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60669B1 - 이동 단말기 - Google Patents

이동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60669B1
KR102560669B1 KR1020180117403A KR20180117403A KR102560669B1 KR 102560669 B1 KR102560669 B1 KR 102560669B1 KR 1020180117403 A KR1020180117403 A KR 1020180117403A KR 20180117403 A KR20180117403 A KR 20180117403A KR 102560669 B1 KR102560669 B1 KR 1025606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t
mobile terminal
out area
layer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174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40384A (ko
Inventor
김양환
조일경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PCT/KR2018/012101 priority Critical patent/WO2019240331A1/ko
Priority to US17/057,963 priority patent/US11307448B2/en
Publication of KR201901403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403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06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06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09Filters, e.g. light shielding masks
    • G02F1/133512Light shielding layers, e.g. black matrix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4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camera module assembly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30/00Camera modules comprising integrated lens units and imaging unit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e.g. mobile phones or vehic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5Optical part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image sensors; Mounting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7Mechanical or electrical details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21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characterised by the geometry or disposition of pixel element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26Shielding, e.g. light-blocking means over the TFT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60OLEDs integrated with inorganic light-sensitive elements, e.g. with inorganic solar cells or inorganic photodiodes
    • H10K59/65OLEDs integrated with inorganic image sensor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02F1/133331Cover glass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7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794Arrangements for heating and cool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ultimedia (AREA)
  • Geometry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디스플레이 내에 구비되는 홀에 전자 구성이 구비되는 경우, 디스플레이의 빛이 홀에 유입되거나, 반대로 홀로 유입된 빛이 디스플레이에 유입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커버 글래스, 상기 커버 글래스의 배면에 구비되어 복수의 레이어를 형성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상기 복수의 레이어 중 적어도 하나의 레이어에 형성된 컷-아웃 영역, 상기 컷-아웃 영역에 의해 외부로 노출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레이어의 측면에 구비되는 측면 광학 차폐막 및 상기 커버 글래스의 상기 컷-아웃 영역에 인접하는 일 영역에 구비되는 전면 광학 차폐막을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이동 단말기{MOBILE TERMINAL}
본 발명은 홀 또는 노치와 같은 컷-아웃 영역을 갖는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이동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디스플레이 영역 최대화에 대한 요구에 따라 다양한 형상의 디스플레이 영역을 구현하기 위한 시도가 계속되고 있다.
일 예로 디스플레이 영역 내에 카메라 구비를 위한 카메라 홀을 구현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내에 구비되는 홀에 전자 구성이 구비되는 경우, 디스플레이의 빛이 홀에 유입되거나, 반대로 홀로 유입된 빛이 디스플레이에 유입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인 홀을 갖는 디스플레이에서 발생할 수 있는 빛 유입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또는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커버 글래스, 상기 커버 글래스의 배면에 구비되어 복수의 레이어를 형성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상기 복수의 레이어 중 적어도 하나의 레이어에 형성된 컷-아웃 영역, 상기 컷-아웃 영역에 의해 외부로 노출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레이어의 측면에 구비되는 측면 광학 차폐막 및 상기 커버 글래스의 상기 컷-아웃 영역에 인접하는 일 영역에 구비되는 전면 광학 차폐막을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은 액정(Liquid Crystal) 레이어를 포함하는 LCD(Liquid Crystal Display)이고, 상기 컷-아웃 영역은 상기 액정 레이어를 제외한 상기 복수의 레이어에 모두 형성되고, 상기 액정 레이어의 상기 컷-아웃 영역에 인접하는 일 영역에 구비되는 보조 광학 차폐막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컷-아웃 영역의 내부 또는 상기 컷-아웃 영역의 후방에 구비되는 광학 센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광학 센서는 카메라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카메라 센서는, 렌즈 경통 및 이미지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렌즈 경통은 상기 컷-아웃 영역의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이미지 센서는 상기 컷-아웃 영역의 후방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최후방에는 백라이트 유닛 레이어가 구비되고,
상기 이미지 센서는 상기 백라이트 유닛 레이어 배면 중 상기 컷-아웃 영역에 인접한 일 영역과 접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은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를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최후방 레이어는 쿠션 테잎 레이어이며, 상기 쿠션 테잎 레이어는 상기 컷-아웃 영역보다 넓게 형성되어 상기 광학 센서의 안착 영역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컷-아웃 영역은 전방에 위치한 레이어로 갈수록 단면적이 넓어지는 단차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측면 광학 차폐막은 검은색 잉크를 포함하고, 분사 방식으로 상기 측면에 도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효과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디스플레이 또는 카메라 홀에 유입될 수 있는 빛을 방지한다.
본 발명의 적용 가능성의 추가적인 범위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은 해당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 및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와 같은 특정 실시 예는 단지 예시로 주어진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a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1b 및 1c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일 예를 서로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전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A-A' 방향 단면 일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도 2의 A-A' 방향 단면 또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5 및 도 6은 LCD 디스플레이 패널인 것을 전제로 하는 도 2의 B-B' 방향 단면에 대한 두 가지 실시 예이다.
도 7 및 도 8은 OLED 디스플레이 패널인 것을 전제로 하는 도 2의 B-B' 방향 단면에 대한 두 가지 실시 예이다.
