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81424B1 - Fluid-tight vessel wall comprising a sealing membrane containing reinforced zones - Google Patents

Fluid-tight vessel wall comprising a sealing membrane containing reinforced zone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81424B1
KR102581424B1 KR1020207026224A KR20207026224A KR102581424B1 KR 102581424 B1 KR102581424 B1 KR 102581424B1 KR 1020207026224 A KR1020207026224 A KR 1020207026224A KR 20207026224 A KR20207026224 A KR 20207026224A KR 102581424 B1 KR102581424 B1 KR 1025814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support surface
wall
welded
sealed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2622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00123157A (en
Inventor
플로렁 우브라르드
브루노 델레트레
니콜라스 르룩스
기욤 르끌레르
페트릭 마틴
게리 캔러
기욤 드 콩베뤼
다비드 하슬러
사이드 라하쉬
안쏘니 드 파리아
카를로스 짐베르트
가엘 토스
올리버 뻬롯
로망 끌레몽
Original Assignee
가즈트랑스포르 에 떼끄니가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즈트랑스포르 에 떼끄니가즈 filed Critical 가즈트랑스포르 에 떼끄니가즈
Publication of KR202001231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2315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14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1424B1/en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13/00Details of vessels or of the filling or discharging of vessels
    • F17C13/004Details of vessels or of the filling or discharging of vessels for large storage vessels not under press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01/00Vessel construction, in particular geometry, arrangement or size
    • F17C2201/01Shape
    • F17C2201/0147Shape complex
    • F17C2201/0157Polygon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01/00Vessel construction, in particular geometry, arrangement or size
    • F17C2201/05Size
    • F17C2201/052Size large (>1000 m3)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03/00Vessel construction, in particular walls or details thereof
    • F17C2203/03Thermal insulations
    • F17C2203/0304Thermal insulations by solid means
    • F17C2203/0358Thermal insulations by solid means in form of pan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03/00Vessel construction, in particular walls or details thereof
    • F17C2203/06Materials for walls or layers thereof; Properties or structures of walls or their materials
    • F17C2203/0634Materials for walls or layers thereof
    • F17C2203/0636Metals
    • F17C2203/0648Alloys or compositions of metals
    • F17C2203/0651Inva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21/00Handled fluid, in particular type of fluid
    • F17C2221/03Mixtures
    • F17C2221/032Hydrocarbons
    • F17C2221/033Methane, e.g. natural gas, CNG, LNG, GNL, GNC, PL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23/00Handled fluid before transfer, i.e. state of fluid when stored in the vessel or before transfer from the vessel
    • F17C2223/01Handled fluid before transfer, i.e. state of fluid when stored in the vessel or before transfer from the vessel characterised by the phase
    • F17C2223/0146Two-phase
    • F17C2223/0153Liquefied gas, e.g. LPG, GPL
    • F17C2223/0161Liquefied gas, e.g. LPG, GPL cryogenic, e.g. LNG, GNL, PL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23/00Handled fluid before transfer, i.e. state of fluid when stored in the vessel or before transfer from the vessel
    • F17C2223/03Handled fluid before transfer, i.e. state of fluid when stored in the vessel or before transfer from the vessel characterised by the pressure level
    • F17C2223/033Small pressure, e.g. for liquefied ga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60/00Purposes of gas storage and gas handling
    • F17C2260/01Improving mechanical properties or manufacturing
    • F17C2260/011Improving strength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70/00Applications
    • F17C2270/01Applications for fluid transport or storage
    • F17C2270/0102Applications for fluid transport or storage on or in the water
    • F17C2270/0105Ships
    • F17C2270/0107Wall panels

Abstract

본 발명은, 유체를 저장하기 위한 유체 기밀식 용기 벽에 관한 것으로, - 평평한 지지 표면(11), - 지지 표면(11)에 의해 운반되는 금속 유체 기밀식 멤브레인으로서, 금속 유체 기밀식 멤브레인은 복수의 코스(21)를 포함하고, 이것의 단면은 지지 표면(11) 상에 놓인 평평한 중앙부(22) 및 지지 표면(11)으로부터 돌출하는 적어도 하나의 상승된 측면 에지(23)를 포함하는, 금속 밀봉 멤브레인, - 지지 표면(11)에 의해 운반되는 복수의 금속 용접 지지부로서, 용접 지지부는 2개의 인접한 코스(21)의 2개의 상승 에지(23) 사이에서 지지 표면(11) 위로 돌출하고, 2개의 상승 에지(23) 각각은 용접 조립체를 형성하도록 상승 에지(23) 사이에 삽입된 용접 지지부에 유체 기밀식 종방향 용접에 의해서 용접되는, 복수의 금속 용접 지지부를 포함하며, 유체 기밀식 멤브레인은 용접 조립체가 유체의 슬로싱을 견디도록 횡방향으로 굽힘 강도를 갖는 보강 구역을 포함하고, 보강 구역에서, 용접 지지부의 두께는 코스의 두께보다 크거나 같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luid-tight container wall for storing a fluid, comprising: - a flat support surface (11), - a metallic fluid-tight membrane carried by the support surface (11), the metallic fluid-tight membrane comprising a plurality of A course (21) of metal, the cross-section of which includes a flat central portion (22) lying on the support surface (11) and at least one raised side edge (23) protruding from the support surface (11). sealing membrane, - a plurality of metal welded supports carried by a support surface (11), the welded supports projecting above the support surface (11) between two rising edges (23) of two adjacent courses (21), 2 Each of the two rising edges 23 includes a plurality of metal weld supports welded by fluid-tight longitudinal welding to weld supports inserted between the rising edges 23 to form a weld assembly, the fluid-tight membrane comprising: The welded assembly includes a reinforcing zone having transverse bending strength to resist sloshing of fluid, wherein the thickness of the weld support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thickness of the course.

Description

보강 구역을 포함하는 밀봉 멤브레인을 포함하는 유체 기밀식 용기 벽Fluid-tight vessel wall comprising a sealing membrane containing reinforced zones

본 발명은, 특히 유체의 저장 또는 수송을 위한 밀봉 탱크 분야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저온 액화 가스용 밀봉 및 단열 탱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in particular to the field of sealed tanks for the storage or transport of fluids, and in particular to sealed and insulated tanks for low temperature liquefied gases.

밀봉 및 단열 탱크는 특히 대기압에서 저장된 액화 천연 가스(LNG) 또는 액화 석유 가스(LPG)와 같은 액화 가스의 저장에 사용된다. 이들 탱크는 해안 또는 부유식 구조물 상에 설치될 수 있다.Sealed and insulated tanks are used in particular for the storage of liquefied gases, such as liquefied natural gas (LNG) or liquefied petroleum gas (LPG) stored at atmospheric pressure. These tanks can be installed on shore or on floating structures.

저온 액화 가스용 저장 또는 수송 탱크는, 예를 들어 WO2012072906 또는 FR3054872로부터 알려져 있으며, 여기서 밀봉 멤브레인 또는 각각의 밀봉 멤브레인, 특히 탱크에 담긴 제품과 접촉하는 1차 밀봉 멤브레인은 탱크의 밀봉을 보장하기 위해 서로 단단히 연결된 소위 금속 스트레이크라고 지칭되는 얇은 금속판으로 구성된다.Storage or transport tanks for low-temperature liquefied gases are known, for example, from WO2012072906 or FR3054872, in which the sealing membrane or individual sealing membranes, especially the primary sealing membrane in contact with the product contained in the tank,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o ensure sealing of the tank. It consists of thin metal plates, so-called metal strakes, tightly connected.

도 2는 이러한 유형의 탱크에서 단열 장벽에 금속 스트레이크를 고정하는 공지된 방법을 도시한다. 이러한 도 2에서, 단열 장벽의 상단, 소위 지지 표면(101)은 지지 표면(101)으로부터 단열 장벽의 두께로 이어지는 홈(groove)(102)을 갖는다. 이러한 홈(102)은, 단열 장벽의 두께에서, 지지 표면(101)에 평행하게 이어지는 유지 구역(103)을 갖는다. 이러한 유지 구역(103)은 단열 장벽의 두께에서 지지 표면(101)에 대향하는 홈(102)의 단부를 이어간다. 홈(102)은 "L"자형 단면을 가지며, 그 베이스는 유지 구역(103)에 의해 형성된다. 베이스 및 L 자를 형성하기 위해 베이스에 연결된 브랜치를 포함하는 용접 지지부(104)는 슬라이딩 방식으로 홈(102) 내에 삽입된다. 베이스(105)는 지지 표면(101)에 대해 직각 방향으로 단열 장벽 상의 용접 지지부(104)를 유지하도록 유지 구역(103)에 수용된다. 용접 지지부(104)의 브랜치(106)는 베이스(105)에 인접하는 바닥 부분(107) 및 지지 표면(101) 위로 돌출하는 상단 부분(108)을 포함한다.Figure 2 shows a known method of fastening metal strakes to the insulating barrier in tanks of this type. In this FIG. 2 the top of the insulating barrier, the so-called support surface 101 , has a groove 102 running from the support surface 101 into the thickness of the insulating barrier. This groove 102 has a retaining area 103 that runs parallel to the support surface 101 , in the thickness of the insulating barrier. This holding area 103 continues the end of the groove 102 opposite the support surface 101 in the thickness of the insulating barrier. The groove 102 has an “L” shaped cross-section, and its base is formed by the holding area 103. A welded support 104 comprising a base and a branch connected to the base to form an L shape is inserted into the groove 102 in a sliding manner. The base 105 is received in the holding area 103 to hold the welded support 104 on the insulating barrier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support surface 101 . The branch 106 of the weld support 104 includes a bottom portion 107 adjacent the base 105 and an upper portion 108 protruding above the support surface 101 .

2개의 금속 스트레이크(109)가 용접 지지부(104)의 양측에 배치된다. 이들 금속 스트레이크(109)는 각각 지지 표면(101)을 지지하는 평평한 중간 평면(110)을 갖는다(도면의 가독성을 위해, 지지 표면(101) 및 금속 스트레이크(109)는 자신들 사이에 간격을 두고 도 2에 표시된다). 이들 금속 스트레이크는 또한 이하 상승 에지(111)로 지칭되는 상승된 측면 에지를 갖는다. 2개의 인접한 금속 스트레이크(109)의 각각의 상승 에지(111)는 용접 지지부(104)의 브랜치(106)의 양측 상에 용접된다.Two metal strakes 109 are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weld support 104. These metal strakes 109 each have a flat intermediate plane 110 that supports the support surface 101 (for readability of the drawing, the support surface 101 and the metal strakes 109 have a gap between them). and is shown in Figure 2). These metal strakes also have raised side edges, hereinafter referred to as raised edges 111. Each rising edge 111 of two adjacent metal strakes 109 is welded on both sides of the branch 106 of the weld support 104.

따라서 상승 에지(111)는 용접 지지부(104)와 함께, 예를 들어 극저온 액체가 탱크에 선적될 때, 밀봉된 멤브레인의 수축과 연관된 하중을 흡수할 수 있게 하는 변형 가능한 벨로즈(bellows)를 형성한다.The rising edge 111 thus forms, together with the welded support 104, deformable bellows that can absorb the loads associated with the shrinkage of the sealed membrane, for example when cryogenic liquid is loaded into the tank. do.

도 3은 또한 이러한 유형의 탱크에서 단열 장벽 상에 상기 금속 스트레이크(109)를 고정하기 위한 공지된 방법을 예시한다. 이러한 고정 방법은 용접 지지부(104)의 형태 및 홈(102)의 형태에 의해 도 2의 고정 방법과 구별된다. 실제로, 용접 지지부(104)의 베이스(105)는 여기서 둥근 형태이고, 홈(102)은 유지 구역을 포함하지 않지만 홈(102)에 위치된 부착물(112)을 포함한다. 부착물(112)은 용접 지지부(104)의 베이스(105) 및 부착물(112)의 부분(113)이 서로에 끼워져 홈(102) 내의 용접 지지부(104)의 베이스(105)를 유지하도록 보완적인 둥근 형태의 부분(113)을 갖는다. 이것은 J-형 용접 지지부(104)로 불린다.Figure 3 also illustrates a known method for securing the metal strakes 109 on the insulating barrier in tanks of this type. This fixing method is distinguished from the fixing method of FIG. 2 by the shape of the welding support 104 and the shape of the groove 102. In fact, the base 105 of the weld support 104 is here rounded in shape and the groove 102 does not contain a holding area but includes an attachment 112 positioned in the groove 102 . Attachment 112 has a complementary round shape such that base 105 of weld support 104 and portion 113 of attachment 112 fit into each other and retain base 105 of weld support 104 within groove 102. It has a portion 113 of the shape. This is called J-shaped weld support 104.

용접 지지부는 일반적으로 스트레이크보다 두께가 얇다.Welded supports are generally thinner than strakes.

밀봉 탱크에 담긴 유체를 운반할 때, 특히 탱크가 완전히 채워지지 않은 경우, 유체가 흔들리면서 한 벽에서 다른 벽으로 이동하게 되며, 이러한 현상을 "슬로싱(sloshing)"이라고도 알려져 있다. 그 결과 유체의 슬로싱은 탱크의 벽, 특히 상승 에지와 같이 벽으로부터 돌출된 부분에 압박을 가한다. 종래기술의 탱크에서, 상승 에지에 대한 압박은 상승 에지가 구부러지게 할 수 있다. 구부러진 상승 에지는 더 이상 효과적으로 벨로우즈를 형성하지 않아 멤브레인의 수축을 흡수할 수 있게 하며 멤브레인을 손상시켜 탱크의 밀봉에 해를 끼칠 수 있다.When transporting fluid in a sealed tank, especially if the tank is not completely filled, the fluid will agitate and move from one wall to another, a phenomenon also known as "sloshing." The resulting sloshing of the fluid puts pressure on the walls of the tank, especially those parts that protrude from the walls, such as the rising edges. In prior art tanks, pressure on the rising edge may cause the rising edge to bend. A bent rising edge no longer effectively forms a bellows, allowing it to absorb shrinkage of the membrane and can damage the membrane, compromising the seal of the tank.

