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64447B1 -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64447B1
KR102564447B1 KR1020210169042A KR20210169042A KR102564447B1 KR 102564447 B1 KR102564447 B1 KR 102564447B1 KR 1020210169042 A KR1020210169042 A KR 1020210169042A KR 20210169042 A KR20210169042 A KR 20210169042A KR 102564447 B1 KR102564447 B1 KR 1025644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al
information
region
curve
local are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690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81201A (ko
Inventor
김효민
김규리
정현
이찬호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690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64447B1/ko
Priority to US17/580,138 priority patent/US11961212B2/en
Priority to PCT/KR2022/005154 priority patent/WO2023101110A1/en
Publication of KR202300812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812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44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44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10Intensity circu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5/00Image enhancement or restoration
    • G06T5/90Dynamic range modification of images or parts thereof
    • G06T5/94Dynamic range modification of images or parts thereof based on local image properties, e.g. for local contrast enhanc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10Segmentation; Edge detection
    • G06T7/11Region-based segment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7/00Indexing scheme for image analysis or image enhancement
    • G06T2207/20Special algorithmic details
    • G06T2207/20092Interactive image processing based on input by use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2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233Improving the luminance or brightness uniformity across the scree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 G09G2320/062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for control of overall brightnes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 G09G2320/06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for control of contrast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60/00Aspects of the architecture of display systems
    • G09G2360/16Calculation or use of calculated indices related to luminance levels in display dat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어부와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는 입력 이미지 데이터의 휘도를 조절하는 톤 매핑을 수행하고, 디스플레이부는 톤 매핑에 의해 휘도가 조절된 출력 이미지 데이터에 따른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제어부는, 입력 이미지 데이터로부터 전체 영역에 대한 베이스 매핑 커브를 생성하고, 전체 영역의 로컬 영역별 정보를 추출하고, 각 로컬 영역별로 해당 로컬 영역별 정보가 반영된 로컬 매핑 커브를 생성하여 톤 매핑을 수행할 수 있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장치 {DISPLAY DEVICE}
본 개시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구동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개시는 다이나믹 톤 매핑(dynamic tone mapping)의 효과를 강화한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구동 방법에 관한 것이다.
디지털 이미지는 일반적으로 RGB의 3채널로 구성되어 있고, 일반적으로 SDR(Standard Dynamic Range) 이미지는 각 채널마다 0-255의 범위(8비트)로 밝기를 표현할 수 있다. 그러나 SDR 이미지는 각 채널에서 표현할 수 있는 밝기의 범위가 좁기 때문에 어두운 부분이 제대로 표현되지 않거나, 밝은 부분이 제대로 표현이 되지 않을 때가 많다. 예컨대, 역광에서 촬영된 사진과 같이 어두운 부분과 밝은 부분 사이의 밝기 차이가 현저한 이미지의 경우에는 명암 밸런스가 한 쪽으로 치우쳐지게 된다. 이에, 육안으로 보는 장면과 그것을 촬영한 SDR 이미지 사이에는 큰 차이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SDR 이미지와 대비하여, 각 채널마다 16비트 또는 32비트로 표현하는 이미지를 HDR(High Dynamic Range) 이미지라고 칭하며, HDR 이미지는 보다 넓은 밝기 표현력을 가짐에 따라 보다 이미지를 보다 현실감 있게 표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일반 디스플레이 장치는 16비트나 32비트의 계조(gradation)를 표현할 수 없기에, 16비트 또는 32비트의 HDR 이미지는 제한된 동적 범위(dynamic range)의 디지털 이미지로 변환될 필요가 있다. 톤 매핑은 HDR 이미지를 SDR 이미지 또는 LDR(Low Dynamic Range) 이미지로 변환하는 과정에 사용되며, 명암비를 향상시키면서 HDR 이미지의 밝기 영역을 SDR 이미지 또는 LDR 이미지의 밝기 영역으로 압축시키는 기술을 의미할 수 있다.
본 개시는 영상의 입체감과 사용자 몰입감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구동 방법을 제공한다.
본 개시는 영상의 로컬 영역의 정보를 활용하여 영상의 입체감과 사용자 몰입감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구동 방법을 제공한다.
본 개시는 영상의 로컬 영역의 영역별 밝기, 샤프니스(sharpness) 정보, 위치 정보를 활용하여 영상의 입체감과 사용자 몰입감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구동 방법을 제공한다.
본 개시는 영상의 로컬 영역의 영역별 밝기, 샤프니스(sharpness) 정보, 위치 정보, 곡률 정보를 활용하여 영상의 입체감과 사용자 몰입감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구동 방법을 제공한다.
본 개시는 영상의 로컬 영역별 정보를 기반으로 해당 로컬 영역별로 적응적 로컬 톤 매핑(adaptive local tone mapping)을 수행하여 영상의 입체감과 사용자 몰입감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구동 방법을 제공한다.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영상의 로컬 영역의 정보를 활용하여 각 로컬 영역별로 서로 다른 톤 매핑을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영상의 로컬 영역별 정보를 기반으로 해당 로컬 영역별로 적응적 로컬 톤 매핑(adaptive local tone mapping)을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영상의 로컬 영역의 정보를 활용하여 각 로컬 영역별로 서로 다른 콘트라스트 커브를 적용하여 톤 매핑을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입력 이미지 데이터의 휘도를 조절하는 톤 매핑을 수행하는 제어부; 및 상기 톤 매핑에 의해 휘도가 조절된 출력 이미지 데이터에 따른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 이미지 데이터로부터 전체 영역에 대한 베이스 매핑 커브를 생성하고, 상기 전체 영역의 로컬 영역별 정보를 추출하고, 각 로컬 영역별로 해당 로컬 영역별 정보가 반영된 로컬 매핑 커브를 생성하여 상기 톤 매핑을 수행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 의하면, 상기 베이스 매핑 커브는 상기 전체 영역에 대한 동적 콘트라스트 커브를 포함하고, 상기 로컬 매핑 커브는 상기 해당 로컬 영역에 대한 로컬 콘트라스트 커브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추출된 로컬 영역별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베이스 매핑 커브로부터 상기 해당 로컬 영역별로 적응적 로컬 콘트라스트 커브를 생성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 의하면, 상기 로컬 영역별 정보는 상기 전체 영역의 픽셀 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되는 디테일 맵으로부터 추출되며, 상기 디테일 맵은 상기 각 로컬 영역별 APL 정보, 샤프니스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 의하면, 상기 로컬 매핑 커브는, 상기 각 로컬 영역별로 상기 해당 로컬 영역별 정보가 반영된 콘트라스트 커브를 상기 베이스 매핑 커브에 추가 조정하여 생성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 의하면, 상기 로컬 매핑 커브는, 상기 각 로컬 영역별로 상기 해당 로컬 영역의 APL 정보, 샤프니스 정보, 위치 정보, 곡률 정보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정보가 반영된 콘트라스트 커브를 상기 베이스 매핑 커브에 추가 조정하여 생성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해당 로컬 영역의 샤프니스 정도가 크면 상기 해당 로컬 영역의 밝기 및 콘트라스트를 강화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해당 로컬 영역의 곡률이 크면 상기 해당 로컬 영역의 밝기 및 콘트라스트를 강화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해당 로컬 영역이 곡률이 있고, 상기 해당 로컬 영역이 상기 전체 영역의 중앙에 위치하면 밝기를 강화하고, 상기 해당 로컬 영역이 상기 전체 영역의 측면에 위치하면 콘트라스트를 강화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 의하면, 상기 디테일 맵은 상기 전체 영역에 대한 라플라시안 필터 적용으로 추출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른 벤더블 디스플레이 장치는, 입력 이미지 데이터의 휘도를 조절하는 톤 매핑을 수행하는 제어부; 상기 톤 매핑에 의해 휘도가 조절된 출력 이미지 데이터에 따른 영상을 표시하고, 곡률이 변경되는 디스플레이부; 및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곡률 변경 요청 신호를 상기 제어부에 전달하는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 이미지 데이터로부터 전체 영역에 대한 베이스 매핑 커브를 생성하고, 상기 전체 영역의 로컬 영역별 정보를 추출하고, 각 로컬 영역별로 해당 로컬 영역별 정보가 반영된 로컬 매핑 커브를 생성하여 상기 톤 매핑을 수행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구동 방법은, 입력 이미지 데이터로부터 전체 영역에 대한 베이스 매핑 커브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전체 영역의 로컬 영역별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각 로컬 영역별로 해당 로컬 영역별 정보가 반영된 로컬 매핑 커브를 생성하여 톤 매핑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구동 방법에 의하면, 영상의 로컬 영역의 정보를 활용하여 로컬 영역에서의 명암비를 향상시키고, 영상의 입체감과 사용자 몰입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구동 방법에 의하면, 영상의 로컬 영역의 영역별 밝기, 샤프니스(sharpness) 정보, 위치 정보를 활용하여 로컬 영역에서의 명암비를 향상시키고, 영상의 입체감과 사용자 몰입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구동 방법에 의하면, 영상의 로컬 영역의 영역별 밝기, 샤프니스(sharpness) 정보, 위치 정보, 곡률 정보를 활용하여 영상의 입체감과 사용자 몰입감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구동 방법에 의하면, 영상의 로컬 영역별 정보를 기반으로 해당 로컬 영역별로 적응적 로컬 톤 매핑(adaptive local tone mapping)을 수행하여 영상의 입체감과 사용자 몰입감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블록도로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원격제어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원격제어장치의 실제 구성 예를 보여준다.
