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77127B1 - 에너지 발전 응용을 위한 신규한 탄소 나노-구조체 - Google Patents

에너지 발전 응용을 위한 신규한 탄소 나노-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77127B1
KR102577127B1 KR1020217014132A KR20217014132A KR102577127B1 KR 102577127 B1 KR102577127 B1 KR 102577127B1 KR 1020217014132 A KR1020217014132 A KR 1020217014132A KR 20217014132 A KR20217014132 A KR 20217014132A KR 102577127 B1 KR102577127 B1 KR 1025771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oll
graphene
scrolls
layer
energ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141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83279A (ko
Inventor
제이슨 체할
Original Assignee
서스테이너블 에너지 이피션트 디자인드 스트럭쳐스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스테이너블 에너지 이피션트 디자인드 스트럭쳐스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서스테이너블 에너지 이피션트 디자인드 스트럭쳐스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100832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832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71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7127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85/00Organic materials used in the body or electrode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85/20Carbon compounds, e.g. carbon nanotubes or fullere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32/00Carbon; Compounds thereof
    • C01B32/15Nano-sized carbon materials
    • C01B32/18Nanoonions; Nanoscrolls; Nanohorns; Nanocones; Nanowall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30/00Organic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 H10K30/30Organic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comprising bulk heterojunctions, e.g. interpenetrating networks of donor and acceptor material domai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30/00Organic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 H10K30/80Constructional detail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30/00Organic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 H10K3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30/81Electrodes
    • H10K30/82Transparent electrodes, e.g. indium tin oxide [ITO] electrodes
    • H10K30/821Transparent electrodes, e.g. indium tin oxide [ITO] electrodes comprising carbon nanotub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82NANOTECHNOLOGY
    • B82YSPECIFIC USES OR APPLICATIONS OF NANOSTRUCTURES; MEASUREMENT OR ANALYSIS OF NANOSTRUCTURES; MANUFACTURE OR TREATMENT OF NANOSTRUCTURES
    • B82Y40/00Manufacture or treatment of nanostructure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PINDEXING SCHEME RELATING TO STRUCTURAL AND PHYSICAL ASPECTS OF SOLID INORGANIC COMPOUNDS
    • C01P2004/00Particle morphology
    • C01P2004/10Particle morphology extending in one dimension, e.g. needle-like
    • C01P2004/13Nanotubes
    • C01P2004/136Nanoscrolls, i.e. tubes having a spiral sec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PINDEXING SCHEME RELATING TO STRUCTURAL AND PHYSICAL ASPECTS OF SOLID INORGANIC COMPOUNDS
    • C01P2004/00Particle morphology
    • C01P2004/60Particles characterised by their size
    • C01P2004/64Nanometer sized, i.e. from 1-100 nanometer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PINDEXING SCHEME RELATING TO STRUCTURAL AND PHYSICAL ASPECTS OF SOLID INORGANIC COMPOUNDS
    • C01P2006/00Physical properties of inorganic compounds
    • C01P2006/40Electric propert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02E10/549Organic PV cells

Abstract

이것은 광 또는 열 에너지를 검출하거나 변환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기 장치는: 상기 스크롤의 가로방향 축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상기 그래핀 시트의 곡률 반경이 증가하는 단층 구조체를 제공하기 위해 스크롤로 형성된 그래핀 시트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에너지 발전 응용을 위한 신규한 탄소 나노-구조체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광/열 에너지(light/heat energy)를 검출(detecting) 또는 변환(converting)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태양 광 흡수(Solar Absorption)
모든 태양 전지의 궁극적인 목표는 단일 구조체(single structure)에서 다수 파장들의 태양 에너지를 흡수하는 능력이다.
이것은 다중-접합 태양 전지(multi-junction solar cell)에서 달성되었으며, 이러한 전지들은 여러 개의 태양 전지들 또는 p-n 접합들을 다수 서브 전지들을 포함하는 다중-접합 전지에 결합하여 고효율을 달성한다. 이들 서브 전지들 각각은 상이한 파장들의 입사광을 매칭시키기 위해 상이한 밴드 갭들을 가지는 상이한 반도체 재료로 구성된다. 일반적으로 각각의 전지는 3개의 서브 전지들이 전기적으로 직렬로 연결되는 삼중-접합 전지(three-junction cell) 구성을 가지고 있다. 상기 서브 전지들은 또한 가장 큰 밴드 갭을 가지는 상기 서브 전지가 상부(태양을 향함)에 있고, 다른 서브 전지들이 상기 밴드 갭의 폭이 내림차순으로 위치하도록 광학적 직렬(optical series)로 배치된다. 따라서 상기 상단 서브 전지에서는 에너지가 가장 높은 광자들만 흡수된다. 보다 낮은 에너지를 가지는 광자들은 아래에 있는 서브 전지 등등으로 전송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상기 다중-접합 태양 전지는 넓은 태양 스펙트럼을 파장 대역들로 분할하며, 각각의 스펙트럼은 단일-접합(single-junction)의 경우보다 개별 서브 전지들에서 더 효율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특히 에너지가 보다 높은 광자들은 에너지가 보다 낮은 광자보다 광-전압(photo-voltage)이 더 커진다. 다중-접합 태양 전지들은 한 서브 전지에서 다른 서브 전지로 전류를 전달하기 위해 터널 다이오드(tunnel diode)가 필요하다. 최첨단 다중-접합 전지들은 약 40%의 에너지 변환 효율을 제공한다.
이러한 다중-접합 태양 전지들의 효율은 단일 접합 태양 전지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지만, 문제는 높은 제조 복잡성과 관련 생산 비용이다. 높은 제조 복잡성을 해결하는 한 가지 방법은 실리콘 층들을 적층하는 것이다. 실리콘은 상대적으로 저렴하고 풍부하며, 태양 광선에서 고-에너지 광자들을 잘 흡수하므로 종래의 태양 전지들의 표준이 된다. 그러나 삼중-접합 태양 전지들의 경우 비용은 종래의 실리콘 태양 전지들의 비용보다 3배 더 높다.
더욱이, 종래의 다중-접합 태양 전지의 설계는 태양 광이 상기 구조체의 표면에 수직으로 떨어지거나 반사판들을 사용해야 하기 때문에 실용적이지 못하다.
태양 전지에서 더 높은 흡수를 달성하는 또 다른 방법은 다수 파장들의 태양 에너지를 흡수하도록 조정할 수 있는 단일 연속 재료(single continuous material)를 사용하는 것이다. 이는 선택적 도핑을 제어하기 어렵기 때문에 종래의 기술로는 달성하기 매우 어려웠다. 그러나, 상기 탄소 나노튜브 “숲”을 태양 전지로 사용하는데 있어 어려움은 상기 흡수된 태양 에너지를 사용 가능한 전류로 변환할 실제적인 방법이 없다는 것이지만, 수직으로 정렬된 탄소 나노튜브들을 사용하여 광대역 흡수(broadband absorption)가 달성되었다.
수직으로 정렬된 단일-벽 탄소 나노튜브들(single-wall carbon nanotubes)의 "숲"은 원-자외선(far-ultraviolet)(200㎚)에서 원-적외선(far-infrared)(200㎛) 파장까지 흡수율을 가질 수 있다. 상기 SWNT 숲(버키 페이퍼, buckypaper)은 초-성장 CVD 방법에 의해 약 10㎛ 높이까지 성장했다. 두 가지 요인은 이들 구조체들에 의한 강한 광 흡수에 기여할 수 있다: (i) CNT 키랄성(chiralities) 및 직경의 분포는 개별 CNTs에 대한 다양한 밴드 갭들을 초래하였다(도 1의 Kataura 플롯 참조). 따라서 복합 재료는 광대역 흡수로 형성되었다. (ii) 광이 다수 반사로 인해 숲에 갇힐 수 있다.
