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68437B1 - 내시경 - Google Patents

내시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68437B1
KR102568437B1 KR1020220094294A KR20220094294A KR102568437B1 KR 102568437 B1 KR102568437 B1 KR 102568437B1 KR 1020220094294 A KR1020220094294 A KR 1020220094294A KR 20220094294 A KR20220094294 A KR 20220094294A KR 102568437 B1 KR102568437 B1 KR 1025684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cket
endoscope
curved
wire
ten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942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은순
이성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다인메디컬그룹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다인메디컬그룹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다인메디컬그룹
Priority to KR10202200942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68437B1/ko
Priority to KR1020230083063A priority patent/KR202400161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84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84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5Flexible endoscopes
    • A61B1/0051Flexible endoscopes with controlled bending of insertion part
    • A61B1/0057Constructional details of force transmission elements, e.g. control wi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064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endoscope body
    • A61B1/00066Proximal part of endoscope body, e.g. hand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5Flexible endoscopes
    • A61B1/0051Flexible endoscopes with controlled bending of insertion part
    • A61B1/0052Constructional details of control elements, e.g. handl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athology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Biophys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Instruments For Viewing The Inside Of Hollow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시경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내시경의 선단삽입부 만곡을 제어하기 위한 만곡 와이어의 장력을 항시 유지할 수 있는 내시경 만곡 조작부에 관한 것이다.
상기 목표를 위해 발명의 내시경은 내시경의 선단을 견인하는 만곡 와이어 및 상기 만곡 와이어가 권취되어 동력을 전달하는 풀리 유닛; 상기 풀리 유닛과 맞물려 회동하는 구동기어; 상기 풀리 유닛에 만곡 와이어의 종단과 체결되는 브라켓, 상기 브라켓을 고정하는 홀더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구조를 갖는 내시경 장치는 만곡 와이어의 장력을 항시 유지할 수 있으며, 외부 요인이나 시간의 흐름 등에 의해 와이어가 느슨해졌을 경우 재조정하여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내시경 {Endoscope}
본 발명은 내시경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내시경의 선단측 만곡부를 조절하는 조작장치에서 만곡부를 조작하기 위한 와이어의 장력을 안정적으로 조정하고, 외부 요인 등에 의해 와이어의 장력이 변경되거나 소실된 경우, 와이어의 고정 위치를 쉽게 재조정할 수 있어 와이어의 장력의 복구가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내시경에 관한 것이다.
내시경은 피검사체의 내부로 삽입되어 피검사체의 내부를 촬영 및 처치하기 위한 장치로, 이때 피검사체는 주로 인체 또는 동물의 몸체와 같은 살아있는 생물체에 해당되며, 사용자는 내시경의 선단부에 구비된 가늘고 긴 선단삽입부를 체강 내에 삽입함으로써, 상기 선단삽입부에 구비된 촬영장치과 처치도구를 통하여, 피검사체의 체강 내부의 장기를 관찰하고, 필요시 처치도구를 활용하여 각종 처치를 할 수 있다.
이러한 내시경은 일반적으로, 선단삽입부의 선단측 만곡부 내부에 한 쌍 이상의 만곡 와이어가 배치되고, 이 만곡 와어어의 견인과 이완을 통하여 상기 선단삽입부의 만곡부를 사용자가 원하는 방향으로 휘어지도록 조작할 수 있게 되는데, 이러한 만곡 와이어의 견인과 이완 동작은 만곡 와이어의 장력에 큰 영향을 받게 된다.
따라서, 상기 만곡 와이어의 장력이 제대로 유지되지 않으면 내시경의 선단삽입부의 만곡부의 조작에 있어서, 사용자의 의도에 따른 정확한 조작이 어려울 수 있으며, 피검사체의 내부에서 상기 만곡부의 조작이 오작동을 일으킬 경우 의료사고가 발생할 위험이 있어 내시경의 구성에 있어서, 상기 만곡부의 조작에 대한 안정성과 신뢰성의 확보가 중요하며, 이를 위한 하나의 방법으로 상기 만곡부의 조작을 위한 만곡 와이어의 장력을 일정하게 유지할 필요성이 제시되고 있다.
이처럼, 내시경의 조작과 관련된 장력을 유지하기 위한 종래의 기술로, 내시경의 선단만곡부를 조작하기 위한 와이어의 장력을 유지하기 위한 구조로, 장력을 조절하기 위한 구성이 다단으로 조정되도록 구성되는데, 장치의 구조가 복잡하여 조립에 어려움이 있으며, 그에 따른 장력을 조절하기 위한 방법도 복잡하며 전용 공구가 필요한 문제가 있으며, 복잡한 구조로 인한 생산비용이 증가하는 문제도 발생하고 있다.
아울러, 또 다른 종래 기술로 국내 공개특허 제10-2017-0074116호의 내시경 장치는 핸드피스 내부에 구동 풀리와 종동 풀리가 배치되고, 두 풀리 사이의 구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벨트의 장력을 보정하기 위한 장력 유지 롤러가 포함되어 있는 기술을 개시하고 있는데, 상기 장력 유지 롤러는 풀리의 구동력 전달을 위한 벨트의 장력을 보정하기 위한 장치로, 그 장력을 조절하기 위한 구성은 구비되지 않아 만곡부의 조작을 위한 와이어의 장력의 조절과 관련된 내용은 명시되지 않고 있다.
따라서, 내시경의 선단삽입부의 만곡부를 조절하기 위한 만곡 와이어의 장력을 유지 보수하는 장치를 구성하는데 있어서, 구조를 간단하게 구성하여 유지 보수작업이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조립이 편리하여 생산성이 향상되며, 그 제조관리 비용이 감소되고, 별도의 공구가 필요하지 않아 장력의 유지보수 작업이 편리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만곡 와이어의 장력 유지수단이 구비된 내시경의 개발이 필요하다.
