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78297B1 - 성인 t 세포 백혈병 림프종의 치료 및/또는 예방제 - Google Patents

성인 t 세포 백혈병 림프종의 치료 및/또는 예방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78297B1
KR102578297B1 KR1020187004732A KR20187004732A KR102578297B1 KR 102578297 B1 KR102578297 B1 KR 102578297B1 KR 1020187004732 A KR1020187004732 A KR 1020187004732A KR 20187004732 A KR20187004732 A KR 20187004732A KR 102578297 B1 KR102578297 B1 KR 1025782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methyl
adult
trans
cell leukemia
benzodiox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047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32596A (ko
Inventor
도시키 와타나베
마코토 야마기시
오사무 간노
준 와타나베
노부아키 아다치
다이스케 혼마
요시토 하마다
Original Assignee
다이이찌 산쿄 가부시키가이샤
고쿠리츠다이가쿠호우진 도쿄다이가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이이찌 산쿄 가부시키가이샤, 고쿠리츠다이가쿠호우진 도쿄다이가쿠 filed Critical 다이이찌 산쿄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800325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325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82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82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A61K31/44Non condensed pyridines; Hydrogenated derivatives thereof
    • A61K31/4427Non condensed pyridines; Hydrogenated derivatives thereof containing further heterocyclic ring systems
    • A61K31/443Non condensed pyridines; Hydrogenated derivatives thereof containing further heterocyclic ring systems containing a five-membered ring with oxygen as a ring hetero ato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 A61K31/357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having two or more oxygen atoms in the same ring, e.g. crown ethers, guanadrel
    • A61K31/36Compounds containing methylenedioxyphenyl groups, e.g. sesam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5/00Antineoplastic agents
    • A61P35/02Antineoplastic agents specific for leukemia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05/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both one or more hetero rings having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nd one or more rings having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C07D405/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both one or more hetero rings having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nd one or more rings having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containing two hetero rings
    • C07D405/1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both one or more hetero rings having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nd one or more rings having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containing two hetero rings linked by a chain containing hetero atoms as chain link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ncology (AREA)
  • Hematology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특정한 화학 구조를 갖는 화합물 또는 의약적으로 허용 가능한 그 염을 포함하는, 성인 T 세포 백혈병 림프종의 치료 및/또는 예방제를 제공한다. 7-클로로-2-[trans-4-(디메틸아미노)시클로헥실]-N-[(4,6-디메틸-2-옥소-1,2-디하이드로피리딘-3-일)메틸]-2,4-디메틸-1,3-벤조디옥솔-5-카르복사미드 혹은 의약상 허용 가능한 그 염, 또는 7-브로모-2-[trans-4-(디메틸아미노)시클로헥실]-N-[(4,6-디메틸-2-옥소-1,2-디하이드로피리딘-3-일)메틸]-2,4-디메틸-1,3-벤조디옥솔-5-카르복사미드 혹은 의약상 허용 가능한 그 염을 유효 성분으로 하는 성인 T 세포 백혈병 림프종의 치료 및/또는 예방제.

Description

성인 T 세포 백혈병 림프종의 치료 및/또는 예방제{THERAPEUTIC AND/OR PROPHYLACTIC AGENT FOR ADULT T CELL LEUKEMIA/LYMPHOMA}
관련 출원의 참조
본원은, 일본 특허출원 2015-151170호 (출원일:2015년 7월 30일) 에 기초하는 우선권의 이익을 누리는 출원이며, 이 내용은 인용함으로써 그 전체가 본 명세서에 도입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특정한 화학 구조를 갖는 화합물 또는 의약적으로 허용 가능한 그 염을 포함하는, 성인 T 세포 백혈병 림프종의 치료 및/또는 예방제에 관한 것이다.
성인 T 세포 백혈병 림프종 (Adult T cell leukemia/lymphoma, ATL) 은, 50 ∼ 60 년이라는 긴 잠복 기간에 HTLV-1 감염 말초혈 T 세포에 복수의 유전자 이상이 축적되어 암화 (癌化)) 가 야기된다. 현재 세계에는 2000 만명 이상의 사람 성인 T 세포 백혈병 바이러스 I 형 (Human T-cell Leukemia Virus Type I, HTLV-1) 감염자 (캐리어) 가 있는 것으로 생각되며, 일본에서는, 108 만명 이상의 감염자가 존재하고 매년 약 1200 명의 ATL 이 발증하고 있는 것으로 생각되고 있다 (비특허문헌 1). 코호트 연구의 결과로부터는, 말초혈에 있어서의 HTLV-1 감염 세포의 비율 (Provirus load, PVL) 이 4 % 이상인 캐리어로부터로만 ATL 이 발증하고 있는 것이 밝혀져 있다 (비특허문헌 2). 이 발증 고위험군은 캐리어 전체의 25 % 를 차지하고, 감염 세포수의 삭감이 ATL 발증 리스크의 저감으로 이어지는 것이 기대되고 있다. 그러나, HTLV-1 에 의한 세포의 불사화나 종양화, 치료 저항성 등의 분자 메커니즘은 불명한 점이 많아, ATL 에 대한 유효한 치료법이나 감염 세포를 선택적으로 제거하는 방법은 여전히 존재하지 않는다. ATL 에 대한 분자 표적약인 항 CCR4 항체의 등장에 의해 치료 성적이 향상되었지만, 여전히 예후는 악성 림프종 중에서 최저이고 (비특허문헌 3), 급성형 ATL 에 대한 화학 요법의 치료 성적은 전체 생존 기간 중앙치가 12.7 개월 (비특허문헌 4), 재발 예에 대한 CCR4 항체의 치료 성적은 13.7 개월이다 (비특허문헌 5). 따라서, 분자 레벨의 병의 용태 해명을 기반으로 하여, 바이러스 감염의 예방과 백혈병 발증의 예방, 신규 치료법 개발이 급무이다.
다수의 ATL 임상 검체를 사용한 유전자 발현의 대규모 해석의 결과로부터, ATL 세포는 매우 균일하고 이상한 유전자 발현 패턴을 갖는 집단인 것이 밝혀졌다 (비특허문헌 6). 또한, ATL 세포에는 특징적인 시그널 전달계의 이상이 있어 종양 세포의 생존이나 증식의 기축이 되고 있지만, 그 배경에는 에피제네틱한 이상의 축적이 있는 것이 밝혀져 왔다 (비특허문헌 7).
폴리콤 패밀리는, 히스톤 수식을 통한 크로마틴 제어를 통해서 유전자 발현을 부 (負) 로 제어한다. 제스트 호모로그의 엔헨서 (Enhancer of zeste ho㏖ogue 1/2, EZH1/2) 는 히스톤 H3K27 을 트리메틸화하는 폴리콤 억제 복합체-2 (Polycomb repressive complex 2, PRC2) 의 활성 중심이다. EZH1 과 EZH2 는 서로 기능을 보상하고, 세포 내의 에피게놈을 유지하고 있다. EZH2 의 저해는 세포 전체의 H3K27 의 메틸화 레벨의 감소로 이어지지만, EZH1 에 의한 보상 효과에 의해 그 효과는 한정적이 된다. EZH1 과 EZH2 를 동시에 저해함으로써 메틸화를 보다 효과적으로 소실시킬 수 있다 (비특허문헌 8). PRC2 구성 인자의 이상은 암이나 줄기 세포 기능의 이상으로 이어지는 것이 나타나 있으며, 특히 EZH2 의 유전자 이상이나 발현 항진으로부터 유도되는 메틸화 H3K27me3 의 축적은 많은 암에서 동정 (同定) 되고 있으며, EZH2 를 중심으로 새로운 암의 분자 표적으로서 정력적으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비특허문헌 9, 10).
ATL 에 있어서의 폴리콤 패밀리의 이상은, 망라적 유전자 발현 해석에 의해 밝혀졌다 (비특허문헌 6, 11). 그 중에서도 EZH2 의 과잉 발현이 현저하고, 세포 전체의 H3K27 의 메틸화 레벨의 항진도 검출되어 있다. 또 EZH2 의존적인 miR-31 의 억제가 결과적으로 NF-κB 유도 키나아제 (NF-κB inducing kinase, NIK) 의 발현을 일으켜 NF-κB 경로를 항상적으로 활성화하는 것이 밝혀져 있으며, EZH2 가 ATL 의 분자 표적으로서 유효한 것으로 생각된다.
Yamaguchi K, Watanabe T., Int J Hematol 2002;76 Suppl 2:240. Iwanaga, M et al., Blood 2010;116 (8):1211-9. Vose, Armitage, J et al., J Clin Oncol 2008;26 (25):4124-30. Utsunomiya, A et. al., J Clin Oncol 2007;25 (34):5458-64. Ishida, Joh, et. al., J Clin Oncol 2012;30 (8):837-42. Yamagishi M et al., Cancer Cell 2012;21:121. Yamagishi M, Watanabe T., Front Microbiol 2012;3:334. Shen, X et al., Mol Cell 2008;32 (4):491-502. Sparmann A, van Lohuizen M., Nat Rev Cancer 2006;6:846. Lund, Adams, Copland., Leukemia 2014;28 (1):44-9. Sasaki D, et al., Haematologica 2011;96:712.
본 발명은, 특정한 화학 구조를 갖는 화합물 또는 의약적으로 허용 가능한 그 염을 포함하는, 성인 T 세포 백혈병 림프종의 치료 및/또는 예방제를 제공한다.
본 발명자들은, (2R)-7-클로로-2-[trans-4-(디메틸아미노)시클로헥실]-N-[(4,6-디메틸-2-옥소-1,2-디하이드로피리딘-3-일)메틸]-2,4-디메틸-1,3-벤조디옥솔-5-카르복사미드 혹은 의약상 허용 가능한 그 염, 또는 (2R)-7-브로모-2-[trans-4-(디메틸아미노)시클로헥실]-N-[(4,6-디메틸-2-옥소-1,2-디하이드로피리딘-3-일)메틸]-2,4-디메틸-1,3-벤조디옥솔-5-카르복사미드 혹은 의약상 허용 가능한 그 염이, 성인 T 세포 백혈병 림프종의 치료 및 예방에 현저한 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분명히 하였다.
본 발명은 이들 지견에 기초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이하 [1] ∼ [34] 에 기재된 발명이 제공된다.
[1]:7-클로로-2-[trans-4-(디메틸아미노)시클로헥실]-N-[(4,6-디메틸-2-옥소-1,2-디하이드로피리딘-3-일)메틸]-2,4-디메틸-1,3-벤조디옥솔-5-카르복사미드 혹은 의약상 허용 가능한 그 염, 또는 7-브로모-2-[trans-4-(디메틸아미노)시클로헥실]-N-[(4,6-디메틸-2-옥소-1,2-디하이드로피리딘-3-일)메틸]-2,4-디메틸-1,3-벤조디옥솔-5-카르복사미드 혹은 의약상 허용 가능한 그 염을 유효 성분으로 하는 성인 T 세포 백혈병 림프종의 치료 및/또는 예방제.