도 4는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라 원격제어장치를 활용하는 예를 보여준다.
도 5는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동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HDR 처리된 영상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라, 도 6에 도시된 영상의 디테일 맵(detail map)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라, 디테일 맵 정보에 따른 로컬 영역의 게인(gain) 조절 적용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의 곡률 변화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라, 로컬 영역에 적용되는 로컬 콘트라스트 커브의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라, APL 별로 적용되는 로컬 콘트라스트 커브의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2는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라, 동일 APL에서 서로 다른 샤프니스를 적용하였을 경우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3은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라, 곡률 변화에 따른 APL 별 로컬 콘트라스트 커브 및 동일 APL에서 서로 다른 샤프니스를 적용하였을 경우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이하, 본 개시와 관련된 실시 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이하, 디스플레이 장치는 방송 수신 기능을 지원하는 스마트 TV 등인 경우로 가정하여 설명하나, 디스플레이 장치는 스마트폰 등을 포함할 수도 있다. 즉,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도 1에 도시된 구성 요소들을 반드시 포함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블록도로 도시한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방송 수신부(130),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 저장부(140),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 제어부(170), 무선 통신부(173), 디스플레이부(180), 오디오 출력부(185), 전원공급부(190)를 포함할 수 있다.
방송 수신부(130)는 튜너(131), 복조부(132)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3)를 포함할 수 있다.
튜너(131)는 채널 선국 명령에 따라 특정 방송 채널을 선국할 수 있다. 튜너(131)는 선국된 특정 방송 채널에 대한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복조부(132)는 수신한 방송 신호를 비디오 신호, 오디오 신호, 방송 프로그램과 관련된 데이터 신호로 분리할 수 있고, 분리된 비디오 신호, 오디오 신호 및 데이터 신호를 출력이 가능한 형태로 복원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3)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인터넷망을 포함하는 유/무선 네트워크와 연결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3)는 접속된 네트워크 또는 접속된 네트워크에 링크된 다른 네트워크를 통해, 다른 사용자 또는 다른 전자 기기와 데이터를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3)는 접속된 네트워크 또는 접속된 네트워크에 링크된 다른 네트워크를 통해, 소정 웹 페이지에 접속할 수 있다. 즉, 네트워크를 통해 소정 웹 페이지에 접속하여, 해당 서버와 데이터를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3)는 컨텐츠 제공자 또는 네트워크 운영자가 제공하는 컨텐츠 또는 데이터들을 수신할 수 있다. 즉,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3)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컨텐츠 제공자 또는 네트워크 제공자로부터 제공되는 영화, 광고, 게임, VOD, 방송 신호 등의 컨텐츠 및 그와 관련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3)는 네트워크 운영자가 제공하는 펌웨어의 업데이트 정보 및 업데이트 파일을 수신할 수 있으며, 인터넷 또는 컨텐츠 제공자 또는 네트워크 운영자에게 데이터들을 송신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3)는 네트워크를 통해, 공중에 공개(open)된 애플리케이션들 중 원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선택하여 수신할 수 있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는 인접하는 외부 장치 내의 애플리케이션 또는 애플리케이션 목록을 수신하여, 제어부(170) 또는 저장부(140)로 전달할 수 있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외부 장치 간의 연결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무선 또는 유선으로 연결된 외부장치로부터 출력된 영상, 오디오 중 하나 이상을 수신하여, 제어부(170)로 전달할 수 있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는 복수의 외부 입력 단자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외부 입력 단자들은 RGB 단자, 하나 이상의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단자, 컴포넌트(Component) 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를 통해 입력된 외부장치의 영상 신호는 디스플레이부(180)를 통해 출력될 수 있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를 통해 입력된 외부장치의 음성 신호는 오디오 출력부(185)를 통해 출력될 수 있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에 연결 가능한 외부 장치는 셋톱 박스, 블루레이 플레이어, DVD 플레이어, 게임기, 사운드 바, 스마트폰, PC, USB 메모리, 홈 씨어터 중 어느 하나일 수 있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미리 등록된 다른 사용자 또는 다른 전자 기기 중 선택된 사용자 또는 선택된 전자기기에,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저장된 일부의 컨텐츠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
저장부(140)는 제어부(170) 내의 각 신호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신호 처리된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신호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저장부(140)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 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3)로부터 입력되는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으며, 채널 기억 기능을 통하여 소정 이미지에 관한 정보를 저장할 수도 있다.
저장부(140)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 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3)로부터 입력되는 애플리케이션 또는 애플리케이션 목록을 저장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저장부(140) 내에 저장되어 있는 컨텐츠 파일(동영상 파일, 정지영상 파일, 음악 파일, 문서 파일, 애플리케이션 파일 등)을 재생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는 사용자가 입력한 신호를 제어부(170)로 전달하거나, 제어부(170)로부터의 신호를 사용자에게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는 블루투스(Bluetooth), 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방식, RF(Radio Frequency) 통신 방식 또는 적외선(IR) 통신 방식 등 다양한 통신 방식에 따라, 원격제어장치(200)로부터 전원 온/오프, 채널 선택, 화면 설정 등의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처리하거나, 제어부(170)로부터의 제어 신호를 원격제어장치(200)로 송신하도록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는, 전원키, 채널키, 볼륨키, 설정치 등의 로컬키(미도시)에서 입력되는 제어 신호를 제어부(170)에 전달할 수 있다.
제어부(170)에서 영상 처리된 영상 신호는 디스플레이부(180)로 입력되어 해당 영상 신호에 대응하는 영상으로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에서 영상 처리된 영상 신호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를 통하여 외부 출력장치로 입력될 수 있다.
제어부(170)에서 처리된 음성 신호는 오디오 출력부(185)로 오디오 출력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에서 처리된 음성 신호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를 통하여 외부 출력장치로 입력될 수 있다.
그 외, 제어부(17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 내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는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를 통하여 입력된 사용자 명령 또는 내부 프로그램에 의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제어할 수 있으며,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애플리케이션 또는 애플리케이션 목록을 디스플레이 장치(100) 내로 다운받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사용자가 선택한 채널 정보 등이 처리한 영상 또는 음성신호와 함께 디스플레이부(180) 또는 오디오 출력부(185)를 통하여 출력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제어부(170)는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를 통하여 수신한 외부장치 영상 재생 명령에 따라,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를 통하여 입력되는 외부 장치, 예를 들어, 카메라 또는 캠코더로부터의, 영상 신호 또는 음성 신호가 디스플레이부(180) 또는 오디오 출력부(185)를 통해 출력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제어부(170)는 영상을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180)를 제어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튜너(131)를 통해 입력되는 방송 영상,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를 통해 입력되는 외부 입력 영상, 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 또는 저장부(140)에 저장된 영상이 디스플레이부(180)에서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되는 영상은 정지 영상 또는 동영상일 수 있으며, 2D 영상 또는 3D 영상일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 내에 저장된 컨텐츠, 또는 수신된 방송 컨텐츠,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외부 입력 컨텐츠가 재생되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 컨텐츠는 방송 영상, 외부 입력 영상, 오디오 파일, 정지 영상, 접속된 웹 화면, 및 문서 파일 등 다양한 형태일 수 있다.
무선 통신부(173)는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을 통해 외부 기기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무선 통신부(173)는 외부 기기와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무선 통신부(173)는 블루투스(Bluetooth™), BLE(Bluetooth Low Energy),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WB(Ultra Wideband), 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 Wi-Fi(Wireless-Fidelity), Wi-Fi Direct, Wireless USB(Wireless Universal Serial Bus) 기술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근거리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이러한, 무선 통신부(173)는 근거리 무선 통신망(Wireless Area Networks)을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100) 사이,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디스플레이 장치(100, 또는 외부서버)가 위치한 네트워크 사이의 무선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근거리 무선 통신망은 근거리 무선 개인 통신망(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s)일 수 있다.
여기에서,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데이터를 상호 교환하는 것이 가능한(또는 연동 가능한)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예를 들어, 스마트워치(smartwatch), 스마트 글래스(smart glass), HMD(head mounted display)), 스마트 폰과 같은 이동 단말기가 될 수 있다. 무선 통신부(173)는 디스플레이 장치(100) 주변에, 통신 가능한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감지(또는 인식)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70)는 감지된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통신하도록 인증된(authenticated) 디바이스인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처리되는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를, 무선 통신부(173)를 통해 웨어러블 디바이스로 송신할 수 있다. 따라서,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처리되는 데이터를,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통해 이용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80)는 제어부(170)에서 처리된 영상 신호, 데이터 신호, OSD 신호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에서 수신되는 영상 신호, 데이터 신호 등을 각각 R, G, B 신호로 변환하여 구동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한편, 도 1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불과하므로. 도시된 구성요소들 중 일부는 실제 구현되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사양에 따라 통합, 추가, 또는 생략될 수 있다.
즉, 필요에 따라 2 이상의 구성요소가 하나의 구성요소로 합쳐지거나, 혹은 하나의 구성요소가 2 이상의 구성요소로 세분되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각 블록에서 수행하는 기능은 본 개시의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그 구체적인 동작이나 장치는 본 개시의 권리범위를 제한하지 아니한다.