도 9는 도 2의 B-B' 방향 단면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0은 도 9의 이동 단말기를 형성하는 공정 순서대로 도시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이동 단말기에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슬레이트 PC(slate PC), 태블릿 PC(tablet PC), 울트라북(ultrabook),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예를 들어, 워치형 단말기 (smartwatch), 글래스형 단말기 (smart glass), HMD(head mounted display))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에 따른 구성은 이동 단말기에만 적용 가능한 경우를 제외하면, 디지털 TV, 데스크탑 컴퓨터, 디지털 사이니지 등과 같은 고정 단말기에도 적용될 수도 있음을 본 기술분야의 해당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라면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도 1a 내지 도 1c를 참조하면, 도 1a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고, 도 1b 및 1c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일 예를 서로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개념도이다.
상기 이동 단말기(100)는 무선 통신부(110), 입력부(120), 센싱부(140), 출력부(150), 인터페이스부(160), 메모리(170), 제어부(180) 및 전원 공급부(19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a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은 이동 단말기를 구현하는데 있어서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본 명세서 상에서 설명되는 이동 단말기는 위에서 열거된 구성요소들 보다 많거나, 또는 적은 구성요소들을 가질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구성요소들 중 무선 통신부(110)는, 이동 단말기(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이동 단말기(100)와 다른 이동 단말기(100) 사이, 또는 이동 단말기(100)와 외부서버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무선 통신부(110)는, 이동 단말기(100)를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에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무선 통신부(110)는, 방송 수신 모듈(111), 이동통신 모듈(112), 무선 인터넷 모듈(113), 근거리 통신 모듈(114), 위치정보 모듈(115)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20)는, 영상 신호 입력을 위한 카메라(121) 또는 영상 입력부, 오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마이크로폰(microphone, 122), 또는 오디오 입력부,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사용자 입력부(123, 예를 들어, 터치키(touch key), 푸시키(mechanical key) 등)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20)에서 수집한 음성 데이터나 이미지 데이터는 분석되어 사용자의 제어명령으로 처리될 수 있다.
센싱부(140)는 이동 단말기 내 정보, 이동 단말기를 둘러싼 주변 환경 정보 및 사용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센싱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싱부(140)는 근접센서(141, proximity sensor), 조도 센서(142, illumination sensor), 터치 센서(touch sensor), 가속도 센서(acceleration sensor), 자기 센서(magnetic sensor), 중력 센서(G-sensor), 자이로스코프 센서(gyroscope sensor), 모션 센서(motion sensor), RGB 센서, 적외선 센서(IR 센서: infrared sensor), 지문인식 센서(finger scan sensor), 초음파 센서(ultrasonic sensor), 광 센서(optical sensor, 예를 들어, 카메라(121 참조)), 마이크로폰(microphone, 122 참조), 배터리 게이지(battery gauge), 환경 센서(예를 들어, 기압계, 습도계, 온도계, 방사능 감지 센서, 열 감지 센서, 가스 감지 센서 등), 화학 센서(예를 들어, 전자 코, 헬스케어 센서, 생체 인식 센서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이동 단말기는, 이러한 센서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의 센서에서 센싱되는 정보들을 조합하여 활용할 수 있다.
출력부(15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디스플레이부(151), 음향 출력부(152), 햅팁 모듈(153), 광 출력부(154)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터치 센서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거나 일체형으로 형성됨으로써, 터치 스크린을 구현할 수 있다. 이러한 터치 스크린은, 이동 단말기(100)와 사용자 사이의 입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사용자 입력부(123)로써 기능함과 동시에, 이동 단말기(100)와 사용자 사이의 출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60)는 이동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다양한 종류의 외부 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인터페이스부(160)는, 유/무선 헤드셋 포트(port), 외부 충전기 포트(port), 유/무선 데이터 포트(port),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port),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이어폰 포트(port)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에서는, 상기 인터페이스부(160)에 외부 기기가 연결되는 것에 대응하여, 연결된 외부 기기와 관련된 적절할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170)는 이동 단말기(100)의 다양한 기능을 지원하는 데이터를 저장한다. 메모리(170)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구동되는 다수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 program 또는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위한 데이터들, 명령어들을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무선 통신을 통해 외부 서버로부터 다운로드 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이동 단말기(100)의 기본적인 기능(예를 들어, 전화 착신, 발신 기능, 메시지 수신, 발신 기능)을 위하여 출고 당시부터 이동 단말기(100)상에 존재할 수 있다. 한편, 응용 프로그램은, 메모리(170)에 저장되고, 이동 단말기(100) 상에 설치되어, 제어부(180)에 의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의 동작(또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동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상기 응용 프로그램과 관련된 동작 외에도, 통상적으로 이동 단말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180)는 위에서 살펴본 구성요소들을 통해 입력 또는 출력되는 신호, 데이터, 정보 등을 처리하거나 메모리(170)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적절한 정보 또는 기능을 제공 또는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메모리(170)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하기 위하여, 도 1a와 함께 살펴본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를 제어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80)는 상기 응용 프로그램의 구동을 위하여, 이동 단말기(100)에 포함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을 서로 조합하여 동작시킬 수 있다.
전원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 하에서,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 받아 이동 단말기(100)에 포함된 각 구성요소들에 전원을 공급한다. 이러한 전원공급부(190)는 배터리를 포함하며, 상기 배터리는 내장형 배터리 또는 교체가능한 형태의 배터리가 될 수 있다.
상기 각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는, 이하에서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동작, 제어, 또는 제어방법을 구현하기 위하여 서로 협력하여 동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 단말기의 동작, 제어, 또는 제어방법은 상기 메모리(170)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응용 프로그램의 구동에 의하여 이동 단말기 상에서 구현될 수 있다.
