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81657B1 - 인지 기능 장애 진단 장치 및 인지 기능 장애 진단 프로그램 - Google Patents

인지 기능 장애 진단 장치 및 인지 기능 장애 진단 프로그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81657B1
KR102581657B1 KR1020207013560A KR20207013560A KR102581657B1 KR 102581657 B1 KR102581657 B1 KR 102581657B1 KR 1020207013560 A KR1020207013560 A KR 1020207013560A KR 20207013560 A KR20207013560 A KR 20207013560A KR 102581657 B1 KR102581657 B1 KR 1025816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cognitive dysfunction
unit
diagnostic
viewpoi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135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85766A (ko
Inventor
슈코 다케다
류이치 모리시타
아카네 오야마
쓰네오 나카지마
Original Assignee
오사카 유니버시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사카 유니버시티 filed Critical 오사카 유니버시티
Publication of KR202000857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857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16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16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0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evaluating the nervous system
    • A61B5/4076Diagnosing or monitoring particular conditions of the nervous system
    • A61B5/4088Diagnosing of monitoring cognitive diseases, e.g. Alzheimer, prion diseases or dement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0Other methods or instruments for diagnosis, e.g. instruments for taking a cell sample, for biopsy, for vaccination diagnosis; Sex determination; Ovulation-period determination; Throat striking imp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00Apparatus for testing the eyes;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 A61B3/10Objective types, i.e.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independent of the patients' perceptions or reactions
    • A61B3/113Objective types, i.e.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independent of the patients' perceptions or reactions for determining or recording eye move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6Devices for psychotechnics; Testing reaction times ; Devices for evaluating the psychological state
    • A61B5/163Devices for psychotechnics; Testing reaction times ; Devices for evaluating the psychological state by tracking eye movement, gaze, or pupil chang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 A61B5/742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using visual displays
    • A61B5/743Displaying an image simultaneously with additional graphical information, e.g. symbols, charts, function plot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2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computer-aided diagnosis, e.g. based on medical expert system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a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Neurology (AREA)
  • Developmental Disabilities (AREA)
  • Psychiatry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Hospice & Palliative Care (AREA)
  • Psychology (AREA)
  • Social Psychology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Physiology (AREA)
  • Neurosurgery (AREA)
  • Epidemiolog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Eye Examination Apparatus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Abstract

인지 기능 장애 진단 장치(1)는, 인지 기능 장애의 진단용 영상을 표시면(11)에 표시하는 표시부(10)와, 피검사자의 눈을 촬상하는 촬상부(21)와, 촬상부(21)에 의해 촬상된 화상에 의거하여, 표시면(11)에 있어서의 피검사자의 시점을 시계열적으로 검출하는 검출부(37)와, 검출부(37)에 의해서 검출된 시점의 분포를 나타내는 분포 맵을 작성하는 작성부(38)와, 인지 기능 장애의 전형예에 대응하는 시점 분포의 특징을 나타내는 증례 특징 데이터(310)를 기억하는 기억부(32)와, 분포 맵이 증례 특징 데이터의 특징을 갖는지의 여부를 판정함으로써 피검사자의 인지 기능 장애를 진단하는 진단부(39)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인지 기능 장애 진단 장치 및 인지 기능 장애 진단 프로그램
본 발명은, 인지 기능 장애를 진단하는 인지 기능 장애 진단 장치 및 인지 기능 장애 진단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인지 기능 장애를 진단하는 장치에 관련된 기술로서 다음과 같은 것이 있다.
특허문헌 1 및 특허문헌 2는, 피검사자의 두부와 시선의 움직임을 검출하여, 뇌기능에 관계하는 질환을 객관적으로 진단할 수 있는 시선 검출을 이용한 의료 진단 장치를 제안하고 있다.
특허문헌 3은, 신경 장애의 진단을 위해서 피검사자의 안구 운동을 검출하는 시스템을 제안하고 있다.
특허문헌 4 및 특허문헌 5는, 망막이나 시신경 등의 눈의 질환 또는 두엽 내 질환시 등에 나타나는 시신경 장애를 검사하기 위한 시각 검사용 차트를 제안하고 있다.
특허문헌 6 내지 특허문헌 9는, 촬상 카메라부를 적어도 구비하는 시선 검출 유닛을 이용하여, 피검사자의 자폐증을 진단하는 자폐증 진단 지원 시스템을 제안하고 있다.
특허문헌 10은, 피검사자의 시선 및 동공을 검출하여, 피검사자의 뇌질환의 가능성을 판정하는 뇌기능 질환 진단 지원 장치를 제안하고 있다.
일본국 특허공개 평6-70884호 공보 일본국 특허공개 평6-70885호 공보 일본국 특허공표 2016-523112호 공보 일본국 특허 제4560801호 공보 일본국 특허 제4116354호 공보 일본국 특허 제5926210호 공보 일본국 특허 제5912351호 공보 일본국 특허 제5761048호 공보 일본국 특허 제5761049호 공보 일본국 특허 제5817582호 공보
그러나, 상기 종래 기술을 이용해도, 인지 기능 장애 진단 장치에 있어서, 간편성, 저비용, 객관성, 정량성 및 범용성(언어 비의존성)을 겸비하는 것은 어렵다.
일본에서는 65세 이상의 7명 중 1명이 인지증(약 440만명)이며, 예비군(즉 경도 인지 기능 장애자)을 포함하면 900만명 가까이의 고령자가 어떠한 인지 기능 장애를 갖는다고 한다(예를 들어, 후생 노동성 「인지증 고령자의 현상」(헤이세이 22년)). 또, 세계의 인지증 환자수는 2050년에 1억 3200만명, 현재의 3배가 될 전망이라고 한다.
이와 같이 인지증 환자가 급증하고 있는 현재에서는, 진단 장치에 의한 진단에 있어서 간편성, 저비용, 객관성, 정량성 및 범용성을 겸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간편성에 대해서는, 예를 들어, 수십분 내지 수시간의 진단 시간을 필요로 하지 않고 수분 사이에 진단을 완료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저비용에 대해서는, 예를 들어, 고가의 전용 장치가 불필요하고, 진단 장치의 유지 및 운용 비용이 들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객관성에 대해서는, 진단에 관련된 사람의 숙련이나 경험이 불필요하고, 균질하게 진단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정량성에 대해서는, 예를 들어, 인지증의 정도를 수치화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범용성(언어 비의존성)에 대해서는, 언어의 종류에 의존하지 않고, 또, 회화 능력이 불충분한 고령자여도 언어에 의존하지 않고 진단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종래 기술에 의해서도, 진단 장치에 의한 진단에 있어서 간편성, 저비용, 객관성, 정량성 및 범용성을 겸비하는 것은 어렵다.
또, 인지 기능 장애에 관한 현상의 일반적인 진단 방법으로서, 인지증의 초기 진단(스크리닝)은, MMSE(Mini-Mental State Exam) 등 신경 심리 검사법에 의거하고 있다. MMSE는, 검사자에 의한 피검사자로의 질문 형식에 의한 인지 기능 평가법이며, 다음의 1 내지 4의 문제점을 갖는다. 즉, 1. 시행에 시간이 걸린다. 구체적으로는 30분 정도를 필요로 한다. 2. 정확한 평가에는 트레이닝을 받은 검사자를 필요로 한다. 3. 회답을 강요당하는 피검사자의 정신적 스트레스가 크다. 4. 검사자에 의해서 결과가 상이한 일이 많아 결과의 재현성 및 객관성이 부족하다.
초기 진단에서 인지증의 의심이 있는 환자에 대해서는, 그 후 전문 외래 등에서 정밀 조사가 행해진다. 여기에서는 인지증의 확정 진단과 함께, 그 원인 질환을 특정하는 것이 주된 목적이 된다.
인지증에는 여러가지 원인 질환이 알려져 있으며(가장 많은 알츠하이머병 외에, 전두측두형 인지증, 레비소체형 인지증 등), 각각에 치료 방침이 상이하기 때문에, 정확한 감별이 중요해진다. 인지증의 원인 질환의 감별은, 전문의에 의한 임상 증상의 평가(특징적인 병력이나 신경 학문적 소견의 유무 등)나 특수한 화상 평가(두부 MRI나 PET 화상 검사 등)에 의존하고 있고, 정량성, 비용, 간편성 등에 문제가 있다.
상기와 같이 인지증 환자의 급증이 전망되고 있기 때문에, 향후에는 전문의나 특수한 화상 진단을 필요로 하지 않는 질환 감별법 혹은 그 보조 진단법의 개발이 중요해진다.
게다가 향후, 일본과 같은 선진 장수국뿐만 아니라, 개발 도상국에서의 고령자 인구의 폭발적 증가가 전망되고 있고, 이들에 대한 인지증의 조기 진단과 조기 개입이 중요해진다.
그러기 위해서는, 특정의 언어를 통하지 않고 인지 기능을 평가할 수 있는 표준적인 진단 수법의 확립이 중요하다.
현시점에서, 이러한 간편성, 저비용, 객관성, 정량성, 범용성(언어 비의존성)을 겸비한 인지 기능 장애 진단 장치는 개발되어 있지 않다.
그래서, 본 발명은, 인지 기능 장애의 진단에 있어서 간편성, 저비용, 객관성, 정량성, 범용성(언어 비의존성)을 겸비하는 인지 기능 장애 진단 장치 및 인지 기능 장애 진단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는 인지 기능 장애 진단 장치는, 인지 기능 장애의 진단용 영상을 표시면에 표시하는 표시부와, 피검사자의 눈을 촬상하는 촬상부와, 상기 촬상부에 의해 촬상된 화상에 의거하여, 상기 표시면에 있어서의 상기 피검사자의 시점(視点)을 시계열적으로 검출하는 검출부와, 상기 검출부에 의해서 검출된 시점의 분포를 나타내는 분포 맵을 작성하는 작성부와, 인지 기능 장애의 전형예에 대응하는 시점 분포의 특징을 나타내는 증례(症例) 특징 데이터를 기억하는 기억부와, 상기 분포 맵이 상기 증례 특징 데이터의 특징을 갖는지의 여부를 판정함으로써 상기 피검사자의 인지 기능 장애를 진단하는 진단부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는 인지 기능 장애 진단 프로그램은, 표시면을 갖는 표시부와, 촬상부에 접속되어, 인지 기능 장애의 전형예에 대응하는 시점 분포의 특징을 나타내는 증례 특징 데이터를 기억하는 기억부를 구비하는 컴퓨터가 실행하는 인지 기능 장애 진단 프로그램으로서, 인지 기능 장애의 진단용 영상을 상기 표시면에 표시하고, 상기 촬상부에 의해서 피검사자의 눈을 촬상하며, 상기 촬상부에 의해 촬상된 화상에 의거하여, 상기 표시면에 있어서의 상기 피검사자의 시점을 시계열적으로 검출하고, 검출된 시점의 분포를 나타내는 분포 맵을 작성하여, 상기 분포 맵이 상기 증례 특징 데이터의 특징을 갖는지의 여부를 판정함으로써 상기 피검사자의 인지 기능 장애를 진단하는 것을 컴퓨터로 하여금 실행하게 한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는 인지 기능 장애 진단 장치 및 인지 기능 장애 진단 프로그램은, 인지 기능 장애의 진단에 있어서 간편성, 저비용, 객관성, 정량성, 범용성(언어 비의존성)을 겸비할 수 있다.
도 1은,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인지 기능 장애 진단 장치의 구성예를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2는,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인지 기능 장애 진단 장치의 외관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기억부의 기억 내용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증례 특징 데이터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인지 기능 장애 진단 장치에 의한 진단 처리예를 나타낸 플로차트이다.
도 6은, 도 5의 진단 처리예에 필요로 하는 시간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5의 제1 진단 처리의 일례를 나타낸 플로차트이다.
도 8은, 도 5의 제2 진단 처리의 일례를 나타낸 플로차트이다.
도 9는, 도 5의 제3 진단 처리의 일례를 나타낸 플로차트이다.
도 10은, 도 5의 제4 진단 처리의 일례를 나타낸 플로차트이다.
도 11은, 도 5의 제5 진단 처리의 일례를 나타낸 플로차트이다.
도 12는, 도 6의 제6 진단 처리의 일례를 나타낸 플로차트이다.
도 13a는,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제1 영상의 표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b는, 도 13a의 제1 영상에 제1 분포 맵을 겹친 표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a는,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제2 영상의 표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b는, 도 14a의 제2 영상 중의 제1 화상에, 제2 분포 맵 중의 제1 부분 맵을 겹친 표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c는, 도 14a의 제2 영상 중의 제2 화상에, 건강인의 제2 분포 맵 중의 제2 부분 맵을 겹친 표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d는, 도 14a의 제2 영상 중의 제2 화상에, 알츠하이머형 인지증 환자의 제2 분포 맵 중의 제2 부분 맵을 겹친 표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a는,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제3 영상의 제1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b는, 도 15a의 제3 영상에, 대뇌피질 기저핵 변성증 환자의 제3 분포 맵을 겹친 표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c는,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제3 영상의 제2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d는, 도 15c의 제3 영상에, 대뇌피질 기저핵 변성증 환자의 제3 분포 맵을 겹친 표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e는,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제3 영상의 제3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f는, 도 15e의 제3 영상에, 대뇌피질 기저핵 변성증 환자의 제3 분포 맵을 겹친 표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6a는,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제4 영상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6b는, 도 16a의 제4 영상에, 알츠하이머형 인지증 환자의 제4 분포 맵을 겹친 표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6c는, 도 16a의 제4 영상에, 레비소체형 인지증 환자의 제4 분포 맵을 겹친 표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7은,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제5 영상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8은,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제2 진단 처리에 의한 인지 기능 스코어와 종래의 MMSE법에 의한 인지 기능 스코어를 대비한 도면이다.
도 19는, 피검사자의 연령별의 시점 취득률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0은, 피검사자의 증례별의 시점 취득률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실시 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하는 실시 형태는, 모두 포괄적 또는 구체적인 예를 나타내는 것이다. 이하의 실시 형태에서 나타나는 수치, 형상, 재료, 구성 요소, 구성 요소의 배치 위치 및 접속 형태, 단계, 단계의 절차 등은, 일례이며, 청구의 범위를 한정하는 주지는 아니다. 또, 이하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구성 요소 중, 최상위 개념을 나타내는 독립 청구항에 기재되어 있지 않은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임의의 구성 요소로서 설명된다.
또, 각 도면은, 모식도이며, 반드시 엄밀하게 도시되는 것은 아니다. 또, 각 도면에 있어서, 같은 구성 부재에 대해서는 같은 부호를 붙이고 있다.