[2]:(2R)-7-클로로-2-[trans-4-(디메틸아미노)시클로헥실]-N-[(4,6-디메틸-2-옥소-1,2-디하이드로피리딘-3-일)메틸]-2,4-디메틸-1,3-벤조디옥솔-5-카르복사미드 혹은 의약상 허용 가능한 그 염, 또는 (2R)-7-브로모-2-[trans-4-(디메틸아미노)시클로헥실]-N-[(4,6-디메틸-2-옥소-1,2-디하이드로피리딘-3-일)메틸]-2,4-디메틸-1,3-벤조디옥솔-5-카르복사미드 혹은 의약상 허용 가능한 그 염을 유효 성분으로 하는 성인 T 세포 백혈병 림프종의 치료 및/또는 예방제.
[3]:(2R)-7-클로로-2-[trans-4-(디메틸아미노)시클로헥실]-N-[(4,6-디메틸-2-옥소-1,2-디하이드로피리딘-3-일)메틸]-2,4-디메틸-1,3-벤조디옥솔-5-카르복사미드 또는 의약상 허용 가능한 그 염을 유효 성분으로 하는 성인 T 세포 백혈병 림프종의 치료제.
[4]:(2R)-7-클로로-2-[trans-4-(디메틸아미노)시클로헥실]-N-[(4,6-디메틸-2-옥소-1,2-디하이드로피리딘-3-일)메틸]-2,4-디메틸-1,3-벤조디옥솔-5-카르복사미드 또는 의약상 허용 가능한 그 염을 유효 성분으로 하는 성인 T 세포 백혈병 림프종의 예방제.
[5]:(2R)-7-클로로-2-[trans-4-(디메틸아미노)시클로헥실]-N-[(4,6-디메틸-2-옥소-1,2-디하이드로피리딘-3-일)메틸]-2,4-디메틸-1,3-벤조디옥솔-5-카르복사미드 p-톨루엔술폰산염을 유효 성분으로 하는 성인 T 세포 백혈병 림프종의 치료제.
[6]:(2R)-7-클로로-2-[trans-4-(디메틸아미노)시클로헥실]-N-[(4,6-디메틸-2-옥소-1,2-디하이드로피리딘-3-일)메틸]-2,4-디메틸-1,3-벤조디옥솔-5-카르복사미드 p-톨루엔술폰산염을 유효 성분으로 하는 성인 T 세포 백혈병 림프종의 예방제.
[7]:(2R)-7-브로모-2-[trans-4-(디메틸아미노)시클로헥실]-N-[(4,6-디메틸-2-옥소-1,2-디하이드로피리딘-3-일)메틸]-2,4-디메틸-1,3-벤조디옥솔-5-카르복사미드 또는 의약상 허용 가능한 그 염을 유효 성분으로 하는 성인 T 세포 백혈병 림프종의 치료제.
[8]:(2R)-7-브로모-2-[trans-4-(디메틸아미노)시클로헥실]-N-[(4,6-디메틸-2-옥소-1,2-디하이드로피리딘-3-일)메틸]-2,4-디메틸-1,3-벤조디옥솔-5-카르복사미드 또는 의약상 허용 가능한 그 염을 유효 성분으로 하는 성인 T 세포 백혈병 림프종의 예방제.
[9]:성인 T 세포 백혈병 림프종을 이환한 환자에 있어서 성인 T 세포 백혈병 림프종을 치료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환자에게 7-클로로-2-[trans-4-(디메틸아미노)시클로헥실]-N-[(4,6-디메틸-2-옥소-1,2-디하이드로피리딘-3-일)메틸]-2,4-디메틸-1,3-벤조디옥솔-5-카르복사미드 혹은 의약상 허용 가능한 그 염, 또는 7-브로모-2-[trans-4-(디메틸아미노)시클로헥실]-N-[(4,6-디메틸-2-옥소-1,2-디하이드로피리딘-3-일)메틸]-2,4-디메틸-1,3-벤조디옥솔-5-카르복사미드 혹은 의약상 허용 가능한 그 염을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
[10]:성인 T 세포 백혈병 림프종을 이환 (罹患) 한 환자에 있어서 성인 T 세포 백혈병 림프종을 치료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환자에게 (2R)-7-클로로-2-[trans-4-(디메틸아미노)시클로헥실]-N-[(4,6-디메틸-2-옥소-1,2-디하이드로피리딘-3-일)메틸]-2,4-디메틸-1,3-벤조디옥솔-5-카르복사미드 또는 의약상 허용 가능한 그 염을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
[11]:성인 T 세포 백혈병 림프종을 이환한 환자에 있어서 성인 T 세포 백혈병 림프종을 치료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환자에게 (2R)-7-브로모-2-[trans-4-(디메틸아미노)시클로헥실]-N-[(4,6-디메틸-2-옥소-1,2-디하이드로피리딘-3-일)메틸]-2,4-디메틸-1,3-벤조디옥솔-5-카르복사미드 또는 의약상 허용 가능한 그 염을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
[12]:사람 성인 T 세포 백혈병 바이러스 I 형 (HTLV-1) 캐리어인 대상에 있어서 성인 T 세포 백혈병 림프종의 발증을 예방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대상에게 7-클로로-2-[trans-4-(디메틸아미노)시클로헥실]-N-[(4,6-디메틸-2-옥소-1,2-디하이드로피리딘-3-일)메틸]-2,4-디메틸-1,3-벤조디옥솔-5-카르복사미드 혹은 의약상 허용 가능한 그 염, 또는 7-브로모-2-[trans-4-(디메틸아미노)시클로헥실]-N-[(4,6-디메틸-2-옥소-1,2-디하이드로피리딘-3-일)메틸]-2,4-디메틸-1,3-벤조디옥솔-5-카르복사미드 혹은 의약상 허용 가능한 그 염을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
[13]:사람 성인 T 세포 백혈병 바이러스 I 형 (HTLV-1) 캐리어인 대상에 있어서 성인 T 세포 백혈병 림프종의 발증을 예방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대상에게 (2R)-7-클로로-2-[trans-4-(디메틸아미노)시클로헥실]-N-[(4,6-디메틸-2-옥소-1,2-디하이드로피리딘-3-일)메틸]-2,4-디메틸-1,3-벤조디옥솔-5-카르복사미드 또는 의약상 허용 가능한 그 염을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
[14]:사람 성인 T 세포 백혈병 바이러스 I 형 (HTLV-1) 캐리어인 대상에 있어서 성인 T 세포 백혈병 림프종의 발증을 예방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대상에게 (2R)-7-브로모-2-[trans-4-(디메틸아미노)시클로헥실]-N-[(4,6-디메틸-2-옥소-1,2-디하이드로피리딘-3-일)메틸]-2,4-디메틸-1,3-벤조디옥솔-5-카르복사미드 혹은 의약상 허용 가능한 그 염을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
[15]:성인 T 세포 백혈병 림프종을 이환한 환자에 있어서 성인 T 세포 백혈병 림프종을 치료하는 것에 사용하기 위한 의약 조성물의 제조에 있어서의, 7-클로로-2-[trans-4-(디메틸아미노)시클로헥실]-N-[(4,6-디메틸-2-옥소-1,2-디하이드로피리딘-3-일)메틸]-2,4-디메틸-1,3-벤조디옥솔-5-카르복사미드 혹은 의약상 허용 가능한 그 염, 또는 7-브로모-2-[trans-4-(디메틸아미노)시클로헥실]-N-[(4,6-디메틸-2-옥소-1,2-디하이드로피리딘-3-일)메틸]-2,4-디메틸-1,3-벤조디옥솔-5-카르복사미드 혹은 의약상 허용 가능한 그 염의 사용.
[16]:성인 T 세포 백혈병 림프종을 이환한 환자에 있어서 성인 T 세포 백혈병 림프종을 치료하는 것에 사용하기 위한 의약 조성물의 제조에 있어서의, (2R)-7-클로로-2-[trans-4-(디메틸아미노)시클로헥실]-N-[(4,6-디메틸-2-옥소-1,2-디하이드로피리딘-3-일)메틸]-2,4-디메틸-1,3-벤조디옥솔-5-카르복사미드 또는 의약상 허용 가능한 그 염의 사용.
[17]:성인 T 세포 백혈병 림프종을 이환한 환자에 있어서 성인 T 세포 백혈병 림프종을 치료하는 것에 사용하기 위한 의약 조성물의 제조에 있어서의, (2R)-7-클로로-2-[trans-4-(디메틸아미노)시클로헥실]-N-[(4,6-디메틸-2-옥소-1,2-디하이드로피리딘-3-일)메틸]-2,4-디메틸-1,3-벤조디옥솔-5-카르복사미드 p-톨루엔술폰산염의 사용.
[18]:성인 T 세포 백혈병 림프종을 이환한 환자에 있어서 성인 T 세포 백혈병 림프종을 치료하는 것에 사용하기 위한 의약 조성물의 제조에 있어서의, (2R)-7-브로모-2-[trans-4-(디메틸아미노)시클로헥실]-N-[(4,6-디메틸-2-옥소-1,2-디하이드로피리딘-3-일)메틸]-2,4-디메틸-1,3-벤조디옥솔-5-카르복사미드 또는 의약상 허용 가능한 그 염의 사용.
[19]:사람 성인 T 세포 백혈병 바이러스 I 형 (HTLV-1) 캐리어인 대상에 있어서 성인 T 세포 백혈병 림프종의 발증을 예방하는 것에 사용하기 위한 의약 조성물의 제조에 있어서의, 7-클로로-2-[trans-4-(디메틸아미노)시클로헥실]-N-[(4,6-디메틸-2-옥소-1,2-디하이드로피리딘-3-일)메틸]-2,4-디메틸-1,3-벤조디옥솔-5-카르복사미드 혹은 의약상 허용 가능한 그 염, 또는 7-브로모-2-[trans-4-(디메틸아미노)시클로헥실]-N-[(4,6-디메틸-2-옥소-1,2-디하이드로피리딘-3-일)메틸]-2,4-디메틸-1,3-벤조디옥솔-5-카르복사미드 혹은 의약상 허용 가능한 그 염의 사용.
[20]:사람 성인 T 세포 백혈병 바이러스 I 형 (HTLV-1) 캐리어인 대상에 있어서 성인 T 세포 백혈병 림프종의 발증을 예방하는 것에 사용하기 위한 의약 조성물의 제조에 있어서의, (2R)-7-클로로-2-[trans-4-(디메틸아미노)시클로헥실]-N-[(4,6-디메틸-2-옥소-1,2-디하이드로피리딘-3-일)메틸]-2,4-디메틸-1,3-벤조디옥솔-5-카르복사미드 또는 의약상 허용 가능한 그 염의 사용.
[21]:사람 성인 T 세포 백혈병 바이러스 I 형 (HTLV-1) 캐리어인 대상에 있어서 성인 T 세포 백혈병 림프종의 발증을 예방하는 것에 사용하기 위한 의약 조성물의 제조에 있어서의, (2R)-7-클로로-2-[trans-4-(디메틸아미노)시클로헥실]-N-[(4,6-디메틸-2-옥소-1,2-디하이드로피리딘-3-일)메틸]-2,4-디메틸-1,3-벤조디옥솔-5-카르복사미드 p-톨루엔술폰산염의 사용.
[22]:사람 성인 T 세포 백혈병 바이러스 I 형 (HTLV-1) 캐리어인 대상에 있어서 성인 T 세포 백혈병 림프종의 발증을 예방하는 것에 사용하기 위한 의약 조성물의 제조에 있어서의, (2R)-7-브로모-2-[trans-4-(디메틸아미노)시클로헥실]-N-[(4,6-디메틸-2-옥소-1,2-디하이드로피리딘-3-일)메틸]-2,4-디메틸-1,3-벤조디옥솔-5-카르복사미드 또는 의약상 허용 가능한 그 염의 사용.