상기 Kataura 플롯에서 전자 전이(electronic transition)의 에너지는 나노튜브의 직경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한다. 도 1은 다중-접합 태양 전지들에 적층된 재료들에 대한 밴드 갭 에너지와 SWCNTs의 광 흡수를 비교하여, 다양한 직경을 가지는 SWCNT 범위가 다중-접합 태양 전지들에서 발견되는 것과 동일한 밴드 갭 에너지들을 달성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개발자들은 최근 박막 광전지(Thin Film Photovoltaics: TFPV)의 상기 액티브 레이어에서 반도체 단일 벽 탄소 나노튜브(semiconducting single wall carbon nanotubes: s-SWNT)를 구성 요소로 사용하는 것을 시연하였다. TFPV 기술은 저비용 처리 기술에 적합한 재료들로 효율적인 태양 전지들을 생산하는데 중점을 둔다.
[참조 3] Maogang Gong, Tejas A. Shastry, Yu Xie, Marco Bernard, Daniel Jasion, Kyle A. Luck, Tobin J. Marks, Jeffery C. Grosman, Shengiang Ren 및 Mark C. Hersam, 폴리키랄 반도체 탄소 나노튜브-풀러렌 태양 전지(Polychiral Semiconducting Carbon Nanotube-Fullerene Solar Cells), 6 월 2014 년 12 월 23 일은 광범한 스펙트럼 흡수와 높은 캐리어 이동성을 가진 성분과 열, 화학적, 광학적 안정성을 가진 성분을 이용하는 솔루션 처리 가능한 광전지를 향한 폴리키랄 탄소 나노튜브를 기반으로 한 태양전지를 제안하고 구현하였다. 이러한 접근 방식은 TFPV 액티브 레이어들에서 s-SWNTs의 활용을 저해하는 주요 장애물을 극복하여 이전 단일 키랄성 s-SWNT에 비해 현재 레코드 성능 변환 효율을 최대 3.1 %까지 거의 두 배로 증가시킬 수 있다. 그러나 벌크 이종 접합(bulk heterojunctions)에서 전자 공여 재료들로 탄소 나노튜브들을 사용하는 것은 탄소 나노튜브의 길이 및 반응이 상기 튜브 끝에 위치한 가장자리 부위에서만 발생할 수 있다는 사실 때문에 방해를 받는다.
이들 솔루션 처리된 TFPV는 캐리어 선택 콘택들과 계면된 폴리키랄 반도체 SWCNT 및 PC71BM 풀러렌으로 구성되는 액티브 레이어들을 기반으로 한다. 이러한 태양 전지 설계는 이전 SWCNT TFPVs를 제한했던 많은 문제들을 동시에 해결하므로 기존의 성능 트레이드-오프를 피할 수 있다. 이러한 SWCNT 분포의 폴리키랄 특성과 PC71BM 풀러렌의 보다 작은 광학 갭은 보다 넓은 광 흡수로 이어진다.
상기 비밀은 상기 튜브의 직경과 비틀림의 조합인 s-SWNT의 키랄성에 있다. 종래에, 개발자들은 좋은 반도체 특성을 가지는 하나의 특정 키랄성을 선택하고 그로부터 전체 태양 전지를 만드는 경향이 있었다. 문제는 각 나노 튜브 키랄성이 좁은 범위의 광학 파장만 흡수한다는 것이다. 단일 키랄성 탄소 나노튜브로 태양 전지를 만들면, 기본적으로 대부분의 태양 광을 버린다. 폴리키랄 s-SWNTs의 혼합물을 사용함으로써, 이것은 더 넓은 범위의 태양 스펙트럼을 흡수하여 생성되는 광전류의 양을 극대화시켰다. 상기 전지들은 많은 주요 박막 기술에 접근할 수 없었던 근-적외선 파장들을 크게 흡수하였다.
개발 그룹들은 현재 다중 액티브 레이어들을 가지는 폴리키랄 SWCNT 태양 전지들을 만드는 작업을 하고 있다. 각 레이어는 상기 태양 스펙트럼의 특정 부분에 최적화되어 더 많은 광을 흡수한다. 이것은 잠재적으로 실리콘 태양 전지들의 효율과 거의 비슷한 15-20%까지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이러한 접근 방식의 큰 문제점은 더 많은 레이어들을 추가함으로써 개발자들이 궁극적으로 종래의 탠덤 태양 전지가 직면한 유사한 복잡성과 높은 비용을 경험하게 될 것이라는 점이다. 추가 레이어들은 또한 상기 박막의 두께를 더욱 증가시켜 유연성을 감소시킬 것이다.
점점 더 많은 개발 그룹들은 광 흡수 특성과 관련된 탄소 나노튜브들의 행동을 이해하는데 중요한 고려 사항이 무시되었다고 믿고 있다.
[참조 1] Saloome Motavas, Andre Ivanov, Alireza Nojeh, 나노 튜브 측벽의 곡률과 지그재그 나노튜브들의 전자적 및 광학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 (the curvature of the nanotube sidewall and its effect on the electronic and optical properties of zigzag nanotubes), Computational and Theoretical Chemistry, 1020 (2013) 32-37은 매우 낮은 직경(0.5㎚ -5.0㎚)의 탄소 나노튜브들에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나노튜브들 표면의 탄소 결합이 구부러져 도 3(a) 및 도 3(b)에 그래프로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결합 길이들과 결합 각도들이 발생하여 변형이 존재한다고 설명한다.
이것은 그래핀에서 추가로 입증되었다. [참조 2] J. Chaves, T. Frederico, O. Oliveira, W. de Paula, M.C. Santos, 곡면 프래핀의 광학 전도성, Cornell University Library, 2014 년 5 월 1 일은 이론적으로 그래핀 시트에 대한 곡률의 영향을 예측하여 편평한 표면에 잔물결이 발생하여 국부적인 곡률을 도입하고 가장 큰 곡률 영역에서 광 흡수 피크를 나타냈다.
보다 작은 직경의 탄소 나노 튜브들에서만 발생하는 다양한 탄소 결합 각도 및 길이는 탄소 나노튜브의 물리적 구조체가 재료의 광 흡수를 어떻게 변화시킬 수 있는지에 대한 좋은 예이다. 나노튜브 직경에 따른 탄소-탄소 결합 각도들과 에너지 흡수 사이의 이러한 상관 관계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2차 수직 축을 사용하여 설명된다.
태양 광 변환(Solar Conversion)
종래의 태양 전지들은 상기 태양 스펙트럼의 작은 부분만 효율적으로 전기로 변환할 수 있다. 저-에너지 광자들(적외선)은 태양 전지들이 만들어지는 재료의 상기 밴드 갭을 연결하기에 충분한 에너지가 없기 때문에 흡수되지 않는다. 이와 대조적으로, 고-에너지 광자들(자외선)은 흡수될 수 있지만, 단 몇 피코 초(10-12초) 안에 많은 에너지가 열로 변환된다. 이는 최대 효율을 30%로 제한한다.
원칙적으로, 초과 열 에너지를 사용하여 다수의 전자-정공 쌍을 여기 시키는데 사용할 수 있다면, 86%까지 높은 효율을 얻을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전자들이 적외선을 방출하여 전기로 변환되거나 상기 에너지가 인접한 전자들로 전달될 수 있다. 광을 자유 전자-정공 쌍으로 변환하는 것은 광 검출 및 광 전지 분야에서 핵심 프로세스를 구성한다. 이러한 과정의 효율성은 서로 다른 이완 경로(different relaxation pathways)의 경쟁에 따라 달라지며, 광 여기 된 캐리어들이 열로 에너지를 잃지 않고, 대신 캐리어-캐리어 산란 프로세스(carrier-carrier scattering processes)를 통해 추가 전자-홀 쌍의 생산으로 초과 에너지를 전달할 때 크게 향상될 수 있다.