도 1 b 및 1c를 참조하면, 개시된 이동 단말기(100)는 바 형태의 단말기 바디를 구비하고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여기에 한정되지 않고 와치 타입, 클립 타입, 글래스 타입 또는 2 이상의 바디들이 상대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폴더 타입, 플립 타입, 슬라이드 타입, 스윙 타입, 스위블 타입 등 다양한 구조에 적용될 수 있다. 이동 단말기의 특정 유형에 관련될 것이나, 이동 단말기의 특정유형에 관한 설명은 다른 타입의 이동 단말기에 일반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여기에서, 단말기 바디는 이동 단말기(100)를 적어도 하나의 집합체로 보아 이를 지칭하는 개념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는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예를 들면, 프레임, 하우징, 커버 등)를 포함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100)는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의 결합에 의해 형성되는 내부공간에는 각종 전자부품들이 배치된다.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미들 케이스가 추가로 배치될 수 있다.
단말기 바디의 전면에는 디스플레이부(151)가 배치되어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51)의 윈도우(151a)는 프론트 케이스(101)에 장착되어 프론트 케이스(101)와 함께 단말기 바디의 전면을 형성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리어 케이스(102)에도 전자부품이 장착될 수 있다. 리어 케이스(102)에 장착 가능한 전자부품은 착탈 가능한 배터리, 식별 모듈, 메모리 카드 등이 있다. 이 경우, 리어 케이스(102)에는 장착된 전자부품을 덮기 위한 후면커버(103)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후면 커버(103)가 리어 케이스(102)로부터 분리되면, 리어 케이스(102)에 장착된 전자부품은 외부로 노출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후면커버(103)가 리어 케이스(102)에 결합되면, 리어 케이스(102)의 측면 일부가 노출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상기 결합시 리어 케이스(102)는 후면커버(103)에 의해 완전히 가려질 수도 있다. 한편, 후면커버(103)에는 카메라(121b)나 음향 출력부(152b)를 외부로 노출시키기 위한 개구부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케이스들(101, 102, 103)은 합성수지를 사출하여 형성되거나 금속,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 스틸(STS), 알루미늄(Al), 티타늄(Ti) 등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동 단말기(100)는, 복수의 케이스가 각종 전자부품들을 수용하는 내부 공간을 마련하는 위의 예와 달리, 하나의 케이스가 상기 내부 공간을 마련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합성수지 또는 금속이 측면에서 후면으로 이어지는 유니 바디의 이동 단말기(100)가 구현될 수 있다.
한편, 이동 단말기(100)는 단말기 바디 내부로 물이 스며들지 않도록 하는 방수부(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방수부는 윈도우(151a)와 프론트 케이스(101) 사이,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 사이 또는 리어 케이스(102)와 후면 커버(103) 사이에 구비되어, 이들의 결합 시 내부 공간을 밀폐하는 방수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에는 디스플레이부(151), 제1 및 제2 음향 출력부(152a, 152b), 근접 센서(141), 조도 센서(142), 광 출력부(154), 제1 및 제2 카메라(121a, 121b), 제1 및 제2 조작유닛(123a, 123b), 마이크로폰(122), 인터페이스부(160) 등이 구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b 및 도 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기 바디의 전면에 디스플레이부(151), 제1 음향 출력부(152a), 근접 센서(141), 조도 센서(142), 광 출력부(154), 제1 카메라(121a) 및 제1 조작유닛(123a)이 배치되고, 단말기 바디의 측면에 제2 조작유닛(123b), 마이크로폰(122) 및 인터페이스부(160)이 배치되며, 단말기 바디의 후면에 제2 음향 출력부(152b) 및 제2 카메라(121b)가 배치된 이동 단말기(100)를 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다만, 이들 구성은 이러한 배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들 구성은 필요에 따라 제외 또는 대체되거나, 다른 면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기 바디의 전면에는 제1 조작유닛(123a)이 구비되지 않을 수 있으며, 제2 음향 출력부(152b)는 단말기 바디의 후면이 아닌 단말기 바디의 측면에 구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출력)한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51)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구동되는 응용 프로그램의 실행화면 정보, 또는 이러한 실행화면 정보에 따른 UI(User Interface), GUI(Graphic User Interface)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전자잉크 디스플레이(e-ink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51)는 이동 단말기(100)의 구현 형태에 따라 2개 이상 존재할 수 있다. 이 경우, 이동 단말기(100)에는 복수의 디스플레이부들이 하나의 면에 이격되거나 일체로 배치될 수 있고, 또한 서로 다른 면에 각각 배치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터치 방식에 의하여 제어 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부(151)에 대한 터치를 감지하는 터치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부(151)에 대하여 터치가 이루어지면, 터치센서는 상기 터치를 감지하고, 제어부(180)는 이에 근거하여 상기 터치에 대응하는 제어명령을 발생시키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터치 방식에 의하여 입력되는 내용은 문자 또는 숫자이거나, 각종 모드에서의 지시 또는 지정 가능한 메뉴항목 등일 수 있다.