[23]:성인 T 세포 백혈병 림프종의 증식을 저하시키는 것, 성인 T 세포 백혈병 림프종의 생존률을 저하시키는 것, 및/또는 성인 T 세포 백혈병 림프종을 사멸시키는 것에 사용하기 위한 의약 조성물로서, 7-클로로-2-[trans-4-(디메틸아미노)시클로헥실]-N-[(4,6-디메틸-2-옥소-1,2-디하이드로피리딘-3-일)메틸]-2,4-디메틸-1,3-벤조디옥솔-5-카르복사미드 혹은 의약상 허용 가능한 그 염, 또는 7-브로모-2-[trans-4-(디메틸아미노)시클로헥실]-N-[(4,6-디메틸-2-옥소-1,2-디하이드로피리딘-3-일)메틸]-2,4-디메틸-1,3-벤조디옥솔-5-카르복사미드 혹은 의약상 허용 가능한 그 염을 포함하는 조성물.
[24]:성인 T 세포 백혈병 림프종의 증식을 저하시키는 것, 성인 T 세포 백혈병 림프종의 생존률을 저하시키는 것, 및/또는 성인 T 세포 백혈병 림프종을 사멸시키는 것에 사용하기 위한 의약 조성물로서, (2R)-7-클로로-2-[trans-4-(디메틸아미노)시클로헥실]-N-[(4,6-디메틸-2-옥소-1,2-디하이드로피리딘-3-일)메틸]-2,4-디메틸-1,3-벤조디옥솔-5-카르복사미드 또는 의약상 허용 가능한 그 염을 포함하는 조성물.
[25]:성인 T 세포 백혈병 림프종의 증식을 저하시키는 것, 성인 T 세포 백혈병 림프종의 생존률을 저하시키는 것, 및/또는 성인 T 세포 백혈병 림프종을 사멸시키는 것에 사용하기 위한 의약 조성물로서, (2R)-7-클로로-2-[trans-4-(디메틸아미노)시클로헥실]-N-[(4,6-디메틸-2-옥소-1,2-디하이드로피리딘-3-일)메틸]-2,4-디메틸-1,3-벤조디옥솔-5-카르복사미드 p-톨루엔술폰산염을 포함하는 조성물.
[26]:성인 T 세포 백혈병 림프종의 증식을 저하시키는 것, 성인 T 세포 백혈병 림프종의 생존률을 저하시키는 것, 및/또는 성인 T 세포 백혈병 림프종을 사멸시키는 것에 사용하기 위한 의약 조성물로서, (2R)-7-브로모-2-[trans-4-(디메틸아미노)시클로헥실]-N-[(4,6-디메틸-2-옥소-1,2-디하이드로피리딘-3-일)메틸]-2,4-디메틸-1,3-벤조디옥솔-5-카르복사미드 또는 의약상 허용 가능한 그 염을 포함하는 조성물.
[27]:그 필요가 있는 대상에 있어서, 성인 T 세포 백혈병 림프종의 증식을 저하시키는, 성인 T 세포 백혈병 림프종의 생존률을 저하시키는, 및/또는 성인 T 세포 백혈병 림프종을 사멸시키는 방법으로서, 그 대상에게 7-클로로-2-[trans-4-(디메틸아미노)시클로헥실]-N-[(4,6-디메틸-2-옥소-1,2-디하이드로피리딘-3-일)메틸]-2,4-디메틸-1,3-벤조디옥솔-5-카르복사미드 혹은 의약상 허용 가능한 그 염, 또는 7-브로모-2-[trans-4-(디메틸아미노)시클로헥실]-N-[(4,6-디메틸-2-옥소-1,2-디하이드로피리딘-3-일)메틸]-2,4-디메틸-1,3-벤조디옥솔-5-카르복사미드 또는 의약상 허용 가능한 그 염을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
[28]:그 필요가 있는 대상에 있어서, 성인 T 세포 백혈병 림프종의 증식을 저하시키는, 성인 T 세포 백혈병 림프종의 생존률을 저하시키는, 및/또는 성인 T 세포 백혈병 림프종을 사멸시키는 방법으로서, 그 대상에게 (2R)-7-클로로-2-[trans-4-(디메틸아미노)시클로헥실]-N-[(4,6-디메틸-2-옥소-1,2-디하이드로피리딘-3-일)메틸]-2,4-디메틸-1,3-벤조디옥솔-5-카르복사미드 또는 의약상 허용 가능한 그 염을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
[29]:그 필요가 있는 대상에 있어서, 성인 T 세포 백혈병 림프종의 증식을 저하시키는, 성인 T 세포 백혈병 림프종의 생존률을 저하시키는, 및/또는 성인 T 세포 백혈병 림프종을 사멸시키는 방법으로서, 그 대상에게 (2R)-7-클로로-2-[trans-4-(디메틸아미노)시클로헥실]-N-[(4,6-디메틸-2-옥소-1,2-디하이드로피리딘-3-일)메틸]-2,4-디메틸-1,3-벤조디옥솔-5-카르복사미드 p-톨루엔술폰산염을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
[30]:그 필요가 있는 대상에 있어서, 성인 T 세포 백혈병 림프종의 증식을 저하시키는, 성인 T 세포 백혈병 림프종의 생존률을 저하시키는, 및/또는 성인 T 세포 백혈병 림프종을 사멸시키는 방법으로서, 그 대상에게 (2R)-7-브로모-2-[trans-4-(디메틸아미노)시클로헥실]-N-[(4,6-디메틸-2-옥소-1,2-디하이드로피리딘-3-일)메틸]-2,4-디메틸-1,3-벤조디옥솔-5-카르복사미드 또는 의약상 허용 가능한 그 염을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
[31]:성인 T 세포 백혈병 림프종의 증식을 저하시키는 것, 성인 T 세포 백혈병 림프종의 생존률을 저하시키는 것, 및/또는 성인 T 세포 백혈병 림프종을 사멸시키는 것에 사용하기 위한 의약 조성물의 제조에 있어서의, 7-클로로-2-[trans-4-(디메틸아미노)시클로헥실]-N-[(4,6-디메틸-2-옥소-1,2-디하이드로피리딘-3-일)메틸]-2,4-디메틸-1,3-벤조디옥솔-5-카르복사미드 혹은 의약상 허용 가능한 그 염, 또는 7-브로모-2-[trans-4-(디메틸아미노)시클로헥실]-N-[(4,6-디메틸-2-옥소-1,2-디하이드로피리딘-3-일)메틸]-2,4-디메틸-1,3-벤조디옥솔-5-카르복사미드 혹은 의약상 허용 가능한 그 염의 사용.
[32]:성인 T 세포 백혈병 림프종의 증식을 저하시키는 것, 성인 T 세포 백혈병 림프종의 생존률을 저하시키는 것, 및/또는 성인 T 세포 백혈병 림프종을 사멸시키는 것에 사용하기 위한 의약 조성물의 제조에 있어서의, (2R)-7-클로로-2-[trans-4-(디메틸아미노)시클로헥실]-N-[(4,6-디메틸-2-옥소-1,2-디하이드로피리딘-3-일)메틸]-2,4-디메틸-1,3-벤조디옥솔-5-카르복사미드 또는 의약상 허용 가능한 그 염의 사용.
[33]:성인 T 세포 백혈병 림프종의 증식을 저하시키는 것, 성인 T 세포 백혈병 림프종의 생존률을 저하시키는 것, 및/또는 성인 T 세포 백혈병 림프종을 사멸시키는 것에 사용하기 위한 의약 조성물의 제조에 있어서의, (2R)-7-클로로-2-[trans-4-(디메틸아미노)시클로헥실]-N-[(4,6-디메틸-2-옥소-1,2-디하이드로피리딘-3-일)메틸]-2,4-디메틸-1,3-벤조디옥솔-5-카르복사미드 p-톨루엔술폰산염의 사용.
[34]:성인 T 세포 백혈병 림프종의 증식을 저하시키는 것, 성인 T 세포 백혈병 림프종의 생존률을 저하시키는 것, 및/또는 성인 T 세포 백혈병 림프종을 사멸시키는 것에 사용하기 위한 의약 조성물의 제조에 있어서의, (2R)-7-브로모-2-[trans-4-(디메틸아미노)시클로헥실]-N-[(4,6-디메틸-2-옥소-1,2-디하이드로피리딘-3-일)메틸]-2,4-디메틸-1,3-벤조디옥솔-5-카르복사미드 또는 의약상 허용 가능한 그 염의 사용.
본 발명의 화합물 또는 그 약리상 허용되는 염은, ATL 의 예방 및/또는 치료에 있어서 유용하다.
도 1 은, 실시예 1 의 화합물로 처리한 ATL 환자 종양 세포 유래 세포주 TL-Om1 의 증식을 시간 경과적으로 (도 1A) 및 용량 의존적으로 (도 1B) 나타낸다. DMSO 처리군의 세포 증식을 100 % 로서 나타낸다.
도 2 는, 실시예 3 의 화합물로 처리한 ATL 환자 종양 세포 유래 세포주 TL-Om1 의 증식을 시간 경과적으로 (도 2A) 및 용량 의존적으로 (도 2B) 나타낸다. DMSO 처리군의 세포 증식을 100 % 로서 나타낸다.
도 3 은, ATL 환자로부터 단리한 말초혈 단핵구 (26 예) 의 증식에 대한 본 발명의 화합물의 효과를 나타낸다.
도 4 는, HTLV-1 캐리어 검체로부터 단리한 말초혈 단핵구에 있어서의 감염 세포의 비율 (PVL) 에 대한 본 발명의 화합물의 효과를 나타낸다.
본 명세서에서는, 「성인 T 세포 백혈병 림프종」 (이하, 간단히 「ATL」 이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 이란, 사람 T 세포 백혈병 바이러스 1 형 (HTLV-1) 의 감염이 원인이 되어 야기되는 백혈병/림프종이다. ATL 은, 「성인 T 세포 백혈병」 또는 「성인 T 세포 림프종」 이라고도 불리는 경우가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HTLV-1 캐리어」 란, HTLV-1 바이러스에 감염된 대상 (온혈 동물, 특히 사람) 을 의미한다. 대상이 HTLV-1 에 대한 항체를 갖고 있는 경우에는, 그 대상은 HTLV-1 캐리어라고 간주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예방한다」 및 그 파생어는, ATL 발증 전의 HTLV-1 캐리어에 있어서 ATL 의 발증률을 저감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바람직하게는, HTLV-1 캐리어군에 있어서, 그 캐리어군 중의 60 % 이상의 대상의 ATL 발증을 방지하는 것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그 캐리어군 중의 80 % 이상의 대상의 ATL 발증을 방지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는, 「치료한다」 및 그 파생어는, ATL 을 발증한 환자에 있어서, ATL 의 임상 증상의 관해 (寬解), 완화 및/또는 악화의 지연을 의미한다.
ATL 의 진단은, 대상의 임상 증상으로부터 의사에 의해 판단할 수 있다. 또, ATL 은, HTLV-1 이 프로바이러스로서 게놈에 삽입된 T 세포가 모노클로날 증식하여 발생하는 질병이며, ATL 의 진단은, 대상으로부터 얻어진 샘플 중의 ATL 세포의 DNA 에 HTLV-1 프로바이러스가 모노클로날 삽입되어 있는 것을 서던 블롯법 등에 의해 검출함으로써 진단할 수 있다.