종래의 태양 전지들에서 흡수된 광 입자는 일반적으로 하나의 전자만 여기시켜 하나의 전자-정공 쌍을 생성한다. 그러나, 서로 다른 나노 결정들에서 두 개 이상의 전자들이 동시에 여기 되어 태양 전지에 의해 전달되는 전류를 크게 증가시키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참조 4] K.J.Tielrooij, J.C.W. Song, S.A. Jensen, A. Centeno, A. Pesquera, A. Zurutuza Elorza, M. Bonn, L.S. Levitov and F.H.L. Koppens, 그래핀의 광 여기 캐스케이드 및 다중 핫-캐리어 생성(Photo-excitation cascade and multiple hot-carrier generation in graphene), 네이처 물리, volume 9, April 2013은 그래핀에서 캐리어-캐리어 산란은 매우 효율적이며 광범위한 광자 파장들에서 광 포논 방출(optical-phonon emission)보다 우세하며, 전도대에서 발생하는 2 차 핫 전자들을 생성한다. 이들 2차 전자들은 에너지를 얻는 반면 (뜨거워 짐), 상기 포논 방출 과정에서는 에너지가 열로서 격자에 손실된다. 그래핀의 핫 전자들이 전류를 유도할 수 있으므로, 다중 핫-캐리어 생성은 그래핀을 광 에너지를 전자 자유도까지 고효율 광대역 추출을 위한 유망한 재료로 만들어, 핫 캐리어를 직접 추출할 수 있는 "핫 캐리어 태양 전지(hot carrier solar cell)"라고 하는 일종의 태양 전지를 가능하게 하여, Shockley-Quiesser 한계를 뛰어넘는 효율을 제공한다.
그래핀에서 2차 핫 전자들의 수는 i) 흡수된 광자들의 수와 ii) 개별 광자 에너지의 에너지에 따라 선형적으로 스케일링되어(scale linearly), 상기 광자 에너지를 증가시키면 상기 이완 캐스케이드 동안 전자-전자 산란 이벤트들의 수가 증가하여 보다 뜨거운 캐리어 분포가 발생할 것으로 예측된다. 400㎚ 파장의 고 에너지 광자는 3개의 전자-정공 쌍을 생성할 것으로 예상된다.
그래핀의 낮은 흡수와 같은 직접적인 응용에는 몇 가지 문제가 있지만, 그래핀은 현재 종래의 반도체를 기반으로 하는 많은 기술들에서 급격한 변화를 일으킬 가능성이 있다. 도전 과제는 전류를 추출하고 그래핀의 흡수를 향상시켜 보다 효율적인 태양 전지들로 이어지는 그래핀 장치들의 설계를 가능하게 하는 방법을 찾는 것이다.
이러한 도전 과제를 해결하는데 있어 주요 설계 요소는, 광 유도된 고가의 핫 캐리어들이 흡수하는 그래핀 구조체에 온도 구배가 존재하는 경우, 광 열전 효과로 알려진 열전 전류를 유도할 수 있으며, 이는 상기 나노 스케일에서 에너지 흐름을 제어하고 활용하기 위한 새로운 전망을 열 것이다.
발전 및 냉각 프로세스에 대한 제어는 그래핀의 에너지 흐름을 조작할 수 있는 수단들을 제공할 것이며, 이는 이를 미래 에너지 재료로 활용하는데 핵심이 될 것이다. 개발자들이 이를 달성하기 위해 시도한 한 가지 방법은 생성된 캐리어들의 수가 도핑에 크게 의존하는 것으로 밝혀졌기 때문에 그래핀을 도핑하는 것이다. 이것은 그래핀의 광학 투명성과 결합되어 장치에서 다르게 도핑된 그래핀 레이어들이 다중-접합 태양 전지들에서 광대역 흡수를 설정하는 방법을 제시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그러나 제조 복잡성 및 생산 비용과 관련하여 다시 한 번 유사한 장애물에 직면하게 될 것이다. 그래핀의 높은 전기 전도성, 유연성 및 투명성은 이종 접합 태양 전지들에 유용하며, 전극들(음극들 및 양극들), 공여체 레이어들, 버퍼 레이어들, 수용체 레이어들 및 액티브 레이어들을 포함하여 다양한 방식으로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탄소 원자들의 단일 원자 두께 레이어(single atomically thick layer)에서 태양 흡수를 최대화하기 위한 구조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보다 넓은 범위의 광자 에너지들을 보다 효율적으로 캡처하기 위해 스크롤링된 그래핀 구조체를 사용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흡수된 태양 에너지가 상기 재료 그래핀에서 전류로 변환되는 것을 극대화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단층 특성을 유지하도록 각 레이어를 변위시켜 그래핀을 적층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2개의 전극들 사이에 그래핀 시트를 서스펜드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이러한 기능은 시트 양면에서 양수 곡률 및 음수 곡률에 모두 액세스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벌크 이종 접합 태양 전지들을 설계할 때 전자 공여 재료로서 반응 사이트들(reaction sites)의 수를 증가시키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명세서에서 '광(light)'이라는 용어는 가시 광은 물론이고 적외선(700 ~ 1400㎚의 파장을 가지는 적외선-A로 알려짐)과 자외선(315 ~ 400㎚의 파장을 가지는 UVA)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그래핀(Graphene)'이라는 용어는 하나의 원자가 각 꼭지점을 형성하는 2차원 육각형 격자(two-dimensional hexagonal lattice)에서 탄소 원자들(carbon atoms)의 단일 레이어(single layer)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될 것이다.
도 1은 다중 접합 태양 전지들에 대한 밴드 갭 에너지들과 다양한 직경 반도체 SWCNTs로부터의 흡수 스펙트럼을 비교함으로써, 다양한 곡률을 가지는 SWCNTs의 범위가 다중-접합 태양 전지들에서 발견되는 것과 동일한 밴드 갭 에너지들을 달성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도 2는 상기 탄소 결합의 곡률로 인해 변형이 존재하여 결합 각도들과 길이들이 상이하다 것을 도시한다.
도 3(a)는 지그재그 SWNTs에 대한 튜브 직경의 함수로서 정규화된 결합 길이들의 플롯을 도시한다.
도 3(b)는 지그재그 SWNTs에 대한 튜브 직경의 함수로서 결합 각도들(α 및 β)의 플롯을 도시한다.
도 4는 표면 장력에 의해 유도된 탄소-탄소 결합 각도들과의 상관 관계를 강조하는 에너지 분리 및 탄소-탄소 결합 각도들에 대한 탄소 나노 튜브 직경들의 플롯을 도시한다.
도 5는 회전 또는 비틀림으로 인해 상기 스크롤의 그래핀 레이어들에서 달성된 상기 레이어 오프셋을 보여주는 전형적인 작은 치수의 단일 코일형 스크롤의 개략도를 도시한다.
도 6은 치수들을 보여주는 다중 레이어 단일 코일형 그래핀 스크롤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7(a)는 단일 코일형 그래핀 스크롤의 중심으로부터 거리(㎚)의 함수로서 정규화된 결합 길이들의 플롯을 도시한다.
도 7(b)는 단일 코일형 그래핀 스크롤의 중심으로부터 거리(㎚)의 함수로서 결합 각도들(α 및 β)의 플롯을 도시한다.
