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77883B1 - 모바일 기기의 그립 보조구 - Google Patents

모바일 기기의 그립 보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77883B1
KR102577883B1 KR1020210162501A KR20210162501A KR102577883B1 KR 102577883 B1 KR102577883 B1 KR 102577883B1 KR 1020210162501 A KR1020210162501 A KR 1020210162501A KR 20210162501 A KR20210162501 A KR 20210162501A KR 102577883 B1 KR102577883 B1 KR 1025778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device
plate
strap
hole
gri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625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75871A (ko
Inventor
김언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프로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프로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프로펠
Priority to KR10202101625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77883B1/ko
Priority to CN202180081176.2A priority patent/CN116530074A/zh
Priority to US18/039,708 priority patent/US20230353666A1/en
Priority to JP2023535615A priority patent/JP7437105B2/ja
Priority to PCT/KR2021/018192 priority patent/WO2022119373A1/ko
Priority to EP21901061.8A priority patent/EP4258630A1/en
Publication of KR202300758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758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78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7883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79Improving the user comfort or ergonomic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마트폰과 같은 모바일 기기를 파지함에 있어 편리성과 경제성을 향상할 수 있는 모바일 기기의 그립 보조구에 관한 것으로, 모바일 기기의 후측에서 상하방향으로 배치되고 신축성을 가지는 스트랩부와, 상기 스트랩부가 관통 배치될 수 있는 홀이 형성되며 플레이트부의 전면과 스트랩부의 후면 사이에 손가락이 배치되면 스트랩부의 탄성복원력에 의하여 마찰력이 제공되는 홀딩공간을 구비하는 기구부를 포함하는 모바일 기기의 그립 보조구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모바일 기기의 그립 보조구{GRIP ASSISTANT APPARATUS FOR MOBILE DEVICE}
본 발명은 모바일 기기의 그립을 위한 장치에 관련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스마트폰과 같은 모바일 기기를 파지함에 있어 사용의 편리성과 제조 및 보관상의 경제성을 향상할 수 있는 모바일 기기의 그립 보조구에 관한 것이다.
현재,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PC와 같은 모바일 기기는 그 기술의 발전과 더불어 단순 전화기능 뿐만 아니라 음악, 영화, TV, 게임 등을 행할 수 있는 멀티 컨버전스로 활용되고 있다.
이러한 모바일 통신 기기 중에서 대중화 되어 있는 스마트폰의 경우 스크린을 접촉하여 조작할 수 있기 때문에 문자 메시지나 이메일의 수,발신 기능은 물론 문서작업, 인터넷, 게임, 촬영 등의 그 활용 영역이 매우 다양해지고 있다.
현대인들에게 이렇게 스마트폰이 필수적인 물품이기 때문에 상시적인 휴대를 위한 보조기구들이 활발하게 개발되고 있다. 대표적으로 스마트폰 케이스가 널리 보급되어 사용되고 있으며, 외부 충격으로부터 케이스나 디스플레이를 보호하는 기능을 주로 수행하면서 다양한 개성을 표현하기 위한 형상과 모양을 갖춘다.
또한, 자동차나 책상 등에 거치하여 손을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거치대도 활발하게 보급된다.
한편, 스마트폰이 대형화되고 있기 때문에 무게와 부피가 증가되고 있어 손가락과 손목에 가해지는 피로감이 커졌으며, 한손에 잘 들어오지 않거나 한손 조작이 어려운 경우가 많기 때문에 이를 개선하기 위하여 그립감 내지 홀딩력을 향상하기 위한 제품들의 개발도 있다.
한국 등록특허 제10-1062570호는 손가락을 넣어서 스마트폰을 사용할 수 있도록 고리를 형성하는 형태의 휴대단말기용 핑거링을 공개하고 있다.
도 1은 이러한 종래기술의 핑거링에 대한 사시도이고,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도록 한다.