본 개시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달리, 튜너(131)와 복조부(132)를 구비하지 않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3)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를 통해서 영상을 수신하여 재생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방송 신호 또는 다양한 네트워크 서비스에 따른 컨텐츠들을 수신하기 위한 등과 같은 셋톱 박스 등과 같은 영상 처리 장치와 영상 처리 장치로부터 입력되는 컨텐츠를 재생하는 컨텐츠 재생 장치로 분리되어 구현될 수 있다.
이 경우, 이하에서 설명할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 방법은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100)뿐 아니라, 분리된 셋톱 박스 등과 같은 영상 처리 장치 또는 디스플레이부(180) 및 오디오출력부(185)를 구비하는 컨텐츠 재생 장치 중 어느 하나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도 2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원격제어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원격제어장치의 블록도이고, 도 3은 본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원격제어장치의 실제 구성 예를 보여준다.
먼저, 도 2를 참조하면, 원격제어장치(200)는 지문인식부(210), 무선통신부(220), 사용자 입력부(230), 센서부(240), 출력부(250), 전원공급부(260), 저장부(270), 제어부(280), 음성 획득부(29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무선통신부(220)는 전술하여 설명한 본 개시의 실시 예들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 중 임의의 어느 하나와 신호를 송수신한다.
원격제어장치(200)는 RF 통신규격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RF 모듈(221)을 구비하며, IR 통신규격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IR 모듈(223)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원격제어장치(200)는 블루투스 통신규격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블루투스 모듈(225)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원격제어장치(200)는 NFC(Near Field Communication) 통신 규격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신호를 송수할 수 있는 NFC 모듈(227)을 구비하며, WLAN(Wireless LAN) 통신 규격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WLAN 모듈(229)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원격제어장치(20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원격제어장치(200)의 움직임 등에 관한 정보가 담긴 신호를 무선 통신부(220)를 통해 전송한다.
한편, 원격제어장치(20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전송한 신호를 RF 모듈(221)을 통하여 수신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IR 모듈(223)을 통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전원 온/오프, 채널 변경, 볼륨 변경 등에 관한 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230)는 키패드, 버튼, 터치 패드, 또는 터치 스크린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는 사용자 입력부(230)를 조작하여 원격제어장치(200)으로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관련된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230)가 하드키 버튼을 구비할 경우 사용자는 하드키 버튼의 푸쉬 동작을 통하여 원격제어장치(200)으로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관련된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원격제어장치(200)는 복수의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버튼은 지문 인식 버튼(212), 전원 버튼(231), 홈 버튼(232), 라이브 버튼(233), 외부 입력 버튼(234), 음량 조절 버튼(235), 음성 인식 버튼(236), 채널 변경 버튼(237), 확인 버튼(238) 및 뒤로 가기 버튼(239)을 포함할 수 있다.
지문 인식 버튼(212)은 사용자의 지문을 인식하기 위한 버튼일 수 있다. 일 실시 예로, 지문 인식 버튼(212)은 푸쉬 동작이 가능하여, 푸쉬 동작 및 지문 인식 동작을 수신할 수도 있다. 전원 버튼(231)은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전원을 온/오프 하기 위한 버튼일 수 있다. 홈 버튼(232)은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홈 화면으로 이동하기 위한 버튼일 수 있다. 라이브 버튼(233)은 실시간 방송 프로그램을 디스플레이 하기 위한 버튼일 수 있다. 외부 입력 버튼(234)은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연결된 외부 입력을 수신하기 위한 버튼일 수 있다. 음량 조절 버튼(235)은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출력하는 음량의 크기를 조절하기 위한 버튼일 수 있다. 음성 인식 버튼(236)은 사용자의 음성을 수신하고, 수신된 음성을 인식하기 위한 버튼일 수 있다. 채널 변경 버튼(237)은 특정 방송 채널의 방송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버튼일 수 있다. 확인 버튼(238)은 특정 기능을 선택하기 위한 버튼일 수 있고, 뒤로 가기 버튼(239)은 이전 화면으로 되돌아가기 위한 버튼일 수 있다.
다시 도 2를 설명한다.
사용자 입력부(230)가 터치스크린을 구비할 경우 사용자는 터치스크린의 소프트키를 터치하여 원격제어장치(200)로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관련된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입력부(230)는 스크롤 키나, 조그 키 등 사용자가 조작할 수 있는 다양한 종류의 입력수단을 구비할 수 있으며 본 실시 예는 본 개시의 권리범위를 제한하지 아니한다.
센서부(240)는 자이로 센서(241) 또는 가속도 센서(243)를 구비할 수 있으며, 자이로 센서(241)는 원격제어장치(200)의 움직임에 관한 정보를 센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자이로 센서(241)는 원격제어장치(200)의 동작에 관한 정보를 x, y, z 축을 기준으로 센싱할 수 있으며, 가속도 센서(243)는 원격제어장치(200)의 이동속도 등에 관한 정보를 센싱할 수 있다. 한편, 원격제어장치(200)는 거리측정센서를 더 구비할 수 있어,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디스플레이부(180)와의 거리를 센싱할 수 있다.
출력부(250)는 사용자 입력부(230)의 조작에 대응하거나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전송한 신호에 대응하는 영상 또는 음성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출력부(250)를 통하여 사용자는 사용자 입력부(230)의 조작 여부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제어 여부를 인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출력부(250)는 사용자 입력부(230)가 조작되거나 무선 통신부(220)를 통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신호가 송수신되면 점등되는 LED 모듈(251), 진동을 발생하는 진동 모듈(253), 음향을 출력하는 음향 출력 모듈(255), 또는 영상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모듈(257)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전원공급부(260)는 원격제어장치(200)로 전원을 공급하며, 원격제어장치(200)가 소정 시간 동안 움직이지 않은 경우 전원 공급을 중단함으로써 전원 낭비를 줄일 수 있다. 전원공급부(260)는 원격제어장치(200)에 구비된 소정 키가 조작된 경우에 전원 공급을 재개할 수 있다.
저장부(270)는 원격제어장치(200)의 제어 또는 동작에 필요한 여러 종류의 프로그램, 애플리케이션 데이터 등이 저장될 수 있다. 만일 원격제어장치(200)가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RF 모듈(221)을 통하여 무선으로 신호를 송수신할 경우 원격제어장치(200)와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소정 주파수 대역을 통하여 신호를 송수신한다.
원격제어장치(200)의 제어부(280)는 원격제어장치(200)와 페어링된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신호를 무선으로 송수신할 수 있는 주파수 대역 등에 관한 정보를 저장부(270)에 저장하고 참조할 수 있다.
제어부(280)는 원격제어장치(200)의 제어에 관련된 제반사항을 제어한다. 제어부(280)는 사용자 입력부(230)의 소정 키 조작에 대응하는 신호 또는 센서부(240)에서 센싱한 원격제어장치(200)의 움직임에 대응하는 신호를 무선 통신부(220)를 통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원격제어장치(200)의 음성 획득부(290)는 음성을 획득할 수 있다.
음성 획득부(29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마이크(291)을 포함할 수 있고, 마이크(291)를 통해 음성을 획득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4를 설명한다.
도 4는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라 원격 제어 장치를 활용하는 예를 보여준다.
도 4의 (a)는 원격 제어 장치(200)에 대응하는 포인터(205)가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되는 것을 예시한다.
사용자는 원격 제어 장치(200)를 상하, 좌우로 움직이거나 회전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된 포인터(205)는 원격 제어 장치(200)의 움직임에 대응한다. 이러한 원격 제어 장치(200)는, 도면과 같이, 3D 공간 상의 움직임에 따라 해당 포인터(205)가 이동되어 표시되므로, 공간 리모콘이라 명명할 수 있다.
도 4의 (b)는 사용자가 원격 제어 장치(200)를 왼쪽으로 이동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된 포인터(205)도 이에 대응하여 왼쪽으로 이동하는 것을 예시한다.
원격 제어 장치(200)의 센서를 통하여 감지된 원격 제어 장치(200)의 움직임에 관한 정보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전송된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원격 제어 장치(200)의 움직임에 관한 정보로부터 포인터(205)의 좌표를 산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산출한 좌표에 대응하도록 포인터(205)를 표시할 수 있다.
도 4의 (c)는, 원격 제어 장치(200) 내의 특정 버튼을 누른 상태에서, 사용자가 원격 제어 장치(200)를 디스플레이부(180)에서 멀어지도록 이동하는 경우를 예시한다. 이에 의해, 포인터(205)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부(180) 내의 선택 영역이 줌인되어 확대 표시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사용자가 원격 제어 장치(200)를 디스플레이부(180)에 가까워지도록 이동하는 경우, 포인터(205)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부(180) 내의 선택 영역이 줌아웃되어 축소 표시될 수 있다.
한편, 원격 제어 장치(200)가 디스플레이부(180)에서 멀어지는 경우, 선택 영역이 줌아웃되고, 원격 제어 장치(200)가 디스플레이부(180)에 가까워지는 경우, 선택 영역이 줌인될 수도 있다.
또한, 원격 제어 장치(200) 내의 특정 버튼을 누른 상태에서는 상하, 좌우 이동의 인식이 배제될 수 있다. 즉, 원격 제어 장치(200)가 디스플레이부(180)에서 멀어지거나 접근하도록 이동하는 경우, 상, 하, 좌, 우 이동은 인식되지 않고, 앞뒤 이동만 인식되도록 할 수 있다. 원격 제어 장치(200) 내의 특정 버튼을 누르지 않은 상태에서는, 원격 제어 장치(200)의 상, 하, 좌, 우 이동에 따라 포인터(205)만 이동하게 된다.