대상이 HTLV-1 캐리어인 것을 진단하기 위한 검사법으로는, 입자 응집법 (PA 법), 화학 발광법, 바이러스 감염 세포를 항원으로 하는 간접 형광 항체법, 및 웨스턴 블롯에 의한 방법 등이 알려져 있으며, 적절히 이용할 수 있다. 웨스턴 블롯법에서는, 대상으로부터 얻어진 샘플에 있어서, 바이러스의 엔벨로프 단백질 (gp46) 에 대한 항체가 양성이고, 또한, 3 종류의 코어 단백질 (p19, p24 및 p53) 에 대한 항체 중 1 이상이 양성인 경우에, 당해 대상은 HTLV-1 캐리어라고 진단할 수 있다. 혹은, 보조적으로 HTLV-1 의 프로바이러스 게놈을 증폭하는 폴리머라아제 연쇄 반응 (PCR) 에 의해 대상이 캐리어인지 여부를 진단해도 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이하의 화합물 또는 의약상 허용 가능한 그 염을 ATL 의 예방 및/또는 치료를 위해서 사용할 수 있다.
(2R)-7-클로로-2-[trans-4-(디메틸아미노)시클로헥실]-N-[(4,6-디메틸-2-옥소-1,2-디하이드로피리딘-3-일)메틸]-2,4-디메틸-1,3-벤조디옥솔-5-카르복사미드
[화학식 1]
Figure 112018016605427-pct00001
또는, 의약상 허용 가능한 그 염.
(2R)-7-브로모-2-[trans-4-(디메틸아미노)시클로헥실]-N-[(4,6-디메틸-2-옥소-1,2-디하이드로피리딘-3-일)메틸]-2,4-디메틸-1,3-벤조디옥솔-5-카르복사미드
[화학식 2]
Figure 112018016605427-pct00002
또는, 의약상 허용 가능한 그 염.
본 발명의 화합물은, 원하는 바에 따라 의약상 허용 가능한 염으로 할 수 있다. 의약상 허용 가능한 염이란, 현저한 독성을 갖지 않고, 의약으로서 사용될 수 있는 염을 말한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염기성의 기를 갖기 때문에, 산과 반응시킴으로써 염으로 할 수 있다.
염기성의 기에 기초하는 염으로는, 예를 들어, 불화수소산염, 염산염, 브롬화수소산염, 요오드화수소산염과 같은 할로겐화수소산염, 질산염, 과염소산염, 황산염, 인산염 등의 무기산염;메탄술폰산염, 트리플루오로메탄술폰산염, 에탄술폰산염과 같은 C1-C6 알킬술폰산염, 벤젠술폰산염, p-톨루엔술폰산염과 같은 아릴술폰산염, 아세트산염, 말산염, 푸말산염, 숙신산염, 시트르산염, 아스코르브산염, 타르타르산염, 옥살산염, 아디프산염, 말레산염 등의 유기산염;및, 글리신염, 리신염, 아르기닌염, 오르니틴염, 글루타민산염, 아스파르트산염과 같은 아미노산염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의 의약상 허용 가능한 그 염은, 대기 중에 방치하거나, 재석출시킴으로써, 물 분자를 취입하여, 수화물이 되는 경우가 있으며, 그러한 수화물도 본 발명의 염에 포함된다.
본 발명의 화합물의 의약상 허용 가능한 그 염은, 용매 중에 방치되거나, 재석출시킴으로써, 어느 종 (種) 의 용매를 흡수하고, 용매화물이 되는 경우가 있으며, 그러한 용매화물도 본 발명의 염에 포함된다.
또, 본 발명은, 생체 내에 있어서의 생리 조건하에서 효소나 위산 등에 의한 반응에 의해 본 발명의 의약 조성물의 유효 성분인 실시예 1 의 화합물 또는 실시예 2 의 화합물로 변환되는 화합물, 즉, 효소적으로 산화, 환원, 또는 가수 분해 등을 일으켜 실시예 1 의 화합물 또는 실시예 2 의 화합물로 변환되는 화합물 또는 위산 등에 의해 가수 분해 등을 일으켜 실시예 1 의 화합물 또는 실시예 2 의 화합물로 변환되는 「의약적으로 허용되는 프로드러그 화합물」 도 본 발명에 포함한다.
본 발명의 화합물 또는 약학상 허용 가능한 그 염은, 공지된 방법, 예를 들어, 추출, 침전, 증류, 크로마토그래피, 석출에 의한 분별, 재석출 등에 의해 단리, 정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이와 같은 화합물을 구성하는 원자의 1 이상으로, 비천연 비율의 원자 동위체도 함유할 수 있다. 원자 동위체로는, 예를 들어, 중수소 (2H), 트리튬 (3H), 요오드-125 (125I) 또는 탄소-14 (14C) 등을 들 수 있다. 또, 상기 화합물은, 예를 들어, 트리튬 (3H), 요오드-125 (125I) 또는 탄소-14 (14C) 등의 방사성 동위체로 방사성 표지될 수 있다. 방사성 표지된 화합물은, 치료 또는 예방제, 연구 시약, 예를 들어, 어세이 시약, 및 진단제, 예를 들어, 인비보 화상 진단제로서 유용하다. 본 발명의 화합물의 모든 동위체 변이종은, 방사성인지 여부를 불문하고,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화합물 또는 의약상 허용 가능한 그 염은, 다른 항종양제와 병용하여 사용해도 된다. 항종양제로는, 예를 들어, 알킬화제, 대사 길항제, 항종양 항생 물질, 항종양성 식물 성분, BRM (생물학적 응답성 제어 물질), 호르몬, 비타민, 항종양성 항체, 분자 표적약, 및 그 밖의 항종양제 등을 들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알킬화제로는, 예를 들어, 나이트로젠머스터드, 나이트로젠머스터드N-옥사이드 혹은 클로람부틸 등의 알킬화제, 카르보콘 혹은 티오테파 등의 아지리딘계 알킬화제, 디브로모만니톨 혹은 디브로모둘시톨 등의 에폭시드계 알킬화제, 카루무스틴, 로무스틴, 세무스틴, 니무스틴하이드로클로라이드, 스트렙토조신, 클로로조토신 혹은 라니무스틴 등의 니트로소우레아계 알킬화제, 부술판, 토실산인프로술판 또는 다카르바진 등을 들 수 있다.
각종 대사 길항제로는, 예를 들어, 6-메르캅토푸린, 6-티오구아닌 혹은 티오이노신 등의 푸린 대사 길항제, 플루오로우라실, 테가푸르, 테가푸르·우라실, 카르모푸르, 독시플루리딘, 브록스우리딘, 시타라빈 혹은 에노시타빈 등의 피리미딘 대사 길항제, 메토트렉세이트 혹은 트리메트렉세이트 등의 엽산 대사 길항제 등을 들 수 있다.
항종양성 항생 물질로는, 예를 들어, 마이트마이신 C, 블레오마이신, 페플로마이신, 다우노루비신, 아크랄비신, 독소르비신, 피랄비신, THP-아드리아마이신, 4'-에피독소루비신 혹은 에피루비신 등의 안트라사이클린계 항생 물질 항종양제, 크로모마이신 A3 또는 악티노마이신 D 등을 들 수 있다.
항종양성 식물 성분으로는, 예를 들어, 빈데신, 빈크리스틴 혹은 빈브라스틴 등의 빈카알카로이드류, 파클리탁셀, 도세탁셀 등의 탁산류, 또는 에토포시드 혹은 테니포시드 등의 에피포도필로톡신류를 들 수 있다.
BRM 으로는, 예를 들어, 종양 괴사 인자, 또는 인도메타신 등을 들 수 있다.
호르몬으로는, 예를 들어, 히드로코르티손, 덱사메타손, 메틸프레드니솔론, 프레드니솔론, 프라스테론, 베타메타손, 트리암시놀론, 옥시메토론, 난드롤론, 메테놀론, 포스페스트롤, 에티닐에스트라디올, 클로르마디논 또는 메드록시프로게스테론 등을 들 수 있다.
비타민으로는, 예를 들어, 비타민 C, 또는 비타민 A 등을 들 수 있다.
항종양성 항체, 분자 표적약으로는, 트라스투주맙, 리톡시맙, 세툭시맙, 니모투주맙, 데노수맙, 베바시주맙, 인플릭시맙, 메실산이마티닙, 게피티닙, 엘로티닙, 수니티닙, 라파티닙, 또는 소라페닙 등을 들 수 있다.
그 밖의 항종양제로는, 예를 들어, 시스플라틴, 카르보플라틴, 옥살리플라틴, 타목시펜, 캠토테신, 이포스파미드, 시클로포스파미드, 멜팔란, L-아스파라기나아제, 아세그락톤, 시조피란, 피시바닐, 프로카르바진, 피포브로만, 네오카르티노스타틴, 하이드록시우레아, 우베니멕스, 또는 크레스틴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 또는 의약상 허용 가능한 그 염은, 여러 가지 형태로 투여할 수 있다. 그 투여 형태로는, 예를 들어, 정제, 캡슐제, 과립제, 유제 (乳劑), 환제, 산제, 시럽제 (액제) 등에 의한 경구 투여, 또는 주사제 (정맥내, 근육내, 피하 또는 복강내 투여), 점적제 (点滴劑), 좌제 (직장 투여) 등에 의한 비경구 투여를 들 수 있다. 이들 각종 제제는,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주약 (主藥) 에 부형제, 결합제, 붕괴제, 활택제, 교미교취제, 용해 보조제, 현탁제, 코팅제 등의 의약의 제제 기술 분야에 있어서 통상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보조제를 사용하여 제제화할 수 있다.
정제로서 사용하는 경우, 담체로서, 예를 들어, 유당, 백당, 염화나트륨, 글루코오스, 우레아, 전분, 탄산칼슘, 카올린, 결정 셀룰로오스, 규산 등의 부형제;물, 에탄올, 프로판올, 단(單)시럽, 글루코오스액, 전분액, 젤라틴 용액,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셸락, 메틸셀룰로오스, 인산칼륨, 폴리비닐피롤리돈 등의 결합제;건조 전분, 알긴산나트륨, 한천 분말, 라미나란 분말, 탄산수소나트륨, 탄산칼슘,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 라우릴황산나트륨, 스테아르산모노글리세리드, 전분, 유당 등의 붕괴제;백당, 스테아린, 카카오 버터, 수소 첨가유등의 붕괴 억제제;제 4 급 암모늄염류, 라우릴황산나트륨 등의 흡수 촉진제;글리세린, 전분 등의 보습제;전분, 유당, 카올린, 벤토나이트, 콜로이드상 규산 등의 흡착제;정제 탤크, 스테아르산염, 붕산 분말, 폴리에틸렌글리콜 등의 윤택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 필요에 따라 통상적인 제피 (劑皮) 를 실시한 정제, 예를 들어 당의정, 젤라틴 피포정, 장용피정, 필름 코팅정 혹은 이중정, 다층정으로 할 수 있다.