휴대단말기(3)의 배면에 부착되어 손가락을 끼울 수 있는 고리를 형성함에 따라 휴대단말기(3)가 안전하면서도 용이하게 파지될 수 있고 링부재(120)에 손가락을 끼운 상태에서 휴대단말기(3)를 다양한 각도로 좌우회전시킬 수 있어 사용편의성이 대폭 증대될 수 있으며 휴대단말기(3)를 이용하여 방송, 영화 등과 같은 영상컨텐츠를 시청하고자 하는 경우에 탁상 등과 같은 바닥면 뿐만 아니라 벽면에 휴대단말기(3)가 용이하게 거치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그런데, 이러한 핑거링 형태의 홀딩장치의 경우 종래 스마트폰 케이스의 파지 능력을 보완하여 추락 사고를 방지하는 데 기여를 했으나, 손가락이 하나만 들어가기 때문에 한 손가락에만 피로가 누적되는 문제가 있었다. 그리고, 보관시에 부피를 최소화하고자 링 부분에 힌지를 부가하여 보관과 사용시에 구분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였으나, 이를 위한 구조가 복잡해지고 부피와 무게가 증가하는 단점이 있었다. 이는 휴대성의 악화를 유발하며 생산의 효율성과 경제성에도 한계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모바일 기기의 그립 능력을 극대화할 수 있으면서도 다양한 파지 형태에 따라 변형 사용이 가능하고 휴대성을 보장할 수 있는 모바일 기기의 그립 보조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신축성을 가지며 모바일 기기의 상하방향으로 배치되는 스트랩부와, 플레이트부 및 상기 스트랩부가 관통 배치되어 플레이트부를 스트랩부의 선택된 높이에 결합시키는 홀부로 구성되는 기구부를 포함하는 모바일 기기의 그립 보조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기 홀부 하측의 플레이트부와 스트랩부가 마주보는 부위에서 홀딩공간이 형성되고, 스트랩부가 삽입되는 홀부의 위치를 중심으로 플레이트부가 전후로 회동되되 상기 홀딩공간에 손가락이 삽입되면, 스트랩부의 탄성복원력과 홀부 하측의 플레이트부의 회동에 따라 스트랩부 및 플레이트부의 사이에 상호 인접되려는 힘이 작용하고 손가락을 가압하여 홀딩할 수 있도록 기능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일실시예에서, 상기 홀부가 전후를 관통하여 형성되고, 상기 스트랩부가 홀부의 부위에서 절곡되어 기구부의 위치를 보존하도록 기능할 수 있다.
상기 플레이트부가 삽입영역에서의 스트랩부의 복원력에 의하여 상부가 모바일 기기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회전력을 제공받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홀부가 상하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일실시예에서, 상기 기구부는 플레이트부가 샤프트부에 연결되어 상호 회동 가능한 제1플레이트부 및 제2플레이트부로 이루어지고, 홀부가 제1플레이트부에 형성되는 제1홀 및 제2플레이트부에 형성되는 제2홀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스트랩부는, 제1홀 및 제2홀의 사이에 형성되는 힌지 부위를 후방으로 덮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기구부는 외력이 인가되지 않은 상태에서 제1플레이트 및 제2플레이트의 전면이 모바일 기기의 후측에 인접배치되고, 상호 후방에서 인접되는 방향으로 회동가능하다.
상기 제2플레이트부는, 상기 제1플레이트부에 형성되는 걸림부가 걸림되어 펼쳐진 한계를 설정하는 상측단턱과 후방으로 회동되는 한계를 설정하는 하측단턱을 구성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기구부는, 제1플레이트부와 제2플레이트부의 선택된 어느 하나가 모바일 기기의 후측에 지지되고 다른 하나가 회동되어 바닥면에 지지되어 거치대로 사용될 수 있도록 기능한다.
상술된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하여, 플레이트와 스트랩의 간단한 구조로도 다양한 방식의 그립에 적응하여 효과적인 홀딩력을 제공하기 때문에 사용상의 편리성은 물론 생산성에도 기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회동방식과 탄성복원력을 조합하여 손가락이나 손바닥에 홀딩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모바일 기기를 파지하기 위한 근육의 무리가 줄어들고 사용자의 건강하고 안전한 사용에 유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박형의 부재들을 사용하기 때문에 종래의 링 방식이나 부피가 큰 케이스의 복잡한 구조에 비하여 높낮이에 대한 불리함에 현저히 저감되고, 이는 부피와 무게의 감소로 이어져 휴대성을 향상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의 휴대단말기용 핑거링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의 그립 보조구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모바일 기기의 그립 보조구에 대한 측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모바일 기기의 그립 보조구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의 그립 보조구의 측단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모바일 기기의 그립 보조구에 대한 정면도이다.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의 그립 보조구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의 그립 보조구의 측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의 그립 보조구에 대한 사용상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기기의 그립 보조구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쉽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에 불과하며, 이로 인해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이하 설명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나 장치를 사이에 두고 연결되어 있는 경우를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은 기본적으로, 모바일 기기의 후측에서 상하방향으로 배치되고 신축성을 가지는 스트랩부와, 상기 스트랩부가 관통 배치될 수 있는 홀이 형성되며 플레이트부 전면과 스트랩부의 후면 사이에 손가락이 배치되면 스트랩부의 탄성복원력에 의하여 마찰력이 제공되는 홀딩공간을 구비하는 기구부를 포함하는 모바일 기기의 그립 보조구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설명되는 모바일 기기란 디스플레이를 구비하는 다양한 형태의 휴대용 통신 장치를 의미하며 일반적인 휴대 전화기는 물론 화면을 구비하고 이동성을 가지는 PDA, 네비게이션, 태블릿PC 등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의 그립 보조구의 정면도이다.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도시된 바와 같이 모바일 기기의 후측에 배치되는 상태를 정면으로 정의하도록 한다.