한편, 포인터(205)의 이동속도나 이동방향은 원격 제어 장치(200)의 이동속도나 이동방향에 대응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의 포인터는, 원격 제어 장치(200)의 동작에 대응하여,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되는 오브젝트를 의미한다. 따라서, 포인터(205)로 도면에 도시된 화살표 형상 외에 다양한 형상의 오브젝트가 가능하다. 예를 들어, 점, 커서, 프롬프트, 두꺼운 외곽선 등을 포함하는 개념일 수 있다. 그리고, 포인터(205)가 디스플레이부(180) 상의 가로축과 세로축 중 어느 한 지점(point)에 대응하여 표시되는 것은 물론, 선(line), 면(surface) 등 복수 지점에 대응하여 표시되는 것도 가능하다.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입력 이미지 데이터의 휘도를 조절하는 톤 매핑을 수행하는 제어부(170)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어부(170)에서 수행된 톤 매핑에 의해 휘도가 조절된 출력 이미지 데이터에 따른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180)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입력 이미지 데이터로부터 전체 영역에 대한 베이스 매핑 커브를 생성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전체 영역의 로컬 영역별 정보를 추출하고, 각 로컬 영역별로 해당 로컬 영역별 정보가 반영된 로컬 매핑 커브를 생성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해당 로컬 영역별 정보가 반영된 로컬 매핑 커브를 이용하여 로컬 영역별로 톤 매핑을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170)에서 각 로컬 영역별로 로컬 매핑이 수행된 출력 이미지 데이터에 따른 영상은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될 수 있다.
베이스 매핑 커브는 전체 영역에 대한 동적 콘트라스트 커브(dynamic contract curve)를 포함할 수 있다. 로컬 매핑 커브는 해당 로컬 영역에 대한 로컬 콘트라스트 커브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전체 영역의 로컬 영역별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로컬 영역별 정보를 기반으로 전체 영역의 매핑 커브로부터 해당 로컬 영역별로 적응적 로컬 콘트라스트 커브를 생성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해당 로컬 영역별로 생성된 적응적 로컬 콘트라스트 커브를 이용하여 로컬 영역별로 톤 매핑을 수행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80)는 평면(Flat) 디스플레이부로 제공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80)는 곡률을 갖는 커브드 디스플레이부로 제공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80)는 곡률이 변경되는 벤더블 디스플레이부로 제공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80)가 벤더블 디스플레이부로 제공되는 경우, 예로서, 디스플레이부(180)의 곡률 변경 요청 신호가 사용자로부터 입력될 수 있다. 예로서,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곡률 변경 요청 신호는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를 통해 입력될 수 있다.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는 입력된 디스플레이부(180)의 곡률 변경 요청 신호를 제어부(170)에 전달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사용자의 곡률 변경 요청 신호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80)의 곡률을 변경할 수 있다.
예로서, 사용자는 원격 제어 장치(200)를 통하여 디스플레이부(180)의 곡률 변경 요청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80)는 연속적인 곡률 변경이 가능하도록 제공되고, 임의의 곡률이 선택되어 곡률이 변경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80)는 복수의 정해진 곡률 단계 중에서 어느 하나가 선택되어 곡률이 변경될 수도 있다. 예로서, 디스플레이부(180)의 곡률은 평면, 제1 곡률(1000R), 제2 곡률(800R)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의하면, 예로서 사용자가 원격 제어 장치(200)의 특정 버튼을 누르면, 디스플레이부(180)의 곡률이 평면, 제1 곡률, 제2 곡률 등으로 순차적으로 변경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의하면, 사용자가 원격 제어 장치(200)의 특정 버튼을 누르고 있는 동안, 디스플레이부(180)의 곡률이 연속적으로 변경되고, 사용자가 특정 버튼을 누르는 동작을 중단하는 시점의 디스플레이부(180)의 곡률이 선택될 수도 있다.
이하, 도 5를 참조하여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톤 매핑을 수행하는 과정을 더 살펴보기로 한다.
도 5는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동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제어부(170)는 전체 영역에 대한 베이스 매핑 커브(base mapping curve)를 생성할 수 있다(S501).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구동 방법에 의하면, 제어부(170)는 입력 이미지 데이터로부터 전체 영역에 대한 베이스 매핑 커브를 생성할 수 있다.
예로서, 베이스 매핑 커브는 입력된 이미지 데이터에 대한 HDR(High Dynamic Range) 처리를 통해 생성될 수 있다.
제어부(170)에서 생성된 베이스 매핑 커브는 DTM(Dynamic Tone Mapping) 커브와 DC(Dynamic Contrast) 커브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이미지 데이터를 제공받을 때 메타 데이터를 함께 입력 받을 수 있다. 입력된 이미지 데이터는 HDR 영상일 수 있다. 메타 데이터는 입력된 이미지 데이터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메타 데이터는 HDR 영상의 휘도 정보, 장면(Scene) 별 최대 밝기 정보, HDR 영상임을 식별하기 위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는 입력된 이미지 데이터의 전체 영역에서 휘도 분포 히스토그램을 산출할 수 있다. HDR 영상의 휘도 분포 히스토그램은, HDR 영상의 픽셀들 각각의 밝기 값들의 분포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HDR 영상의 픽셀들 각각의 신호 레벨(예를 들어, 0 내지 1023)에 대한 분포도인 휘도 분포 히스토그램을 산출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입력된 이미지 데이터에 대한 휘도 분포 히스토그램 정보를 기초로 DTM(Dynamic Tone Mapping) 커브를 생성할 수 있다. DTM 커브는 RGB 도메인에서의 매핑 커브를 의미할 수 있다. RGB 도메인에서, 생성된 DTM 커브에 맞추어 입력된 이미지 데이터로부터 출력 이미지 데이터로 매핑이 수행될 수 있다.
제어부(170)는 DC(Dynamic Contrast) 커브를 생성할 수 있다. DC 커브는 휘도(Y) 도메인에서의 매핑 커브를 의미할 수 있다. 휘도(Y) 도메인에서, 생성된 TC 커브에 맞추어 입력된 이미지 데이터로부터 출력 이미지 데이터로 매핑이 수행될 수 있다.
한편, 입력된 이미지 데이터에 대해 디스플레이부(180)의 특성에 적합한 출력 이미지 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하여, 제어부(170)에서 DTM 커브와 DC 커브를 생성하는 방안은 공지되어 있으므로, 여기서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다음으로, 제어부(170)는 로컬 영역별 정보를 분석할 수 있다(S503).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구동 방법에 의하면, 제어부(170)는 전체 영역의 로컬 영역별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전체 영역을 구성하는 각 로컬 영역들의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예로서, 로컬 영역별 정보는 전체 영역의 픽셀 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되는 디테일 맵(detail map)으로부터 추출될 수 있다. 디테일 맵은 각 로컬 영역별 APL(Average Picture Level) 정보, 샤프니스(Sharpness)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실시 예에 따른 디테일 맵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도 6은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HDR 처리된 영상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7은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라, 도 6에 도시된 영상의 디테일 맵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은 실시 예에 따라 HDR 처리된 영상을 나타낸 것으로서, 영상의 전체 영역은 복수의 로컬 영역들로 구분될 수 있다.
복수의 로컬 영역들은 영상 처리 속도 및 효과를 고려하여 전체 영역에 대해 임의의 갯수로 구분될 수 있다. 예로서, 영상의 전체 영역이 (1920*1080)의 해상도를 갖는 경우, 복수의 로컬 영역들은 (96*54)의 갯수로 제공될 수 있다. 이는 하나의 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복수의 로컬 영역들의 크기 및 갯수는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변화될 수 있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영상의 전체 영역의 디테일 정도(detail degree)를 나타낸 것이다. 디테일 정도는 일정한 거리 이내의 인접한 픽셀들에 대한 휘도 값의 변화량일 수 있다. 각 픽셀의 디테일 정도는 각 픽셀에서 인접한 픽셀들과의 단차(또는 변화율)를 의미할 수 있다. 주변 픽셀과 비교하여 색상이나 휘도에 변화가 큰 픽셀은 디테일 정도가 큰 픽셀을 의미할 수 있다.
예로서, 디테일 맵은 전체 영역에 대한 라플라시안 필터 적용으로 추출될 수 있다. 디테일 맵은 다양한 다른 툴을 이용하거나 다른 방법으로 추출될 수도 있다.
로컬 영역별 정보는 전체 영역의 픽셀 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되는 디테일 맵으로부터 추출될 수 있다. 디테일 맵은 각 로컬 영역별 APL(Average Picture Level) 정보, 샤프니스(Sharpness)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각 로컬 영역별 APL 정보는 각 로컬 영역의 밝기 정도를 의미할 수 있다. 각 로컬 영역별 샤프니스 정보는 각 로컬 영역의 디테일 정도를 의미할 수 있다.
예로서,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제1 영역(R1)은 디테일 정도의 변화가 없는 영역으로 판단될 수 있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제1 영역(R1)은 샤프니스가 없는 영역으로 판단될 수 있다.
또한,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제2 영역(R2) 및 제3 영역(R3)은 디테일 정도의 변화가 있는 영역으로 판단될 수 있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제2 영역(R2) 및 제3 영역(R3)은 샤프니스가 있는 영역으로 판단될 수 있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제1 영역(R1), 제2 영역(R2), 제3 영역(R3)은 APL 정도가 서로 상이함을 볼 수 있다.