한국 공개특허 공보 KR 10-2017-0074116 A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서, 간편한 구조로 만곡 와이어의 장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 내시경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만곡 와이어의 장력을 유지 보수하는 작업이 간단하게 이루어질 수 있어, 만곡 와이어의 장력을 항상 일정하게 유지하는데 어려움이 없는 내시경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장력의 조절장치에 있어서 세밀하게 조절 가능하고 장력의 연속된 조절 구조를 갖도록 변경하여 내시경의 운용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 내시경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내시경 장치의 제조비용을 절감하여 판매가격을 낮출 수 있어, 검사를 위한 내시경 장치의 보급률 증가를 기대할 수 있는 내시경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내시경 장치의 장력 등을 원활하게 조정, 회복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함으로써 장치의 유지보수 비용을 절감하고 결과적으로 환자의 검사비용을 낮출 수 있는 내시경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내시경은, 선단삽입부의 방향을 조절하는 만곡조작부를 구비한 내시경으로서, 상기 선단삽입부의 내측에 일측이 삽입 고정된 적어도 한 쌍의 만곡 와이어; 및 상기 한 쌍의 만곡 와이어가 서로 반대 방향으로 권취되도록 구비된 풀리 유닛; 상기 한 쌍의 만곡 와이어의 타측 끝단이 각각 삽입되어 체결되는 관통구가 중심에 형성된 기둥형태의 브라켓; 상기 브라켓이 각각 삽입될 수 있고 삽입되는 깊이를 조절할 수 있는 삽입홈이 수평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며, 상기 풀리유닛에 구비된 홀더;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내시경에서, 상기 브라켓은, 길이방향에 대하여 전방의 축부와 후방의 헤드부로 구분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헤드부의 외주면은 상기 축부의 외주면보다 외부를 향해 더 돌출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내시경은, 상기 홀더에 상기 삽입홈과 수직되게 연통된 고정홈이 형성되며, 상기 고정홈에 삽입되어 상기 브라켓을 고정할 수 있는 장력고정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내시경에서, 상기 브라켓은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브라켓의 나사산에 나사결합되는 고정너트를 구비하여, 상기 홀더에 삽입배치된 브라켓의 위치를 임의의 위치에서 고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내시경에서, 상기 만곡 와이어와, 상기 만곡 와이어를 조작하기 위한 풀리유닛은, 한 쌍 더 구비되어 상기 선단삽입부에 삽입고정된 만곡 와이어의 조작 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조작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내시경은, 상기 브라켓의 관통구에, 상기 만곡 와이어의 단부가 삽입될 수 있는 와이어슬롯이 더 형성된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내시경은, 상기 풀리 유닛과 동심 회전축으로 구비된 종동기어; 및, 상기 종동기어에 소정의 기어비로 치합되며, 외부에서 회전력을 제공하는 레버와 결합된 구동기어;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상의 구성 및 작용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의한 내시경은 간편한 구조로 만곡 와이어의 장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 내시경을 제공하는 효과를 갖게 된다.
또한, 만곡 와이어의 장력을 유지 보수하는 작업이 간단하게 이루어질 수 있어, 만곡 와이어의 장력을 항상 일정하게 유지하는데 어려움이 없는 내시경을 제공하는 효과를 갖게 된다.
또한, 장력의 조절장치에 있어서 세밀하게 조절 가능하고 장력의 연속된 조절 구조를 갖도록 변경하여 와이어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 내시경을 제공하는 효과를 갖게 된다.
또한, 장치의 제조가격이 저렴해짐에 따라 판매가격 또한 저렴하게 낮출 수 있어, 검사를 위한 장치의 보급율의 증가를 기대할 수 있는 내시경을 제공하는 효과를 갖게 된다.
또한, 장치의 장력 유지 보수를 원활하게 하는 구조를 구비함으로써 환자의 검사 비용이 줄어 들 수 있는 내시경을 제공하는 효과를 갖게 된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내시경에 있어서 만곡 조절부의 전체 구조를 살펴볼 수 있도록 일측 커버를 투시하여 나타낸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내시경에 있어서 만곡 조작부의 일측 커버를 제거하여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내시경에 있어서 브라켓과 풀리 유닛의 결합 구조를 나타낸 예시도.