환제로서 사용하는 경우, 담체로서, 예를 들어, 글루코오스, 유당, 카카오 버터, 전분, 경화 식물유, 카올린, 탤크 등의 부형제;아라비아고무 분말, 트래거캔스 분말, 젤라틴, 에탄올 등의 결합제;라미나란, 한천 등의 붕괴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좌제로서 사용하는 경우, 담체로서 이 분야에서 종래 공지된 것을 널리 사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글리콜, 카카오 버터, 고급 알코올, 고급 알코올의 에스테르류, 젤라틴, 반합성 글리세리드 등을 들 수 있다.
주사제로서 사용하는 경우, 액제, 유제 또는 현탁제로서 사용할 수 있다. 이들 액제, 유제 또는 현탁제는, 멸균되고, 혈액과 등장 (等張) 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들 액제, 유제 또는 현탁제의 제조에 사용하는 용매는, 의료용의 희석제로서 사용할 수 있는 것이면 특별히 한정은 없고, 예를 들어, 물, 에탄올, 프로필렌글리콜, 에톡시화 이소스테아릴알코올, 폴리옥시화 이소스테아릴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류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이 경우, 등장성의 용액을 조제하는 데에 충분한 양의 식염, 글루코오스 또는 글리세린을 제제 중에 포함하고 있어도 되고, 또 통상적인 용해 보조제, 완충제, 무통화제 등을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또, 상기 제제에는, 필요에 따라, 착색제, 보존제, 향료, 풍미제, 감미제 등을 포함할 수도 있으며, 또한, 다른 의약품을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제제에 포함되는 유효 성분으로서의 화합물의 양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광범위하게 적절히 선택되는데, 통상적으로, 전체 조성물 중 0.5 내지 70 중량%, 바람직하게는 1 내지 30 중량% 포함한다.
그 사용량은 환자 (온혈 동물, 특히 인간) 의 증상, 연령 등에 따라 상이하지만, 경구 투여의 경우에는, 1 일당, 상한으로서 2000 ㎎ (바람직하게는 100 ㎎) 이며, 하한으로서 0.1 ㎎ (바람직하게는 1 ㎎,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 을 성인에 대하여, 1 일당 1 내지 6 회 증상에 따라 투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ATL 을 이환한 환자에 있어서 ATL 을 치료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환자에게 본 발명의 화합물 또는 의약상 허용 가능한 그 염을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또한, HTLV-1 캐리어인 대상에 있어서 ATL 의 발증을 예방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대상에게 본 발명의 화합물 또는 의약상 허용 가능한 그 염을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ATL 을 이환한 환자에 있어서 ATL 을 치료하는 것에 사용하기 위한 의약 조성물로서, 본 발명의 화합물 또는 의약상 허용 가능한 그 염을 포함하는, 의약 조성물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또한, HTLV-1 캐리어인 대상에 있어서 ATL 의 발증을 예방하는 것에 사용하기 위한 의약 조성물로서, 본 발명의 화합물 또는 의약상 허용 가능한 그 염을 포함하는, 의약 조성물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의약 조성물은, 본 발명의 화합물 또는 의약상 허용 가능한 그 염에 더하여, 의약상 허용 가능한 부형제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ATL 을 이환한 환자에 있어서 ATL 을 치료하는 것에 사용하기 위한 본 발명의 화합물 또는 의약적으로 허용 가능한 그 염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또한, HTLV-1 캐리어인 대상에 있어서 ATL 의 발증을 예방하는 것에 사용하기 위한 본 발명의 화합물 또는 의약적으로 허용 가능한 그 염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ATL 을 이환한 환자에 있어서 ATL 을 치료하는 것에 사용하기 위한 의약 조성물의 제조에 있어서의, 본 발명의 화합물 또는 의약상 허용 가능한 그 염의 사용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또한, HTLV-1 캐리어인 대상에 있어서 ATL 의 발증을 예방하는 것에 사용하기 위한 의약 조성물의 제조에 있어서의, 본 발명의 화합물 또는 의약상 허용 가능한 그 염의 사용이 제공된다.
후술하는 시험예 1 ∼ 3 에 의하면, 본 발명의 화합물 또는 의약적으로 허용 가능한 그 염은, 성인 T 세포 백혈병 림프종의 증식을 저하시킬 수 있고, 성인 T 세포 백혈병 림프종의 생존률을 저하시킬 수 있고, 및/또는 성인 T 세포 백혈병 림프종을 사멸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성인 T 세포 백혈병 림프종의 증식을 저하시키는 것, 성인 T 세포 백혈병 림프종의 생존률을 저하시키는 것, 및/또는 성인 T 세포 백혈병 림프종을 사멸시키는 것에 사용하기 위한 조성물 또는 의약 조성물로서, 본 발명의 화합물 또는 의약적으로 허용 가능한 그 염을 포함하는 조성물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성인 T 세포 백혈병 림프종의 증식을 저하시키는 것, 성인 T 세포 백혈병 림프종의 생존률을 저하시키는 것, 및/또는 성인 T 세포 백혈병 림프종을 사멸시키는 것에 사용하기 위한 조성물 또는 의약 조성물의 제조에 있어서의, 본 발명의 화합물 또는 의약적으로 허용 가능한 그 염의 사용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그 필요가 있는 대상에 있어서, 성인 T 세포 백혈병 림프종의 증식을 저하시키는, 성인 T 세포 백혈병 림프종의 생존률을 저하시키는, 및/또는 성인 T 세포 백혈병 림프종을 사멸시키는 방법으로서, 그 대상에게 본 발명의 화합물 또는 의약적으로 허용 가능한 그 염을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실시예
참고예 1
메틸 5-클로로-3,4-디하이드록시-2-메틸벤조에이트
[화학식 3]
Figure 112018016605427-pct00003
메틸 3,4-디하이드록시-2-메틸벤조에이트 (12.1 g, 66.2 m㏖) 를 아세트산에틸 (265 ㎖) 에 용해하고, N-클로로숙신이미드 (13.3 g, 99.2 m㏖) 를 첨가하여 실온에서 1 시간 교반한 후, p-아니솔 (7.15 g, 66.2 m㏖) 을 첨가하고, 추가로 15 분 교반하였다. 반응액을, 물, 포화 식염수로 세정하고,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 후, 감압하 농축하였다. 얻어진 잔류물을 디클로로메탄으로 세정하고, 표기 화합물 (8.03 g, 37.1 m㏖, 56 % 수율 (Yield)) 을 얻었다.
Figure 112018016605427-pct00004
참고예 2
tert-부틸 N-(trans-4-에티닐시클로헥실)카르바메이트
[화학식 4]
Figure 112018016605427-pct00005
tert-부틸 N-(trans-4-포르밀시클로헥실)카르바메이트 (0.856 g, 3.77 m㏖) 의 메탄올 용액 (30 ㎖) 에, 탄산칼륨 (1.04 g, 7.54 m㏖), 1-디아조-1-디메톡시포스포릴-프로판-2-온 (0.565 ㎖, 3.77 m㏖) 을 첨가하고, 실온에서 16 시간 교반하였다. 반응액에 물을 첨가하고 아세트산에틸로 추출하고, 유기층을 포화 식염수로 세정한 후,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켰다. 감압하 용매를 증류 제거하고, 얻어진 잔류물을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 (헥산:아세트산에틸 = 100:0 → 85:15) 로 정제하고, 표기 화합물 (0.678 g, 3.04 m㏖, 81 % 수율) 을 얻었다.
Figure 112018016605427-pct00006
참고예 3
메틸 5-브로모-3,4-디하이드록시-2-메틸벤조에이트
[화학식 5]
Figure 112018016605427-pct00007
메틸 3,4-디하이드록시-2-메틸벤조에이트 (43.1 g, 237 m㏖) 를 아세트산 (250 ㎖) 및 디클로로메탄 (250 ㎖) 에 용해하고, 빙랭하, 브롬 (37.8 g, 237 m㏖) 의 디클로로메탄 용액 (20 ㎖) 을 15 분 걸쳐 적하하고, 동온도에서 4 시간 교반하였다. 또한 브롬 (3.78 g, 23.7 m㏖) 을 추가하고, 빙랭에서 1.5 시간 교반한 후, 반응액에 빙수를 첨가하여 아세트산에틸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아황산나트륨 수용액, 포화 식염수로 세정한 후, 감압하에서 농축하였다. 얻어진 잔류물을 디클로로메탄으로 세정하고, 표기 화합물 (50.4 g, 193 m㏖, 82 % 수율) 을 얻었다.
Figure 112018016605427-pct00008
실시예 1
(2R)-7-클로로-2-[trans-4-(디메틸아미노)시클로헥실]-N-[(4,6-디메틸-2-옥소-1,2-디하이드로피리딘-3-일)메틸]-2,4-디메틸-1,3-벤조디옥솔-5-카르복사미드
[화학식 6]
Figure 112018016605427-pct00009
(공정 1-1)
메틸 2-[trans-4-(tert-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시클로헥실]-7-클로로-2,4-디메틸-1,3-벤조디옥솔-5-카르복실레이트
참고예 1 에서 합성한 메틸 5-클로로-3,4-디하이드록시-2-메틸벤조에이트 (1.00 g, 4.62 m㏖) 및 참고예 2 에서 합성한 tert-부틸 N-(trans-4-에티닐시클로헥실)카르바메이트 (1.55 g, 6.93 m㏖) 의 톨루엔 용액 (50 ㎖) 에, 도데카카르보닐3루테늄 (0) (0.0738 g, 0.115 m㏖), 5-(디-tert-부틸포스피노)-1',3',5'-트리페닐-1'H-[1,4']비피라졸 (0.175 g, 0.346 m㏖) 을 첨가하고, 질소 분위기하 120 ℃ 에서 1 시간 교반하였다. 반응 종료 후, 감압하에서 용매를 증류 제거하고, 얻어진 잔류물을 실리카 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 (헥산:아세트산에틸 = 100:0 → 80:20) 로 정제하고, 표기 화합물 (1.00 g, 2.28 m㏖, 49 % 수율) 을 얻었다.
Figure 112018016605427-pct00010
(공정 1-2)
메틸 (2R)-2-[trans-4-(tert-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시클로헥실]-7-클로로-2,4-디메틸-1,3-벤조디옥솔-5-카르복실레이트
공정 1-1 에서 합성한 메틸 2-[trans-4-(tert-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시클로헥실]-7-클로로-2,4-디메틸-1,3-벤조디옥솔-5-카르복실레이트를 이하의 조건으로 각 에난티오머를 분리하였다.
칼럼:다이 셀 CHIRALCEL OZ-H 4.6 mmID x 250 mmL
용출 용매:n-헥산:에탄올 = 98:2
유속:1.00 ㎖/분
온도:25 ℃
제 1 피크:10.7 분 ([α]D 20 = ―18.3 (C = 0.92, 클로로포름))
제 2 피크:11.7 분 ([α]D 20 = +18.3 (C = 0.96, 클로로포름))
이하, 분취용 키랄 칼럼을 사용하여 분리된 제 2 피크를 사용하여 실시하였다.