이와 같이, 제어부(170)는 디테일 맵으로부터 각 로컬 영역의 APL 정보와 샤프니스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어부(170)는 각 로컬 영역별 로컬 매핑 커브를 적용할 수 있다(S505).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제어부(170)에서 각 로컬 영역별 로컬 매핑 커브를 생성하고, 생성된 로컬 매핑 커브를 해당 로컬 영역의 톤 매핑에 적용하는 과정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전체 영역에 동일한 매핑 커브를 이용하여 톤 매핑을 수행하지 않는다.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각 로컬 영역의 정보가 반영된 로컬 영역별 로컬 매핑 커브를 생성하고, 각 로컬 영역별로 해당 로컬 매핑 커브를 이용하여 톤 매핑을 수행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추출된 로컬 영역별 정보를 기반으로 해당 로컬 영역별로 적응적 로컬 콘트라스트 커브(adaptive local contrast curve)를 생성하고, 각 로컬 영역에 대한 톤 매핑을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각 로컬 영역별로 해당 로컬 영역별 정보가 반영된 로컬 매핑 커브를 생성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각 로컬 영역의 APL 정보와 샤프니스 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로컬 영역의 로컬 매핑 커브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영역(R1), 제2 영역(R2), 제3 영역(R3)의 각 영역은 APL 정도 및 샤프니스 정도에 서로 차이가 있다. 즉, 각 영역의 APL 값이 서로 다르며, 각 영역의 샤프니스 값이 서로 다르다. 이에 따라, 각 영역에 적합한 로컬 매핑 커브는 서로 다르게 생성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제1 영역(R1)에 대해 제1 영역의 APL 정보와 샤프니스 정보를 기반으로 제1 로컬 매핑 커브를 생성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제2 영역(R2)에 대해 제2 영역의 APL 정보와 샤프니스 정보를 기반으로 제2 로컬 매핑 커브를 생성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제3 영역(R3)에 대해 제3 영역의 APL 정보와 샤프니스 정보를 기반으로 제3 로컬 매핑 커브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영역(R1)은 디테일 정도의 변화가 없는 영역으로 판단될 수 있다. 즉, 제1 영역(R1)은 샤프니스가 없는 영역으로 판단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제1 영역(R1)에 대해 별도의 제1 로컬 매핑 커브를 생성하지 않고, 전체 영역에 대해 생성된 베이스 매핑 커브를 이용하여 로컬 톤 매핑을 수행할 수 있다.
제2 영역(R2)은 디테일 정도의 변화가 있는 영역으로 판단될 수 있다. 즉, 제2 영역(R2)은 샤프니스가 있는 영역으로 판단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제2 영역(R2)에 대해 별도의 제2 로컬 매핑 커브를 생성하고, 생성된 제2 로컬 매핑 커브를 이용하여 제2 영역(R2)에 대한 로컬 톤 매핑을 수행할 수 있다.
예로서, 제어부(170)는 제2 영역(R2)에 대해 밝기를 강화하고 콘트라스트를 강화할 수 있는 제2 로컬 매핑 커브를 생성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로컬 영역의 샤프니스 정도가 크면 해당 로컬 영역의 밝기 및 콘트라스트를 강화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전체 영역에 대해 생성된 베이스 매핑 커브 중에서 DC 커브 대신에 제2 로컬 매핑 커브를 적용하여 제2 영역(R2)에 대한 로컬 톤 매핑을 수행할 수 있다.
제3 영역(R3)은 디테일 정도의 변화가 있는 영역으로 판단될 수 있다. 즉, 제3 영역(R3)은 샤프니스가 있는 영역으로 판단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제3 영역(R3)에 대해 별도의 제3 로컬 매핑 커브를 생성하고, 생성된 제3 로컬 매핑 커브를 이용하여 제3 영역(R3)에 대한 로컬 톤 매핑을 수행할 수 있다.
예로서, 제어부(170)는 제3 영역(R3)에 대해 밝기를 강화하고 콘트라스트를 강화할 수 있는 제3 로컬 매핑 커브를 생성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로컬 영역의 샤프니스 정도가 크면 해당 로컬 영역의 밝기 및 콘트라스트를 강화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전체 영역에 대해 생성된 베이스 매핑 커브 중에서 DC 커브 대신에 제3 로컬 매핑 커브를 적용하여 제3 영역(R3)에 대한 로컬 톤 매핑을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해당 로컬 영역별 정보가 반영된 로컬 매핑 커브를 이용하여 로컬 영역별로 톤 매핑을 수행할 수 있다.
실시 예에 의하면, 로컬 매핑 커브는, 각 로컬 영역별로 해당 로컬 영역별 정보가 반영된 콘트라스트 커브를 전체 영역에 대해 생성된 베이스 매핑 커브에 추가 조정하여 생성될 수 있다.
예로서, 제1 영역(R1)에 대한 로컬 매핑 커브는, 전체 영역에 대해 생성된 베이스 매핑 커브의 DTM 커브(RGB 도메인에 적용)와 전체 영역에 대해 생성된 베이스 매핑 커브의 DC 커브(휘도 도메인에 적용)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영역(R2)에 대한 로컬 매핑 커브는, 전체 영역에 대해 생성된 베이스 매핑 커브의 DTM 커브(RGB 도메인에 적용)와 제2 영역에 대해 생성된 제2 로컬 매핑 커브(휘도 도메인에 적용)를 포함할 수 있다.
제3 영역(R3)에 대한 로컬 매핑 커브는, 전체 영역에 대해 생성된 베이스 매핑 커브의 DTM 커브(RGB 도메인에 적용)와 제3 영역에 대해 생성된 제3 로컬 매핑 커브(휘도 도메인에 적용)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구동 방법에 의하면, 영상의 로컬 영역의 정보를 활용하여 로컬 영역에서의 명암비를 향상시키고, 영상의 입체감과 사용자 몰입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구동 방법에 의하면, 영상의 로컬 영역의 영역별 밝기, 샤프니스 정보를 활용하여 로컬 영역에서의 명암비를 향상시키고, 영상의 입체감과 사용자 몰입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구동 방법에 의하면, 추출된 로컬 영역별 정보를 기반으로 해당 로컬 영역별로 적응적 로컬 콘트라스트 커브를 생성하고 톤 매핑을 수행함으로써, 로컬 영역에서의 명암비를 향상시키고, 영상의 입체감과 사용자 몰입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8은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라, 디테일 맵 정보에 따른 로컬 영역의 게인(gain) 조절 적용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제어부(170)는 디테일 맵으로부터 각 로컬 영역의 샤프니스 정보와 APL 정보를 추출하고, 해당 로컬 영역에 대한 밝기 강화 정도와, 콘트라스트 강화 정도를 결정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각 로컬 영역의 샤프니스 정보와 APL 정보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로컬 영역에 대한 밝기 강화 정도, 콘트라스트 강화 정도 등을 결정할 수 있다.
예로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70)는 각 로컬 영역에서의 샤프니스 정도에 따른 게인과 APL 정도에 따른 게인의 연산을 통하여, 해당 로컬 영역에서의 밝기 강화 정도 및/또는 콘트라스트 강화 정도를 추출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하여, 제어부(170)는 밝기 강화 및/또는 콘트라스트 강화가 처리될 로컬 관심 영역을 검출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는 검출된 로컬 관심 영역의 게인에 대해, 브라이트(bright) 정도에 대한 게인과 다크(dark) 정도에 대한 게인을 각각 연산하여 입력 대비 출력 게인을 조절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하여, 제어부(170)는 각 로컬 영역에서의 샤프니스 정보와 APL 정보로부터, 해당 로컬 영역에 대한 밝기 강화 정도와 콘트라스트 강화 정도를 결정할 수 있다.
한편, 위에서 설명된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디스플레이부(180)가 평면(flat) 형상으로 제공된 경우를 기반으로 설명되었다.
실시 예에 의하면, 디스플레이부(180)는 곡률을 갖는 커브드 디스플레이부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80)는 곡률이 변경되는 벤더블 디스플레이부로 제공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른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부(180)가 커브드 디스플레이부로 제공되거나 또는 벤더블 디스플레이부로 제공되는 경우, 각 로컬 영역별로 해당 로컬 영역의 APL 정보, 샤프니스 정보, 위치 정보, 곡률 정보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정보가 반영된 로컬 매핑 커브를 생성하고 로컬 영역별로 톤 매핑을 수행할 수 있다.
도 9는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의 곡률 변화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실시 예에 의하면, 로컬 매핑 커브는, 각 로컬 영역별로 해당 로컬 영역의 APL 정보, 샤프니스 정보, 위치 정보, 곡률 정보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정보가 반영된 콘트라스트 커브를 전체 영역에 대해 생성된 베이스 매핑 커브에 추가 조정하여 생성될 수 있다.