한편, 터치센서는, 터치패턴을 구비하는 필름 형태로 구성되어 윈도우(151a)와 윈도우(151a)의 배면 상의 디스플레이(미도시) 사이에 배치되거나, 윈도우(151a)의 배면에 직접 패터닝되는 메탈 와이어가 될 수도 있다. 또는, 터치센서는 디스플레이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터치센서는, 디스플레이의 기판 상에 배치되거나, 디스플레이의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
이처럼, 디스플레이부(151)는 터치센서와 함께 터치 스크린을 형성할 수 있으며, 이 경우에 터치 스크린은 사용자 입력부(123, 도 1a 참조)로 기능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터치 스크린은 제1조작유닛(123a)의 적어도 일부 기능을 대체할 수 있다.
제1 음향 출력부(152a)는 통화음을 사용자의 귀에 전달시키는 리시버(receiver)로 구현될 수 있으며, 제2 음향 출력부(152b)는 각종 알람음이나 멀티미디어의 재생음을 출력하는 라우드 스피커(loud speaker)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의 윈도우(151a)에는 제1 음향 출력부(152a)로부터 발생되는 사운드의 방출을 위한 음향홀이 형성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 사운드는 구조물 간의 조립틈(예를 들어, 윈도우(151a)와 프론트 케이스(101) 간의 틈)을 따라 방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외관상 음향 출력을 위하여 독립적으로 형성되는 홀이 보이지 않거나 숨겨져 이동 단말기(100)의 외관이 보다 심플해질 수 있다.
광 출력부(154)는 이벤트의 발생시 이를 알리기 위한 빛을 출력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이벤트의 예로는 메시지 수신, 호 신호 수신, 부재중 전화, 알람, 일정 알림, 이메일 수신, 애플리케이션을 통한 정보 수신 등을 들 수 있다. 제어부(180)는 사용자의 이벤트 확인이 감지되면, 빛의 출력이 종료되도록 광 출력부(154)를 제어할 수 있다.
제1 카메라(121a)는 촬영 모드 또는 화상통화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될 수 있으며, 메모리(170)에 저장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조작유닛(123a, 123b)은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 받기 위해 조작되는 사용자 입력부(123)의 일 예로서, 조작부(manipulating portion)로도 통칭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조작유닛(123a, 123b)은 터치, 푸시, 스크롤 등 사용자가 촉각적인 느낌을 받으면서 조작하게 되는 방식(tactile manner)이라면 어떤 방식이든 채용될 수 있다. 또한, 제1 및 제2 조작유닛(123a, 123b)은 근접 터치(proximity touch), 호버링(hovering) 터치 등을 통해서 사용자의 촉각적인 느낌이 없이 조작하게 되는 방식으로도 채용될 수 있다.
본 도면에서는 제1 조작유닛(123a)이 터치키(touch key)인 것으로 예시하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제1 조작유닛(123a)은 푸시키(mechanical key)가 되거나, 터치키와 푸시키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조작유닛(123a, 123b)에 의하여 입력되는 내용은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조작유닛(123a)은 메뉴, 홈키, 취소, 검색 등의 명령을 입력 받고, 제2 조작유닛(123b)은 제1 또는 제2 음향 출력부(152a, 152b)에서 출력되는 음향의 크기 조절, 디스플레이부(151)의 터치 인식 모드로의 전환 등의 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다.
한편, 단말기 바디의 후면에는 사용자 입력부(123)의 다른 일 예로서, 후면 입력부(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후면 입력부는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 받기 위해 조작되는 것으로서, 입력되는 내용은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원의 온/오프, 시작, 종료, 스크롤 등과 같은 명령, 제1 및 제2 음향 출력부(152a, 152b)에서 출력되는 음향의 크기 조절, 디스플레이부(151)의 터치 인식 모드로의 전환 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다. 후면 입력부는 터치입력, 푸시입력 또는 이들의 조합에 의한 입력이 가능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후면 입력부는 단말기 바디의 두께방향으로 전면의 디스플레이부(151)와 중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일 예로, 사용자가 단말기 바디를 한 손으로 쥐었을 때 검지를 이용하여 용이하게 조작 가능하도록, 후면 입력부는 단말기 바디의 후면 상단부에 배치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후면 입력부의 위치는 변경될 수 있다.
이처럼 단말기 바디의 후면에 후면 입력부가 구비되는 경우, 이를 이용한 새로운 형태의 유저 인터페이스가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앞서 설명한 터치 스크린 또는 후면 입력부가 단말기 바디의 전면에 구비되는 제1 조작유닛(123a)의 적어도 일부 기능을 대체하여, 단말기 바디의 전면에 제1 조작유닛(123a)이 미배치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151)가 보다 대화면으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이동 단말기(100)에는 사용자의 지문을 인식하는 지문인식센서가 구비될 수 있으며, 제어부(180)는 지문인식센서를 통하여 감지되는 지문정보를 인증수단으로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지문인식센서는 디스플레이부(151) 또는 사용자 입력부(123)에 내장될 수 있다.
마이크로폰(122)은 사용자의 음성, 기타 소리 등을 입력 받도록 이루어진다. 마이크로폰(122)은 복수의 개소에 구비되어 스테레오 음향을 입력 받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60)는 이동 단말기(100)를 외부기기와 연결시킬 수 있는 통로가 된다. 예를 들어, 인터페이스부(160)는 다른 장치(예를 들어, 이어폰, 외장 스피커)와의 연결을 위한 접속단자, 근거리 통신을 위한 포트[예를 들어, 적외선 포트(IrDA Port), 블루투스 포트(Bluetooth Port), 무선 랜 포트(Wireless LAN Port) 등], 또는 이동 단말기(10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단자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이러한 인터페이스부(160)는 SIM(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또는 UIM(User Identity Module), 정보 저장을 위한 메모리 카드 등의 외장형 카드를 수용하는 소켓의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단말기 바디의 후면에는 제2카메라(121b)가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제2카메라(121b)는 제1카메라(121a)와 실질적으로 반대되는 촬영 방향을 가지게 된다.