(공정 1-3)
(2R)-2-[trans-4-(tert-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시클로헥실]-7-클로로-2,4-디메틸-1,3-벤조디옥솔-5-카르복실산
공정 1-2 에서 분리한 메틸 (2R)-2-[trans-4-(tert-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시클로헥실]-7-클로로-2,4-디메틸-1,3-벤조디옥솔-5-카르복실레이트 (제 2 피크, 0.234 g, 0.532 m㏖) 에 테트라하이드로푸란 (3 ㎖), 메탄올 (1.5 ㎖) 을 첨가하고, 추가로 1 M 수산화나트륨 수용액 (1.33 ㎖, 1.33 m㏖) 을 첨가하여 실온에서 16 시간 교반하였다. 반응 종료 후, 1 M 염산 (1.33 ㎖, 1.33 m㏖) 을 첨가하여 중화하고, 추가로 디클로로메탄을 첨가하고 추출하였다. 얻어진 유기층을 감압하에서 농축하고, 표기 화합물 (0.227 g, 0.532 m㏖, 100 % 수율) 을 얻었다.
(공정 1-4)
tert-부틸 N-[trans-4-[(2R)-7-클로로-5-[(4,6-디메틸-2-옥소-1,2-디하이드로피리딘-3-일)메틸카르바모일]-2,4-디메틸-1,3-벤조디옥솔-2-일]시클로헥실]카르바메이트
공정 1-3 에서 합성한 (2R)-2-[trans-4-(tert-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시클로헥실]-7-클로로-2,4-디메틸-1,3-벤조디옥솔-5-카르복실산 (0.227 g, 0.532 m㏖) 의 디메틸포름아미드 용액 (5 ㎖) 에, 3-(아미노메틸)-4,6-디메틸-1,2-디하이드로피리딘-2-온 염산염 (0.116 g, 0.586 m㏖), 1-에틸-3-(3-디메틸아미노프로필)카르보디이미드 염산염 (0.122 g, 0.639 m㏖), 1-하이드록시-7-아자벤조트리아졸 (0.0869 g, 0.639 m㏖) 및, N,N-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 (0.223 ㎖, 1.28 m㏖) 을 첨가하여, 질소 분위기하 실온에서 1.5 시간 교반하였다. 반응 종료 후, 반응액에 포화 탄산수소나트륨 수용액을 첨가하고, 또한 아세트산에틸을 사용하여 추출하였다. 얻어진 유기층을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키고, 감압하 용매를 증류 제거하였다. 얻어진 잔류물을 클로로포름에 용해한 후, 실리카 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 (클로로포름:메탄올 = 100:0 → 95:5) 로 정제하고, 표기 화합물 (0.298 g, 0.532 m㏖, 100 % 수율) 을 얻었다.
Figure 112018016605427-pct00011
(공정 1-5)
(2R)-2-(trans-4-아미노시클로헥실)-7-클로로-N-[(4,6-디메틸-2-옥소-1,2-디하이드로피리딘-3-일)메틸]-2,4-디메틸-1,3-벤조디옥솔-5-카르복사미드
공정 1-4 에서 합성한 tert-부틸 N-[trans-4-[(2R)-7-클로로-5-[(4,6-디메틸-2-옥소-1,2-디하이드로피리딘-3-일)메틸카르바모일]-2,4-디메틸-1,3-벤조디옥솔-2-일]시클로헥실]카르바메이트 (0.298 g, 0.532 m㏖) 를 메탄올 (1.3 ㎖) 에 용해하고, 4 M 염산-1,4-디옥산 용액 (1.33 ㎖, 5.32 m㏖) 을 첨가하고 1 시간 실온에서 교반하였다. 반응 종료 후, 포화 중조수용액을 첨가하여 중화하고, 20 % 메탄올-클로로포름을 사용하여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포화 식염수로 세정, 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킨 후, 감압하에서 농축하고, 표기 화합물 (0.241 g, 0.524 m㏖, 98 % 수율) 을 얻었다.
Figure 112018016605427-pct00012
(공정 1-6)
(2R)-7-클로로-2-[trans-4-(디메틸아미노)시클로헥실]-N-[(4,6-디메틸-2-옥소-1,2-디하이드로피리딘-3-일)메틸]-2,4-디메틸-1,3-벤조디옥솔-5-카르복사미드
공정 1-5 에서 합성한 (2R)-2-(trans-4-아미노시클로헥실)-7-클로로-N-[(4,6-디메틸-2-옥소-1,2-디하이드로피리딘-3-일)메틸]-2,4-디메틸-1,3-벤조디옥솔-5-카르복사미드 (17.0 g, 36.9 m㏖) 를 메탄올 (200 ㎖) 에 용해하고, 37 % 포름알데히드 수용액 (6.29 g, 77.5 m㏖) 을 첨가하고, 실온에서 10 분간 교반한 후에 수소화트리아세톡시붕소나트륨 (34.2 g, 129 m㏖) 을 첨가하고 실온에서 16 시간 교반하였다. 반응 종료 후, 1 M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으로 중화하고, 20 % 메탄올-클로로포름을 사용하여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포화 식염수로 세정, 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킨 후, 감압하에서 농축하고, 얻어진 잔류물을 염기성 실리카 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 (아세트산에틸:메탄올 = 100:0 → 96:4) 로 정제하고, 표기 화합물 (15.3 g, 31.4 m㏖, 85 % 수율) 을 얻었다.
Figure 112018016605427-pct00013
비선광도 [α]D 20 = +1.0 (C = 1.0, 클로로포름)
실시예 2
(2R)-7-브로모-2-[trans-4-(디메틸아미노)시클로헥실]-N-[(4,6-디메틸-2-옥소-1,2-디하이드로피리딘-3-일)메틸]-2,4-디메틸-1,3-벤조디옥솔-5-카르복사미드
[화학식 7]
Figure 112018016605427-pct00014
(공정 2-1)
메틸 7-브로모-2-[trans-4-(tert-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시클로헥실]-2,4-디메틸-1,3-벤조디옥솔-5-카르복실레이트
참고예 3 에서 합성한 메틸 5-브로모-3,4-디하이드록시-2-메틸벤조에이트 (23.5 g, 90.0 m㏖) 및, 참고예 2 에서 합성한 tert-부틸 N-(trans-4-에티닐시클로헥실)카르바메이트 (22.1 g, 99.0 m㏖), 도데카카르보닐3루테늄 (0) (1.44 g, 2.25 m㏖) 및, 5-(디-tert-부틸포스피노)-1',3',5'-트리페닐-1'H-[1,4']비피라졸 (3.42 g, 6.75 m㏖) 을 사용하여 공정 1-1 과 동일한 반응을 실시하고, 표기 화합물 (38.9 g, 80.3 m㏖, 89 % 수율) 을 얻었다.
Figure 112018016605427-pct00015
(공정 2-2)
(2R)-메틸 7-브로모-2-[trans-4-(tert-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시클로헥실]-2,4-디메틸-1,3-벤조디옥솔-5-카르복실레이트
공정 2-1 에서 합성한 메틸 7-브로모-2-[trans-4-(tert-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시클로헥실]-2,4-디메틸-1,3-벤조디옥솔-5-카르복실레이트를 이하의 조건으로 각 에난티오머를 분리하였다.
칼럼:다이 셀 CHIRALCEL OZ-H 4.6 mmID x 250 mmL
용출 용매:n-헥산:에탄올 = 98:2
유속:1.00 ㎖/분
온도:25 ℃
제 1 피크:11.2 분 (비선광도 [α]D 20 = ―6.5 (C = 1.0, 클로로포름))
제 2 피크:12.3 분 (비선광도 [α]D 20 = +6.3 (C = 1.0, 클로로포름))
이하, 분취용 키랄 칼럼을 사용하여 분리된 제 2 피크를 사용하여 실시되었다.
(공정 2-3)
(2R)-7-브로모-2-[trans-4-(tert-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시클로헥실]-2,4-디메틸-1,3-벤조디옥솔-5-카르복실산
공정 2-2 에서 분리한 (2R)-메틸 7-브로모-2-[trans-4-(tert-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시클로헥실]-2,4-디메틸-1,3-벤조디옥솔-5-카르복실레이트 (제 2 피크, 0.956 g, 1.97 m㏖), 테트라하이드로푸란 (6 ㎖), 메탄올 (3 ㎖) 및, 1 M 수산화나트륨 수용액 (2.96 ㎖, 2.96 m㏖) 을 사용하여 공정 1-3 과 동일한 반응을 실시하고, 표기 화합물 (0.903 g, 1.92 m㏖, 97 % 수율) 을 얻었다.
(공정 2-4)
tert-부틸 N-[trans-4-[(2R)-7-브로모-5-[(4,6-디메틸-2-옥소-1,2-디하이드로피리딘-3-일)메틸카르바모일]-2,4-디메틸-1,3-벤조디옥솔-2-일]시클로헥실]카르바메이트
공정 2-3 에서 합성한 (2R)-7-브로모-2-[trans-4-(tert-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시클로헥실]-2,4-디메틸-1,3-벤조디옥솔-5-카르복실산 (0.903 g, 1.92 m㏖), 디메틸포름아미드 (20 ㎖) 에, 3-(아미노메틸)-4,6-디메틸-1,2-디하이드로피리딘-2-온 염산염 (0.399 g, 2.11 m㏖), 1-에틸-3-(3-디메틸아미노프로필)카르보디이미드 염산염 (0.442 g, 2.30 m㏖), 1-하이드록시-7-아자벤조트리아졸 (0.314 g, 2.30 m㏖) 및, N,N-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 (0.803 ㎖, 4.61 m㏖) 을 사용하여 공정 1-4 와 동일한 반응을 실시하고, 표기 화합물 (0.801 g, 1.32 m㏖, 69 % 수율) 을 얻었다.
Figure 112018016605427-pct00016
(공정 2-5)
(2R)-2-(trans-4-아미노시클로헥실)-7-브로모-N-[(4,6-디메틸-2-옥소-1,2-디하이드로피리딘-3-일)메틸]-2,4-디메틸-1,3-벤조디옥솔-5-카르복사미드
공정 2-4 에서 합성한 tert-부틸 N-[trans-4-[(2R)-7-브로모-5-[(4,6-디메틸-2-옥소-1,2-디하이드로피리딘-3-일)메틸카르바모일]-2,4-디메틸-1,3-벤조디옥솔-2-일]시클로헥실]카르바메이트 (0.801 g, 1.32 m㏖), 메탄올 (1.5 ㎖), 및, 4 M 염산-1,4-디옥산 용액 (1.67 ㎖, 6.62 m㏖) 을 사용하여 공정 1-5 와 동일한 반응을 실시하고, 표기 화합물 (0.668 g, 1.32 m㏖, 100 % 수율) 을 얻었다.
Figure 112018016605427-pct00017
(공정 2-6)
(2R)-7-브로모-2-[trans-4-(디메틸아미노)시클로헥실]-N-[(4,6-디메틸-2-옥소-1,2-디하이드로피리딘-3-일)메틸]-2,4-디메틸-1,3-벤조디옥솔-5-카르복사미드
공정 2-5 에서 합성한 (2R)-2-(trans-4-아미노시클로헥실)-7-브로모-N-[(4,6-디메틸-2-옥소-1,2-디하이드로피리딘-3-일)메틸]-2,4-디메틸-1,3-벤조디옥솔-5-카르복사미드 (21.1 g, 41.7 m㏖), 메탄올 (250 ㎖), 37 % 포름알데히드 수용액 (7.12 g, 87.8 m㏖), 및, 수소화트리아세톡시붕소나트륨 (38.8 g, 146 m㏖) 을 사용하여 공정 1-6 과 동일한 반응을 실시하고, 표기 화합물 (15.1 g, 28.4 m㏖, 68 % 수율) 을 얻었다.