예로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곡률이 변경되는 벤더블 디스플레이 장치로 제공될 수 있으며, 평면 디스플레이부(901), 제1 곡률(1000R)을 갖는 디스플레이부(903), 제2 곡률(800R)을 갖는 디스플레이부(905) 형태로, 사용자 요청에 따라 디스플레이부의 곡률이 변경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평면 디스플레이부(901)를 포함하는 경우, 제1 영역(R1), 제2 영역(R2), 제3 영역(R3)에서의 로컬 매핑 커브는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설명된 바와 같이 결정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제1 곡률을 갖는 디스플레이부(903)를 포함하는 경우, 제어부(170)는 샤프니스가 없는 제1 영역(R1)에 대해 평면 디스플레이부(901)로 제공되는 경우에 비하여 밝기 정도를 더 강화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샤프니스가 있는 제2 영역(R2)에 대해 평면 디스플레이부(901)로 제공되는 경우에 비하여 밝기 정도를 더 강화하고 콘트라스트를 더 강화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샤프니스가 있는 제3 영역(R3)에 대해 평면 디스플레이부(901)로 제공되는 경우에 비하여 밝기 정도를 더 강화하고 콘트라스트를 더 강화할 수 있다.
제2 곡률을 갖는 디스플레이부(905)로 제공되는 경우, 제어부(170)는 샤프니스가 없는 제1 영역(R1)에 대해 제1 곡률을 갖는 디스플레이부(903)로 제공되는 경우에 비하여 밝기 정도를 더 강화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샤프니스가 있는 제2 영역(R2)에 대해 제1 곡률을 갖는 디스플레이부(903)로 제공되는 경우에 비하여 밝기 정도를 더 강화하고 콘트라스트를 더 강화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샤프니스가 있는 제3 영역(R3)에 대해 제1 곡률을 갖는 디스플레이부(903)로 제공되는 경우에 비하여 밝기 정도를 더 강화하고 콘트라스트를 더 강화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제어부(170)는 해당 로컬 영역의 곡률이 크면 해당 로컬 영역의 밝기 및 콘트라스트를 강화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제어부(170)는 해당 로컬 영역이 곡률이 있고, 해당 로컬 영역이 전체 영역의 중앙에 위치하면 밝기를 강화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해당 로컬 영역이 곡률이 있고, 해당 로컬 영역이 전체 영역의 측면에 위치하면 콘트라스트를 강화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제1 영역(R1)에 대해 제1 영역의 APL 정보, 샤프니스 정보, 위치 정보, 곡률 정보를 기반으로 제1 로컬 매핑 커브를 생성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제2 영역(R2)에 대해 제2 영역의 APL 정보, 샤프니스 정보, 위치 정보, 곡률 정보를 기반으로 제2 로컬 매핑 커브를 생성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제3 영역(R3)에 대해 제3 영역의 APL 정보, 샤프니스 정보, 위치 정보, 곡률 정보를 기반으로 제3 로컬 매핑 커브를 생성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해당 로컬 영역별 정보가 반영된 로컬 매핑 커브를 이용하여 로컬 영역별로 톤 매핑을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벤더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구동 방법에 의하면, 영상의 로컬 영역의 정보를 활용하여 로컬 영역에서의 명암비를 향상시키고, 영상의 입체감과 사용자 몰입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벤더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구동 방법에 의하면, 영상의 로컬 영역의 영역별 밝기, 샤프니스 정보를 활용하여 로컬 영역에서의 명암비를 향상시키고, 영상의 입체감과 사용자 몰입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벤더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구동 방법에 의하면, 영상의 로컬 영역의 영역별 밝기, 샤프니스 정보, 위치 정보를 활용하여 로컬 영역에서의 명암비를 향상시키고, 영상의 입체감과 사용자 몰입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벤더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구동 방법에 의하면, 영상의 로컬 영역의 영역별 밝기, 샤프니스 정보, 위치 정보, 곡률 정보를 활용하여 영상의 입체감과 사용자 몰입감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벤더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구동 방법에 의하면, 추출된 로컬 영역별 정보를 기반으로 해당 로컬 영역별로 적응적 로컬 콘트라스트 커브를 생성하고 톤 매핑을 수행함으로써, 로컬 영역에서의 명암비를 향상시키고, 영상의 입체감과 사용자 몰입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80)가 벤더블 디스플레이부로 제공되는 경우, 예로서, 디스플레이부(180)의 곡률 변경 요청 신호가 사용자로부터 입력될 수 있다. 예로서,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곡률 변경 요청 신호는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를 통해 입력될 수 있다.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는 입력된 디스플레이부(180)의 곡률 변경 요청 신호를 제어부(170)에 전달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사용자의 곡률 변경 요청 신호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80)의 곡률을 변경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디스플레이부(180)의 곡률에 따라 각 로컬 영역의 로컬 매핑 커브를 조정할 수 있다.
도 10은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라, 로컬 영역에 적용되는 로컬 영역 콘트라스트 커브의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제어부(170)는, 전체 영역의 로컬 영역별 정보를 추출하고, 각 로컬 영역별로 해당 로컬 영역별 정보가 반영된 로컬 영역 콘트라스트 커브를 생성할 수 있다.
로컬 영역 콘트라스트 커브는 앞에서 설명된 제1 로컬 매핑 커브, 제2 로컬 매핑 커브, 제3 로컬 매핑 커브를 의미할 수 있다.
도 10에 도시된 제1 커브(1001)는 전체 영역에 대한 베이스 매핑 커브의 DC 커브일 수 있다. 제2 커브(1003)는 로컬 영역 콘트라스트 커브의 예를 나타낸 것이다.
제2 커브(1003)는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설명된 제1 로컬 매핑 커브, 제2 로컬 매핑 커브, 제3 로컬 매핑 커브에 대응될 수 있다. 이때, 제2 커브(1003)는 로컬 영역의 APL 정보 및 샤프니스 정보로부터 결정된 게인으로부터 콘트라스트가 조정될 수 있다. 제1 로컬 매핑 커브, 제2 로컬 매핑 커브, 제3 로컬 매핑 커브는 각 로컬 영역의 정보를 기반으로 생성될 수 있으며, 서로 다른 형상의 로컬 콘트라스트 커브로 생성될 수 있다.
또한, 제2 커브(1003)는 도 9를 참조하여 설명된 제1 로컬 매핑 커브, 제2 로컬 매핑 커브, 제3 로컬 매핑 커브에 대응될 수 있다. 이때, 제2 커브(1003)는 로컬 영역의 APL 정보, 샤프니스 정보, 위치 정보, 곡률 정보로부터 결정된 게인으로부터 콘트라스트가 조정될 수 있다. 제1 로컬 매핑 커브, 제2 로컬 매핑 커브, 제3 로컬 매핑 커브는 각 로컬 영역의 정보를 기반으로 생성될 수 있으며, 서로 다른 형상의 로컬 콘트라스트 커브로 생성될 수 있다.
한편,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제어부(170)는 제2 커브(1003)의 최대 값을 설정할 수 있다. 이는, 콘트라스트가 과하게 강화되는 경우, 저계조 묻힘, 고계조 포화 등의 문제가 발생될 수 있기 때문이다. 예로서, 도 10에 도시된 제2 커브(1003)가 제어부(170)에서 설정된 최대 값을 나타내는 커브인 경우, 각 로컬 영역에 대해 생성된 제1, 제2, 제3 로컬 매핑 커브는 제1 커브(1001)와 제2 커브(1003) 사이의 값을 갖도록 생성될 수 있다.
도 11은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라, APL 별로 적용되는 로컬 콘트라스트 커브의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제어부(170)는 로컬 영역의 APL 정보에 따라 서로 다른 적응적 로컬 콘트라스트 커브가 생성되도록 할 수 있다.
예로서, 제어부(170)는 로컬 영역의 APL 정도가 상대적으로 낮은 값을 갖는 경우, 제1 커브(1101)의 로컬 콘트라스트 커브가 생성되도록 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로컬 영역의 APL 정도가 상대적으로 중간 값을 갖는 경우, 제2 커브(1103)의 로컬 콘트라스트 커브가 생성되도록 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로컬 영역의 APL 정도가 상대적으로 높은 값을 갖는 경우, 제3 커브(1105)의 로컬 콘트라스트 커브가 생성되도록 할 수 있다.
예로서, 로컬 영역의 APL 정도가 상대적으로 중간 값을 갖는 경우의 제2 커브(1103)는 입력 값과 출력 값의 비가 1인 포인트의 APL 값이 제1 커브(1101)에 비하여 더 큰 APL 값을 갖도록 설정될 수 있다. 로컬 영역의 APL 정도가 상대적으로 중간 값을 갖는 경우의 제2 커브(1103)는 입력 값과 출력 값의 비가 1인 포인트의 APL 값이 제3 커브(1105)에 비하여 더 작은 APL 값을 갖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어부(170)는 로컬 영역의 APL 정도에 따라 해당 로컬 영역의 로컬 콘트라스트 커브의 형상을 조절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로컬 영역의 APL 정도의 변화에 따라 해당 영역의 로컬 콘트라스트 커브의 변화 정도를 측정함으로써, 본 개시에서 제안된 적응적 로컬 매핑 커브 개념이 적용되었는 지의 여부가 판별될 수 있다. 로컬 영역의 APL 정도의 변화에 따라 로컬 콘트라스트 커브가 변화되는 경향이 있으면, 본 개시에서 제안된 적응적 로컬 매핑 커브 개념이 적용된 것으로 판단될 수 있다.
도 12는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라, 동일 APL에서 서로 다른 샤프니스를 적용하였을 경우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제어부(170)는 로컬 영역의 샤프니스 정보에 따라 서로 다른 적응적 로컬 콘트라스트 커브가 생성되도록 할 수 있다.