스트랩부(2010)는 모바일 기기의 후측에서 상하방향으로 배치되며, 폭방향 중심측에 수직방향으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소정의 경사를 가지고 배치되는 것도 허용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설명에서 상하방향이란 반드시 모바일 기기의 폭에 대해 수직한 방향만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스트랩부(2010)의 상하단은 케이스(2100)의 내면과 모바일 기기의 외면 사이의 마찰력에 의하여 고정 설치되는 예를 기본으로 설명하나, 소정의 접착부재에 의하여 접착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케이스(2100)가 없는 상태로 모바일 기기의 하우징에 부착되는 것도 고려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스트랩부(2010)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라 최소한 상하방향의 신축성을 가지는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재질은 본 발명을 제한하지 않는다. 이러한 스트랩부(2010)는 후술될 바와 같이 탄성복원력에 의하여 손가락과 기구부(1000) 사이의 홀딩관계를 형성하게 되는데 이를 위하여 적절한 탄성계수를 가지는 재질이 선택될 수 있다. 즉, 기구부(1000) 측에 손가락에 의하여 모바일 기기 및/또는 케이스(2100)의 하중이 지지될 때 지나치게 자중에 의하여 처지지 않고 기구부(1000)에 형성되는 소정의 홀에 지탱될 수 있으면서도 손가락의 삽입이나 변형 등에 어느 정도 유연성을 가지고 적응할 수 있을 정도의 탄성계수 및 마찰계수가 선택될 수 있을 것이다.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스트랩부(2010)가 케이스(2100)의 내면측에서 상하단이 고정되는 경우 스트랩부(2010)의 전체 길이는 케이스(2100)의 상하 길이보다 다소 길게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스트랩부(2010)의 경로 일부에는 기구부(1000)가 배치되며, 실질적으로 손가락의 홀딩력을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는 이러한 기구부(1000)의 변형예들을 나타내며, 기본적으로 플레이트부(1100)와 홀부(1101)를 가진다.
상기 플레이트부(1100)는 소정의 면적을 가지며 손가락과 마찰될 수 있으면서 스트랩부(2010)와 결합되어 탄성복원력을 제공할 수 있도록 지렛대 역할을 할 수 있을 정도의 상하방향 길이를 가지는 것이 좋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는 기구부(1000)가 하나의 판 형태로 이루어지는 플레이트부(1100)와, 상기 플레이트부(1100)에 전후방향으로 관통되는 홀부(1101)를 구성하고 있다.
상기 플레이트부(1100)는 스트랩부(2010)보다 쉽게 변형되지 않는 재질로 이루어지며, 예를 들어 합성수지, 목재, 유리, 고무, 금속 등의 어느 하나 이상이 선택될 수 있을 것이다.
플레이트부(1100)는 전체적으로 사각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인데, 손가락을 지지하고 모바일 기기의 후측에 밀착될 수 있는 형태라면 형상이 제한되지는 않는다. 다만, 최소한 스트랩부(2010)의 상하 길이를 어느 정도 커버할 수 있을 정도의 높이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 상기 플레이트부(1100)가 단일의 판재로 이루어지고 대략 폭방향 중심에 스트랩부(2010)가 관통 삽입될 수 있는 홀부(1101)가 형성된다.
상기 홀부(1101)에서는 스트랩부(2010)와의 마찰력에 의하여 위치가 어느 정도 고정될 수 있으며, 다만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높낮이가 조절될 수 있을 정도의 마찰력이 선택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홀부(1101)를 기준으로, 보관상태에서 상측에서는 플레이트부(1100)의 후면이 스트랩부(2010)의 전면에 밀착되고, 하측에서는 플레이트부(1100)의 전면이 스트랩부(2010)의 후면에 밀착된다. 이에, 상기 하측에서는 스트랩부(2010)와 플레이트부(1100) 사이의 공간이 홀딩력을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하는데 아래에서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도록 한다.
도 3은 도 2의 모바일 기기의 그립 보조구에 대한 측단면도이다.