도 4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내시경에 있어서 만곡 조작부의 만곡 와이어를 견인 및 이완하기 위한 구조에 대하여 나타낸 측면도와 하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내시경에 있어서 풀리 유닛에 구비된 홀더와, 브라켓의 결합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내시경에 있어서 브라켓의 세부 구조와, 브라켓과 만곡 와이어의 세부 결합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내시경에 있어서 만곡 와이어의 장력을 조절하는 구조를 나타낸 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내시경에 있어서 홀더의 측면에서 체결되는 장력고정부재에 의해 브라켓이 고정되는 변형된 결합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내시경에 있어서 브라켓과 홀더의 나사결합으로 만곡 와이어의 장력을 조절하는 변형 실시예.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내시경에 있어서 브라켓이 홀더의 삽입홈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고 고정너트에 의해서 고정되는 변형 실시예.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접속, 접촉, 결합)"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당해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을 살펴보면,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내시경에 있어서 만곡 조절부의 전체 구조를 일측 커버를 투시하여 나타낸 평면도로서, 내시경 선단삽입부를 목적 방향으로 조작할 수 있도록 구동 수단이 구비되는 만곡 조작부(10), 내시경의 견인을 위한 조작 와이어(15), 상기 만곡 조작부의 타측에 위치되어 피검사체의 신체 내부로 인입되는 선단삽입부(20), 내시경의 외관을 나타내는 하우징(30), 상기 만곡 조작부와 접속된 레버(40), 내시경의 전기적 신호와 접속되기 위한 회로기판(50), 피검사체 내부를 원활하게 촬영할 수 있도록 피검사체 내부를 비추기 위한 수단, 영상 출력을 위해 비디오프로세서에 연결되어 영상신호를 전달하는 수단 등이 케이블 형태로 삽입되어지는 케이블 삽입구(60), 피검사체 내부에 소정의 처리를 위한 유체 또는 도구 등을 공급하기 위한 보조기구 삽입구(70)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대해 후단에서 장치의 동작원리를 간략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음으로,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내시경의 만곡 조작부(10)에 대한 부분 확대도면으로, 상기 만곡 조작부(10)는 선단삽입부의 선단부까지 연결된 둘 이상의 만곡 와이어(15(a),15(b)); 만곡 와이어가 권취되어 동력을 전달하는 풀리 유닛(110); 상기 와이어의 단부가 체결되고 상기 풀리 유닛 일측에 고정되는 브라켓(120); 상기 풀리 유닛의 일측에서 상기 브라켓을 수용하도록 형성된 홀더(130); 상기 홀더에 수용된 브라켓을 고정하여 만곡 와이어의 장력을 유지하는 장력고정부재(140); 상기 풀리와 맞물려 회전하는 구동기어(150);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내시경의 브라켓과 풀리 유닛의 결합 구조를 나타낸 예시도로서, 상기 만곡 조작부(10)는 풀리 유닛(110)과, 상기 풀리 유닛의 일측에 위치한 홀더(130)와, 상기 홀더로 고정되는 브라켓(120)을 포함하고, 타측에는 레버와 체결되어 맞물리는 구동기어(150)가 구비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브라켓(120)은 홀더에 인입되는 축부(122)와, 상기 축부보다 큰 직경으로 제작되어 일정 길이 이상으로 진입되지 않도록 하는 헤드부(12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홀더(130)는 상기 브라켓의 축부가 인입될 수 있도록 삽입홈(131)이 구비되며, 삽입홈의 상측 또는 측부에는 브라켓을 고정하기 위한 장력고정부재(140)가 출입하는 고정홈(132)을 포함하고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내시경의 만곡 조작부의 만곡 와이어를 견인 및 이완하기 위한 구조에 대하여 나타낸 측면도와 하면도로서, 본 발명의 풀리 유닛(110)은 외측을 따라 권취홈(113)이 구비되어 만곡 와이어(15)를 안정적으로 안착시킬 수 있다. 그리고 풀리 유닛(110)의 하단에는 구동기어(150)와 맞물리는 종동기어(160)가 구비되어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내시경의 풀리 유닛에 구비된 브라켓과 결합되는 홀더의 구조에 대하여 도3의 A-A’ 선을 기준으로 나타낸 단면도로서, 본 발명의 만곡 조작부(10)에서 브라켓(120)을 삽입홈(131)에 인입하여 풀리 유닛에 고정하기위해 장력고정부재(140)가 체결되는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장력고정부재(140)는 홀더 상면 또는 측면에 형성된 고정홈(132)으로 인입되어 브라켓(120)의 면취부(122-1)를 접촉하면서 브라켓을 고정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내시경의 브라켓의 세부 구조와, 브라켓에 결합되는 만곡 와이어의 결합구조를 나타낸 단면도로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브라켓(120)으로 조작 와이어의 일단을 고정할 수 있도록 브라켓 내부에 관통구(121)를 형성하고 있으며, 상기 관통구를 통과한 조작 와이어를 고정할 수 있는 고정부재(125)를 포함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내시경의 만곡 와이어의 장력을 조절하는 구조에 대하여 나타낸 예시도로서, 만곡 와이어가 느슨해졌을 경우 브라켓을 일부 이동시켜 장력을 유지 또는, 회복할 수 있다. 조절 가능한 거리는 브라켓의 끝단에서 헤드부(123)가 시작되는d 길이만큼 가능하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내시경에 있어서 홀더의 측면에서 체결되는 장력고정부재에 의해 브라켓이 고정되는 변형된 결합구조를 나타낸 단면도로서 이를 이용하여 풀리유닛의 동심적층 결합배치 구조를 원활하게 형성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내시경에 있어서 브라켓과 홀더의 나사결합으로 만곡 와이어의 장력을 조절하는 변형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 9(a)는 전체적인 구조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9(b)는 세부 장력조절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9(c)는 공구삽입공이 구비된 브라켓의 세부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내시경에 있어서 브라켓은 홀더의 삽입홈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고 고정너트에 의해서 고정되는 변형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브라켓의 외주면과 나사결합된 고정너트를 회전시켜 홀더의 측면에 밀착시킴으로써 만곡 와이어의 장력을 조절하여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는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우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내시경에 있어서, 환자 등의 신체 내부에 투입되는 선단삽입부(20)의 조절구조에 대해 간략하게 살펴보면,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선단삽입부(20)와 같은 내시경의 끝단에 대한 방향조절은 통상적으로 상기 선단삽입부(20)의 관로부분 내부의 첨단 일측에 하나의 와이어가 체결되고, 이때 이 와이어를 제1 만곡 와이어(15a)라 칭하고, 상기 선단삽입부(20)의 관로부분 내부의 첨단 타측 즉, 상기 제1 만곡 와이어(15a)가 체결된 지점과 관로의 중심에서 수직으로 대칭되는 지점에 다른 하나의 와이어가 체결되고, 이를 제2 만곡 와이어(15b)라 칭할 경우, 상기 선단삽입부(20)는 상기 제1 만곡 와이어(15a)와 상기 제2 만곡 와이어(15b)의 당김과 풀어짐에 따라 끝단이 굽혀지는 형태로 만곡되어 방향조절이 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제1 만곡 와이어(15a)를 당김과 동시에 제2 만곡 와이어(15b)를 풀어주게 되면 상기 선단삽입부(20)는 관로 부분의 첨단이 일측방향으로 휘어져서 만곡되는 형태로 방향조절이 되는 것으로, 반대로 제2 만곡 와이어(15b)를 당김과 동시에 제1 만곡 와이어(15a)를 풀어주게 되면 상기 선단삽입부(20)는 타측방향으로 휘어져서 만곡되는 형태로 방향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내시경의 내부 구조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만곡 조작부(10) 및 만곡 와이어(15), 선단삽입부(20), 하우징(30), 레버(40), 회로기판(50), 케이블 삽입구(60), 보조기구 삽입구(7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만곡 조작부(10)는 외측으로 체결된 레버로부터 발생된 조작운동을 전달할 수 있는 동력부재들이 구비되어 있으며, 일측에는 만곡 와이어(15)가 고정되어 있다.