(실시 형태)
이하,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인지 기능 장애 진단 장치 및 인지 기능 장애 진단 프로그램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1. 인지 기능 장애 진단 장치의 구성]
도 1은,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인지 기능 장애 진단 장치의 구성예를 도시한 블럭도이다. 또, 도 2는,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인지 기능 장애 진단 장치의 외관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인지 기능 장애 진단 장치(1)는, 표시부(10), 촬상 장치(20) 및 PC(Personal Computer, 퍼스널 컴퓨터)(30)를 구비한다. 이 인지 기능 장애 진단 장치(1)는, 시판되고 있는 일반적인 PC(30)를 주된 제어 장치로 하고, 또한, PC(30)에 표시부(10) 및 촬상 장치(20)를 부가한 구성예를 나타내고 있다.
표시부(10)는, 표시면(11)을 갖는 플랫 패널형의 디스플레이이며, 인지 기능 장애의 진단용 영상을 표시면(11)에 표시한다. 표시부(10)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진단용 영상을 피검사자에게 보여주기 위해서, 고령자여도 보기 쉬운 대형의 액정 디스플레이, 또는 유기 EL 디스플레이이다. 또한, 표시부(10)는, 퍼스널 컴퓨터용의 모니터여도 되고, 시판의 대형 텔레비전을 모니터로 해도 된다. 또, 표시부(10)는, 플랫 패널형의 디스플레이를 대신하여, 표시면(11)으로서의 스크린과, 프로젝터로 구성해도 된다.
촬상 장치(20)는, 표시부(10)에 장착 가능한 모듈이며, 적어도 피검사자의 눈을 촬상하기 위한 촬상부(21) 및 광원부(24)를 구비한다.
촬상부(21)는, 카메라(22) 및 카메라(23)를 갖는 스테레오 카메라이다. 카메라(22) 및 카메라(23)는, 각각 예를 들어 적외선 카메라여도 된다. 다른 예에서는, 카메라(22) 및 카메라(23)는, 각각 가시광 카메라여도 된다. 또, 촬상부(21)는, 스테레오 카메라가 아닌 단체의 카메라여도 되고, 3개 이상의 카메라여도 된다.
광원부(24)는, 적외선을 조명광으로 하여 피검사자에게 조사하는 광원(25) 및 광원(26)을 구비한다. 광원(25) 및 광원(26)은 각각, 예를 들어, 1개 또는 복수의 적외선 LED(Light Emitting Diode)를 갖는 구성이어도 된다. 다른 예에서는, 광원(25) 및 광원(26)은 각각, 1개 또는 복수의 백색 LED(Light Emitting Diode)여도 된다. 또한, 피검사자의 조명 환경이 충분히 밝은 경우에는, 촬상 장치(20)는 광원부(24)를 구비하지 않아도 된다. 또, 촬상 장치(20)는, 표시부(10)의 상부에 장착해도 되고, 분할하여 좌우에 장착해도 된다.
PC(30)는, 프로세서(31), 기억부(32), 입력부(33), 출력부(34), 표시부(35), 인터페이스부(36), 검출부(37), 작성부(38) 및 진단부(39)를 구비한다. 도 1에 도시한 기능 블록 중, 프로세서(31), 기억부(32), 입력부(33), 출력부(34), 표시부(35) 및 인터페이스부(36)는, 시판되고 있는 컴퓨터의 일반적인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에 의해 구성된다. 다른 기능 블록, 즉 검출부(37), 작성부(38) 및 진단부(39)는, 주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인지 기능 장애 진단 프로그램을 프로세서(31)가 실행함으로써 실현되는 구성 요소를 나타내고 있다.
프로세서(31)는, 기억부(32)에 기억된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이른바 CPU(Central Processing Unit)이다.
기억부(32)는, 프로세서(31)에 의해서 실행되는 프로그램과, 프로세서(31)에 의해 처리되는 데이터를 기억한다. 기억부(32)에 기억되는 프로그램에는, 각종 펌 웨어, OS(Operating System), 드라이버 소프트웨어 등의 소프트웨어 외에,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인지 기능 장애 진단 프로그램을 포함한다. 또, 기억부(32)에 기억되는 데이터에는, 진단용 영상 데이터, 증례 특징 데이터, 시점 데이터, 분포 맵 데이터 등이 포함된다. 진단용 영상 데이터는, 인지 기능 장애의 진단용으로 작성된 정지 화상 또는 동화상이다. 증례 특징 데이터는, 인지 기능 장애의 전형예에 대응하는 시점 분포의 특징을 나타내는 데이터이다. 시점 데이터는, 검출부(37)에 의해서 검출된 시점의 위치와 시각을 나타내는 시계열적인 데이터이다. 분포 맵은, 작성부(38)에 의해서 작성되어, 시점 데이터에 따라서 시계열적인 시점을 이차원 평면에 순차적으로 실시간 플롯한 것이며, 시점의 이차원적인 분포를 나타낸다.
또한, 기억부(32)는, DRAM(Dynamic Random Access Memory) 등으로 구성되는 메인 메모리 또는 일차 메모리와, HDD(Hard Disc Drive) 장치나 SSD(Solid State Drive) 장치로 구성되는 보조 메모리 또는 이차 메모리와, 캐시 메모리를 포함한다. 즉, 본 명세서에서는 기억부(32)는,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기억하는 기능을 갖는 구성 요소의 총칭으로서 이용하고 있다.
입력부(33)는, 예를 들어 키보드, 마우스, 트랙 패드 등을 포함하고, 조작자의 조작을 받아들인다.
출력부(34)는, 예를 들어 스피커이며, 음성을 출력한다.
표시부(35)는, 예를 들어 액정 디스플레이이며, 사용자(여기에서는 검사하는 사람)의 모니터용으로 분포 맵이 중첩된 진단용 영상 등을 표시한다.
인터페이스부(36)는, 케이블을 통해 표시부(10) 및 촬상 장치(20)를 접속하여 통신하는 기능을 갖는다. 인터페이스부(36)는, 예를 들어, HDMI(등록상표)(High-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포트 및 USB(Universal Serial Bus) 포트를 갖는다. 이 경우, 인터페이스부(36)는, HDMI(등록상표) 케이블을 통해 표시부(10)를 접속하고, USB 케이블을 통해 촬상부(21) 및 광원부(24)를 접속한다.
검출부(37)는, 촬상부(21)에 의해 촬상된 화상에 의거하여, 표시면(11)에 있어서의 피검사자의 시점을 시계열적으로 검출한다. 예를 들어, 검출부(37)는, 촬상부(21)에 의해 촬상된 화상으로부터 피검사자의 시선을 검출하여, 시선이 표시면(11)에 교차하는 점의 좌표를 표시면(11)에 있어서의 피검사자의 시점의 위치로서 검출한다. 시점의 위치의 검출은, 주기적으로 행해진다. 주기는, 수10mS 내지 수100mS의 사이에서 정하면 되고, 예를 들어 100mS이면 된다. 검출부(37)는, 예를 들어, 시각을 포함하는 좌표 데이터(x, y, t)의 집합을, 시계열적인 시점의 위치를 나타내는 시점 데이터로서 실시간으로 생성한다. 여기서, x, y는 평면(예를 들어, 표시면(11) 또는 진단용 영상)의 좌표, t는 시각이다.
작성부(38)는, 검출부(37)에 의해서 검출된 시점의 분포를 나타내는 분포 맵을 작성한다. 분포 맵은, 예를 들어, 상기 좌표 데이터(x, y, t)에 대응하는 마크(예를 들어 색이 있는 도트)를 이차원 평면 상에 플롯한 도면이고, PC(30)의 표시부(35)에 표시되는 진단용 영상에 실시간으로 중첩된다. 상기의 마크는, 예를 들어, 최신의 시점일수록 밝게 표시해도 된다.
진단부(39)는, 분포 맵이 증례 특징 데이터의 특징을 갖는지의 여부를 판정함으로써 피검사자의 인지 기능을 진단한다.
이상과 같이, 도 1에 도시한 인지 기능 장애 진단 장치(1)는, 인지 기능 장애의 진단용 영상을 표시면(11)에 표시하는 표시부(10)와, 피검사자의 눈을 촬상하는 촬상부(21)와, 상기 촬상부(21)에 의해 촬상된 화상에 의거하여, 상기 표시면(11)에 있어서의 상기 피검사자의 시점을 시계열적으로 검출하는 검출부(37)와, 상기 검출부(37)에 의해서 검출된 시점의 분포를 나타내는 분포 맵을 작성하는 작성부(38)와, 인지 기능 장애의 전형예에 대응하는 시점 분포의 특징을 나타내는 증례 특징 데이터(310)를 기억하는 기억부(32)와, 상기 분포 맵이 상기 증례 특징 데이터(310)의 특징을 갖는지의 여부를 판정함으로써 상기 피검사자의 인지 기능 장애를 진단하는 진단부(39)를 구비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인지 기능 장애 진단 장치(1)에 의한 인지 기능의 진단에 있어서, 간편성, 저비용, 객관성, 정량성, 범용성(언어 비의존성)을 겸비할 수 있다.
또한,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PC(30)는, 노트형의 컴퓨터여도 데스크탑형의 컴퓨터여도 된다.
[1.1 기억부(32)의 프로그램 및 데이터]
다음으로, 기억부(32)에 기억되는 프로그램 및 데이터에 대해 설명한다.
도 3은,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기억부(32)의 기억 내용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동 도면에 있어서 기억부(32)는, 진단용 영상 데이터(300), 증례 특징 데이터(310), 프로그램(320), 시점 데이터(322), 분포 맵 데이터(323)를 기억한다. 프로그램(320)은, 인지 기능 장애 진단 프로그램(321)을 포함한다.
진단용 영상 데이터(300)는, 제1 영상 데이터(301) 내지 제5 영상 데이터(305)를 포함하는 복수의 영상 데이터의 집합이다. 복수의 영상 데이터의 각각은, 인지 기능 장애의 유무 혹은 정도를 진단하기 위해서 작성된 영상, 또는, 인지 기능 장애의 증례를 감별하기 위해서 작성된 영상이다.
증례 특징 데이터(310)는, 인지 기능 장애의 전형예에 대응하는 시점 분포의 특징을 나타내는 데이터이며, 제1 특징 데이터(311) 내지 제5 특징 데이터(315)를 포함하는 복수의 특징 데이터의 집합이다. 제1 특징 데이터(311) 내지 제5 특징 데이터(315)는, 제1 영상 데이터(301) 내지 제5 영상 데이터(305)와 각각 대응한다.
프로그램(320)은, 각종 펌 웨어, OS(Operating System), 드라이버 소프트웨어 등의 소프트웨어와, 인지 기능 장애 진단 프로그램(321)을 포함한다. 인지 기능 장애 진단 프로그램(321)은, 컴퓨터 즉 PC(30)가 실행하는 프로그램이며, 인지 기능 장애의 진단용 영상을 표시면(11)에 표시하고, 촬상부(21)에 의해서 피검사자의 눈을 촬상하며, 촬상부(21)에 의해 촬상된 화상에 의거하여 표시면(11)에 있어서의 피검사자의 시점을 시계열적으로 검출하고, 검출된 시점의 분포를 나타내는 분포 맵을 작성하여, 분포 맵이 증례 특징 데이터의 특징을 분포 맵이 갖는지의 여부를 판정함으로써 피검사자의 인지 기능 장애를 진단하는 것을 컴퓨터로 하여금 실행하게 한다. 이 중, PC(30)가 촬상부(21)에 의해 촬상된 화상에 의거하여 상기 표시면(11)에 있어서의 피검사자의 시점을 시계열적으로 검출하는 것은, 검출부(37)의 기능이다. PC(30)가, 검출된 시점의 분포를 나타내는 분포 맵을 작성하는 것은, 상기의 작성부(38)의 기능이다. PC(30)가, 분포 맵이 증례 특징 데이터의 특징을 갖는지의 여부를 판정함으로써 피검사자의 인지 기능 장애를 진단하는 것은 진단부(39)의 기능이다.
시점 데이터(322)는, 검출부(37)에 의해 검출된 시점의 위치와 시각을 나타내는 시계열적인 데이터이며, 예를 들어, 이미 설명한 시각을 포함하는 좌표 데이터(x, y, t)의 집합이다.
분포 맵 데이터(323)는, 이미 설명한 분포 맵을 나타내는 데이터이다.
또한, 기억부(32)는, 도 3에 도시한 프로그램 및 데이터 이외에, 피검사자의 진단 결과를 나타내는 진단 데이터나, 피검사자마다의 시점 데이터(322), 분포 맵 데이터(323) 및 진단 데이터를 연관시키는 데이터도 기억한다.
계속해서, 증례 특징 데이터(310)의 구체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4는,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증례 특징 데이터(310)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동 도면의 증례 특징 데이터(310)는, 제1 특징 데이터(311) 내지 제6 특징 데이터(316)를 포함한다. 동 도면에서는, 제1 특징 데이터(311) 내지 제6 특징 데이터(316) 각각의 특징과 대응하는 인지 기능 장애의 증례를 기술하고 있다.
제1 특징 데이터(311)는, 제1 특징과 전두측두형 인지증을 대응시키고 있다. 전두측두형 인지증은, FTD(Fronto-Temporal Dementia)로 약기되는 일이 있다. 제1 특징은, 전두측두형 인지증이라고 하는 증례의 환자에게 전형적으로 나타나는 특징이다. 구체적으로는, 제1 특징은, 일점을 중심으로 하는 국소적인 부분에 시점이 연속적으로 집중한다고 하는 특징을 나타낸다. 이 제1 특징은, 일점 주시 패턴이라고도 불린다. 제1 특징은, 제1 영상 데이터(301)에 의한 진단용 영상인 제1 영상을 피검사자에게 보여 주고 있는 것을 전제로 한다. 이 경우, 제1 영상은, 예를 들어, 인물, 물체, 풍경 및 도형 중 적어도 1개를 나타낸 화상이면 된다.
제2 특징 데이터(312)는, 제2 특징과 인지 기능의 저하를 대응시키고 있다. 즉, 제2 특징은, 인지 기능이 저하되어 있는 환자에게 전형적으로 나타나는 특징이다. 구체적으로는, 제2 특징은, 분포 맵에 있어서 피검사자의 시점이 정답 도형의 표시 영역에 존재하는 비율이 작을수록, 인지 기능이 낮다고 하는 특징을 나타낸다. 이 제2 특징은, 제2 영상 데이터(302)에 의한 진단용 영상인 제2 영상을 피검사자에게 보여 주고 있는 것을 전제로 한다. 이 경우, 제2 영상은, 정답 도형을 포함하고 정답 도형 이외의 도형을 포함하지 않는 제1 화상과, 정답 도형 및 복수의 유사 도형을 포함하는 제2 화상을 포함하는 영상이면 된다. 제2 화상은, 제1 화상을 표시한 직후에 표시된다. 상기의 분포 맵은, 피검사자가 제2 화상을 보고 있을 때의 시점의 분포이다.