케이스(2100)의 후측에 기구부(1000)와 스트랩부(2010)가 배치되며 상기와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설명의 편의상 모바일 기기의 그립 보조구와 케이스(2100)의 공간은 이격한 상태로 도시하였으며, 실제 사용예에서 부하가 가해지지 않는 상황이라면 스트랩부(2010) 및/또는 기구부(1000)는 케이스(2100)의 후면에 밀착 배치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기본적으로 스트랩부(2010)와 기구부(1000)가 연결되는 홀부(1101)의 부위를 기준으로 상부와 하부가 서로 보완적인 기능을 하며, 플레이트부(1100)의 하부 전면과 이를 마주보는 스트랩부(2010)의 후면 사이에는 소정의 홀딩력을 제공하는 공간이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스트랩부(2010)에서 홀부(1101)를 관통하는 부위를 삽입영역(2011)으로 정의하고 플레이트부(1100)의 하부와 마주보는 부위를 텐션제공영역(2012)으로 정의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텐션제공영역(2012)과 플레이트부(1100)의 사이에 이격 가능한 공간은 홀딩공간(1010)으로 정의한다.
플레이트부(1100)는 폭이나 높이보다 두께가 비교적 박형으로 이루어지는데, 소정의 두께로 인하여 홀부(1101)의 부위에서는 스트랩부(2010)의 절곡이 발생한다. 제1실시예에서는 최소한 두 번의 절곡이 이루어지고 이러한 삽입영역(2011)에서는 탄성복원력이 마찰력을 향상하여 기구부(1000)의 스트랩부(2010)에 대한 위치 보존의 기능을 강화시킬 것이다.
도시된 상태를 보면, 삽입영역(2011)에서 스트랩부(2010)에 복원력이 상시적으로 작용하고 플레이트부(1100) 상부가 모바일 기기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플레이트부(1100)의 하부가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전토크를 발생시키게 됨을 알 수 있다. 이는 도 4의 사용상태에 적합한 힘을 발생시키는 것임에 유의한다.
상기 삽입영역(2011)은 소정의 힌지로 기능하며, 스트랩부(2010)에 대해 플레이트부(1100)가 이를 중심으로 회동될 수 있는 회동기준으로 작용할 수 있다. 이는 파지가 이루어지는 상태에서 상기 스트랩부(2010)가 소정의 변형이 이루어지고 이러한 관계에서 손으로 모바일 기기의 하우징 또는 케이스(2100)를 그립할 때 그립 능력을 강화하도록 기능한다. 도 4를 참고하여 이러한 그립 보조의 기능을 구체적으로 보도록 한다.
도 4는 도 2의 모바일 기기의 그립 보조구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3을 참고하면, 플레이트부(1100)는 상부에서 후면이 스트랩부(2010)의 전면에 밀착되어 있으며, 손가락(검지)의 삽입 상태에 의하여 스트랩부(2010)가 신장되어 탄성복원력에 의해 상기 상부의 밀착력은 더욱 강화되어 있다. 즉, 상부에서는 손가락이 스트랩부(2010)에 저항하여 플레이트부(1100)를 후방으로 회동하도록 밀어내고 있는 것이다.
다른 손가락(중지)는 플레이트부(1100)의 하부와 스트랩부(2010)의 사이의 공간인 홀딩공간(1010)에 삽입되어 있다.
즉, 손가락들의 삽입 상태에 따라 스트랩부(2010)가 변형되고 이러한 스트랩부(2010)는 기본적으로 후방으로 복원력을 작용한다. 이때, 홀부(1101)를 중심으로 플레이트부(1100)가 회동되는데 홀딩공간(1010)에서는 플레이트부(1100)와 스트랩부(2010)가 상호 인접되려는 힘이 작용한다. 상기 인접되려는 힘은 손가락을 가압하여 모바일 기기의 그립 보조구에서 손가락이 고정될 수 있도록 하고 나머지 손가락에 비교적 적은 힘만으로 파지가 가능하여지는 것이다.
상기 인접되려는 힘의 작동을 더 구체적으로 보면, 홀부(1101)의 하측인 스트랩부(2010)의 텐션제공영역(2012)에서 변형에 따른 후방으로의 복원력과, 홀부(1101)의 상측에서 플레이트부(1100)가 후방으로 밀려나려는 데 따른 회동 동력이 동시에 작용하는데 기인하는 것임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모바일 기기의 그립 보조구의 홀딩 방식은 도시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삽입되는 손가락의 종류나 방식 또는 위치는 선택적이다. 이와 관련하여 다른 실시예에서 후술하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의 그립 보조구의 측단면도이다.
상기 제1실시예에서는 플레이트부(1100)가 단일의 판재로 이루어져 상하측에서 서로 다른 방향의 복원력을 작용함을 이해할 수 있다. 조금 더 효율적인 사용을 위하여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는 기구부(1000)의 플레이트부를 두 개의 플레이트로 구성하였다.
상측의 제1플레이트부(1210)와 하측의 제2플레이트부(1220)가 상호 회동 가능하도록 샤프트부(1201)에 연결되어 있으며 스트랩부(2010)의 결합을 위한 구조들이 각각 형성된다.