본 발명의 기초가 되는 한 가지 아이디어는 밀봉 탱크의 열화를 방지하기 위해 상승 에지의 굽힘 위험을 감소시키나 방지하는 것이다.One idea underlying the invention is to reduce or prevent the risk of bending of the rising edge in order to prevent deterioration of the sealed tank.

제 1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유체 저장을 위한 밀봉 탱크 벽에 관한 것으로,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the invention relates to a sealed tank wall for fluid storage,

- 평평한 지지 표면,- flat support surface,

- 지지 표면에 의해 지지되는 금속 밀봉 멤브레인으로서, 금속 밀봉 멤브레인은 복수의 스트레이크를 포함하고, 각각의 스트레이크는 종방향으로 연장하고 단면이 지지 표면 상에 놓인 평평한 중앙부를 포함하며 적어도 하나의 상승된 측면 에지가 지지 표면으로부터 돌출하는 프로파일링된 부분이고, 금속 스트레이크는 지지 표면 상에서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는, 금속 밀봉 멤브레인, - a metal sealing membrane supported by a support surface, the metal sealing membrane comprising a plurality of strakes, each of which extends longitudinally and has a flat central section lying on the support surface and has at least one raised a metal sealing membrane, the side edges of which are profiled portions protruding from the support surface, and the metal strakes are arranged parallel to each other on the support surface;

- 지지 표면에 의해 지지되는 복수의 금속 용접 지지부로서, 용접 지지부는 지지 표면에 대해 직각 방향으로 지지 표면 상에 유지되는 베이스를 포함하고 2개의 인접한 스트레이크의 2개의 상승 에지 사이에서 지지 표면 위로 돌출하는 종방향으로 연장하는 브랜치를 포함하며, 2개의 상승 에지 각각은 용접 지지부와 2개의 상승 에지가 용접 조립체를 형성하여 용접 지지부에 대한 스트레이크의 횡방향 이동을 가능하게 하도록 상승 에지 사이에 삽입되는, 복수의 금속 용접 지지부를 포함하며,- a plurality of metal welded supports supported by a support surface, the welded supports comprising a base held on the support surface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support surface and projecting above the support surface between the two rising edges of two adjacent strakes. comprising a longitudinally extending branch, each of the two rising edges having a weld support and the two rising edges being inserted between the rising edges to form a weld assembly to enable lateral movement of the strake relative to the weld support. , comprising a plurality of metal welded supports,

밀봉 멤브레인은 용접 조립체가 유체의 슬로싱을 견디도록 횡방향으로의 굽힘에 대한 저항을 갖는 보강 구역을 포함하고,The sealing membrane includes a reinforced region having resistance to bending in the transverse direction to allow the weld assembly to withstand sloshing of fluid,

보강 구역에서, 용접 지지부의 두께는 스트레이크의 두께보다 크거나 같다.In the reinforcement zone, the thickness of the welded support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thickness of the strakes.

따라서, 용접 조립체는 스트레이크의 두께와 같거나 더 큰 용접 지지부의 두께로 인해 더 큰 굽힘 강성을 나타낸다.Therefore, the welded assembly exhibits greater bending stiffness due to the thickness of the weld support being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thickness of the strakes.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용접 지지부의 두께는 스트레이크의 두께보다 더 크다.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invention, the thickness of the weld support is greater than the thickness of the strakes.

여기서 본 발명은 복수의 상기 용접 지지부 중 오직 하나의 용접 지지부만이 스트레이크의 두께와 같거나 더 큰 두께를 갖는 케이싱을 커버하도록 설정된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모든 용접 지지부는 스트레이크의 두께와 같거나 더 큰 두께를 갖는다.Here, it should be noted that in the present invention, only one of the plurality of weld supports is set to cover the casing having a thicknes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thickness of the strakes. Howev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invention, all weld supports have a thicknes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thickness of the strakes.

이러한 특징으로 인해, 보강 영역에서, 유체의 슬로싱으로 인해 상승된 에지의 굽힘 위험이 방지되거나 감소된다.Due to this feature, the risk of bending of the raised edge due to sloshing of fluid in the reinforcement area is prevented or reduced.

다른 유리한 실시예에 따르면, 이러한 탱크 벽은 아래의 특징 중 하나 이상을 가질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dvantageous embodiment, this tank wall may have one or more of the following features.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보강된 영역에서, 용접 지지부의 상단 에지는 상승 에지의 상단 에지와 실질적으로 정렬되거나 상승 에지의 상단 에지의 약간 위에 정렬되며, 그 차이는 예를 들어 0 내지 5mm이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in the reinforced area, the top edge of the weld support is substantially aligned with the top edge of the rising edge or slightly above the top edge of the rising edge, the difference being for example 0 to 5 mm.

이러한 특징으로 인해, 용접 지지부의 상단 에지와 상승 에지의 상단 에지의 정렬은 용접 지지부가 상승 에지 위로 돌출하는 부분을 갖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돌출 부분은 용접 조립체의 굽힘 위험을 증가시키는 레버 암 효과에 의해 용접 조립체가 받는 하중을 증가시킨다. 따라서, 용접 조립체는 자신의 전체 높이에 걸쳐 적어도 3개의 금속 시트의 폭을 가지며 이는 이러한 위험을 감소시킨다.Due to this feature, alignment of the top edge of the weld support with the top edge of the rising edge can prevent the weld support from having a portion protruding above the rising edge. The protruding portion increases the load on the weld assembly due to the lever arm effect which increases the risk of bending of the weld assembly. Therefore, the welded assembly has a width of at least three metal sheets over its entire height, which reduces this risk.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보강된 영역에서, 용접 지지부의 두께는 1mm 이상이고, 스트레이크의 두께는 예를 들어 0.7mm 이하이다. 용접 지지부의 두께는 예를 들어 0.7 내지 2mm, 바람직하게는 1 내지 2mm일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in the reinforced area, the thickness of the welded support is at least 1 mm and the thickness of the strakes is for example not more than 0.7 mm. The thickness of the weld support may be for example 0.7 to 2 mm, preferably 1 to 2 mm.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보강 구역에서, 용접 지지부의 베이스는 예를 들어 교대로 용접 지지부의 브랜치의 양측에서 횡방향으로 지향되는 적어도 2개의 긴 부품을 포함한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in the reinforcement zone, the base of the weld support comprises, for example, at least two elongated parts oriented transversely on either side of the branches of the weld support alternately.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보강 구역에서, 용접 지지부는 2개의 긴 앵커링 날개를 포함하고, 각각의 앵커링 날개는 상기 종방향으로 연장하고 지지 표면 위로 돌출하는 브랜치를 포함하고, 2개의 앵커링 날개의 브랜치가 용접 지지부의 브랜치를 형성하기 위해 종방향으로 연장하는 단단한 중간 용접에 의해 서로에 대해 용접되며, 중간 용접부는 지지 표면 위에 위치된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in the reinforcement zone, the welded support comprises two elongated anchoring wings, each anchoring wing comprising a branch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protruding above the support surface, the branches of the two anchoring wings having They are welded to each other by rigid intermediate welds extending longitudinally to form branches of the welded supports, the intermediate welds being positioned above the support surfaces.

따라서, 용접 조립체는 용접 조립체의 두께를 증가시키고 따라서 용접된 조립체의 굽힘 강성을 증가시키는 2개의 앵커링 날개를 사용하는 추가 금속 시트 층을 갖는다.Accordingly, the welded assembly has an additional metal sheet layer using two anchoring wings which increases the thickness of the welded assembly and thus increases the bending rigidity of the welded assembly.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각각의 앵커링 날개는 지지 표면에 직각인 방향으로 지지 표면 상에 유지되는 베이스 및 앵커링 날개의 브랜치가 용접 지지부의 브랜치를 형성하도록 지지 표면 위로 돌출하는 상기 종방향으로 연장하는 브랜치를 포함하며, 예를 들어 용접 지지부의 모든 길이 또는 용접 지지부의 길이의 일부에 걸쳐, 하나의 앵커링 날개의 베이스는 횡방향으로 지향되고 다른 앵커링 날개의 베이스는 반대 횡방향으로 지향된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each anchoring wing has a base held on the support surface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support surface and said longitudinally extending branches projecting above the support surface such that the branches of the anchoring wings form branches of the welded supports. wherein, for example, over the entire length of the weld support or part of the length of the weld support, the base of one anchoring wing is oriented transversely and the base of the other anchoring wing is oriented in the opposite transverse direction.

일 실시예에 따르면, 중간 용접부는 지지 표면으로부터 2개의 종방향 용접부와 동일한 거리에 위치된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intermediate weld is located at the same distance from the support surface as the two longitudinal welds.

이러한 특징으로 인해, 용접 조립체는 따라서 횡방향으로 정렬된 이러한 모든 용접을 가지며 예를 들어 전극-휠 용접 기계의 단일 패스에 의해서 이러한 용접의 생산을 단순화한다.Due to this feature, the weld assembly thus has all these welds transversely aligned and simplifies the production of these welds, for example by a single pass in an electrode-wheel welding machine.

제 2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유체 저장을 위한 밀봉 탱크 벽에 관한 것으로,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the invention relates to a sealed tank wall for fluid storage,

- 평평한 지지 표면,- flat support surface,

- 지지 표면에 의해 지지되는 금속 밀봉 멤브레인으로서, 금속 밀봉 멤브레인은 복수의 스트레이크를 포함하고, 각각의 스트레이크는 종방향으로 연장하고 단면이 지지 표면 상에 놓인 평평한 중앙부를 포함하며 적어도 하나의 상승된 측면 에지가 지지 표면으로부터 돌출하는 프로파일링된 부분이고, 스트레이크는 지지 표면 상에서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는, 금속 밀봉 멤브레인, - a metal sealing membrane supported by a support surface, the metal sealing membrane comprising a plurality of strakes, each of which extends longitudinally and has a flat central section lying on the support surface and has at least one raised a metal sealing membrane, the side edges of which are profiled portions protruding from the support surface, and the strakes are arranged parallel to each other on the support surface;

- 지지 표면에 의해 지지되는 복수의 금속 용접 지지부로서, 용접 지지부는 지지 표면에 대해 직각 방향으로 지지 표면 상에 유지되는 베이스를 포함하고 2개의 인접한 스트레이크의 2개의 상승 에지 사이에서 지지 표면 위로 돌출하는 종방향으로 연장하는 브랜치를 포함하며, 2개의 상승 에지 각각은 용접 지지부와 2개의 상승 에지가 용접 조립체를 형성하여 용접 지지부에 대한 스트레이크의 횡방향 이동을 가능하게 하도록 상승 에지 사이에 삽입되는, 복수의 금속 용접 지지부를 포함하며,- a plurality of metal welded supports supported by a support surface, the welded supports comprising a base held on the support surface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support surface and projecting above the support surface between the two rising edges of two adjacent strakes. comprising a longitudinally extending branch, each of the two rising edges having a weld support and the two rising edges being inserted between the rising edges to form a weld assembly to enable lateral movement of the strake relative to the weld support. , comprising a plurality of metal welded supports,

밀봉 멤브레인은 용접 조립체가 유체의 슬로싱을 견디도록 횡방향으로의 굽힘에 대한 저항을 갖는 보강 구역을 포함하고,The sealing membrane includes a reinforced region having resistance to bending in the transverse direction to allow the weld assembly to withstand sloshing of fluid,

보강 구역에서, 상승 에지와 평평한 중앙부 사이의 전이는 점진적인 둥근 형태, 예를 들어 곡률 반경이 5mm 초과, 특히 10mm 초과인 전이를 갖는다.In the reinforcement zone, the transition between the rising edge and the flat central part has a gradually rounded shape, for example a transition with a radius of curvature greater than 5 mm, especially greater than 10 mm.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술된 제 1 및 제 2 실시예와 관련하여, 보강 구역에서, 금속 밀봉 멤브레인은 상승 에지와 용접 지지부의 브랜치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위치한 초크를 포함한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in connection with the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described above, in the reinforcement zone, the metal sealing membrane comprises a choke located in the space formed between the rising edge and the branch of the weld support.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술된 제 1 및 제 2 실시예와 관련하여, 보강 구역에서, 용접 조립체는 분할된 상승 에지를 포함하고, 분할된 상승 에지는,According to one embodiment, in conjunction with the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described above, in the reinforcement zone, the weld assembly includes a split rising edge, the split rising edge comprising:

- 스트레이크의 평평한 중앙부에 연결되고 평평한 중앙부와 10도 내지 80도의 각도를 형성하는 제 1 파셋,- a first facet connected to the flat central part of the strakes and forming an angle of 10 to 80 degrees with the flat central part,

- 제 1 파셋에 연결되고 스트레이크의 평평한 중앙부에 실질적으로 직교하는 제 2 파셋을 포함하며, - a second facet connected to the first facet and substantially orthogonal to the flat central portion of the strakes,

여기서 분할된 상승 에지의 제 2 파셋은 종방향 용접에 의해 용접 지지부에 단단히 용접된다.Here the second facet of the divided rising edge is securely welded to the weld support by longitudinal welding.

따라서, 상승 에지의 제 1 파셋은 용접 조립체의 굽힘에 대한 저항을 증가시킬 수 있는 브레이스를 생성할 수 있게 한다.Accordingly, the first facet of the rising edge makes it possible to create a brace that can increase the resistance to bending of the welded assembly.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술된 제 1 및 제 2 실시예와 관련하여, 보강 구역에서, 용접 조립체는 2개의 인접한 스트레이크에 속하는 2개의 분할된 상승 에지를 포함한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in relation to the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described above, in the reinforcement zone, the weld assembly comprises two split rising edges belonging to two adjacent strakes.