도 8은 상기 스크롤의 내부 코어에서 외부 주변까지 탄소 원자들의 결합 각도가 점점 더 커지면서 곡률 구배가 존재함을 보여주는 다중 레이어 단일 코일형 그래핀 스크롤의 횡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9는 상기 스크롤의 각 표면 레이어에서 상이한 흡수 에너지들을 도시하고, 각 레이어가 그것을 통과하는 에너지의 나머지 파장들에 대해 어떻게 투명한지를 보여준다.
도 10은 핫 캐리어 생성을 통한 그래핀의 광 여기 캐스케이드가 단일 코일형 스크롤에서 광 열전 효과를 어떻게 설정하는지를 도시한다.
도 11(a)는 그래핀의 단일 플레이트렛으로 달성될 수 있는 단일 코일형 스크롤링된 토폴로지를 도시한다.
도 11(b) 및 도 11(c)는 그래핀의 단일 플레이트렛으로부터 얻을 수 있는 이중 코일형 스크롤을 도시한다.
도 11(d)는 탄소 원자들의 단일 연속 단층으로 달성할 수 있는 이중 코일형 's' 모양 스크롤 토폴로지를 도시한다.
도 12는 스크롤링 이전의 전형적인 단일 레이어 그래핀 플레이트렛들의 표현을 도시한다.
도 13은 다양한 그래핀 플레이트렛 치수로 달성할 수 있는 전형적인 스크롤 치수들을 보여주는 표를 제시한다.
도 14는 화학 및 마이크로파 조사 공정들을 사용하여 스크롤들을 생성하는 방법 1에 관련된 단계를 도시한다.
도 15는 화학 및 마이크로파 조사 공정들을 사용하여 스크롤들을 생성하는 방법 2에 관련된 단계를 도시한다.
도 16은 전자 공여체로서 단일 코일형 스크롤들의 잉크 블렌드 및 캐리어-선택적 콘택들과 계면될 수 있는 용액-공정 가능한 박막 광 전지들(TFPVs)에서 액티브 레이어로 작용하는 상기 전자 수용체로서 PCBM 및 중합체들의 혼합물을 도시한다.
도 17은 제안된 전지 구성을 도시한다. 현재 전지들의 구성은 전자와 정공 수송 레이어들(각각 ETL 및 HTL) 및 캐리어 선택된 전기 콘택들 사이에 샌드위치된 액티브 레이어로서 단일 코일형 스크롤들/폴리머 블렌드들로 구성된다.
도 18은 두 개의 전기 콘택들 사이에 샌드위치된 액티브 레이어로서 이중 코일형 스크롤들을 이용하는 차세대 태양 전지 아키텍처를 도시한다.
본 발명은 에너지 생성 기술들에 적용하기 위한 탄소-기반 나노 구조체들을 제공한다.
태양 광 흡수(Solar Absorption)
본 발명은 광대역 광 흡수(broadband optical absorption) 및 변환(conversion) 특성을 가지는 그래핀-기반 나노-구조체들(graphene-based nano-structures)을 제공한다.
도 5는 단층 구조체(monolayer structure)를 제공하는 것과 같은 작은 치수의 단일 코일형 그래핀 스크롤(small dimension single coiled graphene scroll)의 개략도를 도시한다. 상기 그래핀 시트들의 곡률 반경은 상기 스크롤의 길이방향 축에서 멀어 질수록 증가한다. 이것은 상기 스크롤의 그래핀 레이어들에서 달성되는 레이어 오프셋(layer offset)을 보여준다. 상기 스크롤의 ABC 레이어링(layering)은 상기 스크롤이 흑연 구조체(layer structure )를 형성하지 못하도록 한다. 그 대신 상기 그래핀 시트는 스크롤 형태로도 단층 구조체를 유지한다. 상기 레이어들을 ABC 스태킹(stacking) 순서로 배열함으로써 상기 그래핀 스크롤이 선택적 파장 범위들에서 흡수하는 태양 에너지의 양을 크게 증가시킨다. 상기 스크롤은 단단히 감겨서 내부 코어가 가능한 한 작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작은 직경(0.3㎚ 내부 직경 - 5.0㎚ 외부 직경) 나노 스크롤에 존재하는 타이트한 곡률(tight curvature)을 이용한다. 이러한 타이트한 곡률은 탄소-탄소 결합 각도들(carbon-carbon bond angles) 및 길이들(lengths)의 변화에 반영되며, 외부 직경이 5㎚ 미만인 탄소 나노-스크롤들에서만 다양하다. 명확히 하기 위해, 상기 스크롤은 임의의 다수 레이어들을 가질 수 있지만, 이상적인 스크롤은 상기 스크롤 주변을 향한 장력 감소로 인해 타이트함을 줄이면서 상기 코어에 가장 타이트하게 감겨 있어야 한다. 실제로, 상기 내부 스크롤 직경은 0.3-0.5㎚ 정도의 단일 벽 탄소 나노 튜브(single wall carbon nanotube, SWNT)의 직경과 비슷한 것이어야 한다. 5㎚의 외부 스크롤 직경을 사용하면, 상기 스크롤의 상기 코어를 향해 상기 표면을 따라 다양한 탄소-탄소 결합 각도들과 길이들에 의해 반사되는 곡률 구배(curvature gradient)가 설정된다.
도 6은 치수를 보여주는 다중 레이어 단일 코일형 탄소 스크롤(multiple layer single coiled carbon scroll)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이상적인 스크롤은 약 0.3㎚의 내부 직경(Di)과 약 5㎚의 외부 직경(Do)을 가져야 한다. 그래핀 시트의 두께(T)는 0.335㎚이고, 레이어 사이의 간격(S)은 0.34㎚이다.
상이한 재료들이 도핑되어 에너지 밴드 갭들을 조정하여 상기 태양 스펙트럼의 상이한 영역들과 일치하는 다중-접합 태양 전지들과 달리, 본 발명은 상기 타이트하게 스크롤링된 단일 나노-구조체들에 존재하는 다양한 탄소-탄소 결합 각도들 및 길이들을 이용한다. 매우 낮은 직경들(<5.0㎚)의 레이어들로 구성되는 탄소 나노-스크롤들은 도 7(a) 및 도 7(b)에 각각 그래프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탄소 결합의 굽힘으로 인하여 결합 길이들과 결합 각도들이 서로 다르기 때문에 작은 직경의 탄소 나노튜브들에서 발견되는 것과 유사한 탄소 원자에 변형을 보일 것으로 예상된다. 도 8은 상기 스크롤의 상기 내부 코어에서 상기 외부 주변까지 탄소 원자들의 결합 각도가 점점 더 커지면서 곡률 구배가 존재함을 보여주는 다중 레이어 단일 코일형 탄소 스크롤의 횡단면도를 도시한다.