제3 특징 데이터(313)는, 제3 특징과 대뇌피질 기저핵 변성증을 대응시키고 있다. 즉, 제3 특징은, 대뇌피질 기저핵 변성증의 환자에게 전형적으로 나타나는 특징이다. 구체적으로는, 제3 특징은, 화상의 좌측 절반에 시점이 존재하지 않는다고 하는 특징, 바꾸어 말하면, 좌측 절반측 공간을 무시한다고 하는 특징을 나타낸다. 이 제3 특징은, 제3 영상 데이터(303)에 의한 진단용 영상인 제3 영상을 피검사자에게 보여 주고 있는 것을 전제로 한다. 이 경우, 제3 영상은, 예를 들어, 인물, 물체, 풍경 및 도형 중 적어도 1개를 나타낸 정지 화상이면 된다.
제4 특징 데이터(314)는, 제4 특징과 레비소체형 인지증을 대응시키고 있다. 즉, 제4 특징은, 레비소체형 인지증의 환자에게 전형적으로 나타나는 특징이다. 구체적으로는, 제4 특징은, 사람의 얼굴의 환시를 유발하는 유발 화상에 시점이 집중한다고 하는 특징을 나타낸다. 이 제4 특징은, 제4 영상 데이터(304)에 의한 진단용 영상인 제4 영상을 피검사자에게 보여 주고 있는 것을 전제로 한다. 이 경우, 제4 영상은, 유발 화상과, 사람의 얼굴의 환시를 유발하지 않는 복수의 비유발 화상의 양쪽 모두를 포함하는 정지 화상이면 된다.
제5 특징 데이터(315)는, 제5 특징과 인지 기능의 저하를 대응시키고 있다. 즉, 제5 특징은, 인지 기능이 저하되어 있는 환자에게 전형적으로 나타나는 특징이다. 구체적으로는, 제5 특징은, 영상 중의 이동하는 물체를 눈으로 좇는 것이 어렵다고 하는 특징을 나타낸다. 이 제5 특징은, 제5 영상 데이터(305)에 의한 진단용 영상인 제5 영상을 피검사자에게 보여 주고 있는 것을 전제로 한다. 이 경우, 제5 영상은, 예를 들어, 표시면(11)을 이동하는 물체를 나타낸 동화상이면 된다.
제6 특징 데이터(316)는, 제6 특징과 전두측두형 인지증을 대응시키고 있다. 즉, 제6 특징은, 전두측두형 인지증의 환자에게 전형적으로 나타나는 특징이다. 구체적으로는, 제6 특징은, 시점 취득률이 소정값(이 소정값을 제2 역치(th2)라고 부른다) 이하가 된다고 하는 특징을 나타낸다. 여기서, 시점 취득률은, 분포 맵에 있어서 시점이 표시면(11) 내에 존재하는 비율을 말한다. 이 제6 특징은, 임의의 진단용 영상을 피검사자에게 보여 주고 있는 것을 전제로 한다. 이 진단용 영상은, 제1 영상 내지 제5 영상의 전부 또는 일부와 겸용해도 된다.
상기의 시점 취득률은, 인지 기능 장애 진단 장치(1)에 의한 인지 기능 장애의 진단의 유효성을 나타내는 지표이다. 즉, 분포 맵에 있어서 시점이 표시면(11)으로부터 벗어나 있는 비율이 크면, 인지 기능 장애 진단 장치(1)에 의한 제6 특징 데이터(316) 이외의 특징 데이터에 의한, 인지 기능 장애의 진단 결과의 유효성을 담보할 수 없다. 그래서, 시점 취득률이 소정값(소정값을 제1 역치(th1)라고 부른다) 이하인 경우에는, 제6 특징 데이터(316) 이외의 특징 데이터에 의한 진단 결과를 무효화하고, 시점 취득률이 제1 역치보다 큰 경우에는, 인지증 기능 장애 진단 장치(1)에 의한 진단 결과를 유효한 것으로 한다. 시점 취득률이 0부터 1까지의 값으로 나타내지는 경우, 제1 역치(th1)는, 예를 들어 0.8이다. 또, 제2 역치(th2)는, 제1 역치(th1)와 같은 값이어도 되고, 상이한 값이어도 된다.
[1.2 인지 기능 장애 진단 장치(1)의 동작]
이상과 같이 구성된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인지 기능 장애 진단 장치(1)에 대해서, 그 동작을 설명한다.
도 5는,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인지 기능 장애 진단 장치(1)에 의한 진단 처리예를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또, 도 6은, 도 5의 진단 처리예에 필요로 하는 시간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인지 기능 장애 진단 장치(1)는, 제1 진단 처리(S10) 내지 제5 진단 처리(S50)를 순차적으로 실행한다. 단, 제6 진단 처리는, 도 6과 같이 제1 진단 처리 내지 제5 진단 처리와 병렬로 실행된다. 도 5 및 도 6의 진단 처리예는, 주로 PC(30)가 인지 기능 장애 진단 프로그램(321)을 실행함으로써 실현되는 처리이다. 또, 도 6의 횡축의 시각(t0~t5)은, 각 진단 처리의 개시 시각 또는 종료 시각을 나타낸다. 도 6에서는, 시각(t0~t5)은, 균등하게 0.5분(30초) 간격으로 하고 있다.
제1 진단 처리는, 제1 영상 데이터(301) 및 제1 특징 데이터(311)를 이용하는 진단 처리이다. 제2 진단 처리는, 제2 영상 데이터(302) 및 제2 특징 데이터(312)를 이용하는 진단 처리이다. 제3 진단 처리는, 제3 영상 데이터(303) 및 제3 특징 데이터(313)를 이용하는 진단 처리이다. 제4 진단 처리는, 제4 영상 데이터(304) 및 제4 특징 데이터(314)를 이용하는 진단 처리이다. 제5 진단 처리는, 제5 영상 데이터(305) 및 제5 특징 데이터(315)를 이용하는 진단 처리이다. 제6 진단 처리는, 제6 특징 데이터(316)를 이용하는 진단 처리이다. 또, 분포 맵 데이터(323)는, 제1 영상 내지 제5 영상에 대응하는 제1 분포 맵 내지 제5 분포 맵을 포함한다.
도 6에서는, 제1 진단 처리 내지 제5 진단 처리 각각의 시간은, 0.5분이다. 제6 진단 처리의 시간은, 제1 진단 처리 내지 제5 진단 처리와 병렬로 행하므로 2분 30초이다. 동 도면에서는, 제1 진단 처리부터 제6 진단 처리까지의 6개의 진단 처리에 필요로 하는 시간은 약 2분 30초이다. 이것은, 현재에도 이용되고 있는 일반적인 MMSE에 의한 질문 형식의 인지 기능 장애의 진단 방법이 약 30분 걸리는 점과 비교하면, 인지 기능 장애 진단 장치(1)는, 복수의 진단 처리의 시간을 큰 폭으로 단축하고 있다.
또한, 제1 진단 처리 내지 제5 진단 처리 각각의 시간은, 0.5분(30초)이 아니어도 되고, 약 10초 내지 수10초 사이에서 정해도 된다. 또, 제1 진단 처리부터 제6 진단 처리까지의 전체의 처리 시간은, 수분 이하, 예를 들어 3분 이하로 정해도 된다.
또, 제1 진단 처리 내지 제5 진단 처리의 각각에 있어서 인지 기능의 저하가 전혀 보여지지 않아 정상이라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도중에 처리를 완료해도 된다.
또한, 제1 진단 처리 내지 제5 진단 처리의 절차는, 도 5 및 도 6과는 상이한 절차여도 된다. 예를 들어, 인지 기능의 저하를 진단하는 제2 진단 처리 및 제5 진단 처리를 실행한 후에, 인지 기능 장애의 증례를 감별 가능한 제1 진단 처리, 제3 진단 처리, 제4 진단 처리를 실행해도 된다.
또, 도 5 및 도 6에 있어서, 제1 진단 처리 내지 제6 진단 처리 중 적어도 1개를 선택하여 실행해도 된다. 일례로서, 인지 기능의 저하를 진단하는 제2 진단 처리 및 제5 진단 처리를 선택하여 실행해도 된다. 다른 예로서, 인지 기능 장애의 증례를 감별 가능한 제1 진단 처리, 제3 진단 처리, 제4 진단 처리를 선택하여 실행해도 된다. 또 다른 예로서, 제1 진단 처리 내지 제6 진단 처리 중 어느 1개를 선택하여 실행해도 된다. 또 다른 예로서, 인지 기능의 저하를 진단하는 제2 진단 처리 및 제5 진단 처리와, 진단 처리의 유효성도 판정하는 제6 진단 처리를 실행하여, 인지 기능의 저하가 있다고 진단된 경우에는, 다른 제1 진단 처리, 제3 진단 처리 및 제4 진단 처리를 실행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도 5 및 도 6의 진단 처리예의 개시 전에, 시점 검출의 캘리브레이션처리를 행해도 된다.
[1.2.1 제1 진단 처리]
다음으로, 제1 진단 처리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1 진단 처리는, 상기의 제1 특징을 이용하고 있다. 즉, 제1 진단 처리는, 전두측두형 인지증의 환자에게는, 일점을 계속 응시한다고 하는 일점 주시 패턴이 보여진다고 하는 특징을 이용하고 있다.
도 7은, 도 5의 제1 진단 처리(S10)의 일례를 나타낸 플로차트이다. 도 7과 같이 PC(30)는, 우선, 기억부(32)로부터 제1 영상 데이터(301)를 읽어내어, 표시부(10)에 있어서 제1 영상 데이터(301)가 나타내는 제1 영상의 표시를 개시시킨다(S11).
도 13a는,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제1 영상의 표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a에 있어서 표시면(11)에는, 스카이다이빙으로 공중을 낙하하는 복수인과, 지상을 촬상한 화상(V11)이 표시되어 있다. 화상(V11)은, 도 13a에서는 편의상 선 화상으로 나타내고 있는데, 실제는 풀 컬러 화상이면 된다.
PC(30)는, 도 6의 시각 t0부터 t1까지, 도 13a와 같은 화상(V11)을 표시한다. 혹은, 도 13a와 같은 화상(V11)을 표시한 후에 다른 화상을 표시해도 된다.
또한, PC(30)는, 촬상부(21)에 있어서 피검사자의 눈의 촬상을 개시시키거나, 혹은, 촬상 중인 경우는 촬상을 계속시키고(S12), 피검사자의 시점의 검출을 개시하거나, 혹은, 검출 중인 경우는 검출을 계속한다(S13). 또한, PC(30)는, 제1 영상의 표시 개시시부터 종료시까지 검출부(37)로부터 시점 데이터를 취득하고, 제1 영상에 대응하는 제1 분포 맵을 실시간으로 작성하여(S14), 표시부(35)에 제1 영상을 표시하며, 표시부(35)의 제1 영상에 제1 분포 맵을 중첩한다. 표시부(10) 및 표시부(35)에 있어서의 제1 영상의 표시, 촬상부(21)에 의한 촬상, PC(30)(보다 상세하게는 도 1의 검출부(37))에 의한 시점의 검출, 및, PC(30)(보다 상세하게는 도 1의 작성부(38))에 의한 제1 맵의 작성은, 병렬로 실행된다.
그 후, PC(30)는, 제1 분포 맵이 증례 특징 데이터의 제1 특징을 포함하는지의 여부를 판정하여(S15), 포함하는 경우에는(S16에서 yes) 전두측두형 인지증의 가능성이 있다고 진단한다(S17). 제1 특징은, 일점 주시 패턴이며, 전두측두형 인지증의 환자는, 어느 일점을 계속 응시한다고 하는 특징이 있으며, 바꾸어 말하면, 일점을 중심으로 하는 국소적인 부분에 시점이 집중한다고 하는 특징을 나타낸다.
도 13b는, 도 13a의 제1 영상에 시점의 제1 분포 맵을 겹친 표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b에서는, PC(30)의 표시부(35)에 있어서의 표시예이며, 전두측두형 인지증의 환자가 피검사자인 경우에, 제1 영상에 포함되는 화상(V11)에 제1 분포 맵을 중첩한 표시예이다. 도 13b에 있어서, 흑점 1개가 검출된 1개의 시점을 나타내고 있다. 파선 범위(A11)에는 소수의 시점이 있고, 파선 범위(A12)에는 압도적 다수의 시점이 모여 있다. 이 제1 분포 맵은, 파선 범위(A12)에 있어서, 일점 주시 패턴이라고 하는 특징을 포함하고 있다.
이상과 같이, 제1 진단 처리에 있어서, 상기 진단용 영상은, 인물, 물체, 풍경 및 도형 중 적어도 1개를 나타낸 화상(V)을 포함하고, 상기 증례 특징 데이터(310)는, 일점을 중심으로 하는 국소적인 부분에 시점이 연속적으로 집중하는 일점 주시 패턴이라고 하는 특징을 나타내며, 상기 진단부(39)는, 상기 분포 맵이 상기 특징을 갖는 경우에, 인지 기능 장애 중 전두측두형 인지증의 가능성이 있다고 진단한다.
이로써, 제1 진단 처리는, 인지 기능 장애 중 전두측두형 인지증을 간편하게 감별할 수 있다. 게다가, 제1 진단 처리는, 수10초라고 하는 단시간에 실행할 수 있어, 간편성, 저비용, 객관성, 정량성, 범용성(언어 비의존성)을 겸비할 수 있다.
[1.2.2 제2 진단 처리]
다음으로, 제2 진단 처리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2 진단 처리는, 상기의 제2 특징을 이용한 도형 패턴 매칭에 의한 인지 기능 장애의 진단 처리이다. 즉, 제2 진단 처리는, 특정의 도형을 제시하고, 그 후 복수의 상이한 도형과 함께 정답 도형(즉 처음에 제시한 특정의 도형)을 제시하며, 피검사자가 정답 도형을 어느 정도 주시하고 있는지를 평가함으로써, 인지 기능의 저하를 진단한다.