이러한 특징으로 인해, 용접 조립체는 용접 지지부의 양측에 2개의 브레이스를 포함하며 이는 대칭적으로 굽힘에 대한 저항을 증가시킬 수 있다.Due to this feature, the welded assembly includes two braces on either side of the welded support, which can symmetrically increase resistance to bending.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술된 제 1 및 제 2 실시예와 관련하여, 보강 구역에서, 금속 밀봉 멤브레인은 상승 에지 또는 분할된 상승 에지와 용접 지지부의 브랜치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위치된 초크를 포함한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in connection with the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described above, in the reinforcement zone, the metal sealing membrane comprises a choke located in the space formed between the rising edge or split rising edge and the branch of the weld support. .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술된 제 1 및 제 2 실시예와 관련하여, 상기 초크는 분할된 상승 에지의 제 1 파셋과 용접 지지부의 브랜치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위치되어 제 1 파셋의 경사를 유지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in relation to the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described above, the choke is located in the space formed between the first facet of the divided rising edge and the branch of the weld support to maintain the inclination of the first facet. there is.

따라서, 초크는 상승 에지 또는 상승 에지의 제 1 파셋의 경사를 유지하여 브레이스 효과를 유지할 수 있게 한다. 초크는 또한 굽힘에 대한 저항력을 증가시키는데 기여한다.Accordingly, the choke maintains the inclination of the rising edge or the first facet of the rising edge to maintain the bracing effect. Chalk also contributes to increasing resistance to bending.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술된 제 1 및 제 2 실시예와 관련하여, 금속 밀봉 멤브레인의 보강 구역에서 탱크 벽은 2개의 초크를 포함하고, 제 1 초크는 제 1 분할된 상승 에지의 제 1 파셋과 용접 지지부의 브랜치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위치되고 제 2 초크는 분할된 상승 에지의 제 1 파셋과 용접 지지부의 브랜치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위치되며, 초크는 제 1 파셋의 기울기를 유지할 수 있게 한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in relation to the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described above, the tank wall in the reinforcement zone of the metal sealing membrane comprises two chocks, the first chock having a first facet of the first divided rising edge. and the second choke is located in the space formed between the branch of the weld support and the first facet of the divided rising edge, the choke makes it possible to maintain the inclination of the first facet.

따라서, 초크는 용접 지지부의 제 1 파셋의 경사를 유지하여 브레이스 효과를 유지할 수 있게 한다. 초크는 또한 굽힘에 대한 저항을 대칭적으로 증가시키는데 기여한다.Accordingly, the chalk maintains the inclination of the first facet of the weld support to maintain the bracing effect. The choke also contributes to symmetrically increasing the resistance to bending.

이러한 초크는 예를 들어 목재, 금속 또는 합성 재료와 같은 다양한 재료로 생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초크는 상승 에지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뒤로 접힌 금속 시트로 제조된다.Such chalk can be produced from a variety of materials, for example wood, metal or synthetic materials. In one embodiment, the chalk is made from a metal sheet folded back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rising edge.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술된 제 1 및 제 2 실시예와 관련하여, 하나 또는 각각의 초크의 바닥 표면이 지지 표면 상에 놓인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in relation to the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described above, the bottom surface of one or each chalk lies on a support surface.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술된 제 1 및 제 2 실시예와 관련하여, 하나 또는 각각의 초크의 바닥 표면이 용접 지지부의 베이스 상에 놓인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in relation to the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described above, the bottom surface of one or each choke lies on the base of the weld support.

제 3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유체 저장을 위한 밀봉 탱크 벽에 관한 것으로,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the invention relates to a sealed tank wall for fluid storage,

- 평평한 지지 표면,- flat support surface,

- 지지 표면에 의해 지지되는 금속 밀봉 멤브레인으로서, 금속 밀봉 멤브레인은 복수의 스트레이크를 포함하고, 각각의 스트레이크는 종방향으로 연장하고 단면이 지지 표면 상에 놓인 평평한 중앙부를 포함하며 적어도 하나의 상승된 측면 에지가 지지 표면으로부터 돌출하는 프로파일링된 부분이고, 스트레이크는 지지 표면 상에서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는, 금속 밀봉 멤브레인, - a metal sealing membrane supported by a support surface, the metal sealing membrane comprising a plurality of strakes, each of which extends longitudinally and has a flat central section lying on the support surface and has at least one raised a metal sealing membrane, the side edges of which are profiled portions protruding from the support surface, and the strakes are arranged parallel to each other on the support surface;

- 지지 표면에 의해 지지되는 복수의 금속 용접 지지부로서, 용접 지지부는 지지 표면에 대해 직각 방향으로 지지 표면 상에 유지되는 베이스를 포함하고 2개의 인접한 스트레이크의 2개의 상승 에지 사이에서 지지 표면 위로 돌출하는 종방향으로 연장하는 브랜치를 포함하며, 2개의 상승 에지 각각은 용접 지지부와 2개의 상승 에지가 용접 조립체를 형성하여 용접 지지부에 대한 스트레이크의 횡방향 이동을 가능하게 하도록 상승 에지 사이에 삽입되는, 복수의 금속 용접 지지부를 포함하며,- a plurality of metal welded supports supported by a support surface, the welded supports comprising a base held on the support surface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support surface and projecting above the support surface between the two rising edges of two adjacent strakes. comprising a longitudinally extending branch, each of the two rising edges having a weld support and the two rising edges being inserted between the rising edges to form a weld assembly to enable lateral movement of the strake relative to the weld support. , comprising a plurality of metal welded supports,

밀봉 멤브레인은 용접 조립체가 유체의 슬로싱을 견디도록 횡방향으로의 굽힘에 대한 저항을 갖는 보강 구역을 포함하고,The sealing membrane includes a reinforced region having resistance to bending in the transverse direction to allow the weld assembly to withstand sloshing of fluid,

보강 구역에서, 탱크 벽은 커버링 바를 포함하고, 커버링 바는 용접 조립체의 2개의 스트레이크의 평평한 중앙부에 놓인 평평한 바닥 표면을 가지며, 커버링 바는 바닥 표면에서 나오는 리세스를 포함하고 커버링 바가 용접 조립체를 덮는 방식으로 용접 조립체를 수용한다.In the reinforcement zone, the tank wall includes a covering bar, the covering bar having a flat bottom surface resting on the flat central portion of the two strakes of the welded assembly, the covering bar including a recess extending from the bottom surface and the covering bar extending from the welded assembly. It accommodates the welded assembly in a covering manner.

이러한 특징으로 인해, 용접 조립체는 커버링 바에 의해 보호되므로 더 이상 유체의 슬로싱에 직접 영향을 받지 않는다. 따라서 커버링 바는 슬로싱이 용접 조립체에 부하를 가하는 것을 방지한다.Due to this feature, the welded assembly is protected by the covering bar and is no longer directly affected by the sloshing of the fluid. The covering bar therefore prevents sloshing from exerting stress on the welded assembly.

이러한 커버링 바는 목재, 금속 또는 합성 재료와 같은 다양한 재료로 생산될 수 있다.These covering bars can be produced from various materials such as wood, metal or synthetic materials.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술된 제 1, 제 2 및 제 3 실시예와 관련하여, 커버링 바는 고정 수단에 의해 용접 조립체의 용접 지지부에 고정된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in relation to the first, second and third embodiments described above, the covering bar is fixed to the weld support of the weld assembly by means of fixing means.

이러한 특징으로 인해, 커버링 바와 용접 조립체가 서로 고정되어 용접 조립체의 굽힘에 대한 저항을 증가시키는 전체를 형성한다.Due to these features, the covering bar and weld assembly are secured together to form a whole that increases the resistance to bending of the weld assembly.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술된 제 1, 제 2 및 제 3 실시예와 관련하여, 고정 수단은 로드, 스테이플, 스터드, 나사, 클립 또는 임의의 다른 적절한 수단이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in relation to the first, second and third embodiments described above, the fastening means is a rod, staple, stud, screw, clip or any other suitable means.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술된 제 1, 제 2 및 제 3 실시예와 관련하여, 커버링 바의 리세스는 용접 지지부에 대한 스트레이크의 횡방향 이동을 허용하는 플레어 부분을 포함한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in relation to the first, second and third embodiments described above, the recess of the covering bar comprises a flared portion that allows transverse movement of the strakes relative to the weld support.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술된 제 1, 제 2 및 제 3 실시예와 관련하여, 플레어 부분은 모두 리세스의 벽을 따라 생성된 챔퍼에 의해 형성된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in relation to the first, second and third embodiments described above, the flared portions are all formed by chamfers created along the walls of the recess.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언급된 제 1, 제 2 및 제 3 실시예와 관련하여, 밀봉 탱크 벽은 지지 표면을 갖는 상단 패널을 포함하는 단열 장벽을 포함하고, 상단 패널은 두께 방향으로 그리고 단열 장벽의 길이 방향으로 이어지는 홈을 가지며, 용접 조립체의 용접 지지부의 베이스가 홈에 유지된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in relation to the first, second and third embodiments mentioned above, the sealed tank wall comprises an insulating barrier comprising a top panel with a support surface, the top panel being in the thickness direction and thermally insulating. It has a groove running along the length of the barrier, and the base of the weld support portion of the weld assembly is held in the groove.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술된 제 1, 제 2 및 제 3 실시예와 관련하여, 홈은 단열 장벽의 두께에서 두께 방향으로 연장하는 입력 영역을 갖는다. 홈은 입력 영역 아래에 배치되고 입력 영역보다 더 큰 폭에 걸쳐 지지 표면에 평행하게 이어지는 유지 영역을 포함하며, 용접 지지부의 베이스는 유지 영역 내에 수용된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in relation to the first, second and third embodiments described above, the groove has an input area extending in the thickness direction in the thickness of the insulating barrier. The groove is disposed below the input area and includes a retaining area running parallel to the support surface over a greater width than the input area, with the base of the weld support being received within the retaining area.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술된 제 1, 제 2 및 제 3 실시예와 관련하여, 유지 구역은 입력 구역의 양측에서 지지 표면에 평행하게 이어진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in relation to the first, second and third embodiments described above, the holding zone runs parallel to the support surface on both sides of the input zone.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술된 제 1, 제 2 및 제 3 실시예와 관련하여, 홈은 부착물을 포함하고, 이 부착물은 홈에서 용접 지지부의 베이스를 유지하도록 구성된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in relation to the first, second and third embodiments described above, the groove comprises an attachment, which attachment is configured to retain the base of the weld support in the groove.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술된 제 1, 제 2 및 제 3 실시예와 관련하여, 용접 지지부의 베이스는 둥근 형태를 가지며, 부착물은 용접 지지부의 베이스와 부착물의 둥근 부분이 맞춰지도록 보완적인 둥근 부분을 갖는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in relation to the first, second and third embodiments described above, the base of the welding support has a round shape, and the attachment has a complementary round part so that the base of the welding support and the round part of the attachment are aligned. has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술된 제 1, 제 2 및 제 3 실시예와 관련하여, 단열 장벽은 1차 단열 장벽이고 밀봉 멤브레인은 1차 밀봉 멤브레인이고, 여기서 밀봉 탱크 벽은 2차 단열 장벽 및 1차 단열 장벽 아래에 배치된 2차 밀봉 멤브레인을 포함한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in relation to the first, second and third embodiments described above, the insulating barrier is a primary insulating barrier and the sealing membrane is a primary sealing membrane, wherein the sealing tank wall is a secondary insulating barrier and 1 It includes a secondary sealing membrane placed below the primary insulating barrier.

실시예에 따르면, 전술된 제 1, 제 2 및 제 3 실시예와 관련하여, 보강 구역은 탱크 벽의 모든 길이에 걸쳐 또는 길이의 일부에 걸쳐, 예를 들어 길이의 절반에 걸쳐 연장할 수 있다.According to embodiments, in relation to the first, second and third embodiments described above, the reinforcement zone may extend over the entire length of the tank wall or over a part of the length, for example over half the length. .

실시예에 따르면, 전술된 제 1, 제 2 및 제 3 실시예와 관련하여, 하나 이상의 용접 조립체가 보강 구역 내에 위치될 수 있다.According to embodiments, in relation to the first, second and third embodiments described above, one or more welded assemblies may be positioned within the reinforcement zone.

실시예에 따르면, 전술된 제 1, 제 2 및 제 3 실시예와 관련하여, 보강 구역은 모든 탱크 벽 또는 탱크 벽의 일부 위로 연장할 수 있다.According to embodiments, in relation to the first, second and third embodiments described above, the reinforcement zone may extend over all tank walls or parts of the tank walls.

따라서 탱크 벽의 모든 상승 에지는 슬로싱으로 인한 굽힘을 방지하는 보강재를 갖는다.Therefore, all rising edges of the tank walls have reinforcement to prevent bending due to sloshing.

여기서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독립적인 것으로 이해되는 제 1, 제 2 및 제 3 실시예에 특정한 특징으로 제한되지 않고, 2개 또는 3개의 실시예의 특징을 결합하는 구현을 획득하도록 이들 세 가지 실시예의 특정한 특징을 결합하는 것이 가능하다.Herein,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features specific to the first, second and third embodiments, which are understood to be independent of each other as shown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but to obtain implementations combining the features of two or three embodiments. It is possible to combine certain features of these three embodiments so that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밀봉 탱크 벽은 중앙부 및 복수의 벽 에지로 구성된 주변부로 구성되며, 여기서 보강 영역은 벽 에지 위로, 또는 복수의 벽 에지 위로 연장하며, 예를 들어 보강 구역은 밀봉 탱크 벽의 모든 주변부에 걸쳐 연장한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seal tank wall is comprised of a central portion and a periphery comprised of a plurality of wall edges, wherein the reinforcement zone extends over the wall edge, or over a plurality of wall edges, for example the reinforcement zone of the seal tank wall. extends throughout the entire periphery.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유체 저장을 위한 다면체 내부 공간을 형성하기 위해 서로 단단히 고정된 복수의 밀봉 탱크 벽을 포함하는 다면체 밀봉 탱크를 제공하며, 여기서 상기 전술된 밀봉 탱크 벽 중 하나 이상은 전술된 보강 구역을 포함한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olyhedral sealed tank comprising a plurality of sealed tank walls tightly secured to each other to form a polyhedral internal space for fluid storage, wherein one or more of the aforementioned sealed tank walls comprises: Includes the reinforcement zone described above.