상기 만곡 와이어(15)는 만곡 조작부의 회동 가능한 부재에 권취되어진 후 선단삽입부의 선단측까지 연결되며, 조작에 의해 감기거나 풀어지는 것으로 내시경 선단삽입부(20)의 만곡 방향을 조절할 수 있다. 도면 상에서 만곡 와이어(15)는 한쌍으로 도시되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상하(UP 및 DOWN) 또는 좌우(LEFT 및 RIGHT)의 2 방향 외에도, 상하 좌우(UP, DOWN, LEFT 및RIGHT) 4 방향을 능동적으로 만곡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선단삽입부(20)는 피검사체(환자)의 신체 내부에 삽입되도록 구성된 가요관이다. 일반적으로 선단삽입부는 선단측이 만곡 와이어의 견인으로도 유연하게 움직일 수 있도록 다수의 피스가 연결되어 있거나, 다수의 튜브가 와이어 등으로 연결되는 등 만곡 가능한 구조를 갖는다.
상기 하우징(30)은 내시경의 외형을 나타내는 케이스이다. 상기 하우징 내부 공간에는 일반적인 내시경 장치에 필요한 영상신호 송수신 장치나 조명장치용 모듈, 전자 제어를 위한 회로기판(50), 케이블 삽입구(60)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외에도 상기 하우징의 내부 혹은 외측에는 피검사체(환자)의 신체 조직 등을 처리하기 위한 보조기구 삽입구(70)가 포함될 수 있으며, 체내에 물 또는 의료용 케미컬, 에어 등을 주입하기 위한 채널이나, 피검사체 내부에서 소정의 처리를 위한 스내어, 포셉 등과 같은 도구나, 레이저 치료기, 고주파 치료기 등과 같은 치료기구 등을 도입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만곡 조작부(10)의 구성은,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만곡 와이어(15)가 외주에 권취되어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풀리 유닛(110) 및 일측이 상기 선단삽입부(20)에 체결된 한 쌍의 만곡 와이어(15)의 타측 말단이 각각 체결되는 한 쌍의 브라켓(120), 상기 풀리 유닛(110)의 상부에 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브라켓(120)을 수용하기 위한 삽입홈(131)들이 구비된 홀더(130), 상기 홀더(130)에 수용된 브라켓(120)을 고정하는 장력고정부재(1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풀리 유닛(110)의 구성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한 쌍의 만곡 와이어(15)가 외주면에 형성되는 권취홈(113)을 따라 각각 감기거나 풀어지는 형태로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상기 선단삽입부(20)의 만곡 방향과 만곡률을 상기 풀리 유닛(110)의 회전방향과 회전량을 통하여 조정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풀리 유닛(110)의 상단에는, 상기 만곡 와이어(15)가 체결될 각각의 브라켓(120)을 수용할 수 있는 홀더(130)가 구비될 수 있고, 상기 브라켓(110)은 상기 홀더(130)의 삽입홈(131)에 삽입될 때, 축부(122)가 상기 선단 삽입부(20)의 방향과 반대 방향을 향하도록 상기 홀더(130)의 삽입홈(131)에 삽입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풀리 유닛(110)의 상단에는, 추가로 오목홈들(112, 112’)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오목홈들(112, 112’)은 상기 홀더(130)의 삽입홈(131)의 전방과 후방에 위치할 수 있으며, 상기 브라켓(120)의 전진 또는 후진 이동조절시 브라켓(120) 또는 공구가 상기 풀리 유닛(110)과 간섭현상을 유발하지 않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상기 브라켓(120)과 상기 만곡 와이어(15)의 체결구조는 후에 상세히 서술하도록 하며, 상기 삽입홈(131)의 후방에 위치하는 오목부(112)의 형상은 상기 삽입홈(131)에 삽입되는 브라켓(120)이 상기 삽입홈(131)에 직선으로 삽입될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풀리 유닛(110)의 상부면에 형성되는 홀더(130)의 삽입홈(131)은 상기 풀리 유닛(110)의 상부면에 인접한 위치에 형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풀리 유닛(110)의 강성 확보를 위하여 형성되는 외주면의 돌기 형상의 보강부의 높이와 간섭이 발생할 수 있어, 상기 브라켓(120)이 상기 삽입홈(131)에 삽입시에 상기 브라켓(120)의 길이가 길 경우 상기 돌기 형상의 보강부로 인하여 삽입에 어려움이 발생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만곡 와이어(15)의 장력 조절 구성은 상기 브라켓(120)과 상기 홀더(130) 사이의 상호간의 위치를 조절하는 것으로, 상기 브라켓(120)이 상기 홀더(130)로부터 일직선으로 후퇴된 상태로 위치 고정되어야 할 때 상기 돌기 형상의 보강부가 방해되지 않도록 상기 오목부(112)가 형성될 필요성이 있다.