제2카메라(121b)는 적어도 하나의 라인을 따라 배열되는 복수의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렌즈는 행렬(matrix) 형식으로 배열될 수도 있다. 이러한 카메라는, '어레이(array) 카메라'로 명명될 수 있다. 제2카메라(121b)가 어레이 카메라로 구성되는 경우, 복수의 렌즈를 이용하여 다양한 방식으로 영상을 촬영할 수 있으며, 보다 나은 품질의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플래시(124)는 제2카메라(121b)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플래시(124)는 제2카메라(121b)로 피사체를 촬영하는 경우에 피사체를 향하여 빛을 비추게 된다.
단말기 바디에는 제2 음향 출력부(152b)가 추가로 배치될 수 있다. 제2 음향 출력부(152b)는 제1 음향 출력부(152a)와 함께 스테레오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며, 통화시 스피커폰 모드의 구현을 위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단말기 바디에는 무선 통신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가 구비될 수 있다. 안테나는 단말기 바디에 내장되거나, 케이스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방송 수신 모듈(111, 도 1a 참조)의 일부를 이루는 안테나는 단말기 바디에서 인출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또는, 안테나는 필름 타입으로 형성되어 후면 커버(103)의 내측면에 부착될 수도 있고, 도전성 재질을 포함하는 케이스가 안테나로서 기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단말기 바디에는 이동 단말기(10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 공급부(190, 도 1a 참조)가 구비된다. 전원 공급부(190)는 단말기 바디에 내장되거나, 단말기 바디의 외부에서 착탈 가능하게 구성되는 배터리(191)를 포함할 수 있다.
배터리(191)는 인터페이스부(160)에 연결되는 전원 케이블을 통하여 전원을 공급받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배터리(191)는 무선충전기기를 통하여 무선충전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무선충전은 자기유도방식 또는 공진방식(자기공명방식)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다.
한편, 본 도면에서는 후면 커버(103)가 배터리(191)를 덮도록 리어 케이스(102)에 결합되어 배터리(191)의 이탈을 제한하고, 배터리(191)를 외부 충격과 이물질로부터 보호하도록 구성된 것을 예시하고 있다. 배터리(191)가 단말기 바디에 착탈 가능하게 구성되는 경우, 후면 커버(103)는 리어 케이스(102)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에는 외관을 보호하거나, 이동 단말기(100)의 기능을 보조 또는 확장시키는 액세서리가 추가될 수 있다. 이러한 액세서리의 일 예로, 이동 단말기(100)의 적어도 일면을 덮거나 수용하는 커버 또는 파우치를 들 수 있다. 커버 또는 파우치는 디스플레이부(151)와 연동되어 이동 단말기(100)의 기능을 확장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액세서리의 다른 일 예로, 터치 스크린에 대한 터치입력을 보조 또는 확장하기 위한 터치펜을 들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100)의 전면도이다.
이동 단말기(100)의 전면에는 전면 카메라, 근접 센서, 리시버, 광 출력부와 디스플레이(200) 등이 구비된다.
디스플레이(200)는 전술한 디스플레이부(151)와 유사한 의미를 가질 수 있으나, 좀 더 영역의 개념에 가까운 의미이다.
종래에는 디스플레이(200)와 나머지 구성들이 구분되어 나머지 구성들은 베젤(231)에 구비되었으나, 최근의 베젤(231) 최소화 및 디스플레이(200) 영역 극대화의 요구에 따라 디스플레이(200) 내부에 나머지 구성들 중 적어도 일부가 구비되는 형태가 등장한다.
디스플레이(200) 내부에 일부 구성을 실장하기 위해 디스플레이(200)는 컷-아웃(Cut-Out, 210) 영역을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컷-아웃 영역(210)은 노치(Notch) 디스플레이의 노치 영역, 또는 도 2와 같은 디스플레이(200) 내부에 홀(Hole) 영역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서는 컷-아웃 영역(210)이 도 2와 같이 디스플레이(200) 내부에 홀 영역을 갖는 형태를 전제로 설명한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술한 노치 디스플레이 형태 등 디스플레이(200) 내에 컷-아웃 영역(210)이 형성되는 모든 형태에 적용될 수 있다.
도 3은 도 2의 A-A' 방향 단면 일 실시 예를, 도 4는 도 2의 A-A' 방향 단면 또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설명의 편의상 도 2를 함께 참조한다.
이동 단말기(100)는 디스플레이 패널(201)을 가진다. 디스플레이 패널(201)의 전면에는 디스플레이 패널(201)의 보호를 위한 커버 글래스(202)가 구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201)과 커버 글래스(202) 사이에는 양 구성의 접합을 위한 OCA(Optically Clear Adhesive) 필름(203)이 구비될 수 있다.
도 3과 같이, LCD(Liquid Crystal Display) 형태의 디스플레이 패널(201)인 경우 디스플레이 패널(201)의 후방에 백라이트 유닛(204)이 구비된다.
디스플레이 패널(201)은 복수의 레이어의 적층 구조로 구성된다.