스크롤링된 그래핀 시트의 중요한 측면은 두 개의 레이어들에서 상기 탄소 원자들의 오프셋으로 인해 상기 레이어가 효과적으로 분리되고 독립적으로 작용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기능은 상기 시트 양면에서 양수 곡률 및 음수 곡률 모두에 액세스 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공한다. 효과적으로 상기 탄소 나노-스크롤은 그래핀 시트를 매달아 놓는 방법을 제시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레이어들이 단일 스크롤링된 그래핀 시트에 적층되는 방식을 이용함으로써 더 넓은 범위의 광자 에너지들을 보다 효율적으로 캡처하여 상기 스크롤 표면에 입사되는 임의의 각도로부터 광을 흡수할 수 있도록 한다. 상단 레이어들은 보다 낮은-에너지 광자들을 흡수하면서 보다 높은-에너지 광자들을 투과한 다음 상기 스크롤의 하부 레이어들에 흡수된다. 상기 스크롤 전체의 어느 지점에서나 상기 흡수 대역폭은 해당 지점에서 탄소-탄소 결합 각도(carbon-carbon bond angle) 및 탄소-탄소 결합 길이(carbon-carbon bond length)와 직접 관련된다. 도 9는 상기 스크롤의 각 레이어에서 상이한 흡수 에너지들을 도시하고, 각 레이어가 그것을 통과하는 에너지의 나머지 파장들에 대해 어떻게 투명한지 보여준다. 낮은 에너지 적외선 파장들은 탄소-탄소 결합 각도가 120° 인 표면 탄소 원자들로 상기 외부 레이어(1)에서 흡수되는 반면에, 보다 높은 에너지의 자외선 파장들은 상기 스크롤의 레이어들을 통해 탄소 원자들이 110°의 탄소-탄소 결합 각도들을 가지는 레이어(4)로 전송된다. 모든 가시 파장들(visible wavelengths)은 레이어들(2-3)로 흡수된다.
상기 스크롤의 추가 회전들은 보다 큰 직경들을 형성하고, 근적외선 범위 내에서 보다 낮은 에너지 광자들의 보다 큰 흡수 가능성에 해당한다. 이것은 보다 큰 직경들을 커버하기 위해 SWCNTs의 직경 범위들을 확장함으로써, 도 1의 Kataura 플롯에 반영된다. 이는 가령, 햇빛이 없는 야간 에너지 흡수를 포함하여, 24 시간 에너지 흡수 가능성을 제공하므로 유리하다.
상기 스크롤의 일부 실시예는 상기 에지들이 정렬되도록 서로의 위에 놓인 그래핀 레이어들을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시트는 임의의 키랄성(chirality)에서 대각선으로(diagonally) 롤링된다. 상기 롤링된 그래핀 시트의 키랄성은 상이한 에너지 파장들의 흡수에 중요한 요소이기 때문에 핵심 고려 사항이다. 따라서, 상이한 키랄 각도들에서 대각선으로 스크롤링하는 것은 다중 대역폭 태양 광 흡수를 위한 구조체의 대체 가능한 실시예를 제공한다.
태양 광 변환(Solar Conversion)
상기 탄소 나노-스크롤 표면을 따라 있는 각 지점은 상이한 대역폭의 광을 흡수한다. 효과적으로, 상기 스크롤의 각 레이어는 전기적으로 직렬로 연결된다. 상기 레이어들은 또한 상기 태양 스펙트럼의 상기 적외선 범위에서 흡수하는 레이어(1)가 상부(태양을 향함)에 있고, 다른 레이어들이 상승하는 광자 에너지 흡수와 일치하도록 광학적 직렬들(optical series)로 되어 있다. 따라서, 상부 레이어(1)에서는 에너지가 가장 낮은 광자들만 흡수된다. 보다 높은 에너지를 가지는 광자들은 아래의 레이어(2) 등등으로 전송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상기 탄소 스크롤은 넓은 태양 스펙트럼을 파장 대역들로 분할하며, 각 파장 대역은 그래핀의 평평한 시트보다 개별 레이어에 더 효율적으로 흡수될 수 있다. 특히 에너지가 보다 높은 광자들은 에너지가 보다 낮은 광자들보다 광-전압이 더 커진다.
도 10은 도 9에서 논의된 상기 광자 흡수가 어떻게 가장 안쪽 레이어(4)에서 주변 레이어(1)까지 상기 스크롤 주위에 열전 효과(thermoelectric effect)를 어떻게 생성할 수 있는지를 도시한다. 상기 스크롤이 광자들을 흡수하면 상기 재료의 전자들이 가열되어 뜨거워지는 반면 각 레이어를 분리하는 기본 탄소 격자는 냉각 상태로 유지된다. 상기 여기된 그래핀의 전자들은 상기 탄소 격자에 제대로 결합하지 않아 열을 전달할 수 없기 때문에 쉽게 냉각되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 열은 스크롤링된 레이어들을 통해 전달되는 대신 그 주위에서 전자에서 전자로 이동해야 한다.
탄소 나노-스크롤들에서 2차 핫 전자들의 수는 i) 흡수된 광자들의 수와 ii) 개별 광자 에너지의 에너지에 따라 선형적으로 스케일링 될 것으로 예측된다. 상기 광자 에너지를 증가시키면 이완 캐스케이드(relaxation cascade) 동안 전자-전자 산란 이벤트들의 수가 증가하여 보다 핫 한 캐리어 분포가 발생한다. 400㎚ 파장의 높은 에너지 광자는 3개의 전자-정공 쌍을 추가 생성하고, 600㎚ 파장은 2개의 전자-정공 쌍을 추가 생성하며, 800㎚ 파장은 1개의 전자-정공 쌍을 추가 생성할 것으로 예상된다. 본 발명에서 구현된 스크롤은 상기 구조체의 코어에서 보다 높은 에너지의 광자들을 흡수하도록 설계되고 코어에서 타이트하여, 이것은 상기 스크롤의 주변 레이어를 향해 전류를 유도하는 포토-캐스케이드 효과(photo-cascade effect)를 설정할 것으로 예상된다.
광 에너지를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장치의 기능은 또한 상기 장치가 스크롤의 크기에 따라 다양한 광 주파수들에 걸쳐 감도를 가지는 광 검출기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은 광대역 광 흡수를 위한 탄소-탄소 결합 각도들 및 탄소-탄소 결합 길이들의 모든 변화를 커버하기 위해 타이트한 곡률을 유지하면서 스크롤링된 그래핀의 상이한 토폴로지로 달성될 수 있다. 도 11(a)는 그래핀의 단일 플레이트렛(single platelet)으로 달성될 수 있는 전형적인 단일 코일 스크롤링된 토폴로지를 도시한다. 도 11(b) 및 도 11(c)는 그래핀의 단일 플레이트렛에서 얻을 수 있는 이중 코일형 스크롤을 도시한다. 도 11(d)는 이중 코일형 's' 모양의 스크롤 토폴로지를 도시한다.
그래핀 나노-스크롤들의 제조(Preparing Graphene nano-scrolls)
그래핀 나노 스크롤들은 임의의 적절한 방법으로 만들 수 있다. 이제 반복 가능하고 재현 가능한 제조 방법을 설명할 것이다.
두께가 한 개의 레이어에 불과하고, 상대적으로 결함이 있으며, 오염 물질이 없는 그래핀 샘플들은 이러한 표준들을 충족하지 않는 샘플보다 컬링(curl) 가능성이 더 높은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또한 그래핀은 불규칙하거나(ragged) 짧은 에지들에 비해 길고 부드러운 에지들을 따라 스크롤하는 경향이 있다. 이러한 이유로 그래핀 나노-스크롤들의 제조에 사용되는 그래핀은 잘-정의된 모양(well-defined shape)이고, 오염 및 결함이 없는 것이 유리하다.
도 6은 그래핀 플레이크들의 측면 크기를 결정하는데 필요한 스크롤링된 그래핀 단층의 특정 치수를 도시한다. 이들 치수는 0.3㎚로 고정된 스크롤의 내부 직경(Di), 0.34㎚로 고정된 그래핀 레이어의 두께(W) 및 0.34㎚로 고정된 레이어 사이의 간격(S)을 포함한다.
도 12는 스크롤링 이전의 전형적인 단일 레이어 그래핀 플레이크들(Graphene flakes)의 표현을 도시하며, 기계적으로 안정적인 그래핀 나노-스크롤을 생성하는데 필요한 측면 치수들의 범위를 보여준다. 상기 도시된 플레이트렛들은 일정한 치수를 가지지만 잠재적으로 어떤 모양이든 가질 수 있다.