다른 유리한 실시예에 따르면, 이러한 탱크는 아래의 특징 중 하나 이상을 가질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dvantageous embodiment, such a tank may have one or more of the following features.

실시예에 따르면, 탱크는 아래의 목록에서 하나 이상의 탱크 벽을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embodiments, a tank may include one or more tank walls from the list below:

- 천장 벽,- ceiling walls,

- 바닥 벽,- bottom wall,

- 바닥 벽을 천장 벽에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측면 코퍼댐 벽,- one or more side cofferdam walls connecting the floor wall to the ceiling wall,

- 측면 코퍼댐 벽 또는 벽들을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측벽,- a side cofferdam wall or one or more side walls connecting walls,

- 측벽 또는 벽들을 바닥 벽에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챔퍼 형성 바닥 벽, 및- one or more chamfered bottom walls connecting the side walls or walls to the bottom wall, and

- 측벽 또는 벽들을 천장 벽에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챔퍼 형성 상단 벽.- One or more chamfered top walls connecting the side walls or walls to the ceiling wall.

목록에서 하나 이상의 탱크 벽은 전술된 보강 구역을 포함하는 탱크 벽일 수 있다.One or more tank walls in the list may be tank walls that include the reinforcement zones described above.

이러한 탱크는 예를 들어 LNG 저장을 위한 육상 저장 설비의 부분을 형성할 수 있거나 부유식 구조물, 해안 또는 심해, 특히 메탄 유조선, 부유식 저장 및 재기화 장치(FSRU), 부유식 생산 및 저장 해양 유닛(FPSO) 등에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탱크는 모든 유형의 선박에서 연료 탱크 역할을 할 수 있다.These tanks can form part of an onshore storage facility, for example for LNG storage, or on floating structures, offshore or deep sea, especially methane tankers, floating storage and regasification units (FSRUs), floating production and storage offshore units. (FPSO), etc. can be installed. These tanks can serve as fuel tanks on all types of ships.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또한 액체 제품을 수송하기 위한 선박을 제공하며, 이 선박은 선체 및 선체에 배치된 본 발명에 따른 탱크를 포함한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invention also provides a vessel for transporting liquid products, the vessel comprising a hull and a tank according to the invention arranged on the hull.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보강 구역은 선박의 전방에 배치된 탱크의 상단 횡방향 에지를 형성하는 벽 에지 상에 위치된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reinforcement zone is located on a wall edge forming the upper transverse edge of a tank located forward of the vessel.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이러한 선박을 선적 또는 하역하는 방법을 제공하며, 여기서 액체 제품은 선박의 밀봉 탱크로부터 부유 또는 육상 저장 설비로 또는 그 반대로 절연 파이프라인을 통해 운반된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of loading or unloading such a vessel, wherein liquid products are conveyed via insulated pipelines from sealed tanks on the vessel to floating or onshore storage facilities or vice versa.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또한 액체 제품을 위한 이송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이 시스템은 전술된 선박, 선박의 선체에 설치된 밀봉 탱크를 부유 또는 육상 저장 설비에 연결하도록 구성된 절연 파이프라인 및 선박의 밀봉 탱크로부터 부유 또는 육상 저장 설비로 또는 그 반대로 절연 파이프라인을 통해 차가운 액체 제품의 흐름을 구동하기 위한 펌프를 포함한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transfer system for liquid products, the system comprising the above-described vessel, an insulated pipeline configured to connect a sealed tank installed in the hull of the vessel to a floating or land storage facility, and the vessel's It includes a pump for driving a flow of cold liquid product through an insulated pipeline from a sealed tank to a floating or land storage facility or vice versa.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순전히 예시적이고 비제한적인 방식으로 주어진 본 발명의 여러 특정 실시예에 대한 아래의 설명으로부터 더욱 잘 이해될 것이며, 본 발명의 다른 목적, 세부사항, 특징 및 이점이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 도 1은 용접 조립체가 사용될 수 있는 밀봉 및 절연 탱크 벽의 부분 및 절개 사시도.
- 도 2는 지지 표면에 앵커링된 종래 기술의 용접된 밀봉 금속 멤브레인 조립체의 단면도.
- 도 3은 다른 고정 방법에 의해 지지 표면에 앵커링된 종래기술의 용접된 밀봉 금속 멤브레인 조립체의 단면도.
- 도 4는 제 1 실시예에 따른 지지 표면에 앵커링된 용접 조립체의 단면도.
- 도 5는 제 2 실시예에 따른 지지 표면에 앵커링된 용접 조립체의 단면도.
- 도 6은 제 3 실시예에 따른 지지 표면에 앵커링된 용접 조립체의 단면도.
- 도 7은 제 4 실시예에 따른 지지 표면에 고정된 용접 조립체의 단면도.
- 도 8은 제 5 실시예에 따른 지지 표면에 고정된 용접 조립체의 단면도.
- 도 9는 제 6 실시예에 따른 지지 표면에 고정된 용접 조립체의 단면도.
- 도 10은 제 7 실시예에 따른 지지 표면에 고정된 용접 조립체의 단면도.
- 도 11은 제 8 실시예에 따른 지지 표면에 고정된 용접 조립체의 단면도.
- 도 12는 제 9 실시예에 따른 지지 표면에 고정된 용접 조립체의 단면도.
- 도 13은 제 10 실시예에 따른 지지 표면에 고정된 용접 조립체의 단면도.
- 도 14는 제 11 및 제 12 실시예에 따른 지지 표면에 고정된 용접 조립체의 단면도.
- 도 15는 고정 수단을 포함하는 절단면에서, 제 11 실시예에 따른 지지 표면에 고정된 용접 조립체의 단면도.
- 도 16은 고정 수단을 포함하는 절단면에서, 제 12 실시예에 따른 지지 표면에 고정된 용접 조립체의 부분 단면도.
- 도 17은 보강 구역의 제 1 배치를 포함하는 다면체 밀봉 탱크의 펼친 도면.
- 도 18은 보강 구역의 제 2 배치를 포함하는 다면체 밀봉 탱크의 펼친 도면.
- 도 19는 보강 구역의 제 3 배치를 포함하는 다면체 밀봉 탱크의 펼친 도면.
- 도 20은 보강 구역의 제 4 배치를 포함하는 다면체 밀봉 탱크의 펼친 도면.
- 도 21은 밀봉된 유체 저장 탱크 및 이러한 탱크를 선적/하역하기 위한 터미널을 포함하는 선박의 잘린 개략도.
The invention will be better understood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several specific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given in a purely illustrative and non-restrictive mann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other objects, details,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invention. It will become clearer.
- Figure 1 is a partial and cut-away perspective view of a sealed and insulated tank wall on which a welded assembly can be used.
- Figure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prior art welded sealing metal membrane assembly anchored to a support surface.
- Figure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prior art welded sealing metal membrane assembly anchored to a support surface by another fastening method.
- Figure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welded assembly anchored to a support surfa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 Figure 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welded assembly anchored to a support surfac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 Figure 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welded assembly anchored to a support surface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 Figure 7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welded assembly fixed to a support surface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 Figure 8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welded assembly fixed to a support surface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 Figure 9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welded assembly fixed to a support surface according to the sixth embodiment.
- Figure 10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welded assembly fixed to a support surface according to the seventh embodiment.
- Figure 1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welded assembly fixed to a support surface according to the eighth embodiment.
- Figure 1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welded assembly fixed to a support surface according to the ninth embodiment.
- Figure 1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welded assembly fixed to a support surface according to a tenth embodiment.
- Figure 1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welded assembly fixed to a support surface according to the 11th and 12th embodiments.
- Figure 1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welded assembly secured to a support surface according to the eleventh embodiment, in a cutaway plane including the fastening means.
- Figure 16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of a welded assembly secured to a support surface according to the twelfth embodiment, in a cutaway plane including the fastening means.
- Figure 17 is an unfolded view of a polyhedral sealed tank comprising a first arrangement of reinforcement zones.
- Figure 18 is an unfolded view of a polyhedral sealed tank comprising a second arrangement of reinforcement zones.
- Figure 19 is an unfolded view of a polyhedral sealed tank comprising a third arrangement of reinforcement zones.
- Figure 20 is an unfolded view of a polyhedral sealed tank comprising a fourth arrangement of reinforcement zones.
- Figure 21 is a cutaway schematic diagram of a vessel comprising sealed fluid storage tanks and terminals for loading/unloading these tanks.

아래 설명에서, 밀봉 탱크의 맥락에서 밀봉 멤브레인이 참조된다. 이러한 탱크는 예를 들어 가연성 또는 불연성 가스로 채워지도록 의도된 복수의 탱크 벽에 의해 형성된 내부 공간을 포함한다. 가스는 특히 액화 천연 가스(LNG)일 수 있으며, 즉 주로 메탄 뿐만 아니라 에탄, 프로판, n-부탄, i-부탄, n-펜탄, i-펜탄, 네오펜탄 및 질소와 같은 하나 또는 여러가지 다른 탄화수소를 포함하는 가스 혼합물을 작은 비율로 포함한다. 가스는 또한 에탄 또는 액화 석유 가스(LPG)일 수 있으며, 즉 본질적으로 프로판과 부탄을 포함하는 오일의 정제로부터 유도된 탄화수소의 혼합물일 수 있다.In the description below, reference is made to sealing membranes in the context of sealed tanks. Such a tank comprises an internal space formed by a plurality of tank walls intended to be filled, for example, with a flammable or non-flammable gas. The gas may in particular be liquefied natural gas (LNG), i.e. mainly methane but also one or several other hydrocarbons such as ethane, propane, n-butane, i-butane, n-pentane, i-pentane, neopentane and nitrogen. Contains a small proportion of gas mixtures containing The gas may also be ethane or liquefied petroleum gas (LPG), i.e. essentially a mixture of hydrocarbons derived from the refining of oil, including propane and butane.

밀봉 멤브레인은 탱크의 단열 장벽에 의해 형성된 지지 표면(11)에 놓인다. 이러한 밀봉 멤브레인은 교대로, 한편으로는 지지 표면(11) 상에 배치된 스트레이크(21)로 불리는 강판 밴드와, 다른 한편으로는 지지 표면(11)에 연결되고 스트레이크(21)의 길이의 적어도 일부분 위에서 스트레이크(21)에 평행하게 연장하는 긴 용접 지지부(15)를 포함하는 반복 구조를 갖는다. 스트레이크(21)는 인접한 용접 지지부(15)에 대해 배치되고 용접되는 상승된 측면 에지(23)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조는 예를 들어 출원인에 의해서 판매되는 NO96 유형의 메탄 탱커 탱크에서 사용된다.The sealing membrane lies on a support surface 11 formed by the thermal insulating barrier of the tank. These sealing membranes alternately consist of, on the one hand, steel sheet bands called strakes 21 disposed on the support surface 11 and, on the other hand, connected to the support surface 11 and of the length of the strakes 21. It has a repeating structure comprising a long welded support 15 extending at least partially above and parallel to the strakes 21. The strakes 21 comprise raised side edges 23 that are positioned and welded against adjacent welded supports 15 . This structure is used, for example, in methane tankers of the NO96 type sold by the applicant.

도 1을 참조하면, 선박의 주요 지지 구조는 여기서 선박의 이중 선체의 내벽(1)으로 구성된다. 그 자체로 알려진 바와 같이, 탱크는 선박의 주요 지지 구조물에 고정된 2차 단열 장벽을 포함한다. 이러한 2차 단열 장벽은 주요 지지 구조물의 실질적으로 내부 표면을 덮도록 나란히 배치된 복수의 평행육면체 2차 절연 케이슨(2)으로 구성된다.Referring to Figure 1, the main support structure of the vessel consists here of the inner wall 1 of the double hull of the vessel. As is known per se, the tank comprises a secondary insulating barrier fixed to the main support structure of the vessel. This secondary insulating barrier consists of a plurality of parallelepiped secondary insulating caissons (2) arranged side by side so as to cover substantially the inner surface of the main support structure.

각각의 2차 단열 케이슨(2)은 내부적으로 베어링 파티션(3)과 단지 베어링 파티션(3)의 상대적 위치를 보장하기 위한 비-베어링 파티션(non-bearing partitions)(4)을 포함하는 합판으로 제조된 평행육면체 상자로 구성되며, 상기 파티션은 합판으로 제조된 바닥 패널(5)과 합판으로 제조된 상단 패널(6) 사이에 삽입된다. 케이슨(2)의 바닥 벽(5)은 케이슨의 2개의 작은 측면에서 측면으로 돌출되어 있어서, 케이슨의 각 모서리에서 각각의 돌출부에서 상기 돌출부와 동일한 두께를 갖는 브래킷(7)이 고정된다. 후술되는 바와 같이, 브래킷(7)은 케이슨(2)을 주요 지지 구조물에 고정하기 위한 부재와 협업한다.Each secondary insulating caisson (2) is made of plywood, internally containing a bearing partition (3) and non-bearing partitions (4) just to ensure the relative position of the bearing partitions (3). Consisting of a parallelepiped box, the partition is inserted between a bottom panel (5) made of plywood and a top panel (6) made of plywood. The bottom wall 5 of the caisson 2 protrudes laterally on two small sides of the caisson, so that at each corner of the caisson a bracket 7 having the same thickness as the protrusion is fixed on each protrusion. As will be described later, the brackets 7 cooperate with members to secure the caisson 2 to the main support structure.