예로서, 제어부(170)는, APL 정도가 같은 로컬 영역들에 있어서, 로컬 영역의 샤프니스 정도가 강할수록 로컬 콘트라스트가 더 큰 경향을 갖도록 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로컬 영역의 샤프니스 정도가 강할수록 밝은 영역은 더 밝아지고 어두운 영역은 더 어두워지도록 해당 로컬 영역의 로컬 콘트라스트 커브를 생성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동일 APL의 서로 다른 샤프니스에 대해, 서로 다른 콘트라스트 경향을 갖는 로컬 콘트라스트 커브를 생성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샤프니스가 상대적으로 높은 값을 갖는 제1 샤프니스 패턴(1201)에 대해 상대적으로 높은 콘트라스트 경향을 갖는 로컬 콘트라스트 커브가 생성되도록 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샤프니스가 상대적으로 중간 값을 갖는 제2 샤프니스 패턴(1203)에 대해 상대적으로 중간 정도의 콘트라스트 경향을 갖는 로컬 콘트라스트 커브가 생성되도록 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샤프니스가 상대적으로 낮은 값을 갖는 제3 샤프니스 패턴(1205)에 대해 상대적으로 낮은 콘트라스트 경향을 갖는 로컬 콘트라스트 커브가 생성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어부(170)는 로컬 영역의 샤프니스 정도에 따라 적응적 로컬 콘트라스트 커브의 형상을 조절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로컬 영역의 샤프니스 정도의 변화에 대해 휘도 측정을 통해 로컬 콘트라스트의 변화 정도를 검출함으로써, 본 개시에서 제안된 적응적 로컬 매핑 커브 개념이 적용되었는 지의 여부가 판별될 수 있다. 로컬 영역의 샤프니스 정도의 변화에 대해 휘도 측정을 통해 로컬 콘트라스트가 변화되는 경향이 있으면, 본 개시에서 제안된 적응적 로컬 매핑 커브 개념이 적용된 것으로 판단될 수 있다.
도 13은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라, 곡률 변화에 따른 APL 별 로컬 영역 콘트라스트 커브 및 동일 APL에서 서로 다른 샤프니스를 적용하였을 경우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실시 예에 따른 제어부(170)는 로컬 영역의 곡률 정보에 따라 서로 다른 적응적 로컬 콘트라스트 커브가 생성되도록 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로컬 영역의 곡률 정보와 APL 정보에 따라 서로 다른 적응적 로컬 콘트라스트 커브가 생성되도록 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로컬 영역의 곡률 정보와 샤프니스 정보에 따라 서로 다른 적응적 로컬 콘트라스트 커브가 생성되도록 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로컬 영역의 곡률 정보, APL 정보 및 샤프니스 정보에 따라 서로 다른 적응적 로컬 콘트라스트 커브가 생성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어부(170)는 로컬 영역의 곡률 정보에 따라 해당 로컬 영역의 로컬 콘트라스트 커브의 형상을 조절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로컬 영역의 곡률 정도의 변화에 따라 해당 영역의 로컬 콘트라스트 커브의 변화 정도를 측정함으로써, 본 개시에서 제안된 적응적 로컬 매핑 커브 개념이 적용되었는 지의 여부가 판별될 수 있다. 로컬 영역의 곡률 정도의 변화에 따라 로컬 콘트라스트 커브가 변화되는 경향이 있으면, 본 개시에서 제안된 적응적 로컬 매핑 커브 개념이 적용된 것으로 판단될 수 있다.
제어부(170)는 해당 로컬 영역별 정보가 반영된 적응적 로컬 매핑 커브를 이용하여 로컬 영역별로 톤 매핑을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170)에서 각 로컬 영역별로 적응적 로컬 톤 매핑이 수행된 출력 이미지 데이터에 따른 영상은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구동 방법에 의하면, 영상의 로컬 영역의 정보를 활용하여 로컬 영역에서의 명암비를 향상시키고, 영상의 입체감과 사용자 몰입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구동 방법에 의하면, 영상의 로컬 영역의 APL 정보, 샤프니스 정보, 위치 정보를 활용하여 로컬 영역에서의 명암비를 향상시키고, 영상의 입체감과 사용자 몰입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구동 방법에 의하면, 영상의 로컬 영역의 APL 정보, 샤프니스 정보, 위치 정보, 곡률 정보를 활용하여 영상의 입체감과 사용자 몰입감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구동 방법에 의하면, 영상의 로컬 영역별 정보를 기반으로 해당 로컬 영역별로 적응적 로컬 톤 매핑을 수행하여 영상의 입체감과 사용자 몰입감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개시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개시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개시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개시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개시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개시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디스플레이 장치
150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
170 제어부
180 디스플레이부

Claims (20)

  1. 입력 이미지 데이터의 휘도를 조절하는 톤 매핑을 수행하는 제어부; 및
    상기 톤 매핑에 의해 휘도가 조절된 출력 이미지 데이터에 따른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 이미지 데이터로부터 전체 영역에 대한 베이스 매핑 커브를 생성하고,
    상기 전체 영역의 로컬 영역별 정보를 추출하고, 각 로컬 영역별로 해당 로컬 영역별 정보가 반영된 로컬 매핑 커브를 생성하여 상기 톤 매핑을 수행하고,
    상기 로컬 영역별 정보는 상기 전체 영역의 픽셀 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되는 디테일 맵으로부터 추출되며,
    상기 디테일 맵은 상기 각 로컬 영역별 APL 정보, 샤프니스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로컬 매핑 커브는, 상기 각 로컬 영역별로 상기 해당 로컬 영역의 상기 APL 정보, 상기 샤프니스 정보, 위치 정보, 곡률 정보가 반영된 콘트라스트 커브를 상기 베이스 매핑 커브에 추가 조정하여 생성하고,
    상기 해당 로컬 영역의 곡률이 기준 값에 비해 크면 상기 해당 로컬 영역의 밝기 및 콘트라스트를 강화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매핑 커브는 상기 전체 영역에 대한 동적 콘트라스트 커브를 포함하고,
    상기 로컬 매핑 커브는 상기 해당 로컬 영역에 대한 로컬 콘트라스트 커브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추출된 로컬 영역별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베이스 매핑 커브로부터 상기 해당 로컬 영역별로 적응적 로컬 콘트라스트 커브를 생성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해당 로컬 영역의 샤프니스 정도가 기준 값에 비해 크면 상기 해당 로컬 영역의 밝기 및 콘트라스트를 강화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해당 로컬 영역이 곡률이 있고,
    상기 해당 로컬 영역이 상기 전체 영역의 중앙에 위치하면 밝기를 강화하고,
    상기 해당 로컬 영역이 상기 전체 영역의 측면에 위치하면 콘트라스트를 강화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테일 맵은 상기 전체 영역에 대한 라플라시안 필터 적용으로 추출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11. 입력 이미지 데이터의 휘도를 조절하는 톤 매핑을 수행하는 제어부;
    상기 톤 매핑에 의해 휘도가 조절된 출력 이미지 데이터에 따른 영상을 표시하고, 곡률이 변경되는 디스플레이부; 및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곡률 변경 요청 신호를 상기 제어부에 전달하는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 이미지 데이터로부터 전체 영역에 대한 베이스 매핑 커브를 생성하고,
    상기 전체 영역의 로컬 영역별 정보를 추출하고, 각 로컬 영역별로 해당 로컬 영역별 정보가 반영된 로컬 매핑 커브를 생성하여 상기 톤 매핑을 수행하고,
    상기 로컬 영역별 정보는 상기 전체 영역의 픽셀 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되는 디테일 맵으로부터 추출되며,
    상기 디테일 맵은 상기 각 로컬 영역별 APL 정보, 샤프니스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로컬 매핑 커브는, 상기 각 로컬 영역별로 상기 해당 로컬 영역의 상기 APL 정보, 상기 샤프니스 정보, 위치 정보, 곡률 정보가 반영된 콘트라스트 커브를 상기 베이스 매핑 커브에 추가 조정하여 생성하고,
    상기 해당 로컬 영역의 곡률이 기준 값에 비해 크면 상기 해당 로컬 영역의 밝기 및 콘트라스트를 강화하는,
    벤더블 디스플레이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매핑 커브는 상기 전체 영역에 대한 동적 콘트라스트 커브를 포함하고,
    상기 로컬 매핑 커브는 상기 해당 로컬 영역에 대한 로컬 콘트라스트 커브를 포함하는 벤더블 디스플레이 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추출된 로컬 영역별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베이스 매핑 커브로부터 상기 해당 로컬 영역별로 적응적 로컬 콘트라스트 커브를 생성하는 벤더블 디스플레이 장치.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해당 로컬 영역의 샤프니스 정도가 기준 값에 비해 크면 상기 해당 로컬 영역의 밝기 및 콘트라스트를 강화하는 벤더블 디스플레이 장치.
  18. 삭제
  19.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해당 로컬 영역이 곡률이 있고,
    상기 해당 로컬 영역이 상기 전체 영역의 중앙에 위치하면 밝기를 강화하고,
    상기 해당 로컬 영역이 상기 전체 영역의 측면에 위치하면 콘트라스트를 강화하는 벤더블 디스플레이 장치.
