 모터브라켓부(210)는 볼팅 등에 의해 프레임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고, 용접 등에 의해 프레임에 일체로 고정되는 것도 가능하다. 모터브라켓부(210)는 내부로 볼스크류축(110)의 일측이 삽입되고, 베어링 등을 매개로 볼스크류축(110)의 일측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다. 모터브라켓부(210)의 구체적인 형상은 도 1, 도 2에 도시된 형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볼스크류부(100)의 일측을 지지할 수 있는 형상의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설계 변경이 가능하다.
전동모터(220)는 모터브라켓부(210)에 결합되어 지지되고, 외부로부터 전원을 입력받아 회전력을 발생시킨다. 전동모터(220)는 출력축이 커플링 등을 매개로 볼스크류축(110)의 일측과 연결됨에 따라 발생되는 회전력을 볼스크류축(110)으로 전달한다.
엔드브라켓부(300)는 모터부(200)와 이격되어 배치되어 볼스크류부(100)의 타측을 지지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엔드브라켓부(300)는 대략 중공형의 원통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어 내부로 볼스크류축(110)의 타측이 삽입된다. 엔드브라켓부(300)의 내주면은 후술하는 베어링부(400) 및 스페이서부(500)가 설치될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할 수 있도록 볼스크류축(110)의 외주면과 소정 간격 이격되어 마주보게 배치된다. 엔드브라켓부(300)는 양측이 볼팅 또는 용접 등에 의해 공작기계의 프레임에 결합되어 위치 고정될 수 있다. 엔드브라켓부(300)의 구체적인 형상은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형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볼스크류부(100)의 타측을 지지할 수 있는 형상의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설계 변경이 가능하다.
베어링부(400)는 볼스크류부(100)와 엔드브라켓부(300) 사이에 설치되고, 엔드브라켓부(300)에 대해 볼스크류부(100)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다. 베어링부(400)는 복수개로 구비되어 볼스크류부(100)의 축 방향을 따라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베어링부(400)는 내륜부(410)와 외륜부(420)를 포함한다.
내륜부(410)는 베어링부(400)의 일측 외관을 형성하고, 내주면이 볼스크류축(110)의 외주면에 밀착되어 고정된다. 내륜부(410)는 볼스크류축(110)의 회전 시, 볼스크류축(110)과 함께 회전되는 회전 요소로서 기능한다. 내륜부(410)의 외주면은 오목하게 함몰 형성되는 곡면의 형태를 갖도록 구비되어 구 형상의 전동체의 일측면이 구름 접촉된다.
외륜부(420)는 베어링부(400)의 일측 외관을 형성하고, 내륜부(410)와 볼스크류축의 반경 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어 마주보게 배치된다. 외륜부(420)는 외주면이 엔드브라켓부(300)의 내주면에 밀착되어 고정된다. 외륜부(420)는 볼스크류축(110)의 회전 시, 엔드브라켓부(300)에 고정되어 내륜부(410)의 회전을 지지하는 고정 요소로서 기능한다. 내륜부(410)의 내주면은 오목하게 함몰 형성되는 곡면의 형태를 갖도록 구비되어 구 형상의 전동체의 타측면이 구름 접촉된다.
스페이서부(500)는 내륜부(410)에 접촉되고, 내륜부(410)를 볼스크류부(100)의 축 방향으로 지지한다. 스페이서부(500)는 한 쌍으로 구비되어 내륜부(410)의 양측을 각각 개별적으로 지지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페이서부(500)는 중공형의 원통 형태를 갖도록 형성되어 볼스크류축(110)에 삽입된다. 스페이서부(500)는 볼스크류축(110)의 축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되고, 복수개의 베어링부(400) 중 최외측에 배치된 베어링부(400)와 각각 마주보게 배치된다. 한 쌍의 스페이서부(500) 중 어느 하나의 스페이서부(500)는 양단부가 각각 볼스크류축(110)의 반경 방향으로 돌출된 단차면과, 최후방(도 4 기준 좌측)에 배치된 내륜부(410)의 단부면에 접촉되어 지지된다. 한 쌍의 스페이서부(500) 중 나머지 하나의 스페이서부(500)는 양단부가 각각 볼스크류(110)의 타측 단부에 체결된 로킹너트(111)의 후면과, 최전방(도 4 기준 우측)에 배치된 내륜부(410)의 단부면에 접촉되어 지지된다.