LCD 형태의 디스플레이 패널(201)은, 전면부터 상부 편광판(2011), 컬러 필터(Color Filter, C/F) 레이어(2012), 액정(2013), TFT(Thin Film Transistor) 레이어(2014), 하부 편광판(2015) 순으로 적층되어 구비될 수 있다.
컬러 필터 레이어(2012)는 백라이트 유닛(204)으로부터 출사된 빛을 RGB로 선택적으로 투과시킨다. 액정(2013)은 회전하며 빛을 투과 또는 차단시키는 역할을 한다. TFT 레이어(2014)는 액정(2013)에 전계를 형성하여 액정(2013)을 회전 시키는 역할을 한다.
한편 도 4와 같은 OLED 형태의 디스플레이 패널(201)은, 전면부터 편광판(2016), 인캡슐레이션(Encapsulation, 2017), TFT(Thin Film Transistor, 2018) 및 PI(Poly-Imide) 레이어(2019)가 적층되어 구비될 수 있다. LCD 디스플레이 패널(201)과 달리 OLED 디스플레이 패널(201)의 후방에는 백라이트 유닛(204) 대신 쿠션 테잎(205)이 구비될 수 있다.
OLED 형태의 디스플레이 패널(201)의 구성 중 LCD 형태의 디스플레이 패널(201)에 구비되는 구성은 그 구성과 동일한 역할을 수행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인캡슐레이션(2017)은 수분 또는 불순물로부터 OLED를 보호하는 유기물 또는 무기물 층을 의미한다. TFT(2018)는 각 픽셀을 구동시키는 내부 회로를 구성한다. PI 레이어(2019)는 TFT(2018), OLED 및 인캡슐레이션(2017)을 증착시키는 기판 역할을 한다. 쿠션 테잎(205)은 디스플레이 패널(201)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시키고 발열을 감소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도 5 및 도 6은 LCD 디스플레이 패널(201)인 것을 전제로 하는 도 2의 B-B' 방향 단면에 대한 두 가지 실시 예이다.
상술한 디스플레이 패널(201)의 복수의 레이어 중 적어도 하나의 레이어에는 전자 구성(310)의 실장을 위한 컷-아웃(Cut-Out) 영역(210)이 형성될 수 있다.
컷-아웃 영역(210)에 실장되는 전자 구성(310)은 상술한 전면 카메라, 근접 센서, 리시버, 광 출력부와 같은 구성들 중 적어도 하나가 될 수 있다.
컷-아웃 영역(210)은 전면에 위치하는 커버 글래스(202)에 의해 외부로부터 보호될 수 있다.
컷-아웃 영역(210)에 인접하는 커버 글래스(202)의 일 영역에는 전면 광학 차폐막(221)이 구비될 수 있다. 전면 광학 차폐막(221)은 화면이 출력되지 않는 영역이 외부로부터 시인되지 않도록 막는 역할을 주로 한다.
디스플레이 패널(201) 중 컷-아웃 영역(210)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레이어의 측면에는 측면 광학 차폐막(230)이 구비될 수 있다.
측면 광학 차폐막(230)은 디스플레이 패널(201)에서 컷-아웃 영역(210)으로 빛이 유입되거나, 컷-아웃 영역(210)에서의 빛이 디스플레이 패널(201)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측면 광학 차폐막(230)은 전자 구성(310)이 카메라, 또는 근접 센서 등의 광학 센서인 경우에 특히 필요하다. 광학 센서가 커버 글래스(202)를 관통한 이동 단말기(100) 외부의 대상을 센싱할 때, 디스플레이 패널(201)의 빛으로 인해 센싱에 노이즈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한다.
측면 광학 차폐막(230)은 검은색 물질로 구성될 수 있다. 검은색 물질의 측면 광학 차폐막(230)은 그렇지 않은 경우보다 빛을 더 잘 흡수하여 빛 투과 또는 반사를 최소화 한다.
측면 광학 차폐막(230)은 컷-아웃 영역(210)의 내주면 전체에 대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의 실시 예와 같이 디스플레이 패널(201) 복수의 레이어 전체가 컷-아웃 영역(210)을 구성하는 경우 전체 레이어의 측면에 측면 광학 차폐막(230)이 형성되고, 도 6의 실시 예와 같이 디스플레이 패널(201) 중 일부 레이어가 컷-아웃 영역(210)을 형성하지 않는 경우 이를 제외한 레이어들의 측면에만 측면 광학 차폐막(230)이 형성된다. 컷-아웃 영역(210)을 형성하지 않는 레이어는 특히 액정(2013)이 될 수 있다.
도 6과 같이 액정(2013)이 컷-아웃 영역(210)을 형성하지 않는 경우 별도의 커팅 가공이 필요하지 않다. 따라서 높은 공정 수율을 얻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다만, 도 6의 실시 예의 경우 컷-아웃 영역(210)이 형성되지 않는 레이어에는 측면 광학 차폐막(230)이 구비될 수 없다. 따라서 해당 레이어를 통해 컷-아웃 영역(210) 내부와 디스플레이 패널(201) 사이의 빛이 서로 유입될 수 있다. 이를 최소화 하기 위해, 해당 레이어의 컷-아웃 영역(210)에 인접하는 일 영역에는 보조 광학 차폐막(222)이 구비될 수 있다.