각각의 케이슨(2)은 펄라이트 또는 유리솜과 같은 특정 단열재로 채워진다. 각각의 케이슨(2)의 바닥 판(5)은 접착제 소시지의 수지가 주요 지지 구조물에 달라 붙는 것을 방지하고 그에 따라 케이슨(2)이 변형으로 인한 힘을 받지 않고 주요 지지 구조물의 동적 변형을 허용하도록 크라프트 페이퍼(kraft paper)(9)를 통해 주요 지지 구조물(1)에 자체적으로 지지되는 열경화성 수지(8)의 소시지 상에 놓인다. 열경화성 수지 소시지(8)의 목적은 주여 지지 구조물에 대해 계획된 이론적 표면과 제조 공차로 인한 불완전한 표면 간의 차이를 보완하는 것이다. 2차 절연 케이슨(2)의 상단 패널(6)은 또한 L, T 또는 J 형태의 용접 지지부를 수용하기 위해 실질적으로 반전된 L 또는 T 형태의 한 쌍의 평행하는 홈(12)을 포함한다.Each caisson (2) is filled with a specific insulating material such as perlite or glass wool. The bottom plate (5) of each caisson (2) is designed to prevent the resin of the adhesive sausage from sticking to the main support structure and thus to allow dynamic deformation of the main support structure without the caisson (2) being subjected to forces due to deformation. It is placed on a sausage of thermosetting resin (8) which is itself supported on the main support structure (1) via kraft paper (9). The purpose of the thermoset sausage 8 is to compensate for the difference between the theoretical surface planned for the host support structure and the imperfect surface due to manufacturing tolerances. The top panel 6 of the secondary insulating caisson 2 also comprises a pair of parallel grooves 12 in a substantially inverted L or T shape for receiving welded supports of L, T or J shape.

용접 지지부(15)는 패널(6)의 상단으로 돌출하고 2차 밀봉 멤브레인이 앵커링될 수 있도록 하는 브랜치(18)를 포함한다. 2차 밀봉 멤브레인은 0.7mm 정도의 두께를 갖는 상승 에지(23)를 갖는 복수의 금속 스트레이크(21)로 구성된다. 각각의 스트레이크(21)의 상승 에지(23)는 전술된 용접 지지부(15)에 용접된다. 금속 스트레이크(21)는 낮은 열팽창 계수를 나타내는 금속으로 제조되며, 예를 들어 이 금속은 1.2 내지 2.0×10-6 K-1의 열팽창 계수를 갖는 철-니켈 합금 또는 일반적으로 약 7.10-6 K-1의 팽창 계수를 가진 높은 망간 함량을 갖는 철 합금일 수 있다.The weld support 15 protrudes to the top of the panel 6 and includes branches 18 through which the secondary sealing membrane can be anchored. The secondary sealing membrane consists of a plurality of metal strakes 21 with raised edges 23 having a thickness of the order of 0.7 mm. The rising edge 23 of each strake 21 is welded to the weld support 15 described above. The metal strakes 21 are made of a metal exhibiting a low coefficient of thermal expansion, for example an iron-nickel alloy with a coefficient of thermal expansion of 1.2 to 2.0×10 -6 K -1 or generally about 7.10 -6 K It may be an iron alloy with a high manganese content with an expansion coefficient of -1 .

2차 밀봉 멤브레인 상에는, 2차 절연 케이슨(2)과 유사한 구조를 갖는 복수의 1차 절연 케이슨(10)으로 구성된 1차 단열 장벽이 장착된다. 각각의 1차 절연 케이슨은 펄라이트 또는 유리솜과 같은 입자성 재료로 채워진, 케이슨(2)보다 낮은 높이의 합판으로 제조된 직사각형 평행육면체 상자로 구성된다. 1차 단열 케이슨(10)은 또한 바닥 패널 및 상단 패널(11)을 지지하는 내부 파티션을 포함한다.On the secondary sealing membrane, a primary insulating barrier is mounted,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primary insulating caissons (10) with a similar structure to the secondary insulating caissons (2). Each primary insulating caisson consists of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box made of plywood at a lower height than the caisson (2), filled with granular material such as perlite or glass wool. The primary insulating caisson (10) also includes an internal partition supporting the bottom and top panels (11).

패널은 용접 지지부(15) 및 2차 밀봉 멤브레인의 상승 에지(23)를 수용하도록 의도된 2개의 종방향 홈(12)을 포함한다. 그 부분을 위한 상단 패널(11)은 1차 밀봉 멤브레인의 스트레이크(21)의 상승 에지(23)가 용접되는 용접 지지부(15)를 수용하도록 실질적으로 반전된 L 또는 T 형태의 2개의 홈(12)을 포함한다.The panel comprises two longitudinal grooves (12) intended to receive weld supports (15) and the rising edges (23) of the secondary sealing membrane. The top panel (11) for that part has two grooves ( 12) Includes.

L 또는 T 형태의 용접 지지부(15)의 경우, 홈(12)은 홈(12)의 입력 구역(13)의 양측에 위치된 유지 구역(14)에 의해 베이스가 형성되는 T-형 단면을 갖는다. 용접 지지부(15)는 지지 표면(11)에 대해 직각 방향으로 단열 장벽 상의 용접 지지부(15)를 유지하기 위해 유지 구역(14)에 수용된 베이스(17)를 갖는다. 용접 지지부(15)는 또한 브랜치(18), 베이스(17)에 인접하고 상단부(20)가 지지 표면(11) 위로 돌출하는 바닥 부분(19)을 포함한다.In the case of a welded support 15 of L or T shape, the groove 12 has a T-shaped cross-section, the base of which is formed by holding zones 14 located on both sides of the input zone 13 of the groove 12. . The weld support 15 has a base 17 received in a holding area 14 for holding the weld support 15 on the insulating barrier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support surface 11 . The welded support 15 also includes a branch 18 , a bottom part 19 adjacent to the base 17 and whose upper end 20 protrudes above the support surface 11 .

J-형 용접 지지부(15)의 경우, 홈(12)은 I 또는 L 형 단면을 갖는다. 홈(12)은 유지 영역(14)을 포함할 수 있지만 후자는 선택 사항이다. 따라서 홈는 입력 구역(13)만을 포함할 수 있다. 홈(12)은 부착물(26)의 둥근 부분(27)에 고정되도록 둥근 용접 지지부(15)의 베이스(17)를 보완하는 둥근 부분(27)을 갖는 반전된 J 형태의 부착물(26)을 포함하여, 지지 표면(11)에 대해 직각 방향으로 단열 장벽 상에 용접 지지부(15)를 유지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용접 지지부(15)는 또한 바닥 부분이 둥근 베이스(17)와 인접하고 상단 부분(20)은 지지 표면(11) 위로 돌출하는 브랜치(18)를 또한 포함한다.In the case of the J-shaped weld support 15, the groove 12 has an I or L-shaped cross-section. The groove 12 may include a holding area 14, but the latter is optional. The groove can therefore only contain the input area 13. The groove 12 includes an inverted J-shaped attachment 26 with a rounded portion 27 that complements the base 17 of the round welded support 15 to be secured to the rounded portion 27 of the attachment 26. This makes it possible to hold the welded support 15 on the insulating barrier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support surface 11 . The welded support 15 also includes a branch 18 whose bottom part is rounded and adjacent to the base 17 and whose upper part 20 protrudes above the support surface 11 .

도 4 내지 도 15는 용접 지지부 및 2개의 인접한 상승 모서리(23)에 의해 형성된 보강 용접 조립체의 복수의 실시예를 나타내며, 여기서 보강 용접 조립체는 탱크에 담긴 유체의 슬로싱을 견디기 위해 횡방향으로 굽힘에 대한 저항을 갖는다.4-15 illustrate multiple embodiments of a reinforced welded assembly formed by a welded support and two adjacent raised edges 23, wherein the reinforced welded assembly bends laterally to resist sloshing of fluid contained in the tank. has resistance to

서로 다른 실시예의 각각은 예를 들어 도 4에서 볼 수 있는 홈(12)의 유지 구역(14)에 수용된 베이스(17)를 갖는 용접 지지부(15), 또는 예를 들어 도 3에서 볼 수 있는 홈(12)에 고정된 부착물(26)의 보완적인 둥근 부분(27)과 협력하는 둥근 베이스(17)를 갖는 용접 지지부(15), 또는 심지어 예를 들어 도 11에서 볼 수 있는 홈(12)의 유지 구역(14)에 고정된 부착물(26)의 보완적인 둥근 부분(27)과 협력하는 둥근 베이스(17)를 갖는 용접 지지부(15)를 사용할 수 있다.Each of the different embodiments has a welded support 15 with a base 17 received in a retaining area 14 of a groove 12, for example visible in Figure 4, or a groove 15, visible for example in Figure 3. A welded support (15) with a round base (17) cooperating with a complementary round part (27) of the attachment (26) fixed to (12), or even of a groove (12) as can be seen for example in Figure 11. A welded support 15 having a round base 17 cooperating with a complementary round part 27 of an attachment 26 fixed to the holding area 14 may be used.

도 4는 밀봉 탱크 벽의 지지 표면(11)에 앵커링된 용접 조립체의 제 1 실시예를 나타낸다. 이 실시예에서, 용접 지지부(15)의 상단 에지(35)는 용접 지지부(15)에 인접한 상승 에지(23)의 상단 에지(36)와 정렬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용접 지지부(15)의 상단 부분(20)은 더 이상 상승 에지(23) 위로 돌출하지 않는다. 용접 지지부(15) 상에 스트레이크(21)의 장착 및 고정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용접 지지부(15)의 상단 부분(20)은 종방향 용접 후에 하위분할된다.Figure 4 shows a first embodiment of a welded assembly anchored to a support surface 11 of a sealed tank wall. In this embodiment, the top edge 35 of the weld support 15 is aligned with the top edge 36 of the rising edge 23 adjacent the weld support 15. In this way, the upper part 20 of the weld support 15 no longer protrudes above the rising edge 23 . To facilitate mounting and fixing of the strake 21 on the weld support 15, the upper part 20 of the weld support 15 is subdivided after longitudinal welding.

도 5는 밀봉 탱크 벽의 지지 표면(11)에 앵커링된 용접 조립체의 제 2 실시예를 나타낸다. 이 실시예에서, 용접 지지부(15)의 상단 에지(35)는 또한 용접 지지부(15)에 인접한 상승 에지(23)의 상단 에지(36)와 정렬된다. 또한, 종래 기술에서, 특히 비용을 제한하기 위해 0.7mm인 스트레이크(21)의 두께와 같거나 작은 두께의 용접 지지부(15)를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여기서, 용접 지지부(15)의 두께는 스트레이크(21)의 두께, 예를 들어 1mm 또는 2mm의 두께보다 크다. 용접 지지부(15)의 이러한 더 큰 두께는 용접 조립체의 굽힘에 대한 저항을 증가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Figure 5 shows a second embodiment of the welded assembly anchored to the support surface 11 of the sealed tank wall. In this embodiment, the top edge 35 of the weld support 15 is also aligned with the top edge 36 of the rising edge 23 adjacent the weld support 15. Additionally, in the prior art, it was common to use a welded support 15 with a thickness equal to or less than the thickness of the strakes 21, which is 0.7 mm, especially to limit costs. Here, the thickness of the welding support 15 is greater than the thickness of the strake 21, for example, 1 mm or 2 mm. This greater thickness of the weld support 15 makes it possible to increase the resistance to bending of the welded assembly.

도 6은 밀봉 탱크 벽의 지지 표면(11)에 앵커링된 용접 조립체의 제 3 실시예를 나타낸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용접 지지부(15)는 서로에 대해 용접된 2개의 긴 앵커링 날개(16) 및 종방향으로 연장하는 밀봉된 중간 용접부(29)를 포함한다. 중간 용접부(29)는 지지 표면(11)으로부터 2개의 종방향 용접부(28)와 동일한 거리에 위치된다.Figure 6 shows a third embodiment of the welded assembly anchored to the support surface 11 of the sealed tank wall. In this embodiment, the weld support 15 comprises two long anchoring wings 16 welded to each other and a longitudinally extending sealed intermediate weld 29. The intermediate weld 29 is located at the same distance from the support surface 11 as the two longitudinal welds 28 .

도 7은 밀봉 탱크 벽의 지지 표면(11)에 앵커링된 용접 조립체의 제 4 실시예를 나타낸다. 용접 조립체의 제 4 실시예는 제 3 실시예와 유사하지만, 용접 지지부(15)의 각각의 앵커링 날개(16)의 두께가 스트레이크(21)의 두께보다 더 큰 반면, 도 6의 제 3 실시예에서는 두께는 실질적으로 동일하다는 점에서 상이하다.Figure 7 shows a fourth embodiment of a welded assembly anchored to the support surface 11 of the sealed tank wall.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welded assembly is similar to the third embodiment, except that the thickness of each anchoring wing 16 of the weld support 15 is greater than the thickness of the strake 21, whereas the third embodiment of FIG. 6 The examples differ in that the thicknesses are substantially the same.

도 8은 밀봉 탱크 벽의 지지 표면(11)에 앵커링된 용접 조립체의 제 5 실시예를 나타낸다. 용접 조립체의 제 5 실시예는 제 3 실시예와 유사하지만, 용접 지지부(15)의 각각의 앵커링 날개(16)의 상단 에지(35)가 용접 지지부(15)에 인접한 상승 에지(23)의 상단 에지(36)와 정렬된다는 점에서 상이하다. 실제로, 도 6의 제 3 실시예에서, 각각의 앵커링 날개(16)의 상단 부분(20)은 용접 지지부(15)에 인접한 상승 에지(23)로부터 돌출한다.Figure 8 shows a fifth embodiment of a welded assembly anchored to the support surface 11 of the sealed tank wall. The fifth embodiment of the welded assembly is similar to the third embodiment, except that the top edge 35 of each anchoring wing 16 of the weld support 15 is positioned at the top of the rising edge 23 adjacent the weld support 15. It is different in that it is aligned with the edge 36. Indeed, in the third embodiment of FIG. 6 the upper part 20 of each anchoring wing 16 protrudes from a rising edge 23 adjacent the weld support 15 .