이에, 제1플레이트부(1210)에는 힌지 부위의 상측으로 제1홀(1211)이 형성되고, 제2플레이트부(1220)에는 힌지 부위의 하측으로 제2홀(1221)이 형성된다. 이렇게 두 개의 홀이 형성되기 때문에 스트랩부(2010)의 전후배치관계의 차이가 발생한다.
즉, 스트랩부(2010)가 하방으로 진행된다고 볼 때, 제1홀(1211)에서는 스트랩부(2010)가 제1플레이트부(1210)의 전방측에서 후방으로 인출되고, 제2홀(1221)에서는 스트랩부(2010)가 후방에서 전방으로 인출되어 하방으로 연장된다. 이에, 후방에서 바라볼 때 힌지 부위를 스트랩부(2010)가 감싸게 되는 것이다.
이렇게 구성하는 경우 작동되는 구조를 스트랩부(2010)가 감싸고 상하측의 플레이트부들의 면이 후방에 노출되기 때문에 미관적으로 우수하며 브랜드나 광고 등이 노출될 수 있는 공간 마련에도 이롭다.
이러한 본 발명의 변형예로 제1홀(1211)과 제2홀(1221)이 모두 제1플레이트부(1210)에 배치되고 하측의 제2플레이트부(1220)에는 탄성제공부(1230)의 복원력만이 작용하도록 할 수도 있다.
제1실시예와 마찬가지로 기구부(1000)는 스트랩부(2010)에 대해 회동 관계를 가지고 하측에서 홀딩공간(1010)을 제공하여 홀딩력을 가지는데, 제1홀(1211)에서 제2홀(1221)에 연결되는 부위 전체가 소정의 위치 보존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중첩되는 면적이 넓기 때문에 제1실시예의 경우에 비하여 기구부(1000)의 스트랩부(2010)에 대한 위치 보존 능력은 더욱 향상되어 있음에 유의한다.
상기 제1플레이트부(1210)와 제2플레이트부(1220)는 상호 회동 가능한데, 도시된 상태에서는 대략 상호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다. 다만, 손가락 삽입 등의 효율성을 고려하여 외력이 가해지지 않는 상태에서는 제1플레이트부(1210)와 제2플레이트부(1220)가 소정의 각도, 예를 들어 170°~175°,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상기 제1플레이트부(1210)와 제2플레이트부(1220)는 후방으로 접혀지는 형태로 작동될 수 있으며, 도시된 바와 같이 펼쳐지는 방향으로 복원력이 작용할 수 있다. 이에, 전방으로 접히지 않도록 소정의 스토퍼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상측단턱(1222)과 하측단턱(1223)이 상하 방향 회동 각도를 규정하는 데 기능할 수 있다. 이와 관련되어서는 아래에서 더 구체적으로 보도록 한다.
도 6은 도 5의 모바일 기기의 그립 보조구에 대한 정면도이다.
제1플레이트부(1210)와 제2플레이트부(1220)는 샤프트부(1201)가 관통배치될 수 있는 소정의 관통홀(참조번호 미표시)를 가지며, 연결성을 위하여 하측의 제2플레이트부(1220)의 양측에 일측지지부(1224)와 타측지지부(1225)가 상방으로 돌출되고 그 사이에 제1플레이트부(1210)에서 하방으로 돌출되는 연결돌출부(1213)가 삽입되는 방식으로 결합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일측 부위에는 회동 각도를 규정하기 위한 구조가 배치되고, 타측에는 상호 수평하게 복원력을 제공할 수 있는 탄성제공부(1230)가 배치되는데, 이러한 배치관계는 치환되거나 중복될 수 있을 것이다.
일측지지부(1224)와 연결돌출부(1213)의 사이에 소정의 이격된 공간이 마련되며, 제2플레이트부(1220)의 전방 부위에 제1플레이트부(1210)의 후방 부위가 얹혀 있는 상태이다. 사기 제1플레이트부(1210)의 후방 부위는 걸림부(1212)로 정의하도록 한다.
도 5를 참고하여 보면, 외력이 제공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측단턱(1222)에서는 걸림부(1212)가 걸림되어 케이스(2100)에 밀착되고 펼쳐진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고, 하측단턱(1223)에서는 제2플레이트부(1220)에 대한 제1플레이트부(1210)의 최대 회동(접힘)각도가 규정된다. 상기 최대 회동각도는 예각을 기준으로 60°이상 90°미만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최대 회동각도가 90°까지인 경우 거치 등의 활용성에 제약이 있을 수 있기 때문에 완전히 펼쳐진 상태로부터 상호 수직인 경우보다 조금 더 회동하도록 허용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이다. 다만, 상기 각도는 설명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의 그립 보조구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7은 상기 제1실시예와 마찬가지로 하나의 손가락이 제1플레이트부(1210) 및 스트랩부(2010)의 전방에 배치되어 있고, 다른 손가락이 제2플레이트부(1220)의 전방 및 스트랩부(2010)의 후방에 형성되는 홀딩공간(1010)에 배치되어 있다.