리테이너부(600)는 외륜부(420)에 접촉되고, 외륜부(420)를 볼스크류부(100)의 축 방향으로 지지한다. 리테이너부(600)는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베어링부(400)의 열변위에 따라 위치가 가변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테이너부와 가압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확대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테이너부(600)는 접촉부(610), 플랜지부(620)를 포함한다.
접촉부(610)는 일측이 외륜부(420)와 접촉되고, 후술하는 가압부(700)로부터 전달되는 가압력에 의해 베어링부(400)에 예압을 형성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촉부(610)는 중공형의 원통 형태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접촉부(610)는 내주면이 한 쌍의 스페이서부(500) 중 로크너트(111)와 베어링부(400) 사이에 배치된 스페이서부(500)의 외주면과 마주보게 배치된다. 접촉부(610)의 일단부는 엔드브라켓부(300)의 내부로 삽입되어 복수개의 베어링부(400) 중 최전방(도 4 기준 우측)에 배치된 베어링부(400)에 구비된 외륜부(420)의 단부면에 접촉된다.
플랜지부(620)는 접촉부(610)로부터 연장되고, 엔드브라켓부(300)와 마주보게 배치된다. 플랜지부(620)는 후술하는 가압부(700)에 의해 볼스크류부(100)의 축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랜지부(620)는 접촉부(610)의 외주면으로부터 접촉부(610)의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는 원판의 형태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플랜지부(620)에는 플랜지부(620)를 볼스크류축(110)의 축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어 후술하는 가압부(700)가 삽입되는 관통홀이 구비된다. 이러한 관통홀은 복수개로 구비되어 플랜지부(620)의 원주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배치된다. 플랜지부(620)는 내측면이 엔드브라켓부(300)의 외측면으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배치된다. 이에 따라 플랜지부(620)는 후술하는 가압부(700)로부터 가해지는 가압력이 엔드브라켓부(300)로 분산되지 않고 온전하게 정압 방식으로 접촉부(610)를 통해 외륜부(420)로 전달되도록 유도할 수 있다.
가압부(700)는 엔드브라켓부(300)와 리테이너부(600)에 연결되고, 탄성복원력에 의해 리테이너부(600)를 외륜부(420)로 향해 가압한다. 가압부(700)는 베어링부(400)의 열변위에 연동되어 탄성 변형됨에 따라 리테이너부(600)의 위치를 조절한다. 이에 따라 가압부(700)는 베어링부(400)에 열변위가 발생하는 경우, 베어링부(400)에 작용하는 추가적인 축 하중이 리테이너부(600)의 위치 변동을 통해 흡수되도록 유도함으로써 베어링부(400)의 수명 단축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압부(700)는 고정부(710), 탄성부(720)를 포함한다.
고정부(710)는 일측이 엔드브라켓부(300)에 고정되고, 리테이너부(600)를 볼스크류부(100)의 축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한다. 고정부(710)는 복수개로 구비되어 리테이너부(600)의 원주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부(710)는 가이드부(712), 결합부(711), 이탈방지부(713)를 포함한다.
가이드부(712)는 리테이너부(600)를 관통하고, 리테이너부(600)가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부(712)는 원통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고, 플랜지부(620)에 형성된 관통홀을 통해 플랜지부(620)를 볼스크류부(100)의 축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관통한다. 가이드부(712)는 리테이너부(600)의 슬라이드 이동이 가이드부(712)의 축 방향을 따라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직경의 크기가 관통홀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된다.