도 8은, 도 5의 제2 진단 처리(S20)의 일례를 나타낸 플로차트이다. 도 8과 같이 PC(30)는, 우선, 기억부(32)로부터 제2 영상 데이터(302)를 읽어내어, 표시부(10)에 있어서 제2 영상 데이터(302)가 나타내는 제2 영상의 표시를 개시시킨다(S21). 제2 영상은, 정답 도형을 포함하고 정답 도형 이외의 도형을 포함하지 않는 제1 화상과, 상기 정답 도형 및 복수의 유사 도형을 포함하는 제2 화상을 포함하는 영상이다. 제2 화상은 제1 화상의 표시가 종료한 직후에 표시된다.
도 14a는,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제2 영상의 표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a의 상단은, 표시면(11)에 표시된 제1 화상(V21)의 표시예이다. 제1 화상(V21)은, 정답 도형(P20)을 포함하고, 다른 도형을 포함하고 있지 않다. 또한, 정답 도형은, 피검사자에게 최초로 제시되는 1개의 도형을 말하며, 제2 진단 처리에서 최초로 표시되는 제1 화상 중의 1개의 도형을 말한다. 이 제1 화상(V21)의 표시 시간은, 예를 들어, 5~20초 사이이면 된다. 또한, 제1 화상은, 「이 도형을 잘 기억해 주세요」 등의 정답 도형의 기억을 돕는 메시지 화상을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또, PC(30)는, 제1 화상의 표시와 함께, 「이 도형을 잘 기억해 주세요」라고 하는 메시지 음성을 피검사자에게 반복하여 전해도 된다. 또한, PC(30)는, 메시지 화상과 메시지 음성의 양쪽 모두를 이용해도 된다.
또한, PC(30)는, 촬상부(21)에 있어서 피검사자의 눈의 촬상을 개시시키거나, 혹은, 촬상 중인 경우는 촬상을 계속시키고(S22), 피검사자의 시점의 검출을 개시하거나, 혹은, 검출 중인 경우는 검출을 계속한다(S23). 또한, PC(30)는, 제1 영상의 표시 개시시부터 종료시까지 검출부(37)로부터 시점 데이터를 취득하고, 제2 영상에 대응하는 제2 분포 맵을 실시간으로 작성하여(S24), 표시부(35)에 제2 영상을 표시하며, 표시부(35)의 제2 영상에 제2 분포 맵을 중첩한다. 이때, PC(30)는, 제2 분포 맵으로서, 제1 화상이 표시되어 있는 기간의 시점의 분포를 나타내는 제1 부분 맵과, 제2 화상이 표시되어 있는 기간의 시점의 분포를 나타내는 제2 부분 맵을 각각 실시간으로 생성한다. 즉, 제2 분포 맵은, 제1 부분 맵과 제2 부분 맵 2개로 이루어진다. 또한, 표시부(10) 및 표시부(35)에 있어서의 제2 영상의 표시, 촬상부(21)에 의한 촬상, PC(30)(보다 상세하게는 도 1의 검출부(37))에 의한 시점의 검출, 및, PC(30)(보다 상세하게는 도 1의 작성부(38))에 의한 제2 분포 맵의 작성은, 병렬로 실행된다.
도 14a의 하단은, 표시면(11)에 표시된 제2 화상(V22)의 표시예이다. 제2 화상(V22)은, 정답 도형(P20) 외에, 유사 도형(P21, P22, P23)을 포함한다. 유사 도형(P21, P22, P23)은, 각각 정답 도형에 유사한 도형이며, 정답 도형과 같은 부분과 상이한 부분을 갖는다. 이 제2 화상(V22)의 표시 시간은, 예를 들어, 5초~15초이면 된다. 또한, 제2 화상은, 「앞의 도형과 같은 도형을 응시해 주세요」 등의 정답 도형으로의 주시를 돕는 메시지 화상을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또한, PC(30)는, 제2 화상의 표시 중에, 「앞의 도형과 같은 도형을 응시해 주세요」 등의 정답 도형으로의 주시를 돕는 메시지 음성을 피검사자에게 반복하여 전해도 된다. 또한, PC(30)는, 메시지 화상과 메시지 음성의 양쪽 모두를 이용해도 된다.
그 후, PC(30)는, 제2 분포 맵이 증례 특징 데이터의 제2 특징을 포함하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구체적으로는, PC(30)는, 제2 부분 맵에 있어서 정답 도형의 표시 영역에 시점이 존재하는 비율을 산출하여, 산출한 비율이 역치 이하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S25). 또한, PC(30)는, 비율이 역치 이하인 경우에는(S26에서 yes) 인지 기능 저하의 가능성이 있다고 진단한다(S27). 이 역치는 예를 들어 0.5(즉 50%)여도 된다. 또, PC(30)는, 시점이 정답 도형의 표시 영역에 존재하는 비율을 정규화함으로써 점수화하고(S28), 표시부(35)에 점수를 표시한다. 예를 들어, PC(30)는, 상기의 비율이 0%~20%이면 1점, 20%~40%이면 2점, 40%~60%이면 3점, 60%~80%이면 4점, 80%~100%이면 5점과 같이, 5점 만점의 점수화를 해도 된다. 이러한 점수화에 있어서의 점수의 의미에 대해서는, 예를 들어, 5점은 건강인을 나타낸다. 4점은 인지 기능의 저하가 거의 보여지지 않는 것, 즉 건강인을 나타낸다. 3점은, 인지 기능의 저하가 조금 있고, 인지 기능의 경미한 저하가 있는 것, 즉 건강과 인지증의 경계선 상에 있는 것을 나타낸다. 2점은, 인지 기능의 가벼운 저하가 있는 것, 즉 심각하지 않은 초기 인지증 환자인 것을 나타낸다. 1점은, 인지 기능의 저하가 큰 것, 즉 심각한 인지증인 것을 나타낸다.
도 14b는, 도 14a의 제2 영상 중의 제1 화상(V21)에, 제2 분포 맵 중의 제1 부분 맵을 겹친 표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b에서는, PC(30)의 표시부(35)에 있어서의 표시예이다. 도면 중의 흑점 1개가 검출된 1개의 시점을 나타내고 있다. 도 14b의 제1 화상(V21)은, 피검사자에게 정답 도형(P20)의 기억을 돕고 있다. 동 도면에서는, 파선 범위(A2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정답 도형(P20)의 표시 영역에 다수의 시점이 집중해 있기 때문에, 피검사자가 정답 도형(P20)을 주시하여 정답 도형(P20)의 기억에 애쓰고 있는 것을 안다.
도 14c는, 도 14a의 제2 영상 중의 제2 화상(V22)에, 건강인의 제2 분포 맵 중의 제2 부분 맵을 겹친 표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동 도면은, 표시부(35)에 있어서의 표시예를 나타낸다. 동 도면의 파선 범위(A2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정답 도형(P20)의 표시 영역에는, 유사 도형(P21~P23)의 표시 영역보다 많은 시점이 존재하고 있다. 이 예에서는, 정답 도형의 표시 영역에 시점이 존재하는 비율이 역치(예를 들어 50%) 이상이 되기 때문에, PC(30)는, 단계 S26에서 no로 판정하고, 인지 기능이 저하되어 있을 가능성이 있다고 진단하지 않아, 단계 S28의 점수화에서 5점 만점 중 5점 또는 4점으로 산출하게 된다.
도 14d는, 도 14a의 제2 영상 중의 제2 화상(V22)에, 알츠하이머형 인지증 환자의 제2 부분 맵을 겹친 표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동 도면도 표시부(35)에 있어서의 표시예를 나타낸다. 도 14d는, 도 14c에 비해서, 시점이 정답 도형(P20)의 표시 영역에 모이지 않고, 정답 도형(P20) 및 유사 도형(P21~P23)의 표시 영역에 랜덤으로 존재하고 있다. 도 14d의 예에서는, 정답 도형(P20)의 표시 영역에 시점이 존재하는 비율이 역치(예를 들어 50%)보다 작아지기 때문에, PC(30)는, 단계 S26에서 yes로 판정하고, 단계 S27에서 인지 기능이 저하되어 있을 가능성이 있다고 진단하여, 단계 S28의 점수화에서 5점 만점 중 1점 또는 2점으로 산출하게 된다.
계속해서, 제2 진단 처리의 점수화에 있어서의 점수와 일반적인 MMSE에 의한 점수를 비교하여 설명한다.
도 18은,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제2 진단 처리에 의한 인지 기능 스코어와 종래의 MMSE법에 의한 인지 기능 스코어를 대비한 도면이다. 동 도면의 종축은, 제2 진단 처리에 있어서의 인지 기능 스코어이며, 단계 S28의 점수화에 있어서의 상기의 5점 만점의 점수를 나타낸다. 횡축은, 종래의 MMSE에 의한 인지 기능 스코어를 나타낸다. MMSE에 의한 인지 기능 스코어는, 30점 만점이며, 30점이면 건강인, 점수가 낮을 수록 인지 기능이 저하되어 있는 것을 나타낸다.
동 도면에서는, 인지증의 유무 및 병형(病型)(원인 질환)을 미리 알고 있는 약 20명의 피검사자가 제2 진단 처리와 MMSE에 의한 진단 양쪽 모두를 받은 결과를 나타내고 있다. 동 도면에 있어서, ×표는, 알츠하이머병 또는 MCI(Mild Cognitive Impairment:경도 인지 기능 장애)의 피검사자를 나타낸다. ○표는, 건강인 또는 생리적 건망증이 있는 피검사자를 나타낸다. ●표는, 레비소체형 인지증의 피검사자를 나타낸다. △표는, 전두측두형 인지증의 피검사자를 나타낸다. ▽표는, 피질 기저핵 변성증의 의심이 있는 피검사자를 나타낸다. ◇표는, 뇌혈관성 인지증의 의심이 있는 피검사자를 나타낸다. □표는, 의미성 인지증의 피검사자를 나타낸다.
도 18에 있어서, 제2 진단 처리에 의한 인지 기능 스코어와 종래의 MMSE법에 의한 인지 기능 스코어는, 대개 상관되어 있다. 즉, 제2 진단 처리가, 종래의 MMSE와 같이 피검사자의 인지 기능을 평가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또한, 제2 진단 처리에서는, 파선 범위(A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MMSE에서는 고득점이 되어 건강인이라고 평가되는데, 인지증이 시작되고 있는 초기의 환자를 검출할 수 있게 되어 있다. 파선 범위(A18) 내의 피검사자는, 뇌척수액 검사에 의해서 초기 인지증이라고 진단되어 있다. 이와 같이, 제2 진단 처리는, 종래의 MMSE보다 고감도로 인지 기능 장애를 진단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제2 진단 처리에 있어서, 상기 진단용 영상은, 정답 도형(P20)을 포함하고 정답 도형(P20) 이외의 도형을 포함하지 않는 제1 화상과, 상기 정답 도형 및 복수의 유사 도형(P21~P23)을 포함하는 제2 화상을 포함하는 영상이며, 상기 표시부(10)는, 상기 정답 도형을 상기 피검사자에게 기억시키기 위해서 상기 제1 화상을 표시하고, 상기 제1 화상의 표시를 종료한 직후에 상기 피검사자의 기억력을 진단하기 위해서 상기 제2 화상을 표시하며, 상기 증례 특징 데이터는, 상기 제2 화상에 있어서, 피검사자의 시점이 상기 정답 도형의 표시 영역에 존재하는 비율이 작을수록, 인지 기능이 낮다고 하는 특징을 나타내고, 상기 진단부(39)는, 상기 분포 맵에 있어서 상기 정답 도형의 표시 영역에 존재하는 시점의 비율을 산출하여, 산출한 비율이 역치 이하인 경우에, 인지 기능이 저하되어 있을 가능성이 있다고 진단한다.
이에 의하면, 제2 진단 처리는, 인지 기능의 저하를 간편하게 진단할 수 있다. 또, 제2 진단 처리는, 수10초라고 하는 단시간에 실행할 수 있고, 간편성, 저비용, 객관성, 정량성, 범용성(언어 비의존성)을 겸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진단부(39)는, 또한, 상기 정답 도형의 표시 영역에 존재하는 시점의 비율을 정규화함으로써 점수화해도 된다.
이에 의하면, 인지 기능의 저하의 정도를 정량화할 수 있다. 제2 진단 처리는, 종래의 MMSE와 같은 진단 결과를 얻을 수 있고, 게다가, 종래의 MMSE에서는 검출할 수 없는 초기 인지증을 검출할 수 있다.
또한, 도 8에 있어서, 단계 S28을 단계 S25와 S26 사이에서 실행하여, 단계 S26의 역치를 소정 점수(예를 들어 5점 만점 중의 2점)로 해도 된다. 바꾸어 말하면, PC(30)는, 도 8의 단계 S25 후에, 산출한 비율을 정규화함으로써 점수화한 후에, 당해 점수가 역치 이하인 경우에 인지 기능 저하의 가능성이 있다고 진단하도록 해도 된다.
또, 상기의 정답 도형은, 도형에 한정하지 않고 문자 또는 화상이어도 되고, 도형, 문자 및 화상 등의 임의의 조합이어도 된다. 마찬가지로, 유사 도형은, 도형에 한정하지 않고 문자 또는 화상이어도 되고, 도형, 문자 및 화상 등의 임의의 조합이어도 된다.
[1.2.3 제3 진단 처리]
다음으로, 제3 진단 처리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3 진단 처리는, 상기의 제3 특징을 이용하고 있다. 즉, 제3 진단 처리는, 대뇌피질 기저핵 변성증의 환자에게는 좌측 절반측 공간을 무시한다고 하는 특징이 보여지는 것을 이용하고 있다.
도 9는, 도 5의 제3 진단 처리(S30)의 일례를 나타낸 플로차트이다. 도 9와 같이 PC(30)는, 우선, 기억부(32)로부터 제3 영상 데이터(303)를 읽어내어, 표시부(10)에 있어서 제3 영상 데이터(303)가 나타내는 제3 영상의 표시를 개시시킨다(S31).
도 15a, 도 15c, 도 15e는,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제3 영상의 제1 예, 제2 예, 제3 예를 각각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a에 있어서 표시면(11)에는, 제3 영상으로서 어군의 화상(V31)이 표시되어 있다. 도 15c에 있어서 표시면(11)에는, 제3 영상으로서 횡단 보도, 신호기, 아이 및 자동차를 나타낸 화상(V32)이 표시되어 있다. 도 15e에 있어서 표시면(11)에는, 제3 영상으로서 슈퍼마켓의 선반 및 손님을 나타낸 화상(V33)이 표시되어 있다. 화상(V31)~화상(V33)은, 편의상 선 화상으로 나타내고 있는데, 실제는 풀 컬러 화상이면 된다.