상기 플레이트렛들의 길이(L)는 하기 공식을 사용하여 근사화 할 수 있다. L = πn(Di+(W+S)(n-1)). 상기 외부 직경(Do)은 하기 공식을 사용하여 계산할 수 있다. Do = 2nW+2(n-1)S+Di.
도 13은 레이어들의 수(n), 상기 스크롤의 외부 직경(Do) 및 상기 그래핀 플레이크의 측면 길이(L)에 대한 가변 파라미터들을 표 형식으로 설정한다. 탄소 나노-스크롤에서 기계적 안정성을 얻으려면 그래핀 플레이트렛들의 길이가 25㎚ 이상 이어야 한다. 상기 표에서 모든 탄소-탄소 결합 각도와 길이 변화들을 포함하는 상기 스크롤의 최적화된 길이는 29.4㎚이며, 이것은 4개의 레이어들과 약 5㎚의 외부 직경으로 타이트하게 스크롤링된 구조체를 제공할 것이다. 이러한 스크롤에서 상기 레이어들은 상기 스크롤 중앙에 최소한의 공간을 두고 가능한한 타이트하게 상호 적층될 것이다. 이것은 또한 보다 큰 기계적 안정성을 제공할 것이다. 중요한 것은, 상기 스크롤에서 얻을 수 있는 열전 구배로 인해 상기 핫 캐리어 다중 효과(hot carrier multiplication effect)가 잠재적으로 보다 많은 레이어들과 보다 큰 외부 직경들을 가지는 스크롤들에서 전류를 유도할 가능성이 있다는 것이다.
하향식 접근법 : 화학적 박리(Chemical exfoliation)/초음파(sonication) 및 마이크로파 조사(microwave irradiation)
그래핀 나노-스크롤들을 형성하기 위한 그래핀의 개별 조작은 이전에 Xu Xie 등, Nature Chemistry Vol. 2016년 9월 7일, 730-736에서 달성되었고, 이에 의해 이소프로필 알코올 용액(Isopropyl Alcohol solution)을 사용하여 SiO₂/Si 기판들 상에 미리 정의된 단층 그래핀을 롤 업(roll up)했다. 측면 길이가 100㎚ 미만인 그래핀 플레이트렛들에서 이러한 기술을 사용하여 타이트한 스크롤링을 달성할 수 있다면, 특성화는 상기 기판들 상의 상기 그래핀 나노-스크롤들에서 인-시튜로 수행될 수 있기 때문에 이것은 그래핀 나노-스크롤들의 개별 생산에 이상적일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기술이 타이트한 스크롤을 생성할 가능성은 낮지만, Xu Xie 등의 논문에서 그래핀 나노-스크롤들에 중공 코어들과 40개 이상의 레이어들이 있다고 언급했으므로 그래핀 시트가 느슨하게 컬링되며, 이는 그들이 훨씬 보다 큰 시트들로 형성됨을 암시한다. 또한 Viculis 등: Science Vol. 299, 2003년 2월 28일, 1361에서 수행된 실험에서 용매로 사용된 에탄올은 또한 이러한 그래핀 조각들에서 스크롤링을 유도하는 이유가 될 수 있다고 믿어진다.
상기 그래핀 시트들에서 타이트한 스크롤링을 달성하기 위하여, 그래핀 시트의 한쪽에 이소프로필 알코올을 배치하면 스크롤링이 유발되는 이유를 볼 수 있다. 흑연 전극들의 표면에서 스크롤링된 구조체들이 발견된 Bacon의 원래 실험과 마찬가지로, 상기 그래핀 시트 양쪽에서 화학적/온도 불균형(chemical/temperature imbalance)으로 인해 표면적을 줄이기 위해 상기 크래핀이 스크롤링되는 것으로 믿어진다. 이러한 메커니즘을 사용하여 보다 타이트한 스크롤을 달성하기 위하여, 상기 그래핀 시트의 양쪽에 차이를 보다 크게 만들어 상기 그래핀이 지속적으로 표면적을 줄이도록 제어하는 방법을 찾을 수 있다. 상기 마이크로파들이 통과하는 액체 질소에 흡수되지 않기 때문에 액체 질소에서 마이크로파 스파크 지원으로 고품질 그래핀 나노-스크롤들이 생산된다는 Zheng 등, Adv. Matter. 2011,23, 2460-2463에 의해 입증된 바와 같이, 보다 큰 온도 차이로 달성할 수 있다. 효과적으로, 상기 흑연 구조체 내의 상기 그래핀 평면들은 마이크로파 흡수와 함께 팽창하는 동시에 상기 액체 질소와 접촉하는 2개의 표면들(흑연의 상부 및 하부)이 냉각된다. 이로 인해 상기 그래핀 시트들이 보다 타이트한 스크롤링된 구조체들로 컬링된다. 이러한 메커니즘은 두 그래핀 평면들 모두 측면에 걸쳐 불균형이 있고, 한쪽이 다른 그래핀 레이어를 향하고 다른 쪽이 액체 질소에 노출되므로 이중 레이어 그래핀(bilayer Graphene) 샘플들에서 훨씬 더 효과적일 수 있다.
상기 액체 질소 내에서 스크롤링된 형태가 되면, 상기 액체 질소의 온도를 더 낮춘 다음 이미 형성된 탄소 나노-스크롤들을 저전력(low power)으로 마이크로파를 사용하여 추가 타이트함을 자극할 수 있다. 액체 질소는 마이크로파를 흡수하지 않는다. 이것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섭씨 -273도(0 켈빈)의 액체 질소에 담근 탄소 나노-스크롤을 생각하고, 그 다음 상기 그래핀을 통해 낮은 마이크로파를 통과시켜야 한다. 상기 그래핀 스크롤의 내부 레이어링으로 인해 상기 그래핀이 확장될 것이다. 상기 그래핀 나노-스크롤의 가장 바깥 쪽과 가장 안쪽 레이어는 동시에 냉각되고, 안쪽으로 더 스크롤하여 상기 액체 질소에 대한 표면 노출을 줄여 더 타이트한 스크롤을 만든다.
앞서 논의된 배경을 바탕으로 화학적 박리/초음파 및 마이크로파 조사 기술의 조합을 사용하여 작은 치수의 그래핀 시트들을 타이트하게 스크롤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다음 두 가지 방법은 이중 레이어 그래핀을 사용하여 이를 달성하는 단계를 제공한다.
도 14는 화학 및 마이크로파 조사 공정들을 사용하여 스크롤들을 생성하는 방법 1에 관련된 단계를 도시한다. 방법 1은 Zheng 등의 마이크로파 조사 실험을 사용하여 스크롤을 생성하며, 이것은 효과적으로 짧은 고출력 마이크로파들을 사용하여 이중 레이어 분리와 동시 스크롤링을 유도하는 것이다.
도 15는 화학 및 마이크로파 조사 공정들을 사용하여 스크롤들을 생성하는 방법 2에 관련된 단계를 도시한다. 방법 2는 2 단계 흑연 층간 삽입 화합물(stage two graphite intercalation compound, GIC2)을 사용하여 느슨하게 스크롤링된 그래핀 나노 스크롤들을 생성하기 위해 Viculus 등의 실험과 함께 사용할 수 있는 이중 레이어 그래핀 조각들을 생성한다. 마지막 단계는 느슨하게 스크롤링된 구조체들을 액체 질소로 마이크로파를 사용하여 스크롤들을 타이트하게 하는 것이다. 두 가지 방법 모두 층간 삽입에 사용되는 이온성 액체가 마이크로파를 흡수할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Viculus 실험은 모든 평면 사이에 상기 흑연을 층간 삽입하기 위해 칼륨(KC₂₄)을 사용한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KC₄8는 또한 고려할 수 있는 2 단계 흑연 층간 삽입 화합물이지만, 마이크로웨이빙 및 특성화 이전에 철저한 세척이 필요하다.