또한, 상기 풀리 유닛(110)의 전방에는, 추가로 와이어 관통홀(114)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브라켓(120)에 체결되는 만곡 와이어(15)가 상기 풀리 유닛(110)의 외주면에 권취된 상태로 상기 와이어 관통홀(114)를 통하여 상기 브라켓(120)에 체결고정됨으로써, 상기 만곡 와이어(15)가 상기 풀리 유닛(110)의 상부면을 이탈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가이드 및 걸림부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상기 와이어 관통홀(114)은 상기 권취홈(113) 상에서 상기 풀리 유닛(110)을 관통하는 구조로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만곡 와이어(15)는 상기 풀리 유닛(110)의 외주면에 권취되고, 상기 브라켓(120)의 전단부인 축부 내부에 체결됨에 있어, 상기 풀리 유닛(110)과 상기 브라켓(120)의 상호 위치에 따라 상기 풀리 유닛(110)의 외주면에서 상기 브라켓(120)의 축부에 체결되기 위한 만곡 와이어(15)의 일부가 상기 풀리 유닛(110)의 외주면과 상부면을 모두 이탈한 상태가 될 수 있는 데 상기 와이어 관통홀(114)을 경유하여 상기 브라켓(120)에 고정되는 구조를 구비함으로써 상기 만곡 와이어(15)의 풀리 유닛(110)에 대한 걸림 및 가이드 역할을 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풀리 유닛(110)의 회전조작 구조는, 상기 풀리 유닛(110)의 상단에 상기 레버(40)가 직접 연결되어, 상기 레버(40)의 회전 작동이 상기 풀리 유닛(110)에 바로 전달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도 3 내지 4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30)의 내부에 상기 풀리 유닛(110)의 중심축(111)이 결합되어 회전하도록 구성되는 회전축이 구비될 수 있고, 상기 회전축과 인접한 지점에 구동축이 구비되어 기어결합방식 등에 의해 동력전달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즉, 도 3 내지 4 등의 실시예를 이용하여 살펴보면, 상기 구동축에는 외측의 레버(40)와 연결되어 조작력을 전달받는 구동기어(150)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고, 상기 풀리 유닛(110)의 하단에 구비되어 상기 구동기어(150)와 치합되어 상기 풀리 유닛(110)이 회전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종동기어(160)가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구동기어(150)와 상기 종동기어(160)의 기어 결합을 통한 상기 풀리유닛(110)의 회전 조작구조를 형성할 경우, 상기 구동기어(150)와 상기 종동기어(160) 사이의 기어비를 조정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레버(40) 조작에 큰 힘이 필요하지 않고 상기 선단삽입부(20)의 만곡률을 조작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으며, 혹은, 상기 선단삽입부(20)의 만곡됨의 조작이 빠르게 이루어지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구동기어(150)의 기어치에는 자유회전을 억제하는 탄성 돌기(미도시)가 결합될 수 있고, 상기 탄성 돌기는 사용자의 레버 조작시에 가해지는 힘에 의해 상기 기어치로부터 탄력적으로 후퇴될 수 있어, 다단 걸림 구성을 하는 걸림부 역할을 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레버(40)를 조작하여 상기 선단삽입부(20)를 만곡되게 한상태에서 상기 레버(40)를 놓게 되더라도, 상기 풀리 유닛(110)에 결합된 만곡 와이어(15)의 장력에 의한 복원력을 무시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질 수 있어, 사용자가 실수로 상기 레버(40)를 놓치더라도 오작동 될 위험이 줄어드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삽입홈(131)이 형성된 상기 홀더(130)의 상단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삽입홈(131)과 수직으로 관통되는 고정홈(132)이 추가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삽입홈(131)에 상기 브라켓(120)의 축부(122)가 삽입되면 상기 장력고정부재(140)가 상기 고정홈(132)에 삽입되어 상기 브라켓(120)의 축부(122)를 수직으로 가압하는 형태로 상기 브라켓(120)을 상기 홀더(130) 상에 위치 고정시킬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덧붙여, 상기 장력고정부재(140)는 일반적인 볼트 형태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홀더(130)의 고정홈(132) 내부에는 이와 맞물리는 나사선이 구비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장력고정부재(140)의 끝단인 브라켓에 접촉하는 면에는 마찰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거친 표면이 추가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브라켓(120)에는 상기 장력고정부재(140)의 가압 구조에 대응되는 면취부(122-1)가 추가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면취부(122-1)의 구조는, 상기 브라켓(120)을 구성하는 축의 일부를 평평하게 형성한 것으로, 원형의 브라켓 구조일 경우 외경의 일부를 면취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고, 상기 면취부(122-1)의 평면 또한 상기 장력고정부재(140)의 끝단면과 접촉시 마찰력의 증대를 위한 구조가 형성될 수 있다.
또는, 상기 브라켓(120)의 강도는 상기 장력고정부재(140)의 강도보다 연성의 강도로 구성되어, 상기 장력고정부재(140)가 상기 브라켓(120)의 상부를 가압시 상기 장력고정부재(140)가 상기 브라켓(120)의 표면을 일부 파고 들거나, 홈을 형성하는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다.
아울러, 상기 브라켓(120)의 전체구조는 일실시예로 원형 기둥 또는 사각 기둥 형상 등으로 구성될 수 있고, 축부(122)와 헤드부(123)로 구분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헤드부(123)의 외주면은 상기 축부(122)의 외주면 보다 더 외경을 향하여 돌출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삽입홈(131)의 내경 크기는 상기 축부(122)의 외경보다 크고, 상기 헤드부(123)의 외경보다 적은 형태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상기 브라켓(120)과 상기 삽입홈(131)의 구조가 형성되면 상기 브라켓이 상기 삽입홈(131)에 삽입시 상기 축부(122)가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장력고정부재(140)의 파손 또는 이완에 의하여 상기 브라켓(120)이 상기 홀더(130)상에서 고정이 해제되어도, 상기 브라켓(120)은 상기 헤드부(123)에 의한 걸림으로 상기 삽입홈(131)을 통과할 수 없어, 상기 축부(122)의 끝단에 체결되는 만곡 와이어(15)의 장력이 소실될 위험이 사라지게 된다.