Figure 112018016605427-pct00018
비선광도 [α]D 20 = ―7.2 (C = 1.0, 클로로포름)
실시예 3
7-브로모-2-[trans-4-(디메틸아미노)시클로헥실]-N-[(4,6-디메틸-2-옥소-1,2-디하이드로피리딘-3-일)메틸]-2,4-디메틸-1,3-벤조디옥솔-5-카르복사미드
[화학식 8]
Figure 112018016605427-pct00019
(공정 3-1)
7-브로모-2-[trans-4-(tert-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시클로헥실]-2,4-디메틸-1,3-벤조디옥솔-5-카르복실산
공정 2-1 에서 합성한 메틸 7-브로모-2-[trans-4-(tert-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시클로헥실]-2,4-디메틸-1,3-벤조디옥솔-5-카르복실레이트 (23.5 g, 48.5 m㏖), 테트라하이드로푸란 (120 ㎖), 메탄올 (60 ㎖) 및, 1 M 수산화나트륨 수용액 (72.8 ㎖, 72.8 m㏖) 을 사용하여 공정 1-3 과 동일한 반응을 실시하고, 표기 화합물 (22.8 g, 48.5 m㏖, 100 % 수율) 을 얻었다.
Figure 112018016605427-pct00020
(공정 3-2)
tert-부틸 N-[trans-4-[(7-브로모-5-[(4,6-디메틸-2-옥소-1H-피리딘-3-일)메틸카르바모일]-2,4-디메틸-1,3-벤조디옥솔-2-일]시클로헥실]카르바메이트
공정 3-2 에서 합성한 7-브로모-2-[trans-4-(tert-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시클로헥실]-2,4-디메틸-1,3-벤조디옥솔-5-카르복실산 (22.8 g, 48.5 m㏖), 디메틸포름아미드 (300 ㎖), 3-(아미노메틸)-4,6-디메틸-1,2-디하이드로피리딘-2-온 염산염 (10.1 g, 53.4 m㏖), 1-에틸-3-(3-디메틸아미노프로필)카르보디이미드 염산염 (11.2 g, 58.2 m㏖), 1-하이드록시-7-아자벤조트리아졸 (7.92 g, 58.2 m㏖) 및, N,N-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 (20.3 ㎖, 146 m㏖) 을 사용하여 공정 1-4 와 동일한 반응을 실시하고, 표기 화합물 (26.8 g, 44.3 m㏖, 91 % 수율) 을 얻었다.
Figure 112018016605427-pct00021
(공정 3-3)
(2R)-2-(trans-4-아미노시클로헥실)-7-브로모-N-[(4,6-디메틸-2-옥소-1,2-디하이드로피리딘-3-일)메틸]-2,4-디메틸-1,3-벤조디옥솔-5-카르복사미드
공정 3-2 에서 합성한 tert-부틸 N-[trans-4-[7-브로모-5-[(4,6-디메틸-2-옥소-1,2-디하이드로피리딘-3-일)메틸카르바모일]-2,4-디메틸-1,3-벤조디옥솔-2-일]시클로헥실]카르바메이트 (6.04 g, 9.99 m㏖), 메탄올 (10 ㎖), 및, 4 M 염산-1,4-디옥산 용액 (12.5 ㎖, 50.0 m㏖) 을 사용하여 공정 1-5 와 동일한 반응을 실시하고, 표기 화합물 (4.20 g, 8.30 m㏖, 83 % 수율) 을 얻었다.
Figure 112018016605427-pct00022
(공정 3-4)
7-브로모-2-[trans-4-(디메틸아미노)시클로헥실]-N-[(4,6-디메틸-2-옥소-1,2-디하이드로피리딘-3-일)메틸]-2,4-디메틸-1,3-벤조디옥솔-5-카르복사미드
공정 3-3 에서 합성한 2-(trans-4-아미노시클로헥실)-7-브로모-N-[(4,6-디메틸-2-옥소-1,2-디하이드로피리딘-3-일)메틸]-2,4-디메틸-1,3-벤조디옥솔-5-카르복사미드 (21.0 g, 41.6 m㏖), 디클로로메탄 (500 ㎖), 37 % 포름알데히드 수용액 (8.45 g, 104 m㏖), 및, 수소화트리아세톡시붕소나트륨 (55.2 g, 208 m㏖) 을 사용하여 공정 1-6 과 동일한 반응을 실시하고, 표기 화합물 (20.0 g, 37.6 m㏖, 90 % 수율) 을 얻었다.
Figure 112018016605427-pct00023
실시예 4
(2R)-7-클로로-2-[trans-4-(디메틸아미노)시클로헥실]-N-[(4,6-디메틸-2-옥소-1,2-디하이드로피리딘-3-일)메틸]-2,4-디메틸-1,3-벤조디옥솔-5-카르복사미드 p-톨루엔술폰산염
실시예 1 에서 합성한 (2R)-7-클로로-2-[trans-4-(디메틸아미노)시클로헥실]-N-[(4,6-디메틸-2-옥소-1,2-디하이드로피리딘-3-일)메틸]-2,4-디메틸-1,3-벤조디옥솔-5-카르복사미드 (0.202 g, 0.414 m㏖) 에 아세톤 (7.97 ㎖), 4.00 ㏖/ℓ 의 p-톨루엔술폰산 수용액 (0.103 ㎖, 0.414 m㏖) 을 실온에서 첨가하였다. 그 후, 40 ℃ 에서 약 20 시간 교반하고, 추가로, 실온에서 약 0.5 시간 교반한 후, 석출한 고체를 여과 채취하였다. 그 후, 실온에서 하룻밤 건조시키고, 표기 화합물 (0.256 g, 회수율 99 %) 을 얻었다.
Figure 112018016605427-pct00024
시험예 1
TL-Om1 에 대한 증식 억제 효과
ATL 환자 종양 세포 유래 세포주 TL-Om1 은 지방 독립 행정법인 미야기현립 병원 기구 이사장, 스가무라 카즈오 박사가 공여해 주셨다. TL-Om1 세포를 배지 (10 % 우태아 혈청 (FBS, Invitrogen 사) 을 포함하는 RPMI1640 배지 (Invitrogen 사)) 에 현탁하고, 12 웰 플레이트에 1 × 105 세포/1 ㎖/웰의 밀도로 파종하였다. 그 직후에, DMSO 로 제조한 실시예 1 또는 실시예 3 의 화합물의 희석 계열을 첨가하고, 37 ℃, 5 % CO2 조건하에서 배양하였다. 세포는 2 ∼ 3일마다 회수하고, 배양액 300 ㎕ 를 새로운 배지를 1 ㎖ 포함하는 12 웰 플레이트로 옮김으로써 계대하였다. 또한 실시예 1 또는 실시예 3 의 화합물의 희석 계열을 재첨가하고, 계속적으로 배양을 실시하였다. 배양 개시 후 3, 5, 7, 10, 12, 14 일의 단계에서 배양액으로부터 세포를 회수하고, 세포 농도를 구함으로써 실시예 1 또는 실시예 3 의 화합물의 세포 증식에 주는 영향을 검토하였다. 각 날짜에 있어서의 세포수는 WST-8 (Dojindo 사) 에 의해 구하였다. 배양 후의 세포를 96 웰 플레이트에 100 ㎕ 씩 파종하고, WST-8 을 종농도 (終濃度) 10 % 로 각 웰에 첨가하고, 이어서 플레이트를 37 ℃ 에서 2 시간 인큐베이트하였다. 샘플의 450 ㎚ 의 흡광도를 플레이트 리더 (iMark Microplate Reader, Biorad 사) 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세포수와 흡광도의 검량선을 구하고, 실제 시험에 있어서의 흡광도로부터 세포수를 산출하였다. 계대마다 세포수를 산출하고, DMSO 처리군의 세포 증식을 100 % 로 했을 때의 각 화합물 처리군의 세포 증식률을 계산하였다. 결과를 도 1 및 2 에 나타낸다.
시험예 2
ATL 환자 유래 검체에 대한 증식 억제 효과
ATL 환자 유래 말초혈은, HTLV-1 감염자 코호트 공동 연구반 (Joint Study on Predisposing Factors of ATL Development, JSPFAD) 에 등록되어 있는 시설에 있어서 WHO 분류 및 시모야마 분류 (Yamaguchi K, Watanabe T. (2002)) 에 의해 ATL 이라고 진단된 검체를 사용하였다. 26 예 (실시예 1 의 화합물, 19 예;실시예 3 의 화합물, 7 예) 의 ATL 환자의 전혈로부터 피콜 (GE 헬스케어사) 을 사용하여 종양 세포를 포함하는 말초혈 단핵구 (Peripheral Blood Mononuclear Cell, PBMC) 를 원심 분리에 의해 취득하였다. 이 PBMC 를 배지 (10 % 환자 혈장을 포함하는 RPMI1640 배지) 에 현탁하고, 48 웰 플레이트에 3 × 105 세포/300 ㎕ /웰의 농도 (ATL No. 1-5), 2 × 105 세포/300 ㎕ /웰의 밀도 (ATL No. 6-26) 로 각각 파종하였다. 또한 IL-2R (CD25) 를 발현하는 ATL 세포의 장기 배양을 유지하기 위해서, 종농도 10 ng/㎖ 의 IL-2 (R & D systems 사) 를 첨가하였다. 세포를 파종 후, DMSO 로 제조한 화합물의 희석 계열을 첨가하고, 37 ℃, 5 % CO2 조건하에서 7 일간 배양하였다. 배양 후의 세포를 96 웰 플레이트에 100 ㎕ 씩 파종하고, WST-8 을 종농도 10 % 로 각 웰에 첨가하고, 이어서 플레이트를 37 ℃ 에서 4 시간 인큐베이트한 후, 용액 중의 세포 농도의 지표로서 450 ㎚ 의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결과를 도 3 에 나타낸다. 이 결과, 본 발명의 화합물은, ATL 의 처치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이 분명해졌다.
시험예 3
Carrier 유래 검체에 대한 PVL 감소 효과
JSPFAD 에 등록되어 있는 시설에 있어서 항체 검사에 의해 HTLV-1 캐리어라고 진단된 9 예의 전혈로부터 피콜을 사용하여 HTLV-1 감염 세포를 포함하는 PBMC 를 원심 분리에 의해 취득하였다. 이 PBMC 를 배지 (10 % FBS 를 포함하는 RPMI1640 배지) 에 현탁하고, 48 웰 플레이트에 5 × 105 세포/250 ㎕ /웰의 밀도로 파종하였다. 그 후, DMSO 혹은 종농도 100 nM 의 실시예 1 또는 실시예 3 의 화합물을 첨가하고, 37 ℃, 5 % CO2 조건하에서 10 ∼ 12 일간 배양하였다. 배양 후의 세포를 회수하고, QIAamp DNA Blood Mini Kit (QIAGEN 사) 를 사용하여 게놈 DNA 를 추출하였다. 배양 후의 세포 집단에 있어서의 감염 세포의 비율을, 리얼타임 PCR 시스템 (7500 Real Time PCR System, Applied Biosystems 사) 을 사용하여 HTLV-1 의 카피수를 측정하였다. 내부 컨트롤로서 RNaseP 유전자 수를 동시에 측정하고, 감염 세포의 비율 (PVL)로서 산출하였다. 리얼타임 PCR 에 사용한 프라이머와 프로브의 배열은 이하와 같음.