여기서는 텐션제공영역(2012)을 기준으로 스트랩부(2010)의 탄성 복원력이 작용함과 동시에 탄성제공부(1230)에 의한 제2플레이트부(1220)의 전방으로의 회전력이 함께 작용되어 홀딩을 수행하고 있음에 유의한다.
이러한 탄성제공부(1230)의 복원력은 제1플레이트부(1210)를 스트랩부(2010)에 밀착시키고 있다.
바람직한 형태로, 검지(I)가 제1플레이트부(1210) 및 스트랩부(2010)의 내측에 배치되고, 중지(M)가 홀딩공간(1010)을 가로질러 케이스(2100)를 손바닥 전체로 그립하고 있다. 종래와 같이 손가락을 케이스(2100) 가장자리에서 움켜쥐지 않아도 스트랩부(2010)와 기구부(1000)의 작용에 의하여 그립 상태가 유지되고 있음에 유의한다. 이로 인하여 손가락이나 손목에 가해지는 피로가 현저히 저감될 것이다.
한편, 상기와 같은 작용에 의하여 스트랩부(2010)는 타측으로 다소 편심배치되고 있으며 횡방향의 복원력이 동시에 작용하기 때문에 파지의 확실성이 더욱 향상된다.
도 8은 상하측이 모두 홀딩공간(1010)으로 기능하는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모바일 기기의 상하측 또는 케이스(2100)에 스트랩부(2010)의 상하단이 고정된 상태에서 기구부(1000)의 상하측이 후방으로 함께 접혀지는 상태를 도시한다.
이와 같은 경우 제1플레이트부(1210)의 전면과 스트랩부(2010)의 후면 사이에 검지(I)가 삽입되고, 제2플레이트부(1220)의 전면과 스트랩부(2010)의 후면 사이에 중지(M)가 삽입되어 있으며, 스트랩부(2010)의 장력과 탄성제공부(1230)의 제1플레이트부(1210) 및 제2플레이트부(1220)에 대한 전방으로의 회동 복원력에 의하여 홀딩력이 제공되고 있는 상태이다.
이러한 사용상태는 상하측에 대칭되어 버터플라이와 유사한 모습을 나타낸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의 그립 보조구를 거치대 방식으로 사용하는 경우를 나타낸다.
거치기구로서의 사용을 위하여 스트랩부(2010)는 대부분 케이스(2100)의 후면에 밀착 배치되어 있으며, 제1플레이트부(1210)와 제2플레이트부(1220) 중의 선택된 어느 하나가 케이스(2100)의 후면에 밀착 배치(여기서 스트랩부와 플레이트부의 이격이 다소 존재하나 구조상 이격되는 경우도 밀착의 개념에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한다)되어 있고 다른 하나가 바닥방향으로 세워져서 모바일 기기를 바닥면에 대해 소정의 각도를 가질 수 있도록 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제1플레이트부(1210)가 케이스(2100)에 밀착되어 있고 제2플레이트부(1220)가 소정의 각도를 형성하여 바닥면에 직접 접촉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면에 대해 모바일 기기가 가로방향으로 배치되어 있고 양측 중에 선택된 어느 한 측이 바닥면에 지지된 상태에서 제2플레이트부(1220)의 엣지 부위가 바닥면에 함께 접촉되어 세워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 제2플레이트부(1220)에는 탄성제공부(1230)에 의한 탄성복원력과 스트랩부(2010)의 장력에 의한 복원력이 함께 작용하는데, 모바일 기기 및 케이스(2100)의 자중에 의하여 회동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이러한 개념에 따라 제2플레이트부(1220)와 제1플레이트부(1210)가 이루는 각도는 예각을 기준으로 90°미만인 것이 적절하다. 즉, 걸림부(1212)와 하측단턱(1223)에 의하여 결정되는 최대 허용각도를 90°미만으로 결정하는 것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의 그립 보조구의 측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는 제1실시예의 변형예로 볼 수 있고, 따라서 플레이트푸가 단일의 평판으로 이루어져 평판형플레이트부(1300)로 구성된다.