덧붙여, 삽입홈(131)의 형상은 상기 브라켓(120)의 축부(122)의 단면 형상과 동일한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어, 상기 삽입홈(131)에 상기 브라켓(120)이 삽입시에 상기 면취부(122-1)가 항상 상측을 향하여 삽입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구성을 통하여 상기 브라켓(120)은 상기 삽입홈(131)에 삽입시 불필요한 회전동작을 하지 않게 되어, 상기 브라켓(120)에 체결되는 상기 만곡 와이어(15)에 비틀림 힘이 작용하지 않을 수 있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브라켓(120)의 외부 형상은 일 실시예로 원형의 기둥형태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다각형의 기둥 구조로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한편, 상기 브라켓(120)에 체결되는 한 쌍의 만곡 와이어(15)는 각각 상기 풀리 유닛(110)의 측면을 거쳐, 상기 풀리 유닛(110)에 형성된 권취홈(113)에 자리 잡을 수 있게 되고, 상기 풀리 유닛(110)의 상부에 형성된 오목부(112’)를 거쳐 상기 브라켓(120)의 관통구(121)를 통해 상기 브라켓(120)의 내부에 유입되어 고정부재를 통하여 고정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브라켓(120)의 내부에 형성되는 관통구(121)는 상기 축부(122)에 형성되는 축부 관통구(121-1)와 상기 헤드부(123)에 형성되는 헤드부 관통구(121-2)의 내경에 차이가 있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각각의 내경에 맞는 고정부재들(125, 125’)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재들(125, 125’)은 상기 관통구(121)에 삽입된 상기 만곡 와이어(15)를 상기 관통구(121) 내부에서 끼이는 형태로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 각각의 고정부재 중 어느 하나가 개별로 사용될 수도 있고 두개의 고정부재가 함께 사용될 수도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관통구(121)에 삽입된 상기 만곡 와이어(15)를 상기 관통구(121)의 내벽에 형성된 나사산과 상기 고정부재들(125, 125’)의 외주에 형성된 나사산의 나사결합 사이에 끼여지는 형태로 고정되게 구성할 수 있으며, 직경이 작은 축부 관통구(121-1)는 작은 고정부재(125’)를 사용하여 1차적으로 상기 만곡 와이어(15)를 고정하고, 1차 고정 후에 직경이 큰 헤드부 관통구(121-2)에 남은 상기 만곡 와이어(15)의 끝단을 큰 고정부재(125)를 사용하여 2차적으로 끼여지는 형태로 체결하여 고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를 통하여 상기 만곡 와이어(15)와 상기 브라켓(120) 사이의 견고한 체결 고정구조를 구성함으로써, 상기 만곡 와이어(15)가 상기 브라켓(120)의 내부에서 고정위치 이탈되어 상기 선단삽입부(20)의 만곡조작력을 상실하게 되는 문제의 발생 위험을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상기 헤드부(123)에 형성된 직경이 큰 헤드부 관통구(121-2)에는 외경을 향한 오목홈 형태의 와이어 슬롯(124)이 추가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만곡 와이어(15)의 단부가 상기 와이어 슬롯(124)에 삽입되어 위치됨으로써 고정부재의 체결과정에서 와이어의 과도한 꼬임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관통구(121)에 상기 고정부재들(125, 125’)을 통한 체결작업에 있어서, 상기 만곡 와이어(15)의 삽입 길이를 상기 헤드부(123) 측의 헤드부 관통구(121_2)로 돌출될 만큼 구성하여 체결하게 될 경우, 상기 헤드부(123) 측에 여유단으로 남은 만곡 와이어(15)의 길이 변화를 통하여 상기 고정부재들(125, 125’)의 체결상태를 간접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와이어 슬롯(124)을 통하여 삽입된 만곡 와이어(15)의 끝단을 상기 브라켓(120)의 외부로 향하게 하여, 상기 브라켓(120)의 헤드부(123)에 상기 만곡 와이어(15)의 끝단에 매듭을 지어 고정하기 위한 고정돌기구조(미도시)를 추가로 구성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상기 만곡 와이어(15)와 상기 브라켓(120) 사이의 체결 구조는 더욱 견고하게 구성될 수 있다.