보조 광학 차폐막(222)으로 인해 해당 레이어 상에서 빛이 난반사 되는 것을 최소화 할 수 있다. 보조 광학 차폐막(222)은 컷-아웃 영역(210)을 형성하지 않는 해당 레이어의 전면에 구비될 수 있고, 또는 배면에 구비될 수도 있으며, 경우에 따라 양면에 모두 구비될 수도 있다.
보조 광학 차폐막(222)의 좌우 폭은, 상술한 전면 광학 차폐막(221)의 좌우 폭과 동일하게 구성될 수 있다. 이는 해당 차폐막의 구비로 인해 발생하는 비출력 영역이 커지는 것을 최소화 하면서, 빛의 난반사 확률도 동시에 최소화하기 위함이다.
도 7 및 도 8은 OLED 디스플레이 패널(201)인 것을 전제로 하는 도 2의 B-B' 방향 단면에 대한 두 가지 실시 예이다.
상술한 LCD 디스플레이 패널(201)에서의 컷-아웃 영역(210)의 특징은 모순되지 않는 범위 내에서 OELD 디스플레이 패널(201)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201)의 컷-아웃 영역(210)에 구비되는 전자 구성(310)은 카메라 센서(311)일 수 있다.
카메라 센서(311)는 전술한 제1 카메라(121a) 또는 제2 카메라(121b)에 대응할 수 있다.
카메라 센서(311)는 렌즈들을 실장하는 렌즈 경통(3111) 및 렌즈 경통(3111)의 후방에 위치하는 이미지 센서(3112)를 포함하고 있다.
렌즈 경통(3111)은 컷-아웃 영역(210)에 구비되고, 이미지 센서(3112)는 컷-아웃 영역(210)의 후방에 구비될 수 있다. 이미지 센서(3112) 또는 이미지 센서(3112)를 포함하는 브라켓이 컷-아웃 영역(210)의 후방에 구비되는 경우 카메라 센서(311)가 컷-아웃 영역(210)을 통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카메라 센서(311)가 디스플레이 패널(201)에 고정될 수 있다.
이미지 센서(3112)와 디스플레이 패널(201) 배면 사이에는 상호 고정을 위한 접착 물질이 구비될 수 있다.
도 7은 디스플레이 패널(201)의 최후방에 위치한 쿠션 테잎(205)의 배면에 이미지 센서(3112)가 고정되는 형태를, 도 8은 안착되는 이미지 센서(3112)에 대응되는 영역에 쿠션 테잎(205)이 탈락되어 디스플레이 패널(201)과 이미지 센서(3112)가 고정되는 형태를 개시한다.
도 7의 경우 쿠션 테잎(205)이 전 영역에 걸쳐 구비되므로 외부 충격뿐만 아니라 이미지 센서(3112)로부터의 충격도 완화시켜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반면 도 8의 경우 쿠션 테잎(205)의 두께만큼의 전체 구조체의 두께 감소 효과가 있다.
도 9는 도 2의 B-B' 방향 단면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9의 실시 예는 도 5의 실시 예를 기준으로 변형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으나, 모순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컷-아웃 영역(210)을 형성하는 복수의 레이어는, 전방에 위치한 레이어로 갈수록 단면적이 넓어지는 단차(211)를 형성할 수 있다.
단차(211)를 형성하는 경우 컷-아웃 영역(210)의 전방에서 측면 광학 차폐막(230)의 형성을 위한 검은색 잉크가 도포될 때 인쇄가 누락되는 레이어 없이 골고루 뿌려져 차폐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단차(211) 형상은 카메라 센서와 같은 광학 센서의 화각에도 대응하므로 디스플레이 출력 영역이 축소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0은 도 9의 이동 단말기(100)를 형성하는 공정 순서대로 도시한 것이다.
도 10(a)를 참조하면, 커버 글래스(202)를 제외한 디스플레이 패널(201) 및 백라이트 유닛(204)의 결합 상태의 전면 및 배면에는 보호 필름(206)이 결합될 수 있다. 보호 필름(206)이 결합된 결합체 상태에서, 결합체의 전방에서 검은색 잉크가 도포될 수 있다.
이후 도포된 검은색 잉크는 경화과정을 거칠 수 있다.
도 10(b)를 참조하면, 경화가 완료된 결합체에서 전면의 보호 필름(206)과 배면의 보호 필름(206)은 탈거된다. 보호 필름(206)의 탈거 과정에서 불필요하게 도포되었던 잉크 영역도 함께 제거된다.