[화학식 9]
Figure 112018016605427-pct00025
RNaseP 유전자의 프라이머와 프로브는 Applied Biosystems 사부터 구입하였다.
DMSO 처리군의 PVL 을 100 % 로 했을 때의 상대적인 PVL 변화를 계산하고, 도 4 에 나타내었다. 화합물 처리군은 DMSO 처리군에 비해 PVL 이 현저하게 감소하였다. 이 결과, 본 발명의 화합물은, HTLV-1 캐리어에 있어서 ATL 발증률을 저하시키는 것이 나타났다.
시험예 1 의 결과, EZH1/2 저해 화합물은 TL-Om1 세포에 대하여 용량 의존적이고 또한 유의하게 세포 증식을 저하시키는 것이 나타났다. 또 동 (同) 화합물은 ATL 환자 유래 종양 세포의 세포 생존을 유의하게 저하시켰다. 또한, 캐리어 말초혈 중에 존재하는 HTLV-1 감염 세포의 비율의 현저한 저하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것은 HTLV-1 감염 세포에 대하여 세포사를 유도하고 있는 것을 시사하고 있다.
SEQUENCE LISTING <110> Daiichi Sankyo Company, Limited The University of Tokyo <120> Agent for treating and/or preventing Adult T cell leukemia/lymphoma <130> PD20-9015WO <150> JP 2015-151170 <151> 2015-07-30 <160> 3 <170> PatentIn version 3.5 <210> 1 <211> 21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forward primer pX2-S <400> 1 cggataccca gtctacgtgt t 21 <210> 2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reverse primer pX2-AS <400> 2 cagtagggcg tgacgatgta 20 <210> 3 <211> 23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FAM-labeled pX2 probe <400> 3 ctgtgtacaa ggcgactggt gcc 23

Claims (22)

  1. 7-클로로-2-[trans-4-(디메틸아미노)시클로헥실]-N-[(4,6-디메틸-2-옥소-1,2-디하이드로피리딘-3-일)메틸]-2,4-디메틸-1,3-벤조디옥솔-5-카르복사미드 혹은 의약상 허용 가능한 그 염, 또는 7-브로모-2-[trans-4-(디메틸아미노)시클로헥실]-N-[(4,6-디메틸-2-옥소-1,2-디하이드로피리딘-3-일)메틸]-2,4-디메틸-1,3-벤조디옥솔-5-카르복사미드 혹은 의약상 허용 가능한 그 염을 유효 성분으로 하는 성인 T 세포 백혈병 림프종의 치료 및/또는 예방제.
  2. (2R)-7-클로로-2-[trans-4-(디메틸아미노)시클로헥실]-N-[(4,6-디메틸-2-옥소-1,2-디하이드로피리딘-3-일)메틸]-2,4-디메틸-1,3-벤조디옥솔-5-카르복사미드 혹은 의약상 허용 가능한 그 염, 또는 (2R)-7-브로모-2-[trans-4-(디메틸아미노)시클로헥실]-N-[(4,6-디메틸-2-옥소-1,2-디하이드로피리딘-3-일)메틸]-2,4-디메틸-1,3-벤조디옥솔-5-카르복사미드 혹은 의약상 허용 가능한 그 염을 유효 성분으로 하는 성인 T 세포 백혈병 림프종의 치료 및/또는 예방제.
  3. (2R)-7-클로로-2-[trans-4-(디메틸아미노)시클로헥실]-N-[(4,6-디메틸-2-옥소-1,2-디하이드로피리딘-3-일)메틸]-2,4-디메틸-1,3-벤조디옥솔-5-카르복사미드 또는 의약상 허용 가능한 그 염을 유효 성분으로 하는 성인 T 세포 백혈병 림프종의 치료제.
  4. (2R)-7-클로로-2-[trans-4-(디메틸아미노)시클로헥실]-N-[(4,6-디메틸-2-옥소-1,2-디하이드로피리딘-3-일)메틸]-2,4-디메틸-1,3-벤조디옥솔-5-카르복사미드 또는 의약상 허용 가능한 그 염을 유효 성분으로 하는 성인 T 세포 백혈병 림프종의 예방제.
  5. (2R)-7-클로로-2-[trans-4-(디메틸아미노)시클로헥실]-N-[(4,6-디메틸-2-옥소-1,2-디하이드로피리딘-3-일)메틸]-2,4-디메틸-1,3-벤조디옥솔-5-카르복사미드 p-톨루엔술폰산염을 유효 성분으로 하는 성인 T 세포 백혈병 림프종의 치료제.
  6. (2R)-7-클로로-2-[trans-4-(디메틸아미노)시클로헥실]-N-[(4,6-디메틸-2-옥소-1,2-디하이드로피리딘-3-일)메틸]-2,4-디메틸-1,3-벤조디옥솔-5-카르복사미드 p-톨루엔술폰산염을 유효 성분으로 하는 성인 T 세포 백혈병 림프종의 예방제.
  7. (2R)-7-브로모-2-[trans-4-(디메틸아미노)시클로헥실]-N-[(4,6-디메틸-2-옥소-1,2-디하이드로피리딘-3-일)메틸]-2,4-디메틸-1,3-벤조디옥솔-5-카르복사미드 또는 의약상 허용 가능한 그 염을 유효 성분으로 하는 성인 T 세포 백혈병 림프종의 치료제.
  8. (2R)-7-브로모-2-[trans-4-(디메틸아미노)시클로헥실]-N-[(4,6-디메틸-2-옥소-1,2-디하이드로피리딘-3-일)메틸]-2,4-디메틸-1,3-벤조디옥솔-5-카르복사미드 또는 의약상 허용 가능한 그 염을 유효 성분으로 하는 성인 T 세포 백혈병 림프종의 예방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KR1020187004732A 2015-07-30 2016-07-29 성인 t 세포 백혈병 림프종의 치료 및/또는 예방제 KR10257829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5151170 2015-07-30
JPJP-P-2015-151170 2015-07-30
PCT/JP2016/072262 WO2017018499A1 (ja) 2015-07-30 2016-07-29 成人t細胞白血病リンパ腫の治療及び/又は予防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2596A KR20180032596A (ko) 2018-03-30
KR102578297B1 true KR102578297B1 (ko) 2023-09-13

Family

ID=578851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04732A KR102578297B1 (ko) 2015-07-30 2016-07-29 성인 t 세포 백혈병 림프종의 치료 및/또는 예방제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10434091B2 (ko)
EP (1) EP3329917B1 (ko)
KR (1) KR102578297B1 (ko)
CN (1) CN107847497B (ko)
AU (1) AU2016299614B2 (ko)
BR (1) BR112018001688B1 (ko)
CA (1) CA2993605C (ko)
ES (1) ES2828961T3 (ko)
HK (1) HK1253319A1 (ko)
TW (1) TWI711451B (ko)
WO (1) WO201701849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05602A (ko) 2017-01-19 2019-09-17 다이이찌 산쿄 가부시키가이샤 Htlv-1 관련 척수증을 치료하는 것에 사용하기 위한 의약 조성물
KR20210003160A (ko) 2018-04-18 2021-01-11 콘스텔레이션 파마슈티칼스, 인크. 메틸 변형 효소 조절제, 이의 조성물 및 용도
CN112262143A (zh) 2018-05-21 2021-01-22 星座制药公司 甲基修饰酶的调节剂、其组合物和用途
KR20210097707A (ko) * 2018-11-29 2021-08-09 다이이찌 산쿄 가부시키가이샤 조합 의약으로서 사용되는 ezh1/2 이중 저해제를 함유하는 의약 조성물
BR112022001154A2 (pt) * 2019-07-24 2022-06-07 Constellation Pharmaceuticals Inc Terapias de inibição de ezh2 para o tratamento de cânceres
KR20220044679A (ko) 2019-08-08 2022-04-11 다이이찌 산쿄 가부시키가이샤 항ccr4 항체 저항성의 암 치료제
WO2021035194A1 (en) 2019-08-22 2021-02-25 Juno Therapeutics, Inc. Combination therapy of a t cell therapy and an enhancer of zeste homolog 2 (ezh2) inhibitor and related methods
CN116496263A (zh) * 2022-01-27 2023-07-28 江苏天士力帝益药业有限公司 Ezh1/2抑制剂及其制备和抗肿瘤治疗中的应用
CN115974856B (zh) * 2022-12-28 2023-08-11 北京康立生医药技术开发有限公司 一种治疗成人t细胞白血病淋巴瘤药物伐美妥司他的制备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012031A1 (en) 2007-07-03 2009-01-08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Michigan EZH2 Cancer Markers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183794A1 (en) 2002-06-26 2006-08-17 Kazuo Umezawa Drug composition containing nf-kb inhibitor
RU2011121665A (ru) 2008-10-30 2012-12-10 Онкотерапи Сайенс, Инк. Производные 7-гидроксибензимидазол-4-илметанона и содержащие их ингибиторы рвк
DK3121175T3 (da) * 2014-03-17 2020-03-09 Daiichi Sankyo Co Ltd 1,3-benzodioxolderivater som ezh1- og/eller ezh2-hæmmer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012031A1 (en) 2007-07-03 2009-01-08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Michigan EZH2 Cancer Marker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329917A4 (en) 2019-03-13
TWI711451B (zh) 2020-12-01
CA2993605A1 (en) 2017-02-02
KR20180032596A (ko) 2018-03-30
CN107847497B (zh) 2021-03-30
US20180200238A1 (en) 2018-07-19
EP3329917A1 (en) 2018-06-06
CA2993605C (en) 2020-01-07
AU2016299614A1 (en) 2018-02-08
AU2016299614B2 (en) 2020-05-07
CN107847497A (zh) 2018-03-27
BR112018001688A2 (pt) 2018-09-18
BR112018001688B1 (pt) 2023-05-02
EP3329917B1 (en) 2020-09-02
WO2017018499A1 (ja) 2017-02-02
HK1253319A1 (zh) 2019-06-14
US10434091B2 (en) 2019-10-08
TW201713335A (zh) 2017-04-16
ES2828961T3 (es) 2021-05-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78297B1 (ko) 성인 t 세포 백혈병 림프종의 치료 및/또는 예방제
US20180280408A1 (en) Mutant selectivity and combinations of a phosphoinositide 3-kinase inhibitor compound and chemotherapeutic agents for the treatment of cancer
CN106102745A (zh) 治疗和预防移植物抗宿主病的方法
WO2018135556A1 (ja) Htlv-1関連脊髄症を治療することに用いるための医薬組成物
CN115429805A (zh) 一种抗flt3-itd耐药突变型急性髓系白血病药物
JP6009135B1 (ja) 成人t細胞白血病リンパ腫の治療及び/又は予防剤
CN112118842A (zh) 用于癌症治疗的联合疗法
AU2005279344B2 (en) Use of midostaurin for treating gastrointestinal stromal tumors
TW202320792A (zh) 包含fgfr抑制劑及kras抑制劑之組合療法
WO2021025148A1 (ja) 抗ccr4抗体抵抗性のがんの治療剤
CN114569619A (zh) Pi3k抑制剂单用或联合egfr抑制剂在制备治疗头颈癌或胃癌的药物中的用途
WO2012075484A2 (en) Novel drug targets to overcome de novo drug-resistance in multiple myeloma
WO2019113269A1 (en) Methods of treating cancer patients with farnesyltransferase inhibito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