통상적으로 내시경에 구비된 만곡 와이어는 내시경의 조작과 시간의 경과에 따른 노후화 등으로 인하여 장력이 소실되거나 변경될 수 있고 그로 인하여 선단삽입부의 조작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는데,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내시경은 상기 홀더(130)에 삽입된 상기 브라켓(120)의 위치를 조절 가능한 구조로 형성함으로써 상기 만곡 와이어(15)의 장력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만곡 와이어(15)의 장력을 조절하기 위한 구조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홀더(130)의 삽입홈(131)에 결합된 상기 브라켓(120)의 위치를 상기 헤드부(123)측으로 후퇴하여 상기 축부(122)에 체결된 상기 만곡 와이어(15)를 당겨주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만곡 와이어(15a, 15b)는 별개의 브라켓(120a, 120b)과 홀더(130a, 130b)에 체결되어 있으므로 개별적으로 조작이 가능하며, 홀더의 삽입홈 내부에서 장력 조절이 가능한 거리(d)만큼 만곡 와이어의 장력을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장력 조절이 가능한 거리(d)는 브라켓의 축부와 헤드부가 접한 지점(n)에서 홀더의 일측면(m)까지의 길이 또는 홀더의 삽입홈(131) 내부에서 브라켓이 이동가능한 거리 정도로 이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하나의 만곡 와이어(15a)가 외적 요인 등에 의한 장력 소실이 크고, 또 다른 만곡 와이어(15b)가 처음 상태와 유사한 정도의 장력을 유지하고 있을 경우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면, 상대적으로 장력 소실이 큰 만곡 와이어(15a)는 체결된 브라켓을 홀더에서 헤드부가 멀어지는 방향으로 위치 조정한 후 장력고정부재(140)로 고정하고, 또 다른 만곡 와이어(15b)는 브라켓의 위치를 소폭 조정한 후 고정하는 방식으로 내시경의 와이어 장력을 간편하게 재조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각각의 만곡 와이어(15a, 15b)에 대한 개별 장력 조절이 가능하여 정교한 장력 조절을 원활하게 구현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장력조절 구조는 앞선 설명의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즉, 예를 들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장력고정부재(140)는 홀더(130)의 측면위치에서 삽입체결되어 브라켓(120)의 면취부(122-1)를 가압고정하는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측방향 체결 구조를 기반으로 풀리유닛(110)을 복수로 적층 결합함으로써 선단삽입부(20)를 상하방향 및 좌우방향으로 조합하여 만곡시킬 수 있는 내시경을 원활하게 구성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장력 조절을 위한 구성에 대하여 다른 일실시예를 살펴보면, 도 9에 도시된 바와 상기 브라켓(120)의 외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홀더(130)의 삽입홈(131)의 내주면에는 상기 브라켓(120)의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산과 대응되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삽입홈(131)에 상기 브라켓(120)이 삽입될 때, 나사결합을 통하여 체결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브라켓(120)은 한 쌍으로 구성되어 각각 만곡 와이어가 체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고, 상기 만곡 와이어는 상기 브라켓이 상기 홀더에 관통삽입된 끝단에 체결되는 형태로 구성되어, 상기 브라켓과 상기 홀더의 삽입홈의 나사 결합 위치에 따라 상기 만곡 와이어의 끝단의 위치가 변하게 되며, 이를 통해 상기 만곡 와이어의 장력이 조절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브라켓(120)의 내부에는 함께 체결되는 만곡 와이어가 상기 브라켓(120)의 회전에 대하여 자유로운 상태가 될 수 있는 중공회전 구조가 형성될 수 있고, 이는 일 실시예로 상기 브라켓(120)의 중심에 상기 만곡 와이어가 통과되고 자유롭게 회전될 수 있는 크기의 와이어홀(미도시)이 형성되어, 상기 와이어홀을 통과한 만곡 와이어의 끝단에 매듭 또는 걸림구조를 형성하여 상기 만곡 와이어가 상기 와이어홀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만곡 와이어는 상기 브라켓의 나사 회전에 의한 장력 조절 구성시에 비틀림과 같은 힘을 받지 않도록 상기 브라켓의 내부에서 자유 회전 가능한 상태로 체결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만곡 와이어가 상기 브라켓에 체결되는 구조로 인하여 상기 브라켓(120)은 상기 홀더(130)의 삽입홈(131)의 내부에서 상기 만곡 와이어의 장력을 조절하기 위한 나사산 이동이 자유롭게 진행될 수 있고, 상기 만곡 와이어가 상기 내시경의 내부에서 꼬이거나 걸림되는 문제가 해결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상기 브라켓(120)을 상기 홀더(130)의 삽입홈(131)에 삽입고정하기 위하여 상기 브라켓(120)에 나사결합된 고정너트(126)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고정너트(126)를 상기 브라켓(120)에서 나사이동시켜 홀더(130)에 밀착고정함으로써 브라켓(120)의 위치를 더욱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브라켓(120)을 회동시켜 상기 홀더(130)에 대한 상기 브라켓(120)의 고정위치를 원활하게 조정할 수 있도록 상기 브라켓(120)의 단부에 공구안착용 삽입공(127)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장력 조절을 위한 구성에 대하여 또 다른 일실시예를 살펴보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홀더(130)의 삽입홈(131)은 상기 브라켓(120)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관통삽입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되고, 상기 브라켓(120)의 외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며, 상기 브라켓(120)이 상기 홀더(130)의 삽입홈(131)에 삽입된 상태에서 고정하기 위하여 상기 브라켓(120)에 나사결합된 고정너트(126)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고정너트(126)는 상기 브라켓이 상기 삽입홈의 내부에서 위치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브라켓(120)이 상기 삽입홈(131)의 내부에서 위치를 조절하여 상기 만곡 와이어의 장력에 대한 조절이 완료되면 상기 삽입홈(131)이 형성된 홀더(130)를 향하여 나사이동되어 밀착됨으로써 상기 브라켓(120)의 추가 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상기 홀더(130)의 타측에도 상기 브라켓(120)에 나사결합된 고정너트(126)를 추가로 구비하여 브라켓(120)의 위치고정을 더욱 견고하게 구성할 수도 있다.