PC(30)는, 제3 진단 처리의 기간 중(도 6에서는 시각 t2부터 t3까지의 기간 중), 화상(V31)~화상(V33) 중 1개를 표시해도 되고, 화상(V31)~화상(V33) 중 복수를 순차적으로 바꾸어 표시해도 된다.
또한, PC(30)는, 촬상부(21)에 있어서 피검사자의 눈의 촬상을 개시시키거나, 혹은, 촬상 중인 경우는 촬상을 계속시키고(S32), 피검사자의 시점의 검출을 개시하거나, 혹은, 검출 중인 경우는 검출을 계속한다(S33). 또한, PC(30)는, 제3 영상의 표시 개시시부터 종료시까지 검출부(37)로부터 시점 데이터를 취득하고, 제3 영상에 대응하는 제3 분포 맵을 실시간으로 작성하여(S34), 표시부(35)에 제3 영상을 표시하며, 표시부(35)의 제3 영상에 제3 분포 맵을 중첩한다. 상기의 표시부(10) 및 표시부(35)에 있어서의 제3 영상의 표시, 촬상부(21)에 의한 촬상, PC(30)(보다 상세하게는 도 1의 검출부(37))에 의한 시점의 검출, 및, PC(30)(보다 상세하게는 도 1의 작성부(38))에 의한 제3 분포 맵의 작성은, 병렬로 실행된다.
그 후, PC(30)는, 제3 분포 맵이 증례 특징 데이터의 제3 특징을 포함하는지의 여부를 판정하여(S35), 포함하는 경우에는(S36에서 yes) 대뇌피질 기저핵 변성증의 가능성이 있다고 진단한다(S37). 제3 특징은, 좌측 절반측 공간 무시라고 하는 특징이며, 화상의 좌측 절반에 시점이 존재하지 않는다고 하는 특징을 나타낸다.
도 15b, 도 15d, 도 15f는, 도 15a, 도 15c, 도 15e의 제3 영상에 제3 분포 맵을 겹친 표시예를 각각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b, 도 15d 및 도 15f에서는, 대뇌피질 기저핵 변성증의 피검사자에 의한 제3 분포 맵을 중첩하고 있다. 이들 도면 모두, 화상의 우측 절반의 파선 범위(A31, A32 및 A33) 내에는 시점이 존재하지만 좌측 절반에는 시점이 존재하지 않는다. 즉, 이들 도면에 중첩된 제3 분포 맵은, 제3 특징(즉 좌측 절반측 공간 무시라고 하는 특징)을 포함하고 있다.
도 15b, 도 15d 및 도 15f의 예에서는, PC(30)는, 단계 S35에 있어서, 제3 분포 맵이 제3 특징을 포함한다고 판정하여, 단계 S37에 있어서 대뇌피질 기저핵 변성증의 가능성이 있다고 진단하게 된다.
이상과 같이, 제3 진단 처리에 있어서, 상기 진단용 영상은, 인물, 물체, 풍경 및 도형 중 적어도 1개를 나타낸 정지 화상을 포함하고, 상기 증례 특징 데이터는, 좌측의 공간을 무시한다고 하는 특징과, 당해 특징이 인지 기능 장애 중 대뇌피질 기저핵 변성증에 대응하는 것을 나타내며, 상기 진단부(39)는, 상기 분포 맵이 상기 특징에 해당하는 경우에, 인지 기능 장애 중 대뇌피질 기저핵 변성증의 가능성이 있다고 진단한다.
이로써, 제3 진단 처리는, 인지 기능 장애 중 대뇌피질 기저핵 변성증을 간편하게 감별할 수 있다. 게다가, 제3 진단 처리는, 수10초라고 하는 단시간에 실행할 수 있어, 간편성, 저비용, 객관성, 정량성, 범용성(언어 비의존성)을 겸비할 수 있다.
[1.2.4 제4 진단 처리]
다음으로, 제4 진단 처리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4 진단 처리는, 상기의 제4 특징을 이용하고 있다. 즉, 제4 진단 처리는, 레비소체형 인지증의 환자에게는, 사람의 얼굴의 환시를 유발하는 유발 화상에 시점이 집중한다고 하는 특징이 보여지는 것을 이용하고 있다.
도 10은, 도 5의 제4 진단 처리(S40)의 일례를 나타낸 플로차트이다. 도 10과 같이 PC(30)는, 우선, 기억부(32)로부터 제4 영상 데이터(304)를 읽어내어, 표시부(10)에 있어서 제4 영상 데이터(304)가 나타내는 제4 영상의 표시를 개시시킨다(S41).
도 16a는,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제4 영상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6a에 있어서 표시면(11)에는, 제4 영상으로서 정지 화상(V41)이 표시되어 있다. 정지 화상(V41)은, 사람의 얼굴의 환시를 유발하는 유발 화상(P40)과, 환시를 유발하지 않는 복수의 비유발 화상(P41, P42)을 포함한다. 유발 화상(P40), 비유발 화상(P41, P42)은, 모두 꽃의 화상이다. 또한, 도 16a에서는 제4 영상은 선 화상인데, 풀 컬러 화상이면 된다.
PC(30)는, 제4 진단 처리의 기간 중(도 6에서는 시각 t3부터 t4까지의 기간 중), 1개의 정지 화상(V41)을 표시해도 되고, 유발 화상과 복수의 비유발 화상을 포함하는 복수의 정지 화상을 순차적으로 바꾸어 표시해도 된다. 또한, 제4 영상은, 「신경쓰이는 것을 응시해 주세요」 등의 주시를 돕는 메시지 화상을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또, PC(30)는, 제4 영상의 표시 중에, 「신경쓰이는 것을 응시해 주세요」 등의 주시를 돕는 메시지 음성을 피검사자에게 반복하여 전해도 된다. 또한, PC(30)는, 메시지 화상과 메시지 음성의 양쪽 모두를 이용해도 된다.
또한, PC(30)는, 촬상부(21)에 있어서 피검사자의 눈의 촬상을 개시시키거나, 혹은, 촬상 중인 경우는 촬상을 계속시키고(S42), 피검사자의 시점의 검출을 개시하거나, 혹은, 검출 중인 경우는 검출을 계속한다(S43). 또한, PC(30)는, 제4 영상의 표시 개시시부터 종료시까지 검출부(37)로부터 시점 데이터를 취득하고, 제4 영상에 대응하는 제4 분포 맵을 실시간으로 작성하여(S44), 표시부(35)에 제4 영상을 표시하며, 표시부(35)의 제4 영상에 제4 분포 맵을 중첩한다. 상기의 표시부(10) 및 표시부(35)에 있어서의 제4 영상의 표시, 촬상부(21)에 의한 촬상, PC(30)(보다 상세하게는 도 1의 검출부(37))에 의한 시점의 검출, 및, PC(30)(보다 상세하게는 도 1의 작성부(38))에 의한 제4 분포 맵의 작성은, 병렬로 실행된다.
그 후, PC(30)는, 제4 분포 맵이 증례 특징 데이터의 제4 특징을 포함하는지의 여부를 판정하여(S45), 포함하는 경우에는(S46에서 yes) 레비소체형 인지증의 가능성이 있다고 진단한다(S47).
도 16b는, 도 16a의 제4 영상에, 알츠하이머형 인지증 환자의 제4 분포 맵을 겹친 표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또, 도 16c는, 도 16a의 제4 영상에, 레비소체형 인지증 환자의 제4 분포 맵을 겹친 표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6b의 제4 분포 맵에서는 유발 화상(P40), 비유발 화상(P41 및 P42)에 거의 균등하게 시점이 존재한다. 이에 비해, 도 16c의 제4 분포 맵에서는, 유발 화상(P40)에 시점이 집중해, 비유발 화상(P41 및 P42)에는 시점이 존재하지 않는다. 즉, 도 16b의 제4 분포 맵은 제4 특징을 포함하지 않는데에 비해, 도 16c의 제4 분포 맵은, 제4 특징을 포함한다.
도 16b의 예에서는, PC(30)는, 단계 S45에 있어서, 제4 분포 맵이 제4 특징을 포함하지 않는다고 판정하므로, 레비소체형 인지증의 가능성이 있다고는 진단하지 않는다.
도 16c의 예에서는, PC(30)는, 단계 S45에 있어서, 제4 분포 맵이 제4 특징을 포함한다고 판정하여, 단계 S47에 있어서 레비소체형 인지증의 가능성이 있다고 진단하게 된다.
이상과 같이, 제4 진단 처리에 있어서, 상기 진단용 영상은, 환시를 유발하는 유발 화상과, 환시를 유발하지 않는 복수의 비유발 화상을 포함하는 정지 화상을 포함하고, 상기 증례 특징 데이터는, 상기 유발 화상으로의 시점의 집중을 나타내며, 상기 진단부(39)는, 상기 분포 맵에 있어서 시점이 상기 유발 화상에 집중해 있는 경우에, 인지 기능 장애 중 레비소체형 인지증의 가능성이 있다고 진단한다.
이로써, 제4 진단 처리는, 인지 기능 장애 중 레비소체형 인지증을 간편하게 감별할 수 있다. 게다가, 제4 진단 처리는, 수10초라고 하는 단시간에 실행할 수 있어, 간편성, 저비용, 객관성, 정량성, 범용성(언어 비의존성)을 겸비할 수 있다.
[1.2.5 제5 진단 처리]
다음으로, 제5 진단 처리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5 진단 처리는, 상기의 제5 특징을 이용하고 있다. 즉, 제5 진단 처리는, 인지 기능이 저하되어 있는 환자에게는, 영상에 있어서 이동하는 물체를 눈으로 좇는 것이 어렵다고 하는 특징이 보여지는 것을 이용하고 있다.
도 11은, 도 5의 제5 진단 처리(S50)의 일례를 나타낸 플로차트이다. 도 11과 같이 PC(30)는, 우선, 기억부(32)로부터 제5 영상 데이터(305)를 읽어내어, 표시부(10)에 있어서 제5 영상 데이터(305)가 나타내는 제5 영상의 표시를 개시시킨다(S51).
도 17은,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제5 영상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7의 상단, 중단, 하단은, 시간의 경과와 함께 이동하는 물체(동 도면에서는 코인(C1))를 나타내는 동화상(V51)이 제5 영상으로서 표시면(11)에 표시되어 있다. 동 도면의 코인(C1)의 화상은, 도면 중의 파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표시면(11)을 상하 좌우로 이동한다. 또한, 도 17에서는 제5 영상은 선 화상인데, 풀 컬러 동화상이면 된다.
PC(30)는, 제5 진단 처리의 기간 중(도 6에서는 시각 t4부터 t5까지의 기간중), 1개의 동화상(V51)을 표시해도 되고, 물체가 이동하는 복수의 동화상을 순차적으로 바꾸어 표시해도 된다. 또한, 제5 영상은, 「코인을 응시해 주세요」 등의 주시를 돕는 메시지 화상을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또, PC(30)는, 제5 영상의 표시 중에, 「코인을 응시해 주세요」 등의 주시를 돕는 메시지 음성을 피검사자에게 반복하여 전해도 된다. 또한, PC(30)는, 메시지 화상과 메시지 음성의 양쪽 모두를 이용해도 된다.
또한, PC(30)는, 촬상부(21)에 있어서 피검사자의 눈의 촬상을 개시시키거나, 혹은, 촬상 중인 경우는 촬상을 계속시키고(S52), 피검사자의 시점의 검출을 개시하거나, 혹은, 검출 중인 경우는 검출을 계속한다(S53). 또한, PC(30)는, 제5 영상의 표시 개시시부터 종료시까지 검출부(37)로부터 시점 데이터를 취득하고, 제5 영상에 대응하는 제5 분포 맵을 실시간으로 작성하여(S54), 표시부(35)에 제5 영상을 표시하며, 표시부(35)의 제5 영상에 제5 분포 맵을 중첩한다. 상기의 표시부(10) 및 표시부(35)에 있어서의 제5 영상의 표시, 촬상부(21)에 의한 촬상, PC(30)(보다 상세하게는 도 1의 검출부(37))에 의한 시점의 검출, 및, PC(30)(보다 상세하게는 도 1의 작성부(38))에 의한 제5 분포 맵의 작성은, 병렬로 실행된다.
그 후, PC(30)는, 제5 분포 맵이 증례 특징 데이터의 제5 특징을 포함하는지의 여부를 판정하여(S55), 포함하는 경우에는(S56에서 yes) 인지 기능이 저하되어 있을 가능성이 있다고 진단한다(S57).
이상과 같이, 제5 진단 처리에 있어서, 상기 진단용 영상은, 상기 표시면을 이동하는 물체를 나타낸 영상(V51)을 포함하고, 상기 증례 특징 데이터는, 상기 이동하는 물체에 시점이 추종할 수 없는 것이며, 상기 진단부(39)는, 상기 분포 맵에 있어서 시점이 상기 물체의 이동에 추종하고 있지 않은 경우에, 인지 기능이 저하되고 있을 가능성이 있다고 진단한다.
이로써, 제5 진단 처리는, 인지 기능의 저하를 간편하게 진단할 수 있다. 게다가, 제5 진단 처리는, 수10초라고 하는 단시간에 실행할 수 있어, 간편성, 저비용, 객관성, 정량성, 범용성(언어 비의존성)을 겸비할 수 있다.
[1.2.6 제6 진단 처리]
다음으로, 제6 진단 처리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6 진단 처리는, 상기의 제6 특징을 이용하고 있다. 즉, 제6 진단 처리는, 전두측두형 인지증의 환자에게는, 다른 증례의 인지증 환자에 비해서 시점 취득률이 낮은 특징이 보여지는 것을 이용하고 있다. 시점 취득률은, 시점이 표시면(11) 내에 존재하는 시간적인 비율을 말한다. 시점이 표시면(11)으로부터 벗어날 수록 시점 취득률은 작아진다.