제1실시예와 달리 전후를 관통하는 홀부(1101)가 생략되고 상하를 관통하는 형태의 상하삽입부(1310)가 형성된다. 이러한 상하삽입부(1310)의 설치형태의 일실시예로 도시된 경우와 같이 전방으로 돌출된 돌기 형태에 상하로 관통홀이 형셩되는 경우를 고려해볼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평판형플레이트부(1300)의 일부 내부를 관통하여 상하로 관통홀이 형성되는 경우도 고려해볼 수 있을 것이다. 다만, 이 경우는 일부 절곡되거나 수평방향의 홀이 추가로 형성될 수 있다.
스트랩부(2010)는 상하삽입부(1310)의 상하를 관통하여 배치되고, 이러한 상하삽입부(1310)를 기준으로 평판형플레이트부(1300)가 상부와 하부로 구분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도 하부에는 홀딩공간(1010)이 형성되고, 상기 상하삽입부(1310)는 삽입영역(2011)을 마련하며 이 부위를 기준으로 회동 동작 및 텐션의 제공이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의 그립 보조구에 대한 사용상태도이다.
상하삽입부(1310)의 위치를 기준으로 평판형플레이트부(1300)의 하측에 형성되는 홀딩공간(1010)에 중지(M)가 삽입되고, 스트랩부(2010)의 전방으로 검지(I)가 삽입되어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제1실시예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홀딩공간(1010)에서 스트랩부(2010)의 복원력과 상부에서 평판형플레이트부(1300)가 외측으로 회동되는 작용에 따라 하부에서의 전방 회동 동력이 발생하고 이는 홀딩력으로 이어진다.
상기 도 7 내지 도 8와 같은 사용상태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모두 적용되거나 준용될 수 있을 것이며, 본 발명의 사상을 따르는 경우 다양한 변형예들에도 적용해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예시된 파지 형태 외에 다른 손가락 내지 다른 방향성 내지 다른 조합으로도 사용이 가능하며, 이는 본 발명의 구조가 심플하면서도 사용환경에의 적응성이 우수함을 의미한다.
상술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모바일 기기의 그립 보조구에 의하여, 플레이트와 스트랩의 간단한 구조로도 다양한 방식의 그립에 적응하여 효과적인 홀딩력을 제공하기 때문에 사용상의 편리성은 물론 생산성과 경제성에도 기여할 수 있다.
또한, 회동방식과 탄성복원력을 조합하여 손가락이나 손바닥에 홀딩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모바일 기기를 파지하기 위한 근육의 무리가 줄어들고 사용자의 건강에 기여할 수 있다.
또한, 박형의 부재들을 사용하기 때문에 종래의 링 방식이나 부피가 큰 케이스의 복잡한 구조에 비하여 높낮이에 대한 불리함이 현저히 저감되고, 이는 부피와 무게의 감소로 이어져 휴대성을 향상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실시예 및 첨부도면에 기초하여 상세히 설명되었다. 그러나, 이상의 실시예들 및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지는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한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내용에 의해서만 제한될 것이다.
1000...기구부 1010...홀딩공간
1100...플레이트부 1101...홀부
1201...샤프트부 1210...제1플레이트부
1211...제1홀 1212...걸림부
1213...연결돌출부 1220...제2플레이트부
1221...제2홀 1222...상측단턱
1223...하측단턱 1224...일측지지부
1225...타측지지부 1230...탄성제공부
1300...평판형플레이트부 1310...상하삽입부
2010...스트랩부 2011...삽입영역
2012...텐션제공영역 2100...케이스

Claims (9)

  1. 모바일 기기의 상하방향으로 배치되고 신축성을 가지는 스트랩부; 및
    플레이트부와, 상기 스트랩부가 관통 배치되어 플레이트부를 스트랩부의 선택된 높이에 결합시키는 홀부로 구성되는 기구부;를 포함하며,
    상기 홀부 하측의 플레이트부와 스트랩부가 마주보는 부위에서 홀딩공간이 형성되고, 스트랩부가 삽입되는 홀부의 위치를 중심으로 플레이트부가 전후로 회동되되,
    상기 홀딩공간에 손가락이 삽입되면, 스트랩부의 탄성복원력과 홀부 하측의 플레이트부의 회동에 따라 스트랩부 및 플레이트부의 사이에 상호 인접되려는 힘이 작용하고 손가락을 가압하여 홀딩할 수 있도록 하는 모바일 기기의 그립 보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홀부는,
    전후를 관통하여 형성되고,
    상기 스트랩부는,
    홀부의 부위에서 절곡되어 기구부의 위치를 보존하도록 기능하는 모바일 기기의 그립 보조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부는,
    삽입영역에서의 스트랩부의 복원력에 의하여 상부가 모바일 기기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회전력을 제공받는 모바일 기기의 그립 보조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홀부는,
    상하방향으로 형성되는 모바일 기기의 그립 보조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구부는,
    플레이트부가 샤프트부에 연결되어 상호 회동 가능한 제1플레이트부 및 제2플레이트부로 이루어지고, 홀부가 제1플레이트부에 형성되는 제1홀 및 제2플레이트부에 형성되는 제2홀로 이루어지는 모바일 기기의 그립 보조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랩부는,
    제1홀 및 제2홀의 사이에 형성되는 힌지 부위를 후방으로 덮도록 배치되는 모바일 기기의 그립 보조구.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기구부는,
    외력이 인가되지 않은 상태에서 제1플레이트 및 제2플레이트의 전면이 모바일 기기의 후측에 인접배치되고, 상호 후방에서 인접되는 방향으로 회동가능한 모바일 기기의 그립 보조구.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플레이트부는,
    상기 제1플레이트부에 형성되는 걸림부가 걸림되어 펼쳐진 한계를 설정하는 상측단턱과 후방으로 회동되는 한계를 설정하는 하측단턱을 구비하는 모바일 기기의 그립 보조구.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기구부는,
    제1플레이트부와 제2플레이트부의 선택된 어느 하나가 모바일 기기의 후측에 지지되고 다른 하나가 회동되어 바닥면에 지지되어 거치대로 사용될 수 있도록 하는 모바일 기기의 그립 보조구.