결합부(711)는 가이드부(712)의 일측으로부터 연장되고, 엔드브라켓부(300)에 결합되어 고정부(710)를 전체적으로 지지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합부(711)는 가이드부(712)의 후방(도 5 기준 좌측) 단부로부터 가이드부(712)의 축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된다. 결합부(711) 외주면에는 결합부(711)의 길이 방향을 따라 나선 형태로 연장되는 나사산이 형성된다. 결합부(711)는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산에 의해 엔드브라켓부(300)의 내부에 나사 결합된다.
이탈방지부(713)는 가이드부의 타측으로부터 연장되고, 리테이너부(600)가 가이드부(712)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탈방지부(713)는 가이드부(712)의 전방(도 5 기준 우측) 단부로부터 가이드부(712)의 축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된다. 이탈방지부(713)는 가이드부(712)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갖도록 형성된다. 이탈방지부(713)는 베어링부(400)의 열변위에 의해 리테이너부(600)가 전방으로 소정 거리 이상 이동되는 경우, 리테이너부(600)에 접해 리테이너부(600)가 가이드부(712)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탄성부(720)는 고정부(710)와 리테이너부(600) 사이에 설치되고, 탄성복원력에 의해 리테이너부(600)를 외륜부(420)로 향해 가압한다. 탄성부(720)는 베어링부(400)의 열변위 발생 시, 베어링부(400)로부터 리테이너부(600)로 가해지는 하중의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압축 변형되며 리테이너부(600)의 설치 위치를 가변시킨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탄성부(720)는 오목한 면이 리테이너부(600)와 마주보게 배치되는 접시 스프링의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작기계용 이송축 장치의 작동 과정을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6,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작기계용 이송축 장치의 작동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작동도이다.
모터부(200)에 의해 볼스크류부(100)가 회전되는 경우, 부재간의 마찰 등에 의해 볼스크류부(100)에 열이 발생되고, 이러한 열에 의해 볼스크류부(100)에는 열변위가 일어난다.
볼스크류부(100)에서 발생된 열변위는 볼스크류축(110), 내륜부(410), 외륜부(420)를 순차적으로 전달되며, 최종적으로 외륜부(420)는 접촉부(610)에 볼스크류부(100)의 축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하중을 부가한다.
접촉부(610)에 가해지는 하중은 탄성부(720)로 전달되고, 탄성부(720)는 볼스크류부(100)의 축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압축 변형된다.
탄성부(720)가 압축 변형됨에 따라 리테이너부(600)는 플랜지부(620)와 엔드브라켓부(300) 사이의 간격이 증가되는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된다.
즉, 볼스크류부(100)에 발생된 열변위량은 리테이너부(600)의 이동 거리 및 탄성부(720)의 압축량에 의해 흡수된다.
이에 따라 베어링부(400)에는 볼스크류부(100)의 축 방향으로 가해지는 하중이 추가적으로 부가되지 않게 되어 베어링부(400)의 수명 단축을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 : 공작기계용 이송축 장치 100 : 볼스크류부
110 : 볼스크류축 120 : 너트
200 : 모터부 210 : 모터브라켓부
220 : 전동모터 300 : 엔드브라켓부
400 : 베어링부 410 : 내륜부
420 : 외륜부 500 : 스페이서부
600 : 리테이너부 610 : 접촉부
620 : 플랜지부 700 : 가압부
710 : 고정부 711 : 결합부
712 : 가이드부 713 : 이탈방지부
720 : 탄성부

Claims (6)

  1. 모터부에 연결되고, 상기 모터부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는 볼스크류부;
    상기 모터부와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볼스크류부를 지지하는 엔드브라켓부;
    상기 볼스크류부와 상기 엔드브라켓부 사이에 설치되고, 내륜부 및 외륜부가 구비되는 베어링부;
    상기 내륜부에 접촉되고, 상기 내륜부를 상기 볼스크류부의 축 방향으로 지지하는 스페이서부;
    상기 외륜부에 접촉되고, 상기 외륜부를 상기 볼스크류부의 축 방향으로 지지하는 리테이너부; 및
    상기 리테이너부를 상기 외륜부로 향해 가압하고, 상기 베어링부의 열변위에 연동되어 상기 리테이너부의 위치를 조절하는 가압부;를 포함하고,
    상기 리테이너부는,
    중공형의 원통 형태를 갖도록 형성되고, 일측이 상기 외륜부와 접촉되는 접촉부; 및
    상기 접촉부의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엔드브라켓부와 소정 간격 이격되어 마주보게 배치되는 플랜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압부는,