더불어, 상기 만곡 와이어(15)에 인장력을 설정하기 위하여 상기 브라켓(120)에는 공구체결용 홈 또는 측방향 관통공(129) 등이 추가로 구비될 수 있다. 인장력을 측정할 수 있는 게이지가 구비된 공구 또는 센서가 구비된 인장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브라켓(120)에 소정의 인장력을 인가한 상태에서 고정너트(126)를 이용하여 홀더(130)에 대한 브라켓(120)의 결합위치를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이 외에도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 또는 분할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 또는 분할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통상의 기술자가 이해하는 범위 안에서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또한, 방법의 단계는 단독으로 복수회 실시되거나 혹은 적어도 다른 어느 한 단계와 조합으로 복수회 수행되는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만곡구동부 15, 15a, 15b : 만곡 와이어
20 : 선단삽입부 30 : 하우징
40 : 레버 50 : 회로기판
60 : 케이블 삽입구 70 : 보조기구 삽입구
110 : 풀리유닛
111 : 중심축 112, 112' : 오목부
113 : 권취홈 120, 120a, 120b : 브라켓
121, 121-1, 121-2 : 관통구 122 : 축부
122-1 : 면취부 123 : 헤드부
124 : 와이어슬롯 125, 125' : 고정부재
126 : 고정너트 130, 130a, 130b : 홀더
131 : 삽입홈 132 : 고정홈
140 : 장력고정부재 150 : 구동기어
160 : 종동기어

Claims (7)

  1. 선단삽입부(20)의 만곡방향을 조절하는 만곡조작부를 구비한 내시경에 있어서,
    상기 선단삽입부(20)의 내측에 일측이 삽입 고정된 적어도 한 쌍의 만곡 와이어(15); 및
    상기 한 쌍의 만곡 와이어(15)가 서로 반대 방향으로 권취되도록 구비된 풀리 유닛(110);
    상기 한 쌍의 만곡 와이어(15)의 타측 끝단이 각각 삽입되어 체결되는 관통구(121)가 중심에 형성된 기둥형태의 브라켓(120);
    상기 브라켓(120)이 각각 삽입될 수 있고 삽입되는 깊이를 조절할 수 있는 삽입홈(131)이 수평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며, 상기 풀리 유닛(110)에 구비된 홀더(13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브라켓(120)은,
    길이방향에 대하여 전방의 축부(122)와 후방의 헤드부(123)로 구분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헤드부(123)의 외주면은 상기 축부(122)의 외주면보다 외부를 향해 더 돌출되는 형태로 구성되고,
    상기 홀더(130)에는 상기 삽입홈(131)과 수직되게 연통된 고정홈(132)이 형성되며,
    상기 고정홈(132)에 삽입되어 상기 브라켓(120)을 고정할 수 있는 장력고정부재(14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브라켓(120)의 축부(122)에는 면취부(122-1)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만곡 와이어(15)와, 상기 만곡 와이어(15)를 조작하기 위한 풀리유닛(110)은, 한 쌍 더 구비되어 상기 선단삽입부(20)에 삽입고정된 만곡 와이어(15)의 조작 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조작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
  3. 제1 내지 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120)의 관통구(121)에는, 상기 만곡 와이어(15)의 단부가 삽입될 수 있는 와이어슬롯(124)이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
  4. 제1 내지 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풀리 유닛(110)과 동심 회전축으로 구비된 종동기어(160); 및
    상기 종동기어(160)에 소정의 기어비로 치합되며, 외부에서 회전력을 제공하는 레버(40)와 결합된 구동기어(15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220094294A 2022-07-28 2022-07-28 내시경 KR1025684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4294A KR102568437B1 (ko) 2022-07-28 2022-07-28 내시경
KR1020230083063A KR20240016193A (ko) 2022-07-28 2023-06-27 내시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4294A KR102568437B1 (ko) 2022-07-28 2022-07-28 내시경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83063A Division KR20240016193A (ko) 2022-07-28 2023-06-27 내시경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68437B1 true KR102568437B1 (ko) 2023-08-18

Family

ID=87801730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94294A KR102568437B1 (ko) 2022-07-28 2022-07-28 내시경
KR1020230083063A KR20240016193A (ko) 2022-07-28 2023-06-27 내시경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83063A KR20240016193A (ko) 2022-07-28 2023-06-27 내시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568437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099853B1 (ja) * 2015-05-28 2017-03-22 オリンパス株式会社 内視鏡
KR20170074116A (ko) 2015-12-21 2017-06-29 주식회사 인트로메딕 내시경 조작장치
KR102348254B1 (ko) * 2020-05-15 2022-01-07 주식회사 다인그룹 내시경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099853B1 (ja) * 2015-05-28 2017-03-22 オリンパス株式会社 内視鏡
KR20170074116A (ko) 2015-12-21 2017-06-29 주식회사 인트로메딕 내시경 조작장치
KR102348254B1 (ko) * 2020-05-15 2022-01-07 주식회사 다인그룹 내시경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16193A (ko) 2024-0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941174B1 (en) An articulated tip part for an endoscope
US10238271B2 (en) Traction balance adjustment mechanism, manipulator and manipulator system
US20170086652A1 (en) Endoscope insertion portion and endoscope
KR102348254B1 (ko) 내시경
US11950764B2 (en) Wire fixing structure and endoscope
US20090227841A1 (en) Endoscope
US10357634B2 (en) Steerable catheter with wire-tensioning mechanism
JP6712355B2 (ja) 操縦可能なカテーテルにおける遠位側ワイヤ固定
KR102215953B1 (ko) 와이어-장력조정 메커니즘을 갖는 조향 가능 카테터
JP2011177383A (ja) 内視鏡の操作ワイヤ連結装置及び内視鏡
JP5349388B2 (ja) 内視鏡の操作ワイヤ連結装置及び内視鏡
KR101366794B1 (ko) 유연한 수술도구용 경도조절장치
JP2014128465A (ja) 処置具起立ユニット及び内視鏡
JP2008092968A (ja) 内視鏡
KR102568437B1 (ko) 내시경
CN115137284A (zh) 一种3d内窥镜
WO2017138105A1 (ja) マニピュレータシステム
KR20210141418A (ko) 내시경
WO2017195328A1 (ja) 医療用オーバーチューブ
US20190343370A1 (en) Endoscope and endoscope system
KR101759671B1 (ko) 내시경 조작장치
JP2010178988A (ja) 医療装置
JP2000237121A (ja) 対物レンズ移動機構付き内視鏡
CN215875890U (zh) 一种尖端可控微导管及套件
WO2022259549A1 (ja) 先端カバーおよび内視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