KR1020210162501A 2020-12-04 2021-11-23 모바일 기기의 그립 보조구 KR1025778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2501A KR102577883B1 (ko) 2021-11-23 2021-11-23 모바일 기기의 그립 보조구
CN202180081176.2A CN116530074A (zh) 2020-12-04 2021-12-03 移动设备的抓握辅助件
US18/039,708 US20230353666A1 (en) 2020-12-04 2021-12-03 Apparatus for holding a smart phone
JP2023535615A JP7437105B2 (ja) 2020-12-04 2021-12-03 スマートフォンのホルディング装置
PCT/KR2021/018192 WO2022119373A1 (ko) 2020-12-04 2021-12-03 모바일 기기의 그립 보조구
EP21901061.8A EP4258630A1 (en) 2020-12-04 2021-12-03 Grip assistant tool for mobile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2501A KR102577883B1 (ko) 2021-11-23 2021-11-23 모바일 기기의 그립 보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75871A KR20230075871A (ko) 2023-05-31
KR102577883B1 true KR102577883B1 (ko) 2023-09-13

Family

ID=865433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62501A KR102577883B1 (ko) 2020-12-04 2021-11-23 모바일 기기의 그립 보조구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577883B1 (ko)
CN (1) CN116530074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2746Y1 (ko) * 2020-03-20 2020-12-03 윤여신 휴대 기기 스트랩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300346B2 (en) * 2014-08-01 2016-03-29 Allen Hirsch Apparatus to assist a user with holding a mobile device
KR101960354B1 (ko) * 2017-07-10 2019-07-15 주식회사 윈케이글로벌 파지 및 거치 기능을 갖는 휴대 단말기용 액세서리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2746Y1 (ko) * 2020-03-20 2020-12-03 윤여신 휴대 기기 스트랩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6530074A (zh) 2023-08-01
KR20230075871A (ko) 2023-05-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54990B1 (en) Electronic device with hinge and corresponding systems and methods
US20150282354A1 (en) Multi viewing angle portable electronic device support
CN105874400B (zh) 用于便携式计算装置的支架
TWI494047B (zh) Support for electronic products
TWI496529B (zh) Can stand the electronic device
EP2392986A2 (en) A case for tablet personal computer
US9665127B2 (en) Electronic device and connecting part
US10806043B2 (en) Holder combined with cradle for portable terminal
CN102084315A (zh) 带有支架的电子装置夹持器
KR200397129Y1 (ko) 핸드폰 케이스용 거치대
US20130134274A1 (en) Structure of support frame featuring fast warping and closing
JP5999533B2 (ja) 携帯電子端末保持具
US20180039300A1 (en) Auxiliary Screen
KR20160063599A (ko) 휴대단말기용 손가락 지지대
KR102577883B1 (ko) 모바일 기기의 그립 보조구
CN101855835A (zh) 用于电子设备的支架铰链
KR20120035810A (ko) 틸트 기능이 구비된 휴대용 단말기 보호 케이스 클립 및 스탠드장치
JP3092458U (ja) 手書き式ネットワーク・パネルの保護カバー構成
KR200459667Y1 (ko)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
CN214432437U (zh) 保护套和电子设备组件
KR101424938B1 (ko) 다용도 거치대
JP7437105B2 (ja) スマートフォンのホルディング装置
CN202361033U (zh) 具快速翘起箍合的撑架结构
JP5545584B2 (ja) 手持ち式補助具
KR20200081198A (ko)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 겸용 홀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