    상기 엔드브라켓부에 고정되고, 상기 리테이너부를 상기 볼스크류부의 축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고정부; 및
    상기 고정부와 상기 리테이너부 사이에 설치되고, 탄성복원력에 의해 상기 리테이너부를 상기 외륜부로 향해 가압하는 탄성부;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플랜지부를 상기 볼스크류부의 축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관통하고, 상기 리테이너부가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가이드부;
    상기 가이드부의 일측으로부터 연장되고,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엔드브라켓부의 내부에 나사 결합되는 결합부; 및
    상기 가이드부의 타측으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리테이너부가 상기 가이드부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부는 상기 베어링부의 열변위 발생 시, 상기 베어링부로부터 상기 리테이너부로 가해지는 하중의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압축 변형되며 상기 리테이너부의 설치 위치를 가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작기계용 이송축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는 접시 스프링의 형태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작기계용 이송축 장치.
  6. 삭제
KR1020210128935A 2021-09-29 2021-09-29 공작기계용 이송축 장치 KR1025822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8935A KR102582215B1 (ko) 2021-09-29 2021-09-29 공작기계용 이송축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8935A KR102582215B1 (ko) 2021-09-29 2021-09-29 공작기계용 이송축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45999A KR20230045999A (ko) 2023-04-05
KR102582215B1 true KR102582215B1 (ko) 2023-09-22

Family

ID=858845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28935A KR102582215B1 (ko) 2021-09-29 2021-09-29 공작기계용 이송축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82215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74051A (ja) * 1998-08-28 2000-03-07 Hitachi Ltd 帯鋼巻取機用軸受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74051A (ja) * 1998-08-28 2000-03-07 Hitachi Ltd 帯鋼巻取機用軸受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45999A (ko) 2023-04-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093805B2 (ja) インデックステーブルのクランプ装置の増力装置
US20100175505A1 (en) Clamping device for rotary index device for machine tool
US8141445B2 (en) Supporting structure of ball screw shaft
EP3266562B1 (en) Bearing insertion device
EP2572961A1 (en) Steering apparatus for vehicle
JPH079260B2 (ja) 複合運動案内装置
US20160221138A1 (en) Feed apparatus and machine tool
KR20130138817A (ko) 전동 실린더 및 전동 실린더 시스템
US20190381915A1 (en) Power seat slide device
KR102330867B1 (ko) 정압 유체 베어링 스핀들 장치 및 이를 구비한 공작 기계
CN117985093A (zh) 用于机动车辆的转向柱
KR102582215B1 (ko) 공작기계용 이송축 장치
KR102185505B1 (ko) 스핀들 장치
JP4978888B2 (ja) ボールねじ機構のねじ軸
US11041521B2 (en) Nut, feed screw mechanism, and electric position adjustment device for steering wheel
US6968752B2 (en) Drive shaft moving device
JP4853419B2 (ja) 主軸装置
US6158898A (en) Preloading regulating mechanism for rolling bearings
KR101728682B1 (ko) 유압과 스프링 제어를 이용한 볼 스크류의 2단 제어장치
JP4574228B2 (ja) 電動アクチュエータ用ボールねじ
JP2007216328A (ja) 主軸装置
JP3201198U (ja) テレスコピック接合部構造
JP7413706B2 (ja) ボールねじ
JP2007232023A (ja) 電動アクチュエータ
TWI391585B (zh) 補償誤差的軸承螺桿輸送裝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