도 9는 밀봉 탱크 벽의 지지 표면(11)에 앵커링된 용접 조립체의 제 6 실시예를 나타낸다. 용접 조립체의 제 6 실시예는 제 4 실시예와 유사하지만, 용접 지지부(15)의 각각의 앵커링 날개(16)의 상단 에지(35)가 용접 지지부에 인접한 상승 에지(23)의 상단 에지(36)와 정렬된다는 점이 다르다. 실제로, 도 7의 제 4 실시예에서, 각각의 앵커링 날개(16)의 상단 부분(20)은 용접 지지부(15)에 인접한 상승 에지(23)로부터 돌출한다.Figure 9 shows a sixth embodiment of a welded assembly anchored to the support surface 11 of the sealed tank wall. The sixth embodiment of the welded assembly is similar to the fourth embodiment, except that the top edge 35 of each anchoring wing 16 of the weld support 15 is positioned at the top edge 36 of the rising edge 23 adjacent the weld support. ) is different in that it is aligned with . Indeed, in the fourth embodiment of FIG. 7 the upper part 20 of each anchoring wing 16 protrudes from a rising edge 23 adjacent the weld support 15 .

도 10은 밀봉 탱크 벽의 지지 표면(11)에 앵커링된 용접 조립체의 제 7 실시예를 나타낸다. 용접 조립체의 제 7 실시예는 제 5 실시예와 유사하지만, 2차 용접부(30)가 용접 지지부(15)의 강성을 증가시키기 위해 용접 지지부(15)의 각각의 앵커링 날개(16)의 바닥 부분(19)을 고정한다는 점이 다르다.Figure 10 shows a seventh embodiment of a welded assembly anchored to the support surface 11 of the sealed tank wall. The seventh embodiment of the welded assembly is similar to the fifth embodiment, but the secondary weld portion 30 is positioned at the bottom of each anchoring wing 16 of the weld support 15 to increase the rigidity of the weld support 15. The difference is that (19) is fixed.

도 11은 밀봉 탱크 벽의 지지 표면(11)에 앵커링된 용접 조립체의 제 8 실시예를 나타낸다. 이 실시예에서, 용접 조립체는 2개의 분할된 상승 에지(23)를 포함하고, 각각의 분할된 상승 에지(23)는 평평한 중앙부(22)에 연결되고 평평한 중앙부와 10 내지 80도의 각도를 형성하는 제 1 파셋(24) 및 제 1 파셋(24)에 연결되고 평평한 중앙부(22)에 실질적으로 직교하는 제 2 파셋(25)을 포함한다. 분할된 상승 에지(23)의 제 2 파셋(25)은 종방향 용접부(28)에 의해서 용접 지지부에 밀봉 기밀 방식으로 용접된다.Figure 11 shows an eighth embodiment of a welded assembly anchored to the support surface 11 of the sealed tank wall. In this embodiment, the weld assembly includes two split rising edges 23, each split rising edge 23 connected to a flat central portion 22 and forming an angle of 10 to 80 degrees with the flat central portion. It includes a first facet (24) and a second facet (25) connected to the first facet (24) and substantially orthogonal to the flat central portion (22). The second facet 25 of the split rising edge 23 is hermetically welded to the weld support by a longitudinal weld 28 .

도 12는 밀봉 탱크 벽의 지지 표면(11)에 앵커링된 용접 조립체의 제 9 실시예를 나타낸다. 용접 조립체의 제 9 실시예는 제 8 실시예와 유사하지만, 초크(chocks)(37)가 각각의 분할된 상승 에지(23)의 제 1 파셋(24), 용접 지지부(15)의 브랜치(18) 및 지지 표면(11)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삽입된다는 점이 다르다. 초크(37)는 용접 지지부(15)의 베이스(17)를 지지하는 표면을 가질 수 있다. 초크(37)는 실질적으로 예를 들어 삼각형과 같은 다각형 단면을 갖는 빔의 형태를 취한다. 여기서 평평한 중앙부(22)를 갖는 제 1 파셋(24)에 의해 형성된 각도는 60도 내지 70도이다.Figure 12 shows a ninth embodiment of a welded assembly anchored to the support surface 11 of the sealed tank wall. The ninth embodiment of the weld assembly is similar to the eighth embodiment, except that chocks 37 are provided on the first facet 24 of each segmented rising edge 23, the branch 18 of the weld support 15. ) and the support surface 11. The choke 37 may have a surface that supports the base 17 of the weld support 15 . The choke 37 substantially takes the form of a beam with a polygonal cross-section, for example a triangle. Here, the angle formed by the first facet 24 with the flat central portion 22 is 60 to 70 degrees.

도 13은 밀봉 탱크 벽의 지지 표면(11)에 앵커링된 용접 조립체의 제 10 실시예를 나타낸다. 용접 조립체의 제 10 실시예는 제 9 실시예와 유사하지만, 평평한 중앙부(22)를 갖는 제 1 파셋(24)에 의해 형성된 각도와 마찬가지로 초크(37)의 형태가 다르다. 실제로, 제 10 실시예에서, 평평한 중앙부(22)를 갖는 제 1 파셋(24)에 의해 형성된 각도는 더 작으며, 즉 10도 내지 20도 사이이다. 따라서 초크(37)의 형태는 이러한 각도와 일치하고, 즉 이들은 L 단면을 갖는 빔의 형태를 가지며, 따라서 2개의 직교하는 브랜치로 구성되고, 그 두께는 용접 지지부(15)의 두께와 유사하다. 브랜치 중 하나는 제 1 파셋(24)과 지지 표면(11) 사이에 삽입되는 한편 제 2 브랜치는 제 2 파셋(25)과 용접 지지부(15) 사이에 삽입된다. 초크(37)는 예를 들어 접힌 금속 시트에 의해 형성된다.Figure 13 shows a tenth embodiment of a welded assembly anchored to the support surface 11 of the sealed tank wall. The tenth embodiment of the welded assembly is similar to the ninth embodiment, but differs in the shape of the choke 37 as well as the angle formed by the first facet 24 with a flat central portion 22. In fact, in the tenth embodiment the angle formed by the first facet 24 with the flat central part 22 is smaller, ie between 10 and 20 degrees. The shape of the chokes 37 therefore corresponds to this angle, i.e. they have the form of a beam with a cross-section L, and thus consist of two orthogonal branches, the thickness of which is similar to that of the welded support 15. One of the branches is inserted between the first facet 24 and the support surface 11 while the second branch is inserted between the second facet 25 and the weld support 15 . The choke 37 is formed, for example, by a folded metal sheet.

도 14는 밀봉 탱크 벽의 지지 표면(11)에 앵커링된 용접 조립체의 제 11 및 제 12 실시예를 나타낸다. 이들 실시예에서, 밀봉 탱크 벽은 용접 조립체의 인접한 상승 에지(23)에 위치된 커버링 바(31)를 포함한다. 커버링 바(31)는 커버링 바(31)가 용접 조립체를 커버하는 방식으로 용접 조립체를 수용하는 리세스(32)를 포함한다. 커버링 바(31)의 리세스(32)는 용접 지지부(15)에 대한 스트레이크(21)의 횡방향 이동을 허용하는, 리세스(32)의 벽 전체 둘레에 생성된 챔퍼 형태의 플레어(flared) 부분(33)을 포함한다.Figure 14 shows eleventh and twelfth embodiments of welded assemblies anchored to the support surface 11 of the sealed tank wall. In these embodiments, the seal tank wall includes a covering bar (31) positioned at the adjacent rising edge (23) of the welded assembly. Covering bar 31 includes a recess 32 that receives the weld assembly in such a way that covering bar 31 covers the weld assembly. The recess 32 of the covering bar 31 is flared in the form of a chamfer created around the entire wall of the recess 32, which allows the transverse movement of the strake 21 relative to the welded support 15. ) includes part 33.

커버링 바(31)는 고정 수단(34)에 의해 용접 지지부(15)에 고정될 수 있다. 제 11 실시예에 대응하는 도 15의 실시예에서, 고정 수단(34)은 로드, 예를 들어 나사-너트 조립체이며, 이는 커버링 바(31)를 횡방향으로 통과하는 오리피스(97) 및 용접 지지부(15)의 상단 부분(20)의 오리피스(98) 내에 삽입된다. 커버링 바(31)는 그 길이에 걸쳐 복수의 고정 수단(34)을 포함할 수 있다. 커버링 바(31)의 하나의 표면은 스트레이크(21)의 평평한 중앙부(22)와 접촉하여 위치된다.The covering bar 31 may be fixed to the welding support 15 by means of fixing means 34 . 15 , which corresponds to the eleventh embodiment, the fastening means 34 is a rod, for example a screw-nut assembly, which has an orifice 97 transversely passing through the covering bar 31 and a welded support. It is inserted into the orifice 98 of the upper part 20 of (15). The covering bar 31 may include a plurality of fastening means 34 along its length. One surface of the covering bar 31 is placed in contact with the flat central part 22 of the strake 21 .

도 16은 밀봉 탱크 벽의 지지 표면(11)에 앵커링된 용접 조립체의 제 12 실시예를 나타낸다. 용접 조립체의 제 12 실시예는 제 11 실시예와 유사하지만, 고정 수단(34)이 커버링 바(31)의 두께의 절반을 넘게 연장하고 앵커링 지지부(15)의 오리피스에서 이어지는 수직 홈 내에 배치된 탄성 스테이플이라는 점이 다르다. 스테이플의 상단 브랜치는 스테이플을 오리피스(98)에 안정적으로 고정하는 오리피스(98)의 상단 에지를 수용하기 위한 노치(99)를 갖는다.Figure 16 shows a twelfth embodiment of a welded assembly anchored to the support surface 11 of the sealed tank wall. The twelfth embodiment of the welded assembly is similar to the eleventh embodiment, except that the fastening means (34) extends over half the thickness of the covering bar (31) and is made of elastic material disposed in a vertical groove running from the orifice of the anchoring support (15). The difference is that it is a staple. The top branch of the staple has a notch 99 to receive the top edge of the orifice 98 which securely secures the staple to the orifice 98.

전술된 보강 용접 조립체는 하나 이상의 밀봉 탱크 벽 상에서, 금속 밀봉 멤브레인에 보강 구역(50)을 형성하도록 사용될 수 있다.The reinforcement weld assembly described above may be used to form a reinforcement zone 50 in a metal seal membrane, on one or more seal tank walls.

도 17 내지 도 20은 벽이 다소 큰 보강 구역을 갖는 밀봉 탱크의 복수의 실시예를 나타낸다.Figures 17-20 show multiple embodiments of a sealed tank whose walls have rather large reinforcement zones.

표현된 다면체 밀봉 탱크는 바닥 벽(43), 천장 벽(44), 바닥 벽(43)을 천장 벽(44)에 연결하는 2개의 측면 코퍼댐 벽(48), 측면 코퍼댐 벽(48)을 연결하는 2개의 측벽(45), 측벽(45)을 바닥 벽(43)에 연결하는 2개의 챔퍼 형성 바닥 벽(47) 및 측벽(45)을 천장 벽(44)에 연결하는 2개의 챔퍼 형성 상단 벽(46)을 포함한다. 밀봉 탱크 벽은 중앙부(40)와 복수의 벽 에지(42)로 구성된 주변부(41)로 구성된다.The polyhedral sealed tank represented has a bottom wall 43, a ceiling wall 44, two side cofferdam walls 48 connecting the bottom wall 43 to the ceiling wall 44, and a side cofferdam wall 48. Two side walls (45) connecting, forming two chamfers connecting the side walls (45) to the bottom wall (43) and forming two chamfers connecting the bottom wall (47) and the side walls (45) to the ceiling wall (44). Includes wall 46. The sealed tank wall consists of a central portion 40 and a peripheral portion 41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wall edges 42.

도 17은 밀봉 탱크(71)의 제 1 실시예를 나타낸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바닥 벽(43)만이 보강 구역을 갖지 않는다. 다른 모든 벽(44, 45, 46, 47, 18)은 모든 탱크 벽 위에서 연장하는 보강 구역(50)을 갖는다. 사실, 바닥 벽(43)은 영구적으로 잠기기 때문에 유체 슬로싱이 거의 또는 전혀 발생하지 않으므로 상승 에지(23)를 보강할 필요가 없다.Figure 17 shows a first embodiment of the sealed tank 71. In this embodiment, only the bottom wall 43 has no reinforcement zone. All other walls 44, 45, 46, 47, 18 have reinforcement zones 50 extending above all tank walls. In fact, since the bottom wall 43 is permanently submerged, little or no fluid sloshing occurs and there is no need to reinforce the rising edge 23.

도 18 및 도 19는 각각 밀봉 탱크(71)의 제 2 및 제 3 실시예를 나타낸다. 이들 실시예에서, 바닥 벽(43) 및 챔퍼 형성 바닥 벽(47)은 보강 구역(50)을 갖지 않는다. 측벽(45)은 이들 벽 전체에 걸쳐 연장하는 보강 구역(50)을 갖는다. 측방 코퍼댐 벽(48)은 측벽 및 상단 벽 에지(42) 상에 보강 구역(50)을 갖는다. 천장 벽(44) 및 챔퍼 형성 상단 벽은 그들의 주변부(41) 상에 보강 구역(50)을 갖는다. 따라서, 유체의 슬로싱에 연결된 가장 큰 힘을 받는 벽들만 보강 구역(50)을 가지며 후자는 가해지는 힘에 따라 더 크거나 더 적은 범위를 갖는다.18 and 19 show the second and third embodiments of the sealed tank 71, respectively. In these embodiments, bottom wall 43 and chamfered bottom wall 47 do not have reinforcement zones 50. The side walls 45 have reinforcement zones 50 extending throughout these walls. The lateral cofferdam walls 48 have reinforcement zones 50 on the side and top wall edges 42 . The ceiling wall 44 and the chamfered top wall have a reinforcement zone 50 on their periphery 41 . Accordingly, only the walls subjected to the greatest force connected to the sloshing of the fluid have a reinforcement zone 50, the latter having a greater or lesser extent depending on the applied force.