응용(Applications)
벌크 이종 접합 유기 태양 잉크(bulk heterojuction organic solar inks)
유기 태양 전지들은 인쇄 가능, 휴대 가능하고, 착용 가능하고, 일회용이며, 생체 적합하며, 곡면에 부착 가능하며, 벌크 이종 접합들을 상기 액티브 레이어로 활용한다. 이러한 벌크 이종 접합 잉크는 전자 공여체들과 전자 수용 요소들의 혼합물을 기반으로 한다. 도 16은 전자 공여체로서 탄소 나노-스크롤들(5) 및 효과적인 전하 캐리어 분리를 위해 캐리어 선택적 콘택들과 계면될 수 있는 용액-공정 가능한 박막 광 전지들(solution-processable thin film photovoltaics, TFPVs)에서 상기 활성 레이어로 작용하는 전자 수용체로서 PCBM/폴리머들(6)의 잉크 블렌드를 도시한다. 탄소 나노-스크롤들은 상기 스크롤 끝과 외부 레이어를 따라 많은 수의 에지 반응 사이트들로 인해 벌크 이종 접합에서 전자 공여체로 SWNT를 사용하는 것보다 상당한 이점을 제공한다.
박막 광 전지(TFPV) 기술은 저비용 공정 기술을 사용할 수 있는 재료들로 효율적인 태양 전지를 생산하는데 중점을 둔다. 본 발명은 열적, 화학적, 광학적 안정성은 물론이고, 넓은 스펙트럼 흡수와 높은 캐리어 이동성을 가지는 부품을 활용하는 용액 공정 가능한 광 전지들의 방편으로서 탄소 나노-스크롤들에 기반하여 태양 전지들을 구현하는 것을 제안한다.
도 17은 상기 제안된 전지 구성을 도시한다. 현재 전지들의 구성은 전자(9)와 정공(11) 수송 레이어들(각각 ETL 및 HTL) 및 전기 콘택들(8과 12) 사이에 샌드위치된 액티브 레이어(10)로서 코일형 그래핀 스크롤들/PCBM- 중합체 블렌드들로 구성된다.
도 18은 두 개의 전기 콘택들(13 및 15) 사이에 샌드위치된 액티브 레이어(12)로서 이중 코일형 그래핀 스크롤들을 이용하는 차세대 태양 전지 아키텍처를 도시한다.

Claims (17)

  1. 광(light) 에너지를 변환(converting)하기 위한 장치로서,
    2개의 전기 콘택들; 및
    상기 2개의 전기 콘택들 사이에 샌드위치되는 액티브 레이어(active layer) - 상기 액티브 레이어는 하나 이상의 스크롤을 포함하고, 상기 스크롤 또는 각각의 스크롤은 상기 스크롤로 형성되는 그래핀 시트(Graphene sheet)로만 구성되어, 상기 스크롤의 길이방향 축으로부터의 거리가 증가할수록 상기 그래핀 시트의 곡률 반경(radius of curvature)이 증가하는 단층 구조체(monolayer structure)를 제공함 -;
    를 포함하는
    광 에너지 변환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롤은 5 ㎚ 이하의 내부 직경을 가지는,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롤은 0.3 내지 0.5 ㎚의 내부 직경을 가지는,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롤은 5 ㎚ 이하의 외부 직경을 가지는,
    장치.
  5.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롤은 단일 레이어(single layer)를 가지는,
    장치.
  6.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롤은 다중 레이어들(multiple layers)을 가지는,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각각의 스크롤 내의 상기 다중 레이어들은 각각 에지(edge)를 가지며,
    상기 다중 레이어들의 상기 에지들은 상기 다중 레이어들 사이에 정렬되는,
    장치.
  8.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그래핀 시트는 키랄성(chirality)에서 대각선으로 롤링되는(diagonally rolled),
    장치.
  9.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롤의 제조에 사용되는 상기 그래핀은 오염 및 결함이 없는,
    장치.
  10.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롤의 제조에 사용되는 그래핀 플레이트렛(Graphene platelets)의 길이는 25 ㎚ 이상인,
    장치.
  11.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다중 스크롤들(multiple scrolls)을 포함하는,
    장치.
  12.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전자 수송 레이어(electron transport layer) 및 정공 수송 레이어(hole transport layer)을 더 포함하되,
    상기 하나 이상의 그래핀 스크롤은 상기 전자 수송 레이어 및 상기 정공 수송 레이어 사이에 샌드위치되는 상기 액티브 레이어를 정의하고,
    상기 전자 수송 레이어 및 상기 정공 수송 레이어는 상기 2개의 전기 콘택들 사이에 샌드위치되는,
    장치.
  13.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그래핀 시트의 두께는 0.335 nm인,
    장치.
  14.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롤 내의 상기 다중 레이어들 사이의 레이어 사이 간격은 0.34 nm인,
    장치.
  15.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롤 내의 다중 그래핀 레이어들은 ABC 스태킹 순서로 배열되는,
    장치.
  16. 벌크 이종 접합 유기 태양 잉크(bulk heterojunction organic solar ink)로서,
    스크롤들 및 전자 수용체로서 PCBM 및 중합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되,
    각각의 스크롤은 상기 스크롤로 형성되는 그래핀 시트로 구성되어, 상기 스크롤의 길이방향 축으로부터의 거리가 증가할수록 상기 그래핀 시트의 곡률 반경이 증가하는 단층 구조체를 제공하는
    벌크 이종 접합 유기 태양 잉크.
  17. 열(heat) 에너지를 변환하기 위한 장치로서,
    2개의 전기 콘택들; 및
    상기 2개의 전기 콘택들 사이에 샌드위치되는 액티브 레이어 - 상기 액티브 레이어는 하나 이상의 스크롤을 포함하고, 상기 스크롤 또는 각각의 스크롤은 상기 스크롤로 형성되는 그래핀 시트로만 구성되어, 상기 스크롤의 길이방향 축으로부터의 거리가 증가할수록 상기 그래핀 시트의 곡률 반경이 증가하는 단층 구조체를 제공함 -;
    를 포함하는
    열 에너지 변환 장치.