도 12는, 도 6의 제6 진단 처리(S60)의 일례를 나타낸 플로차트이다. 동 도면의 제6 진단 처리는, 도 6과 같이, 제1 진단 처리 내지 제5 진단 처리와 병렬로 실행하는 예를 나타내고 있다. 루프 1(S61~S69)은, 제1 진단 처리 내지 제5 진단 처리에 동기하여 실행되는 5회의 반복으로 이루어진다.
i=1(즉 1회째의 반복)일 때, 표시부(10)에는 제1 영상이 표시되어 있다. PC(30)는, 제1 영상이 표시되어 있는 기간(도 6에서는 시각 t=0부터 t=t1까지의 기간)에, 검출부(37)로부터 시점 데이터를 취득한다(S62, S63). PC(30)는, 제1 영상의 표시 종료시(도 6에서는 시각(t1))에, 제1 영상이 표시되어 있는 기간에 있어서의 시점 취득률(P1)을 산출하여(S64), 산출한 시점 취득률(P1)이 제1 역치(th1)보다 작으면(S65에서 yes), 제1 진단 처리를 무효화하고(S66), 산출한 시점 취득률(P1)이 제2 역치(th2)보다 작으면(S67에서 yes), 전두측두형 인지증의 가능성이 있다고 진단한다(S68). 여기서, 제1 역치(th1)는, 제1 진단 처리가 유효하게 성립하는 전제 조건을 만족했는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지표이다. 바꾸어 말하면, 시점 검출에 의한 인지 기능 장애의 진단 처리에서는 피검사자가 표시된 진단용 영상을 보고 있는 것을 전제 조건으로 하고 있다. 제1 역치(th1)는, 시점 취득률(P1)이 0 내지 1의 범위인 경우, 예를 들어 0.8이면 된다. 또, 제 2역치(th2)는, 상기의 제6 특징의 유무를 판정하는 지표이다. 제2 역치(th2)는, 시점 취득률(P1)이 0 내지 1의 범위인 경우, 예를 들어 0.8이면 된다. 또한, 제1 역치(th1)와 제2 역치(th2)는, 같은 값이어도 되고, 상이한 값이어도 된다.
i=2~5(즉 2회째~5회째의 반복)일 때도, i=1(즉 1회째의 반복)과 거의 같다.
또한, 도 12의 5회의 반복에 있어서, 단계 S65의 5회의 판정 결과가 같아진다고는 할 수 없지만, 5회의 판정 결과는 그대로 표시부(35)에 표시하면 된다. 마찬가지로, 도 12의 5회의 반복에 있어서, 단계 S67의 5회의 판정 결과가 같아진다고는 할 수 없지만, 5회의 판정 결과는 그대로 표시부(35)에 표시하면 된다.
또, 도 12에서는, 제6 진단 처리로서 5회의 반복을 갖는 루프 처리의 예를 나타냈는데,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제6 진단 처리는, 제1 진단 처리부터 제5 진단 처리까지의 기간(도 6에서는 t=0부터 t=t5까지의 기간)을 통해, 1회의 반복에 상당하는 처리(즉 도 12의 S62~S68)여도 된다. 또, 다른 예로서, 제6 진단 처리는, 제1 진단 처리부터 제5 진단 처리까지 중 어느 한쪽의 진단 처리의 기간만, 1회의 반복에 상당하는 처리(즉 도 12의 S62~S68)여도 된다.
또한, 제6 진단 처리를 병렬이 아닌 단체(單體)로 실행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6 영상으로서, 제1~제5 영상을 표시하고, 또는, 다른 영상을 표시하여, 도 12의 S64~S68을 실행해도 된다.
계속해서, 복수의 피검사자를 대상으로 하여 본원 발명자들이 수집한 시점 취득률에 관한 데이터를 소개한다.
도 19는, 피검사자의 연령별의 시점 취득률을 도시한 도면이다. 동 도면의 횡축은, 피검사자의 연령을 나타낸다. 종축은, 약 30명의 피검사자를 대상으로 한 진단 처리에 있어서의 시점 취득률을 나타낸다. 동 도면에 있어서, 파선 범위(A19) 내의 피검사자 3명을 제외하고, 0.8 이상의 높은 시점 취득률이 얻어지고 있다. 즉, 연령에 관계없이 90세 이상의 초고령자여도 높은 시점 취득률이 얻어지는 것을 안다.
도 20은, 피검사자의 증례별의 시점 취득률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0의 횡축은, 도 19와 같은 피검사자의 증례별의 분류를 나타낸다. 종축은, 시점 취득률을 나타낸다. 각 막대 그래프는 평균(mean)과 표준 오차(SEM:Standard Error of Mean)를 나타낸다.
횡축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피검사자는 A~H의 증례로 분류된다. A는, 건강한 성인으로 19~53세의 복수의 피검사자를 나타낸다. B는, 건강한 고령자로 64~83세의 복수의 피검사자를 나타낸다. C는, 초고령자로 92세의 피검사자를 나타낸다. D는, 생리적 건망증, 또는, MCI(경도 인지 장애)의 복수의 피검사자를 나타낸다. E는, 알츠하이머형 인지증의 복수의 피검사자를 나타낸다. F는, 전두측두형 인지증의 복수의 피검사자를 나타낸다. G는, 레비소체형 인지증의 복수의 피검사자를 나타낸다. H는, 그 외의 인지증의 피검사자를 나타낸다.
동 도면에 있어서, 파선 범위(A20)를 부가한 F(전두측두형 인지증)를 제외하고, 높은 시점 취득률이 얻어지고 있다. 파선 범위(A20)를 부가한 F의 전두측두형 인지증의 피검사자는, 도 19의 파선 범위(A19)의 3명의 피검사자와 같다. 이것으로부터, 전두측두형 인지증의 피검사자는, 시점 취득률의 평균값도, 표준 오차를 더한 시점 취득률이어도, 다른 증례보다 낮아(도 20에서는 0.8보다 작다), 의미가 있는 차이가 있는 것을 안다. 바꾸어 말하면, 도 20은, 이미 설명한 제6 특징의 뒷받침이 되고 있다. 도 20의 데이터예에서는, 상기의 제2 역치는 0.8이면 되는 것을 안다.
또한, 시점 취득률은, 표시면(11)의 크기, 표시면(11)과 피검사자의 거리 등의 환경 조건에 영향을 받는다고 생각된다. 제1 역치(th1), 제2 역치(th2)는, 상기의 0.8이 아니어도 되고, 환경 조건 등에 따라 정하면 된다.
이상과 같이, 제6 진단 처리에 있어서, 상기 진단부(39)는, 또한, 상기 분포 맵에 있어서 시점이 상기 표시면 내에 존재하는 비율을 나타내는 시점 취득률을 산출하여, 상기 시점 취득률이 소정값 이하인 경우에, 인지 기능 장애 중 전두측두형 인지증의 가능성이 있다고 진단한다.
이로써, 제6 진단 처리는, 전두측두형 인지증을 간편하게 진단할 수 있다. 게다가, 제6 진단 처리는, 수10초라고 하는 단시간에 실행할 수 있어, 간편성, 저비용, 객관성, 정량성, 범용성(언어 비의존성)을 겸비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해 온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일 양태에 따르는 인지 기능 장애 진단 장치(1)는, 인지 기능 장애의 진단용 영상을 표시면(11)에 표시하는 표시부(10)와, 피검사자의 눈을 촬상하는 촬상부(21)와, 상기 촬상부(21)에 의해 촬상된 화상에 의거하여, 상기 표시면(11)에 있어서의 상기 피검사자의 시점을 시계열적으로 검출하는 검출부(37)와, 상기 검출부(37)에 의해서 검출된 시점의 분포를 나타내는 분포 맵을 작성하는 작성부(38)와, 인지 기능 장애의 전형예에 대응하는 시점 분포의 특징을 나타내는 증례 특징 데이터(310)를 기억하는 기억부(32)와, 상기 분포 맵이 상기 증례 특징 데이터의 특징을 갖는지의 여부를 판정함으로써 상기 피검사자의 인지 기능 장애를 진단하는 진단부(39)를 구비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인지 기능 장애 진단 장치(1)에 의한 인지 기능 장애의 진단에 있어서 간편성, 저비용, 객관성, 정량성, 범용성(언어 비의존성)을 겸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진단용 영상은, 제1 영상 내지 제5 영상을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상기 제1 영상은, 인물, 물체, 풍경 및 도형 중 적어도 1개를 나타낸 화상을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상기 제2 영상은, 정답 도형 이외의 도형을 포함하지 않는 제1 화상과, 상기 정답 도형 및 복수의 유사 도형을 포함하는 제2 화상을 포함하는 영상이어도 된다. 상기 제3 영상은, 인물, 물체, 풍경 및 도형 중 적어도 1개를 나타낸 정지 화상을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상기 제4 영상은, 환시를 유발하는 유발 도형과, 환시를 유발하지 않는 복수의 비유발 도형을 포함하는 정지 화상을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상기 제5 영상은, 상기 표시면을 이동하는 물체를 나타낸 영상을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상기 표시부(10)는, 상기 제1 영상 내지 제5 영상을 각각 10초부터 30초까지의 기간 표시하고, 상기 진단부(39)는, 상기 제1 영상 내지 제5 영상의 각각의 표시 기간에 대응하는 분포 맵에 의거하여, 인지 기능의 저하, 전두측두형 인지증, 대뇌피질 기저핵 변성증 및 레비소체형 인지증의 가능성의 유무를 진단해도 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제1 영상 내지 제5 영상을 이용한 진단은, 불과 수분간의 사이에, 인지 기능의 저하의 유무 및 저하의 정도의 진단과, 저하되어 있는 경우의 증례의 감별까지 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검진 시간의 대폭적인 단축, 집단 검진의 효율의 향상을 실현하여, 고령자 인구의 폭발적 증가에 대응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진단부(39)는, 또한, 상기 제1 영상 내지 제5 영상의 각각에 대응하는 분포 맵에 있어서 시점이 상기 표시면(11) 내에 존재하는 비율을 나타내는 시점 취득률을 산출하여, 상기 시점 취득률이 소정값 이하인 경우에, 대응하는 진단 결과를 무효화하고, 인지 기능 장애 중 전두측두형 인지증의 가능성이 있다고 진단해도 된다.
이에 의하면, 시점 취득률에 의해서, 인지 기능 장애 진단 장치(1)에 의한 진단의 유효성과, 전두측두형 인지증의 감별이 가능하다.
또, 본 실시 형태의 일 양태에 따르는 인지 기능 장애 진단 프로그램은, 표시면(11)을 갖는 표시부(10)와, 촬상부(21)에 접속되어, 인지 기능 장애의 전형예에 대응하는 시점 분포의 특징을 나타내는 증례 특징 데이터(310)를 기억하는 기억부(32)를 구비하는 컴퓨터가 실행하는 인지 기능 장애 진단 프로그램이며, 인지 기능 장애의 진단용 영상을 상기 표시면에 표시하고, 상기 촬상부(21)에 의해서 피검사자의 눈을 촬상하며, 상기 촬상부(21)에 의해 촬상된 화상에 의거하여, 상기 표시면(11)에 있어서의 상기 피검사자의 시점을 시계열적으로 검출하고, 검출된 시점의 분포를 나타내는 분포 맵을 작성하여, 상기 분포 맵이 상기 증례 특징 데이터의 특징을 갖는지의 여부를 판정함으로써 상기 피검사자의 인지 기능 장애를 진단하는 것을 컴퓨터로 하여금 실행하게 한다.
또한, 인지 기능 장애 진단 장치(1)는, 동시에 복수의 피검사자를 대상으로 해도 된다. 이 경우, 촬상부(21)는 복수의 피검사자를 촬상하고, 검출부(37)는 피검사자마다 시점을 검출하며, 작성부(38)는 피검사자마다 분포 맵을 작성하고, 진단부(39)는 피검사자마다 진단하면 된다. 또, 인지 기능 장애 진단 장치(1)가, 동시에 복수의 피검사자를 대상으로 하는 경우에, 촬상 장치(20)를 복수 구비해도 된다. 이 경우, 촬상 장치(20)와 피검사자는, 1대 1이어도 되고, 1대 다수여도 된다. 이로써, 인지 기능 장애 진단 장치(1)는, 또한, 집단 검진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술의 실시 형태 및 그 변형예는,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설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예시로서 기재된 것이며, 본원에 따르는 발명의 기술적 범위를 이 기재의 내용에 한정하는 취지는 아니다. 본원에 따르는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 도면 및 청구의 범위 또는 이것에 균등한 범위에 있어서 당업자가 도출 가능한 한, 변경, 치환, 부가, 생략된 것도 포함한다.
본 발명은, 인지 기능 장애를 진단하는 인지 기능 장애 진단 장치 및 인지 기능 장애 진단 프로그램에 이용할 수 있다.
1: 인지 기능 장애 진단 장치 10: 표시부
11: 표시면 20: 촬상 장치
21: 촬상부 22, 23: 카메라
24: 광원부 25, 26: 광원
30: PC 31: 프로세서
32: 기억부 33: 입력부
34: 출력부 35: 표시부
36: 인터페이스부 37: 검출부
38: 작성부 39: 진단부
300: 진단용 영상 데이터 301: 제1 영상 데이터
302: 제2 영상 데이터 303: 제3 영상 데이터
304: 제4 영상 데이터 305: 제5 영상 데이터
310: 증례 특징 데이터 311: 제1 특징 데이터
312: 제2 특징 데이터 313: 제3 특징 데이터
314: 제4 특징 데이터 315: 제5 특징 데이터
320: 프로그램
321: 인지 기능 장애 진단 프로그램
322: 시점 데이터 323: 분포 맵 데이터

Claims (15)

  1. 인지 기능 장애의 진단용 영상을 표시면에 표시하는 표시부와,
    피검사자의 눈을 촬상하는 촬상부와,
    상기 촬상부에 의해 촬상된 화상에 의거하여, 상기 표시면에 있어서의 상기 피검사자의 시점(視点)을 시계열적으로 검출하는 검출부와,
    상기 검출부에 의해서 검출된 시점의 분포를 나타내는 분포 맵을 작성하는 작성부와,
    인지 기능 장애의 전형예에 대응하는 시점 분포의 특징을 나타내는 증례(症例) 특징 데이터를 기억하는 기억부와,
    상기 분포 맵이 상기 증례 특징 데이터의 특징을 갖는지의 여부를 판정함으로써 상기 피검사자의 인지 기능 장애를 진단하는 진단부를 구비하고,
    상기 진단용 영상은, 인물, 물체, 풍경 및 도형 중 적어도 1개를 나타낸 화상을 포함하고,
    상기 증례 특징 데이터는, 일점을 중심으로 하는 국소적인 부분에 시점이 연속적으로 집중하는 일점 주시 패턴이라고 하는 특징을 나타내며,
    상기 진단부는, 상기 분포 맵이 상기 특징을 갖는 경우에, 인지 기능 장애 중 전두측두형 인지증의 가능성이 있다고 진단하는, 인지 기능 장애 진단 장치.