도 20은 밀봉 탱크(71)의 제 4 실시예를 나타낸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선박(70)의 후방에 위치된 바닥 벽(43), 챔퍼 형성 바닥 벽(47), 측벽(45) 및 측방 코퍼댐 벽은 보강 구역(50)을 갖지 않는다. 선박(70)의 전방에 위치된 천장 벽(44), 측면 코퍼댐 벽 및 챔퍼 형성 상단 벽(46)은 보강 구역(50)을 갖는다. 밀봉 탱크(71)의 보강 구역(50)은 선박(70)의 전방에 배치된 밀봉 탱크(71)의 상단 에지를 형성하는 벽 에지(42) 상에 위치한다. 따라서, 유체의 슬로싱과 관련된 하중이 가장 큰, 상승 에지(23)가 받는 하중이 있는 곳에만 보강 구역(50)이 제공된다.Figure 20 shows a fourth embodiment of the sealed tank 71. In this embodiment, the bottom wall 43, the chamfered bottom wall 47, the side walls 45 and the lateral cofferdam walls located at the rear of the vessel 70 do not have a reinforcement zone 50. The ceiling wall 44, side cofferdam walls and chamfered top wall 46 located at the front of the vessel 70 have reinforcement zones 50. The reinforcement zone 50 of the sealed tank 71 is located on the wall edge 42 which forms the upper edge of the sealed tank 71 arranged at the front of the vessel 70 . Accordingly, reinforcement zones 50 are provided only where the loads on the rising edge 23 are the greatest, where the loads associated with sloshing of fluid are the greatest.

밀봉 탱크 벽을 생산하기 위해 전술된 기술은, 예를 들어 육상 설비 또는 메탄 유조선 등과 같은 부유식 구조물의 LNG 탱크의 밀봉 탱크 벽을 구축하기 위해, 서로 다른 유형의 탱크에서 사용될 수 있다.The above-described techniques for producing seal tank walls can be used in different types of tanks, for example to construct seal tank walls of LNG tanks of land-based installations or floating structures such as methane tankers, etc.

도 21을 참조하면, 메탄 탱커(70)의 절개도는 선박의 이중 선체(72)에 장착된 일반적으로 프리즘 형태의 밀봉되고 절연된 탱크(71)를 도시한다. 탱크(71)의 벽은 탱크에 담긴 LNG와 접촉하도록 의도된 1차 밀봉 장벽, 선박의 1차 밀봉 장벽과 이중 선체(72) 사이에 배치된 2차 밀봉 장벽 및 1차 밀봉 장벽과 2차 밀봉 장벽 사이 및 2차 밀봉 장벽과 이중 선체(72) 사이에 각각 배치되는 2개의 절연 장벽을 포함한다.21, a cutaway view of a methane tanker 70 shows a generally prismatic sealed and insulated tank 71 mounted on the double hull 72 of the vessel. The walls of the tank 71 are comprised of a primary seal barrier intended to contact the LNG contained in the tank, a secondary seal barrier disposed between the ship's primary seal barrier and the double hull 72 and a secondary seal between the primary seal barrier and the secondary seal. It includes two insulating barriers disposed respectively between the barriers and between the secondary sealing barrier and the double hull 72.

그 자체로 알려진 바와 같이, 선박의 상단 갑판에 배치된 선적/하역 파이프라인(73)은 적절한 커넥터를 통해 선박 또는 항구 터미널에 연결되어 LNG화물을 탱크(71)로부터 또는 탱크(71)로 이송할 수 있다.As is known per se, the loading/unloading pipeline 73 arranged on the upper deck of the ship is connected to the ship or port terminal via suitable connectors to transfer LNG cargo to and from the tank 71 . You can.

도 21은 선적 및 하역 스테이션(75), 수중 라인(76) 및 육상 설비(77)를 포함하는 해양 터미널의 예를 나타낸다. 선적 및 하역 스테이션(75)은 이동식 암(74) 및 이동식 암을 지지하는 라이저(rise)(78)를 포함하는 고정된 해양 설비이다. 이동식 암(74)은 선적/하역 파이프라인(73)에 연결될 수 있는 절연된 가요성 파이프(79)의 번들을 지탱한다. 방향성 이동식 암(74)은 모든 메탄 탱커 템플릿에 적응한다. 나타내지 않은 링크 라인은 라이저(78) 내부로 연장한다. 선적 및 하역 스테이션(75)은 육상 설비(77)로 또는 그로부터 메탄 탱커(70)의 선적 및 하역을 허용한다. 후자는 액화 가스 저장 탱크(80) 및 수중 라인(76)에 의해 선적 또는 하역 스테이션(75)에 연결된 링크 라인(81)을 포함한다. 수중 라인(76)은 먼 거리, 예를 들어 5km에 걸쳐 선적 또는 하역 스테이션(75)과 육상 설비(77) 사이에 액화 가스를 이송할 수 있게 하며, 이는 메탄 탱커(70)를 선적 및 하역 작업 동안 해안으로부터 멀리 떨어진 곳에 유지하는 것을 가능케 한다.21 shows an example of a marine terminal including loading and unloading stations 75, underwater lines 76 and land facilities 77. The loading and unloading station 75 is a fixed marine facility comprising a movable arm 74 and a riser 78 supporting the movable arm. The movable arm 74 supports a bundle of insulated flexible pipes 79 that can be connected to the loading/unloading pipeline 73. The directional mobile arm 74 adapts to all methane tanker templates. Link lines, not shown, extend inside riser 78. Loading and unloading station 75 allows loading and unloading of methane tankers 70 to or from shore facilities 77. The latter comprises a liquefied gas storage tank 80 and a link line 81 connected to a loading or unloading station 75 by a submersible line 76. The submersible line 76 makes it possible to transfer liquefied gas between the loading or unloading station 75 and the onshore installation 77 over long distances, for example 5 km, which can be used to transport methane tankers 70 for loading and unloading operations. It makes it possible to stay away from the coast for a long time.

액화 가스의 이송에 필요한 압력을 생성하기 위해, 선박(70)에 내장된 펌프 및/또는 육상 설비(77)가 장착된 펌프 및/또는 선적 및 하역 스테이션(75)이 장착된 펌프가 구현된다.In order to generate the pressure necessary for the transfer of liquefied gas, a pump built into the ship 70 and/or a pump equipped with an onshore installation 77 and/or a pump equipped with a loading and unloading station 75 are implemented.

본 발명이 여러 구체적인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었지만, 그것에 제한되지 않고 본 발명은 설명된 수단의 모든 기술적 균등물을 포함하며 후에 제공되는 이들의 조합이 본 발명의 맥락 내에 있음이 명백하다.Although the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several specific embodiments, it is clear that it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at the invention includes all technical equivalents of the described means and combinations thereof provided hereinafter are within the context of the invention.

"포함하다" 및 그것의 활용 형태는 청구범위에 명시된 것 외의 요소 또는 단계의 존재를 배제하지 않는다.“Include” and its conjugations do not exclude the presence of elements or steps other than those specified in the claims.

청구범위에서, 괄호 사이의 참조 번호가 청구범위에 대한 제한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In the claims, reference numbers between parentheses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ations on the scope of the claims.

Claims (29)