KR1020217014132A 2018-10-11 2019-10-11 에너지 발전 응용을 위한 신규한 탄소 나노-구조체 KR10257712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GB1816575.3 2018-10-11
GBGB1816575.3A GB201816575D0 (en) 2018-10-11 2018-10-11 Novel carbon nano-structures for energy generation and energy storage applications
PCT/EP2019/077654 WO2020074728A1 (en) 2018-10-11 2019-10-11 Novel carbon nano-structures for energy generation application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3279A KR20210083279A (ko) 2021-07-06
KR102577127B1 true KR102577127B1 (ko) 2023-09-08

Family

ID=643975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14132A KR102577127B1 (ko) 2018-10-11 2019-10-11 에너지 발전 응용을 위한 신규한 탄소 나노-구조체

Country Status (19)

Country Link
US (2) US11696490B2 (ko)
EP (1) EP3864716B1 (ko)
JP (1) JP7301960B2 (ko)
KR (1) KR102577127B1 (ko)
CN (1) CN113383440B (ko)
AU (1) AU2019356973A1 (ko)
BR (1) BR112021006933A8 (ko)
CA (1) CA3115883A1 (ko)
CY (1) CY1126123T1 (ko)
EA (1) EA202190911A1 (ko)
ES (1) ES2947750T3 (ko)
GB (1) GB201816575D0 (ko)
HR (1) HRP20230592T1 (ko)
IL (1) IL282224A (ko)
MX (1) MX2021003755A (ko)
PL (1) PL3864716T3 (ko)
RS (1) RS64346B1 (ko)
WO (1) WO2020074728A1 (ko)
ZA (1) ZA20210308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01816575D0 (en) 2018-10-11 2018-11-28 Seeds Capital Ltd Novel carbon nano-structures for energy generation and energy storage applications
CN114197054B (zh) * 2020-09-18 2023-06-20 湖南大学 一种高阶超晶格的合成及其应用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8846B1 (ko) 2004-11-09 2014-11-07 더 보드 오브 리전츠 오브 더 유니버시티 오브 텍사스 시스템 나노섬유 리본과 시트 및 트위스팅 및 논-트위스팅 나노섬유 방적사의 제조 및 애플리케이션
DE102007044031A1 (de) 2007-09-14 2009-03-19 Bayer Materialscience Ag Kohlenstoffnanoröhrchenpulver, Kohlenstoffnanoröhrchen und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WO2011005375A2 (en) 2009-05-27 2011-01-13 Board Of Regents, The University Of Texas System Fabrication of biscrolled fiber using carbon nanotube sheet
EP2284933A1 (de) 2009-07-22 2011-02-16 Bayer MaterialScience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dehnbaren Elektroden
US20110203632A1 (en) * 2010-02-22 2011-08-25 Rahul Sen Photovoltaic devices using semiconducting nanotube layers
CN101962182A (zh) * 2010-10-26 2011-02-02 云南大学 碳纳米棒的简易制备方法
EP2682412A4 (en) * 2011-03-03 2014-08-27 Jx Nippon Oil & Energy Corp POLYMER AND PHOTOELECTRIC CONVERSION ELEMENT
CN102280590B (zh) * 2011-08-18 2013-04-24 北京理工大学 一种基于胶体量子点及石墨烯为光阳极的太阳电池及其制备方法
US9202606B2 (en) * 2012-04-13 2015-12-01 University Of Georgia Research Foundation, Inc. Functional nanostructured “jelly rolls” with nanosheet components
GB201212229D0 (en) 2012-07-10 2012-08-22 Johnson Matthey Plc Ion-conducting membrance
DE102013210679A1 (de) * 2013-06-07 2014-12-11 Bayer Materialscience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mehrwandiger Kohlenstoffnanoröhrchen, mehrwandiges Kohlenstoffnanoröhrchen und Kohlenstoffnanoröhrchenpulver
KR101725616B1 (ko) 2014-03-04 2017-04-13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내부에 양쪽성 물질을 포함하는 스크롤 복합재 및 그의 제조방법
US10224499B2 (en) * 2015-02-02 2019-03-05 University Of Kansas Biomolecule-carbon nanostructure nanocomposites for optoelectronic devices
JPWO2017104591A1 (ja) 2015-12-18 2018-10-04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n型熱電変換層、熱電変換素子およびn型熱電変換層形成用組成物
US11014816B2 (en) * 2016-06-21 2021-05-25 William Marsh Rice University Laser-induced graphene (LIG) and laser induced graphene scrolls (LIGS) materials
KR101940795B1 (ko) * 2017-02-03 2019-01-21 삼성전자 주식회사 롤 형태를 갖는 전극 구조체, 이를 채용한 전극 및 전기소자, 및 상기 전극 구조체의 제조방법
CN107946263B (zh) * 2017-11-22 2019-08-30 华进半导体封装先导技术研发中心有限公司 一种基于石墨烯热界面层的高效散热封装结构及其制造方法
GB201816575D0 (en) 2018-10-11 2018-11-28 Seeds Capital Ltd Novel carbon nano-structures for energy generation and energy storage applications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Fanyan Zeng et al., Adv. Mater. 2011, 23, 4929(2011.9.26.)*
Liangyong Chu et al., J. Phys. Chem. C 2011, 115, 15217(2011.6.29.)*
M H Tahersima et al., Nanotechnology 26, 2015, 344005(2015.8.3.)*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IL282224A (en) 2021-05-31
US11696490B2 (en) 2023-07-04
AU2019356973A1 (en) 2021-06-03
CN113383440B (zh) 2024-03-12
HRP20230592T1 (hr) 2023-09-15
JP2022504836A (ja) 2022-01-13
CY1126123T1 (el) 2023-11-15
WO2020074728A1 (en) 2020-04-16
US20230276688A1 (en) 2023-08-31
BR112021006933A8 (pt) 2023-04-11
CN113383440A (zh) 2021-09-10
ES2947750T3 (es) 2023-08-17
US20210351368A1 (en) 2021-11-11
RS64346B1 (sr) 2023-08-31
GB201816575D0 (en) 2018-11-28
JP7301960B2 (ja) 2023-07-03
BR112021006933A2 (pt) 2021-07-20
KR20210083279A (ko) 2021-07-06
EP3864716B1 (en) 2023-06-07
EP3864716A1 (en) 2021-08-18
ZA202103083B (en) 2022-07-27
MX2021003755A (es) 2021-08-19
EA202190911A1 (ru) 2021-07-05
EP3864716C0 (en) 2023-06-07
PL3864716T3 (pl) 2023-08-07
CA3115883A1 (en) 2020-04-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Zhang et al. Graphene‐based mixed‐dimensional van der Waals heterostructures for advanced optoelectronics
Yang et al. Carbon nanotube photoelectronic and photovoltaic devices and their applications in infrared detection
US20230276688A1 (en) Novel carbon nano-structures for energy generation applications
Li et al. Carbon/silicon heterojunction solar cells: state of the art and prospects
Yong et al. Theoretical efficiency of nanostructured graphene‐based photovoltaics
Li et al. Recent progress of one-dimensional ZnO nanostructured solar cells
Hochbaum et al. Semiconductor nanowires for energy conversion
US20120312343A1 (en) Nanostructured material based thermoelectric generators and methods of generating power
Aftab et al. Recent advances in rolling 2D TMDs nanosheets into 1D TMDs nanotubes/nanoscrolls
Castrucci et al. Large photocurrent generation in multiwall carbon nanotubes
Huo et al. Self-powered broadband photodetector based on single-walled carbon nanotube/GaAs heterojunctions
JP2003209270A (ja) 炭素系光電素子およびその製造方法
Liu et al. Two-dimensional heterojunction photovoltaic cells with low spontaneous-radiation loss and high efficiency limit
Sivasubramaniam et al. Performance enhancement in silicon solar cell by inverted nanopyramid texturing and silicon quantum dots coating
Han et al. Design and fabrication of 1-D semiconductor nanomaterials for high-performance photovoltaics
Dong et al. A perspective on optimizing photoelectric conversion process in 2D transition-metal dichalcogenides and related heterostructures
Jafari et al. Strained Carbon Nanotube (SCNT) thin layer effect on GaAs solar cells efficiency
JP5936186B2 (ja) 太陽電池の製造方法
OA20183A (en) Novel carbon nano-structures for energy generation applications.
Tahersima et al. Strong Photon Absorption in 2-D Material-Based Spiral Photovoltaic Cells
Singh et al. Two-Dimensional Materials for Advanced Solar Cells
Kumar et al. Nanomaterials for advanced photovoltaic cells
Yu et al. High Efficient Solar Cell Based on Heterostructure Constructed by Graphene and GaAs Quantum Wells
Sinha et al. Graphene for the potential renewable energy applications
Bartynski et al. Multichromophoric energy sensitization of C60 for organic photovoltaic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