  2. 인지 기능 장애의 진단용 영상을 표시면에 표시하는 표시부와,
    피검사자의 눈을 촬상하는 촬상부와,
    상기 촬상부에 의해 촬상된 화상에 의거하여, 상기 표시면에 있어서의 상기 피검사자의 시점을 시계열적으로 검출하는 검출부와,
    상기 검출부에 의해서 검출된 시점의 분포를 나타내는 분포 맵을 작성하는 작성부와,
    인지 기능 장애의 전형예에 대응하는 시점 분포의 특징을 나타내는 증례 특징 데이터를 기억하는 기억부와,
    상기 분포 맵이 상기 증례 특징 데이터의 특징을 갖는지의 여부를 판정함으로써 상기 피검사자의 인지 기능 장애를 진단하는 진단부를 구비하고,
    상기 진단용 영상은, 정답 도형을 포함하고 정답 도형 이외의 도형을 포함하지 않는 제1 화상과, 상기 정답 도형 및 복수의 유사 도형을 포함하는 제2 화상을 포함하는 영상이며,
    상기 표시부는, 상기 정답 도형을 상기 피검사자에게 기억시키기 위해서 상기 제1 화상을 표시하고, 상기 제1 화상의 표시를 종료한 직후에 상기 피검사자의 기억력을 진단하기 위해서 상기 제2 화상을 표시하며,
    상기 증례 특징 데이터는, 상기 제2 화상에 있어서, 피검사자의 시점이 상기 정답 도형의 표시 영역에 존재하는 비율이 작을수록, 인지 기능이 낮다고 하는 특징을 나타내고,
    상기 진단부는, 상기 분포 맵에 있어서 상기 정답 도형의 표시 영역에 존재하는 시점의 비율을 산출하여, 산출한 비율이 역치 이하인 경우에, 인지 기능이 저하되어 있을 가능성이 있다고 진단하는, 인지 기능 장애 진단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진단부는, 또한, 상기 정답 도형의 표시 영역에 존재하는 시점의 비율을 정규화함으로써 점수화하는, 인지 기능 장애 진단 장치.
  4. 인지 기능 장애의 진단용 영상을 표시면에 표시하는 표시부와,
    피검사자의 눈을 촬상하는 촬상부와,
    상기 촬상부에 의해 촬상된 화상에 의거하여, 상기 표시면에 있어서의 상기 피검사자의 시점을 시계열적으로 검출하는 검출부와,
    상기 검출부에 의해서 검출된 시점의 분포를 나타내는 분포 맵을 작성하는 작성부와,
    인지 기능 장애의 전형예에 대응하는 시점 분포의 특징을 나타내는 증례 특징 데이터를 기억하는 기억부와,
    상기 분포 맵이 상기 증례 특징 데이터의 특징을 갖는지의 여부를 판정함으로써 상기 피검사자의 인지 기능 장애를 진단하는 진단부를 구비하고,
    상기 진단용 영상은, 인물, 물체, 풍경 및 도형 중 적어도 1개를 나타낸 정지 화상을 포함하고,
    상기 증례 특징 데이터는, 좌측의 공간을 무시한다고 하는 특징과, 당해 특징이 인지 기능 장애 중 대뇌피질 기저핵 변성증에 대응하는 것을 나타내며,
    상기 진단부는, 상기 분포 맵이 상기 특징에 해당하는 경우에, 인지 기능 장애 중 대뇌피질 기저핵 변성증의 가능성이 있다고 진단하는, 인지 기능 장애 진단 장치.
  5. 인지 기능 장애의 진단용 영상을 표시면에 표시하는 표시부와,
    피검사자의 눈을 촬상하는 촬상부와,
    상기 촬상부에 의해 촬상된 화상에 의거하여, 상기 표시면에 있어서의 상기 피검사자의 시점을 시계열적으로 검출하는 검출부와,
    상기 검출부에 의해서 검출된 시점의 분포를 나타내는 분포 맵을 작성하는 작성부와,
    인지 기능 장애의 전형예에 대응하는 시점 분포의 특징을 나타내는 증례 특징 데이터를 기억하는 기억부와,
    상기 분포 맵이 상기 증례 특징 데이터의 특징을 갖는지의 여부를 판정함으로써 상기 피검사자의 인지 기능 장애를 진단하는 진단부를 구비하고,
    상기 진단용 영상은, 환시를 유발하는 유발 화상과, 환시를 유발하지 않는 복수의 비유발 화상을 포함하는 정지 화상을 포함하고,
    상기 증례 특징 데이터는, 상기 유발 화상으로의 시점의 집중을 나타내며,
    상기 진단부는, 상기 분포 맵에 있어서 시점이 상기 유발 화상에 집중해 있는 경우에, 인지 기능 장애 중 레비소체형 인지증의 가능성이 있다고 진단하는, 인지 기능 장애 진단 장치.
  6. 인지 기능 장애의 진단용 영상을 표시면에 표시하는 표시부와,
    피검사자의 눈을 촬상하는 촬상부와,
    상기 촬상부에 의해 촬상된 화상에 의거하여, 상기 표시면에 있어서의 상기 피검사자의 시점을 시계열적으로 검출하는 검출부와,
    상기 검출부에 의해서 검출된 시점의 분포를 나타내는 분포 맵을 작성하는 작성부와,
    인지 기능 장애의 전형예에 대응하는 시점 분포의 특징을 나타내는 증례 특징 데이터를 기억하는 기억부와,
    상기 분포 맵이 상기 증례 특징 데이터의 특징을 갖는지의 여부를 판정함으로써 상기 피검사자의 인지 기능 장애를 진단하는 진단부를 구비하고,
    상기 진단용 영상은, 상기 표시면을 이동하는 물체를 나타낸 영상을 포함하고,
    상기 증례 특징 데이터는, 상기 이동하는 물체에 시점이 추종할 수 없는 것이며,
    상기 진단부는, 상기 분포 맵에 있어서 시점이 상기 물체의 이동에 추종하고 있지 않은 경우에, 인지 기능이 저하되어 있을 가능성이 있다고 진단하는, 인지 기능 장애 진단 장치.
  7.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진단부는, 또한, 상기 분포 맵에 있어서 시점이 상기 표시면 내에 존재하는 비율을 나타내는 시점 취득률을 산출하여, 상기 시점 취득률이 소정값 이하인 경우에, 인지 기능 장애 중 전두측두형 인지증의 가능성이 있다고 진단하는, 인지 기능 장애 진단 장치.
  8. 인지 기능 장애의 진단용 영상을 표시면에 표시하는 표시부와,
    피검사자의 눈을 촬상하는 촬상부와,
    상기 촬상부에 의해 촬상된 화상에 의거하여, 상기 표시면에 있어서의 상기 피검사자의 시점을 시계열적으로 검출하는 검출부와,
    상기 검출부에 의해서 검출된 시점의 분포를 나타내는 분포 맵을 작성하는 작성부와,
    인지 기능 장애의 전형예에 대응하는 시점 분포의 특징을 나타내는 증례 특징 데이터를 기억하는 기억부와,
    상기 분포 맵이 상기 증례 특징 데이터의 특징을 갖는지의 여부를 판정함으로써 상기 피검사자의 인지 기능 장애를 진단하는 진단부를 구비하고,
    상기 진단용 영상은, 제1 영상 내지 제5 영상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영상은, 인물, 물체, 풍경 및 도형 중 적어도 1개를 나타낸 화상을 포함하며,
    상기 제2 영상은, 정답 도형 이외의 도형을 포함하지 않는 제1 화상과, 상기 정답 도형 및 복수의 유사 도형을 포함하는 제2 화상을 포함하는 영상이고,
    상기 제3 영상은, 인물, 물체, 풍경 및 도형 중 적어도 1개를 나타낸 정지 화상을 포함하며,
    상기 제4 영상은, 환시를 유발하는 유발 도형과, 환시를 유발하지 않는 복수의 비유발 도형을 포함하는 정지 화상을 포함하고,
    상기 제5 영상은, 상기 표시면을 이동하는 물체를 나타낸 영상을 포함하며,
    상기 표시부는, 상기 제1 영상 내지 제5 영상을 각각 10초부터 30초까지의 기간 표시하고,
    상기 진단부는, 상기 제1 영상 내지 제5 영상의 각각의 표시 기간에 대응하는 분포 맵에 의거하여, 인지 기능의 저하, 전두측두형 인지증, 대뇌피질 기저핵 변성증 및 레비소체형 인지증의 가능성의 유무를 진단하는, 인지 기능 장애 진단 장치.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진단부는, 또한, 상기 제1 영상 내지 제5 영상의 각각에 대응하는 분포 맵에 있어서 시점이 상기 표시면 내에 존재하는 비율을 나타내는 시점 취득률을 산출하여, 상기 시점 취득률이 소정값 이하인 경우에, 대응하는 진단 결과를 무효화하고, 인지 기능 장애 중 전두측두형 인지증의 가능성이 있다고 진단하는, 인지 기능 장애 진단 장치.
  10. 표시면을 갖는 표시부와, 촬상부에 접속되어, 인지 기능 장애의 전형예에 대응하는 시점 분포의 특징을 나타내는 증례 특징 데이터를 기억하는 기억부를 구비하는 컴퓨터가 실행하는 인지 기능 장애 진단 프로그램으로서,
    인지 기능 장애의 진단용 영상을 상기 표시면에 표시하고,
    상기 촬상부에 의해서 피검사자의 눈을 촬상하며,
    상기 촬상부에 의해 촬상된 화상에 의거하여, 상기 표시면에 있어서의 상기 피검사자의 시점을 시계열적으로 검출하고,
    검출된 시점의 분포를 나타내는 분포 맵을 작성하여,
    상기 분포 맵이 상기 증례 특징 데이터의 특징을 갖는지의 여부를 판정함으로써 상기 피검사자의 인지 기능 장애를 진단하고,
    상기 진단용 영상은, 인물, 물체, 풍경 및 도형 중 적어도 1개를 나타낸 화상을 포함하고,
    상기 증례 특징 데이터는, 일점을 중심으로 하는 국소적인 부분에 시점이 연속적으로 집중하는 일점 주시 패턴이라고 하는 특징을 나타내며,
    상기 분포 맵이 상기 특징을 갖는 경우에, 인지 기능 장애 중 전두측두형 인지증의 가능성이 있다고 진단하는 것을 컴퓨터로 하여금 실행하게 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억 매체에 저장된 인지 기능 장애 진단 프로그램.
  11. 표시면을 갖는 표시부와, 촬상부에 접속되어, 인지 기능 장애의 전형예에 대응하는 시점 분포의 특징을 나타내는 증례 특징 데이터를 기억하는 기억부를 구비하는 컴퓨터가 실행하는 인지 기능 장애 진단 프로그램으로서,
    인지 기능 장애의 진단용 영상을 상기 표시면에 표시하고,
    상기 촬상부에 의해서 피검사자의 눈을 촬상하며,
    상기 촬상부에 의해 촬상된 화상에 의거하여, 상기 표시면에 있어서의 상기 피검사자의 시점을 시계열적으로 검출하고,
    검출된 시점의 분포를 나타내는 분포 맵을 작성하여,
    상기 분포 맵이 상기 증례 특징 데이터의 특징을 갖는지의 여부를 판정함으로써 상기 피검사자의 인지 기능 장애를 진단하고,
    상기 진단용 영상은, 정답 도형을 포함하고 정답 도형 이외의 도형을 포함하지 않는 제1 화상과, 상기 정답 도형 및 복수의 유사 도형을 포함하는 제2 화상을 포함하는 영상이며,
    상기 정답 도형을 상기 피검사자에게 기억시키기 위해서 상기 제1 화상을 표시하고, 상기 제1 화상의 표시를 종료한 직후에 상기 피검사자의 기억력을 진단하기 위해서 상기 제2 화상을 표시하며,
    상기 증례 특징 데이터는, 상기 제2 화상에 있어서, 피검사자의 시점이 상기 정답 도형의 표시 영역에 존재하는 비율이 작을수록, 인지 기능이 낮다고 하는 특징을 나타내고,
    상기 분포 맵에 있어서 상기 정답 도형의 표시 영역에 존재하는 시점의 비율을 산출하여, 산출한 비율이 역치 이하인 경우에, 인지 기능이 저하되어 있을 가능성이 있다고 진단하는 것을 컴퓨터로 하여금 실행하게 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억 매체에 저장된 인지 기능 장애 진단 프로그램.
  12. 표시면을 갖는 표시부와, 촬상부에 접속되어, 인지 기능 장애의 전형예에 대응하는 시점 분포의 특징을 나타내는 증례 특징 데이터를 기억하는 기억부를 구비하는 컴퓨터가 실행하는 인지 기능 장애 진단 프로그램으로서,
    인지 기능 장애의 진단용 영상을 상기 표시면에 표시하고,
    상기 촬상부에 의해서 피검사자의 눈을 촬상하며,
    상기 촬상부에 의해 촬상된 화상에 의거하여, 상기 표시면에 있어서의 상기 피검사자의 시점을 시계열적으로 검출하고,
    검출된 시점의 분포를 나타내는 분포 맵을 작성하여,
    상기 분포 맵이 상기 증례 특징 데이터의 특징을 갖는지의 여부를 판정함으로써 상기 피검사자의 인지 기능 장애를 진단하고,
    상기 진단용 영상은, 인물, 물체, 풍경 및 도형 중 적어도 1개를 나타낸 정지 화상을 포함하고,
    상기 증례 특징 데이터는, 좌측의 공간을 무시한다고 하는 특징과, 당해 특징이 인지 기능 장애 중 대뇌피질 기저핵 변성증에 대응하는 것을 나타내며,
    상기 분포 맵이 상기 특징에 해당하는 경우에, 인지 기능 장애 중 대뇌피질 기저핵 변성증의 가능성이 있다고 진단하는 것을 컴퓨터로 하여금 실행하게 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억 매체에 저장된 인지 기능 장애 진단 프로그램.
  13. 표시면을 갖는 표시부와, 촬상부에 접속되어, 인지 기능 장애의 전형예에 대응하는 시점 분포의 특징을 나타내는 증례 특징 데이터를 기억하는 기억부를 구비하는 컴퓨터가 실행하는 인지 기능 장애 진단 프로그램으로서,
    인지 기능 장애의 진단용 영상을 상기 표시면에 표시하고,
    상기 촬상부에 의해서 피검사자의 눈을 촬상하며,
    상기 촬상부에 의해 촬상된 화상에 의거하여, 상기 표시면에 있어서의 상기 피검사자의 시점을 시계열적으로 검출하고,
    검출된 시점의 분포를 나타내는 분포 맵을 작성하여,
    상기 분포 맵이 상기 증례 특징 데이터의 특징을 갖는지의 여부를 판정함으로써 상기 피검사자의 인지 기능 장애를 진단하고,
    상기 진단용 영상은, 환시를 유발하는 유발 화상과, 환시를 유발하지 않는 복수의 비유발 화상을 포함하는 정지 화상을 포함하고,
    상기 증례 특징 데이터는, 상기 유발 화상으로의 시점의 집중을 나타내며,
    상기 분포 맵에 있어서 시점이 상기 유발 화상에 집중해 있는 경우에, 인지 기능 장애 중 레비소체형 인지증의 가능성이 있다고 진단하는 것을 컴퓨터로 하여금 실행하게 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억 매체에 저장된 인지 기능 장애 진단 프로그램.