유체의 저장을 위한 밀봉 탱크 벽으로서,
- 평평한 지지 표면(11),
- 상기 지지 표면(11)에 의해 지지되는 금속 밀봉 멤브레인으로서, 상기 금속 밀봉 멤브레인은 복수의 스트레이크(strake)를 포함하고, 각각의 스트레이크(21)는 종방향으로 연장하고 단면이 지지 표면(11) 상에 놓인 평평한 중앙부(22)를 포함하며 적어도 하나의 상승된 측면 에지가 지지 표면(11)으로부터 돌출하는 프로파일링된 부분이고, 상기 스트레이크(21)는 지지 표면(11) 상에서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는, 금속 밀봉 멤브레인,
- 상기 지지 표면(11)에 의해 지지되는 복수의 금속 용접 지지부로서, 용접 지지부(15)는 지지 표면(11)에 대해 직각 방향으로 지지 표면(11) 상에 유지되는 베이스(17)를 포함하고 2개의 인접한 스트레이크(21)의 2개의 상승 에지(23) 사이에서 지지 표면(11) 위로 돌출하는 상기 종방향으로 연장하는 브랜치(18)를 포함하며, 상기 2개의 상승 에지(23) 각각은 용접 지지부(15)와 2개의 상승 에지(23)가 용접 조립체를 형성하여 용접 지지부(15)에 대한 스트레이크(21)의 횡방향 이동을 가능하게 하도록 상기 상승 에지(23) 사이에 삽입되는, 복수의 금속 용접 지지부
를 포함하고,
상기 밀봉 멤브레인은 용접 조립체가 유체의 슬로싱(sloshing)을 견디도록 횡방향으로의 굽힘에 대한 저항을 갖는 보강 구역(50)을 포함하고,
상기 보강 구역(50)에서, 용접 지지부(15)의 두께는 스트레이크(21)의 두께보다 크거나 같은, 밀봉 탱크 벽.
A sealed tank wall for storage of a fluid, comprising:
- a flat support surface (11),
- a metal sealing membrane supported by the support surface (11), the metal sealing membrane comprising a plurality of strakes, each of which extends longitudinally and has a cross-sectional shape corresponding to the support surface ( 11) a profiled portion comprising a flat central portion 22 lying on top of which at least one raised side edge protrudes from the support surface 11 , the strakes 21 being parallel to each other on the support surface 11 a metal sealing membrane, disposed so as to
- a plurality of metal welded supports supported by the support surface (11), the welded supports (15) comprising a base (17) held on the support surface (11)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support surface (11), comprising said longitudinally extending branch (18) projecting above the support surface (11) between two rising edges (23) of two adjacent strakes (21), each of said two rising edges (23) A weld support (15) and two rising edges (23) are inserted between the rising edges (23) to form a weld assembly to enable transverse movement of the strake (21) relative to the weld support (15). Multiple metal welded supports
Including,
The sealing membrane includes a reinforcing zone (50) having resistance to transverse bending to allow the weld assembly to withstand sloshing of fluid,
In the reinforcement zone (50), the thickness of the welded support (15)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thickness of the strake (2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 구역(50)에서, 용접 지지부(15)의 두께는 1mm보다 크거나 같은, 밀봉 탱크 벽.
According to claim 1,
The sealed tank wall, in the reinforcement zone (50), the thickness of the welded support (15) is greater than or equal to 1 mm.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 구역(50)에서, 용접 지지부(15)의 상단 에지(35)는 상승 에지(23)의 상단 에지(36)와 정렬되는, 밀봉 탱크 벽.
According to claim 1,
In the reinforcement zone (50) the top edge (35) of the welded support (15) is aligned with the top edge (36) of the rising edge (2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 구역(50)에서, 상기 용접 지지부(15)의 베이스(17)는 상기 용접 지지부(15)의 브랜치(18)의 양측 상에서 횡방향으로 지향되는 적어도 2개의 긴 부분을 포함하는, 밀봉 탱크 벽.
According to claim 1,
In the reinforcement zone (50), the base (17) of the welded support (15) comprises at least two transversely oriented long sections on both sides of the branch (18) of the welded support (15). wall.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 구역(50)에서, 상기 용접 지지부(15)는 2개의 긴 앵커링 날개(16)를 포함하고, 각각의 앵커링 날개(16)는 상기 종방향으로 연장하고 지지 표면 위로 돌출하는 브랜치를 포함하고, 2개의 앵커링 날개(16)의 브랜치는 용접 지지부(15)의 브랜치(18)를 형성하도록 종방향으로 연장하는 밀봉된 중간 용접부(29)에 의해 서로 용접되며, 중간 용접부(29)는 지지 표면(11) 위에 위치되는, 밀봉 탱크 벽.
According to claim 1,
In the reinforcement zone (50), the weld support (15) comprises two elongated anchoring wings (16), each anchoring wing (16) comprising a branch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projecting above the support surface. , the branches of the two anchoring wings 16 are welded to each other by a sealed intermediate weld 29 extending longitudinally to form a branch 18 of the welded support 15, the intermediate weld 29 being connected to the support surface (11) Located above the seal tank wall.
제 5 항에 있어서,
각각의 앵커링 날개(16)는 또한 지지 표면(11)에 대해 직각 방향으로 지지 표면(11) 상에 유지되는 베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앵커링 날개(16)의 베이스는 용접 지지부(15)의 베이스(17)를 형성하며, 하나의 앵커링 날개(16)의 베이스는 횡방향으로 향하고 다른 앵커링 날개(16)의 베이스는 반대의 횡방향으로 향하는, 밀봉 탱크 벽.
According to claim 5,
Each anchoring wing 16 also includes a base held on the support surface 11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support surface 11, the base of the anchoring wing 16 being the base of the weld support 15 ( 17), wherein the base of one anchoring wing (16) is oriented transversely and the base of the other anchoring wing (16) is oriented in the opposite transverse direction.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용접부(29)는 상기 지지 표면(11)으로부터 2개의 종방향 용접부(28)와 동일한 거리에 위치되는, 밀봉 탱크 벽.
According to claim 5,
Sealed tank wall, wherein the intermediate weld (29) is located at the same distance from the support surface (11) as the two longitudinal welds (2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 탱크 벽은 지지 표면(11)을 갖는 상단 패널을 포함하는 단열 장벽을 포함하고, 상기 상단 패널은 단열 장벽의 두께 방향 및 길이 방향으로 연장하고, 상기 용접 조립체의 용접 지지부(15)의 베이스(17)는 홈(groove)(12) 내에 유지되는, 밀봉 탱크 벽.
According to claim 1,
The sealed tank wall comprises an insulating barrier comprising a top panel with a support surface (11), the top panel extending in the thickness direction and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insulating barrier, the base of the weld support (15) of the welded assembly. (17) is a sealing tank wall held in a groove (12).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홈(12)은 단열 장벽의 두께에서 두께 방향으로 이어지는 입력 구역(13)을 가지고 홈(12)의 길이 방향으로 입력 구역 하에 배치되며 입력 구역(13)보다 큰 폭에 걸쳐 지지 표면(11)에 평행하게 이어지는 유지 구역(14)을 포함하며, 상기 용접 지지부(15)의 베이스(17)는 유지 구역(14) 내에 수용되는, 밀봉 탱크 벽.
According to claim 8,
The groove 12 has an input zone 13 running in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insulating barrier and is arranged under the input zon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groove 12 and has a support surface 11 over a width greater than the input zone 13. A sealed tank wall comprising a holding section (14) running parallel to the wall, wherein the base (17) of the welded support (15) is received within the holding section (14).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 구역(14)은 상기 입력 구역(13)의 양측에서 지지 표면(11)에 평행하게 이어지는, 밀봉 탱크 벽.
According to clause 9,
The holding zone (14) runs parallel to the support surface (11) on both sides of the input zone (13).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홈(12)은 부착물(26)을 포함하고, 상기 부착물(26)은 홈(12) 내에 상기 용접 지지부(15)의 베이스(17)를 유지하도록 구성되는, 밀봉 탱크 벽.
According to claim 8,
The groove (12) includes an attachment (26), the attachment (26) being configured to retain the base (17) of the welded support (15) within the groove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용접 지지부(15)의 베이스(17)는 둥근 형태를 갖고, 상기 부착물(26)은 상기 용접 지지부(15)의 베이스(17)와 부착물(26)의 둥근 부분(27)이 서로 맞물리도록 보완적인 둥근 부분(27)을 갖는, 밀봉 탱크 벽.
According to claim 11,
The base 17 of the welding support 15 has a round shape, and the attachment 26 complements it so that the base 17 of the welding support 15 and the round part 27 of the attachment 26 engage with each other. Sealed tank wall with a rounded portion (27).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단열 장벽은 1차 단열 장벽이고 상기 밀봉 멤브레인은 1차 밀봉 멤브레인이며, 상기 밀봉 탱크 벽은 2차 단열 장벽을 포함하고 상기 1차 단열 장벽 아래 배치된 2차 밀봉 멤브레인을 포함하는, 밀봉 탱크 벽.
According to claim 8,
wherein the insulating barrier is a primary insulating barrier and the sealing membrane is a primary sealing membrane, and the sealing tank wall includes a secondary insulating barrier and a secondary sealing membrane disposed below the primary insulating barrier.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 구역(50)은 탱크 벽의 모든 길이에 걸쳐 연장하는, 밀봉 탱크 벽.
According to claim 1,
A sealed tank wall, wherein the reinforcement zone (50) extends over the entire length of the tank wall.
제 1 항에 있어서,
여러 용접 조립체가 상기 보강 구역(50) 내에 위치되는, 밀봉 탱크 벽.
According to claim 1,
A sealed tank wall in which several welded assemblies are located within the reinforcement zone (5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 구역(50)은 모든 탱크 벽 위에서 연장하는, 밀봉 탱크 벽.
According to claim 1,
A sealed tank wall, wherein the reinforcement zone (50) extends over all tank wall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 탱크 벽은 중앙부(40) 및 복수의 벽 에지(42)로 구성된 주변부(41)로 구성되고, 상기 보강 구역(50)은 벽 에지(42) 위에서 연장하는, 밀봉 탱크 벽.
According to claim 1,
The sealed tank wall consists of a central portion (40) and a peripheral portion (41)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wall edges (42), the reinforcement zone (50) extending above the wall edges (42).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 구역(50)은 복수의 벽 에지(42) 위에서 연장하는, 밀봉 탱크 벽.
According to claim 17,
A sealed tank wall, wherein the reinforcement zone (50) extends over a plurality of wall edges (42).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 구역(50)은 상기 밀봉 탱크 벽의 모든 주변부(41) 위에서 연장하는, 밀봉 탱크 벽.
According to claim 17,
A sealed tank wall, wherein the reinforcement zone (50) extends over the entire perimeter (41) of the sealed tank wall.
유체 저장을 위한 다면체 내부 공간을 형성하기 위해 서로 단단히 고정된 복수의 밀봉 탱크 벽을 포함하는 다면체 밀봉 탱크(71)로서, 상기 밀봉 탱크 벽 중 하나는 제 1 항 내지 제 19 항 중 어느 한 항에 청구된 것인, 다면체 밀봉 탱크.A polyhedral sealed tank (71) comprising a plurality of sealed tank walls tightly secured to each other to form a polyhedral internal space for fluid storage, one of the sealed tank walls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19. What is claimed is a polyhedral sealed tank.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탱크는 바닥 벽(43), 천장 벽(44), 바닥 벽(43)을 천장 벽(44)에 연결하는 2개의 측방향 코퍼댐(cofferdam) 벽(48) 및 상기 코퍼댐 벽(48)을 연결하는 2개의 측벽(45)을 포함하는, 다면체 밀봉 탱크.
According to claim 20,
The tank has a bottom wall (43), a ceiling wall (44), two lateral cofferdam walls (48) connecting the bottom wall (43) to the ceiling wall (44) and said cofferdam walls (48). A polyhedral sealed tank comprising two side walls (45) connecting.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천장 벽(44)은 제 1 항에 청구된 것인, 다면체 밀봉 탱크.
According to claim 21,
A polyhedral sealed tank, wherein the ceiling wall (44) is as claimed in claim 1.
제 21 항에 있어서,
하나 또는 각각의 측벽(45)은 제 1 항에 청구된 것인, 다면체 밀봉 탱크.
According to claim 21,
A polyhedral sealed tank, wherein one or each side wall (45) is as claimed in claim 1.
제 21 항에 있어서,
하나 또는 각각의 측방향 코퍼댐 벽(48)은 제 1 항에 청구된 것인, 다면체 밀봉 탱크.
According to claim 21,
A polyhedral sealed tank, wherein one or each lateral cofferdam wall (48) is as claimed in claim 1.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45)을 밀봉 벽(44)에 연결하는 2개의 챔퍼(chamfer) 형성 상단 벽(47)을 또한 포함하고, 하나 또는 각각의 챔퍼 형성 상단 벽(46)은 제 1 항에 청구된 것인, 다면체 밀봉 탱크.
According to claim 21,
It also comprises two chamfered top walls (47) connecting the side walls (45) to the seal wall (44), one or each chamfered top wall (46) as claimed in claim 1. Phosphorus, polyhedral sealed tank.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45)을 바닥 벽(43)에 연결하는 2개의 챔퍼 형성 바닥 벽(46)을 포함하고, 하나 또는 각각의 챔퍼 형성 바닥 벽(47)은 제 1 항에 청구된 것인, 다면체 밀봉 탱크.
According to claim 21,
Polyhedral seal according to claim 1, comprising two chamfered bottom walls (46) connecting said side walls (45) to a bottom wall (43), one or each chamfered bottom wall (47) as claimed in claim 1. Tank.
액체 제품을 수송하기 위한 선박(70)으로서,
상기 선박은 선체(72) 및 상기 선체에 배치된 제 20 항에 청구된 밀봉 탱크(71)를 포함하는, 선박.
A vessel (70) for transporting liquid products, comprising:
Said vessel comprising a hull (72) and a sealed tank (71) as claimed in claim 20 arranged on the hull.
액체 제품을 위한 이송 시스템으로서,
제 27 항에 청구된 선박(70), 상기 선박의 선체에 설치된 밀봉 탱크(71)를 부유 또는 육상 저장 설비(77)에 연결하도록 구성된 절연 파이프라인(73, 79, 76, 81) 및 부유 또는 육상 저장 설비로부터 선박의 밀봉 탱크로, 또는 그 반대로 절연 파이프라인을 통해서 액체 제품의 흐름을 구동하기 위한 펌프를 포함하는, 이송 시스템.
A conveying system for a liquid product, comprising:
A ship (70) as claimed in claim 27, an insulated pipeline (73, 79, 76, 81) configured to connect a sealed tank (71) installed on the hull of the ship to a floating or onshore storage facility (77) and a floating or A transfer system comprising a pump for driving the flow of liquid product through an insulated pipeline from an onshore storage facility to a sealed tank on a ship or vice versa.
제 27 항에 청구된 선박(70)을 선적 또는 하역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액체 제품이 부유 또는 육상 저장 설비(77)로부터 선박(71)의 밀봉 탱크로, 또는 그 반대로 절연 파이프라인(73, 79, 76, 81)을 통해 전달되는, 방법.
A method for loading or unloading a vessel (70) claimed in claim 27, comprising:
A method in which liquid product is transferred via insulated pipelines (73, 79, 76, 81) from a floating or land storage facility (77) to a sealed tank on a ship (71) or vice versa.
KR1020207026224A 2018-02-21 2019-02-14 Fluid-tight vessel wall comprising a sealing membrane containing reinforced zones KR102581424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1851493 2018-02-21
FR1851493A FR3078136B1 (en) 2018-02-21 2018-02-21 WATERPROOF TANK WALL INCLUDING A WATERPROOFING MEMBRANE INCLUDING A REINFORCED ZONE
PCT/FR2019/050333 WO2019162596A1 (en) 2018-02-21 2019-02-14 Fluid-tight vessel wall comprising a sealing membrane comprising a reinforced zon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3157A KR20200123157A (en) 2020-10-28
KR102581424B1 true KR102581424B1 (en) 2023-09-20

Family

ID=622229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26224A KR102581424B1 (en) 2018-02-21 2019-02-14 Fluid-tight vessel wall comprising a sealing membrane containing reinforced zones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KR (1) KR102581424B1 (en)
CN (1) CN111742173B (en)
FR (1) FR3078136B1 (en)
WO (1) WO2019162596A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3101408B1 (en) * 2019-09-30 2022-05-13 Gaztransport Et Technigaz System for treating a gas contained in a tank for storing and/or transporting gas in liquid and gaseous state
FR3101407B1 (en) * 2019-09-30 2023-04-14 Gaztransport Et Technigaz Refrigerant fluid intended for a refrigerant fluid circuit of a natural gas treatment system
FR3111176B1 (en) * 2020-06-09 2022-09-02 Gaztransport Et Technigaz Tank wall for watertight and thermally insulating tank
FR3111177B1 (en) 2020-06-09 2022-07-08 Gaztransport Et Technigaz Insulating block suitable for the support and thermal insulation of a waterproof membrane intended to contain a fluid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2737B1 (en) 2007-05-29 2007-12-05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Insulation system having the secondary barrier welded and its fabrication procedure for lng cargo containment system
KR100868704B1 (en) 2007-05-28 2008-11-13 한국과학기술원 Lng containment tank of lng ship and the method for construction and repair of it
WO2018024981A1 (en) * 2016-08-02 2018-02-08 Gaztransport Et Technigaz Impervious wall structure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782581A (en) * 1971-12-27 1974-01-01 Phillips Petroleum Co Fluid containment system
US3793976A (en) * 1973-01-29 1974-02-26 Phillips Petroleum Co Multilayered, insulated fluid tank and structure
US4116150A (en) * 1976-03-09 1978-09-26 Mcdonnell Douglas Corporation Cryogenic insulation system
FR2462336A1 (en) * 1979-07-27 1981-02-13 Gaz Transport Tank for transporting liquefied gases by sea - incorporates fluid tightness and insulating barriers simply realised, necessitating only small sweeping nitrogen flow
KR101224471B1 (en) * 2010-09-08 2013-01-22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Insulation structure of Cargo hold in LNG carrier
FR2968284B1 (en) 2010-12-01 2013-12-20 Gaztransp Et Technigaz SEAL BARRIER FOR A TANK WALL
KR101419824B1 (en) * 2012-12-31 2014-07-15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Container for storing liquefied natural gas
KR102150458B1 (en) * 2015-10-30 2020-09-01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Insulation System For Membrane Type in LNG Storage Tank
FR3054871B1 (en) * 2016-08-02 2018-12-07 Gaztransport Et Technigaz SEALED WALL STRUCTUR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8704B1 (en) 2007-05-28 2008-11-13 한국과학기술원 Lng containment tank of lng ship and the method for construction and repair of it
KR100782737B1 (en) 2007-05-29 2007-12-05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Insulation system having the secondary barrier welded and its fabrication procedure for lng cargo containment system
WO2018024981A1 (en) * 2016-08-02 2018-02-08 Gaztransport Et Technigaz Impervious wall structur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1742173B (en) 2022-10-11
FR3078136B1 (en) 2021-02-12
KR20200123157A (en) 2020-10-28
CN111742173A (en) 2020-10-02
FR3078136A1 (en) 2019-08-23
WO2019162596A1 (en) 2019-08-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742407B2 (en) Sealed heat insulation tank
KR102581424B1 (en) Fluid-tight vessel wall comprising a sealing membrane containing reinforced zones
US9677711B2 (en) Sealed and thermally insulating tank for storing a fluid
KR102209265B1 (en) Sealed, thermally insulating vessel comprising a corner part
USRE49627E1 (en) Sealed and thermally insulating tank comprising an angle bracket
CN109210368B (en) Sealed thermal insulation tank
KR102498803B1 (en) sealed and insulated tank
RU2733153C2 (en) Tight wall structure
KR102501626B1 (en) sealed and insulated tank
JP2019049348A5 (en)
JP2023508622A (en) Hermetically sealed insulated tank
KR102657084B1 (en) Rigid tank walls with sealing membrane
KR102648632B1 (en) Sealed and insulated tank
KR20230019471A (en) Thermally insulated sealed tank built into load-bearing structure
RU2780113C2 (en) Sealed tank wall containing sealing membrane
KR102548503B1 (en) Self-supporting case suitable for supporting and insulating sealing membranes
KR20200023478A (en) Insulated closed tank with curved support strip
KR102614986B1 (en) Sealed and insulated tank
RU2791228C2 (en) Liquefied gas storage
KR20230066072A (en) sealed and insulated tank
KR20240029398A (en) Liquid dome chair and vessel comprising the same
AU2012228180B9 (en) Insulating block for producing a tight wall of a tank
CN113775920A (en) Tank wall for a fluid-tight and thermally insulating tank
AU2012228180B2 (en) Insulating block for producing a tight wall of a tan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