도 10(c)를 참조하면, 보호 필름(206)이 탈거된 상태의 결합체에 커버 글래스(202)가 결합한다. 이때 앞서 설명한 전면 광학 차폐막은 커버 글래스(202)의 배면에 인쇄될 수 있다. 커버 글래스(202)는 디스플레이 패널(201)에 결합되는데, 커버 글래스(202)의 전면 광학 차폐막이 카메라 센서(311)와 같은 광학 센서의 화각에 가려지지 않도록 위치를 맞추는 것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정신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음은 해당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하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100: 이동 단말기 200: 디스플레이
201: 디스플레이 패널 2011: 상부 편광판
2012: 컬러 필터 레이어 2013: 액정
2014: TFT 레이어 2015: 하부 편광판
2016: 편광판 2017: 인캡슐레이션
2018: TFT 2019: PI 레이어
202: 커버 글래스 203: OCA 필름
204: 백라이트 유닛 205: 쿠션 테잎
206: 보호 필름 210: 컷-아웃 영역
211: 단차 221: 전면 광학 차폐막
222: 보조 광학 차폐막 230: 측면 광학 차폐막
310: 전자 구성 311: 카메라 센서
3111: 렌즈 경통 3112: 이미지 센서

Claims (8)

  1. 커버 글래스;
    상기 커버 글래스의 배면에 구비되어 복수의 레이어를 형성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상기 복수의 레이어 중 적어도 하나의 레이어에 형성된 컷-아웃 영역;
    상기 컷-아웃 영역에 의해 외부로 노출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레이어의 측면에 구비되는 측면 광학 차폐막; 및
    상기 커버 글래스의 상기 컷-아웃 영역에 인접하는 일 영역에 구비되는 전면 광학 차폐막을 포함하고,
    상기 컷-아웃 영역은 전방에 위치한 레이어로 갈수록 단면적이 넓어지는 단차를 형성하는 이동 단말기.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은 액정(Liquid Crystal) 레이어를 포함하는 LCD(Liquid Crystal Display)이고,
    상기 컷-아웃 영역은 상기 액정 레이어를 제외한 상기 복수의 레이어에 모두 형성되고,
    상기 액정 레이어의 상기 컷-아웃 영역에 인접하는 일 영역에 구비되는 보조 광학 차폐막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컷-아웃 영역의 내부 또는 상기 컷-아웃 영역의 후방에 구비되는 광학 센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 센서는 카메라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카메라 센서는,
    렌즈 경통; 및
    이미지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렌즈 경통은 상기 컷-아웃 영역의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이미지 센서는 상기 컷-아웃 영역의 후방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최후방에는 백라이트 유닛 레이어가 구비되고,
    상기 이미지 센서는 상기 백라이트 유닛 레이어 배면 중 상기 컷-아웃 영역에 인접한 일 영역과 접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6.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은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를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최후방 레이어는 쿠션 테잎 레이어이며,
    상기 쿠션 테잎 레이어는 상기 컷-아웃 영역보다 넓게 형성되어 상기 광학 센서의 안착 영역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7. 삭제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 광학 차폐막은 검은색 잉크를 포함하고, 분사 방식으로 상기 측면에 도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KR1020180117403A 2018-06-11 2018-10-02 이동 단말기 KR1025606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8/012101 WO2019240331A1 (ko) 2018-06-11 2018-10-15 이동 단말기
US17/057,963 US11307448B2 (en) 2018-06-11 2018-10-15 Mobile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80066574 2018-06-11
KR1020180066574 2018-06-1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40384A KR20190140384A (ko) 2019-12-19
KR102560669B1 true KR102560669B1 (ko) 2023-07-28

Family

ID=690563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17403A KR102560669B1 (ko) 2018-06-11 2018-10-02 이동 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6066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52821B1 (ko) * 2019-12-31 2024-04-0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20210105782A (ko) * 2020-02-19 2021-08-27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20210143063A (ko) * 2020-05-19 2021-11-26 삼성전자주식회사 복수의 카메라들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20220000013A (ko) * 2020-06-24 2022-01-0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전자 장치
KR20220011478A (ko) * 2020-07-21 2022-01-28 삼성전자주식회사 내부 장치의 손상 방지를 위한 전자 장치의 구조
CN112086497B (zh) * 2020-09-15 2023-05-30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显示装置及其制备方法
KR20220117492A (ko) * 2021-02-17 2022-08-24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에서 광학 센서의 인식률을 개선시키는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143668B2 (en) * 2010-10-29 2015-09-22 Apple Inc. Camera lens structures and display structures for electronic devices
KR101873089B1 (ko) * 2012-06-08 2018-06-29 애플 인크. 카메라 또는 디스플레이 창의 융착된 불투명 및 투명 유리
KR101737175B1 (ko) * 2014-09-01 2017-05-18 주식회사 엘지화학 편광판, 화상표시장치 및 편광판의 제조 방법
KR102613898B1 (ko) * 2016-02-29 2023-12-1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102526110B1 (ko) * 2016-04-12 2023-04-2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US9735185B1 (en) * 2016-06-10 2017-08-15 Essential Products, Inc. Hollowed electronic displa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40384A (ko) 2019-1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60669B1 (ko) 이동 단말기
US11307448B2 (en) Mobile terminal
KR102415651B1 (ko) 이동 단말기
KR101759950B1 (ko) 이동 단말기
KR102206242B1 (ko) 이동 단말기
KR20150124710A (ko) 폴리오 케이스 및 이동 단말기
KR20170054910A (ko) 이동 단말기
KR20160003499A (ko) 근접조도센서 모듈 및 이를 이용한 이동 단말기
KR101951677B1 (ko) 커넥터 방수 하우징 및 이동 단말기
KR20160122514A (ko) 이동 단말기
KR20190026024A (ko) 이동 단말기
KR102406843B1 (ko) 이동 단말기
KR20170023481A (ko) 이동 단말기
KR102643355B1 (ko) 접착 테이프 및 이동 단말기
KR20180082179A (ko) 금속질감 필름 및 금속질감 케이스
KR102166834B1 (ko) 이동 단말기
KR20190127161A (ko) 이동 단말기
KR20150132994A (ko) 이동 단말기
KR102192820B1 (ko) 이동 단말기
KR20200019412A (ko) 이동 단말기
KR102592652B1 (ko) 이동 단말기
KR102415668B1 (ko) 이동 단말기
KR20170083406A (ko) 이동 단말기
KR20170078431A (ko) 이동 단말기
KR102159593B1 (ko) 이동 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