  20.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디테일 맵은 상기 전체 영역에 대한 라플라시안 필터 적용으로 추출되는 벤더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210169042A 2021-11-30 2021-11-30 디스플레이 장치 KR1025644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9042A KR102564447B1 (ko) 2021-11-30 2021-11-30 디스플레이 장치
US17/580,138 US11961212B2 (en) 2021-11-30 2022-01-20 Display device performing tone mapping using local mapping curves
PCT/KR2022/005154 WO2023101110A1 (en) 2021-11-30 2022-04-08 Display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9042A KR102564447B1 (ko) 2021-11-30 2021-11-30 디스플레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81201A KR20230081201A (ko) 2023-06-07
KR102564447B1 true KR102564447B1 (ko) 2023-08-08

Family

ID=865003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69042A KR102564447B1 (ko) 2021-11-30 2021-11-30 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1961212B2 (ko)
KR (1) KR102564447B1 (ko)
WO (1) WO2023101110A1 (ko)

Family Cites Families (5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339475B2 (en) * 2008-12-19 2012-12-25 Qualcomm Incorporated High dynamic range image combining
US8311355B2 (en) * 2009-06-05 2012-11-13 Apple Inc. Skin tone aware color boost for cameras
US9055227B2 (en) * 2010-03-17 2015-06-09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Scene adaptive brightness/contrast enhancement
CN102236883A (zh) * 2010-04-27 2011-11-09 株式会社理光 图像增强方法和装置、物体检测方法和装置
US8314847B2 (en) * 2010-05-25 2012-11-20 Apple Inc. Automatic tone mapping curve generation based on dynamically stretched image histogram distribution
JP5991486B2 (ja) * 2010-08-04 2016-09-14 日本電気株式会社 画像処理方法、画像処理装置及び画像処理プログラム
KR101972748B1 (ko) * 2011-09-27 2019-08-16 코닌클리케 필립스 엔.브이. 이미지들의 다이내믹 레인지 변환을 위한 장치 및 방법
JP6262198B2 (ja) * 2012-03-26 2018-01-17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ヌ ヴェKoninklijke Philips N.V. Hdr画像符号化及び復号のための輝度領域ベース装置及び方法
KR101389930B1 (ko) 2012-08-17 2014-04-29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이미지 톤 매핑 장치 및 방법
KR101767094B1 (ko) * 2012-12-03 2017-08-31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영상 처리 장치 및 방법
KR102145201B1 (ko) * 2013-08-12 2020-08-18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미지의 동적 범위 향상을 위한 방법 및 장치
EP2988485A1 (en) * 2014-08-20 2016-02-24 Thomson Licensing Methods and apparatus for mapping input image
US9418311B2 (en) * 2014-09-04 2016-08-16 Apple Inc. Multi-scale tone mapping
KR102251440B1 (ko) * 2014-11-05 2021-05-14 삼성전자주식회사 로컬 톤 맵핑 회로와 이를 포함하는 모바일 컴퓨팅 장치
KR102255590B1 (ko) 2014-11-10 2021-05-2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의 동적 범위 확장 방법 및 장치
DK3231174T3 (da) * 2014-12-11 2020-10-26 Koninklijke Philips Nv Optimering af billeder med højt dynamikområde til bestemte displays
US9892494B2 (en) * 2015-02-05 2018-02-13 Apple Inc. Region-of-interest biased tone mapping
EP3054418A1 (en) * 2015-02-06 2016-08-10 Thomson Licensing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high dynamic range images
KR102531222B1 (ko) * 2015-08-25 2023-05-10 인터디지털 매디슨 페턴트 홀딩스 에스에이에스 루미넌스 존들에 기초한 역 톤 맵핑
US10572983B2 (en) * 2015-08-31 2020-02-25 Interdigital Vc Holding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inverse tone mapping
JP7008621B2 (ja) * 2015-09-02 2022-01-25 フォルシア イリステック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リアルタイムトーンマッピングのためのシステム及び方法
KR102401421B1 (ko) * 2015-09-22 2022-05-2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곡률 가변형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와 그 구동방법
KR20170065926A (ko) * 2015-12-04 2017-06-14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2337438B1 (ko) * 2016-03-18 2021-12-09 코닌클리케 필립스 엔.브이. Hdr 비디오의 인코딩 및 디코딩
WO2017190786A1 (en) * 2016-05-04 2017-11-09 1/1Thomson Licensing Optimized content-adaptive inverse tone mapping for low to high dynamic range conversion
CN107395950B (zh) * 2016-05-16 2021-11-09 西安电子科技大学 媒体数据处理方法和装置及***
US10504487B2 (en) * 2016-10-14 2019-12-10 Apple Inc. Ambient and content adaptive pixel manipulation
CN106886386B (zh) * 2017-01-23 2019-06-04 苏州科达科技股份有限公司 从低动态图像生成高动态图像的方法
KR102337888B1 (ko) * 2017-03-16 2021-12-1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 표시 장치의 영상 처리 방법 및 장치
EP3399497A1 (en) * 2017-05-05 2018-11-07 Koninklijke Philips N.V. Optimizing decoded high dynamic range image saturation
US10847118B2 (en) * 2017-05-12 2020-11-24 Apple Inc. Electronic devices with tone mapping engines
EP3418972A1 (en) * 2017-06-23 2018-12-26 Thomson Licensing Method for tone adapting an image to a target peak luminance lt of a target display device
EP3462743A1 (en) * 2017-09-27 2019-04-03 Thomson Licensing Device and method for dynamic range expansion in a virtual reality scene
KR20190067286A (ko) 2017-12-06 2019-06-1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휘도 제어 장치,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US10607047B2 (en) * 2017-12-06 2020-03-31 Cognex Corporation Local tone mapping for symbol reading
EP3503019A1 (en) * 2017-12-21 2019-06-26 Thomson Licensing Improved inverse tone mapping method and corresponding device
KR102516828B1 (ko) * 2017-12-28 2023-03-31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 처리 장치, 영상 처리 방법 및 다중 스크린 디스플레이
US11172144B2 (en) * 2018-02-15 2021-11-09 Grass Valley Canada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luminance during video production and broadcast
KR102550846B1 (ko) * 2018-03-06 2023-07-0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이미지-적응 톤 맵핑 방법 및 이를 채용한 표시 장치
KR102465313B1 (ko) * 2018-03-08 2022-11-0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이미지-적응 톤 맵핑 방법 및 이를 채용한 표시 장치
KR102546990B1 (ko) * 2018-03-16 2023-06-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신호 처리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영상표시장치
WO2019184017A1 (zh) * 2018-03-28 2019-10-03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显示控制的方法及电子设备
US20190313005A1 (en) * 2018-04-05 2019-10-10 Qualcomm Incorporated Tone mapping for high-dynamic-range images
KR102489265B1 (ko) * 2018-04-10 2023-01-17 엘지전자 주식회사 비디오 신호를 처리하는 멀티미디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EP3594894A1 (en) * 2018-07-11 2020-01-15 InterDigital VC Holdings, Inc. Tone-mapping of colors of a video content
WO2020048790A1 (en) * 2018-09-05 2020-03-12 Koninklijke Philips N.V. Multi-range hdr video coding
US11189017B1 (en) * 2018-09-11 2021-11-30 Apple Inc. Generalized fusion techniques based on minimizing variance and asymmetric distance measures
US11095829B2 (en) * 2019-06-11 2021-08-17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high dynamic range (HDR) image creation of dynamic scenes using graph cut-based labeling
KR102591521B1 (ko) * 2019-06-20 2023-10-20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US11182884B2 (en) * 2019-07-30 2021-11-23 Nvidia Corporation Enhanced high-dynamic-range imaging and tone mapping
US11195247B1 (en) * 2019-09-09 2021-12-07 Apple Inc. Camera motion aware local tone mapping
KR102641738B1 (ko) * 2019-09-30 2024-02-29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 처리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CN110867172B (zh) * 2019-11-19 2021-02-26 苹果公司 动态控制标准动态范围和高动态范围内容的电子设备
US11803947B2 (en) * 2020-03-18 2023-10-31 Intel Corporation Brightness and contrast enhancement for video
CN115552511A (zh) * 2020-04-28 2022-12-30 杜比实验室特许公司 用于hdr显示器的图像相关对比度和亮度控制
KR102375369B1 (ko) * 2020-11-26 2022-03-18 엘지전자 주식회사 톤 매핑 장치 및 그 방법
US11354788B1 (en) * 2020-12-07 2022-06-07 Advanced Micro Devices, Inc. Overlapped curve mapping for histogram-based local tone and local contrast
US11734806B2 (en) * 2021-11-24 2023-08-22 Roku, Inc. Dynamic tone mapp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30169631A1 (en) 2023-06-01
WO2023101110A1 (en) 2023-06-08
US11961212B2 (en) 2024-04-16
KR20230081201A (ko) 2023-06-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91521B1 (ko) 디스플레이 장치
KR102521343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CN109661809B (zh) 显示设备
KR102564447B1 (ko) 디스플레이 장치
KR102566794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EP3971882A1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KR102584198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102674361B1 (ko) 디스플레이 장치
KR102499317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20230130812A (ko) 디스플레이 장치
KR102661177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20240014964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US11600216B1 (en) Display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US20230274684A1 (en) Display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US20230107150A1 (en) Display device
KR20220161388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20220165566A (ko) 디스플레이 장치
KR20230084722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20240044943A (ko)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
KR20220032275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게임 화면 제공 방법
KR20220167119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를 이용한 콘텐츠 추천 방법
KR20230122725A (ko) 디스플레이 장치
KR20210000119A (ko) 디스플레이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