  14. 표시면을 갖는 표시부와, 촬상부에 접속되어, 인지 기능 장애의 전형예에 대응하는 시점 분포의 특징을 나타내는 증례 특징 데이터를 기억하는 기억부를 구비하는 컴퓨터가 실행하는 인지 기능 장애 진단 프로그램으로서,
    인지 기능 장애의 진단용 영상을 상기 표시면에 표시하고,
    상기 촬상부에 의해서 피검사자의 눈을 촬상하며,
    상기 촬상부에 의해 촬상된 화상에 의거하여, 상기 표시면에 있어서의 상기 피검사자의 시점을 시계열적으로 검출하고,
    검출된 시점의 분포를 나타내는 분포 맵을 작성하여,
    상기 분포 맵이 상기 증례 특징 데이터의 특징을 갖는지의 여부를 판정함으로써 상기 피검사자의 인지 기능 장애를 진단하고,
    상기 진단용 영상은, 상기 표시면을 이동하는 물체를 나타낸 영상을 포함하고,
    상기 증례 특징 데이터는, 상기 이동하는 물체에 시점이 추종할 수 없는 것이며,
    상기 분포 맵에 있어서 시점이 상기 물체의 이동에 추종하고 있지 않은 경우에, 인지 기능이 저하되어 있을 가능성이 있다고 진단하는 것을 컴퓨터로 하여금 실행하게 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억 매체에 저장된 인지 기능 장애 진단 프로그램.
  15. 표시면을 갖는 표시부와, 촬상부에 접속되어, 인지 기능 장애의 전형예에 대응하는 시점 분포의 특징을 나타내는 증례 특징 데이터를 기억하는 기억부를 구비하는 컴퓨터가 실행하는 인지 기능 장애 진단 프로그램으로서,
    인지 기능 장애의 진단용 영상을 상기 표시면에 표시하고,
    상기 촬상부에 의해서 피검사자의 눈을 촬상하며,
    상기 촬상부에 의해 촬상된 화상에 의거하여, 상기 표시면에 있어서의 상기 피검사자의 시점을 시계열적으로 검출하고,
    검출된 시점의 분포를 나타내는 분포 맵을 작성하여,
    상기 분포 맵이 상기 증례 특징 데이터의 특징을 갖는지의 여부를 판정함으로써 상기 피검사자의 인지 기능 장애를 진단하고,
    상기 진단용 영상은, 제1 영상 내지 제5 영상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영상은, 인물, 물체, 풍경 및 도형 중 적어도 1개를 나타낸 화상을 포함하며,
    상기 제2 영상은, 정답 도형 이외의 도형을 포함하지 않는 제1 화상과, 상기 정답 도형 및 복수의 유사 도형을 포함하는 제2 화상을 포함하는 영상이고,
    상기 제3 영상은, 인물, 물체, 풍경 및 도형 중 적어도 1개를 나타낸 정지 화상을 포함하며,
    상기 제4 영상은, 환시를 유발하는 유발 도형과, 환시를 유발하지 않는 복수의 비유발 도형을 포함하는 정지 화상을 포함하고,
    상기 제5 영상은, 상기 표시면을 이동하는 물체를 나타낸 영상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영상 내지 제5 영상을 각각 10초부터 30초까지의 기간 표시하고,
    상기 제1 영상 내지 제5 영상의 각각의 표시 기간에 대응하는 분포 맵에 의거하여, 인지 기능의 저하, 전두측두형 인지증, 대뇌피질 기저핵 변성증 및 레비소체형 인지증의 가능성의 유무를 진단하는 것을 컴퓨터로 하여금 실행하게 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억 매체에 저장된 인지 기능 장애 진단 프로그램.
KR1020207013560A 2017-11-14 2018-11-13 인지 기능 장애 진단 장치 및 인지 기능 장애 진단 프로그램 KR10258165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7-219321 2017-11-14
JP2017219321 2017-11-14
PCT/JP2018/041932 WO2019098173A1 (ja) 2017-11-14 2018-11-13 認知機能障害診断装置および認知機能障害診断プログラ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5766A KR20200085766A (ko) 2020-07-15
KR102581657B1 true KR102581657B1 (ko) 2023-09-22

Family

ID=665395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13560A KR102581657B1 (ko) 2017-11-14 2018-11-13 인지 기능 장애 진단 장치 및 인지 기능 장애 진단 프로그램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11583221B2 (ko)
EP (1) EP3711680A4 (ko)
JP (1) JP6867715B2 (ko)
KR (1) KR102581657B1 (ko)
CN (1) CN111343927B (ko)
AU (1) AU2018366644B2 (ko)
CA (1) CA3081199A1 (ko)
PH (1) PH12020550625A1 (ko)
SG (1) SG11202004441XA (ko)
WO (1) WO2019098173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10121125A1 (en) * 2018-07-13 2021-04-29 Pst Inc. Apparatus for estimating mental/neurological disease
US12029579B2 (en) * 2018-07-13 2024-07-09 Pst Inc. Apparatus for estimating mental/neurological diseas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31471A1 (ja) * 2018-08-08 2020-02-13 株式会社Jvcケンウッド 評価装置、評価方法、及び評価プログラム
JP7047676B2 (ja) * 2018-08-31 2022-04-05 株式会社Jvcケンウッド 評価装置、評価方法、及び評価プログラム
JP7056550B2 (ja) * 2018-12-28 2022-04-19 株式会社Jvcケンウッド 評価装置、評価方法、及び評価プログラム
JP6958540B2 (ja) * 2018-12-28 2021-11-02 株式会社Jvcケンウッド 評価装置、評価方法、及び評価プログラム
JP7115424B2 (ja) * 2019-06-20 2022-08-09 株式会社Jvcケンウッド 評価装置、評価方法、及び評価プログラム
JP7318380B2 (ja) * 2019-07-17 2023-08-01 株式会社Jvcケンウッド 評価装置、評価方法、及び評価プログラム
CA3176116A1 (en) 2020-03-27 2021-09-30 Osaka University Cognitive impairment diagnostic device and cognitive impairment diagnostic program
JP6868258B1 (ja) * 2020-05-08 2021-05-12 日本テクトシステムズ株式会社 認知機能検査システム
WO2021255632A1 (ja) * 2020-06-15 2021-12-23 フォーブ 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情報処理システム
KR102488969B1 (ko) 2020-12-28 2023-01-13 한국로봇융합연구원 학습모델 기반의 발달 장애 조기 선별을 위한 데이터에 대한 레이블링을 위한 장치 및 이를 위한 방법
CN115471903A (zh) * 2021-06-11 2022-12-13 见臻科技股份有限公司 认知评估***
KR102518690B1 (ko) 2021-08-26 2023-04-05 한국로봇융합연구원 학습 모델 기반의 발달 장애 조기 선별을 위한 데이터를 정제하기 위한 장치 및 이를 위한 방법
WO2024101230A1 (ja) * 2022-11-09 2024-05-16 国立大学法人大阪大学 プログラム、情報処理方法、及び情報処理装置
CN116098587B (zh) * 2023-01-13 2023-10-10 北京中科睿医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眼动的认知评估方法、装置、设备及介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158866A (ja) * 2016-03-10 2017-09-14 株式会社Jvcケンウッド 診断支援装置、診断支援方法、トレーニング支援装置、及びトレーニング支援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94828A (en) 1973-06-07 1976-11-30 Dynapol Corporation Nonabsorbable antioxidant
US3852244A (en) 1973-11-23 1974-12-03 Gen Electric Polyetherquinoxalines
JPS5155346A (ja) 1974-11-11 1976-05-15 Nippon Zeon Co Sukoochiboshiseihorikuroropurengomusoseibutsu
JPS5912351B2 (ja) 1976-06-21 1984-03-22 野田合板株式会社 外装用化粧合板
JPS5926210B2 (ja) 1977-04-12 1984-06-25 株式会社日立ホームテック 高周波加熱装置
JPS5761048U (ko) 1980-09-27 1982-04-10
JPS5761049U (ko) 1980-09-29 1982-04-10
JPS5817582U (ja) 1981-07-27 1983-02-03 株式会社精工舎 時計
JPS5912351U (ja) 1982-07-15 1984-01-25 松下電工株式会社 廻縁
JPS5926210U (ja) 1982-08-12 1984-02-18 ティーディーケイ株式会社 ビ−ズインダクタ
JPH0653107B2 (ja) 1992-07-09 1994-07-20 株式会社エイ・ティ・アール視聴覚機構研究所 視線検出を用いた医療診断装置
JPH0655203B2 (ja) 1992-07-09 1994-07-27 株式会社エイ・ティ・アール視聴覚機構研究所 視線検出を用いた医療診断装置
JPH074345B2 (ja) * 1992-08-12 1995-01-25 株式会社エイ・ティ・アール視聴覚機構研究所 注視点マスキングによる医療診断装置
JP4902071B2 (ja) 2001-08-27 2012-03-21 武敏 鈴木 視野検査表
WO2009120349A1 (en) 2008-03-27 2009-10-01 Neuroptix Corporation Ocular imaging
JP4560801B2 (ja) 2007-01-19 2010-10-13 武敏 鈴木 視覚検査用チャート
MX2011001384A (es) * 2008-08-06 2011-09-27 Gosforth Ct Holdings Pty Ltd Composiciones y metodos para tratar trastornos psiquiatricos.
EP2441386A1 (en) * 2008-10-14 2012-04-18 Ohio University Cognitive and linguistic assessment using eye tracking
JP5912351B2 (ja) 2011-09-05 2016-04-27 国立大学法人浜松医科大学 自閉症診断支援システム及び自閉症診断支援装置
JP5761049B2 (ja) 2012-01-24 2015-08-12 株式会社Jvcケンウッド 自閉症診断支援装置、および自閉症診断支援方法
JP5761048B2 (ja) 2012-01-24 2015-08-12 株式会社Jvcケンウッド 自閉症診断支援装置、および自閉症診断支援方法
JP5817582B2 (ja) 2012-02-22 2015-11-18 株式会社Jvcケンウッド 脳機能疾患診断支援装置および脳機能疾患診断支援方法
JP5926210B2 (ja) 2012-03-21 2016-05-25 国立大学法人浜松医科大学 自閉症診断支援システム及び自閉症診断支援装置
JP6507151B2 (ja) 2013-05-31 2019-04-24 ディグニティー ヘルス 神経疾患を検出する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WO2015075635A2 (en) 2013-11-19 2015-05-28 Prothena Biosciences Limited Monitoring immunotherapy of lewy body disease from constipation symptoms
KR101540895B1 (ko) * 2014-12-24 2015-07-30 이기범 히포테라피(Hippotherapy)용 인공지능말을 이용한 재활 시스템 및 그의 운용방법
JP2017140335A (ja) 2016-02-13 2017-08-17 国立大学法人金沢大学 タッチパネル式認知機能検査装置及び検査システム
JP2017176302A (ja) 2016-03-29 2017-10-05 ヤンマー株式会社 眼球運動計測装置、眼球運動計測方法および眼球運動計測プログラム
KR101977645B1 (ko) * 2017-08-25 2019-06-12 주식회사 메디웨일 안구영상 분석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158866A (ja) * 2016-03-10 2017-09-14 株式会社Jvcケンウッド 診断支援装置、診断支援方法、トレーニング支援装置、及びトレーニング支援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10121125A1 (en) * 2018-07-13 2021-04-29 Pst Inc. Apparatus for estimating mental/neurological disease
US12029579B2 (en) * 2018-07-13 2024-07-09 Pst Inc. Apparatus for estimating mental/neurological diseas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1343927B (zh) 2023-10-13
US11583221B2 (en) 2023-02-21
AU2018366644A1 (en) 2020-05-21
CN111343927A (zh) 2020-06-26
EP3711680A4 (en) 2021-08-18
US20200383626A1 (en) 2020-12-10
WO2019098173A1 (ja) 2019-05-23
SG11202004441XA (en) 2020-06-29
CA3081199A1 (en) 2019-05-23
JP6867715B2 (ja) 2021-05-12
PH12020550625A1 (en) 2021-03-01
EP3711680A1 (en) 2020-09-23
KR20200085766A (ko) 2020-07-15
AU2018366644B2 (en) 2024-05-02
JPWO2019098173A1 (ja) 2020-1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81657B1 (ko) 인지 기능 장애 진단 장치 및 인지 기능 장애 진단 프로그램
US20240215817A1 (en) System and method for improving the peripheral vision of a subject
Pfleging et al. A model relating pupil diameter to mental workload and lighting conditions
US10856733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testing aspects of vision
van Boxtel et al. Individual differences in high-level biological motion tasks correlate with autistic traits
WO2016052646A1 (ja) 不注意の測定装置、システム、及び方法
EP2131721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objective perimetry visual field test
Almourad et al. Analyzing the behavior of autistic and normal developing children using eye tracking data
TWI801813B (zh) 認知功能障礙診斷裝置及認知功能障礙診斷程式
Chi et al. Measurement of information processing load and visual load on a dynamic information processing task
WO2024019006A1 (ja) ストループ検査方法、ストループ検査プログラム、ストループ検査システム、ストループ検査画像生成方法、ストループ検査画像生成プログラム、及び検査方法
CN114190891B (zh) 基于眼动跟踪与沉浸式驾驶平台的单侧忽略评估***
Enders et al. Identification of Target Objects from Gaze Behavior during a Virtual Navigation Task
RU2357652C1 (ru) Способ скрининговой диагностики глаукомы
Takahashi et al. Novel scotoma detection method using time required for fixation to the random targets
Miles et al. EM-COGLOAD: An investigation into age and cognitive load detection using eye tracking and deep learning
Navalyal et al. Design of Digitized Visual Search Task for Assessment of Aging Effects
Islam et al. BinoVFAR: An Efficient Binocular Visual Field Assessment Method using Augmented Reality Glasses
Kunka et al. CONCENTRATION TESTS
Bothwell Incidence of visual dysfunction in a neurorehabilitation sett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